KR20200094389A - 써미스터 고정장치 - Google Patents

써미스터 고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94389A
KR20200094389A KR1020190011802A KR20190011802A KR20200094389A KR 20200094389 A KR20200094389 A KR 20200094389A KR 1020190011802 A KR1020190011802 A KR 1020190011802A KR 20190011802 A KR20190011802 A KR 20190011802A KR 20200094389 A KR20200094389 A KR 2020009438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hermistor
fixing device
support
holder
sl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118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23207B1 (ko
Inventor
정홍희
김진욱
박재현
이용흥
Original Assignee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0118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23207B1/ko
Publication of KR202000943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9438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232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232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642Control systems or circuits; Control members or indication devices for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devices
    • B60H1/00735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input, i.e. by the detection, measurement or calculation of particular conditions, e.g. signal treatment, dynamic models
    • B60H1/00792Arrangement of detec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32Cooling devices
    • B60H1/3204Cooling devices using compression
    • B60H1/3227Cooling devices using compression characterised by the arrangement or the type of heat exchanger, e.g. condenser, evaporat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2/00Friction-grip releasable fastenings
    • F16B2/02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 F16B2/14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using wedg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2/00Friction-grip releasable fastenings
    • F16B2/20Cli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solely by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KMEASURING TEMPERATURE; MEASURING QUANTITY OF HEAT; THERMALLY-SENSITIVE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K1/00Details of thermometers not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types of thermometer
    • G01K1/14Supports; Fastening devices; Arrangements for mounting thermometers in particular lo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KMEASURING TEMPERATURE; MEASURING QUANTITY OF HEAT; THERMALLY-SENSITIVE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K7/00Measuring temperature based on the use of electric or magnetic elements directly sensitive to heat ; Power supply therefor, e.g. using thermoelectric elements
    • G01K7/16Measuring temperature based on the use of electric or magnetic elements directly sensitive to heat ; Power supply therefor, e.g. using thermoelectric elements using resistive elements
    • G01K7/22Measuring temperature based on the use of electric or magnetic elements directly sensitive to heat ; Power supply therefor, e.g. using thermoelectric elements using resistive elements the element being a non-linear resistance, e.g. thermist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Resistance Heating (AREA)
  • Thermistors And Varistors (AREA)
  • Measuring Temperature Or Quantity Of Heat (AREA)

Abstract

실시예는 복수 개의 방열핀을 포함하는 차량용 증발기에 써미스터를 고정하기 위한 써미스터 고정장치에 있어서, 상기 써미스터가 삽입되어 배치되는 홀더부; 상기 써미스터의 일측에 연결된 와이어가 배치되는 지지부; 및 상기 지지부에서 돌출되게 형성되어 상기 방열핀 사이에 삽입되는 삽입부를 포함하며, 상기 홀더부 또는 지지부에 형성된 슬릿은 상기 써미스터로 유입되는 응축수를 외부로 유도하는 써미스터 고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에 따라, 상기 써미스터 고정장치는 슬릿을 이용하여 써미스터로 응축수의 유입을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써미스터 고정장치{APPARATUS FOR FIXING THERMISTOR}
실시예는 써미스터 고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세하게, 증발기에 써미스터를 고정시키는 써미스터 고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는 실내의 공기 온도를 조절하기 위한 공조장치를 갖추고 있다. 상기 공조장치는 겨울철에는 온기를 발생시켜 차량의 실내를 따뜻하게 유지시키고, 여름철에는 냉기를 발생시켜 차량의 실내를 시원하게 유지시킨다.
차량용 공조 장치는 냉매를 순환시키도록 압축기, 응축기, 리시버 드라이어, 팽창밸브, 증발기 및 이를 연결하는 파이프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냉매 순환과정에서 증발기의 표면에는 증발온도와 외부온도의 온도차로 인해 응축수가 결빙되는 결빙현상이 발생하고, 그 결과 상기 증발기의 열교환 효율이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그에 따라, 상기 증발기에 온도센서인 서미스터(Thermistor)를 설치하여 증발기를 거쳐 나오는 냉기의 온도를 감지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냉기의 온도가 0℃ 이하로 떨어지면 상기 압축기의 가동을 중지시켜 상기 공조 장치의 작동을 중지시키고, 온도가 4℃ 이상으로 다시 올라가면 상기 압축기를 다시 가동하여 상기 공조 장치를 작동시킴으로써, 상기 증발기가 결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러한 써미스터를 증발기에 장착하기 위해 써미스터 홀더가 필요하다.
그러나, 상기 증발기에 의해 발생한 응축수가 상기 써미스터에 연결된 와이어를 통해 상기 써미스터 홀더의 내부에 고이는 문제가 발생한다. 그에 따라, 상기 써미스터 홀더에 고인 응축수는 상기 써미스터로 유입되는 문제를 발생시킨다. 이에, 상기 응축수는 상기 써미스터의 정확한 온도 감지를 저해하게 된다.
실시예는 써미스터를 고정하면서도 증발기에 의해 발생한 응축수가 상기 써미스터로 유도되는 것을 방지하는 써미스터 고정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된 과제에 국한되지 않으며 여기서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는 실시예에 따른 복수 개의 방열핀을 포함하는 차량용 증발기에 써미스터를 고정하기 위한 써미스터 고정장치에 있어서, 상기 써미스터가 삽입되어 배치되는 홀더부; 상기 써미스터의 일측에 연결된 와이어가 배치되는 지지부; 및 상기 지지부에서 돌출되게 형성되어 상기 방열핀 사이에 삽입되는 삽입부를 포함하며, 상기 홀더부 또는 지지부에 형성된 슬릿은 상기 써미스터로 유입되는 응축수를 외부로 유도하는 써미스터 고정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슬릿은 홀더부에 형성된 제1 슬릿과 지지부에 형성된 제2 슬릿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홀더부는 내부에 홀이 형성된 홀더 바디 및 상기 홀더 바디에 형성된 상기 제1 슬릿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슬릿은 상기 써미스터의 삽입방향으로 상기 홀더 바디에 오목하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홀더부는 상기 홀더 바디에서 상기 홀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된 제1 후크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후크부는 상기 써미스터의 일측을 지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후크부는 두 개의 상기 제1 슬릿의 사이에 배치되는 돌기의 단부에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홀더부는 상기 홀더 바디에서 상기 홀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된 돌출부를 포함하며, 상기 돌출부는 상기 제1 후크부와 상기 써미스터의 삽입 방향으로 이격되게 배치되어 상기 써미스터의 타측을 지지할 수 있다.
그리고, 일 영역이 써미스터의 외주면과 소정의 갭(G)을 형성하도록 상기 돌출부에는 오목하게 홈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지지부는 지지부 바디 및 서로 마주보게 상기 지지부 바디에서 돌출되어 배치되는 한 쌍의 벽체를 포함하며, 상기 벽체에는 상기 제2 슬릿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지지부는 상기 벽체에서 돌출되게 형성된 제2 후크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2 후크부는 상기 와이어의 일측을 지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 후크부는 두 개의 상기 제2 슬릿의 사이에 배치되는 돌기의 단부에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써미스터의 삽입 방향에서 바라볼 때, 상기 제2 후크부와 상기 지지부 바디의 저면에 형성된 제1 드레인 홀의 일측은 오버랩되게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드레인 홀의 폭(W5)은 상기 제2 후크부의 폭(W4)보다 클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부 바디에는 내부 저면과 하면을 연결하는 제1 드레인 홀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부 바디에는 내부 저면과 측면을 연결하는 제2 드레인 홀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과제는 실시예에 따른 복수 개의 방열핀을 포함하는 차량용 증발기에 써미스터를 고정하기 위한 써미스터 고정장치에 있어서, 상기 써미스터가 삽입되어 배치되는 홀더부; 상기 써미스터의 일측에 연결된 와이어가 배치되는 지지부; 및 상기 지지부에서 돌출되게 형성되어 상기 방열핀 사이에 삽입되는 삽입부를 포함하며, 상기 지지부는 상기 와이어의 배치를 안내하는 채널 및 상기 채널과 연통되게 형성된 홀을 포함하는 써미스터 고정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지지부는 지지부 바디 및 서로 마주보게 상기 지지부 바디에서 돌출되어 배치되는 한 쌍의 벽체를 포함하며, 상기 벽체에는 제2 슬릿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지지부 바디에는 내부 저면과 하면을 연결하는 제1 드레인 홀 및 내부 저면과 측면을 연결하는 제2 드레인 홀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홀더부, 상기 지지부 및 상기 삽입부는 사출 성형 방식에 의해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써미스터 고정장치는 슬릿을 이용하여 써미스터로 응축수의 유입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써미스터 고정장치는 상기 슬릿 외에 홀을 구비하여 상기 응축수를 외부로 배출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홀은 배출구로써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그에 따라, 상기 써미스터 고정장치는 상기 증발기에 배치되는 장착 위치 및 방향을 고려하여 다양한 배출 방향을 갖도록 복수 개의 홀을 포함함으로써 상기 응축수가 고임 없이 외부로 배출되게 할 수 있다.
실시예의 다양하면서도 유익한 장점과 효과는 상술한 내용에 한정되지 않으며, 실시예의 구체적인 실시형태를 설명하는 과정에서 보다 쉽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차량용 공조장치의 증발기에 설치된 실시예에 따른 써미스터 고정장치 및 써미스터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는 써미스터 및 실시예에 따른 써미스터 고정장치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고,
도 3은 써미스터 및 실시예에 따른 써미스터 고정장치를 나타내는 결합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A1-A1선을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5는 도 3의 A2-A2선을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6은 실시예에 따른 써미스터 고정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7은 실시예에 따른 써미스터 고정장치를 나타내는 저면사시도이고,
도 8은 실시예에 따른 써미스터 고정장치를 나타내는 정면도이고,
도 9는 실시예에 따른 써미스터 고정장치를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10은 실시예에 따른 써미스터 고정장치를 나타내는 저면도이고,
도 11은 실시예에 따른 써미스터 고정장치를 나타내는 측면도이고,
도 12는 도 6의 B1-B1선을 나타내는 단면사시도이고,
도 13은 도 6의 B2-B2선을 나타내는 단면사시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2, 제1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2 구성요소는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1 구성요소도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실시 예의 설명에 있어서, 어느 한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의 " 상(위) 또는 하(아래)(on or under)"에 형성되는 것으로 기재되는 경우에 있어, 상(위) 또는 하(아래)(on or under)는 두 개의 구성요소가 서로 직접(directly)접촉되거나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가 상기 두 구성요소 사이에 배치되어(indirectly) 형성되는 것을 모두 포함한다. 또한 '상(위) 또는 하(아래)(on or under)'로 표현되는 경우 하나의 구성요소를 기준으로 위쪽 방향뿐만 아니라 아래쪽 방향의 의미도 포함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게 된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차량용 공조장치의 증발기에 설치된 실시예에 따른 써미스터 고정장치 및 써미스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실시예에 따른 써미스터 고정장치(1)는 써미스터(10)를 증발기(20)에 고정시킬 수 있다. 여기서, 증발기(20)는 복수 개의 방열핀(21)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써미스터 고정장치(1)에는 써미스터(10)가 삽입되어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써미스터 고정장치(1)는 상기 방열핀(21) 사이에 결합될 수 있다.
도 2는 써미스터 및 실시예에 따른 써미스터 고정장치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고, 도 3은 써미스터 및 실시예에 따른 써미스터 고정장치를 나타내는 결합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A1-A1선을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5는 도 3의 A2-A2선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에 있어서 x 방향은 삽입 방향을 나타내고, y 방향은 폭 방향을 나타낼 수 있다. 그리고, x 방향과 y 방향은 서로 수직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써미스터 고정장치(1)는 상기 써미스터(10)가 삽입되어 배치되는 홀더부(100), 상기 써미스터(10)의 일측에 연결된 와이어(30)가 배치되는 지지부(200) 및 상기 지지부(200)에서 돌출되게 형성되어 상기 방열핀(21) 사이에 삽입되는 삽입부(30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홀더부(100), 상기 지지부(200) 및 상기 삽입부(300)는 사출 성형 방식에 의해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써미스터 고정장치(1)는 일부 영역이 절개되어 형성된 슬릿을 이용하여 상기 써미스터(10)로 유입되는 응축수를 외부로 유도시킬 수 있다. 그에 따라, 상기 슬릿은 상기 응축수가 써미스터(10)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슬릿은 홀더부(100) 또는 지지부(200)에 형성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써미스터(10)는 상기 써미스터 고정장치(1)의 홀더부(100)에 삽입되어 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써미스터(10)는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온도를 측정할 수 있는 센서가 배치되는 일측이 증발기(20)의 방열핀(21)을 향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써미스터(10)는 외경이 상이한 와이어 연결부(11)와 센서부(12)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센서부(12)의 내부에는 상기 센서가 배치되며, 와이어(30)는 와이어 연결부(11)의 내부를 관통하여 상기 센서에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와이어 연결부(11)와 와이어(30) 사이의 틈새로 상기 응축수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틈새를 막도록 와이어 연결부(11)에는 실링부재가 도포될 수 있다.
그리고, 와이어 연결부(11)의 외경(D1)은 센서부(12)의 외경(D2)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그에 따라, 상기 써미스터(10)에는 홀더부(100)가 지지할 수 있는 단턱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와이어 연결부(11)는 홀더부(100)의 내부에 배치되고, 센서부(12)는 홀더부(100)의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여기서, 센서부(12)는 삽입부(300)의 돌출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방열핀(21)을 향해 와이어 연결부(11)에서 돌출되게 배치될 수 있다.
도 6은 실시예에 따른 써미스터 고정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7은 실시예에 따른 써미스터 고정장치를 나타내는 저면사시도이고, 도 8은 실시예에 따른 써미스터 고정장치를 나타내는 정면도이고, 도 9는 실시예에 따른 써미스터 고정장치를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10은 실시예에 따른 써미스터 고정장치를 나타내는 저면도이고, 도 11은 실시예에 따른 써미스터 고정장치를 나타내는 측면도이고, 도 12는 도 6의 B1-B1선을 나타내는 단면사시도이고, 도 13은 도 6의 B2-B2선을 나타내는 단면사시도이다. 여기서, 도 6, 도 12 및 도 13에 도시된 화살표는 응축수의 배출을 나타낸다.
홀더부(100)의 내부에는 써미스터(10)의 와이어 연결부(11)가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홀더부(100)는 와이어 연결부(11)를 지지하여 써미스터(10)가 홀더부(100)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6 내지 도 13을 참조하면, 홀더부(100)는 상기 홀더부(100)는 내부에 홀(111)이 형성된 홀더 바디(110) 및 상기 홀더 바디(110)에 형성된 상기 제1 슬릿(120), 홀더 바디(110)에서 홀(111)측으로 돌출된 제1 후크부(130) 및 돌출부(14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후크부(130)와 돌출부(140)는 홀더부(100)의 내부에서 써미스터(10)의 와이어 연결부(11)를 고정하는 구조로 형성되며, 상기 삽입 방향으로 상호 이격되게 홀더 바디(110)에 배치될 수 있다.
홀더 바디(110)의 내부에는 와이어 연결부(11)가 배치될 수 있다. 그에 따라, 홀더 바디(110)는 내부에 상기 써미스터(10)의 삽입을 위해 형성된 홀(111)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홀(111)이 형성됨에 따라, 상기 홀더 바디(110)의 내부로 유입된 응축수의 표면 장력을 고려하여 상기 홀더 바디(110)는 소정의 곡률(1/R)을 갖는 내주면(112)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홀더 바디(110)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홀(111)은 상기 삽입 방향으로 관통하게 홀더 바디(110)에 형성될 수 있다. 그에 따라, 상기 써미스터(10)는 상기 홀(111)에 삽입될 수 있다. 이때, 홀더 바디(110)의 중심(C)과 상기 써미스터(10)의 중심은 동축선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 슬릿(120)은 상기 써미스터(10)의 삽입방향으로 상기 홀더 바디(110)에 오목하게 형성될 수 있다. 그에 따라, 제1 슬릿(120)을 통해 홀더 바디(110)의 내부로 유입되는 응축수는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슬릿(120)은 홀더 바디(110)의 일 영역이 절개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슬릿(120)은 반경 방향으로 상기 홀더 바디(110)의 내부와 외부를 연통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반경 방향이라 함은 홀더 바디(110)의 중심(C)에서 내주면(112)을 향하는 방향일 수 있다.
또한, 제1 슬릿(120)은 중심(C)을 기준으로 원주 방향으로 소정의 폭(W1)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폭(W1)은 응축수의 표면 장력을 고려하여 1mm이상이어야 한다.
한편, 제1 슬릿(120)은 중심(C)을 기준으로 원주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게 홀더 바디(110)에 복수 개가 형성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슬릿(120)은 적어도 두 개가 형성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에 따라, 상기 써미스터 고정장치(1)의 장착 위치 및 방향에 관계없이, 상기 홀더 바디(110)는 복수 개의 제1 슬릿(120)에 의해 다양한 배출 방향을 갖는 배출구를 포함할 수 있다.
써미스터(10)에 통신부(미도시)가 배치되는 경우, 상기 통신부는 제1 슬릿(120)보다 상기 삽입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높게 배치될 수 있다.
홀더부(100)는 홀더 바디(110)의 내부에 배치되는 써미스터(10)의 상부를 지지하는 제1 후크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후크부(130)는 와이어 연결부(11)의 상부를 지지하여 홀더 바디(110)의 내부에 배치되는 써미스터(10)가 외부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1 후크부(130)는 중심(C)을 향해 돌출되게 홀더 바디(110)에 형성될 수 있다. 상세하게, 제1 후크부(130)는 홀더 바디(110)의 내주면(112)에서 써미스터(10)를 향해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1 후크부(130)는 두 개의 제1 슬릿(120) 사이에 형성된 돌기(150)에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돌기(150)는 두 개의 제1 슬릿(120)이 원주 방향으로 상호 이격되게 형성됨에 따라, 제1 슬릿(120)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돌기(150)는 소정의 폭(W2)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돌기(150)의 강성을 고려하여, 상기 돌기(150)의 폭(W2)은 제1 슬릿(120)의 폭(W1)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써미스터(10)의 삽입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상기 홀더 바디(110)에 돌출되게 형성된 돌기(150)는 탄성력을 갖게 되고, 상기 돌기(150)의 단부에 제1 후크부(130)가 형성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써미스터(10)는 홀더부(100)의 내부에 용이하게 삽입되면서도 상기 제1 후크부(130)에 의해 이탈이 방지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돌기(150)의 내주면은 상기 홀더 바디(110)의 내주면(112) 중 일부를 구성할 수 있다.
홀더부(100)는 홀더 바디(110)의 내부에 배치되는 써미스터(10)의 와이어 연결부(11)의 하부를 지지하는 돌출부(14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돌출부(140)는 와이어 연결부(11)의 하부를 지지하여 홀더 바디(110)의 내부에 배치되는 써미스터(10)가 외부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세하게, 돌출부(140)는 서로 다른 외경을 갖도록 형성된 와이어 연결부(11)와 센서부(12)에 의해 형성된 단턱을 지지하여 써미스터(10)가 상기 삽입 방향으로 홀더부(100)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돌출부(140)는 중심(C)을 향해 돌출되게 홀더 바디(110)에 형성될 수 있다. 상세하게, 돌출부(140)는 홀더 바디(110)의 내주면(112)에서 써미스터(10)를 향해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그에 따라, 상기 돌출부(140)는 홀(111)의 내경을 축소시킬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돌출부(140)는 상기 제1 후크부(130)와 상기 써미스터(10)의 삽입 방향으로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돌출부(140)의 내주면이 상기 센서부(12)의 외주면에 밀착되게 되면 홀더 바디(110)의 내부에 고인 응축수는 상기 삽입 방향으로 배출이 용이하지 않게 된다.
따라서, 상기 돌출부(140)에는 홈(141)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홈(141)은 상기 삽입 방향에 수직하는 방향 또는 상기 반경 방향으로 오목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홈(141)은 상기 삽입 방향으로 돌출부(140)를 관통하게 형성될 수 있다. 예컨데, 상기 홈(141)은 돌출부(140)의 상면과 하면을 관통하게 형성될 수 있다. 그에 따라,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홈(141)에 의해 상기 돌출부(140)의 일 영역은 써미스터(10)의 외주면과 소정의 갭(G)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홈(141)은 써미스터(10)의 외주면과 소정의 갭(G)을 형성하면서도 상기 돌출부(140)를 관통하게 형성된 것을 그 예로 하고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컨데, 상기 갭(G)의 형성없이 상기 돌출부(140)를 상기 삽입 방향으로 관통하는 홀이 상기 홈(141)을 대신하여 형성될 수도 있다.
지지부(200)는 홀더부(100)의 배치되어 상기 써미스터(10)의 일측에 연결되는 와이어(30)의 배치를 안내할 수 있다.
지지부(200)에는 와이어(30)의 배치를 안내하는 채널이 형성될 있다. 그리고, 상기 채널에 상기 응축수가 고이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지지부(200)는 상기 채널과 외부를 연통시키는 홀을 포함할 수 있다. 그에 따라, 상기 채널에 고이는 응축수는 상기 홀을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써미스터 고정장치(1)의 장착 위치 및 방향에 관계없이, 상기 홀은 다양한 배출 방향을 갖도록 복수 개가 형성될 수 있다.
도 6 내지 도 13을 참조하면, 지지부(200)는 지지부 바디(210) 및 서로 마주보게 상기 지지부 바디(210)에서 돌출되어 배치되는 한 쌍의 벽체(22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벽체(220) 사이에는 와이어(30)가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지지부(200)는 벽체(220)에 형성된 제2 슬릿(23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지지부(200)는 내부에 고이는 응축수의 배출을 위해 내부와 외부를 연결하는 복수 개의 홀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지지부 바디(210)와 벽체(220)는 지지부(200)의 외형을 형성할 수 있다.
지지부 바디(210)는 소정의 부피를 갖는 육면체로 형성될 수 있으며, 저면(211), 하면(212) 및 측면(213)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저면(211)의 상부측에는 와이어(30)가 배치될 수 있다.
한 쌍의 벽체(220)는 와이어(30)의 배치를 안내함과 동시에 상기 와이어(30)를 보호할 수 있다.
한 쌍의 벽체(220)는 상기 삽입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지지부 바디(210)에서 서로 이격되어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그에 따라, 한 쌍의 상기 벽체(220)는 상기 채널을 형성할 수 있으며, 상기 벽체(220) 사이에는 와이어(30)가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와이어(30)는 벽체(220)의 일 방향을 따라 벽체(220)와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벽체(220)는 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2 슬릿(230)은 벽체(220) 각각에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2 슬릿(230)은 서로 이격되게 복수 개가 벽체(220)에 형성될 수 있다. 그에 따라, 지지부(200)의 내부에 고인 응축수는 상기 제2 슬릿(230)을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상기 제2 슬릿(230)은 상기 써미스터(10)의 삽입방향으로 상기 벽체(220)에 오목하게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제2 슬릿(230)은 벽체(220)의 일 영역이 절개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에 따라, 상기 제2 슬릿(230)은 벽체(220)의 일측과 타측을 연통하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2 슬릿(230)은 소정의 폭(W3)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2 슬릿(230)의 폭(W3)은 응축수의 표면 장력을 고려하여 1mm이상이어야 한다.
한편, 제2 슬릿(230)은 서로 이격되게 벽체(220)에 복수 개가 형성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슬릿(230)은 적어도 두 개가 벽체(220)마다 형성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컨데, 상기 응축수의 배출량을 고려하여 두 개 이상의 제2 슬릿(230)이 벽체(220)에 형성될 수도 있다. 그에 따라, 상기 써미스터 고정장치(1)의 장착 위치 및 방향에 관계없이, 상기 지지부(200)는 복수 개의 제2 슬릿(230)에 의해 두 개의 배출 방향을 갖는 배출구를 포함할 수 있다.
지지부(200)는 벽체(220) 사이에 배치되는 와이어(30)의 상부를 지지하는 제2 후크부(24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후크부(240)는 와이어(30)의 상부를 지지하여 벽체(220) 사이에 배치되는 와이어(30)가 상부측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2 후크부(240)는 하나의 벽체(220)에서 다른 하나의 벽체(220)를 향해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적어도 두 개의 제2 슬릿(230)이 벽체(220)에 형성됨에 따라, 두 개의 제2 슬릿(230) 사이에는 돌기(250)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2 후크부(240)는 와이어(30)의 배치를 위한 탄성력을 고려하여 돌기(250)의 단부에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돌기(250)는 벽체(220)의 일부를 구성할 수 있다.
상기 돌기(250)는 소정의 폭(W4)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돌기(250)의 강성을 고려하여, 상기 돌기(250)의 폭(W4)은 제2 슬릿(230)의 폭(W3)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써미스터(10)의 삽입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상기 홀더 바디(110)에 돌출되게 형성된 돌기(250)는 탄성력을 갖게 되고, 상기 돌기(250)의 단부에 제2 후크부(240)가 형성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와이어(30)는 지지부(200)의 내부에 용이하게 삽입되면서도 상기 제2 후크부(240)에 의해 이탈이 방지될 수 있다.
도 6 내지 도 13을 참조하면, 지지부(200)는 내부에 고이는 응축수의 배출을 위해 내부와 외부를 연결하는 복수 개의 홀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홀은 지지부 바디(210)를 관통하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홀은 배출구의 위치에 따라 구분되는 제1 드레인 홀(260)과 제2 드레인 홀(270)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드레인 홀(260)은 지지부 바디(210)의 내부 저면(211)과 하면(212)을 연결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에 따라, 지지부 바디(210)의 내부 저면(211)에는 상기 응축수가 유입되는 제1 드레인 홀(260)의 유입구가 형성되며, 하면(212)에는 상기 응축수가 배출되는 제1 드레인 홀(260)의 배출구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써미스터(10)의 삽입 방향에서 바라볼 때, 상기 제2 후크부(240)와 상기 저면(211)에 형성된 제1 드레인 홀(260)의 일측은 오버랩(중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즉, 제2 후크부(240)의 하부에는 제1 드레인 홀(260)의 유입구가 상기 삽입 방향으로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제2 후크부(240)가 와이어(30)와 접촉됨에 따라,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와이어(30)를 따라 이동하는 응축수는 제2 후크부(240)의 하면 및 돌기(250)의 내면을 따라 흐른 후 제1 드레인 홀(260)을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면, 상기 제1 드레인 홀(260)의 유입구측 폭(W5)은 상기 제2 후크부(240)의 폭(W6)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그에 따라, 제2 후크부(240)의 하면 또는 돌기(250)의 내면을 따라 흐르는 응축수는 내부에 고이지 않고 상기 제1 드레인 홀(260)을 통해 용이하게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제2 드레인 홀(270)은 지지부 바디(210)의 내부 저면(211)과 측면(213)을 연결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에 따라, 지지부 바디(210)의 내부 저면(211)에는 상기 응축수가 유입되는 제2 드레인 홀(270)의 유입구가 형성되며, 측면(213)에는 상기 응축수가 배출되는 제2 드레인 홀(270)의 배출구가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1 드레인 홀(260)과 상기 제2 드레인 홀(270) 각각의 유입구는 저면(211)에 형성되지만 배출구가 다른 방향으로 형성되기 때문에, 상기 써미스터 고정장치(1)의 장착 위치 및 방향에 관계없이 지지부(200) 내부에 고이는 응축수는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한편, 홀더부(100)와 지지부(200) 사이에는 격벽(280)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격벽(280)은 지지부 바디(210)의 저면(211)에서 상기 삽입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그에 따라, 상기 격벽(280)은 지지부(200)에서 홀더부(100)로 응축수가 이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여기서, 격벽(280)의 홀더부(100)측 일면은 홀더부(100)의 내주면(112)의 일부를 형성할 수 있다.
삽입부(300)는 상기 증발기(20)의 방열핀(21) 사이에 삽입되어 상기 써미스터 고정장치(1)를 증발기(20)에 고정되게 한다.
삽입부(300)는 지지부 바디(210)의 하면(212)에서 상기 삽입 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삽입부(300)에는 걸림턱을 갖는 고정편(310)이 형성될 수 있다. 그에 따라, 방열핀(21)에 대한 삽입부(300)의 결합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써미스터(10)와 와이어(30)가 상기 써미스터 고정장치(1)에 결합된 써미스터 모듈(2)로 제공될 수 있다. 그에 따라, 증발기(20)에 상기 써미스터 모듈(2)만을 결합함으로써, 조립 공정을 단순화하여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종합해보면, 써미스터(10)를 증발기(20)에 고정시키는 상기 써미스터 고정장치(1)는 복수 개의 슬릿과 홀을 이용하여 내부에 고이는 응축수를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써미스터 고정장치(1)는 상기 슬릿과 홀 각각의 배출구를 다양한 방향에 형성함으로써, 상기 써미스터 고정장치(1)의 장착 위치 및 방향에 관계없이 상기 응축수를 배출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수정과 변경에 관계된 차이점들을 첨부된 청구 범위에서 규정하는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 써미스터 고정장치
2: 써미스터 모듈
10: 써미스터 20: 증발기
30: 와이어
100: 홀더부
110: 홀더 바디 120: 제1 슬릿
130: 제1 후크부 140: 돌출부
141: 홈
200: 지지부
210: 지지부 바디 220: 벽체
230: 제2 슬릿 240: 제2 후크부
260: 제1 드레인 홀 270: 제2 드레인 홀
300: 삽입부

Claims (18)

  1. 복수 개의 방열핀(21)을 포함하는 차량용 증발기(20)에 써미스터(10)를 고정하기 위한 써미스터 고정장치에 있어서,
    상기 써미스터(10)가 삽입되어 배치되는 홀더부(100);
    상기 써미스터(10)의 일측에 연결된 와이어(30)가 배치되는 지지부(200); 및
    상기 지지부(200)에서 돌출되게 형성되어 상기 방열핀(21) 사이에 삽입되는 삽입부(300)를 포함하며,
    상기 홀더부(100) 또는 지지부(200)에 형성된 슬릿은 상기 써미스터(10)로 유입되는 응축수를 외부로 유도하는 써미스터 고정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슬릿은 홀더부(100)에 형성된 제1 슬릿(120)과 지지부(200)에 형성된 제2 슬릿(230)을 포함하는 써미스터 고정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부(100)는 내부에 홀(111)이 형성된 홀더 바디(110) 및 상기 홀더 바디(110)에 형성된 상기 제1 슬릿(120)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슬릿(120)은 상기 써미스터(10)의 삽입방향으로 상기 홀더 바디(110)에 오목하게 형성되는 써미스터 고정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부(100)는 상기 홀더 바디(110)에서 상기 홀(111)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된 제1 후크부(130)를 포함하며,
    상기 제1 후크부(130)는 상기 써미스터(10)의 일측을 지지하는 써미스터 고정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후크부(130)는 두 개의 상기 제1 슬릿(120)의 사이에 배치되는 돌기(150)의 단부에 배치되는 써미스터 고정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부(100)는 상기 홀더 바디(110)에서 상기 홀(111)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된 돌출부(140)를 포함하며,
    상기 돌출부(140)는 상기 제1 후크부(130)와 상기 써미스터(10)의 삽입 방향으로 이격되게 배치되어 상기 써미스터(10)의 타측을 지지하는 써미스터 고정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일 영역이 써미스터(10)의 외주면과 소정의 갭(G)을 형성하도록 상기 돌출부(140)에는 오목하게 홈(141)이 형성된 써미스터 고정장치.
  8. 제2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200)는 지지부 바디(210) 및 서로 마주보게 상기 지지부 바디(210)에서 돌출되어 배치되는 한 쌍의 벽체(220)를 포함하며,
    상기 벽체(220)에는 상기 제2 슬릿(230)이 형성되는 써미스터 고정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200)는 상기 벽체(220)에서 돌출되게 형성된 제2 후크부(240)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2 후크부(240)는 상기 와이어(30)의 일측을 지지하는 써미스터 고정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후크부(240)는 두 개의 상기 제2 슬릿(230)의 사이에 배치되는 돌기(250)의 단부에 배치되는 써미스터 고정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써미스터(10)의 삽입 방향에서 바라볼 때, 상기 제2 후크부(240)와 상기 지지부 바디(210)의 저면(211)에 형성된 제1 드레인 홀(260)의 일측은 오버랩되게 배치되는 써미스터 고정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드레인 홀(260)의 폭(W5)은 상기 제2 후크부(240)의 폭(W6)보다 큰 써미스터 고정장치.
  13.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 바디(210)에는 내부 저면(211)과 하면(212)을 연결하는 제1 드레인 홀(260)이 형성된 써미스터 고정장치.
  14.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 바디(210)에는 내부 저면(211)과 측면(213)을 연결하는 제2 드레인 홀(270)이 형성된 써미스터 고정장치.
  15. 복수 개의 방열핀(21)을 포함하는 차량용 증발기(20)에 써미스터(10)를 고정하기 위한 써미스터 고정장치에 있어서,
    상기 써미스터(10)가 삽입되어 배치되는 홀더부(100);
    상기 써미스터(10)의 일측에 연결된 와이어(30)가 배치되는 지지부(200); 및
    상기 지지부(200)에서 돌출되게 형성되어 상기 방열핀(21) 사이에 삽입되는 삽입부(300)를 포함하며,
    상기 지지부(200)는 상기 와이어(30)의 배치를 안내하는 채널 및 상기 채널과 연통되게 형성된 홀을 포함하는 써미스터 고정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200)는 지지부 바디(210) 및 서로 마주보게 상기 지지부 바디(210)에서 돌출되어 배치되는 한 쌍의 벽체(220)를 포함하며,
    상기 벽체(220)에는 제2 슬릿(230)이 형성되는 써미스터 고정장치.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 바디(210)에는 내부 저면(211)과 하면(212)을 연결하는 제1 드레인 홀(260) 및 내부 저면(211)과 측면(213)을 연결하는 제2 드레인 홀(270)이 형성된 써미스터 고정장치.
  18. 제1항 또는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부(100), 상기 지지부(200) 및 상기 삽입부(300)는 사출 성형 방식에 의해 일체로 형성되는 써미스터 고정장치.
KR1020190011802A 2019-01-30 2019-01-30 써미스터 고정장치 KR1026232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1802A KR102623207B1 (ko) 2019-01-30 2019-01-30 써미스터 고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1802A KR102623207B1 (ko) 2019-01-30 2019-01-30 써미스터 고정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94389A true KR20200094389A (ko) 2020-08-07
KR102623207B1 KR102623207B1 (ko) 2024-01-11

Family

ID=720501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11802A KR102623207B1 (ko) 2019-01-30 2019-01-30 써미스터 고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2320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619353A (zh) * 2021-08-05 2021-11-09 安徽江淮松芝空调有限公司 一种插入式传感器的固定结构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12811Y2 (ja) * 1989-01-19 1996-10-02 ホシザキ電機株式会社 熱交換器における温度センサ取付装置
JP2005214739A (ja) * 2004-01-28 2005-08-11 Denso Corp センサ及び温度センサ
KR20170044222A (ko) * 2015-10-14 2017-04-25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차량용 공조장치의 써미스터 및 써미스터 장착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12811Y2 (ja) * 1989-01-19 1996-10-02 ホシザキ電機株式会社 熱交換器における温度センサ取付装置
JP2005214739A (ja) * 2004-01-28 2005-08-11 Denso Corp センサ及び温度センサ
KR20170044222A (ko) * 2015-10-14 2017-04-25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차량용 공조장치의 써미스터 및 써미스터 장착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619353A (zh) * 2021-08-05 2021-11-09 安徽江淮松芝空调有限公司 一种插入式传感器的固定结构
CN113619353B (zh) * 2021-08-05 2023-11-21 安徽江淮松芝空调有限公司 一种插入式传感器的固定结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23207B1 (ko) 2024-01-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026168B1 (en) Clothes drying device
JP4986064B2 (ja) 発熱体冷却装置
JP6088708B2 (ja) 接続モジュール、熱交換器、および対応する熱交換アセンブリ
EP3441683B1 (en) Indoor heat exchanger
EP2930453B1 (en) Heat exchanger assembly and use thereof
CN113588975A (zh) 试剂仓、制冷系统以及生化分析仪
KR102623207B1 (ko) 써미스터 고정장치
WO2013122450A1 (en) An air-conditioning apparatus
KR20140076992A (ko) 차량용 냉각 플레이트
CN212108751U (zh) 空调室外机
CN217876185U (zh) 空调室外机
CN217876186U (zh) 空调室外机
KR101607926B1 (ko) 차량용 증발기의 서미스터 고정구
CN218367330U (zh) 热管理集成模块、热管理系统和车辆
CN217685994U (zh) 空调室外机及空调器
US20220408600A1 (en) Heat exchange system used for heat dissipation of electronic control assembly and computer host
CN214406279U (zh) 空调器室外机外壳以及空调器室外机
CN216133081U (zh) 试剂仓、制冷系统以及生化分析仪
CN219473825U (zh) 空调器
WO2024057921A1 (ja) 冷媒ユニット
KR102130445B1 (ko) 냉장고용 열교환기 어셈블리
CN219037267U (zh) 冰箱
KR200371526Y1 (ko) 응축기마운팅브래킷
CN210016811U (zh) 空调器及其变频器散热装置
KR200314916Y1 (ko) 열교환 응축수 배출을 위한 파이프 조립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