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34581A - 고경도 고인성 내마모 강판 및 그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고경도 고인성 내마모 강판 및 그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34581A
KR20150034581A KR20137025667A KR20137025667A KR20150034581A KR 20150034581 A KR20150034581 A KR 20150034581A KR 20137025667 A KR20137025667 A KR 20137025667A KR 20137025667 A KR20137025667 A KR 20137025667A KR 20150034581 A KR20150034581 A KR 2015003458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el
wear
toughness
hardness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70256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18051B1 (ko
Inventor
홍빈 리
리안뎅 야오
유췐 미아오
Original Assignee
바오샨 아이론 앤 스틸 유한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바오샨 아이론 앤 스틸 유한공사 filed Critical 바오샨 아이론 앤 스틸 유한공사
Publication of KR201500345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3458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180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180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8/00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 C21D8/02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plates or strips
    • C21D8/0205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plates or strips of ferrous alloys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4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titanium or zirconium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6/00Heat treatment of ferrous alloys
    • C21D6/002Heat treatment of ferrous alloys containing Cr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6/00Heat treatment of ferrous alloys
    • C21D6/005Heat treatment of ferrous alloys containing Mn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6/00Heat treatment of ferrous alloys
    • C21D6/008Heat treatment of ferrous alloys containing Si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8/00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 C21D8/02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plates or strips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8/00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 C21D8/02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plates or strips
    • C21D8/0221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plates or strips characterised by the working steps
    • C21D8/0226Hot rolling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8/00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 C21D8/02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plates or strips
    • C21D8/0247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plates or strips characterised by the heat treatment
    • C21D8/0263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plates or strips characterised by the heat treatment following hot rolling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9/00Heat treatment, e.g. annealing, hardening, quenching or tempering,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Furnaces therefor
    • C21D9/46Heat treatment, e.g. annealing, hardening, quenching or tempering,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Furnaces therefor for sheet metals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001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N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002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In, Mg, or other elements not provided for in one single group C22C38/001 - C22C38/60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005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rare earths, i.e. Sc, Y, Lanthanides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02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silicon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04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manganese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06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aluminium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2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tungsten, tantalum, molybdenum, vanadium, or niobium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 C22C38/24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vanadium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 C22C38/26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obium or tantalum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 C22C38/2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titanium or zirconium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 C22C38/32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boron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2211/00Microstructure comprising significant phases
    • C21D2211/008Martensit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Heat Treatment Of Stee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내마모 강판을 제공하며, 화학 성분(중량%)로 C:0.36 내지 0.45%, Si:0.10 내지 0.30%, Mn:0.40 내지 1.00%, P≤0.015%, S≤0.010%, Nb:0.010 내지 0.040%, Al:0.010 내지 0.080%, B:0.0010 내지 0.0020%, Ti:0.005 내지 0.050%,Ca:0.0010 내지 0.0080%, V≤0.080%, Cr≤1.00%, RE≤0.10%, N≤0.0080%,O≤0.0060%, H≤0.0004%이며, 0.025%≤Nb+Ti≤0.080%, 0.030%≤Al+Ti≤0.12%를 만족시키며, 잔부가 Fe 및 불가피한 불순물이다. 상기 내마모 강판의 제조방법은 제련, 주조, 압연, 압연 후의 직접냉각 등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성분과 공정을 통해 얻은 내마모 강판은 경도가 높고, 내마모성이 우수하며, 파쇄기 방해판 등 공정기계 중에서 쉽게 마모가 되는 설비에 적용할 수 있다.

Description

고경도 고인성 내마모 강판 및 그의 제조방법{HIGH-HARDNESS, HIGH-TOUGHNESS, WEAR-RESISTANT STEEL PLAT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내마모강에 관한 것이며, 특히는 고경도 고인성 내마모 강판 및 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내마모 강판은 작업조건이 특별히 악렬하고, 고강도 및 고 내마모성을 요구하는 공정, 광물채굴, 농업, 시멘트생산, 항구, 전력 및 야금 등 분야의 불도저, 로더, 굴착기, 덤프 트럭 및 그랩, 스태커 리클레이머, 원료수송용 굽힙구조 등 기계제품에 광범위하게 이용된다.
최근 몇십년 동안, 내마모강의 개발과 응용 발전이 매우 빨랐으며, 일반적으로 탄소함량을 증가시키는 동시에 적당한 양의 크롬, 몰리브덴, 니켈, 바나듐, 텅스텐, 코발트, 붕소 및 티타늄 등 미량원소를 첨가하여 석출 강화, 미세결정 강화, 상변화 강화 및 위치전이 강화 등 부동한 강화방법으로 내마모강의 역학적 특성을 제고시킨다. 대다수의 내마모강은 중 탄소, 중고 탄소 및 고 탄소강이며, 탄소함량의 증가는 강의 인성을 저하시키며, 또한 너무 많은 양의 탄소는 강의 용접성에 심한 악영향을 미친다. 또한, 합금의 함량을 증가시키게 되면 원가가 올라가고 용접성이 저하되어 이러한 단점은 내마모강의 진일보 발전을 제한하고 있다.
재료의 내마모성은 주로 경도에 의해 결정되나, 인성 또한 재료의 내마모성에 아주 중요한 영향을 미치고 있다. 재료의 경도를 제고시키는 것만으로는 복잡한 작업 상황하에서의 재료의 비교적 우수한 내마모성과 비교적 긴 수명을 보장할 수 없다. 조성분과 열처리 공정을 조절하여 저합금 내마모강의 경도와 인성의 합리적인 평형을 컨트롤할 수 있으며, 우수한 종합성적인 기계적 특성을 얻을 수 있어 부동한 마모 손실의 공정 수요를 만족시킬 수 있게 한다.
CN1140205A에는 중탄소 중합금 내마모강이 공개되었으며, 탄소 및 합금원소(Cr,Mo 등)의 함량이 본 발명에 비해 훨씬 높으며, 이는 필연적으로 용접 특성 및 기계 가공성의 저하를 초래한다.
CN1865481A에는 베이나이트강(Bainite steel)이 공개되었으며, 본 발명에 비해, 탄소 및 합금원소(Si, Mn, Cr, Mo 등)의 함량이 모두 비교적 높으며 용접특성, 역학적 특성이 비교적 낮다.
본 발명의 목적은 고경도 고인성 내마모 강판을 제공하는데 있으며, 미량 합금원소를 첨가하는 것을 통해 고경도 및 고인성의 평형을 실현하며, 양호한 기계적 가공성을 가지고 있어, 산업화의 광범위한 이용에 매우 유리하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고경도 고인성 내마모 강판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고경도 고인성 내마모 강판을 제공하는데 있으며, 미량 합금원소를 첨가하는 것을 통해 고경도 및 고인성의 평형을 실현하며, 양호한 기계적 가공성을 가지고 있어, 산업화의 광범위한 이용에 매우 유리하다.
상기 목적을 실현하기 위해, 본 발명의 고경도 고인성 내마모강의 화학성분은 중량 백분비의 함량은 C:0.36 내지 0.45%, Si:0.10 내지 0.30%, Mn:0.40 내지 1.00%, P≤0.015%, S≤0.010%, Nb:0.010 내지 0.040%, Al:0.010 내지 0.080%, B:0.0010 내지 0.0020%, Ti:0.005 내지 0.050%,Ca:0.0010 내지 0.0080%, V≤0.080%, Cr≤1.00%, RE≤0.10%, N≤0.0080%,O≤0.0060%, H≤0.0004%이며, 0.025%≤Nb+Ti≤0.080%,0.030%≤Al+Ti≤0.12%를 만족시키며, 잔부는 Fe 및 불가피한 불순물이다.
본 발명의 내마모강의 미세 조직은 주로 마르텐사이트 및 잔류 오스테나이트이며, 그중 잔류 오스테나이트의 체적분율은 5%이하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고경도 고인성 내마모 강판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방법에는 제련, 주조, 가열, 압연,냉각 등 단계를 순차적으로 포함한다. 상기 가열단계에서, 가열온도는 1000 내지 1250℃이며;압연 단계에서, 초기 압연온도는 950 내지 1200℃이며, 최종 압연온도는 800 내지 950℃이며, 압연 후 직접 냉각 단계에서, 물 냉각을 실시하며, 냉각정지 온도는 실온 내지 300℃이다.
본 발명에서는 탄소와 합금원소의 함량을 과학적으로 설계하여, 미량 합금원소의 정제 강화작용 및 압연, 냉각 과정에서의 정제 강화효과를 컨트롤 하여 강판이 우수한 역학적 특성(강도, 경도, 연신율, 충격특성 등) 및 내마모성을 갖게 한다.
본 발명에서는 화학성분(C, Si, Mn, Nb 등 원소의 함량 및 배합비율)을 합리하게 설계하여, 탄소와 미량합금 함량을 엄격히 컨트롤 하였다. Mo 및 Ni 등 원소를 포함하지 않고 있어 내마모강의 생산원가를 대폭 절감시켰다.
본 발명의 내마모 강판은 아주 높은 경도와 비교적 우수한 충격인성 등을 가지고 있으며, 절단, 굽힘 등 기계적 가공이 쉬우며, 아주 강한 적용성을 가지고 있다.
본 발명에서 생산하는 고경도 고인성의 내마모강판에 있어서, 브리넬 경도는 570 내지 630HBW이며, -40℃하에서 샤르피 V-노치 세로의 충격 에너지는 40내지 60J이며, 바람직하게, 브리넬 경도는 600 내지 630HBW이다. 우수한 역학적 특성을 가지고 있으며, 아주 강한 적용성을 가지고 있다.
본 발명과 기존 기술의 강의 차이점은 주로 하기 몇가지 방면에 있다.
화학적 성분으로부터 보면, 본 발명의 내마모강의 화학적 성분은 C, Si, Mn 등 원소 외에, 소량의 Nb 등 원소를 첨가하였으며, 성분이 간단하고 원가가 저렴한 등 특징을 가지고 있다.
생산 공정으로부터 보면, 본 발명의 내마모 강판은 TMCP 공정을 통해 생산하며 오프라인 담금질(off-line quenching) 및 템퍼링(tempering) 등 열처리 공정이 필요하지 않으며, 생산 공정이 짧고 생산효율이 높고 에너지를 절약하며 생산원가를 절감하는 등 특징을 갖고 있다.
제품의 특성으로부터 보면, 본 발명의 내마모 강판은 고경도, 높은 저온 인성을 가지고 있다.
미세 조직으로부터 보면, 본 발명의 내마모 강의 미세 조직은 주로 미세한 마르텐사이트 및 잔류 오스테나이트이며, 그중 잔류 오스테나이트의 체적분율은 ≤5%이며, 내마모 강판의 고강도 및 인성의 양호한 평형에 유리하다.
본 발명의 내마모 강판은 비교적 현저한 우세를 가지고 있다. 탄소와 합금원소의 함량을 컨트롤 하여 원가가 낮고 용접 및 역학적 특성이 우수하며 공정이 간단한 내마모강을 개발연구하는 것은 사회 경제와 강철산업 발전의 필연적인 추세이다.
도 1은 실시예 5의 강판의 미세조직이 미세한 마르텐사이트 및 소량의 잔류 오스테나이트임을 나타내며, 이는 강판이 비교적 우수한 역학적 특성을 가지고 있음을 나타낸다.
아래, 본 발명의 고경도 고인성 내마모 강판의 화학적 성분과 작용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중에서, 다른 설명이 없는 경우, 함량은 중량백분비이다.
본 발명의 강은 원소 종류와 함량을 과학적으로 설계하여, 미량 합금원소를 첨가한 기초 상에 초고강도, 초고경도 및 고인성의 평형을 실현하였으며, 비교적 우수한 용접특성을 가지고 있다.
탄소는 내마모 강 중의 제일 기본적이고 중요한 원소로써 강의 강도와 경도를 제고시킬 수 있으며, 진일보 강의 내마모성을 제고시킬 수 있다. 그러나 강의 인성과 용접성에는 불리하다. 그리하여, 강중의 탄소함량을 0.36 내지 0.45%로 합리하게 컨트롤하며, 바람직하게는 0.37 내지 0.44%이다.
규소는 페라이트(ferrite), 오스테나이트(austenite)에 고용(固溶)되어 고용체를 형성하여 이들의 경도와 강도를 높여주나 규소 함량이 너무 높으면 강의 인성이 급격히 저하된다. 동시에 규소와 산소의 친화력이 철보다 강한 것을 고려할 경우, 용접 시 저용점의 규산염이 쉽게 생성되며 슬래그 및 용화금속의 유동성이 증가되어 용접부분의 품질에 영향을 주므로 본 발명에서는 규소를 0.10 내지 0.30%로 엄격히 컨트롤 하며, 바람직하게는 0.10 내지 0.28%로 컨트롤 한다.
망간은 강의 경화능을 현저히 제고시키며 내마모강의 천이온도와 강의 임계 냉각 속도를 저하시킨다. 그러나 망간의 함량이 너무 높은 경우, 결정 입자가 커지는 경향이 있으며, 강의 템퍼링 취성 감도를 증가시키고, 주조 빌릿에 편석과 균열이 쉽게 일어나게 하며, 강판의 특성을 저하시킨다. 본 발명에서 망간의 함량은 0.40 내지 1.00%로 컨트롤 하며, 바람직하게는 Mn:0.40 내지 0.90%이다.
니오브(Nb)는 결정입자를 미세화 하거나 석출을 강화하는 작용을 가지고 있으며, 재료의 강한 인성에 대한 공헌이 극히 현저하며, 강렬한 C, N화물의 형성원소이며, 오스테나이트 결정입자의 생장을 강렬하게 억제한다. Nb는 결정 입자의 미세화와 동시에 강의 강도와 인성을 제고시키며, Nb는 주로 석출 강화 및 상변화 강화를 통해 강의 특성을 개선 및 제고시킨다. Nb는 HSLA 강 중의 가장 유효한 강화제의 하나로 인정 되었으며, 본 발명에서 니오브를 0.010 내지 0.040%로 컨트롤 하며, 바람직하게는 0.010 내지 0.035%로 컨트롤 한다.
알루미늄은 강 중의 질소와 함께 미세하고 용해가 어려운 AlN입자를 형성할 수 있으며, 강의 결정입자를 미세화한다. 알루미늄은 강의 결정입자를 미세화 시키고 강 중의 질소와 산소를 고정시키며 강의 노치 감도를 저하시키며 강의 노화현상을 감소시키거나 없애며 강의 인성을 제고시킨다. 본 발명에서 Al의 함량을 0.010 내지 0.080%으로 컨트롤 하며, 바람직하게는 0.020 내지 0.060%로 컨트롤 한다.
붕소는 강의 경화능을 제고시키나 함량이 너무 높은 경우 고온 취성을 일으키며 강의 열 가공성에 영향을 주므로 본 발명에서 붕소 함량을 0.0010 내지 0.0020%으로 컨트롤 하며, 바람직하게는 0.0010 내지 0.0018%로 컨트롤 한다.
티타늄은 강한 탄화물의 형성원소 중의 하나이며, 탄소와 함께 미세한 TiC입자를 형성한다. TiC입자는 미세하며 결정립계에 분포되며 결정입자를 미세화 시키는 효과에 도달하며, 경도가 비교적 높은 TiC입자는 강의 내마모성을 제고시킨다. 본 발명에서 티타늄을 0.005 내지 0.050%로 컨트롤 하며, 바람직하게는 0.010 내지 0.045%로 컨트롤 한다.
니오브와 티타늄을 같이 첨가하면 더 우수한 결정 입자 미세화 효과를 얻을 수 있으며, 원 오스테나이트 결정입자의 크기를 감소시키고, 담금질 후의 마르텐사이트바의 미세화에 유리하며 강도와 내마모성을 제고시키며, TiN 등이 고온하에서 미 용해성으로 인해 열 영향구역의 결정입자가 굵어지는 것을 방지하며 열 영향 구역의 인성을 제고시켜 강의 용접성을 개선한다. 그리하여 니오브와 티타늄의 함량 범위는 0.025%≤Nb+Ti≤0.080%이며, 바람직하게는 0.035%≤Nb+Ti≤0.070%이다.
티타늄은 미세한 입자를 형성시켜 결정입자의 미세화를 실현하며, 알루미늄은 미세한 티타늄 입자의 형성을 확보하여 티타늄의 결정입자의 미세화 작용을 충분히 발휘시킨다. 그리하여 알루미늄과 티타늄의 함량 범위는 0.030%≤Al+Ti≤0.12%이며, 바람직하게는 0.040%≤Al+Ti≤0.11%이다.
칼슘은 주강 내의 혼합물의 변질에 현저한 작용을 하며, 주강 내에 적당한 양의 칼슘을 첨가하면 주강 내의 긴 스트립 모양의 황화물 혼합이 구상의 CaS 또는 (Ca,Mn)S의 혼합으로 변화되며, 칼슘으로 형성된 산화물 및 황화물의 혼합 밀도가 작고 쉽게 부상 제거된다. 칼슘은 결정립계에서의 유황의 클러스터링(clustering)을 현저히 감소시키며, 이는 모두 주강의 품질을 제고시키는데 유리하며, 강의 성능을 진일보 제고시킨다. 혼합물이 많은 경우, 칼슘을 첨가하면 효과가 현저하고, 강의 역학적 성능, 특히는 인성을 확보하는데 유리하다. 본 발명에서는 칼슘의 함량을 0.0010 내지 0.0080%로 컨트롤 하며, 바람직하게는 0.0010 내지 0.0060%로 컨트롤 한다.
바나듐의 첨가는 주로 결정입자의 미세화를 위한 것이며, 빌릿의 가열단계에서 오스테나이트 결정입자가 과도하게 성장하지 않게 하며, 그리하여, 이어진 여러차례 압연과정에서 강의 결정입자를 진일보 미세화시켜 강의 강도와 인성을 제고시킨다. 본 발명에서는 바나듐을 0.080%이하로 컨트롤 하며, 바람직하게는 0.035 내지 0.080%로 컨트롤 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0.060%이하로 컨트롤 한다.
크롬은 임계 냉각 속도를 저하시키며, 강의 경화능을 제고시킨다. 크롬은 강 중에서 (Fe,Cr)3C, (Fe,Cr)7C3 및 (Fe,Cr)23C7 등 여러가지 탄화물을 형성하여 강도와 경도를 제고시킨다. 크롬은 템퍼링 시 탄화물의 석출과 응집을 방지하거나 감소시켜 강의 템퍼링 안정성을 제고시킨다. 본 발명에서 크롬의 함량을 ≤1.0%로 컨트롤 하며, 바람직하게는 0.35 내지 0.10%로 컨트롤 하며, 더 바람직하게는 ≤0.80%로 컨트롤 한다.
강 중에 첨가된 희토류는 인, 유황 등 원소의 편석을 감소시키고 비금속 혼합물의 형태, 크기 및 분포를 개선시키는 동시에 결정 입자를 미세화시키고 경도를 높일 수 있다. 또한, 희토류는 항복비를 제고시키며, 저합금 고강도 강의 강한 인성의 개선에 유리하다. 희토류의 함량은 너무 높을 경우, 심한 편석이 일어나며 빌릿의 품질과 역학적 특성을 저하시킨다. 본 발명에서 희토류의 함량을 0.1 %이하로 컨트롤하며, 바람직하게는 0.05 내지 0.10%로 컨트롤하며, 더 바람직하게는 0.08%이하로 컨트롤 한다.
내마모강 중에, 유황과 인은 모두 유해한 원소이므로 이들의 함량을 엄격하게 컨트롤 해야 한다. 본 발명의 강 중에서 인의 함량은 0.015%보다 적으며, 바람직하게는 0.010%이하이며, 유황의 함량은 0.010%보다 적으며, 바람직하게는 0.005%이하이다.
강 중에 과도한 산소와 질소는 강의 특성, 특히는 용접성과 인성에 아주 불리하나 과도한 컨트롤은 생산원가를 대폭 증가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강 중에 질소 함량을 0.0080%이하로, 바람직하게는 0.0050%이하로 컨트롤하며, 산소 함량을 0.0060%이하로, 바람직하게는 0.0040%이하로 컨트롤하며, 수소 함량을 0.0004%이하로, 바람직하게는 0.0003%이하로 컨트롤한다.
본 발명의 상기 고경도 고인성 내마모 강판의 제조방법은 차례로 제련, 주조, 가열, 압연 및 압연 후의 직접냉각 등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가열단계에서, 가열온도는 1000 내지 1250℃이며;압연 단계에서, 초기 압연온도는 950 내지 1200℃이며, 최종 압연온도는 800 내지 950℃이며, 냉각 단계에서, 물 냉각을 이용하며, 냉각정지 온도는 실온 내지 300℃이다.
바람직하게, 상기 가열 단계에서, 가열온도는 1000 내지 1200℃이며, 더 바람직한 가열온도는 1050 내지 1200℃이며, 탄소와 합금원소의 충분한 확산을 확보하고 오스테나이트 결정 입자가 과도하게 성장하는 것과 빌릿의 표면이 엄중하게 산화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가장 바람직한 가열온도는 1050 내지 1150℃이다.
바람직하게, 초기 압연온도는 950 내지 1150℃이며, 최종 압연 온도는 800 내지 900℃이며, 더 바람직하게, 초기 압연 온도는 950 내지 1120℃이며, 최종 압연 온도는 810 내지 900℃이며, 가장 바람직하게 초기 압연 온도는 980 내지 1100℃이며, 최종 압연 온도는 810 내지 890℃이다.
바람직하게, 냉각 정지 온도는 실온에서 280℃이며, 더 바람직하게, 냉각 정지 온도는 실온에서 250℃이며, 가장 바람직하게, 냉각 정지온도는 실온에서 200℃이다
실시예
본 발명의 실시예 1 내지 6 및 비교예 1(중국 특허 CN1140205A)의 강판의 화학원소 질량 백분비는 표1에 표시한 바와 같다.
원료의 제련은 하기 단계를 포함한다. 제련→주조→가열→압연→압연후의 직접냉각을 통해 제조한다.
실시예 1 내지 6 및 비교예 1에서 구체적인 프로세스 변수는 표2를 참고로 한다.
Figure pct00001
Figure pct00002

시험예1:역학적 특성 테스트
GB/T2975의 샘플 채취법으로 샘플을 채취하고, GB/T231.1시험방법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 1 내지 6의 고경도 고인성 내마모 강판의 경도를 측정하였으며, GB/T229 시험방법으로 충격 시험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는 표3을 참고로 한다.
Figure pct00003
표3으로부터, 본 발명의 실시예1 내지 6의 경도는 570 내지 630HBW이며, -40℃하에서 샤르피 V-노치 세로의 충격 에너지는 40 내지 60J로써 본 발명의 강판은 우수한 역학적 특성을 가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의 강판의 경도는 비교예1의 강판의 경도에 비해 높으며, 충격 인성도 비교적 우수하다.
도 1은 실시예 5의 강판의 미세조직이며, 미세한 마르텐사이트 및 소량의 잔류 오스테나이트임을 나타내며, 이는 강판이 비교적 우수한 역학적 특성을 가지고 있음을 나타낸다.
기타 실시예에서도 유사한 미세 조직을 얻을 수 있다.
시험예2: 내마모성 시험
내마모성 시험은 ML-100마찰 마모 테스트기에서 진행하였다. 시료를 취할 경우, 시료의 축선이 강판의 표면에 수직되게 하여, 시료의 마모면이 강판의 압연면이 되게 하였다. 시료를 요구에 따라 계단모양의 원주체로 가공하며, 측정부분의 크기는 Φ4mm이며, 픽스쳐의 홀딩부분의 사이즈는 Φ5mm이다. 시험 전에 알코올로 시료를 세척한 후, 선풍기로 건조시켜, 만분의 일 정밀도의 천칭으로 무게를 측정하여, 측정된 시료의 중량을 초기 중량으로 정한 후, 탄성의 픽스쳐에 설치하였다. 입도가 80메쉬인 샌드 페이퍼를 사용하여 42N 부하 작용하에 시험을 진행하였다. 시험 후 시료와 샌드 페이퍼 사이의 마모로 인해 시료는 샌드 페이퍼에 한가닥의 나선을 그으며, 나선의 시작점과 종점의 반경에 근거하여 나선의 길이를 계산하며 계산공식은 하기와 같다.
Figure pct00004
r1은 나선 시작점의 반경이며, r2는 나선 종점의 반경이며, a는 나선의 공급량이다. 매번 시험에서 무게를 세번을 측정하여 평균치를 구하고 무게 감소를 계산하며, 미터 당 무게 감소로 시료의 마모율(mg/M)을 표시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 1 내지 6의 고경도 고인성 내마모 강판에 대해 내마모성 시험을 실시하였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강 종류와 비교예2의 강(비교예2의 강판 경도는 550HBW이다)의 마모 시험결과는 표4에 표시된 바와 같다.
Figure pct00005
표4로부터, 마모 조건하에서, 본 발명의 고경도 고인성 내마모 강판의 내마모 특성이 비교예2의 강판의 마모성에 비해 우수함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화학적 성분(C, Si, Mn, Nb 등 원소의 함량 및 배합비율)에 대한 합리적인 설계를 통해, 탄소와 미량 합금 함량을 엄격히 컨트롤 하였다. Mo 및 Ni 등 원소를 포함하지 않아 내마모강 생산 원가를 대폭 절감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내마모 강판은 아주 높은 경도 및 비교적 우수한 충격인성 등을 가지고 있으며, 절단, 굽힘 등 기계적 가공을 쉽게 진행할 수 있으며, 아주 강한 적용성을 가지고 있다. 본 발명에서 생산한 고경도 고인성 내마모 강판의 경도는 570 내지 630HBW이며, -40℃하에서 샤르피 V-노치 세로의 충격 에너지는 40 내지 60J이며 우수한 역학적 특성을 가지고 있으며, 아주 강한 적용성을 가지고 있다.

Claims (25)

  1. 중량백분비로 조성이 C:0.36 내지 0.45%, Si:0.10 내지 0.30%, Mn:0.40 내지 1.00%,P≤0.015%, S≤0.010%, Nb:0.010 내지 0.040%, Al:0.010 내지 0.080%, B:0.0010 내지 0.0020%,Ti:0.005 내지 0.050%,Ca:0.0010 내지 0.0080%, V≤0.080%, Cr≤1.00%, RE≤0.10%, N≤0.0080%,O≤0.0060%, H≤0.0004%이며, 0.025%≤Nb+Ti≤0.080%, 0.030%≤Al+Ti≤0.12%를 만족시키며, 잔부가 Fe 및 불가피한 불순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마모 강판.
  2. 청구항 1에 있어서,
    C:0.37 내지 0.44%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마모 강판.
  3. 청구항 1 또는 2에 있어서,
    Si:0.10 내지 0.28%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마모 강판.
  4. 청구항 1 내지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Mn:0.40 내지 0.9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마모 강판.
  5. 청구항 1 내지 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P≤0.01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마모 강판.
  6. 청구항 1 내지 5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S≤0.00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마모 강판.
  7. 청구항 1 내지 6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Nb:0.010 내지 0.03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마모 강판.
  8. 청구항 1 내지 7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Al:0.020 내지 0.06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마모 강판.
  9. 청구항 1 내지 8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B:0.0010 내지 0.0018%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마모 강판.
  10. 청구항 1 내지 9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Ti:0.010 내지 0.04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마모 강판.
  11. 청구항 1 내지 10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Ca:0.001 내지 0.006%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마모 강판.
  12. 청구항 1 내지 11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V≤0.06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마모 강판.
  13. 청구항 1 내지 12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Cr≤0.8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마모 강판.
  14. 청구항 1 내지 1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RE≤0.08%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마모 강판.
  15. 청구항 1 내지 1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N≤0.005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마모 강판.
  16. 청구항 1 내지 15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O≤0.004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마모 강판.
  17. 청구항 1 내지 16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H≤0.0003%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마모 강판.
  18. 청구항 1 내지 17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0.035%≤Nb+Ti≤0.070%,0.040%≤Al+Ti≤0.11%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마모 강판.
  19. 청구항 1 내지 18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브리넬 경도가 570 내지 630HBW이며, -40℃하에서 샤르피 V-노치 세로의 충격 에너지가 40내지 60J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마모 강판.
  20. 청구항 19에 있어서,
    브리넬 경도가 600 내지 630HBW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마모 강판.
  21. 차례로 제련, 주조, 가열, 압연, 압연후의 직접냉각 단계를 포함하며,
    가열단계에서, 가열온도는 1000 내지 1250℃이며, 보온 시간은 1 내지 2시간이며;압연 단계에서, 초기 압연온도는 950 내지 1200℃이며, 최종 압연온도는 800 내지 950℃이며;압연 후 직접 냉각 단계에서, 물 냉각을 실시하며, 냉각정지 온도는 실온 내지 30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1 내지 20 중 어느 한 항의 내마모 강판의 제조방법.
  22. 청구항 21에 있어서,
    상기 가열단계에서, 슬래브의 가열온도는 1000 내지 120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마모 강판의 제조방법.
  23. 청구항 21 또는 22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초기 압연 온도는 950 내지 1150℃이며, 최종 압연 온도는 800 내지 90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마모 강판의 제조방법.
  24. 청구항 21 내지 2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 정지 온도는 실온 내지 28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마모 강판의 제조방법.
  25. 청구항 21 내지 2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보온 시간이 2시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마모 강판의 제조방법.
KR1020137025667A 2012-07-31 2013-01-31 고경도 고인성 내마모 강판 및 그의 제조방법 KR10221805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210270193.3A CN102747282B (zh) 2012-07-31 2012-07-31 一种高硬度高韧性耐磨钢板及其制造方法
CN201210270193.3 2012-07-31
PCT/CN2013/071188 WO2014019354A1 (zh) 2012-07-31 2013-01-31 一种高硬度高韧性耐磨钢板及其制造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34581A true KR20150034581A (ko) 2015-04-03
KR102218051B1 KR102218051B1 (ko) 2021-02-22

Family

ID=470277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25667A KR102218051B1 (ko) 2012-07-31 2013-01-31 고경도 고인성 내마모 강판 및 그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9994926B2 (ko)
EP (1) EP2881485B1 (ko)
JP (1) JP5806405B2 (ko)
KR (1) KR102218051B1 (ko)
CN (1) CN102747282B (ko)
AU (1) AU2013222054B2 (ko)
ES (1) ES2620904T3 (ko)
NZ (1) NZ614822A (ko)
WO (1) WO2014019354A1 (ko)
ZA (1) ZA201500616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747282B (zh) * 2012-07-31 2015-04-22 宝山钢铁股份有限公司 一种高硬度高韧性耐磨钢板及其制造方法
JP6007847B2 (ja) * 2013-03-28 2016-10-12 Jfeスチール株式会社 低温靭性を有する耐磨耗厚鋼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CN103205634B (zh) * 2013-03-28 2016-06-01 宝山钢铁股份有限公司 一种低合金高硬度耐磨钢板及其制造方法
CN104651731B (zh) * 2015-02-12 2016-07-06 北京工业大学 一种大型球磨机衬板及其制备方法
CN104711480B (zh) * 2015-03-20 2017-01-18 苏州劲元油压机械有限公司 一种货架平台专用耐磨抗腐蚀钢板及其制备方法
JP6597450B2 (ja) * 2016-03-29 2019-10-30 日本製鉄株式会社 耐摩耗鋼板及びその製造方法
US11035017B2 (en) 2016-04-19 2021-06-15 Jfe Steel Corporation Abrasion-resistant steel plate and method of producing abrasion-resistant steel plate
CN106521361A (zh) * 2016-10-26 2017-03-22 舞阳钢铁有限责任公司 一种高性能耐磨钢板及其生产方法
CN106555109A (zh) * 2016-10-31 2017-04-05 舞阳钢铁有限责任公司 兼具低温冲击性能nm550钢板及其生产方法
JP6607210B2 (ja) * 2017-02-03 2019-11-20 Jfeスチール株式会社 耐摩耗鋼板および耐摩耗鋼板の製造方法
KR102119959B1 (ko) * 2018-09-27 2020-06-05 주식회사 포스코 우수한 경도와 충격인성을 갖는 내마모강 및 그 제조방법
CN109706396B (zh) * 2019-01-04 2021-05-28 武汉钢铁有限公司 一种含氮低屈强比高铁用耐候钢及生产方法
CN111910125B (zh) * 2020-08-03 2021-05-28 鞍钢股份有限公司 一种棒磨机用非热处理耐磨钢棒及其制造方法
CN115852262A (zh) * 2021-09-23 2023-03-28 宝山钢铁股份有限公司 一种锯片钢及其制造方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431928A (en) * 1987-07-27 1989-02-02 Kawasaki Steel Co Manufacture of wear-resistant steel stock by direct hardening
JPH09118950A (ja) * 1995-10-24 1997-05-06 Nippon Steel Corp 厚手高硬度高靱性耐摩耗鋼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07302974A (ja) * 2006-05-15 2007-11-22 Jfe Steel Kk 耐遅れ破壊特性に優れた高強度厚鋼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20080038236A (ko) * 2005-09-06 2008-05-02 수미도모 메탈 인더스트리즈, 리미티드 저합금강
JP2012031510A (ja) * 2010-06-30 2012-02-16 Jfe Steel Corp 溶接部靭性および耐遅れ破壊特性に優れた耐磨耗鋼板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76615A (ja) * 1984-09-25 1986-04-19 Nippon Kokan Kk <Nkk> 耐摩耗鋼の製造方法
JPH04116137A (ja) * 1990-09-03 1992-04-16 Sumitomo Metal Ind Ltd 高靭性高炭素冷延鋼板とその製造方法
JPH0849040A (ja) * 1994-08-05 1996-02-20 Nippon Steel Corp 表面に凸凹をつけた高力ボルト摩擦接合用鋼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CN1140205A (zh) 1995-03-28 1997-01-15 王宇辉 一种中碳中合金耐磨钢
JPH09249935A (ja) * 1996-03-13 1997-09-22 Sumitomo Metal Ind Ltd 耐硫化物応力割れ性に優れる高強度鋼材とその製造方法
JP3543619B2 (ja) * 1997-06-26 2004-07-14 住友金属工業株式会社 高靱性耐摩耗鋼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00256784A (ja) * 1999-03-10 2000-09-19 Nippon Steel Corp 高靱性耐摩耗部材用厚鋼板
CN1865481A (zh) 2005-05-19 2006-11-22 宝钢集团上海梅山有限公司 一种贝氏体耐磨钢板制备工艺
CN101775545B (zh) * 2009-01-14 2011-10-12 宝山钢铁股份有限公司 一种低合金高强度高韧性耐磨钢板及其制造方法
CN102666897B (zh) * 2009-11-17 2015-04-15 新日铁住金株式会社 加工性优异的高韧性耐磨钢
CN102134682B (zh) * 2010-01-22 2013-01-02 宝山钢铁股份有限公司 一种耐磨钢板
CN102605253B (zh) * 2012-04-18 2013-12-25 江苏省沙钢钢铁研究院有限公司 低成本高强度高韧性钢板及其生产工艺
CN102747282B (zh) * 2012-07-31 2015-04-22 宝山钢铁股份有限公司 一种高硬度高韧性耐磨钢板及其制造方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431928A (en) * 1987-07-27 1989-02-02 Kawasaki Steel Co Manufacture of wear-resistant steel stock by direct hardening
JPH09118950A (ja) * 1995-10-24 1997-05-06 Nippon Steel Corp 厚手高硬度高靱性耐摩耗鋼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20080038236A (ko) * 2005-09-06 2008-05-02 수미도모 메탈 인더스트리즈, 리미티드 저합금강
JP2007302974A (ja) * 2006-05-15 2007-11-22 Jfe Steel Kk 耐遅れ破壊特性に優れた高強度厚鋼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12031510A (ja) * 2010-06-30 2012-02-16 Jfe Steel Corp 溶接部靭性および耐遅れ破壊特性に優れた耐磨耗鋼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2747282B (zh) 2015-04-22
US20150329945A1 (en) 2015-11-19
EP2881485A1 (en) 2015-06-10
US9994926B2 (en) 2018-06-12
AU2013222054A1 (en) 2014-02-20
CN102747282A (zh) 2012-10-24
ZA201500616B (en) 2016-01-27
EP2881485A4 (en) 2015-12-02
KR102218051B1 (ko) 2021-02-22
AU2013222054B2 (en) 2018-02-01
EP2881485B1 (en) 2017-03-15
ES2620904T3 (es) 2017-06-30
JP5806405B2 (ja) 2015-11-10
WO2014019354A1 (zh) 2014-02-06
NZ614822A (en) 2016-07-29
JP2014529355A (ja) 2014-11-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18051B1 (ko) 고경도 고인성 내마모 강판 및 그의 제조방법
KR102128026B1 (ko) 초고강도 고인성 내마모성 강판 및 그의 제조 방법
KR102218050B1 (ko) 고강도 고인성 내마모 강판 및 그의 제조방법
JP6211099B2 (ja) 高性能の低合金耐摩耗鋼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6214674B2 (ja) 高硬度低合金耐摩耗鋼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6251291B2 (ja) 高靱性の低合金耐摩耗鋼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17095802A (ja) 優れた靭性及び熱伝導率を有する熱間工具鋼
KR960006038B1 (ko) 내마모성이 우수한 크롬탄화물형 합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