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33981A - 헬리데크의 계단 난간 - Google Patents

헬리데크의 계단 난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33981A
KR20150033981A KR20130113971A KR20130113971A KR20150033981A KR 20150033981 A KR20150033981 A KR 20150033981A KR 20130113971 A KR20130113971 A KR 20130113971A KR 20130113971 A KR20130113971 A KR 20130113971A KR 20150033981 A KR20150033981 A KR 2015003398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r
balancer
balustrade
helideck
exten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1139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63975B1 (ko
Inventor
성환삼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주식회사 엔케이
신양금속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주식회사 엔케이, 신양금속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1139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63975B1/ko
Publication of KR201500339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3398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639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6397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35/50Vessels or floating structures for aircraf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7/00Vessels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17/04Stanchions; Guard-rails ; Bulwarks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7/00Arrangement of ship-bas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cargo or passengers
    • B63B27/14Arrangement of ship-bas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cargo or passengers of ramps, gangways or outboard ladders ; Pilot lift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3/00Landing stages for helicopters, e.g. located above build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Escalators And Moving Walkways (AREA)

Abstract

헬리데크 상에서 돌출되는 길이의 조절이 가능한 헬리데크의 계단 난간이 소개된다.
이 계단 난간은 헬리데크로 진입하는 계단을 따라 설치된 지지대에 고정되는 난간대 및 길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난간대의 상단부에서 입출 가능하게 설치되는 연장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헬리데크의 계단 난간{HAND RAIL OF HELI-DECK STAIRS}
본 발명은 헬리데크의 계단 난간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헬리콥터의 이착륙시 헬리데크에서 돌출되는 계단 난간의 단부와 헬리콥터 간의 간섭을 방지할 수 있는 헬리데크의 계단 난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드릴쉽(Drill ship)이나 FPSO(Floating, Production, Storage and Offloading) 등과 같은 해양 구조물(Offshore plant) 또는 해상에서 오랜 시간을 체류해야 하는 선박들은 인원 이동을 위해서 헬리콥터(Helicopter)를 운용해야 하고, 이로 인해 선수 또는 선미에 헬리데크(Helideck)의 설치를 필요로 한다.
헬리데크는 헬리콥터가 이착륙하는 데크 플로어(deck floor)를 형성하는 팬케익(pancake)부와 팬케익부를 지지하는 팬케익 지지부로 구성될 수 있다. 팬케익부는 헬리콥터를 지지할 수 있도록 다수 개의 플랭크(plank)가 서로 연결되어 형성될 수 있다. 팬케익 지지부는 팬케익부를 지지할 수 있는 H형 빔(beam)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팬케익부는 일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는 알루미늄 소재의 플랭크가 다수 개 연결되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팬케익 지지부는 플랭크의 연장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며 플랭크의 하측에 배치되어 팬케익부를 지지하는 다수 개의 알루미늄 H빔과, 알루미늄 H빔의 연장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며 알루미늄 H빔의 하측에 배치되어 알루미늄 H빔을 지지하는 다수 개의 스틸 H빔을 포함할 수 있다.
해상에서 운용되는 헬리데크의 경우, 헬리콥터가 바람에 의해 받는 영향뿐만 아니라 헬리데크 자체가 수평, 수직 운동을 하기 때문에, 헬리콥터를 헬리데크에 안전하게 착륙시키는 것은 매우 어려운 작업이다. 실질적으로 헬리데크가 설치되어 있는 부유식 구조물 또는 선박의 움직임을 헬리콥터의 착륙을 위해 미세하게 조절하는 것은 실효성이 적으므로, 현재에는 헬리콥터 조종사의 조종 실력의 의존하고 있다.
한편, 이용자의 안전을 위해, 헬리데크로 진입을 위한 계단 난간은 계단의 최상측까지 연장되는데, 계단 난간의 최상단부가 헬리데크의 상측으로 돌출되면, 헬리데크를 이착륙하는 헬리콥터가 계단 난간에 의해 간섭될 수 있다.
특히, 해상의 순간적인 강한 바람으로 인해 헬리콥터의 운항 제어가 쉽지 않을 때에는 계단 난간과 같은 헬리데크 주변의 돌출 구조물에 의해 헬리콥터의 이착륙이 더욱 방해될 수 있다.
특허문헌 1 : 미국공개특허 US2010/0067989 (2010.05.18. 공개) 특허문헌 2 : 미국공개특허 US2008/0247827 (2008.10.09. 공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헬리콥터의 이착륙시 헬리콥터와의 간섭을 방지할 수 있는 헬리데크의 계단 난간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헬리데크로 진입하는 계단을 따라 설치된 지지대에 고정되는 난간대; 및 길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상기 난간대의 상단부에서 입출 가능하게 설치되는 연장대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난간대는 상기 지지대에 고정 설치되는 제 1 난간대; 및 상기 제 1 난간대에서 회전 가능하도록 나란하게 배치되는 제 2 난간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장대는 상기 제 1 난간대의 상단부에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제 1 이동바; 상기 제 1 이동바의 단부에, 일단부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터닝바; 및 상기 제 2 난간대에 일단부가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고, 타단부가 상기 터닝바의 타단부에 연결되는 제 2 이동바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 이동바의 일단부에는 고정돌기가 돌출되고, 상기 제 2 난간대의 단부에는 상기 고정돌기가 삽입되는 고정홈이 형성될 수 있다.또한, 상기 제 2 이동바의 일단부에는 고정돌기가 돌출되고, 상기 제 2 난간대의 단부에는 상기 고정돌기가 삽입되는 고정홈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 난간대의 단부에는 상기 제 2 이동바가 결합될 때, 상기 제 2 이동바의 결합 방향을 안내하도록 경사 안내면이 형성된 가이드편이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장대는 상기 제 1 난간대의 상단부에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제 1 입출바; 상기 제 2 난간대의 상단부에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제 2 입출바; 및 상기 제 1 입출바의 상단부와 상기 제 2 입출바의 상단부를 연결하는 연결바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결바는 상기 제 1 난간대 및 제 2 난간대를 손잡이 형태로 연결하도록 양단부가 상기 제 1 난간대 및 제 2 난간대에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헬리데크에서 돌출되는 계단 난간의 단부 길이를 줄임으로써, 헬리콥터의 이착륙시 헬리콥터와 계단 난간 간의 간섭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들은 계단 난간에서 헬리데크로 이동하거나 헬리데크에서 계단 난간으로 이동하는 경우, 계단 난간의 단부 길이를 연장함으로써, 작업자는 계단 난간을 통해 안전하게 이동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헬리데크의 계단 난간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A"부를 확대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헬리데크의 계단 난간을 확대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헬리데크의 계단 난간을 확대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제 2 실시예의 변형예에 따른 헬리데크의 계단 난간을 확대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사상을 구현하기 위한 구체적인 실시예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의 실시예들에서 사용된 헬리데크는 데크플로어를 구성하는 팬케익부와, 팬케익부를 지지하는 팬케익 지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팬케익 지지부는 팬케익부를 지지할 수 있는 H형 빔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 적용되는 선체는 특수선(drillship, FPSO, War ship 등)일 수 있지만, 부유식 해상 구조물이 선박의 범위 내에 포함된다는 점을 고려할 때, 특수선 외의 다른 종류의 선박에 적용될 수 있다.
제 1 실시예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헬리데크의 계단 난간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A"부를 확대하여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헬리데크의 계단 난간을 확대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헬리데크의 계단 난간(20)은, 헬리데크(10) 상에 돌출되는 단부의 길이가 조절되도록 헬리데크(10)로 진입하는 계단에 설치될 수 있다.
이를 위해, 계단 난간(20)은 제 1 난간대(210), 제 2 난간대(220) 및 연장대(300)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난간대(210)는 헬리데크(10)로 진입하는 계단의 양측 가장자리에 설치되어, 작업자의 이동 경로를 제공할 수 있으며, 작업자의 추락과 같은 안전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제 1 난간대(210)는 계단의 양측 가장자리에 설치된 지지대(100)를 통해 계단의 양측 가장자리에 일렬로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지지대(100)는 헬리데크(10)로 진입하는 계단의 양측 가장자리에 2열로 나란하게 배치되는 다수개로 제공될 수 있으며, 각각의 지지대(100)의 상단부에는 제 1 난간대(210)가 지지되어 고정될 수 있다.
제 1 난간대(210)는 내부에 후술할 제 1 이동바(310)가 인출, 인입될 수 있는 중공을 갖는 파이프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난간대(210)는 횡단면이 다각형인 각형 파이프로 구성될 수 있으며, 본 실시예에서는 중공의 사각 파이프로 형성되는 것을 예로 들어 도시하였다. 물론, 제 1 난간대(210)의 형상은 사각 파이프로 한정되지 아니하며, 원주면을 갖는 원형 파이프로 구성될 수도 있다.
제 2 난간대(220)는 제 1 난간대(210)에 나란하도록 헬리데크(10)로 진입하는 계단의 양측 가장자리에 설치될 수 있다. 이 제 2 난간대(220)는 제 1 난간대(210)의 길이방향으로 이격 배치된 다수개의 연결대(230)를 통해 제 1 난간대(210)에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제 2 난간대(220)는 계단의 양측 가장자리에 일렬로 설치되되, 제 1 난간대(210) 보다 안쪽에 위치하므로, 계단을 오르내리는 작업자의 손잡이 역할을 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 2 난간대(220)가 손잡이로 기능하기 위해 제 1 난간대(210) 보다 내측에 배치되는 것을 예로 들어 도시하였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제 2 난간대(220)는 원형 파이프로 구성될 수 있다. 제 2 난간대(220)가 원형 파이프로 이루어짐에 따라, 작업자는 수월하게 제 2 난간대(220)를 파지할 수 있으며, 제 2 난간대(220)를 파지한 상태에서 계단을 안전하게 오르내릴 수 있다.
제 2 난간대(220)의 단부에는 가이드편(400)이 마련될 수 있다. 이 가이드편(400)에는 제 2 이동바(320)가 결합될 때, 제 2 이동바(320)의 결합 방향을 안내하기 위한 경사 안내면(401)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연장대(300)는 제 1 난간대(210)의 상단부에서 인입, 인출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특히, 연장대(300)는 제 1 난간대(210)의 상단부에 인입된 상태에서는 헬리데크(10)의 상부면, 즉 헬리콥터의 이착륙면보다 더 낮게 위치될 수 있고, 제 1 난간대(210)의 상단부로부터 인출된 상태에서는 헬리데크(10)의 상부면보다 더 높게 위치될 수 있다. 이에 의해, 헬리콥터의 이착륙 시에는 계단의 상단부를 헬리데크(10)의 상부면 아래에 위치시켜 헬리콥터가 안전하게 이착륙할 수 있도록 하고, 승객이나 작업자가 이동할 때에는 계단의 상단부를 헬리데크(10)의 상부면 위까지 연장하여 안전하게 이동하도록 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작업자 또는 승객이 계단 난간(20)에서 헬리데크(10)로 이동하거나 헬리데크(10)에서 계단 난간(20)으로 이동하는 경우, 연장대(300)를 제 1 난간대(210)에서 인출하여 난간대의 단부 길이를 연장시키면, 작업자 또는 승객은 연장대(300)를 파지하면서 안전하게 이동할 수 있다. 반면에 헬리콥터가 헬리데크(10)에 이착륙하는 경우, 연장대(300)를 제 1 난간대(210)로 인입시켜 난간대의 단부 길이를 줄이면, 헬리콥터와 계단 난간 간의 간섭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위와 같이 연장대(300)의 위치가 인입, 인출 시 헬리데크(10)의 상부면을 기준으로 달라지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사상은 헬리데크(10)의 계단 난간의 상단부의 위치를 조절함으로써, 헬리콥터 이착륙 시의 안전성과 작업자/승객의 이동 시의 안전성을 동시에 확보하고자 하는 것으로서,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면 연장대(300)의 기준 위치는 헬리데크의 설치 등과 관련된 규약, 규칙 등에 맞추어 적절히 달라질 수 있다.
이러한 연장대(300)는 제 1 이동바(310), 터닝바(330), 제 2 이동바(320)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이동바(310)는 제 1 난간대(210)의 상단부에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장착됨으로써, 제 1 난간대(210)에서 입출되는 정도에 따라 난간대 전체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다. 이때, 제 1 이동바(310)의 일단은 제 1 난간대(210)의 상단부 내부에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고, 제 1 이동바(310)의 타단부에는 터닝바(330)가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제 1 이동바(310)의 일단에는 제 1 이동바(310)가 제 1 난간대(210)에서 최대한 인출될 때, 제 1 난간대(210)의 일부분에 걸려 제 1 이동바(310)의 이탈을 방지하는 걸림턱부(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다.
터닝바(330)는 제 1 이동바(310)와 제 2 이동바(320)를 연결하되, 일단부가 제 1 이동바(310)의 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타단부가 제 2 이동바(320)의 단부에 고정 연결될 수 있다.
제 2 이동바(320)는 제 2 난간대(220)에 착탈 가능한 구조로, 일단부가 제 2 난간대(220)에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고, 타단부에 터닝바(330)의 타단부가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제 2 이동바(320)의 일단부에는 고정돌기(321)가 돌출되고, 제 2 난간대(220)의 단부에는 고정돌기(321)가 삽입되는 고정홈(221)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난간대의 단부 길이를 연장시키고자 하는 경우, 제 1 이동바(310)를 제 1 난간대(210)에서 슬라이딩 인출한 상태에서, 제 2 이동바(320)와 제 2 난간대(220)가 매칭되도록 터닝바(330)를 정방향으로 회전시키고, 제 2 이동바(320)의 고정돌기(321)를 제 2 난간대(220)의 고정홈(221)에 삽입하여 고정할 수 있다. 난간대의 단부 길이를 줄이고자 하는 경우, 제 2 이동바(320)의 고정돌기(321)를 제 2 난간대(220)의 고정홈(221)에 분리한 후 터닝바(330)를 역방향으로 회전시키고, 제 1 이동바(310)를 제 1 난간대(210)에 슬라이딩 인입할 수 있다.
제 2 실시예
도 4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헬리데크의 계단 난간을 확대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헬리데크의 계단 난간에서, 연장대(300')는 제 1 난간대 및 제 2 난간대를 손잡이 형태로 연결하여, 제 1 난간대 및 제 2 난간대에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연장대(300')는 제 1 입출바(350), 제 2 입출바(360) 및 연결바(37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연장대(300')를 제외한 제 1 난간대(210) 및 제 2 난간대(220) 구성은 제 1 실시예에서 설명한 제 1 난간대(210) 및 제 2 난간대(220)의 구성과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으므로, 기 설명된 구성 및 작용에 대한 설명은 생략될 수 있고, 유사 구성에 대하여 유사한 도면부호가 부여될 수 있다.
제 1 입출바(350)는 제 1 난간대(210)의 상단부에 형성된 제 1 레일홈부(201)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제 1 난간대(210)에서 입출되는 정도에 따라 난간대의 단부 길이를 조절할 수 있다. 그리고 제 1 입출바(350)는 연결바(370)를 통해 제 2 입출바(360)에 연결될 수 있다.
제 2 입출바(360)는 제 2 난간대(220)의 상단부에 형성된 제 2 레일홈부(202)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제 2 난간대(220)에서 입출되는 정도에 따라 난간대의 단부 길이를 조절할 수 있다.
예컨대, 난간대의 단부 길이를 연장시키고자 하는 경우, 연결바(370)를 헬리데크(10)의 상방향으로 당기면, 제 1 이동바(310)는 제 1 난간대(210)에서 슬라이딩 인출되고, 제 2 이동바(320)는 제 2 난간대(220)에서 슬라이딩 인출될 수 있다. 난간대의 단부 길이를 줄이고자 하는 경우, 연결바(370)를 헬리데크(10)의 하방향으로 푸쉬하면, 제 1 이동바(310)는 제 1 난간대(210)에 슬라이딩 인입되고, 제 2 이동바(320)는 제 2 난간대(220)에 슬라이딩 인입될 수 있다.
제 1 입출바(350) 및 제 2 입출바(260)는 제 1 난간대(210) 및 제 2 난간대(220)에 인입된 상태, 또는 입출된 상태에서 고정될 수 있으며, 고정 수단으로는 볼트, 핀 등의 공지의 고정 수단이 사용될 수 있고, 상기 각각의 구성요소에는 고정에 필요한 홈, 홀 등의 구성이 제공될 수 있다.
도 5는 제 2 실시예의 변형예에 따른 헬리데크의 계단 난간을 확대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실시예의 변형예로, 연장대(300")의 연결바(370)는 제 1 입출바(350) 및 제 2 입출바(360)에 각각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연결바(370)는 제 1 입출바(350)의 상단부에 형성된 제 1 입출홈부(351)에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제 1 연결바(371)와, 제 2 난간대(220)의 상단부에 형성된 제 2 입출홈부(361)에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제 2 연결바(372)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난간대의 단부 길이를 연장시키고자 하는 경우, 연결바(370)를 헬리데크(10)의 상방향으로 당기면, 제 1 이동바(310)는 제 1 난간대(210)에서 슬라이딩 인출되고, 제 1 연결바(371)는 제 1 이동바(310)에서 슬라이딩 인출되고, 이와 동시에 제 2 이동바(320)는 제 2 난간대(220)에서 슬라이딩 인출되고, 제 2 연결바(372)는 제 2 이동바(320)에서 슬라이딩 인출될 수 있다. 난간대의 단부 길이를 줄이고자 하는 경우, 연결바(370)를 헬리데크(10)의 하방향으로 푸쉬하면, 제 1 연결바(371)는 제 1 이동바(310)에 슬라이딩 인입되고, 제 1 이동바(310)는 제 1 난간대(210)에 슬라이딩 인입되고, 이와 동시에 제 2 연결바(372)는 제 2 이동바(320)에 슬라이딩 인입되고, 제 2 이동바(320)는 제 2 난간대(220)에 슬라이딩 인입될 수 있다.
제 1 연결바(371) 및 제 2 연결바(372)는 제 1 입출바(350) 및 제 2 입출바(360)에 인입된 상태, 또는 입출된 상태에서 고정될 수 있으며, 고정 수단으로는 볼트, 핀 등의 공지의 고정 수단이 사용될 수 있고, 상기 각각의 구성요소에는 고정에 필요한 홈, 홀 등의 구성이 제공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헬리콥터의 이착륙시 헬리데크에서 돌출되는 계단 난간의 단부 길이를 줄여, 헬리콥터와 계단 난간 간의 간섭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고, 계단 난간에서 헬리데크로 이동하거나 헬리데크에서 계단 난간으로 이동하는 경우, 계단 난간의 단부 길이를 연장함으로써, 작업자는 계단 난간을 통해 안전하게 이동할 수 있는 등의 우수한 장점을 갖는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당업자는 각 구성요소의 재질, 크기 등을 적용 분야에 따라 변경하거나, 실시형태들을 조합 또는 치환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명확하게 개시되지 않은 형태로 실시할 수 있으나, 이 역시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으로 한정적인 것으로 이해해서는 안되며, 이러한 변형된 실시예는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기술사상에 포함된다고 하여야 할 것이다.
100 :지지대 210 :제 1 난간대
220 :제 2 난간대 221 :고정홈
300 :연장대 310 :제 1 이동바
320 :제 2 이동바 321 :고정돌기
330 :터닝바 350 :제 1 입출바
360 :제 2 입출바 370 :연결바
400 :가이드편 401 :경사 안내면

Claims (8)

  1. 헬리데크로 진입하는 계단을 따라 설치된 지지대에 고정되는 난간대; 및
    상기 난간대의 길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상기 난간대의 상단부에 입출 가능하게 설치되는 연장대를 포함하는 헬리데크의 계단 난간.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난간대는
    상기 지지대에 고정 설치되는 제 1 난간대; 및
    상기 제 1 난간대와 나란하게 배치되는 제 2 난간대를 포함하는 헬리데크의 계단 난간.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대는
    상기 제 1 난간대의 상단부에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제 1 이동바;
    상기 제 1 이동바의 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터닝바; 및
    상기 터닝바에 연결되며 상기 제 2 난간대에 착탈 가능한 제 2 이동바를 포함하는 헬리데크의 계단 난간.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이동바의 일단부에는 고정돌기가 돌출되고,
    상기 제 2 난간대의 단부에는 상기 고정돌기가 삽입되는 고정홈이 형성되는 헬리데크의 계단 난간.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난간대의 단부에는 상기 제 2 이동바가 결합될 때, 상기 제 2 이동바의 결합 방향을 안내하도록 경사 안내면이 형성된 가이드편이 마련되는 헬리데크의 계단 난간.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대는
    상기 제 1 난간대의 상단부에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제 1 입출바;
    상기 제 2 난간대의 상단부에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제 2 입출바; 및
    상기 제 1 입출바의 상단부와 상기 제 2 입출바의 상단부를 연결하는 연결바를 포함하는 헬리데크의 계단 난간.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바는
    상기 제 1 난간대 및 제 2 난간대를 손잡이 형태로 연결하도록 양단부가 상기 제 1 난간대 및 제 2 난간대에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헬리데크의 계단 난간.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대의 단부는,
    상기 연장대가 상기 난간대에 인입된 상태에서 상기 헬리데크의 헬리콥터 이착륙면보다 낮게 위치하고,
    상기 연장대가 상기 난간대로부터 인출된 상태에서 상기 헬리데크의 헬리콥터 이착륙면보다 높게 위치하는 헬리데크의 계단 난간.
KR1020130113971A 2013-09-25 2013-09-25 헬리데크의 계단 난간 KR10156397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13971A KR101563975B1 (ko) 2013-09-25 2013-09-25 헬리데크의 계단 난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13971A KR101563975B1 (ko) 2013-09-25 2013-09-25 헬리데크의 계단 난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33981A true KR20150033981A (ko) 2015-04-02
KR101563975B1 KR101563975B1 (ko) 2015-10-28

Family

ID=530310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13971A KR101563975B1 (ko) 2013-09-25 2013-09-25 헬리데크의 계단 난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6397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056561A (zh) * 2018-06-20 2018-12-21 送飞实业集团有限公司 一种自动伸缩梯直升机坪
CN111778885A (zh) * 2020-07-28 2020-10-16 北京城建八建设发展有限责任公司 金属结构停机坪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986419B2 (ja) * 2005-06-29 2012-07-25 日工株式会社 仮設階段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056561A (zh) * 2018-06-20 2018-12-21 送飞实业集团有限公司 一种自动伸缩梯直升机坪
CN111778885A (zh) * 2020-07-28 2020-10-16 北京城建八建设发展有限责任公司 金属结构停机坪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63975B1 (ko) 2015-10-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625092B1 (en) A gangway construction having a guiding assembly with pulley wheels and guiding cables
EP1781536B1 (en) Access method between marine structures and apparatus
KR101563975B1 (ko) 헬리데크의 계단 난간
KR20130000733U (ko) 선박의 앵커 주시용 플랫폼
US7984525B2 (en) Access method between marine structures and apparatus
SE1150084A1 (sv) Ramp för en förflyttbar passagerarbrygga för ett fartyg.
KR101531592B1 (ko) 헬리데크 격납부를 갖는 선박
SE1351035A1 (sv) Passagerarbrygga för anslutning till en dörr i en fartygssida
KR20140036645A (ko) 헬리데크용 안전 네트 및 그 안전 네트의 메쉬 고정구조
WO2016140577A1 (en) Extendable pedestal with personnel passageway
KR101618505B1 (ko) 선박용 계단장치
EP1682406B1 (en) Access method between marine structures and apparatus
KR101644344B1 (ko) 해양구조물용 난간
KR20130023609A (ko) 플레어 팁 유지 보수용 리프트와 이를 가지는 플레어 타워 및 해상 구조물
CN115092723A (zh) 船舶运输通道、海上运输船和船舶运输通道搭建方法
KR101505608B1 (ko) 헬리데크의 디아이싱 커버
KR200480134Y1 (ko) 선박 출입용 사다리 시스템
KR101505612B1 (ko) 헬리데크의 착륙유도장치
TWM502056U (zh) 攀登梯道
KR101540380B1 (ko) 헬리데크의 유지보수장치
GB2530759A (en) Sailing boat height and width reduction devices
KR20150000224U (ko) 잠수함의 접이식 현문
US6718902B1 (en) Walkways for platforms on offshore marine structures
CN210526786U (zh) 船用艏部登乘梯及船舶
KR101198974B1 (ko) 해상 단속용 보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01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