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00224U - 잠수함의 접이식 현문 - Google Patents

잠수함의 접이식 현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00224U
KR20150000224U KR2020130005587U KR20130005587U KR20150000224U KR 20150000224 U KR20150000224 U KR 20150000224U KR 2020130005587 U KR2020130005587 U KR 2020130005587U KR 20130005587 U KR20130005587 U KR 20130005587U KR 20150000224 U KR20150000224 U KR 20150000224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otrest
submarine
lowermost
guide rail
uppermo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3000558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재원
Original Assignee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13000558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00224U/ko
Publication of KR2015000022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00224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GOFFENSIVE OR DEFENSIVE ARRANGEMENTS ON VESSELS; MINE-LAYING; MINE-SWEEPING; SUBMARINES; AIRCRAFT CARRIERS
    • B63G8/00Underwater vessels, e.g. submarines; Equipment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63G8/04Superstruct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Extensible Doors And Revolving Doo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잠수함의 접이식 현문에 관한 것으로서, 본 고안에 따른 잠수함의 접이식 현문은, 잠수함 선체의 출입구에 인접하여 설치되며, 최하측 발판을 제외한 다수의 발판이 서로 슬라이딩되어 정해진 방향으로 길이가 가변될 수 있으며, 하측 발판의 상면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가이드레일과, 상기 하측의 발판 상부에 결합되는 상판이 상기 가이드레일을 따라 이동되도록 하면의 길이방향으로 가이드홈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 상술한 바와 같은 본 고안에 의하면, 현문이 없는 안벽을 포함한 해상 정박 및 비상 정박시 잠수함 내의 승조원이 안전하게 승하선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잠수함의 접이식 현문{Folding door for submarine}
본 고안은 잠수함의 접이식 현문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현문이 없는 안벽을 포함한 해상 정박 및 비상 정박시 잠수함 내의 승조원이 안전하게 승하선 할 수 있는 잠수함의 접이식 현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잠수함(Submarine)은 수중과 수상에서 자체의 추진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선박으로 주로 군용으로 사용되며, 이러한 잠수함은 대부분의 시간 동안 적에게 노출되지 않고 수중에서 작전 수행을 해야 하는 특성을 가지고 있다.
또한, 잠수함(Submarine)은 적의 잠수함을 탐색하여 공격하고, 기동 전투전대 외곽에 배치하여 적의 수상함을 정찰하고 공격하며, 전략 핵무기를 탑재하여 중요한 전략 임무를 수행하기도 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잠수함은 기지나 선착장 또는 안벽에 구비된 현문을 이용하여 승선해야하므로 현문이 구비되지 않은 곳에서는 승하선을 하기가 곤란한 단점이 있다.
특히, 해상작전 수행 중 비상 정박이 필요한 경우, 승조원들이 잠수함에서 승하선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이에 따라, 타 잠수함, 수항함, 소형상선 또는 무인도 등에 비상정박시 승조원들이 함에서 안전하게 승하선할 수 있도록 하는 장치의 개발이 대두되고 있는 실정이다.
관련선행기술로는, 한국등록특허 제10-1026554호(발명의 명칭: 잠수함 및 선박수리용 작업대 무빙워크, 등록일자: 2011년 03월 25일)가 있다.
본 고안의 목적은 현문이 없는 안벽을 포함한 해상 정박 및 비상 정박시 잠수함 내의 승조원이 안전하게 승하선 할 수 있는 잠수함의 접이식 현문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접이식 현문이 잠수함 선체의 양측으로 회전될 수 있어, 승조원들이 잠수함의 양측으로 승하선할 수 있는 잠수함의 접이식 현문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최상측 발판을 케이블 체인으로 밀거나 당기는 동작으로 다수의 발판들이 순차적으로 슬라이딩되어 구조가 간단하고 설치가 용이한 잠수함의 접이식 현문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현문의 미사용시 승조원의 승하선시 추락을 방지하는 안전와이어가 설치된 안전봉이 힌지를 매개로 발판의 상면에서 절첩되므로 불필요한 공간을 차지하지 않아 최소한의 공간에 설치가 가능한 잠수함의 접이식 현문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잠수함의 접이식 현문은, 잠수함 선체의 출입구에 인접하여 설치되며, 최하측 발판을 제외한 다수의 발판이 서로 슬라이딩되어 정해진 방향으로 길이가 가변될 수 있으며, 하측 발판의 상면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가이드레일과, 상기 하측의 발판 상부에 결합되는 상판이 상기 가이드레일을 따라 이동되도록 하면의 길이방향으로 가이드홈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최하측 발판에 형성되는 회전홀과, 상기 잠수함 선체에 구비되며, 상기 회전홀과 치합되어 상기 최하측 발판을 횡방향으로 회전시키는 회전수단이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다수의 발판 상면에 설치되며, 힌지를 매개로 절첩되는 다수의 안전봉과, 상기 다수의 안전봉을 연결하며, 상기 발판으로 이동하는 보행자의 안전이 확보되도록 하는 안전와이어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일측이 상기 다수의 발판 중 최상측 발판에 연결되는 케이블체인과, 상기 케이블체인과 모터기어를 매개로 연결되어 상기 케이블체인을 밀거나 당겨 상기 다수의 발판 중 최상측 발판부터 이동되도록 하는 구동모터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다수의 발판 중 최상측 발판에 구비되어 는 댐핑휠이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가이드레일의 양측 단부에 구비되는 스톱퍼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일측은 잠수함 선체에 힌지를 매개로 결합되고, 타측은 상기 다수의 발판 중 최하측 발판의 하면을 지지하는 지지판과, 상기 지지판이 상기 최하측 발판을 지지한 상태가 유지되도록 하는 고정링크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다수의 발판의 상면에는 승조원의 승하선시 미끄럼이 방지되도록 형성되는 미끄럼 방지부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 상술한 바와 같은 본 고안에 의하면, 현문이 없는 안벽을 포함한 해상 정박 및 비상 정박시 잠수함 내의 승조원이 안전하게 승하선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접이식 현문이 잠수함 선체의 양측으로 회전될 수 있어, 승조원들이 잠수함의 양측으로 승하선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최상측 발판을 케이블 체인으로 밀거나 당기는 동작으로 다수의 발판들이 순차적으로 슬라이딩되어 구조가 간단하고 설치가 용이한 장점이 있다.
또한, 현문의 미사용시 승조원의 승하선시 추락을 방지하는 안전와이어가 설치된 안전봉이 힌지를 매개로 발판의 상면에서 절첩되므로 불필요한 공간을 차지하지 않아 최소한의 공간에 설치가 가능한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잠수함의 접이식 현문의 미사용시 의 모습을 보인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잠수함의 접이식 현문으로 승하선 하기위해 발판이 펼쳐진 모습을 보인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3 내지 도 5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잠수함의 접이식 현문으로 승하선하기 위해 발판이 펼쳐지는 모습을 보인 측면도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잠수함의 접이식 현문이 안벽에 설치된 모습을 보인 개념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들을 설명하기로 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고안의 요지를 모호하지 않게 하기 위하여 생략한다.
도 1에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잠수함의 접이식 현문의 미사용시 의 모습을 보인 개략적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2에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잠수함의 접이식 현문으로 승하선 하기위해 발판이 펼쳐진 모습을 보인 개략적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3 내지 도 5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잠수함의 접이식 현문으로 승하선하기 위해 발판이 펼쳐지는 모습을 보인 측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1 내지 도 5에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잠수함의 접이식 현문이 3개의 발판으로 구성되는 것으로 예시되어 있으나, 2개 이상의 발판에 모두 적용 가능하므로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잠수함의 접이식 현문은 승조원이 잠수함의 외부로 나오는 통로인 잠수함의 해치 외측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잠수함 선체(100)의 상부 또는 측부에 설치되어도 무방하므로 본 고안이 설치되는 위치는 한정되지 아니한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잠수함의 접이식 현문은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3개의 발판으로 구성될 수 있는데, 이해를 돕기 위해 하측부터 최하측 발판(11), 중간 발판(12) 및 최상측 발판(12)이라 하며, 상기 3개의 발판(11, 12, 13)들은 대체로 금속재질의 직사각 판 형상을 갖는다.
상기 최하측 발판(11)은 잠수함 선체(100)에 가장 인접하게 위치하는 발판으로서, 이러한 최하측 발판(11)의 일측에는 회전홀(14)이 형성되는데, 이러한 회전홀(14)은 최하측 발판(11)이 잠수함 선체(100)의 양측을 향하여 회전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와 같은 회전홀(14)에는 회전수단(20)이 연결될 수 있는데, 회전수단(20)은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축(21)과 회전모터(22)가 포함되며, 회전축(21)은 회전홀(14)에 치합되며, 예컨대, 기어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회전모터(22)는 회전축(21)을 회전시키는 역할을 하는 부재로서, 이러한 회전모터(22)는 최하측 발판(11)이 기설정된 회전각으로 회전될 수 있도록 서보모터로 제작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회전모터(22)가 회전되면, 최하측 발판(11)은 잠수함 선체(100)의 양측을 향하여 회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최하측 발판(11)과 회전수단(20)은 잠수함 선체(100)의 폭방향을 따라 이동될 수 있는데, 예컨대, 도시되지 않은 레일을 따라 잠수함 선체(100)의 이동되는 경우, 발판(10)들의 길이를 더 짧게 제작할 수 있어 잠수함 선체(100)에 본 고안의 설치시 설치공간을 효율적으로 운용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와 같은 최하측 발판(11)의 상부에는 중간 발판(12)이, 중간 발판(12)의 상부에는 최상측 발판(12)이 결합되는데, 이러한 최하측 발판(11)의 상부에 결합되는 중간 발판(12)은 최하측 발판(11)의 상면에 형성되는 가이드레일(15)에 결합되며, 중간 발판(12)의 상부에 결합되는 최상측 발판(12)은 중간 발판(12)의 상면에 형성되는 가이드레일(15)에 각각 결합된다.
이에 따라, 상기 중간 발판(12)의 하면에는 최하측 발판(11)의 상면에 형성되는 가이드레일(15)과 결합되는 가이드홈(17)이, 상기 최상측 발판(12)의 하면에는 중간 발판(12)의 상면에 형성되는 가이드레일(15)에 결합되는 가이드홈(17)이 각각 형성되어야 할 것이다.
상기와 같이 최하측 발판(11)의 상면과 중간 발판(12)의 상면에 형성되는 가이드레일(15)의 양측 단부에는 스톱퍼(16)가 구비되어 중간 발판(12)과 최상측 발판(12)이 길이방향으로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데, 상기와 같은 스톱퍼(16)는 가이드레일(15)의 양측 단부에 가이드레일(15)의 길이방향에 대하여 수직하게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가이드레일(15)과 스톱퍼(16)는 대체로 "I"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상기와 같은 다수의 발판(10)들 상면에는 승조원의 승하선시 추락을 방지하는 다수의 안전봉(30)과, 안전봉(30)을 연결하는 안전와이어(31)가 발판(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설치될 수 있는데, 상기 안전봉(30)은 본 고안의 미사용시 차지하는 공간이 최소화되도록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힌지를 매개로 절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다수의 발판(10)들 상면에는 승하선시 승조원의 미끄럼이 방지되도록 미끄럼 방지부가 설치될 수 있는데, 이러한 미끄럼 방지부는 고무재질로 제작된 미끄럼 방지돌기가 발판의 상면에 격자형으로 설치될 수도 있고, 도 1의 부분 확대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홀(80)이 타공되되, 타공된 홀(80)의 테두리 부분에서 상측으로 돌출형성된 돌출부(81)가 마련될 수 있다.
이하, 도 3 내지 도 5을 참조하여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잠수함의 접이식 현문의 발판들이 승하선을 위해 슬라이딩 되는 순서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에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잠수함의 접이식 현문의 미사용시의 측면도가 도시되어 있는데, 잠수함의 정박시 승조원이 승하선 하기 위해 최상측 발판(12)을 이동시킨다.
상기와 같은 최상측 발판(12)의 일측에는 케이블체인(40)이 연결되는데, 이러한 케이블체인(40)은 잠수함 선체(100)에 모터기어와 치합되는데, 이러한 모터기어(50)는 구동모터(51)의 회전축에 연결된다.
이에 따라, 상기 구동모터(51)가 예컨대, 시계방향으로 회전되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터기어(50)를 매개로 연결된 케이블체인(40)이 최상측 발판(12)을 잠수함 선체(100)의 외측 방향으로 밀어내며, 상기 구동모터(51)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되면 최상측 발판(12)을 잠수함 선체(100) 측으로 끌어당긴다.
또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최상측 발판(12)이 일측 끝까지 이동이 완료된 상태에서는 중간 발판(12)의 가이드레일(15) 단부에 구비된 스톱퍼(16)에 의해 더 이상 전진하지 못하게 되는데, 이러한 상태에서 구동모터(51)가 계속해서 회전되면, 최상측 발판(12)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간 발판(12)을 잠수함 선체(100)의 외측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한다.
상기 중간 발판(12)이 이동이 완료되면 최하측 발판(11)의 가이드레일(15)에 구비된 스톱퍼(16)에 의해 더 이상 전진하지 못하는 상태가 되며, 이때, 구동모터(51)의 회전을 멈춘다.
또한, 상기 구동모터(51)를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최상측 발판(12)부터 끌어당기면 상술한 바의 역순으로 최상측 발판(12)과 중간 발판(12)이 이동되어 초기상태로 전환될 수 있다.
한편, 도 3 내지 도 5에는 안전봉(30)이 세워진 상태에서 본 고안이 작동되는 모습이 도시되어 있지만, 안전봉(30)이 접혀진 상태에서 작동되어도 무방할 것이다.
또한, 상기 최하측 발판(11)의 하면에는 댐핑휠(70)이 설치될 수 잇는데, 이러한 댐핑휠(70)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을 안벽(200)에 설치하는 경우, 안벽(200)의 바닥과 맞닿아 회전되면서 최상측 발판(12)이 부드럽게 이동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최하측 발판(11)의 하면에는 최하측 발판(11)에 응력이 집중되어 휘어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지지판(60)이 설치될 수 있는데, 이러한 지지판(60)의 일측은 잠수함 선체(100)에 힌지를 매개로 결합되고, 타측은 상기 최하측 발판(11)의 하면에 연결된다.
또한, 상기 지지판(60)이 최하측 발판(11)을 지지한 상태가 유지될 수 있도록 고정링크(61)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러한 고정링크(61)는 예컨대, 절첩식 유압 쇼크-압소버(Shock- absorber)일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잠수함의 비상 정박시 잠수함의 양측으로 승조원들이 안전하게 승하선할 수 있으며, 구조가 간단하고, 잠수함 선체의 내부에 최소한의 공간을 차지하도록 설치할 수 있다.
도면과 명세서에서 최적의 실시예들이 개시되었다. 여기서,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고안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고안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발판 11-최하측 발판
12-중간 발판 13-최상측 발판
14-회전홀 15-가이드레일
16-스톱퍼 17-가이드홈
20-회전수단 21-회전축
22-회전모터
30-안전봉 31-안전와이어
40-케이블체인
50-모터기어 51-구동모터
60-지지판 61-고정링크
70-댐핑휠
80-홀 81-돌출부
100-잠수함 선체
200-안벽

Claims (8)

  1. 잠수함 선체의 출입구에 인접하여 설치되며, 최하측 발판을 제외한 다수의 발판이 서로 슬라이딩되어 정해진 방향으로 길이가 가변될 수 있으며,
    하측 발판의 상면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가이드레일과,
    상기 하측의 발판 상부에 결합되는 상판이 상기 가이드레일을 따라 이동되도록 하면의 길이방향으로 가이드홈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잠수함의 접이식 현문.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최하측 발판에 형성되는 회전홀과,
    상기 잠수함 선체에 구비되며, 상기 회전홀과 치합되어 상기 최하측 발판을 횡방향으로 회전시키는 회전수단이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잠수함의 접이식 현문.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발판 상면에 설치되며, 힌지를 매개로 절첩되는 다수의 안전봉과,
    상기 다수의 안전봉을 연결하며, 상기 발판으로 이동하는 보행자의 안전이 확보되도록 하는 안전와이어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잠수함의 접이식 현문.
  4. 청구항 1에 있어서,
    일측이 상기 다수의 발판 중 최상측 발판에 연결되는 케이블체인과,
    상기 케이블체인과 모터기어를 매개로 연결되어 상기 케이블체인을 밀거나 당겨 상기 다수의 발판 중 최상측 발판부터 이동되도록 하는 구동모터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잠수함의 접이식 현문.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발판 중 최상측 발판에 구비되어 는 댐핑휠이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잠수함의 접이식 현문.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레일의 양측 단부에 구비되는 스톱퍼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잠수함의 접이식 현문.
  7. 청구항 1에 있어서,
    일측은 잠수함 선체에 힌지를 매개로 결합되고, 타측은 상기 다수의 발판 중 최하측 발판의 하면을 지지하는 지지판과,
    상기 지지판이 상기 최하측 발판을 지지한 상태가 유지되도록 하는 고정링크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잠수함의 접이식 현문.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발판의 상면에는 승조원의 승하선시 미끄럼이 방지되도록 형성되는 미끄럼 방지부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잠수함의 접이식 현문.
KR2020130005587U 2013-07-08 2013-07-08 잠수함의 접이식 현문 KR20150000224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05587U KR20150000224U (ko) 2013-07-08 2013-07-08 잠수함의 접이식 현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05587U KR20150000224U (ko) 2013-07-08 2013-07-08 잠수함의 접이식 현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0224U true KR20150000224U (ko) 2015-01-16

Family

ID=525707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30005587U KR20150000224U (ko) 2013-07-08 2013-07-08 잠수함의 접이식 현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000224U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110062A (zh) * 2018-09-25 2019-01-01 南通力威机械有限公司 一种折叠式登船系统
CN109110062B (zh) * 2018-09-25 2024-06-04 南通力威机械有限公司 一种折叠式登船系统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110062A (zh) * 2018-09-25 2019-01-01 南通力威机械有限公司 一种折叠式登船系统
CN109110062B (zh) * 2018-09-25 2024-06-04 南通力威机械有限公司 一种折叠式登船系统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501151B2 (en) Bulwark terrace with integrated door
KR102365572B1 (ko) 부양식 해양 데포를 사용하는 방법
KR101487296B1 (ko) 해상구조물의 구명정 진수 장치 및 진수 방법
KR20130124207A (ko) 선박과 해양 구조물 간의 이송을 촉진시키기 위한 도킹 장치
US20080145149A1 (en) Launch and Recovery Apparatus and Method
US4294331A (en) Method and system for escaping from an offshore drilling platform
KR20140133549A (ko) 선박 드라이 도킹을 위한 이동형 잠수식 플랫폼을 구비한 반-잠수식 플랫폼
EP3003846B1 (en) Cradle assembly for boats
KR101497444B1 (ko) 해상구조물의 구명정 진수 장치
KR102076677B1 (ko) 초대형 컨테이너선용 승하선장치
KR101644344B1 (ko) 해양구조물용 난간
US4203504A (en) Method and system for escaping from an offshore drilling platform
KR101592922B1 (ko) 승하선 사다리의 전기식 텔레스코픽 시스템
KR20150000224U (ko) 잠수함의 접이식 현문
KR101481329B1 (ko) 접안시설의 선박 리프트장치 및 이를 이용한 선박 지지방법
KR101885076B1 (ko) 이동식 문풀장치
RU2323121C1 (ru) Плавучий причал
CN115092723A (zh) 船舶运输通道、海上运输船和船舶运输通道搭建方法
KR101581392B1 (ko) 리그선의 리빙쿼터 구명보트 시스템
EP3554939B1 (en) Boat transfer system
US1069692A (en) Construction of ships with floating cabins.
WO2009016209A2 (en) Submerged port for underwater craft
KR200480240Y1 (ko) 해적 침입 방지 시스템
KR20120132944A (ko) 선박용 데크하우스의 외부통로구조
KR20150057357A (ko) 선박용 안벽 접안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