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0240Y1 - 해적 침입 방지 시스템 - Google Patents

해적 침입 방지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0240Y1
KR200480240Y1 KR2020140006991U KR20140006991U KR200480240Y1 KR 200480240 Y1 KR200480240 Y1 KR 200480240Y1 KR 2020140006991 U KR2020140006991 U KR 2020140006991U KR 20140006991 U KR20140006991 U KR 20140006991U KR 200480240 Y1 KR200480240 Y1 KR 20048024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dder
platform
wall
pirate
support blo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4000699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01096U (ko
Inventor
인치현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14000699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0240Y1/ko
Publication of KR2016000109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0109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024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0240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9/00Accommodation for crew or passenge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29/2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ladder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Ladd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해적 침입 방지 시스템은, 선박의 외벽에 고정 설치되는 제1 사다리 및 제2 사다리, 상기 외벽 상에서 제1 포지션과 제2 포지션으로 가변되는 플랫폼 및 상기 플랫폼을 상기 제1 포지션과 상기 제2 포지션으로 이동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하며, 상기 플랫폼은, 상기 제1 포지션에서 상기 제1 사다리와 상기 제2 사다리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제1 사다리와 상기 제2 사다리를 연결하는 이동 경로를 형성하고, 상기 제2 포지션에서 상기 제1 사다리 및 상기 제2 사다리로부터 이격 배치되어 상기 제1 사다리와 상기 제2 사다리의 사이의 이동을 차단한다.

Description

해적 침입 방지 시스템{The pirate trespassing prevention system}
본 고안은 해적 침입 방지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선박의 외부에 노출되는 사다리를 통해 선박 내로 진입하는 해적의 침입을 방지하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 아덴만, 인도양, 말라카 해역, 기니만 부근 해역 등지에서 출몰하는 해적에 의한 선박의 피해가 국제적인 이슈가 되고 있다.
특히, 아덴만은 아시아와 유럽을 연결하는 최단 항로인 수에즈 운하를 통과하기 위한 항로이다. 이곳을 통과하지 않는 우회 항로로서, 아프리카 남단까지 돌아가는 항로가 있지만, 우회 항로를 이용하는 경우에는 항해 거리가 약 8000km 늘어나고 이에 따라 항해일은 30일 이상 늘어나게 된다.
항해 거리 및 항해일이 증가함에 따라 급격히 증가하는 소요 비용으로 인해 해적 출몰의 위험에도 불구하고 상선들은 아덴만을 통과하는 항로를 이용하고 있다.
현재 국가적, 국제적 차원에서 해적 퇴치 및 상선 보호를 위해 다양한 대응 방법을 제안하고 실행하고 있지만, 해적들로부터 선박을 완벽히 보호하기는 어렵다.
일반적으로 해적들은 소형 보트를 이용해 선박에 접근한 후, 로프를 이용해 갑판으로 올라타서 거주구의 조타실, 선실 등으로 침입한다.
거주구는 선실, 조타실, 각종 편의 시설 등이 복수 층의 데크로 이루어져 있다. 일반적으로 거주구의 외벽에는 선원들이 데크 간에 이동할 수 있도록 인접하는 데크를 연결하는 사다리가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해적들은 갑판에 올라온 이후에는 거주구의 외부 사다리를 이용해 손쉽게 거주구 내의 조타실 및 선실 내부로 침입하게 된다.
본 고안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선박의 외부에 노출되어 설치되는 사다리를 통해 진입을 시도하는 해적의 침입을 방지하는 해적 침입 방지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해적 침입 방지 시스템은, 선박의 외벽에 고정 설치되는 제1 사다리 및 제2 사다리, 상기 외벽 상에서 제1 포지션과 제2 포지션으로 가변되는 플랫폼 및 상기 플랫폼을 상기 제1 포지션과 상기 제2 포지션으로 이동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하며, 상기 플랫폼은, 상기 제1 포지션에서 상기 제1 사다리와 상기 제2 사다리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제1 사다리와 상기 제2 사다리를 연결하는 이동 경로를 형성하고, 상기 제2 포지션에서 상기 제1 사다리 및 상기 제2 사다리로부터 이격 배치되어 상기 제1 사다리와 상기 제2 사다리의 사이의 이동을 차단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사다리는 상기 제2 사다리의 하부에 위치하고, 상기 제2 사다리의 하단은 상기 제1 사다리의 상단으로부터 수평 방향으로 이격되어 설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플랫폼은, 상기 제1 포지션에서 상기 제1 사다리의 상단과 연결되는 해치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구동부는 상기 플랫폼을 회전시켜 대칭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플랫폼을 상기 제1 포지션에서 상기 제2 포지션으로 이동시키거나, 상기 플랫폼을 상기 제2 포지션에서 상기 제1 포지션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구동부는, 상기 플랫폼의 일측을 지지하는 회전축, 상기 회전축을 상기 외벽 상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회전 가이드 및 상기 회전축을 정역 회전시켜 상기 플랫폼을 상기 제1 포지션과 상기 제2 포지션으로 이동시키는 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외벽 상에 설치되어 상기 제1 포지션 및 상기 제2 포지션에서 상기 프랫폼의 타측을 지지하는 플랫폼 지지 블록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플랫폼 지지 블록은 상기 플랫폼의 회전이 용이하도록 상기 플랫폼의 타측과 접촉하는 부분에 구비되는 롤러 베어링을 포함할 수 있다.
본 고안의 기타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하면 적어도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평상시에는 사다리를 사용할 수 있는 이동 경로를 형성하지만, 해적 침입 등의 유사시에는 2개의 사다리를 연결하는 이동 경로가 차단되므로 사다리를 통한 해적 침입을 방지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효과는 이상에서 예시된 내용에 의해 제한되지 않으며, 더욱 다양한 효과들이 본 명세서 내에 포함되어 있다.
도 1은 플랫폼이 제1 포지션에 위치한 상태의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해적 침입 방지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플랫폼이 제2 포지션에 위치한 상태의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해적 침입 방지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해적 방지 시스템의 플랫폼이 제1 포지션에 위치한 상태에서의 평면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본 고안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고안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고안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고안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고안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기술하는 실시예들은 본 고안의 이상적인 예시도인 단면도 및/또는 개략도들을 참고하여 설명될 것이다. 따라서, 제조 기술 및/또는 허용 오차 등에 의해 예시도의 형태가 변형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도시된 각 도면에 있어서 각 구성 요소들은 설명의 편의를 고려하여 다소 확대 또는 축소되어 도시된 것일 수 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해적 침입 방지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고안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플랫폼이 제1 포지션에 위치한 상태의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해적 침입 방지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플랫폼이 제2 포지션에 위치한 상태의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해적 침입 방지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며,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해적 방지 시스템의 플랫폼이 제1 포지션에 위치한 상태에서의 평면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해적 침입 방지 시스템(1)은 선박의 외벽(2)이 고정 설치되는 복수 개의 사다리(10, 20, 30)를 포함한다.
선박의 외벽(2)은 선박의 외부로 노출된 수직면을 통칭하는 것으로서, 외벽(2)의 일례로는, 선박의 메인 데크 상에 형성되는 거주구(미도시)의 외벽이 있다.
이하에서는 복수 개의 사다리(10, 20, 30) 중 가장 아래에 위치하는 사다리를 제1 사다리(10)라 명칭하고, 복수 개의 사다리(10, 20, 30) 중 가장 위에 위치하는 사다리를 제3 사다리(30)라 명칭하며, 복수 개의 사다리(10, 20, 30) 중 제1 사다리(10)와 제3 사다리(30) 사이에 위치하는 사다리를 제2 사다리(20)라고 명칭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실시예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3개의 사다리(10, 20, 30)만을 도시하고 있으나, 외벽(2)의 높이 등에 따라 본 고안에 따른 해적 침임 방지 시스템은 3개 이상의 사다리가 설치되거나 2개의 사다리만 설치되는 경우를 포함한다.
제1 사다리(10), 제2 사다리(20) 및 제3 사다리(30)는 지그재그 형태로 수직 방향으로 배치된다.
구체적으로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사다리(20)는 제1 사다리(10)의 상부에 설치되며, 제2 사다리(20)의 하단이 제1 사다리(10)의 상단으로부터 수평 방향으로 일정 거리 이격되어 설치된다. 제2 사다리(20)가 제1 사다리(10)로부터 이격 설치되는 수평 방향의 거리는 제1 사다리(10)의 상단에서 점프하여 제2 사다리(20)에 도달할 수 없는 거리로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제2 사다리(20)가 제1 사다리(10)로부터 이격 설치되는 수평 방향의 거리는 2m 또는 3m 이상이 될 수 있다.
또한, 제1 플랫폼(40)이 제1 사다리(10)와 제2 사다리(20) 사이에 위치할 수 있도록, 제2 사다리(20)의 하단은 제1 사다리(10)의 상단으로부터 수직 방향으로 일정 거리 이격되어 설치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사다리(20)는 제1 사다리(10)에 대해 수직하게 설치될 수 있다. 즉, 제2 사다리(20)는 외벽에 설치되는 지지바(21)를 통해 외벽에 고정되어 외벽에 대해 대략 수직하게 설치될 수 있다.
한편, 제3 사다리(30)는 제2 사다리(10)의 상부에 설치되며, 제3 사다리(30)의 하단이 제2 사다리(20)의 상단으로부터 수평 방향으로 일정 거리 이격되어 설치된다. 제3 사다리(30)가 제2 사다리(20)로부터 이격 설치되는 수평 방향의 거리는 제2 사다리(20)의 상단에서 점프하여 제3 사다리(30)에 도달할 수 없는 거리로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제3 사다리(30)가 제2 사다리(20)로부터 이격 설치되는 수평 방향의 거리는 2m 또는 3m 이상이 될 수 있다. 제3 사다리(30)는 제1 사다리(10)와 동일 수직선 상에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제2 플랫폼(50)이 제2 사다리(20)와 제3 사다리(30) 사이에 위치할 수 있도록, 제3 사다리(30)의 하단은 제2 사다리(20)의 상단으로부터 수직 방향으로 일정 거리 이격되어 설치된다.
제3 사다리(30) 역시 제2 사다리(10)에 대해 수직하게 설치될 수 있다.
한편,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해적 침입 방지 시스템(1)은 제1 플랫폼(40)과 제2 플랫폼(50)을 포함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플랫폼(40) 및 제2 플랫폼(50)은 후술하는 구동부(60)를 통해 제1 포지션(도 1 참고)과 제2 포지션(도 2 참고)으로 가변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포지션에서 제1 플랫폼(40)은 제1 사다리(10)와 제2 사다리(20) 사이에 위치하여 제1 사다리(10)와 제2 사다리(20)를 연결하는 이동 경로를 형성한다. 또한, 제1 포지션에서 제2 플랫폼(50)은 제2 사다리(20)와 제3 사다리(30) 사이에 위치하여, 제2 사다리(20)와 제3 사다리(30)를 연결하는 이동 경로를 형성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플랫폼(40) 및 제2 플랫폼(40)은 상부로 돌출 형성되는 핸드 레일(41, 51)을 각각 포함한다. 핸드 레일(41, 51)은 제1 플랫폼(40)을 통해 제1 사다리(10)에서 제2 사다리(20)로 이동하는 선원의 추락 위험을 방지하기 위한 안전 설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핸드 레일(41, 51)은 각 플랫폼(40, 50)의 3면에 설치될 수 있다. 핸드 레일(41, 51)이 설치되지 않는 면은 제1 포지션에서 외벽과 인접하는 면으로서 추락 위험성이 낮기 때문에 해당 면에는 핸드 레일(41, 51)이 설치되지 않을 수 있다.
한편,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플랫폼(40)에는 해치(42)가 형성된다. 해치(42)는 제1 플랫폼(40)이 제1 포지션에 위치할 때에 제1 사다리(10)의 상부에 위치하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제1 플랫폼(40)이 제1 포지션에 위치할 때에 선원들은 해치(42)를 통해 제1 사다리(10)에서 제1 플랫폼(40)에 올라선 후 제2 사다리(20)를 이용하거나, 제2 사다리(20)를 통해 제1 플랫폼(40)에 내려선 후 해치(42)를 통해 제1 사다리(10)로 진입할 수 있다.
제2 플랫폼(50) 역시 제1 포지션에서 제2 사다리(20)의 상부에 위치하는 해치(미도시)를 포함한다. 제2 플랫폼(50)의 해치의 구조 및 기능은 상술한 제1 플랫폼(40)의 것과 유사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해적 침입 방지 시스템(1)은 구동부(60)를 포함한다. 구동부(60)는 외벽(2) 상에 설치되어 제1 플랫폼(40) 및 제2 플랫폼(50)을 제1 포지션(도 1 참고)과 제2 포지션(도 2 참고)으로 가변시킨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부(60)는 모터(61), 회전축(62), 제1 회전 가이드(63), 제2 회전 가이드(64)를 포함한다.
회전축(62)은 제1 플랫폼(40) 및 제2 플랫폼(50)에 대해 대략 수직하게 설치된다. 회전축(62)은 제1 플랫폼(40) 및 제2 플랫폼(50)의 일측을 각각 지지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1 회전 가이드(63) 및 제2 회전 가이드(64)는 외벽(2) 상에 설치되어 회전축(62)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한다. 도 1 및 도 2에는 제1 회전 가이드(63) 및 제2 회전 가이드(64)만을 도시하였으나, 회전축(62)의 길이에 따라 회전축(62)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도록 2개 이상의 회전 가이드가 설치될 수 있다.
모터(61)는 회전축(62)을 정방향과 역방향으로 회전시켜 제1 플랫폼(40) 및 제2 플랫폼(50)을 함께 제1 포지션과 제2 포지션으로 가변시킨다.
모터(61)를 작동시키는 스위치(미도시)는 거주구 내의 조타실 및/또는 선실에 설치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플랫폼(40) 및 제2 플랫폼(50)은 평상시에 제1 포지션에 위치하여 제1 사다리(10), 제2 사다리(20) 및 제3 사다리(30) 사이를 이동할 수 있는 이동 경로로서 기능한다.
해적 침입 등의 유사시에, 선원에 거주구 내의 스위치를 작동시키면 모터(61)는 회전축(62)을 일방향으로 회전시킨다. 회전축(62)이 회전함에 따라, 제1 플랫폼(40) 및 제2 플랫폼(50)은 회전축(62)을 중심으로 회전하며, 제1 포지션에 대해 회전축(62)을 중심으로 대칭되는 제2 포지션으로 위치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플랫폼(40) 및 제2 플랫폼(50)이 제2 포지션에 위치하게 되면, 제1 사다리(10)와 제2 사다리(20) 사이를 이동할 수 있는 이동 경로 및 제2 사다리(20)와 제3 사다리(30) 사이를 이동할 수 있는 이동 경로가 사라지게 되므로, 해적은 사다리(10, 20, 30)를 통해 거주구 내로 진입할 수 없게 된다.
한편,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벽(2) 상에는 제1 플랫폼 지지 블록(71a)과 제2 플랫폼 지지 블록(71c)이 설치된다. 제1 플랫폼 지지 블록(71a)은 제1 플랫폼(40)이 제1 포지션에 위치할 때에 제1 플랫폼(40)의 타측 하부를 지지하여 제1 플랫폼(40)을 보다 안정적으로 지지한다. 유사하게, 제2 플랫폼 지지 블록(71c)은 제2 플랫폼(50)이 제1 포지션에 위치할 때에 제2 플랫폼(50)의 타측 하부를 지지하여 제2 플랫폼(50)을 보다 안정적으로 지지한다.
그리고, 제1 플랫폼 지지 블록(71a)은 제1 플랫폼(40)과 접촉하는 부분에 제1 롤러 베어링(72a)을 포함한다. 제1 롤러 베어링(72a)은 제1 플랫폼(40)이 제2 포지션에서 제1 포지션 또는 제1 포지션에서 제2 포지션으로 변경되는 때에 제1 플랫폼 지지 블록(71a)과 제1 플랫폼(40) 사이의 마찰을 감소시켜 제1 포지션 및 제2 포지션으로의 변환을 용이하게 한다.
유사하게, 제2 플랫폼 지지 블록(71c) 역시 제2 플랫폼(50)과 접촉하는 부분에 제2 롤러 베어링(72c)을 포함하여, 제2 플랫폼 지지 블록(71c)과 제2 플랫폼(50) 사이의 마찰을 감소시킨다.
또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벽(2) 상에는 제3 플랫폼 지지 블록(71c)과 제4 플랫폼 지지 블록(71d)이 설치된다. 제3 플랫폼 지지 블록(71c)은 제1 플랫폼(40)이 제2 포지션에 위치할 때에 제1 플랫폼(40)의 타측 하부를 지지하여 제1 플랫폼(40)을 보다 안정적으로 지지한다. 유사하게, 제4 플랫폼 지지 블록(71d)은 제2 플랫폼(50)이 제2 포지션에 위치할 때에 제2 플랫폼(50)의 타측 하부를 지지하여 제2 플랫폼(50)을 보다 안정적으로 지지한다.
그리고, 제3 플랫폼 지지 블록(71c)은 제1 플랫폼(40)과 접촉하는 부분에 제3 롤러 베어링(72c)을 포함한다. 제3 롤러 베어링(72c)은 제1 플랫폼(40)이 제2 포지션에서 제1 포지션 또는 제1 포지션에서 제2 포지션으로 변경되는 때에 제3 플랫폼 지지 블록(71c)과 제1 플랫폼(40) 사이의 마찰을 감소시켜 제1 포지션 및 제2 포지션으로의 변환을 용이하게 한다.
유사하게, 제4 플랫폼 지지 블록(71d) 역시 제2 플랫폼(50)과 접촉하는 부분에 제4 롤러 베어링(72d)을 포함하여, 제4 플랫폼 지지 블록(71d)과 제2 플랫폼(50) 사이의 마찰을 감소시킨다.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고안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고안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고안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해적 침입 방지 시스템 2: 선박의 외벽
10: 제1 사다리 20: 제2 사다리
21: 지지바 30: 제3 사다리
40: 제1 플랫폼 41, 51: 핸드 레일
42: 해치 50: 제2 플랫폼
60: 구동부 61: 모터
62: 회전축 63: 제1 회전 가이드
64: 제2 회전 가이드 71a: 제1 플랫폼 지지 블록
71b: 제3 플랫폼 지지 블록 71c: 제2 플랫폼 지지 블록
71d: 제4 플랫폼 지지 블록 72a: 제1 롤러 베어링
72b: 제3 롤러 베어링 72c: 제2 롤러 베어링
72d: 제4 롤러 베어링

Claims (7)

  1. 선박의 외벽에 고정 설치되는 제1 사다리 및 제2 사다리;
    상기 외벽 상에서 제1 포지션과 제2 포지션으로 가변되는 플랫폼; 및
    상기 플랫폼을 상기 제1 포지션과 상기 제2 포지션으로 이동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하되,
    상기 플랫폼은,
    상기 제1 포지션에서 상기 제1 사다리와 상기 제2 사다리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제1 사다리와 상기 제2 사다리를 연결하는 이동 경로를 형성하고,
    상기 제2 포지션에서 상기 제1 사다리 및 상기 제2 사다리로부터 이격 배치되어 상기 제1 사다리와 상기 제2 사다리의 사이의 이동을 차단하며,
    상기 제1 사다리는 상기 제2 사다리의 하부에 위치하고, 상기 제2 사다리의 하단은 상기 제1 사다리의 상단으로부터 수평 방향으로 이격되어 설치되는, 해적 침입 방지 시스템.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랫폼은, 상기 제1 포지션에서 상기 제1 사다리의 상단과 연결되는 해치를 포함하는, 해적 침입 방지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상기 플랫폼을 회전시켜 대칭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플랫폼을 상기 제1 포지션에서 상기 제2 포지션으로 이동시키거나, 상기 플랫폼을 상기 제2 포지션에서 상기 제1 포지션으로 이동시키는, 해적 침입 방지 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상기 플랫폼의 일측을 지지하는 회전축;
    상기 회전축을 상기 외벽 상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회전 가이드 및
    상기 회전축을 정역 회전시켜 상기 플랫폼을 상기 제1 포지션과 상기 제2 포지션으로 이동시키는 모터를 포함하는, 해적 침입 방지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벽 상에 설치되어 상기 제1 포지션 및 상기 제2 포지션에서 상기 플랫폼의 타측을 지지하는 플랫폼 지지 블록을 더 포함하는, 해적 침입 방지 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플랫폼 지지 블록은 상기 플랫폼의 회전이 용이하도록 상기 플랫폼의 타측과 접촉하는 부분에 구비되는 롤러 베어링을 포함하는, 해적 침입 방지 시스템.
KR2020140006991U 2014-09-25 2014-09-25 해적 침입 방지 시스템 KR20048024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6991U KR200480240Y1 (ko) 2014-09-25 2014-09-25 해적 침입 방지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6991U KR200480240Y1 (ko) 2014-09-25 2014-09-25 해적 침입 방지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1096U KR20160001096U (ko) 2016-04-04
KR200480240Y1 true KR200480240Y1 (ko) 2016-04-28

Family

ID=557900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40006991U KR200480240Y1 (ko) 2014-09-25 2014-09-25 해적 침입 방지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0240Y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20406Y1 (ko) * 2006-04-11 2006-07-04 정상옥 수직사다리 출입통제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20406Y1 (ko) * 2006-04-11 2006-07-04 정상옥 수직사다리 출입통제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1096U (ko) 2016-04-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34697B1 (ko) 제 1 장치로부터 제 2 장치로 사람과 장비를 이동시키기 위한 갱웨이
KR20130124207A (ko) 선박과 해양 구조물 간의 이송을 촉진시키기 위한 도킹 장치
KR20150120364A (ko) 해양 수송 선박과 건축물 또는 선박 사이에 대상을 환승시키기 위한 개선된 장치 및 방법
KR20130000733U (ko) 선박의 앵커 주시용 플랫폼
KR101875083B1 (ko) 선체의 헬리콥터 데크
US9682750B2 (en) Passenger bridges for connection to a door in the side of a ship
KR200480240Y1 (ko) 해적 침입 방지 시스템
FI111528B (fi) Säilytysrakenne yhtä tai useampaa alusta varten merirakenteessa
RU2532036C1 (ru) Предохранительное устройство судоходного шлюза
KR20160014956A (ko) 선박용 침입 차단 계단
US10370067B2 (en) Dive platform system
EP3265376A1 (en) Extendable pedestal with personnel passageway
KR101716331B1 (ko) 승하선 사다리 장치
KR20160005930A (ko) 승하선 사다리의 전기식 텔레스코픽 시스템
KR101313189B1 (ko) 선박용 브리지 윙
KR20120109129A (ko) 선박의 모듈러 캐빈 탑재방법
RU2510356C1 (ru) Ограждение спасательных подводных аппаратов, установленных на подводном носителе
KR200470663Y1 (ko) 선박의 해적 침입 방호시스템
KR101973076B1 (ko) 선박
EP2714505A1 (en) A launch and retrieval system
EP3237283B1 (en) Ship rail security device
KR20150121298A (ko) 리그선의 리빙쿼터 구명보트 시스템
CN204507229U (zh) 反劫持船
WO2018065021A1 (en) An access arrangement for use with an offshore support structure for a wind turbine
KR101454337B1 (ko) 해상풍력발전기용 계류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