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54337B1 - 해상풍력발전기용 계류 장치 - Google Patents

해상풍력발전기용 계류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54337B1
KR101454337B1 KR1020120088672A KR20120088672A KR101454337B1 KR 101454337 B1 KR101454337 B1 KR 101454337B1 KR 1020120088672 A KR1020120088672 A KR 1020120088672A KR 20120088672 A KR20120088672 A KR 20120088672A KR 101454337 B1 KR101454337 B1 KR 1014543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wer
platform
rail
passage
shi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886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22264A (ko
Inventor
임석현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886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54337B1/ko
Publication of KR201400222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2226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543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543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06Moles; Piers; Quays; Quay walls; Groynes; Breakwaters ; Wave dissipating walls; Quay equipment
    • E02B3/062Constructions floating in operational condition, e.g. breakwaters or wave dissipating walls
    • E02B3/064Floating landing-sta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35/44Floating buildings, stores, drilling platforms, or workshops, e.g. carrying water-oil separating devic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20Equipment for shipping on coasts, in harbours or on other fixed marine structures, e.g. bollards
    • E02B3/24Mooring pos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20Equipment for shipping on coasts, in harbours or on other fixed marine structures, e.g. bollards
    • E02B3/26Fend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30/00Adapting or protecting infrastructure or their operation
    • Y02A30/30Adapting or protecting infrastructure or their operation in transportation, e.g. on roads, waterways or railway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70Wind energy
    • Y02E10/727Offshore wind turbi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Wind Motors (AREA)

Abstract

해상풍력발전기용 계류 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계류 장치는, 타워를 포함하는 해상풍력발전기용으로서, 타워가 관통 배치되는 관통부가 형성되고, 타워로 접근하는 선박이 계류 가능하도록 부유하는 플랫폼; 및 플랫폼에서 타워의 측면에 형성된 출입구를 연결하는 통로를 제공하는 통로 제공부를 포함하고, 통로 제공부는, 타워를 중심으로 나선 형상으로 연장되는 경사부가 형성되고, 타워를 중심으로 회전 이동하도록 상기 플랫폼에 지지되는 몸체; 및 몸체를 타워를 중심으로 회전 이동시키는 이동 수단을 포함한다.

Description

해상풍력발전기용 계류 장치{Mooring apparatus for offshore wind power generator}
본 발명은 해상풍력발전기용 계류 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해상풍력발전기와 관련된 인원 및 장비는 선박을 통해 운송된다. 인원 및 장비가 선박에서 해상풍력발전기로 옮겨지는 종래 방식을 살펴보면, 인원 및 장비를 실은 선박이 해상풍력발전기의 타워에 접근한다. 그리고 타워에 형성된 사다리 또는 케이블을 이용하여 선박에 실린 인원 및 장비가 타워의 측면에 형성된 출입구로 이동된다.
이와 같은 종래 방식의 경우, 인원 및 장비의 이동을 위해 선박이 타워에 접근해야 하기 때문에 선박과 타워의 충돌 위험이 있다. 그리고 사다리 또는 케이블에 의해 인원 및 장비가 이동해야 하기 때문에, 인원 및 장비의 이동이 매우 제한적이고, 해수면의 높낮이 변화에 대한 대응이 어려워 인원 및 장비의 추락 등 사고 위험이 높다.
그리고 해상풍력발전기의 유지 및 정비를 위한 선박으로 작은 배수량을 갖는 쾌속선을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와 같이 배수량이 작은 쾌속선은 해상 조건이 나빠지는 경우 해상풍력발전기로의 접근이 제한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타워로 접근하는 선박이 안정적으로 계류되고 인원 및 장비 등이 선박과 타워 사이에서 안정적으로 이동하도록 구성된 해상풍력발전기용 계류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타워를 포함하는 해상풍력발전기용 계류 장치로서, 상기 타워가 관통 배치되는 관통부가 형성되고, 상기 타워로 접근하는 선박이 계류 가능하도록 부유하는 플랫폼; 및 상기 플랫폼에서 상기 타워의 측면에 형성된 출입구를 연결하는 통로를 제공하는 통로 제공부를 포함하는, 계류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관통부의 내측면에는 상기 플랫폼과 상기 타워 사이에서 마찰이 일어나는 것을 방지하는 마찰 방지 롤러부가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마찰 방지 롤러부는 상기 플랫폼에 완충 지지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플랫폼에는 상기 선박이 유입 가능하도록 측면으로 개방된 접안부가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통로 제공부는, 상기 타워를 중심으로 나선 형상으로 연장되는 경사부가 형성되고, 상기 타워를 중심으로 회전 이동하도록 상기 플랫폼에 지지되는 몸체; 및 상기 몸체를 상기 타워를 중심으로 회전 이동시키는 이동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이동 수단은, 상기 타워를 중심으로 소정의 곡률 반경을 가지도록 상기 플랫폼 상에 형성되는 레일; 상기 몸체의 저면에 형성되고, 상기 레일이 삽입되는 레일 홈; 및 상기 레일 홈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레일과 접촉하여 회전하는 접촉 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경사부는 경사면 또는 계단 형태를 가질 수 있다.
한편, 상기 통로 제공부는, 상기 몸체가 상기 타워를 중심으로 회전 이동할 때, 상기 몸체에 회전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구동부는, 상기 플랫폼에 고정 지지되는 구동 모터; 상기 구동 모터에 의해 회전하는 구동 기어; 및 상기 몸체의 측면을 따라 형성되고, 상기 구동 기어와 맞물리는 종동 기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해상풍력발전기의 타워로 접근하는 선박은 부유식 플랫폼에 안정적으로 계류할 수 있고 플랫폼과 타워의 출입구 사이에 제공된 통로를 통해 인원 및 장비 등의 이동이 원활하게 수행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해상풍력발전기용 계류 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해상풍력발전기용 계류 장치의 측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해상풍력발전기용 계류 장치에 포함된 플랫폼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A부분을 확대한 도면이고,
도 5는 도 4에 도시된 마찰 방지 롤러의 설치 단면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6은 도 1에 도시된 플랫폼의 일 변형례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7은 도 1에 도시된 몸체의 저면도이고,
도 8은 도 1에 도시된 몸체의 일부 단면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9는 도 1에 도시된 통로 제공부에 포함된 구동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10 및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해상풍력발전기용 계류 장치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해상풍력발전기용 계류 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해상풍력발전기용 계류 장치의 측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해상풍력발전기용 계류 장치에 포함된 플랫폼의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해상풍력발전기용 계류 장치(10)(이하, 계류 장치(10)라 함)는 플랫폼(100)과 통로 제공부(300)를 포함한다. 이와 같은 계류 장치(10)는 해상풍력발전기(1)로 접근하는 선박(미도시)을 안정적으로 계류할 수 있고 선박과 해상풍력발전기(1) 사이의 인원(미도시) 및 장비(미도시) 등의 이동을 원활하게 할 수 있다.
해상풍력발전기(1)는 타워(5)를 포함할 수 있고, 타워(5)의 측면에는 출입구(5a)가 형성될 수 있다. 인원 및 장비 등은 출입구(5a)를 통해 타워(5)의 내부 및 외부 사이를 출입할 수 있다.
플랫폼(100)은 타워(5)로 접근하는 선박을 계류하기 위한 것으로 부유식으로 제작된다. 선박이 플랫폼(100)에 계류되면 선박과 타워(5)의 충돌을 피할 수 있고, 풍랑이 심한 경우에도 선박은 안정적으로 정박할 수 있다.
플랫폼(100)은 부력을 조절하는 발라스트 탱크(미도시)를 포함하거나 비중이 낮은 재료로 제작될 수 있다. 플랫폼(100)에 계류하는 선박과 타워(5) 사이에서 상호 이동하는 인원 및 장비 등은 플랫폼(100)을 경유하여 이동할 수 있다.
플랫폼(100)에는 선박을 계류할 때 사용하는 계류삭(Anchoring rope)을 매는 계선주(Mooring post)(110)가 형성될 수 있다. 계선주(110)는 플랫폼(100)의 가장자리에 배치될 수 있으나 이에 국한되지 않는다.
도 3을 참조하면, 플랫폼(100)에는 타워(5)(도 1, 2 참조)가 관통 배치되는 관통부(120)가 형성된다. 관통부(120)는 플랫폼(100)의 중앙에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국한되지 않는다. 관통부(120)가 형성된 플랫폼(100)은 해수면(W)(도 2 참조)의 변화에 따라 타워(5)의 길이방향으로 승강할 수 있다.
도 4는 도 3의 A부분을 확대한 도면이고, 도 5는 도 4에 도시된 마찰 방지 롤러부의 설치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 내지 5를 참조하면, 관통부(120)의 내측면에는 마찰 방지 롤러부(150)가 설치될 수 있다. 마찰 방지 롤러부(150)는 타워(5)(도 1, 2 참조)의 측면과 접촉 가능한 롤러(151) 및 롤러(151)를 플랫폼(100)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브라켓(152)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마찰 방지 롤러부(150)는 해수면(W)(도 2 참조)의 변화에 따라 플랫폼(100)이 승강하는 과정에서 롤러(151)가 관통부(120)의 내측면 보다 타워(5)의 측면에 먼저 접촉하여 회전하도록 작동함으로써 플랫폼(100)과 타워(5) 사이에서 마찰이 일어나는 것을 방지한다.
마찰 방지 롤러부(150)는 플랫폼(100)에 완충 지지될 수 있다. 이 경우, 플랫폼(100)이 수평방향으로 움직여 타워(5)가 마찰 방지 롤러부(150)를 충격할 때 해당 충격이 완충될 수 있다.
마찰 방지 롤러부(150)와 플랫폼(100) 사이에 완충 수단(160)이 개재될 수 있다.
완충 수단(160)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압 실린더(161)를 포함할 수 있다. 유압 실린더(161)는 실린더부(162)와 실린더부(162)에 삽입되는 피스톤부(163)를 포함할 수 있다.
실린더부(162)는 플랫폼(100)의 내측에 배치될 수 있고, 플랫폼(100)의 내측에 형성된 지지 부재(130)에 고정 지지될 수 있다. 실린더부(162)에서 연장되는 피스톤부(163)는 플랫폼(100)을 관통하여 관통부(120) 내에 배치된 마찰 방지 롤러부(150)와 결합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유압 실린더(161)는 타워(5)(도 1 참조)가 마찰 방지 롤러부(150)를 충격하면, 마찰 방지 롤러부(150)를 플랫폼(100)에 대해 완충 지지한다.
대안적으로 완충 수단(160)은 도시되지 않았으나 마찰 방지 롤러부(150)와 플랫폼(100) 사이에 개재되는 스프링을 포함할 수 있다.
마찰 방지 롤러부(15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일 수 있고, 복수의 마찰 방지 롤러부(150)는 관통부(120)의 내측면을 따라 이격 배치될 수 있다.
도 1 및 도 3을 참조하면, 플랫폼(100)은 상측에서 볼 때 사각형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 경우, 선박(미도시)은 플랫폼(100)의 4개의 측면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계류할 수 있다.
선박이 플랫폼(100)의 측면들 중 어느 하나에 계류하면, 선박의 일 측면만이 플랫폼(100)과 마주보게 된다. 이 경우, 선박과 마주보는 플랫폼(100)의 측부에 마련된 계선주(110)에 계류삭을 매어 선박을 계류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대안적으로 도 1에 도시된 플랫폼(100)이 변형된 플랫폼(101)이 제안될 수 있다. 플랫폼(101)에는 오목한 접안부(105)가 형성될 수 있다. 접안부(105)는 플랫폼(101)의 측면으로 개방된다. 접안부(105)에는 선박(미도시)이 유입될 수 있고, 접안부(105)에 유입된 선박은 3 면이 접안부(105)의 내측면들과 마주볼 수 있다. 이 경우, 접안부(105)의 주변에 배치된 계선주(110)에 계류삭(미도시)을 매어 선박을 계류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선박을 접안부(105)에 유입시켜 플랫폼(101)에 계류하면, 보다 안정적으로 선박을 계류할 수 있다.
도 1 및 2를 참조하면, 타워(5)의 출입구(5a)는 해수의 유입을 방지하기 위해 해수면(W) 보다 높은 위치에 형성된다. 따라서 해상에 부유하는 플랫폼(100)과 타워(5)의 출입구(5a) 사이에 높이차가 발생하여 플랫폼(100)과 출입구(5a)를 연결하는 통로가 필요하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통로 제공부(300)는 플랫폼(100)에서 타워(5)의 출입구(5a)까지 연장되는 통로를 제공한다. 이 경우, 플랫폼(100)에 계류된 선박과 타워(5)의 출입구(5a) 사이에서 인원 및 장비 등이 제공된 통로를 경유하여 안전하게 이동할 수 있다.
도 7은 도 1에 도시된 몸체의 저면도이고, 도 8은 도 1에 도시된 몸체의 일부 단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 2, 3, 7 및 8을 참조하면, 통로 제공부(300)는 몸체(310)와 이동 수단(33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몸체(310)는 플랫폼(100)과 출입구(5a)를 연결하는 통로를 형성하는 구조물로서 플랫폼(100)에 지지될 수 있다. 몸체(310)는 타워(5)를 중심으로 회전 이동 가능하게 플랫폼(100)에 지지된다.
몸체(310)에는 타워(5)를 중심으로 나선 형상으로 연장되는 경사부(311)가 형성될 수 있다.
경사부(311)의 적어도 일부는 플랫폼(100)과 타워(5)의 출입구(5a)를 연결하는 통로로 사용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플랫폼(100)은 해수면의 변화에 따라 승강할 수 있기 때문에 플랫폼(100)의 상면에서 출입구(5a)까지의 높이는 변할 수 있다. 이때, 플랫폼(100)에서 출입구(5a)까지의 높이에 따라 경사부(311)의 전체 또는 일부가 플랫폼(100)과 타워(5)의 출입구(5a)를 연결하는 통로로 사용될 수 있다. 경사부(311)가 플랫폼(100)과 타워(5)의 출입구(5a)를 연결하는 통로로 사용되는 과정은 후술한다.
경사부(311)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경사면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또는 경사부(311)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계단 형태를 가질 수 있다.
경사부(311)의 너비는 타워(5)의 출입구(5a)를 출입하는 인원 및 장비 등의 규모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이동 수단(330)은 몸체(310)를 타워(5)를 중심으로 회전 이동시킨다.
이동 수단(330)은 레일(331)과, 레일 홈(333)과 접촉 롤러(335)를 포함할 수 있다.
레일(331)은 플랫폼(100) 상에 형성되고, 타워(5) 또는 관통부(120)를 중심으로 소정의 곡률 반경을 가지도록 형성된다. 이 경우, 레일(331)은 관통부(120)를 둘러싸는 원형 궤도를 형성할 수 있다.
플랫폼(100) 상에는 하나 이상의 레일(331)이 형성될 수 있다. 도 1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레일(331)이 사용되는 경우, 복수의 레일(331)은 타워(5) 또는 관통부(120)를 중심으로 하는 동심원 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
레일 홈(333)은 몸체(310)의 저면에 형성된다. 레일 홈(333)에는 레일(331)이 삽입된다. 레일 홈(333)은 레일(331)과 대응하여 몸체(310)에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레일(331)이 사용되는 경우,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레일 홈(333)이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레일 홈(333)은 타워(5) 또는 관통부(120)를 중심으로 동심원 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
레일 홈(333) 내부에는 접촉 롤러(335)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레일(331)이 레일 홈(333)에 삽입되면 접촉 롤러(335)와 레일(331)은 접촉한다. 그리고 몸체(310)를 회전 이동 시킬 때 접촉 롤러(335)는 레일(331)과 접촉한 상태로 회전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이동 수단(330)은 몸체(310)가 타워(5)를 중심으로 회전 이동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이외에도 몸체(31)가 타워(5)를 중심으로 회전 이동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다양한 형태의 이동 수단이 제공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통로 제공부(300)는, 플랫폼(100)과 타워(5)의 출입구(5a) 사이의 거리에 따라 몸체(310)를 회전 이동하여 위치 조정함으로써 몸체(310)에 형성된 경사부(311)가 플랫폼(100)과 타워(5)의 출입구(5a)를 연결하는 통로를 형성하도록 작동한다.
예컨대, 몸체(31)가 도 1에 도시된 위치에 놓여있는 경우 몸체(310)에 형성된 경사부(311)는 플랫폼(100)과 출입구(5a)를 연결하는 통로를 형성하지 못한다. 따라서 경사부(311)가 플랫폼(100)과 출입구(5a)를 연결하는 통로를 형성하기 위해서, 몸체(310)가 회전 이동하여 위치 조정되어야 한다.
도시되지 않았으나 몸체(310)가 회전 이동하여 나선형 경사부(311)의 일 영역이 출입구(5a)와 상응하는 위치에 놓이도록 위치 조정되면, 해당 위치에 놓인 경사부(311)에 의해 플랫폼(100)과 출입구(5a)를 연결하는 통로가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경사부(311)의 일부는 플랫폼(100)과 출입구(5a)를 연결하는 통로로 사용될 수 있다.
한편,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타워(5)의 외측면 중 출입구(5a)의 하단면과 접하는 일측부에는 타워(5)의 외측으로 돌출된 연장 부재(320)가 형성될 수 있다. 연장 부재(320)는 몸체(310)가 회전 이동하여 위치 조정됨으로써 나선형 경사부(311)가 통로를 형성하는 경우 출입구(5a)와 경사부(311) 사이의 간극을 메워 인력 및 장비 등의 이동을 원활하게 할 수 있다.
연장 부재(320)는 통로를 형성하는 경사부(311)와 가까운 측 단부에서 경사부(311)와 동일한 경사면을 가질 수 있으나 이에 국한되지 않는다.
도 9는 도 1에 도시된 통로 제공부에 포함된 구동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참고로 도 1 등에서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 9의 구동부를 도시하지 않았다.
도 9를 참조하면, 통로 제공부(300)(도 1, 8 참조)는 몸체(310)가 타워(5)(도 1 참조)를 중심으로 회전 이동할 때 몸체(310)에 회전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부(3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구동부(350)는 구동 모터(351)와, 구동 기어(353)와, 종동 기어(355)를 포함할 수 있다.
구동 모터(351)는 플랫폼(100)에 고정 지지될 수 있다. 구동 모터(351)의 모터축에는 구동 기어(353)가 결합될 수 있고, 구동 기어(353)는 구동 모터(351)에 의해 회전할 수 있다.
구동 기어(353)와 맞물리는 종동 기어(355)는 몸체(310)의 측면에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종동 기어(355)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310)의 외측면에 형성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종동 기어(355)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몸체(310)의 내측면에 형성될 수 있다.
몸체(310)의 측면에 형성된 종동 기어(355)는 몸체(310)의 회전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구동부(350)는 구동 모터(351)가 회전할 때 구동 모터(351)의 회전 구동력이 구동 기어(353) 및 종동 기어(355)를 통해 몸체(310)에 전달되어 몸체(310)가 회전 이동하도록 작동한다. 이때, 구동 모터(351)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제어될 수 있다.
구동 모터(351)와 구동 기어(353)은 하우징(357)에 둘러싸일 수 있다. 이 경우, 구동 모터(351)과 구동 기어(353)가 해수 등에 노출되어 부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하우징(357)은 구동 모터(351)와 구동 기어(353)의 유지 보수를 위해 개폐 가능하다.
상술한 구동부(350) 외에도 몸체(310)를 회전 이동시키기 위한 다양한 형태의 구동부가 제안될 수 있음은 물론이고, 별도의 구동부 없이 작업자의 인력에 의해 몸체(310)가 회전 이동할 수 있다.
도 10 및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계류 장치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도 1, 10 및 11을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계류 장치(10)의 작동을 설명한다.
먼저 도 1을 참조하면, 타워(5)에 접근한 선박(미도시)은 플랫폼(100)에 계류된다. 이 경우, 선박에서 인력 및 장비 등이 플랫폼(100)으로 이동할 수 있다.
플랫폼(100)으로 이동한 인력 및 장비 등은 플랫폼(100)과 타워(5)의 출입구(5a)를 연결하는 통로를 통해 타워(5)의 내부로 이동할 수 있다.
이때, 통로는 통로 제공부(300)에 의해 제공되는데, 몸체(310)가 도 1에 도시된 위치에 놓인 경우, 몸체(310)의 경사부(311)는 통로를 형성하지 못한다. 따라서 도 1에 도시된 상황에서 몸체(310)에 형성된 나선형 경사부(311)가 통로를 형성하기 위해서는 몸체(310)가 타워(5)를 중심으로 회전 이동하여 위치 조정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몸체(310)는 도 1에 도시된 위치에서 도 10에 도시된 위치로 회전 이동하여 위치 조정된다. 몸체(310)가 도 10에 도시된 위치에 놓인 경우,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경사부(311)의 일 영역이 타워(5)의 출입구(5a)와 상응하는 위치에 놓이게 된다. 이 경우, 경사부(311)는 플랫폼(100)과 타워(5)의 출입구(5a)를 연결하는 통로로 사용될 수 있다.
해수면의 상승으로 인해 플랫폼(100)이 도 10에 도시된 위치에서 도 11에 도시된 위치로 상승하면, 몸체(310)는 도 10에 도시된 위치에서 도 11에 도시된 위치로 회전 이동하여 위치 조정될 수 있다.
몸체(310)가 도 11에 도시된 위치로 위치 조정되면,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경사부(311)의 일 영역이 타워(5)의 출입구(5a)와 상응하는 위치에 놓이게 된다. 이 경우, 경사부(311)는 플랫폼(100)과 타워(5)의 출입구(5a)를 연결하는 통로를 형성한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성 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또는 추가 등에 의해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며,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5 : 타워 5a: 출입구
10 : 해상풍력발전기용 계류 장치 100, 101 : 플랫폼
110 : 계선주 120 : 관통부
130 : 지지 부재 150 : 마찰 방지 롤러부
151 : 롤러 152 : 브라켓
160 : 완충 수단 161 : 유압 실린더
162 : 실린더부 163 : 피스톤부
300 : 통로 제공부 310 : 몸체
311 : 경사부 320 : 연결 부재
330 : 이동 수단 331 : 레일
333 : 레일 홈 335 : 접촉 롤러
350 : 구동부 351 : 구동 모터
353 : 구동 기어 355 : 종동 기어

Claims (9)

  1. 타워를 포함하는 해상풍력발전기용 계류 장치로서,
    상기 타워가 관통 배치되는 관통부가 형성되고, 상기 타워로 접근하는 선박이 계류 가능하도록 부유하는 플랫폼; 및
    상기 플랫폼에서 상기 타워의 측면에 형성된 출입구를 연결하는 통로를 제공하는 통로 제공부를 포함하고,
    상기 통로 제공부는,
    상기 타워를 중심으로 나선 형상으로 연장되는 경사부가 형성되고, 상기 타워를 중심으로 회전 이동하도록 상기 플랫폼에 지지되는 몸체; 및
    상기 몸체를 상기 타워를 중심으로 회전 이동시키는 이동 수단을 포함하는, 해상풍력발전기용 계류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부의 내측면에는 상기 플랫폼과 상기 타워 사이에서 마찰이 일어나는 것을 방지하는 마찰 방지 롤러부가 설치되는, 해상풍력발전기용 계류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마찰 방지 롤러부는 상기 플랫폼에 완충 지지되는, 해상풍력발전기용 계류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랫폼에는 상기 선박이 유입 가능하도록 측면으로 개방된 접안부가 형성되는, 해상풍력발전기용 계류 장치.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수단은,
    상기 타워를 중심으로 소정의 곡률 반경을 가지도록 상기 플랫폼 상에 형성되는 레일;
    상기 몸체의 저면에 형성되고, 상기 레일이 삽입되는 레일 홈; 및
    상기 레일 홈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레일과 접촉하여 회전하는 접촉 롤러를 포함하는, 해상풍력발전기용 계류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부는 경사면 또는 계단 형태를 갖는, 해상풍력발전기용 계류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로 제공부는,
    상기 몸체가 상기 타워를 중심으로 회전 이동할 때, 상기 몸체에 회전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부를 더 포함하는, 해상풍력발전기용 계류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상기 플랫폼에 고정 지지되는 구동 모터;
    상기 구동 모터에 의해 회전하는 구동 기어; 및
    상기 몸체의 측면을 따라 형성되고, 상기 구동 기어와 맞물리는 종동 기어를 포함하는, 해상풍력발전기용 계류 장치.
KR1020120088672A 2012-08-14 2012-08-14 해상풍력발전기용 계류 장치 KR1014543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88672A KR101454337B1 (ko) 2012-08-14 2012-08-14 해상풍력발전기용 계류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88672A KR101454337B1 (ko) 2012-08-14 2012-08-14 해상풍력발전기용 계류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22264A KR20140022264A (ko) 2014-02-24
KR101454337B1 true KR101454337B1 (ko) 2014-10-23

Family

ID=502682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88672A KR101454337B1 (ko) 2012-08-14 2012-08-14 해상풍력발전기용 계류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5433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575388B (zh) * 2023-04-25 2024-02-23 海底鹰深海科技股份有限公司 光纤防御网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688238B2 (ja) * 1999-09-30 2005-08-24 アロイス・ヴォベン 荷揚げ桟橋
JP2007040044A (ja) * 2005-08-05 2007-02-15 Molten Corp 係留装置
KR20120067357A (ko) * 2009-09-14 2012-06-25 에이데 마린 서비시즈 에이에스 선박의 배치 및 회수용 해양 장비
KR20120083590A (ko) * 2011-01-18 2012-07-26 한국전력공사 슬라이딩 사다리를 이용한 해상구조물 접근 유닛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688238B2 (ja) * 1999-09-30 2005-08-24 アロイス・ヴォベン 荷揚げ桟橋
JP2007040044A (ja) * 2005-08-05 2007-02-15 Molten Corp 係留装置
KR20120067357A (ko) * 2009-09-14 2012-06-25 에이데 마린 서비시즈 에이에스 선박의 배치 및 회수용 해양 장비
KR20120083590A (ko) * 2011-01-18 2012-07-26 한국전력공사 슬라이딩 사다리를 이용한 해상구조물 접근 유닛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22264A (ko) 2014-02-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38081B1 (ko) 풍력 발전 단지
EP2520485B1 (en) System and method for mooring a floating vessel against a stationary object
JP4091549B2 (ja) 風力発電施設
SG175231A1 (en) Device and method for launching an underwater moving body
WO2020009570A1 (en) Motion compensated transfer system, vessel and use thereof
FR2577510A1 (fr) Bateau de transbordement vertical et horizontal
KR20130000733U (ko) 선박의 앵커 주시용 플랫폼
KR101454337B1 (ko) 해상풍력발전기용 계류 장치
CN106143829A (zh) 单浮移动离船检测平台
KR101737125B1 (ko) 슬라이딩 사다리를 이용한 해상구조물 접근 유닛
RU2466902C2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перемещения якорей
KR101785080B1 (ko) 부유식 해양구조물용 계류장치
KR101016638B1 (ko) 소형 선박 인양장치
KR101644344B1 (ko) 해양구조물용 난간
PT107881B (pt) Dispositivo mecânico para conversão da energia cinética das correntes marinhas ou fluviais em energia potencial para posterior conversão em energia elétrica
CN204587257U (zh) 单浮移动离船检测平台
US20160153584A1 (en) Device for laying an elongate element in a stretch of water, associated installation and associated method
US8215889B2 (en) System and method for high current recovery cursor
JPH07101379A (ja) 浮揚構造物の係留構造
KR101505799B1 (ko) 캐니스터식 스러스터
KR20100095805A (ko) 와이어 로프를 이용한 부두 설치용 자동 승강식 승하선용 선교
US20120103242A1 (en) Self-propelled boat dock system
KR101549198B1 (ko) 부유식 바지선을 갖는 드라이 도크
KR20080101307A (ko) 선박의 승하선 장치
KR101487671B1 (ko) 캐니스터식 스러스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