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32923A - 자동차용 도어 잠금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도어 잠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32923A
KR20150032923A KR20130112197A KR20130112197A KR20150032923A KR 20150032923 A KR20150032923 A KR 20150032923A KR 20130112197 A KR20130112197 A KR 20130112197A KR 20130112197 A KR20130112197 A KR 20130112197A KR 20150032923 A KR20150032923 A KR 2015003292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ver
foul
pawl
shaft
rele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1121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17025B1 (ko
Inventor
안기륜
Original Assignee
평화정공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평화정공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평화정공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1121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17025B1/ko
Publication of KR201500329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3292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170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170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3/00Vehicle lock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types of wing or vehicle
    • E05B83/36Locks for passenger or like doo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79/00Mounting or connecting vehicle locks or parts thereof
    • E05B79/02Mounting of vehicle locks or parts thereof
    • E05B79/08Mounting of individual lock elements in the lock, e.g. leve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79/00Mounting or connecting vehicle locks or parts thereof
    • E05B79/10Connections between movable lock par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5/00Details of vehicle locks not provided for in groups E05B77/00 - E05B83/00
    • E05B85/20Bolts or detents
    • E05B85/24Bolts rotating about an axis
    • E05B85/243Bolts rotating about an axis with a bifurcated bolt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5/00Details of vehicle locks not provided for in groups E05B77/00 - E05B83/00
    • E05B85/20Bolts or detents
    • E05B85/24Bolts rotating about an axis
    • E05B85/26Cooperation between bolts and detents

Landscapes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의 도어에 설치되어 마운팅홀에 차체에 고정된 스트라이커를 수용한 래치기어를 구속하여 도어를 잠금하는 자동차용 도어 잠금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서는 개구부의 양편에 제 1 축과 제 2 축이 이격되게 형성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 형성된 제 1 축에 회동구조로 설치되며, 스트라이커를 구속하는 마운팅홀과 하나 이상의 걸림부가 형성된 래치기어와; 상기 하우징에 형성된 제 2 축에 회동구조로 설치되며, 상기 래기기어의 견착부를 견착하는 구속단이 형성돤 파울; 및 상기 파울이 설치된 제 2 축에 회동구조로 설치되며, 파울과 외부 핸들레버 사이를 연동시키는 릴리즈 레버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파울의 편심부에는 상향 돌출된 연동단이 형성되고, 상기 파울이 설치된 제 2 축에는 파울과 분리 제작되어 파울의 연동단과 일방향 링크구조를 형성한 링크단이 형성된 파울 리프트 레버가 회동구조로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자동차용 도어 잠금장치{Door ratch for automobile}
본 발명은 자동차용 도어 잠금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자동차의 도어에 설치되어 마운팅홀에 차체에 고정된 스트라이커를 수용한 래치기어를 구속하여 도어를 잠금하는 자동차용 도어 잠금장치에 관한 것이다.
차량의 시건과 잠금기능을 도모하는 자동차용 도어 잠금장치는, 개구부가 형성된 하우징에 마운팅홀이 형성된 래치기어와 상기 래치기어의 걸림단을 견착하여 구성하는 파울이 탄력적으로 각각 제 1 축과 제 2 축을 통해 회동구조로 설치된 형태이다.
상기 래치기어에는 파울에 형성된 구속단에 의해 견착되는 걸림부가 형성되어, 상기 스트라이커를 구속한 래치기어는 파울에 의해 구속되어서, 도어의 잠금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즉, 최초 스트라이커가 래치기어의 마운팅 홀에 진입하면 래치기어는 일방향으로 회전되고, 이때 래치기어는 걸림부를 통해 파울의 구속단에 구속되어서 도어의 잠금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한편, 최근에는 파울에 길게 연장된 파울 리프트 레버를 형성하고 상기 파울 리프트 레버에 내부 핸들레버를 링크구조로 연결하여, 락링크에 의한 파울과 릴리즈 레버의 연동상태와 상관없이 내부 핸들레버의 조작에 의해 파울이 회전하여 파울에 의한 래치기어의 구속을 해제시키는 오버라이드 기능을 갖도록 함으로써, 운전석에서 보다 신속하게 도어를 개방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내부 핸들레버와 파울을 상호 연동시키기 위해 파울에 파울 리프트 레버를 길게 연장하면, 파울의 길이가 길어져 설계적으로 파울을 일방향으로 탄지하는 스프링의 강도를 키워야하므로, 파울의 리턴 작용시 과도한 소음이 유발된다.
특히, 차량의 측면 충돌시 길게 연장된 파울 리프트 레버에 가해진 충격이 파울에 전달되어서, 파울에 의한 래치기어의 구속이 임의 해제되어 도어가 무단 개방되는 소지를 갖는다.
또한, 종래 자동차용 도어 잠금장치는 릴리즈 레버의 편심단을, 외부 핸들레버의 편심단에 설치된 연동핀이 견착하여 회전하도록 구성된 형태로 이루어져 왔다.
그런데, 선회하는 외부 핸들레버의 연동핀은 릴리즈 레버의 편심단을 미끌림하고, 결과적으로 외부 핸들레버와 릴리즈 레버가 상호 연동하여 회전하는 과정에 잦은 소음과 릴리즈 레버의 편심단의 물리적 손상이 초래되는 문제점이 지적되고 있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본 발명의 목적은, 차체의 측면 충돌시 파울 리트프 레버에 가해지는 충격에 의한 파울과 래치기어의 구속이 임의 해체되는 것을 방지하여 향상된 안전성을 확보하고, 또 고장력의 스프링을 채택하지 아니하고도 파울의 리턴이 가능하도록 하여 소음 발생을 억제한 자동차용 도어 잠금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은, 본 발명에서 제공되는 하기 구성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도어 잠금장치는,
개구부의 양편에 제 1 축과 제 2 축이 이격되게 형성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 형성된 제 1 축에 회동구조로 설치되며, 스트라이커를 구속하는 마운팅홀과 걸림부가 형성된 래치기어와;
상기 하우징에 형성된 제 2 축에 회동구조로 설치되며, 상기 래기기어의 견착부를 견착하는 구속단이 형성돤 파울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파울이 설치된 제 2 축에는 파울과 분리 제작되어 파울의 연동단과 일방향 링크구조를 형성한 파울 리프트 레버가 회동구조로 설치되고, 상기 파울 리프트 레버는 내부 핸들레버와 링크구조로 연결되어서,
내부 핸들레버에 의해 연동하여 회전하는 파울 리프트 레버는, 파울 리프트 레버와 분리 제작되어 제 2 축에 적층되게 설치된 파울이 일방향으로 견착 및 회전시켜, 파울에 의한 래치기어의 구속을 해제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파울의 편심부에는 상향 돌출된 연동단이 형성되고, 상기 파울이 설치된 제 2 축에 설치된 파울 리프트 레버에는 연동단과 일방향 링크구조를 형성하는 링크단이 형성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파울이 설치된 제 2 축에 회동구조로 설치되며 해정슬롯이 형성된 릴리즈 레버가 설치되고, 상기 해정슬롯에는 락링크의 락핀이 진퇴구조로 설치되어서, 상기 락링크에 형성된 락핀의 변위에 의해 릴리즈 레버와 파울 사이의 연동상태가 설정되도록 구성한다.
그리고, 상기 릴리즈 레버의 일편에는 외부 핸들레버가 제 3 축을 통해 회동구조로 설치되고, 외부 핸들레버와 릴리즈 레버에는 상호 당접하는 기어 연동부가 대응되게 형성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래치기어를 구속하는 파울과 내부 핸들레버와 연동하여 회전하는 파울 리프트 레버를 분리 구성하고, 이들 사이에 일방향 링크 구조를 형성하여 래치기어의 구속과정에 파울이 독립적으로 정역 회전하여 래치기어를 구속하도록 하고 있다.
따라서, 파울에 의한 래치기어의 구속과정에 내부 핸들레버와 링크구조를 형성한 파울 리프트 레버는 고정된 상태를 형성하므로 파울 리프트 레버의 회전에 따른 소음 발생이 방지되고, 특히 차량의 측면 충돌시 파울 리프트 레버에 가해지는 외부 충격이 파울에 전달되어 파울에 의한 래치기어의 구속상태가 해체되어서, 도어가 무단 개방되는 현상이 예방되므로 향상된 안정성을 갖는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하우징에 회동구조로 설치된 릴리즈 레버와 외부 핸들레버 사이에 당접부를 형성하고 이들 당접부에 기어구조를 대응되게 형성하여, 릴리즈 레버와 내부 핸들레버가 상호 치합하여 연동되도록 하고 있다.
따라서, 상기 릴리즈 레버와 외부 핸들 레버의 정교하고 부드러운 연동작용이 이룩되므로, 소음 발생이 저감되고 또 우수한 작동 안정성이 확보된다.
도 1과 도 2는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자동차용 도어 잠금장치의 전체 구성을 보여주는 것이고,
도 3은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자동차용 도어 잠금장치에 있어, 외부 핸들레버와 릴리즈 레버를 통한 도어의 개방과정을 순차적으로 보여주는 것이고,
도 4는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자동차용 도어 잠금장치에 있어, 내부 핸들레버와 파울 리프트 레버를 통한 도어의 개방과정을 순차적으로 보여주는 것이며,
도 5는 상기 도 3의 'A'부분의 확대 구성을 보여주는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자동차용 도어 잠금장치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과 도 2는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자동차용 도어 잠금장치의 전체 구성을 보여주는 것이고, 도 3은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자동차용 도어 잠금장치에 있어, 외부 핸들레버와 릴리즈 레버를 통한 도어의 개방과정을 순차적으로 보여주는 것이고, 도 4는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자동차용 도어 잠금장치에 있어, 내부 핸들레버와 파울 리프트 레버를 통한 도어의 개방과정을 순차적으로 보여주는 것이며, 도 5는 상기 도 3의 'A'부분의 확대 구성을 보여주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자동차용 도어 잠금장치(1)는, 도 1 내지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개구부(10a)의 양편에 제 1 축(11)과 제 2 축(12)이 이격되게 형성된 하우징(10)과; 상기 하우징(10)에 형성된 제 1 축(11)에 회동구조로 설치되며, 스트라이커(S)를 구속하는 마운팅홀(21)과 하나 이상의 견착부(22)가 형성된 래치기어(20)와; 상기 하우징(10)에 형성된 제 2 축(20)에 회동구조로 설치되며, 상기 래기기어(20)의 견착부(22)를 견착하는 구속단(31)이 형성돤 파울(30)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하우징(10)의 하부에는 래치기어(20)와 파울(30)이 좌우 이격되게 설치되며, 통상 상기 제 1 축(11)에 설치된 래치기어(20)과 제 2 축(12)에 설치된 파울(30)은 탄지 스프링(미도시)의 탄지작용에 의해 상호 다른 방향성을 갖도록 구성된다. *** 도면상의 미설명 부호 10b는 베이스 플레이트임.***
따라서, 차체에 고정된 스트라이커(S)의 진입에 의해 래치기어(20)가 일방향으로 회전하면 파울(30)은 구속단(31)을 통해 래치기어(20)의 걸림부(22)를 견착시켜, 차체에 고정된 스트라이커(S)를 구속한 래치기어(20)를 구속시킨 도어의 잠금상태를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파울(30)이 설치된 제 2 축(12)에는 릴리즈 레버(50)가 적층되게 설치되고, 상기 릴리즈 레버(40)의 일편에는 외부 핸들레버(60)가 제 3 축(13)을 통해 회동구조로 설치되어서,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릴리즈 레버(50)는 외부 핸들의 조작에 의해 일방향으로 등각 회전하는 외부 핸들레버(60)와 연동하여 회전하도록 구성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 2 축(12)에 설치된 릴리즈 레버(50)와 제 3 축(13)에 설치된 외부 핸들레버(60)에 상호 당접하는 기어 연동부(51, 61)를 대응되게 형성하여, 이들 릴리즈 레버(50)와 외부 핸들레버(60)는 기어 연동부(51, 61)를 통해 기어구조로 치합된 상태로 상호 연동하여 회전하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릴리즈 레버(50)는 플라스틱 사출품으로 구성되고 이와 기어구조로 치합되는 외부 핸들레버(60)의 기어 연동부(61)의 표면에는 플라스틱 피막층이 형성된다.
그리고, 도 6과 같이 상기 릴리즈 레버(50)에는 곡면의 치합돌기를 갖는 원호형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외부 핸들레버(50)에는 캠형의 치합돌기가 형성된다.
상기 기어 연동부(51, 61)에는 윤활유가 도포되어서, 이들 릴리즈 레버(50)와 외부 핸들레버(60)는 상호 치합되는 기어 연동부(51, 61)를 통해 보다 정교하고 부드럽게 연동하여 회전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래치기어(20)를 구속한 파울(30)과 외부 핸들레버(60)에 의해 연동하여 회전하는 릴리즈 레버(50) 사이에는 센트롤락 구조가 마련되어, 릴리즈 레버(50)와 파울(30) 사이의 연동상태가 설정되도록 한다.
상기 센트롤락 구조는, 파울(30)이 설치된 제 2 축(12)에 회동구조로 설치되며 해정슬롯(52)이 형성된 릴리즈 레버(50)와; 상기 해정슬롯(52)에 진퇴구조로 설치된 락핀(81)을 변위시켜 락핀(81)을 통한 릴리즈 레버(50)와 파울(30) 사이의 연동상태를 설정하는 락링크(80)를 포함한다.
따라서, 락모듈(미도시)에 형성된 락레버가 정방향으로 회전하여 락링크(80)의 락핀(81)이 해정슬롯(52)을 따라 전진하면, 릴리즈 레버(50)와 파울(30)이 상호 비 연동하는 센트롤락이 설정된다.
즉, 외부 핸들레버(60)에 의해 릴리즈 레버(50), 및 락링크(80)의 락핀(81)이 선회하더라도, 락핀(81)의 선회 궤적 상에 파울(30)의 연동단(32)이 위치하지 아니하므로 릴리즈 레버(50)는 공회전하고, 결과적으로 파울(30)에 의한 래치기어(20)의 구속상태는 유지된다.
그러나,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락모듈에 형성된 락레버(미도시)가 역방향으로 회전하여 락링크(80)의 락핀(81)이 해정슬롯(52)을 따라 후퇴하여 릴리즈 레버(50)와 파울(30)이 상호 연동하는 센트롤 언락이 설정되면, 릴리즈 레버(50)와 파울(30)이 상호 연동하는 센트롤 언락이 설정된다.
이 상태에서는, 외부 핸들레버(60)에 의해 릴리즈 레버(50), 및 락링크(80)의 락핀(81)이 선회하면 락핀(81)은 파울(30)을 견착하여 일방향으로 선회시켜서, 파울(30)에 의한 래치기어(20)의 구속을 해제한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내부 핸들레버(70)의 조작에 의해 파울(30)에 의한 래치기어(20)의 구속이 신속히 해제되도록 하는 편익기능을 마련하여, 별도의 센트롤 락을 해제하는 번거로움 없이 내부 핸들의 조작을 통해 파울(30)에 의한 래치기어(20)의 구속을 신속히 해체하여 도어의 개방에 따른 신속성이 확보되도록 한다.
이를 위해,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파울(30)의 편심부에 상향 돌출된 연동단(32)을 형성하고, 상기 파울(30)이 설치된 제 2 축(12)에 파울(30)과 분리 제작되어 파울(30)의 연동단(32)과 일방향 링크구조를 형성하는 링크단(41)이 형성된 파울 리프트 레버(40)가 회동구조로 설치한다.
따라서, 사용자가 도 4와 도 5와 같이 내부 핸들(미도시)을 조작하여 내부 핸들레버(70)를 회전시키면, 상기 내부 핸들레버(70)의 회전에 의해 파울(30)과 분리 구성된 파울 리프트 레버(40)는 일방향으로 회전하고, 이러한 과정에 파울 리프트 레버(40)는 링크단(41)을 통해 래치기어(20)를 구속한 파울(30)을 일방향으로 연동되게 회전시켜서, 파울(30)에 의한 래치기어(20)의 구속을 해제시켜서 신속한 도어의 개방을 도모한다.
그리고, 본 실시예와 같이 래치기어를 구속하는 파울에 길게 연장된 파울 리프트 레버를 일체로 형성하지 아니하고, 종래 단일 몸체로 제작되던 파울(30)과 파울 리프트 레버(40)를 분리 제작하고 이들 파울(30)과 파울 리프트 레버(40)를 제 2 축에 적층되게 설치, 및 일방향 연동구조를 형성하면,
파울 리트프 레버(40)가 일체로 형성된 파울(30)에 대비하여 길이가 짧은 관계로 적은 토크를 갖는 스프링을 통해서 파울과 파울 리프트 레버를 탄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리고, 래치기어(20)의 구속과정에 파울(30)의 독립적인 정역 회전이 가능하고, 결과적으로 스트라이커의 진입에 의해 일방향으로 회전되는 래치기어(20)를 파울(30)이 정역 회전하면서 구속하는 과정에, 내부 핸들레버와 링크 구조를 형성한 파울 리프트 레버(40)는 파울(30)과 연동하여 회전되지 아니하고 고정된 상태를 형성하므로, 파울 리프트 레버 및 내부 핸들레버의 작용에 따른 진동이나 소음 발생이 저감된다.
특히, 차량의 측면 충돌시 종래 파울에서 길게 연장된 파울 리프트 레버에 가해지는 외부 충격이 파울에 직접 전달되어서, 파울에 의한 래치기어의 구속상태가 해체되는 소지를 미연에 예방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도어 잠금장치는 파울과 파울 리프트 레버가 분리 구성된 관계로, 차량의 측면 충돌시 내부 핸들레버와 링크구조를 형성한 파울 리프트 레버에 외부 충격이 가해지더라도, 파울과 파울 리트프 레버는 분리 구성된 관계로 파울에 의한 래치기어의 구속상태를 유지될 수 있어서 보다 향상된 안전성이 확보될 수 있다.
1. 자동차용 도어 잠금장치
10. 하우징 10a. 개구부
10b. 베이스 플레이트 10c. 백 플레이트
11. 제 1 축 12. 제 2 축
13. 제 3 축 14. 레일홈
20. 래치기어 21. 마운팅 홀
22. 견착부
30. 파울 31. 구속단
32. 연동단 33. 해정단
40. 파울 리프트 레버 41. 링크단
50. 릴리즈 레버 51. 기어 당접부
52. 해정슬롯
60. 외부 핸들레버 61. 기어 당접부
70. 내부 핸들레버
80. 락링크 81. 락핀
82. 가이드 돌기

Claims (3)

  1. 개구부의 양편에 제 1 축과 제 2 축이 이격되게 형성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 형성된 제 1 축에 회동구조로 설치되며, 스트라이커를 구속하는 마운팅홀과 걸림부가 형성된 래치기어와;
    상기 하우징에 형성된 제 2 축에 회동구조로 설치되며, 상기 래기기어의 견착부를 견착하는 구속단이 형성돤 파울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파울이 설치된 제 2 축에는 파울과 분리 제작되어 파울의 연동단과 일방향 링크구조를 형성한 파울 리프트 레버가 회동구조로 설치되고, 상기 파울 리프트 레버는 내부 핸들레버와 링크구조로 연결되어서,
    내부 핸들레버에 의해 연동하여 회전하는 파울 리프트 레버는, 파울 리프트 레버와 분리 제작되어 제 2 축에 적층되게 설치된 파울이 일방향으로 견착 및 회전시켜, 파울에 의한 래치기어의 구속을 해제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도어 잠금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파울의 편심부에는 상향 돌출된 연동단이 형성되고, 상기 파울이 설치된 제 2 축에 설치된 파울 리프트 레버에는 연동단과 일방향 링크구조를 형성하는 링크단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도어 잠금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파울이 설치된 제 2 축에 회동구조로 설치되며 해정슬롯이 형성된 릴리즈 레버가 설치되고, 상기 해정슬롯에는 락링크의 락핀이 진퇴구조로 설치되어서,
    상기 락링크에 형성된 락핀의 변위에 의해 릴리즈 레버와 파울 사이의 연동상태가 설정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도어 잠금장치.
KR1020130112197A 2013-09-17 2013-09-17 자동차용 도어 잠금장치 KR1015170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12197A KR101517025B1 (ko) 2013-09-17 2013-09-17 자동차용 도어 잠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12197A KR101517025B1 (ko) 2013-09-17 2013-09-17 자동차용 도어 잠금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32923A true KR20150032923A (ko) 2015-03-31
KR101517025B1 KR101517025B1 (ko) 2015-05-04

Family

ID=530256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12197A KR101517025B1 (ko) 2013-09-17 2013-09-17 자동차용 도어 잠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17025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17025B1 (ko) 2015-05-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276968B2 (en) Locking device
KR101492273B1 (ko) 전동 스티어링 락 장치
JP5736468B2 (ja) 座席の折り畳み式背もたれ用ロック装置
KR101935921B1 (ko) 차량용 도어래치
CN108291412B (zh) 锁止装置
JP2014134087A (ja) 車両ドアロック装置
JP2015096683A (ja) ドアラッチ装置
JP5421083B2 (ja) ドアロック装置
CN217581693U (zh) 门锁装置
KR101517025B1 (ko) 자동차용 도어 잠금장치
KR101593118B1 (ko) 차량의 연료주입구 도어 잠금장치
JP2004052471A (ja) メカキー及びメカキーを収容した携帯機
KR101470440B1 (ko) 자동차용 도어래치
KR100727187B1 (ko) 도어 래치
CN112900993B (zh) 一种车门锁及车门
KR100786541B1 (ko) 휠 레버형 차량용 테일 게이트 래치
JP6251011B2 (ja) ドアラッチ装置
JP5994151B2 (ja) ドアロック装置のカウンタウェイト取付構造
JP5411640B2 (ja) シートバックの固定装置
CN213953299U (zh) 具有双锁芯机构拖车门安防锁
JP4881754B2 (ja) 自動車用ドアハンドル装置
CN215369261U (zh) 一种自吸式车用门锁
CN112227848A (zh) 具有双锁芯机构拖车门安防锁
KR102172529B1 (ko) 전동식 차일드락 도어래치
JP3874579B2 (ja) 車載用機器の前面パネル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