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31000A - 케이블 트레이용 클램프 - Google Patents

케이블 트레이용 클램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31000A
KR20150031000A KR20130110436A KR20130110436A KR20150031000A KR 20150031000 A KR20150031000 A KR 20150031000A KR 20130110436 A KR20130110436 A KR 20130110436A KR 20130110436 A KR20130110436 A KR 20130110436A KR 20150031000 A KR20150031000 A KR 2015003100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amp
fixing
rung
cable
fix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1104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13133B1 (ko
Inventor
김동수
Original Assignee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1104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13133B1/ko
Publication of KR201500310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310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131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131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30Installations of cables or lines on walls, floors or ceilings
    • H02G3/32Installations of cables or lines on walls, floors or ceilings using mounting clam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00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 F16L3/16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with special provision allowing movement of the pipe
    • F16L3/18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with special provision allowing movement of the pipe allowing movement in axial direction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6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laying cables, e.g. laying apparatus on vehic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lamps And Clips (AREA)
  • Details Of Indoor Wiring (AREA)

Abstract

케이블 트레이용 클램프에 관한 것으로, 일정한 크기를 갖는 클램프 본체, 상기 클램프 본체의 양측에 각각 이동 가능하게 고정되는 클램프 렁을 마련하여 무게를 최소화하여 장착에 따른 작업 강도를 줄이게 되고, 고정수단의 조작만으로 클램프를 설치할 수 있어 간편하게 설치할 수 있으며, 서로 다른 케이블 트레이에도 자유롭게 장착할 수 있다는 효과가 얻어진다.

Description

케이블 트레이용 클램프{Clamp for Cable Tray}
본 발명은 케이블 트레이용 클램프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케이블 트레이의 크기 및 형태에 관계없이 용이하게 장착되는 케이블 트레이용 클램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선박이나 산업 현장 및 건물 등 각종 전선(CABLE)을 다발 형태로 배치하는 곳에서는 전선을 보호하기 위한 목적으로 케이블 트레이(CABLE TRAY)를 설치하고 있다. 이러한 케이블 트레이는 케이블을 보호하는 기능뿐만 아니라 케이블의 배치 경로를 확보하는 역할도 수행한다.
케이블을 포설하는 방법으로는 케이블을 견인하여 포설하는 방법, 케이블을 밀어서 포설하는 방법 등 다양한 방법이 사용된다. 이때 케이블에 가해지는 힘이 케이블 및 케이블 트레이 사이에 작용하는 마찰력보다 클 경우에는 케이블이 원활하게 포설되지 않으며 케이블의 피복이 손상되는 경우도 있다.
케이블 트레이는 한 쌍의 사이드 레일(side rail 또는 트레이 렁)과 트레이 렁 사이를 연결하는 복수의 수평 지지대를 포함한다. 케이블은 케이블 트레이에 의해 지지되어 포설된다.
한편 생산의 많은 부분을 차지하는 해양구조물 등의 프로젝트에서는 상선보다 포설해야 하는 케이블의 양이 많을 뿐만 아니라 케이블 포설의 난이도 또한 어려운 구간이 많아 많은 인력이 투입되고 있다.
이와 같이 많은 인력이 투입되는 만큼 3D(dirty, difficult, dangerous)에 가까운 근무환경으로 인해 근무자들이 단기간으로 교체되는 일이 빈번하다.
예를 들어, 하기 특허문헌 1에는 '케이블 포설용 보조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하기 특허문헌 1의 케이블 포설용 보조장치는 제1 결합공이 형성된 제1 지지블록, 상기 제1 결합공과 수직한 제2 결합공이 형성된 제2 지지블록, 양단부에 상기 제1 지지블록 및 상기 제2 지지블록이 결합되고 상기 제1 결합공 및 상기 제2 결합공에 수직한 지지샤프트를 포함하는 본체, 상기 지지샤프트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지지롤러, 일측에 개방부가 형성되고, 일단부는 상기 제1 지지블록에 상기 제2 결합공과 나란한 축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타단부는 상기 제2 지지블록에 분리 가능하게 체결된 홀딩샤프트를 구비한다.
상기 홀딩사프트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복수의 홀딩롤러 및 상기 제1 결합공 또는 상기 제2 결합공 중 어느 하나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그립블록 조립체를 포함하고, 상기 그립블록 조립체는 상기 제1 결합공 또는 상기 제2 결합공에 일단부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그립샤프트가 마련된다.
상기 그립샤프트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 그립블록 본체, 상기 그립블록 본체를 상기 그립샤프트의 일단부 방향으로 탄성 지지하는 그립스프링 및 상기 그립블록 본체를 상기 그립샤프트에 고정시키는 고정수단이 구비되어 있다.
대한민국 특허 공개번호 제10-2011-0106562호(2011년 9월 29일 공개)
그러나 종래기술에 따른 케이블 포설용 보조장치는 트레이 렁의 상하에 각각 제1 지지블록과 그립블록 조립체로 고정되어 곡선부에 케이블을 안내할 수 있으나, 케이블 트레이의 양쪽 트레이 렁 사이에 일체로 설치할 수 없고, 금속 트레이 또는 FRP 트레이 등과 같이 그 형상 또는 크기가 다른 트레이에 적용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케이블 트레이에 케이블 포설장치를 간편하게 설치할 수 있는 케이블 트레이용 클램프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금속 또는 FRP 등의 트레이 렁의 형상 또는 크기에 관계없이 길이 조절되어 다양한 형태의 트레이 렁에 고정되는 케이블 트레이용 클램프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트레이용 클램프는 일정한 크기를 갖는 클램프 본체, 상기 클램프 본체의 양측에 각각 이동 가능하게 고정되는 클램프 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클램프 본체에 상기 클램프 렁을 고정시키는 고정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클램프 본체에는 양측으로 각각 돌출되는 측면부, 상기 측면부의 상면에 수직으로 고정되는 고정돌기, 상기 측면부의 하면에 수직으로 고정되는 고정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클램프 렁은 수평으로 형성되는 수평부와 상기 수평부에 대하여 직각으로 연장되는 수직부가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수평부에는 일정 길이를 갖는 길이 조절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클램프 렁의 수직부에는 내측을 향해 돌출되는 제1 단턱과 상기 제1 단턱으로부터 돌출되는 제2 단턱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수평부에는 상기 고정돌기에 끼워지는 끼움구멍이 형성된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수직부에는 외면에 손잡이가 고정되고, 내면에 보강재가 고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고정돌기에 끼워지는 패드, 상기 고정돌기에 체결되는 너트, 상기 너트에 고정되는 노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고정돌기는 상부에 형성되는 고정구멍, 상기 고정구멍에 체결되는 고정볼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클램프 본체에는 저면에 일정 간격으로 체결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트레이용 클램프에 의하면, 무게를 최소화하여 장착에 따른 작업 강도를 줄이게 되고, 고정수단의 조작만으로 클램프를 간편하게 설치할 수 있으며, 서로 다른 형태의 트레이 렁에도 자유롭게 장착할 수 있다는 효과가 얻어진다.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트레이용 클램프에 의하면, 클램프 본체 및 클램프 렁을 스틸 플레이트를 절곡하여 형성하므로 변형이나 파손 시 수리 및 교체가 용이하고, 케이블을 포설하는 케이블 포설장치 즉, 케이블 포설 로봇을 간편하게 장착할 수 있다는 효과가 얻어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케이블 트레이용 클램프의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케이블 트레이용 클램프가 트레이 렁에 장착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케이블 트레이용 클램프의 사시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케이블 트레이용 클램프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케이블 트레이용 클램프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케이블 트레이용 클램프가 트레이 렁에 장착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케이블 트레이용 클램프는 트레이 렁(1a, 1b)에 놓여지는 클램프 본체(10), 클램프 본체(10)의 양측에 각각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클램프 렁(20)를 포함한다.
이와 함께 클램프 본체(10)에는 클램프 렁(20)을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시키는 고정수단(30)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클램프 본체(10)는 케이블 포설장치(미도시)가 안정되게 장착되도록 상면이 개방된 형태로 이루어지고, 그 양측에는 각각 수평으로 연장되는 측면부(11)가 형성되어 있다.
측면부(11)의 상면에는 각각 고정돌기(12)가 수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고정돌기(12)는 각각의 측면부(11)에 2개가 형성되고, 이들 고정돌기(12)에는 나사산(미도시)이 형성된다. 이는 클램프 렁(20)이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수단(30)을 설치하기 위함이다.
측면부(11)의 하면에는 수직으로 고정핀(13)이 고정되어 있다. 고정핀(13)은 트레이 렁(1a, 1b)에 형성되어 있는 슬롯(미도시)에 끼워지는 것이다.
또 고정돌기(12)의 상부에는 고정구멍(14)이 형성되어 있다. 아울러 고정구멍(14)에 체결되는 고정볼트(15)가 구비된다. 이러한 고정볼트(15)는 고정수단(30)이 고정돌기(12)로부터 이탈되거나 분리되지 않도록 한다.
한편 클램프 본체(10)의 저면에는 체결구멍(16)이 형성된다. 이는 케이블을 이동시키는 실린더(미도시)를 고정하기 위한 것이다.
클램프 렁(20)은 대략 'ㄱ'자 형상으로 일정 길이를 갖는 수평부(21)와 수평부(21)에 대하여 수직으로 연장되는 수직부(22)가 일체로 형성된다. 수평부(21)에는 클램프 렁(20)이 이동 가능하게 길이를 갖는 길이 조절구멍(23)이 형성된다. 이들 길이 조절구멍(23)은 고정돌기(12)에 끼워진 상태에서 클램프 렁(20)이 길이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형성된다.
또 수직부(22)에는 내측을 향해 돌출되는 단턱이 형성된다. 이러한 단턱은 내측을 향해 돌출된 제1 단턱(24)과 제1 단턱(24) 보다 더 돌출된 제2 단턱(25)으로 이루어진다.
즉, 제2 단턱(25)은 제1 단턱(24)보다 더 돌출되게 형성된다. 이와 같이 형성되는 단턱(24, 25)은 트레이 렁(1a, 1b)의 형상에 적절하게 접촉되게 하기 위함이다.
또한 수평부(21)의 상면에는 고정수단(30)에 의해 클램프 렁(20)을 고정하기 위한 플레이트(26)가 마련된다. 플레이트(26)에는 고정돌기(12)에 대응되는 끼움구멍(27)이 형성된다.
아울러 수직부(22)의 외면에는 작업자가 클램프를 용이하게 잡을 수 있도록 손잡이(28)가 형성되고, 수직부(22)의 내면에는 클램프 렁(20)의 강도를 보강하는 보강재(29)가 고정된다.
고정수단(30)은 클램프 렁(20)을 클램프 본체(10)에 고정하는 것이다. 이러한 고정수단(30)은 고정돌기(12)에 끼워지는 중공 형상의 패드(31), 고정돌기(12)에 체결되는 너트(32), 너트(32)를 회전시키는 노브(33)를 포함할 수 있다.
패드(31)는 경질의 합성수지 등으로 이루어져 고정돌기(12)의 직경보다 큰 구멍을 갖는 중공의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 너트(32)는 고정돌기(12)에 체결되어 패드(31)를 가압하여 줌으로써 클램프 렁(20)을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하게 된다. 노브(33)는 너트(32)에 끼워져 너트(32)를 회전시킴은 물론 고정수단(30)이 고정돌기(12)로부터 이탈되거나 분리되지 않도록 한다.
다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케이블 트레이용 클램프의 결합관계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클램프 본체(10)는 측면부(11)가 양쪽으로 돌출된 형상으로 형성한다. 이와 함께 클램프 본체(10)의 저면에는 실린더(미도시)를 고정하기 위한 체결구멍(16)을 일정한 간격으로 다수개 형성한다.
또 측면부(11)의 상면에는 고정수단(30)이 결합되는 고정돌기(12)를 수직으로 형성하며, 측면부(11)의 하면에는 트레이 렁(1a, 1b)의 슬롯에 끼워지는 고정핀(13)을 수직으로 형성한다.
이들 고정돌기(12) 및 고정핀(13)은 별도로 제작한 다음 측면부(11)의 상하면에 각각 용접으로 고정할 수도 있다.
고정돌기(12)에는 너트(32)가 체결되도록 나사산을 형성하며, 상부에는 고정볼트(15)를 체결하기 위한 체결구멍(14)을 형성한다.
또한 클램프 렁(20)에는 일정 길이를 갖는 수평부(21)와 수직부(22)를 일체로 형성하며, 수평부(21)에는 클램프 렁(20)이 이동되도록 길이 조절구멍(23)을 형성한다.
수직부(22)에는 클램프 본체(10)를 향해 돌출되는 제1 단턱(24)과 제2 단턱(25)을 돌출되게 형성한다. 이들 단턱(24, 25)은 형상 및 크기가 다른 트레이 렁(1a, 1b)에 안정되게 고정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클램프 렁(20)을 고정하기 위한 플레이트(26)를 구비한다. 플레이트(26)에는 고정돌기(12)에 끼워지도록 끼움구멍(27)을 형성한다. 수직부(22)의 외측에는 손잡이(28)를 고정하며, 내측에는 클램프 렁(20)의 강도를 보강하는 보강재(29)를 고정한다.
이와 같은 클램프 본체(10) 및 클램프 렁(20)은 금속 플레이트로 이루어져 작업자가 무리한 힘을 사용하지 않고서도 운반할 수 있도록 경량으로 마련된다.
패드(31)는 고정돌기(12)에 끼워지도록 중공의 형상으로 형성하며, 고정돌기(12)에 체결되는 너트(32) 및 노브(33)를 구비한다.
이러한 너트(32)와 노브(33)는 고정돌기(12)에 체결되어 클램프 렁(20)을 고정하게 된다.
다음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케이블 트레이용 클램프의 작동방법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케이블 트레이용 클램프는 트레이 렁(1a, 1b)에 장착된다. 이는 트레이 렁(1a, 1b)에 케이블 트레이용 클램프를 일정한 간격으로 고정한 상태에서 케이블 포설장치(미도시)를 케이블 트레이용 클램프에 장착하게 된다.
즉, 본 발명의 케이블 트레이용 클램프는 케이블 포설장치를 보다 용이하게 설치함은 물론 케이블 트레이에 보다 간편하게 장착되도록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작업자는 고정수단(30)이 노브(33)를 회전시킴에 따라 너트(32)가 회전되어 클램프 렁(20)이 클램프 본체(10)에 대하여 자유롭게 이동 가능하게 된다.
이때 클램프 렁(20)은 고정수단(30)에 의해 양쪽 모두 자유롭게 이동되게 할 수 있음은 물론 한쪽의 클램프 렁(20)만을 자유롭게 이동되게 할 수 있다.
클램프 본체(10)는 고정핀(13)을 트레이 렁(1a, 1b)에 형성되어 있는 슬롯(미도시)에 끼워 안정되게 안착된다.
이러한 클램프 렁(20)은 트레이 렁(1a, 1b)에 용이하게 장착되도록 트레이 렁(1a, 1b)의 폭만큼 길이 조절하게 된다.
즉, 작업자는 고정수단(30)의 노브(33)를 회전시켜 클램프 본체(10)에 대하여 클램프 렁(20)을 최외측으로 이동시킨다. 이에 따라 길이 조절구멍(23)은 고정돌기(12)에 끼워진 상태에서 슬라이딩 된다.
클램프 렁(20)을 최외측으로 이동시킨 다음 트레이 렁(1a, 1b)에 클램프 렁(20)을 클램프 본체(10) 쪽으로 밀어 클램프 렁(20)을 트레이 렁(1a, 1b)에 밀착시킨다.
이와 같이 클램프 본체(10)와 클램프 렁(20)이 트레이 렁(1a, 1b)에 밀착된 상태에서 고정수단(30)인 노브(33)를 회전시킨다. 이에 따라 노브(33)는 너트(32)를 회전시켜 패드(31)가 플레이트(26)를 가압하게 된다.
이에 따라 플레이트(26)는 클램프 렁(20)의 수평부(21)를 클램프 본체(10)의 측면부(11)에 밀착시켜 클램프 렁(20)이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하게 된다.
한편 클램프 렁(20)의 단턱(24, 25)은 트레이 렁(1a, 1b)의 측면에 밀착된다. 금속 재질의 트레이 렁(1a)인 경우 클램프 렁(20)의 제1 단턱(24)이 트레이 렁(1a)에 밀착되고, FRP 재질의 트레이 렁(1b)인 경우 클램프 렁(20)의 제2 단턱(25)이 트레이 렁(1b)에 밀착된다.
선박 또는 해양구조물에 고정되는 트레이 렁(1a, 1b)는 각각 재질에 따라 그 형상이 다르게 형성되어 있다. 즉, 금속 재질의 트레이 렁(1a)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면이 각진 형태로 구부러져 있고, FRP 재질의 트레이 렁(1b)는 사각 형태로 이루어져 있다.
따라서 클램프 렁(20)은 트레이 렁(1a, 1b)의 형상에 관계없이 제1 단턱(24) 또는 제2 단턱(25)이 트레이 렁(1a, 1b)에 밀착된다.
또한 고정돌기(12)에는 고정볼트(15)가 체결되어 있으므로, 고정수단(30)인 패드(31), 너트(32), 노브(33)는 고정돌기(12)로부터 이탈되거나 분리되지 않게 된다.
이러한 고정볼트(15)는 케이블 트레이용 클램프의 이동을 위해 고정수단(30)을 해제하는 경우 임의로 분리되지 않아 고정수단(30)의 분실 우려가 없게 된다.
이상 본 발명자에 의해서 이루어진 발명을 상기 실시 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로 변경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10: 클램프 본체 11: 측면부
12: 고정돌기 13: 고정핀
14: 고정구멍 15: 고정볼트
16: 체결구멍 20: 클램프 렁
21: 수평부 22: 수직부
23: 길이 조절구멍 24: 제1 단턱
25: 제2 단턱 26: 플레이트
27: 끼움구멍 28: 손잡이
29: 보강재 30: 고정수단
31: 패드 32: 너트
33: 노브

Claims (10)

  1. 일정한 크기를 갖는 클램프 본체,
    상기 클램프 본체의 양측에 각각 이동 가능하게 고정되는 클램프 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트레이용 클램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클램프 본체에 상기 클램프 렁을 고정시키는 고정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트레이용 클램프.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클램프 본체에는 양측으로 각각 돌출되는 측면부,
    상기 측면부의 상면에 수직으로 고정되는 고정돌기,
    상기 측면부의 하면에 수직으로 고정되는 고정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트레이용 클램프.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클램프 렁은 수평으로 형성되는 수평부와 상기 수평부에 대하여 직각으로 연장되는 수직부가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수평부에는 일정 길이를 갖는 길이 조절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트레이용 클램프.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클램프 렁의 수직부에는 내측을 향해 돌출되는 제1 단턱과 상기 제1 단턱으로부터 돌출되는 제2 단턱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트레에용 클램프.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부에는 상기 고정돌기에 끼워지는 끼움구멍이 형성된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트레이용 클램프.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부에는 외면에 손잡이가 고정되고, 내면에 보강재가 고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트레이용 클램프.
  8.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고정돌기에 끼워지는 패드
    상기 고정돌기에 체결되는 너트,
    상기 너트에 고정되는 노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트레이용 클램프.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돌기는 상부에 형성되는 고정구멍,
    상기 고정구멍에 체결되는 고정볼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트레이용 클램프.
  10.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클램프 본체에는 저면에 일정 간격으로 체결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트레이용 클램프.
KR1020130110436A 2013-09-13 2013-09-13 케이블 트레이용 클램프 KR1022131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10436A KR102213133B1 (ko) 2013-09-13 2013-09-13 케이블 트레이용 클램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10436A KR102213133B1 (ko) 2013-09-13 2013-09-13 케이블 트레이용 클램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31000A true KR20150031000A (ko) 2015-03-23
KR102213133B1 KR102213133B1 (ko) 2021-02-05

Family

ID=530248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10436A KR102213133B1 (ko) 2013-09-13 2013-09-13 케이블 트레이용 클램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1313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28465B1 (ko) * 2019-07-02 2019-10-04 주식회사 성실엔지니어링 터널 조명 전원 케이블 트레이용 스페이서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37431A (ja) * 1995-07-14 1997-02-07 Mitsubishi Electric Corp ケーブルトレイの吊設構造
KR100481133B1 (ko) * 2004-10-05 2005-04-07 윤재흥 케이블 견인장치
KR20090008729U (ko) * 2008-02-26 2009-08-31 최종혜 케이블 트레이
KR101023291B1 (ko) * 2009-11-16 2011-03-18 최경철 케이블 견인장치
KR200454764Y1 (ko) * 2010-04-22 2011-07-25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케이블 포설 장치
KR20110106562A (ko) 2010-03-23 2011-09-29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케이블 포설용 보조장치
KR101268252B1 (ko) * 2013-04-12 2013-05-31 박재길 가공케이블 트레이
JP5279872B2 (ja) * 2011-06-28 2013-09-04 三菱電機株式会社 ケーブル延線用補助装置、及び更新工事方法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37431A (ja) * 1995-07-14 1997-02-07 Mitsubishi Electric Corp ケーブルトレイの吊設構造
KR100481133B1 (ko) * 2004-10-05 2005-04-07 윤재흥 케이블 견인장치
KR20090008729U (ko) * 2008-02-26 2009-08-31 최종혜 케이블 트레이
KR101023291B1 (ko) * 2009-11-16 2011-03-18 최경철 케이블 견인장치
KR20110106562A (ko) 2010-03-23 2011-09-29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케이블 포설용 보조장치
KR200454764Y1 (ko) * 2010-04-22 2011-07-25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케이블 포설 장치
JP5279872B2 (ja) * 2011-06-28 2013-09-04 三菱電機株式会社 ケーブル延線用補助装置、及び更新工事方法
KR101268252B1 (ko) * 2013-04-12 2013-05-31 박재길 가공케이블 트레이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28465B1 (ko) * 2019-07-02 2019-10-04 주식회사 성실엔지니어링 터널 조명 전원 케이블 트레이용 스페이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13133B1 (ko) 2021-02-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22272B1 (ko) 케이블 포설용 보조장치
KR20150082839A (ko) 주행형 케이블 포설장치
JP4963308B2 (ja) ケーブル保護案内装置用ガイドレール
KR20150031000A (ko) 케이블 트레이용 클램프
KR101082666B1 (ko) 안전 난간대 장치
KR20140001501U (ko) 전선 포설 안내장치
KR101597568B1 (ko) 수직 그립형 트레이 클램프 및 그 고정방법
US20190249801A1 (en) Power tool cable mount
KR101427123B1 (ko) 맨홀의 핸들 겸용 케이블 지지장치
KR102562082B1 (ko) 케이블 가이드 장치
KR101311429B1 (ko) 케이블 행거
CN205231665U (zh) 预埋管定位结构及台模
US2724986A (en) Splicing vise
KR20160108012A (ko) 중량물 집게장치
CN211598751U (zh) 一种用于隧道的钢缆固定装置及巡检装置
JP7488697B2 (ja) 足場/養生ユニットの支持構造
KR102037121B1 (ko) 지중 배전선로의 배전선 장탈착 방법
KR101497657B1 (ko) 클램핑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사다리
JP7389435B2 (ja) 碍子交換補助具
JP6210776B2 (ja) 乗客コンベアのスカートガード着脱装置
JP2017159805A (ja) 可動ブラケット調整装置およびそれを用いた流れ調整方法
KR101372731B1 (ko) 작업발판 고정장치
JP6663870B2 (ja) エレベータのガイドレールの芯出し装置、および、それを用いたエレベータのガイドレールの芯出し方法
KR20160108010A (ko) 중량물 집게장치
KR20140004012U (ko) 케이블 정리용 지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