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106562A - 케이블 포설용 보조장치 - Google Patents

케이블 포설용 보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106562A
KR20110106562A KR1020100025656A KR20100025656A KR20110106562A KR 20110106562 A KR20110106562 A KR 20110106562A KR 1020100025656 A KR1020100025656 A KR 1020100025656A KR 20100025656 A KR20100025656 A KR 20100025656A KR 20110106562 A KR20110106562 A KR 2011010656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ip
support
coupling hole
coupled
c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256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22272B1 (ko
Inventor
이무림
백승철
오태권
전완열
이상헌
김재우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256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22272B1/ko
Publication of KR201101065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0656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222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222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6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laying cables, e.g. laying apparatus on vehicl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4Protective tubing or conduits, e.g. cable ladders or cable troughs
    • H02G3/0406Details thereof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4Protective tubing or conduits, e.g. cable ladders or cable troughs
    • H02G3/0456Ladders or other suppor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30Installations of cables or lines on walls, floors or ceil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Electric Cable Installation (AREA)

Abstract

케이블 포설용 보조장치가 개시된다. 제1 결합공이 형성된 제1 지지블록과, 제1 결합공과 수직한 제2 결합공이 형성된 제2 지지블록과, 양단부에 제1 지지블록 및 제2 지지블록이 결합되고 제1 결합공 및 제2 결합공에 수직한 지지샤프트를 포함하는 본체와, 지지샤프트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지지롤러와, 일측에 개방부가 형성되고 일단부는 제1 지지블록에 제2 결합공과 나란한 축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타단부는 제2 지지블록에 분리 가능하게 체결된 홀딩샤프트와, 홀딩사프트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복수의 홀딩롤러와, 제1 결합공 또는 제2 결합공 중 어느 하나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그립블록 조립체를 제공하여, 케이블 트레이에 용이하게 결합 및 해제시킬 수 있고, 케이블에 작용하는 마찰력을 감소시키며, 부피 및 중량이 작아서 휴대 및 사용이 간편하므로, 케이블 포설작업이 용이해진다.

Description

케이블 포설용 보조장치{ASSISTANT DEVICE FOR INSTALLATION OF CABLE}
본 발명은 케이블 포설용 보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대형 선박이나 건축물 등에는 전원 공급이나 통신 등을 위하여 다양한 케이블이 포설(鋪設)된다. 케이블의 포설작업에는 포설된 케이블의 안전성 및 원활한 유지보수를 위하여 케이블 트레이(cable tray)가 설치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케이블이 선박 및 건축물 내의 구조물이나 각종 장치와 간섭을 일으키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케이블 트레이에는 굴절부 또는 곡선부가 형성되는데, 굴절부 또는 곡선부에서는 케이블 트레이 및 케이블 사이의 마찰력이 증가된다.
케이블을 포설하는 방법으로는, 케이블을 견인하여 포설하는 방법, 케이블을 밀어서 포설하는 방법 등 다양한 방법이 사용된다. 이때, 케이블에 가해지는 힘이 케이블 및 케이블 트레이 사이에 작용하는 마찰력보다 클 경우에는 케이블이 원활하게 포설되지 않으며 케이블의 피복이 손상되는 경우도 있다. 이에 대해서는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에는 케이블이 케이블 트레이에 지지된 모습이 도시되어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케이블 트레이(2)는 한 쌍의 사이드 레일(side rail, 21)과, 한 쌍의 사이드 레일(21) 사이를 연결하는 복수의 렁(rung, 22)을 포함한다. 케이블(1)은 케이블 트레이(2)에 의해 지지되어 포설된다.
그런데,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블 트레이(2)에 곡선부가 형성된 경우에 케이블(1)을 포설하기 위하여 화살표로 표시한 방향으로 케이블(1)을 잡아당기면, 케이블(1)이 일측의 사이드 레일(21) 및 렁(22)과 접하여 마찰력이 작용하게 된다. 케이블(1) 및 사이드 레일(21)과 렁(22) 사이에 작용하는 마찰력이 케이블(1)에 작용하는 견인력보다 큰 경우, 케이블(1)이 견인력의 방향으로 견인되지 못하며, 케이블(1)의 피복이 손상되거나 케이블(1)이 절단되는 상황이 발생될 수도 있다.
이러한 상황을 방지하기 위하여, 케이블 트레이(2)가 곡선형으로 형성된 부분에는 롤러지그(3)를 설치한다. 롤러지그(3)는 롤러축(31) 및 롤러(32)를 포함하는데, 롤러(32)는 롤러축(31)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따라서, 케이블(1)은 사이드 레일(21)과 접촉되지 않고 롤러(32)와 접하게 되므로, 케이블 트레이(2) 및 케이블(1) 사이에 작용되는 마찰력이 감소된다.
그런데, 롤러지그(3)는 부피가 크고 무겁기 때문에 작업자들이 설치 및 해체하는데 많은 시간과 노력을 소요하게 되고, 케이블(1)이 포설되는 구역마다 설치가 가능한 롤러지그(3)의 규격이 각기 다르므로, 케이블 포설작업시 다양한 규격의 롤러지그(도시되지 않음)를 구비하고 이동해야 하는 등의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케이블 트레이에 간단히 설치되어, 케이블 및 케이블 트레이 사이의 마찰력을 감소시키는 케이블 포설용 보조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제1 결합공이 형성된 제1 지지블록과, 상기 제1 결합공과 수직한 제2 결합공이 형성된 제2 지지블록과, 양단부에 상기 제1 지지블록 및 상기 제2 지지블록이 결합되고 상기 제1 결합공 및 상기 제2 결합공에 수직한 지지샤프트를 포함하는 본체;와, 상기 지지샤프트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지지롤러;와, 일측에 개방부가 형성되고, 일단부는 상기 제1 지지블록에 상기 제2 결합공과 나란한 축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타단부는 상기 제2 지지블록에 분리 가능하게 체결된 홀딩샤프트;와, 상기 홀딩사프트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복수의 홀딩롤러;와, 상기 제1 결합공 또는 상기 제2 결합공 중 어느 하나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그립블록 조립체를 포함하는 케이블 포설용 보조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그립블록 조립체는, 상기 제1 결합공 또는 상기 제2 결합공에 일단부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그립샤프트;와, 상기 그립샤프트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 그립블록 본체;와, 상기 그립블록 본체를 상기 그립샤프트의 일단부 방향으로 탄성 지지하는 그립스프링;과, 상기 그립블록 본체를 상기 그립샤프트에 고정시키는 고정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그립블록 본체에 상기 그립샤프트와 나란한 방향으로 형성된 클램프부;와, 상기 그립블록 본체에 결합되고, 상기 클램프부를 조이거나 개방하는 조임나사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케이블 포설용 보조장치는, 상기 제1 지지블록에는 제1 지지면이 형성되고, 상기 제2 지지블록에는 제2 지지면이 형성되며, 상기 그립블록 본체에는 그립면이 형성되고, 상기 그립블록 조립체가 상기 제1 결합공에 결합되면 상기 제1 지지면 및 상기 그립면이 대향하고, 상기 그립블록 조립체가 상기 제2 결합공에 결합되면 상기 제2 지지면 및 상기 그립면이 대향할 수 있다.
그리고, 케이블 포설용 보조장치는, 상기 제1 지지면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보조지지블록;과, 상기 그립블록 본체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보조그립블록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홀딩샤프트는 U자형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케이블 포설용 보조장치는, 케이블 트레이에 용이하게 결합 및 해제시킬 수 있고, 케이블에 작용하는 마찰력을 감소시키며, 부피 및 중량이 작아서 휴대 및 사용이 간편하므로 케이블 포설작업이 용이해진다.
도 1은 케이블이 케이블 트레이에 지지된 모습을 도시한 평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포설용 보조장치의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포설용 보조장치의 홀딩샤프트가 개방된 모습을 나타낸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포설용 보조장치의 제2 지지블록을 나타낸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포설용 보조장치가 사이드 레일에 결합된 모습을 나타낸 정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포설용 보조장치에 보조지지블록 및 보조그립블록을 결합시켜 다른 형상의 사이드 레일에 결합된 모습을 나타낸 정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포설용 보조장치가 렁에 결합된 모습을 나타낸 측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포설용 보조장치가 다른 형상의 렁에 결합된 모습을 나타낸 측면도.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그리고, 설명 중에 사용되는 '수직' 및 '나란함'은 기하학적이거나 수학적인 수직 및 나란함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가공오차나 이송오차 등을 고려한 실질적인 '수직' 및 '나란함'을 의미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포설용 보조장치가 도시되어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포설용 보조장치(100)에는 본체, 지지롤러(131), 홀딩샤프트(140), 홀딩롤러(141) 및 그립블록 조립체(150)가 포함된다.
본체에는 제1 지지블록(110), 제2 지지블록(120) 및 지지샤프트(130)가 포함된다. 제1 지지블록(110)에는 제1 결합공(111)이 형성되고, 제2 지지블록(120)에는 제1 결합공(111)에 대하여 수직한 방향으로 제2 결합공(121)이 형성된다. 제1 지지블록(110) 및 제2 지지블록(120)은 지지샤프트(130)의 양단부에 결합되는데, 지지샤프트(130)의 길이방향은 제1 결합공(111) 및 제2 결합공(121)에 수직하다.
본체에는 일측에 개방부가 형성된 홀딩샤프트(140)가 결합된다. 홀딩샤프트(140)의 일단부는 제1 지지블록(110)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부는 제2 지지블록(120)에 분리 가능하게 체결된다. 이때, 홀딩샤프트(140)의 일단부는 제1 지지블록(110)에 설치된 힌지핀(114)에 결합되어 힌지핀(114)을 축으로 회동 가능하며, 힌지핀(114)은 제2 결합공(121)과 나란한 방향으로 설치된다.
홀딩샤프트(140)의 타단부는 제2 지지블록(120)에 형성된 고정홈(124)에 삽입된다. 이는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3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포설용 보조장치의 홀딩샤프트가 개방된 모습이 도시되어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홀딩샤프트(140)의 타단부는 제2 지지블록(120)과 분리되고, 홀딩샤프트(140)의 일단부는 힌지핀(114)을 중심으로 회동되어, 홀딩샤프트(140)가 개방된다.
홀딩샤프트(140)의 타단부에는 고정단부(142)가 형성되고, 고정단부(142)에는 체결홈(143)이 형성된다. 제2 지지블록(120)에는 락킹핀(126)이 설치되고, 락킹핀(126)의 외주면 일부가 고정홈(124) 내측으로 돌출되는데, 이 부분이 체결홈(143)에 삽입되도록 함으로써 체결홈(143)이 제2 지지블록(120)에 체결되어 분리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도 4를 참조하여 더 상세히 설명한다.
참고로, 홀딩샤프트(140)는 도시된 바와 같이 U자형을 가질 수 있고, 필요에 따라 다른 형상으로 제작될 수도 있다.
도 4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포설용 보조장치의 제2 지지블록이 도시되어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제2 지지블록(120) 내에는 락킹핀(126)이 설치된다. 락킹핀(126)은 제2 지지블록(120)에 형성된 핀홀(125)에 삽입된다. 핀홀(125)은 제2 결합공(121)에 나란하게 형성될 수 있다.
핀홀(125) 내에는 탄성체(128)가 설치되어, 락킹핀(126)의 일단부를 탄성 지지한다. 락킹핀(126)의 중간 영역에는 직경이 감소되는 형상을 갖는 요홈부(127)가 형성된다.
핀홀(125) 외부로 돌출된 락킹핀(126)의 타단부를 압입하면, 탄성체(128)가 압축되면서 락킹핀(126)이 핀홀(125) 내측으로 밀려 들어간다. 이때, 요홈부(127)는, 탄성체(128)가 압축되지 않은 상태일 때에는 고정홈(124) 외측에 위치하다가, 락킹핀(126)이 압입되면 고정홈(124) 내로 이동되는 위치에 형성된다. 즉, 락킹핀(126)의 타단부가 압입되지 않았을 때에는 락킹핀(126)의 외주면 일부가 고정홈(124) 내로 돌출되어 있다가, 락킹핀(126)의 타단부가 압입되면 고정홈(124) 내로 락킹핀(126)의 외주면이 돌출되지 않게 된다.
따라서 도 3 및 도 4를 함께 참조하면, 홀딩샤프트(140)의 고정단부(142)가 고정홈(124)에 삽입되어 있을 때 락킹핀(126)의 타단부가 핀홀(125) 내로 압입되지 않은 경우에는, 락킹핀(126)의 외주면 일부가 체결홈(143)에 삽입되어 고정단부(142)가 고정홈(124)으로부터 이탈되지 않게 체결된다. 그리고, 락킹핀(126)의 타단부가 핀홀(125) 내로 압입되면 고정홈(124) 내로 락킹핀(126)의 외주면 일부가 돌출되지 않게 되어 체결홈(143)에 삽입되지 않으므로, 고정단부(142)가 고정홈(124)으로부터 이탈할 수 있게 된다.
그러므로, 락킹핀(126)의 타단부를 이용하여 홀딩샤프트(140)의 타단부, 즉 고정단부(142)가 제2 지지블록(120)에 체결 또는 분리되도록 조절할 수 있다.
다시 도 2를 참조하면, 지지샤프트(130)에는 지지롤러(131)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홀딩샤프트(140)에는 복수의 홀딩롤러(141)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이때, 홀딩샤프트(140)의 일단부가 제1 지지블록(110)에 결합되는 위치는 지지샤프트(130)의 일단부가 제1 지지블록(110)과 결합되는 위치와 근접하게 형성되고, 홀딩샤프트(140)의 타단부가 제2 지지블록(120)에 결합되는 위치는 지지샤프트(130)의 타단부가 제2 지지블록(120)과 결합되는 위치와 근접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도 3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홀딩샤프트(140)를 제1 지지블록(110)에 대하여 회동시킨 후, 홀딩샤프트(140) 내에 케이블(도 2에는 도시되지 않음, 도 1의 1 참조)을 삽입하고, 홀딩샤프트(140)를 반대방향으로 회동시켜 홀딩샤프트(140)의 타단부를 제2 지지블록(120)에 체결시키면, 케이블(도시되지 않음)이 지지샤프트(130) 및 홀딩샤프트(140)에 의해 홀딩된다.
이때, 상술한 바와 같이 지지샤프트(130)에는 지지롤러(131)가 설치되고 홀딩샤프트(140)에는 홀딩롤러(141)가 설치되므로, 케이블(도시되지 않음)과 지지샤프트(130) 또는 케이블(도시되지 않음) 홀딩샤프트(140) 사이에 작용하는 마찰력은 매우 작아진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포설용 보조장치(100)에는 그립블록 조립체(150)가 포함된다.
그립블록 조립체(150)는, 제1 결합공(111) 또는 제2 결합공(121)에 일단부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그립샤프트(155)와, 그립샤프트(155)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 그립블록 본체(151)와, 그립블록 본체(151)를 그립샤프트(155)의 일단부 방향으로 탄성 지지하는 그립스프링(157)과, 그립블록 본체(151)를 그립샤프트(155)에 고정시키는 고정수단을 포함한다.
스프링 지지부재(156)는 그립샤프트(155)의 타단부에 결합되어, 그립스프링(157)이 그립샤프트(155)의 타단부 방향으로 이탈되지 않도록 지지한다.
상술한 고정수단은, 클램프부(152) 및 조임나사(154)를 포함한다. 클램프부(152)는 그립블록 본체(151)에 그립샤프트(155)와 나란한 방향으로 일측이 개방된 형상을 갖고, 조임나사(154)는 그립블록 본체(151)에 결합되어 클램프부(152)를 조이거나 개방한다. 따라서, 조임나사(154)를 이용하여 클램프부(152)를 조이면 그립블록 본체(151)가 그립샤프트(155)에 고정되고, 조임나사(154)를 이용하여 클램프부(152)를 개방하면 그립블록 본체(151)가 그립샤프트(155)를 따라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된다.
그립샤프트(155)는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결합공(111)을 관통한 단부에 체결부재(158)를 결합시켜 제1 지지블록(110)에 고정될 수 있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그립샤프트(155)의 외주면에는 나사산을 형성하고, 제1 결합공(111) 내주면에는 나사산에 상응하는 너트부를 형성하여, 그립샤프트(155)가 제1 결합공(111)에 나사 결합되도록 할 수도 있다. 그립샤프트(155)가 제2 결합공(121)에 결합되는 경우 또한 상술한 바와 같으므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제1 지지블록(110)에는 제1 지지면(113)이 형성되고, 제2 지지블록(120)에는 제2 지지면(123)이 형성되며, 그립블록 본체(151)에는 그립면(153)이 형성된다. 그립면(153)은 그립샤프트(155)의 길이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형성된다. 제1 지지면(113)은 그립블록 조립체(150)가 제1 결합공(111)에 결합되면, 즉 그립샤프트(155)가 제1 결합공(111)에 삽입되면, 제1 지지면(113) 및 그립면(153)이 대향하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제2 지지면(123)은 그립블록 조립체(150)가 제2 결합공(121)에 결합되면, 즉 그립샤프트(155)가 제2 결합공(121)에 삽입되면, 제2 지지면(123) 및 그립면(153)이 대향하도록 형성된다. 즉, 제1 지지면(113) 및 제2 지지면(123)은 서로 수직한 방향으로 형성된다.
제1 지지면(113), 제2 지지면(123) 및 그립면(153)에는 요철이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이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포설용 보조장치(100)가 케이블 트레이(도 1의 2 참조)에 용이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이에 대해서는 도 5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5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포설용 보조장치가 사이드 레일에 결합된 모습이 도시되어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케이블 포설용 보조장치(100)가 케이블 트레이(도시되지 않음, 도 1의 2 참조)의 사이드 레일(211)에 결합되어 있다. 사이드 레일(211)은 제1 지지블록(110) 및 그립블록 본체(151)에 개재되며, 사이드 레일(211) 일측의 플랜지부(211a)는 제1 지지면(113)에 접하고, 타측의 플랜지부(211b)는 그립면(153)에 접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블 포설용 보조장치(100)를 사이드 레일(211)에 결합시키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우선, 조임나사(154)를 이용하여 클램프부(152)가 개방되도록 하고, 그립블록 본체(151)를 그립샤프트(155)를 따라 제1 지지블록(110)과 멀어지는 방향, 즉 그립스프링(157)이 압축되는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시킨다. 따라서, 제1 지지블록(110) 및 그립블록 본체(151) 사이의 거리가 증가된다.
그리고, 케이블 포설용 보조장치(100)를 사이드 레일(211)에 근접시켜, 사이드 레일(211)이 제1 지지블록(110) 및 그립블록 본체(151) 사이에 위치되도록 한다.
이후, 그립블록 본체(151)가 자유롭게 이동하게 하면, 그립스프링(157)의 탄성력에 의해 그립블록 본체(151)가 제1 지지블록(110)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되며, 제1 지지면(113) 및 그립면(153)이 플랜지부(211a, 211b)에 각각 접하게 된다. 이 상태에서 조임나사(154)를 이용하여 그립블록 본체(151)를 그립샤프트(155)에 고정시키면, 케이블 포설용 보조장치(100)가 사이드 레일(211)에 견고하게 결합된다.
특히, 도시된 바와 같이 플랜지부(211a, 211b)가 제1 지지면(113) 및 그립면(153)에 면접촉 되도록 함으로써 케이블 포설용 보조장치(100) 및 사이드 레일(211)는 안정적으로 결합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따라서, 제1 지지면(113) 및 그립면(153)은 플랜지부(211a, 211b)와 면접촉 될 수 있도록 요철이 형성될 수 있다.
이후 상술한 바와 같이, 홀딩샤프트(140)를 개방하고 케이블(도시되지 않음)을 삽입한 다음 홀딩샤프트(140)의 타단부가 제2 지지블록(120)에 체결되도록 원위치 시키면, 케이블(도시되지 않음)이 홀딩롤러(141) 및 지지롤러(131)에 의해 지지되므로 케이블(도시되지 않음)에 작용하는 마찰력이 감소된다.
즉, 케이블 트레이(도시되지 않음)가 굴절부 또는 곡선부를 형성하는 경우, 케이블(도시되지 않음) 및 케이블 트레이(도시되지 않음) 사이에서 마찰력이 강하게 작용하는 부분에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포설용 보조장치(100)를 설치하여 케이블(도시되지 않음)을 지지하면, 케이블(도시되지 않음)에 작용하는 견인력에 대한 저항이 최소화된다. 따라서, 케이블(도시되지 않음)을 용이하게 포설할 수 있다.
도 6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포설용 보조장치에 보조지지블록 및 보조그립블록을 결합시켜 다른 형상의 사이드 레일에 결합된 모습이 도시되어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케이블 포설용 보조장치(100)가 케이블 트레이(도시되지 않음, 도 1의 2 참조)의 사이드 레일(212)에 결합되어 있다. 이때, 제1 지지블록(110)의 제1 지지면(113)에는 보조지지블록(160)이 결합되어 있고, 그립블록 본체(151)에는 보조그립블록(170)이 결합되어 있다.
사이드 레일(212)은 보조지지블록(160) 및 보조그립블록(170)에 개재되며, 사이드 레일(212)의 일측의 플랜지부(212a)는 보조지지블록(160)의 지지면(161)에 접하고, 타측의 플랜지부(212b)는 보조그립블록(170)의 지지면(171)에 접한다. 즉, 보조지지블록(160) 및 보조그립블록(170)은 사이드 레일(212)과 면접촉된다.
보조지지블록(160)은 제1 지지블록(110)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고, 보조그립블록(170)은 그립블록 본체(151)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된다. 여기서, 보조지지블록(160)은, 제1 지지블록(110)에 형성된 체결홈(119)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체결부재(162)를 이용하여 제1 지지블록(110)에 결합된다. 그리고, 보조그립블록(170)은, 그립블록 본체(151)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체결부재(172)를 이용하여 그립블록 본체(151)에 결합된다.
여기서, 사이드 레일(212)은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했던 사이드 레일(211)과 상이한 형상을 갖는다. 따라서, 보조지지블록(160) 및 보조그립블록(170)은 케이블 포설용 보조장치(100)가 사이드 레일(212)에 안정적으로 결합되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사이드 레일(212)의 형상에 따라 지지면(161, 171)을 상응하게 형성할 수 있다.
그러므로, 케이블 포설용 보조장치(100)는 사이드 레일(212)의 형상에 따라 보조지지블록(160) 및 보조그립블록(170)을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다.
조임나사(154)를 이용하여 사이드 레일(212)을 보조지지블록(160) 및 보조그립블록(170)에 개재시킨 후 고정되도록 하는 방법은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으므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도 7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포설용 보조장치가 렁에 결합된 모습이 도시되어 있고, 도 8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포설용 보조장치가 다른 형상의 렁에 결합된 모습이 도시되어 있다.
먼저 도 7을 참조하면, 그립블록 조립체(150)가 제2 지지블록(120)에 결합되어 있고, 렁(221)이 제2 지지블록(120) 및 그립블록 본체(151)에 개재되어 있다. 즉, 케이블 포설용 보조장치(100)는, 그립블록 조립체(150)의 그립샤프트(155)의 일단부가 제2 지지블록(120)에 형성된 제2 결합공(도 2의 121)에 결합되어, 제2 지지면(123) 및 그립면(153)이 대향한 상태이다. 그리고, 대향하는 제2 지지면(123) 및 그립면(153) 사이에 렁(221)이 개재된다.
케이블 포설용 보조장치(100)는 케이블 트레이(도시되지 않음)의 사이드 레일(도 5의 211, 도 6의 212) 및 렁(221) 중 어느 곳에나 결합될 수 있다. 그런데, 케이블(도시되지 않음)은 케이블 트레이(도시되지 않음)와 거의 나란한 방향으로 포설되므로, 지지롤러(131) 및 홀딩롤러(141)가 케이블(도시되지 않음)을 지지하는 방향이 케이블(도시되지 않음)이 포설되는 방향과 일치되도록 하는 것이 좋다.
따라서, 케이블 포설용 보조장치(100)가 사이드 레일(도 5의 211, 도 6의 212)에 결합되는 경우에는 그립블록 조립체(150)를 제1 결합공(도 2의 111)에 결합시키고, 케이블 포설용 보조장치(100)가 렁(도 7의 221, 도 8의 222)에 결합되는 경우에는 그립블록 조립체(150)를 제2 결합공(121)에 결합시킨다.
따라서, 도 7은 케이블 포설용 보조장치(100)가 렁(221)에 결합되고, 이를 위하여 그립블록 조립체(150)가 제2 지지블록(120)에 형성된 제2 결합공(121)에 결합시킨 모습을 나타낸 것이다.
렁(221)의 양측에 형성된 플랜지부(221a, 221b)는 제2 지지블록(120)의 제2 지지면(123) 및 그립블록 본체(151)의 그립면(153)에 면접촉된다. 따라서, 케이블 포설용 보조장치(100)는 렁(221)에 견고하게 결합되며, 상술한 바와 같이 홀딩 샤프트(140)를 회동시켜 케이블(도시되지 않음)을 삽입한 후, 홀딩샤프트(140)를 원위치 시키면, 케이블(도시되지 않음)이 지지롤러(131) 및 홀딩롤러(141)에 의해 지지되므로 포설작업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게 된다.
렁(221)을 제2 지지블록(120) 및 그립블록 조립체(150) 사이에 개재시키는 방법은, 조임나사(154)를 이용하여 클램프부(152)를 개폐시켜 그립블록 본체(151)가 그립샤프트(155)를 따라 이동 또는 고정되도록 하는 방법으로 달성할 수 있는데, 이는 상술한 바와 같으므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도 8을 참조하면, 그립블록 조립체(150)가 제2 지지블록(120)에 결합되어 있고, 렁(222)이 제2 지지블록(120) 및 그립블록 본체(151)에 개재되어 있다.
렁(222)의 양측에 형성된 플랜지부(222a, 222b)는 제2 지지블록(120)의 제2 지지면(123) 및 그립블록 본체(151)의 그립면(153)에 접촉된다. 이때, 제2 지지면(123)에는 도시된 바와 같이 요철이 형성되어 렁(222) 및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했던 렁(221)과 같이 형상이 서로 다를 경우에도 안정적으로 접촉되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포설용 보조장치(100)는 케이블 트레이(도시되지 않음)를 이용하여 케이블을 포설할 때, 케이블이 용이하게 포설되도록 하고 케이블이 손상되지 않도록 한다. 특히, 케이블 포설용 보조장치(100)는 경량으로 제작할 수 있고, 다양한 규격의 케이블(도시되지 않음)에 모두 사용할 수 있으므로, 작업자가 복수의 케이블 포설용 보조장치(100)를 휴대하여 필요한 위치에 결합시켜 사용할 수 있다.
참고로, 케이블 포설방법은 다양한데, 케이블에 가해지는 힘의 방향에 따라 케이블 트레이와 간섭이 발생되는 위치가 상이하다. 따라서, 작업자는 사용하는 케이블 포설방법에 따라 간섭이 일어날 곳을 예측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포설용 보조장치(100)를 케이블 트레이에 결합시킬 수 있다.
그리고, 케이블 포설용 보조장치(100)는 케이블 트레이로부터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다. 따라서, 케이블 포설작업이 완료된 후에는 케이블 포설용 보조장치(100)를 회수하였다가 다른 작업에 재사용 할 수 있으므로 자원이 절약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포설용 보조장치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본 명세서에 제시되는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구성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추가 등에 의해서 다른 실시 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발명의 사상범위 내에 든다고 할 것이다.
100: 케이블 포설용 보조장치 110: 제1 지지블록
111: 제1 결합공 120: 제2 지지블록
121: 제2 결합공 130: 지지샤프트
131: 지지롤러 140: 홀딩샤프트
141: 홀딩롤러 150: 그립블록 조립체
211, 212: 사이드 레일 221, 222: 렁

Claims (6)

  1. 제1 결합공이 형성된 제1 지지블록과, 상기 제1 결합공과 수직한 제2 결합공이 형성된 제2 지지블록과, 양단부에 상기 제1 지지블록 및 상기 제2 지지블록이 결합되고 상기 제1 결합공 및 상기 제2 결합공에 수직한 지지샤프트를 포함하는 본체;
    상기 지지샤프트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지지롤러;
    일측에 개방부가 형성되고, 일단부는 상기 제1 지지블록에 상기 제2 결합공과 나란한 축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타단부는 상기 제2 지지블록에 분리 가능하게 체결된 홀딩샤프트;
    상기 홀딩사프트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복수의 홀딩롤러; 및
    상기 제1 결합공 또는 상기 제2 결합공 중 어느 하나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그립블록 조립체를 포함하는 케이블 포설용 보조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그립블록 조립체는,
    상기 제1 결합공 또는 상기 제2 결합공에 일단부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그립샤프트;
    상기 그립샤프트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 그립블록 본체;
    상기 그립블록 본체를 상기 그립샤프트의 일단부 방향으로 탄성 지지하는 그립스프링; 및
    상기 그립블록 본체를 상기 그립샤프트에 고정시키는 고정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포설용 보조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그립블록 본체에 상기 그립샤프트와 나란한 방향으로 형성된 클램프부; 및
    상기 그립블록 본체에 결합되고, 상기 클램프부를 조이거나 개방하는 조임나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포설용 보조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지지블록에는 제1 지지면이 형성되고, 상기 제2 지지블록에는 제2 지지면이 형성되며, 상기 그립블록 본체에는 그립면이 형성되고,
    상기 그립블록 조립체가 상기 제1 결합공에 결합되면 상기 제1 지지면 및 상기 그립면이 대향하고,
    상기 그립블록 조립체가 상기 제2 결합공에 결합되면 상기 제2 지지면 및 상기 그립면이 대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포설용 보조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지지면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보조지지블록; 및
    상기 그립블록 본체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보조그립블록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포설용 보조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홀딩샤프트는 U자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포설용 보조장치.
KR1020100025656A 2010-03-23 2010-03-23 케이블 포설용 보조장치 KR1011222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25656A KR101122272B1 (ko) 2010-03-23 2010-03-23 케이블 포설용 보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25656A KR101122272B1 (ko) 2010-03-23 2010-03-23 케이블 포설용 보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06562A true KR20110106562A (ko) 2011-09-29
KR101122272B1 KR101122272B1 (ko) 2012-03-21

Family

ID=449563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25656A KR101122272B1 (ko) 2010-03-23 2010-03-23 케이블 포설용 보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22272B1 (ko)

Cited B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026036A1 (ko) * 2013-08-21 2015-02-26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전선 포설용 이송장치
WO2015026037A1 (ko) * 2013-08-21 2015-02-26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그리퍼 방식의 전선 포설장치
KR20150022123A (ko) * 2013-08-22 2015-03-04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자동 전선 포설용 그리퍼 장치
KR20150031000A (ko) 2013-09-13 2015-03-23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케이블 트레이용 클램프
KR101505804B1 (ko) * 2013-09-13 2015-03-25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휴대용 케이블 포설장치
KR20150033890A (ko) * 2013-09-25 2015-04-02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와이어 로프를 이용한 전선포설 장치
KR20150034439A (ko) * 2013-09-26 2015-04-03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전선포설용 그리퍼
KR20150034443A (ko) * 2013-09-26 2015-04-03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전선포설용 그리퍼
KR101511975B1 (ko) * 2013-12-20 2015-04-16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전선 포설 장치
KR20150067645A (ko) * 2013-12-10 2015-06-18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전선포설로봇의 후방 기울어짐 그리퍼 기구
KR20160015106A (ko) * 2014-07-30 2016-02-12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견인식 다중케이블 포설기구
KR20160038108A (ko) * 2014-09-29 2016-04-07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케이블 포설 장치
CN106058768A (zh) * 2016-06-02 2016-10-26 广东电网有限责任公司电力科学研究院 一种导线上置式的配网线路弃线保杆装置
KR200493049Y1 (ko) * 2020-05-11 2021-01-21 이은상 케이블 트레이용 전선안내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25776B1 (ko) * 2013-09-11 2015-06-04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케이블 이송장치
KR101530952B1 (ko) * 2013-12-19 2015-06-23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전선포설로봇
KR101945936B1 (ko) * 2018-08-22 2019-02-08 주식회사 정림건축종합건축사사무소 공동주택용 전력케이블 트레이
KR102104514B1 (ko) 2018-11-15 2020-04-27 (주)엠아이티코리아 케이블 트레이의 케이블 포설용 케이블 가이드 구조물 및 그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83914U (ja) 1981-11-30 1983-06-07 三和テッキ株式会社 延線ロ−ラ装置
JPH1032906A (ja) 1996-07-15 1998-02-03 Showa Electric Wire & Cable Co Ltd ケーブル延線用ローラ装置
JP3816179B2 (ja) 1997-03-17 2006-08-30 三菱電機株式会社 ケーブル延線工法

Cited B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026036A1 (ko) * 2013-08-21 2015-02-26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전선 포설용 이송장치
WO2015026037A1 (ko) * 2013-08-21 2015-02-26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그리퍼 방식의 전선 포설장치
CN104426091A (zh) * 2013-08-21 2015-03-18 大宇造船海洋株式会社 夹钳方式的电线敷设装置
CN104426092A (zh) * 2013-08-21 2015-03-18 大宇造船海洋株式会社 电线敷设用输送装置
KR20150022123A (ko) * 2013-08-22 2015-03-04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자동 전선 포설용 그리퍼 장치
KR20150031000A (ko) 2013-09-13 2015-03-23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케이블 트레이용 클램프
KR101505804B1 (ko) * 2013-09-13 2015-03-25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휴대용 케이블 포설장치
KR20150033890A (ko) * 2013-09-25 2015-04-02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와이어 로프를 이용한 전선포설 장치
KR20150034439A (ko) * 2013-09-26 2015-04-03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전선포설용 그리퍼
KR20150034443A (ko) * 2013-09-26 2015-04-03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전선포설용 그리퍼
KR20150067645A (ko) * 2013-12-10 2015-06-18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전선포설로봇의 후방 기울어짐 그리퍼 기구
KR101511975B1 (ko) * 2013-12-20 2015-04-16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전선 포설 장치
KR20160015106A (ko) * 2014-07-30 2016-02-12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견인식 다중케이블 포설기구
KR20160038108A (ko) * 2014-09-29 2016-04-07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케이블 포설 장치
CN106058768A (zh) * 2016-06-02 2016-10-26 广东电网有限责任公司电力科学研究院 一种导线上置式的配网线路弃线保杆装置
KR200493049Y1 (ko) * 2020-05-11 2021-01-21 이은상 케이블 트레이용 전선안내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22272B1 (ko) 2012-03-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22272B1 (ko) 케이블 포설용 보조장치
US5573226A (en) Apparatus for guiding an enlogated item
EP2758617B1 (en) Pipe-to-pipe brace assembly
US8648254B2 (en) Device and method for stringing overhead cable
KR101413414B1 (ko) 케이블 포설 캐터필러의 견인 궤도 장력 조절장치
CA2755481A1 (en) Conduit coupling with removable stop
KR101335478B1 (ko) 빔클램프
EP3620708A1 (en) A portable support for manipulating cables
KR101771688B1 (ko) 전력구용 송배전 케이블 매설 및 고정장치
CA3033175A1 (en) Tandem trunnion clamp
CN113944339B (zh) 安装钢结构围栏的固定装置及防护结构
CN112821290A (zh) 一种电力工程管道及其施工方法
CN215956010U (zh) 电缆埋管敷设导向装置
KR200455943Y1 (ko) 케이블 포설기구
KR101484046B1 (ko) 전선풀림방지 기능을 갖는 인장클램프
WO2016064064A1 (ko) 클램프 조임 장치
KR200468964Y1 (ko) 케이블 장력 인장클램프 장치
KR102562082B1 (ko) 케이블 가이드 장치
KR102129124B1 (ko) 광케이블 포설 및 간격유지장치
CN210779843U (zh) 一种地下电缆铺设的理线结构
CN211598751U (zh) 一种用于隧道的钢缆固定装置及巡检装置
KR102213133B1 (ko) 케이블 트레이용 클램프
KR100745457B1 (ko) 철탑에서의 자주기 우회 장치 및 방법
KR20150002789U (ko) 케이블용 그리퍼
CN217079031U (zh) 施工管路固定安装辅助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0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01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