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04012U - 케이블 정리용 지그 - Google Patents

케이블 정리용 지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04012U
KR20140004012U KR2020120012080U KR20120012080U KR20140004012U KR 20140004012 U KR20140004012 U KR 20140004012U KR 2020120012080 U KR2020120012080 U KR 2020120012080U KR 20120012080 U KR20120012080 U KR 20120012080U KR 20140004012 U KR20140004012 U KR 20140004012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ble
work
jig
holder
circumferential surf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2001208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상운
Original Assignee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12001208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04012U/ko
Publication of KR2014000401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04012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00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 F16L3/14Hangers in the form of bands or chai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22Installations of cables or lines through walls, floors or ceilings, e.g. into build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Installation Of Indoor Wir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천장 작업부에 형성되는 작업통로의 내주면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클램프부와 상기 작업통로를 통과하는 케이블류를 거치시키는 거치홀더부 및 상기 클램프부와 상기 거치홀더부를 연결하되, 상기 거치홀더부가 상기 작업통로의 외측에 위치되도록 하는 연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본 고안은 작업통로의 내주면에 손쉽게 설치하거나 제거할 수 있는 케이블 정리용 지그를 이용해 케이블류를 작업통로 외측에 거치되도록 함으로써, 통행공간을 확보하여 이를 통해 케이블류의 간섭 없이 작업통로를 작업자가 안전하게 통행할 수 있는 편리성이 있다.

Description

케이블 정리용 지그{Jig for arranging cable}
본 고안은 작업통로 내주면에 손쉽게 설치하거나 제거할 수 있는 정리용 지그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각종 케이블류를 거치시켜 작업자의 통행공간을 확보할 수 있는 케이블 정리용 지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작업현장에서는 동력원을 이용하는 공구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여러가닥의 케이블류가 사용된다. 이때, 케이블류는 용접, 도장 및 사상작업 등을 수행하기 위한 전력선, 가스공급선 및 에어공급선 등을 통칭하는 의미로 사용된다.
도 1은 종래기술로서 천장 작업부에 가설된 작업통로를 통해 여러가닥의 케이블류가 인입된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동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은 종래기술은 선박 내에서의 작업을 위해 각종 케이블류(30)가 인입될 수 있도록 천장 작업부(1)에 작업통로(10)를 임시 가설하게 된다. 이때, 상기 작업통로(10)는 상기 케이블류(30)의 인입 뿐만 아니라 작업자의 통행로로도 사용된다.
이와 같은 상기 케이블류(30)는 상기 작업통로(10)에 정리되지 않은 상태로 인입되어 있기 때문에 작업자의 통행을 방해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작업자의 통행 시 상기 케이블류(30)에 걸려서 넘어지는 등 부상의 위험이 있었고, 상기 케이블류(30)가 고정되어 있지 않아 주변 구조물이나 작업도구 등과 빈번한 접촉이 발생될 수 있어 이로 인해, 상기 케이블류(30) 피복이 벗겨지거나 파손 될 경우 빗물이나 작업현장에서 발생하는 물기 등에 의해 전기합성 및 가스누설 등의 문제가 발생되어 화재나 감전 사고 등으로 이어질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케이블류를 거치시키는 수단들이 제시되고 있기는 하지만 대부분의 수단들은 노끈이나 철사 등을 이용하여 임시로 케이블류를 묶어 고정하는 방법으로 사용한다.
그런데, 노끈이나 철사 등을 이용하여 임시로 케이블류를 고정하여 사용하는 경우에는 다른 작업장소로 이동할 경우 고정수단의 고정, 분리를 반복적으로 수행하여야 하므로 작업이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어 고정수단의 개선을 통한 작업 방법의 개선 방안의 개발이 시급하게 요구되는 실정이다.
본 고안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천장 작업부에 형성된 작업통로의 내주면에 손쉽게 설치하거나 제거할 수 있는 정리용 지그를 이용해 각종 케이블류를 작업통로의 외측에 거치되도록 하여 작업자의 통행공간을 확보함으로써, 작업자가 안정적으로 통행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작업도구의 이동 시 케이블류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케이블 정리용 지그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고안의 케이블 정리용 지그는, 천장 작업부에 형성되는 작업통로의 내주면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클램프부; 상기 작업통로를 통과하는 케이블류를 거치시키는 거치홀더부; 및 상기 클램프부와 상기 거치홀더부를 연결하되, 상기 거치홀더부가 상기 작업통로의 외측에 위치되도록 하는 연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정리용 지그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클램프부는 상기 작업통로의 상기 내주면 일측에 끼움 결합되는 "ㄷ"자 형상의 클립부; 및 상기 클립부에 나사 결합되고, 나사 결합방향으로 상기 내주면을 가압시켜 고정되도록 하는 고정나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거치홀더부는 "U"자 형상으로 형성하되, 개구부 방향이 상기 작업통로 바깥쪽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연결부는 상기 클립부에 일단이 연결되어 상기 작업통로 외측으로 연장되는 수평구간; 및 상기 수평구간의 타단부가 수직방향으로 절곡 형성되는 수직구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르면, 작업을 위한 케이블류가 통과할 수 있도록 임시 가설하도록 된 작업통로의 내주면에 정리용 지그를 손쉽게 설치하거나 제거할 수 있으며, 작업자가 케이블류의 거치 작업을 보다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에 따라 작업자는 케이블류를 작업통로의 외측에 거치시켜 통행공간을 확보할 수 있어 케이블류의 간섭 없이 작업통로의 통행을 안정적으로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케이블류를 한 곳에 거치하도록 함으로써, 케이블 파손에 의해 작업도중 가스가 누설되거나 전기선이 합선되어 호재 및 감전사고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안전성이 개선되는 효과를 갖는다.
그리고, 구조가 간단하여 쉽게 제작이 가능하고 무게가 가벼워 이동 및 보관이 편리한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종래기술에 관한 것으로서 천장 작업부에 형성된 작업통로를 통해 작업용 케이블류가 인입되는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케이블 정리용 지그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케이블 정리용 지그가 작업통로의 내주면에 설치된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케이블 정리용 지그가 작업통로의 내주면에 설치된 모습을 도시한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케이블 정리용 지그에 작업용 케이블류가 거치된 모습을 도시한 상태도.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자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케이블 정리용 지그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케이블 정리용 지그가 작업통로 내주면에 설치된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케이블 정리용 지그가 작업통로 내주면에 설치된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케이블 정리용 지그에 케이블류가 거치된 모습을 보여주는 상태도이다.
도 2 내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천장 작업부(1)에 형성되는 작업통로(10)의 내주면(20)에 케이블 정리용 지그(100)가 개시된다.
이때, 상기 작업통로(10)는 선박 내에서의 작업을 위해 각종 케이블류(30)가 인입되거나 작업자가 통행할 수 있도록 천장 작업부(1)에 임시 가설 된다.
또한, 상기 케이블류(30)는 전력선, 가스공급선, 에어공급선 등을 통칭하는 의미로 사용된다.
상기 케이블 정리용 지그(100)는 상기 작업통로(10)의 내주면(20) 결합되는 클램프부(110), 거치홀더부(120) 및 연결부(130) 구조를 제공한다.
상기한 케이블 정리용 지그(100)의 구성에 대해 보다 자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에 따른 케이블 정리용 지그(100)는 천장 작업부(1)에 형성된 작업통로(10)의 내주면(20)에 설치되는 클램프부(110)가 구비된다.
상기 클램프부(110)는 천장 작업부(1)에 형성된 상기 작업통로(10)의 상기 내주면(20) 일측에 끼움 결합되는 "ㄷ"자 형상의 클립부(111)와, 상기 클립부(111)에 나사 결합되고, 나사 결합방향으로 상기 내주면(20)을 가압시켜 고정되도록 하는 고정나사(112)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클립부(111)는 상기 작업통로(10)의 상기 내주면(20)에 작업자가 원하는 부위에 위치시킨다.
또한, 상기 고정나사(112)는 렌치 등의 공구를 이용해 조일 수도 있으나, 작업자가 손으로 잡고 쉽게 회전시킬 수 있도록 나비볼트 형식의 손잡이를 형성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거치홀더부(120)는 상기 케이블류(30)가 거치되는 부분으로서 단면이 만곡된 타원형 원호 모양의 "U"자 형상의 개구부(121)가 형성된다.
상기 거치홀더부(120)는 상기 연결부(130)의 일측에 형성되고, 상기 개구부(121)의 방향이 상기 작업통로(10) 바깥쪽 방향으로 형성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거치홀더부(120)의 상기 개구부(121) 내측에는 상기 케이블류(30)가 삽입되어 거치될 수 있도록 곡률을 가진다.
또한, 상기 거치홀더부(120)의 일단부 양측에는 구 형상의 돌출부(122)가 형성된다.
이를 통해, 상기 거치홀더부(120)의 상기 개구부(121) 내측에 형성된 곡률에 의해 상기 케이블류(30)가 안정적으로 안착되고, 구 형상의 상기 돌출부(122)에 의해 상기 케이블류(30)가 상기 거치홀더부(120)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한편, 상기 연결부(130)는 "ㄴ"자 형상으로 상기 클램프부(110)와 상기 거치홀더부(120)가 연결되도록 수평구간(131) 및 수직구간(132)을 형성한다.
상기 수평구간(131)은 상기 클립부(111) 일단에 수평방향으로 연결되어 상기 작업통로(10) 외측에 연장되어 형성된다.
이때, 상기 수평구간(131)은 제작자가 원하는 길이 및 다른 형상의 바 형태로 제작될 수 있으며, 상기 수평구간(131)의 길이를 통해 작업자의 통행공간을 확보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수직구간(132)은 상기 수평구간(131)의 타단부가 수직방향으로 절곡 형성된 것으로 일측에 상기 거치홀더부(120)가 형성되어 거치된 상기 케이블류(30)의 하중을 안정적으로 지지해 주거나 기울어지는 것을 방지해주는 역할을 한다.
상기 구성을 갖는 본 고안에 따른 작용관계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케이블 정리용 지그의 작용관계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상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우선 작업이 진행되는 천장 작업부(1)에 형성된 상기 작업통로(10)의 상기 내주면(20)에 상기 케이블 정리용 지그(100)의 상기 클램프부(110)를 설치한다. 이때, 상기 클램프부(110)는 "ㄷ"자 형상의 상기 클립부(111)를 상기 내주면(20)에 끼운 후, 상기 고정나사(112)를 조여서 고정되도록 한다.
그런 다음, 작업자는 정리가 되지 않은 상태로 상기 작업통로(10)의 상기 내주면(20)에 인입된 상기 케이블류(30)를 상기 거치홀더부(120)의 개구부(120)에 거치시키면 된다.
이에 따라, 작업자는 상기 케이블 정리용 지그(100)를 상기 작업통로(10) 외측에 설치하여 상기 케이블류(30)를 상기 거치홀더부(120)에 거치시킴으로써 통행공간을 확보할 수 있어 상기 케이블류(30)의 간섭 없이 상기 작업통로(10)의 통행을 보다 안정적으로 할 수 있다.
한편, 작업이 끝난 후 다른 작업 장소로 이동할 경우 작업자는 상기 고정나사(112)를 풀어 상기 작업통로(10)의 상기 내주면(20)에서 상기 케이블 정리용 지그(100)를 탈착시켜 다른 작업 장소로 이동하면 된다.
따라서, 작업자는 상기 고정나사(112)를 통해 상기 케이블 정리용 지그(100)를 상기 내주면(20)에서 손쉽게 착탈시킬 수 있다.
앞서, 살펴본 바와 같은 본 고안은 작업장에서 쉽게 설치하거나 제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작업통로의 외측에 케이블류를 거치함으로써 작업자의 통행공간을 확보할 수 있고, 케이블류를 한 곳에 거치하도록 함으로써 케이블 파손 및 감전사고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고안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당업자는 각 구성요소의 재질, 크기 등을 적용 분야에 따라 변경하거나, 실시형태들을 조합 또는 치환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에 명확하게 개시되지 않은 형태로 실시할 수 있으나, 이 역시 본 고안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으로 한정적인 것으로 이해해서는 안되며, 이러한 변형된 실시예는 본 고안의 실용신안청구범위에 기재된 기술사상에 포함된다고 하여야 할 것이다.
1 : 천장 작업부 10 : 작업통로
20 : 내주면 30 : 케이블류
100 : 케이블 정리용 지그 110 : 클램프부
111 : 클립부 112 : 고정나사
120 : 거치홀더부 121 : 개구부
122 : 돌출부 130 : 연결부
131 : 수평구간 132 : 수직구간

Claims (5)

  1. 천장 작업부(1)에 형성되는 작업통로(10)의 내주면(20)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클램프부(110);
    상기 작업통로(10)를 통과하는 케이블류(30)를 거치시키는 거치홀더부(120); 및
    상기 클램프부(110)와 상기 거치홀더부(120)를 연결하되, 상기 거치홀더부(120)가 상기 작업통로(10)의 외측에 위치되도록 하는 연결부(13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정리용 지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클램프부(110)는 상기 작업통로(10)의 상기 내주면(20) 일측에 끼움 결합되는 "ㄷ"자 형상의 클립부(111); 및
    상기 클립부(111)에 나사 결합되고, 나사 결합방향으로 상기 내주면(20)을 가압시켜 고정되도록 하는 고정나사(112);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정리용 지그.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거치홀더부(120)는 "U"자 형상으로 형성하되, 개구부(121) 방향이 상기 작업통로(10) 바깥쪽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정리용 지그.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130)는 상기 클립부(111)에 일단이 연결되어 상기 작업통로(10) 외측으로 연장되는 수평구간(131); 및
    상기 수평구간(131)의 타단부가 수직방향으로 절곡 형성되는 수직구간(132);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정리용 지그.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거치홀더부(120)의 일단부 양측에는 상기 케이블류(30) 이탈 방지를 위한 원구 형상의 돌출부(122)를 더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정리용 지그.
KR2020120012080U 2012-12-21 2012-12-21 케이블 정리용 지그 KR20140004012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12080U KR20140004012U (ko) 2012-12-21 2012-12-21 케이블 정리용 지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12080U KR20140004012U (ko) 2012-12-21 2012-12-21 케이블 정리용 지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4012U true KR20140004012U (ko) 2014-07-01

Family

ID=524454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20012080U KR20140004012U (ko) 2012-12-21 2012-12-21 케이블 정리용 지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004012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30803A (ko) * 2018-05-15 2019-11-25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다목적 거치대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30803A (ko) * 2018-05-15 2019-11-25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다목적 거치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54764Y1 (ko) 케이블 포설 장치
KR101876480B1 (ko) 가공배전선 고정을 위한 클램핑기구
CN106425921B (zh) 通用支撑夹具
JP5358488B2 (ja) 鳥害防止具の取付冶具、鳥害防止具の取付方法
JP6012734B2 (ja) 電線及びケーブル用の支持及び保持装置
KR101721540B1 (ko) 전선 인장 및 고정용 클램프
CN106300164A (zh) 线束固线夹
KR20140004012U (ko) 케이블 정리용 지그
KR101479289B1 (ko) 전선용 행거
KR102143127B1 (ko) 방호관 취부장치
JP2013198180A (ja) 間接活線用先端工具
US10663087B2 (en) Power tool cable mount
KR20090075962A (ko) 광케이블 접속함체의 지지용 행거
JP2018508716A (ja) クランプ装置における、又はクランプ装置に関する改良
KR20160046156A (ko) 활선용 점퍼선 설치장치
JP6906725B1 (ja) 単管パイプ用配線固定具
KR101206886B1 (ko) 통신케이블용 현수장치
CN206148866U (zh) 线束固线夹
KR101448725B1 (ko) 가공 배전선로의 안정적인 지지를 위한 설치완금
JP3204037U (ja) 吊り下げ機器又は部材の仮固定具
JP2011205890A (ja) 電線設備具
JP5886217B2 (ja) 架線乗り出し器具用取付具およびこれを用いた架線乗り出し器具の取付方法
JP2016039722A (ja) アーム取付け間接工法及びアーム取付け工具
JP2006067758A (ja) 電線保持具
CN212901185U (zh) 一种支架灯具安装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