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30803A - 다목적 거치대 - Google Patents

다목적 거치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30803A
KR20190130803A KR1020180055384A KR20180055384A KR20190130803A KR 20190130803 A KR20190130803 A KR 20190130803A KR 1020180055384 A KR1020180055384 A KR 1020180055384A KR 20180055384 A KR20180055384 A KR 20180055384A KR 20190130803 A KR20190130803 A KR 2019013080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ble
main body
coupling part
patient
touch coup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553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25609B1 (ko
Inventor
박성열
Original Assignee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800553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25609B1/ko
Publication of KR201901308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308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256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256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12/00Accommodation for nursing, e.g. in hospitals, not covered by groups A61G1/00 - A61G11/00, e.g. trolleys for transport of medicaments or food; Prescription lists
    • A61G12/002Supply appliances, e.g. columns for gas, fluid, electricity supply
    • A61G12/004Supply appliances, e.g. columns for gas, fluid, electricity supply mounted on the ceil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0Containers, covers, furniture or holders specially adapted for surgical or diagnostic appliances or instruments, e.g. sterile covers
    • A61B50/20Holders specially adapted for surgical or diagnostic appliances or instru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4Infusion devices, e.g. infusing by gravity; Blood infusion; Accessories therefor
    • A61M5/1414Hanging-up devices
    • A61M5/1415Stands, brackets or the like for supporting infusion accessori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4Infusion devices, e.g. infusing by gravity; Blood infusion; Accessories therefor
    • A61M5/1414Hanging-up devices
    • A61M5/1418Clips, separators or the like for supporting tubes or lea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9/00Ancillary equipment
    • A61M2209/08Supports for equipmen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Anesthesiology (AREA)
  • Hematology (AREA)
  • Surgery (AREA)
  • Nursing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Accommodation For Nursing Or Treatment Tab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목적 거치대에 관한 것으로, 상기 케이블선들을 가지는 의료 장비의 일측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원터치 결합부; 상기 원터치 결합부로부터 길이를 갖도록 연장 형성되는 본체부; 및 상기 본체부의 상기 결합부가 연결된 부위와 반대측에 연결되고, 각각 상기 본체부와 연결된 고정단부와, 자유 움직임이 가능한 자유단부를 구비하며, 상기 각 자유단부들 사이에 간격이 형성된 상태로 원주방향을 따라 배열되어서 상기 케이블선들이 상기 간격을 통과하여 각각의 요소 사이에 위치될 수 있게 하는 복수의 케이블부들;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Description

다목적 거치대{Multipurpose cradle}
본 발명은 다목적 거치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검사나 치료를 위한 케이블선들 및 수액 라인 등을 안정되게 거치시켜 환자에 대한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고 검사 시 오류의 발생을 방지하여 검사 신뢰도와 치료 효율을 높일 수 있도록, 구조가 개선된 다목적 거치대에 관한 것이다.
의료 및 과학 기술의 발달에 힘입어 질병치료 및 수술, 검사 등에서는 레이저, 고주파, 저주파, 초음파 등 광선이나 파장을 이용한 치료 또는 시술이 많이 이루어지고 있다. 아울러, 제약기술의 발달로 인해 환자는 침상 생활 중에 다양한 약물치료를 받게 된다.
일반적으로 광선이나 파장을 이용한 치료 또는 검사용 의료 기기는 전원공급부, 제어부, 광선 또는 파장 생성부, 표시부, 조작패널 등을 포함하고, 음파 또는 파장 생성부에서 생성던 광선이나 파장을 환자의 피부에 전달시키는 케이블들을 포함한다.
이러한 의료 기기는 케이블에 의해 핸드피스와 연결되고 검사나 치료에 따라 많은 수의 케이블을 포함하기 때문에 핸드피스 거치대를 구비한다. 한편, 환자의 약물치료는 수액 거치대에 거치된 링거 주사에 의해 주로 이루어지며, 수액 라인을 통해 약물을 환자에게 주입한다.
종래의 거치대들은 케이블과 연결된 핸드피스나 링거 주사를 거치할 수 있으나 케이블 및 수액라인 등을 안정되게 거치할 수 없음으로써, 환자의 움직임에 제약을 주고 안전사고를 발생시키는 문제점과, 케이블 간의 전기적 간섭현상(noise)으로 데이터 오류를 발생시키는 문제점을 가진다.
종래기술로는 한국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34627호 「수액거치대」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케이블선들이 환자의 움직임에 제약을 주지 않게 하고 케이블들로 인한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하며, 검사 시 데이터 오류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게 하여 검사 신뢰도 및 치료 효율을 높일 수 있도록 하는 다목적 거치대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해결과제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다목적 거치대는, 환자의 건강 이상 유무 측정 또는 치료 목적을 위해 사용되는 케이블선들을 거치시키기 위한 것으로, 상기 케이블선들을 가지는 의료 장비의 일측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원터치 결합부; 상기 원터치 결합부로부터 길이를 갖도록 연장 형성되는 본체부; 및 상기 본체부의 상기 결합부가 연결된 부위와 반대측에 연결되고, 각각 상기 본체부와 연결된 고정단부와, 자유 움직임이 가능한 자유단부를 구비하며, 상기 각 자유단부들 사이에 간격이 형성된 상태로 원주방향을 따라 배열되어서 상기 케이블선들이 상기 간격을 통과하여 각각의 요소 사이에 위치될 수 있게 하는 복수의 케이블부들;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각 케이블부는, 상기 고정단부와 자유단부 사이 부분이 변형이 가능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각 케이블부는, 상기 각 고정단부들 사이의 간격보다 자유단부들 사이의 간격이 크게 형성되고, 상기 고정단부와 자유단부 사이에 해당하는 부분 중에서 가장 큰 간격이 형성되는 부분이 존재하도록, 곡선을 따라 연장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본체부는, 형상 변형 후 그 변형된 형상이 유지될 수 있는 케이블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다목적 거치대는, 케이블선들을 거치시키기 위한 것으로 원터치 결합부가 케이블선들을 가진 의료 장비의 일측이나 침상에 결합되고, 본체부가 원터치 결합부로부터 길게 연장형성되고, 복수의 케이블부들의 고정단부가 본체부와 연결되고, 그 케이블부들의 자유단부가 고정단부와 연결되어 자유 움직임되고, 자유단부가 원주방향을 따라 배열되어 간격을 형성하며 케이블선들이 그 간격을 통과하여 각각의 요소 사이에 위치됨으로써, 케이블선들이 환자의 움직임에 제약을 주지 않도록 하고 케이블들로 인한 안전사고를 방지하며, 검사 시 케이블들 간의 전기적 간섭현상의 발생을 억제하여 데이터 오류의 발생을 방지하며 검사 신뢰도 및 치료 효율을 증대시키는 효과를 가진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목적 거치대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 일실시예의 원터치 결합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 일실시예의 사용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 일실시예에 채용된 케이블부들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 일실시예에 채용된 본체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다목적 거치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이상,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목적 거치대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다목적 거치대는 환자의 치료나 검사를 위한 의료용 장비에 연결된 케이블들의 거치가 가능하고, 의료용 수액 라인 등의 의료용 케이블들의 거치를 위해서 활용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목적 거치대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 일실시예의 원터치 결합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 일실시예의 사용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 일실시예에 채용된 케이블부들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5는 본 발명 일실시예에 채용된 본체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목적 거치대는 원터치 결합부(100), 본체부(200) 및 복수의 케이블부들(30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원터치 결합부(100)는 케이블선(C)들을 가지는 의료 장비(의료 기기)의 일측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원터치 결합부(100)는 집게 형태로 이루어져서 의료 장비 및 환자용 침상(B)의 테두리에 체결됨으로써, 그 의료 장비 및 환자용 침상에 위치 고정된다.
상기 원터치 결합부(100)는 이분된 상태로 탄성적으로 서로 연결되고, 서로 이격되거나 탄성 복원에 의해 서로 접근되는 구조로 이루어짐으로써, 본 실시예를 원터치 방식으로 의료 장비 및 환자용 침상(B)에 체결시킬 수 있게 하는 효과를 도출한다.
상기 본체부(200)는 원터치 결합부(100)로부터 길이를 갖도록 연장형성된다. 본체부(200)는 상기 원터치 결합부(100)와 끼움결합이나 나사결합에 의해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고, 합성수지나 금속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본체부(200)는, 실리콘이나 고무 소재 등의 피복부재에 의해 감싸질 수 있음으로써, 미관상 수려함을 추가할 수 있고 환자나 관리자의 이동 시 마찰이나 부딪힘에 의한 안전 사고를 방지하는 장점을 가진다.
복수의 케이블부들(300)은, 고정단부(301)와 자유단부(302)로 이루어지고 상기 원터치 결합부(100)의 반대측 본체부(200)에 연결되어 상기 케이블선들을 지지 및 위치고정시킨다.
상기 케이블부들(300)의 고정단부(301)는, 원터치 결합부(100)가 연결된 부위와 반대측의 본체부(200)에 연결된다. 상기 고정단부(301)는 본체부(200)에 끼움결합되어 위치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케이블부들의 자유단부(302)는, 고정단부(301)로부터 연장 형성되며 자유 움직임이 가능하여 관리자(운영자)나 환자가 원하는 형태로 변형시킬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상기 자유단부(302)는 고정단부(301)의 반대측 단부에 라운드 형상의 굴곡면을 포함할 수 있음으로써, 환자나 관리자의 긁힘 및 찔림에 의한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케이블부들(300)은, 자유단부(302)들 사이에 간격이 형성된 상태로 고정단부(301) 측에서 원주방향을 따라 배열되어서, 상기 케이블선들(C)이 상기 간격을 통과하여 각각의 요소 사이에 위치될 수 있게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목적 거치대는, 케이블선들을 거치시키기 위한 것으로 원터치 결합부(100)가 케이블선들(C)을 가진 의료 장비의 일측이나 환자용 침상(B)에 결합되고, 본체부(200)가 원터치 결합부로부터 길게 연장형성되고, 복수의 케이블부들(300)의 고정단부(301)가 본체부(200)와 연결되고, 그 케이블부들(300)의 자유단부(302)가 고정단부(301)와 연결되어 자유 움직임되고, 자유단부(302)가 원주방향을 따라 배열되어 간격을 형성하며 케이블선들(C)이 그 간격을 통과하여 각각의 요소 사이에 위치됨으로써, 케이블선들(C)이 환자의 움직임에 제약을 주지 않도록 하고 케이블들로 인한 안전사고를 방지하며, 검사 시 케이블들 간의 전기적 간섭현상의 발생을 억제하여 데이터 오류의 발생을 방지하며 검사 신뢰도 및 치료 효율을 증대시키는 효과를 가진다.
한편, 각 케이블부(300)는 상기 고정단부(301)와 자유단부(302) 사이 부분이 변형 가능한 재질로 이루어짐으로써, 환자나 관리자가 케이블선들(C)의 개수나 굵기 등에 따라 형태를 자유롭게 변형시킬 수 있고, 그 자유단부들(302)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여 다양한 케이블선들(C)을 보다 안정되게 위치고정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각 케이블부(300)는, 곡선을 따라 연장 형성되는 형태로 이루어짐으로써, 각 고정단부(301)들 사이의 간격보다 자유단부(302)들 사이의 간격이 크게 형성되고, 상기 고정단부(301)와 자유단부(302) 사이에 해당하는 부분 중에서 가장 큰 간격이 형성되는 부분을 포함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각 케이블부(300)는 간격이 형성된 부분에 다양한 굵기의 케이블선들(C)을 배치시킬 수 있게 하고, 그 부분에 케이블선들(C)을 굵기에 따라 순차적으로 적층시킬 수도 있게 한다.
본 실시예에 채용된 본체부(200)는, 케이블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케이블 재질은 코브라관과 같이 휘어지고 그 휘어진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재질(소재)을 의미한다. 상기 본체부(200)는 형상 변형 및 변형된 형상의 유지가 가능함으로써, 케이블부(300)에 지지된 케이블선(C)들의 위치를 자유롭게 변경시킬 수 있고 그 케이블선(C)들로 인해 환자의 움직임에 방해를 주지 않게 하는 효과를 가진다.
이상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목적 거치대를 설명하였다. 이하에서는 도 6 및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다목적 거치대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다목적 거치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는 앞에서 설명한 실시예와 대부분의 구성이 유사하나, 케이블부(300)의 구조에 있어서 차이점이 있다.
즉, 본 실시예에 채용된 케이블부(300)는 상기 원터치 결합부(100)가 연결된 부위와 반대측 본체부(200)에 연결되고 나선형으로 코일링되며, 코일링됨에 따른 사이 간격에 케이블선들(C)이 끼워지는 복수의 끼움공간(303)을 형성함으로써, 복수의 케이블선들(C)을 겹쳐지지 않게 배열 및 지지시킬 수 있고 전기적 간섭 현상을 방지하여 검사시 오류를 방지하는 효과를 가진다.
상기 케이블부(300)는, 끼움공간(303)에 케이블선들(C)이 끼워질 때 그 케이블선들(C)의 양측에 밀착됨에 따라, 상기 케이블선들(C)을 안정되게 위치 고정시키고, 긴 시간이 경과된 후에 케이블선들(C)이 흘러내리거나 그 케이블부(300)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시키는 장점을 도출한다.
본 실시예들 및 본 명세서에서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에 포함되는 기술적 사항의 일부를 명확하게 나타내고 있는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명세서 및 도면에 포함된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당업자가 용이하게 유추할 수 있는 변형 예와 구체적인 실시예는 모두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이 자명하다고 할 것이다.
C: 케이블선들 B: 환자 침상
100: 원터치 결합부 200: 본체부
300: 케이블부 301: 고정단부
302: 자유단부 303: 끼움공간

Claims (5)

  1. 환자의 건강 이상 유무 측정 또는 치료 목적을 위해 사용되는 케이블선들을 거치시키기 위한 것으로,
    상기 케이블선들을 가지는 의료 장비의 일측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원터치 결합부;
    상기 원터치 결합부로부터 길이를 갖도록 연장 형성되는 본체부; 및
    상기 본체부의 상기 결합부가 연결된 부위와 반대측에 연결되고, 각각 상기 본체부와 연결된 고정단부와, 자유 움직임이 가능한 자유단부를 구비하며, 상기 각 자유단부들 사이에 간격이 형성된 상태로 원주방향을 따라 배열되어서 상기 케이블선들이 상기 간격을 통과하여 각각의 요소 사이에 위치될 수 있게 하는 복수의 케이블부들;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자 안전을 위한 다목적 거치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각 케이블부는, 상기 고정단부와 자유단부 사이 부분이 변형이 가능한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자안전을 위한 다목적 거치대.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각 케이블부는, 상기 각 고정단부들 사이의 간격보다 자유단부들 사이의 간격이 크게 형성되고, 상기 고정단부와 자유단부 사이에 해당하는 부분 중에서 가장 큰 간격이 형성되는 부분이 존재하도록, 곡선을 따라 연장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자안전을 위한 다목적 거치대.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는, 형상 변형 후 그 변형된 형상이 유지될 수 있는 케이블 재질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자안전을 위한 다목적 거치대.
  5. 환자의 건강 이상 유무 측정 또는 치료 목적을 위해 사용되는 케이블선들을 거치시키기 위한 것으로,
    상기 케이블선들을 가지는 의료 장비의 일측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원터치 결합부;
    상기 원터치 결합부로부터 길이를 갖도록 연장 형성되는 본체부; 및
    상기 본체부의 상기 결합부가 연결된 부위와 반대측에 연결되고, 나선형으로 코일링되어, 케이블선들이 끼워지는 복수의 끼움공간을 사이 간격에 형성하는 케이블부들;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자 안전을 위한 다목적 거치대.
KR1020180055384A 2018-05-15 2018-05-15 다목적 거치대 KR1021256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5384A KR102125609B1 (ko) 2018-05-15 2018-05-15 다목적 거치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5384A KR102125609B1 (ko) 2018-05-15 2018-05-15 다목적 거치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30803A true KR20190130803A (ko) 2019-11-25
KR102125609B1 KR102125609B1 (ko) 2020-06-22

Family

ID=687307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55384A KR102125609B1 (ko) 2018-05-15 2018-05-15 다목적 거치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2560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32507A (ko) 2020-04-27 2021-11-04 황순범 다목적 거치대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82300A (ko) 2020-12-10 2022-06-17 박성열 다목적 거치대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454683A (en) * 1987-08-26 1989-03-02 Fujitsu Ltd Clamping of wire material
JPH09161562A (ja) * 1995-12-13 1997-06-20 Sumitomo Wiring Syst Ltd 電線支持具
JP2012185921A (ja) * 2011-03-03 2012-09-27 Sumitomo Wiring Syst Ltd ワイヤハーネス組立用の治具
KR20140004012U (ko) * 2012-12-21 2014-07-01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케이블 정리용 지그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454683A (en) * 1987-08-26 1989-03-02 Fujitsu Ltd Clamping of wire material
JPH09161562A (ja) * 1995-12-13 1997-06-20 Sumitomo Wiring Syst Ltd 電線支持具
JP2012185921A (ja) * 2011-03-03 2012-09-27 Sumitomo Wiring Syst Ltd ワイヤハーネス組立用の治具
KR20140004012U (ko) * 2012-12-21 2014-07-01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케이블 정리용 지그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32507A (ko) 2020-04-27 2021-11-04 황순범 다목적 거치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25609B1 (ko) 2020-06-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90130803A (ko) 다목적 거치대
US20090093761A1 (en) Medical-procedure assistance device and method with improved optical contrast, and new practitioner-safety, device-fixation, electrode and magnetic treatment and lumen-dilation capabilities
US7487791B1 (en) Apparatus to contain excessive lengths of medical tubing and cabling
ATE490796T1 (de) Infusionsset
US20060249635A1 (en) Patient line management apparatus
WO2006068927A3 (en) Methods and apparatuses for positioning within an internal channel
DE69232901D1 (de) Therapeutische Endorectalsonde, insbesondere für Behandlung von Prostatakarzinom, in Kombination mit einer endoskopischen Bildsonde
DE69533444D1 (de) Minimal-invasives medizinisches Gerät für Strahlentherapie
JP5021815B2 (ja) 回転可能なマットレストレイを有する加温治療装置
KR20140094961A (ko) 요골동맥 삽관용 손목고정대
WO2009039105A3 (en) Device for precision positioning of instruments at a mri scanner
KR102233941B1 (ko) 다목적 거치대
KR101853309B1 (ko) 수액관 정리 기구
ATE341997T1 (de) Flüssigkeitsauffang-haltevorrichtung
RU2011117320A (ru) Медицинский шланг в сборе со средством фиксации трубки
CN206758964U (zh) 一种医疗仪器线缆规整装置
KR20220082300A (ko) 다목적 거치대
KR102588892B1 (ko) 카테터 고정장치
CN220025758U (zh) 高压造影注射器管路固定装置
JP2006525839A (ja) 配線誘導手段を備える患者支持テーブル
JP6382156B2 (ja) ケーブル用支持具
KR200429968Y1 (ko) 의료기구 보호용 드레이프 장치
CN219516423U (zh) 一种便于调节的普外科手术用止血装置
CN220676020U (zh) 一种超声波探头无菌保护套
CN219941540U (zh) 一种介入导管固定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