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29972A - 차량용 자동변속기의 유압공급시스템 - Google Patents

차량용 자동변속기의 유압공급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29972A
KR20150029972A KR20130109094A KR20130109094A KR20150029972A KR 20150029972 A KR20150029972 A KR 20150029972A KR 20130109094 A KR20130109094 A KR 20130109094A KR 20130109094 A KR20130109094 A KR 20130109094A KR 20150029972 A KR20150029972 A KR 2015002997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essure
hydraulic pressure
passage
supply
regulating val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1090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18895B1 (ko
Inventor
위태환
김기동
이경무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1090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18895B1/ko
Priority to JP2013252973A priority patent/JP6207368B2/ja
Priority to DE102013114468.3A priority patent/DE102013114468B4/de
Priority to CN201310741553.8A priority patent/CN104421423B/zh
Priority to US14/145,642 priority patent/US9175766B2/en
Publication of KR201500299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299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188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188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61/00Control functions within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friction gearing,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or other particular types of gearing
    • F16H61/0021Generation or control of line pressure
    • F16H61/0025Supply of control fluid; Pumps therefo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61/00Control functions within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friction gearing,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or other particular types of gearing
    • F16H61/38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61/00Control functions within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friction gearing,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or other particular types of gearing
    • F16H61/38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 F16H61/40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hydrostatic
    • F16H61/46Automatic regulation in accordance with output requirements
    • F16H61/461Automatic regulation in accordance with output requirements not involving a variation of the output capacity of the main pumps or mo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14/00Control of, monitoring of, or safety arrangements for, machines, pumps or pumping installations
    • F04C14/24Control of, monitoring of, or safety arrangements for, machines, pumps or pumping installations characterised by using valves controlling pressure or flow rate, e.g. discharge valves or unloading valves
    • F04C14/26Control of, monitoring of, or safety arrangements for, machines, pumps or pumping installations characterised by using valves controlling pressure or flow rate, e.g. discharge valves or unloading valves using bypass channe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61/00Control functions within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friction gearing,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or other particular types of gearing
    • F16H61/0021Generation or control of line press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61/00Control functions within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friction gearing,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or other particular types of gearing
    • F16H61/38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 F16H61/40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hydrostatic
    • F16H61/4008Control of circuit pressure
    • F16H61/4017Control of high pressure, e.g. avoiding excess pressure by a relief valv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61/00Control functions within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friction gearing,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or other particular types of gearing
    • F16H61/38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 F16H61/40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hydrostatic
    • F16H61/4043Control of a bypass valv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61/00Control functions within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friction gearing,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or other particular types of gearing
    • F16H61/38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 F16H61/40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hydrostatic
    • F16H61/42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hydrostatic involving adjustment of a pump or motor with adjustable output or capacity
    • F16H61/431Pump capacity control by electro-hydraulic control means, e.g. using solenoid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61/00Control functions within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friction gearing,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or other particular types of gearing
    • F16H61/38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 F16H61/40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hydrostatic
    • F16H61/46Automatic regulation in accordance with output requirements
    • F16H61/478Automatic regulation in accordance with output requirements for preventing overload, e.g. high pressure limit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61/00Control functions within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friction gearing,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or other particular types of gearing
    • F16H61/0021Generation or control of line pressure
    • F16H2061/0037Generation or control of line pressure characterised by controlled fluid supply to lubrication circuits of the gear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137/00Fluid handling
    • Y10T137/8593Systems
    • Y10T137/85978With pump
    • Y10T137/85986Pumped fluid control
    • Y10T137/86002Fluid pressure responsiv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137/00Fluid handling
    • Y10T137/8593Systems
    • Y10T137/85978With pump
    • Y10T137/85986Pumped fluid control
    • Y10T137/86027Electric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74/00Machine element or mechanism
    • Y10T74/20Control lever and linkage systems
    • Y10T74/20012Multiple controlled elements
    • Y10T74/20018Transmission control
    • Y10T74/20024Fluid actuat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Control Of Transmission Device (AREA)

Abstract

차량용 자동변속기의 유압공급시스템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자동변속기의 유압공급시스템은 내부에 제1, 제2 펌프실을 형성하며, 각 펌프실은 각 흡입유로를 통하여 오일 팬과 연결됨과 동시에, 생성된 유압을 각 토출유로를 통하여 자동변속기의 고압부와 저압부에 공급하는 오일펌프; 상기 고압부에 연결되는 고압유로 상에 구성되어 상기 제1, 제2 펌프실로부터 고압유로를 통하여 상기 고압부로 공급되는 유압을 안정되게 제어하며, 제어과정에 발생되는 잉여 유압을 상기 저압부로 공급하는 고압용 레귤레이팅 밸브; 상기 제2 펌프실에 연결된 토출유로의 유압을 선택적으로 바이패스 유로를 통해 상기 고압유로와 연결된 제1 공급유로로 공급하거나, 제2 공급유로로 공급하는 제1 스위치 밸브; 상기 제1, 제2 공급유로의 유압을 선택적으로 상기 제3, 제4 공급유로로 공급하는 제2 스위치 밸브; 상기 제3, 제4 공급유로를 통해 공급되는 유압을 안정되게 제어하여 제5 공급유로를 통해 변속 제어부로 공급하고, 제어과정에 발생되는 잉여 유압을 상기 저압부로 공급하는 솔레노이드용 레귤레이팅 밸브; 상기 고압용 레귤레이팅 밸브와 솔레노이드용 레귤레이팅 밸브로부터 공급되는 잉여 유압을 안정되게 제어하여 상기 저압부로 공급하고, 제어과정에 발생되는 잉여 유압을 상기 제1 흡입유로 측으로 공급하는 저압용 레귤레이팅 밸브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차량용 자동변속기의 유압공급시스템{OIL PRESSURE SUPPLY SYSTEM OF AUTOMATIC TRANSMISSION}
본 발명은 차량용 자동변속기의 유압공급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전토출 모드와 반토출 모드를 구현할 수 있도록 한 차량용 자동변속기의 유압공급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차량용 자동변속기의 유압공급시스템에 적용되는 오일펌프는 주로 기어펌프가 적용되는데, 최근에는 저 회전 영역에서도 충분한 유량을 공급할 수 있는 베인펌프가 적용된다.
상기 베인펌프는 회전수에 비례하여 토출량이 증대되므로 저 회전 영역에서 충분한 유량을 확보할 수 있도록 제어하면, 고 회전 영역에서는 불필요하게 많은 유량이 공급되면서 펌프의 구동 손실을 초래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따라, 베인펌프는 고 회전 영역에서 잉여 유량을 재순환시킬 수 있도록 로터의 축대칭 위치에 제1, 제2 펌프실로 구분되는 2개의 펌프실을 형성하여 메인 펌프실과 서브 펌프실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이때, 상기 제1 펌프실은 메인 펌프실이며, 제1 펌프실에서 생성된 유압은 상시 토출되면서 고압부(마찰부재, 풀리 등)로 공급된다.
또한, 상기 제2 펌프실은 서브 펌프실이며, 제2 펌프실에서 생성되는 유압은 필요에 따라 상기 고압부(마찰부재, 풀리 등) 또는 저압부(토크 컨버터, 냉각, 윤활 등)로 공급되거나 재순환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엔진 회전수가 저 회전 영역에서는 상기 제1 펌프실과 제2 펌프실에서 생성된 유압이 고압부로 충분히 공급되도록 하고, 엔진 회전수가 고 회전 영역에서는 제2 펌프실에서 생성된 유압을 흡입 측으로 재순환시킴으로써, 펌프의 구동 손실을 저감하고 연비를 개선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저압부에 솔레노이드 밸브 제어부의 유로를 연결하여 고압부와 변속 제어부로부터 재순환되는 잉여 유압이 저압부로 공급될 수 있도록 한 차량용 자동변속기의 유압공급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하나 또는 다수의 실시예에서는 내부에 제1, 제2 펌프실을 형성하며, 각 펌프실은 각 흡입유로를 통하여 오일 팬과 연결됨과 동시에, 생성된 유압을 각 토출유로를 통하여 자동변속기의 고압부와 저압부에 공급하는 오일펌프; 상기 고압부에 연결되는 고압유로 상에 구성되어 상기 제1, 제2 펌프실로부터 고압유로를 통하여 상기 고압부로 공급되는 유압을 안정되게 제어하며, 제어과정에 발생되는 잉여 유압을 상기 저압부로 공급하는 고압용 레귤레이팅 밸브; 상기 제2 펌프실에 연결된 토출유로의 유압을 선택적으로 바이패스 유로를 통해 상기 고압유로와 연결된 제1 공급유로로 공급하거나, 제2 공급유로로 공급하는 제1 스위치 밸브; 상기 제1, 제2 공급유로의 유압을 선택적으로 상기 제3, 제4 공급유로로 공급하는 제2 스위치 밸브; 상기 제3, 제4 공급유로를 통해 공급되는 유압을 안정되게 제어하여 제5 공급유로를 통해 변속 제어부로 공급하고, 제어과정에 발생되는 잉여 유압을 상기 저압부로 공급하는 솔레노이드용 레귤레이팅 밸브; 상기 고압용 레귤레이팅 밸브와 솔레노이드용 레귤레이팅 밸브로부터 공급되는 잉여 유압을 안정되게 제어하여 상기 저압부로 공급하고, 제어과정에 발생되는 잉여 유압을 상기 제1 흡입유로 측으로 공급하는 저압용 레귤레이팅 밸브를 포함하는 차량용 자동변속기의 유압공급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압용 레귤레이팅 밸브와 저압용 레귤레이팅 밸브는 제1 솔레노이드 밸브에 의하여 제어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압용 레귤레이팅 밸브의 잉여 유압을 배출하는 제1 재순환 유로는 상기 저압용 레귤레이팅 밸브와 연결됨과 동시에, 상기 솔레노이드용 레귤레이팅 밸브의 잉여 유압을 배출하는 제3 재순환 유로와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스위치 밸브는 제2 솔레노이드 밸브의 제어압 및 탄성부재의 탄성력과, 상기 제어압 및 탄성력의 반대측에서 작용하는 상기 변속 제어부의 유압에 의하여 제어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변속 제어부의 유압은 상기 제5 공급유로 상에서 분기되어 상기 제1 스위치 밸브에 연결된 제어압 유로를 통하여 공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스위치 밸브는 제2 솔레노이드 밸브의 제어압과, 상기 제어압의 반대측에서 작용하는 탄성부재의 탄성력에 의하여 제어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차량의 초기 출발 및 정차 시에 오일펌프의 제1 펌프실에서 생성된 유압이 고압유로를 통해 고압부로 공급되고, 제2 펌프실에서 생성된 유압이 상기 고압부와 변속 제어부로 동시에 공급되도록 하여 전토출 모드를 이루도록 한다.
이때, 상기 변속 제어부로 공급되는 유압은 공급유로 상의 오리피스에 의하여 과다 공급이 억제되어 상기 오일펌프에서 생성된 유압의 대부분이 고압부로 공급되어 차량의 초기 출발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하고, 저압부에는 상기 고압부와 변속 제어부에서 배출되는 잉여 유압이 공급되도록 하여 필요 유량를 만족시켜 주게 된다.
또한, 엔진 회전수의 상승 및 운전조건에 따라 오일펌프의 제1 펌프실에서 생성된 유압이 고압유로를 통해 고압부로 공급되고, 제2 펌프실에서 생성된 유압이 제1, 제2 스위치 밸브와 솔레노이드용 레귤레이팅 밸브를 통해 변속 제어부로 공급되는 반토출 모드를 이루도록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전토출 모드에서 상기 고압용 레귤레이팅 밸브와 솔레노이드용 레귤레이팅 밸브에서 배출되는 잉여 유압이 모두 저압용 레귤레이팅 밸브로 공급됨으로써, 저압부의 유량이 증대되고, 이에 고압부의 필요 유량이 작아지므로 반토출 모드로의 진입 RPM을 낮추어 연비를 개선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압공급시스템의 구성도로써, 전토출 모드에서의 유체 흐름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압공급시스템에 구성도로써, 반토출 모드에서의 유체 흐름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단,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한다.
하기의 설명에서 구성의 명칭을 제1, 제2 등으로 구분한 것은 그 구성의 명칭이 동일하여 이를 구분하기 위한 것으로, 반드시 그 순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압공급시스템의 구성도로써, 전토출 모드에서의 유체 흐름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실시예에 따른 유압공급시스템은 유압공급경로가 저압부(LP), 고압부(HP), 변속 제어부(TP)로 분리되어 오일펌프(OP)에서 생성된 유압이 상기 저압부(LP)와 고압부(HP) 및 변속 제어부(TP)로 공급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에서 저압부(LP)는 토크 컨버터(T/C)의 작동과 냉각 및 윤활을 원활하게 하는 정도의 낮은 압력으로 유압이 제어되어 공급되는 부분을 의미하며, 고압부(HP)는 변속시 선택적으로 작동하는 다수의 마찰부재 또는 풀리(즉, CVT용 풀리)등을 원활하게 작동시킬 수 있는 정도의 높은 압력으로 유압이 제어되어 공급되는 부분을 의미한다.
또한, 상기 변속 제어부(TP)는 자동 변속기에 배치되는 밸브들을 제어하는 다수의 솔레노이드 밸브를 의미한다.
상기와 같이 저압부(LP)와 고압부(HP) 및 변속 제어부(TP)로 분리 구성되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압공급시스템은 오일펌프(OP), 고압용 레귤레이팅 밸브(RV1), 제1, 제2 스위치 밸브(SV1)(SV2), 저압용 레귤레이팅 밸브(RV2), 솔레노이드용 레귤레이팅 밸브(RV3)를 포함한다.
상기 오일펌프(OP)는 베인펌프로 구성되어 내부에 제1, 제2 펌프실(11)(12)을 형성하는데, 각 펌프실(11)(12)은 제1, 제2 흡입유로(13)(14)를 통하여 오일 팬(P)의 오일을 흡입하고, 각 펌프실(11)(12)에서 생성된 유압을 제1, 제2 토출유로(15)(16)를 통하여 상기 고압부(HP)와 변속 제어부(TP)에 공급한다.
이러한 오일펌프(OP)는 베인펌프로 이루어지며, 내부의 로터(17)에 대하여 축대칭 위치에 상기 제1 펌프실(11)과 제2 펌프실(12)이 형성된다.
상기 제1 펌프실(11)과 제2 펌프실(12)은 각각 제1 흡입포트(11a)와 제1 토출포트(11b), 제2 흡입포트(12a)와 제2 토출포트(12b)를 보유한다.
상기 제1, 제2 흡입포트(11a)(12a)는 각각 제1, 제2 흡입유로(13)(14)를 통해 오일 팬(P)과 연결되고, 상기 제1, 제2 토출포트(11b)(12b)는 각각 제1, 제2 토출유로(15)(16)와 연결된다.
상기 제1 토출유로(15)는 고압유로(21)를 통해 고압부(HP)와 상시 연결되고, 상기 제2 토출유로(16)는 제1 스위치 밸브(SV1)와 연결된다.
상기 고압용 레귤레이팅 밸브(RV1)는 고압부(HP)에 연결되는 고압유로(21) 상에 구성되며, 상기 제1, 제2 펌프실(11)(12)로부터 고압유로(21)를 통하여 상기 고압부(HP)로 공급되는 유압을 안정되게 제어하고, 제1 재순환 유로(41)를 통하여 잉여 유압을 상기 저압부(LP) 측으로 공급한다.
이러한 고압용 레귤레이팅 밸브(RV1)는 제1 솔레노이드 밸브(SOL1)에 의해 제어되는데, 제1 솔레노이드 밸브(SOL1)로부터 공급되는 제어압과, 제1 탄성부재(S1)의 탄성력에 의해 제어되면서 상기 고압부(HP)로 공급되는 유압을 안정되게 제어하고, 제어과정에서 잉여되는 잉여 유압은 제1 재순환 유로(41)를 통해 저압부(LP) 측으로 재순환시킨다.
이때, 상기 제1 재순환 유로(41)는 상기 고압용 레귤레이팅 밸브(RV1)와 상기 저압용 레귤레이팅 밸브(RV2) 사이에 연결되어 저압부(LP)에 유량을 공급한다.
상기 제1 스위치 밸브(SV1)는 상기 제2 토출유로(16)와, 바이패스 유로(61)를 통하여 고압유로(21)에 연결된 제1 공급유로(51) 및 제2 공급유로(52) 사이에 구성되어 상기 제2 펌프실(12)에서 생성된 유압을 선택적으로 상기 제1 공급유로(51) 또는 제2 공급유로(52)로 공급 제어한다.
이러한 제1 스위치 밸브(SV1)는 제2 솔레노이드 밸브(SOL2)에 의해 제어되는데, 상기 제2 솔레노이드 밸브(SOL2)의 제어압 및 제2 탄성부재(S2)의 탄성력과, 상기 제어압 및 탄성력의 반대측에서 작용하는 상기 변속 제어부(TP)로부터 바이패스되는 유압에 의하여 제어되면서 제2 토출유로(16)를 선택적으로 제1 공급유로(51) 또는 제2 공급유로(52)에 연결한다.
이에, 상기 제2 토출유로(16)로부터 공급되는 유압을 상기 제1 공급유로(51)로부터 분기된 바이패스 유로(61)를 통해 상기 고압유로(21)에 공급하거나, 제2 스위치 밸브(SV2)로 공급한다.
상기 제2 스위치 밸브(SV2)는 상기 제1, 제2 공급유로(51)(52)와, 상호 연결된 제3, 제4 공급유로(53)(54) 사이에 구성되어 상기 제1, 제2 공급유로(51)(52)를 통하여 공급되는 유압을 각각 선택적으로 제3, 제4 공급유로(53)(54)로 공급 제어한다.
이러한 제2 스위치 밸브(SV2)는 상기 제2 솔레노이드 밸브(SOL2)에 의해 제어되는데, 상기 제2 솔레노이드 밸브(SOL2)로부터 공급되는 제어압과, 상기 제어압의 반대측에서 작용하는 제3 탄성부재(S3)의 탄성력에 의하여 제어되면서 제1 공급유로(51)를 제3 공급유로(53)와 연결하거나, 제2 공급유로(52)를 제4 공급유로(54)와 연결한다.
이에, 상기 제1 공급유로(51)로부터 공급되는 유압을 제3 공급유로(53)를 통하여 솔레노이드용 레귤레이팅 밸브(RV3)로 공급하거나, 상기 제2 공급유로(52)로부터 공급되는 유압을 제4 공급유로(54)를 통하여 솔레노이드용 레귤레이팅 밸브(RV3)로 공급한다.
여기서, 상기 제3 공급유로(53) 상에는 오리피스(OR)가 구성되어 과잉 유량이 통과하는 것을 억제한다. 즉, 상기 오리피스(OR)에 의해 전토출 모드시 제2 펌프실(12)의 유압이 과다하게 솔레노이드용 레귤레이팅 밸브(RV3)로 공급되는 것을 억제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제1, 제2 스위치 밸브(SV1)(SV2)는 상기 제2 솔레노이드 밸브(SOL2)에 의해 동시에 작동된다.
상기 저압용 레귤레이팅 밸브(RV2)는 상기 제1 재순환 유로(41) 상에 구성되어 저압유로(31)를 통하여 상기 저압부(LP)와 연결되며, 제2 재순환 유로(42)를 통하여 제1 흡입유로(13)와 연결된다.
또한, 상기 저압용 레귤레이팅 밸브(RV2)는 상기 제1 재순환 유로(41)에 합류된 상기 솔레노이드용 레귤레이팅 밸브(RV3)의 제3 재순환 유로(43)과도 연결된다.
이러한 저압용 레귤레이팅 밸브(RV2)는 상기 제1 솔레노이드 밸브(SOL1)에 의해 제어되는데, 상기 제1 솔레노이드 밸브(SOL1)로부터 공급되는 제어압과, 상기 제어압의 반대측에서 작용하는 제4 탄성부재(S4)의 탄성력에 의하여 제어되면서 제1, 제3 재순환 유로(41)(43)를 통하여 고압용 레귤레이팅 밸브(RV1) 및 솔레노이드용 레귤레이팅 밸브(RV3)로부터의 잉여 유압을 공급받아 상기 저압유로(31)를 통하여 저압부(LP)로 공급되는 유압을 안정되게 제어한다.
또한, 상기 저압용 레귤레이팅 밸브(RV2)의 제어과정에서 잉여되는 저압부(LP) 측의 잉여 유압은 상기 제2 재순환 유로(42)를 통하여 제1 흡입유로(13)로 재순환된다.
상기 솔레노이드용 레귤레이팅 밸브(RV3)는 상기 제3,제4 공급유로(53)(54)를 통하여 제2 스위치 밸브(SV2)와 연결되고, 제5 공급유로(55)를 통하여 변속 제어부(TP)와 연결된다.
이러한 솔레노이드용 레귤레이팅 밸브(RV3)는 일측에 구성된 제5 탄성부재(S5)의 탄성력과 공급되는 유압력에 의해 제어되어 상기 제3,제4 공급유로(53)(54)로부터 공급되는 유압을 안정되게 제어하여 제5 공급유로(55)를 통하여 변속 제어부(TP)로 공급하며, 제어과정에서 잉여되는 잉여 유압은 제3 재순환 유로(43)를 통하여 상기 저압용 레귤레이팅 밸브(RV2)로 공급한다
여기서, 상기 제5 공급유로(55) 상에는 제어압 유로(33)가 분기되어 상기 제1 스위치 밸브(SV1)와 연결되어 상기 제5 공급유로(55)의 유압이 상기 제어압 유로(33)를 통하여 바이패스되어 제1 스위치 밸브(SV1)의 제어압으로 공급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압공급시스템는 초기 출발 및 정차 시에 전토출 모드로 제어된다.
도 1을 참조하면, 전토출 모드(저회전 영역)에서는 제2 솔레노이드 밸브(SOL2)의 온 제어에 의하여 상기 제1 스위치 밸브(SV1)가 제2 토출유로(16)와, 바이패스 유로(61)가 분기된 제1 공급유로(51)를 연결하고, 제2 스위치 밸브(SV2)는 상기 제1 공급유로(51)와 제3 공급유로(53)를 연결한다.
이에 따라, 상기 오일펌프(OP)의 제1 펌프실(11)에서 생성된 유압은 제1 토출유로(15)와 고압유로(21)를 통해 고압부(HP)로 공급된다.
또한, 상기 오일펌프(OP)의 제2 펌프실(12)에서 생성된 유압은 제2 토출유로(16)와 제1 스위치 밸브(SV)를 거쳐 바이패스 유로(61)를 통해 고압부(HP)로 공급됨과 동시에, 제1 공급유로(51)와 제2 스위치 밸브(SV2) 및 제3 공급유로(53)를 통해 솔레노이드용 레귤레이팅 밸브(RV3)로 공급된다.
이때, 상기 고압용 레귤레이팅 밸브(RV1)의 제어과정에서 생성되는 잉여 유압은 제1 재순환 유로(41)를 통해 저압용 레귤레이팅 밸브(RV2)로 공급되고, 상기 솔레노이드용 레귤레이팅 밸브(RV3)의 제어과정에서 생성되는 잉여 유압도 제3 재순환 유로(43)와 제1 재순환 유로(41)를 통해 저압용 레귤레이팅 밸브(RV2)에 공급된다.
즉, 상기 저압부(LP)에는 상기 고압부(HP)와 변속 제어부(TP)에서 배출되는 잉여 유압이 공급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압공급시스템에 구성도로서, 반토출 모드에서의 유체 흐름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도 1과 같은 전토출 모드의 주행 과정에서 고회전 영역에 도달하면, 제2 솔레노이드 밸브(SOL2)가 오프 제어된다.
그러면, 제1 스위치 밸브(SV1)는 제2 토출유로(16)를 제2 공급유로(52)와 연결하고, 제2 스위치 밸브(18)는 제2 공급유로(52)를 제4 공급유로(54)와 연결한다.
이에 따라, 상기 오일펌프(OP)의 제1 펌프실(11)에서 생성된 유압은 제1 토출유로(15)와 고압유로(21)를 통해 고압부(HP)로 공급된다.
또한, 상기 오일펌프(OP)의 제2 펌프실(12)에서 생성된 유압은 제2 토출유로(16), 제1 스위치 밸브(SV1), 제2 공급유로(52), 제2 스위치 밸브(SV2), 제4 공급유로(54)를 통해 솔레노이드용 레귤레이팅 밸브(RV3)로 공급된다.
이때, 상기 고압용 레귤레이팅 밸브(RV1)의 제어과정에서 생성되는 잉여 유압은 제1 재순환 유로(41)를 통해 저압용 레귤레이팅 밸브(RV2)에 공급되고, 상기 솔레노이드용 레귤레이팅 밸브(RV)의 제어과정에서 생성되는 잉여 유압은 제3 재순환 유로(43)와 제1 재순환 유로(41)를 통해 저압용 레귤레이팅 밸브(RV2)에 공급된다.
즉, 상기 저압부(LP)에는 상기 전토출 모두와 마찬가지로 상기 고압부(HP)와 변속 제어부(TP)에서 배출되는 잉여 유압이 공급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압 공급시스템은 전토출 모드에서는 오일펌프(OP)의 제1 펌프실(11)에서 생성된 유압은 고압유로(21)를 통해 고압부(HP)로 공급되고, 제2 펌프실(12)에서 생성된 유압은 상기 고압부(HP)로 공급함과 동시에, 일부가 변속 제어부(TP)로 공급된다.
이때, 상기 변속 제어부(TP)로 공급되는 유압은 제3 공급유로(53)에 배치된 오리피스(OR)에 의하여 과다 공급이 억제되므로, 상기 오일펌프(OP)에서 생성된 유압의 대부분이 고압부(HP)로 공급되어 초기 출발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며, 저압부(LP)에는 상기 고압부(HP)와 변속 제어부(TP)에서 배출되는 잉여 유압이 공급된다.
또한, 반토출 모드에서는 오일펌프(OP)의 제1 펌프실(11)에서 생성된 유압이 고압유로(21)를 통해 고압부(HP)로 공급되고, 제2 펌프실(12)에서 생성된 유압이 제1, 제2 스위치 밸브(SV1)(SV2)와 솔레노이드용 레귤레이트 밸브(RV3)를 통해 변속 제어부(TP)로 공급된다.
이러한 유압공급과정에서 상기 고압용 레귤레이팅 밸브(RV1)와 솔레노이드용 레귤레이팅 밸브(RV3)에서 배출되는 잉여 유압이 모두 저압용 레귤레이팅 밸브(RV2)로 공급됨으로써, 저압부(LP)의 유량이 증대되고, 이로 인해 고압부(HP)의 필요 유량이 작아지므로 반토출 모드로의 진입 RPM을 낮추어 연비를 개선할 수 있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실시예로부터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용이하게 변경되어 균등하다고 인정되는 범위의 모든 변경을 포함한다.
OP... 오일펌프
17... 로터
11,12... 제1,제2 펌프실
11a,12a... 제1,제2 흡입포트
11b,12b... 제1,제2 토출포트
13,14... 제1,제2 흡입유로
15,16... 제1,제2 토출유로
17... 로터
21... 고압유로
31... 저압유로
41,42,43... 제1,제2,제3 재순환 유로
51,52,53,54,55... 제1,제2,제3,제4,제5 배출유로
61... 바이패스 유로
RV1... 고압용 레귤레이팅 밸브
RV2... 저압용 레귤레이팅 밸브
RV3... 솔레노이드용 레귤레이팅 밸브
SV1,SV2... 제1,제2 스위치 밸브
HP... 고압부
LP... 저압부
TP... 변속 제어부
SOL1,SOL2... 제1,제2 솔레노이드 밸브
P... 오일 팬
OR... 오리피스

Claims (11)

  1. 내부에 제1, 제2 펌프실을 형성하며, 각 펌프실은 각 흡입유로를 통하여 오일 팬과 연결됨과 동시에, 생성된 유압을 각 토출유로를 통하여 자동변속기의 고압부와 저압부에 공급하는 오일펌프;
    상기 고압부에 연결되는 고압유로 상에 구성되어 상기 제1, 제2 펌프실로부터 고압유로를 통하여 상기 고압부로 공급되는 유압을 안정되게 제어하며, 제어과정에 발생되는 잉여 유압을 상기 저압부로 공급하는 고압용 레귤레이팅 밸브;
    상기 제2 펌프실에 연결된 토출유로의 유압을 선택적으로 바이패스 유로를 통해 상기 고압유로와 연결된 제1 공급유로로 공급하거나, 제2 공급유로로 공급하는 제1 스위치 밸브;
    상기 제1, 제2 공급유로의 유압을 선택적으로 상기 제3, 제4 공급유로로 공급하는 제2 스위치 밸브;
    상기 제3, 제4 공급유로를 통해 공급되는 유압을 안정되게 제어하여 제5 공급유로를 통해 변속 제어부로 공급하고, 제어과정에 발생되는 잉여 유압을 상기 저압부로 공급하는 솔레노이드용 레귤레이팅 밸브;
    상기 고압용 레귤레이팅 밸브와 솔레노이드용 레귤레이팅 밸브로부터 공급되는 잉여 유압을 안정되게 제어하여 상기 저압부로 공급하고, 제어과정에 발생되는 잉여 유압을 상기 제1 흡입유로 측으로 공급하는 저압용 레귤레이팅 밸브;
    를 포함하는 차량용 자동변속기의 유압공급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압용 레귤레이팅 밸브와 저압용 레귤레이팅 밸브는
    제1 솔레노이드 밸브에 의하여 제어되는 차량용 자동변속기의 유압공급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압용 레귤레이팅 밸브의 잉여 유압을 배출하는 제1 재순환 유로는 상기 저압용 레귤레이팅 밸브와 연결됨과 동시에, 상기 솔레노이드용 레귤레이팅 밸브의 잉여 유압을 배출하는 제3 재순환 유로와 연결되는 차량용 자동변속기의 유압공급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스위치 밸브는
    제2 솔레노이드 밸브의 제어압 및 탄성부재의 탄성력과, 상기 제어압 및 탄성력의 반대측에서 작용하는 상기 변속 제어부의 유압에 의하여 제어되는 차량용 자동변속기의 유압공급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변속 제어부의 유압은
    상기 제5 공급유로 상에서 분기되어 상기 제1 스위치 밸브에 연결된 제어압 유로를 통하여 공급하는 차량용 자동변속기의 유압공급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스위치 밸브는
    제2 솔레노이드 밸브의 제어압과, 상기 제어압의 반대측에서 작용하는 탄성부재의 탄성력에 의하여 제어되는 차량용 자동변속기의 유압공급시스템.
  7. 내부에 제1, 제2 펌프실을 형성하며, 제1, 제2 펌프실은 각각 제1, 제2 흡입유로를 통하여 오일 팬과 연결됨과 동시에, 생성된 유압을 각각 제1, 제2 토출유로를 통하여 자동변속기의 고압부와 저압부에 공급하는 오일펌프;
    상기 고압부에 연결되는 고압유로 상에 구성되며, 제1 솔레노드 밸브에 의해 제어되어 상기 제1, 제2 펌프실로부터 고압유로를 통하여 상기 고압부로 공급되는 유압을 안정되게 제어함과 동시에, 제1 재순환 유로를 통하여 잉여 유압을 상기 저압부로 공급하는 고압용 레귤레이팅 밸브;
    상기 제2 토출유로와, 바이패스 유로를 통해 고압유로와 연결되는 제1 공급유로 및 제2 공급유로 사이에 구성되며, 제2 솔레노이드 밸브에 의해 제어되면서, 상기 제2 펌프실에서 생성된 유압을 선택적으로 제1 공급유로 또는 제2 공급유로로 공급 제어하는 제1 스위치 밸브;
    상기 제1, 제2 공급유로와, 상호 연결된 제3, 제4 공급유로 사이에 구성되며, 상기 제2 솔레노이드 밸브에 의해 제어되면서, 제1 공급유로를 통하여 공급되는 유압을 제3 공급유로로 공급 제어하거나 또는 제2 공급유로를 통하여 공급되는 유압을 제4 공급유로로 공급 제어하는 제2 스위치 밸브;
    상기 제3, 제4 공급유로 및 제5 공급유로 사이에 구성되며, 상기 제3 공급유로 또는 제4 공급유로를 통해 공급되는 유압을 안정되게 제어하여 제5 저압유로를 통해 변속 제어부로 공급 제어하고, 제3 재순환 유로를 통하여 잉여 유압을 저압부로 공급하는 솔레노이드용 레귤레이팅 밸브;
    상기 고압용 레귤레이팅 밸브와 솔레노이드용 레귤레이팅 밸브로부터 각각 제1 재순환 유로 및 제3 재순환 유로를 통하여 공급되는 잉여 유압을 안정되게 제어하여 저압부로 공급하고, 제2 재순환 유로를 통하여 잉여 유압을 상기 제1 흡입유로 측으로 재순환하는 저압용 레귤레이팅 밸브;
    를 포함하는 차량용 자동변속기의 유압공급시스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재순환 유로는 상기 저압용 레귤레이팅 밸브와 연결됨과 동시에, 상기 제3 재순환 유로와 연결되는 차량용 자동변속기의 유압공급시스템.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스위치 밸브는
    제2 솔레노이드 밸브의 제어압 및 탄성부재의 탄성력과, 상기 제어압 및 탄성력의 반대측에서 작용하는 상기 변속 제어부의 유압에 의하여 제어되는 차량용 자동변속기의 유압공급시스템.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변속 제어부의 유압은
    상기 제5 공급유로 상에서 분기되어 상기 제1 스위치 밸브에 연결된 제어압 유로를 통하여 공급하는 차량용 자동변속기의 유압공급시스템.
  11.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스위치 밸브는
    제2 솔레노이드 밸브의 제어압과, 상기 제어압의 반대측에서 작용하는 탄성부재의 탄성력에 의하여 제어되는 차량용 자동변속기의 유압공급시스템.
KR1020130109094A 2013-09-11 2013-09-11 차량용 자동변속기의 유압공급시스템 KR1015188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09094A KR101518895B1 (ko) 2013-09-11 2013-09-11 차량용 자동변속기의 유압공급시스템
JP2013252973A JP6207368B2 (ja) 2013-09-11 2013-12-06 車両用自動変速機の油圧供給システム
DE102013114468.3A DE102013114468B4 (de) 2013-09-11 2013-12-19 Hydraulikdruckzuführsystem eines Automatikgetriebes
CN201310741553.8A CN104421423B (zh) 2013-09-11 2013-12-27 自动变速器的液压供应系统
US14/145,642 US9175766B2 (en) 2013-09-11 2013-12-31 Hydraulic pressure supply system of automatic transmiss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09094A KR101518895B1 (ko) 2013-09-11 2013-09-11 차량용 자동변속기의 유압공급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29972A true KR20150029972A (ko) 2015-03-19
KR101518895B1 KR101518895B1 (ko) 2015-05-11

Family

ID=524783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09094A KR101518895B1 (ko) 2013-09-11 2013-09-11 차량용 자동변속기의 유압공급시스템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9175766B2 (ko)
JP (1) JP6207368B2 (ko)
KR (1) KR101518895B1 (ko)
CN (1) CN104421423B (ko)
DE (1) DE102013114468B4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43803A (ko) * 2017-10-19 2019-04-2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자동변속기의 유압공급시스템
KR20190043804A (ko) * 2017-10-19 2019-04-2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자동변속기의 유압공급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32128A (ko) * 2013-09-17 2015-03-2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자동변속기의 유압공급시스템
KR101509705B1 (ko) * 2013-09-17 2015-04-07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차량용 자동변속기의 유압공급시스템
KR101509697B1 (ko) 2013-09-17 2015-04-07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차량용 자동변속기의 유압공급시스템
JP6502725B2 (ja) * 2015-03-31 2019-04-17 株式会社Subaru オイルポンプ装置
US20180100577A1 (en) * 2015-04-17 2018-04-12 Borgwarner Inc. Multi-pressure hydraulic control system for a dual clutch automatic transmission
DE112016001266T5 (de) * 2015-04-17 2018-01-04 Borgwarner Inc. Wegeventil für Mehrdruck-Hydrauliksteuersystem
JP2017053397A (ja) * 2015-09-08 2017-03-16 日本電産トーソク株式会社 油圧制御システム
US9903468B2 (en) 2015-12-14 2018-02-27 Hyundai Motor Company Hydraulic pressure supply system of automatic transmission
US10077834B2 (en) * 2016-08-12 2018-09-18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Hydraulic control system for a transmission
JP6857064B2 (ja) * 2017-03-24 2021-04-14 株式会社Subaru 油圧制御装置
DE102019105393A1 (de) * 2019-03-04 2020-09-10 Fte Automotive Gmbh Hydraulischer Getriebeaktuator und Baugruppe mit einem solchen Getriebeaktuator und einem Getriebe für einen Antriebsstrang eines Kraftfahrzeugs
DE102020105173A1 (de) * 2020-02-27 2021-09-02 Fte Automotive Gmbh Pumpenaggregat für einen Antriebsstrang eines Kraftfahrzeugs

Family Cites Families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797732A (en) * 1993-12-28 1998-08-25 Unisia Jecs Corporation Variable capacity pump having a pressure responsive relief valve arrangement
JPH0975156A (ja) 1995-09-11 1997-03-25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キャビネット用台輪
GB9704834D0 (en) * 1997-03-08 1997-04-23 Lucas Ind Plc Pressure regulator
JP3573242B2 (ja) 1997-03-27 2004-10-06 株式会社ショーワ ベーンポンプ
JPH1182134A (ja) * 1997-09-03 1999-03-26 Fuji Heavy Ind Ltd 筒内燃料噴射エンジンの高圧燃料系診断装置及び制御装置
JP3660543B2 (ja) * 1999-11-18 2005-06-15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容量切換型作動油供給装置
US6361287B1 (en) * 2000-09-25 2002-03-26 General Motors Corporation Fluid pumping system for automatic transmission
JP2003239832A (ja) * 2002-02-20 2003-08-27 Honda Motor Co Ltd 油圧供給装置
DE102004025764B4 (de) 2004-05-26 2018-09-13 Zf Friedrichshafen Ag Hydraulikkreislauf zur Ölversorgung eines Automat-, insbesondere eines Stufenautomatgetriebes für Kraftfahrzeuge
DE102005013137A1 (de) * 2005-03-22 2006-09-28 Zf Friedrichshafen Ag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Steuerung einer Ölversorgung für ein Automatgetriebe und ein Anfahrelement
US7401465B2 (en) * 2005-11-16 2008-07-22 Deere & Company Dual pump dual pressure hydraulic circuit
EP1881222B8 (en) * 2006-07-17 2012-03-14 Hoerbiger Drivetrain Mechatronics B.V.B.A. Method of operating a dual clutch transmission hydraulic power control system as well as dual clutch transmission hydraulic power control system
EP1959143B1 (en) * 2007-02-13 2010-10-20 Yamada Manufacturing Co., Ltd. Oil pump pressure control device
US8128377B2 (en) * 2007-04-03 2012-03-06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Split-pressure dual pump hydraulic fluid supply system for a multi-speed transmission and method
EP2161480B1 (en) * 2007-06-25 2012-02-22 Komatsu Ltd. Hydraulic device and working machine
US8266986B2 (en) * 2010-01-19 2012-09-18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Transmission hydraulic control system having a dual element pump
JP5553204B2 (ja) 2010-02-08 2014-07-16 カヤバ工業株式会社 ベーンポンプ
GB201009772D0 (en) 2010-06-11 2010-07-21 Accentus Plc Metal treatment
KR20120037623A (ko) * 2010-10-12 2012-04-2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변속기의 오일공급시스템
KR101251504B1 (ko) * 2010-12-03 2013-04-0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변속기용 오일펌프 시스템
KR101339230B1 (ko) * 2011-11-29 2013-12-09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자동변속기의 유압제어장치
KR20130060046A (ko) * 2011-11-29 2013-06-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변속기의 유압제어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43803A (ko) * 2017-10-19 2019-04-2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자동변속기의 유압공급시스템
KR20190043804A (ko) * 2017-10-19 2019-04-2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자동변속기의 유압공급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50068340A1 (en) 2015-03-12
KR101518895B1 (ko) 2015-05-11
JP6207368B2 (ja) 2017-10-04
DE102013114468B4 (de) 2021-11-25
CN104421423B (zh) 2018-04-27
US9175766B2 (en) 2015-11-03
CN104421423A (zh) 2015-03-18
JP2015055355A (ja) 2015-03-23
DE102013114468A1 (de) 2015-03-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18895B1 (ko) 차량용 자동변속기의 유압공급시스템
KR101461894B1 (ko) 차량용 자동변속기의 유압공급시스템
KR101509705B1 (ko) 차량용 자동변속기의 유압공급시스템
KR101509697B1 (ko) 차량용 자동변속기의 유압공급시스템
KR101500367B1 (ko) 차량용 자동변속기의 유압공급시스템
KR20150032128A (ko) 차량용 자동변속기의 유압공급시스템
KR101490915B1 (ko) 차량용 자동변속기의 유압공급시스템
KR101484194B1 (ko) 차량용 자동변속기의 유압공급시스템
KR101703621B1 (ko) 차량용 자동변속기의 유압공급시스템
JP2014047917A (ja) 車両用自動変速機の油圧供給システム
KR101461922B1 (ko) 차량용 자동변속기의 유압공급시스템
KR101566729B1 (ko) 차량용 자동변속기의 유압공급시스템
JP2014047921A (ja) 車両用自動変速機の油圧供給システム
JP2007010090A (ja) 油圧制御装置
KR101500382B1 (ko) 차량용 자동변속기의 유압공급시스템
KR20160003493A (ko) 차량용 자동변속기의 유압공급시스템
JP2010078088A (ja) 無段変速機の油圧ポンプ装置
KR20190080488A (ko) 차량용 자동변속기의 유압공급시스템
KR101500416B1 (ko) 차량용 자동변속기의 유압공급시스템
JP2016145635A (ja) 車両用駆動装置
KR20150014163A (ko) 차량용 자동변속기의 유압공급시스템
KR101500417B1 (ko) 차량용 자동변속기의 유압공급시스템
KR102417339B1 (ko) 차량용 자동변속기의 유압공급시스템
KR102093113B1 (ko) 하이브리드변속기용 유압장치
KR20150003616A (ko) 차량용 자동변속기의 유압공급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29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