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28174A - 애플리케이션 연계 시스템, 애플리케이션 연계방법 및 애플리케이션 연계 프로그램 - Google Patents

애플리케이션 연계 시스템, 애플리케이션 연계방법 및 애플리케이션 연계 프로그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28174A
KR20150028174A KR20137015730A KR20137015730A KR20150028174A KR 20150028174 A KR20150028174 A KR 20150028174A KR 20137015730 A KR20137015730 A KR 20137015730A KR 20137015730 A KR20137015730 A KR 20137015730A KR 20150028174 A KR20150028174 A KR 2015002817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nkage
application
item
item value
associ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70157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데루오 아이바라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파인덱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파인덱스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파인덱스
Publication of KR201500281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2817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44Arrangements for executing specific programs
    • G06F9/445Program loading or initiating
    • G06F9/44505Configuring for program initiating, e.g. using registry, configuration fil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46Multiprogramming arrangements
    • G06F9/54Interprogram communic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46Multiprogramming arrangements
    • G06F9/48Program initiating; Program switching, e.g. by interrupt
    • G06F9/4806Task transfer initiation or dispatching
    • G06F9/4843Task transfer initiation or dispatching by program, e.g. task dispatcher, supervisor, operating syste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Stored Programmes (AREA)

Abstract

(과제) 쉽고 범용성이 높은 애플리케이션 연계 시스템을 제공한다.
(해결수단) 애플리케이션 연계 시스템(1)은, 연계원 애플리케이션과 연계처 애플리케이션의 연계룰을 기록하는 연계룰 기억부(122)와, 연계시에 표시장치에 표시된 연계원 애플리케이션의 연계시 항목취득 윈도우 내의 연계시 취득항목의 항목값을 취득하는 항목값 취득부(31)와, 연계시에 연계기동 커맨드 형식에 의거하여 항목값 취득부(31)가 취득한 항목값을 기동 파라미터로서 포함하는 연계기동 커맨드를 생성하는 연계기동 커맨드 생성부(32)와, 연계시에 연계수수 프로토콜 형식에 의거하여 항목값 취득부(31)가 취득한 항목값을 수수 데이터로서 포함하는 연계수수 프로토콜을 생성하는 연계수수 프로토콜 생성부(33)를 구비한다.

Description

애플리케이션 연계 시스템, 애플리케이션 연계방법 및 애플리케이션 연계 프로그램{APPLICATION COOPERATION SYSTEM, APPLICATION COOPERATION METHOD AND APPLICATION COOPERATION PROGRAM}
본 발명은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 사이에서 연계(連繫)하여 처리하기 위한 애플리케이션 연계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종래로부터 애플리케이션 사이의 연계를 수행하는 연계 시스템이 제공되어 있고 예를 들면 하기 특허문헌1에 개시되어 있다. 특허문헌1에서는 복수의 애플리케이션의 처리 결과를 표시하는 복수의 창(윈도우, window)을 구비하는 업무 포털(portal)을 통하여 복수의 애플리케이션 사이에서 데이터 연계를 수행하고 있다.
일본국 공개특허 특개 2004-38759호 공보
그러나 종래의 애플리케이션 연계 시스템은 연계시킬 애플리케이션 사이의 연계룰(連繫rule)을 미리 정하고 나서 전용 연계 시스템을 개발하고 있기 때문에, 애플리케이션 사이에 공통되는 마스터 데이터(master data)를 연계하고 갱신 데이터를 수수(授受)하기 위하여 방대한 시간과 비용이 들었다. 또한 연계처(連繫處)나 연계원(連繫元)의 애플리케이션이 변경된 경우에는 시스템을 처음부터 다시 만들어야 했기 때문에 범용성이 낮았다.
본 발명은 이러한 과제에 비추어 이루어진 것으로서 저비용으로 범용성이 높은 애플리케이션 연계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 관한 애플리케이션 연계 시스템은,
연산장치와 기억장치와 표시장치를 구비하고,
복수의 레코드를 관리하는 연계원 애플리케이션과 연계처 애플리케이션을 연계시키기 위한 애플리케이션 연계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기억장치는, 연계원 애플리케이션, 상기 연계원 애플리케이션의 레코드표시 윈도우로서 연계시에 항목값이 취득되는 연계시 항목취득 윈도우, 당해 연계시 항목취득 윈도우 내에 표시되는 항목으로서 연계시에 항목값이 취득되는 연계시 취득항목, 연계처 애플리케이션 및 상기 연계원 애플리케이션에 연계하여 상기 연계처 애플리케이션을 기동(起動)시키기 위한 연계기동 커맨드 형식(連繫起動 command 形式)의 정보를 포함하는 연계룰을 기록하는 연계룰 기억부를 구비하고,
연계시에, 상기 표시장치에 표시된 상기 연계시 항목취득 윈도우 내의 상기 연계시 취득항목의 항목값을 취득하는 항목값 취득부와,
연계시에, 상기 연계기동 커맨드 형식에 의거하여 상기 항목값 취득부가 취득한 항목값을 기동 파라미터(起動 parameter)로서 포함하는 연계기동 커맨드를 생성하는 연계기동 커맨드 생성부를
구비하고,
연계시에, 상기 연계기동 커맨드를 실행함으로써 상기 항목값 취득부가 취득한 항목값을 기동 파라미터로 하면서 상기 연계처 애플리케이션을 기동시키는 연계기동을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애플리케이션 연계 프로그램은,
연산장치와 기억장치와 표시장치를 구비하는 컴퓨터에서 복수의 레코드를 관리하는 연계원 애플리케이션과 연계처 애플리케이션의 연계를 처리하는 애플리케이션 연계 프로그램에 있어서,
연계원 애플리케이션, 상기 연계원 애플리케이션의 레코드표시 윈도우로서 연계시에 항목값이 취득되는 연계시 항목취득 윈도우, 당해 연계시 항목취득 윈도우 내에 표시되는 항목으로서 연계시에 항목값이 취득되는 연계시 취득항목, 연계처 애플리케이션 및 상기 연계원 애플리케이션에 연계하여 상기 연계처 애플리케이션을 기동시키기 위한 연계기동 커맨드 형식의 정보를 포함하는 연계룰을 상기 기억장치에 기록하는 연계룰 기록 스텝과,
연계시에, 상기 표시장치에 표시된 상기 연계시 항목취득 윈도우 내의 상기 연계시 취득항목의 항목값을 취득하는 항목값 취득 스텝과,
연계시에, 상기 연계기동 커맨드 형식에 의거하여 상기 항목값 취득 스텝에서 취득한 항목값을 기동 파라미터로서 포함하는 연계기동 커맨드를 생성하는 연계기동 커맨드 생성 스텝과,
연계시에, 상기 연계기동 커맨드를 실행함으로써 상기 항목값 취득 스텝에서 취득한 항목값을 기동 파라미터로 하면서 상기 연계처 애플리케이션을 기동시키는 연계기동 스텝을
상기 컴퓨터에 실행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애플리케이션 연계방법은,
연산장치와 기억장치와 표시장치를 구비하는 컴퓨터에서 복수의 레코드를 관리하는 연계원 애플리케이션과 연계처 애플리케이션을 연계시키는 애플리케이션 연계방법에 있어서,
연계원 애플리케이션, 상기 연계원 애플리케이션의 레코드표시 윈도우로서 연계시에 항목값이 취득되는 연계시 항목취득 윈도우, 당해 연계시 항목취득 윈도우 내에 표시되는 항목으로서 연계시에 항목값이 취득되는 연계시 취득항목, 연계처 애플리케이션 및 상기 연계원 애플리케이션에 연계하여 상기 연계처 애플리케이션을 기동시키기 위한 연계기동 커맨드 형식의 정보를 포함하는 연계룰을 상기 기억장치에 기록하는 연계룰 기록 스텝과,
연계시에, 상기 연산장치가 상기 표시장치에 표시된 상기 연계시 항목취득 윈도우 내의 상기 연계시 취득항목의 항목값을 취득하는 항목값 취득 스텝과,
연계시에, 상기 연산장치가 상기 연계기동 커맨드 형식에 의거하여 상기 항목값 취득 스텝에서 취득한 항목값을 기동 파라미터로서 포함하는 연계기동 커맨드를 생성하는 연계기동 커맨드 생성 스텝과,
연계시에, 상기 연산장치가 상기 연계기동 커맨드를 실행함으로써 상기 항목값 취득 스텝에서 취득한 항목값을 기동 파라미터로 하면서 상기 연계처 애플리케이션을 기동시키는 연계기동 스텝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연계시에 표시장치에 표시된 연계원 애플리케이션의 연계시 항목취득 윈도우 내의 연계시 취득항목의 항목값을 취득하여, 당해 항목값을 기동 파라미터로서 포함하는 연계처 애플리케이션을 기동시키기 위한 연계기동 커맨드를 생성함으로써, 연계처의 특정 항목조건에서 연계처 애플리케이션을 기동시키고, 저비용으로 범용성이 높은 애플리케이션 연계를 실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표시장치에 표시된 연계원 애플리케이션의 연계시 항목취득 윈도우 내의 연계시 취득항목의 항목값을 취득하여, 당해 항목값을 수수 데이터로서 포함하는 연계수수 프로토콜(連繫 授受 protocol)을 생성함으로써, 애플리케이션 사이에서 공통되는 데이터 교환이나 동기(同期)에 대해서 저비용으로 범용성이 높은 애플리케이션 연계를 실현할 수 있다.
도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애플리케이션 연계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식도이다.
도2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연계룰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3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연계룰의 설정순서를 나타내는 플로우 차트이다.
도4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연계룰에 있어서 연계원 애플리케이션의 설정순서를 나타내는 플로우 차트이다.
도5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연계룰에 있어서 연계처 애플리케이션의 설정순서를 나타내는 플로우 차트이다.
도6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애플리케이션 연계 프로그램에 있어서 연계원 애플리케이션의 설정화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7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연계룰 설정시의 연계원 애플리케이션의 표시화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8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애플리케이션 연계 시스템의 기능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9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애플리케이션의 연계처리의 흐름을 나타내는 플로우 차트이다.
도10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애플리케이션 연계시에 있어서 애플리케이션 연계 프로그램의 표시화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1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애플리케이션 연계시에 있어서 연계처 애플리케이션의 표시화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에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실시형태인 애플리케이션 연계 시스템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1은, 본 실시형태에 관한 애플리케이션 연계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식도이다. 도2는, 본 실시형태에 관한 연계룰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1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관한 애플리케이션 연계 시스템(1)은, 컴퓨터 본체(10)와, 컴퓨터 본체(10)로부터의 출력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장치인 디스플레이(20)와, 컴퓨터 본체(10)에 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키보드나 마우스 등의 입력장치(22)를 구비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의료용 애플리케이션(A)∼(C)을 연계시키는 연계 시스템을 예로 들어서 설명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 애플리케이션(A)∼(C)은 진단 기록 정보나 진단 영상 정보 등의 환자 레코드를 관리하는 애플리케이션이며, 애플리케이션(A)을 연계원 애플리케이션으로 하고, 애플리케이션(B), (C)을 연계처 애플리케이션으로 하여 설명한다.
컴퓨터 본체(10)는, 각종 연산을 하기 위한 CPU(Central Processing Unit) 등의 연산장치(11)와, 각종 정보를 기억하기 위한 HDD(Hard Disc Drive)나 연산처리의 워크 에리어(work area)로서 사용되는 RAM(Random Access Memory) 등의 기억장치(12)를 구비하고 있다.
기억장치(12)는, 애플리케이션 연계 프로그램이나 애플리케이션(A)∼(C) 등의 실행 프로그램 등에 대한 소정의 처리를 실행하기 위한 각종 프로그램을 저장해 두는 프로그램 저장부(121)와, 애플리케이션 사이의 연계처리를 실행하기 위한 설정룰(設定rule)인 연계룰을 기록해 두는 연계룰DB(데이터 베이스)(122)와, 애플리케이션(A)이 관리하는 레코드를 기록해 두는 애플리케이션(A)-DB(125)와, 애플리케이션(B)이 관리하는 레코드를 기록해 두는 애플리케이션(B)-DB(126)와, 애플리케이션(C)이 관리하는 레코드를 기록해 두는 애플리케이션(C)-DB(127)를 구비하고 있다.
연계룰DB(122)에 기록되어 있는 연계룰의 구성에 대해서 도2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2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연계룰은 크게 나누어서 연계원 애플리케이션에 관한 설정정보와 연계처 애플리케이션에 관한 설정정보를 구비하고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애플리케이션(A)이 연계원 애플리케이션이고, 애플리케이션(B), (C)이 연계처 애플리케이션이다.
우선 연계원 애플리케이션의 연계룰로서는, 연계원 애플리케이션의 명칭, 항목취득 윈도우의 명칭, 취득항목의 항목명 및 각 취득항목의 항목취득 윈도우 내에서의 위치정보가 등록되어 있다.
항목취득 윈도우란, 연계원 애플리케이션의 레코드표시 윈도우 중 연계시에 항목값(오브젝트)이 취득되는 윈도우이다. 취득항목은, 항목취득 윈도우 내에 표시되는 항목 중 연계시에 항목값이 취득되는 항목이다.
항목값을 취득하기 위해서는 항목취득 윈도우 내의 각 항목의 위치를 파악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연계룰에는 취득항목의 항목명과 그 위치정보가 세트로 등록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취득항목의 위치정보로서 윈도우 핸들값이 등록되어 있다.
또한 연계처 애플리케이션의 연계룰로서는, 연계처 애플리케이션의 명칭과, 당해 연계처 애플리케이션을 연계기동시키기 위한 연계기동설정으로서 연계기동 커맨드의 형식(연계기동 커맨드 형식)과, 당해 연계처 애플리케이션에 연계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연계수수설정으로서 연계수수 프로토콜의 형식(연계수수 프로토콜 형식)과, 연계모드가 설정등록되어 있다.
연계기동 커맨드는, 연계원 애플리케이션으로부터 취득한 항목값을 연계처 애플리케이션에 보내면서 연계처 애플리케이션을 연계처의 특정항목조건에서 연계기동시키기 위한 커맨드이며, 예를 들면 「(풀 패스)애플리케이션(A).exe -n 환자번호」가 설정등록된다. 이와 같이 연계처 애플리케이션의 기동 파라미터로서 연계원 애플리케이션으로부터 취득한 환자번호를 설정해 두면, 연계처 애플리케이션을 기동시킬 때에 연계원 애플리케이션에 표시되어 있는 레코드와 같은 환자번호의 레코드를 표시시키면서 기동시키는 연계기동을 실현할 수 있다.
연계수수 프로토콜은 연계원 애플리케이션으로부터 취득한 항목값을 연계처 애플리케이션에 수수 데이터로서 보내기 위한 프로토콜이며, 연계처 애플리케이션의 데이터 수령조건에 맞춘 항목순, 태그(tag)에 의한 항목명칭의 정의, 데이터 형식, 수수 방법을 충족시키도록 구성된 프로토콜이다.
이러한 연계수수 프로토콜의 실행에 의하여 연계처 애플리케이션이 연계원 애플리케이션으로부터 취득한 항목값을 받으면, 그대로 연계처 애플리케이션의 레코드로서 기록하는 연계수수(신규 등록이나 동기)가 실현된다.
연계모드에는 상기의 연계기동과 연계수수 중 어느 것을 연계시에 실행할지 설정되어 있다. 물론 연계룰DB(122)에 기록되어 있는 연계룰은 적절히 수정할 수 있고, 연계모드의 설정도 수시로 변경할 수 있다. 또 연계시에 연계기동설정 또는 연계수수설정 중 어느 하나만을 수행하는 연계처 애플리케이션이더라도 좋고, 그 경우에 연계룰에는 연계기동설정 또는 연계수수설정의 어느 하나에 관해서만 설정된다. 또한 애플리케이션의 명칭이나 윈도우의 명칭이 아닌, 이들을 특정할 수 있는 식별자(識別子)를 연계룰에 등록하더라도 좋다.
다음으로 상기 연계룰의 설정방법에 대해서 도3∼도7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3은, 본 실시형태에 관한 연계룰의 설정순서를 나타내는 플로우 차트이다. 도4는, 본 실시형태에 관한 연계룰에 있어서 연계원 애플리케이션의 설정순서를 나타내는 플로우 차트이다. 도5는, 본 실시형태에 관한 연계룰에 있어서 연계처 애플리케이션의 설정순서를 나타내는 플로우 차트이다.
도6은, 본 실시형태에 관한 애플리케이션 연계 프로그램에 있어서 연계원 애플리케이션의 설정화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7은, 본 실시형태에 관한 연계룰 설정시의 연계원 애플리케이션의 표시화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 연계원 애플리케이션의 설정은 디스플레이(20)의 화면상에서 GUI(Graphical User Interface)에 의하여 이루어지고, 연계처 애플리케이션의 설정은 설정파일을 직접 편집함으로써 이루어지고 있다. 물론 연계룰의 설정은 어떤 방법으로 하더라도 좋다.
도3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연계룰의 설정시에는, 우선 (S11)에서 애플리케이션 연계 프로그램을 기동시킨다. 구체적으로는, 연산장치(11)가 프로그램 저장부(121)에 저장되어 있는 애플리케이션 연계 프로그램을 읽어냄으로써 실행된다.
계속해서 (S12)에서는 연계원 애플리케이션에 관한 연계룰을 설정한다. 구체적으로는, 도4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우선 (S21)에서 애플리케이션 연계 프로그램을 연계원 애플리케이션의 설정모드로 하고, 애플리케이션 연계 프로그램의 연계처 애플리케이션 설정화면을 연다. 도6은, 본 실시형태에 관한 애플리케이션 연계 프로그램에 있어서 연계원 애플리케이션의 설정화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또 도6에서는 연계원 애플리케이션을 기동원(起動元) 애플리케이션으로서 표시하고 있다.
계속해서 (S22)에서 연계원 애플리케이션인 애플리케이션(A)을 기동시킨다. 이때 연계원 애플리케이션이 관리하고 있는 레코드를 표시하는 레코드표시 윈도우가 디스플레이(20)에 표시되도록 기동시킨다. 또 애플리케이션(A)에 있어서 레코드표시 윈도우의 종류가 복수로 있는 경우에는, 연계시에 연계시키고 싶은 항목이 표시되어 있는 레코드표시 윈도우를 기동시킨다. 도7은, 본 실시형태에 관한 연계룰 설정시의 애플리케이션(A)의 표시화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렇게 하여 도6 및 도7에 나타낸 윈도우가 디스플레이(20)에 표시된 상태에서, (S23)에서는 우선 연계원 애플리케이션으로서 애플리케이션(A)을 설정한다. 이에 따라 상기의 연계룰DB(122)에 기록된 연계룰의 연계원 설정에 있어서 연계원 애플리케이션명 칸에 애플리케이션(A)의 명칭이 등록된다.
구체적으로는, 도6에 나타내는 설정화면의 「기동원 애플리케이션 정보」 아래의 「애플리케이션명」 옆의 「선택」 버튼을 마우스 포인터로 선택한 후에, 마우스 포인터로 애플리케이션(A)의 윈도우 프레임(도7에서, 「메디컬 개호 시스템(주택서비스)」로 표시되고 있는 프레임)을 선택하면, 활성화된 애플리케이션(A)의 애플리케이션명이 자동으로 설정화면의 「애플리케이션명」 옆 칸에 표시되고(도6 참조), 연계룰에 설정등록된다.
계속해서 (S24)에서는, 연계원 애플리케이션의 레코드표시 윈도우 중 연계시에 항목값(오브젝트)이 취득되는 윈도우인 항목취득 윈도우를 등록한다. 이에 따라 연계룰DB(122)에 기록되는 연계룰의 연계원 설정에 있어서 항목취득 윈도우명 칸에 애플리케이션(A)의 항목취득 윈도우의 명칭이 등록된다.
구체적으로는, 도6에 나타내는 설정화면의 「기동원 애플리케이션 정보」 아래의 「화면명」 옆의 「선택」 버튼을 마우스 포인터로 선택한 후에, 마우스 포인터로 애플리케이션(A)의 레코드표시 윈도우의 윈도우 프레임(도7에서 「환자정보 기본1」로 표시되고 있는 프레임)을 선택하면, 활성화된 당해 레코드표시 윈도우의 윈도우명이 자동으로 설정화면의 「화면명」 옆 칸에 표시되고(도6 참조), 연계룰에 등록된다.
계속해서 (S25)에서는 상기의 항목취득 윈도우 내의 항목 중 연계시에 항목값이 취득되는 취득항목을 설정한다. 이에 따라 연계룰DB(122)에 기록되는 연계룰의 연계원 설정에 있어서 취득항목란에 (S25)로 선택된 항목명이 등록된다.
구체적으로, 여기에서는 도6에 나타내는 설정화면의 「환자기본정보」 아래의 「환자번호」, 「성명」, 「가나(カナ)」, 「성별」, 「생년월일」, 동 설정화면의 「기타 환자정보」 아래의 「우편번호」, 「주소1」, 「주소2」, 「전화번호」 등의 항목을 취득항목으로서 설정하고 있다. 물론 상기의 설정화면에 나타낸 취득항목의 항목명은 예시이며, 설정화면의 내용은 적절히 변경할 수 있다.
설정시에 유저는 설정화면의 상기 각 항목 옆의 「선택」 버튼을 마우스 포인터로 선택한 후에, 도7의 레코드표시 윈도우(항목취득 윈도우)내의 각 항목에 대응하는 항목값이 표시되어 있는 표시란을 마우스 포인터로 순차적으로 선택해 나간다.
그렇게 하면 연계시에 연계원 애플리케이션의 레코드로부터 취득되는 취득항목의 항목명과 당해 취득항목의 항목취득 윈도우 내의 위치를 특정하는 항목 위치 정보(윈도우 핸들)이 순차적으로 연계룰의 취득항목란에 등록된다.
또 취득항목의 설정 중에는 설정화면의 각 항목에 대응하여 항목취득 윈도우 내의 항목값 표시란이 정확하게 선택되어 있는지 알 수 있도록, 설정화면에는 선택한 항목값(환자번호: 0000140025, 성명: 마츠야마 하나코 등)이 순차적으로 「선택」 버튼 옆에 표시된다(도6 참조).
여기에서 본 실시형태에서는 연계시 항목취득이 윈도우 핸들에 의하여 이루어지고 있으므로, 연계룰에 등록되는 취득항목의 위치정보로서 윈도우 핸들값이 기록되어 있다.
다만, 연계원 애플리케이션의 항목취득 윈도우가 윈도우 핸들에 의하여 항목값 취득을 할 수 없는 경우도 있기 때문에, 본 실시형태에서는 항목취득 윈도우를 구성하는 HTML(Hyper Text Markup Language) 데이터로부터 항목값을 추출해서 취득하거나, 항목취득 윈도우의 취득항목란을 OCR(광학문자인식) 처리함으로써 항목값을 취득할 수도 있다.
항목값 취득에 윈도우 핸들, HTML 데이터, OCR 처리 중 어느 것을 채용할지는, 연계원 애플리케이션의 설정시에 항목취득 윈도우의 타입에 따라서 연계원 애플리케이션 별로 설정해 두면 좋다.
HTML 데이터로부터 항목값을 취득하는 경우에는 연계룰의 항목 위치 정보로서 각 취득항목의 태그값이 기록되고, OCR 처리에 의하여 항목값 취득을 하는 경우에는 연계룰의 항목 위치 정보로서 OCR 처리를 하는 영역 즉 각 취득항목의 항목취득 윈도우 내의 영역좌표정보가 기록된다.
계속해서 (S13)에서 연계처 애플리케이션에 관한 연계룰을 설정한다. 구체적으로는 도5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우선 (S31)에서 애플리케이션 연계 프로그램을 연계처 애플리케이션의 설정모드로 한다. 구체적으로는 연계처 애플리케이션에 관한 연계룰의 설정파일을 편집모드로 연다.
상기의 연계원 애플리케이션의 설정은 설정화면을 이용해서 GUI로 진행하였지만, 여기에서는 연계처 애플리케이션에 관한 설정파일을 직접 편집하여 진행한다. 따라서 애플리케이션 연계 프로그램이 연계시에 참조하는 연계룰 중 연계처 애플리케이션에 관한 설정이 기술되어 있는 연계처 설정파일을 편집할 수 있는 상태로 연다.
계속해서 (S32)에서는 연계처 애플리케이션을 등록한다. 예를 들면 설정파일에 연계처 애플리케이션의 애플리케이션명 및 그 실행 프로그램의 패스를 기술하여 등록한다.
또한 (S33)에서는 그 연계처 애플리케이션을 연계기동시킬 때에 사용하는 연계기동 커맨드의 형식을 등록한다. 연계기동 커맨드 형식의 등록도 당해 커맨드 형식을 설정파일에 기술하면 좋다.
계속해서 (S34)에서는 연계처 애플리케이션에 연계원 애플리케이션으로부터 취득한 데이터를 수수할 때에 사용하는 연계수수 프로토콜의 형식을 등록한다. 연계수수 프로토콜 형식의 등록도 당해 프로토콜 형식을 설정파일에 기술하면 좋다.
(S32)∼(S34)를 통하여 연계처 애플리케이션의 설정이 완료되지만, 본 실시형태와 같이 복수의 연계처 애플리케이션을 설정하는 경우에는 (S32)∼(S34)를 반복하면 좋다. 이상으로 연계룰의 설정을 완료한다.
계속해서 도8을 참조하면서 애플리케이션 연계 시스템(1)의 기능에 대해서 설명한다. 동 도면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애플리케이션 연계 시스템(1)은 항목값 취득부(31)와, 연계기동 커맨드 생성부(32)와, 연계수수 프로토콜 생성부(33)를 구비하고 있다. 이들의 기능은 연산장치(11)가 프로그램 저장부(121)에 저장되어 있는 애플리케이션 연계 프로그램을 실행함으로써 실현된다.
항목값 취득부(31)는, 연계시에 연계룰DB(122)에 기록되어 있는 연계룰에 의거하여 디스플레이(20) 상에 표시되어 있는 연계원 애플리케이션의 항목취득 윈도우로부터 취득항목의 항목값을 취득한다.
이 항목값 취득은 연계원 애플리케이션을 기동하고, 항목취득 윈도우가 디스플레이(20)의 화면상에 표시되어 있는 상태라면, 애플리케이션 연계 프로그램을 기동하여 수시로 실행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연계원 애플리케이션의 레코드표시 윈도우로부터의 항목값 취득을, 레코드표시 윈도우가 디스플레이(20)에 표시된 상태에서, 취득항목의 윈도우 핸들, 레코드표시 윈도우를 구성하는 HTML 데이터 또는 취득항목의 OCR 처리에 의하여 수행하기 때문에, 연계원 애플리케이션을 개조하지 않고도 손쉽게 항목값을 취득할 수 있다.
연계기동 커맨드 생성부(32)는, 연계룰에 의거하여 항목값 취득부(31)가 취득한 항목값을 기동 파라미터로서 포함하는 연계처 애플리케이션의 기동커맨드를 생성한다. 예를 들면 기동 파라미터로서 취득한 항목값인 환자번호와 함께 당해 환자번호의 레코드를 여는 파라미터를 넣어 두고 그 기동커맨드를 실행하면, 당해 환자번호의 레코드를 연 상태에서 연계처 애플리케이션이 기동하는 연계기동이 실현된다.
예를 들면 연계원 애플리케이션이 환자의 진단 기록을 관리하는 애플리케이션(A)이고, 연계처 애플리케이션이 환자의 진단 영상을 편집/관리하는 애플리케이션(B)이라고 하면, 연계원 애플리케이션인 환자의 진단 기록를 볼 때 당해 환자의 진단 영상을 표시하자고 하는 경우, 그 환자의 환자번호를 연계처 애플리케이션에 보내면서 연계기동함으로써, 쉽고 빠르게 진단 영상을 표시시킬 수 있다.
연계수수 프로토콜 생성부(33)는, 연계룰에 의거하여 항목값 취득부(31)가 취득한 항목값을 연계처 애플리케이션에 보내기 위해서, 당해 항목값을 포함하는 연계수수 프로토콜을 생성한다. 연계수수 프로토콜은 연계처 애플리케이션의 데이터 수령 형식에 맞춘 프로토콜이며, 데이터 수수 프로토콜이 실행되면 연계처 애플리케이션으로부터 취득한 항목값이 연계처 애플리케이션의 레코드로서 기록되는 연계수수가 실현된다.
예를 들면 연계원 애플리케이션이 환자의 진단 기록를 관리하는 애플리케이션(A)이고, 연계처 애플리케이션이 환자의 진단 영상을 편집/관리하는 애플리케이션(B)이라고 하면, 애플리케이션(A)의 환자 정보를 애플리케이션(B)에 새로 등록하거나, 애플리케이션(A)의 환자 주소 등이 변경된 경우에는 애플리케이션(B)의 환자정보도 동시에 갱신되는 연계수수가 실현된다.
계속해서 도9∼도11을 참조하면서, 애플리케이션의 연계처리의 흐름을 설명한다. 도9는, 본 실시형태에 관한 애플리케이션의 연계처리의 흐름을 나타내는 플로우 차트이다. 도10은, 본 실시형태에 관한 애플리케이션 연계시에 있어서 애플리케이션 연계 프로그램의 표시화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11은, 본 실시형태에 관한 애플리케이션 연계시에 있어서 연계처 애플리케이션의 표시화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우선 (S41)에서 유저(user)가 애플리케이션 연계 프로그램을 기동하여 로그인한다. 여기에서 애플리케이션 연계 프로그램의 로그인 ID 및 패스워드를 연계처 애플리케이션의 로그인 ID 및 패스워드와 같이 해 두면, 연계기동 커맨드의 기동 파라미터에 로그인시 취득한 로그인 ID 및 패스워드를 포함되므로 연계처 애플리케이션 기동시의 로그인 입력을 생략할 수 있다.
애플리케이션 연계 프로그램이 기동하면 디스플레이(20)에는 도10에 나타내는 런처(launcher)가 기동된다. 런처에 표시되어 있는 버튼(도10의 「Claio」,「Docu Maker」버튼 등)에는 연계의 트리거(trigger)가 되는 연계 버튼이 포함되어 있다.
계속해서 (S42)에서 연계원 애플리케이션을 기동시키고, (S43)에서는 연계시에 항목값이 취득되는 항목취득 윈도우를 표시시킨다. 이때 항목취득 윈도우에는 연계처 애플리케이션과 연계시키고 싶은 레코드를 표시시켜 둔다.
(S44)에서는 유저가 도10의 런처에 표시되어 있는 버튼을 클릭하여 연계처 애플리케이션을 선택한다. 연계처 애플리케이션이 선택되면 (S45) 이후에 연계처리가 실시된다.
(S45)에서는 연계룰DB(122) 내에 기록되어 있는 연계룰 중, (S42)에서 기동시킨 연계원 애플리케이션을 연계원으로서 등록하고 있는 연계룰을 참조하여, 항목값 취득부(31)에 의한 항목값 취득이 이루어진다.
(S45)의 이후에는, 연계룰을 참조하여 (S44)에서 선택된 연계처 애플리케이션의 연계모드 설정에 따라서 (S50)의 연계수수 또는 (S55)의 연계기동이 이루어진다. 연계모드가 연계수수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에는 (S50)으로 진행되고, 연계수수 프로토콜 생성부(33)에 의하여 연계수수 프로토콜이 생성되어, (S45)에서 연계원 애플리케이션으로부터 취득한 항목값이 연계처 애플리케이션에 전송되는 연계수수가 실행된다. 그리고 (S51)에서는 연계처 애플리케이션의 레코드로서 수수 데이터가 등록된다.
또한 연계모드가 연계기동으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에는 (S55)로 진행되고, 연계기동 커맨드 생성부(32)에 의하여 연계기동 커맨드가 생성되어, (S45)에서 연계원 애플리케이션으로부터 취득한 항목값을 기동 파라미터로 하여 연계처 애플리케이션이 연계기동된다. 그리고 (S56)에서는 예를 들면 연계원 애플리케이션에서 표시되어 있던 레코드와 같은 식별자(환자번호 등)를 가지는 레코드가 표시된 상태로 연계처 애플리케이션이 기동된다.
이상으로 본 실시형태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했지만, 본 실시형태에 관한 연계 시스템에 의하면 연계원 애플리케이션, 연계처 애플리케이션을 조작하지 않고, 연계원 애플리케이션의 레코드표시 윈도우를 디스플레이(20)에 표시시킨 상태에서 연계처 애플리케이션과 연계시킴으로써, 손쉽게 연계기동이나 연계수수를 실현할 수 있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해서 설명했지만,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상기한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주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더욱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상기한 실시형태에서는 단일 컴퓨터에서 애플리케이션 연계 시스템을 실현시키고 있지만, 복수의 컴퓨터에 의한 분산처리로 실현시켜도 좋다.
또한 상기한 실시형태에서는 연계원 애플리케이션이 하나인 경우에 대해서 설명했지만, 물론 복수의 연계원 애플리케이션의 연계룰을 등록해 두고, 복수의 연계원 애플리케이션을 1개 또는 복수의 연계처 애플리케이션과 연계시키더라도 좋다. 이 경우에는 연계원 애플리케이션별로 연계룰이 기록된다. 또한 상기한 실시형태에서는 연계원 애플리케이션의 항목취득 윈도우로서 하나의 레코드표시 윈도우를 등록하고 있지만, 복수의 윈도우를 항목취득 윈도우로서 등록하더라도 좋다.
또한 상기한 실시형태에서는 연계처 애플리케이션도 복수의 레코드를 관리하는 애플리케이션으로서 설명했지만, 연계처 애플리케이션은 레코드 관리 애플리케이션이 아니어도 좋다. 예를 들면 연계처 애플리케이션이 환자의 보험신청서를 작성하는 애플리케이션인 경우, 연계원 애플리케이션으로부터 환자정보를 연계수수함으로써 신청서의 작성을 간략화할 수 있다.
1 : 애플리케이션 연계 시스템
10 : 컴퓨터 본체
11 : 연산장치
12 : 기억장치
121 : 프로그램 저장부
122 : 연계룰DB
125 : 애플리케이션(A)-DB
126 : 애플리케이션(B)-DB
127 : 애플리케이션(C)-DB
20 : 디스플레이
22 : 입력장치
31 : 항목값 취득부
32 : 연계기동 커맨드 생성부
33 : 연계수수 프로토콜 생성부

Claims (7)

  1. 연산장치와 기억장치와 표시장치를 구비하고, 복수의 레코드를 관리하는 연계원 애플리케이션(連繫元 application)과 연계처 애플리케이션(連繫處 application)을 연계시키기 위한 애플리케이션 연계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기억장치는, 연계원 애플리케이션, 상기 연계원 애플리케이션의 레코드표시 윈도우로서 연계시에 항목값이 취득되는 연계시 항목취득 윈도우, 당해 연계시 항목취득 윈도우 내에 표시되는 항목으로서 연계시에 항목값이 취득되는 연계시 취득항목, 연계처 애플리케이션 및 상기 연계원 애플리케이션에 연계하여 상기 연계처 애플리케이션을 기동시키기 위한 연계기동 커맨드 형식의 정보를 포함하는 연계룰(連繫 rule)을 기록하는 연계룰 기억부를 구비하고,
    연계시에, 상기 표시장치에 표시된 상기 연계시 항목취득 윈도우 내의 상기 연계시 취득항목의 항목값을 취득하는 항목값 취득부와,
    연계시에, 상기 연계기동 커맨드 형식(連繫起動 command 形式)에 의거하여 상기 항목값 취득부가 취득한 항목값을 기동 파라미터(起動 parameter)로서 포함하는 연계기동 커맨드를 생성하는 연계기동 커맨드 생성부를
    구비하고,
    연계시에, 상기 연계기동 커맨드를 실행함으로써 상기 항목값 취득부가 취득한 항목값을 기동 파라미터로 하면서 상기 연계처 애플리케이션을 기동시키는 연계기동을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플리케이션 연계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계룰 기억부에 기록되어 있는 연계룰은 상기 연계원 애플리케이션으로부터 상기 연계처 애플리케이션에 데이터를 연계하여 수수하기 위한 연계수수 프로토콜 형식(連繫授受 protocol 形式)의 정보를 더 포함하고,
    연계시에, 상기 연계수수 프로토콜 형식에 의거하여 상기 항목값 취득부가 취득한 항목값을 수수 데이터로서 포함하는 연계수수 프로토콜을 생성하는 연계수수 프로토콜 생성부를 더 구비하고,
    연계시에, 상기 연계수수 프로토콜을 실행함으로써 상기 연계원 애플리케이션으로부터 상기 연계처 애플리케이션에 상기 항목값 취득부가 취득한 항목값을 주고 받는 연계수수를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플리케이션 연계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연계룰 기억부에 기록되어 있는 연계룰은 복수의 연계처 애플리케이션에 관한 설정정보를 포함하고 있고,
    연계시에, 상기 연계처 애플리케이션별로 상기 연계기동 또는 상기 연계수수 중 어느 하나를 실행할지에 관한 설정정보를 더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플리케이션 연계 시스템.
  4. 제1항 내지 제3항 중의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연계룰 기억부에 기록되어 있는 연계룰은 복수의 연계원 애플리케이션에 관한 설정정보를 포함하고 있고,
    상기 연계룰 기억부에는 상기 연계원 애플리케이션별로 상기 연계룰이 기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플리케이션 연계 시스템.
  5. 제1항 내지 제4항 중의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연계룰 기억부에 기록되어 있는 연계룰은 상기 연계시 취득항목의 정보로서, 상기 연계시 항목취득 윈도우 내의 상기 연계시 취득항목에 있어서 항목값의 표시위치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플리케이션 연계 시스템.
  6. 연산장치와 기억장치와 표시장치를 구비하는 컴퓨터에서 복수의 레코드를 관리하는 연계원 애플리케이션과 연계처 애플리케이션을 연계시키는 처리를 수행하는 애플리케이션 연계 프로그램에 있어서,
    연계원 애플리케이션, 상기 연계원 애플리케이션의 레코드표시 윈도우로서 연계시에 항목값이 취득되는 연계시 항목취득 윈도우, 당해 연계시 항목취득 윈도우 내에 표시되는 항목으로서 연계시에 항목값이 취득되는 연계시 취득항목, 연계처 애플리케이션 및 상기 연계원 애플리케이션에 연계하여 상기 연계처 애플리케이션을 기동시키기 위한 연계기동 커맨드 형식의 정보를 포함하는 연계룰을 상기 기억장치에 기록하는 연계룰 기록 스텝과,
    연계시에, 상기 표시장치에 표시된 상기 연계시 항목취득 윈도우 내의 상기 연계시 취득항목의 항목값을 취득하는 항목값 취득 스텝과,
    연계시에, 상기 연계기동 커맨드 형식에 의거하여 상기 항목값 취득 스텝에서 취득한 항목값을 기동 파라미터로서 포함하는 연계기동 커맨드를 생성하는 연계기동 커맨드 생성 스텝과,
    연계시에, 상기 연계기동 커맨드를 실행함으로써 상기 항목값 취득 스텝에서 취득한 항목값을 기동 파라미터로 하면서 상기 연계처 애플리케이션을 기동시키는 연계기동 스텝을
    상기 컴퓨터에 실행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플리케이션 연계 프로그램.
  7. 연산장치와 기억장치와 표시장치를 구비하는 컴퓨터에서 복수의 레코드를 관리하는 연계원 애플리케이션과 연계처 애플리케이션을 연계시키는 애플리케이션 연계방법에 있어서,
    연계원 애플리케이션, 상기 연계원 애플리케이션의 레코드표시 윈도우로서 연계시에 항목값이 취득되는 연계시 항목취득 윈도우, 당해 연계시 항목취득 윈도우 내에 표시되는 항목으로서 연계시에 항목값이 취득되는 연계시 취득항목, 연계처 애플리케이션 및 상기 연계원 애플리케이션에 연계하여 상기 연계처 애플리케이션을 기동시키기 위한 연계기동 커맨드 형식의 정보를 포함하는 연계룰을 상기 기억장치에 기록하는 연계룰 기록 스텝과,
    연계시에, 상기 연산장치가 상기 표시장치에 표시된 상기 연계시 항목취득 윈도우 내의 상기 연계시 취득항목의 항목값을 취득하는 항목값 취득 스텝과,
    연계시에, 상기 연산장치가 상기 연계기동 커맨드 형식에 의거하여 상기 항목값 취득 스텝에서 취득한 항목값을 기동 파라미터로서 포함하는 연계기동 커맨드를 생성하는 연계기동 커맨드 생성 스텝과,
    연계시에, 상기 연산장치가 상기 연계기동 커맨드를 실행함으로써 상기 항목값 취득 스텝에서 취득한 항목값을 기동 파라미터로 하면서 상기 연계처 애플리케이션을 기동시키는 연계기동 스텝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플리케이션 연계방법.
KR20137015730A 2012-06-28 2012-08-03 애플리케이션 연계 시스템, 애플리케이션 연계방법 및 애플리케이션 연계 프로그램 KR2015002817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2144881A JP6339312B2 (ja) 2012-06-28 2012-06-28 アプリケーション連携システム、アプリケーション連携方法及びアプリケーション連携プログラム
JPJP-P-2012-144881 2012-06-28
PCT/JP2012/069796 WO2014002293A1 (ja) 2012-06-28 2012-08-03 アプリケーション連携システム、アプリケーション連携方法及びアプリケーション連携プログラム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28174A true KR20150028174A (ko) 2015-03-13

Family

ID=497825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7015730A KR20150028174A (ko) 2012-06-28 2012-08-03 애플리케이션 연계 시스템, 애플리케이션 연계방법 및 애플리케이션 연계 프로그램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EP (1) EP2869195B1 (ko)
JP (1) JP6339312B2 (ko)
KR (1) KR20150028174A (ko)
CN (1) CN104395883A (ko)
WO (1) WO201400229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304037B2 (en) 2013-02-04 2019-05-28 Haworth, Inc. Collaboration system including a spatial event map
US11861561B2 (en) 2013-02-04 2024-01-02 Haworth, Inc. Collaboration system including a spatial event map
EP3213205A1 (en) * 2014-10-31 2017-09-06 Convida Wireless, LLC Managing application relationships in machine-to-machine systems
JP2018524661A (ja) 2015-05-06 2018-08-30 ハワース,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Haworth, Inc. 共同システムにおける仮想作業空間ビューポート・フォロー・モード
JP2017105025A (ja) 2015-12-08 2017-06-15 コニカミノルタ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US11934637B2 (en) 2017-10-23 2024-03-19 Haworth, Inc. Collaboration system including markers identifying multiple canvases in multiple shared virtual workspaces
US11750672B2 (en) 2020-05-07 2023-09-05 Haworth, Inc. Digital workspace sharing over one or more display clients in proximity of a main client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91687A (ja) * 1996-09-17 1998-04-10 Sanyo Electric Co Ltd 電子医療事務装置
JPH1165795A (ja) * 1997-08-27 1999-03-09 Canon Inc 情報処理装置及び該装置におけるプログラムの起動方法
JP2000010802A (ja) * 1998-06-24 2000-01-14 Ntt Data Corp プロセス間データ連携システム及び記録媒体
JP2001014411A (ja) * 1999-06-29 2001-01-19 Morita Mfg Co Ltd 医療支援システムのリンク方法、この方法を記録した記録媒体
JP2004038759A (ja) 2002-07-05 2004-02-05 Mitsubishi Electric Corp アプリケーション連携システム、アプリケーション連携方法およびその方法を実行するためのプログラム
JP4335726B2 (ja) * 2004-03-30 2009-09-30 富士通株式会社 画面に表示されたデータを介して異なるアプリケーションで連携を行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2006190008A (ja) * 2005-01-04 2006-07-20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データ連携装置及びデータ連携方法
US8903840B2 (en) * 2006-08-31 2014-12-02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launching a specific program from a simple click on a string of characters
JP5125849B2 (ja) * 2008-07-23 2013-01-23 富士通株式会社 患者情報表示装置、患者情報表示方法、およ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CN102272727B (zh) * 2009-01-15 2014-04-16 国际商业机器公司 用于支援多个应用程序间的数据连接的装置和方法
CN101576978A (zh) * 2009-06-16 2009-11-11 北京环太中科软件股份有限公司 分布式工作流制定方法、执行方法及执行系统
US8682935B2 (en) * 2009-09-30 2014-03-25 Sap Portals Israel Ltd. System and method for application navigation
JP5469985B2 (ja) * 2009-10-06 2014-04-16 株式会社ピーエスシー データ受渡方法及び汎用データ取得方法
CN103020463A (zh) * 2012-12-24 2013-04-03 江南大学 一种基于移动平台的医院智能就诊系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869195A1 (en) 2015-05-06
JP6339312B2 (ja) 2018-06-06
EP2869195B1 (en) 2017-12-20
EP2869195A4 (en) 2016-01-06
WO2014002293A1 (ja) 2014-01-03
CN104395883A (zh) 2015-03-04
JP2014010512A (ja) 2014-01-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1602114B (zh) 用于在集成开发环境内提供即时通信信道的系统和方法
KR20150028174A (ko) 애플리케이션 연계 시스템, 애플리케이션 연계방법 및 애플리케이션 연계 프로그램
AU2019215515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an instant communication channel within integrated development environments
JP4010516B2 (ja) 変換規則導出システム
JP6157898B2 (ja) 医療情報検索装置
JP2011092684A (ja) 病変領域抽出装置および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CN104572067A (zh) 用于由源代码指定的用户界面的可视化的方法和系统
CN104679642A (zh) 日志分析系统中的日志的与语言无关的处理方法和系统
JP2010026849A (ja) 文書管理システム、文書管理プログラム及び文書管理方法
JP2016118833A (ja) ナレッジ抽出編集プログラム、ナレッジ抽出編集方法、ナレッジ抽出編集装置およびナレッジ抽出編集システム
US7936356B2 (en)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for information registration, and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for information retrieval
JP2009301084A (ja) 情報処理装置および情報処理方法
US8190563B2 (en) Document management apparatus, document management method, and computer-readable encoding medium recorded with a computer program
JP2008210077A (ja) 診療支援装置におけるテンプレート作成方法およびテンプレート作成プログラム
JP5984358B2 (ja) ソフトウェア開発支援装置及びプログラム
KR20160093289A (ko) 재물 관리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시스템
CN110660463A (zh) 基于超声系统的报告编辑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JP6697896B2 (ja) 手術器具セット管理システム
US20090327348A1 (en) Job support system and its method
JP3765299B2 (ja) 情報処理装置
JP7255619B2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情報処理プログラム及び情報処理システム
JP4648017B2 (ja) 図面管理方法及び図面管理プログラム
US20210150476A1 (en) Where-used information for user interface
JP2001325097A (ja) ヘルプ機能生成装置、ヘルプ機能生成方法、及びヘルプ機能生成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コンピュータ読み取り可能な記録媒体
JP6670076B2 (ja) 電子カルテ装置および電子カルテ制御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