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24833A - 유기 전계 발광 소자 및 조명 장치 - Google Patents

유기 전계 발광 소자 및 조명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24833A
KR20150024833A KR1020147034898A KR20147034898A KR20150024833A KR 20150024833 A KR20150024833 A KR 20150024833A KR 1020147034898 A KR1020147034898 A KR 1020147034898A KR 20147034898 A KR20147034898 A KR 20147034898A KR 20150024833 A KR20150024833 A KR 2015002483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de
piece
electrode piece
substrate
sealing materi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70348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도시히코 사토
요시하루 사나가와
신고 호우즈미
게이코 가와히토
고지 쓰지
마사오 기리하라
Original Assignee
파나소닉 아이피 매니지먼트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파나소닉 아이피 매니지먼트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파나소닉 아이피 매니지먼트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500248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2483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8Terminals, e.g. bond pad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4Passivation; Containers; Encapsulations
    • H10K50/841Self-supporting sealing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05Electrode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05Electrodes
    • H10K50/81Anode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05Electrodes
    • H10K50/82Cathode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4Passivation; Containers; Encapsulations
    • H10K50/842Container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2102/00Constructional details relating to the organic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10K2102/301Details of OLEDs
    • H10K2102/351Thicknes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Abstract

유기 전계 발광 소자는, 기판(1)의 표면에, 제1 전극(7)과 유기 발광층(8)과 제2 전극(9)을 이 순서로 가지는 유기 발광체(10)가 형성되고, 유기 발광체(10)는, 기판(1)에 접착된 봉지재(2)에 의해 덮혀 밀봉된 것이다. 기판(1)의 단부 표면에, 제1 전극(7) 및 제2 전극(9) 중 적어도 한쪽과 전기적으로 접속된 전극 인출부(5)가, 봉지재(2)보다 외측으로 인출되어 설치되어 있다. 봉지재(2)의 기판(1)과는 반대측에, 인출 전극(11)이 전극편(3)에 의해 설치되어 있다. 전극편(3)의 연신부가 전극 인출부(5)에 고정되는 것에 의해, 전극편(3)과 전극 인출부(5)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Description

유기 전계 발광 소자 및 조명 장치{ORGANIC ELECTROLUMINESCENCE ELEMENT AND ILLUMINATION DEVICE}
본 발명은, 유기 전계 발광 소자 및 이것을 사용한 조명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유기 전계 발광 소자(이하 「유기 EL 소자」이라고도 함)가 조명 패널 등의 용도에 응용되고 있다. 유기 EL 소자로서는, 투광성(透光性)의 제1 전극(양극)과, 발광층을 포함하는 복수의 층에 의해 구성되는 유기층과, 제2 전극(음극)이, 이 순서로 투광성 기판의 표면에 적층 형성된 것이 알려져 있다. 유기 EL 소자에서는, 양극과 음극의 사이에 전압을 인가함으로써, 발광층에서 발한 광이 투광성의 전극 및 기판을 통해 외부로 인출된다.
일본 공개특허 제2009―217984호 공보
도 58은, 종래의 유기 EL 소자의 일례를 나타내고 있다. 이 유기 EL 소자는, 기판(1)의 표면에, 제1 전극(7)과, 유기 발광층(8)과, 제2 전극(9)을 이 순서로 가지는 유기 발광체(10)가 형성되고, 유기 발광체(10)는, 기판(1)에 접착된 봉지재(封止材)(2)에 의해 덮혀 밀봉된 것이다. 발광 영역은, 유기 EL 소자를 기판(1)의 표면에 수직인 방향에서 볼 때 평면에서 보았을 때, 제1 전극(7)과 유기 발광층(8)과 제2 전극(9)이 적층되어 있는 영역으로 된다. 또한, 평면에서 볼 때 봉지재(2)와 밀봉된 영역이 봉지(封止) 영역으로 된다. 도 58에서는, 발광 영역을 영역 P로 나타내고 있다. 또한, 봉지 영역을 영역 Q로 나타내고, 이 봉지 영역보다 외측의 영역인 봉지 외측 영역을 영역 T로 나타내고 있다.
도 58의 (b) 및 (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유기 EL 소자에서는, 기판(1)의 표면에 있어서, 투명한 도전층이 패턴 형상으로 형성되고, 이 패턴 형상의 도전층의 중앙 영역이, 제1 전극(7)으로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이 제1 전극(7)의 표면에, 유기 발광층(8) 및 제2 전극(9)을 적층시킴으로써, 유기 발광체(10)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봉지재(2)에 의해 유기 발광체(10)가 봉지되어 있다. 도 58의 (b)에서는, 봉지재(2)의 외주단부를 2점 쇄선 X로 나타내고 있다.
여기서, 유기 EL 소자에서는, 제1 전극(7) 및 제2 전극(9)을 통하여 유기 발광층(8)에 전기를 공급하기 위해, 통상, 각각의 전극과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전극 인출부(electrode lead-out part)(5)를 유기 EL 소자의 단부(端部)에 설치하고, 이 전극 인출부(5)에 전기를 공급하는 것이 행해지고 있다. 전극 인출부(5)는, 제1 전극(7)과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제1 전극 인출부(5a)와, 제2 전극(9)과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제2 전극 인출부(5b)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도 58의 (c)에서는, 소자 구조를 알 수 있기 용이하게, 우측에 제1 전극 인출부(5a) 측의 단부를 나타내고, 좌측에 제2 전극 인출부(5b) 측의 단부를 나타내고 있다.
각 전극 인출부(5)의 표면에는, 인출 전극(11)이 형성되어 있다. 인출 전극(11)은, 기판(1) 표면에서의 봉지재(2)보다도 돌출된 부분인 봉지 외측 영역(영역 T에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인출 전극(11)에 외부 전원을 접속함으로써 유기 발광층(8)에 급전 가능하도록 하고 있다. 이 인출 전극(11)은, 외부 전원과의 접속을 행하는 전극 단자이며, 도전성(導電性)이 높은 동시에, 예를 들면, 와이어 본딩성 등 전기 접속에 대한 내구성(耐久性)을 가지는 것이다. 인출 전극(11)을 설치함으로써 외부 전원과의 접속성을 높일 수 있다.
그러나, 인출 전극(11)이 기판 단부에 앞으로 밀어내 배치되면 인출 전극(11)은 비발광의 영역으로 되므로, 비발광 영역의 비율이 증가해 버린다. 또한,와이어 본딩 접속 등 전기 접속을 행하기 위해서는, 인출 전극(11)에 일정한 영역 면적을 확보할 필요가 있어, 인출 전극(11)의 폭을 작게 하는 것은 곤란하다. 그리고, 인출 전극(11)에 의해 외주부의 스페이스가 점유되면, 비발광 영역이 유기 EL 소자의 외주에 있어서 액자형으로 형성되게 된다. 비발광 영역의 비율이 커지면, 유기 EL 소자의 전체 면적에 대한 면 내의 발광 비율이 작아져, 면 내의 유효 발광 비율이 저하될 우려가 있다.
특허 문헌 1에는, 밀봉판에 구멍을 형성하여 이 구멍에 외부 단자를 삽입하여 전극에 접속하는 구조에 의해, 유기 EL 소자의 발광 면적을 넓히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 문헌의 방법에서는, 밀봉판에 구멍을 형성하고, 또한 이 구멍에 외부 단자를 삽입하지 않으면 안되므로, 간단하게 소자를 제작할 수 없게 된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밀봉판의 구멍보다 외측에는 비발광의 영역이 형성되어 버리므로, 충분히 발광 영역을 넓힐 수 없게 될 우려가 있다. 또한, 외부 단자와 전극과의 접속 부분이 구멍에 은폐되므로, 외부 단자와 전극과의 접촉성을 확인하기 어려워, 충분한 접속 신뢰성을 확보할 수 없게 될 우려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이며, 발광 면적의 비율이 높고, 제작이 용이하며 접속 신뢰성이 우수한 유기 전계 발광 소자 및 조명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관한 유기 전계 발광 소자는, 기판의 표면에, 제1 전극과 유기 발광층과 제2 전극을 이 순서로 가지는 유기 발광체가 형성되고, 상기 유기 발광체는, 상기 기판에 접착된 봉지재에 의해 덮혀 봉지되어 있는 유기 전계 발광 소자로서, 상기 기판의 단부 표면에, 상기 제1 전극 및 상기 제2 전극 중 적어도 한쪽과 전기적으로 접속된 전극 인출부가, 상기 봉지재보다 외측으로 인출되어 설치되고, 상기 봉지재의 상기 기판과는 반대측에, 인출 전극이 전극편에 의해 설치되고, 상기 전극편의 연신부가 상기 전극 인출부에 고정되는 것에 의해, 상기 전극편과 상기 전극 인출부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유기 전계 발광 소자에 있어서는, 상기 전극편은, 상기 기판의 양 단부에 설치되고, 상기 전극편은, 평면에서 볼 때 수평 방향의 위치가 상이하도록 배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한 일 태양(態樣)이다.
상기한 유기 전계 발광 소자에 있어서는, 상기 기판의 측부에, 절연 배리어체(barrier body)가 설치되고, 상기 절연 배리어체는, 상기 기판의 표면에 수직인 방향에 있어서, 상기 전극 인출부보다 돌출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한 일 태양이다.
상기한 유기 전계 발광 소자에 있어서는, 상기 절연 배리어체는, 상기 기판의 표면에 수직인 방향에 있어서, 상기 기판의 상기 봉지재가 접착된 면과는 반대측의 면에 있어서 돌출되어 있지 않은 것이, 바람직한 일 태양이다.
상기한 유기 전계 발광 소자에 있어서는, 상기 전극편은, 상기 기판의 복수의 단부에 설치되고, 상기 기판의 상기 복수의 단부 중의 절반 이상의 단부의 위치에서의 상기 기판의 측부에, 상기 절연 배리어체가 설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한 일 태양이다.
상기한 유기 전계 발광 소자에 있어서는, 상기 전극편은, 상기 기판의 복수의 단부에 설치되고, 상기 기판의 상기 복수의 단부 중 전부의 단부의 위치에서의 상기 기판의 측부에, 상기 절연 배리어체가 설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한 일 태양이다.
상기한 유기 전계 발광 소자에 있어서는, 상기 절연 배리어체와 상기 봉지재와의 사이에, 수지가 충전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한 일 태양이다.
상기한 유기 전계 발광 소자에 있어서는, 상기 절연 배리어체는, 상기 기판의 표면에 수직인 방향에 있어서, 상기 전극편보다도 돌출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한 일 태양이다.
상기한 유기 전계 발광 소자에 있어서는, 상기 전극편은, 적어도 상기 기판을 향해 연신(延伸)되는 상기 연신부의 외부측 표면이 절연 피복체로 피복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한 일 태양이다.
상기한 유기 전계 발광 소자에 있어서는, 상기 절연 피복체는, 두께가 0.1㎜ 이상인 것이, 바람직한 일 태양이다.
상기한 유기 전계 발광 소자에 있어서는, 상기 절연 피복체는, 상기 전극편의 상기 연신부의 선단보다 상기 기판측으로 돌출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한 일 태양이다.
상기한 유기 전계 발광 소자에 있어서는, 상기 전극편의 상기 연신부, 상기 절연 피복체, 또는 상기 전극편과 상기 절연 피복체와의 사이에, 상기 기판측에 개구되는 간극(間隙)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한 일 태양이다.
상기한 유기 전계 발광 소자에 있어서는, 상기 절연 피복체에서의 상기 전극편의 상기 연신부의 선단보다도 돌출된 절연 돌출부는, 외측으로 팽창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한 일 태양이다.
상기한 유기 전계 발광 소자에 있어서는, 상기 전극편의 상기 연신부는, 상기 전극 인출부에 가압되어 고정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한 일 태양이다.
상기한 유기 전계 발광 소자에 있어서는, 상기 전극편의 상기 연신부는, 상기 전극 인출부에 도전성 페이스트에 의해 형성된 도전 고정부에 의해 고정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한 일 태양이다.
상기한 유기 전계 발광 소자에 있어서는, 상기 도전 고정부는, 상기 전극편에서의 상기 연신부의 봉지재 측의 면에 접하여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한 일 태양이다.
상기한 유기 전계 발광 소자에 있어서는, 상기 도전 고정부는, 상기 봉지재의 측면에 접하여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한 일 태양이다.
상기한 유기 전계 발광 소자에 있어서는, 상기 전극편은, 도전성 페이스트에 의해 형성된 도전 접착부에 의해 상기 봉지재에 고정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한 일 태양이다.
상기한 유기 전계 발광 소자에 있어서는, 상기 도전 고정부와 상기 도전 접착부가 연결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한 일 태양이다.
상기한 유기 전계 발광 소자에 있어서는, 상기 봉지재의 표면에 인출 전극 확장부가 설치되고, 상기 전극편은, 상기 도전 접착부에 의해 상기 인출 전극 확장부에 접착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한 일 태양이다.
상기한 유기 전계 발광 소자에 있어서는, 상기 봉지재의 표면에 배선판을 구비하고, 상기 배선판의 표면에 인출 전극 확장부가 설치되고, 상기 전극편은, 도전 접속부에 의해 상기 인출 전극 확장부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한 일 태양이다.
상기한 유기 전계 발광 소자에 있어서는, 상기 인출 전극 확장부는, 상기 배선판의 상기 봉지재 측의 표면에 형성되고, 상기 인출 전극 확장부는, 평면에서 볼 때, 상기 봉지재와 중복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한 일 태양이다.
상기한 유기 전계 발광 소자에 있어서는, 상기 인출 전극 확장부는, 평면에서 볼 때, 상기 전극편보다 내측에 배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한 일 태양이다.
상기한 유기 전계 발광 소자에 있어서는, 상기 전극편과 상기 인출 전극 확장부가, 상기 도전 접속부를 구성하는 가요성(可撓性) 도전체에 의해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한 일 태양이다.
상기한 유기 전계 발광 소자에 있어서는, 상기 기판에서의 상기 전극 인출부의 외측에, 절연성을 가지는 절연 벽부가 설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한 일 태양이다.
상기한 유기 전계 발광 소자에 있어서는, 상기 기판의 표면과 측면과의 경계부에, 상기 전극 인출부보다 외측의 위치에 있어서, 스텝부(段部)가 형성되고, 상기 절연 벽부는, 상기 단부의 표면에 접하여 형성되고, 상기 도전 고정부는, 상기 절연 벽부에 접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한 일 태양이다.
상기한 유기 전계 발광 소자에 있어서는, 상기 전극편은, 상기 기판의 표면에 평행한 방향에 대한 응력을 완화하는 응력 완화 구조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한 일 태양이다.
상기한 유기 전계 발광 소자에 있어서는, 상기 응력 완화 구조는, 상기 전극편에 형성된 개구부에 의해 구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한 일 태양이다.
상기한 유기 전계 발광 소자에 있어서는, 상기 응력 완화 구조는, 상기 전극편에 형성된 절결부(切缺部)에 의해 구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한 일 태양이다.
상기한 유기 전계 발광 소자에 있어서는, 상기 응력 완화 구조는, 상기 전극편에 형성된 복수의 절결부에 의해 구성되며, 상기 복수의 절결부는, 상기 전극편이 S자형의 부분을 가지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한 일 태양이다.
상기한 유기 전계 발광 소자에 있어서는, 상기 응력 완화 구조는, 상기 전극편에 형성된 파형(波形) 구조에 의해 구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한 일 태양이다.
상기한 유기 전계 발광 소자에 있어서는, 상기 응력 완화 구조는, 상기 전극편에서의 상기 기판의 표면에 수직인 방향을 따른 부분과 상기 기판의 표면에 평행한 방향을 따른 부분과의 경계인 굴곡부가, 상기 전극편의 표면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어 구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한 일 태양이다.
상기한 유기 전계 발광 소자에 있어서는, 상기 전극편은, 상기 봉지재의 표면으로부터 측면을 따르는 형상으로 굴곡되어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한 일 태양이다.
상기한 유기 전계 발광 소자에 있어서는, 상기 전극편은, 상기 전극 인출부에 고정되는 위치보다도 외측으로 돌출된 단자부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한 일 태양이다.
상기한 유기 전계 발광 소자에 있어서는, 상기 전극편과 상기 전극 인출부ㄴ는, 경계 부분에서 도전성을 가지는 복수의 돌기가 압쇄(押碎)되어 접속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한 일 태양이다.
상기한 유기 전계 발광 소자에 있어서는, 상기 전극편과 상기 전극 인출부는, 경계 부분 또는 경계 부분 근방에 있어서 도전성을 가지는 탄성부가 가압되어 접속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한 일 태양이다.
상기한 유기 전계 발광 소자에 있어서는, 상기 전극편은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한 일 태양이다.
상기한 유기 전계 발광 소자에 있어서는, 상기 전극편은, 상기 봉지재의 상기 기판과는 반대측의 면에서 접합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한 일 태양이다.
상기한 유기 전계 발광 소자에 있어서는, 상기 전극편은, 상기 봉지재의 상기 기판과는 반대측의 면에 형성된 전극편 지지체에 의해 지지되어 고정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한 일 태양이다.
상기한 유기 전계 발광 소자에 있어서는, 상기 전극편은 판스프링 구조를 가지고 있고, 상기 판스프링 구조의 가압에 의해 상기 전극편의 연신부가 상기 전극 인출부에 가압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한 일 태양이다.
본 발명에 관한 조명 장치는, 상기한 유기 전계 발광 소자를 구비한 조명 장치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발광 면적의 비율이 높고, 제작이 용이하며 접속 신뢰성이 우수한 유기 전계 발광 소자 및 조명 장치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유기 전계 발광 소자의 실시형태의 일례를 나타낸 것으로서, (a)는 평면도, (b)는 단면도(斷面圖)이다.
도 2는 유기 전계 발광 소자의 실시형태의 일례를 나타낸 것으로서, (a)는 사시도, (b)는 분해한 사시도이다.
도 3의 (a)는 유기 전계 발광 소자의 제조 공정의 일례를 나타낸 확대 단면도이며, (b)는 유기 전계 발광 소자의 일례를 설명하는 확대 단면도이다.
도 4의 (a)는 유기 전계 발광 소자의 제조 공정의 일례를 나타낸 확대 단면도이며, (b)는 유기 전계 발광 소자의 실시형태의 일례를 나타낸 확대 단면도이다.
도 5는 유기 전계 발광 소자의 실시형태의 일례를 나타낸 확대 단면도이다.
도 6은 유기 전계 발광 소자의 실시형태의 일례를 나타낸 확대 단면도이다.
도 7은 유기 전계 발광 소자의 실시형태의 일례를 나타낸 확대 단면도이다.
도 8은 유기 전계 발광 소자의 실시형태의 일례를 나타낸 확대 단면도이다.
도 9는 유기 전계 발광 소자의 실시형태의 일례를 나타낸 확대 단면도이다.
도 10은 유기 전계 발광 소자의 실시형태의 일례를 나타낸 확대 단면도이다.
도 11은 유기 전계 발광 소자의 실시형태의 일례를 나타낸 것으로서, (a)는 확대 단면도, (b)는 일부의 평면도이다.
도 12는 유기 전계 발광 소자의 실시형태의 일례를 나타낸 확대 단면도이다.
도 13은 유기 전계 발광 소자의 실시형태의 일례를 나타낸 확대 단면도이다.
도 14는 유기 전계 발광 소자의 실시형태의 일례를 나타낸 확대 단면도이다.
도 15는 유기 전계 발광 소자의 실시형태의 일례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6은 유기 전계 발광 소자의 실시형태의 일례를 나타낸 확대 단면도이다.
도 17은 유기 전계 발광 소자의 실시형태의 일례를 나타낸 확대 단면도이다.
도 18은 유기 전계 발광 소자의 실시형태의 일례를 나타낸 확대 단면도이다.
도 19는 유기 전계 발광 소자의 실시형태의 일례를 나타낸 확대 단면도이다.
도 20은 유기 전계 발광 소자의 실시형태의 일례를 나타낸 확대 단면도이다.
도 21은 유기 전계 발광 소자의 실시형태의 일례를 나타낸 일부의 사시도이다.
도 22의 (a)는 유기 전계 발광 소자의 제조 공정의 일례를 나타낸 일부의 사시도, (b)는 유기 전계 발광 소자의 실시형태의 일례를 나타낸 일부의 사시도이다.
도 23은 유기 전계 발광 소자의 실시형태의 일례를 나타낸 일부의 사시도이다.
도 24는 유기 전계 발광 소자의 실시형태의 일례를 나타낸 확대 단면도이다.
도 25는 유기 전계 발광 소자의 실시형태의 일례를 나타낸 확대 단면도이다.
도 26은 유기 전계 발광 소자의 실시형태의 일례를 나타낸 확대 단면도이다.
도 27은 유기 전계 발광 소자의 실시형태의 일례를 나타낸 확대 단면도이다.
도 28은 조명 장치의 실시형태의 일례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29의 (a)는 유기 전계 발광 소자의 실시형태의 일례를 나타낸 평면도, (b)는 조명 장치의 실시형태의 일례를 나타낸 확대 평면도이다.
도 30은 유기 전계 발광 소자의 실시형태의 일례를 나타낸 확대 단면도이다.
도 31의 (a) 및 (b)는 유기 전계 발광 소자의 실시형태의 일례를 나타낸 것으로서, (a)는 사시도, (b)는 단면도이며, (c)는 조명 장치의 실시형태의 일례를 나타낸 확대 단면도이다.
도 32의 (a) 및 (b)는 유기 전계 발광 소자의 실시형태의 일례를 나타낸 것으로서, (a)는 사시도, (b)는 단면도이며, (c)는 조명 장치의 실시형태의 일례를 나타낸 확대 단면도이다.
도 33은 유기 전계 발광 소자의 실시형태의 일례를 나타낸 확대 단면도이다.
도 34는 조명 장치의 실시형태의 일례를 나타낸 것으로서, (a)는 확대 단면도, (b)는 확대 평면도이다.
도 35는 유기 전계 발광 소자의 실시형태의 일례를 나타낸 확대 단면도이다.
도 36은 유기 전계 발광 소자의 실시형태의 일례를 나타낸 확대 단면도이다.
도 37은 유기 전계 발광 소자의 실시형태의 일례를 나타낸 확대 단면도이다.
도 38은 유기 전계 발광 소자의 실시형태의 일례를 나타낸 확대 단면도이다.
도 39는 유기 전계 발광 소자의 실시형태의 일례를 나타낸 확대 단면도이다.
도 40은 유기 전계 발광 소자의 실시형태의 일례를 나타낸 확대 단면도이다.
도 41은 유기 전계 발광 소자의 실시형태의 일례를 나타낸 확대 단면도이다.
도 42는 유기 전계 발광 소자의 실시형태의 일례를 나타낸 확대 단면도이다.
도 43은 유기 전계 발광 소자의 실시형태의 일례를 나타낸 확대 단면도이다.
도 44의 (a)는 전극편의 일례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b) 및 (c)는 유기 전계 발광 소자의 실시형태의 일례를 나타낸 것으로서, (b)는 확대 평면도, (c)는 확대 측면도이다.
도 45의 (a)∼(c)는 전극편의 일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6의 (a)는 유기 전계 발광 소자의 실시형태의 일례를 나타낸 확대 평면도이며, (b)는 유기 전계 발광 소자의 실시형태의 일례를 나타낸 확대 측면도이다.
도 47의 (a)는 전극편의 일례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b) 및 (c)는 유기 전계 발광 소자의 실시형태의 일례를 나타낸 것으로서, (b)는 확대 평면도, (c)는 확대 측면도이다.
도 48의 (a)는 전극편의 일례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b) 및 (c)는 유기 전계 발광 소자의 실시형태의 일례를 나타낸 것으로서, (b)는 확대 평면도, (c)는 확대 측면도이다.
도 49는 유기 전계 발광 소자의 실시형태의 일례를 나타낸 것으로서, (a)는 확대 단면도, (b)는 확대 평면도, (c)는 확대 측면도이다.
도 50은 유기 전계 발광 소자의 실시형태의 일례를 나타낸 확대 단면도이다.
도 51은 유기 전계 발광 소자의 실시형태의 일례를 나타낸 확대 단면도이다.
도 52는 유기 전계 발광 소자의 실시형태의 일례를 나타낸 확대 단면도이다.
도 53은 유기 전계 발광 소자의 실시형태의 일례를 나타낸 확대 단면도이다.
도 54는 유기 전계 발광 소자의 실시형태의 일례를 나타낸 확대 단면도이다.
도 55는 유기 전계 발광 소자의 실시형태의 일례를 나타낸 확대 단면도이다.
도 56은 유기 전계 발광 소자의 실시형태의 일례를 나타낸 확대 단면도이다.
도 57은 유기 전계 발광 소자의 실시형태의 일례를 나타낸 확대 단면도이다.
도 58은 종래의 유기 전계 발광 소자의 일례를 나타낸 것으로서, (a)는 평면도, (b)는 분해 평면도, (c)는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는, 유기 전계 발광 소자(유기 EL 소자)의 실시형태의 일례를 나타내고 있다. 도 1의 (a)에서는, 봉지재(2)에 의해 밀봉된 영역인 봉지 영역을 영역 Q로 나타내고, 이 봉지 영역보다 외측의 영역인 봉지 외측 영역을 영역 T으로 나타내고 있다. 또한, 도 1의 (a)에서는 전극편(3)의 은폐된 부분을 파선(破線)으로 나타내고 있다. 도 1의 (b)의 단면도에서는, 소자 구조를 알 수 있기 쉽게, 우측에 제1 전극 인출부(5a) 측의 단부를 나타내고, 좌측에 제2 전극 인출부(5b) 측의 단부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도 2의 (b)에서는, 봉지재(2)의 외측 에지를 2점 쇄선 X로 나타내고 있다.
도 1의 (b) 및 도 2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유기 EL 소자는, 기판(1)의 표면에, 제1 전극(7)과 유기 발광층(8)과 제2 전극(9)을 이 순서로 가지는 유기 발광체(10)가 형성되어 있고, 유기 발광체(10)는, 기판(1)에 접착된 봉지재(2)에 의해 덮혀 봉지되어 있다. 유기 EL 소자에서는, 기판(1)의 단부 표면에, 제1 전극(7) 및 제2 전극(9) 중 적어도 한쪽과 전기적으로 접속된 전극 인출부(5)가, 봉지재(2)보다 외측으로 인출되어 설치되어 있다. 또한, 봉지재(2)의 기판(1)과는 반대측에, 인출 전극(11)이 설치되어 있다. 이 인출 전극(11)은, 전극편(3)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전극편(3)의 연신부, 즉 전극편(3)에서의 소자의 단부측으로 연신되어 봉지재(2)보다도 돌출된 부분이, 전극 인출부(5)에 고정되는 것에 의해, 전극편(3)과 전극 인출부(5)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본 형태에서는, 인출 전극(11)이 기판(1)의 단부 영역이 아니고 봉지재(2)의 기판(1)과는 반대측의 표면측에 형성되어 있으므로, 기판 단부에 있어서 인출 전극(11)을 설치할 스페이스를 형성하지 않아도 된다. 그러므로, 봉지 외측 영역[영역 T]의 폭을 작게 할 수 있으므로, 외주부의 비발광 영역의 비율을 적게 하여 발광 영역의 비율을 높게 할 수 있어, 소자의 발광 면적의 비율을 높게 할 수 있다. 또한, 전극편(3)을 기판(1) 측에 고정하고 있으므로, 전극편(3)과 전극 인출부(5)와의 전기적 통전성을 높게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전극편(3)을 사용하고 있으므로, 간단하게 전극편(3)을 장착하여 인출 전극(11)을 형성할 수 있다. 그 결과, 본 형태의 유기 EL 소자는, 발광 면적의 비율이 높고, 제작이 용이하며 접속 신뢰성이 우수한 것으로 되는 것이다. 이하, 또한 본 형태의 유기 EL 소자에 대하여 설명한다.
기판(1)은, 광투과성을 가지는 투명한 기판(1)인 것이 바람직하고, 유리 기판 등을 사용할 수 있다. 기판(1)을 유리 기판으로 구성한 경우, 유리는 수분의 투과성이 낮으므로, 봉지 영역의 내부에 수분이 침입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기판(1)의 표면에서의 제1 전극(7)과의 계면에는, 광인출층이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광인출층이 형성되는 것에 의해, 광인출성을 높일 수 있다. 광인출층은, 유리보다 굴절율이 높은 수지층이나, 광 산란(散亂) 입자를 포함하는 수지층이나, 고굴절률 유리 등에 의해 형성할 수 있다. 본 형태에서는, 기판(1)은, 직사각형의 것이 사용되고 있다.
유기 발광체(10)는, 제1 전극(7), 유기 발광층(8) 및 제2 전극(9)의 적층체이다. 유기 발광체(10)가 설치되는 영역은, 평면에서 볼 때(기판 표면에 수직인 방향으로부터 본 경우)에 있어서, 기판(1)의 중앙부의 영역이다. 유기 EL 소자에서는, 평면에서 볼 때에서의 유기 발광체(10)가 설치된 영역이 발광 영역으로 된다[도 58의 (b)의 영역 P을 참조].
제1 전극(7) 및 제2 전극(9)은, 서로 쌍으로 되는 전극이며, 한쪽이 양극을 구성하고, 다른 쪽이 음극을 구성한다. 본 형태에서는, 제1 전극(7)에 의해 양극을 구성하고, 제2 전극(9)에 의해 음극을 구성할 수 있지만, 그 역이라도 된다. 제1 전극(7)은, 광투과성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 경우, 제1 전극(7)은 광인출 측의 전극으로 된다. 제1 전극(7)은, 투명한 도전층에 의해 구성할 수 있다. 도전층의 재료로서는, ITO, IZO 등이 예시된다. 또한, 제2 전극(9)은 광반사성을 가지고 있어도 된다. 이 경우, 제2 전극(9) 측을 향해 발해지는 발광층으로부터의 광을, 제2 전극(9)과 반사시켜 기판(1) 측으로부터 인출할 수 있다. 또한, 제2 전극(9)은 광투과성의 전극이라도 된다. 제2 전극(9)이 광투과성의 경우, 봉지재(2) 측의 면으로부터 광을 인출하는 구조로 할 수 있다. 또는, 제2 전극(9)이 광투과성의 경우, 제2 전극(9)에서의 유기 발광층(8)과는 반대측의 면에 광반사성의 층을 형성함으로써, 제2 전극(9)의 방향으로 진행한 광을 반사시켜, 기판(1) 측으로부터 인출할 수 있다. 제2 전극(9)은, 예를 들면, Al이나 Ag 등에 의해 형성할 수 있다. 제1 전극(7) 및 제2 전극(9)의 막 두께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예를 들면, 10∼300 ㎚ 정도로 할 수 있다.
유기 발광층(8)은, 발광이 생기게 하는 기능을 가지는 층이며, 홀 주입층, 홀 수송층, 발광층(발광 재료를 함유하는 층), 전자 수송층, 전자 주입층, 중간층 등으로부터 적절히 선택되는 복수의 기능층에 의해 구성되는 것이다. 유기 발광층(8)의 두께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예를 들면, 60∼300 ㎚ 정도로 할 수 있다.
유기 EL 소자에서는, 제1 전극(7)과 제2 전극(9)에 전압을 인가하고, 유기 발광층(8)(발광 재료 함유층)에 있어서 정공(正孔)과 전자를 결합시켜 발광이 생기게 한다. 그러므로, 제1 전극(7) 및 제2 전극(9)의 각각과 통전하는 전극을 기판 단부에 인출하여 설치할 필요가 있다. 인출된 전극은, 외부 전극과 전기적으로 접속하기 위한 단자인 인출 전극(11)과 통전하게 된다. 본 형태에서는, 기판(1)의 표면에, 제1 전극(7) 및 제2 전극(9)과 통전하는 전극 인출부(5)를 설치하고, 유기 발광층(8)에 전압을 인가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전극 인출부(5)는, 기판(1)의 단부 표면에 형성되어 있다. 전극 인출부(5)는, 제1 전극(7)과 통전하는 제1 전극 인출부(5a)와, 제2 전극(9)과 통전하는 제2 전극 인출부(5b)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본 형태에서는, 전극 인출부(5)는, 제1 전극(7)을 구성하는 도전층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제1 전극 인출부(5a)는, 제1 전극(7)을 구성하는 도전층이 기판(1)의 단부측에 분단되지 않고 인출되어 외측을 향해 연장되는 것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즉, 제1 전극(7)을 구성하는 도전층은, 제1 전극 인출부(5a)가 설치되는 단부에서는 봉지재(2)로부터 돌출되어 기판(1)의 단부에까지 형성되어 있다. 제1 전극(7)과 통전하는 제1 전극 인출부(5a)가 봉지 영역보다 외측에까지 연장되는 것에 의해, 봉지 영역의 외부와 소자 내부를 전기적으로 접속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와 같이, 제1 전극(7)을 연장함으로써 제1 전극 인출부(5a)를 형성하면, 간단하게 제1 전극 인출부(5a)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본 형태에서는, 제2 전극 인출부(5b)는, 제1 전극(7)을 형성하기 위한 도전층의 일부가 제1 전극(7)으로부터 분리되는 동시에, 기판(1)의 단부측으로 인출되어 외측을 향해 연장되는 것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즉, 제2 전극 인출부(5b)를 구성하는 도전층은, 제1 전극(7)으로부터 분리되는 동시에, 봉지재(2)로부터 돌출되어 기판(1)의 단부에까지 형성되어 있다. 제2 전극(9)과 통전하는 제2 전극 인출부(5b)가 봉지 영역보다 외측에까지 연장되는 것에 의해, 봉지 영역의 외부와 소자 내부를 전기적으로 접속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패턴 형성된 도전층에 의해 제2 전극 인출부(5b)를 형성하면, 간단하게 제2 전극 인출부(5b)를 형성할 수 있다. 제2 전극 인출부(5b)는, 소자의 내부에 있어서, 적층된 제2 전극(9)과 접촉되어 있고, 이로써, 제2 전극 인출부(5b)와 제2 전극(9)이 통전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도 1에서는, 전극 인출부(5)가 기판(1)의 외주단 에지보다 약간 작은 범위 내에 형성된 형태를 나타내고 있지만, 전극 인출부(5)는 기판(1)의 끝에지까지 연장되어 있어도 된다. 전극 인출부(5)의 끝에지가 기판(1)의 끝에지의 위치로 되면, 봉지 외측 영역을 작게 하는 것이 또한 가능해지고, 기판 단부의 비발광 영역을 보다 작게 할 수 있다. 또한, 유기 EL 소자는, 복수 개, 면형으로 배열되어 조명 장치를 설치할 수 있지만, 이 때, 전극 인출부(5)를 기판(1)의 끝에지까지 형성한 경우에는, 다른 유기 EL 소자를 필요한 개소에서 통전시켜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것이 용이하게 된다. 또한, 전극 인출부(5)가 기판(1)의 끝에지까지 형성되어 있지 않은 것도 바람직하다. 전극 인출부(5)가 기판(1)의 끝에지까지 형성되어 있지 않으면, 인접하는 유기 EL 소자에 있어서 절연 거리를 확보할 수 있어, 쇼트 불량을 억제할 수 있다.
제1 전극(7), 제1 전극 인출부(5a) 및 제2 전극 인출부(5b)는, 같은 도전(導電) 재료를 사용하여 형성할 수 있다. 이로써, 유기 EL 소자를 간단하게 제조할 수 있다. 제1 전극(7)의 도전층은, 예를 들면, 투명 금속 산화물에 의해 형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면, 이 도전층을 ITO로 구성할 수 있다. 도전층의 두께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0.01∼0.5㎛의 범위로 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예를 들면, 이 도전층의 두께를 0.1∼0.2㎛ 정도로 할 수 있다.
봉지재(2)는, 수분의 투과성이 낮은 기판 재료를 사용하여 형성할 수 있다. 봉지재(2)로서는, 예를 들면, 유리 기판을 사용할 수 있다. 유리 기판을 사용함으로써, 수분이 침입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봉지재(2)로서, 유기 발광체(10)를 수납하는 수납 오목부가 표면에 형성된 봉지 기판을 사용할 수 있다. 이른바 캡형(cap shape)의 봉지 기판이다. 수납 오목부를 형성한 봉지 기판을 사용함으로써, 유기 발광체(10)를 밀봉성이 양호하게 봉지할 수 있다.
봉지재(2)는, 접착 재료에 의해 기판(1)에 접착되어 있다. 접착 재료로서는, 예를 들면, 수지성의 접착 재료를 사용할 수 있다. 수지성의 접착 재료는, 방습성을 가지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건조제를 함유함으로써 방습성을 높일 수 있다. 수지성의 접착 재료는, 열경화성 수지나 자외선 경화 수지 등을 주성분으로 하는 것이라도 된다.
봉지재(2)는, 유기 발광체(10)의 외주를 에워싸는 영역에서 기판(1)에 접착할 수 있다. 이로써, 기판(1)과 봉지 기판을 외주에 걸쳐 접착하고, 유기 발광체(10)를 밀봉성이 양호하게 봉지하여 외부로부터 차단할 수 있다. 유기 발광체(10)의 봉지에 의해, 수납 오목부의 공간에는 봉지 간극(6)이 형성된다. 유기 EL 소자에서는, 이 봉지 간극(6)에 충전제(6b)를 충전하여 충전 밀봉 구조로 해도 되고(후술하는 도 15의 형태를 참조), 봉지 간극(6)을 공동(空洞)된 봉지 공간(6a)으로 하여 중공(中空) 구조로 해도 된다. 도 1의 형태에서는, 봉지 간극(6)은 봉지 공간(6a)으로 되어 있다. 봉지 간극(6)을 봉지 공간(6a)으로 하는 경우에는, 봉지 공간(6a)에 건조제를 설치할 수 있다. 이로써, 봉지 공간(6a)에 수분이 침입했다고 해도, 침입한 수분을 흡수할 수 있다. 또한, 봉지 간극(6)을 충전제(6b)로 충전하는 경우에는, 건조제를 포함한 충전제(6b)를 사용할 수 있다. 이로써, 소자 내부에 수분이 침입했다고 해도, 침입한 수분을 흡수할 수 있다.
그리고, 본 형태의 유기 EL 소자에서는, 인출 전극(11)을 구성하는 전극편(3)이 봉지재(2)의 기판(1)과는 반대측에 설치되고, 전극편(3)의 연신부가 전극 인출부(5)에 고정되어 있다. 전극편(3)은, 도전성을 가지는 금속편에 의해 구성할 수 있다. 금속편을 사용함으로써, 두께가 얇은 편형의 금속 재료로 간단하게 전극 단자를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전극편(3)을 사용한 경우, 봉지재(2)보다 외부의 봉지 외측 영역(영역 T)의 폭을 전극편(3)의 고정에 필요로 하는 정도의 폭으로 할 수 있다. 그러므로, 봉지재(2)보다 외측의 비발광의 영역을 작게 할 수 있어, 유기 EL 소자에서의 발광 영역의 비율을 높일 수 있다. 도 2의 (b)에서는, 전극편(3)이 전극 인출부(5)에 접촉하는 부분(고정 부분)을 굵은 파선 Y로 나타내고 있다. 고정 부분은, 봉지재(2)의 끝에지에 따른 직선형으로 되어 있다.
유기 EL 소자에서는, 전극편(3)의 연신부가 전극 인출부(5)에 가압되어 고정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한 일 형태이다. 전극편(3)을 가압하는 것에 의해, 접촉성이 높아져, 전기적 접속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전극편(3)을 가압하는 것에 의해 고정성을 높일 수 있어, 견고하게 전극편(3)을 고정시킬 수 있다. 전극편(3)을 가압하는 경우, 봉지재(2)보다 외부의 봉지 외측 영역(영역 T)의 폭을 전극편(3)의 가압에 필요로 하는 정도의 폭으로 할 수 있다. 그러므로, 봉지재(2)보다 외측의 비발광의 영역을 작게 할 수 있어, 유기 EL 소자에서의 발광 영역의 비율을 높일 수 있다. 도 2의 (b)에 있어서 굵은 파선 Y로 나타내는 고정 부분은, 가압 부분으로 된다.
전극편(3)의 가압력은, 전극편(3)에 설치된 스프링 구조에 의해 얻는 것이 가능하다. 즉, 전극편(3)의 한쪽의 단부를 고정해 다른 쪽의 단부를 가압하도록 하면, 전극편(3)에는 변형시키려고 하는 힘이 가해지지만, 이 때, 전극편(3)은, 원래의 형상을 유지하거나 원래의 형상으로 돌아오려고 하거나 하려고 한다. 그러면, 전극편(3)에는, 전극편(3)의 단부를 가압하여 그 선단을 전극 인출부(5)에 가압하도록 하는 힘이 작용한다. 이 가압력을 이용하여, 전극편(3)과 전극 인출부(5)를 접속하는 것이다.
인출 전극(11)은, 전극편(3)의 일부로 구성되어 있고, 봉지재(2)와는 반대측의 표면에 형성되어 있다. 그러므로, 인출 전극(11)을 기판 단부에 형성하지 않아도 양호하게 되므로, 기판 단부의 비발광의 영역을 작게 할 수 있다. 또한, 기판(1) 측으로부터 광을 인출하는 경우에는, 인출 전극(11)은 발광면과는 반대측인 소자의 배면에 형성되게 된다. 그러므로, 강도의 있는 금속편에 의해 비교적 큰 면적에서 인출 전극(11)을 형성할 수 있으므로, 와이어 본딩 등의 전기 접속을 행하기 쉽게 되어, 인출 전극(11)을 외부 전원에 용이하게 접속할 수 있다.
전극편(3)에 사용하는 금속편은, 용융한 금속을 형재에 넣어 성형하거나, 금속판이나 금속 시트를 잘라내거나 하여 형성할 수 있다. 금속재를 잘라내는 경우, 간단하게 금속편을 얻을 수 있다. 또한, 절곡된 금속편이나, 절입(cut-in)되어 분기된 금속편을 형성하는 경우에는, 절곡 가공이나 절입 가공을 행해도 된다. 또한, 금속제의 판스프링재에 의해 전극편(3)을 구성해도 된다. 금속편의 재료로서는, 동(銅), 알루미늄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금속편의 재료로서, 동 도금, 니켈 도금, 은 도금, 금 도금 등의 도전성의 금속 도금을, 베이스편의 표면에 행한 금속편을 사용해도 된다. 또한, 금속편으로서, Cu 합금, Fe 합금, Al 합금 등도 사용할 수 있다. 이 때, 베이스편은 금속편이라도 된다. 전극편(3)을 구성하는 금속편의 두께는, 예를 들면, 0.1∼3㎜ 정도로 하는 것이 가능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전극편(3)에 사용하는 금속편으로서는, 금속핀을 사용할 수도 있다. 금속핀은, 이른바 리드핀이라도 된다. 금속핀을 사용한 경우, 간단한 구성으로 전극편(3)을 형성하여 전기 접속을 행할 수 있다. 금속핀은 단면(斷面)이 대략 원형상의 봉형체(棒形體)라도 된다. 단, 통전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봉형보다 판형의 금속편이 바람직하다. 또한, 판스프링성을 얻기 위해서는, 판형의 금속편이 바람직하다.
전극편(3)은, 제1 전극 인출부(5a)에 고정되는 것과, 제2 전극 인출부(5b)에 고정되는 것의 2 종류가 설치되어 있다. 이로써, 제1 전극(7)과 전기적으로 접속된 인출 전극(11)과, 제2 전극(9)과 전기적으로 접속된 인출 전극(11)을 설치할 수 있어, 유기 발광체(10)에 전기를 공급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본 형태에서는, 전극편(3)은, 선단부가 봉지재(2)에 지지 고정되는 지지편(31)과, 선단부를 전극 인출부(5)에 고정시키는 고정편(32)을 가지고 구성되어 있다. 고정편(32)은, 지지편(31)의 한쪽의 단부로부터 대략 수직으로 돌출되어 있고, 전극편(3)은 전체로서 대략 L자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전극편(3)은, 예를 들면, 평판형의 금속편을 절곡하여 형성할 수 있다. 지지편(31)의 봉지재(2)보다도 돌출된 부분은, 전극 인출부(5)에 고정되는 전극편(3)의 연신부를 구성하고 있다. 전극편(3)에 있어서는, 지지편(31)은 봉지재(2)의 표면을 따라 배치되고, 고정편(32)은 봉지재(2)의 측면을 따라 배치되어 있다. 지지편(31)이 기판(1)의 표면과 대략 평행하게 배치하고, 고정편(32)이 기판(1)의 표면과 대략 수직으로 배치되어 있어도 된다. 단, 전극편(3)은 기판(1) 측에 고정되는 것이면 되는 것이며, 지지편(31) 및 고정편(32)이 기판(1)에 대하여 완전히 평행 및 수직의 관계로 되어 있지 않아도 된다. 예를 들면, 가압에 적절한 형상으로 되도록, 전극편(3) 전체로서 약간 불균일하게 만곡되어 있어도 된다. 도 1의 (b)에서는, 전극편(3)을 가압한 경우에서의 전극편(3)의 가압 방향을 흰 화살표로 나타내고 있다.
지지편(31)의 표면은, 외부 전원과 접속하는 접속 단자로서 형성할 수 있는 것이며, 외부 전원과의 전기 접속을 행할 수 있는 인출 전극(11)으로 된다. 이와 같이 지지편(31)과 인출 전극(11)을 구성함으로써, 인출 전극(11)을 더욱 크게 형성할 수 있어, 외부와의 전기 접속성을 높일 수 있다. 물론, 인출 전극(11)은, 유기 EL 소자에 전압을 인가할 수 있는 전극으로서의 기능을 발휘하는 것이면 되고, 외부 배선이 직접 접속되어도 되고, 다른 도전 부재를 인출 전극(11)에 접속하여, 그 도전 부재가 외부 배선에 접속되도록 해도 된다.
봉지재(2)의 측면과 전극편(3)의 고정편(32)과의 사이에는, 간극이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즉, 고정편(32)은 봉지재(2)의 측면에 접촉하고 있지 않아도 된다. 이로써, 고정편(32)이 이동 가능한 스페이스가 형성되므로, 전극편(3)을 위치를 맞추어 고정하기 쉽게 할 수 있다. 또한, 고정편(32)과 봉지재(2)와의 사이에 간극이 형성되어 있으면, 전극편(3)을 가압하는 경우, 전극편(3)이 변형되기 용이해, 스프링성을 높일 수 있다.
전극편(3)은, 지지편(31)의 단부가 전극편 지지체(4)에 의해 접착되어 봉지재(2)의 표면에 접합되어 있다. 전극편 지지체(4)는, 경화 접착성의 수지 재료 등을 사용하여 형성할 수 있다. 또는, 전극편 지지체(4)는, 전극편(3)의 단부를 끼워넣어 고정시키는 것이라도 된다. 또한, 전극편 지지체(4)를 플라스틱재로 구성해도 된다. 전극편 지지체(4)는, 봉지재(2)의 표면에 고착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써, 전극편(3)의 단부를 강하게 지지 고정시킬 수 있다. 전극편 지지체(4)가 설치되는 위치는, 기판(1) 측으로부터 광을 인출하는 것이면, 평면에서 볼 때 발광 영역과 중복되어 있어도 된다.
이와 같이, 본 형태에서는, 전극편(3)은, 봉지재(2)의 기판(1)과는 반대측의 면에서 접합되어 있다. 이로써, 봉지재(2)의 표면 이외의 다른 부위에서 전극편(3)을 고정시키는 경우보다, 전극편(3)을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다. 또한, 전극편(3)을 봉지재(2)의 표면에 접합함으로써, 전극편(3)의 스프링성을 높여 가압력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봉지재(2)의 표면에 인출 전극(11)을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어, 외부와의 전기 접속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본 형태와 같이, 전극편(3)은, 봉지재(2)의 기판(1)과는 반대측의 면에 형성된 전극편 지지체(4)에 의해 지지되어 고정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써, 지지체 등의 고정 부재를 이용하지 않고 전극편(3)을 고정시키는 경우보다, 전극편(3)을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다. 또한, 전극편(3)을 전극편 지지체(4)에 의해 봉지재(2)에 접합함으로써, 전극편(3)의 스프링성을 높여 가압력을 높일 수 있다.
전극편 지지체(4)는 지지편(31)의 단부[고정편(32)과는 반대측의 단부]에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지지편(31)의 단부에 전극편 지지체(4)를 설치함으로써, 단부를 확실하게 지지 고정 가능하므로, 스프링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봉지재(2)의 표면에 인출 전극(11)의 영역을 확보할 수 있어, 외부와의 전기 접속성을 높일 수 있다.
전극편 지지체(4)는 전극편(3)의 단부를 덮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써, 단부를 더욱 확실하게 지지 고정 가능하므로, 스프링성을 높일 수 있어, 가압력을 강하게 할 수 있다.
본 형태에서는, 전극편(3)은, 봉지재(2)의 표면으로부터 측면을 따르는 형상으로 굴곡되어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전극편(3)이 굴곡되어 형성되어 있으면, 전극편(3)이 소자로부터 튀어나오지 않아, 치수 양호하게 전극편(3)을 고정시킬 수 있다. 또한, 전극편(3)을 가압하는 경우에는, 굴곡에 의해 스프링성을 높여 가압력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봉지재(2)의 형상에 따른 형상으로 되면, 전극편(3)이 소자의 외측으로 밀어내는 것을 억제할 수 있으므로, 전극편(3)이 파괴되거나 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본 형태에서는, 전극편(3)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즉, 전극편(3)은 일체로 된 금속편에 의해 구성되어 있고, 복수의 금속편이 접합되어 있는 것은 아니다. 이로써, 전극편(3)을 견고한 것으로 할 수 있어, 고정력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전극편(3)을 가압하는 경우에는, 스프링성을 높여 가압력을 높게 할 수 있다.
전극편(3)은, 각각의 전극 인출부(5)에 접속되어 있고, 인출 전극(11)은, 제1 전극 인출부(5a)를 통하여 제1 전극(7)과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것과, 제2 전극 인출부(5b)를 통하여 제2 전극(9)과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것으로 구분된다. 본 형태에서는, 복수의 전극편(3)이 사용되고 있고, 이로써, 복수의 인출 전극(11)이 형성되어 있다. 복수의 개소에서 전압을 인가함으로써, 통전성을 높일 수 있다. 인출 전극(11)에 리드선 등을 와이어 본딩에 의해 접속함으로써 외부 전원과 접속할 수 있다.
또한, 본 형태와 같이, 전극편(3)은 판스프링 구조를 가지고 있고, 판스프링 구조의 가압에 의해 전극편(3)의 연신부가 전극 인출부(5)에 가압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판스프링 구조란, 판의 일단이 지지 고정되는 동시에 타단이 자유단이 되었을 경우에, 이 자유단이 압압(押壓)되는 것에 의해, 압압에 대향하는 응력이 기능하여, 가압하여 되돌리는 작용이 생겨 스프링성을 발현(發現)하는 구조이다. 판스프링 구조의 가압에 의해, 간단하게 강하게 전극편(3)을 가압하는 것이 가능하다.
유기 EL 소자에서는, 복수의 유기 EL 소자를 면형으로 설치하여 발광 면적의 큰 면형 발광 장치(조명체)를 얻을 수 있다. 본 형태의 유기 EL 소자에서는, 기판 단부의 비발광 영역을 작게 할 수 있으므로, 인접하는 유기 EL 소자의 경계 부분에 형성되는 비발광의 영역을 작게 할 수 있어, 유기 EL 소자의 연결 부분을 눈에 띄지 않게 할 수 있다. 또한, 비발광의 영역이 작아지므로, 발광 비율을 높게 할 수 있어, 발광 강도가 큰 발광 장치를 얻을 수 있다.
도 3은, 유기 EL 소자의 제조 공정의 일례를 나타내고, 전극편(3)을 장착하는 공정의 일례를 나타내고 있다. 본 형태에서는, 전극편(3)의 고정편(32)은, 선단부를 전극 인출부(5)에 접촉시켜 가압하는 가압편(32a)으로 구성되어 있다. 본 형태의 유기 EL 소자는, 전극편(3)을 장착할 때까지는, 적절한 방법에 의해 제작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기판(1)의 표면에 제1 전극(7)과 전극 인출부(5)를 구성하는 도전층을 패턴형으로 형성하고, 다음에, 유기 발광층(8)을 구성하는 각 층을 순차적으로 적층하여 유기 발광층(8)을 형성하고, 이어서, 제2 전극(9)을 형성함으로써, 유기 발광체(10)를 적층 형성할 수 있다. 적층은, 증착(蒸着)이나 도포 등에 의해 행할 수 있다. 제2 전극(9)과 제1 전극(7)은 서로 접촉하지 않는 패턴으로 적층된다. 그리고, 봉지재(2)를 접착 재료에 의해 기판(1)에 접착함으로써, 유기 발광체(10)를 봉지한다. 이로써, 전극편(3)을 장착하기 전의 소자를 얻을 수 있다.
그리고, 도 3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극편(3)을 봉지재(2) 측으로부터 근접시킨다. 이 때, 지지편(31)을 봉지재(2)의 표면에 접합하고, 가압편(32a)[고정편(32)]의 선단을 전극 인출부(5)에 가압한다. 도 3의 (a)의 형태와 같은 L자형의 전극편(3)의 경우, 가압력을 충분히 얻기 위해서는, 고정편(32)의 길이 L은, 봉지재(2)의 높이 H와 같거나 그보다 약간 긴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고정편(32)의 길이 L을 봉지재(2)의 높이 H보다 약간 길게 한다. 이로써, 스프링성을 높여, 고정편(32)의 선단을 강하게 가압할 수 있다.
도 3의 (b)는, 전극편(3)의 가압에 대하여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의 (b)에서는, 전극편(3)의 가압에 의해 생기는 스프링 탄성을 알기 쉽게 하기 위해, 전극편(3)이 극단적으로 변형된 모양을 도시하고 있지만, 실제로는, 전극편(3)의 변형은 미소해도 된다. 도 3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극편(3)에 있어서는, 지지편(31)의 선단부가 봉지재(2)에 고정되면, 이 지지편(31)의 선단부에 고정단(固定端)으로서의 기능이 부여된다. 그러면, 지지편(31)의 고정편(32) 측의 단부는 자유단으로서의 기능이 부여되지만, 이 때, 고정편(32)의 길이 L이 봉지재(2)의 높이 H보다 길면 고정편(32)은 기판(1)으로부터 대략 수직인 방향으로 압압된다. 그리고, 전극편(3)에는 변형시키려고 하는 힘이 가하게 되지만, 지지편(31)의 단부가 고정되어 있으므로, 이 변형을 원래의 형상으로 되돌리려고 기판(1) 측에 푸시백(push back)하는 가압력이 전극편(3)에 부여된다(도면의 흰 화살표). 이로써, 고정편(32)[가압편(32a)]을 전극 인출부(5)에 강하게 가압할 수 있어, 전극편(3)을 가압하여 전기 접속성을 높일 수 있다. 그리고, 도 3의 (b)와 같은 극단적인 변형이 아니라도, 전극편(3)이 강하게 가압된 경우, 전극편(3)은 굴곡 부분을 중심으로 약간 불균일하게 되어 변형되어 있는 것으로 생각되므로, 가압되고 있는지의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고정편(32)은, 가압을 행하는 경우, 길이가 너무 짧으면 충분한 스프링성을 얻을 수 없게 될 우려가 있고, 길이가 길면 전극 인출부(5) 등을 오히려 파괴해 버리거나 전극편(3)이 스프링성을 잃을 정도로 변형되거나 하여 버릴 우려가 있다. 도 3의 (a)의 형태와 같은 전극편(3)의 경우, 고정편(32)의 길이 L은, 봉지재(2)의 높이 H에 대하여 1∼2배인 것이 바람직하고, 1.1∼1.5배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지만, 가압 작용을 얻을 수 있다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지지편(31)의 연신부[봉지재(2)보다 외측으로 돌출된 부분]가 전극 인출부(5) 측으로 구부러져 있는 경우에는, 고정편(32)의 길이 L은 봉지재(2)의 높이 H의 0.5배 이상 1배 이하라도 된다. 이 경우에도, 가압 작용을 얻을 수 있다.
전극편 지지체(4)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전극편(3)을 장착하는 것과 동시에 전극편 지지체(4)를 설치해도 되고, 전극편(3)을 전극편 지지체(4)에 먼저 장착하고, 그 후, 전극편 지지체(4)마다 전극편(3)을 장착하도록 해도 된다. 또한, 전극편(3)을 양면 테이프 등으로 가고정하는 등하여 먼저 장착한 후, 수지재 등을 도포하고 경화시켜 전극편 지지체(4)를 형성해도 된다. 전극편 지지체(4)는 형성하지 않아도 되지만, 이 경우, 양면 테이프로 지지편(31)을 봉지재(2)에 접착하는 등, 지지편(31)을 지지 고정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4는, 유기 EL 소자의 실시형태의 다른 일례이며, 전극편(3)의 부근을 확대하여 도시하고 있다. 도 4의 (b)는, 전극편(3)이 장착된 후의 유기 EL 소자를 나타내고, 도 4의 (a)는, 도 4의 (b)의 유기 EL 소자를 제조하는 공정의 일례를 나타내고 있다. 본 형태에서는, 전극편(3)의 고정 구조가 상이한 것 이외에는, 도 1의 형태와 같은 구성으로 되어 있다. 도 1의 형태와 같은 구성에 대해서는, 같은 부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을 생략한다.
도 4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형태의 유기 EL 소자에서는, 전극편(3)의 연신부가 전극 인출부(5)에 도전성 페이스트(20)에 의해 형성된 도전 고정부(21)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이와 같이, 유기 EL 소자에 있어서는, 전극편(3)이 도전성 페이스트(20)에 의해 고정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한 일 형태이다. 전극편(3)이 도전성 페이스트(20)에 의해 고정되는 것에 의해, 고정성이 높아지는 동시에 전기적 접속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도전성 페이스트(20)가 경화되어 형성되는 도전 고정부(21)에 의해 전극편(3)을 고정시킬 수 있으므로, 견고하게 전극편(3)을 고정시킬 수 있다. 또한, 도전성 페이스트(20)로 고정시키는 경우, 도전성 페이스트(20)를 간단하게 도포 등에 의해 형성할 수 있는 동시에, 경화시켜 고착시킬 수 있어, 용이하게 전극편(3)을 고정하여 접착할 수 있다. 또한, 전극편(3)을 도전성 페이스트(20)에 의해 고정시키는 경우, 봉지재(2)보다 외부의 봉지 외측 영역[영역 T]의 폭을 도전성 페이스트(20)에 의한 전극편(3)의 고정에 필요로 하는 정도의 폭으로 할 수 있다. 그러므로, 봉지재(2)보다 외측의 비발광의 영역을 작게 할 수 있어, 유기 EL 소자에서의 발광 영역의 비율을 높일 수 있다.
도전성 페이스트(20)로서는, 열경화성을 가지는 것을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이 경우, 열경화에 의해 간단하게 도전성 페이스트(20)로부터 도전 고정부(21)를 형성할 수 있다. 도전성 페이스트(20)는, 유동성(流動性)을 가지는 페이스트상의 재료로, 간단하게 도포할 수 있다.
도전성 페이스트(20)에 포함되는 도전 재료로서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금속 입자를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은, 금, 동, 니켈 등의 입자이다. 이 중, 은을 사용한 은페이스트가 바람직하다. 도전성 페이스트(20)에는, 바인더가 포함되어 있어도 된다. 바인더가 포함되는 것에 의해, 도전성 페이스트(20)의 점도나 접착성이 조정될 수 있으므로, 취급성이 높은 도전성 페이스트(20)를 얻을 수 있다. 바인더는 열경화성 수지라도 된다. 열경화성 수지로서는 에폭시 수지, 실리콘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도전성 페이스트(20)는, 도전 재료가 용매 등에 의해 분산되는 것으로 해도 된다. 용매는, 유기 용제 등이라도 된다. 열경화 시에 기화하는 유기 용매를 이용하면, 간단하게 도전성 페이스트(20)를 경화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도전성 페이스트(20)의 열경화 온도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예를 들면, 100℃ 이상 200℃ 이하로 할 수 있다. 열경화 온도가 너무 높으면, 경화시의 열에 의해 소자가 열화될 우려가 있다.
본 형태의 유기 EL 소자를 제작하는 경우, 예를 들면, 도 4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극편(3)을 봉지재(2) 측으로부터 근접시킨다. 이 때, 전극 인출부(5)의 표면, 및 전극편(3)에 설치된 고정편(32)의 선단 중 어느 한쪽 또는 양쪽에, 도전성 페이스트(20)를 도포 등에 의해 형성하여 둔다. 도전성 페이스트(20)는, 디스펜서나 인쇄 등의 도포에 의해 형성할 수 있다. 도 4의 (a)에서는, 전극 인출부(5)의 표면에 도전성 페이스트(20)가 형성된 모양이 나타나 있다. 이와 같이 전극 인출부(5)의 표면에 도전성 페이스트(20)를 형성하는 경우, 간단하게 도전성 페이스트(20)를 도포하여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지지편(31)을 봉지재(2)의 표면에 접합하고, 고정편(32)의 선단을 전극 인출부(5)에 근접시킨다. 지지편(31)과 봉지재(2)와의 접합은 양면 테이프 등에 의해 행할 수 있다. 그리고, 고정편(32)을 도전성 페이스트(20)에 접촉시켜 전극 인출부(5)에 접합한다. 이 때, 고정편(32)의 선단에서 도전성 페이스트(20)를 약간 압쇄하도록 해도 된다. 이로써, 고정편(32)의 선단이 도전성 페이스트(20)의 내부에 매립되므로, 고정성과 전기 접속성을 높일 수 있다.
도 4의 (a)의 형태와 같은 전극편(3)의 경우, 도전성 페이스트(20)에 의해 전기 접속성과 고정성을 얻을 수 있으므로, 고정편(32)의 길이 L은, 봉지재(2)의 높이 H와 같아도 되고, 높이 H보다 약간 길어도 되고, 또는 높이 H보다 짧아도 된다. 단, 고정편(32)의 길이 L이 봉지재(2)의 높이 H보다 너무 짧으면, 고정편(32)을 전극 인출부(5)에 고정시키기 위해 도전성 페이스트(20)의 두께를 크게 하지 않으면 안되므로, 용이하게 고정할 수 없게 되거나 고정성이 저하되거나 할 우려가 있다. 또한, 고정편(32)의 길이 L이 봉지재(2)의 높이 H보다 길면, 고정편(32)의 선단에서 전극 인출부(5)를 강하게 가압하거나 하여 소자가 파손될 우려가 있다. 그러므로, 고정편(32)의 길이 L은 봉지재(2)의 높이 H와 대략 동일 정도가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고정편(32)의 길이 L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봉지재(2)의 높이 H의 0.5∼1.5배 정도로 할 수 있다.
그리고, 전극편(3)과 전극 인출부(5)와의 사이에 도전성 페이스트(20)가 개재(介在)된 상태의 소자를 가열함으로써, 도전성 페이스트(20)가 열경화되어 굳어져, 도전 고정부(21)가 형성된다. 이로써, 도 4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은, 전극편(3)이 도전 고정부(21)에 의해 전극 인출부(5)에 고정된 유기 EL 소자를 얻을 수 있다.
그리고, 도 4의 (a)에서는, 도전성 페이스트(20)를 미리 형성하여 두고 접착하는 형태를 나타냈으나, 도전성 페이스트(20)는, 전극편(3)이 장착된 후에 형성되어도 된다. 예를 들면, 고정편(32)을 봉지재(2)에 고정시킨 후, 전극 인출부(5)와 고정편(32)과의 사이의 간극이나 경계 부분에 도전성 페이스트(20)를 형성하고, 경화시키는 것에 의해서도 도전성 페이스트(20)에 의해 전극편(3)을 전극 인출부(5)에 고정시킬 수 있다. 단, 더욱 강력하게 고정시키기 위해서는, 도 4의 (a)의 형태와 같이, 도전성 페이스트(20)를 미리 형성하여 두고, 도전성 페이스트(20)를 끼워넣어 고정편(32)을 전극 인출부(5)에 고정시키는 편이 유리하다.
그리고, 도 4의 (b)의 형태에 있어서도, 도 1의 형태에 나타낸 바와 같은, 전극편 지지체(4)를 사용할 수 있다. 이 경우, 전극편(3)을 장착하는 것과 동시에 전극편 지지체(4)를 설치해도 되고, 전극편(3)을 전극편 지지체(4)에 먼저 장착하고, 그 후, 전극편 지지체(4)마다 전극편(3)을 장착하도록 해도 된다. 또한, 전극편(3)을 양면 테이프 등으로 가고정하는 등하여 먼저 장착한 후, 수지재 등을 도포하고 경화시켜 전극편 지지체(4)를 형성해도 된다. 전극편 지지체(4)는 형성하지 않아도 되지만, 이 경우, 양면 테이프로 지지편(31)을 봉지재(2)에 접착하는 등, 지지편(31)을 지지 고정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런데, 도 3과 같은 전극편(3)의 연신부가 가압되는 형태에 있어도, 전극편(3)과 전극 인출부(5)와의 경계 부분은, 도전성 페이스트(20)가 형성되어 접착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이 경우, 전극편(3)의 연신부는, 전극편(3)의 가압과, 도전성 페이스트(20)에 의해 형성되는 도전 고정부(21)에 의해, 고정되게 된다. 도전성 페이스트(20)를 형성함으로써, 전극편(3)과 전극 인출부(5)를 견고하게 접착되어 고정시킬 수 있는 동시에, 전기 접속성을 높일 수 있다. 도전성 페이스트(20)는 경화되어 도전체[도전 고정부(21)]를 형성하는 것이라도 된다. 또한, 도전성 페이스트(20)에 의한 도전체에 의해 전극편(3)과 전극 인출부(5)가 접착되고, 또한 이 도전체에 의해 전극편(3)과 전극 인출부(5)와의 경계 부분이 피복되어 있어도 된다. 이로써, 전극편(3)의 고착 강도를 높일 수 있다.
또한, 도 3의 형태에 있어서 도전성 페이스트(20)를 사용하는 경우, 전극편(3)의 가압시에는, 전극 인출부(5)의 표면, 및 고정편(32)의 선단의 한쪽 또는 양쪽에, 도전성 페이스트(20)를 미리 형성하여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써, 도전성 페이스트(20)를 가압하면서 전극편(3)을 전극 인출부(5)에 가압할 수 있다. 또한, 전극편(3)과 전극 인출부(5)와의 경계 부분이 도전성 페이스트(20)에 의해 피복되어 있으므로, 장착 강도를 높일 수 있다. 또한, 도전성 페이스트(20)를 사용하면, 전극편(3)과 전극 인출부(5)와의 사이에 간극이 있었다고 해도 이 간극을 도전성 페이스트(20)로 매립할 수 있으므로, 전기 접속성을 높일 수 있다. 도전성 페이스트(20)는 접착 후에 경화되어 도전 고정부(21)를 구성하는 도전체로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 3의 형태에 있어서 도전성 페이스트(20)를 사용한 형태는, 말하자면, 도 4의 형태에 있어서 전극편(3)의 연신부를 전극 인출부(5)에 가압한 형태로 된다. 따라서, 도 4의 형태에 있어서, 전극편(3)의 고정편(32)을 전극 인출부(5)에 가압하는 방법은, 도 3의 형태에서 설명한 방법과 동일한 방법으로 할 수 있다. 도 4의 형태에 있어서, 전극편(3)을 가압하는 경우에는, 가압 후에, 전극편(3)의 연신부의 선단[고정편(32)의 선단]과 전극 인출부(5)가 직접 접촉하고 있어도 되거나, 또는 직접 접촉되지 않고 그 사이에 도전 고정부(21)[도전성 페이스트(20)]가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도 5는, 유기 EL 소자의 실시형태의 다른 일례이며, 전극편(3)의 부근을 확대하여 도시하고 있다. 본 형태에서는, 도전성 페이스트(20)에 의해 형성되는 도전 고정부(21)의 구조가 상이한 것 이외에는, 도 4의 형태와 같은 구성으로 되어 있다.
도 5의 형태에서는, 도전성 페이스트(20)에 의해 형성되는 도전 고정부(21)는, 전극편(3)에서의 연신부[고정편(32)]의 봉지재(2) 측의 면에 접하여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고정편(32)의 봉지재(2) 측의 면에 도전 고정부(21)가 형성되면, 보다 큰 도전 고정부(21)에 의해 전극편(3)의 연신부를 고정시킬 수 있어, 고정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도전 고정부(21)가 커지는 것에 의해 통전성이 높아지기 때문에, 전기 접속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5에서는, 고정편(32)의 봉지재(2) 측의 표면 전체에 도전 고정부(21)가 형성된 모양이 나타나 있지만, 도전 고정부(21)는 고정편(32)의 봉지재(2) 측의 표면의 일부에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요컨대, 도전 고정부(21)가, 고정편(32)의 선단 부분에서의 봉지재(2) 측의 표면에 형성되고, 고정편(32)과 전극 인출부(5)와의 경계 부분을 포함하여 형성되어 있으면 고정성을 높일 수 있다. 물론, 고정성 및 전기 접속성을 더욱 높이기 위해서는, 도전 고정부(21)는 큰 쪽이 바람직하고, 고정편(32)의 봉지재(2) 측의 표면 전체에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5의 형태는, 예를 들면, 도 4의 (a)에 나타낸 공정에서, 전극편(3)의 연신부를 접촉시킬 때, 도전성 페이스트(20)가 유동하여 고정편(32)의 표면을 기어오르도록 하여, 고정편(32)을 도전성 페이스트(20)에 밀어넣음으로써 형성할 수 있다. 이로써, 도전성 페이스트(20)를 고정편(32)의 봉지재(2) 측의 표면에 형성할 수 있어, 도전 고정부(21)를 고정편(32)의 소자 내면에 형성할 수 있다. 또는, 도전성 페이스트(20)를 고정편(32)의 봉지재(2) 측의 표면에 형성하여 두는 동시에, 전극 인출부(5)의 표면에 도전성 페이스트(20)를 형성하고, 고정편(32)을 전극 인출부(5)에 근접시켜 전극편(3)을 장착하고, 양쪽의 도전성 페이스트(20)를 접촉시키도록 해도 된다. 이로써, 경화시켰을 때는 양쪽의 도전성 페이스트(20)가 일체로 하여 접속되므로, 고정성과 전기 접속성을 높일 수 있다. 도전성 페이스트(20)는, 도포에 의해 형성할 수 있다.
도 6은, 유기 EL 소자의 실시형태의 다른 일례이며, 전극편(3)의 부근을 확대하여 도시하고 있다. 본 형태에서는, 도전성 페이스트(20)에 의해 형성되는 도전 고정부(21)의 구조가 상이한 것 이외에는, 도 4의 형태와 같은 구성으로 되어 있다.
도 6의 형태에서는, 도전성 페이스트(20)에 의해 형성되는 도전 고정부(21)는, 봉지재(2)의 측면에 접하여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도전 고정부(21)가 봉지재(2)의 측면에 접하여 형성되면, 보다 큰 도전 고정부(21)에 의해 전극편(3)의 연신부를 고정시킬 수 있어, 고정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본 형태에서는, 도전 고정부(21)는, 고정편(32)의 봉지재(2) 측의 면에 형성되는 동시에, 봉지재(2)의 측면에 접하여 형성되어 있다. 즉, 도전 고정부(21)는, 봉지재(2)와 고정편(32)과의 사이의 간극을 메우도록, 그 간극에 도전성 페이스트(20)가 충전되어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도전 고정부(21)가 봉지재(2)와 전극편(3)과의 사이를 메우도록 형성되면, 전극편(3)을 봉지재(2)에 강력하게 고정시킬 수 있으므로, 전극편(3)의 고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6에서는, 고정편(32)과 봉지재(2)와의 간극 전체에 도전 고정부(21)가 형성된 모양이 나타나 있지만, 도전 고정부(21)는 고정편(32)과 봉지재(2)와의 간극의 일부에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요컨대, 도전 고정부(21)가, 고정편(32)과 봉지재(2)와의 사이에서 걸쳐 형성되어 있으면 고정성을 높일 수 있다. 물론, 고정성 및 전기 접속성을 더욱 높이기 위해서는, 도전 고정부(21)는 큰 쪽이 바람직하고, 고정편(32)과 봉지재(2)와의 간극 전체에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6의 형태는, 예를 들면, 도 5의 형태를 제작한 후, 도전성 페이스트(20)를 고정편(32)과 봉지재(2)와의 간극에 주입하고, 고정편(32)과 봉지재(2)와의 간극을 메우도록 도전성 페이스트(20)를 충전함으로써 형성할 수 있다. 물론, 미리 고정편(32)의 봉지재(2) 측의 표면에 봉지재(2)와 접촉할 수 있는 양의 도전성 페이스트(20)를 형성하거나, 또는 봉지재(2)의 측면에 고정편(32)과 접촉할 수 있는 양의 도전성 페이스트(20)를 형성하거나 하고, 그 상태에서, 고정편(32)을 고정시켜 간극을 메워도 된다. 복수의 개소(箇所)에 도전성 페이스트(20)를 형성한 경우, 도전성 페이스트(20)를 접촉시키도록 하면, 경화시켰을 때는 복수의 도전성 페이스트(20)가 일체로 되어 접속되므로, 고정성과 전기 접속성을 높일 수 있다. 도전성 페이스트(20)는, 도포에 의해 형성할 수 있다.
도 7은, 유기 EL 소자의 실시형태의 다른 일례이며, 전극편(3)의 부근을 확대하여 도시하고 있다. 본 형태에서는, 도전 접착부(22)가 형성되어 있는 이외에는, 도 4의 (b)의 형태와 같은 구성으로 되어 있다.
도 7의 형태에서는, 전극편(3)은, 도전성 페이스트(20)에 의해 형성된 도전 접착부(22)에 의해 봉지재(2)에 고정되어 있다. 도전 접착부(22)는, 전극편(3)과 봉지재(2)를 접착하고 있다. 이와 같이, 유기 EL 소자에 있어서는, 전극편(3)이 도전성 페이스트(20)에 의해 봉지재(2)에 접착되어 고정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한 일 형태이다. 전극편(3)이 도전성 페이스트(20)에 의해 봉지재(2)에 고정되는 것에 의해, 전극편(3)의 봉지재(2) 측에서의 고정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전극편(3)에 있어서는, 연신부인 고정편(32)의 선단과 기부(基部)인 지지편(31)과의 양쪽이, 도전성 페이스트(20)로 고정되므로, 효율적으로 전극편(3)을 접착시켜 고정할 수 있다. 도전 접착부(22)에 사용하는 도전성 페이스트(20)와 도전 고정부(21)에 사용하는 도전성 페이스트(20)는, 상이한 것이라도 되지만, 같은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써, 같은 재료의 도전성 페이스트(20)를 사용하여 전극편(3)의 양 단부를 고정시킬 수 있으므로, 전극편(3)을 용이하게 접착하고 고정시킬 수 있다.
도 7의 형태는, 예를 들면, 도 4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극편(3)을 기판(1)에 근접할 때, 봉지재(2)의 표면에 도전성 페이스트(20)를 형성하여 두는 것에 의해 형성할 수 있다. 또는, 전극편(3)에서의 지지편(31)의 봉지재(2) 측의 표면에 도전성 페이스트(20)를 형성하여 두어도 된다. 그리고, 고정편(32)과 기판(1)과의 사이, 및 지지편(31)과 봉지재(2)와의 사이의 양쪽에 도전성 페이스트(20)가 형성된 상태에서, 도전성 페이스트(20)를 열경화시킴으로써, 전극편(3)을 고정시킬 수 있다. 경화에 의해, 고정편(32)의 선단에 접하여 설치된 도전성 페이스트(20)로부터는 도전 고정부(21)가 형성되고, 지지편(31)과 봉지재(2)와의 사이에 협지된 도전성 페이스트(20)로부터는 도전 접착부(22)가 형성된다.
도 8은, 유기 EL 소자의 실시형태의 다른 일례이며, 전극편(3)의 부근을 확대하여 도시하고 있다. 본 형태에서는, 도전성 페이스트(20)에 의해 형성되는 도전 고정부(21) 및 도전 접착부(22)의 구조가 상이한 것 이외에는, 도 7의 형태와 같은 구성으로 되어 있다.
도 8의 형태에서는, 도 7의 형태와 마찬가지로, 전극편(3)은, 도전성 페이스트(20)에 의해 형성된 도전 접착부(22)에 의해 봉지재(2)에 접착되어 도 6의 형태와 마찬가지로, 도전 고정부(21)는, 고정편(32)의 내면에도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도전 고정부(21)와 도전 접착부(22)가 연결되어 있다. 즉, 전극편(3)은, 그 내면측이, 전극 인출부(5), 봉지재(2)의 측면 및 봉지재(2)의 표면에 걸쳐서 연결되어 일체화된 도전성 페이스트(20)에 의해 고착되어 있다. 이와 같이, 도전 고정부(21)와 도전 접착부(22)가 연결되면, 연결한 도전 부재에 의해 접착할 수 있으므로, 고정성을 더욱 높이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본 형태에서는, 도전 고정부(21)는, 고정편(32)의 봉지재(2) 측의 면에 형성되는 동시에, 봉지재(2)의 측면에 접하여 형성되어 있다. 즉, 도전 고정부(21)는, 봉지재(2)와 고정편(32)과의 사이의 간극을 메우도록, 그 간극에 도전성 페이스트(20)가 충전되어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도전 고정부(21)가 봉지재(2)와 고정편(32)과의 사이를 메우도록 형성되면, 전극편(3)을 봉지재(2)에 강력하게 고정시킬 수 있으므로, 전극편(3)의 고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8의 형태는, 예를 들면, 도 4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극편(3)을 기판(1)에 근접시킬 때, 봉지재(2)의 표면 및 측면에 도전성 페이스트(20)를 형성하여 두는 것에 의해 형성할 수 있다. 또는, 전극편(3)의 봉지재(2) 측의 표면 전체[지지편(31) 및 고정편(32)의 내면 전체]에 도전성 페이스트(20)를 형성하여 두어도 된다. 그리고, 고정편(32)과 기판(1)과의 사이, 고정편(32)의 내면과 봉지재(2)의 측면과의 사이, 및 지지편(31)과 봉지재(2)의 표면과의 사이에, 도전성 페이스트(20)가 형성된 상태에서, 도전성 페이스트(20)를 열경화시킴으로써, 전극편(3)을 고정시킬 수 있다. 경화에 의해, 도전성 페이스트(20) 중, 고정편(32)의 선단측에 있어서 전극 인출부(5)에 접하여 설치된 부분으로부터는 도전 고정부(21)가 형성되고, 지지편(31)과 봉지재(2)와의 사이에 협지된 부분으로부터는 도전 접착부(22)가 형성되고, 이들은 연결되어 일체화된다.
그런데, 도 4∼도 8의 형태에서는, 도전성 페이스트(20)[도전 고정부(21) 및 도전 접착부(22)]가, 전극편(3)의 일부 또는 전부를 피복하고 있어도 된다. 도전성 페이스트(20)로 피복함으로써 고정성을 높일 수 있다. 예를 들면, 봉지재(2)의 측부에 있어서 전극편(3)[고정편(32)]을 도전 고정부(21)로 피복하면 전극편(3)을 강하게 고정시킬 수 있다.
도 9는, 유기 EL 소자의 실시형태의 다른 일례이며, 전극편(3)의 부근을 확대하여 도시하고 있다. 본 형태에서는, 전극편(3)의 봉지재(2) 측의 고정 구조가 상이한 것 이외에는, 도 7의 형태와 대략 동일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도 9의 형태에서는, 도 7의 형태와 마찬가지로, 전극편(3)은, 봉지재(2)에 도전성 페이스트(20)에 의해 형성된 도전 접착부(22)에 의해 접착되어 기판(1) 측에 도전성 페이스트(20)에 의해 형성된 도전 고정부(21)에 의해 접착되어 있다.
그리고, 본 형태에서는, 봉지재(2)의 표면에 인출 전극 확장부(23)가 설치되고, 전극편(3)은, 도전 접착부(22)에 의해 인출 전극 확장부(23)에 접착되어 있다. 이와 같이, 인출 전극 확장부(23)를 봉지재(2)의 표면에 형성함으로써, 전극편(3)과 전기적으로 접속된 인출 전극 확장부(23)에 외부 전원을 연결하여 접속할 수 있다. 그러므로, 보다 넓은 범위에서 외부 전원과 접속할 수 있는 동시에, 전기 배선의 접속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인출 전극 확장부(23)를 설치한 경우, 전극편(3)의 봉지재(2)의 표면측의 길이를 짧게 할 수 있으므로, 전극편(3)의 사용량을 내릴 수 있어, 효율적으로 전기 접속을 행할 수 있다. 또한, 전극 재료로 구성되는 인출 전극 확장부(23)와 전극편(3)을 도전성 페이스트(20)로 접착한 경우, 접착성을 높일 수 있어, 전극편(3)을 더욱 강력하게 고정시킬 수 있다.
인출 전극 확장부(23)는, 도전성의 재료를 봉지재(2)에 적층한 층으로서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동, 은, 금, 알루미늄 등, 전극으로서 사용 가능한, 적절한 금속 재료로 구성해도 된다. 인출 전극 확장부(23)의 형성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봉지재(2)의 표면에, 도전 재료를 스퍼터, 도금, 인쇄, 증착 등의 성막법으로 성막함으로써 형성할 수 있다. 인출 전극 확장부(23)는, 봉지를 행하기 전에 형성해도 되고, 봉지를 행한 후에 형성해도 된다. 유기 EL 소자를 파손하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는, 봉지를 행하기 전의, 기판(1)에 접착되어 있지 않은 상태의 봉지재(2)에 인출 전극 확장부(23)를 형성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전극편(3)의 접착 및 고정은, 도 7의 형태와 마찬가지의 방법으로 행할 수 있다. 도 9의 형태에서는, 도전 고정부(21)와 도전 접착부(22)가 별개로 형성된 형태가 나타나 있지만, 물론, 본 형태에 있어서도, 도 8의 형태와 마찬가지로, 도전 고정부(21)와 도전 접착부(22)는 연결되어 있어도 된다. 이 경우, 고정성을 더욱 높이는 것이 가능하다. 그리고, 인출 전극 확장부(23)는, 도전성의 금속 테이프를 접착하거나 함으로써 형성해도 된다. 이 경우, 간단하게 인출 전극 확장부(23)를 설치할 수 있다.
도 10은, 유기 EL 소자의 실시형태의 다른 일례이며, 전극편(3)의 부근을 확대하여 도시하고 있다. 본 형태에서는, 봉지재(2)에 배선판(24)이 설치되어 있는 것 이외에는, 도 9의 형태와 대략 동일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도 10의 형태에서는, 도 9의 형태와 마찬가지로, 전극편(3)은, 봉지재(2)에 도전성 페이스트(20)에 의해 형성된 도전 접착부(22)에 의해 봉지재(2)에 고정되어 있다. 도전 접착부(22)는, 전극편(3)과 인출 전극 확장부(23)를 접착하고 있다.
그리고, 본 형태에서는, 유기 EL 소자는, 봉지재(2)의 표면에 배선판(24)을 구비하고 있다. 인출 전극 확장부(23)는 배선판(24)의 표면에 형성되어 있다. 전극편(3)은, 도전 접속부(29)에 의해 인출 전극 확장부(23)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도전 접속부(29)는 도전 접착부(22)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그러므로, 전극편(3)은, 도전 접착부(22)에 의해 인출 전극 확장부(23)에 접착되어 있다. 전극편(3)의 지지편(31)이, 인출 전극 확장부(23)에 접착되어 있다. 이와 같이, 배선판(24)에 인출 전극 확장부(23)를 설치하는 동시에 이 배선판(24)을 봉지재(2)에 접착하고, 또한 전극편(3)을, 배선판(24)에 설치된 인출 전극 확장부(23)에 접속하도록 하고 있다. 이로써, 배선판(24)을 접착하는 것만으로 봉지재(2)의 표면에 인출 전극 확장부(23)를 설치할 수 있으므로, 간단하고 안전하게 인출 전극 확장부(23)를 설치할 수 있다. 또한, 인출 전극 확장부(23)는 배선판(24)에 설치되므로, 적절한 패턴으로 인출 전극 확장부(23)를 설치하거나, 배선판(24)에 회로 패턴을 형성하거나 할 수 있어, 전기 접속성을 향상시키거나, 회로 패턴의 자유도를 향상시키거나 할 수 있다.
배선판(24)으로서는, 절연층의 표면에 도전 재료층이 형성된 타입의 적절한 배선판(24)을 사용할 수 있다. 배선판(24)은, 절연 재료가 경화되어 절연층이 형성된 판형의 것으로 해도 된다. 또한, 배선판(24)으로서, 플렉시블 배선판을 사용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플렉시블한 경우, 시트형(sheet type)의 것이나, 만곡 가능한 것이나, 롤형으로 감겨올라가는 것이 가능한 것 등을 사용함으로써, 취급성을 높일 수 있어, 배선판(24)의 접착을 더욱 간단하게 행할 수 있다. 배선판(24)에 형성되는 인출 전극 확장부(23)는, 목적으로 하는 인출 전극 확장부(23)의 패턴으로 적층 형성된 것이라도 되고, 표면의 도전층이 에칭 등에 의해 패턴 가공되어 형성된 것이라도 된다.
배선판(24)은, 봉지재(2)의 표면에 양면 테이프나 접착제에 의해 접착할 수 있다. 전극편(3)의 접착 및 고정은, 도 7 및 도 9의 형태와 마찬가지의 방법으로 행할 수 있다. 도 10의 형태에서는, 도전 고정부(21)와 도전 접착부(22)가 별개로 형성된 형태가 나타나 있지만, 물론, 본 형태에 있어서도, 도 8의 형태와 마찬가지로, 도전 고정부(21)와 도전 접착부(22)는 연결되어 있어도 된다. 이 경우, 고정성을 더욱 높이는 것이 가능하다.
배선판(24)의 본체 재료(절연층)로서는, FR4 등의 프린트 기판, 폴리이미드 등의 플렉시블 기판, 세라믹 기판, 실리콘 기판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배선판(24)에 설치하는 전극 재료로서는, 표층으로부터 Au/Ni/Cu로 된 적층 구조 등을 사용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1은, 유기 EL 소자의 실시형태의 다른 일례이며, 전극편(3)의 부근을 확대하여 도시하고 있다. 도 11의 (a)는 단면도이다. 도 11의 (b)는 평면도이지만, 배선판(24)보다 외측은 기재를 생략하고 있다. 본 형태에서는, 봉지재(2)에 배선판(24)이 설치되어 있는 점에서, 도 10의 형태와 같지만, 전극편(3)과 인출 전극 확장부(23)와의 접속 구조가, 도 10의 형태와는 다르다.
도 11의 형태에서는, 도 10의 형태와 마찬가지로, 인출 전극 확장부(23)를 가지는 배선판(24)이, 봉지재(2)의 표면에 형성되어 있다. 이 배선판(24)은 봉지재(2)보다 외부로 돌출되어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전극편(3)은 굴곡되어 있지 않고, 직선형(평탄한 판형 또는 핀형)으로 되어 있다. 전극편(3)은, 인출 전극 확장부(23)가 설치된 위치에 있어서 배선판(24)을 관통하여 관통하고 있고, 이 전극편(3)의 배선판(24)으로부터 관통한 부분이, 도전성 페이스트(20)로 형성된 도전 접착부(22)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도 11의 형태에서는, 굴곡되어 있지 않은 전극편(3), 예를 들면, 금속판, 금속핀 등을 사용하여 전극의 인출을 행할 수 있다. 그러므로, 전극편(3)의 구성을 간단하게 하여 전기 접속할 수 있다. 또한, 인출 전극 확장부(23)를 배선판(24)을 접착하는 것만으로 봉지재(2)의 표면에 형성할 수 있으므로, 간단하고 안전하게 인출 전극 확장부(23)를 설치할 수 있다. 또한, 인출 전극 확장부(23)는 배선판(24)에 설치되므로, 적절한 패턴으로 인출 전극 확장부(23)를 설치하거나, 배선판(24)에 회로 패턴을 형성하거나 할 수 있어, 전기 접속성을 향상시키거나, 회로 패턴의 자유도를 향상시키거나 할 수 있다.
배선판(24)으로서는, 도 10의 형태에서 설명한 것과 동일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도 11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단책형(短冊形)으로 된 배선판(24)을 사용해도 된다. 배선판(24)은 인출 전극 확장부(23)가 설치된 위치에 있어서 관통공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써, 전극편(3)을 관통공에 삽입하여 장착할 수 있다. 또한, 전극편(3)의 선단을 날카롭게 할 수 있어, 전극편(3)의 선단에서 배선판(24)에 구멍을 뚫도록 해도 된다. 이 경우, 간단하게 배선판(24)에 전극편(3)을 관통시킬 수 있다. 인출 전극 확장부(23)는, 선형으로 설치되는 경우, 전극편(3)이 설치되는 부분에서 큰 폭으로 되어 있는 것이라도 된다.
배선판(24)은, 봉지재(2)의 표면에 양면 테이프나 접착제에 의해 접착할 수 있다. 전극편(3)의 접착 및 고정은, 도 10의 형태 방법에 준한 방법으로 행해도 된다. 즉, 배선판(24)을 봉지재(2)에 접착한 후, 전극편(3)을 배선판(24)의 외측으로부터 근접시켜 관통공에 삽입하고, 배선판(24)을 관통한 전극편(3)의 선단을 전극 인출부(5) 및 도전성 페이스트(20)에 접촉시킴으로써 행할 수 있다. 또는, 선단이 뾰족한 전극편(3)을 사용하고, 전극편(3)의 선단에서 관통공을 형성하고, 배선판(24)을 관통한 전극편(3)을 전극 인출부(5) 상의 도전성 페이스트(20)에 접촉시켜도 된다. 그 후, 전극편(3)의 배선판(24)으로부터 튀어 나온 부분에 도전성 페이스트(20)를 형성하고, 열경화에 의해 도전성 페이스트(20)를 경화시킴으로써, 전극편(3)을 고착시킬 수 있다. 또한, 배선판(24)을 접착하기 전에, 먼저, 전극편(3)을 전극 인출부(5)에 도전성 페이스트(20)에 의해 접착하고 있어도 된다. 이 경우, 전극편(3)을 관통시키면서 배선판(24)을 봉지재(2)에 접착하고, 그 후, 전극편(3)의 배선판(24)으로부터 튀어 나온 부분을 도전성 페이스트(20)로 접착 고정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2는, 유기 EL 소자의 실시형태의 다른 일례이며, 전극편(3)의 부근을 확대하여 도시하고 있다. 본 형태에서는, 절연 벽부(25)가 설치되어 있는 것 이외에는, 도 9의 형태와 대략 동일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본 형태에서는, 기판(1)에서의 전극 인출부(5)의 외측에, 절연성을 가지는 절연 벽부(25)가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절연 벽부(25)를 설치함으로써, 유기 EL 소자가 외주부에 있어서 절연 거리를 확보할 수 있어, 절연 불량을 저하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복수의 유기 EL 소자를 선형으로 또는 면형으로 배열했을 때는, 인접하는 소자끼리에 있어서 전극이 접촉하면 쇼트될 우려가 있지만, 절연 벽부(25)와 절연 거리를 확보함으로써, 쇼트 불량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도전성 페이스트(20)를 사용하는 경우, 도전성 페이스트(20)는 유동성을 가지므로, 외부를 향해 흘러나올 가능성이 있지만, 절연 벽부(25)에 의해 도전성 페이스트(20)의 흐름을 막을 수가 있으므로, 쇼트 불량을 더욱 유효하게 억제할 수 있다. 특히, 도전성 페이스트(20)를 압궤(押潰)하여 고정편(32)을 접촉시키는 경우에는, 고정편(32)을 강하게 눌렀을 때 도전성 페이스트(20)가 옆으로 유출되기 쉽지만, 절연 벽부(25)에 의해 도전성 페이스트(20)가 넓어지는 것을 막을 수가 있다. 절연 벽부(25)와 도전 고정부(21)는 접하고 있지 않아도 되고, 접하고 있어도 된다. 도전성 페이스트(20)의 유출이 막아져, 그 상태에서 경화한 경우에는, 절연 벽부(25)와 도전 고정부(21)는 접하게 된다.
절연 벽부(25)는, 전극 인출부(5)의 두께보다 두께(벽의 높이)가 두꺼운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써, 도전성 페이스트(20)가 유출되는 것을 막을 수가 있다. 절연 벽부(25)는, 기판(1)의 외주부에 걸쳐 설치되는 것으로 해도 된다. 이로써, 도전성 페이스트(20)가 흐르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그리고, 인접하는 소자를 통전시키는 경우에는, 그 부분에서, 절연 벽부(25)의 일부 또는 전부가 설치되어 있지 않아도 된다. 예를 들면, 통전 부분에 있어서 절연 벽부(25)가 분단되어 있어도 된다. 이 경우, 전극 인출부(5)나 도전 고정부(21)가 기판(1)의 끝에지에까지 연신되어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절연 벽부(25)는 전극 인출부(5)와 접하고 있어도 되고, 접하고 있지 않아도 된다. 절연 벽부(25)와 전극 인출부(5)가 간극없이 접촉되고 있는 경우, 비발광 영역의 비율을 더욱 작게 할 수 있다. 한편, 절연 벽부(25)와 전극 인출부(5)가 접촉하고 있지 않고, 간극이 형성되어 있는 경우, 유출된 도전성 페이스트(20)를 간극 흐르게 하여 모을 수가 있으므로, 단부에서의 도전성 페이스트(20)의 유출을 더욱 억제할 수 있어, 절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절연 벽부(25)는 내부측에서 전극 인출부(5)의 표면과 중첩되어 있어도 된다. 이로써, 절연 벽부(25)의 두께가 커져서 도전성 페이스트(20)가 유출되는 것을 더욱 억제할 수 있다.
절연 벽부(25)는, 적절한 절연 재료로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절연 벽부(25)는, 수지 등에 의해 구성할 수 있다. 이 경우, 기판(1)의 표면에 절연 수지를, 디스펜서 등에 의해서 도포하여 경화시킴으로써, 절연 벽부(25)를 형성할 수 있다. 또는, 선형의 수지체를 기판(1)의 외주단부에 접착하여, 절연 벽부(25)를 형성하도록 해도 된다. 절연 벽부(25)가 설치된 상태에서, 도전성 페이스트(20)를 도포하면 도전성 페이스트(20)는 절연 벽부(25)에 닿아서 막히므로, 외부측으로 유출되지 않았다. 그리고, 도전성 페이스트(20)를 경화시킴으로써, 도전 고정부(21)와 절연 벽부(25)가 접촉된 상태로 경화가 완료된다.
또한, 절연 벽부(25)의 경화와 도전성 페이스트(20)의 경화를 동시에 행하도록 해도 된다. 예를 들면, 형상의 유지성을 가지는 점도가 높은 수지 재료로 절연 벽부(25)를 형성하고, 이 미경화의 절연 벽부(25)로 도전성 페이스트(20)를 막고, 그 후, 가열하여 절연 벽부(25)와 도전성 페이스트(20)를 동시에 경화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이 경우, 열경화를 동시에 행할 수 있으므로, 효율적으로 전극편(3)의 장착을 행할 수 있다. 이 때, 도전성 페이스트(20)와 미경화의 절연 벽부(25)가 섞이지 않도록 재료를 설정하도록 한다. 단, 더욱 확실하게 도전성 페이스트(20)의 유출을 억제하기 위해서는, 절연 벽부(25)를 경화시킨 후에, 도전성 페이스트(20)를 도포하는 쪽이 바람직하다.
절연 벽부(25)의 형성은, 봉지를 행한 후에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써, 소자를 손상시키지 않고 간단하게 절연 벽부(25)를 설치할 수 있다. 물론, 절연 벽부(25)는, 봉지가 끝나기 전의 적절한 단계에서 형성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제1 전극(7) 및 전극 인출부(5)가 설치되기 전의 기판(1)의 표면에 형성하거나, 전극 인출부(5)가 설치되어 유기 발광층(8)이 적층되기 전의 기판(1)의 표면에 형성하거나 해도 된다.
도 12의 형태에서는, 도 9의 형태에 절연 벽부(25)가 설치된 것을 도시하고 있지만, 절연 벽부(25)는 도전성 페이스트(20)를 사용하는 다른 형태(도 4∼도 11 참조)에도 설치할 수 있다. 이 경우도, 절연 벽부(25)를 설치함으로써, 절연 거리를 확보할 수 있어, 통전 신뢰성이 높은 소자를 얻을 수 있다.
도 13은, 유기 EL 소자의 실시형태의 다른 일례이며, 전극편(3)의 부근을 확대하여 도시하고 있다. 본 형태에서는, 도 12의 형태와 마찬가지로, 절연 벽부(25)가 설치되어 있다. 기판(1) 단부의 형상이 상이한 것 이외에는, 도 12의 형태와 대략 동일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도 12의 형태와 같은 구성에 대해서는 같은 부호를 부여하고, 설명을 생략한다.
본 형태에서는, 기판(1)에서의 전극 인출부(5)의 외측에, 절연성을 가지는 절연 벽부(25)가 설치되어 있다. 그러므로, 도 12의 형태와 마찬가지의 작용 효과를 가진다.
또한, 본 형태에서는, 기판(1)의 표면과 측면과의 경계부에, 전극 인출부(5)보다 외측의 위치에 있어서, 스텝부(1a)가 형성되어 있다. 스텝부(1a)는, 기판(1)의 표면이 단부에 있어서 오목한 부분이다. 그리고, 절연 벽부(25)는, 스텝부(1a)의 표면에 접하여 형성되어 있고, 도전 고정부(21)는, 절연 벽부(25)에 접하고 있다. 그러므로, 도전성 페이스트(20)를 기판(1)의 스텝부(1a)에 머물게 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기판(1)의 외주부의 절연성을 더욱 높이는 것이 가능하다.
절연 벽부(25)는, 스텝부(1a)의 바닥면에 형성되어 있다. 절연 벽부(25)는 스텝부(1a)의 측면과 접하고 있지 않은 것이 바람직하다. 즉, 절연 벽부(25)와 스텝부(1a)의 측면과의 사이에 간극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써, 그 간극에 도전성 페이스트(20)를 들어가게 하여 모을 수가 있으므로, 도전성 페이스트(20)의 유출을 더욱 억제할 수 있다.
절연 벽부(25)의 형성 방법 및 재료는, 도 12의 형태와 같다.
도 14는, 유기 EL 소자의 실시형태의 다른 일례이며, 전극편(3)의 부근을 확대하여 도시하고 있다. 본 형태에서는, 도 12 및 도 13의 형태와 마찬가지로, 절연 벽부(25)가 설치되어 있다. 절연 벽부(25)의 형상이 상이한 것 이외에는, 도 13의 형태와 대략 동일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도 12 및 도 13의 형태와 같은 구성에 대해서는 같은 부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을 생략한다.
본 형태에서는, 도 13의 형태와 마찬가지로, 스텝부(1a)가 형성되고, 그 스텝부(1a)에 접하여 절연 벽부(25)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절연 벽부(25)는, 도전 고정부(21)의 외부측의 표면을 피복하고 있다. 이와 같이, 절연 벽부(25)는, 도전 고정부(21)를 피복하는 것이 바람직한 일 태양이다. 이로써, 외주부에서의 절연성을 더욱 높이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스텝부(1a)를 설치함으로써, 도전성 페이스트(20)에 의해 형성되는 도전 고정부(21)가 외부로 돌출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절연 벽부(25)는, 도전 고정부(21)가 형성된 후에 설치할 수 있다. 이로써, 용이하게 도전 고정부(21)를 피복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전성 페이스트(20)로 전극편(3)을 고정하고, 그 후, 도전성 페이스트(20)의 경화에 의해 형성된 도전 고정부(21)를 피복하도록 절연 재료를 도포함으로써, 절연 벽부(25)를 형성할 수 있다. 물론, 절연 벽부(25)는, 도전성 페이스트(20)와 섞이지 않는 것이면, 도전 고정부(21)를 형성하기 위한 도전성 페이스트(20)가 배치되고, 그 도전성 페이스트(20)가 경화되기 전에, 절연 재료를 도포함으로써 형성되어도 된다.
그런데, 도 4∼도 14와 같은 도전성 페이스트(20)를 사용하는 각각의 형태에 있어서도, 지지편(31)의 단부가 전극편 지지체(4)에 의해 지지 고정되어 있어도 된다. 이 경우, 전극편 지지체(4)에 의해 고정성을 더욱 높이는 것이 가능하다.
도 15는, 유기 EL 소자의 실시형태의 다른 일례이다. 본 형태에서는, 봉지 구조가 상이한 것 이외에는, 도 1의 형태와 같은 구성으로 되어 있다. 도 1의 형태와 같은 구성에 대해서는, 같은 부호를 부여하고, 설명을 생략한다.
도 15의 형태에서는, 봉지재(2)는, 기판(1)에 대향하고 표면이 평탄한 평판형의 대향 기판(2a)과, 대향 기판(2a)의 외주부에서의 기판(1)과 대향 기판(2a)에 끼워진 부분에 설치된 봉지 측벽(2b)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대향 기판(2a)은, 유리 기판 등에 의해 구성할 수 있다. 봉지 측벽(2b)은 봉지 수지재에 의해 구성할 수 있다. 봉지 수지재로서는, 열경화성 또는 광경화성의 수지 조성물을 사용할 수 있다. 봉지 수지재에는 건조제가 포함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봉지 수지재는 접착성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 경우, 봉지 수지재에 의해, 대향 기판(2a)을 기판(1)에 접착할 수 있다. 봉지 측벽(2b)의 두께는 유기 발광체(10)보다 두껍게 되어 있다. 이로써, 유기 발광체(10)의 두께만큼의 스페이스를 확보하여, 평탄한 대향 기판(2a)으로 봉지할 수 있다. 또한, 봉지 간극(6)에는, 충전제(6b)가 충전되어 있다. 충전제(6b)는 건조제를 포함하는 동시에 접착성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봉지 측벽(2b)은, 충전제(6b)를 충전할 때 막는 말하자면 댐층으로서 기능할 수 있다.
본 형태에서는, 봉지재(2)의 높이는, 봉지 측벽(2b)의 두께(높이)와 대향 기판(2a)의 두께를 만족시키게 된다. 여기서, 봉지 측벽(2b)은 수지에 의해 구성될 수 있는 것이며, 두께를 간단하게 조정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봉지재(2)의 높이 조정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으므로, 전극편(3)의 고정편(32)의 길이에 따라서, 봉지재(2)의 높이를 조정하는 것이 가능하며, 전극편(3)과 전극 인출부(5)와의 사이의 거리나, 전극편(3)에 의한 가압력을 조정할 수 있다.
본 형태에서는, 전극편(3)의 가압에 의해 전극편(3)을 전극 인출부(5)에 강하게 고정시킬 수 있다. 이 때, 도전성 페이스트(20)는 설치되어 있지 않아도 된다. 또한, 본 형태에서도, 전극편(3)은, 도전성 페이스트(20)에 의해, 기판(1) 측및 봉지재(2) 측의 한쪽 또는 양쪽에, 접착 및 고정되어 있어도 된다. 이 경우, 고정편(32)은 가압되어 있어도 되고, 가압되어 있지 않아도 된다.
도 16은, 유기 EL 소자의 실시형태의 다른 일례이며, 전극편(3)의 부근을 확대하여 도시하고 있다. 본 형태에서는, 전극편(3)의 형상이 상이한 것 이외에는, 도 1의 형태와 같은 구성으로 되어 있다. 도 1의 형태와 같은 구성에 대해서는, 같은 부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을 생략한다.
도 16의 형태에서는, 전극편(3)은, 고정편(32)의 선단이 내측으로 절곡되어 형성된 면접촉편(33)을 가지고 구성되어 있다. 면접촉편(33)은 고정편(32)과 대략 수직으로 형성되어 있고, 기판(1)의 표면과 평행하게 배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면접촉편(33)을 설치하면, 면접촉편(33)의 표면에 의해 면형으로 접합하거나 가압하거나 할 수 있으므로, 전극 인출부(5)와의 접촉 면적을 크게 할 수 있어, 전기 접속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선단 부분이 뾰족한 편에 의해 전극편(3)을 가압하면, 전극 인출부(5)나 기판(1)을 손상시키거나 할 우려가 있지만, 본 형태에서는 면접촉편(33)에 의해 면형으로 전극편(3)을 가압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소자를 손상시키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본 형태에서는, 전극편(3)의 가압에 의해 전극편(3)을 전극 인출부(5)에 강하게 고정시킬 수 있다. 이 때, 도전성 페이스트(20)는 설치되어 있지 않아도 된다. 또한, 본 형태에서도, 전극편(3)은, 도전성 페이스트(20)에 의해, 기판(1) 측및 봉지재(2) 측의 한쪽 또는 양쪽에, 접착 및 고정되어 있어도 된다. 이 경우, 면접촉편(33)은 전극 인출부(5)에 직접 접촉하고 있지 않아도 된다. 이 때, 면접촉편(33)은, 도전성 페이스트(20)[도전 고정부(21)]를 통하여 전극 인출부(5)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으면 된다.
도 17은, 유기 EL 소자의 실시형태의 다른 일례이며, 전극편(3)의 부근을 확대하여 도시하고 있다. 본 형태에서는, 전극편(3)을 지지하는 구조가 상이한 것 이외에는, 도 1의 형태와 같은 구성으로 되어 있다. 도 1의 형태와 같은 구성에 대해서는, 같은 부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을 생략한다.
도 17의 형태에서는, 전극편(3)은, 봉지재(2)와는 이격된 위치에서 전극편 지지체(4)에 단부가 메워져 지지 고정되어 있고, 전극편(3)과 봉지재(2)의 표면과의 사이에는 간극이 형성되어 있다. 그러므로, 전극편(3)은 보다 큰 스프링형의 변형을 하는 것이 가능해져, 스프링성을 높여 강하게 전극편(3)을 가압할 수 있다. 또한, 전극편 지지체(4)에 의해, 전극편(3)의 높이 위치를 조정할 수 있으므로, 스프링의 가압력을 간단하게 조정할 수 있다. 또한, 가압력이 조정하기 쉬워지므로, 전기 접속성을 높일 수 있다.
도 17의 형태에 있어서는, 전극편 지지체(4)를 봉지재(2) 측의 제1층[기체부(基體部)]와, 제1층과 대향하는 제2층(피복부)으로 구성하고, 제1층과 제2층으로 지지편(31)의 단부를 협지하여 전극편(3)을 지지 고정시켜도 된다. 이 경우, 제1층을 먼저 적층 형성한 후에, 전극편(3)을 설치하고, 그 후, 제2층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써, 제1층의 높이를 조정하기 쉬워져, 스프링성을 더욱 조정하기 쉽게 할 수 있다.
또한, 도 17의 형태에 있어서는, 전극편 지지체(4)를 플라스틱재 등의 하우징으로 형성해도 된다. 이 경우, 전극편(3)을 미리 전극편 지지체(4)에 끼워넣어 고정하고, 전극편(3)이 고정된 전극편 지지체(4)를 봉지재(2)에 고착함으로써, 전극편(3)을 가압하여 장착할 수 있다. 전극편 지지체(4)의 고착에는 접착제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본 형태에서는, 전극편(3)의 가압에 의해 전극편(3)을 전극 인출부(5)에 강하게 고정시킬 수 있다. 이 때, 도전성 페이스트(20)는 설치되어 있지 않아도 된다. 또한, 본 형태에서도, 전극편(3)은, 도전성 페이스트(20)에 의해, 기판(1) 측및 봉지재(2) 측의 한쪽 또는 양쪽에, 접착 및 고정되어 있어도 된다. 이 경우, 고정편(32)의 선단은 전극 인출부(5)에 직접 접촉하고 있어도 되고, 접촉하고 있지 않아도 된다.
도 18은, 유기 EL 소자의 실시형태의 다른 일례이며, 전극편(3)의 부근을 확대하여 도시하고 있다. 본 형태에서는, 전극편(3)을 지지하는 구조가 상이한 것 이외에는, 도 1의 형태와 같은 구성으로 되어 있다. 도 1의 형태와 같은 구성에 대해서는, 같은 부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을 생략한다.
도 18의 형태에서는, 전극편(3)은, 봉지재(2)의 표면에 지지편(31)의 단부가 접착되어 지지 고정되어 있다. 전극편(3)의 접착은 양면 테이프 등으로 행할 수 있다. 그리고, 본 형태에서는, 전극편(3)의 단부를 덮어 지지 고정시키는 전극편 지지체(4)는 설치되어 있지 않다. 그러므로, 간단하게 전극편(3)을 지지 고정시킬 수 있어, 전극편(3)의 장착이 용이하게 된다.
그리고, 전극편(3)의 지지 고정 구조는, 전극편 지지체(4)를 사용하는 것이나, 양면 테이프를 사용하는 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봉지재(2)의 표면 단부에 홈형의 오목부를 형성하고, 이 오목부에 지지편(31)의 단부를 끼워넣어 전극편(3)을 지지 고정시켜도 된다.
본 형태에서는, 전극편(3)의 가압에 의해 전극편(3)을 전극 인출부(5)에 강하게 고정시킬 수 있다. 이 때, 도전성 페이스트(20)는 설치되어 있지 않아도 된다. 또한, 본 형태에서도, 전극편(3)은, 도전성 페이스트(20)에 의해, 기판(1) 측및 봉지재(2) 측의 한쪽 또는 양쪽에, 접착 및 고정되어 있어도 된다. 이 경우, 고정편(32)의 선단은 전극 인출부(5)에 직접 접촉하고 있어도 되고, 접촉하고 있지 않아도 된다.
도 19는, 유기 EL 소자의 실시형태의 다른 일례이며, 전극편(3)의 부근을 확대하여 도시하고 있다. 본 형태에서는, 전극편(3)의 구성 및 전극편(3)의 지지 구조가 상이한 것 이외에는, 도 18의 형태와 같은 구성으로 되어 있다. 상기한 형태와 같은 구성에 대해서는, 같은 부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을 생략한다.
도 19의 형태에서는, 전극편(3)은, 일체로 된 금속편에 의해 구성되어 있지 않고, 복수(본 형태에서는 2개)의 금속편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전극편(3)은, 지지편(31)을 구성하는 제1 금속편과, 고정편(32)을 구성하는 제2 금속편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지지편(31)의 단부는, 도 18의 형태와 마찬가지로, 양면 테이프 등에 의해 봉지재(2)에 지지 고정되어 있어도 된다. 또는, 도 1의 형태와 마찬가지로, 지지편(31)의 단부는 전극편 지지체(4)에 의해 지지 고정되어 있어도 된다. 그리고, 지지편(31)의 봉지재(2)로부터 돌출된 쪽의 단부(연신부)는 고정편(32)의 한쪽의 단부를 기판(1) 측으로 가압하고 있고, 이 가압력에 의해 고정편(32)의 다른 쪽의 단부[기판(1) 측의 단부]는 전극 인출부(5)에 가압되고 있다. 본 형태에서는, 표면이 평탄한 평판형의 금속편을 사용하여 전극편(3)을 구성할 수 있으므로, 간단하게 전극편(3)의 가압 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
본 형태에서는, 전극편(3)의 가압에 의해 전극편(3)을 전극 인출부(5)에 강하게 고정시킬 수 있다. 이 때, 도전성 페이스트(20)는 설치되어 있지 않아도 된다. 또한, 본 형태에서도, 전극편(3)은, 도전성 페이스트(20)에 의해, 기판(1) 측및 봉지재(2) 측의 한쪽 또는 양쪽에, 접착 및 고정되어 있어도 된다. 이 경우, 고정편(32)의 선단은 전극 인출부(5)에 직접 접촉하고 있어도 되고, 접촉하고 있지 않아도 된다. 또한, 지지편(31)과 고정편(32)이 도전성 페이스트(20)에 의해 접착되어 있어도 된다.
도 20은, 유기 EL 소자의 실시형태의 다른 일례이며, 전극편(3)의 부근을 확대하여 도시하고 있다. 본 형태에서는, 전극편(3)의 구성이 상이한 것 이외에는, 도 19의 형태와 같은 구성으로 되어 있다. 상기한 형태와 같은 구성에 대해서는, 같은 부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을 생략한다.
도 20의 형태에서는, 도 19의 형태와 마찬가지로, 전극편(3)은, 일체로 된 금속편에 의해 구성되어 있지 않고, 복수(본 형태에서는 2개)의 금속편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또한, 지지편(31)의 봉지재(2)로부터 돌출된 쪽의 단부(연신부)는 고정편(32)의 한쪽의 단부를 기판(1) 측으로 가압하고 있고, 이 가압력에 의해 고정편(32)의 다른 쪽의 단부[기판(1) 측의 단부]는 전극 인출부(5)에 가압되고 있다. 그리고, 도 20에서는, 전극편 지지체(4)를 설치하지 않은 형태를 나타내고 있지만, 물론, 전극편 지지체(4)를 설치해도 된다.
또한, 본 형태에서는, 지지편(31)이 외측으로 연신되어, 전극 인출부(5)에 고정되는 위치[전극 인출부(5)를 가압하는 위치]보다 외측으로 돌출되어 있다. 지지편(31)에서의 고정편(32)보다 외측으로 돌출된 영역은, 단자부(12)로 되고, 다른 단자와 전기적 접속이 가능한 부분으로 되어 있다.
이와 같이, 전극편(3)은, 전극 인출부(5)를 가압하는 위치, 즉 전극편(3)이 전극 인출부(5)에 고정되는 위치보다도 외측으로 돌출된 단자부(12)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한 일 형태이다. 이 경우, 복수의 유기 EL 소자를 면형으로 설치하여 발광 면적의 큰 면형 발광 장치를 얻을 때, 이 단자부(12)를 사용하여 인접하는 유기 EL 소자를 전기 접속할 수 있어, 연결 접속성을 높일 수 있다.
지지편(31)의 외부측의 끝에지의 위치는, 기판(1)의 끝에지와 대략 같은 위치라도 된다. 기판(1)의 끝에지까지 금속편이 연신되는 것에 의해, 접속성을 높일 수 있다.
본 형태에서는, 전극편(3)의 가압에 의해 전극편(3)을 전극 인출부(5)에 강하게 고정시킬 수 있다. 이 때, 도전성 페이스트(20)는 설치되어 있지 않아도 된다. 또한, 본 형태에서도, 전극편(3)은, 도전성 페이스트(20)에 의해, 기판(1) 측및 봉지재(2) 측의 한쪽 또는 양쪽에, 접착 및 고정되어 있어도 된다. 이 경우, 고정편(32)의 선단은 전극 인출부(5)에 직접 접촉하고 있어도 되고, 접촉하고 있지 않아도 된다. 또한, 지지편(31)과 고정편(32)이 도전성 페이스트(20)에 의해 접착되어 있어도 된다.
도 21은, 유기 EL 소자의 실시형태의 다른 일례이며, 전극편(3)의 부근을 확대하여 도시하고 있다. 도 21에서는, 단자부(12)를 형성하는 전극편(3)의 다른 일례가 나타나 있다. 상기한 형태와 같은 구성에 대해서는, 같은 부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을 생략한다.
본 형태의 전극편(3)에서는, 고정편(32)은, 지지편(31)의 양 측부에 있어서 분기하여 형성되어 있다. 전극편(3)에서의 고정편(32)이 분기된 위치로부터는, 지지편(31)에 연속하여 외측으로 연신되는 것에 의해 외측으로 돌출하는 단자편(34)이 분기되어 형성되어 있다. 이 전극편(3)은, 금속편의 절입 가공 및 절곡 가공에 의해 형성할 수 있는 것이다. 본 형태에서는, 도 20의 형태와 마찬가지로, 단자부(12)가 설치되어 있으므로, 인접하는 유기 EL 소자를 간단하게 전기 접속할 수 있다.
도 21에 나타낸 전극편(3)에서는, 일체화한 부재로서 전극편(3)을 형성할 수 있다. 그러므로, 전극편(3)의 강도를 높일 수 있어, 스프링성을 높여 가압력을 강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일체화한 전극편(3)에 의해 외측으로 튀어나오는 단자부(12)를 간단하게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도 21에서는, 전극편 지지체(4)를 설치하지 않은 형태를 나타내고 있지만, 물론, 전극편 지지체(4)를 설치해도 된다.
본 형태에서는, 전극편(3)의 가압에 의해 전극편(3)을 전극 인출부(5)에 강하게 고정시킬 수 있다. 이 때, 도전성 페이스트(20)는 설치되어 있지 않아도 된다. 또한, 본 형태에서도, 전극편(3)은, 도전성 페이스트(20)에 의해, 기판(1) 측및 봉지재(2) 측의 한쪽 또는 양쪽에, 접착 및 고정되어 있어도 된다. 이 경우, 고정편(32)의 선단은 전극 인출부(5)에 직접 접촉하고 있어도 되고, 접촉하고 있지 않아도 된다.
도 22는, 유기 EL 소자의 실시형태의 다른 일례이다. 도 22의 (a)는 전극편(3)을 장착하기 전의 모양을 나타내고, 도 22의 (b)는 전극편(3)을 장착한 후의 모양을 나타내고 있다. 상기한 형태와 같은 구성에 대해서는, 같은 부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을 생략한다.
도 22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형태에서는 전극편(3)에는 복수의 돌기(13)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도 22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극편(3)의 장착에 의해 돌기(13)가 압쇄되어 돌기 붕괴부(13a)가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전극편(3)과 전극 인출부(5)는, 경계 부분에서 도전성을 가지는 복수의 돌기(13)가 압쇄되어 접속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복수의 돌기(13)를 압궤하여 전극편(3)을 가압하는 것에 의해, 전기 접속성을 높일 수 있다. 그리고, 도 22에서는, 전극편 지지체(4)를 설치하지 않은 형태를 나타내고 있지만, 물론, 전극편 지지체(4)를 설치해도 된다.
도 22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형태에서는, 전극편(3)의 고정편(32)의 선단에 복수의 돌기(13)가 형성되어 있다. 돌기(13)는 전극편(3)의 재료로 구성해도 되고, 다른 도전 재료로 구성해도 된다. 그리고, 전극편(3)을 기판(1)에 봉지재(2) 측으로부터 근접시켜 지지편(31)의 단부를 지지 고정하는 동시에, 고정편(32)을 기판(1)을 향해 가압한다. 그러면, 도 22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고정편(32)의 가압에 의해 돌기(13)는 압쇄되어, 전극편(3)과 전극 인출부(5)의 경계 부분에 돌기(13)가 압쇄되어 형성된 돌기 붕괴부(13a)가 형성된다. 그러므로, 전기 접속성을 높일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도 22에서는, 전극편(3)에 돌기(13)를 형성한 것을 나타냈으나, 돌기(13)는 인출 전극(11)의 표면에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요컨대, 돌기(13)는 전극편(3)과 전극 인출부(5)와의 경계 부분에 있으면 되는 것이다.
본 형태에서는, 전극편(3)의 가압에 의해 전극편(3)을 전극 인출부(5)에 강하게 고정시킬 수 있다. 이 때, 도전성 페이스트(20)는 설치되어 있지 않아도 된다. 또한, 본 형태에서도, 전극편(3)은, 도전성 페이스트(20)에 의해, 기판(1) 측및 봉지재(2) 측의 한쪽 또는 양쪽에, 접착 및 고정되어 있어도 된다. 도전성 페이스트(20)를 사용한 경우, 돌기(13)가 도전성 페이스트(20)[도전 고정부(21)]에 매립되어 있어도 된다.
도 23은, 유기 EL 소자의 실시형태의 다른 일례이며, 전극편(3)의 부근을 확대하여 도시하고 있다. 상기한 형태와 같은 구성에 대해서는, 같은 부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을 생략한다.
도 23의 형태에서는, 전극편(3)의 고정편(32)은, 상하 양 단부에 개구부를 가지는 통형(筒形)의 하우징(15)에 수납되어 있다. 하우징(15)은, 수지, 플라스틱 등 절연성 재료로 구성되는 것이라도 되고, 금속제의 것이라도 된다. 통형의 하우징(15)의 높이는 고정편(32)의 길이보다 짧게 되어 있고, 고정편(32)의 선단은 하우징(15)보다 외측[기판(1) 측]으로 돌출되어 있다. 그리고, 하우징(15)으로부터 돌출된 고정편(32)의 선단이 전극 인출부(5)에 가압되고 있다.
본 형태에서는, 하우징(15)에 의해 전극편(3)의 고정편(32)이 에워싸여져 있으므로, 전극편(3)이 손상되거나 파괴되거나 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하우징(15)은 기판(1)에 접착되어 있어도 된다. 이 경우, 고정 강도를 더욱 높이는 것이 가능하다. 그리고, 본 형태에서는, 고정편(32)을 감싸는 하우징(15)을 나타냈으나, 하우징(15)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인출 전극(11)을 확보 가능한 것이면, 지지편(31)을 에워싸도 된다. 그리고, 도 23에서는, 전극편 지지체(4)를 설치하지 않은 형태를 나타내고 있지만, 물론, 전극편 지지체(4)를 설치해도 된다.
본 형태에서는, 전극편(3)의 가압에 의해 전극편(3)을 전극 인출부(5)에 강하게 고정시킬 수 있다. 이 때, 도전성 페이스트(20)는 설치되어 있지 않아도 된다. 또한, 본 형태에서도, 전극편(3)은, 도전성 페이스트(20)에 의해, 기판(1) 측및 봉지재(2) 측의 한쪽 또는 양쪽에, 접착 및 고정되어 있어도 된다. 도전성 페이스트(20)를 사용한 경우, 하우징(15)과 도전성 페이스트(20)[도전 고정부(21)]가 접촉되고 있어도 된다.
도 24는, 유기 EL 소자의 실시형태의 다른 일례이며, 전극편(3)의 부근을 확대하여 도시하고 있다. 상기한 형태와 같은 구성에 대해서는, 같은 부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을 생략한다.
도 24의 형태에서는, 전극편(3)과 전극 인출부(5)는, 경계 부분 근방에 있어서 도전성을 가지는 탄성부(14)가 가압되어 접속되어 있다. 이와 같이 탄성부(14)가 설치되는 것에 의해, 탄성부(14)의 반발력에 의해 가압력을 높일 수 있다.
도 24의 형태에서는, 전극편(3)의 고정편(32)은, 전극 인출부(5)와의 경계부의 근방으로 되는 위치에 코일 스프링형의 탄성부(14)를 가지고 있다. 탄성부(14)는 하우징(15) 내에 수납되어 있다. 이로써, 강도가 약해지기 쉬운 탄성부(14)를 보호할 수 있다. 그리고, 전극편(3)을 가압했을 때는, 탄성부(14)가 줄어드는 방향으로 변형되지만, 코일 스프링형으로 된 탄성부(14)에는 이 변형을 되돌리려고 하는 힘이 작용한다. 그리고, 탄성부(14)보다 선단측의 고정편(32)의 선단부가 전극 인출부(5)를 가압한다. 그러므로, 전기 접속성을 높일 수 있다. 본 형태에서도, 적절한 성형에 의해, 전극편(3)은 일체로 형성할 수 있다. 또는, 전극편(3)은, 지지편(31)을 구성하는 금속편과 고정편(32)을 구성하는 금속편으로 구성하는 것처럼, 복수의 금속편으로 구성하도록 해도 된다. 또한, 탄성부(14)를 별개의 부재로 구성하여 금속편에 고착시켜 전극편(3)을 형성하도록 해도 된다.
본 형태에서는, 코일 스프링형의 탄성부(14)를 이용하여 가압하므로, 가압한 힘은 탄성부(14)에 있어서 흡수된다. 그러므로, 전극편(3) 전체가 변형되는 것이 억제되므로, 전극편(3)을 봉지재(2)의 표면에 밀착시켜 장착할 수 있어, 전극편(3)이 변형에 의해 돌출되거나 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본 형태에서는, 전극편(3)의 가압에 의해 전극편(3)을 전극 인출부(5)에 강하게 고정시킬 수 있다. 이 때, 도전성 페이스트(20)는 설치되어 있지 않아도 된다. 또한, 본 형태에서도, 전극편(3)은, 도전성 페이스트(20)에 의해, 기판(1) 측및 봉지재(2) 측의 한쪽 또는 양쪽에, 접착 및 고정되어 있어도 된다. 도전성 페이스트(20)를 사용한 경우, 하우징(15)과 도전성 페이스트(20)[도전 고정부(21)]가 접촉하고 있어도 된다.
도 25는, 유기 EL 소자의 실시형태의 다른 일례이며, 전극편(3)의 부근을 확대하여 도시하고 있다. 상기한 형태와 같은 구성에 대해서는, 같은 부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을 생략한다.
도 25의 형태에서는, 전극편(3)과 전극 인출부(5)는, 경계 부분에서 도전성을 가지는 탄성부(14)가 가압되어 접속되어 있다. 이와 같이 탄성부(14)가 설치되는 것에 의해, 탄성부(14)의 반발력에 의해 가압력을 높일 수 있다.
도 25의 형태에서는, 전극편(3)의 고정편(32)은, 전극 인출부(5)와의 경계부인 선단 부분에 신축 가능한 판스프링형의 탄성부(14)를 가지고 있다. 탄성부(14)의 선단은 하우징(15)으로부터 튀어나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전극편(3)을 가압했을 때는, 탄성부(14)가 줄어드는 방향으로 변형되지만, 탄성부(14)에는 이 변형을 되돌리려고 하는 힘이 작용한다. 그리고, 탄성부(14)가 변형되면서 탄성부(14)의 반발력으로 전극 인출부(5)를 가압한다. 그러므로, 전기 접속성을 높일 수 있다. 본 형태에서도, 적절한 성형에 의해, 전극편(3)은 일체로 형성할 수 있다. 또는, 전극편(3)은, 지지편(31)을 구성하는 금속편과 고정편(32)을 구성하는 금속편으로 구성하는 것처럼, 복수의 금속편으로 구성하도록 해도 된다. 또한, 탄성부(14)를 별개의 부재로 구성하여 금속편에 고착시켜 전극편(3)을 형성하도록 해도 된다.
본 형태에서는, 판스프링형의 탄성부(14)를 이용하여 가압하므로, 가압한 힘은 탄성부(14)에 있어서 흡수된다. 그러므로, 전극편(3) 전체가 변형되는 것이 억제되어, 전극편(3)을 봉지재(2)의 표면에 밀착시켜 장착할 수 있어, 전극편(3)이 변형에 의해 돌출되거나 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본 형태에서는, 전극편(3)의 가압에 의해 전극편(3)을 전극 인출부(5)에 강하게 고정시킬 수 있다. 이 때, 도전성 페이스트(20)는 형성되어 있지 않아도 된다. 또한, 본 형태에서도, 전극편(3)은, 도전성 페이스트(20)에 의해, 기판(1) 측및 봉지재(2) 측의 한쪽 또는 양쪽에, 접착 및 고정되어 있어도 된다. 도전성 페이스트(20)를 사용한 경우, 하우징(15)과 도전성 페이스트(20)[도전 고정부(21)]가 접촉하고 있어도 된다.
그리고, 도 24 및 도 25의 형태에서는, 전극편(3) 측에 탄성부(14)를 설치한 예를 나타냈으나, 탄성부(14)는 전극 인출부(5) 측에 설치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탄성부(14)를 전극편(3)과는 별개의 부재(탄성 부재)에 의해 구성하고, 고정편(32)과 전극 인출부(5)와의 사이에 이 탄성 부재를 설치하여, 탄성 부재에 전극편(3)을 가압하도록 해도 된다.
도 26은, 유기 EL 소자의 실시형태의 다른 일례이며, 전극편(3)의 부근을 확대하여 도시하고 있다. 상기한 형태와 같은 구성에 대해서는, 같은 부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을 생략한다.
본 형태의 전극편(3)에서는, 지지편(31)은, 봉지재(2)보다 외측으로 돌출된 부분에, 기판(1)을 향하는 방향으로 내측으로 굽혀진 내측 벤딩부(31a)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고정편(32)의 길이는 봉지재(2)의 높이보다 짧아져 있지만, 내측 벤딩부(31a)가 형성되어 지지편(31)의 선단부가 굽혀져 있으므로, 고정편(32)의 선단은 전극 인출부(5)에 가압되고 있다. 전극편(3)은 말하자면 소성(塑性) 변형되어 있다. 본 형태에서는, 고정편(32)의 길이는 봉지재(2)의 높이의 0.5배 이상 1배 미만이라도 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형태에서는, 지지편(31)과 고정편(32)과의 경계 부분은 내측 벤딩부(31a)가 형성되어 경사지게 경사져 있으므로, 소자 이면(裏面)의 단부가 내측으로 오목한 것으로 되어 전극편(3)에 의해 돌출되는 것과 같은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내측 벤딩부(31a)가 전극편(3) 전체의 변형을 흡수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므로, 전극편(3)의 변형에 의한 불균일이 너무 커져 소자에 부하가 걸리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본 형태에서는, 전극편(3)의 가압에 의해 전극편(3)을 전극 인출부(5)에 강하게 고정시킬 수 있다. 이 때, 도전성 페이스트(20)는 설치되어 있지 않아도 된다. 또한, 본 형태에서도, 전극편(3)은, 도전성 페이스트(20)에 의해, 기판(1) 측및 봉지재(2) 측의 한쪽 또는 양쪽에, 접착 및 고정되어 있어도 된다. 이 경우, 고정편(32)의 선단은 전극 인출부(5)에 직접 접촉하고 있어도 되고, 접촉하고 있지 않아도 된다.
도 27은, 유기 EL 소자의 실시형태의 다른 일례이며, 전극편(3)의 부근을 확대하여 도시하고 있다. 상기한 형태와 같은 구성에 대해서는, 같은 부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을 생략한다.
본 형태의 전극편(3)에서는, 지지편(31)은, 봉지재(2)의 단부 부근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된 부분까지에 있어서, 기판(1)으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외측으로 굽혀진 외측 벤딩부(31b)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고정편(32)의 길이는 봉지재(2)의 높이보다 길어져 있지만, 외측 벤딩부(31b)가 형성되어 지지편(31)의 선단부가 굽혀져 있으므로, 고정편(32)의 선단은 적절한 가압력으로 전극 인출부(5)에 가압되고 있다. 본 형태에서는, 고정편(32)의 길이는 봉지재(2)의 높이의 1배보다 길고 5배 이하라도 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형태에서는, 지지편(31)과 고정편(32)과의 경계 부분은 외측 벤딩부(31b)가 형성되어 있고 외측 벤딩부(31b)가 변형함으로써 스프링성을 발휘할 수 있다. 그러므로, 전극편(3)과 가압력을 전극 인출부(5)에 전달하기 용이해져, 가압력을 강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외측 벤딩부(31b)가 변형되면서 고정편(32)이 가압되므로, 가압력을 적절하게 조정하기 쉽게 할 수 있다. 또한, 외측 벤딩부(31b)가 전극편(3) 전체의 변형을 흡수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므로, 전극편(3)의 변형에 의한 불균일이 너무 커져 소자에 부하가 걸리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본 형태에서는, 전극편(3)의 가압에 의해 전극편(3)을 전극 인출부(5)에 강하게 고정시킬 수 있다. 이 때, 도전성 페이스트(20)는 설치되어 있지 않아도 된다. 또한, 본 형태에서도, 전극편(3)은, 도전성 페이스트(20)에 의해, 기판(1) 측및 봉지재(2) 측의 한쪽 또는 양쪽에, 접착 및 고정되어 있어도 된다. 이 경우, 고정편(32)의 선단은 전극 인출부(5)에 직접 접촉하고 있어도 되고, 접촉하고 있지 않아도 된다.
도 28은, 조명 장치의 일례를 나타내고 있다. 도 28에서는, 발광면으로부터 본 모양을 나타내고 있다. 이 도면에서는, 발광 영역 P의 외측 에지를 파선으로 나타내고 있다.
조명 장치는, 1 또는 복수의 유기 EL 소자를 구비하고 있다. 본 형태의 조명 장치에서는, 1개의 유기 EL 소자는 1개의 조명 패널(100)을 구성하고 있고, 복수의 조명 패널(100)이 면형으로 배치되어 조명 장치가 형성되어 있다. 복수의 유기 EL 소자를 구비하는 경우에는, 유기 EL 소자를 면형으로 배치할 수 있다. 도 28의 형태에서는, 종횡의 매트릭스형으로 되어, 사각형의 유기 EL 소자가 면형으로 배치되어 있다. 복수의 유기 EL 소자는, 고정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유기 EL 소자를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재를 발광면과는 반대측에 설치할 수 있다. 복수의 유기 EL 소자는, 면형으로 전면에 설치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조명 장치는, 전기 배선을 구비하는 것이라도 된다. 조명 장치는, 플러그를 구비하는 것이라도 된다.
도 28의 형태에서는, 세로 3개, 가로 3개, 합계 9개의 조명 패널(100)이 면형으로 설치되어 있다. 조명 패널(100)(유기 EL 소자)의 개수는, 4개(2×2개)라도, 16개(4×4개)라도, 25개(5×5개)라도 된다. 또한, 세로와 가로의 개수가 상이해도 된다. 또한, 동일 방향으로 열형으로 정렬되어 있어도 된다.
조명 장치에 있어서는, 상기한 유기 EL 소자를 면형으로 배열하여 형성하고 있으므로, 비발광 영역을 작게 할 수 있어, 인접하는 유기 EL 소자의 경계 부분의 비발광 영역을 눈에 띄기 어렵게 할 수 있다. 그러므로, 비발광 부분이 액자형이나 격자형으로 되어 눈에 띄는 것을 억제할 수 있으므로, 조명성이 우수한 발광을 얻을 수 있다.
복수의 유기 EL 소자[조명 패널(100)]을 면형으로 배치한 경우, 인접하는 유기 EL 소자에 있어서는, 전극끼리의 거리가 가깝게 된다. 특히, 상기한 유기 EL 소자에 있어서는, 전극편(3)을 사용함으로써 전극이 인출된 부분을 더욱 단부에 배치시키고 있어, 전극 사이 거리가 작아진다. 상이한 극의 전극끼리가 접촉하면 단락(短絡)이 발생할 우려가 있다. 또한, 같은 극끼리의 전극이 접촉해도, 조명 장치의 면 내에 있어서 전류의 흐름이 불균일하게 되어, 양호한 발광을 얻을 수 없게 될 우려가 있다. 또한, 전극이 물리적으로 이격되어 있었다고 해도, 안전을 위해 절연성을 확보하는 것이 구해진다. 그러므로, 인접하는 소자 간에 있어서 절연 거리를 확보하는 것이 구해진다.
안전상의 관점에서, 인접하는 소자에서의 전극편(3)은, 절연 거리가 큰 쪽이 바람직하다. 또한, 인접하는 소자에서의 도전성 페이스트(20)의 경화 부분은, 절연 거리가 큰 쪽이 바람직하다. 절연 거리는, 통상, 2개의 도전 부분에 있어서, 절연 신뢰성이 있는 절연 물질이 사이에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는, 물리적인 직선 거리에 의해 구해지고, 절연 신뢰성이 있는 절연 물질이 사이에 있는 경우에는, 절연 신뢰성이 있는 절연 물질을 타고넘도록 설정한 최단 거리에 의해 구해진다. 절연 신뢰성이 있는 절연 물질이란, 절연 기준을 만족시킨 절연 시트 등을 들 수 있다. 안전상의 관점이나 신뢰성의 관점에서, 이와 같이 하여 설정되는 절연 거리를 확보하는 것이 바람직한 것이다.
절연성의 확보에 대해서는, 도 12∼도 14의 형태에서의 절연 벽부(25)를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한 일 태양이지만, 절연 거리를 확보하기 위해 더욱 바람직하다 다른 태양, 또는 병용될 수 있는 태양도 존재한다. 이하, 절연 거리 확보의 바람직한 다른 태양, 또는 상기한 각각의 실시형태와 병용될 수 있는 태양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9의 (a)는, 유기 EL 소자의 실시형태의 일례를 나타내고, 도 29의 (b)는 도 29의 (a)의 유기 EL 소자를 사용하여 형성한 조명 장치의 일부를 나타내고 있다. 상기한 실시형태와 같은 구성에 대해서는 같은 부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을 생략한다.
본 형태에서는, 전극편(3)은, 기판(1)의 양 단부에 설치되어 있다. 이 전극편(3)은, 평면에서 볼 때 수평 방향의 위치가 상이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도 29의 (a)에서는, 좌우의 단부에, 복수의 전극편(3)이 배치되어 있는 형태가 나타나 있다. 그리고, 우측에 배치된 전극편(3)과 좌측에 배치된 전극편(3)은, 수평 방향의 위치가 상이하게 되어 있다. 이 위치의 상이한 배치는, 전극 단자가 세로 방향으로 설치되어 되어 있는 것으로 생각되는 경우에, 가로 방향에서의 위치가 상이한 배치로 해도 된다. 또는, 이 도면의 점선의 화살표로 나타낸 바와 같이, 전극 단자가 형성된 방향(측방)으로부터 유기 EL 소자를 본 경우에, 기판 양 단부의 전극편(3)이 중복되지 않는 영역에 설치되어 있는 배치로 해도 된다. 말하자면, 전극편(3)이 어긋나 배치되어 있다고 할 수 있다.
도 29의 (b)와 나타낸 바와 같이, 본 형태의 유기 EL 소자를 면형으로 배치한 경우, 인접하는 유기 EL 소자의 인접한 2개의 전극편(3)은, 수평 방향에서 상이한 위치에서 배치된다. 즉, 도 29의 (b)의 화살표로 나타낸 바와 같이, 측방으로부터 본 경우에, 인접하는 전극편(3)이 중복되지 않도록 배치된다. 따라서, 전극편(3)의 접촉을 억제할 수 있으므로, 절연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인접하는 인출 전극(11)의 거리가 이격된다. 도전성 페이스트(20)로 전극편(3)을 접착하는 경우에는, 도전성 페이스트(20)에 의해 형성된 부분[도전 고정부(21), 도전 접착부(22)]의 거리도 이격된다. 그러므로, 용이하게 절연성을 높일 수 있다.
전극편(3)은, 발광 영역의 중심에 대하여 점 대칭으로 배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면 내의 전류 밀도 분포가 보다 균일화되므로, 면 내에 있어서 보다 균일하게 발광할 수 있어, 휘도 불균일을 저감할 수 있다. 도 29의 (a)에서는, 전극편(3)은 점 대칭으로 배치되어 있고, 180°회전시킨 경우에, 전극편(3)의 위치는 같은 위치로 되어 있다.
그런데, 조명 장치에 있어서 인접하는 전극편(3)의 절연 거리를 크게 하는 방법으로서, 수평 방향의 위치가 상이한 전극편(3)을 가지는 복수 종류의 유기 EL 소자를 형성하고, 이들 유기 EL 소자를 맞대어 배치하는 방법도 가능하다. 예를 들면, 도 29의 (a)의 우측의 단부에 나타내는 위치에서 전극편(3)이 좌우의 양측에 배치된 유기 EL 소자와, 도 29의 (a)의 좌측의 단부에 나타내는 위치에서 전극편(3)이 좌우의 양측에 배치된 유기 EL 소자를 사용하고, 이들을 인접하여 설치한다. 이 때, 2개의 유기 EL 소자는, 전극편(3)의 위치 이외에는, 도 29의 (a)의 형태와 같은 구성의 것으로 해도 된다. 2개의 유기 EL 소자는, 가로 방향으로 교호적(交互的)으로 배치된다. 그러면, 유기 EL 소자의 단부를 맞닿게 했을 때는, 도 29의 (b)에 의해 나타낸 바와 같이, 인접하는 전극편(3)이 수평 방향으로 상이한 위치에 배치하게 되기 때문에, 도 29의 (a)의 유기 EL 소자를 사용하는 경우와 마찬가지로, 절연 거리를 크게 할 수 있다. 단, 전극편(3)의 위치가 상이한 복수의 유기 EL 소자를 제작하고, 그것을 면형으로 배치하는 방법은 번거롭게 될 우려가 있다. 그러므로, 도 29의 (a)와 나타낸 바와 같이, 1개의 소자로 전극편(3)의 위치를 어긋나게 한 유기 EL 소자 쪽이 유리하다.
도 30은, 유기 EL 소자의 실시형태의 일례를 나타내고 있다. 이 형태에서는, 절연 거리를 크게 하기 위한 바람직한 다른 태양이 나타나 있다. 상기한 실시형태와 같은 구성에 대해서는 같은 부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을 생략한다.
본 형태에서는, 기판(1)의 측부에, 절연 배리어체(16)가 설치되어 있다. 절연 배리어체(16)는, 기판(1)의 표면에 수직인 방향에 있어서, 전극 인출부(5)보다 돌출되어 있다. 절연 배리어체(16)를 가지는 것에 의해, 절연성을 더욱 확보하기 쉽게 할 수 있다. 그러므로, 절연성을 높일 수 있다.
절연 거리의 확보의 방법으로서, 도 12에서는 절연 벽부(25)를 사용하는 방법을 설명하였으나, 절연 벽부(25)가 양호하게 형성되지 않은 경우나, 절연 벽부(25)가 얇게 형성된 경우, 절연성이 충분히 확보되지 않는 경우가 있다. 특히 절연 벽부(25)를 수지 등으로 구성한 경우, 수지가 형성되는 방법 등에 의해 절연성에 불균일이 생길 우려가 있어, 구해지는 내전압(耐電壓)을 확보할 수 없게 될 우려가 있다. 수지의 경우, 도포 조건이나 경화 조건에 따라 성능이 좌우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절연 배리어체(16)를 사용함으로써, 절연 배리어체(16)의 배리어성에 의해 절연성을 용이하게 확보할 수 있으므로, 절연성을 높게 얻을 수 있다. 절연 배리어체(16)를 사용하는 경우, 절연 배리어체(16)를 기판(1)에 접합하기 전의 상태에서, 절연성의 확인을 행하는 것이 가능하며, 양호하게 절연성이 부여된 절연 배리어체(16)를 소자의 제작에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
절연 배리어체(16)는, 기판(1)의 측면에 설치되어 있다. 이로써, 기판(1)의 측면에서의 절연성을 확보할 수 있다. 절연 배리어체(16)는, 접착층(17)에 의해 기판(1)에 접착되어 있다.
절연 배리어체(16)로서는, 절연 시트, 절연 필름, 절연판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접착층(17)이 형성된 절연 시트를 기판(1)의 측면에 접착함으로써, 절연 배리어체(16)를 용이하게 기판(1)에 접착할 수 있다. 또한, 절연 배리어체(16)를 가지면, 유기 EL 소자를 먼지가 많은 개소에 설치하거나, 유기 EL 소자를 복수 개 배열시키는 고내전압이 필요한 배열로 하는 것도 가능해진다.
절연 배리어체(16)의 두께는, 예를 들면, 0.1㎜ 이상으로 할 수 있다. 이로써, 절연성을 더욱 높일 수 있다. 이 경우의 두께는, 기판(1)의 표면과 평행한 방향(가로 방향)의 길이이며, 유기 발광체(10)의 적층 방향과 수직인 방향에서의 길이이다. 단, 비발광부를 작게 하기 위해서는, 절연 배리어체(16)의 두께는 작은 쪽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절연 배리어체(16)의 두께는, 예를 들면, 5㎜ 이하로 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3㎜ 이하로 할 수 있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1㎜ 이하로 할 수 있다.
절연 배리어체(16)는, 기판(1)의 측부 전체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써, 절연성을 높일 수 있는 동시에, 용이하게 절연 배리어체(16)를 설치할 수 있다. 절연 배리어체(16)는, 전극편(3)의 측방에 배치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도 30에서는, 기판(1)의 표면에 수직인 방향의 위치로서, 전극 인출부(5)의 표면의 위치(B1)와, 기판(1)의 광인출 측의 표면의 위치(B2)와, 전극편(3)의 기판(1)과는 반대측의 단부의 위치(B3)를, 파선으로 나타내고 있다. 절연 배리어체(16)는, 광인출 측과는 반대측(이 도면에서는 위쪽)에, 전극 인출부(5)의 표면의 위치(B1)보다 튀어나오도록 돌출되어 있다. 이로써, 전극 인출부(5)의 측방에 절연 배리어체(16)가 배치되므로, 절연 거리를 더욱 확보하기 쉽게 할 수 있다. 절연 거리를 크게 하기 위해서는, 도전 고정부(21)의 위치보다 돌출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이로써, 도전 고정부(21)의 측방에 배리어체(16)를 배치할 수 있다.
절연 배리어체(16)는, 기판(1)의 표면에 수직인 방향에 있어서, 기판(1)의 봉지재(2)가 접착된 면과는 반대측의 면에 있어서 돌출되어 있지 않은 것이 바람직하다. 도 30에서는, 절연 배리어체(16)의 단부[광인출 측의 단부(16b)]는, 기판(1)의 외부측의 표면의 위치인 위치(B2)와 같은 위치에 배치되어 있고, 기판(1)의 외부측으로 돌출되어 있지 않다. 이와 같이, 기판(1)의 외부측에 절연 배리어체(16)가 돌출되지 않는 것에 의해, 조명 장치를 설치했을 때, 절연 배리어체(16)가 발광면에 있어서 튀어나오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그러므로, 절연 배리어체(16)에 의해 외관이 악화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는 동시에, 절연 배리어체(16)에 의해 비발광 부분이 눈에 띄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절연 배리어체(16)의 단부(16b)는 위치(B2)보다 내측에 있어도 된다. 단, 절연 배리어체(16)의 단부(16b)가 내측으로 너무 오목하면 외관이 저하될 우려가 있으므로, 오목했다고 해도 절연 배리어체(16)의 단부(16b)는 위치(B2)의 근방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절연 배리어체(16)는, 기판(1)의 표면에 수직인 방향에 있어서, 전극편(3)보다 돌출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0에서는, 절연 배리어체(16)의 단부[광인출 측의 반대측의 단부(16a)]는, 전극편(3)의 광인출 측과는 반대측의 단부의 위치인 위치(B3)보다 광인출 측과는 반대측에 배치되어 있고, 전극편(3)보다 돌출되어 있다. 이와 같이, 절연 배리어체(16)가 전극편(3)보다 돌출함으로써, 조명 장치를 설치했을 때, 인접하는 유기 EL 소자의 전극편(3)이 보다 접촉하기 어려워지기 때문에, 절연성을 더욱 높일 수 있다. 또한, 인접하는 유기 EL 소자의 도전 고정부(21)의 절연 거리는, 절연 배리어체(16)를 타고 넘은 거리로서 산출되지만, 절연 배리어체(16)의 수직 방향의 길이를 크게 할 수 있으므로, 절연 거리를 더욱 크게 할 수 있다.
절연 배리어체(16)의 광인출 측과는 반대측의 단부(16a)는, 예를 들면, 전극편(3)의 고정편(32)의 길이의 2배 이상의 위치에 배치되어 있어도 된다. 절연 배리어체(16)가 돌출할수록 절연성이 높아진다. 예를 들면, 절연 배리어체(16)의 단부(16a)는, 전극편(3)에 따라 절연 배리어체(16)를 절곡한 것으로 가정했을 때, 지지편(31)의 단부보다 소자 내부측에 위치하도록 해도 된다. 또한, 예를 들면, 절연 배리어체(16)의 단부(16a)는, 봉지재(2)의 표면의 위치에서 절연 배리어체(16)를 내측으로 절곡한 것으로 가정했을 때, 인출 전극 확장부(23)의 내측보다 소자 내부측에 위치하도록 해도 된다. 절연 배리어체(16)의 길이가 충분히 길면 도전성 페이스트(20)나 인출 전극(11)의 구성을 변경한 경우라도, 절연 배리어체(16)와 절연 거리가 확보되어 있으므로, 절연 설계의 변경을 하는 것을 필요로 하지 않도록 될 수 있다. 그러므로, 절연 설계를 용이하게 할 수 있는 것이 가능하다.
물론, 절연 배리어체(16)의 광인출 측과는 반대측의 단부(16a)는, 전극편(3)의 광인출 측과는 반대측의 단부의 위치(B3)의 위치에 배치되어 있어도 된다. 이 경우도, 전극편(3)의 측방에, 전극편(3)의 측부를 덮도록 절연 배리어체(16)가 배치되므로, 절연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절연 배리어체(16)의 단부(16a)는, 위치(B3)보다 기판(1) 측에 배치되어 있어도 된다. 이 경우도, 전극편(3)의 측방에 절연 배리어체(16)가 배치되므로, 절연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절연 배리어체(16)가 전극편(3)보다 튀어나오지 않으면, 절연 배리어체(16)가 걸리는 등하여 벗겨지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박형화를 도모할 수 있다. 절연 배리어체(16)의 단부(16a)는, 절연성을 더욱 높이기 위해서는, 위치(B3)를 튀어나오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할 수 있고, 절연 배리어체(16)가 벗겨지기 않게 하기 위해서는, 위치(B3)보다 내측인 것이 바람직하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절연성이나 안전성 등을 고려하여, 절연 배리어체(16)의 단부(16a)의 위치를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절연 배리어체(16)의 기판(1)의 표면에 수직인 방향의 길이는, 고정편(32)의 연신 방향의 길이와 같아도 된다. 또는, 예를 들면, 절연 배리어체(16)의 기판(1)의 표면에 수직인 방향의 길이는, 고정편(32)의 연신 방향의 길이와 기판(1)의 두께를 합계한 길이와 같아도 된다. 또는, 예를 들면, 절연 배리어체(16)의 기판(1)의 표면에 수직인 방향의 길이는, 고정편(32)의 연신 방향의 길이와 기판(1)의 두께를 합한 길이보다 길어도 된다.
절연 배리어체(16)는, 적절한 타이밍에서 기판(1)에 접착할 수 있다. 절연 배리어체(16)는, 유기 발광체(10)의 형성 전의 기판 재료일 때의 기판(1)에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러나, 절연 배리어체(16)를 적층체의 적층 형성보다 전에 설치하면, 유기 발광체(10)를 양호하게 적층할 수 없게 될 우려가 있다. 그러므로, 절연 배리어체(16)는, 유기 발광체(10)를 형성하고 봉지를 행한 후의 적절한 타이밍에서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때, 전극편(3)을 장착하기 전에, 절연 배리어체(16)를 설치하는 것이 가능하고, 전극편(3)을 장착한 후에, 절연 배리어체(16)를 설치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전극편(3)을 장착하기 전에 절연 배리어체(16)를 기판(1)에 접착하고, 다음에, 전극 인출부(5)의 표면에 도전성 페이스트(20)를 도포하고, 그 후, 전극편(3)을 장착하도록 해도 된다. 이 경우, 도전성 페이스트(20)를 절연 배리어체(16)와 차단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절연성을 높일 수 있다. 또는, 예를 들면, 전극 인출부(5)의 표면에 도전성 페이스트(20)를 도포하고, 다음에, 전극편(3)을 장착하고, 그 후, 절연 배리어체(16)를 기판(1)에 접착해도 된다. 이 경우, 도전성 페이스트(20)가 외부측으로 돌출된 것으로 해도, 도전성 페이스트(20)의 돌출된 부분을 덮어 절연 배리어체(16)를 장착할 수 있으므로, 절연성을 높일 수 있다. 절연 배리어체(16)는, 더욱 바람직하게는, 한쪽 면 전체에 접착층(17)이 형성되는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이로써, 절연 배리어체(16)의 접착의 작업성을 높일 수 있다. 그리고, 접착층(17)은 최종적으로는 경화되는 것으로 해도 되고, 외표면에 노출된 경우에도 접착성은 최종적으로는 소실되는 것으로 해도 된다.
도 31은, 유기 EL 소자 및 조명 장치의 실시형태의 일례를 나타내고 있다. 도 31의 (a) 및 도 31의 (b)는, 유기 EL 소자가 도시되어 있고, 도 31의 (c)는 이 유기 EL 소자를 복수 사용한 조명 장치에 있어서의 유기 EL 소자의 경계 부분이 도시되어 있다. 상기한 실시형태와 같은 구성에 대해서는 같은 부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을 생략한다. 그리고, 도 31의 (a)에서는, 접착층(17)을 생략하고 있다. 접착층(17)은 실제로는 두께가 얇기 때문이다.
절연 배리어체(16)는, 복수의 유기 EL 소자를 배열하여 배치한 경우에, 인접하는 전극편(3)의 사이에 배치하도록 설치되어 있으면 된다. 따라서, 전극편(3)이 설치된 기판(1)의 측부의 한쪽에, 절연 배리어체(16)가 설치되어 있지 않아도 된다. 도 31의 (a)에서는, 전극편(3)이 설치된 양측의 단부 중의 한쪽의 단부에 절연 배리어체(16)가 설치되고, 다른 쪽의 단부에 절연 배리어체(16)가 설치되어 있지 않다. 이 유기 EL 소자에서는, 조명 장치를 설치했을 때는, 도 31의 (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절연 배리어체(16)를 갖지 않는 단부와, 절연 배리어체(16)를 가지는 단부가 맞닿아 인접하는 유기 EL 소자를 배치할 수 있다. 그러므로, 전극 단자의 사이에 절연 배리어체(16)를 설치할 수 있어, 절연성을 높일 수 있다.
절연 배리어체(16)는 전극편(3)이 장착된 기판(1)의 단부의 전체 길이에 걸쳐 설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써, 절연 배리어체(16)에 의해 간단하게 절연 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 기판(1)의 끝에지 전체를 따르도록, 절연 배리어체(16)는 장척으로 형성되어 있다. 물론, 절연 배리어체(16)는, 각각의 전극편(3)의 위치에 설치되어 있어도 되지만, 일체화한 절연 배리어체(16)를 사용하는 쪽이, 절연 구조의 형성이 보다 용이하게 된다.
도 32는, 유기 EL 소자 및 조명 장치의 실시형태의 일례를 나타내고 있다. 도 32의 (a) 및 도 32의 (b)는, 유기 EL 소자가 표시되어 있고, 도 32의 (c)는 이 유기 EL 소자를 복수 사용한 조명 장치에 있어서의 유기 EL 소자의 경계 부분이 나타나 있다. 상기한 실시형태와 같은 구성에 대해서는 같은 부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을 생략한다. 그리고, 도 32의 (a)에서는, 접착층(17)을 생략하고 있다. 접착층(17)은 실제로는 두께가 얇기 때문이다.
본 형태에서는, 유기 EL 소자의 전극편(3)이 설치된 모든 단부에 절연 배리어체(16)가 설치되어 있다. 즉, 도 32의 (a)와 나타낸 바와 같이, 전극편(3)이 설치된 양측의 단부의 양쪽에, 절연 배리어체(16)가 설치되어 있다. 그러므로, 전극편(3)이 형성된 단부의 전부의 측방에 절연 배리어체(16)가 배치되므로, 유기 EL 소자를 인접하여 배치하는 경우에는, 절연 배리어체(16)를 확실하게 인접하는 전극편(3)의 사이에 배치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그러므로, 전극 단자의 사이에 절연 배리어체(16)를 확실하게 설치할 수 있어, 절연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도 32의 (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인접하는 유기 EL 소자의 사이에는, 2개의 절연 배리어체(16)가 설치되게 된다. 그러므로, 절연성을 더욱 높이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1개의 절연 배리어체(16)의 두께를 얇게 하는 것도 가능하게 된다.
이 형태에서도, 절연 배리어체(16)는, 장척(長尺)으로 되고, 전극편(3)이 장착된 기판(1)의 단부의 전체 길이에 걸쳐 설치되어 있다. 그러므로, 용이하게 절연성을 높일 수 있다.
여기서, 도 31의 형태에서는, 절연 배리어체(16)의 양을 감소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한편, 도 32의 형태에서는, 절연 배리어체(16)를 인접하는 유기 EL 소자의 사이에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어, 유기 EL 소자의 타일링이 용이해지는 장점이 있다. 그러므로, 어느쪽의 형태를 채용할 것인지는, 제조성이나 비용 등을 고려하여, 적절히, 설정할 수 있다.
도 31 및 도 32의 형태로부터 다음의 것을 이해할 수 있다. 전극편(3)은, 기판(1)의 복수의 단부에 설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복수의 단부에 전극편(3)이 설치되는 것에 의해, 인출 전극(11)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전극 단자가 복수의 단부에 형성되게 된다. 따라서, 면 내에 있어서 보다 균일한 발광을 얻을 수 있다. 그리고, 기판(1)의 복수의 단부 중의 절반 이상의 단부의 위치에서의 기판(1)의 측부에, 절연 배리어체(16)가 설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써, 면형으로 유기 EL 소자를 배치했을 때는, 인접하는 전극 단자의 사이에 절연 배리어체(16)를 용이하게 배치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도 31의 형태에서는, 기판(1)의 2개의 단부에 전극편(3)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이 중의 절반 이상인 1개 또는 2개의 단부에 절연 배리어체(16)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만일, 기판(1)의 하나의 단부만에 전극편(3)이 형성되어 있는 경우에는, 이 단부에 절연 배리어체(16)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는, 만일, 기판(1)의 3개 또는 4개의 단부에 전극편(3)이 형성되어 있는 경우에는, 2개 이상의 단부에 절연 배리어체(16)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유기 EL 소자는 사각형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육각형으로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육각형에서는, 허니컴 상태로 배치시켜 유기 EL 소자를 면형으로 전면에 설치할 수가 있다. 육각형의 유기 EL 소자라도, 절연 배리어체(16)의 설치되는 단부의 개수의 관계는 마찬가지이다.
절연 배리어체(16)는, 더욱 바람직하게는, 도 32의 형태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기판(1)의 복수의 단부 중 전부의 단부의 위치에서의 기판(1)의 측부에, 절연 배리어체(16)가 설치되어 있다. 이로써, 절연 배리어체(16)가 없는 단부가 맞닿는 것을 억제할 수 있으므로, 확실하게 절연성을 높일 수 있다.
상기한 형태에서는, 유기 EL 소자는 평면에서 볼 때 사각형이다. 그러므로, 사각형의 1개 이상의 변에 절연 배리어체(16)를 설치할 수 있다. 바람직한 형태에서는, 사각형의 대향하는 2변에 절연 배리어체(16)가 설치된다. 이 때, 사각형은, 직사각형 또는 정사각형이라도 된다.
도 33은, 유기 EL 소자의 실시형태의 일례를 나타내고 있다. 상기한 실시형태와 같은 구성에 대해서는 같은 부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을 생략한다.
본 형태의 유기 EL 소자는, 절연 배리어체(16)를 가진다. 절연 배리어체(16)의 구성은 상기와 같은 것으로 해도 된다. 그리고, 절연 배리어체(16)와 봉지재(2)와의 사이에, 수지가 충전되어 있다. 도 33에서는, 수지가 충전된 부분을 수지부(18)로서 도시하고 있다. 수지부(18)는 수지가 경화되어 형성된 것으로 해도 된다. 수지의 경화는, 열경화라도 되고, 광경화라도 된다.
본 형태에서는, 절연 배리어체(16)와 봉지재(2)와의 사이에 수지가 충전되어 있으므로, 도전 고정부(21)를 수지부(18)로 피복하고, 도전 고정부(21)를 외력이나 습기로부터 보호할 수 있으므로, 전기 신뢰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절연 배리어체(16)와 봉지재(2)와의 사이의 간극이 막히므로, 이 간극에 먼지 등의 불순물이 들어가는 것을 억제할 수 있으므로, 전기 신뢰성을 더욱 높이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수지에 의해 절연 배리어체(16)를 접착할 수 있으므로, 절연 배리어체(16)를 더욱 견고하게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절연 배리어체(16)와 봉지재(2)와의 사이의 간극에 수지를 충전할 수 있으므로, 좁은 폭으로 수지를 충전할 수 있어, 비발광 부분을 가능한 한 작게 할 수 있다.
수지는, 도전 고정부(21)를 덮도록 충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써, 도전 고정부(21)를 피복하여, 신뢰성을 높일 수 있다. 수지는, 전극편(3)의 고정편(32)의 절반 이상을 덮도록 충전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이로써, 신뢰성을 더욱 높이는 것이 가능하다. 수지는, 봉지재(2)의 표면 근방의 위치까지 충전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이로써, 신뢰성을 높일 수 있는 동시에, 절연 배리어체(16)를 더욱 견고하게 유지할 수 있다.
수지는, 절연 배리어체(16)와 봉지재(2)와의 사이의 간극의 수평 방향의 전체 길이에 걸쳐 충전되어 있어도 된다. 이로써, 유기 EL 소자의 전기 신뢰성과 절연 배리어체(16)의 접합성을 높일 수 있다.
도 34는, 유기 EL 소자 및 조명 장치의 실시형태의 일례를 나타내고 있다. 상기한 실시형태와 같은 구성에 대해서는 같은 부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을 생략한다. 도 34의 (a) 및 (b)에서는, 조명 장치에 있어서의 유기 EL 소자의 경계 부분이 표시되어 있고, 도 34의 (a)는 전극편(3) 근방의 단면도, 도 34의 (b)는 전극편(3) 근방의 평면도를 나타내고 있다.
본 형태의 유기 EL 소자는, 도 33의 형태와 마찬가지로, 절연 배리어체(16)를 가지고, 절연 배리어체(16)와 봉지재(2)와의 사이에는 수지가 충전되어 있다. 본 형태에서는, 절연 배리어체(16)는, 기판(1)의 양쪽의 측부에 설치되어 있다. 또한, 본 형태의 유기 EL 소자는, 도 29의 형태에서 설명한 것과 마찬가지로, 전극편(3)의 위치가 수평 방향에 있어서 상이하게 되어 있다. 그러므로, 절연 거리를 높게 확보할 수 있어, 절연성을 높여 신뢰성이 높고 안전한 소자를 구성할 수 있다.
도 34의 형태에서는, 절연 배리어체(16)는, 단부(16a)가 전극편(3)보다 돌출 하지 않고 설치되어 있다. 이 절연 배리어체(16)의 단부(16a)는, 봉지재(2)의 외부측의 표면 근방의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절연 배리어체(16)가 돌출되어 있지 않으므로, 절연 배리어체(16)에 외력이 걸리는 등 하여 절연 배리어체(16)가 박리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절연 배리어체(16)가 돌출되어 있지 않으면, 소자 전체로서의 두께를 더욱 작게 할 수 있으므로, 박형화를 도모할 수 있다.
도 35는, 유기 EL 소자의 실시형태의 일례를 나타내고 있다. 상기한 실시형태와 같은 구성에 대해서는 같은 부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을 생략한다. 도 35의 형태는, 절연 피복체(26)를 가진다. 절연 피복체(26)를 가지는 구성은, 절연 배리어체(16)를 가지는 구성과는 다른 구성, 또는 절연 배리어체(16)를 가지는 구성과 병용될 수 있는 구성이다. 또한, 전극편(3)의 배치가 어긋나는 구성과도 병용될 수 있는 구성이다.
본 형태에서는, 전극편(3)은, 적어도 기판(1)을 향해 연신되는 연신부의 외부측 표면이 절연 피복체(26)로 피복되어 있다. 전극편(3)의 연신부가 절연성을 가지는 절연 피복체(26)로 피복되는 것에 의해, 조명 장치를 설치했을 때, 인접하는 전극편(3)이 접촉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전극편(3)이 피복되므로, 절연 거리를 더욱 높게 확보할 수 있다. 그러므로, 절연성을 더욱 높이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본 형태에서는, 전극편(3)의 연신부는, 고정편(32)에 의해 구성되어 있고, 고정편(32)의 외부측의 표면이 절연 피복체(26)로 피복되어 있다. 전극편(3)의 측방의 표면이 피복되어 있는 것으로 해도 된다.
절연 피복체(26)는, 수지, 절연 시트, 절연 필름, 고무 등 적절한 절연 재료로 형성할 수 있다. 절연 피복체(26)는, 기판(1)에 고정시키기 전의 전극편(3)에 설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절연 피복체(26)이 형성된 전극편(3)을 사용하여 유기 EL 소자를 형성할 수 있다. 이로써, 용이하게 절연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도전성 페이스트(20)를 사용한 경우에는, 도전성 페이스트(20)의 유출을 용이하게 억제할 수 있다. 물론, 전극편(3)을 기판(1)에 고정시킨 후에, 절연 피복체(26)를 설치하도록 해도 된다.
절연 피복체(26)는, 예를 들면, 유동성이 있는 절연 재료를 전극편(3)의 표면에 도포함으로써 형성할 수 있다. 또는, 절연 피복체(26)는, 고체상의 절연 재료(절연 시트 등)를 전극편(3)의 표면에 접착함으로써 형성할 수 있다.
절연 피복체(26)의 두께는, 예를 들면, 0.1㎜ 이상으로 할 수 있다. 이로써, 절연성을 더욱 높일 수 있다. 이 경우의 두께는, 기판(1)의 표면과 평행한 방향(가로 방향)의 길이이며, 유기 발광체(10)의 적층 방향과 수직인 방향에서의 길이이다. 절연 피복체(26)의 두께의 상한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유기 EL 소자를 구성했을 때, 기판(1)의 단부의 위치로부터 수평 방향으로 돌출되지 않도록, 절연 피복체(26)의 두께가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절연 피복체(26)의 두께는, 예를 들면, 3㎜ 이하로 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1㎜ 이하로 할 수 있다.
그리고, 본 형태의 유기 EL 소자는, 도 13에서 설명한 충전 봉지 구조로 형성되어 있다. 물론, 유기 EL 소자는, 중공 구조로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도 36은, 유기 EL 소자의 실시형태의 일례를 나타내고 있다. 상기한 실시형태와 같은 구성에 대해서는 같은 부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을 생략한다. 도 36의 형태는, 절연 피복체(26)를 가지고 있다. 절연 피복체(26)의 재료 및 형성 방법 등은, 도 35의 형태와 같아도 된다.
본 형태에서는, 전극편(3)은, 외부측의 표면 전체가 절연 피복체(26)로 피복되어 있다. 전극편(3)의 전체가 절연성을 가지는 절연 피복체(26)로 피복되는 것에 의해, 조명 장치를 설치했을 때, 인접하는 전극편(3)이 접촉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전극편(3)의 외부 표면 전체가 피복되므로, 절연 거리를 더욱 높게 확보할 수 있다. 그러므로, 절연성을 더욱 높이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절연 피복체(26)가 전극편(3)의 전체를 덮으므로, 절연 피복체(26)과 전극편(3)과의 접합성을 높일 수 있는 동시에, 절연 피복체(26)를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본 형태의 유기 EL 소자는, 도 9에 나타낸 형태에 절연 피복체(26)를 설치한 것을 나타내고 있지만, 절연 피복체(26)는 다른 형태에도 적용할 수 있다.
도 37은, 절연 피복체(26)를, 도 10의 형태에 적용한 예이다. 본 형태에서는, 유기 EL 소자는 배선판(24)을 가진다. 이 경우도 절연 거리를 용이하게 확보할 수 있다.
도 38은, 유기 EL 소자의 실시형태의 일례를 나타내고 있다. 상기한 실시형태와 같은 구성에 대해서는 같은 부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을 생략한다.
본 형태에서는, 절연 피복체(26)는, 전극편(3)의 연신부의 선단보다 기판(1) 측으로 돌출되어 있다. 즉, 절연 피복체(26)의 기판(1) 측의 선단은, 전극편(3)의 고정편(32)의 기판(1) 측의 선단으로부터 돌출되어 튀어오르는. 절연 피복체(26)가 전극편(3)의 연신부의 선단보다 기판(1) 측으로 돌출함으로써, 도전성 페이스트(20)에 의해 형성되는 도전 고정부(21)의 측방을 덮는 것이 가능하다. 그러므로, 절연 거리를 더욱 용이하게 확보할 수 있다. 또한, 도전성 페이스트(20)의 유출을 억제할 수 있으므로, 절연성을 더욱 높일 수 있다.
도 38에서는, 절연 피복체(26)의 전극편(3)보다도 돌출된 부분은, 절연 돌출부(26a)로서 도시되어 있다.
본 형태에 있어서는, 절연 피복체(26)는 가요성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절연 피복체(26)가 가요성을 가지는 것에 의해, 전극편(3)을 기판(1) 측에 근접시켰을 때, 절연 피복체(26)를 변형시킬 수 있으므로, 고정편(32)의 선단을 전극 인출부(5) 측에 의해 근접시킬 수 있다. 물론, 절연 피복체(26)로서는, 가요성을 갖지 않는 것도 사용 가능하다.
도 39는, 유기 EL 소자의 실시형태의 일례를 나타내고 있다. 상기한 실시형태와 같은 구성에 대해서는 같은 부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을 생략한다.
본 형태에서는, 절연 피복체(26)에서의 전극편(3)의 연신부의 선단보다도 돌출된 절연 돌출부(26a)는, 외측으로 팽창하고 있다. 절연 돌출부(26a)가 외측으로 팽창한 것에 의해, 도전성 페이스트(20)의 유출을 억제할 수 있으므로, 절연성을 더욱 높일 수 있다. 또한, 도전 고정부(21)의 크기를 더욱 크게 할 수 있으므로, 전기 접속성을 높일 수 있다. 절연 피복체(26)의 외측의 팽창은, 도전성 페이스트(20)에 접촉했을 때, 압압되어 팽창하여 형성되는 것으로 해도 된다. 절연 피복체(26)는, 굴곡 구조를 가지는 것이라도 된다.
도 39의 형태에서는, 절연 피복체(26)의 기판(1) 측의 단부, 즉 절연 돌출부(26a)는, 기판(1)에 접하고 있다. 기판(1)에 접함으로써, 도전성 페이스트(20)의 유출을 높게 억제할 수 있다.
도 40, 도 41 및 도 42는, 절연 피복체(26)를 가지는 유기 EL 소자의 다른 실시형태를 나타내고 있다. 유기 EL 소자는, 전극편(3)의 연신부, 절연 피복체(26), 또는 전극편(3)과 절연 피복체(26)와의 사이에, 기판(1) 측에 개구되는 간극(27)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한 태양이다. 이로써, 모세관 현상을 이용하여 도전성 페이스트(20)를 외부측으로 유출되는 것을 간단하게 억제할 수 있다. 간극(27)은, 도전성 페이스트(20)에 의해 형성된 도전 고정부(21)가 침입하고 있어도 된다.
도 40의 형태에서는, 전극편(3)의 연신부에, 기판(1) 측에 개구되는 간극(27)을 가지고 있다. 즉, 전극편(3)은, 고정편(32)의 선단의 기판(1) 측의 면에 개구되어 간극이 형성되고, 간극(27)이 형성되어 있다. 이 간극(27)은, 고정편(32)의 선단이 가로 방향으로 분기함으로써 형성되어 있다. 전극편(3)이 간극(27)을 가지는 것에 의해, 모세관 현상을 이용하여, 이 간극(27)에 도전성 페이스트(20)를 침입시킬 수 있다. 그러므로, 도전성 페이스트(20)의 유출을 억제할 수 있다.
도 41의 형태에서는, 절연 피복체(26)에, 기판(1) 측에 개구되는 간극(27)을 가지고 있다. 즉, 절연 피복체(26)는, 기판(1) 측의 선단이 개구되어 간극이 형성되고, 간극(27)이 형성되어 있다. 이 간극(27)은, 절연 피복체(26)의 선단이 가로 방향으로 분기함으로써 형성되어 있다. 절연 피복체(26)가 간극(27)을 가지는 것에 의해, 모세관 현상을 이용하여, 이 간극(27)에 도전성 페이스트(20)를 침입시킬 수 있다. 그러므로, 도전성 페이스트(20)의 유출을 억제할 수 있다.
도 42의 형태에서는, 전극편(3)과 절연 피복체(26)와의 사이에, 기판(1) 측에 개구되는 간극(27)을 가지고 있다. 즉, 전극편(3)과 절연 피복체(26)는, 선단부에 있어서 이격되어 간극이 형성되어 있고, 이 간극에 의해 간극(27)이 형성되어 있다. 이 간극(27)은, 전극편(3)과 절연 피복체(26)의 선단 부분이 접착되어 있지 않은 것에 의해 형성되는 것이라도 된다. 전극편(3)과 절연 피복체(26)와의 사이에 간극(27)을 가지는 것에 의해, 모세관 현상을 이용하여, 이 간극(27)에 도전성 페이스트(20)를 침입시킬 수 있다. 그러므로, 도전성 페이스트(20)의 유출을 억제할 수 있다.
도 43은, 유기 EL 소자의 실시형태의 일례를 나타내고 있다. 상기한 실시형태와 같은 구성에 대해서는 같은 부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을 생략한다. 도 43 이후에서는, 배선판(24)을 사용한 유기 EL 소자의 바람직한 태양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 도 10의 형태에서는, 배선판(24)을 사용하여 전극을 인출하는 구조를 설명하였다. 여기서, 배선판(24)을 사용하는 경우, 배선판(24)은 열팽창이나 열수축이 일어나기 쉽다. 예를 들면, 유기 EL 소자의 구동에 의해 발열하여 온도가 높아지면, 열에 의해 배선판(24)이 팽창하기 용이해진다. 열팽창이 발생하면, 전극편(3)에 인장력이 작용하는 등 하여, 전극편(3)의 접촉 불량이 발생하거나, 도전성 페이스트(20)가 경화되어 형성된 부분[도전 고정부(21) 및/또는 도전 접착부(22)]가 파손되거나 하는 경우가 있으므로, 전기적 접속성을 높이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상기한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배선판(24)의 재료에, 수지 재료, 실리콘 재료, 세라믹 기판 등을 사용하고, 봉지재(2)에 유리를 사용한 경우, 배선판(24)과 봉지재(2)와 재료가 상이하므로, 열에 의한 팽창 또는 수축의 문제가 생기기 쉽게 된다. 열팽창 계수가 상이하기 때문이다 . 그래서, 배선판(24)을 사용한 형태에서의, 바람직한 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43의 형태에서는, 도 10의 형태와 마찬가지로, 배선판(24)을 사용하여 전극의 인출 구조를 형성하고 있다. 도 43의 형태는, 지지편(31)을 내부측으로 연장하고, 이 지지편(31)이, 배선판(24)의 내측에 형성된 인출 전극 확장부(23)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는 점에서, 도 10의 형태와는 다르다. 인출 전극 확장부(23)는, 배선판(24)의 배선의 배치에 의해, 다른 개소에서 외부 전원과 통전하는 전극이 배선판(24)에서 노출되어 있어도 된다. 지지편(31)을 길게 함으로써, 전극편(3)의 고정 강도를 높일 수 있는 동시에, 배선의 배치 설계의 자유도를 높일 수 있다. 그리고, 도 43에서는, 배선판(24)을 접착제에 의해 봉지재(2)에 접착하고 있고, 이 접착제에 의해 배선판 접착층(28)이 구성되어 있다.
도 44의 (a)는, 도 43의 형태의 유기 EL 소자에 사용하는 전극편(3)의 일례를 나타내고 있다. 이 전극편(3)은, 지지편(31) 및 고정편(32)이 평탄한 편으로서 형성되어 있다. 도 44의 의 (b) 및 (c)는, 도 44의 (a)의 전극편(3)을 사용하여 형성한 유기 EL 소자를 나타내고 있다. 도 44의 (b)는, 기판(1)의 표면에 수직인 방향에 있어서, 배선판(24) 측으로부터 본 전극편(3) 근방의 모양을 나타내고 있다. 도 44의 (c)는, 기판(1)의 표면에 평행한 방향으로부터 유기 EL 소자의 측부를 본 전극편(3) 근방의 모양을 나타내고 있다. 도 44의 (a)의 전극편(3)에서는, 온도가 높아져 배선판(24)에 열팽창이 생겼을 때, 전극편(3)에 부하가 걸려, 그 부하에 의해 전기 접속성이 손상될 염려가 있다. 열팽창은 기판(1)의 표면과 평행한 방향으로 생길 수 있다. 그러므로, 배선판(24)의 열팽창은 면이 넓어지는 방향으로 생길 수 있다. 도 43에서는, 배선판(24)의 열팽창을 검은 색 화살표로 나타내고 있다.
그래서, 전극편(3)은, 기판(1)의 표면에 평행한 방향에 대한 응력을 완화하는 응력 완화 구조(35)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응력 완화 구조(35)는, 전극편(3)이 연신 수축 변형 가능한 구조라도 된다. 더욱 상세하게는, 전극편(3)이 연신되는 방향으로, 전기적 접속성을 확보하면서 변형 가능한 구조인 것으로 해도 된다. 전극편(3)이 응력 완화 구조(35)를 가지는 것에 의해, 배선판(24)의 열팽창 또는 열수축에 의한 열변형을 흡수할 수 있으므로, 전극편(3)이 접속 불량해지는 것을 저감할 수 있어, 유기 EL 소자의 전기적 신뢰성을 높일 수 있다. 전극편(3)의 변형은, 응력을 흡수하는 미변형이라도 된다.
도 45의 (a), 도 45의 (b) 및 도 45의 (c)는, 응력 완화 구조(35)를 가지는 전극편(3)의 각 일례를 나타내고 있다. 이들 형태에서는, 응력 완화 구조(35)는, 전극편(3)에 형성된 개구부(36)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개구부(36)를 가지는 것에 의해, 전극편(3)이 변형되기 쉬우므로, 효율적으로 응력을 완화할 수 있다. 개구부(36)는 1개라도 되지만, 복수 형성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이로써, 응력을 더욱 완화할 수 있다. 개구부(36)는, 전극편(3)의 두께 방향을 관통하는 구멍으로서 형성되어 있다. 개구부(36)는, 전극편(3)의 연신 방향을 따른 긴 구멍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써, 응력을 완화하기 쉽게 할 수 있다. 도 45의 각 형태에서는, 긴 구멍의 개구부(36)가, 등간격(等間隔)으로 전극편(3)의 폭 방향을 따라 나란히 배치되어 있다. 개구부(36)는, 슬릿형의 구멍이라도 된다.
도 45의 (a)의 전극편(3)에서는, 개구부(36)는, 지지편(31)과 고정편(32)과의 양쪽에 설치되어 있다. 이로써, 응력을 높게 완화할 수 있다. 도 45의 (a)의 전극편(3)을 사용한 경우, 전극편(3) 근방의 부분이, 도 43에 나타내는 단면 구조를 가지고, 도 46의 (a)에 나타낸 평면도로 되고, 도 46의 (b)로 나타낸 측면도로 되는 유기 EL 소자를 얻을 수 있다.
도 45의 (b)의 전극편(3)에서는, 개구부(36)는, 지지편(31)에 형성되어 있고, 고정편(32)에는 형성되어 있지 않다. 이 경우도, 전극편(3)의 미변형이 가능해지므로, 응력을 완화할 수 있다. 도 45의 (b)의 전극편(3)을 사용한 경우, 전극편(3) 근방의 부분이, 도 43에 나타내는 단면 구조를 가지고, 도 46의 (a)에 나타낸 평면도로 되고, 도 44의 (c)에 나타낸 측면도로 되는 유기 EL 소자를 얻을 수 있다.
도 45의 (c)의 전극편(3)에서는, 개구부(36)는, 고정편(32)에 형성되어 있고, 지지편(31)에는 설치되어 있지 않다. 이 경우도, 전극편(3)의 미변형이 가능해지므로, 응력을 완화할 수 있다. 도 45의 (c)의 전극편(3)을 사용한 경우, 전극편(3) 근방의 부분이, 도 43에 나타내는 단면 구조를 가지고, 도 44의 (b)에 나타낸 평면도로 되고, 도 46의 (b)에 나타낸 측면도로 되는 유기 EL 소자를 얻을 수 있다.
도 45의 (a)의 형태에서는, 도 45의 의 (b) 및 (c)에 비해 전극편(3)의 변형 영역이 많기 때문에 변형 수축 성능이 향상되는 장점을 가진다. 한편, 도 45의 (b) 및 도 45의 (c)에서는, 개구부(36)가 1개의 편에만 설치되므로, 제조가 용이하게 되는 동시에, 전극편(3)의 강도를 높일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진다. 또한, 도 45의 (c)에서는, 지지편(31)에 개구가 없기 때문에, 전극편(3)을 장착할 때 지지편(31)을 용이하게 배선판(24)에 접합할 수 있어, 제조를 용이하게 할 수 있는 것이 가능하다.
도 45의 각각의 전극편(3)에서는, 개구부(36)는, 지지편(31) 또는 고정편(32)과 구성되는 1개의 편에 4개 설치되어 있지만, 개구부(36)의 수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1개라도 되고, 2개 또는 3개라도 되고, 5개 이상이라도 된다. 그리고, 개구부(36)는, 지지편(31)과 고정편(32)의 경계 부분에는 형성되어 있지 않은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써, 전극편(3)의 강도가 저하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개구부(36)는, 예를 들면, 전극편(3)을 구성하는 금속편을 펀칭에 의해 잘라냄으로써 형성할 수 있다. 또는, 전극편(3)의 절곡 가공 시에 성형형(成形型; forming mold)에 의해 펀칭해도 된다.
도 47의 (a)는, 응력 완화 구조(35)를 가지는 전극편(3)의 다른 일례를 나타내고 있다. 도 47의 (b) 및 도 47의 (c)는, 도 47의 (a)의 전극편(3)을 사용하여 형성한 유기 EL 소자의 전극편(3) 근방의 모양을 나타내고, 도 47의 (b)는 평면도, 도 47의 (c)는 측면도이다.
본 형태에서는, 응력 완화 구조(35)는, 전극편(3)에 형성된 절결부(37)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절결부(37)는, 전극편(3)의 폭 방향(연신 방향으로 수직인 방향)과 절결한 슬릿으로서 형성되어 있다. 절결부(37)를 가지는 것에 의해, 전극편(3)이 변형되기 쉬우므로, 효율적으로 응력을 완화할 수 있다. 그리고, 단면 구조는, 도 43과 마찬가지로 된다.
도 47의 (a)의 전극편(3)에서는, 지지편(31)과 고정편(32)과의 양쪽에 각 1개의 절결부(37)가 형성되어 있다. 절결부(37)는, 지지편(31) 및 고정편(32) 중 어느 한쪽에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이 경우도, 전극편(3)의 미변형이 가능하게 되므로, 응력을 완화할 수 있다. 절결부(37)는, 전극편(3)의 측부(연신 방향과 수직인 방향의 단부)가 분단되어 형성되므로, 전극편(3)은 보다 연신 방향으로 변형되기 용이해진다. 그러므로, 변형 흡수성을 향상시킬 수 있어, 유기 EL 소자의 전기적 신뢰성을 높일 수 있다.
도 48의 (a)는, 응력 완화 구조(35)를 가지는 전극편(3)의 다른 일례를 나타내고 있다. 도 48의 (b) 및 도 48의 (c)는, 도 48의 (a)의 전극편(3)을 사용하여 형성한 유기 EL 소자의 전극편(3) 근방의 모양을 나타내고, 도 48의 (b)는 평면도, 도 48의 (c)는 측면도이다.
본 형태에서는, 응력 완화 구조(35)는, 전극편(3)에 형성된 복수의 절결부(37)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복수의 절결부(37)는, 전극편(3)이 S자형의 부분을 가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본 형태에서도, 절결부(37)는, 전극편(3)의 폭 방향(연신 방향에 수직인 방향)으로 절결한 슬릿으로서 형성되어 있다. 절결부(37)를 가지는 것에 의해, 전극편(3)이 변형되기 쉬우므로, 효율적으로 응력을 완화할 수 있다. 그리고, 전극편(3)이 S자형의 부분을 가짐으로써, 연신 방향의 변형을 더욱 쉽게 할 수 있어, 응력의 완화 작용을 더욱 높이는 것이 가능하다. 폭 방향에 있어서, 일방향으로부터의 절결뿐아니라, 양 방향으로부터 절결되는 것에 의해, 스프링형의 탄성이 더 부여되어 변형성이 높아지기 때문이다.
전극편(3)에 형성되는 절결부(37)의 수는, 1개라도 되고, 복수라도 되지만, 복수의 절결부(37)가 형성되면, 응력을 더욱 완화할 수 있다. 그리고, 또한 복수의 절결부(37)를 형성하는 경우에는, 도 48의 (a)와 같이 S자형의 부분을 가지도록, 절결부(37)를 형성하면, 변형 흡수 성능이 효율적으로 높아진다. 물론, 일방향으로부터의 절결이 복수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그리고, 1개의 편[지지편(31) 및/또는 고정편(32)]에 3개 이상의 절결부(37)가 형성되는 경우에는, 전극편(3)의 폭 방향의 단부가 교호적으로 절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전극편(3)은 지그재그형으로 된다. 전극편(3)은, 복수의 S자형의 부분이 연결한 형상으로 되어도 된다.
도 48의 (a)의 전극편(3)에서는, 지지편(31)과 고정편(32)과의 양쪽에 각각의 2개의 절결부(37)가 형성되어 있다. 절결부(37)는, 지지편(31) 및 고정편(32) 중 어느 한쪽에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이 경우도, 전극편(3)의 미변형이 가능하게 되므로, 응력을 완화할 수 있다.
절결부(37)는, 예를 들면, 전극편(3)을 구성하는 금속편을 펀칭에 의해 잘라냄으로써 형성할 수 있다. 또는, 전극편(3)의 절곡 가공 시에 성형형에 의해 펀칭해도 된다.
도 49는, 응력 완화 구조(35)를 가지는 전극편(3)의 다른 일례를 사용하여 형성한 유기 EL 소자를 나타내고, 도 49의 (a)는 단면도, 도 49의 (b)는 평면도, 도 49의 (c)는 측면도이다. 본 형태에서는, 응력 완화 구조(35)는, 전극편(3)에 형성된 파형 구조(38)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파형 구조(38)를 가지는 것에 의해, 전극편(3)이 변형되기 쉬우므로, 효율적으로 응력을 완화할 수 있다. 그리고, 전극편(3)이 파형으로 됨으로써, 단면 S자형의 부분이 1개 또는 복수 형성되므로, 연신 방향의 변형을 더욱 쉽게 할 수 있어, 응력의 완화 작용을 더욱 높이는 것이 가능하다. 전극편(3)은, 벨로즈형으로 되어 연신 방향으로 변형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본 형태에서는, 파형 구조(38)는, 폭 방향에 걸쳐 두께 방향으로 절결된 슬릿형의 복수의 오목부(39)에 의해 파형 구조(38)가 형성되어 있다. 복수의 오목부(39)는, 전극편(3)의 외부측의 표면이 오목한 외부측 오목부(39a)와 내부측의 표면이 오목한 내부측 오목부(39b)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외부측 오목부(39a)와 내부측 오목부(39b)는 연신 방향을 따라 교호적으로 배치되어 있다. 이로써, 전극편(3)은 요철(凹凸)이 형성되어 있다. 도 49의 (b) 및 도 49의 (c)에서는, 은폐된 오목부(39)를 파선으로 나타내고 있다.
파형 구조(38)는, 지지편(31)과 고정편(32)의 한쪽에만 설치되어 있어도 된다. 이 경우도, 전극편(3)은 미변형이 가능하게 되므로, 응력을 완화할 수 있다. 단, 지지편(31)과 고정편(32)의 양쪽에 설치되어 있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이로써, 변형성을 더욱 높일 수 있다.
도 50은, 파형 구조(38)에 의해 구성된 응력 완화 구조(35)를 가지는 전극편(3)에 의해 형성된 유기 EL 소자의 다른 일례를 나타내고 있다. 본 형태에서는, 전극편(3)을 구성하는 금속편이 연신 방향으로 곡선형으로 파형상으로 되므로, 파형 구조(38)가 형성되어 있다. 본 형태에서는, 예를 들면, 프레스 가공에 의해 전극편(3)에 용이하게 파형 구조(38)를 형성할 수 있다. 파형 구조(38)를 가지는 것에 의해, 전극편(3)의 변형성이 향상되어, 응력을 완화할 수 있다. 파형 구조(38)는, 지지편(31) 및 고정편(32) 중 한쪽에 설치되는 것이라도 된다. 파형 구조(38)를 구성하는 1개의 물결은 단면 반원형으로 되는 것이라도 된다.
도 51은, 파형 구조(38)에 의해 구성된 응력 완화 구조(35)를 가지는 전극편(3)에 의해 형성된 유기 EL 소자의 다른 일례를 나타내고 있다. 본 형태에서는, 전극편(3)을 구성하는 금속편이 연신 방향으로 톱니모양의 파형상으로 되므로, 파형 구조(38)가 형성되어 있다. 본 형태에서는, 예를 들면, 프레스 가공에 의해 전극편(3)에 용이하게 파형 구조(38)를 형성할 수 있다. 파형 구조(38)를 가지는 것에 의해, 전극편(3)의 변형성이 향상되어, 응력을 완화할 수 있다. 파형 구조(38)는, 지지편(31) 및 고정편(32) 중 한쪽에 형성되는 것이라도 된다. 파형 구조(38)를 구성하는 1개의 물결은 단면 삼각형으로 되는 것이라도 된다.
도 52 및 도 53은, 응력 완화 구조(35)를 가지는 전극편(3)에 의해 형성된 유기 EL 소자의 다른 일례를 나타내고 있다. 이들 형태에서는, 응력 완화 구조(35)는, 전극편(3)에서의 기판(1)의 표면에 수직인 방향을 따른 부분과 기판(1)의 표면에 평행한 방향을 따른 부분과의 경계인 굴곡부(40)가, 전극편(3)의 표면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어 구성되어 있다. 즉, 고정편(32)과 지지편(31)과의 경계 부분인 굴곡부(40)가 외측으로 돌출되어 있다. 굴곡부(40)가 외측으로 돌출함으로써, 이 굴곡부(40)가 변형을 흡수하여 전극편(3)이 전체로서 미변형되는 것이 가능해져, 응력을 완화할 수 있다. 그리고, 굴곡부(40)의 돌출에 의해, 전극편(3)에는, 돌기가 형성되어 있다.
도 52의 형태에서는, 굴곡부(40)는, 기판(1)과는 반대측의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다. 도 53의 형태에서는, 굴곡부(40)는, 측방을 향해 돌출되어 있다. 이들 형태에서는, 전극편(3)의 절곡 가공에 의해 용이하게 응력 완화 구조(35)를 형성할 수 있다. 도 52의 형태는, 굴곡부(40)가 측방으로 튀어나오지 않기 때문에, 비발광 영역을 작게 하기 위해서는 유리하다. 또한, 도 52의 형태는, 인접하는 유기 EL 소자의 절연 거리를 높이기 위해서는 유리하다. 한편, 도 53의 형태는, 전극편(3)이 발광면과는 반대측의 면(배면)으로 튀어나오지 않기 때문에, 박형화를 도모하기 위해서는 유리하다.
그런데, 전극편(3)에 응력 완화 구조(35)가 설치되는 태양은, 배선판(24)을 갖지 않는 유기 EL 소자의 경우에도 유효하다. 그리고, 배선판(24)이 없는 상기한 각 형태에, 응력 완화 구조(35)를 가지는 전극편(3)을 사용할 수 있다. 이 경우, 봉지재(2)에 전극편(3)을 접착하는 경우에 있어서 보다 유효하다. 또한, 도전성 페이스트(20)를 사용하여 전극편(3)을 접착하는 경우[도전 고정부(21) 및 도전 접착부(22)의 한쪽 또는 양쪽이 형성되는 경우]에 있어서, 보다 유효하다. 응력 완화 구조(35)를 설치하면, 유리 등으로 구성되는 봉지재(2)와, 금속편으로 구성되는 전극편(3)과의 사이의 열 수축차를 흡수할 수 있다. 유리판과 금속편과의 사이에도 열 수축차가 있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전기 접속성을 높일 수 있다. 단, 발생하는 응력은, 배선판(24)을 설치한 쪽이 크기 때문에, 응력 완화 구조(35)는, 배선판(24)을 설치한 경우보다 유리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도 54는, 유기 EL 소자의 실시형태의 일례를 나타내고 있다. 상기한 실시형태와 같은 구성에 대해서는 같은 부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을 생략한다. 도 54에서는, 배선판(24)의 열팽창에 의해 발생할 수 있는 전극편(3)의 접속 불량을 억제할 수 있는 다른 태양이 설명된다. 본 형태에서는, 도 10의 형태와 마찬가지로, 배선판(24)을 사용하여 전극의 인출 구조를 형성하고 있다.
그리고, 본 형태에서는, 인출 전극 확장부(23)는, 배선판(24)의 봉지재(2) 측의 표면에 형성되어 있다. 인출 전극 확장부(23)는, 평면에서 볼 때, 봉지재(2)와 중복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본 형태에서는, 열팽창에 의한 휨이 쉽게 생기지 않는 봉지재(2) 측의 표면에서 전극편(3)과 인출 전극 확장부(23)를 접속하므로, 열팽창 시의 변형량을 억제할 수 있으므로, 접속 신뢰성을 높일 수 있다. 즉, 배선판(24)은, 배선판 접착층(28)에 의해 봉지재(2)에 접착되어 있고, 배선판(24)의 외부측의 표면과 내부측의 표면과는, 봉지재(2)에 접착하는 측의 면인 내부측의 면 쪽이 열팽창량이 적다. 따라서, 배선판(24)의 것보다 변형성의 적은 면에서 전극편(3)과의 전기 접속을 행함으로써, 열팽창 시에 전기 접속이 분단되기 어려워져, 접속 신뢰성을 높일 수 있는 것이다.
도 54의 형태에서는, 배선판 접착층(28)은, 전극편(3)을 수용하는 스페이서로 된다. 배선판 접착층(28)보다 측방에 배선판(24)의 봉지재(2) 측의 표면이 노출된 영역이 형성되고, 그 영역에 인출 전극 확장부(23)가 설치된다. 인출 전극 확장부(23)는 배선판(24)의 본체 표면과 면일치라도 된다.
인출 전극 확장부(23)는, 도전 재료에 의해 형성된 도전 접속부(29)에 의해, 전극편(3)과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써, 접속 신뢰성을 높일 수 있다. 본 형태에서는, 인출 전극 확장부(23)와 전극편(3)의 지지편(31)은, 도전성 페이스트(20)에 의해 형성된 도전 접속부(29)에 의해 접속되어 있다. 도전 접속부(29)는, 봉지재(2)와 전극편(3)과의 사이에도 설치하여, 전극편(3)을 봉지재(2)에 접착시키는 기능을 가지는 도전 접착부(22)를 겸해도 된다.
본 형태에서는, 인출 전극(11)과 인출 전극 확장부(23)가 평면에서 볼 때 중복되어 있다. 그러므로, 전기 접속성을 높일 수 있다.
도 55는, 유기 EL 소자의 실시형태의 일례를 나타내고 있다. 상기한 실시형태와 같은 구성에 대해서는 같은 부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을 생략한다.
본 형태에서는, 배선판(24)은, 평면에서 볼 때, 전극편(3)보다 내부측에 배치되어 있다. 인출 전극 확장부(23)는, 배선판(24)의 봉지재(2) 측의 표면에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인출 전극 확장부(23)와 전극편(3)은, 도전성 페이스트(20)에 의해 형성된 도전 접속부(29)에 의해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도전 접속부(29)는, 봉지재(2)의 표면을 따라 연신되어 형성되어 있고, 배선판(24)과 봉지재(2)와의 사이, 및 지지편(31)과 봉지재(2)와의 사이에 침입하고 있다. 도전 접속부(29)는, 전극편(3)을 봉지재(2)에 접착하는 도전 접착부(22)를 겸하고 있다.
본 형태에서는, 열팽창에 의한 휨이 쉽게 생기지 않는 봉지재(2) 측의 표면에서 전극편(3)과 인출 전극 확장부(23)를 접속하므로, 열팽창때의 변형을 흡수할 수 있으므로, 접속 신뢰성을 높일 수 있다.
본 형태에서는, 도 5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인출 전극 확장부(23)와 전극편(3)는 평면에서 볼 때 중복되어 있지 않다. 인출 전극 확장부(23)는, 평면에서 볼 때, 전극편(3)보다 내측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배선판(24)은, 전극편(3)과는, 평면에서 볼 때 중복되어 있지 않다. 전극편(3)과 배선판(24)이 두께 방향으로 중첩되지 않는 것에 의해, 박형화를 도모할 수 있다.
도 56은, 유기 EL 소자의 실시형태의 일례를 나타내고 있다. 상기한 실시형태와 같은 구성에 대해서는 같은 부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을 생략한다.
본 형태에서는, 배선판(24)은, 평면에서 볼 때, 전극편(3)보다 내부측에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인출 전극 확장부(23)는, 봉지재(2)의 표면에 형성되는 제1 인출 전극 확장부(23a)와, 배선판(24)의 봉지재(2) 측의 표면에 형성되어 있는 제2 인출 전극 확장부(23b)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제1 인출 전극 확장부(23a)와 제2 인출 전극 확장부(23b)는, 도전성 페이스트(20)에 의해 형성된 도전 접속부(29)에 의해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전극편(3)은, 도전 접착부(22)에 의해 봉지재(2)의 표면에 형성된 제1 인출 전극 확장부(23a)에 접착되어 있다.
본 형태에서는, 열팽창에 의한 휨이 쉽게 생기지 않는 봉지재(2) 측의 표면에서 전극편(3)과 인출 전극 확장부(23)를 접속하므로, 열팽창 시의 변형을 흡수할 수 있으므로, 접속 신뢰성을 높일 수 있다.
본 형태에서는, 도 5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인출 전극 확장부(23)와 전극편(3)는 평면에서 볼 때 중복되어 있지 않다. 인출 전극 확장부(23)는, 평면에서 볼 때, 전극편(3)보다 내측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배선판(24)은, 전극편(3)과는, 평면에서 볼 때 중복되어 있지 않다. 전극편(3)과 배선판(24)이 두께 방향으로 중첩되지 않는 것에 의해, 박형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봉지재(2)의 표면에 형성된 제1 인출 전극 확장부(23a)에 의해 전기 접속을 행하므로, 전극의 인출 구조를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는 동시에, 접속 신뢰성을 높일 수 있다. 그리고, 제1 인출 전극 확장부(23a)는, 도금 등으로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배선판(24)의 봉지재(2)와는 반대측의 표면에는, 전극층(42)이 형성되어 있다. 전극층(42)은, 배선판(24)의 내부 배선 구조에 의해 인출 전극 확장부(23)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따라서, 전극층(42)과 외부 전원과의 접속을 행할 수 있다.
도 57은, 유기 EL 소자의 실시형태의 일례를 나타내고 있다. 상기한 실시형태와 같은 구성에 대해서는 같은 부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을 생략한다.
도 57의 형태는, 봉지재(2)의 표면에 배선판(24)을 구비하고 있고, 배선판(24)의 표면에 인출 전극 확장부(23)가 설치되어 있다. 본 형태에서는, 배선판(24)의 기판(1)과는 반대측의 표면에 인출 전극 확장부(23)가 설치되어 있다. 인출 전극 확장부(23)는 배선판(24)에서의 봉지재(2) 측의 표면에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단, 본 형태에서는, 기판(1)과는 반대측의 표면에 인출 전극 확장부(23)를 설치한 쪽이 배선 접속이 용이하게 된다. 배선판(24)은, 평면에서 볼 때, 봉지재(2)보다 내측에 배치되어 있다. 전극편(3)은, 봉지재(2)에 접착되어 있다. 그리고, 전극편(3)과 인출 전극 확장부(23)가, 도전 접속부(29)를 구성하는 가요성 도전체(41)에 의해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가요성 도전체(41)는, 가요성을 가지는 도전재에 의해 형성되는 것이다. 가요성 도전체(41)에 의해 접속됨으로써, 열팽창이 일어났을 때는, 가요성 도전체(41)가 변형되어 응력을 흡수하여 완화할 수 있다. 그러므로, 전기적 신뢰성을 높일 수 있다. 그리고, 전극편(3)은, 접착제가 경화되어 형성된 전극편 지지체(4)에 의해 접착되어 있지만, 도전성 페이스트(20)에 의해 접착되어 있어도 된다.
가요성 도전체(41)는, 도전성의 선재(線材)인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가요성 도전체(41)는, 와이어 등으로 구성되는 것으로 해도 된다. 와이어를 사용하는 경우, 용이하게 접속성 높게 전기 접속을 행할 수 있다. 전극편(3)과 와이어와의 사이, 및 인출 전극 확장부(23)와 와이어와의 사이의 접속은, 와이어 본딩이나 리본 본딩으로 행할 수 있다.
1; 기판
1a; 스텝부
2; 봉지재
3; 전극편
4; 전극편 지지체
5; 전극 인출부
6; 봉지 간극
7; 제1 전극
8; 유기 발광층
9; 제2 전극
10; 유기 발광체
11; 인출 전극
12; 단자부
13; 돌기
14; 탄성부
15; 하우징
16; 절연 배리어체
17; 접착층
18; 수지부
20; 도전성 페이스트
21; 도전 고정부
22; 도전 접착부
23; 인출 전극 확장부
24; 배선판
25; 절연 벽부
26; 절연 피복체
26a; 절연 돌출부
27; 간극
28; 배선판 접착층
29; 도전 접속부
31; 지지편
32; 고정편
33; 면접촉편
34; 단자편
35; 응력 완화 구조
36; 개구부
37; 절결부
38; 파형 구조
39; 오목부
40; 굴곡부
41; 가요성 도전체
100; 조명 패널

Claims (41)

  1. 기판의 표면에, 제1 전극과 유기 발광층과 제2 전극의 순서를 가지는 유기 발광체가 형성되고, 상기 유기 발광체는, 상기 기판에 접착된 봉지재(封止材)에 의해 덮혀 봉지되어 있는 유기 전계 발광 소자로서,
    상기 기판의 단부(端部) 표면에, 상기 제1 전극 및 상기 제2 전극 중 적어도 한쪽과 전기적으로 접속된 전극 인출부(electrode lead-out part)가, 상기 봉지재보다 외측으로 인출되어 설치되고,
    상기 봉지재의 상기 기판과는 반대측에, 인출 전극이 전극편에 의해 설치되고,
    상기 전극편의 연신부(延伸部)가 상기 전극 인출부에 고정되는 것에 의해, 상기 전극편과 상기 전극 인출부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는,
    유기 전계 발광 소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편은, 상기 기판의 양 단부에 설치되고,
    상기 전극편은, 평면에서 볼 때 수평 방향의 위치가 상이하도록 배치되어 있는, 유기 전계 발광 소자.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의 측부에, 절연 배리어체(barrier body)가 설치되고,
    상기 절연 배리어체는, 상기 기판의 표면에 수직인 방향에 있어서, 상기 전극 인출부보다 돌출되어 있는, 유기 전계 발광 소자.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 배리어체는, 상기 기판의 표면에 수직인 방향에 있어서, 상기 기판의 상기 봉지재가 접착된 면과는 반대측의 면에 있어서 돌출되어 있지 않은, 유기 전계 발광 소자.
  5.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편은, 상기 기판의 복수의 단부에 설치되고,
    상기 기판의 상기 복수의 단부 중의 절반 이상의 단부의 위치에서의 상기 기판의 측부에, 상기 절연 배리어체가 설치되어 있는, 유기 전계 발광 소자.
  6.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편은, 상기 기판의 복수의 단부에 설치되고,
    상기 기판의 상기 복수의 단부 중 전부의 단부의 위치에서의 상기 기판의 측부에, 상기 절연 배리어체가 설치되어 있는, 유기 전계 발광 소자.
  7. 제3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 배리어체와 상기 봉지재 사이에, 수지가 충전되어 있는, 유기 전계 발광 소자.
  8. 제3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 배리어체는, 상기 기판의 표면에 수직인 방향에 있어서, 상기 전극편보다도 돌출되어 있는, 유기 전계 발광 소자.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편은, 적어도 상기 기판을 향해 연신되는 상기 연신부의 외부측 표면이 절연 피복체로 피복되어 있는, 유기 전계 발광 소자.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 피복체는, 두께가 0.1㎜ 이상인, 유기 전계 발광 소자.
  11. 제9항 또는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 피복체는, 상기 전극편의 상기 연신부의 선단보다 상기 기판측으로 돌출되어 있는, 유기 전계 발광 소자.
  12. 제9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편의 상기 연신부, 상기 절연 피복체, 또는 상기 전극편과 상기 절연 피복체 사이에, 상기 기판측에 개구되는 간극(間隙)을 가지는, 유기 전계 발광 소자.
  13. 제9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 피복체에서의 상기 전극편의 상기 연신부의 선단보다도 돌출된 절연 돌출부는, 외측으로 팽창되어 있는, 유기 전계 발광 소자.
  14. 제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편의 상기 연신부는, 상기 전극 인출부에 가압되어 고정되어 있는, 유기 전계 발광 소자.
  15. 제1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편의 상기 연신부는, 상기 전극 인출부에 도전성(導電性) 페이스트에 의해 형성된 도전 고정부에 의해 고정되어 있는, 유기 전계 발광 소자.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 고정부는, 상기 전극편에서의 상기 연신부의 봉지재 측의 면에 접하여 형성되어 있는, 유기 전계 발광 소자.
  17. 제15항 또는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 고정부는, 상기 봉지재의 측면에 접하여 형성되어 있는, 유기 전계 발광 소자.
  18. 제15항 내지 제1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편은, 도전성 페이스트에 의해 형성된 도전 접착부에 의해 상기 봉지재에 고정되어 있는, 유기 전계 발광 소자.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 고정부와 상기 도전 접착부가 연결되어 있는, 유기 전계 발광 소자.
  20. 제18항 또는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봉지재의 표면에 인출 전극 확장부가 설치되고, 상기 전극편은, 상기 도전 접착부에 의해 상기 인출 전극 확장부에 접착되어 있는, 유기 전계 발광 소자.
  21. 제15항 내지 제2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봉지재의 표면에 배선판을 구비하고,
    상기 배선판의 표면에 인출 전극 확장부가 설치되고, 상기 전극편은, 도전 접속부에 의해 상기 인출 전극 확장부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는, 유기 전계 발광 소자.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인출 전극 확장부는, 상기 배선판의 상기 봉지재 측의 표면에 형성되고,
    상기 인출 전극 확장부는, 평면에서 볼 때, 상기 봉지재와 중복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는, 유기 전계 발광 소자.
  23. 제21항 또는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인출 전극 확장부는, 평면에서 볼 때, 상기 전극편보다 내측에 배치되어 있는, 유기 전계 발광 소자.
  24. 제21항 내지 제2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편과 상기 인출 전극 확장부가, 상기 도전 접속부를 구성하는 가요성(可撓性) 도전체에 의해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는, 유기 전계 발광 소자.
  25. 제15항 내지 제2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에서의 상기 전극 인출부의 외측에, 절연성을 가지는 절연 벽부가 설치되어 있는, 유기 전계 발광 소자.
  26.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의 표면과 측면과의 경계부에, 상기 전극 인출부보다 외측의 위치에 있어서, 스텝부(段部)가 형성되고,
    상기 절연 벽부는, 상기 스텝부의 표면에 접하여 형성되고,
    상기 도전 고정부는, 상기 절연 벽부에 접하고 있는, 유기 전계 발광 소자.
  27. 제1항 내지 제2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편은, 상기 기판의 표면에 평행한 방향에 대한 응력을 완화하는 응력 완화 구조를 가지는, 유기 전계 발광 소자.
  28.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응력 완화 구조는, 상기 전극편에 형성된 개구부에 의해 구성되어 있는, 유기 전계 발광 소자.
  29.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응력 완화 구조는, 상기 전극편에 형성된 절결부(切缺部)에 의해 구성되어 있는, 유기 전계 발광 소자.
  30.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응력 완화 구조는, 상기 전극편에 형성된 복수의 절결부에 의해 구성되며,
    상기 복수의 절결부는, 상기 전극편이 S자형의 부분을 가지도록 형성되어 있는, 유기 전계 발광 소자.
  31.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응력 완화 구조는, 상기 전극편에 형성된 파형(波形) 구조에 의해 구성되어 있는, 유기 전계 발광 소자.
  32.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응력 완화 구조는, 상기 전극편에서의 상기 기판의 표면에 수직인 방향을 따른 부분과 상기 기판의 표면에 평행한 방향을 따른 부분과의 경계인 굴곡부가, 상기 전극편의 표면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어 구성되어 있는, 유기 전계 발광 소자.
  33. 제1항 내지 제3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편은, 상기 봉지재의 표면으로부터 측면을 따르는 형상으로 굴곡되어 형성되어 있는, 유기 전계 발광 소자.
  34. 제1항 내지 제3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편은, 상기 전극 인출부에 고정되는 위치보다도 외측으로 돌출된 단자부를 가지는, 유기 전계 발광 소자.
  35. 제1항 내지 제3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편과 상기 전극 인출부는, 경계 부분에서 도전성을 가지는 복수의 돌기가 압쇄(押碎)되어 접속되어 있는, 유기 전계 발광 소자.
  36. 제1항 내지 제3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편과 상기 전극 인출부는, 경계 부분 또는 경계 부분 근방에 있어서 도전성을 가지는 탄성부가 가압되어 접속되어 있는, 유기 전계 발광 소자.
  37. 제1항 내지 제3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편은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유기 전계 발광 소자.
  38. 제1항 내지 제3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편은, 상기 봉지재의 상기 기판과는 반대측의 면에서 접합되어 있는, 유기 전계 발광 소자.
  39. 제1항 내지 제3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편은, 상기 봉지재의 상기 기판과는 반대측의 면에 형성된 전극편 지지체에 의해 지지되어 고정되어 있는, 유기 전계 발광 소자.
  40. 제1항 내지 제3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편은 판스프링 구조를 가지고 있고, 상기 판스프링 구조의 가압에 의해 상기 전극편의 연신부가 상기 전극 인출부에 가압되고 있는, 유기 전계 발광 소자.
  41. 제1항 내지 제40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유기 전계 발광 소자를 포함하는 조명 장치.
KR1020147034898A 2012-06-12 2013-06-12 유기 전계 발광 소자 및 조명 장치 KR2015002483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2133083 2012-06-12
JPJP-P-2012-133083 2012-06-12
JPJP-P-2012-199899 2012-09-11
JP2012199899 2012-09-11
PCT/JP2013/003698 WO2013187065A1 (ja) 2012-06-12 2013-06-12 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素子及び照明装置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24833A true KR20150024833A (ko) 2015-03-09

Family

ID=497579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34898A KR20150024833A (ko) 2012-06-12 2013-06-12 유기 전계 발광 소자 및 조명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150171362A1 (ko)
EP (1) EP2861042A4 (ko)
JP (1) JPWO2013187065A1 (ko)
KR (1) KR20150024833A (ko)
CN (1) CN104365177A (ko)
WO (1) WO201318706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14154B1 (ko) * 2013-07-02 2020-05-25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EP3035774A1 (en) * 2013-08-14 2016-06-22 JX Nippon Oil & Energy Corporation Light emitting element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light emitting element
EP3372891A1 (en) * 2013-12-25 2018-09-12 Koito Manufacturing Co., Ltd. Vehicle lamp
WO2017079445A1 (en) 2015-11-03 2017-05-11 Cornell University Stretchable electroluminescent devices and methods of making and using same
CN108022899B (zh) * 2016-10-28 2020-02-11 台达电子工业股份有限公司 具有引线部件的电源模块及其制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173275U (ko) * 1987-05-01 1988-11-10
JPH0680297U (ja) * 1993-04-27 1994-11-08 株式会社小糸製作所 薄膜el素子の構造
JPH11233266A (ja) * 1998-02-17 1999-08-27 Tdk Corp 有機elディスプレイ
JP2001052858A (ja) * 1999-08-05 2001-02-23 Futaba Corp 有機el表示装置
US20030197475A1 (en) * 2002-04-04 2003-10-23 Makoto Takamura Flat-panel display,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and portable terminal
JP2006092908A (ja) * 2004-09-24 2006-04-06 Tohoku Pioneer Corp 両面表示パネル及びその製造方法、電子機器
KR101210377B1 (ko) * 2007-04-20 2012-12-10 주식회사 오리온 멀티 pdp 및 이의 제조방법
JP2009217984A (ja) 2008-03-07 2009-09-24 Rohm Co Ltd 有機el装置
JP5341982B2 (ja) * 2009-03-17 2013-11-13 パイオニア株式会社 有機elモジュール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5322805B2 (ja) * 2009-06-26 2013-10-23 三菱電機株式会社 画像表示素子及びその製造方法
JP2011192544A (ja) * 2010-03-15 2011-09-29 Idemitsu Kosan Co Ltd 光電変換装置
KR101797715B1 (ko) * 2010-10-19 2017-11-16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유기 발광 표시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4365177A (zh) 2015-02-18
EP2861042A1 (en) 2015-04-15
JPWO2013187065A1 (ja) 2016-02-04
WO2013187065A1 (ja) 2013-12-19
EP2861042A4 (en) 2015-08-12
US20150171362A1 (en) 2015-06-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01720B1 (ko) 표시 장치 및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101804554B1 (ko) 표시 장치 및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20150024833A (ko) 유기 전계 발광 소자 및 조명 장치
WO2011115096A1 (ja) 光電変換装置
KR101797715B1 (ko) 표시 장치 및 유기 발광 표시 장치
CN105702842A (zh) 光电子半导体器件
WO2014057678A1 (ja) 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素子及び照明装置
TWI552329B (zh) 有機發光裝置連接方法
JP5830711B2 (ja) 発光モジュール
JP2017105664A (ja) 複層ガラス
KR20120044654A (ko) 표시 장치,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및 유기 발광 표시 장치
WO2014076912A1 (ja) 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素子及び照明装置
KR20170063593A (ko) 유기 el 패널 및 그 제조방법
JP6866883B2 (ja) 発光素子
CN108119783B (zh) Oled发光模块
WO2013179482A1 (ja) 有機el発光素子及びその製造方法
JP2019215577A (ja) 光学装置
JP2015115191A (ja) 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素子、その製造方法及び照明装置
KR101408384B1 (ko) Oled 조명 모듈
JP2014120220A (ja) 面発光光源及び面発光光源集合体
CN111900265B (zh) 显示面板和显示装置
JP6501180B2 (ja) 発光装置及びフレキシブル配線基板
KR102063523B1 (ko) 조명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JP6153356B2 (ja) 有機elモジュール
WO2015136849A1 (ja) 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素子及び照明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