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24635A - 연속형 증숙기 - Google Patents

연속형 증숙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24635A
KR20150024635A KR20130101806A KR20130101806A KR20150024635A KR 20150024635 A KR20150024635 A KR 20150024635A KR 20130101806 A KR20130101806 A KR 20130101806A KR 20130101806 A KR20130101806 A KR 20130101806A KR 20150024635 A KR20150024635 A KR 2015002463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am
steaming
pipe
tube
continuous ty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1018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창 구 이
Original Assignee
창 구 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창 구 이 filed Critical 창 구 이
Priority to KR201301018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24635A/ko
Publication of KR201500246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2463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5/00Preparation or treatment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Food or foodstuffs obtained thereby; Materials therefor
    • A23L5/10General methods of cooking foods, e.g. by roasting or frying
    • A23L5/13General methods of cooking foods, e.g. by roasting or frying using water or steam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7/00Cereal-derived products; Malt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7/10Cereal-derived produc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4Cooking-vessels for cooking food in steam; Devices for extracting fruit juice by means of steam ; Vacuum cooking vess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Commercial Cook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온 고압의 증기를 이용하여 곡물이나 곡물가루 등을 익히는 데 사용되는 연속형 증숙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원형관형상으로 된 증숙관체의 후방측면부에 연결된 투입관체를 통해 증숙관체의 내부로 고속으로 투입되어 떨어지는 재료를 증숙관체의 내측하부에서 분사되어 증숙관체의 내측상부로 배출되는 고온 고압의 스팀에 의해 증숙시키는 동시에 증숙된 재료를 서로 이격되게 형성된 다수의 교반용 날개판에 의해 교반시키면서 증숙관체의 전방으로 이송시켜 이송용 스크류에 의해 배출하도록 구성함으로써, 증숙 작업시 재료의 투입과 배출이 자동으로 이루어지게 하여 작업성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할 뿐만 아니라 증숙관체의 내부로 유입되는 스팀의 유동성을 향상시켜 증숙효율을 대폭 증대시킬 수 있도록 하며, 또 뜨거운 증숙용기의 취급시 발생되는 화상 등의 안전사고를 완전히 예방할 수 있도록 하고, 증숙 공정의 자동화를 구현할 수 있게 하여 대량생산이 가능하도록 하는 연속형 증숙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연속형 증숙기{Continuous type steamer}
본 발명은 고온 고압의 증기를 이용하여 곡물이나 곡물가루 등을 익히는 데 사용되는 연속형 증숙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원형관형상으로 된 증숙관체의 후방측면부에 연결된 투입관체를 통해 증숙관체의 내부로 고속으로 투입되어 떨어지는 재료를 증숙관체의 내측하부에서 분사되어 증숙관체의 내측상부로 배출되는 고온 고압의 스팀에 의해 증숙시키는 동시에 증숙된 재료를 서로 이격되게 형성된 다수의 교반용 날개판에 의해 교반시키면서 증숙관체의 전방으로 이송시켜 이송용 스크류에 의해 배출하도록 구성함으로써, 증숙 작업시 재료의 투입과 배출이 자동으로 이루어지게 하여 작업성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할 뿐만 아니라 증숙관체의 내부로 유입되는 스팀의 유동성을 향상시켜 증숙효율을 대폭 증대시킬 수 있도록 하며, 또 뜨거운 증숙용기의 취급시 발생되는 화상 등의 안전사고를 완전히 예방할 수 있도록 하고, 증숙 공정의 자동화를 구현할 수 있게 하여 대량생산이 가능하도록 하는 연속형 증숙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증숙기란 고온 고압의 증기를 이용하여 대상물을 익히는 장치를 일컫는데, 이러한 증숙기는 짧은 시간내에 많은 양의 곡물이나 곡물가루 등을 익히는 데 주로 사용된다.
종래의 증숙기는 대부분 내부에 고온 고압의 증기가 공급되는 캐비넷형태의본체와, 상기 본체의 내부양측면에 상하로 이격되게 설치되는 다수개의 용기받침대와, 상기 본체의 내부에 설치된 용기받침대의 상부에 서랍형태로 삽입되는 다수의증숙용기로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종래의 증숙기는 본체의 내부에 수납된 다수의 증숙용기를 본체로부터 인출한 후 인출된 증숙용기의 내부에 익히고자 하는 대상물을 각각 투입한 다음, 대상물이 투입된 다수의 증숙용기를 다시 본체의 내부에 서랍형태로 수납한 후 본체를 밀폐한 상태에서 본체의 내부로 고온 고압의 증기를 공급하여 익힘으로써 짧은 시간내에 많은 양의 대상물을 가공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종래의 증숙기는 다수의 증숙용기에 대상물을 투입하거나 대상물이 투입된 다수의 증숙용기를 수납 또는 인출하는 과정을 작업자가 일일이 수작업으로 수행해야 하므로, 작업이 번거롭고 불편할 뿐만 아니라 증숙공정의 자동화를 구현하기가 어려워 대량생산이 용이하지 못한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증숙기는 증숙 완료시 작업자가 직접 본체로부터 증숙용기를 인출해서 옮겨야 하는데, 이 때 증숙용기에 남아 있는 뜨거운 열기로 인해 증숙용기의 취급이 용이하지 못하므로 작업성이 현저히 저하될 뿐만 아니라 취급과정에서 작업자가 화상 등과 같은 안전사고의 위험에 노출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원형관형상으로 된 증숙관체의 후방측면부에 연결된 투입관체를 통해 증숙관체의 내부로 고속으로 투입되어 떨어지는 재료를 증숙관체의 내측하부에서 분사되어 증숙관체의 내측상부로 배출되는 고온 고압의 스팀에 의해 증숙시키는 동시에 증숙된 재료를 서로 이격되게 형성된 다수의 교반용 날개판에 의해 교반시키면서 증숙관체의 전방으로 이송시켜 이송용 스크류에 의해 배출하도록 구성함으로써, 증숙 작업시 재료의 투입과 배출이 자동으로 이루어지게 하여 작업성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할 뿐만 아니라 증숙관체의 내부로 유입되는 스팀의 유동성을 향상시켜 증숙효율을 대폭 증대시킬 수 있도록 하며, 또 뜨거운 증숙용기의 취급시 발생되는 화상 등의 안전사고를 완전히 예방할 수 있도록 하고, 증숙 공정의 자동화를 구현할 수 있게 하여 대량생산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후단부가 폐쇄된 원형관형상으로 이루어지며 하부내주면에는 타공망이 설치된 복수개의 스팀유입구가 관통형성되고 외측상부에는 복수개의 스팀배출구가 형성되며 전단부에는 개폐수단에 의해 개폐되는 배출구가 구비된 전면판이 설치되는 증숙관체와, 상기 증숙관체의 외측하부에 설치되는 것으로 일측면에는 덮개판에 의해 개폐되는 측면청소구가 관통형성되며 외측저면부에는 복수개의 스팀공급관이 연결되는 스팀공급용 챔버와, 상기 증숙관체의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으로 전단부외주면에는 이송용 스크류가 설치되며 전단부외주면을 제외한 나머지 외주면에는 다수의 교반용 날개판이 서로 이격된 상태로 나선형상을 이루도록 설치되는 회전축과, 상기 증숙관체의 후방측면부에 직교하도록 수평으로 연결되는 것으로 내부에 스크류 컨베이어가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후단부상면에 투입용 호퍼가 설치되는 투입관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증숙관체는 상하 개폐가 가능한 반원관형상의 상ㆍ하부관체로 분할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스팀공급용 챔버는 내부공간이 각 스팀공급관이 연결되는 부분마다 격벽에 의해 구획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연속형 증숙기는 원형관형상으로 된 증숙관체의 후방측면부에 연결된 투입관체를 통해 증숙관체의 내부로 고속으로 투입되어 떨어지는 재료를 증숙관체의 내측하부에서 분사되어 증숙관체의 내측상부로 배출되는 고온 고압의 스팀에 의해 증숙시키는 동시에 증숙된 재료를 서로 이격되게 형성된 다수의 교반용 날개판에 의해 교반시키면서 증숙관체의 전방으로 이송시켜 이송용 스크류에 의해 배출하도록 구성됨으로써, 증숙 작업시 재료의 투입과 배출이 자동으로 이루어지게 되므로 작업성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게 될 뿐만 아니라 증숙관체의 내부로 유입되는 스팀의 유동성을 향상시켜 증숙효율을 대폭 증대시킬 수 있게 되며, 또 뜨거운 증숙용기의 취급시 발생되는 화상 등의 안전사고를 완전히 예방할 수 있게 되고, 증숙 공정의 자동화를 구현할 수 있게 되므로 대량생산이 가능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연속형 증숙기의 외관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연속형 증숙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평단면도.
도 3은 도 2의 A-A선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연속형 증숙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측단면도.
도 5는 도 4의 'B'부를 확대하여 도시한 설명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연속형 증숙기에 사용되는 회전축의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연속형 증숙기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설명도.
이하,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을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의한 연속형 증숙기는 도 1 내지 도 7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증숙관체(2), 스팀공급용 챔버(7), 회전축(10), 투입관체(1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증숙관체(2)는 증숙기의 본체 역할을 하는 것으로, 후단부가 폐쇄된 원형관형상으로 이루어지며, 하부내주면에는 타공망(3a)이 설치된 복수개의 스팀유입구(3)가 관통형성되고, 외측상부에는 복수개의 스팀배출구(4)가 형성되며, 전단부에는 개폐수단(6)에 의해 개폐되는 배출구(5a)가 구비된 전면판(5)이 설치된다.
상기 증숙관체(2)의 하부내주면에 형성되는 복수개의 스팀유입구(3)는 증숙관체(2)의 내부로 고온 고압의 스팀이 균일하게 분사될 수 있도록 증숙관체(2)의 전 길이에 걸쳐 일정 간격으로 관통형성되는데, 각 스팀유입구(3)에는 타공망(3a)이 설치되어 증숙관체(2)의 내부로 투입된 분말형태의 증숙재료가 증숙관체(2)의 아래로 흘러내리게 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상기 증숙관체(2)의 외측상부에 형성되는 복수개의 스팀배출구(4)는 스팀유입구(3)를 통해 증숙관체(2)의 내부로 분사된 고온 고압의 스팀을 증숙관체(2)의 외부로 원활하게 배출시킴으로써 증숙관체(2)의 내부에 과도한 압력이 형성되는 것을 방지하여 스팀의 유동성을 대폭 증대시키는 역할을 하게 된다.
상기 증숙관체(2)의 전단부에 설치된 전면판(5)의 배출구(5a)를 개폐하기 위한 개폐수단(6)으로는 공지된 다양한 개폐장치를 적용할 수 있지만, 그 중에서도 도 5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전면판(5)의 상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개폐용 핸들(20)의 나사부(20a)가 배출구(5a)의 전방에 상하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는 도어(21)의 너트부(21a)에 체결되어 개폐용 핸들(20)의 회전에 따라 도어(21)를 승강시켜 배출구(5a)를 개폐할 수 있도록 구성된 수문형 개폐장치를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증숙관체(2)는 하나의 원형관형태로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지만, 도 7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상하 개폐가 가능한 반원관형상의 상ㆍ하부관체(2a)(2b)로 분할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상기 증숙관체(2)를 반원관형상의 상ㆍ하부관체(2a)(2b)로 분할 형성하게 되면, 증숙기의 세척 작업시 증숙관체(2)를 용이하게 개폐할 수 있게 되므로 증숙관체(2)의 내부 뿐만 아니라 증숙관체(2)의 내부에 설치되는 회전축(10)을 더욱더 용이하게 세척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스팀공급용 챔버(7)는 상기 증숙관체(2)의 외측하부에 설치되는 것으로, 사각함체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일측면에는 덮개판(8)에 의해 개폐되는 측면청소구(7a)가 관통형성되며, 외측저면부에는 복수개의 스팀공급관(9)이 연결된다.
상기 스팀공급용 챔버(7)는 복수개의 스팀공급관(9)을 통해 공급되는 고온 고압의 스팀을 분산시켜 증숙관체(2)의 스팀유입구(3)로 통해 균일하게 분사되도록 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또한, 상기 스팀공급용 챔버(7)는 도 4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각 스팀공급관(9)이 연결되는 부분마다 격벽(7b)을 설치하여 내부공간이 구획 형성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상기 스팀공급용 챔버(7)의 내부공간이 각 스팀공급관(9)이 연결되는 부분마다 격벽(7b)에 의해 구획 형성되면, 각 스팀공급관(9)을 통해 공급되는 고온 고압의 스팀을 각 구획된 공간 범위내에서 분산시킨 후 증숙관체(2)의 스팀유입구(3)로 통해 증숙관체(2)의 내부로 분사할 수 있게 되므로 복수개의 스팀공급관(9)에 의해 공급되는 고온 고압의 스팀을 증숙관체(2)의 전 길이에 걸쳐 더욱더 균일하게 분사할 수 있게 된다.
상기 회전축(10)은 상기 증숙관체(2)의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으로, 전단부외주면에는 이송용 스크류(11)가 설치되며, 전단부외주면을 제외한 나머지 외주면에는 다수의 교반용 날개판(12)이 서로 이격된 상태로 나선형상을 이루도록 설치된다.
상기 회전축(10)의 전단부외주면에만 이송용 스크류(11)를 설치하고 전단부외주면을 제외한 나머지 외주면에는 다수의 교반용 날개판(12)을 설치한 이유는, 회전축(10)의 외주면전체에 이송용 스크류(11)를 설치하게 되면, 이송용 스크류(11)에 의해 이송되는 재료가 큰 덩어리로 뭉쳐져 증숙관체(2)의 내부를 가득 채우면서 천천히 이송하게 됨에 따라, 증숙관체(2)의 내부에 스팀이 원활하게 유동할 수 있는 공간이 확보되지 못할 뿐만 아니라 증숙관체(2)의 내부에 과도한 압력이 걸리게 되어 스팀유입구(3)를 통해 고온 고압의 스팀이 계속 유입되지 못하게 되고, 또 스팀배출구(4)를 통해 식은 스팀이 원활하게 배출되지 못하게 되므로 증숙효율이 현저히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기 때문이다.
상기 다수의 교반용 날개판(12)은 도 6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게다(일본 나막신)형상으로 형성되어 서로 이격된 상태로 회전축(10)의 외주면에 나선형상을 이루도록 설치되는데, 이 교반용 날개판(12)은 재료를 큰 덩어리로 뭉치지 않고 작은 덩어리로 계속 잘라주면서 전방으로 이송시키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다수의 교반용 날개판(12)에 의해 재료를 큰 덩어리로 뭉치지 않고 작은 덩어리로 계속 잘라주면서 전방으로 이송시키게 되면, 전방으로 이송되는 재료가 증숙관체(2)의 내부를 가득 채우면서 이동하게 되는 것을 방지하여 증숙관체(2)의 내부에서 고온 고압의 스팀이 원활하게 유동할 수 있는 공간과 스팀의 유동성을 확보할 수 있게 되므로, 스팀유입구(3)를 통해 고온 고압의 스팀을 계속 유입하는 동시에 스팀배출구(4)를 통해 식은 스팀을 원활하게 배출할 수 있게 됨에 따라 증숙효율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다수의 교반용 날개판(12)은 서로 이격된 상태로 나선형상을 이루도록 설치됨에 따라, 증숙관체(2)의 내부로 투입된 분말형태의 증숙재료가 고온고압의 스팀에 의해 증숙된 상태로 교반용 날개판(12)의 표면에 실려 회전하게 될 때 날개판과 날개판 사이로 낙하하면서 증숙관체(2)의 저면에 부딪히게 됨으로써 마치 떡반죽을 때리듯 증숙된 재료를 때려주는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회전축(10)의 전단부외주면에 설치된 이송용 스크류(11)는 증숙된 상태로 다수의 교반용 날개판(12)에 실려 전방으로 이송되는 재료를 최종적으로 가압하여 증숙관체(2)의 전면판(5)에 설치된 배출구(5a)로 배출시키는 역할을 하게 된다.
상기 투입관체(13)는 상기 증숙관체(2)의 후방측면부에 직교하도록 수평으로 연결되는 것으로, 후단부가 폐쇄된 원형관형상으로 이루어지며, 내부에 스크류 컨베이어(14)가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후단부상면에 투입용 호퍼(15)가 설치된다.
상기 투입관체(13)를 증숙관체(2)의 후방측면부에 직교하도록 수평으로 연결한 이유는 분말형태의 증숙재료를 증숙관체(2)의 내부에 고속으로 투입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투입관체(13)의 내부에 설치되는 스크류 컨베이어(14)는 전단부가 선풍기 날개형태로 형성되어 스크류에 의해 이송되는 곡물가루와 같은 분말형태의 증숙재료를 증숙관체(2)의 내부에 고속으로 투입할 수 있게 되는데, 이와 같이 상기 투입관체(13)의 내부에서 고속으로 회전하는 스크류 컨베이어(14)를 이용하여 증숙관체(2)의 내부로 분말형태의 증숙재료를 고속으로 투입하게 되면, 분말형태의 증숙재료가 증숙관체(2)의 내측저면에서 분사되고 있는 고온 고압의 스팀에 의해 순간적으로 익혀지게 되므로 증숙시간을 대폭 단축시킬 수 있게 될 뿐만 아니라 증숙된 재료가 누렇게 변색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의한 연속형 증숙기의 사용 및 작용관계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의한 연속형 증숙기를 이용하여 증숙작업을 수행하고자 할 경우에는, 도 3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투입관체(13)의 후단부상면에 설치된 투입용 호퍼(15)로 증숙하고자 하는 재료를 투입하게 되는데, 이 때 투입관체(13)의 내부로 투입한 재료는 투입관체(13)의 내부에 설치된 스크류 컨베이어(14)에 의해 이송되면서 증숙관체(2)의 내부로 고속으로 투입된다.
이어서, 상기 투입관체(13)의 스크류 컨베이어(14)에 의해 증숙관체(2)의 내부로 고속으로 투입된 재료는 아래로 떨어지면서 스팀공급관(9)을 통해 스팀공급용 챔버(7)로 공급된 후 증숙관체(2)의 스팀유입구(3)을 통해 증숙관체(2)의 내측하부에서 분사되고 있는 고온 고압의 스팀에 의해 순간적으로 익혀지게 된다.
이어서, 상기 증숙관체(2)의 내측하부에서 분사되고 있는 고온 고압의 스팀에 의해 순간적으로 익혀진 재료는 작은 덩어리를 이루면서 증숙관체(2)의 내부에 설치된 회전축(10)의 교반용 날개판(12)에 실리게 되는데, 이렇게 교반용 날개판(12)에 실린 재료는 교반용 날개판(12)과 함께 회전하면서 전방으로 이송된다.
이 때, 상기 교반용 날개판(12)에 실린 상태로 회전하던 재료 중 일부는 자중에 의해 날개판과 날개판 사이의 틈새로 낙하하여 증숙관체(2)의 저면에 부딪히면서 점차 작은 덩어리로 뭉쳐지게 되는데, 이렇게 작은 덩어리로 뭉쳐진 재료는 다시 다수의 교반용 날개판(12)에 실려 교반용 날개판(12)과 함께 회전하면서 전방으로 이송된다.
그리고, 상기 교반용 날개판(12)에 의해 이송되는 재료는 큰 덩어리로 뭉치지 않고 교반용 날개판(12)에 의해 계속 작은 덩어리로 잘라지면서 전방으로 이송되는데, 이렇게 되면 전방으로 이송되는 재료가 증숙관체(2)의 내부를 가득 채울 정도로 크게 뭉쳐지지 않게 되어 증숙관체(2)의 내부에서 고온 고압의 스팀이 원활하게 유동할 수 있는 공간과 스팀의 유동성을 확보할 수 있게 되므로, 스팀유입구(3)를 통해 고온 고압의 스팀이 계속 유입되는 동시에 스팀배출구(4)를 통해 식은 스팀이 원활하게 배출될 수 있게 됨에 따라 지속적으로 공급되는 고온 고압의 스팀에 의해 재료가 더욱더 빨리 익혀지게 된다.
이어서, 상기 회전축(10)의 교반용 날개판(12)에 실려 교반용 날개판(12)과 함께 회전하면서 전방으로 이송된 재료는 회전축(10)의 전단부외주면에 설치된 이송용 스크류(11)에 의해 가압되면서 전방으로 이송되는데, 이와 같이 이송용 스크류(11)에 의해 가압되면서 전방으로 이송된 재료는 증숙관체(2)의 전면판(5)에 설치된 개폐수단(6)을 이용하여 배출구(5a)을 개방할 경우 증숙관체(2)의 외부로 용이하게 배출할 수 있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연속형 증숙기(1)는 원형관형상으로 된 증숙관체(2)의 후방측면부에는 증숙관체(2)의 내부로 증숙재료를 고속으로 투입하기 위한 투입관체(13)가 연결되며 상기 증숙관체(2)의 외측하부에는 증숙관체(2)의 내부로 투입된 증숙재료를 익히기 위해 증숙관체(2)의 하부내주면에 형성된 스팀유입구(3)를 통해 고온 고압의 스팀을 균일하게 분사하는 스팀공급용 챔버(7)가 설치되고 상기 증숙관체(2)의 내부에는 증숙관체(2)의 내부로 투입된 증숙재료를 교반 및 이송시키는 다수의 교반용 날개판(12)과 이송용 스크류(11)가 구비된 회전축(10)이 설치되도록 구성됨으로써, 증숙 작업시 재료의 투입과 배출이 자동으로 이루어지게 되므로 작업성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게 될 뿐만 아니라 증숙관체의 내부로 유입되는 스팀의 유동성을 향상시켜 증숙효율을 대폭 증대시킬 수 있게 되며, 또 뜨거운 증숙용기의 취급시 발생되는 화상 등의 안전사고를 완전히 예방할 수 있게 되고, 증숙 공정의 자동화를 구현할 수 있게 되므로 대량생산이 가능하게 된다.
1 : 연속형 증숙기 2 : 증숙관체
2a : 상부관체 2b : 하부관체
3 : 스팀유입구 3a : 타공망
4 : 스팀배출구 5 : 전면판
5a : 배출구 6 : 개폐수단
7 : 스팀공급용 챔버 7a : 측면청소구
7b : 격벽 8 : 덮개판
9 : 스팀공급관 10 : 회전축
11 : 이송용 스크류 12 : 교반용 날개판
13 : 투입관체 14 : 스크류 컨베이어
15 : 투입용 호퍼

Claims (3)

  1. 후단부가 폐쇄된 원형관형상으로 이루어지며 하부내주면에는 타공망이 설치된 복수개의 스팀유입구가 관통형성되고 외측상부에는 복수개의 스팀배출구가 형성되며 전단부에는 개폐수단에 의해 개폐되는 배출구가 구비된 전면판이 설치되는 증숙관체와,
    상기 증숙관체의 외측하부에 설치되는 것으로, 일측면에는 덮개판에 의해 개폐되는 측면청소구가 관통형성되며 외측저면부에는 복수개의 스팀공급관이 연결되는 스팀공급용 챔버와,
    상기 증숙관체의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으로, 전단부외주면에는 이송용 스크류가 설치되며 전단부외주면을 제외한 나머지 외주면에는 다수의 교반용 날개판이 서로 이격된 상태로 나선형상을 이루도록 설치되는 회전축과,
    상기 증숙관체의 후방측면부에 직교하도록 수평으로 연결되는 것으로, 내부에 스크류 컨베이어가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후단부상면에 투입용 호퍼가 설치되는 투입관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형 증숙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증숙관체는 상하 개폐가 가능한 반원관형상의 상ㆍ하부관체로 분할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형 증숙기.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스팀공급용 챔버는 내부공간이 각 스팀공급관이 연결되는 부분마다 격벽에 의해 구획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형 증숙기.
KR20130101806A 2013-08-27 2013-08-27 연속형 증숙기 KR2015002463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01806A KR20150024635A (ko) 2013-08-27 2013-08-27 연속형 증숙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01806A KR20150024635A (ko) 2013-08-27 2013-08-27 연속형 증숙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24635A true KR20150024635A (ko) 2015-03-09

Family

ID=530211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101806A KR20150024635A (ko) 2013-08-27 2013-08-27 연속형 증숙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024635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WO2017033877A1 (ja) * 2015-08-26 2018-06-14 株式会社サタケ 過熱蒸気殺菌装置
KR101880186B1 (ko) * 2017-01-10 2018-07-19 하경훈 스팀챔버를 이용한 취사시스템
KR102140653B1 (ko) * 2020-01-13 2020-08-03 이선재 떡 연속증숙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WO2017033877A1 (ja) * 2015-08-26 2018-06-14 株式会社サタケ 過熱蒸気殺菌装置
US20180242605A1 (en) * 2015-08-26 2018-08-30 Satake Corporation Superheated steam sterilization apparatus
KR101880186B1 (ko) * 2017-01-10 2018-07-19 하경훈 스팀챔버를 이용한 취사시스템
KR102140653B1 (ko) * 2020-01-13 2020-08-03 이선재 떡 연속증숙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1001349A (zh) 一种纸制品原料的搅拌装置
KR20150024635A (ko) 연속형 증숙기
CN112569843A (zh) 一种多功能淀粉调浆设备
CN111135738A (zh) 一种食品加工用搅拌机
CN215388988U (zh) 一种白酒原料加工用搅拌装置
CN218790445U (zh) 一种转子煮料装置
CN219249178U (zh) 一种基于循环机构的蒸煮设备
CN109938306B (zh) 九制陈皮钵仔糕及其制备装置
CN104543614B (zh) 蒸煮罐结构、果馅自动化蒸煮生产线及其蒸煮方法
CN216727032U (zh) 一种食品加工调料拌匀装置
CN210520848U (zh) 多功能烹饪机
CN112120207A (zh) 一种新型酱料生产设备
CN208436982U (zh) 豆渣加工的搅拌混料装置
CN205962688U (zh) 一种滚筒炒松机
CN211800107U (zh) 一种牛油火锅料混合设备
CN207930908U (zh) 一种粒料搅拌机
CN113812832A (zh) 一种智能烹调机
CN211227027U (zh) 一种液体白油快速冷却装置
CN210746951U (zh) 一种肉肠加工用粉碎搅拌装置
CN214950341U (zh) 一种沸腾干燥机的搅拌装置
CN207744641U (zh) 一种糕点机
CN207645834U (zh) 一种污水加药装置
CN216964389U (zh) 一种饲料自动化蒸煮生产线及其蒸煮罐结构
CN212972698U (zh) 一种面条烹饪机构的加热系统
CN213824560U (zh) 一种畜牧养殖饲料用搅拌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