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80186B1 - 스팀챔버를 이용한 취사시스템 - Google Patents

스팀챔버를 이용한 취사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80186B1
KR101880186B1 KR1020170003586A KR20170003586A KR101880186B1 KR 101880186 B1 KR101880186 B1 KR 101880186B1 KR 1020170003586 A KR1020170003586 A KR 1020170003586A KR 20170003586 A KR20170003586 A KR 20170003586A KR 101880186 B1 KR101880186 B1 KR 1018801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am
steam chamber
housing
contents
r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035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82198A (ko
Inventor
하경훈
Original Assignee
하경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하경훈 filed Critical 하경훈
Priority to KR10201700035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80186B1/ko
Publication of KR201800821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821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801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801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4Cooking-vessels for cooking food in steam; Devices for extracting fruit juice by means of steam ; Vacuum cooking vesse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14Cooking-vessels for use in hotels, restaurants, or canteens
    • A47J27/16Cooking-vessels for use in hotels, restaurants, or canteens heated by steam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3/00Implements for preparing or holding food,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J43/24Devices for washing vegetables or the lik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ok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팀챔버를 이용한 취사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스팀챔버의 일측에 쌀과 같은 내용물을 일정량 자동으로 투입할 수 있도록 하는 공급부를 구성함으로써, 사용의 편리성을 향상시키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스팀챔버와, 스팀챔버의 양단 각각에 구성되는 입구 및 출구개폐부와, 제어부와, 입력부와, 온도센서와, 압력센서와, 디스플레이부와, 상기 스팀챔버로 스팀을 제공하는 스팀공급밸브와, 상기 스팀챔버에서 스팀을 배기시키는 스팀배기밸브와, 상기 스팀챔버의 내부에서 공기를 배기시키는 에어배기밸브를 포함하여, 상기 스팀챔버에 투입되는 내용물을 일정온도와 압력 및 시간동안 쪄내어 취사가 가능한 상태로 조리하는 스팀챔버를 이용한 취사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스팀챔버(100)의 일측에 구성되어 상기 스팀챔버(100)의 내부로 내용물공급하고, 공급되는 내용물을 세척 및 수분이 잔존된 상태를 유지시켜 취사시간을 단축할 수 있도록 하는 공급부(11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스팀챔버를 이용한 취사시스템{COOKER SYSTEM HAVING STEAM CHAMBER}
본 발명은 스팀챔버를 이용한 취사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스팀챔버의 일측에 쌀과 같은 내용물을 일정량 자동으로 투입할 수 있도록 하는 공급부를 구성함으로써, 사용의 편리성을 향상시키는 스팀챔버를 이용한 취사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밥을 하기 위해서는 취사장치를 이용하는 바, 상기 취사장치에는 밥솥이 있고, 상기 밥솥은 가스밥솥과 전기밥솥으로 구분된다.
상기 가스밥솥은 도시가스 또는 일회용 가스렌지와 같은 화석연료를 직접가열식으로 이용하여 밥을 한다.
이 경우, 일반 냄비와는 달리 뚜껑에 증기를 배출하는 부분이 있고, 물이 새지 않게 패킹을 하고 뚜껑에 압력을 넣음으로써 밥이 완성된다.
상기 전기밥솥은 전기에너지를 열에너지로 변환하여 밥을 한다. 쌀과 물을 넣고 몇 개의 버튼을 누르면 자동적으로 밥을 해 준단다. 시간이 지나면 솥뚜껑 위에 있는 증기배출구에서 증기를 빼고 3 ~ 5분간 뜸을 한다. 밥이 다 되면, 자동으로 보온을 시작하며, 바이메탈을 이용하여 보온온도는 일반적으로 70℃를 유지한다. 현재 시중에서 판매되고 있는 거의 대부분의 가스밥솥과 전기밥솥은 밥알이 가열부에서 가장 가까운 바닥면에 눌러붙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테플론 코팅을 사용한다.
종래의 전기압력밥솥을 살펴보면,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면이 개방되고 내부의 수용공간에 외솥(1)이 내장되어 설치된 본체(10)와, 본체(10)의 개방된 상면에 설치되어 상면을 개폐하는 커버(20)로 이루어진다.
상기 본체(10)는 소정의 취반대상 식품 예컨대, 쌀 등을 수용하도록 외솥(1)에 탈착 가능한 내솥(12)이 설치된다.
상기 커버(20)는 본체(10)의 개방 상면에 형성되며, 외부로 노출되어 손잡이부가 형성된 덮개(21)와, 상기 덮개(21)의 내측에 형성되어 내솥(12)을 덮어주도록 뚜껑(22)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취사 또는 보온 공정시에 발열을 수행하는 히터부는 외솥(11) 저면 내측에 메인히터(31)와, 외솥(11)의 외부 측면 둘레에 형성된 측면히터(32)와, 뚜껑(22)의 외면에 형성된 상부히터(33)로 이루어진다.
또한, 내솥(12) 내부의 온도를 감지하기 위해, 메인히터(31)의 중앙에 중앙온도센서(41)가 설치된다.
한편, 전기압력밥솥은 외부의 상용전원을 공급받아 전기압력보온밥솥의 여러 소자들에게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50)와, 전원부(50)로부터의 전원을 중앙처리장치(70)의 제어에 의해 메인, 측면 및 상부 히터(31)(32)(33)에 공급되도록 하는 다수의 스위치(61)(62)(63)를 지닌 스위치부(60)와, 상기 내솥(12) 내부를 가열하기 위한 메인, 측면 및 상부히터(31)(32)(33)와 내솥(12) 저면의 온도를 감지하는 중앙온도센서(41)와, 중앙온도센서(41)로부터의 감지온도에 따라 취사 및 보온 공정을 수행하되, 각 공정에 따라 메인 히터(31)의 제어와 측면 및 상부히터(32)(33)의 제어를 각각 수행하는 중앙처리장치(70)로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전기압력밥솥의 작동을 살펴보면, 적정량의 비율로 쌀과 물이 담겨진 내솥(12)을 외솥(11)에 삽입한 다음, 덮개(21)를 닫은 상태에서 전기압력보온밥솥을 작동시키면 중앙처리장치(70)에 내장된 프로그램에 따라 메인히터(31)가 작동되고, 이에 따라 내솥(12)이 가열되어 내솥(12) 내부에서 취사가 이루어진다.
이때, 중앙온도센서(41)는 취사공정이 진행되는 동안 내솥(12)의 온도를 측정하여 중앙처리장치(70)로 입력시키면, 중앙처리장치(70)는 메인히터(31)로 공급되는 전원을 조절하기 위해 스위칭부(60)를 제어함으로써, 메인히터(31)의 가열온도가 조절되고 내솥(12) 내부의 온도를 상대적으로 고온인 취사온도로 조절한다.
이와 같이 취사가 완료되면, 보온공정으로 전환되는데, 이때 중앙처리장치(70)는 중앙온도센서(41)로부터 내솥(12)의 온도를 감지하도록 하고, 그 감지온도에 따라 스위칭부(60)를 제어하여 측면히터(32) 및 상부히터(33)로 공급되는 전원을 온/오프시킴으로써 측면 및 상부히터(32)(33)의 가열정도를 조절하여 내솥(12) 내부의 온도를 상대적으로 저온인 보온온도로 조절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전기압력밥솥은 신속하게 대량으로 밥을 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전기압력밥솥은 쌀에 붙어 있는 세균을 100% 제거하지 못하기 때문에 밥을 오래 두면 상하기 쉬운 문제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출원인의 선등록 특허 제1039160호의 '스팀 챔버를 구비한 취사장치'는, 내부에 물에 젖은 쌀을 수용하되 몸체에 적어도 한 개 이상의 스팀분사관(102)과 스팀배기관(104) 및 진공관을 구비하고 있는 관통형 스팀 챔버(100)와, 상기 관통형 스팀 챔버(100)의 입구 측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 관통형 스팀 챔버(100)의 입구를 개폐하는 원판형 입구개폐부(200)와, 상기 관통형 스팀 챔버(100)의 출구 측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 관통형 스팀 챔버(100)의 출구를 개폐하는 원판형 출구개폐부(300)와, 상기 관통형 스팀 챔버(100)의 일측에 설치되어 스팀 챔버를 구비한 취사장치의 전반적인 동작을 설정된 프로그램에 따라 제어하는 제어부(400)와, 상기 관통형 스팀 챔버(100)의 일측에 설치되되 상기 제어부(40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사용자로부터 온도, 압력, 시간설정정보를 입력받고, 입력받은 온도, 압력, 시간설정정보를 제어부(400)로 전송하는 입력부(500)와, 상기 관통형 스팀 챔버(100)의 일측에 설치되되 상기 제어부(40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제어부(400)의 제어신호에 따라 관통형 스팀 챔버(100) 내부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센서(600)와, 상기 관통형 스팀 챔버(100)의 일측에 설치되되 상기 제어부(40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제어부(400)의 제어신호에 따라 관통형 스팀 챔버(100) 내부의 압력을 측정하는 압력센서(700)와, 상기 관통형 스팀 챔버(100)의 일측에 설치되되 상기 제어부(40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제어부(400)의 제어신호에 따라 관통형 스팀 챔버(100) 내부의 온도, 압력을 사용자에게 디스플레이함과 아울러 사용자에게 밥을 하는데 걸리는 시간을 디스플레이하는 터치형 디스플레이부(800)와, 상기 스팀분사관(102)에 연결되되 상기 제어부(40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제어부(400)의 제어신호에 따라 스팀분사관(102)을 통해 관통형 스팀 챔버(100) 내부로 스팀을 공급해 주는 스팀자동공급밸브(900)와, 상기 스팀배기관(104)에 연결되되 상기 제어부(40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제어부(400)의 제어신호에 따라 관통형 스팀 챔버(100) 내부에 있는 스팀을 스팀배기관을 통해 외부로 배출시키는 스팀자동배기밸브(1000)와, 상기 진공관에 연결되되 상기 제어부(40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제어부(400)의 제어신호에 따라 관통형 스팀 챔버(100) 내부에 있는 에어를 진공관을 통해 외부로 배출시키는 에어자동배기밸브(1010)와, 상기 원판형 입구개폐부(200)의 일측에 설치되되 상기 제어부(40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제어부(400)의 제어신호에 따라 입구개폐부(200)를 잠그거나 열 수 있도록 해주는 입구개폐자동열림부(1020), 및 상기 원판형 출구개폐부(300)의 일측에 설치되되 상기 제어부(40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제어부(400)의 제어신호에 따라 출구개폐부(300)를 잠그거나 열 수 있도록 해주는 출구개폐부(1030)으로 구성된다.
이에 따라, 뜨거운 스팀을 이용하여 쌀에 붙어있는 세균을 살균처리함과 아울러 밥을 대량으로 신속하게 조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러나, 선등록 특허의 경우, 사용자가 스팀챔버의 내부로 쌀을 투입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고, 또한 작업 중 상해를 입을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450498호(2010.10.07. 공고) 대한민국 특허공보 제10-1039160호(2011.06.03. 공고) 대한민국 특허공보 제10-1280301호(2013.07.01. 공고)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하는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스팀챔버의 일측에 쌀과 같은 내용물을 일정량 자동으로 투입할 수 있도록 하는 공급부를 구성함으로써, 사용의 편리성을 향상시키는 스팀챔버를 이용한 취사시스템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스팀챔버와, 스팀챔버의 양단 각각에 구성되는 입구 및 출구개폐부와, 제어부와, 입력부와, 온도센서와, 압력센서와, 디스플레이부와, 상기 스팀챔버로 스팀을 제공하는 스팀공급밸브와, 상기 스팀챔버에서 스팀을 배기시키는 스팀배기밸브와, 상기 스팀챔버의 내부에서 공기를 배기시키는 에어배기밸브를 포함하여, 상기 스팀챔버에 투입되는 내용물을 일정온도와 압력 및 시간동안 쪄내어 취사가 가능한 상태로 조리하는 스팀챔버를 이용한 취사시스템에 있어서, 스팀챔버의 일측에 구성되어 상기 스팀챔버의 내부로 내용물공급하고, 공급되는 내용물을 세척 및 수분이 잔존된 상태를 유지시켜 취사시간을 단축할 수 있도록 하는 공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공급부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일측에 구성되어 상기 하우징의 내부로 내용물이 투입되도록 유도하는 호퍼와;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구성되어 투입된 내용물을 이송시키는 스크류; 및 상기 하우징의 일측에 구성되어 상기 스크류에 회전력을 제공하는모터;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하우징의 일측에는 스크류를 통해 이송되는 내용물이 세척될 수 있도록 물을 공급하는 물공급관; 및 상기 하우징의 타측에는 하우징에 투입된 물을 배수시키도록 하는 물배수관;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하우징의 내부에는 물이 배수될 때 내용물이 함께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는 걸름판;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하우징의 일단에는 내용물이 스팀챔버로 안정적으로 배출될 수 있도록 지지하는 받침판;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하면, 스팀챔버의 일측에 쌀과 같은 내용물을 일정량 자동으로 투입할 수 있도록 하는 공급부를 구성함으로써, 사용의 편리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공급부를 통해 이송되는 내용물에 물을 공급시켜 이송되는 과정에서 내용물이 세척되도록 유도하여 위생적인 내용물에 대한 공급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내용물에 수분이 잔존된 상태로 스팀챔버에 공급되어 스팀에 의해 내용물이 신속하게 쪄짐과 찰기를 가지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전기압력밥솥의 단면도.
도 2는 일반적인 전기압력밥솥의 단면도.
도 3은 종래의 일례를 보인 취사장치의 스팀챔버를 도시한 개략도.
도 4는 종래의 일례를 보인 스팀챔버를 구비한 취사장치의 개략적인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취사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스팀챔버와 공급부의 구성관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급부의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급부의 측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급부의 작동관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종래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고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취사시스템은,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팀 챔버(100)의 일측에 찌고자 하는 내용물을 공급하는 공급부(110)을 포함한다. 여기에서, 내용물은 주로 '쌀'이지만 사용목적에 따라 내용물이 바뀔 수 있으며, 설명의 편의상 '쌀'로 통칭한다.
또한, 취사시스템은 선등록 특허와 같이, 스팀 챔버(100)와, 상기 스팀챔버(100)의 양단 각각에 구성되어 개폐시키는 입구개폐부(200) 및 출구개폐부(300)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입구개폐부(200) 및 출구개폐부(300) 각각에는 제어부(400)의 제어신호에 따라 스팀챔버(100)의 양단 각각을 개폐시킬 수 있도록 하는 입구 및 출구개폐열림부(1020)(1030)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스팀챔버(100)에는 내부에 스팀을 제공하는 스팀분사관(102)과, 내부에 제공된 스팀을 배기하는 스팀배기관(104), 및 진공관(106)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스팀분사관(102)에는 스팀이 제공되도록 연결되어 스팀의 제공여부를 제어하는 스팀공급밸브(900) 및 상기 스팀배기관(104)에는 스팀이 외부로 배기되도록 연결되어 스티의 배기를 제어하는 스팀배기밸브(1000)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스팀공급 및 배기밸브(900)(1000)는 제어부(400)의 제어신호에 의해 작동상태가 제어된다.
또한, 상기 스팀챔버(100)에는 진공관(106)의 일측에 구성되어 상기 진공관(106)의 내부를 진공상태가 유지되도록 공기를 외부로 배기시키도록 하는 에어배기밸브(1010)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취사시스템에는 온도와 압력 및 시간 등을 입력할 수 있는 입력부(500)와, 스팀챔버(100)의 내부의 온도를 센싱하는 온도센서(600)와, 스팀챔버(100)의 내부의 압력을 센싱하는 압력센서(700) 및 온도와 압력 및 시간 등과 같은 현재 진행 중인 취사시스템의 상태를 확인할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하는 터치형 디스플레이부(800)를 포함하고, 이들 각각은 제어부(400)와 연동되어 작동한다.
상기 공급부(110)는 스팀챔버(100)에 제공되는 쌀을 세척한 후 쌀알에 수분이 일부 잔존된 상태로 제공되도록 하여, 위생적인 쌀공급 및 쪄진 밥에 찰기를 유지시키도록 하는 수단이다.
상기 공급부(110)는 도 7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112)과, 상기 하우징(112)의 일측에 구성되는 호퍼(114)와, 상기 하우징(112)의 내부에 구성되는 스크류(116)와, 상기 스크류(116)에 회전력을 제공하는 모터(118)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하우징(112)의 일측에는 물을 공급하기 위한 물공급관(111)과, 타측에 구성되어 내부에 공급된 물을 배수하는 물배수관(113)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하우징(112)의 끝단부에는 쌀이 스팀챔버(100)의 진공관으로 안정적으로 공급될 수 있도록 받침하는 받침판(115)을 포함한다.
상기 하우징(112)의 내부에는 쌀은 남아있고, 물이 외부로 원활하게 배수될 수 있도록 지지하는 걸림판(117)을 포함한다.
상기 하우징(112)은 속이 빈 파이프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호퍼(114)는 상기 하우징(112)의 일측에 구성되어 상기 하우징(112)의 내부로 쌀이 원활하게 공급될 수 있도록 지지하는 수단이다.
또한, 상기 호퍼(114)에는 하우징(112)으로 쌀의 투입량을 조절하기 위한 조절밸브가 구성된다. 이에 따라, 적정량의 쌀이 공급부(110)를 통해 스팀챔버(100)로 공급되도록 한다.
상기 스크류(116)는 상기 호퍼(114)를 통해 제공되는 쌀이 상기 하우징(112)의 일단에서 타단으로 원활하게 이송되도록 지지하는 수단이다.
상기 모터(118)는 상기 하우징(112)의 일측에 고정되고 상기 스크류(116)가 한 방향으로 회전되도록 회전력을 제공하여, 상기 스크류(116)를 통해 쌀이 이송되도록 한다.
상기 물공급관(111)은 상기 하우징(112)의 일측에 구성되어 상기 하우징(112)의 내부로 물이 공급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스크류(116)를 통해 이송되는 쌀이 물이 공급되어 세척되도록 한다. 이 경우, 상기 물공급관(111)은 상기 하우징(112)의 상단부에 구성된다.
상기 물배수관(113)은 상기 하우징(112)의 타측에 구성되어 상기 물공급관(111)을 통해 하우징(112)에 제공되었던 물을 배수시키는 수단이다. 이 경우, 상기 물 배수관(113)은 하우징(112)의 하단부에 구성된다.
또한, 상기 물배수관(113)은 상기 물공급관(111)과 대향되는 위치에 구성된다.
상기 받침판(115)은 상기 하우징(112)의 끝단에 구성되어, 스크류(116)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 쌀이 스팀챔버(100)에 원활하게 공급되도록 가교역할을 수행한다. 이때, 상기 받침판(115)은 유연성을 가지는 재질로 형성되어, 공급부(110)와 스팀챔버(100)와의 위치오차가 발생되어도 안정적인 쌀의 공급이 이루어지도록 지지한다.
상기 걸름판(117)은 상기 하우징(112)의 내부에 구성되어, 스크류(116)를 통해 이송되는 쌀이 물에 의해 세척되고, 또한 물배수관(113)으로 물만 배수될 수 있도록 지지하는 수단이다.
이 경우, 상기 걸름판(117)은 다수의 통공이 형성된 타공판 구조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통공의 크기는 쌀은 빠지지않고 물만 배수될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걸름판(117)은 물의 원활한 배수가 이루어지도록 상기 하우징(112)의 내측에서 일정높이 이격되게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물론, 경우에 따라서는, 상기 하우징(112)의 내측면에 밀착되게 구성될 수 있는 것으로서, 물의 원활한 배수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구조이면 어느 것이든 사용 가능하다.
또한, 상기 걸름판(117)은 상기 하우징(112)의 내측면 전체에 구성될 수 있고, 또는 하우징(112)의 반원형으로 구성될 수 있는 것으로서, 이는 스크류(116)를 통해 이송되는 쌀이 상기 하우징(112)과 걸름판(117) 사이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되는 크기이면 어느 형상이든 사용 가능하다.
한편, 상기 공급부(110)는 다수로 구성된 스팀챔버(100) 각각에 대응되도록 구성되거나, 또는 하나의 공급부(110)가 다수의 스팀챔버(100) 사이를 이동하면서 상기 스팀챔버(100)에 쌀을 공급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스팀챔버를 이용한 취사시스템에 대한 작동상태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스팀챔버(100)의 일측에 구성된 공급부(110)로 쌀을 투입하면, 상기 공급부(110)에서 쌀을 세척하면서 상기 스팀챔버(100)로 쌀을 공급한다.
즉, 상기 공급부(110)의 호퍼(114)로 쌀을 투입하면, 상기 호퍼(114)에 구성된 조절밸브를 통해 일정량의 쌀이 하우징(112)의 내부로 투입된다.
이어서, 상기 하우징(112)의 일측에 구성된 모터(118)에서 회전력이 발생되면, 상기 모터(118)와 연결된 스크류(116)가 회전하면서 상기 하우징(112)으로 투입된 쌀을 일측에서 타측으로 이송시킨다.
이때, 상기 하우징(112)의 일측에 구성된 물공급관(111)을 통해 물이 하우징(112)의 내부로 투입되고, 이렇게 투입된 물에 의해 스크류(116)를 통해 이송되는 쌀과 물이 상호 교반되어 세척작용이 일어나면서 이송된다.
또한, 상기 하우징(112)의 내부에 구성된 걸름판(117)에 형성된 다수의 통공을 통해 물만 하방으로 배수되고, 세척된 쌀은 스크류(116)를 이송된다.
또한, 상기 걸름판(117)을 통해 하방으로 배수된 물은 상기 하우징(112)의 일측에 구성된 물배수관(113)을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아울러, 상기 스크류(116)를 통해 이송되는 쌀에는 물이 완전 탈수되지 않고 일부 잔존한 상태를 유지한 상태로 하여 스팀챔버(100)의 진공관(106)으로 투입된다.
그리고, 상기 공급부(110)를 통해 스팀챔버(100)로 쌀의 공급이 완료되면, 상기 스팀챔버(100)의 입구측에 구성된 입구개폐부(200)의 폐쇄작동으로 폐쇄된다.
이어서, 입력부(500)를 통해 온도와 압력 및 시간을 설정하면, 제어부(400)에서 에어배기밸브(1010)로 제어신호를 전송하면, 상기 에어배기밸브(1010)에서 스팀챔버(100)의 진공관(106)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킨다.
아울러, 제어부(400)에서 입구개폐열림부(1020)로 제어신호를 전송하여, 상기 입구개폐열림부(1020)에 의해 입구개폐부(200)가 스팀챔버(100)의 입구로부터 이탈되지 못하도록 잠근다.
상기와 같은 방식으로 스팀챔버(100)가 진공되면, 제어부(400)에서 스팀공급밸브(900)로 제어신호를 전송하여 상기 스팀공급밸브(900)에서 설정 시간동안 스팀분사관(102)를 통해 스팀챔버(100) 내부로 스팀을 제공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400)는 온도센서(600)에서 센싱된 온도 예컨대, 145℃와 압력센서(700)에서 센싱된 압력을 터치형 디스플레이부(800)로 전송하여 온도와 압력 등이 디스플레이되도록 한다.
이후, 일정시간 경과로 취사가 완료되면, 제어부(400)는 스팀배기밸브(1000)로 제어신호를 전송하여 상기 스팀배기밸브(1000)를 통해 스팀챔버(100)의 내부에 있는 스팀을 스팀배기관(104)을 통해 외부로 배출시킨다.
그리고, 제어부(400)는 출구개폐열림부(1030)로 제어신호를 전송하여, 상기 출구개폐열림부(1030)에 의해 출구개폐부(300)가 스팀챔버(100)의 출구로부터 이탈되어 잠금을 해제한다.
이에 따라, 출구개폐부(300)의 잠금이 해제되면, 사용자가 출구개폐부(300)를 열고, 스팀챔버(100)의 내부로부터 밥을 퍼낸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스팀챔버를 이용한 취사시스템을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 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본 발명에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변경실시가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스팀챔버 102: 스팀분사관
104: 스팀배기관 106: 진공관
110: 공급부 111: 물공급관
112: 하우징 113: 물배수관
114: 호퍼 115: 받침판
116: 스크류 117: 걸름판
118: 모터

Claims (5)

  1. 적어도 하나 이상의 스팀챔버와, 스팀챔버의 양단 각각에 구성되는 입구 및 출구개폐부와, 제어부와, 입력부와, 온도센서와, 압력센서와, 디스플레이부와, 상기 스팀챔버로 스팀을 제공하는 스팀공급밸브와, 상기 스팀챔버에서 스팀을 배기시키는 스팀배기밸브와, 상기 스팀챔버의 내부에서 공기를 배기시키는 에어배기밸브를 포함하여, 상기 스팀챔버에 투입되는 내용물을 일정온도와 압력 및 시간동안 쪄내어 취사가 가능한 상태로 조리하는 스팀챔버를 이용한 취사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스팀챔버(100)의 일측에 구성되어 상기 스팀챔버(100)의 내부로 내용물공급하고, 공급되는 내용물을 세척 및 수분이 잔존된 상태를 유지시켜 취사시간을 단축할 수 있도록 하는 공급부(110)를 포함하고;
    상기 공급부(110)는, 하우징(112)과;
    상기 하우징(112)의 일측에 구성되어 상기 하우징(112)의 내부로 내용물이 투입되도록 유도하는 호퍼(114)와;
    상기 하우징(112)의 내부에 구성되어 투입된 내용물을 이송시키는 스크류(116); 및
    상기 하우징(112)의 일측에 구성되어 상기 스크류(116)에 회전력을 제공하는모터(118)를 포함하며;
    상기 하우징(112)의 일측에는 스크류(116)를 통해 이송되는 내용물이 세척될 수 있도록 물을 공급하는 물공급관(111); 및
    상기 하우징(112)의 타측에는 하우징(112)에 투입된 물을 배수시키도록 하는 물배수관(113)을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112)의 내부에는 물이 배수될 때 내용물이 함께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하우징(112)과 일정간격 이격되게 구성되는 걸름판(117)을 포함하며;
    상기 하우징(112)의 일단에는 내용물이 스팀챔버(100)로 안정적으로 배출될 수 있도록 지지하는 받침판(115);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팀챔버를 이용한 취사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170003586A 2017-01-10 2017-01-10 스팀챔버를 이용한 취사시스템 KR1018801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03586A KR101880186B1 (ko) 2017-01-10 2017-01-10 스팀챔버를 이용한 취사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03586A KR101880186B1 (ko) 2017-01-10 2017-01-10 스팀챔버를 이용한 취사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82198A KR20180082198A (ko) 2018-07-18
KR101880186B1 true KR101880186B1 (ko) 2018-07-19

Family

ID=630493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03586A KR101880186B1 (ko) 2017-01-10 2017-01-10 스팀챔버를 이용한 취사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80186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97661Y1 (ko) * 2000-03-29 2000-09-15 나창환 곡물 세척기
KR200389585Y1 (ko) * 2005-04-16 2005-07-14 김성곤 무인 자동 취사장치
KR101039160B1 (ko) * 2011-02-23 2011-06-03 하경훈 스팀 챔버를 구비한 취사장치
KR20150024635A (ko) * 2013-08-27 2015-03-09 창 구 이 연속형 증숙기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0498Y1 (ko) 2009-10-30 2010-10-07 (주)금성주방 증기취사기
KR101280301B1 (ko) 2012-12-24 2013-07-01 (주)티에스케이에프 콤비스티머 무압력 취사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97661Y1 (ko) * 2000-03-29 2000-09-15 나창환 곡물 세척기
KR200389585Y1 (ko) * 2005-04-16 2005-07-14 김성곤 무인 자동 취사장치
KR101039160B1 (ko) * 2011-02-23 2011-06-03 하경훈 스팀 챔버를 구비한 취사장치
KR20150024635A (ko) * 2013-08-27 2015-03-09 창 구 이 연속형 증숙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82198A (ko) 2018-07-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50027460A (ko) 과열증기 조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US7049550B2 (en) Overheated steam oven
US20080314258A1 (en) Rice and Egg Cooker
US8925445B2 (en) Cooking appliance
EP2187130B1 (en) Vapor cooker
US10765249B2 (en) Baby food maker
EP3030116B1 (en) Device for cooking and heating and/or reviving of portions of fresh and/or frozen pre-cooked pasta and other food preparations
US6911626B2 (en) Overheated steam oven
US6906291B2 (en) Overheated steam oven
US3790391A (en) Apparatus for steam pressure cooking of food
WO2017190522A1 (zh) 一种电饭锅
JP2003144308A5 (ko)
KR101880186B1 (ko) 스팀챔버를 이용한 취사시스템
KR101532440B1 (ko) 조리기기
JP5052988B2 (ja) 蒸気調理器
KR101039160B1 (ko) 스팀 챔버를 구비한 취사장치
KR100526210B1 (ko) 증기조리장치
CN215424105U (zh) 电热蒸汽桶
KR101880187B1 (ko) 내구성을 향상시킨 취사장치의 스팀챔버
JP2011058677A (ja) 加熱調理器
JP3575080B2 (ja) 複合調理レンジ
KR19990005367A (ko) 전기압력밥솥의 제어방법
CN113040597A (zh) 电热蒸汽桶
KR100461461B1 (ko) 증숙 및 건조장치
CN117043516A (zh) 用于家用烹饪器具的蒸汽处理抽屉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