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21402A - 테이프 패키지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패널 모듈 - Google Patents

테이프 패키지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패널 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21402A
KR20150021402A KR20130098702A KR20130098702A KR20150021402A KR 20150021402 A KR20150021402 A KR 20150021402A KR 20130098702 A KR20130098702 A KR 20130098702A KR 20130098702 A KR20130098702 A KR 20130098702A KR 20150021402 A KR20150021402 A KR 2015002140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ion part
sub
display panel
main
sub conn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0987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13703B1 (ko
Inventor
윤일환
우승창
Original Assignee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987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13703B1/ko
Priority to US14/257,612 priority patent/US9377641B2/en
Publication of KR201500214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214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137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137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05Flexible substrates, e.g. plastics, organic film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00Printed circuits
    • H05K1/02Details
    • H05K1/0277Bendability or stretchability details
    • H05K1/028Bending or folding regions of flexible printed circuits
    • H05K1/0281Reinforcement details thereof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45Conductors connecting electrodes to cell terminals
    • G02F1/13452Conductors connecting driver circuitry and terminals of panel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00Printed circuits
    • H05K1/02Details
    • H05K1/14Structural association of two or more printed circuits
    • H05K1/147Structural association of two or more printed circuits at least one of the printed circuits being bent or folded, e.g. by using a flexible printed circuit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00Printed circuits
    • H05K1/18Printed circuit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non-printed electric components
    • H05K1/189Printed circuit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non-printed electric compon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flexible or folded printed circuit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printed circuits covered by H05K1/00
    • H05K2201/09Shape and layout
    • H05K2201/09009Substrate related
    • H05K2201/09045Locally raised area or protrusion of insulating substrate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printed circuits covered by H05K1/00
    • H05K2201/09Shape and layout
    • H05K2201/09209Shape and layout details of conductors
    • H05K2201/09654Shape and layout details of conductors covering at least two types of conductors provided for in H05K2201/09218 - H05K2201/095
    • H05K2201/09781Dummy conductors, i.e. not used for normal transport of current; Dummy electrodes of component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printed circuits covered by H05K1/00
    • H05K2201/10Details of components or other objects attached to or integrated in a printed circuit board
    • H05K2201/10007Types of components
    • H05K2201/10128Display
    • H05K2201/10136Liquid Crystal display [LCD]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printed circuits covered by H05K1/00
    • H05K2201/10Details of components or other objects attached to or integrated in a printed circuit board
    • H05K2201/10613Details of electrical connections of non-printed components, e.g. special leads
    • H05K2201/10621Components characterised by their electrical contacts
    • H05K2201/10681Tape Carrier Package [TCP]; Flexible sheet connector

Abstract

가요성 재질의 몸통부, 상기 몸통부 상에 위치하는 구동 회로부, 상기 몸통부로부터 제1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서브 연결부, 상기 제1 서브 연결부로부터 상기 제1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메인 연결부, 일단이 상기 구동 회로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제1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리드 배선, 상기 제1 서브 연결부로부터 상기 제1 서브 연결부와 동일 평면상에서 상기 제1 방향에 수직한 제3 방향으로 연장된 돌출부를 포함하는 테이프 패키지.

Description

테이프 패키지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패널 모듈{TAPE PACKAGE AND DISPLAY PANEL MODULE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테이프 패키지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패널 모듈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신뢰성이 향상된 테이프 패키지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패널 모듈에 관한 것이다.
최근, 대면적이 용이하고 박형 및 경량화가 가능한 평판 디스플레이(flat panel display, FPD)가 표시 장치로서 널리 이용되고 있으며, 이러한 평판 디스플레이로는 액정 표시장치(liquid crystal display, LCD), 플라스마 디스플레이 패널(plasma display panel, PDP), 유기 발광 표시장치(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OLED) 등이 사용되고 있다.
상기 표시 장치는 표시 패널을 구동하기 위해서 데이터 구동부 및 게이트 구동부를 비롯한 외부 구동 회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데 상기 외부 구동 회로는 표시 장치의 박형 및 경량화를 위해서 상기 액정 표시 패널에 가요성의 테이프 패키지에 의해 연결된다.
상기 테이프 패키지는 유연성을 갖는 베이스 기판 상에 형성된 회로 배선을 포함하며 실시예에 따라서 IC칩과 같은 구동 회로부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상기 테이프 패키지는 유연성을 가지므로, 상기 표시 장치를 조립하거나 사용하는데 있어서, 상기 테이프 패키지는 구부러져 결합될 수 있으나, 상기 테이프 패키지가 구부러질 경우, 상기 테이프 패키지에 형성된 회로 배선이 단선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이에,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러한 점에서 착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구부러지거나 휘어져 결합되는 경우에 발생할 수 있는 회로 배선의 단선을 방지할 수 있도록 개선된 테이프 패키지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회로 배선의 단선을 방지할 수 있도록 개선된 테이프 패키지를 포함하는 표시 패널 모듈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일 실시예에 따른 테이프 패키지는 가요성 재질의 몸통부, 상기 몸통부 상에 위치하는 구동 회로부, 상기 몸통부로부터 제1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서브 연결부, 상기 제1 서브 연결부로부터 상기 제1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메인 연결부, 일단이 상기 구동 회로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제1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리드 배선 및 상기 제1 서브 연결부로부터 상기 제1 서브 연결부와 동일 평면상에서 상기 제1 방향에 수직한 제3 방향으로 연장된 돌출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상기 제3 방향으로 돌출되며 직사각형의 형태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상기 제3 방향으로 돌출되며 반원 형상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상기 돌출부 상에 위치하는 금속 재질의 지지층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지지층은 상기 제1 리드 배선과 동일한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리드 배선을 일부 커버하는 보호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구동 회로부를 상기 몸통부상에 고정하며, 상기 구동 회로부를 커버하는 봉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리드 배선은 상기 제1 메인 연결부상에 위치하는 제1 메인 리드 배선 및 상기 제1 서브 연결부상에 위치하는 제1 서브 리드 배선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서브 리드 배선의 상기 제3 방향의 폭은 상기 제1 메인 리드 배선의 상기 제3 방향의 폭에 비해 넓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메인 연결부의 상기 제1 방향에 위치하는 모서리는 곡선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상기 제1 메인 연결부 및 상기 제1 서브 연결부로부터 상기 제3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돌출부는 상기 제3 방향으로 돌출되며 반원 형상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몸통부로부터 상기 제1 방향에 반대되는 제2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서브 연결부, 상기 제2 서브 연결부로터 상기 제2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메인 연결부 및 일단이 상기 구동 회로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제2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리드 배선을 더 포함하고, 상기 돌출부는 상기 제1 메인 연결부, 상기 제1 서브 연결부, 상기 몸통부, 상기 제2 서브 연결부 및 상기 제2 메인 연결부로부터 상기 제3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돌출부는 상기 제3 방향으로 돌출되며 반원 형상일 수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패널 모듈은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 패널, 상기 표시 패널을 구동하는 구동부 및 가요성 재질의 몸통부, 상기 몸통부 상에 위치하고 상기 몸통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구동 회로부, 상기 몸통부로부터 제1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표시 패널과 부분적으로 중첩되는 제1 서브 연결부, 상기 제1 서브 연결부로부터 상기 제1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표시 패널과 중첩되는 제1 메인 연결부, 상기 몸통부로부터 상기 제1 방향에 반대되는 제2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구동부와 부분적으로 중첩되는 제2 서브 연결부, 상기 제2 서브 연결부로부터 상기 제2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구동부와 중첩되는 제2 메인 연결부, 일단이 상기 구동 회로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제1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표시 패널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1 리드 배선, 일단이 상기 구동 회로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제2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구동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2 리드 배선 및 상기 제1 서브 연결부로부터 상기 제1 서브 연결부와 동일 평면상에서 상기 제1 방향에 수직한 제3 방향으로 연장된 돌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상기 제3 방향으로 돌출되며 직사각형의 형태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상기 제3 방향으로 돌출되며 반원 형상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상기 제1 메인 연결부 및 상기 제1 서브 연결부로부터 상기 제3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돌출부는 상기 제3 방향으로 돌출되며 반원 형상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상기 제1 메인 연결부, 상기 제2 서브 연결부, 상기 몸통부, 상기 제2 서브 연결부, 상기 제2 메인 연결부로부터 상기 제3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돌출부는 상기 제3 방향으로 돌출되며 반원 형상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테이프 패키지는 상기 돌출부 상에 위치하는 금속 재질의 지지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지지층은 상기 제1 리드 배선과 동일한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표시 패널은 액정층을 포함하는 표시 패널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표시 패널은 유기 발광 소자를 포함하는 표시 패널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테이프 패키지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패널 모듈에 따르면, 상기 테이프 패키지는 외부 구동회로 및 표시 패널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테이프 패키지가 구부러지거나 휘어져서 연결되는 경우에 상기 테이프 패키지 상에 형성된 회로 배선의 단선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테이프 패키지를 제조하기 위한 베이스 필름의 평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테이프 패키지가 포함된 표시 패널 모듈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테이프 패키지의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B1 부분의 확대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테이프 패키지 및 표시 패널 모듈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테이프 패키지의 평면도이다.
도 7은 도 6의 B2 부분의 확대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테이프 패키지의 평면도이다.
도 9는 도 8의 B3 부분의 확대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테이프 패키지의 평면도이다.
도 11은 도 10의 B4 부분의 확대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테이프 패키지를 제조하기 위한 베이스 필름의 평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테이프 패키지는, 도 3에 도시된 구동 회로부(300), 봉지부(310) 및 보호층(400)이 결합되기 이전의 테이프 패키지이며, 베이스 기판(100), 구동 회로부 탑재 영역(111) 및 회로 패턴을 포함한다. 상기 회로 패턴은 제1 리드 배선(210), 제2 리드 배선(220), 제1 검사 패드(230) 및 제2 검사 패드(240)를 포함한다.
상기 베이스 기판(100)은 가요성 재질을 포함한다. 예를 들면, 상기 베이스 기판(100)은 폴리이미드 혹은 에폭시계 수지를 포함한다. 상기 베이스 기판(100) 상에 점선으로 표시된 A 영역이 하나의 테이프 패키지를 정의 한다. 상기 A 영역은 도 1과 같이 제1 방향과 제2 방향(D2)의 폭이 다른 다각형의 형태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제1 방향(D1)과 제2 방향(D2)의 폭이 동일한 직사각형 형태일 수 있다.
상기 베이스 기판(100) 상에서 상기 테이프 패키지의 가공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복수의 스프라켓 홀(SH)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구동 회로부 탑재 영역(111)은 상기 베이스 기판(100)의 상기 A영역 상에 형성 되며 구동 회로부가 배치된다.
상기 제1 리드 배선(210)은 상기 베이스 기판(100)의 상기 A영역 안에 배치되며, 상기 구동 회로부 탑재 영역(111)으로부터 제1 방향(D1)으로 연장된다. 상기 제1 리드 배선(210)은 상기 구동 회로부 탑재 영역(111) 상에 배치될 구동 회로부와 전기적으로 연결 된다.
상기 제2 리드 배선(220)은 상기 베이스 기판(100)의 상기 A영역 안에 배치되며, 상기 구동 회로부 탑재 영역(111)으로부터 제2 방향(D2)으로 연장된다. 상기 제2 리드 배선(220)은 상기 구동 회로부 탑재 영역(111) 상에 배치될 구동 회로부와 전기적으로 연결 된다.
상기 제1 검사 패드(230)는 상기 제1 리드 배선(210)으로부터 제1 방향(D1)으로 연장 되어 상기 베이스 기판(100)의 상기 A영역의 제1 방향(D1) 외부영역(TP1)에 배치된다. 상기 제1 검사 패드(230)는 상기 제1 리드 배선(210)과 전기적으로 연결 된다.
상기 제2 검사 패드(240) 는 상기 제2 리드 배선(220)으로부터 제2 방향(D2)으로 연장 되어 상기 베이스 기판(100)의 상기 A영역의 제2 방향(D2) 외부영역(TP2)에 배치된다. 상기 제2 검사 패드(240)는 상기 제2 리드 배선(220)과 전기적으로 연결 된다.
상기 제1 검사 패드(230) 및 상기 제2 검사 패드(240)는 상기 테이프 패키지의 상기 A 영역을 절단하기 전에 상기 테이프 패키지의 기능을 검사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제1 검사 패드(230) 및 상기 제2 검사 패드(240)를 이용하여 상기 테이프 패키지의 기능을 검사한 후, 상기 제1 방향(D1) 외부영역(TP1) 및 제2 방향(D2) 외부영역(TP2)은 절단되어 상기 A 영역의 상기 테이프 패키지가 완성 된다.
상기 테이프 패키지의 상기 제1 리드 배선(210)은 표시 장치의 표시 패널과 전기적으로 연결 되며, 상기 제2 리드 배선(220)은 상기 표시 장치의 구동부와 전기적으로 연결 된다.
실시예 1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테이프 패키지가 포함된 표시 패널 모듈의 사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패널 모듈은 표시 패널, 구동부 및 테이프 패키지를 포함한다.
상기 표시 패널은 제1 외부 기판(510), 대향 기판(520) 및 액정층을 포함한다. 상기 제1 외부 기판(510)은 예를 들면, 박막 트랜지스터 어레이를 포함하는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일 수 있다. 상기 제1 외부 기판(510)은 제1 베이스 기판, 박막 트랜지스터 및 화소 전극을 포함한다. 상기 대향 기판(520)은 상기 제1 외부 기판(510)과 마주하고, 제2 베이스 기판, 컬러 필터 및 공통 전극을 포함한다. 상기 액정층은 상기 제1 외부 기판(510) 및 상기 대향기판 사이에 개재되고, 상기 액정층의 액정은 상기 제1 외부 기판(510)의 상기 화소 전극 및 상기 대향 기판의 상기 공통 전극 사이에 형성된 전계에 의해 배향된다. 상기 표시 패널은 백라이트 어셈블리로부터 출사되는 광을 이용하여 영상을 표시한다. 상기 표시 패널의 일측에는 상기 제1 외부 기판(510)의 일부가 노출되어 상기 테이프 패키지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표시 패널은 액정층을 포함하는 액정 표시 패널이나,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표시 패널은 유기 발광 소자를 포함하는 유기 발광 표시 패널일 수 있다.
상기 구동부는 상기 표시 패널을 구동한다. 상기 구동부는 상기 제2 외부 기판(600)을 포함한다. 상기 구동부는 상기 테이프 패키지에 의해 상기 표시 패널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상기 구동부는 상기 표시 패널의 하부에 배치된다.
상기 표시 패널은 액정층을 포함하는 표시 패널을 기준으로 설명 하였으나 이와는 다르게 유기 발광 소자를 포함하는 표시 패널에도 적용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테이프 패키지의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B1 부분의 확대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테이프 패키지 및 표시 패널 모듈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테이프 패키지는 베이스 기판(100), 제1 리드 배선(210), 제2 리드 배선(220), 구동 회로부(300), 지지층(250), 보호층(400) 및 봉지부(310)를 포함한다.
상기 베이스 기판(100)은 가요성 재질의 몸통부(110), 상기 몸통부(110)로부터 제1 방향(D1)으로 연장되어 제1 외부 기판(510)과 부분적으로 중첩되는 제1 서브 연결부(130), 상기 제1 서브 연결부(130)로부터 제1 방향(D1)으로 연장되어 상기 제1 외부 기판(510)과 중첩되는 제1 메인 연결부(120), 상기 몸통부(110)로부터 제2 방향(D2)으로 연장되어 제2 외부 기판(600)과 부분적으로 중첩되는 제2 서브 연결부(150), 상기 제2 서브 연결부(150)로부터 제2 방향(D2)으로 연장되어 상기 제2 외부 기판(600)과 중첩되는 제2 메인 연결부(140) 및 돌출부(190)를 포함한다.
상기 몸통부(110)는 가요성 재질을 포함한다. 상기 가요성 재질은 예를 들면, 폴리이미드 혹은 에폭시계 수지를 포함한다.
상기 제1 메인 연결부(120)는 상기 제1 서브 연결부(130)로부터 제1 방향(D1)으로 연장되어 상기 제1 외부 기판(510)과 중첩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외부 기판(510)은 상기 제1 메인 연결부(120)와 전기적으로 연결 되는 제1 기판 패드(511)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메인 연결부(120)는 상기 제1 기판 패드(511) 상에 배치되어 상기 제1 외부 기판(510)과 전기적으로 연결 된다. 상기 제1 메인 연결부(120)는 상기 제1 기판 패드(511)와 이방성 접착제(550)를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1 메인 연결부(120)의 모서리는 직각 형태이다. 이와는 다르게 상기 제1 메인 연결부(120)의 모서리는 곡선 형태일 수 있다.
상기 제1 외부 기판(510)은 예를 들면, 박막 트랜지스터 어레이를 포함하는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일 수 있다.
상기 제1 서브 연결부(130)는 상기 몸통부(110)로부터 제1 방향(D1)으로 연장되어 상기 제1 외부 기판(510)과 부분적으로 중첩된다. 상기 제1 외부 기판(510)과 부분적으로 중첩되는 부분은, 평면도 상에서 상기 제1 외부 기판(510) 상에 위치 하지만, 상기 제1 외부 기판(510)과 상기 제1 외부 기판(510)과 부분적으로 중첩되는 부분 사이에는 이방성 접착제가 존재하지 않는다.
상기 제1 서브 연결부(130)는 상기 베이스 기판(100)이 제1 외부 기판(510)에 부착되는 부분과 인접하는 부분으로 외력에 의한 굽힘 및 전단 응력으로 인해 가장 많은 스트레스를 받는 부분이다.
상기 제2 메인 연결부(140)는 상기 제2 서브 연결부(150)로부터 제2 방향(D2)으로 연장되어 상기 제2 외부 기판(600)과 중첩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2 외부 기판(600)은 상기 제2 메인 연결부(140)와 전기적으로 연결 되는 제2 기판 패드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메인 연결부(140)는 상기 제2 기판 패드 상에 배치되어 상기 제2 외부 기판(600)과 전기적으로 연결 된다. 상기 제2 메인 연결부(140)는 상기 제2 기판 패드와 이방성 접착제(550)를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2 외부 기판(600)은 예를 들면, 표시 장치의 구동부를 포함한다.
상기 제2 메인 연결부(140)의 모서리는 직각 형태이다. 이와는 다르게 상기 제2 메인 연결부(140)의 모서리는 곡선 형태일 수 있다.
상기 제2 서브 연결부(150)는 상기 몸통부(110)로부터 제2 방향(D2)으로 연장되어 상기 제2 외부 기판(600)과 부분적으로 중첩된다. 상기 제2 외부 기판(600)과 부분적으로 중첩되는 부분은, 평면도 상에서 상기 제2 외부 기판(600) 상에 위치 하지만, 상기 제2 외부 기판(600)과 상기 제2 외부 기판(600)과 부분적으로 중첩되는 부분 사이에는 이방성 접착제가 존재하지 않는다.
상기 제2 서브 연결부(150)는 상기 베이스 기판(100)이 제2 외부 기판(600)에 부착되는 부분과 인접하는 부분으로 외력에 의한 굽힘 및 전단 응력으로 인해 가장 많은 스트레스를 받는 부분이다.
상기 돌출부(190)는 상기 제1 서브 연결부(130)로부터 상기 제3 방향(D3)으로 연장되어 제3 방향(D3)으로 볼록한 반원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베이스 기판(100)은 상기 제1 서브 연결부(130)로부터 제3 방향(D3)에 반대되는 제4 방향(D4)으로 연장되어 제4 방향(D4)으로 볼록한 반원 형상의 돌출부(190), 상기 제2 서브 연결부(150)로부터 제3 방향(D3)으로 연장되어 제3 방향(D3)으로 볼록한 반원 형상의 돌출부(190) 및 상기 제2 서브 연결부(150)로부터 제4 방향(D4)으로 연장되어 제4 방향(D4)으로 볼록한 반원 형상의 돌출부(190)들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며, 상기 제1 서브 연결부(130)는 상기 제1 외부 기판(510)과 부분적으로 중첩한다. 따라서 상기 제1 서브 연결부(130)로부터 돌출된 돌출부(190)는 상기 제1 외부 기판(510)과 부분적으로 중첩한다. 유사하게, 상기 제2 서브 연결부(150)로부터 돌출된 돌출부(190)는 상기 제2 외부 기판(600)과 부분적으로 중첩할 수 있다.
상기 돌출부(190)는, 도 1에 도시된 베이스 필름을 커팅하는 과정에서 상기 제1 서브 연결부(130) 및 제2 서브 연결부(150)와 함께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돌출부(190)는 상기 제1 서브 연결부(130) 및 상기 제2 서브 연결부(150)와 함께 절곡되어 상기 제1 서브 연결부(130) 및 상기 제2 서브 연결부(150)가 받는 스트레스를 분산할 수 있다.
상기 제1 서브 연결부(130), 상기 제1 메인 연결부(120), 상기 제2 서브 연결부(150), 상기 제2 메인 연결부(140) 및 상기 돌출부(190)들은 상기 몸통부(110)와 동일한 재질을 포함한다.
상기 구동 회로부(300)는 상기 베이스 기판(100)의 상기 몸통부(110) 상에 배치된다. 상기 구동 회로부(300)는 상기 구동 회로부(300)의 하부에 배치된 복수의 단자들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단자들을 통해 상기 제1 리드 배선(210) 및 상기 제2 리드 배선(220)에 전기적으로 연결 된다.
상기 제1 리드 배선(210)은 상기 베이스 기판(100) 상에 배치된다. 상기 제1 리드 배선(210)은 상기 구동 회로부(300)로부터 제1 방향(D1)으로 연장된다. 상기 제1 리드 배선(210)의 제2 방향(D2) 끝단은 상기 구동 회로부(3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상기 제1 리드 배선(210)은 복수개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구동 회로부 (300)의 제3 방향(D3) 폭은 상기 베이스 기판(100)의 제3 방향(D3) 폭에 비해서 좁다. 따라서 복수의 상기 제1 리드 배선(210)이 배치되는 경우 상기 제1 리드 배선(210)간의 거리는 제1 방향(D1)으로 갈수록 넓어지며, 상기 구동 회로부(300)에 인접할수록 좁아진다.
상기 제1 리드 배선(210)의 일단은 상기 제1 외부 기판(510)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상기 제1 리드 배선(210)은 상기 제1 메인 연결부(120)상에 위치하는 제1 메인 리드 배선 및 상기 제1 서브 연결부(130)상에 위치하는 제1 서브 리드 배선을 포함한다.
상기 제1 서브 리드 배선의 상기 제3 방향(D3) 폭은 상기 제1 메인 리드 배선의 상기 제3 방향(D3) 폭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이와는 달리 상기 제1 서브 리드 배선의 상기 제3 방향(D3) 폭은 상기 제1 메인 리드 배선의 상기 제3 방향(D3) 폭에 비해 넓을 수 있다.
상기 제2 리드 배선(220)은 상기 베이스 기판(100) 상에 배치된다. 상기 제2 리드 배선(220)은 상기 구동 회로부(300)로부터 제2 방향(D2)으로 연장된다. 상기 제2 리드 배선(220)의 제1 방향(D1) 끝단은 상기 구동 회로부(3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상기 제2 리드 배선(220)은 복수개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구동 회로부 (300)의 제3 방향(D3) 폭은 상기 베이스 기판(100)의 제3 방향(D3) 폭에 비해서 좁다. 따라서 복수의 상기 제2 리드 배선(220)이 배치되는 경우 상기 제2 리드 배선(220)간의 거리는 제2 방향(D2)으로 갈수록 넓어지며, 상기 구동 회로부(300)에 인접할수록 좁아진다.
상기 제2 리드 배선(220)의 일단은 상기 제2 외부 기판(600)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상기 제2 리드 배선(220)은 상기 제2 메인 연결부(140)상에 위치하는 제2 메인 리드 배선 및 상기 제2 서브 연결부(150)상에 위치하는 제2 서브 리드 배선을 포함한다.
상기 제2 서브 리드 배선의 상기 제3 방향(D3) 폭은 상기 제2 메인 리드 배선의 상기 제3 방향(D3) 폭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이와는 달리 상기 제2 서브 리드 배선의 상기 제3 방향(D3) 폭은 상기 제2 메인 리드 배선의 상기 제3 방향(D3) 폭에 비해 넓을 수 있다.
상기 제1 리드 배선(210) 및 상기 제2 리드 배선(220)은 상기 구동 회로부 (300)에 인접한 부분에 각각 제1 분기 배선 및 제2 분기 배선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리드 배선(210)은 복수개의 제1 분기 배선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리드 배선(220)은 복수개의 제2 분기 배선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단자들 중 같은 신호가 인가되는 단자들은 하나의 제1 리드 배선(210)으로부터 분기된 제1 분기 배선들 또는 하나의 제2 리드 배선(220)으로부터 분기된 제2 분기 배선들과 각각 연결될 수 있다.
상기 테이프 패키지는 상기 지지층(25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지층(250)은 상기 돌출부(190) 상에 배치된다. 상기 지지층(250)은 상기 돌출부(190)에 비해 좁은 면적을 갖는다. 상기 지지층(250)은 상기 돌출부(190)가 절곡되는 경우에 상기 돌출부(190)에 가해지는 스트레스를 감소시킬 수 있다. 상기 지지층(250)은 상기 제1 리드 배선(210) 및 상기 제2 리드 배선(220)과 동일한 재질을 포함한다. 상기 지지층(250)은 상기 제1 리드 배선(210) 및 상기 제2 리드 배선(220)과 동시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지지층(250)은 상기 돌출부(190)와 유사한 형상, 예를 들어, 반원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보호층(400)은 제1 리드 배선(210) 및 제2 리드 배선(220) 상에 배치되어 상기 제1 리드 배선(210) 및 상기 제2 리드 배선(220)을 포함하는 회로 패턴을 절연 및 보호한다. 상기 보호층(400)은 상기 제1 리드 배선(210) 및 상기 제2 리드 배선(220)의 일부를 노출한다. 상기 보호층(400)은 상기 몸통부(110) 상에 배치되어 상기 구동 회로부(300), 상기 제1 메인 연결부(120), 상기 제1 서브 연결부(130), 상기 제2 메인 연결부(140) 및 상기 제2 서브 연결부(150)를 노출한다. 이와는 달리 상기 보호층(400)은 상기 몸통부(110), 상기 제1 서브 연결부(130), 상기 제2 서브 연결부(150), 상기 돌출부(190) 및 상기 지지층(250) 상에 배치되어 상기 구동 회로부(300), 상기 제1 메인 연결부(120) 및 상기 제2 메인 연결부(140)를 노출하고, 상기 제1 서브 연결부(130), 상기 제2 서브 연결부(150), 상기 돌출부(190) 및 상기 지지층(250)은 일부분만 노출할 수 있다. 상기 보호층(400)은 솔더 레지스트일 수 있다.
상기 봉지부(310)는 상기 구동 회로부(300)가 상기 몸통부(110) 상에 고정 되도록 상기 구동 회로부(300) 주변을 둘러싼다. 상기 봉지부(310)는 상기 구동 회로부(300)의 측면, 상기 제1 리드 배선(210)의 일부, 상기 제2 리드 배선(220)의 일부 및 상기 보호층(400)의 일부를 커버한다. 상기 봉지부(310)는 에폭시 수지(resin)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 2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테이프 패키지의 평면도이다.
도 7은 도 6의 B2 부분의 확대 사시도이다.
본 실시예에 의한 표시 패널 모듈은 도 2의 표시 패널 모듈과 비교하여 상기 테이프 패키지를 제외하고는 도 2의 표시 패널 모듈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또한, 본 실시예에 의한 테이프 패키지는 도 3 내지 도 5의 테이프 패키지와 비교하여 베이스 기판(101), 돌출부(191) 및 지지층(251)을 제외하고는 도 3 내지 도 5의 테이프 패키지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따라서 도 2 내지 도 5와 동일한 부재는 동일한 참조 부호로 나타내고, 중복되는 상세한 설명은 생략될 수 있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테이프 패키지는 베이스 기판(101), 제1 리드 배선(210), 제2 리드 배선(220), 구동 회로부(300), 지지층(251), 보호층(400) 및 봉지부(310)를 포함한다.
상기 베이스 기판(101)은 가요성 재질의 몸통부(110), 상기 몸통부(110)로부터 제1 방향(D1)으로 연장되어 제1 외부 기판(510)과 부분적으로 중첩되는 제1 서브 연결부(130), 상기 제1 서브 연결부(130)로부터 제1 방향(D1)으로 연장되어 상기 제1 외부 기판(510)과 중첩되는 제1 메인 연결부(120), 상기 몸통부(110)로부터 제2 방향(D2)으로 연장되어 제2 외부 기판(600)과 부분적으로 중첩되는 제2 서브 연결부(150), 상기 제2 서브 연결부(150)로부터 제2 방향(D2)으로 연장되어 상기 제2 외부 기판(600)과 중첩되는 제2 메인 연결부(140) 및 돌출부(191)를 포함한다.
상기 몸통부(110)는 가요성 재질을 포함한다. 상기 가요성 재질은 예를 들면, 폴리이미드 혹은 에폭시계 수지를 포함한다.
상기 제1 메인 연결부(120)는 상기 제1 서브 연결부(130)로부터 제1 방향(D1)으로 연장되어 상기 제1 외부 기판(510)과 중첩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외부 기판(510)은 상기 제1 메인 연결부(120)와 전기적으로 연결 되는 제1 기판 패드(511)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메인 연결부(120)는 상기 제1 기판 패드(511) 상에 배치되어 상기 제1 외부 기판(510)과 전기적으로 연결 된다. 상기 제1 메인 연결부(120)는 상기 제1 기판 패드(511)와 이방성 접착제(550)를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1 메인 연결부(120)의 모서리는 직각 형태이다. 이와는 다르게 상기 제1 메인 연결부(120)의 모서리는 곡선 형태일 수 있다.
상기 제1 외부 기판(510)은 예를 들면, 박막 트랜지스터 어레이를 포함하는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일 수 있다.
상기 제1 서브 연결부(130)는 상기 몸통부(110)로부터 제1 방향(D1)으로 연장되어 상기 제1 외부 기판(510)과 부분적으로 중첩된다. 상기 제1 외부 기판(510)과 부분적으로 중첩되는 부분은, 평면도 상에서 상기 제1 외부 기판(510) 상에 위치 하지만, 상기 제1 외부 기판(510)과 상기 제1 외부 기판(510)과 부분적으로 중첩되는 부분 사이에는 이방성 접착제가 존재하지 않는다.
상기 제1 서브 연결부(130)는 상기 베이스 기판(101)이 제1 외부 기판(510)에 부착되는 부분과 인접하는 부분으로 외력에 의한 굽힘 및 전단 응력으로 인해 가장 많은 스트레스를 받는 부분이다.
상기 제2 메인 연결부(140)는 상기 제2 서브 연결부(150)로부터 제2 방향(D2)으로 연장되어 상기 제2 외부 기판(600)과 중첩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2 외부 기판(600)은 상기 제2 메인 연결부(140)와 전기적으로 연결 되는 제2 기판 패드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메인 연결부(140)는 상기 제2 기판 패드 상에 배치되어 상기 제2 외부 기판(600)과 전기적으로 연결 된다. 상기 제2 메인 연결부(140)는 상기 제2 기판 패드와 이방성 접착제(550)를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2 메인 연결부(140)의 모서리는 직각 형태이다. 이와는 다르게 상기 제2 메인 연결부(140)의 모서리는 곡선 형태일 수 있다.
상기 제2 외부 기판(600)은 예를 들면, 표시 장치의 구동부를 포함한다.
상기 제2 서브 연결부(150)는 상기 몸통부(110)로부터 제2 방향(D2)으로 연장되어 상기 제2 외부 기판(600)과 부분적으로 중첩된다. 상기 제2 외부 기판(600)과 부분적으로 중첩되는 부분은, 평면도 상에서 상기 제2 외부 기판(600) 상에 위치 하지만, 상기 제2 외부 기판(600)과 상기 제2 외부 기판(600)과 부분적으로 중첩되는 부분 사이에는 이방성 접착제가 존재하지 않는다.
상기 제2 서브 연결부(150)는 상기 베이스 기판(101)이 제2 외부 기판(600)에 부착되는 부분과 인접하는 부분으로 외력에 의한 굽힘 및 전단 응력으로 인해 가장 많은 스트레스를 받는 부분이다.
상기 돌출부(191)는 상기 제1 서브 연결부(130)로부터 상기 제3 방향(D3)으로 연장되어 제3 방향(D3)으로 볼록한 사각형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베이스 기판(101)은 상기 제1 서브 연결부(130)로부터 제3 방향(D3)에 반대되는 제4 방향(D4)으로 연장되어 제4 방향(D4)으로 볼록한 사각형 형상의 돌출부(191), 상기 제2 서브 연결부(150)로부터 제3 방향(D3)으로 연장되어 제3 방향(D3)으로 볼록한 사각형 형상의 돌출부(191) 및 상기 제2 서브 연결부(150)로부터 제4 방향(D4)으로 연장되어 제4 방향(D4)으로 볼록한 사각형 형상의 돌출부(191)들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서브 연결부(130)는 상기 제1 외부 기판(510)과 부분적으로 중첩한다. 따라서 상기 제1 서브 연결부(130)로부터 돌출된 돌출부(191)는 상기 제1 외부 기판(510)과 부분적으로 중첩한다. 유사하게, 상기 제2 서브 연결부(150)로부터 돌출된 돌출부(191)는 상기 제2 외부 기판(600)과 부분적으로 중첩할 수 있다.
상기 돌출부(191)는, 도 1에 도시된 베이스 필름을 커팅하는 과정에서 상기 제1 서브 연결부(130) 및 제2 서브 연결부(150)와 함께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돌출부(191)는 상기 제1 서브 연결부(130) 및 상기 제2 서브 연결부(150)와 함께 절곡되어 상기 제1 서브 연결부(130) 및 상기 제2 서브 연결부(150)가 받는 스트레스를 분산할 수 있다.
상기 제1 서브 연결부(130), 상기 제1 메인 연결부(120), 상기 제2 서브 연결부(150), 상기 제2 메인 연결부(140) 및 상기 돌출부(191)들은 상기 몸통부(110)와 동일한 재질을 포함한다.
상기 테이프 패키지는 상기 지지층(251)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지층(251)은 상기 돌출부(191) 상에 배치된다. 상기 지지층(251)은 상기 돌출부(191)에 비해 좁은 면적을 갖는다. 상기 지지층(251)은 상기 돌출부(191)가 절곡되는 경우에 상기 돌출부(191)에 가해지는 스트레스를 감소시킬 수 있다. 상기 지지층(251)은 상기 제1 리드 배선(210) 및 상기 제2 리드 배선(220)과 동일한 재질을 포함한다. 상기 지지층(251)은 상기 제1 리드 배선(210) 및 상기 제2 리드 배선(220)과 동시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지지층(251)은 상기 돌출부(191)와 유사한 형상, 예를 들어, 직사각형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보호층(400)은 제1 리드 배선(210) 및 제2 리드 배선(220) 상에 배치되어 상기 제1 리드 배선(210) 및 상기 제2 리드 배선(220)을 포함하는 회로 패턴을 절연 및 보호한다. 상기 보호층(400)은 상기 제1 리드 배선(210) 및 상기 제2 리드 배선(220)의 일부를 노출한다. 상기 보호층(400)은 상기 몸통부(110) 상에 배치되어 상기 구동 회로부(300), 상기 제1 메인 연결부(120), 상기 제1 서브 연결부(130), 상기 제2 메인 연결부(140) 및 상기 제2 서브 연결부(150)를 노출한다. 이와는 달리 상기 보호층(400)은 상기 몸통부(110), 상기 제1 서브 연결부(130), 상기 제2 서브 연결부(150), 돌출부(191) 및 상기 지지층(251) 상에 배치되어 상기 구동 회로부(300), 상기 제1 메인 연결부(120), 상기 제2 메인 연결부(140)를 노출하고, 상기 제1 서브 연결부(130), 상기 제2 서브 연결부(150), 상기 돌출부(191) 및 상기 지지층(251)은 일부분만 노출할 수 있다. 상기 보호층(400)은 솔더 레지스트일 수 있다.
실시예 3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테이프 패키지의 평면도이다.
도 9는 도 8의 B3 부분의 확대 사시도이다.
본 실시예에 의한 표시 패널 모듈은 도 2의 표시 패널 모듈과 비교하여 상기 테이프 패키지를 제외하고는 도 2의 표시 패널 모듈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또한, 본 실시예에 의한 테이프 패키지는 도 3 내지 도 5의 테이프 패키지와 비교하여 베이스 기판(102), 돌출부(192) 및 지지층(252)을 제외하고는 도 3 내지 도 5의 테이프 패키지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따라서 도 2 내지 도 5와 동일한 부재는 동일한 참조 부호로 나타내고, 중복되는 상세한 설명은 생략될 수 있다.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테이프 패키지는 베이스 기판(102), 제1 리드 배선(210), 제2 리드 배선(220), 구동 회로부(300), 지지층(252), 보호층(400) 및 봉지부(310)를 포함한다.
상기 베이스 기판(102)은 가요성 재질의 몸통부(110), 상기 몸통부(110)로부터 제1 방향(D1)으로 연장되어 제1 외부 기판(510)과 부분적으로 중첩되는 제1 서브 연결부(130), 상기 제1 서브 연결부(130)로부터 제1 방향(D1)으로 연장되어 상기 제1 외부 기판(510)과 중첩되는 제1 메인 연결부(120), 상기 몸통부(110)로부터 제2 방향(D2)으로 연장되어 제2 외부 기판(600)과 부분적으로 중첩되는 제2 서브 연결부(150), 상기 제2 서브 연결부(150)로부터 제2 방향(D2)으로 연장되어 상기 제2 외부 기판(600)과 중첩되는 제2 메인 연결부(140) 및 돌출부(192)를 포함한다.
상기 몸통부(110)는 가요성 재질을 포함한다. 상기 가요성 재질은 예를 들면, 폴리이미드 혹은 에폭시계 수지를 포함한다.
상기 제1 메인 연결부(120)는 상기 제1 서브 연결부(130)로부터 제1 방향(D1)으로 연장되어 상기 제1 외부 기판(510)과 중첩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외부 기판(510)은 상기 제1 메인 연결부(120)와 전기적으로 연결 되는 제1 기판 패드(511)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메인 연결부(120)는 상기 제1 기판 패드(511) 상에 배치되어 상기 제1 외부 기판(510)과 전기적으로 연결 된다. 상기 제1 메인 연결부(120)는 상기 제1 기판 패드(511)와 이방성 접착제(550)를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1 메인 연결부(120)의 모서리는 직각 형태이다. 이와는 다르게 상기 제1 메인 연결부(120)의 모서리는 곡선 형태일 수 있다.
상기 제1 외부 기판(510)은 예를 들면, 박막 트랜지스터 어레이를 포함하는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일 수 있다.
상기 제1 서브 연결부(130)는 상기 몸통부(110)로부터 제1 방향(D1)으로 연장되어 상기 제1 외부 기판(510)과 부분적으로 중첩된다. 상기 제1 외부 기판(510)과 부분적으로 중첩되는 부분은, 평면도 상에서 상기 제1 외부 기판(510) 상에 위치 하지만, 상기 제1 외부 기판(510)과 상기 제1 외부 기판(510)과 부분적으로 중첩되는 부분 사이에는 이방성 접착제가 존재하지 않는다.
상기 제1 서브 연결부(130)는 상기 베이스 기판(102)이 제1 외부 기판(510)에 부착되는 부분과 인접하는 부분으로 외력에 의한 굽힘 및 전단 응력으로 인해 가장 많은 스트레스를 받는 부분이다.
상기 제2 메인 연결부(140)는 상기 제2 서브 연결부(150)로부터 제2 방향(D2)으로 연장되어 상기 제2 외부 기판(600)과 중첩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2 외부 기판(600)은 상기 제2 메인 연결부(140)와 전기적으로 연결 되는 제2 기판 패드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메인 연결부(140)는 상기 제2 기판 패드 상에 배치되어 상기 제2 외부 기판(600)과 전기적으로 연결 된다. 상기 제2 메인 연결부(140)는 상기 제2 기판 패드와 이방성 접착제(550)를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2 메인 연결부(140)의 모서리는 직각 형태이다. 이와는 다르게 상기 제2 메인 연결부(140)의 모서리는 곡선 형태일 수 있다.
상기 제2 외부 기판(600)은 예를 들면, 표시 장치의 구동부를 포함한다.
상기 제2 서브 연결부(150)는 상기 몸통부(110)로부터 제2 방향(D2)으로 연장되어 상기 제2 외부 기판(600)과 부분적으로 중첩된다. 상기 제2 외부 기판(600)과 부분적으로 중첩되는 부분은, 평면도 상에서 상기 제2 외부 기판(600) 상에 위치 하지만, 상기 제2 외부 기판(600)과 상기 제2 외부 기판(600)과 부분적으로 중첩되는 부분 사이에는 이방성 접착제가 존재하지 않는다.
상기 제2 서브 연결부(150)는 상기 베이스 기판(102)이 제2 외부 기판(600)에 부착되는 부분과 인접하는 부분으로 외력에 의한 굽힘 및 전단 응력으로 인해 가장 많은 스트레스를 받는 부분이다.
상기 돌출부(192)는 상기 제1 메인 연결부(120) 및 상기 제1 서브 연결부(130)로부터 제3 방향(D3)으로 연장되어 제3 방향(D3)으로 볼록한 반원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베이스 기판(102)은 상기 제1 메인 연결부(120) 및 상기 제1 서브 연결부(130)로부터 제3 방향(D3)에 반대되는 제4 방향(D4)으로 연장되어 제4 방향(D4)으로 볼록한 반원 형상의 돌출부(192), 상기 제2 메인 연결부(140) 및 상기 제2 서브 연결부(150)로부터 제3 방향(D3)으로 연장되어 제3 방향(D3)으로 볼록한 반원 형상의 돌출부(192) 및 상기 제2 메인 연결부(140) 및 상기 제2 서브 연결부(150)로부터 제4 방향(D4)으로 연장되어 제4 방향(D4)으로 볼록한 반원 형상의 돌출부(192)들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서브 연결부(130)는 상기 제1 외부 기판(510)과 부분적으로 중첩한다. 따라서 상기 제1 메인 연결부(120) 및 상기 제1 서브 연결부(130)로부터 돌출된 돌출부(192)는 상기 제1 외부 기판(510)과 부분적으로 중첩한다. 유사하게, 상기 제2 메인 연결부(140) 및 상기 제2 서브 연결부(150)로부터 돌출된 돌출부(192)는 상기 제2 외부 기판(600)과 부분적으로 중첩할 수 있다.
상기 돌출부(192)는, 도 1에 도시된 베이스 필름을 커팅하는 과정에서 상기 제1 메인 연결부, 상기 제1 서브 연결부(130), 상기 제2 메인 연결부(140) 및 제2 서브 연결부(150)와 함께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돌출부(192)는 상기 제1 서브 연결부(130) 및 상기 제2 서브 연결부(150)와 함께 절곡되어 상기 제1 서브 연결부(130) 및 상기 제2 서브 연결부(150)가 받는 스트레스를 분산할 수 있다.
상기 제1 서브 연결부(130), 상기 제1 메인 연결부(120), 상기 제2 서브 연결부(150), 상기 제2 메인 연결부(140) 및 상기 돌출부(192)들은 상기 몸통부(110)와 동일한 재질을 포함한다.
상기 테이프 패키지는 상기 지지층(252)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지층(252)은 상기 돌출부(192) 상에 배치된다. 상기 지지층(252)은 상기 돌출부(192)에 비해 좁은 면적을 갖는다. 상기 지지층(252)은 상기 돌출부(192)가 절곡되는 경우에 상기 돌출부(192)에 가해지는 스트레스를 감소시킬 수 있다. 상기 지지층(252)은 상기 제1 리드 배선(210) 및 상기 제2 리드 배선(220)과 동일한 재질을 포함한다. 상기 지지층(252)은 상기 제1 리드 배선(210) 및 상기 제2 리드 배선(220)과 동시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지지층(252)은 상기 돌출부(192)와 유사한 형상, 예를 들어, 반원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보호층(400)은 제1 리드 배선(210) 및 제2 리드 배선(220) 상에 배치되어 상기 제1 리드 배선(210) 및 상기 제2 리드 배선(220)을 포함하는 회로 패턴을 절연 및 보호한다. 상기 보호층(400)은 상기 제1 리드 배선(210) 및 상기 제2 리드 배선(220)의 일부를 노출한다. 상기 보호층(400)은 상기 몸통부(110) 상에 배치되어 상기 구동 회로부(300), 상기 제1 메인 연결부(120), 상기 제1 서브 연결부(130), 상기 제2 메인 연결부(140) 및 상기 제2 서브 연결부(150)를 노출한다. 이와는 달리 상기 보호층(400)은 상기 몸통부(110), 상기 제1 서브 연결부(130), 상기 제2 서브 연결부(150), 돌출부(192) 및 상기 지지층(252) 상에 배치되어 상기 구동 회로부(300), 상기 제1 메인 연결부(120), 상기 제2 메인 연결부(140)를 노출하고, 상기 제1 서브 연결부(130), 상기 제2 서브 연결부(150), 상기 돌출부(192) 및 상기 지지층(252)은 일부분만 노출할 수 있다. 상기 보호층(400)은 솔더 레지스트일 수 있다.
실시예 4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테이프 패키지의 평면도이다.
도 11은 도 10의 B4 부분의 확대 사시도이다.
본 실시예에 의한 표시 패널 모듈은 도 2의 표시 패널 모듈과 비교하여 상기 테이프 패키지를 제외하고는 도 2의 표시 패널 모듈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또한, 본 실시예에 의한 테이프 패키지는 도 3 내지 도 5의 테이프 패키지와 비교하여 베이스 기판(103), 돌출부(193) 및 지지층(253)을 제외하고는 도 3 내지 도 5의 테이프 패키지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따라서 도 2 내지 도 5와 동일한 부재는 동일한 참조 부호로 나타내고, 중복되는 상세한 설명은 생략될 수 있다.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테이프 패키지는 베이스 기판(103), 제1 리드 배선(210), 제2 리드 배선(220), 구동 회로부(300), 지지층(253), 보호층(400) 및 봉지부(310)를 포함한다.
상기 베이스 기판(103)은 가요성 재질의 몸통부(110), 상기 몸통부(110)로부터 제1 방향(D1)으로 연장되어 제1 외부 기판(510)과 부분적으로 중첩되는 제1 서브 연결부(130), 상기 제1 서브 연결부(130)로부터 제1 방향(D1)으로 연장되어 상기 제1 외부 기판(510)과 중첩되는 제1 메인 연결부(120), 상기 몸통부(110)로부터 제2 방향(D2)으로 연장되어 제2 외부 기판(600)과 부분적으로 중첩되는 제2 서브 연결부(150), 상기 제2 서브 연결부(150)로부터 제2 방향(D2)으로 연장되어 상기 제2 외부 기판(600)과 중첩되는 제2 메인 연결부(140) 및 돌출부(193)를 포함한다.
상기 몸통부(110)는 가요성 재질을 포함한다. 상기 가요성 재질은 예를 들면, 폴리이미드 혹은 에폭시계 수지를 포함한다.
상기 제1 메인 연결부(120)는 상기 제1 서브 연결부(130)로부터 제1 방향(D1)으로 연장되어 상기 제1 외부 기판(510)과 중첩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외부 기판(510)은 상기 제1 메인 연결부(120)와 전기적으로 연결 되는 제1 기판 패드(511)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메인 연결부(120)는 상기 제1 기판 패드(511) 상에 배치되어 상기 제1 외부 기판(510)과 전기적으로 연결 된다. 상기 제1 메인 연결부(120)는 상기 제1 기판 패드(511)와 이방성 접착제(550)를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1 메인 연결부(120)의 모서리는 직각 형태이다. 이와는 다르게 상기 제1 메인 연결부(120)의 모서리는 곡선 형태일 수 있다.
상기 제1 외부 기판(510)은 예를 들면, 박막 트랜지스터 어레이를 포함하는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일 수 있다.
상기 제1 서브 연결부(130)는 상기 몸통부(110)로부터 제1 방향(D1)으로 연장되어 상기 제1 외부 기판(510)과 부분적으로 중첩된다. 상기 제1 외부 기판(510)과 부분적으로 중첩되는 부분은, 평면도 상에서 상기 제1 외부 기판(510) 상에 위치 하지만, 상기 제1 외부 기판(510)과 상기 제1 외부 기판(510)과 부분적으로 중첩되는 부분 사이에는 이방성 접착제가 존재하지 않는다.
상기 제1 서브 연결부(130)는 상기 베이스 기판(103)이 제1 외부 기판(510)에 부착되는 부분과 인접하는 부분으로 외력에 의한 굽힘 및 전단 응력으로 인해 가장 많은 스트레스를 받는 부분이다.
상기 제2 메인 연결부(140)는 상기 제2 서브 연결부(150)로부터 제2 방향(D2)으로 연장되어 상기 제2 외부 기판(600)과 중첩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2 외부 기판(600)은 상기 제2 메인 연결부(140)와 전기적으로 연결 되는 제2 기판 패드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메인 연결부(140)는 상기 제2 기판 패드 상에 배치되어 상기 제2 외부 기판(600)과 전기적으로 연결 된다. 상기 제2 메인 연결부(140)는 상기 제2 기판 패드와 이방성 접착제(550)를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2 메인 연결부(140)의 모서리는 직각 형태이다. 이와는 다르게 상기 제2 메인 연결부(140)의 모서리는 곡선 형태일 수 있다.
상기 제2 외부 기판(600)은 예를 들면, 표시 장치의 구동부를 포함한다.
상기 제2 서브 연결부(150)는 상기 몸통부(110)로부터 제2 방향(D2)으로 연장되어 상기 제2 외부 기판(600)과 부분적으로 중첩된다. 상기 제2 외부 기판(600)과 부분적으로 중첩되는 부분은, 평면도 상에서 상기 제2 외부 기판(600) 상에 위치 하지만, 상기 제2 외부 기판(600)과 상기 제2 외부 기판(600)과 부분적으로 중첩되는 부분 사이에는 이방성 접착제가 존재하지 않는다.
상기 제2 서브 연결부(150)는 상기 베이스 기판(103)이 제2 외부 기판(600)에 부착되는 부분과 인접하는 부분으로 외력에 의한 굽힘 및 전단 응력으로 인해 가장 많은 스트레스를 받는 부분이다.
상기 돌출부(193)는 상기 제1 메인 연결부(120), 상기 제1 서브 연결부(130), 몸통부(110), 제2 서브 연결부(150) 및 제2 메인 연결부(140)로부터 제3 방향(D3)으로 연장되어 제3 방향(D3)으로 볼록한 반원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베이스 기판(103)은 상기 제1 메인 연결부(120), 상기 제1 서브 연결부(130), 몸통부(110), 제2 서브 연결부(150) 및 제2 메인 연결부(140)로부터 제3 방향(D3)에 반대되는 제4 방향(D4)으로 연장되어 제4 방향(D4)으로 볼록한 반원 형상의 돌출부(19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서브 연결부(130)는 상기 제1 외부 기판(510)과 부분적으로 중첩하고, 상기 제2 서부 연결부(150)는 상기 제2 외부 기판(600)과 부분적으로 중첩한다. 따라서 상기 제1 메인 연결부(120), 상기 제1 서브 연결부(130), 몸통부(110), 제2 서브 연결부(150) 및 제2 메인 연결부(140)로부터 돌출된 돌출부(193)는 상기 제1 외부 기판(510) 및 상기 제2 외부 기판(600)과 부분적으로 중첩한다.
상기 돌출부(193)는, 도 1에 도시된 베이스 필름을 커팅하는 과정에서 상기 제1 서브 연결부(130) 및 제2 서브 연결부(150)와 함께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돌출부(193)는 상기 제1 서브 연결부(130) 및 상기 제2 서브 연결부(150)와 함께 절곡되어 상기 제1 서브 연결부(130) 및 상기 제2 서브 연결부(150)가 받는 스트레스를 분산할 수 있다.
상기 제1 서브 연결부(130), 상기 제1 메인 연결부(120), 상기 제2 서브 연결부(150), 상기 제2 메인 연결부(140) 및 상기 돌출부(193)들은 상기 몸통부(110)와 동일한 재질을 포함한다.
상기 테이프 패키지는 상기 지지층(253)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지층(253)은 상기 돌출부(193) 상에 배치된다. 상기 지지층(253)은 상기 돌출부(193)에 비해 좁은 면적을 갖는다. 상기 지지층(253)은 상기 돌출부(193)가 절곡되는 경우에 상기 돌출부(193)에 가해지는 스트레스를 감소시킬 수 있다. 상기 지지층(253)은 상기 제1 리드 배선(210) 및 상기 제2 리드 배선(220)과 동일한 재질을 포함한다. 상기 지지층(253)은 상기 제1 리드 배선(210) 및 상기 제2 리드 배선(220)과 동시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지지층(253)은 상기 돌출부(193)와 유사한 형상, 예를 들어, 반원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보호층(400)은 제1 리드 배선(210) 및 제2 리드 배선(220) 상에 배치되어 상기 제1 리드 배선(210) 및 상기 제2 리드 배선(220)을 포함하는 회로 패턴을 절연 및 보호한다. 상기 보호층(400)은 상기 제1 리드 배선(210) 및 상기 제2 리드 배선(220)의 일부를 노출한다. 상기 보호층(400)은 상기 몸통부(110) 상에 배치되어 상기 구동 회로부(300), 상기 제1 메인 연결부(120), 상기 제1 서브 연결부(130), 상기 제2 메인 연결부(140) 및 상기 제2 서브 연결부(150)를 노출한다. 이와는 달리 상기 보호층(400)은 상기 몸통부(110), 상기 제1 서브 연결부(130), 상기 제2 서브 연결부(150), 돌출부(193) 및 상기 지지층(253) 상에 배치되어 상기 구동 회로부(300), 상기 제1 메인 연결부(120), 상기 제2 메인 연결부(140)를 노출하고, 상기 제1 서브 연결부(130), 상기 제2 서브 연결부(150), 상기 돌출부(193) 및 상기 지지층(253)은 일부분만 노출할 수 있다. 상기 보호층(400)은 솔더 레지스트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테이프 패키지의 상기 베이스 기판은 몸통부, 제1 서브 연장부, 제1 메인 연장부, 제2 서브 연장부, 제2 메인 연장부 및 돌출부를 포함한다. 상기 돌출부는 상기 제1 외부 기판 및 상기 제2 외부 기판과 부분적으로 중첩되어 상기 제1 서브 연장부 및 상기 제2 서브 연장부와 함께 절곡된다. 따라서 상기 돌출부는 상기 제1 서브 연장부 및 상기 제2 서브 연장부가 받는 스트레스를 분산시켜 상기 제1 서브 연장부 및 상기 제2 서브 연장부 상에서의 제1 리드 배선 및 제2 리드 배선의 단선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테이프 패키지는 상기 돌출부 상에 지지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1 서브 연장부 및 상기 제2 서브 연장부가 받는 스트레스를 더욱 분산시켜 상기 제1 서브 연장부 및 상기 제2 서브 연장부 상에서의 제1 리드 배선 및 제2 리드 배선의 단선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테이프 패키지는 액정 표시 장치, 플라스마 디스플레이 패널, 유기 전계 발광 장치와 같은 표시 장치에 사용될 수 있다.
이상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패널 모듈 및 테이프 패키지는 모바일폰, 노트북 컴퓨터, 태블릿 컴퓨터 등과 같은 휴대용 표시 장치 또는 텔레비전, 데스크톱 모니터와 같은 고정형 표시 장치를 비롯하여 냉장고, 세탁기, 에어컨디셔너와 같은 일반 가전제품에 포함되는 표시 장치에도 사용될 수 있다.
100, 101, 102, 103: 베이스 기판 110: 몸통부
111: 구동 회로부 탑재 영역 120: 제1 메인 연결부
130: 제1 서브 연결부 140: 제2 메인 연결부
150: 제2 서브 연결부 190, 191, 192, 193: 돌출부
210: 제1 리드 배선 220: 제2 리드 배선
230: 제1 검사 패드 240: 제2 검사 패드
250, 251, 252, 253: 지지층 300: 구동 회로부
310: 봉지부 400: 보호층
510: 제1 외부 기판 511: 제1 기판 패드
520: 대향 기판 550: 이방성 접착제
600: 제2 외부 기판 SH: 스프라켓 홀

Claims (20)

  1. 가요성 재질의 몸통부;
    상기 몸통부 상에 위치하는 구동 회로부;
    상기 몸통부로부터 제1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서브 연결부;
    상기 제1 서브 연결부로부터 상기 제1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메인 연결부;
    일단이 상기 구동 회로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제1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리드 배선; 및
    상기 제1 서브 연결부로부터 상기 제1 서브 연결부와 동일 평면상에서 상기 제1 방향에 수직한 제3 방향으로 연장된 돌출부를 포함하는 테이프 패키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상기 제3 방향으로 돌출되며 직사각형의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프 패키지.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상기 제3 방향으로 돌출되며 반원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프 패키지.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상기 돌출부 상에 위치하는 금속 재질의 지지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프 패키지.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층은 상기 제1 리드 배선과 동일한 재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프 패키지.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리드 배선을 일부 커버하는 보호층을 더 포함하는 테이프 패키지.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회로부를 상기 몸통부상에 고정하며, 상기 구동 회로부를 커버하는 봉지부를 포함하는 테이프 패키지.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리드 배선은 상기 제1 메인 연결부상에 위치하는 제1 메인 리드 배선 및 상기 제1 서브 연결부상에 위치하는 제1 서브 리드 배선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서브 리드 배선의 상기 제3 방향의 폭은 상기 제1 메인 리드 배선의 상기 제3 방향의 폭에 비해 넓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프 패키지.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메인 연결부의 상기 제1 방향에 위치하는 모서리는 곡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프 패키지.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상기 제1 메인 연결부 및 상기 제1 서브 연결부로부터 상기 제3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돌출부는 상기 제3 방향으로 돌출되며 반원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프 패키지.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통부로부터 상기 제1 방향에 반대되는 제2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서브 연결부;
    상기 제2 서브 연결부로터 상기 제2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메인 연결부; 및
    일단이 상기 구동 회로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제2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리드 배선을 더 포함하고,
    상기 돌출부는 상기 제1 메인 연결부, 상기 제1 서브 연결부, 상기 몸통부, 상기 제2 서브 연결부 및 상기 제2 메인 연결부로부터 상기 제3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돌출부는 상기 제3 방향으로 돌출되며 반원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프 패키지.
  12.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 패널;
    상기 표시 패널을 구동하는 구동부; 및
    가요성 재질의 몸통부, 상기 몸통부 상에 위치하고 상기 몸통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구동 회로부, 상기 몸통부로부터 제1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표시 패널과 부분적으로 중첩되는 제1 서브 연결부, 상기 제1 서브 연결부로부터 상기 제1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표시 패널과 중첩되는 제1 메인 연결부, 상기 몸통부로부터 상기 제1 방향에 반대되는 제2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구동부와 부분적으로 중첩되는 제2 서브 연결부, 상기 제2 서브 연결부로부터 상기 제2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구동부와 중첩되는 제2 메인 연결부, 일단이 상기 구동 회로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제1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표시 패널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1 리드 배선, 일단이 상기 구동 회로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제2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구동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2 리드 배선 및 상기 제1 서브 연결부로부터 상기 제1 서브 연결부와 동일 평면상에서 상기 제1 방향에 수직한 제3 방향으로 연장된 돌출부를 포함하는 테이프 패키지를 포함하는 표시 패널 모듈.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상기 제3 방향으로 돌출되며 직사각형의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패널 모듈.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상기 제3 방향으로 돌출되며 반원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패널 모듈.
  15.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상기 제1 메인 연결부 및 상기 제1 서브 연결부로부터 상기 제3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돌출부는 상기 제3 방향으로 돌출되며 반원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패널 모듈.
  16.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상기 제1 메인 연결부, 상기 제2 서브 연결부, 상기 몸통부, 상기 제2 서브 연결부, 상기 제2 메인 연결부로부터 상기 제3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돌출부는 상기 제3 방향으로 돌출되며 반원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패널 모듈.
  17.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테이프 패키지는 상기 돌출부 상에 위치하는 금속 재질의 지지층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패널 모듈.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층은 상기 제1 리드 배선과 동일한 재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패널 모듈.
  19.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패널은 액정층을 포함하는 표시 패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패널 모듈.
  20.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패널은 유기 발광 소자를 포함하는 표시 패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패널 모듈.
KR1020130098702A 2013-08-20 2013-08-20 테이프 패키지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패널 모듈 KR1021137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98702A KR102113703B1 (ko) 2013-08-20 2013-08-20 테이프 패키지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패널 모듈
US14/257,612 US9377641B2 (en) 2013-08-20 2014-04-21 Tape package and display panel module hav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98702A KR102113703B1 (ko) 2013-08-20 2013-08-20 테이프 패키지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패널 모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21402A true KR20150021402A (ko) 2015-03-02
KR102113703B1 KR102113703B1 (ko) 2020-05-22

Family

ID=524800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98702A KR102113703B1 (ko) 2013-08-20 2013-08-20 테이프 패키지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패널 모듈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9377641B2 (ko)
KR (1) KR10211370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887956B (zh) 2019-01-25 2021-04-27 武汉华星光电半导体显示技术有限公司 有机发光二极管柔性阵列基板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98078A (ko) * 2000-04-28 2001-11-08 윤종용 금속 배선 확장부를 갖는 테이프 캐리어 패키지 및 이를채용한 액정표시장치 모듈
KR20020071430A (ko) * 2001-03-05 2002-09-12 삼성전자 주식회사 다이 패드와 리드의 두께가 서로 다른 초박형 반도체패키지 및 그 제조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62776A (ja) 1994-12-07 1996-06-2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フレキシブル配線基板の固定方法
JP2000058998A (ja) 1998-08-07 2000-02-25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Tcpと液晶表示装置
JP2002050833A (ja) 2000-08-01 2002-02-15 Mitsumi Electric Co Ltd フレキシブルプリント基板
US20050183884A1 (en) * 2004-02-25 2005-08-25 Arima Display Corporation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KR100618898B1 (ko) 2005-05-24 2006-09-01 삼성전자주식회사 리드 본딩시 크랙을 방지하는 테이프 패키지
KR20060126174A (ko) 2005-06-03 2006-12-07 삼성전자주식회사 테이프 캐리어 패키지
KR20070080049A (ko) 2006-02-06 2007-08-09 삼성전자주식회사 신호 전송 필름과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KR101274939B1 (ko) 2006-06-30 2013-06-18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구동회로 및 이를 구비한 액정모듈
JP2009016578A (ja) 2007-07-04 2009-01-22 Sharp Corp フレキシブル配線基板、該フレキシブル配線基板を用いた半導体装置、および該半導体装置を備えた表示装置
CN101346035B (zh) 2007-07-13 2010-06-02 富葵精密组件(深圳)有限公司 软性电路板
US20090020858A1 (en) 2007-07-17 2009-01-22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Tape carrier substrate and semiconductor devic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98078A (ko) * 2000-04-28 2001-11-08 윤종용 금속 배선 확장부를 갖는 테이프 캐리어 패키지 및 이를채용한 액정표시장치 모듈
KR20020071430A (ko) * 2001-03-05 2002-09-12 삼성전자 주식회사 다이 패드와 리드의 두께가 서로 다른 초박형 반도체패키지 및 그 제조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9377641B2 (en) 2016-06-28
KR102113703B1 (ko) 2020-05-22
US20150055077A1 (en) 2015-02-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799929B (zh) 显示装置及其制造方法
WO2016107093A1 (zh) 显示面板及其制作方法、显示装置
KR102070195B1 (ko) 표시 장치
US11237437B2 (en) Display panel and manufacture method thereof, and display apparatus
US11051405B2 (en) Flexible display
KR20130071140A (ko) 테이프 배선 기판 및 이를 포함하는 칩 온 필름 패키지
KR20150031115A (ko) Cof 패키지, 이를 포함하는 cof 패키지 어레이, 및 표시 장치
US10431141B2 (en) Display device
US11927995B2 (en) Display device
US7719650B2 (en) Display panel and display device
KR20130105163A (ko) 반도체 패키지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JP2016126041A (ja) 表示装置
KR102215881B1 (ko) 테이프 패키지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KR101904730B1 (ko) 테이프 패키지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JP7083683B2 (ja) 液晶表示装置
KR20200091060A (ko) 표시 장치
CN109671725B (zh) 显示面板以及显示装置
KR102113703B1 (ko) 테이프 패키지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패널 모듈
TWM457965U (zh) 軟性電路板及覆晶薄膜
JP5619439B2 (ja) 実装構造体、電気光学装置、実装部品および実装構造体の製造方法
KR20150092692A (ko) 표시장치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40012487A (ko) 연성인쇄회로기판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TWI817805B (zh) 顯示面板以及顯示裝置
US11237681B2 (en) Input sensing panel and display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US20220336369A1 (en) Display device including a panel alignment mark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