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80049A - 신호 전송 필름과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 Google Patents

신호 전송 필름과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80049A
KR20070080049A KR1020060011108A KR20060011108A KR20070080049A KR 20070080049 A KR20070080049 A KR 20070080049A KR 1020060011108 A KR1020060011108 A KR 1020060011108A KR 20060011108 A KR20060011108 A KR 20060011108A KR 20070080049 A KR20070080049 A KR 2007008004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put
output
display panel
signal transmission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111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차기석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111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70080049A/ko
Priority to US11/510,936 priority patent/US20070182911A1/en
Priority to CNA2006101397771A priority patent/CN101017259A/zh
Priority to JP2007024593A priority patent/JP2007213064A/ja
Publication of KR200700800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8004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45Conductors connecting electrodes to cell terminal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00Printed circuits
    • H05K1/02Details
    • H05K1/0277Bendability or stretchability details
    • H05K1/028Bending or folding regions of flexible printed circuit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00Printed circuits
    • H05K1/02Details
    • H05K1/14Structural association of two or more printed circuits
    • H05K1/147Structural association of two or more printed circuits at least one of the printed circuits being bent or folded, e.g. by using a flexible printed circuit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00Printed circuits
    • H05K1/02Details
    • H05K1/14Structural association of two or more printed circuits
    • H05K1/142Arrangements of planar printed circuit boards in the same plane, e.g. auxiliary printed circuit insert mounted in a main printed circuit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 Liquid Cryst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외부 스트레스에 의한 신호 단자들의 크랙 불량을 방지할 수 있는 신호 전송 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표시 장치는 화상을 표시하는 표시 패널과; 상기 표시 패널의 일측면에 이격되어 배치된 인쇄 회로 기판과; 상기 표시 패널과 인쇄 회로 기판 사이에 부착된 다수의 신호 전송 필름들을 구비하며, 상기 다수의 신호 전송 필름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상기 인쇄 회로 기판과 접촉되는 입력 패드가 형성된 입력부와; 상기 표시 패널과 접촉되는 출력 패드가 형성된 출력부와; 상기 입력부와 출력부 사이에 상기 입력부 및 출력부 중 적어도 하나의 폭보다 좁게 형성된 채널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신호 전송 필름과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SIGNAL TRANSMISSION FILM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테이프 캐리어 패키지를 나타내는 전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테이프 캐리어 패키지를 나타내는 배면 사시도이다.
도 3a 및 도 3b는 도 2에서 선"Ⅱ-Ⅱ", "Ⅱ'-Ⅱ'"를 따라 절취한 테이프 캐리어 패키지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테이프 캐리어 패키지의 외부 스트레스에 대한 영향을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다.
도 5는 변곡점이 라운드 형태로 형성된 본 발명에 따른 테이프 캐리어 패키지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테이프 캐리어 패키지를 포함하는 액정 표시 장치를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7a 및 도 7b는 도 6에 도시된 데이터 인쇄 회로 기판과 박막트랜지스터 기판 사이에 부착된 테이프 캐리어 패키지의 다양한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10 : 테이프 캐리어 패키지 112 : 베이스 필름
114 : 보호막 116 : 입력 패드
118 : 출력 패드 120 : 집적 회로
124 : 출력 라인 126 : 입력 라인
130 : 입력 신호 공급부 132 : 출력 신호 공급부
134 : 데이터 인쇄 회로 기판 150 : 제어 인쇄 회로 기판
152 : 연성 인쇄 회로 160 : 액정 표시 패널
162 : 박막트랜지스터 기판 164 : 칼라필터 기판
본 발명은 신호 전송 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외부 스트레스에 의한 신호 단자들의 크랙 불량을 방지할 수 있는 신호 전송 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액정 표시 장치는 전계를 이용하여 유전 이방성을 갖는 액정의 광투과율을 조절함으로써 화상을 표시하게 된다. 이를 위하여, 액정 표시 장치는 액정셀들이 매트릭스형으로 배열된 액정 표시 패널과, 액정 표시 패널을 구동하기 위한 구동 회로들을 구비한다. .
구동 회로들은 액정 표시 패널의 게이트 라인들을 구동하기 위한 게이트 구동 집적 회로와, 데이터 라인들을 구동하기 위한 데이터 구동 집적 회로와, 게이트 구동 집적 회로 및 데이터 구동 집적 회로의 구동 타이밍을 제어하기 위한 타이밍 제어부와, 상기 액정 표시 패널과 상기 구동 회로들의 구동에 필요한 전원 신호들을 공급하는 전원부를 구비한다.
여기서, 데이터 구동 집적 회로 및 게이트 구동 집적 회로 각각은 테이프 캐리어 패키지 상에 실장된다. 이러한 집적 회로들이 실장된 테이프 캐리어 패키지는 타이밍 제어부 및 전원부가 실장된 인쇄 회로 기판과 액정 표시 패널 사이에 열압착 공정을 통해 부착된다. 이 열 압착 공정시 발생되는 높은 열에 의해 테이프 캐리어 패키지의 열 변형이 발생된다. 이에 따라, 외부 스트레스에 대하여 테이프 캐리어 패키지 상에 실장된 신호 단자들에는 크랙이 쉽게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외부 스트레스에 의한 신호 단자들의 크랙 불량을 방지할 수 있는 신호 전송 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표시 장치는 화상을 표시하는 표시 패널과; 상기 표시 패널의 일측면에 이격되어 배치된 인쇄 회로 기 판과; 상기 표시 패널과 인쇄 회로 기판 사이에 부착된 다수의 신호 전송 필름들을 구비하며, 상기 다수의 신호 전송 필름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상기 인쇄 회로 기판과 접촉되는 입력 패드가 형성된 입력부와; 상기 표시 패널과 접촉되는 출력 패드가 형성된 출력부와; 상기 입력부와 출력부 사이에 상기 입력부 및 출력부 중 적어도 하나의 폭보다 좁게 형성된 채널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입력부, 출력부 및 채널부 중 적어도 하나에 형성된 변곡점은 라운드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신호 전송 필름은 테이프 캐리어 패키지 및 칩 온 필름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신호 전송 필름은 그 부착 위치가 상기 표시 패널의 중앙부에서 상기 표시 패널의 외곽부로 갈수록 채널부의 폭이 점진적으로 좁아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는 상기 표시 패널의 외곽부에 부착된 신호 전송 필름의 채널부의 폭은 다른 영역에 부착된 신호 전송 필름의 채널부의 폭보다 좁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신호 전송 필름은 베이스 필름과; 상기 베이스 필름 상에 형성된 입/출력 라인들과; 상기 베이스 필름 상에 형성되며 상기 입/출력 라인들 각각과 접속된 입/출력 패드들과; 상기 입/출력 라인들을 덮도록 상기 베이스 필름 상에 형성된 보호막을 구비하며, 상기 베이스 필름은 상기 입/출력 라인들이 형성된 영역이 상기 입/출력 패드들이 형성된 영역보다 폭이 좁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베이스 필름 및 상기 보호막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변곡점은 라운드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입력 패드들 간의 간격은 상기 입력 라인들 간의 간격보다 넓으며, 상기 출력 패드들 간의 간격은 상기 출력 라인들 간의 간격보다 넓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신호 전송 필름은 입력 패드가 형성된 입력부와; 출력 패드가 형성된 출력부와; 상기 입력부와 출력부 사이에 개재되고, 상기 입력부 및 출력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폭보다 좁게 형성된 채널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입력부, 출력부 및 채널부 중 적어도 하나에 형성된 변곡점은 라운드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테이프 캐리어 패키지를 나타내는 전면 및 배면 사시도이다. 도 3a 및 도 3b는 도 2에서 선"Ⅱ-Ⅱ", "Ⅱ'-Ⅱ'"를 따라 절취한 테이프 캐리어 패키지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테이프 캐리어 패키지의 외부 스트레스에 대한 영향을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다. 도 5는 변곡점이 라운드 형태로 형성된 본 발명에 따른 테이프 캐리어 패키지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테이프 캐리어 패키지는 베이스 필름(112)과, 베이스 필름(112) 상에 형성된 입/출력 패드(116,118)와, 입/출력 패드(116,118)를 노출시키도록 형성된 보호막(114)을 구비한다.
베이스 필름(112)은 입/출력부(110A,110C)와, 입/출력부(110A,110C) 사이에 형성된 채널부(110B)에서 서로 다른 폭을 갖도록 형성된다. 입력부(110A)의 베이스 필름(112) 상에는 채널부(110B) 상에 실장되는 집적 회로(120)에 입력 신호를 공급하기 위한 입력 패드(116)가 형성된다. 출력부(110C)의 베이스 필름(112) 상에는 채널부(110B) 상에 실장된 집적 회로(120)로부터의 출력 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출력 패드(118)가 형성된다. 상기 입력부(110A) 및 출력부(110C) 각각의 베이스 필름(112)의 선 폭(W2)은 도 3a 및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채널부(110B)의 베이스 필름(112)의 선 폭(W1)보다 넓게 형성된다. 채널부(110B)의 베이스 필름(112) 상에는 입력 신호를 이용하여 출력 신호를 생성하는 집적 회로(120)가 실장된다. 또한, 채널부(110B)의 베이스 필름(112) 상에는 입력 패드(116)와 접속되어 집적 회로(120)의 입력 단자에 입력 신호를 공급하는 다수의 입력 라인(126)들과, 집적 회로(120)의 출력 단자와 접속되어 집적 회로(120)로부터의 출력 신호를 출력 패드(118)에 공급하는 다수의 출력 라인(124)들이 형성된다.
상기 채널부(110B)의 베이스 필름(112)의 선 폭(W1)은 도 3a 및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출력부(110A,110C)의 베이스 필름(112)의 선 폭(W2)보다 좁게 형성된다. 특히, 채널부(110B)의 베이스 필름(112)은 입/출력부(110A,110C)의 베이스 필름(112) 각각과 인접한 영역의 폭이 집적 회로(120)가 실장된 영역으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작아지고 집적 회로(120)가 실장된 영역의 폭은 최소 폭을 유지한 다. 입/출력부(110A,110C)보다 채널부(110B)의 폭이 넓기 때문에 채널부(110B)의 베이스 필름(112) 상에 형성되는 입/출력 라인들(126,124) 간의 간격은 입/출력부(110A,110C)의 베이스 필름(112) 상에 형성된 입/출력 패드들(116,118) 간의 간격보다 넓다.
이와 같이, 채널부(110B)의 베이스 필름(112)의 폭이 입/출력부(110A,110C)의 베이스 필름(112)의 선폭보다 좁다. 이에 따라, 도 4에 도시된 테이프 캐리어 패키지(110)는 측면 길이(L)가 상대적으로 길어 스트레스의 이동 경로가 길어진다. 스트레스의 이동 경로가 길어져 상기 테이프 캐리어 패키지(110)는 외부로부터 인가되는 스트레스가 입/출력 라인(126,124) 및 입/출력 패드(116,118)에 미치는 영향이 상대적으로 작아지므로 이들의 크랙 현상이 방지된다.
도 2 및 도 5를 참조하면, 외부로부터 인가되는 스트레스는 채널부(110C)의 변곡점(P)과, 입/출력부(110A,110C) 각각과 채널부(110B) 사이의 변곡점(P)에서 여러 방향으로 분산된다. 여러 방향으로 분산된 스트레스는 테이프 캐리어 패키지(110)에 미치는 영향이 종래보다 작아져 테이프 캐리어 패키지(110) 상에 형성된 입/출력 라인(126,124) 및 입/출력 패드(116,118)의 크랙 현상이 방지된다.
입력 패드(116)는 이방성 도전 필름(Anisotropic Conductive Film : ACF)을 경유하여 도 4a에 도시된 입력 신호 공급부(132), 예를 들어 인쇄 회로 기판과 접속된다. 상기 입력 패드(116)는 집적 회로(120)의 입력 단자와 접속된 입력 라인(126)으로부터 신장되어 형성된다. 상기 입력 패드(116) 및 입력 라인(126)은 도전성이 좋은 금속으로 형성된다. 예를 들어, 입력 패드(116) 및 입력 라인(126)은 도전성이 좋은 구리(Cu)와, 구리(Cu)의 산화 방지를 위해 구리(Cu) 상에 형성된 주석(Sn)으로 형성될 수 있다.
출력 패드(118)는 이방성 도전 필름(ACF)을 경유하여 도 4a에 도시된 출력 신호 공급부(134), 예를 들어 액정 표시 패널의 신호 패드와 접속된다. 상기 출력 패드(118)는 집적 회로(120)의 입력 단자와 접속된 입력 라인(도시하지 않음)으로부터 신장되어 형성된다. 상기 출력 패드(118) 및 출력 라인(124)은 도전성이 좋은 금속으로 형성된다. 예를 들어, 출력 패드(118) 및 출력 라인(124)은 도전성이 좋은 구리(Cu)와, 구리(Cu)의 산화 방지를 위해 구리(Cu) 상에 형성된 주석(Sn)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보호막(114)은 입/출력 패드(116,118)를 노출시키고 입/출력 라인(116,118)을 보호하도록 채널부(110B)의 베이스 필름(112) 상에 채널부(110B)와 동일한 패턴으로 형성된다. 상기 보호막(114)은 솔더 레지스터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테이프 캐리어 패키지(110)의 입/출력부(110A,110C) 및 채널부(110B)에 형성된 변곡점(P)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라운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외부 스트레스에 의해 테이프 캐리어 패키지(110)의 찢김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테이프 캐리어 패키지를 포함하는 액정 표시 장치의 제1 실시 예를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7a 및 도 7b는 도 6에 도시된 데이터 인쇄 회로 기판과 박막트랜지스터 기판 사이에 부착된 테이프 캐리어 패키지의 다양한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액정 표시 장치는 액정 표시 패널(160)과, 타이밍 제어부 및 전원부 등이 실장된 데이터 인쇄 회로 기판(134)과, 액정 표시 패널(160)과 데이터 인쇄 회로 기판(134) 사이에 부착된 테이프 캐리어 패키지(110)를 구비한다.
액정 표시 패널(160)은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162)과, 컬러 필터 기판(164)이 액정을 사이에 두고 접합되어 형성된다. 상기 액정 표시 패널(160)은 게이트 라인들(GL)과 데이터 라인들(DL)의 교차로 정의되는 영역마다 박막 트랜지스터(TFT)에 의해 독립적으로 구동되는 액정 셀(Clc)들이 마련된다. 여기서, 액정 표시 패널(160)의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162) 상에는 박막트랜지스터(TFT)와 동일 공정으로 형성되는 구동 트랜지스터로 이루어진 게이트 구동 회로(도시하지 않음)가 형성된다. 상기 게이트 구동 회로는 게이트 하이 전압(VGH)의 스캔 신호를 게이트 라인들(GL)에 순차적으로 공급한다. 또한, 게이트 구동 회로는 게이트 하이 전압(VGH)이 공급되는 기간을 제외한 나머지 기간에는 게이트 로우 전압(VGL)을 게이트 라인들(GL)에 공급한다.
데이터 인쇄 회로 기판(134) 상에는 도시하지 않은 타이밍 제어부 및 전원부 가 실장된다. 상기 타이밍 제어부 및 전원부로부터의 제어 신호, 전원 신호 및 화소 데이터 등은 테이프 캐리어 패키지(110) 상에 실장된 집적 회로(120)에 공급된다.
테이프 캐리어 패키지(110)는 액정 표시 패널(160)의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162)과 데이터 인쇄 회로 기판(134) 사이에 부착된다. 상기 테이프 캐리어 패키 지(110) 상에는 집적 회로(120)가 실장된다. 상기 집적 회로(120)는 화소 데이터를 아날로그 화소 신호로 변환하여 데이터 라인들(DL)에 공급한다.
상기 테이프 캐리어 패키지(110)는 상술된 바와 같이 입/출력부(110A,110C)의 폭보다 채널부(110B)의 폭이 좁게 형성되어 외부 스트레스에 의한 입/출력 라인(126,124) 및 입/출력 패드(116,118)의 크랙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특히, 외부 스트레스에 영향을 가장 많이 받는 최외곽에 위치하는 테이프 캐리어 패키지(110)는, 도 7a 및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른 테이프 캐리어 패키지(110)보다 채널부(110B)의 폭을 좁게 형성하여 스트레스에 의한 불량을 완화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테이프 캐리어 패키지(110)는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박막트랜지스터 기판(162)(인쇄 회로 기판(134)))의 중심부에서 외곽부로 갈수록 채널부(110B)의 폭이 좁아지게 형성한다. 또는,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박막트랜지스터 기판(162)(인쇄 회로 기판(134)) 외곽부에 부착되는 테이프 캐리어 패키지(110)를 제외한 나머지 테이프 캐리어 패키지(110)들의 채널부(110B)의 폭을 동일하게 형성할 수도 있다.
상술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액정 표시 장치에 관해 기재하고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PDP), 전계 방출 소자에도 적용 가능하다는 것을 알아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테이프 캐리어 패키지에 관해 기재하고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칩 온 필름(Chip On Film : COF), 플렉서블 인쇄 회로(Flexible Printed Circuit : FPC)에도 적용 가능하다는 것을 알아야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테이프 캐리어 패키지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는 채널부의 폭이 입/출력부의 선 폭보다 좁아 스트레스의 이동 경로가 길어진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테이프 캐리어 패키지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는 외부로부터 종래와 동일한 스트레스를 받게 되더라도 그 스트레스가 입/출력 라인 및 입/출력 패드에 미치는 영향이 작아지므로 이들의 크랙 현상이 방지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테이프 캐리어 패키지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는 채널부의 변곡점과, 입/출력부 각각과 채널부 사이의 변곡점에서 스트레스가 여러 방향으로 분산된다. 여러 방향으로 분산된 스트레스는 테이프 캐리어 패키지에 미치는 영향이 종래보다 작아져 테이프 캐리어 패키지 상에 형성된 입/출력 라인 및 입/출력 패드의 크랙 현상이 방지된다.
이상 설명한 내용을 통해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일탈하지 아니하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명세서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 청구의 범위에 의해 정의되어야만 할 것이다.

Claims (10)

  1. 화상을 표시하는 표시 패널과;
    상기 표시 패널의 일 측면에 이격되어 배치된 인쇄 회로 기판과;
    상기 표시 패널과 인쇄 회로 기판 사이에 부착된 다수의 신호 전송 필름들을 구비하며,
    상기 다수의 신호 전송 필름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상기 인쇄 회로 기판과 접촉되는 입력 패드가 형성된 입력부와;
    상기 표시 패널과 접촉되는 출력 패드가 형성된 출력부와;
    상기 입력부와 출력부 사이에 개재되고, 상기 입력부 및 출력부 중 적어도 하나의 폭보다 좁게 형성된 채널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부, 출력부 및 채널부 중 적어도 하나에 형성된 변곡점은 라운드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3. 제 1 항 및 제 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전송 필름은 테이프 캐리어 패키지, 플렉서블 인쇄 회로 및 칩 온 필름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전송 필름은 그 부착 위치가 상기 표시 패널의 중앙부에서 상기 표시 패널의 외곽부로 갈수록 채널부의 폭이 점진적으로 좁아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패널의 외곽부에 부착된 신호 전송 필름의 채널부의 폭은 다른 영역에 부착된 신호 전송 필름의 채널부의 폭보다 좁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6. 베이스 필름과;
    상기 베이스 필름 상에 형성된 입/출력 라인들과;
    상기 베이스 필름 상에 형성되며 상기 입/출력 라인들 각각과 접속된 입/출력 패드들과;
    상기 입/출력 라인들을 덮도록 상기 베이스 필름 상에 형성된 보호막을 구비하며,
    상기 베이스 필름은 상기 입/출력 라인들이 형성된 영역이 상기 입/출력 패드들이 형성된 영역보다 폭이 좁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전송 필름.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필름 및 상기 보호막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변곡점은 라운드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전송 필름.
  8. 제 6 항 및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패드들 간의 간격은 상기 입력 라인들 간의 간격보다 넓으며, 상기 출력 패드들 간의 간격은 상기 출력 라인들 간의 간격보다 넓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전송 필름.
  9. 입력 패드가 형성된 입력부와;
    출력 패드가 형성된 출력부와;
    상기 입력부와 출력부 사이에 개재되고, 상기 입력부 및 출력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폭보다 좁게 형성된 채널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전송 필름.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부, 출력부 및 채널부 중 적어도 하나에 형성된 변곡점은 라운드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전송 필름.
KR1020060011108A 2006-02-06 2006-02-06 신호 전송 필름과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KR20070080049A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11108A KR20070080049A (ko) 2006-02-06 2006-02-06 신호 전송 필름과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US11/510,936 US20070182911A1 (en) 2006-02-06 2006-08-28 Signal transmission film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CNA2006101397771A CN101017259A (zh) 2006-02-06 2006-09-25 信号传输膜和包括该信号传输膜的显示装置
JP2007024593A JP2007213064A (ja) 2006-02-06 2007-02-02 信号伝送フィルムとこれを含む表示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11108A KR20070080049A (ko) 2006-02-06 2006-02-06 신호 전송 필름과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80049A true KR20070080049A (ko) 2007-08-09

Family

ID=383337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11108A KR20070080049A (ko) 2006-02-06 2006-02-06 신호 전송 필름과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070182911A1 (ko)
JP (1) JP2007213064A (ko)
KR (1) KR20070080049A (ko)
CN (1) CN101017259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79235A (ko) * 2013-12-31 2015-07-08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곡면표시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428994B (zh) * 2012-05-14 2016-12-14 联想(北京)有限公司 一种印刷电路板及其制作方法和电子装置
KR102113703B1 (ko) 2013-08-20 2020-05-22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테이프 패키지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패널 모듈
KR101538365B1 (ko) * 2014-02-24 2015-07-21 삼성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기기
KR102340738B1 (ko) * 2014-09-02 2021-12-1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곡면 표시장치
CN105242427B (zh) * 2015-10-27 2019-06-11 南京中电熊猫液晶显示科技有限公司 Cof柔性电路板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042971A (en) * 1990-04-16 1991-08-27 Ambrose Stephen D Method of manufacturing an electrical circuit system and electrical circuit system
JP2678327B2 (ja) * 1991-02-15 1997-11-17 住友金属鉱山株式会社 フレキシブル配線基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H0969983A (ja) * 1995-08-30 1997-03-1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固体撮像装置
US6471415B1 (en) * 2000-07-18 2002-10-29 Hewlett-Packard Company Multiconductor interconnect
JP4485708B2 (ja) * 2001-05-21 2010-06-23 シャープ株式会社 液晶表示装置用周辺回路基板及びそれを備えた液晶表示装置
KR101018375B1 (ko) * 2003-05-06 2011-03-02 삼성전자주식회사 힌지장치 및 그 힌지장치에 사용되는 배선부재
JP4008402B2 (ja) * 2003-09-30 2007-11-14 日本圧着端子製造株式会社 異方導電シートケーブル及びその製造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79235A (ko) * 2013-12-31 2015-07-08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곡면표시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017259A (zh) 2007-08-15
JP2007213064A (ja) 2007-08-23
US20070182911A1 (en) 2007-08-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372514B2 (en) Active matrix type display device having antistatic lines used as repair lines
US7567330B2 (en) Electro-optical device and electronic apparatus
US6819370B2 (en) Liquid crystal display panel including two PGB for outputting signals to the same conductive wires and a repair line
US20080100763A1 (en) Circuit board and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US20100214503A1 (en) Display panel and repair method thereof
US8154120B2 (en) Chip-mounted film package
KR20100108677A (ko) 액정표시장치
KR20070080049A (ko) 신호 전송 필름과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KR100293982B1 (ko) 액정패널
KR100356988B1 (ko) 액정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101298156B1 (ko) 드라이버 집적회로 칩
US20080119069A1 (en) Board device and board
JP2010060696A (ja) 液晶表示装置
JP2004109969A (ja) 液晶表示装置
KR102120817B1 (ko) 구동 집적회로 패드부 및 이를 포함하는 평판 표시 패널
KR20040087452A (ko) 액정표시 모듈
KR20060125450A (ko) 구동회로필름 및 이를 갖는 액정표시장치
KR20170038301A (ko) 디스플레이 장치
KR101033119B1 (ko) 라인 온 글래스형 액정표시장치
KR100999010B1 (ko) 라인 온 글래스형 액정표시장치
KR100919190B1 (ko) 라인-온-글래스 방식의 액정표시패널
KR101060772B1 (ko) 라인 온 글래스형 액정표시장치
KR100381047B1 (ko) 접합부가 분할된 테이프 캐리어 패키지와 이를 이용한액정표시장치 및 액정표시장치의 미스얼라인 보정방법
KR100912693B1 (ko) 액정표시장치
KR101001988B1 (ko) 액정 표시 장치 및 그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