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20569A - 조기 전력 장애 검출 회로 - Google Patents

조기 전력 장애 검출 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20569A
KR20150020569A KR20147035223A KR20147035223A KR20150020569A KR 20150020569 A KR20150020569 A KR 20150020569A KR 20147035223 A KR20147035223 A KR 20147035223A KR 20147035223 A KR20147035223 A KR 20147035223A KR 20150020569 A KR20150020569 A KR 2015002056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voltage
input main
voltage
threshold
indi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470352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윌리암 존 테스틴
브라이언 알버트 위트만
Original Assignee
톰슨 라이센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톰슨 라이센싱 filed Critical 톰슨 라이센싱
Publication of KR201500205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2056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40Testing power suppli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28Testing of electronic circuits, e.g. by signal tracer
    • G01R31/317Testing of digital circuits
    • G01R31/31721Power aspects, e.g. power supplies for test circuits, power saving during test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9/00Arrangements for measuring currents or voltages or for indicating presence or sign thereof
    • G01R19/165Indicating that current or voltage is either above or below a predetermined value or within or outside a predetermined range of values
    • G01R19/16533Indicating that current or voltage is either above or below a predetermined value or within or outside a predetermined range of values characterised by the application
    • G01R19/16538Indicating that current or voltage is either above or below a predetermined value or within or outside a predetermined range of values characterised by the application in AC or DC supplies
    • G01R19/16547Indicating that current or voltage is either above or below a predetermined value or within or outside a predetermined range of values characterised by the application in AC or DC supplies voltage or current in AC suppli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21/00Arrangements for measuring electric power or power fact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asurement Of Current Or Voltage (AREA)
  • Emergency Protection Circuit Devices (AREA)
  • Power Sources (AREA)

Abstract

조기 전력 장애(EPF) 검출 회로는 정류되고 필터링되지 않은 주기 파형을 메인 공급 전압의 주파수에서 임계치 검출기에 인가한다. 주기 파형의 각각의 사이클 동안, 임계치 검출기는 주기 파형이 임계치 검출기와 연관된 임계치 레벨을 초과하기 시작할 때의 리딩 에지(leading edge)와 주기 파형이 임계치 전압을 초과하는 것이 중단될 때의 트레일링 에지(trailing edge)를 갖는 펄스 전압을 생성한다. 마이크로프로세서는 메인 공급 전압의 크기(예를 들어, RMS 또는 피크)를 간접적으로 측정하기 위해 리딩 및 트레일링 에지 간의 인터벌의 길이를 측정한다. 간접적으로 측정된 크기가 최소의 허용가능 제2 임계치 크기 아래로 감소하는 경우에, 예를 들어, 마이크로프로세서에서의 프로그램 중단 루틴에 의해, 장치의 제어된 전력 셧다운이 개시된다.

Description

조기 전력 장애 검출 회로{EARLY POWER FAILURE DETECTION CIRCUIT}
본 발명은 전자 및 전기 디바이스들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교류(AC) 전압원에 의해 전원이 공급되는 전력 공급기에서의 전력 불안정 검출 회로에 관한 것이다.
개인용 비디오 레코더, 셋톱 박스, 개인용 컴퓨터 등은 프로그램 및 시스템 정보를 저장하기 위해 일반적으로 다양한 메모리 디바이스들을 이용한다. 메모리 디바이스들은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 기록 가능한 디스크, 반도체 메모리 디바이스 등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데이터 저장이 더 이상 이루어질 수 없는 그러한 낮은 레벨로 공급 전원이 강하되기 전에, 플래시 메모리와 같은 비-휘발성 메모리에 데이터가 저장될 수 있도록 셋톱 박스는 충분한 시간으로 순차적 셧다운(shutdown)을 제공하도록 요구한다.
그러한 디바이스들에 전력을 공급하는 AC 전력원은 다양한 장단기적 불안정 또는 전력 장애 상태들로부터 어려움을 겪을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이용되는 용어 "전력 불안정" 또는 "전력 장애 상태"는, AC 입력 공급 전압의 크기가 정상적인 범위의 값들 내에 있도록 요구되는 것보다 더 작은 상태, 디바이스의 순차적 셧다운을 수행하는 것을 필요로 할 수 있는 상태를 지칭한다.
순차적 셧다운을 위해 필요한 시간을 보장하기 위해, AC 메인 공급 전압을 나타내는 전압이 모니터링된다. AC 메인 공급 전압의 크기가, 예를 들어, 셋톱 박스에서의 직류(DC) 전압 공급기들을 동작시키는 데 요구되는 최소치보다 더 높게 되도록 EPF(early power fail) 임계치 전압이 선택된다. 순차적 셧다운을 수행하기 위한 충분한 시간을 가능하게 하도록, EPF 임계치 전압이 검출된 이후에 셋톱 박스 DC 전력 공급기들은 충분히 오래 활성이 유지되어야 한다.
AC 전압이 정상 허용오차 또는 범위 내에 있기에는 너무 작지만 셋톱 박스가 중단되지 않는 정상 동작을 위해 실제로 요구하는 것보다는 큰 경우에, 절전 상태 동안 중단되지 않는 동작을 가능하게 하는 것이 또한 바람직할 수 있다.
종래 기술 방식에서, 임계치 검출기는 AC 메인 공급 전압의 주어진 부분 주기 동안 AC 메인 공급 전압이 임계치 크기를 초과했다는 것을 나타내는 출력 신호를 제공한다. 이 상황은 안정된 AC 메인 공급 전압이 있는 것으로 고려된다. 역으로, 검출기 출력 신호는, AC 메인 공급 전압이 전체 주기에 걸쳐 한 번도 임계치 크기를 초과하지 않은 경우에만 AC 메인 공급 전압에서의 불안정 또는 전력 장애를 나타낼 것이다.
전형적으로 전해질 커패시터는, EPF 임계치가 검출되는 시간과 순차적 셧다운이 완료되는 시간 사이에 이용하기 위한 충분한 양의 축적된 전하를 유지하기 위해 이용된다. 허용오차, 로딩 등으로 인한 임계치에서의 변화와 같은 상태들로 인해, EPF 임계치 전압은 더 높게 설정되어야 하거나, 그렇지 않다면 필요할 것 같은 값보다 더 높은 값의 전해질 커패시터 값이 선택되어야 한다. 이것이 실시되어야 모든 그러한 상태들 하에 순차적 셧다운이 보장될 수 있게 된다.
종래 기술 방식에서는, AC 메인 공급 전압의 주어진 부분 주기 동안, 임계치 크기를 초과하게 될 AC 메인 공급 전압의 값들의 범위가 있다. AC 메인 공급 전압의 실제 크기가 측정되지 않기 때문에, 더 나쁜 경우의 상태를 만족시키는 방식으로 임계치 크기가 설정되어야 한다. 그 결과, 바람직하지 않게, AC 메인 공급 전압의 실제 크기가 측정되고 알려졌을 때보다 더 높은 값으로 임계치 크기가 설정되어야 한다. 이것은 AC 메인 공급 전압의 크기가, 바람직하게 않게, AC 메인 공급 전압의 실제 크기가 측정되고 알려졌을 때보다 더 높은 경우에서 셧다운 루틴의 개시를 요구한다.
본 발명의 측면을 구현하는 EPF 검출 회로는 AC 메인 공급 전압의 주파수에 대한 필터링되지 않은 정류 주기 파형을 임계치 검출기에 인가한다. 종래 기술과 대조적으로, AC 메인 공급 전압의 크기(예를 들어, RMS 또는 피크)가 수용 가능하고 또한 불안정이 발생한 경우에, 본 발명의 검출기는 각각의 주기 동안 증가하는 파형이 제1 방향에서 임계치 크기를 교차할 때의 시간과 감소하는 파형이 반대 방향에서 임계치 레벨을 교차할 때의 시간을 검출한다. 예를 들어, 마이크로프로세서와 같은 시간 측정 디바이스는 임계치 교차 시간들 간의 인터벌의 길이를 측정하고, 대안으로, 임계치 검출기의 출력 신호의 듀티 사이클(duty cycle)을 계산한다. 각각의 그러한 결과들은 간접적으로 메인 공급 전압의 크기(예를 들어, RMS 또는 피크)를 나타낸다. 더 큰 듀티 사이클 또는 더 긴 길이는 더 높은 크기를 나타내고, 그 역도 성립된다. 간접적으로 측정된 크기의 결과에 기초하여, 마이크로프로세서는, 예를 들어, 프로그램 중단 루틴에 의해, 장치의 순차적으로 제어되는 전압 셧다운을 개시하고 수행할 수 있다. AC 메인 공급 전압의 실제 크기(예를 들어, RMS 또는 피크)의 간접적인 측정으로 인해, 셧다운을 위한 임계치 크기는 바람직하게 종래 기술에서 요구되는 것보다 더 낮은 크기의 AC 메인 공급 전압으로 설정될 수 있다. AC 메인 공급 전압의 크기를 정확하게 간접적으로 모니터링함으로써, 셋톱 박스는 바람직하게 셧다운을 개시하기에 앞서 종래 기술의 전력 공급에서 요구될 크기보다 더 작은 AC 메인의 크기를 이용하여 중단되지 않는 동작을 계속할 수 있다. 그것은 또한, 예를 들어, AC 메인 공급 전압의 단지 제한된 수의 주기들에서만 불안정이 발생하는 동안, 바람직하게 더 긴 AC 강하의 인터벌에서 셋톱 박스를 동작시키는 유연성을 제공할 것이다.
교류(AC) 입력 메인 전압에 의해 전원을 공급받는 전자 디바이스에 EPF(early power failure) 표시 신호를 생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을 구현하는 장치는 임계치 검출기를 포함한다. 임계치 검출기는 AC 입력 메인 전압에 응답하여, AC 입력 메인 전압의 부분 주기 동안 AC 입력 메인 전압의 순시 크기(instantaneous magnitude)가 검출기의 임계치를 초과하는 경우에 출력 신호를 생성한다. 대응 부분은, AC 입력 메인 전압이 정상 동작 범위 내에 있고 또한 AC 입력 메인 전압에 전력 장애 상태가 발생한 경우에 발생한다. 프로세서는 검출기 출력 신호의 부분 주기의 길이 표시 값을 측정하고, 길이 표시 값에 따라 EPF 표시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전자 디바이스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력 공급기 및 전력 불안정 검출 회로를 부분 블록도의 형태 및 부분 세부 개략도로 도시한다.
도 2a, 도 2b 및 도 2c는 도 1의 전력 불안정 검출 회로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파형을 도시한다.
도 1은 전자 디바이스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력 공급기(100)를 부분 블록도의 형태 및 부분 세부 개략도로 도시한다. 도 1은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력 불안정 또는 EPF(early power failure) 검출 회로(200)를 도시한다. EPF 검출 회로(200)는 입력 공급 전압(Vac)을 전력 공급기(100)에 제공하는 교류(AC) 메인 공급 전압원(105)에서의 전력 불안정을 검출한다.
도 2a, 도 2b 및 도 2c는 EPF 검출 회로(200)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파형을 도시한다. 도 1 및 도 2a 내지 도 2c에서의 유사한 기호 및 숫자들은 유사한 아이템들 또는 기능들을 나타낸다.
도 1의 전력 공급기(100)는 도 2a의 전압(Vac)의 양의 부분(Vac1)을 정류하기 위한, 전압원(105)의 단자(105a)에 연결된 애노드를 갖는 정류기(D101)로 형성되는 종래의 전파 브리지 정류기(full-wave bridge rectifier)를 포함한다. 도 1의 전압원(105)의 단자(105b)는 도 2a의 전압(Vac)의 음의 부분(Vac2)을 정류하기 위해 다이오드(D101)의 캐소드에 연결된 캐소드를 갖는 정류기(D102)의 애노드에 연결된다. 도 1의 정류기들(D101, D102)의 캐소드들 간의 접점 단자는, 예를 들어, 셋톱 박스(도시되지 않음)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공급 전압을 생성하는(일부는 도시되지 않음) 스위치 모드 전력 공급기(상세하게 도시되지 않음)와 같은 종래의 전력 공급 컨버터(500)에 연결된다. 전력 공급 컨버터(500)의 공통 또는 접지 단자(300)는 단자(105b)에 연결되는 캐소드를 갖는 브리지 정류기의 정류기(D104)의 애노드에 연결된다. 접지 단자(300)는 단자(105a)에 연결되는 캐소드를 갖는 브리지 정류기의 정류기(D103)의 애노드에 연결된다.
도 1의 EPF 검출 회로(200)에서, 소스(105)의 단자(105a)는 도 2a의 전압(Vac)의 양의 부분(Vac1)을 정류하기 위한, 단자(110a)에 연결된 캐소드를 갖는 정류기(D406)의 애노드에 연결된다. 전압원(105)의 도 1의 단자(105b)는 도 2a의 전압(Vac)의 음의 부분(Vac2)을 정류하기 위한, 다이오드들(D406, D405)의 캐소드의 접점에서 접점 단자(110a)에 연결되는 캐소드를 갖는 다이오드(D405)의 애노드에 연결된다. 결과적으로, 도 1의 전파 정류 주기 파형(110b)은 AC 메인 공급 전압(Vac)의 60Hz 주파수에 대하여 필터링되지 않은 전압(Vac)의 2배의 주파수, 60X2 = 120Hz에서 디벨롭(developed)된다. 저항들(R401, R402)의 접점 단자(110c)에서 파형(110b)의 분압된 부분인 주기 파형(110d)을 디벨롭하기 위해, 주기 파형(110b)은 저항(R402)과 직렬로 연결된 저항(R401)으로 형성되는 분압기(voltage divider)를 통해 연결된다.
저항(R402)과 병렬로 연결된 도 1의 커패시터(C401)는 주파수(120Hz)가 매우 더 낮아서 주기 파형(110d)에 영향을 주지 않는 고주파 필터링을 제공한다. 저항(R402)과 병렬로 연결된 제너 다이오드(D401)는, 이 경우, 2.5V의 임계치 레벨을 갖는 션트 레귤레이터(shunt regulator) 집적 회로(TL431)로 형성된 비교기(400)의 입력 단자(110c)에서의 과전압 방지(overvoltage protection)를 제공한다. 비교기(400)의 출력 단자(110e)는 옵토-커플러(opto-coupler; 112)의 다이오드(D201)의 캐소드에 연결된다. 다이오드(D201)가 순방향 바이어스(forward biased)가 되는 경우에, 다이오드(D201)와 직렬로 연결된 저항(R203)은 다이오드(D201)에서의 전류를 생성하기 위해 공급 전압(+VDD-IC; 이 실시예에서는 12V)을 다이오드(D201)의 애노드에 인가한다. 전압(+VDD-IC)은 전력 공급기(500)에서 생성되고 임의의 편의에 따른 전압일 수 있다.
도 2b는 파형들(110d1, 110d2)에 대하여 파형(110d1)이 파형(110d2)보다 큰 상이한 진폭들에서의 파형(110d)의 2개의 예들을 도시한다. 도 1의 저항들(R401, R402)의 값들 간의 비율이 선택되어, 도 2a의 전압(Vac)이 120V의 공칭 크기(nominal magnitude)에 있을 때, 0V와 파형(110d1)의 피크 전압 사이 중간의 도 2b의 파형(110d1)의 순시 전압은 도 1의 비교기(400)의 임계치 레벨, 2.5V에 있게 된다.
도 2b의 주어진 주기(T)의 시간(t1)에서, 파형(110d1)은 한 방향에서 도 1의 비교기(400)의 임계치(2.5V)를 초과하고, 그에 따라, 교차한다. 그 결과, 비교기(400) 출력 단자(110e)는 전류 경로를 형성하여 다이오드(D201)를 턴온(turn on)하고, 전압(Vfw)의 파형 중 도 2c의 시간(t1)에서 라이징 에지(rising edge; 600)를 갖는 다이오드(D201)에서의 순방향 전압(Vfw)을 디벨롭한다. 결과적으로, 옵토-커플러(112)의 도 1의 트랜지스터(Q301)가 턴온된다. 트랜지스터(Q301)의 컬렉터(collector) 단자에서의 컬렉터 전압은 약 0V로 천이될 것이다. 한편, 도 2a 내지 도 2c의 주기(T)의 시간(t2)에서는, 파형(110d1)이 반대 방향에서 도 1의 비교기(400)의 임계치(2.5V)를 더 이상 초과하지 않고, 그에 따라, 교차하지 않는다. 그 결과, 비교기(400) 출력 단자(110e)는 더 이상 전류 경로를 형성하지 않아 다이오드(D201)를 턴오프(turn off)하고, 다이오드(D201) 양단에 0V의 순방향 전압(Vfw)을 디벨롭한다. 따라서, 전압(Vfw)은 도 2c의 시간(t2)에서 폴링 에지(falling edge; 700)를 갖는다. 결과적으로, 옵토-커플러(112)의 도 1의 트랜지스터(Q301)가 턴오프된다. 트랜지스터(Q301)의 컬렉터 단자에서의 컬렉터 전압은 풀-업(pull-up) 저항(R301)의 동작에 의해 약 3.3V로 천이될 것이다. 따라서, 다이오드(D201)는 인터벌(t1-t2) 동안 통전된다. 공급 전압(3.3V)이 전형적이지만, 시스템 로직 및 마이크로프로세서(300)에 부합하는 또 다른 전압일 수 있다.
도 2b의 파형(110d1) 외에, 더 낮은 진폭 또는 크기의 파형(110d2)이 인가되는 경우에, 도 1의 다이오드(D201)는 인터벌(t1-t2)보다 짧은 인터벌(t1'-t2') 동안 통전될 것이다. 유사하게, 더 낮은 진폭의 도 2d의 파형(110d2)이 인가되는 경우에, 도 2c의 전압(Vfw)의 소위 듀티 사이클은 더 짧아진다. 종래의 방식에서, 예를 들어, 도 2b의 인터벌(t1-t2) 또는 인터벌(t1'-t2')의 길이들을 측정하거나, 대안적으로 예를 들어 클럭 사이클을 카운팅 하여(도시되지 않음) 도 2c의 전압(Vfw)의 듀티 사이클을 측정하는 마이크로프로세서(300)의 입력에, 도 1의 트랜지스터(Q301)의 컬렉터 단자에서의 전압이 인가된다. 예를 들어, 도 2b의 인터벌(t1'-t2')의 길이가 지나치게 짧은 경우에, 마이크로프로세서(300)는 도 1의 AC 입력 메인 전압(Vac)에 전력 장애 상태가 발생하는지를 결정할 것이다.
예를 들어, 도 2b의 인터벌(t1-t2)의 길이를 측정하기 위해, 도 1의 마이크로프로세서(300)는 예를 들어 도 2c의 에지(600)가 발생할 때의 시간(t1)에서부터 에지(700)가 발생할 때의 시간(t2)까지의 실시간 클럭(도시되지 않음)의 펄스를 카운팅한다. 대안적으로, 도 1의 마이크로프로세서(300)는 독립적인 클럭 펄스 카운터(도시되지 않음)로서 동작하는 입출력(I/O) 디바이스(도시되지 않음)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에, 도 1의 마이크로프로세서(300)는 도 2c의 에지(600)가 발생할 때 그러한 카운터에 포함되는 카운트 수를 기록하거나 개시하고, 그 다음 에지(700)가 발생할 때 그러한 카운터에 포함되는 카운트 수를 기록한다. 카운트 수들 간의 차이는 인터벌(t1-t2)의 길이에 대응한다. 도 1의 마이크로프로세서(300)는 60Hz의 주파수를 갖는 도 1의 전압(Vac)에 있어서, 상기 획득된 인터벌(t1-t2)의 길이를 약 8.33밀리초인 주기의 1/2의 길이로 나누어 도 2c의 전압(Vfw)의 듀티 사이클을 계산할 수 있다.
도 1의 메인 공급 전압(Vac)의 크기(예를 들어, RMS 또는 피크)는, 예를 들어, 도 2b의 각각의 측정된 인터벌(t1-t2)의 길이에 대한 전압(Vac)의 대응하는 크기, 또는 계산된 듀티 사이클을 포함하는 룩-업 테이블(도시되지 않음)을 이용하여 마이크로프로세서(300)에 의해 획득될 수 있다. 이 룩-업 테이블은 도 1의 마이크로프로세서(300)에 도 1의 전압(Vac)의 알려진 값들을 적용하고 대응하는 도 2b의 인터벌(t1-t2)의 길이를 측정하여 획득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이 룩-업 테이블은 도 1의 마이크로프로세서(300)에서 전압(Vac)의 알려진 값들을 인가하고 도 2c의 전압(Vfw)의 대응하는 계산된 듀티 사이클 값들을 기록하여 획득될 수 있다.
따라서, 각각의 그러한 측정 결과들은 간접적으로 도 1의 메인 공급 전압(Vac)의 크기(예를 들어, RMS 또는 피크)를 나타낸다. 도 2b의 주어진 주기(T)에서 전압(Vac)의 간접적으로 측정된 크기에 기초하고, 도 2b의 각각의 다수의 주기들(T) 동안의 측정치들을 분석하는 것에 기초하여, 예를 들어, 프로그램 중단 루틴에 의해, 예를 들어, 셋톱 박스(도시되지 않음)의 순차적 전력 셧다운을 개시하고 수행하는 방식으로, 도 1의 마이크로프로세서(300)는 EPF 표시를 제공할 수 있다. 메인 공급 전압(Vac)의 실제 크기(예를 들어, RMS 또는 피크)를 간접적으로 측정함으로써, 제어된 셧다운은 바람직하게 종래 기술에서 요구될 크기보다 더 낮은 크기의 도 1의 AC 메인 공급 전압(Vac)에서 개시될 수 있다. 따라서, 예를 들어, 셋톱 박스를 동작시키는 과정에서 바람직하게 더 적은 중단이 발생할 것이다. AC 메인 공급 전압(Vac)의 크기를 정확하게 모니터링함으로써, AC 전압이 정상 허용오차 또는 범위 내에 있기에는 너무 작지만 전력 공급기(500)에 의해 전원이 공급되는 셋톱 박스가 중단되지 않는 정상 동작을 위해 실제로 요구하는 것보다는 큰 경우에서, 절전 상태 동안의 중단되지 않는 동작을 가능하게 한다.
도 1의 동일한 전력 공급기(100)는 메인 공급 전압(Vac; 110V, 60Hz) 및 메인 공급 전압(Vac; 230V, 50Hz) 각각에서 동작하도록 호환될 수 있다. 전술된 바와 같이, 마이크로프로세서(300)는 공급 전압(Vac)이 60Hz 또는 50Hz인지 여부를 결정하기 위해 도 2b의 주기(T)의 길이를 측정할 수 있다. 이것은, 언제 셧다운 루틴을 개시하는지에 대한 결정을 또한 최적화하기 위해, 바람직하게 개별 룩-업 테이블들이 각각의 60Hz의 전압(Vac) 및 50Hz의 전압(Vac)에 대해 동일한 시스템에서 이용될 수 있도록 가능하게 한다. 예를 들어, 공급 전압(Vac)이 50Hz인 경우에 주기(T)는 60Hz인 경우보다 더 길 수 있다. 불안정 상태 동안 도 1의 전력 공급기(100)의 출력 공급 전압이 과도하게 감소하지 않도록 보장하는 목적으로, 마이크로프로세서(300)는 공급 전압(Vac)이 60Hz일 때보다 더 높은 전압(Vac)에서 셧다운 루틴을 개시할 것이다.
공장 테스팅 동안 특정 AC 전압(Vac)을 인가함으로써, 듀티 사이클 또는 도 2b의 인터벌(t1-t2)의 길이는 또한 전압 검출기 임계치의 정확도를 더하도록 정류 다이오드 등에서 순방향 강하를 고려하여 미리 설정될 수 있다. 조정된 값은 플래시 또는 Eeprom 비-휘발성 메모리(도시되지 않음)에 저장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알고리즘은 요구되는 셧다운 시간을 보장하기 위한 최소 요구 임계 전압을 설정하기 위해 이용될 것이다.

Claims (8)

  1. 교류(AC) 입력 메인 전압에 의해 전원이 공급되는 전자 디바이스에 조기 전력 장애(EPF) 표시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상기 AC 입력 메인 전압을 임계치 검출기에 인가하는 단계;
    상기 임계치 검출기의 출력에 따라, 주기 부분 동안 상기 AC 입력 메인 전압의 순시 크기가 임계 크기를 초과할 때, 상기 AC 입력 메인 전압의 주기 중 대응 부분의 길이 표시 값을 측정하는 단계 - 상기 대응 부분은 상기 AC 입력 메인 전압이 정상 동작 범위 내에 있는 경우 및 전력 장애 상태가 상기 AC 입력 메인 전압에서 발생하는 경우 모두에 발생함 -; 및
    상기 길이 표시 값에 따라 상기 EPF 표시를 제공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EPF 표시 제공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길이를 측정하는 단계는 상기 AC 입력 메인 전압 크기가 한 방향에서 상기 임계치 검출기의 임계치 레벨과 교차할 때의 시간과 상기 AC 입력 메인 전압 크기가 반대 방향에서 임계치 레벨과 교차할 때의 시간 사이에 발생하는 클럭 사이클들을 카운팅함으로써 수행되는, EPF 표시 제공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AC 입력 메인 전압의 주파수에 대하여 필터링되지 않은 전파 정류 전압(full wave rectified voltage)을 생성하기 위해 상기 AC 입력 메인 전압을 정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정류 전압은 상기 임계치 검출기의 입력에 인가되는, EPF 표시 제공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길이 표시 값은 상기 임계치 검출기 출력에 의해 생성되는 신호의 듀티 사이클이 정상 동작 범위 밖에 있는 경우에 측정하여 획득되는, EPF 표시 제공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EPF 표시가 제공되는 경우에 전자 디바이스의 프로세서에 셧다운 루틴을 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EPF 표시 제공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EPF 표시 제공 단계는 상기 AC 입력 메인 전압의 대응하는 주기들에 연관된 하나 초과의 측정 단계들에서 측정된 길이 표시 값들에 기초하는, EPF 표시 제공 방법.
  7. 교류(AC) 입력 메인 전압에 의해 전원이 공급되는 전자 디바이스에 대해 조기 전력 장애(EPF) 표시 신호를 생성하기 위한 장치로서,
    상기 AC 입력 메인 전압에 응답하여, 상기 AC 입력 메인 전압의 주기 부분 동안 상기 AC 입력 메인 전압의 순시 크기가 상기 검출기의 임계치를 초과하는 경우에, 출력 신호를 생성하기 위한 임계치 검출기 - 대응 부분은 상기 AC 입력 메인 전압이 정상 동작 범위 내에 있는 경우 및 상기 AC 입력 메인 전압에서 전력 장애 상태가 발생한 경우에 발생함 -;
    상기 검출기 출력 신호의 상기 부분 주기의 길이 표시 값을 측정하기 위한 수단;
    상기 길이 표시 값에 따라 상기 EPF 표시를 제공하기 위한 수단
    을 포함하는 신호 생성 장치.
  8. 교류(AC) 입력 메인 전압에 의해 전원이 공급되는 전자 디바이스에 대해 조기 전력 장애(EPF) 표시 신호를 생성하기 위한 장치로서,
    상기 AC 입력 메인 전압에 응답하여, 상기 AC 입력 메인 전압의 주기 부분 동안 상기 AC 입력 메인 전압의 순시 크기가 상기 검출기의 임계치를 초과하는 경우에 출력 신호를 생성하기 위한 임계치 검출기 - 대응 부분은 상기 AC 입력 메인 전압이 정상 동작 범위 내에 있는 경우 및 상기 AC 입력 메인 전압에서 전력 장애 상태가 발생하는 경우에 발생함 -; 및
    상기 검출기 출력 신호의 상기 주기 부분의 길이 표시 값을 측정하고 상기 길이 표시 값에 따라 상기 EPF 표시를 제공하기 위한 프로세서
    를 포함하는 신호 생성 장치.
KR20147035223A 2012-06-15 2012-06-15 조기 전력 장애 검출 회로 KR2015002056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US2012/042588 WO2013187908A1 (en) 2012-06-15 2012-06-15 Early power failure detection circuit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20569A true KR20150020569A (ko) 2015-02-26

Family

ID=463199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47035223A KR20150020569A (ko) 2012-06-15 2012-06-15 조기 전력 장애 검출 회로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10473727B2 (ko)
EP (1) EP2861997B1 (ko)
JP (1) JP5972458B2 (ko)
KR (1) KR20150020569A (ko)
CN (1) CN104487853A (ko)
BR (1) BR112014031201B1 (ko)
WO (1) WO201318790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569015B (zh) * 2015-10-13 2019-10-18 泰科电子(上海)有限公司 交流负载检测电路
US10338119B2 (en) * 2016-08-16 2019-07-02 Kohler Co. Generator waveform measurement
CN113740760B (zh) * 2020-05-29 2023-05-16 株式会社村田制作所 用于对交流电源进行快速故障检测的方法和装置
CN114637357B (zh) * 2022-02-28 2023-12-29 漳州科华电气技术有限公司 故障检测方法、控制器、旁路稳压电路及存储介质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031463A (en) * 1976-03-01 1977-06-21 Control Data Corporation Power brown-out detector
US4558275A (en) 1981-04-21 1985-12-10 The Superior Electric Company Line voltage monitor system
US4713553A (en) 1985-10-21 1987-12-15 Motorola Inc. Fast power-fail detector for power supplies with energy hysteresis
JPH0968548A (ja) * 1995-08-31 1997-03-11 Toshiba Corp 停電検出回路
US5943635A (en) * 1997-12-12 1999-08-24 Scenix Semiconductor Inc. System and method for programmable brown-out detection and differentiation
US6208258B1 (en) * 1998-09-30 2001-03-27 Core Technology, Inc. Circuit and method for determining whether AC mains voltage is below or above a predetermined set point
JP2000217244A (ja) * 1999-01-21 2000-08-04 Mitsubishi Electric Corp 電子式電力量計
US6469883B1 (en) * 2000-03-13 2002-10-22 Coactive Network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early AC power failure detection
US6683392B2 (en) 2001-08-20 2004-01-27 The Boeing Company Switch matrix
EP1747474A1 (en) 2004-05-18 2007-01-31 THOMSON Licensing Power disturbance detection circuit and method
US7453677B2 (en) * 2004-10-06 2008-11-18 Teknic, Inc. Power and safety control hub
US7630843B2 (en) * 2006-09-21 2009-12-08 Intel Corporation Method, apparatus, and system for power source failure prediction
JP5343393B2 (ja) 2008-04-28 2013-11-13 富士電機株式会社 スイッチング電源制御用半導体装置
US8214165B2 (en) * 2008-12-30 2012-07-03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Apparatus, system, and method for precise early detection of AC power loss
US8786297B2 (en) * 2009-04-28 2014-07-22 Semiconductor Components Industries, Llc Method of and circuit for brown-out detection
CN101881793B (zh) * 2009-05-08 2013-05-01 深圳市金威源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交流电掉电检测方法及报警电路
WO2011116225A1 (en) * 2010-03-17 2011-09-22 Power Systems Technologies, Ltd. Control system for a power converter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US20130328505A1 (en) * 2012-06-08 2013-12-12 Laurence P. Sadwick Dimmer for Dimmable Driver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4487853A (zh) 2015-04-01
JP2015521765A (ja) 2015-07-30
BR112014031201A2 (pt) 2017-06-27
WO2013187908A8 (en) 2014-11-06
EP2861997A1 (en) 2015-04-22
EP2861997B1 (en) 2020-04-22
US20150142346A1 (en) 2015-05-21
WO2013187908A1 (en) 2013-12-19
US10473727B2 (en) 2019-11-12
BR112014031201B1 (pt) 2020-09-08
JP5972458B2 (ja) 2016-08-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30813B1 (ko) 능동형 정전력 공급장치
JP4742103B2 (ja) 絶縁抵抗検出装置
US8773110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wave detection
KR20150020569A (ko) 조기 전력 장애 검출 회로
JP4847434B2 (ja) 蓄電池寿命劣化判定装置及び方法
CN107211499B (zh) 能够监测浪涌保护布置的使用的驱动器电路
WO2006051843A1 (ja) 電源装置
JP2001186767A (ja) 携帯用発電機
CN113644655A (zh) 一种交直流供电设备和供电方法、装置及存储介质
US20110122665A1 (en) Voltage application time period measuring circuit and power supply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EP0286282B1 (en) Method for detecting input ac voltage
JP2007538253A (ja) 電力擾乱検出回路及び方法
JP2015521765A5 (ko)
JP2004279278A (ja) 電源装置
JPH0723034Y2 (ja) 三相整流回路の欠相検出装置
JPH11341823A (ja) 交流電源装置及びその同期運転方法
JPS58119727A (ja) 電源異常検出回路
CN210038096U (zh) 掉电检测电路和监测装置
JP2019009947A (ja) スイッチング電源装置
US20200382004A1 (en) Power supply apparatus
EP3579508A1 (en) Pulse signal output circuit
KR0152784B1 (ko) 인버터의 부족전압 보호회로
KR960016377B1 (ko) 밧데리 충전상태 표시장치
JP2002262589A (ja) モータ制御装置
JP2021117132A (ja) 交流電源の電圧監視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