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20504A - 표시 장치 및 전자 기기 - Google Patents

표시 장치 및 전자 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20504A
KR20150020504A KR20140097101A KR20140097101A KR20150020504A KR 20150020504 A KR20150020504 A KR 20150020504A KR 20140097101 A KR20140097101 A KR 20140097101A KR 20140097101 A KR20140097101 A KR 20140097101A KR 20150020504 A KR20150020504 A KR 2015002050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nsmittance
color filter
pixel
white
wavelength ba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400971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92750B1 (ko
Inventor
마모루 스즈키
성희 노
마사토 나카무라
세이이치로 진타
가쿠 이즈미
신이치 테라구치
Original Assignee
소니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소니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소니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1500205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2050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927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927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509Filters, e.g. light shielding masks
    • G02F1/133514Colour filter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6Arrangements for improving contrast, e.g. preventing reflection of ambient light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3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multicolour light emission
    • H10K59/38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multicolour light emission comprising colour filters or colour changing media [CCM]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9/8791Arrangements for improving contrast, e.g. preventing reflection of ambient light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3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multicolour light emission
    • H10K59/35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multicolour light emission comprising red-green-blue [RGB] subpixels
    • H10K59/351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multicolour light emission comprising red-green-blue [RGB] subpixels comprising more than three subpixels, e.g. red-green-blue-white [RGBW]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 Optical Filters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유기 EL 표시 장치에서의 외광 반사를 최소한으로 억제함과 함께, 외광 반사의 색을 소망하는 대로 제어한다.
본 개시에 관한 표시 장치는, 각 색의 화소에 대응하는 유기 EL 발광 소자와, 백화소에 대응하는 백컬러 필터를 구비하고, 상기 백컬러 필터의 투과율은, 가시광의 전 파장 대역에 걸쳐서 균등한 ND 투과율을 베이스로 하고, 상기 가시광의 전 파장 대역 중, 특정한 파장 대역의 투과율이 상기 ND 투과율보다도 저하되어 있다. 이 구성에 의해, 표시 장치에서의 외광 반사를 최소한으로 억제함과 함께, 외광 반사의 색을 소망하는 대로 제어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Description

표시 장치 및 전자 기기{DISPLAY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본원은, 2013년 8월 15일 일본에 출원된 특원2013-168883호에 의거하여 우선권을 주장하고, 그 내용을 여기에 원용한다.
본 발명은 표시 장치 및 전자 기기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는,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 장치에서, 유기 EL 발광 소자를 구비하는 것이 이용되고 있다. 표시 장치에서는, 외광(external light)의 반사가 크면 표시의 질이 저하되기 때문에, 외광 반사를 억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반적인 디스플레이 패널에서, 외광 반사는 2개의 성분으로 대별된다. 1번째는 패널 최표면의 부재와 공기의 계면에서 생기는 프레넬 반사의 성분이고, 2번째는 패널 내부에 입사한 광이 재차 패널의 밖으로 출사되는 반사 성분이다.
특허 문헌 1 : 일본 특개평10-48752호 공보 특허 문헌 2 : 일본 특개2010-243769호 공보 특허 문헌 3 : 일본 특개2013-97287호 공보
일반적인 유기 EL 패널은, 투명 기판상에 투명 전극과 유기 발광층과 금속 전극을 적층하여 발광체를 형성하고 있다. 이 때문에, 유기 EL 패널 내부에 입사한 광은 금속 전극에서 반사하여 패널의 외부에 출사된다. 또한, 컬러 필터 이외의 구성 부재의 투과율이 높기 때문에, 광이 충분히 흡수되지 않고 패널의 밖으로 출사되어, 반사 성분이 많아진다. 따라서, 유기 EL 패널에서는, 상기한 2번째의 반사 성분이 커지는 문제가 있다.
특히, 무색 투명한 백(white)화소를 갖는 유기 EL 패널은, 컬러 필터에 의한 흡수 성분이 미소하기 때문에, 외광 반사가 현저하게 커지는 문제가 있다. 또한, 유기 EL 패널의 내부에 들어간 외광은, 출사광의 파장 스펙트럼이 변화하여, 외광 반사가 물들어(colored light) 보이는 문제가 있다.
상술한 1번째의 외광 반사에 관해서는, 예를 들면 패널 표면에 AR(Anti-Reflective) 코트를 시행하거나, AG(Anti-Glare) 필름을 삽입하거나 함에 의해, 외광 반사를 저감할 수 있다.
또한, 2번째의 외광 반사 저감의 대책으로서는, 특허 문헌 1, 2에 기재되어 있는 바와 같이, 유기 EL 패널 표면에 원편광판(circularly polarizing plate transmits light)을 탑재하는 방법이 있다. 그러나, 유기 EL 소자로부터 발광한 광(이하, 유기 EL 내광(intrinsic light)이라고 칭하는 경우가 있다)이 원편광판을 투과하기 때문에, 원편광판이 없는 경우와 비교하여, 유기 EL 내광의 휘도가 반감한다는 문제가 있다. 이 때문에, 소비 전력이 증대하는 문제가 생긴다.
또한, 특허 문헌 3에 기재되어 있는 바와 같이, 백화소의 개구율만을 작게 하거나, 또는 백화소에 ND 필터를 마련하거나 하는 방법도 있다. 그렇지만, 이 방법에서는 반사광의 색의 변화를 억제할 수가 없기 때문에, 반사광의 색미가 변하는 문제는 남아 버린다.
그래서, 표시 장치에서의 외광 반사를 최소한으로 억제함과 함께, 외광 반사의 색을 소망하는 대로 제어하는 것이 요구되고 있다.
본 개시에 의하면, 각 색의 화소에 대응하는 발광 소자와, 백화소에 대응하는 백컬러 필터를 가지며, 상기 백컬러 필터의 투과율은, 가시광의 전(entire) 파장 대역에 걸쳐서 균등한 ND 투과율을 베이스로 하고, 상기 가시광의 전 파장 대역 중, 특정한 파장 대역의 투과율이 상기 ND 투과율보다도 저하되어 있는, 표시 장치가 제공된다.
또한, 본 개시에 의하면, 각 색의 화소에 대응하는 발광 소자와, 백화소에 대응하는 백컬러 필터를 가지며, 상기 백컬러 필터는, 가시광의 전 파장 대역에 걸쳐서 균등한 ND 투과율을 베이스로 하고, 상기 가시광의 전 파장 대역 중, 특정한 파장 대역의 투과율이 상기 ND 투과율보다도 저하되어 있는, 표시 장치를 탑재한, 전자 기기가 제공된다.
상기 백컬러 필터는, 색제(coloring agent)의 첨가에 의해 상기 특정한 파장 대역의 투과율이 상기 ND 투과율보다도 저하되어 있는 것이라도 좋다.
또한, 상기 ND 투과율이 50% 이상이라도 좋다.
또한, 상기 가시광의 전 파장 대역은, 400㎚ 내지 700㎚라도 좋다.
또한, 상기 백컬러 필터는, 적, 녹, 청 또는 그들의 보색으로 착색되어 있는 것이라도 좋다.
또한, 상기 백컬러 필터는, 가시광의 전 파장 대역에서 분광 투과율의 최대치에 대한 최소치의 비가 0.44 이상이라도 좋다.
또한, 상기 유기 EL 발광 소자로부터 출사하여 상기 백컬러 필터를 투과한 유기 EL 내광과, 가시광의 전 파장 대역에 걸쳐서 균등한 ND 투과율을 갖는 무색 투명한 백컬러 필터를 투과한 유기 EL 내광과의 색차(Δu'v')가 0.02 이하라도 좋다.
또한, 상기 백컬러 필터에 대응하는 백화소의 개구율이 적화소, 녹화소, 청화소의 개구율과 다른 것이라도 좋다.
또한, 상기 백컬러 필터에 대응하는 백화소의 개구율이 적화소, 녹화소, 청화소의 개구율보다도 작은 것이라도 좋다.
또한, 상기 백컬러 필터에 대응하는 백화소의 개구율이 적화소, 녹화소, 청화소의 개구율보다도 큰 것이라도 좋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개시에 의하면, 표시 장치에서의 외광 반사를 최소한으로 억제함과 함께, 외광 반사의 색을 소망하는대로 제어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상기한 효과는 반드시 한정적인 것이 아니라, 상기한 효과와 함께, 또는 상기한 효과에 대신하여, 본 명세서에 나타난 어느 하나의 효과, 또는 본 명세서로부터 파악될 수 있는 다른 효과가 이루어져도 좋다.
도 1은 유기 EL 패널의 구성을 도시하는 모식도.
도 2는 적, 녹, 청, 백의 컬러 필터를 갖는 유기 EL 패널의 내부에 입사한 광이, 재차 패널의 밖으로 출사되는 양상을 모식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3은 계산에 이용한 외광의 파장 스펙트럼을 도시하는 특성도.
도 4는 적, 녹, 청의 각각의 컬러 필터의 분광 투과율을 도시하는 특성도.
도 5는 외광의 절대 반사율과 그 내역을 계산한 결과를 도시하는 특성도.
도 6은 외광과 그 반사광의 xy색도를 도시하는 특성도(색도도).
도 7은 백컬러 필터의 ND 투과율을 100%, 80%, 60%, 40%, 20%, 0%로 한 상태를 도시하는 특성도.
도 8은 외광의 절대 반사율을 각 ND 투과율마다 도시하는 특성도.
도 9는 백화소만의 유기 EL을 점등한 때의 유기 EL 내광의 규격화 휘도를 도시하는 특성도.
도 10은 외광 반사의 xy색도를 각 ND 투과율마다 도시하는 특성도.
도 11은 ND 투과율 80%의 백컬러 필터에 대표적인 6종류의 색제를 혼합하고, 백컬러 필터의 분광 투과율을 설정한 예를 도시하는 특성도.
도 12는 도 11에 도시하는 분광 투과율을 갖는 백컬러 필터((A) 내지 (F))를 이용한 때의 외광 반사의 xy색도를 도시하는 특성도.
도 13은 각 백컬러 필터((A) 내지 (F))를 이용한 때의 외광의 절대 반사율을 도시하는 특성도.
도 14는 도 11 중의 (F)의 백컬러 필터를 기준으로 하여, 색제의 농도를 진하게 한 6종류의 백컬러 필터를 준비하고, 각 백컬러 필터의 파장과 투과율의 관계를 도시하는 특성도.
도 15는 도 14의 각 백컬러 필터를 이용한 경우의 반사광의 xy색도를 도시하는 특성도.
도 16은 도 14의 각 백컬러 필터를 이용한 경우의 절대 반사율을 도시하는 특성도.
도 17은 도 14의 각 백컬러 필터를 이용한 경우에, 백화소만을 점등한 유기 EL 내광의 xy색도를 도시하는 특성도.
도 18은 도 14의 백컬러 필터((1) 내지 (6))를 이용한 경우에 백화소만을 점등한 유기 EL 내광과, 무색 투명한 백컬러 필터를 이용한 경우에 백화소만을 점등한 유기 EL 내광의 색차(Δu'v')를 도시하는 특성도.
도 19는 도 11에 도시한 백컬러 필터((A) 내지 (F))를 베이스로 하여, 각 백컬러 필터((A) 내지 (F))의 색제 농도를 바꾼 때에, 색차(Δu'v')가 0.02 이하가 되는 분광 투과율을 도시하는 특성도.
도 20은 무색 투명(ND 투과율 100%)의 백화소에서, 적, 녹, 청화소의 개구율은 32%로 고정하고, 백화소의 개구율비를 100%, 80%, 60%, 40%, 20%, 0%로 하였을 때의 외광 반사의 xy색도를 도시하는 특성도.
도 21은 무색 투명(ND 투과율 100%)의 백화소에서, 적, 녹, 청화소의 개구율은 32%로 고정하고, 백화소의 개구율비를 100%, 80%, 60%, 40%, 20%, 0%로 하였을 때의 절대 반사율을 도시하는 특성도.
도 22는 백화소의 개구율비와 ND 투과율에 대한 외광의 절대 반사율(종축)을 도시하는 특성도.
도 23은 백화소의 개구율비를 80%로 하고, 도 11에 도시한 백컬러 필터(F)(ND 투과율 80%)를 이용한 때의 외광 반사의 xy색도를 도시하는 특성도.
도 24는 개구율비, ND 투과율, 외광 반사율의 관계를 도시하는 특성도.
도 25는 백컬러 필터에 착색을 하여 얻어진 분광 투과율을 도시하는 특성도.
도 26은 제4의 실시 형태에서, 외광 반사의 xy색도를 도시하는 특성도.
도 27은 유기 EL 패널을 구비하는 표시 장치의 회로 구성을 도시하는 모식도.
도 28은 화소 구동 회로의 등가 회로도.
이하에 첨부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개시된 알맞은 실시의 형태에 관해 상세히 설명한다. 또한, 본 명세서 및 도면에서,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 구성을 갖는 구성 요소에 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붙임에 의해 중복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설명은 이하의 순서로 행하는 것으로 한다.
1. 제1의 실시 형태
1.1. 유기 EL 패널의 구성예
1.2. 외광 반사의 절대 반사율과 반사광의 색에 관해
1.3. 색제의 첨가에 의한 색미의 제어
1.4. 색 변화의 허용 범위에 관해
2. 제2의 실시 형태
3. 제3의 실시 형태
4. 제4의 실시 형태
5. 제5의 실시 형태
<1. 제1의 실시 형태>
1.1. 유기 EL 패널의 구성예
도 1은, 본 개시된 한 실시 형태에 관한 유기 EL 패널(1000)의 구성을 도시하는 단면도다. 또한, 이하에서는 유기 EL 패널(1000)을 예로 들어 설명하지만, 본 개시는 유기 EL 패널(1000)뿐만 아니라 액정 표시 패널(LCD)에 대해서도 적용 가능하다.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유기 EL 패널(1000)은, 상층부터 차례로 유리판(100), 컬러 필터(200), 수지층(300), 보호층(400), 투명 전극(500), 유기 EL 소자(600), 금속 전극(700)을 갖고서 구성되어 있다. 컬러 필터(200)는, R(적)의 컬러 필터(200R), G(녹)의 컬러 필터(200G), B(청)의 컬러 필터(200B), W(백)의 컬러 필터(200W)의 각 색의 필터로 구성되어 있다. 각 컬러 필터(200R, 200G, 200B, 200W)는, 적화소, 녹화소, 청화소, 백화소의 각각에 대응하여 마련되어 있다.
도 2는, 적, 녹, 청, 백의 컬러 필터(200R, 200G, 200B, 200W)를 갖는 유기 EL 패널(1000)의 내부에 입사한 광이, 재차 유기 EL 패널(1000)의 밖으로 출사되는 양상을 모식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유기 EL 패널(1000)의 내부에 입사한 외광은, 컬러 필터(200)를 2번 통과하기 때문에 광의 강도는 컬러 필터 투과율의 2제곱(乘) 정도가 되고, 적, 녹, 청의 컬러 필터(200)에서는 어느 정도는 광이 흡수된다. 이에 대해, 백화소는 투과율이 높기 때문에, 컬러 필터(200W)에서의 흡수가 매우 작고, 외광 반사가 커진다.
또한, 외광 반사가 커지는 것에 더하여, 유기 EL 패널(1000)의 내부에 들어간 외광은, 유기 EL 패널(1000)의 구조나 재료에 의해 특정한 파장 성분이 흡수되기 쉽고, 출사광의 파장 스펙트럼이 변화하고, 외광 반사가 물들어 보이는 문제가 있다.
1.2. 외광 반사의 절대 반사율과 반사광의 색에 관해
여기서, 도 1의 구성에서 각 층의 두께를 규정하고, 적, 녹, 청, 백의 각 화소의 개구율이 32%인 유기 EL 패널에서, 외광 반사의 절대 반사율과 반사광의 색을 계산하였다. 각 층의 두께는, 유리 (1㎜), 컬러 필터(RGBW) (3㎛), 수지 (3㎛), 보호층 (3㎛), 투명 전극 (0.2㎛), 유기 EL (0.3㎛), 알루미늄 (0.01㎛)으로 하였다. 또한, 개구율이란, 1서브화소에서, 실효적으로 빛나고 있는 영역의 비율을 나타내는 것으로, 예를 들면 유기 EL 패널(1000)의 윈도우나 컬러 필터의 블랙 매트릭스에 의해 개구율을 제어할 수 있다.
도 3은, 계산에 이용한 외광의 파장 스펙트럼을 도시하는 특성도이다. 이후에 설명하는 계산에서도, 도 3에 도시하는 파장 스펙트럼의 외광을, 참조 외광으로서 이용하는 것으로 한다. 또한, 도 4는, 적, 녹, 청의 각각의 컬러 필터(200R, 200G, 200B)의 분광 투과율을 도시한 것으로, 이후에 설명하는 계산에서도 이 값을 이용하는 것으로 한다. 도 4에서, Red-CF는 컬러 필터(200R)의 분광 투과율을, Green-CF는 컬러 필터(200G)의 분광 투과율을, Blue-CF는 컬러 필터(200B)의 분광 투과율을, 각각 나타내고 있다.
도 5는, 외광의 절대 반사율과 그 내역을 계산한 결과를 도시하는 특성도이다. 또한, 도 6은, 외광과 그 반사광의 xy색도를 도시하는 특성도(chromaticity chart)이다.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외광의 절대 반사율(입사광에 대한 반사광의 비율)은 11%로 되어 있고, 그 내역은 최표면의 유리에서의 프레넬 반사의 성분이 3.5%, 적화소에 입사한 외광에서 재차 밖으로 출사된 성분이 0.7%, 녹화소에 입사한 외광에서 재차 밖으로 출사된 성분이 1.1%, 청화소에 입사한 외광에서 재차 밖으로 출사된 성분이 0.7%, 백화소에 입사한 외광에서 재차 밖으로 출사된 성분이 5.7%로 되어 있고, 외광 반사 성분의 1/2 이상이 백화소에 의한 반사광에 기인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xy색도도에 의하면, 반사광은 외광에 대해 황색 방향으로 시프트한다. 이것은, 유기 EL 패널(1000)의 구성에는 통상적으로 많은 단파장 대역의 성분을 흡수하는 재료가 많이 포함되어 있어서, 반사광이 청색의 보색인 황색으로 시프트하기 때문이다.
본 실시 형태는, 전술한 2번째의 반사광 성분의 저감에 초점을 맞춘 것으로, 유기 EL 패널(1000)의 내광에의 영향을 최소한으로 억제하면서, 백화소로부터의 외광 반사를 저감하고, 그 색미를 제어한다. 이를 위해, 컬러 필터(200W)(백컬러 필터)의 ND 투과율을 내림에 의해 외광의 반사율을 저감시키고, 또한, 컬러 필터(200W)에 착색을 함에 의해 반사광을 소망하는 색으로 한다.
또한, ND(Neutral Density) 투과율은, 이하와 같이 정의된다. ND 투과율이란, 가시광의 전 파장 대역에 걸쳐서 균등하게 투과율을 내리는 것을 나타내고, 색미에는 영향을 주지 않는다. 예를 들면, ND 투과율이 70%란, 가시광의 전 파장 대역(400㎚ 내지 700㎚)에 걸쳐서 투과율이 70%인 것을 의미한다.
이하에서는, 순서대로 컬러 필터(200W)의 최적의 분광 특성에 관해 설명한다.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우선, 컬러 필터(200W)의 ND 투과율을 100%, 80%, 60%, 40%, 20%, 0%의 각각으로 설정하고, 유기 EL 패널(1000)에 외광(도 3의 특성)을 조사한다. 도 8은, 이 때의, 외광의 절대 반사율을 각 ND 투과율마다 도시하는 특성도이다. 또한, 도 9는, 백화소만의 유기 EL 소자(600)를 점등한 때의 유기 EL 패널(1000)의 내광(유기 EL 내광)의 규격화 휘도를 도시하는 특성도이다. 또한, 도 10은, 외광 반사의 xy색도를 도시하는 특성도이다.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외광의 절대 반사율은, ND 투과율이 낮아질수록 저하되고, ND 투과율에 대해 지수함수적으로 저하된다. 한편, 도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유기 EL 내광는, ND 투과율이 낮아질수록 저하되지만, ND 투과율에 대해 비례적으로 저하된다. 이것은, 전술한 바와 같이, 외광 반사는 입사시와 출사시에 컬러 필터(200)를 합계 2번 통과하는 것으로 ND 투과율의 2제곱(power) 정도로 광이 감쇠됨에 대해, 유기 EL 내광는 출사시에 컬러 필터를 1번 통과할 뿐이기 때문에, 휘도 저하는 ND 투과율의 1제곱(power)으로 억제된다. 이것은 컬러 필터(200W)(백컬러 필터)의 ND 투과율을 내림에 의해, 외광 반사를 효과적으로 저감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따라서, 외광 반사를 저감하기 위해서는, 컬러 필터(200W)의 ND 투과율을 저하시키는 것이 알맞다. 이에 의해, 유기 EL 내광의 휘도를 희생하는 없이, 외광의 반사를 효과적으로 억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한편, 도 1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컬러 필터(200W)의 ND 투과율을 바꿈에 의해, 반사광의 색도(chromaticity)가 변화한다. 도 5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외광 반사는 패널 최표면에서의 프레넬 반사와, 적, 녹, 청, 백의 각 화소로부터의 반사광의 합침이고, 각 반사광의 파장 스펙트럼은 각각 다른다. 이 때문에, ND 투과율을 바꿈에 의해 백화소로부터의 반사광량이 변화하면, 토탈의 외광 반사의 파장 스펙트럼도 변화하고, 색미가 변화한다.
ND 투과율에 관해서는, 50% 이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술한 원편광판을 부착하는 방법(특허 문헌 1, 2)에서는, 원편광판을 부착함에 의해 투과율이 저하되고, 투과율을 50% 확보하는 것은 곤란하다. 따라서, ND 투과율을 50% 이상으로 함으로써, 원편광판을 부착한 경우보다도 높은 투과율을 확보할 수 있고, 유기 EL 내광의 휘도의 저하를 억제할 수 있기 때문에, 소비 전력을 저감하는 것이 가능하다.
1.3. 색제(coloring agent)의 첨가에 의한 색미의 제어
다음에, 컬러 필터(200W)의 ND 투과율이 80%인 경우를 예로 들어, 색제를 첨가함에 의해 외광 반사의 색미를 제어하는 방법에 관해 설명을 하다. 또한, 첨가하는 색제는, 특정한 파장 대역만의 투과율을 내리고, 그 이외의 해당하지 않는 파장 대역의 투과율은 불변으로 하는 것이다. 즉, ND 투과율에 의해 전 파장 대역의 투과율을 80%로 내리고, 색제에 의해 특정한 파장 대역만의 투과율을 내리는 것으로 한다.
ND 투과율 80%의 컬러 필터(200W)에 대표적인 6종류의 색제를 혼합하고, 컬러 필터(200W)를 도 11과 같은 분광 투과율로 한 경우를 상정한다. 각각의 컬러 필터(200W)는, (A) 400 내지 500㎚ 대역의 투과율을 내린 엷은 옐로, (B) 500 내지 600㎚ 대역의 투과율을 내린 엷은 마젠더, (C) 600 내지 700㎚ 대역의 투과율을 내린 엷은 시안, (D) 400 내지 600㎚ 대역의 투과율을 내린 엷은 적, (E) 400 내지 500㎚ 및 600 내지 700㎚ 대역의 투과율을 내린 엷은 녹, (F) 500 내지 700㎚ 대역의 투과율을 내린 엷은 청으로 한다. 또한, ND 투과율이 80%이기 때문에, (A) 내지 (F)의 어느 쪽에서도, 400㎚ 내지 700㎚ 대역에서의 투과율의 최대치는 80%로 되어 있다.
도 12는, 이러한 분광 투과율을 갖는 컬러 필터(200W)((A) 내지 (F))를 이용한 때의 외광 반사의 xy색도를 도시하는 특성도이다. 도 12 중에는, 참조 데이터로서, 외광의 xy색도(○표시)와 ND 투과율 80%이고 무색(색제의 첨가 무)의 컬러 필터(200W)를 이용한 때의 결과(●표시)도 아울러서 나타낸다. 또한, 도 13은, 각 컬러 필터(200W)((A) 내지 (F))를 이용한 때의 외광의 절대 반사율을 도시하는 특성도이다. 도 13 중에는, 참조 데이터로서, ND 투과율 80%이고 무색(색제의 첨가 무)의 컬러 필터(200W)를 이용한 때의 결과(색제 없음)도 아울러서 나타낸다. 도 1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컬러 필터(200W)에 색제를 첨가함에 의해, 반사광의 색을 자유롭게 제어할 수 있고, 색제의 색 방향으로 반사광의 색미가 시프트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도 1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컬러 필터(200W)를 (B), (D), (F)와 같은 분광 투과율로 함에 의해, 외광의 절대 반사율이 저하됨을 알 수 있다. 이것은, 도 1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색제에 의해 시감도(視感度)가 높은 550㎚ 전후의 파장 대역의 투과율이 내려가기 때문이다. 일반적인 유기 EL 패널은, 단파장(청 성분)의 광을 흡수한 재료로 구성되는 것이 많고, 외광 반사가 청색의 보색, 즉 옐로(황) 방향으로 시프트하기 쉽다는 특성이 있다. 이 때문에, 첨가하는 색제를 청색으로 함에 의해, 반사광의 색미를 청방향으로 되돌릴 수가 있고, 나아가서는 외광 반사를 효과적으로 저감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14는, 도 11 중의 (F)의 컬러 필터(200W)를 기준(1)으로 하여, (2)→ (3)→ (4)→ (5)→ (6)의 순서로 색제(얇은 청색)의 농도를 진하게 한 6종류의 백컬러 필터를 준비하고, 각 컬러 필터(200W)((1) 내지 (6))의 파장과 투과율의 관계를 도시한 특성도이다.
도 15는, 도 14의 각 컬러 필터(200W)((1) 내지 (6))를 이용한 경우의 반사광의 xy색도를 도시하는 특성도이다. 도 1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색제 농도를 진하다 함에 의해, 반사광의 색미는 색제의 색 방향으로 시프트하여 간다. 또한, 도 16은, 도 14의 각 백컬러 필터((1) 내지 (6))를 이용한 경우의 외광의 절대 반사율을 도시하는 특성도이다. 도 1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색제 농도를 높게 함에 의해, 절대 반사율도 저감하여 간다.
1.4. 색 변화의 허용 범위에 관해
도 17은, 도 14의 각 컬러 필터(200W)((1) 내지 (6))를 이용한 경우에, 백화소만을 점등한 유기 EL 내광의 xy색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17의 색도를 계산할 때에는, 일반적인 유기 EL의 발광 스펙트럼을 이용한다. 일반적으로, 인간의 눈으로는 색의 변화량이 Δu'v'≤0.02의 차이라면 색 변화를 허용할 수 있다고 말하여지고 있고, 디스플레이의 색 시야각 특성의 하나의 지표로서 널리 이용되고 있다. 이 때문에, 컬러 필터(200W)가 무색 투명한 때, 백화소만을 점등한 유기 EL 내광과, 컬러 필터(200W)에 색제를 첨가한 때의 백화소만을 점등한 유기 EL 내광과의 색차가 Δu'v'≤0.02를 충족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u'v'색공간이란, xy색공간을 지각 되도록 한 색공간이고, 이하의 식에서 정의되다. 또한, xy색도도는 지각 균등하지가 않다. u'v'색공간 내에서의 거리를 색차(Δu'v')라고 부르고, 예를 들면, Δu'v'가 같은 값인 것은, 인간이 보아서 느끼는 색의 차가, 거의 같은 것을 의미한다.
[수식 1]
Figure pat00001
도 18은, 도 14의 각 컬러 필터(200W)((1) 내지 (6))를 이용한 경우에 백화소만을 점등한 유기 EL 내광과, 무색 투명한 백컬러 필터를 이용한 경우에 백화소만을 점등한 유기 EL 내광의 색차(Δu'v')를 도시하는 특성도이다. 도 1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백컬러 필터(5)를 이용한 경우는 색차(Δu'v')가 0.02를 초과하고, 백컬러 필터(4)를 이용한 경우는 색차(Δu'v')가 0.02 이하가 된다. 따라서, 색제 농도는, 백컬러 필터((4)와 (5))의 사이 이하로 억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 19는, 도 11에 도시한 백컬러 필터(200W)((A) 내지 (F))를 베이스로 하여, 각 백컬러 필터(200W)((A) 내지 (F))의 색제 농도를 바꾼 때에, 색차(Δu'v')가 0.02 이하가 되는 분광 투과율을 도시하는 특성도이다. 보다 상세히 은, 도 19는, 백컬러 필터(200W)의 색제 농도를 바꾼 때에 백화소만을 점등한 유기 EL 내광과, 무색 투명한 백컬러 필터(200W)를 이용한 때에 백화소만을 점등한 유기 EL 내광과의 색차(Δu'v')가 0.02가 되는 분광 투과율을 나타내고 있다.
도 1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각 백컬러 필터(200W)((A) 내지 (F))를 베이스에 색제 농도를 바꾼 때, 400-700㎚의 파장 대역에서 최대 투과율과 최소 투과율의 비는, (A) : 74%, (B) : 76%, (C) : 44%, (D) : 61%, (E) : 82%, (F) : 85%가 된다.
도 19에 도시하는 대표적인 6색의 컬러 필터(200W)((A) 내지 (F))에 관해, 400 내지 700㎚의 파장 대역에서 최대 투과율과 최소 투과율의 비의 최소치는, (C)의 44%이다. 따라서, 400 내지 700㎚의 파장 대역에서 최대 투과율과 최소 투과율의 비는, 44%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컬러 필터(200W)를 이용한 경우의 색차(Δu'v')를 0.02이하로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백 표시는 백화소만을 점등할 뿐이면 좋기 때문에 소비 전력이 억제할 수 있고, 또한, 백 신호의 색 변화를 보정하기 위해 백화소 이외의 화소를 보조적으로 점등하였다고 하여도, 소비 전력의 증가를 최소한으로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백컬러 필터의 분광 투과율은, 유기 EL 패널(1000)의 구조나 발광 스펙트럼에도 의존하고, 상기 범위(최대 투과율과 최소 투과율의 비가 44% 이상)에 수속되지 않아도, 착색한 컬러 필터(200W)를 이용한 때의 백화소만을 점등한 유기 EL 내광과, 무색 투명한 백컬러 필터를 이용한 때의 백화소만을 점등한 유기 EL 내광과의 색차가 Δu'v'≤0.02로 수속되는 범위라면 좋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제1의 실시 형태에 의하면, 유기 EL 패널(1000)의 내광의 휘도와 색미에의 영향을 최소한으로 억제하면서, 외광 반사의 절대 반사율과 색미를 효과적으로 제어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2. 제2의 실시 형태>
다음에, 본 개시된 제2의 실시 형태에 관해 설명한다. 제2의 실시 형태는, 유기 EL 패널(1000)의 백화소의 개구율을 작게 함에 의해, 백화소의 휘도를 조정하는 것이다. 이에 의해, 외광 반사율을 저감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도 20은, 무색 투명(ND 투과율 100%)한 백화소에서, 적화소, 녹화소, 청화소의 개구율은 32%로 고정하고, 백화소의 개구율비를 100%, 80%, 60%, 40%, 20%, 0%로 하였을 때의 외광 반사의 xy색도를 도시하는 특성도이다. 마찬가지로, 도 21은, 무색 투명(ND 투과율 100%)의 백화소에서, 적화소, 녹화소, 청화소의 개구율은 32%로 고정하고, 백화소의 개구율비를 100%, 80%, 60%, 40%, 20%, 0%로 하였을 때의 절대 반사율을 도시하는 특성도이다. 여기서, 개구율비란 적화소, 녹화소, 청화소의 개구율(32%)과의 비를 나타내는 것으로, 예를 들면, 적화소, 녹화소, 청화소의 개구율이 32%인 경우에 있어서, 개구율비 50%란 백화소의 개구율이 16%인 것을 의미한다. 도 2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백화소만 개구율을 내림에 의해 외광의 반사율을 억제할 수 있다. 한편, 도 2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백화소만 개구율을 변화시킴에 의해, 백화소로부터의 반사광량이 변화하기 때문에, 외광 반사의 색미도 변화한다. 단, 제1의 실시 형태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적당한 색제를 가함에 의해 반사광의 색을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백화소의 개구율을 적화소, 녹화소, 청화소의 개구율(32%)보다도 작게 하여 개구율비를 100% 이하로 하고, 또한 컬러 필터(200W)의 ND 투과율을 내린 때를 상정한다. 도 22는, 백화소의 개구율비와 ND 투과율에 대한 외광의 절대 반사율(종축)을 나타냈던 것이다. 도 2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백화소의 개구율비와 ND 투과율을 최적으로 변화시킴에 의해, 소망하는 절대 반사율을 실현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도 23은, 백화소의 개구율비를 80%로 하고, 도 11에 도시한 백컬러 필터(200W)(F)(ND 투과율 80%)를 이용한 때의 외광 반사의 xy색도를 도시하는 특성도이다. 도 23에서, ●표시는 백컬러 필터(200W)(F)에 의한 외광 반사의 특성을 나타내고 있고, ▲표시는 백컬러 필터(200W)(F)에 색제를 첨가하여 착색한 경우를 나타내고 있다. 도 2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백화소의 개구율비 및 ND 투과율을 바꾼 경우에도, 백컬러 필터(200W)에 착색을 함에 의해 외광 반사의 색미의 제어가 가능해진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적화소, 녹화소, 청화소의 화소 개구율을 32%로 하였지만, 화소 개구율은 32%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제2의 실시 형태에 의하면, 적화소, 녹화소, 청화소의 개구율에 대해 백화소의 개구율을 저하시킴으로써, 외광 반사율을 저감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이 경우에도, 백컬러 필터(200W)에 착색을 함에 의해 외광 반사의 색미의 제어가 가능해진다.
<3. 제3의 실시 형태>
다음에, 본 개시된 제3의 실시 형태에 관해 설명한다. 제3의 실시 형태에서는, 백화소의 개구율비를 올리고, 또한 ND 투과율을 내림으로써, 외광 반사를 저감한다. 도 24는, 도 22와 마찬가지로 개구율비, ND 투과율, 외광 반사율의 관계를 도시하는 특성도이다. 도 24는, 백화소의 개구율비를 100%, 120%, 140%, 160%, 180%, 200%로 하였을 때의 외광 반사의 절대 반사율을 나타내고 있다.
이와 같이, 적화소, 녹화소, 청화소의 개구율을 고정하고, 백화소의 개구율비만을 올리고, ND 투과율을 내림에 의해서도 외광 반사율을 억제할 수 있다. 이 경우에도, 제2의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개구율비 및 ND 투과율을 바꾼 때에, 백컬러 필터(200W)에 착색을 함에 의해 반사광의 색미의 제어가 가능하다.
또한, 백화소뿐만 아니라, 아울러서 적, 녹, 청화소의 개구율을 임의로 함으로써, 외광의 색미 및 반사율을 조정하여도 좋다. 예를 들면, 외광 반사의 적미를 억제하고 싶은 경우, 적화소의 개구율을 상대적으로 줄이는 등으로, 색미의 제어에 연결하여도 좋다.
<4. 제4의 실시 형태>
다음에, 본 개시된 제4의 실시 형태에 관해 설명한다. 제4의 실시 형태는, 디바이스의 구성이나 재질에 응하여 외광 반사의 색미를 최적으로 제어하는 것이다.
제1의 실시 형태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외광 반사의 색미는 다양한 색으로 제어할 수 있는데, 예를 들면, 디바이스의 구성이나 재질이 변한 때에도 유효하다. 도 26은, 외광 반사의 xy색도를 도시하는 특성도로서, 외광(○표시), 금속 전극(700)의 재료가 알루미늄(Al)인 경우의 외광 반사(●표시), 금속 전극(700)의 재료가 구리(Cu)인 경우의 외광 반사(▲표시), 금속 전극(700)의 재료가 구리(Cu)인 경우로서 색을 제어한 경우의 외광 반사(■표시)의 xy색도를 도시하는 특성도이다. 예를 들면 금속 전극(700)의 재료가 알루미늄(Al)으로부터 구리(Cu)로 변한 경우를 상정하면, 도 26과 같이 그 외광 반사의 색은 적 방향으로 시프트한다(▲표시). 이 경우, 백컬러 필터에 착색을 하여 도 2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은 분광 투과율로 함에 의해, 반사광의 색미를, 금속 전극(700)의 재료가 알루미늄(Al)의 경우의 색미와 가깝게 할 수 있다(■표시).
이와 같이, 디바이스의 구성이나 재질에 의해, 외광 반사의 색이 변한 때에도, 컬러 필터(200W)에 색제를 첨가함에 의해, 소망하는 색의 반사광을 얻는 것이 가능하다.
<5. 제5의 실시 형태>
도 27은, 유기 EL 패널(1000)을 구비하는 표시 장치(2000)의 회로 구성을 도시하는 모식도이다. 표시 장치(2000)는, 구동 패널(1100)상에, 매트릭스형상으로 배설된 복수의 적화소(10R), 녹화소(10G), 청화소(10B)와, 이들의 화소(10R, 10G, 10B)를 구동하기 위한 각종 구동 회로가 형성된 것이다. 화소(10R, 10G, 10B)는 각각, 적색(R : Red), 녹색(G : Green) 및 청색(B : Blue)의 색광을 발한 유기 EL 소자(600)를 갖고 구성된다. 이들 3개의 화소(10R, 10G, 10B)를 하나의 픽셀로 하여, 복수의 픽셀에 의해 유기 EL 패널(1000)로 이루어지는 표시 영역(2200)이 구성되어 있다. 구동 패널(1100)상에는, 구동 회로로서, 예를 들면 영상 표시용의 드라이버인 신호선 구동 회로(2300) 및 주사선 구동 회로(2400)와, 화소 구동 회로(2500)가 배설되어 있다. 이 구동 패널(1100)에는, 도시하지 않은 밀봉 패널이 접합되고, 이 밀봉 패널에 의해 화소(10R, 10G, 10B) 및 상기 구동 회로가 밀봉되어 있다.
도 28은, 화소 구동 회로(2500)의 등가 회로도이다. 화소 구동 회로(2500)는,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로서, 트랜지스터(Tr, Tr2)가 배설된 액티브형의 구동 회로이다. 트랜지스터(Tr, Tr2)의 사이에는 커패시터(Cs)가 마련되고, 제1의 전원 라인(Vcc) 및 제2의 전원 라인(GND)의 사이에서, 화소(10R)(또는 화소(10G, 10B))가 트랜지스터(Tr1)에 직렬로 접속되어 있다. 이와 같은 화소 구동 회로(2500)에서는, 열방향으로 신호선(2600A)이 복수 배치되고, 행방향으로 주사선(2700A)이 복수 배치되어 있다. 각 신호선(2600A)은, 신호선 구동 회로(2300)에 접속되고, 이 신호선 구동 회로(2300)로부터 신호선(2600A)을 통하여 트랜지스터(Tr2)의 소스 전극에 화상 신호가 공급되도록 되어 있다. 각 주사선(2700A)은 주사선 구동 회로(2400)에 접속되고, 이 주사선 구동 회로(2400)로부터 주사선(2700A)을 통하여 트랜지스터(Tr2)의 게이트 전극에 주사 신호가 순차적으로 공급되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은 표시 장치(2000)는, 예를 들면 텔레비전 장치, 디지털 카메라, 노트형 퍼스널 컴퓨터, 비디오 카메라, 휴대 전화(모바일 기기) 등의 전자 기기에 탑재할 수 있다.
이상, 첨부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개시된 알맞은 실시 형태에 관해 상세히 설명하였지만, 본 개시된 기술적 범위는 이러한 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본 개시된 기술 분야에서의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특허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기술적 사상의 범주 내에서, 각종의 변경예 또는 수정예에 상도할 수 있음은 분명하고, 이들에 대해서도, 당연히 본 개시된 기술적 범위에 속하는 것이라고 이해된다.
또한, 본 명세서에 기재된 효과는, 어디까지나 설명적 또는 예시적인 것이고 한정적이 아니다. 즉, 본 개시에 관한 기술은, 상기한 효과와 함께, 또는 상기한 효과에 대신하여, 본 명세서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는 분명한 다른 효과를 이룰 수 있다.
또한, 이하와 같은 구성도 본 개시된 기술적 범위에 속한다.
(1) 각 색의 화소에 대응하는 유기 EL 발광 소자와,
백화소에 대응하는 백컬러 필터를 구비하고,
상기 백컬러 필터의 투과율은, 가시광의 전 파장 대역에 걸쳐서 균등한 ND 투과율을 베이스로 하고, 상기 가시광의 전 파장 대역 중, 특정한 파장 대역의 투과율이 상기 ND 투과율보다도 저하되어 있는, 표시 장치.
(2) 상기 백컬러 필터는, 색제의 첨가에 의해 상기 특정한 파장 대역의 투과율이 상기 ND 투과율보다도 저하되어 있는, 상기 (1)에 기재된 표시 장치.
(3) 상기 ND 투과율이 50% 이상인, 상기 (1)에 기재된 표시 장치.
(4) 상기 가시광의 전 파장 대역은, 400㎚ 내지 700㎚인, 상기 (1)에 기재된 표시 장치.
(5) 상기 백컬러 필터는, 적, 녹, 청 또는 그들의 보색으로 착색되어 있는, 상기 (1)에 기재된 표시 장치.
(6) 상기 백컬러 필터는, 가시광의 전 파장 대역에서 분광 투과율의 최대치에 대한 최소치의 비가 0.44 이상인, 상기 (1)에 기재된 표시 장치.
(7) 상기 유기 EL 발광 소자로부터 출사하여 상기 백컬러 필터를 투과한 유기 EL 내광과, 가시광의 전 파장 대역에 걸쳐서 균등한 ND 투과율을 갖는 무색 투명한 백컬러 필터를 투과한 유기 EL 내광과의 색차(Δu'v')가 0.02 이하인, 상기 (1)에 기재된 표시 장치.
(8) 상기 백컬러 필터에 대응하는 백화소의 개구율이 적화소, 녹화소, 청화소의 개구율과 다른, 상기 (1)에 기재된 표시 장치.
(9) 상기 백컬러 필터에 대응하는 백화소의 개구율이 적화소, 녹화소, 청화소의 개구율보다도 작은, 상기 (8)에 기재된 표시 장치.
(10) 상기 백컬러 필터에 대응하는 백화소의 개구율이 적화소, 녹화소, 청화소의 개구율보다도 큰, 상기 (8)에 기재된 표시 장치.
(11) 각 색의 화소에 대응하는 유기 EL 발광 소자와, 백화소에 대응하는 백컬러 필터를 구비하고, 상기 백컬러 필터는, 가시광의 전 파장 대역에 걸쳐서 균등한 ND 투과율을 베이스로 하고, 상기 가시광의 전 파장 대역 중, 특정한 파장 대역의 투과율이 상기 ND 투과율보다도 저하되어 있는, 표시 장치를 탑재한, 전자 기기.
(12) 상기 백컬러 필터는, 색제의 첨가에 의해 상기 특정한 파장 대역의 투과율이 상기 ND 투과율보다도 저하되어 있는, 상기 (11)에 기재된 전자 기기.
(13) 상기 ND 투과율이 50% 이상인, 상기 (11)에 기재된 전자 기기.
(14) 상기 가시광의 전 파장 대역은, 400㎚ 내지 700㎚인, 상기 (11)에 기재된 전자 기기.
(15) 상기 백컬러 필터는, 적, 녹, 청 또는 그들의 보색으로 착색되어 있는, 상기 (11)에 기재된 전자 기기.
(16) 상기 백컬러 필터는, 가시광의 전 파장 대역에서 분광 투과율의 최대치에 대한 최소치의 비가 0.44 이상인, 상기 (11)에 기재된 전자 기기.
(17) 상기 유기 EL 발광 소자로부터 출사하여 상기 백컬러 필터를 투과한 유기 EL 내광과, 가시광의 전 파장 대역에 걸쳐서 균등한 ND 투과율을 갖는 무색 투명한 백컬러 필터를 투과한 유기 EL 내광과의 색차(Δu'v')가 0.02 이하인, 상기 (11)에 기재된 전자 기기.
(18) 상기 백컬러 필터에 대응하는 백화소의 개구율이 적화소, 녹화소, 청화소의 개구율과 다른, 상기 (11)에 기재된 전자 기기.
(19) 상기 백컬러 필터에 대응하는 백화소의 개구율이 적화소, 녹화소, 청화소의 개구율보다도 작은, 상기 (18)에 기재된 전자 기기.
(20) 상기 백컬러 필터에 대응하는 백화소의 개구율이 적화소, 녹화소, 청화소의 개구율보다도 큰, 상기 (18)에 기재된 전자 기기.
600 : 유기 EL 소자
200W :백컬러 필터
1000 :유기 EL 패널

Claims (20)

  1. 각 색의 화소에 대응하는 발광 소자와,
    백화소에 대응하는 백컬러 필터를 가지며,
    상기 백컬러 필터의 투과율은, 가시광의 전 파장 대역에 걸쳐서 균등한 ND 투과율을 베이스로 하고, 상기 가시광의 전 파장 대역 중, 특정한 파장 대역의 투과율이 상기 ND 투과율보다도 저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백컬러 필터는, 색제의 첨가에 의해 상기 특정한 파장 대역의 투과율이 상기 ND 투과율보다도 저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ND 투과율이 50%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시광의 전 파장 대역은, 400㎚ 내지 70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백컬러 필터는, 적, 녹, 청 또는 그들의 보색으로 착색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백컬러 필터는, 가시광의 전 파장 대역에서 분광 투과율의 최대치에 대한 최소치의 비가 0.44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유기 EL 발광 소자로부터 출사하여 상기 백컬러 필터를 투과한 유기 EL 내광과, 가시광의 전 파장 대역에 걸쳐서 균등한 ND 투과율을 갖는 무색 투명한 백컬러 필터를 투과한 유기 EL 내광과의 색차(Δu'v')가 0.02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백컬러 필터에 대응하는 백화소의 개구율이 적화소, 녹화소, 청화소의 개구율과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백컬러 필터에 대응하는 백화소의 개구율이 적화소, 녹화소, 청화소의 개구율보다도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10.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백컬러 필터에 대응하는 백화소의 개구율이 적화소, 녹화소, 청화소의 개구율보다도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11. 각 색의 화소에 대응하는 발광 소자와, 백화소에 대응하는 백컬러 필터를 가지며, 상기 백컬러 필터는, 가시광의 전 파장 대역에 걸쳐서 균등한 ND 투과율을 베이스로 하고, 상기 가시광의 전 파장 대역 중, 특정한 파장 대역의 투과율이 상기 ND 투과율보다도 저하되어 있는, 표시 장치를 탑재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백컬러 필터는, 색제의 첨가에 의해 상기 특정한 파장 대역의 투과율이 상기 ND 투과율보다도 저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
  13.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ND 투과율이 50%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
  14.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가시광의 전 파장 대역은, 400㎚ 내지 70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
  15.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백컬러 필터는, 적, 녹, 청 또는 그들의 보색으로 착색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
  16.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백컬러 필터는, 가시광의 전 파장 대역에서 분광 투과율의 최대치에 대한 최소치의 비가 0.44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
  17.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유기 EL 발광 소자로부터 출사하여 상기 백컬러 필터를 투과한 유기 EL 내광과, 가시광의 전 파장 대역에 걸쳐서 균등한 ND 투과율을 갖는 무색 투명한 백컬러 필터를 투과한 유기 EL 내광과의 색차(Δu'v')가 0.02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
  18.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백컬러 필터에 대응하는 백화소의 개구율이 적화소, 녹화소, 청화소의 개구율과 다른 전자 기기.
  19. 제 18항에 있어서,
    상기 백컬러 필터에 대응하는 백화소의 개구율이 적화소, 녹화소, 청화소의 개구율보다도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
  20. 제 18항에 있어서,
    상기 백컬러 필터에 대응하는 백화소의 개구율이 적화소, 녹화소, 청화소의 개구율보다도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
KR1020140097101A 2013-08-15 2014-07-30 표시 장치 및 전자 기기 KR10229275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3168883A JP2015037062A (ja) 2013-08-15 2013-08-15 表示装置及び電子機器
JPJP-P-2013-168883 2013-08-1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20504A true KR20150020504A (ko) 2015-02-26
KR102292750B1 KR102292750B1 (ko) 2021-08-25

Family

ID=524661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97101A KR102292750B1 (ko) 2013-08-15 2014-07-30 표시 장치 및 전자 기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9368557B2 (ko)
JP (1) JP2015037062A (ko)
KR (1) KR102292750B1 (ko)
CN (2) CN110350100B (ko)
TW (1) TWI636284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673207B2 (ja) * 2014-10-01 2020-03-25 ソニー株式会社 表示装置および電子機器
KR102572407B1 (ko) 2015-07-22 2023-08-30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박막 트랜지스터 어레이 기판 및 이를 포함하는 유기발광 표시장치
US11156826B2 (en) * 2019-12-11 2021-10-26 Visera Technologies Company Limited Optical devices
CN115136038A (zh) * 2020-03-09 2022-09-30 3M创新有限公司 反射偏振器和显示系统
CN114167639B (zh) * 2020-09-11 2024-02-27 成都辰显光电有限公司 显示面板、显示装置及显示面板的控制方法
CN115061322B (zh) * 2022-06-17 2023-10-24 云谷(固安)科技有限公司 显示屏、显示屏制作方法及电子设备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48752A (ja) 1996-08-02 1998-02-20 Toppan Printing Co Ltd 透過型スクリーン用レンチキュラーシート
KR20100068074A (ko) * 2008-12-12 2010-06-22 삼성전자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JP2010243769A (ja) 2009-04-06 2010-10-28 Toppan Printing Co Ltd 円偏光板及び有機el表示装置
KR20110063086A (ko) * 2009-12-04 2011-06-10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유기 발광 장치
KR20110093451A (ko) * 2010-02-12 2011-08-18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장치
KR20120012940A (ko) * 2010-08-03 2012-02-13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전계 발광소자
WO2013051428A1 (ja) * 2011-10-03 2013-04-11 ソニー株式会社 表示装置および電子機器
JP2013097287A (ja) 2011-11-04 2013-05-20 Dainippon Printing Co Ltd 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表示装置用カラーフィルタおよび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表示装置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317507A (ja) * 2004-03-30 2005-11-10 Sanyo Electric Co Ltd 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装置
US7294959B2 (en) * 2005-10-24 2007-11-13 Eastman Kodak Company OLED device having improved contrast
JP2012199231A (ja) * 2011-03-04 2012-10-18 Semiconductor Energy Lab Co Ltd 表示装置
WO2012169421A1 (ja) * 2011-06-07 2012-12-13 シャープ株式会社 表示装置
TWI538193B (zh) * 2014-02-19 2016-06-11 友達光電股份有限公司 有機發光裝置及其製作方法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48752A (ja) 1996-08-02 1998-02-20 Toppan Printing Co Ltd 透過型スクリーン用レンチキュラーシート
KR20100068074A (ko) * 2008-12-12 2010-06-22 삼성전자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JP2010243769A (ja) 2009-04-06 2010-10-28 Toppan Printing Co Ltd 円偏光板及び有機el表示装置
KR20110063086A (ko) * 2009-12-04 2011-06-10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유기 발광 장치
KR20110093451A (ko) * 2010-02-12 2011-08-18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장치
KR20120012940A (ko) * 2010-08-03 2012-02-13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전계 발광소자
WO2013051428A1 (ja) * 2011-10-03 2013-04-11 ソニー株式会社 表示装置および電子機器
JP2013097287A (ja) 2011-11-04 2013-05-20 Dainippon Printing Co Ltd 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表示装置用カラーフィルタおよび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表示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9368557B2 (en) 2016-06-14
CN110350100A (zh) 2019-10-18
US20150048345A1 (en) 2015-02-19
CN110350100B (zh) 2022-08-16
TWI636284B (zh) 2018-09-21
KR102292750B1 (ko) 2021-08-25
CN104377221B (zh) 2019-06-07
TW201506460A (zh) 2015-02-16
JP2015037062A (ja) 2015-02-23
CN104377221A (zh) 2015-02-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916245B2 (en) Display device
US7952662B2 (en) Transflective display device
US7990499B2 (en) Display device
JP4120674B2 (ja) 電気光学装置及び電子機器
US10306729B2 (en) Display with ambient-adaptive backlight color
KR102292750B1 (ko) 표시 장치 및 전자 기기
TWI503812B (zh) 顯示器
JP2007109617A (ja) 発光装置、照明装置、電気光学装置及び電子機器
US7542110B2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nd electronic apparatus
JP2007109616A (ja) 発光装置、照明装置、電気光学装置及び電子機器
JP2004287323A (ja) 半透過型液晶表示装置
JP2008139528A (ja) 電気光学装置及び電子機器
US7580094B2 (en) Transreflective LCD panel and electronic device using the same
US7804562B2 (en) Liquid crystal panel with a uniform background color
JP2006317823A (ja) 表示装置及び電子機器
JP2007199513A (ja) 電気光学装置
US20090073354A1 (en) Color Filter and Liquid Crystal Display Comprising Same
KR20190000184A (ko) 반사형 컬러필터 및 이를 이용한 반사형 디스플레이
JP2007279094A (ja) 液晶装置及び電子機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