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20242A - 서브-기가헤르츠 대역들에서 무선 통신의 범위 확장을 위한 시스템들 및 방법들 - Google Patents

서브-기가헤르츠 대역들에서 무선 통신의 범위 확장을 위한 시스템들 및 방법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20242A
KR20150020242A KR20157000059A KR20157000059A KR20150020242A KR 20150020242 A KR20150020242 A KR 20150020242A KR 20157000059 A KR20157000059 A KR 20157000059A KR 20157000059 A KR20157000059 A KR 20157000059A KR 20150020242 A KR20150020242 A KR 2015002024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cket
wireless device
repeated
wireless
dat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570000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25634B1 (ko
Inventor
모함마드 호세인 타그하비 나스라바디
히맨쓰 샘패쓰
빈센트 케이. 존스
Original Assignee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1500202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202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256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256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02Selection of wireless resources by user or termi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0001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 H04L1/0002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by adapting the transmission rate
    • H04L1/0003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by adapting the transmission rate by switching between different modulation schem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0001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 H04L1/0009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by adapting the channel coding
    • H04L1/001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by adapting the channel coding applied to control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0001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 H04L1/0009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by adapting the channel coding
    • H04L1/0013Rate matching, e.g. puncturing or repetition of code symbo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08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repeating transmission, e.g. Verdan syste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5/00Baseband systems
    • H04L25/02Details ; arrangements for supplying electrical power along data transmission li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7/00Modulated-carrier systems
    • H04L27/26Systems using multi-frequency codes
    • H04L27/2601Multicarrier modulation systems
    • H04L27/2602Signal structure
    • H04L27/261Details of reference signals
    • H04L27/2613Structure of the reference sig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7/00Modulated-carrier systems
    • H04L27/26Systems using multi-frequency codes
    • H04L27/2601Multicarrier modulation systems
    • H04L27/2602Signal structure
    • H04L27/261Details of reference signals
    • H04L27/2613Structure of the reference signals
    • H04L27/26132Structure of the reference signals using repeti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44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allocation of payloa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54Store-and-forward switching systems 
    • H04L12/56Packet switching systems
    • H04L12/5601Transfer mode dependent, e.g. ATM
    • H04L2012/5603Access techniques
    • H04L2012/5604Medium of transmission, e.g. fibre, cable, radio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서브-기가헤르츠 대역들에서 무선 통신을 위한 범위 확장을 가능하게 하기 위한 시스템들, 방법들 및 디바이스들이 본 명세서에 설명된다. 일부 양상들에서, 패킷이 디코딩될 수 있는 기회를 증가시키기 위해서 패킷을 송신할 때 패킷들의 부분들이 시간적으로 그리고/또는 공간적으로 반복된다. 패킷의 부분들의 반복은 패킷이 전송되는 채널의 채널 특성들에 부분적으로 기초할 수 있다. 일부 양상들에서, 패킷들의 부분들은 주파수 범위당 증가된 전력으로 더 작은 대역폭 상에서 송신된다.

Description

서브-기가헤르츠 대역들에서 무선 통신의 범위 확장을 위한 시스템들 및 방법들{SYSTEMS AND METHODS FOR RANGE EXTENSION OF WIRELESS COMMUNICATION IN SUB-GIGAHERTZ BANDS}
본 출원은 2011년 4월 15일자로 출원된 미국 가출원 제61/475,814호에 대한 우선권을 U.S.C §119(e) 하에서 주장하고, 상기 미국 가출원은 그 전체가 본 명세서에 인용에 의해 포함된다.
본 출원은 일반적으로, 무선 통신들에 관한 것이고, 보다 상세하게는, 서브-기가헤르츠 대역들에서 무선 통신을 가능하게 하기 위한 시스템들, 방법들 및 디바이스들에 관한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의 특정 양상들은 서브-기가헤르츠 대역들에서 무선 통신의 동작가능성의 범위를 확장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많은 전기통신 시스템들에서, 통신 네트워크들은 몇몇 상호작용하는 공간적으로-분리된 디바이스들 사이에서 메시지들을 교환하기 위해서 사용된다. 네트워크들은 예를 들어, 대도시, 로컬 영역 또는 개인 영역일 수 있는 지리적 범위에 따라 분류될 수 있다. 이러한 네트워크들은 광역 네트워크(WAN), 대도시 네트워크(MAN), 로컬 영역 네트워크(LAN) 또는 개인 영역 네트워크(PAN)로서 각각 지정될 것이다. 네트워크들은 또한 다양한 네트워크 노드들과 디바이스들의 상호접속에 사용되는 스위칭/라우팅 기법(예를 들어, 회로 스위칭 대 패킷 스위칭), 송신에 사용되는 물리적 매체들의 타입(예를 들어, 유선 대 무선) 및 사용되는 통신 프로토콜들의 세트(예를 들어, 인터넷 프로토콜 슈트, SONET(Synchronous Optical Networking), 이더넷 등)에 따라 상이하다.
네트워크 엘리먼트들이 이동식이고, 따라서, 동적 접속 필요성들을 가질 때, 또는 네트워크 아키텍처가 고정된 토폴로지 보다는 애드 혹으로 형성되는 경우 무선 네트워크들이 종종 선호된다. 무선 네트워크들은 라디오, 마이크로파, 적외선, 광학적 등의 주파수 대역들에서 전자기 파들을 사용하여 비유도 전파(unguided propagation) 모드에서 무형의 물리적 매체들을 사용한다. 무선 네트워크들은 고정된 유선 네트워크들과 비교할 때 사용자 이동성 및 급속 필드 전개를 유리하게 용이하게 한다.
무선 네트워크 내의 디바이스들은 서로 간에 데이터 패킷들을 송신/수신할 수 있다. 이러한 데이터 패킷들은, 패킷의 페이로드에서 전달될 수 있는 바와 같은 데이터, 예를 들어, 사용자 데이터, 멀티미디어 컨텐츠 등 뿐만 아니라, 네트워크를 통해 패킷을 라우팅하는 것, 패킷 내의 데이터를 식별하는 것, 패킷을 프로세싱하는 것 등을 돕는 오버헤드 정보(예를 들면, 헤더 정보, 패킷 속성들 등)를 포함한다.
송신 신호를 형성하거나 또는 그렇지 않으면 패킷을 전송하기 위해서 사용되는 대역폭 또는 다른 송신 파라미터들은 임의의 수의 인자들에 기초하여 선택될 수 있다. 일부 시스템들에서는, 서브-기가헤르츠 대역에 있는 무선 신호들을 사용하는 것이 유리하다. 따라서, 서브-기가헤르츠 대역에서 무선으로 통신하기 위한 시스템들, 방법들 및 디바이스들이 요구된다.
본 발명의 시스템들, 방법들 및 디바이스들은 각각 몇몇 양상들을 가지며, 이들 중 어떠한 단일한 하나도 오로지 자신의 바람직한 속성들만을 담당하는지는 않는다. 다음의 청구항들에 의해 나타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지 않으면서, 일부 특징들이 이제 간단하게 논의될 것이다. 이 논의를 고려한 이후, 특히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이라 명명되는 섹션을 판독한 이후, 당업자는 본 발명의 특징들이 서브-기가헤르츠 대역들에서 무선 통신의 동작가능성의 범위를 확장하는 것을 포함하는 이점들을 어떻게 제공하는지를 이해할 것이다.
본 개시의 일 양상은 무선 통신을 위한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방법은 통신 채널의 특성을 식별하는 정보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방법은 결정된 정보에 기초하여 트레이닝 시퀀스를 반복할 횟수를 변경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상기 방법은 변경된 횟수로 반복된 트레이닝 시퀀스 및 데이터 부분을 포함하는 물리적 패킷을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본 개시의 다른 양상은 무선 통신을 위한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방법은 물리적 패킷의 송신을 위해서 사용할 시간 세그먼트에서 다수의 주파수 범위들을 식별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방법은 다수의 주파수 범위들의 서브세트를 선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상기 방법은 다수의 주파수 범위들에 기초하여 다수의 주파수 범위들의 서브세트 각각에 대한 송신 전력을 셋팅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상기 방법은 다수의 주파수 범위들의 서브세트를 사용하여 물리적 패킷을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본 개시의 다른 양상은 무선 통신을 위한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방법은 반복된 트레이닝 시퀀스들의 복수의 세트들 및 데이터 부분을 포함하는 물리적 패킷을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반복된 트레이닝 시퀀스들의 세트들 각각은 복수의 반복된 트레이닝 시퀀스들을 포함한다. 상기 방법은 트레이닝 시퀀스들의 세트들이 반복되는 횟수를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본 개시의 다른 양상은 무선 통신을 위한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장치는 통신 채널의 특성을 식별하는 정보를 결정하도록 구성되는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상기 프로세서는 결정된 정보에 기초하여 트레이닝 시퀀스를 반복할 횟수를 변경하도록 추가로 구성된다. 상기 장치는 변경된 횟수로 반복된 트레이닝 시퀀스 및 데이터 부분을 포함하는 물리적 패킷을 송신하도록 구성되는 송신기를 더 포함한다.
본 개시의 다른 양상은 무선 통신을 위한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장치는 물리적 패킷의 송신을 위해서 사용할 시간 세그먼트에서 다수의 주파수 범위들을 식별하도록 구성되는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상기 프로세서는 다수의 주파수 범위들의 서브세트를 선택하도록 추가로 구성된다. 상기 프로세서는 다수의 주파수 범위들에 기초하여 다수의 주파수 범위들의 서브세트 각각에 대한 송신 전력을 셋팅하도록 추가로 구성된다. 상기 장치는 다수의 주파수 범위들의 서브세트를 사용하여 물리적 패킷을 송신하도록 구성되는 송신기를 더 포함한다.
본 개시의 다른 양상은 무선 통신을 위한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장치는 반복된 트레이닝 시퀀스들의 복수의 세트들 및 데이터 부분을 포함하는 물리적 패킷을 수신하도록 구성되는 수신기를 포함하고, 반복된 트레이닝 시퀀스들의 세트들 각각은 복수의 반복된 트레이닝 시퀀스들을 포함한다. 상기 장치는 트레이닝 시퀀스들의 세트들이 반복되는 횟수를 결정하도록 구성되는 프로세서를 더 포함한다.
본 개시의 다른 양상은 무선 통신을 위한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장치는 통신 채널의 특성을 식별하는 정보를 결정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한다. 상기 장치는 결정된 정보에 기초하여 트레이닝 시퀀스를 반복할 횟수를 변경하기 위한 수단을 더 포함한다. 상기 장치는 변경된 횟수로 반복된 트레이닝 시퀀스 및 데이터 부분을 포함하는 물리적 패킷을 송신하기 위한 수단을 더 포함한다.
본 개시의 다른 양상은 무선 통신을 위한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장치는 물리적 패킷의 송신을 위해서 사용할 시간 세그먼트에서 다수의 주파수 범위들을 식별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한다. 상기 장치는 다수의 주파수 범위들의 서브세트를 선택하기 위한 수단을 더 포함한다. 상기 장치는 다수의 주파수 범위들에 기초하여 다수의 주파수 범위들의 서브세트 각각에 대한 송신 전력을 셋팅하기 위한 수단을 더 포함한다. 상기 장치는 다수의 주파수 범위들의 서브세트를 사용하여 물리적 패킷을 송신하기 위한 수단을 더 포함한다.
본 개시의 다른 양상은 무선 통신을 위한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장치는 반복된 트레이닝 시퀀스들의 복수의 세트들 및 데이터 부분을 포함하는 물리적 패킷을 수신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고, 반복된 트레이닝 시퀀스들의 세트들 각각은 복수의 반복된 트레이닝 시퀀스들을 포함한다. 상기 장치는 트레이닝 시퀀스들의 세트들이 반복되는 횟수를 결정하기 위한 수단을 더 포함한다.
본 개시의 다른 양상은 실행될 때 장치로 하여금 무선 통신 방법을 수행하게 하는 명령들을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가능한 매체를 제공하고, 상기 방법은 통신 채널의 특성을 식별하는 정보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방법은 결정된 정보에 기초하여 트레이닝 시퀀스를 반복할 횟수를 변경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상기 방법은 변경된 횟수로 반복된 트레이닝 시퀀스 및 데이터 부분을 포함하는 물리적 패킷을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본 개시의 다른 양상은 실행될 때 장치로 하여금 무선 통신 방법을 수행하게 하는 명령들을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가능한 매체를 제공하고, 상기 방법은 물리적 패킷의 송신을 위해서 사용할 시간 세그먼트에서 다수의 주파수 범위들을 식별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방법은 다수의 주파수 범위들의 서브세트를 선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상기 방법은 다수의 주파수 범위들에 기초하여 다수의 주파수 범위들의 서브세트 각각에 대한 송신 전력을 셋팅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상기 방법은 다수의 주파수 범위들의 서브세트를 사용하여 물리적 패킷을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본 개시의 다른 양상은 실행될 때 장치로 하여금 무선 통신 방법을 수행하게 하는 명령들을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가능한 매체를 제공하고, 상기 방법은 반복된 트레이닝 시퀀스들의 복수의 세트들 및 데이터 부분을 포함하는 물리적 패킷을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반복된 트레이닝 시퀀스들의 세트들 각각은 복수의 반복된 트레이닝 시퀀스들을 포함한다. 상기 방법은 트레이닝 시퀀스들의 세트들이 반복되는 횟수를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도 1은 본 개시의 양상들이 사용될 수 있는 무선 통신 시스템의 일례를 도시한다.
도 2는 도 1의 무선 통신 시스템 내에서 사용될 수 있는 무선 디바이스에서 이용될 수 있는 다양한 컴포넌트들을 도시한다.
도 3은 무선 통신들을 송신하기 위해서 도 2의 무선 디바이스에서 이용될 수 있는 다양한 컴포넌트들을 도시한다.
도 4는 무선 통신들을 수신하기 위해서 도 2의 무선 디바이스에서 이용될 수 있는 다양한 컴포넌트들을 도시한다.
도 5는 패킷의 일례를 도시한다.
도 6은 패킷의 일례를 도시한다.
도 7은 시간 도메인에서의 패킷의 필드들의 반복을 도시한다.
도 8은 주파수 도메인에서의 패킷의 필드들의 반복을 도시한다.
도 9는 패킷의 주어진 부분을 몇 회 반복할지를 결정하기 위한 방법의 일 양상을 도시한다.
도 10은 데이터 패킷을 송신하기 위해서 시간 세그먼트의 주파수 범위들의 어느 부분을 사용할지를 결정하기 위한 방법의 일 양상을 도시한다.
도 11은 반복의 수량 및/또는 패킷의 송신을 위해서 사용되는 주파수 범위들의 일부분을 결정하기 위한 방법의 일 양상을 도시한다.
도 12는 다른 예시적인 무선 디바이스의 기능적 블록도이다.
도 13은 다른 예시적인 무선 디바이스의 기능적 블록도이다.
도 14는 다른 예시적인 무선 디바이스의 기능적 블록도이다.
신규한 시스템들, 장치들 및 방법들의 다양한 양상들은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이하에서 더 충분하게 설명된다. 그러나, 본 개시의 교시들은 많은 상이한 형태들로 구현될 수 있으며, 본 개시의 전체에 걸쳐 제시되는 임의의 특정 구조 또는 기능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오히려, 이러한 양상들은 본 개시가 철저하고 완전해지고,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들에게 본 개시의 범위를 충분히 전달하도록 제공된다. 본 발명의 임의의 다른 양상과 독립적으로 구현되든 또는 본 발명의 임의의 다른 양상과 결합되든 간에, 본 명세서에서의 교시들에 기초하여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개시의 범위가 본 명세서에 기재되는 신규한 시스템들, 장치들 및 방법들의 임의의 양상을 커버하는 것으로 의도된다는 것을 인식하여야 한다. 예를 들어, 본 명세서에 설명되는 임의의 수의 양상들을 사용하여 장치가 구현될 수 있거나 또는 방법이 실시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범위는 본 명세서에 설명되는 본 발명의 다양한 양상들과 더불어 또는 이외에, 다른 구조, 기능, 또는 구조 및 기능을 사용하여 실시되는 이러한 장치 또는 방법을 커버하는 것으로 의도된다. 본 명세서에 기재되는 임의의 양상은 청구항의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엘리먼트들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특정한 양상들이 본 명세서에 설명되지만, 이러한 양상들의 많은 변형들 및 치환들이 본 개시의 범위 내에 속한다. 선호되는 양상들의 일부 이익들 및 이점들이 언급되지만, 본 개시의 범위는 특정한 이익들, 용도들 또는 객체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의도되지 않는다. 오히려, 본 개시의 양상들은 상이한 무선 기술들, 시스템 구성들, 네트워크들 및 송신 프로토콜들에 광범위하게 적용가능하도록 의도되며, 이들 중 일부는 도면들에서의 예를 통해, 그리고 선호되는 양상들의 다음의 설명에서 예시된다.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은 한정하기보다는 단지 본 개시를 예시하고, 본 개시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들 및 이들의 등가물들에 의해 정의된다.
대중적인 무선 네트워크 기술들은 다양한 타입들의 무선 로컬 영역 네트워크(WLAN)들을 포함할 수 있다. WLAN은 광범위하게 사용되는 네트워킹 프로토콜들을 사용하여 인근의 디바이스들을 함께 상호접속시키기 위해서 사용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설명되는 다양한 양상들은 임의의 통신 표준, 이를테면 WiFi, 또는 보다 일반적으로, 무선 프로토콜들의 IEEE 802.11 표준군의 임의의 멤버에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명세서에 설명되는 다양한 양상들은 서브-1GHz 대역들을 사용하는 IEEE 802.11ah 프로토콜의 부분으로서 사용될 수 있다.
일부 양상들에서, 서브-기가헤르츠 대역에서의 무선 신호들은 직교 주파수-분할 멀티플렉싱(OFDM)을 사용하여 802.11ah 프로토콜에 따라 송신될 수 있다. 802.11ah 프로토콜의 구현들은 센서들, 계량기(metering) 및 스마트 그리드(smart grid) 네트워크들에 대하여 사용될 수 있다. 유리하게, 802.11ah 프로토콜을 구현하는 특정 디바이스들의 양상들은 다른 무선 프로토콜들에 관하여 증가된 배터리 수명을 경험할 수 있고, 비교적 장거리, 예를 들어, 약 1 킬로미터 또는 그 초과에 걸쳐 무선 신호들을 송신하기 위해서 사용될 수 있다.
일부 구현들에서, WLAN은 무선 네트워크에 액세스하는 컴포넌트들인 다양한 디바이스들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2가지 타입들의 디바이스들: 액세스 포인트들("AP들") 및 클라이언트들(또한 스테이션들 또는 "STA들"이라 지칭됨)이 존재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AP는 WLAN에 대한 허브 또는 기지국으로서 역할을 하고, STA는 WLAN의 사용자로서 역할을 한다. 예를 들어, STA는 랩탑 컴퓨터, 개인용 디지털 보조기(PDA), 모바일 폰 등일 수 있다. 일례에서, STA는 인터넷 또는 다른 광역 네트워크들로의 일반적인 접속을 획득하기 위해서 WiFi(예를 들어, 802.11ah와 같은 IEEE 802.11 프로토콜) 컴플라이언트 무선 링크를 통해 AP에 접속한다. 일부 구현들에서, STA는 또한 AP로서 사용될 수 있다.
액세스 포인트("AP")는 또한 NodeB, 라디오 네트워크 제어기("RNC"), eNodeB, 기지국 제어기("BSC"), 베이스 트랜시버 스테이션("BTS"), 기지국("BS"), 트랜시버 기능부("TF"), 라디오 라우터, 라디오 트랜시버 또는 일부 다른 용어를 포함하거나, 이들로 구현되거나, 또는 이들로 알려져 있을 수 있다.
스테이션 "STA"는 또한 액세스 단말("AT"), 가입자 스테이션, 가입자 유닛, 이동국, 원격 스테이션, 원격 단말, 사용자 단말, 사용자 에이전트, 사용자 디바이스, 사용자 장비 또는 일부 다른 용어를 포함하거나, 이들로 구현되거나, 또는 이들로 알려져 있을 수 있다. 일부 구현들에서, 액세스 단말은 셀룰러 전화, 코드리스 전화, 세션 개시 프로토콜("SIP") 폰, 무선 로컬 루프("WLL") 스테이션, 개인용 디지털 보조기("PDA"), 무선 접속 능력을 가지는 핸드헬드 디바이스, 또는 무선 모뎀에 접속된 일부 다른 적합한 프로세싱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교시되는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양상들은 폰(예를 들어, 셀룰러 폰 또는 스마트폰), 컴퓨터(예를 들어, 랩탑), 휴대용 통신 디바이스, 헤드셋, 휴대용 컴퓨팅 디바이스(예를 들어, 개인용 데이터 보조기), 엔터테인먼트 디바이스(예를 들어, 음악 또는 비디오 디바이스 또는 위성 라디오), 게임 디바이스 또는 시스템, 글로벌 포지셔닝 시스템 디바이스, 또는 무선 매체를 통해 통신하도록 구성되는 임의의 다른 적합한 디바이스에 통합될 수 있다.
위에서 논의된 바와 같이, 본 명세서에 설명되는 디바이스들의 특정 디바이스는, 예를 들어, 802.11ah 표준을 구현할 수 있다. STA로서 사용되든, AP로서 사용되든, 또는 다른 디바이스로서 사용되든 간에, 이러한 디바이스들은 스마트 계량기(smart metering)에 대하여 또는 스마트 그리드 네트워크에서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디바이스들은 센서 애플리케이션들을 제공할 수 있거나 또는 홈 오토메이션(home automation)에서 사용될 수 있다. 디바이스들은, 대신에 또는 추가로, 예를 들어, 개인 건강관리를 위해서 건강관리 상황에서 사용될 수 있다. 이들은 또한, (예를 들어, 핫스팟들에 사용하기 위해서) 확장된-범위의 인터넷 접속성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서 또는 머신-투-머신 통신들을 구현하기 위해서 감시에 사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 개시의 양상들이 사용될 수 있는 무선 통신 시스템(100)의 일례를 도시한다. 무선 통신 시스템(100)은 무선 통신 시스템, 예를 들어, 802.11ah 시스템일 수 있다. 무선 통신 시스템(100)은, STA들(106)과 통신하는 AP(104)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프로세스들 및 방법들이 AP(104)와 STA들(106) 사이의 무선 통신 시스템(100)에서의 송신들을 위해서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OFDM/OFDMA 기법들에 따라 AP(104)와 STA들(106) 사이에서 신호들이 전송 및 수신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라면, 무선 통신 시스템(100)은 OFDM/OFDMA 시스템으로 지칭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CDMA 기법들에 따라 AP(104)와 STA들(106) 사이에서 신호들이 전송 및 수신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라면, 무선 통신 시스템(100)은 CDMA 시스템으로 지칭될 수 있다.
AP(104)로부터 STA(106)로의 송신을 용이하게 하는 통신 링크는 다운링크(DL)(108)로 지칭될 수 있고, STA(106)로부터 AP(104)로의 송신을 용이하게 하는 통신 링크는 업링크(UL)(110)로 지칭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다운링크(108)는 순방향 링크 또는 순방향 채널로 지칭될 수 있고, 업링크(110)는 역방향 링크 또는 역방향 채널로 지칭될 수 있다.
AP(104)는 기지국으로서 역할을 하고, 기본 서비스 영역(BSA: basic service area)(102)에서 무선 통신 커버리지를 제공할 수 있다. AP(104)와 연관되고 통신을 위해서 AP(104)를 사용하는 STA들(106)과 함께 AP(104)는 기본 서비스 세트(BSS: basic service set)로 지칭될 수 있다. 무선 통신 시스템(100)이 중심 AP(104)를 가지기 보다는 오히려 STA들(106) 사이의 피어-투-피어 네트워크로서 기능할 수 있다는 점이 주목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설명되는 AP(104)의 기능들은 대안적으로 하나 또는 둘 이상의 STA들(106)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도 2는 무선 통신 시스템(100) 내에서 사용될 수 있는 무선 디바이스(202)에서 이용될 수 있는 다양한 컴포넌트들을 도시한다. 무선 디바이스(202)는 본 명세서에 설명되는 다양한 방법들을 구현하도록 구성될 수 있는 디바이스의 일례이다. 무선 디바이스(202)는 예를 들어, AP(104) 또는 STA(106)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 디바이스(202)는 무선 디바이스(202)의 동작을 제어하는 프로세서(204)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204)는 또한 중앙 처리 유닛(CPU)으로 지칭될 수 있다. 판독 전용 메모리(ROM) 및 랜덤 액세스 메모리(RAM) 둘 다를 포함할 수 있는 메모리(206)는 프로세서(204)에 명령들 및 데이터를 제공한다. 메모리(206)의 일부는 또한 비휘발성 랜덤 액세스 메모리(NVRAM)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204)는 전형적으로, 메모리(206) 내에 저장되는 프로그램 명령들에 기초하여 논리 및 산술 연산들을 수행한다. 메모리(206) 내의 명령들은 본 명세서에 설명되는 방법들을 구현하도록 실행가능할 수 있다.
프로세서(204)는 하나 또는 둘 이상의 프로세서들로 구현되는 프로세싱 시스템의 컴포넌트이거나 또는 이를 포함할 수 있다. 하나 또는 둘 이상의 프로세서들은 범용 마이크로프로세서들, 마이크로제어기들,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들(DSP들), 필드 프로그램가능한 게이트 어레이(FPGA들), 프로그램가능한 로직 디바이스들(PLD들), 제어기들, 상태 머신들, 게이티드 로직(gated logic), 이산 하드웨어 컴포넌트들, 전용 하드웨어 유한 상태 머신들, 또는 정보의 계산들 또는 다른 조작들을 수행할 수 있는 임의의 다른 적합한 엔티티들의 임의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프로세싱 시스템은 또한 소프트웨어를 저장하기 위한 머신-판독 가능 매체들을 포함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는 소프트웨어로 지칭되든, 펌웨어로 지칭되든, 미들웨어로 지칭되든, 마이크로코드로 지칭되든, 하드웨어 기술 언어로 지칭되든, 또는 다르게 지칭되든 간에, 임의의 타입의 명령들을 의미하도록 넓게 해석될 것이다. 명령들은 (예를 들어, 소스 코드 포맷, 이진 코드 포맷, 실행가능한 코드 포맷 또는 코드의 임의의 다른 적합한 포맷으로)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명령들은, 하나 또는 둘 이상의 프로세서들에 의해 실행될 때, 프로세싱 시스템으로 하여금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다양한 기능들을 수행하게 한다.
무선 디바이스(202)는 또한 무선 디바이스(202)와 원격 위치 사이의 데이터의 송신 및 수신을 허용하기 위한 송신기(210) 및 수신기(212)를 포함할 수 있는 하우징(housing)(208)을 포함할 수 있다. 송신기(210) 및 수신기(212)는 트랜시버(214)로 결합될 수 있다. 안테나(216)는 하우징(208)에 부착되어 트랜시버(214)에 전기적으로 커플링(couple)될 수 있다. 무선 디바이스(202)는 또한 다수의 송신기들, 다수의 수신기들, 다수의 트랜시버들 및/또는 다수의 안테나들을 포함할 수 있다(미도시).
무선 디바이스(202)는 또한 트랜시버(214)에 의해 수신되는 신호들의 레벨을 검출 및 수량화하기 위해서 사용될 수 있는 신호 검출기(218)를 포함할 수 있다. 신호 검출기(218)는 이러한 신호들을 전체 에너지, 심볼당 서브캐리어당 에너지, 전력 스펙트럼 밀도 및 다른 신호들로서 검출할 수 있다. 무선 디바이스(202)는 또한 프로세싱 신호들에서 사용하기 위한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SP)(220)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 디바이스(202)는 일부 양상들에서 사용자 인터페이스(22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222)는 키패드, 마이크로폰, 스피커 및/또는 디스플레이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222)는 무선 디바이스(202)의 사용자에게 정보를 전달하고 그리고/또는 사용자로부터의 입력을 수신하는 임의의 엘리먼트 또는 컴포넌트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양상들에서, 무선 디바이스(202)는 제어기(22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어기(224)는 무선 디바이스(202)의 특정 동작들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기(224)는 프로세서(204), 송신기(210), 수신기(212), 신호 검출기(218) 및/또는 DSP(220)의 동작을 제어 또는 조정할 수 있다. 일부 양상들에서, 제어기(224)는 아래에서 추가로 상세하게 설명되는 바와 같이, 무선 디바이스(202)에 의해 전송 및 수신되는 데이터의 패킷들의 포맷을 조정하도록 구성된다.
무선 디바이스(202)의 다양한 컴포넌트들은 버스 시스템(226)에 의해 함께 커플링될 수 있다. 버스 시스템(226)은, 데이터 버스를 포함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예를 들어, 데이터 버스와 더불어, 전력 버스, 제어 신호 버스 및 상태 신호 버스를 포함할 수 있다.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들은 무선 디바이스(202)의 컴포넌트들이 함께 커플링될 수 있거나 또는 일부 다른 메커니즘을 사용하여 서로 입력들을 수신 또는 제공할 수 있다는 것을 인식할 것이다.
다수의 개별 컴포넌트들이 도 2에 도시되지만,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들은 컴포넌트들 중 하나 또는 둘 이상이 결합되거나 또는 공통으로 구현될 수 있다는 것을 인지할 것이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204)는 프로세서(204)에 관하여 위에서 설명된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서 뿐만 아니라, DSP(220)에 관하여 위에서 설명된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도 2에 도시된 컴포넌트들 각각은 복수의 개별 엘리먼트들을 사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위에서 논의된 바와 같이, 무선 디바이스(202)는 AP(104) 또는 STA(106)를 포함할 수 있고, 통신들을 송신 및/또는 수신하기 위해서 사용될 수 있다. 도 3은 무선 통신들을 송신하기 위해서 무선 디바이스(202)에서 이용될 수 있는 다양한 컴포넌트들을 도시한다. 도 3에 도시된 컴포넌트들은, 예를 들어, OFDM 통신들을 송신하기 위해서 사용될 수 있다.
무선 디바이스(202)는 송신을 위해서 비트들을 변조하도록 구성되는 변조기(302)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변조기(302)는, 예를 들어, 성상도에 따라 복수의 심볼들에 비트들을 맵핑함으로써, 프로세서(204) 또는 사용자 인터페이스(222)로부터 수신된 비트들로부터 복수의 심볼들을 결정할 수 있다. 일부 양상들에서, 비트들은 코드워드들에서 수신된다. 일 양상에서, 변조기(302)는 복수의 상이한 모드들, 예를 들어, 16-QAM 모드, 64-QAM 모드, 이진 위상-시프트 키잉(BPSK) 모드, 직교 위상-시프트 키잉(QPSK) 모드 등으로 동작할 수 있는 QAM(quadrature amplitude modulation) 변조기를 포함한다.
무선 디바이스(202)는 심볼들 또는 그렇지 않으면 변조기(302)로부터의 변조된 비트들을 시간 도메인으로 변환하도록 구성되는 변환 모듈(304)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3에서, 변환 모듈(304)은 역 고속 푸리에 변환(IFFT: inverse fast Fourier transform) 모듈에 의해 구현되는 것으로 도시된다. IFFT는 복수의 모드들로 구성될 수 있고, 각각의 모드에서 심볼들을 변환하기 위해서 상이한 수의 포인트들을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IFFT는 64개의 포인트들이 64개의 톤들 상에서 송신되는 심볼들을 시간 도메인으로 변환하기 위해서 사용되는 모드 및 128개의 포인트들이 128개의 톤들 상에서 송신되는 심볼들을 시간 도메인으로 변환하기 위해서 사용되는 모드를 가질 수 있다. 변환 모듈(304)에 의해 사용되는 포인트들의 수는 변환 모듈(304)의 크기로 지칭될 수 있다.
도 3에서, 변조기(302) 및 변환 모듈(304)은 DSP(220)에서 구현되는 것으로서 도시된다. 그러나, 일부 양상들에서, 변조기(302) 및 변환 모듈(304) 중 하나 또는 둘 모두는 무선 디바이스(202)의 프로세서(204) 또는 다른 엘리먼트에서 구현된다.
무선 디바이스(202)는 변환 모듈의 출력을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도록 구성되는 디지털 대 아날로그 컨버터(30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변환 모듈(304)의 시간 도메인 출력은 디지털 대 아날로그 컨버터(306)에 의해 기저대역 OFDM 신호로 변환될 수 있다. 디지털 대 아날로그 컨버터(306)는 무선 디바이스(202)의 프로세서(204) 또는 다른 엘리먼트에서 구현될 수 있다. 일부 양상들에서, 디지털 대 아날로그 컨버터(306)는 트랜시버(214) 또는 데이터 송신 프로세서에서 구현된다.
아날로그 신호는 송신기(210)에 의해 무선으로 송신될 수 있다. 아날로그 신호는, 예를 들어, 중간 또는 캐리어 주파수로 상향변환됨으로써, 또는 필터링됨으로써 송신기(210)에 의해 송신되기 전에 추가로 프로세싱될 수 있다. 일부 양상들에서, 송신기(210)는 아날로그 신호에 기초하여 무선 신호에서 하나 또는 둘 이상의 패킷들을 송신하도록 구성된다. 패킷들은 프로세서(204) 및/또는 DSP(220)를 사용하여, 예를 들어, 변조기(302) 및 변환 모듈(304)을 사용하여 생성될 수 있다. 위의 기법들에 대한 그리고 위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수신 및 프로세싱될 수 있는 패킷들에 대한 세부사항들이 아래에서 추가로 상세하게 설명된다.
도 4는 무선 통신들을 수신하기 위해서 무선 디바이스(202)에서 이용될 수 있는 다양한 컴포넌트들을 도시한다. 도 4에 도시된 컴포넌트들은, 예를 들어, OFDM 통신들을 수신하기 위해서 사용될 수 있다.
무선 디바이스(202)는 수신기(212)에 의해 수신된 무선 신호를 이의 디지털 표시로 변환하도록 구성되는 아날로그 대 디지털 컨버터(402)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 신호는, 예를 들어, 중간 또는 기저대역 주파수로 하향변환됨으로써, 또는 필터링됨으로써 디지털 대 아날로그 컨버터(402)에 의해 변환되기 전에 프로세싱될 수 있다. 아날로그 대 디지털 컨버터(402)는 무선 디바이스(202)의 프로세서(204) 또는 다른 엘리먼트에서 구현될 수 있다. 일부 양상들에서, 아날로그 대 디지털 컨버터(402)는 트랜시버(214) 또는 데이터 수신 프로세서에서 구현된다.
무선 디바이스(202)는 무선 신호의 표시를 주파수 스펙트럼으로 변환하도록 구성되는 변환 모듈(404)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4에서, 변환 모듈(404)은 고속 푸리에 변환(FFT) 모듈에 의해 구현되는 것으로 도시된다. FFT는 복수의 모드들로 구성될 수 있고, 각각의 모드에서 신호를 변환하기 위해서 상이한 수의 포인트들을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FFT는 64개의 포인트들이 64개의 톤들 상에서 수신되는 신호를 주파수 스펙트럼으로 변환하기 위해서 사용되는 모드 및 128개의 포인트들이 128개의 톤들 상에서 수신되는 신호를 주파수 스펙트럼으로 변환하기 위해서 사용되는 모드를 가질 수 있다. 변환 모듈(404)에 의해 사용되는 포인트들의 수는 변환 모듈(304)의 크기로 지칭될 수 있다. 일부 양상들에서, 변환 모듈은 그것이 사용하는 포인트들 각각에 대한 심볼을 식별할 수 있다.
무선 디바이스(202)는 데이터를 주파수 스펙트럼에서 복조하도록 구성되는 복조기(40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조기(406)는, 예를 들어, 성상도에서의 심볼에 대한 비트들의 맵핑을 반전함으로써, 변환 모듈(404)에 의해 출력된 심볼들로부터 복수의 비트들을 결정할 수 있다. 비트들은 프로세서(204)에 의해 프로세싱 또는 평가될 수 있거나 또는 정보를 사용자 인터페이스(222)로 디스플레이 또는 그렇지 않으면 출력하기 위해서 사용될 수 있다. 일부 양상들에서, 비트들은 코드워드들에 대응한다. 일 양상에서, 복조기(406)는 복수의 상이한 모드들, 예를 들어, 16-QAM 모드, 64-QAM 모드, 이진 위상-시프트 키잉(BPSK) 모드, 직교 위상-시프트 키잉(QPSK) 모드 등으로 동작할 수 있는 QAM(quadrature amplitude modulation) 복조기를 포함한다.
도 4에서, 변환 모듈(404) 및 복조기(406)는 DSP(220)에서 구현되는 것으로 도시된다. 그러나, 일부 양상들에서, 변환 모듈(404) 및 복조기(406) 중 하나 또는 둘 모두는 무선 디바이스(202)의 프로세서(204) 또는 다른 엘리먼트에서 구현된다.
일부 양상들에서, 수신기(212)에서 수신된 무선 신호는 하나 또는 둘 이상의 패킷들을 포함한다. 패킷들은, 프로세서(204) 및/또는 DSP(220)를 사용하여, 예를 들어, 변환 모듈(404) 및 복조기(406)를 사용하여, 평가되거나 또는 그렇지 않으면 프로세싱될 수 있다. 일부 양상들에서, 패킷들 각각의 듀레이션 또는 패킷들의 다른 속성들은 이러한 프로세싱 또는 평가 동안 결정될 수 있다. 위의 기법들에 대한 그리고 위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수신 및 프로세싱될 수 있는 패킷들에 대한 세부사항들이 아래에서 추가로 상세하게 설명된다.
일부 양상들에서, 무선 디바이스(202)는 다른 무선 디바이스들(예를 들어, 다른 무선 디바이스들(202))과 장거리(~1 km) 상에서 데이터를 송신 및 수신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장거리 상에서 수신되는 데이터 패킷들은 거리가 증가함에 따라 신호의 감쇠에 기인하여 상당한 간섭을 받는다. 따라서, 수신기에서의 신호 대 잡음비(SNR)는 극적으로 감소될 수 있다. 수신기에서 SNR을 상승시키기 위한 한 방식은 데이터 패킷이 송신되게 하는 총 전력을 증가시키는 것일 것이고, 따라서 수신기에서 신호 강도를 증가시킬 것이다. 그러나, 무선 디바이스(202)는 제한된 전력 공급장치(예를 들어, 배터리)를 가질 수 있고, 따라서 SNR을 상승시키는 이러한 방법은 실행가능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실질적으로 데이터 패킷들을 송신하기 위한 송신 전력에 영향을 미치지 않으면서, 데이터 패킷들이 전송되는 범위를 확장하기 위해서, 데이터 패킷들 그 자체는, 낮은 SNR을 가짐에도 불구하고 데이터 패킷에서 데이터를 정확하게 수신하기 위한 수신기의 능력을 증가시키기 위해서 변경될 수 있다.
일 양상에서, 데이터 패킷의 하나 또는 둘 이상의 부분들은, 이를테면, 시간적으로 그리고/또는 공간적으로(예를 들어, 몇몇 주파수들에 걸쳐) 반복될 수 있다. 수신기는 데이터 패킷의 부분들의 반복된 카피(copy)들을 수집하고, 데이터 패킷의 부분들 각각의 신호 레벨을 증가시키기 위해서 구성적 방식으로 상기 카피들을 결합할 수 있고, 따라서 본질적으로 데이터 패킷의 수신된 SNR을 상승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데이터 패킷의 부분을 K회 반복하는 것은 K배 만큼 데이터 패킷의 부분의 SNR을 잠재적으로 증가시킬 수 있다.
다른 양상에서, 데이터 패킷의 하나 또는 둘 이상의 부분들은 전체 이용가능한 주파수 범위에 대하여 데이터 패킷을 송신하기 위해서 사용될 바와 같이 동일한 총 송신 전력을 사용하여 데이터를 송신하기 위해서 전체보다 적은 이용가능한 주파수 범위(예를 들어, 송신에 이용가능한 톤들의 일부분) 상에서 송신될 수 있다. 따라서, 데이터 패킷의 각각의 부분은 더 작은 주파수 범위 상에서 더 높은 전력(총 송신 전력의 더 큰 비율)으로 송신되고, 따라서 더 작은 주파수 범위 상에서 패킷의 수신된 부분들의 신호 강도를 증가시킨다. 따라서, 더 작은 주파수 범위 상에서 데이터 패킷의 수신된 부분들의 SNR이 증가된다.
다른 양상에서, 위의 기법들은, 데이터 패킷의 일부 부분들을 반복하고 더 작은 주파수 범위 상에서 일부 부분들을 송신하는 것과 같이 결합될 수 있다.
위의 기법들에 대한 그리고 위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수신 및 프로세싱될 수 있는 패킷들에 대한 세부사항들이 아래에서 추가로 상세하게 설명된다.
도 5는 패킷(500)의 예를 도시한다. 패킷(500)은 무선 디바이스(202)에 사용하기 위한 물리적(PHY) 계층 패킷 또는 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패킷(500)은 무선 디바이스(202)와 다른 무선 디바이스들 사이의 표준 통신들에 대하여 사용될 수 있다.
도시된 양상에서, 패킷(500)은 프리앰블(510) 및 페이로드(520)를 포함한다. 프리앰블(510)은 트레이닝 필드 및 신호(SIG) 필드(516)를 포함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양상에서, 트레이닝 필드는 긴 트레이닝 필드(LTF: long training field)(514)에 선행하는 짧은 트레이닝 필드(STF: short training field)(512)를 포함한다. STF(512)는 패킷(500)의 시작을 검출하기 위해서 사용될 수 있고, LTF(514)는, 예를 들어, 채널 추정을 위해서 사용될 수 있다. 일부 양상들에서, STF는 복수의 반복된 트레이닝 시퀀스들을 포함한다. 일부 양상들에서, LTF는 복수의 반복된 트레이닝 시퀀스들을 포함한다.
프리앰블(510)은 SIG 필드(516)를 더 포함한다. SIG 필드(516)는 패킷(500)의 듀레이션 뿐만 아니라 패킷(500)의 나머지 부분의 대역폭과 같은 다른 파라미터들을 표시할 수 있다. 일부 양상들에서, SIG 필드(516)는 시-공간 블록 코딩(STBC: space-time block coding) 서브필드, 변조 및 코딩 스킴(MCS: modulation and coding scheme) 서브필드 및/또는 사이클릭 리던던시 체크(CRC) 서브필드를 포함한다. SIG 필드(516)는 페이로드(520)에 데이터의 특성들을 포함할 수 있다.
도 6은 패킷(600)의 예를 도시한다. 패킷(600)은 무선 디바이스(202)에 사용하기 위한 물리적(PHY) 계층 패킷 또는 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고, 여기서 패킷(600)의 특정 필드들은 장거리 통신들에서 사용되기 위해서 반복된다. 패킷(500)과 유사하게, 패킷(600)은 프리앰블(610) 및 페이로드(620)를 포함할 수 있다. 프리앰블(610)은 트레이닝 필드 및 신호(SIG) 필드(616)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패킷(500)과 같이, 트레이닝 필드는 긴 트레이닝 필드(LTF)(614)에 선행하여 짧은 트레이닝 필드(STF)(612)를 포함할 수 있다.
위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장거리 통신들을 돕기 위해서, 패킷(600)의 특정 부분들이 임의의 횟수 반복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STF 필드(612), LTF 필드(614), SIG 필드(616) 및 페이로드(620) 각각은 2회 반복된다. 필드들 각각이 반복될 필요가 없고, 다른 필드들을 반복하지 않으면서 필드들의 임의의 조합이 반복될 수 있다는 점(예를 들어, 오직 STF 필드(612) 및 LTF 필드(614)만이 반복될 수 있음)이 주목되어야 한다. 또한, 반복되는 필드들 각각이 다른 필드와 동일한 횟수로 반복될 필요가 없다는 점이 주목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STF 필드(612)는 4회 반복될 수 있는 반면, SIG 필드(616)는 오직 2회 반복된다. 또한, 오직 주어진 필드의 부분들만이 반복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오직 데이터의 서브세트만이 관련되는 경우처럼, 오직 SIG 필드(616)의 서브세트만이 반복될 수 있다. 또한, 필드들의 임의의 것 또는 필드들의 부분들이 반복되는 횟수는 패킷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패킷(600)에서의 필드들의 반복은 무선 디바이스(202)에 의해 전송될 데이터의 프로세싱에서 몇몇 단계들의 임의의 단계에서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과 관련하여 위에서 논의된 바와 같이, 무선 디바이스(202)에 의해 송신될 비트들은 변조기(302)에 의해 변조되어 심볼들 또는 그렇지 않으면 변조된 비트들을 형성한다. 그 다음, 심볼들 또는 그렇지 않으면 변조된 비트들은, 이를테면, 변환 모듈(304)에 의해 시간 도메인, 이를테면, OFDM 심볼로 변환된다. 따라서, 일 양상에서, 필드들의 반복은 비트 레벨에서 수행될 수 있는데, 이는 주어진 필드를 구성하는 비트들이 변조기(302)를 통과하기 전에 반복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다른 양상에서, 주어진 필드를 구성하는 비트들은 먼저, 변조기(302)에 의해 변조됨으로써 심볼들을 형성할 수 있고, 심볼들 그 자체가 반복될 수 있다. 다른 양상에서, 주어진 필드를 구성하는 비트들은 변조되어 심볼들을 형성할 수 있고, 심볼들은 시간 도메인으로 변환될 수 있으며, 변환된 출력은 그 다음 반복될 수 있다. 유사한 양상에서, 변환된 출력, 이를테면, OFDM 심볼이 반복될 수 있지만, 정확한 카피들을 반복하는 대신에, 각각의 카피는 회전된 OFDM 심볼일 수 있거나, 또는 신호에서의 톤들의 순서는 각각의 카피에 대하여 변경될 수 있다. 따라서, 당업자는 패킷(600)에서의 필드들의 반복이 패킷의 프로세싱에서 임의의 적절한 단계에서 발생할 수 있다는 것을 인지할 것이다.
일 양상에서, STF 필드(612) 및/또는 LTF 필드(614)가 반복된다. 일 양상에서, STF 필드(612) 및 LTF 필드(614)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모두를 반복할 때, 동일한 데이터는 패킷(600)에서 다수 회 카피된다. 따라서, 그 각각의 필드 타입 카피들과 동일한 데이터를 각각 가지는 다수의 STF 필드들(612) 및/또는 LTF 필드들(614)이 존재할 수 있다. 다른 양상에서, 상이한 시퀀스들이 STF 필드(612) 및 LTF 필드(614)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모두의 각각의 카피에서 사용된다. 상이한 시퀀스들을 사용하는 이러한 카피들이 결합될 때, 이들은 증가된 프로세싱 이득을 가지는 긴 시퀀스를 형성할 수 있고, 이는 본질적으로 SNR을 상승시킨다. 예를 들어, STF 필드(612)가 상이한 시퀀스들을 이용하여 K 회 반복되면, 결과적인 긴 시퀀스는 단일 STF 필드(612)보다 K 배의 프로세싱 이득 및 이에 따른 K 배의 SNR을 가질 수 있다.
일 양상에서, SIG 필드(616)는 수신된 신호의 SNR을 상승시키기 위해서 오직 SIG 필드(616)의 일부만이 또는 그 전체가 반복될 수 있다. 다른 양상에서, SIG 필드(616)는 SNR을 상승시키기 위해서 더 신뢰성 있는 변조, 확산, 코딩 및/또는 반복 스킴을 사용하여 재설계될 수 있다. 다른 양상에서, 페이로드(620)는 SNR을 상승시키기 위해서 반복될 수 있다. 또 다른 양상에서, 페이로드(620)의 코딩 레이트는 SNR을 상승시키기 위해서 감소될 수 있다.
위에서 논의된 바와 같이, 패킷(600)의 부분들은 시간 도메인 및/또는 주파수 도메인에서 반복될 수 있다. 도메인들 각각에서의 반복이 도 7 및 도 8에 관하여 아래에서 설명된다.
도 7은 시간 도메인에서 패킷(700)의 필드들의 반복을 도시한다. 시간 도메인에서의 반복은 상이한 시간들에서 동일한 주파수 범위 또는 범위들 상에서의 필드들의 송신을 요구한다. 패킷(700)은 패킷(600)과 유사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동일한 주파수 범위를 차지하면서 패킷(700)의 부분들은 시간에 따라 반복된다. 일 양상에서, 시간 도메인에서의 반복은 패킷(700)의 임의의 필드 타입에 대하여 사용될 수 있다.
도 8은 주파수 도메인에서 패킷의 필드들의 반복을 도시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데이터 패킷들은 시간 및 상이한 주파수들 둘 모두 상에서 송신될 수 있다. 시간 도메인에서, 데이터의 송신은 셋팅된 시간 세그먼트들(804)로 분리되고, 이는 OFDM 심볼들로 지칭될 수 있다. 주어진 시간 세그먼트(804)에서, 데이터의 송신은 주파수 범위들(802)의 블록들로 분리되고, 이는 톤들로 지칭될 수 있다. 따라서, 시간 세그먼트(804)는 복수의 주파수 범위들(802)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양상에서, 주파수 도메인에서의 패킷의 부분들의 반복은 다음과 같이 수행된다. 주어진 시간 세그먼트(804)에서 이용가능한 주파수 범위들(802)은 K개의 그룹들로 분할되고, K는 패킷의 일부가 반복될 횟수를 나타낸다. 주파수 범위들(802)의 그룹들은 인접할 수 있거나, 또는 그룹들은 서로 인터리빙될 수 있다. 또한, 그 다음, 반복될 패킷의 부분의 카피는 K개의 그룹들 각각에 배치된다. 그 다음, 수신기는 반복된 부분의 K개의 카피들 또는 패킷의 부분들을 수신하고, SNR을 상승시키기 위해서 이들을 구성적으로 결합할 수 있다. 일부 양상들에서, 동일한 데이터를 송신하기 위해서 다수의 주파수 범위들(802)이 사용되기 때문에, 패킷에서 전송될 고유한 데이터의 양의 대략 1/K와 동일한 부분만이 주어진 시간 세그먼트(804)에서 송신된다. 반복 없이, 전체 패킷은 단일 시간 세그먼트(804)에서 전송될 수 있다. 따라서, 데이터의 전체 패킷을 송신하기 위해서 K개의 시간 세그먼트들(804)이 이용될 수 있다. 일 양상에서, 주파수 도메인에서의 반복은 패킷의 임의의 필드 타입에 대하여 사용될 수 있다. 다른 양상에서, 주파수 도메인에서의 반복은 SIG 필드들 및/또는 페이로드로 제한될 수 있다.
위에서 논의된 바와 같이, 패킷의 부분들은 수신된 신호의 SNR을 상승시키기 위해서 시간 도메인 및/또는 주파수 도메인에서 반복될 수 있다. 송신 전력을 일정하게 유지하면서 패킷의 부분들의 반복을 증가시키는 것은 수신된 신호의 SNR을 증가시킬 수 있다. SNR을 상승시키기 위해서 사용되는 다른 기법들은 전송될 패킷을 변조하기 위한 상이한 변조 기법들을 사용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 양상에서, 조정될 수 있는 이러한 변조의 하나의 파라미터는 패킷에 대한 변조의 레이트이다. 예를 들어, QAM 변조에서, 64-QAM, 32-QAM, QPSK 및 BPSK와 같이 상이한 레이트들이 사용될 수 있다. 64-QAM 변조 스킴은 32-QAM 변조 스킴보다 높은 레이트를 가지는데, 이는 더 많은 비트들이 심볼당 송신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상이한 레이트들의 심볼들이 동일한 전력 레벨에서 송신되면, 변조 레이트가 높아질수록, 심볼에서 전송된 비트들 사이에서 전력이 분할되기 때문에 수신된 패킷의 부분들에 관하여 SNR이 더 낮아진다. 따라서, 송신 전력을 일정하게 유지하면서 변조 레이트를 감소시키는 것은 수신된 신호의 SNR을 증가시킬 수 있다.
일 양상에서, 무선 디바이스(202)는 무선 디바이스(202)가 패킷을 송신하는 통신 채널의 적어도 하나의 특성(예를 들어, SNR, 캐리어 대 간섭(C/I) 비, 신호 대 간섭 플러스 잡음비(SINR) 등)에 기초하여 패킷의 부분이 반복되는 횟수를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디바이스(202)는 무선 디바이스(202)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는 다른 디바이스에서 채널 특성에 관한 정보를 결정할 수 있다. 일 양상에서, 그 채널 특성에 대한 정보가, 신호가 수신기에서 적절히 디코딩될 수 없음(예를 들어, SNR이 매우 낮음)을 표시하면, 송신기는 패킷의 부분이 반복되는 횟수를 증가시키고 그리고/또는 패킷의 부분이 변조되는 레이트를 감소시킬 수 있다. 다른 양상에서, 그 채널 특성에 대한 정보가, 신호가 수신기에서 적절히 디코딩될 수 있음(예를 들어, SNR이 충분히 높음)을 표시할 뿐만 아니라, 신호가 디코딩하기 위해서 필요한 것보다 더 강함을 표시하면, 송신기는 패킷의 부분이 반복되는 횟수를 감소시키고 그리고/또는 패킷의 부분이 변조되는 레이트를 증가시켜 통신 자원들(예를 들어, 시간 세그먼트들, 주파수 범위들 등)의 동일한 양을 사용하여 더 많은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도록 한다. 일 양상에서, 무선 디바이스(202)는 패킷에서 데이터가 반복되는 횟수를 조정하기 전에 데이터 패킷의 변조 레이트를 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디바이스(202)는 필요에 따라 레이트 대 최저 지원 레이트(supported rate)(예를 들어, BPSK)를 조정할 수 있고, 신호가 여전히 적절히 디코딩될 수 없으면, 단지 무선 디바이스(202)는 패킷에서 데이터가 반복되는 횟수를 조정할 수 있다. 유사하게, 신호 품질이 향상됨에 따라, 데이터의 반복은 레이트가 증가되기 전에 감소될 수 있다.
일 양상에서, 무선 디바이스(202)는 디바이스 ― 이 디바이스로 데이터의 패킷이 송신되고 있음 ― 로부터의 채널 특성들에 대한 정보를 수신함으로써 채널 특성들에 대한 정보를 결정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무선 디바이스(202)는 무선 디바이스(202) 및/또는 디바이스 ― 이 디바이스로 데이터의 패킷이 송신되고 있음 ― 가 통신하는 네트워크 컴포넌트와 같은 다른 소스로부터 이러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도 9는 패킷의 주어진 부분을 몇 회 반복할지를 결정하기 위한 방법(900)의 일 양상을 도시한다. 905에서, 무선 디바이스(202)는 무선 디바이스(202)가 데이터 패킷을 송신할 통신 채널의 채널 특성을 식별하는 정보를 결정할 수 있다. 또한, 910에서, 무선 디바이스(202)는, 결정된 정보가, 데이터 패킷의 부분들을 현재 횟수인 K(예를 들어, 초기에 K = 0)회 반복하면서 현재 레이트(예를 들어, 초기에 64-QAM)로 변조되면 데이터 패킷을 수신하는 수신 디바이스(예를 들어, 다른 무선 디바이스(202))에 의해 데이터 패킷이 적절히 디코딩될 수 있음을 표시하는지의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수신 디바이스는 무선 디바이스(202)에 이러한 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무선 디바이스(202)가, 데이터 패킷이 적절히 디코딩될 수 있다고 결정하면, 방법(900)은 915로 계속 진행할 수 있다. 915에서, 무선 디바이스(202)는 셋팅된 레이트 및 반복 스킴을 사용하여 데이터 패킷을 수신 디바이스에 송신한다. 무선 디바이스(202)가, 데이터 패킷이 적절히 디코딩할 수 없다고 결정하면, 방법(900)은 920으로 계속 진행할 수 있다.
920에서, 무선 디바이스(202)는 현재 레이트가 패킷의 변조를 위한 최소 레이트(예를 들어, BPSK)인지의 여부를 결정한다. 920에서 무선 디바이스(202)가, 현재 레이트가 최소 레이트가 아니라고 결정하면, 무선 디바이스(202)는 925에서 데이터 패킷에 대한 변조 레이트를 낮춘다. 그 다음, 방법(900)은 905로 리턴한다.
920에서, 무선 디바이스(202)가, 현재 레이트가 최소 레이트라고 결정하면, 방법(900)은 930으로 계속 진행한다. 930에서, 무선 디바이스(202)는 (예를 들어, 주파수 및/또는 시간에서) 패킷의 적어도 일부를 반복하는 횟수인 K의 값을 증가시킨다. 그 다음, 방법은 905로 리턴한다.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방법(900)에 대하여 다양한 블록들 또는 단계들이 본 발명의 사상 또는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추가 또는 생략될 수 있다는 것을 인지하여야 한다. 또한, 블록들 또는 단계들이 반드시 도 9에 도시되고 위에서 설명된 바와 동일한 순서로 이루어져야 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무선 디바이스(202)는 데이터 패킷을 전송하는 레이트를 조정하기 전에 반복 스킴을 조정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무선 디바이스(202)는 패킷들을 전송하는 레이트를 조정하지 않고 반복 스킴을 조정할 수 있다.
다른 양상에서, 위에서 논의된 바와 같이, 무선 디바이스(202)는 전체 이용가능한 주파수 범위에 대하여 데이터 패킷을 송신하기 위해서 사용될 바와 같이 동일한 총 송신 전력을 사용하여 데이터를 송신하기 위해서 전체보다 적은 이용가능한 주파수 범위(예를 들어, 송신에 이용가능한 톤들의 일부분) 상에서 데이터 패킷의 하나 또는 둘 이상의 부분들을 송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8을 다시 참조하면, 주어진 시간 세그먼트(804)에서, 오직 주파수 범위들(802)의 부분만이 패킷을 송신하기 위해서 사용될 수 있다. 그러나, 시간 세그먼트(804)를 송신하기 위해서 사용되는 전력의 양은 시간 세그먼트(804)에서 모든 주파수 범위들(802)에 걸쳐 송신하기 위해서 사용되는 전력과 동일할 수 있다. 따라서, 시간 세그먼트(804)의 주파수 범위들(802)의 1/K가 사용되면, 각각의 주파수 범위(802)는 모든 주파수 범위들(802)에 걸쳐 송신하는 것과 비교하여 그만큼 많은 전력으로 K회 할당될 수 있다. 이것은 잠재적으로 K 배만큼, 패킷의 각각의 수신된 부분에 대한 신호 강도를 증가시키고, SNR을 상승시킬 것이다. 그러나, 이것은 또한, 각각의 시간 세그먼트(804)에서 더 적은 데이터가 전송됨에 따라 전체 패킷을 송신하는데 필요한 시간 세그먼트들의 수를 (예를 들어, K 배만큼) 증가시킬 수 있다.
일 양상에서, 시간 세그먼트(804)에서 사용되지 않은 주파수 범위들(802)은 사용되지 않은 채로 유지될 수 있다. 다른 양상에서, 시간 세그먼트(804)에서 사용되지 않은 주파수 범위들(802)은, 다른 무선 디바이스들에 의해, 이를테면, OFDMA 및 중앙집중화된 자원 할당 디바이스(예를 들어, 액세스 포인트)를 통해 사용을 위해서 할당될 수 있다.
반복 스킴에 관하여 위에서 논의된 바와 유사하게, 시간 세그먼트(804)에서 패킷의 송신을 위해서 사용되는 주파수 범위들(802)은 무선 디바이스(202)가 패킷을 송신하는 통신 채널의 적어도 하나의 특성(예를 들어, SNR, 캐리어 대 간섭(C/I) 비, 신호 대 간섭 플러스 잡음 비(SINR) 등)에 기초하여 조정될 수 있다. 일 양상에서, 무선 디바이스(202)는 시간 세그먼트(804)에서 패킷의 송신을 위해서 사용되는 주파수 범위들(802)을 조정하기 전에 데이터 패킷의 변조 레이트를 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디바이스(202)는 필요에 따라 레이트 대 최저 지원 레이트(예를 들어, BPSK)를 조정할 수 있고, 신호가 여전히 적절히 디코딩될 수 없으면, 단지 무선 디바이스(202)는 시간 세그먼트(804)에서 패킷의 송신을 위해서 사용되는 주파수 범위들(802)을 감소시킬 수 있다. 유사하게, 신호 품질이 향상됨에 따라, 시간 세그먼트(804)에서 패킷의 송신을 위해서 사용되는 주파수 범위들(802)은 레이트가 증가되기 전에 증가될 수 있다.
도 10은 데이터 패킷을 송신하기 위해서 시간 세그먼트(804)의 주파수 범위들(802)의 어느 부분을 사용할지를 결정하기 위한 방법(1000)의 일 양상을 도시한다. 1005에서, 무선 디바이스(202)는 무선 디바이스(202)가 데이터 패킷을 송신할 통신 채널의 채널 특성을 식별하는 정보를 결정할 수 있다. 또한, 1010에서, 무선 디바이스(202)는, 결정된 정보가, 시간 세그먼트(804)에서 패킷의 송신을 위해서 사용되는 주파수 범위들(802)의 현재 부분(예를 들어, 초기에 1/K) 상에서 패킷을 전송하면서 현재 레이트(예를 들어, 초기에 64-QAM)로 변조되면 데이터 패킷을 수신하는 수신 디바이스(예를 들어, 다른 무선 디바이스(202))에 의해 데이터 패킷이 적절히 디코딩될 수 있음을 표시하는지의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수신 디바이스는 무선 디바이스(202)에 이러한 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무선 디바이스(202)가, 데이터 패킷이 적절히 디코딩될 수 있다고 결정하면, 방법(1000)은 1015로 계속 진행할 수 있다. 1015에서, 무선 디바이스(202)는 셋팅된 레이트 및 주파수 범위들(802)의 일부분을 사용하여 데이터 패킷을 수신 디바이스에 송신한다. 무선 디바이스(202)가, 데이터 패킷이 적절히 디코딩할 수 없다고 결정하면, 방법(1000)은 1020으로 계속 진행할 수 있다.
1020에서, 무선 디바이스(202)는 현재 레이트가 패킷의 변조를 위한 최소 레이트(예를 들어, BPSK)인지의 여부를 결정한다. 1020에서, 무선 디바이스(202)가, 현재 레이트가 최소 레이트가 아니라고 결정하면, 무선 디바이스(202)는 1025에서 데이터 패킷에 대한 변조 레이트를 낮춘다. 그 다음, 방법(1000)은 1005로 리턴한다.
1020에서, 무선 디바이스(202)가, 현재 레이트가 최소 레이트라고 결정하면, 방법(1000)은 1030으로 계속 진행한다. 1030에서, 무선 디바이스(202)는 K의 값을 증가시키고, 이에 의해 시간 세그먼트(804)에서 패킷의 송신을 위해서 사용되는 주파수 범위들(802)의 일부분 1/K를 감소시킨다. 그 다음, 방법은 1005로 리턴한다.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방법(1000)에 대하여 다양한 블록들 또는 단계들이 본 발명의 사상 또는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추가 또는 생략될 수 있다는 것을 인지하여야 한다. 또한, 블록들 또는 단계들이 반드시 도 10에 도시되고 위에서 설명된 바와 동일한 순서로 이루어져야 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무선 디바이스(202)는 데이터 패킷을 전송하는 레이트를 조정하기 전에 시간 세그먼트(804)에서 패킷의 송신을 위해서 사용되는 주파수 범위들(802)의 일부분 1/K를 조정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무선 디바이스(202)는 패킷들을 전송하는 레이트를 조정하지 않고 시간 세그먼트(804)에서 패킷의 송신을 위해서 사용되는 주파수 범위들(802)의 일부분 1/K를 조정할 수 있다.
일 양상에서, 무선 디바이스(202)는 상이한 모드들, 이를테면, 정상 모드 및 낮은 레이트 모드에서 동작할 수 있다. 정상 모드에서, 무선 디바이스(202)는 위에서 논의된 바와 같이 송신할 때 패킷들의 부분들을 반복하지 않을 수 있다. 낮은 레이트 모드에서, 무선 디바이스(202)는 패킷들의 부분들을 반복할 수 있다. 무선 디바이스(202)는, 예를 들어, 패킷의 프리앰블을 변경함으로써, 패킷을 송신하기 위해서 사용되고 있는 모드를 패킷에서 표시할 수 있다. 일 양상에서, 낮은 레이트를 사용하여 송신되는 패킷은 정상 레이트로 송신되는 패킷보다 더 긴(예를 들어, 4 배 더 긴) 프리앰블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패킷의 수신기는 프리앰블에 기초하여 모드를 결정할 수 있다.
일 양상에서, (어떤 방식으로, 그리고 어느 부분들이 반복되는지를 포함하는) 반복의 수량 및/또는 송신을 위해서 사용되는 주파수 범위들(802)의 일부분은, 이를테면, 제조 시간에서, 초기 통신 시간에서 또는 주기적으로 업데이트되어, 디바이스들 사이에서 고정된다. 이러한 상황들에서, 송신 디바이스 및 수신 디바이스는 하드 코딩되는 것과 같이 필요에 따라 패킷들을 송신하기 위해서 또는 사용될 스킴을 세부화(detail)하는 패킷을 송신하기 위해서 스킴에 대한 정보를 공유할 수 있다. 다른 양상에서, 송신기는 수신 디바이스에 통지하지 않고 "온 더 플라이(on the fly)"로 사용되는 스킴을 변경할 수 있다. 따라서, 수신 디바이스는 전송된 패킷에 기초하여 사용되는 스킴을 검출할 수 있을 필요가 있다.
따라서, 일 양상에서, 송신 무선 디바이스(202)로부터 패킷을 수신하는 디바이스(예를 들어, 다른 무선 디바이스(202))는 패킷의 반복이 사용되는지 그리고/또는 주어진 시간 세그먼트(804)에서 전체보다 적은 대역폭(즉, 모든 주파수 범위들(802)보다 적음)이 패킷을 송신하기 위해서 사용되는지의 여부를 자동으로 검출할 수 있다. 일부 양상들에서, 이것은 반복 또는 부분적 대역폭 사용에 대하여 체크할 패킷의 적어도 일부를 프로세싱함으로써 결정된다. 일 양상에서, 이것이 수신될 제 1 필드일 때 체크된 패킷의 부분은 프리앰블(예를 들어, STF 필드(612))이다. 예를 들어, 송신 디바이스는, 패킷의 다른 부분들(예를 들어, LTF 필드(614), SIG 필드(616), 페이로드(620) 등)을 반복하고 그리고/또는 패킷의 다른 부분들에 대한 대역폭의 일부분들을 이용하기 위해서 사용되는 스킴에 기초하여, STF 필드(612)가 반복되는 횟수 및/또는 STF 필드(612)를 송신하기 위해서 사용되는 대역폭의 일부분을 선택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패킷의 다른 부분들에 대한 반복 및/또는 대역폭 사용에 대한 STF 필드(612) 반복 및/또는 대역폭의 사용의 맵핑은, 이를테면, 제조 시간에서, 송신기와 수신기 사이에서 공유될 수 있다. 맵핑은 각각의 디바이스에서 추가로 업데이트가능할 수 있다.
일 양상에서, 패킷을 수신하는 디바이스는 패킷의 반복이 수신된 패킷에서 상관들을 컴퓨팅함으로써 사용되는지의 여부를 결정한다. 예를 들어, 수신 디바이스는, 패킷의 시작에서 시작하여, 제 1 STF 필드(612)에 대하여 필요한 시간의 양 및/또는 공간에 시간적으로 그리고/또는 공간적으로 대응하는 패킷의 제 1 부분을 제 2 STF 필드(612)에 대하여 필요한 시간의 양 및/또는 공간에 대응하는 제 1 부분 이후에 오는 (또는, 이를테면, 필드들이 주파수 도메인에서 인터리빙되면, 선험적으로 송신기 및 수신기에 의해 알려져 있을 수 있는 예상된 위치에서) 시간적 그리고/또는 공간적 패킷의 제 2 부분과 상관시킬 수 있다. 상관이, 수신 디바이스가 결정하는 매치를 나타내면(예를 들어, 상관이, 매치의 수량이 임계 값 초과임을 표시하면), STF 필드(612)는 적어도 2회 반복된다. 상관이, 수신 디바이스가 결정하는 매치를 나타내지 않으면(예를 들어, 상관이, 매치의 수량이 임계 값 미만임을 표시하면), STF 필드(612)는 반복되지 않는다. 유사하게, 상관들은 STF 필드(612)가 반복되는 횟수를 결정하기 위해서 매치가 발견되지 않을 때까지 추가적인 부분들(예를 들어, K 부분들)에 대하여 수행될 수 있다. 상관들은 순차적으로 또는 동시에 수행될 수 있다. 동시적 스킴에서, 반복이 없이, 1회 반복, 2회 반복 등으로 테스트하는 것이 동시에 수행된다. 따라서, 상관은 각각의 가능한 반복 횟수로 순차적으로 체크하는 것과는 대조적으로 더 빨리 수행될 수 있다.
일 양상에서, 위에서 논의된 바와 같이, STF 필드(612)의 카피들은 서로에 대하여 위상 시프트(예를 들어, 90도 위상 시프트)되거나, 또는 조작(예를 들어, -1과 같은 수와 곱해짐)될 수 있다. 수행되는 상관들은 이것을 고려하여 정확한 카피들 대신에 이러한 위상 시프트되고 그리고/또는 조작된 카피들을 검색할 수 있다.
일 양상에서, 패킷을 수신하는 디바이스는 위에서 논의된 바와 유사한 방식으로 주어진 시간 세그먼트(804)에서 주파수 범위들(802)의 상이한 서브세트들을 테스트함으로써 수신된 패킷에서 상관들을 컴퓨팅함으로써 패킷을 송신하기 위해서 부분적 대역폭이 사용되는 것을 결정한다. 테스트될 톤들의 제한된 수의 서브세트들이 존재할 수 있다. 이러한 테스트는 순차적으로 또는 동시에 수행될 수 있다.
도 11은 반복의 수량 및/또는 패킷의 송신을 위해서 사용되는 주파수 범위들(802)의 일부분을 결정하기 위한 방법(1100)의 일 양상을 도시한다. 1105에서, 수신 디바이스(예를 들어, 다른 무선 디바이스(202))는 무선 디바이스(202)로부터 패킷을 수신한다. 1110에서, 수신 디바이스는 패킷의 제 1 부분이 반복되는 횟수 및/또는 패킷의 송신을 위해서 사용되는 주파수 범위들(802)의 일부분을 결정하기 위해서 패킷의 제 1 필드에 대응하는 패킷의 제 1 부분을 패킷의 시간적 그리고/또는 공간적 다른 부분들에서의 데이터와 상관시킨다.
도 12는 무선 통신 시스템(100) 내에서 사용될 수 있는 다른 예시적인 무선 디바이스(1200)의 기능적 블록도이다. 디바이스(1200)는 통신 채널의 특성을 식별하는 정보를 결정하기 위한 결정 모듈(1202)을 포함한다. 결정 모듈(1202)은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905 및/또는 1005에 관하여 위에서 논의된 기능들 중 하나 또는 둘 이상을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결정 모듈(1202)은 프로세서(204) 및 제어기(224) 중 하나 또는 둘 이상에 대응할 수 있다. 디바이스(1200)는 패킷의 부분이 시간적으로 그리고/또는 공간적으로 반복되는 횟수 및/또는 패킷을 송신하기 위해서 사용되는 대역폭의 일부분을 변경하기 위한 변경 모듈(1204)을 더 포함한다. 변경 모듈(1204)은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930 및/또는 1030에 관하여 위에서 논의된 기능들 중 하나 또는 둘 이상을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변경 모듈(1204)은 프로세서(204), DSP(220) 및 제어기(224) 중 하나 또는 둘 이상에 대응할 수 있다. 디바이스(1200)는 패킷을 송신하기 위한 송신 모듈(1206)을 더 포함한다. 송신 모듈(1206)은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915 및/또는 1015에 관하여 위에서 논의된 기능들 중 하나 또는 둘 이상을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송신 모듈(1206)은 프로세서(204) 및 송신기(210) 중 하나 또는 둘 이상에 대응할 수 있다.
도 13은 무선 통신 시스템(100) 내에서 사용될 수 있는 다른 예시적인 무선 디바이스(1300)의 기능적 블록도이다. 디바이스(1300)는 시간 세그먼트에서 패킷의 송신을 위해서 사용하기 위한 다수의 톤들을 식별하기 위한 식별 모듈(1302)을 포함한다. 식별 모듈(1302)은 도 10에 도시된 1010에 관하여 위에서 논의된 기능들 중 하나 또는 둘 이상을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식별 모듈(1302)은 프로세서(204) 및 제어기(224) 중 하나 또는 둘 이상에 대응할 수 있다. 디바이스(1300)는 패킷의 부분을 송신하기 위해서 식별된 톤들의 서브세트를 선택하기 위한 선택 모듈(1304)을 더 포함한다. 선택 모듈(1304)은 도 10에 도시된 1005, 1010 및/또는 1030에 관하여 위에서 논의된 기능들 중 하나 또는 둘 이상을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선택 모듈(1304)은 프로세서(204), DSP(220) 및 제어기(224) 중 하나 또는 둘 이상에 대응할 수 있다. 디바이스(1300)는 시간 세그먼트에서 모든 톤들 상에서 패킷을 송신하기 위해서 사용되는 송신 전력에 기초하여 식별된 톤들의 서브세트 각각에 대한 송신 전력을 셋팅하기 위한 세팅 모듈(1306)을 더 포함한다. 셋팅 모듈(1306)은 프로세서(204), DSP(220) 및 제어기(224) 중 하나 또는 둘 이상에 대응할 수 있다. 디바이스(1300)는 패킷을 송신하기 위한 송신 모듈(1308)을 더 포함한다. 송신 모듈(1308)은 도 10에 도시된 1015에 관하여 위에서 논의된 기능들 중 하나 또는 둘 이상을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송신 모듈(1306)은 프로세서(204) 및 송신기(210) 중 하나 또는 둘 이상에 대응할 수 있다.
도 14는 무선 통신 시스템(100) 내에서 사용될 수 있는 다른 예시적인 무선 디바이스(1400)의 기능적 블록도이다. 디바이스(1400)는 패킷을 수신하기 위한 수신 모듈(1402)을 포함한다. 수신 모듈(1402)은 도 11에 도시된 1105에 관하여 위에서 논의된 기능들 중 하나 또는 둘 이상을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수신 모듈(1402)은 프로세서(204) 및 수신기(212) 중 하나 또는 둘 이상에 대응할 수 있다. 디바이스(1400)는 패킷의 부분이 시간적으로 그리고/또는 공간적으로 반복되는 횟수 및/또는 패킷을 송신하기 위해서 사용되는 대역폭의 일부분을 결정하기 위한 결정 모듈(1404)을 더 포함한다. 결정 모듈(1404)은 도 11에 도시된 1110에 관하여 위에서 논의된 기능들 중 하나 또는 둘 이상을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결정 모듈(1404)은 프로세서(204), DSP(220) 및 제어기(224) 중 하나 또는 둘 이상에 대응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결정하는"이라는 용어는 폭 넓고 다양한 동작들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결정하는"은 계산하는, 컴퓨팅하는, 프로세싱하는, 유도하는, 조사하는, 검색(예를 들어, 표, 데이터베이스 또는 다른 데이터 구조에서 검색)하는, 확인하는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결정하는"은 수신하는(예를 들어, 정보를 수신하는), 액세스하는(예를 들어, 메모리 내의 데이터에 액세스하는)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결정하는"은 해결하는, 선택하는, 선출하는, 설정하는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은 "채널 폭"은 특정 양상들에서 대역폭을 포함할 수 있거나 또는 대역폭으로 또한 지칭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항목들의 리스트 중 "적어도 하나"를 지칭하는 문구는 단일 멤버들을 포함하는, 이러한 항목들의 임의의 조합을 지칭한다. 일례로서, "a, b 또는 c 중 적어도 하나"는 a, b, c, a-b, a-c, b-c 및 a-b-c를 커버하는 것으로 의도된다.
위에서 설명된 방법들의 다양한 동작들은 동작들을 수행할 수 있는 임의의 적합한 수단, 이를테면, 다양한 하드웨어 및/또는 소프트웨어 컴포넌트(들), 회로들 및/또는 모듈(들)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도면들에 도시된 임의의 동작들은 동작들을 수행할 수 있는 대응하는 기능적 수단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본 개시와 관련하여 설명된 다양한 예시적인 논리 블록들, 모듈들, 및 회로들이 범용 프로세서,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SP), 주문형 집적 회로(ASIC), 필드 프로그램가능한 게이트 어레이 신호(FPGA) 또는 다른 프로그램가능한 로직 디바이스(PLD), 이산 게이트 또는 트랜지스터 로직, 이산 하드웨어 컴포넌트들, 또는 본 명세서에 설명된 기능들을 수행하도록 설계된 이들의 임의의 조합을 통해 구현되거나 또는 수행될 수 있다. 범용 프로세서는 마이크로프로세서일 수 있지만, 대안적으로, 프로세서는 임의의 상업적으로 이용가능한 프로세서, 제어기, 마이크로제어기, 또는 상태 머신일 수 있다. 프로세서는 또한 컴퓨팅 디바이스들의 조합 예를 들어, DSP 및 마이크로프로세서의 조합, 복수의 마이크로프로세서들, DSP 코어와 결합된 하나 또는 둘 이상의 마이크로프로세서들, 또는 임의의 다른 이러한 구성으로서 구현될 수 있다.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양상들에서, 설명된 기능들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펌웨어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로 구현되는 경우, 기능들은 컴퓨터 판독가능한 매체 상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명령들 또는 코드에 저장될 수 있거나, 또는 이를 통해 송신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가능한 매체들은 한 장소에서 다른 장소로 컴퓨터 프로그램의 이전을 용이하게 하는 임의의 매체를 포함하는 통신 매체들 및 컴퓨터 저장 매체들 둘 다를 포함한다. 저장 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이용가능한 매체들일 수 있다. 한정이 아닌 예로서, 이러한 컴퓨터 판독가능한 매체들은 RAM, ROM, EEPROM, CD-ROM 또는 다른 광학 디스크 저장소, 자기 디스크 저장소 또는 다른 자기 저장 디바이스들, 또는 원하는 프로그램 코드를 명령들 또는 데이터 구조들의 형태로 전달 또는 저장하기 위해서 사용될 수 있고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다른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임의의 접속수단(connection)이 컴퓨터 판독가능한 매체로 적절히 지칭된다.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가 동축 케이블, 광섬유 케이블, 트위스티드 페어(twisted pair), 디지털 가입자 회선(DSL), 또는 (적외선, 라디오, 및 마이크로웨이브와 같은) 무선 기술들을 사용하여 웹사이트, 서버, 또는 다른 원격 소스로부터 송신되는 경우, 동축 케이블, 광섬유 케이블, 트위스티드 페어, DSL, 또는 (적외선, 라디오, 및 마이크로웨이브와 같은) 무선 기술들이 매체의 정의 내에 포함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은 디스크(disk) 및 디스크(disc)는 컴팩트 디스크(disc)(CD), 레이저 디스크(disc), 광 디스크(disc), 디지털 다목적 디스크(disc)(DVD), 플로피 디스크(disk) 및 블루-레이 디스크(disc)를 포함하며, 여기서 디스크(disk)들은 통상적으로 데이터를 자기적으로 재생하는 반면, 디스크(disc)들은 레이저들을 사용하여 데이터를 광학적으로 재생한다. 따라서, 일부 양상들에서, 컴퓨터 판독가능한 매체는 비-일시적 컴퓨터-판독가능 매체(예를 들어, 유형의 매체들(tangible media))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일부 양상들에서, 컴퓨터 판독가능한 매체는 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한 매체(예를 들어, 신호)를 포함할 수 있다. 위의 것들의 조합들이 또한 컴퓨터 판독가능한 매체들의 범위 내에 포함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방법들은 설명된 방법을 달성하기 위한 하나 또는 둘 이상의 단계들 또는 동작들을 포함한다. 방법 단계들 및/또는 동작들은 청구항들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서로 교환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단계들 또는 동작들의 특정 순서가 명시되지 않는 한, 특정 단계들 및/또는 동작들의 순서 및/또는 사용은 청구항들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다.
설명된 기능들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펌웨어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로 구현되는 경우, 기능들은 컴퓨터 판독가능한 매체 상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명령들로서 저장될 수 있다. 저장 매체들은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이용가능한 매체들일 수 있다. 한정이 아닌 예로서, 이러한 컴퓨터 판독가능한 매체는 RAM, ROM, EEPROM, CD-ROM 또는 다른 광학 디스크 저장소, 자기 디스크 저장소 또는 다른 자기 저장 디바이스들, 또는 원하는 프로그램 코드를 명령들 또는 데이터 구조들의 형태로 전달 또는 저장하기 위해서 사용될 수 있고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다른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은 디스크(disk) 및 디스크(disc)는 컴팩트 디스크(disc)(CD), 레이저 디스크(disc), 광 디스크(disc), 디지털 다목적 디스크(disc)(DVD), 플로피 디스크(disk) 및 블루-레이® 디스크(disc)를 포함하며, 여기서 디스크(disk)들은 통상적으로 데이터를 자기적으로 재생하는 반면, 디스크(disc)들은 레이저들을 사용하여 데이터를 광학적으로 재생한다.
따라서, 특정 양상들은 본 명세서에 제시된 동작들을 수행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물건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러한 컴퓨터 프로그램 물건은 명령들이 저장(및/또는 인코딩)된 컴퓨터 판독가능한 매체를 포함할 수 있고, 명령들은 본 명세서에 설명된 동작들을 수행하도록 하나 또는 둘 이상의 프로세서들에 의해 실행가능하다. 특정 양상들의 경우, 컴퓨터 프로그램 물건은 패키지 재료(packaging material)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소프트웨어 또는 명령들은 송신 매체를 통해 송신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가 동축 케이블, 광섬유 케이블, 트위스티드 페어(twisted pair), 디지털 가입자 회선(DSL), 또는 (적외선, 라디오, 및 마이크로웨이브와 같은) 무선 기술들을 사용하여 웹사이트, 서버, 또는 다른 원격 소스로부터 송신되는 경우, 동축 케이블, 광섬유 케이블, 트위스티드 페어, DSL, 또는 (적외선, 라디오, 및 마이크로웨이브와 같은) 무선 기술들이 송신 매체의 정의 내에 포함된다.
또한, 본 명세서에 설명된 방법들 및 기법들을 수행하기 위한 모듈들 및/또는 다른 적절한 수단이 적용가능한 기지국 및/또는 사용자 단말에 의해 다운로드되고 그리고/또는 그렇지 않으면 획득될 수 있다는 것이 인식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이러한 디바이스는 본 명세서에 설명된 방법들을 수행하기 위한 수단의 이전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 서버에 커플링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본 명세서에 설명된 다양한 방법들은 사용자 단말 및/또는 기지국이 저장 수단을 디바이스에 커플링시키거나 또는 저장 수단을 디바이스에 제공할 시에 다양한 방법들을 획득할 수 있도록 저장 수단(예를 들어, RAM, ROM, (컴팩트 디스크(CD) 또는 플로피 디스크 등과 같은) 물리적 저장 매체 등)을 통해 제공될 수 있다. 더욱이, 본 명세서에 설명된 방법들 및 기법들을 디바이스에 제공하기 위한 임의의 다른 적합한 기법이 이용될 수 있다.
청구항들은 위에서 예시된 바로 그 구성 및 컴포넌트들에 한정되지 않는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위에서 설명된 방법들 및 장치의 배열, 동작 및 세부사항들에서 청구항들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양한 변경들, 변화들 및 변형들이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설명은 본 개시의 양상들에 관한 것이지만, 본 개시의 기본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본 개시의 다른 그리고 추가 양상들이 고안될 수 있으며, 그 범위는 다음의 청구항들에 의해 결정된다.

Claims (1)

  1. 명세서 및 도면들에 개시된 장치 또는 방법.
KR1020157000059A 2011-04-15 2012-04-16 서브-기가헤르츠 대역들에서 무선 통신의 범위 확장을 위한 시스템들 및 방법들 KR10182563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161475814P 2011-04-15 2011-04-15
US61/475,814 2011-04-15
US13/447,149 US9191923B2 (en) 2011-04-15 2012-04-13 Systems and methods for range extension of wireless communication in sub gigahertz bands
US13/447,149 2012-04-13
PCT/US2012/033834 WO2012142612A1 (en) 2011-04-15 2012-04-16 Systems and methods for range extension of wireless communication in sub-gigahertz bands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30386A Division KR101595051B1 (ko) 2011-04-15 2012-04-16 서브-기가헤르츠 대역들에서 무선 통신의 범위 확장을 위한 시스템들 및 방법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20242A true KR20150020242A (ko) 2015-02-25
KR101825634B1 KR101825634B1 (ko) 2018-02-05

Family

ID=47006340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00059A KR101825634B1 (ko) 2011-04-15 2012-04-16 서브-기가헤르츠 대역들에서 무선 통신의 범위 확장을 위한 시스템들 및 방법들
KR1020137030386A KR101595051B1 (ko) 2011-04-15 2012-04-16 서브-기가헤르츠 대역들에서 무선 통신의 범위 확장을 위한 시스템들 및 방법들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30386A KR101595051B1 (ko) 2011-04-15 2012-04-16 서브-기가헤르츠 대역들에서 무선 통신의 범위 확장을 위한 시스템들 및 방법들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2) US20120263141A1 (ko)
EP (1) EP2697927B1 (ko)
JP (2) JP2014511094A (ko)
KR (2) KR101825634B1 (ko)
CN (1) CN103609058B (ko)
WO (2) WO2012142612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39601A (ko) * 2016-09-19 2019-04-12 후아웨이 테크놀러지 컴퍼니 리미티드 변조 방법, 복조 방법, 관련 장치 및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106635A1 (en) 2011-02-04 2012-08-09 Marvell World Trade Ltd. Control mode phy for wlan
US20120263141A1 (en) 2011-04-15 2012-10-18 Qualcomm Incorporated Systems and methods for range extension of wireless communication in sub gigahertz bands
WO2012148488A1 (en) 2011-04-28 2012-11-01 Intel Corporation Methods and arrangements for communications in low power wireless networks
BR112014003853B1 (pt) 2011-08-24 2021-09-21 Intel Corporation Aparelho e método para utilização em associação com comunicação sem fio, e memória que armazena instruçôes executáveis por máquina
WO2013122377A1 (ko) * 2012-02-14 2013-08-22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랜 시스템에서 데이터 유닛 전송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장치
US8995298B2 (en) * 2012-05-23 2015-03-31 Broadcom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multi-pair configuration over existing cabling infrastructure
KR20130139543A (ko) * 2012-06-13 2013-12-23 삼성전자주식회사 멀티뷰 디바이스, 디스플레이장치 및 이들의 제어방법
KR102068282B1 (ko) * 2012-06-13 2020-01-20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다중 대역폭을 지원하는 무선랜 시스템의 통신 방법 및 장치
EP2784331B1 (en) * 2013-03-25 2021-08-11 miniBOOSTER HYDRAULICS A/S Hydraulic system
TWI663857B (zh) * 2013-08-06 2019-06-21 新力股份有限公司 傳遞資料的用戶裝置及方法
WO2015018616A1 (en) * 2013-08-06 2015-02-12 Sony Corporation Communications system, infrastructure equipment and method
US10194006B2 (en) 2013-10-25 2019-01-29 Marvell World Trade Ltd. Physical layer frame format for WLAN
US10218822B2 (en) 2013-10-25 2019-02-26 Marvell World Trade Ltd. Physical layer frame format for WLAN
KR102526618B1 (ko) 2013-10-25 2023-04-27 마벨 아시아 피티이 엘티디. 와이파이를 위한 레인지 확장 모드
KR102303749B1 (ko) * 2014-03-14 2021-09-23 삼성전자주식회사 패킷을 부호화 및 복호화하는 방법 및 장치
WO2015137779A1 (en) 2014-03-14 2015-09-17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encoding and decoding packet
EP2950474B1 (en) * 2014-05-30 2018-01-31 Alcatel Lucent Method and devices for controlling signal transmission during a change of data rate
CN106465380B (zh) 2014-06-12 2020-01-21 华为技术有限公司 用于正交频分多址的系统及方法
US9923666B2 (en) * 2014-10-01 2018-03-20 Qualcomm, Incorporated Encoding in uplink multi-user MIMO and OFDMA transmissions
US10171202B2 (en) 2014-11-11 2019-01-01 Qualcomm Incorporated Diversity repetition in mixed-rate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US10419971B2 (en) * 2015-02-04 2019-09-17 Qualcomm Incorporated Robust early detection through signal repetition in mixed-rate wireless communications
KR102367773B1 (ko) 2015-04-20 2022-02-28 주식회사 윌러스표준기술연구소 트레이닝 신호를 이용하는 무선 통신 방법 및 무선 통신 단말
CN107852271B (zh) 2015-05-15 2021-04-20 瑞典爱立信有限公司 用于跨多个子帧接收或传送下行链路传送的方法和装置
US9942731B2 (en) * 2015-05-27 2018-04-10 Otto Engineering, Inc. Radio alert system and method
US10187893B2 (en) * 2016-04-19 2019-01-22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configuring long training field in wireless local network system
EP3488547A1 (en) * 2016-07-25 2019-05-29 Koninklijke Philips N.V. Robust data transmittal
DE102016013653B4 (de) * 2016-11-16 2021-06-17 Diehl Metering Systems Gmbh Verfahren und Einrichtung zum Senden haustechnischer Daten
KR102137464B1 (ko) * 2018-01-31 2020-07-24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 시스템
CN110635827B (zh) * 2018-06-22 2021-06-01 华为技术有限公司 信道估计方法、装置以及通信系统
WO2021029666A1 (ko) * 2019-08-12 2021-02-18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ngv ppdu의 전송 모드를 식별하기 위한 기법
US11757564B2 (en) * 2019-12-02 2023-09-12 Qualcomm Incorporated Link adaptation using transmission rate options

Family Cites Families (4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067458A (en) * 1997-07-01 2000-05-23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pre-transmission power control using lower rate for high rate communication
US7433418B1 (en) 2001-09-28 2008-10-07 Arraycomm, Llc Method and apparatus for efficient storage of training sequences for peak to average power constrained modulation formats
US7099409B2 (en) 2002-02-13 2006-08-29 Broadcom Corporation Channel estimation and/or equalization using repeated adaptation
AU2003279870A1 (en) 2002-10-04 2004-05-04 Paradigm Geophysical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limited frequency seismic imaging
CA2562395C (en) 2003-04-08 2013-09-03 Acn Advanced Communications Networks Sa System and method for data communication over power lines
US7269430B2 (en) 2003-11-24 2007-09-11 Broadcom Corporation Frame format for high data throughput wireless local area network transmissions
US7400643B2 (en) 2004-02-13 2008-07-15 Broadcom Corporation Transmission of wide bandwidth signals in a network having legacy devices
US7570619B2 (en) 2004-02-13 2009-08-04 Broadcom Corporation Long training sequence method and device for wireless communications
US20060135067A1 (en) * 2004-12-20 2006-06-22 Dunko Gregory A Method and apparatus for configuring a WLAN
KR101227212B1 (ko) 2005-02-09 2013-01-28 에이저 시스템즈 엘엘시 다중 안테나 통신 시스템에서 단축된 롱 트래이닝 필드를 갖는 프리앰블 트레이닝을 위한 방법 및 장치
US7373130B2 (en) 2005-04-13 2008-05-13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Simultaneous channel estimation of a carrier and an interferer
GB2425922B (en) * 2005-05-03 2007-08-01 Motorola Inc Transmission of signalling information in an OFDM communication system
CN1913508B (zh) 2005-08-08 2010-05-05 华为技术有限公司 基于正交频分复用的信号调制方法及其调制装置
JP4841333B2 (ja) * 2005-09-19 2011-12-21 三洋電機株式会社 無線装置およびそれを利用した通信システム
JP4884105B2 (ja) * 2005-09-20 2012-02-29 三洋電機株式会社 無線装置
EP2288196B1 (en) * 2006-01-11 2018-02-21 Qualcomm Incorporated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s and apparatus supporting synchronization
JP4444216B2 (ja) 2006-01-31 2010-03-31 株式会社東芝 無線通信方法及びシステム
JP2007306474A (ja) 2006-05-15 2007-11-22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無線通信機
US7532562B2 (en) * 2007-02-26 2009-05-12 Provigent Ltd. High-data-rate communication link using multiple lower rate modems
CN101039290B (zh) 2007-04-19 2010-08-04 西安电子科技大学 基于自适应训练序列的mimo相关信道估计方法
JP2008271252A (ja) * 2007-04-20 2008-11-06 Toshiba Corp 無線通信装置およびシステム
US20080310336A1 (en) 2007-06-15 2008-12-18 Broadcom Corporation Dynamic receiver filter adjustment across preamble and information payload
CN101325569B (zh) * 2007-06-15 2013-09-04 安捷伦科技有限公司 通信系统中的鲁棒信道估计
US7937101B2 (en) * 2007-08-24 2011-05-03 Motorola Solutions, Inc. System and method for performing communication in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US8072959B2 (en) 2008-03-06 2011-12-06 Issc Technologies Corp. Generating method for short training field in IEEE 802.11n communication systems
JP5610233B2 (ja) * 2008-05-15 2014-10-22 マーベル ワールド トレード リミテッド データユニットのプリアンブルを、生成または処理するための方法
JP4735680B2 (ja) 2008-08-12 2011-07-27 ソニー株式会社 同期回路及び同期方法
CN101340416B (zh) * 2008-08-28 2011-02-16 北京交通大学 适用于ofdm系统的同步与信道响应估计方法
WO2010118383A1 (en) 2009-04-10 2010-10-14 Marvell World Trade Ltd. Signaling for multi-dimension wireless resource allocation
EP2420023B1 (en) * 2009-04-13 2014-08-27 Marvell World Trade Ltd. Physical layer frame format for WLAN
JP5106685B2 (ja) * 2009-06-30 2012-12-26 株式会社東芝 通信装置
US8717865B2 (en) 2009-07-17 2014-05-06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constructing very high throughput short training field sequences
US8553730B2 (en) * 2009-08-31 2013-10-08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Short and long training fields
WO2011053070A2 (ko) 2009-10-30 2011-05-05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다중 사용자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제어 및 훈련 심볼 전송 방법
US20110222519A1 (en) * 2010-03-15 2011-09-15 Yen-Chin Liao Phase Rotating Method and Wireless Local Area Network Device
WO2012106635A1 (en) * 2011-02-04 2012-08-09 Marvell World Trade Ltd. Control mode phy for wlan
US8644128B2 (en) * 2011-02-10 2014-02-04 Marvell World Trade Ltd. Multi-clock PHY preamble design and detection
US20120263141A1 (en) 2011-04-15 2012-10-18 Qualcomm Incorporated Systems and methods for range extension of wireless communication in sub gigahertz bands
WO2012177993A1 (en) * 2011-06-24 2012-12-27 Interdigital Patent Holding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receiving a preamble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8948284B2 (en) * 2011-11-07 2015-02-03 Lg Elecronics Inc. Method and apparatus of transmitting PLCP header for sub 1 GHz communicatio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39601A (ko) * 2016-09-19 2019-04-12 후아웨이 테크놀러지 컴퍼니 리미티드 변조 방법, 복조 방법, 관련 장치 및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5149746A (ja) 2015-08-20
EP2697927B1 (en) 2015-05-20
CN103609058A (zh) 2014-02-26
US20120263107A1 (en) 2012-10-18
JP6138848B2 (ja) 2017-05-31
CN103609058B (zh) 2016-12-21
KR101825634B1 (ko) 2018-02-05
EP2697927A1 (en) 2014-02-19
US9191923B2 (en) 2015-11-17
US20120263141A1 (en) 2012-10-18
WO2012142614A1 (en) 2012-10-18
WO2012142612A1 (en) 2012-10-18
KR101595051B1 (ko) 2016-02-17
JP2014511094A (ja) 2014-05-01
KR20140002057A (ko) 2014-01-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95051B1 (ko) 서브-기가헤르츠 대역들에서 무선 통신의 범위 확장을 위한 시스템들 및 방법들
KR101729235B1 (ko) 무선 lan 송신들에서 복제 프레임들을 위상 회전시키기 위한 시스템들 및 방법들
US9854580B2 (en) Efficient resource allocation
US9774481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transmitting pilot tones
US20150110046A1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channel state information feedback
US20140112405A1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managing wireless medium utilization
US20130179755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low density parity check tone mapping
JP6227790B2 (ja) ワイヤレスネットワーク上の改善された通信のためのシステムおよび方法
US9048936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managing on-time of wireless receivers
WO2014011506A2 (en) Systems and methods for partial aid selection
US8924807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cknowledgement using a group identifier
US10069518B2 (en) Uneven bit distributions for encoder parsing
US9191882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improved association in wireless network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