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19470A - 차량용 도어커튼 - Google Patents

차량용 도어커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19470A
KR20150019470A KR20130096414A KR20130096414A KR20150019470A KR 20150019470 A KR20150019470 A KR 20150019470A KR 20130096414 A KR20130096414 A KR 20130096414A KR 20130096414 A KR20130096414 A KR 20130096414A KR 20150019470 A KR20150019470 A KR 2015001947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curtain
door
speed reducer
wound
b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0964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53428B1 (ko
Inventor
김기원
이재승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964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53428B1/ko
Publication of KR201500194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194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534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5342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1/00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 B60J1/20Accessories, e.g. wind deflectors, blinds
    • B60J1/2011Blinds; curtains or screens reducing heat or light intensity
    • B60J1/2013Roller blinds
    • B60J1/2036Roller blind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1/00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 B60J1/20Accessories, e.g. wind deflectors, blinds
    • B60J1/2011Blinds; curtains or screens reducing heat or light intensity
    • B60J1/2013Roller blinds
    • B60J1/2066Arrangement of blinds in vehicles
    • B60J1/2086Arrangement of blinds in 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openable windows, e.g. side window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B60J5/04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 B60J5/0493Appurtenan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perating, Guiding And Securing Of Roll- Type Closing Members (AREA)
  • Curtains And Furnishings For Windows Or Doors (AREA)

Abstract

도어트림과 도어이너패널사이 공간에 설치되고, 사용자의 당김작용에 의해서 외부로 인출되었다가 당김작용이 해제되면 감겨서 상기 도어트림과 도어아우터패널사이 공간으로 수납되는 도어커튼을 구비한 도어커튼모듈;
상기 도어트림과 도어아우터패널사이 공간에서 상기 도어커튼모듈에 접촉되도록 설치되고, 탄력적으로 상기 도어커튼모듈을 지지해서 상기 도어커튼모듈의 회전동작에 저항력을 발생시킴으로써 상기 도어커튼의 감김속도를 감속시키는 감속기;를 포함하는 차량용 도어커튼이 소개된다.

Description

차량용 도어커튼{Door Curtain for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의 도어 내부에 마련되는 도어커튼의 감김속도를 제한하는 장치를 구비한 차량용 도어커튼에 관한 것이다.
차량의 도어커튼 장치는 도어커튼을 구비하고, 일반적으로 차량의 도어 내부에 설치되어 평상시에는 상기 도어커튼이 도어 내부에 권취되어 있다가 사용자의 당김작용에 의해 권출되어 차광함으로써 리어시트에 탑승한 승객의 편의를 도모하는 장치이다.
상기 차량의 도어커튼 장치는 일반적으로 도어커튼이 감겨질 수 있도록 도어커튼과 연결되는 감김축과 상기 감김축의 양단에 마련되어 감김축에 회전력을 가하는 복원스프링이 구비되어, 사용자의 당김작용이 해제되면 상기 복원스프링에 의해 감김축이 회전하여 상기 도어커튼이 감김축에 권취될 수 있도록 한다.
하지만 보통 상기 복원스프링은 신속하고 완전한 권취를 위해 강한 탄성력을 가지도록 되어있고, 이로 인해 사용자의 당김작용 해제시 상기 도어커튼이 지나치게 빠른 속도로 차량의 도어 내부로 인입되므로써 사용자의 부상 혹은 심한 소음이 발생되는 문제가 있었다.
상기의 배경기술로서 설명된 사항들은 본 발명의 배경에 대한 이해 증진을 위한 것일 뿐,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기술에 해당함을 인정하는 것으로 받아들여져서는 안 될 것이다.
KR10-2011-0102564A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도어커튼이 권취되는 속도를 제한하기 위해 권취된 도어커튼과 접촉하여 가압하는 장치를 구비한 차량용 도어커튼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도어커튼은, 도어트림과 도어이너패널사이 공간에 설치되고, 사용자의 당김작용에 의해서 외부로 인출되었다가 당김작용이 해제되면 감겨서 상기 도어트림과 도어아우터패널사이 공간으로 수납되는 도어커튼을 구비한 도어커튼모듈; 상기 도어트림과 도어아우터패널사이 공간에서 상기 도어커튼모듈에 접촉되도록 설치되고, 탄력적으로 상기 도어커튼모듈을 지지해서 상기 도어커튼모듈의 회전동작에 저항력을 발생시킴으로써 상기 도어커튼의 감김속도를 감속시키는 감속기;를 포함한다.
상기 도어커튼모듈은 도어의 수평길이방향으로 파이프형상으로 형성된 도어커튼바를 구비하고, 상기 도어커튼바의 양단에는 복원스프링이 구비되어 상기 도어커튼바의 회전을 가능하게 하며, 상기 도어커튼은 당김작용에 의해 권출되고 당김작용이 해제될 때 상기 도어커튼바의 회전에 의해 상기 도어커튼바에 감겨질 수 있다.
상기 감속기는 상기 도어커튼바의 중단부와 대면하는 위치에서 상기 도어커튼바에 감겨진 도어커튼과 접촉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상기 감속기는 상기 도어커튼모듈과 접촉되는 부분이 롤러일 수 있다.
상기 감속기는 상기 롤러의 중심부를 관통하는 회전축; 상기 회전축의 양단을 지지하는 감속기브라켓; 및 상기 회전축의 양단에 각각 마련되되 일단이 상기 회전축과 접촉하고 타단이 상기 감속기브라켓에 의해 지지되도록 설치되어 상기 회전축을 상방으로 가압하는 탄성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감속기브라켓이 상기 회전축의 양단과 연결되는 부분에서의 상기 감속기브라켓 상에는 상기 회전축이 상하로 이동할 수 있도록 장공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탄성부는 스프링일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차량용 도어커튼에 따르면, 도어커튼의 감김속도를 감속시킴으로써 갑작스런 권취로 인한 사용자의 부상 혹은 심한 소음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탄성부의 장력 조절을 통해 감김속도를 조절함으로써 차종에 따라 최적화된 감김속도를 구현할 수 있다.
또한, 감김속도를 조절함으로써 도어커튼이 부드럽게 권취될 수 있도록 하여 차량의 상품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도어커튼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도어커튼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도어커튼의 감속기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도어커튼의 감속기 정면도.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도어커튼(130)에 대하여 살펴본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도어커튼(130)의 구성도로써, 도어트림과 도어이너패널사이 공간에 설치되고, 사용자의 당김작용에 의해서 외부로 인출되었다가 당김작용이 해제되면 감겨서 상기 도어트림과 도어아우터패널사이 공간으로 수납되는 도어커튼(130)을 구비한 도어커튼모듈(100); 상기 도어트림과 도어아우터패널사이 공간에서 상기 도어커튼모듈(100)에 접촉되도록 설치되고, 탄력적으로 상기 도어커튼모듈(100)을 지지해서 상기 도어커튼모듈(100)의 회전동작에 저항력을 발생시킴으로써 상기 도어커튼(130)의 감김속도를 감속시키는 감속기(200);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는, 도 2에서 볼 수 있듯이, 상기 도어커튼모듈(100)은 도어의 수평길이방향으로 파이프형상으로 형성된 도어커튼바(110)를 구비하고, 상기 도어커튼바(110)의 양단에는 복원스프링(120)이 구비되어 상기 도어커튼바(110)의 회전을 가능하게 하며, 상기 도어커튼(130)은 당김작용에 의해 권출되고 당김작용이 해제될 때 상기 도어커튼바(110)의 회전에 의해 상기 도어커튼바(110)에 감겨질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복원스프링(120)은 스파이럴 스프링이 됨이 바람직한데, 사용자의 당김작용이 발생할 시 많은 양의 탄성 복원력이 상기 복원스프링(120) 내에 축적되었다가 당김작용의 해제시 복원스프링(120)의 탄성 복원력이 회전력으로 발생되어 상기 도어커튼바(110)를 감는 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 상기 도어커튼(130)이 도어커튼바(110)에 감기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도어커튼모듈(100)은 상기 도어커튼바(110) 및 복원스프링(120)과 결합되어 지지하고 차량의 도어이너패널 또는 도어트림에 설치되는 도어커튼브라켓(140)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감속기(200)는 상기 도어커튼바(110)의 중단부와 대면하는 위치에서 상기 도어커튼바(110)에 감겨진 도어커튼(130)과 접촉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감속기(200)는 상기 도어커튼모듈(100)과 접촉되는 부분이 롤러(240)일 수 있는데, 상기 감속기(200)는 롤러(240)가 권취된 도어커튼(130)의 하단부와 접촉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롤러(240)는 외력이 인가될 시, 권취된 도어커튼(130)에 상기 도어커튼바(110)의 축방향 중심 방향으로의 압력을 가하게 되고(즉, 도어커튼바(110)의 테두리부에서 축방향 중심 방향으로 가압), 상기 롤러(240)의 가압에 의해 롤러(240)와 상기 권취된 도어커튼(130) 사이에는 강한 마찰력이 작용하게 되어 상기 도어커튼(130)이 권취되는 속도가 감속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상기 롤러(240)는 상기 도어커튼(130)이 권취될 때 함께 회전함이 바람직하다. 도어커튼(130)과의 접촉부에 롤러(240)를 사용함으로써 권취된 도어커튼(130)을 가압하더라도 도어커튼(130)에 손상이 발생하지 않고 감김 속도를 감속할 수 있는 효과가 발생한다.
상기 감속기(200)의 구조를 더 상세하게 설명하자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도어커튼의 감속기 측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도어커튼의 감속기 정면도로써, 도 3 및 도 4의 (a)는 상기 도어커튼(130)이 권취되어 상기 도어커튼바(110)에 감겨있는 상태를 나타낸 것이며, 도 3 및 도 4의 (b)는 상기 도어커튼(130)이 권출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상기 감속기(200)는 상기 롤러(240)의 중심부를 관통하는 회전축(210); 상기 회전축(210)의 양단을 지지하는 감속기브라켓(220); 및 상기 회전축(210)의 양단에 각각 마련되되 일단이 상기 회전축(210)과 접촉하고 타단이 상기 감속기브라켓(220)에 의해 지지되도록 설치되어 상기 회전축(210)을 상방으로 가압하는 탄성부(23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감속기브라켓(220)은 상기 도어커튼브라켓(140)의 하단부에 설치되어 상기 롤러(240)가 상기 권취된 도어커튼(130)과 접촉될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감속기브라켓(220)은 상기 롤러(240)를 감싸면서 상기 회전축(210)의 양단과 관통결합하는 롤러지지부(222)와 상기 롤러지지부(222)의 양단에 탄성부(230)가 설치될 수 있도록 탄성부지지부(225)가 마련되어, 상기 롤러지지부(222)의 양단에 돌출된 회전축(210)이 상기 탄성부(230)의 일단과 접촉할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감속기브라켓(220)이 상기 회전축(210)의 양단과 연결되는 부분에서의 상기 감속기브라켓(220) 상에는, 즉 상기 롤러지지부(222) 상에는 상기 회전축(210)이 상하로 이동할 수 있도록 장공(227)이 형성될 수 있는데, 상기 장공(227)이 구비됨으로써 상기 회전축(210)이 전후방으로는 이동하지 않고 오로지 상하로만 이동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탄성부(230)로부터 가해지는 압력이 큰 에너지 손실 없이 상기 권취된 도어커튼(130)으로 인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장공(227)이 구비됨으로써 상기 도어커튼(130)이 상기 도어커튼바(110)에 권취됨에 따라 상기 도어커튼바(110)가 두꺼워지면 상기 회전축(210)이 장공(227)을 따라 하방으로 내려가고 상기 도어커튼(130)이 상기 도어커튼바(110)로부터 권출되어 상기 도어커튼바(110)가 얇아지면 상기 회전축(210)이 장공(227)을 따라 상방으로 올라갈 수 있게 됨으로써 감기는 정도에 관계없이 일정하게 상기 도어커튼(130)의 감김 속도를 감속시킬 수 있는 효과가 발생한다.
한편, 상기 회전축(210)과 롤러(240)와 접촉하는 부분에는 원활한 회전을 위해 베어링이 구비될 수 있고, 또는 베어링 없이 직접적으로 회전축(210)과 롤러(240)가 접촉될 수 있다. 상기 회전축(210)은 상기 탄성부(230)로부터 탄성력을 인가받으면 그것을 상기 롤러(240)에 전달하며 상기 권취된 도어커튼(130)을 가압할 시 도어커튼(130)과 롤러(240) 사이의 마찰뿐만 아니라 롤러(240)와 회전축(210) 사이에서도 마찰력이 발생하여 상기 도어커튼(130)의 감김속도를 감속시키게 된다.
한편, 상기 탄성부(230)는 스프링이 됨이 바람직하며, 상기 회전축(210)과 접촉되도록 상기 탄성부(230)의 일단에는 패널(232)이 구비될 수 있고, 상기 탄성부(230)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회전축(210)과 패널(232) 사이에서도 마찰력이 발생하여 상기 도어커튼(130)의 감김속도를 감속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차량용 도어커튼(130)에 따르면, 도어커튼(130)의 감김속도를 감속시킴으로써 갑작스런 권취로 인한 사용자의 부상 혹은 심한 소음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탄성부의 장력 조절을 통해 감김속도를 조절함으로써 차종에 따라 최적화된 감김속도를 구현할 수 있다.
또한, 감김속도를 조절함으로써 도어커튼(130)이 부드럽게 권취될 수 있도록 하여 차량의 상품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제공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량 및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은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100 : 도어커튼모듈 110 : 도어커튼바
120 : 복원스프링 130 : 도어커튼
140 : 도어커튼브라켓 200 : 감속기
210 : 회전축 220 : 감속기브라켓
222 : 롤러지지부 225 : 탄성부지지부
230 : 탄성부 240 : 롤러

Claims (7)

  1. 도어트림과 도어이너패널사이 공간에 설치되고, 사용자의 당김작용에 의해서 외부로 인출되었다가 당김작용이 해제되면 감겨서 상기 도어트림과 도어아우터패널사이 공간으로 수납되는 도어커튼을 구비한 도어커튼모듈;
    상기 도어트림과 도어아우터패널사이 공간에서 상기 도어커튼모듈에 접촉되도록 설치되고, 탄력적으로 상기 도어커튼모듈을 지지해서 상기 도어커튼모듈의 회전동작에 저항력을 발생시킴으로써 상기 도어커튼의 감김속도를 감속시키는 감속기;를 포함하는 차량용 도어커튼.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도어커튼모듈은 도어의 수평길이방향으로 파이프형상으로 형성된 도어커튼바를 구비하고, 상기 도어커튼바의 양단에는 복원스프링이 구비되어 상기 도어커튼바의 회전을 가능하게 하며, 상기 도어커튼은 당김작용에 의해 권출되고 당김작용이 해제될 때 상기 도어커튼바의 회전에 의해 상기 도어커튼바에 감겨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도어커튼.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감속기는 상기 도어커튼바의 중단부와 대면하는 위치에서 상기 도어커튼바에 감겨진 도어커튼과 접촉되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도어커튼.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감속기는 상기 도어커튼모듈과 접촉되는 부분이 롤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도어커튼.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감속기는 상기 롤러의 중심부를 관통하는 회전축; 상기 회전축의 양단을 지지하는 감속기브라켓; 및 상기 회전축의 양단에 각각 마련되되 일단이 상기 회전축과 접촉하고 타단이 상기 감속기브라켓에 의해 지지되도록 설치되어 상기 회전축을 상방으로 가압하는 탄성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도어커튼.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감속기브라켓이 상기 회전축의 양단과 연결되는 부분에서의 상기 감속기브라켓 상에는 상기 회전축이 상하로 이동할 수 있도록 장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도어커튼.
  7.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는 스프링인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도어커튼.
KR1020130096414A 2013-08-14 2013-08-14 차량용 도어커튼 KR1020534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96414A KR102053428B1 (ko) 2013-08-14 2013-08-14 차량용 도어커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96414A KR102053428B1 (ko) 2013-08-14 2013-08-14 차량용 도어커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19470A true KR20150019470A (ko) 2015-02-25
KR102053428B1 KR102053428B1 (ko) 2019-12-06

Family

ID=525785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96414A KR102053428B1 (ko) 2013-08-14 2013-08-14 차량용 도어커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53428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07442B1 (ko) * 2015-11-30 2017-02-17 주식회사 서연이화 차량용 도어 커튼 장치
KR20180054270A (ko) 2016-11-15 2018-05-2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투과율 가변구조를 갖는 도어커튼 장치
KR20210074726A (ko) 2019-12-12 2021-06-2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노브가 회전되는 도어 커튼의 쉐이드바 및 이를 구비한 도어 커튼 어셈블리
KR20210075736A (ko) 2019-12-13 2021-06-2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웨이트를 이용하여 패브릭을 감는 도어 커튼 어셈블리
KR20210100968A (ko) 2020-02-07 2021-08-1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서브 커튼을 구비한 도어 커튼 어셈블리
KR20220009054A (ko) 2020-07-15 2022-01-2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상단 거치식 차량의 도어 커튼 어셈블리, 차량의 도어 커튼 어셈블리의 전개 방법 및 권취 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5673B1 (ko) * 2008-10-27 2009-11-10 한일이화주식회사 차량용 카고 스크린의 감속장치
KR20110102564A (ko) 2010-03-11 2011-09-19 한일이화주식회사 자동차용 도어
KR20120131597A (ko) * 2011-05-26 2012-12-0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커튼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5673B1 (ko) * 2008-10-27 2009-11-10 한일이화주식회사 차량용 카고 스크린의 감속장치
KR20110102564A (ko) 2010-03-11 2011-09-19 한일이화주식회사 자동차용 도어
KR20120131597A (ko) * 2011-05-26 2012-12-0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커튼장치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07442B1 (ko) * 2015-11-30 2017-02-17 주식회사 서연이화 차량용 도어 커튼 장치
KR20180054270A (ko) 2016-11-15 2018-05-2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투과율 가변구조를 갖는 도어커튼 장치
US10406892B2 (en) 2016-11-15 2019-09-10 Hyundai Motor Company Door curtain device having transmissivity variation structure
KR20210074726A (ko) 2019-12-12 2021-06-2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노브가 회전되는 도어 커튼의 쉐이드바 및 이를 구비한 도어 커튼 어셈블리
KR20210075736A (ko) 2019-12-13 2021-06-2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웨이트를 이용하여 패브릭을 감는 도어 커튼 어셈블리
KR20210100968A (ko) 2020-02-07 2021-08-1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서브 커튼을 구비한 도어 커튼 어셈블리
US11697328B2 (en) 2020-02-07 2023-07-11 Hyundai Motor Company Door curtain assembly having sub-curtain unit
KR20220009054A (ko) 2020-07-15 2022-01-2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상단 거치식 차량의 도어 커튼 어셈블리, 차량의 도어 커튼 어셈블리의 전개 방법 및 권취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53428B1 (ko) 2019-12-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50019470A (ko) 차량용 도어커튼
JP5612487B2 (ja) 駆動ユニットを有する家具駆動装置
KR20140107570A (ko) 트레이닝용 구속 장치
TWM478628U (zh) 汽車捲簾裝置
JP4355741B2 (ja) ロールスクリーン装置
TWM478627U (zh) 汽車捲簾裝置
TW201412265A (zh) 用於提包的提帶之捲動裝置
JP2015508134A (ja) 長尺材料の回転軸捲回引出装置
CN105072953A (zh) 家具驱动装置
CN106032136A (zh) 卷收器、安全带卷绕装置及安全带卷绕控制方法
US1885400A (en) Curtain roller
CN114135112B (zh) 一种高空作业安全带固定装置
KR20120051365A (ko) 롤러 블라인드의 샤프트
JP2013174124A (ja) 振動減衰駆動装置を備えた日除け
JP2013063219A (ja) ワイヤー伸縮速度調整装置及びそれを用いたワイヤー伸縮装置、昇降物干し装置
CN204873082U (zh) 卷绕机上收卷辊的刹停机构
JP5188375B2 (ja) 引戸装置
CN214059473U (zh) 放线装置与加工设备
KR200474523Y1 (ko) 롤스크린의 감속장치
CN220621703U (zh) 具有防坠保持机构的顶棚帘
JP2020015566A (ja) 線状体引出し装置
KR20120131597A (ko) 차량용 커튼장치
CN211296374U (zh) 适用于管状电机重型安装支架
JP3096454U (ja) ロールスクリーン
JP2007291646A (ja) ロールブラインドのストッパー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