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18794A - 다이아프램 및 다이아프램 밸브 - Google Patents

다이아프램 및 다이아프램 밸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18794A
KR20150018794A KR1020147032917A KR20147032917A KR20150018794A KR 20150018794 A KR20150018794 A KR 20150018794A KR 1020147032917 A KR1020147032917 A KR 1020147032917A KR 20147032917 A KR20147032917 A KR 20147032917A KR 20150018794 A KR20150018794 A KR 2015001879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aphragm
projection
downward
protrusion
he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70329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51767B1 (ko
Inventor
?지 오바라
요시노리 시모무라
마사히코 소가오
게이고 고바야시
Original Assignee
가부시끼가이샤후지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끼가이샤후지킨 filed Critical 가부시끼가이샤후지킨
Publication of KR201500187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1879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517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517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JPISTONS; CYLINDERS; SEALINGS
    • F16J3/00Diaphragms; Bellows; Bellows pistons
    • F16J3/02Diaphrag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7/00Diaphragm valves or cut-off apparatus, e.g. with a member deformed, but not moved bodily, to close the passage ; Pinch valves
    • F16K7/12Diaphragm valves or cut-off apparatus, e.g. with a member deformed, but not moved bodily, to close the passage ; Pinch valves with flat, dished, or bowl-shaped diaphragm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43/00Machines, pumps, or pumping installations having flexible working members
    • F04B43/0009Special features
    • F04B43/0054Special features particularities of the flexible memb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27/00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F16K27/02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of lift valves
    • F16K27/0236Diaphragm cut-off apparatu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02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12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actuated by fluid
    • F16K31/122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actuated by fluid the fluid acting on a piston
    • F16K31/1221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actuated by fluid the fluid acting on a piston one side of the piston being spring-load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7/00Diaphragm valves or cut-off apparatus, e.g. with a member deformed, but not moved bodily, to close the passage ; Pinch valves
    • F16K7/12Diaphragm valves or cut-off apparatus, e.g. with a member deformed, but not moved bodily, to close the passage ; Pinch valves with flat, dished, or bowl-shaped diaphragm
    • F16K7/126Diaphragm valves or cut-off apparatus, e.g. with a member deformed, but not moved bodily, to close the passage ; Pinch valves with flat, dished, or bowl-shaped diaphragm the seat being formed on a rib perpendicular to the fluid lin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iaphragms And Bellows (AREA)
  • Sealing Devices (AREA)

Abstract

(과제) 고무 재료만으로 이루어진 단층 구조이면서, 반복의 승강에 수반하여 실링성의 저하나 균열의 발생이 일어나기 어렵고, 경제적이고 또한 내구성이 우수한 다이아프램 및 이 다이아프램을 구비한 다이아프램 밸브를 제공하는 것.
(해결 수단) 다이아프램 밸브에 장착되는 다이아프램으로서, 고무 재료로 이루어진 단층 구조이고, 유로의 개폐에 따라 변형하여 승강하는 막부와 상기 막부의 주위에 설치되어 밸브 바디와 보닛 사이에 협지되는 플랜지부를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플랜지부에는 원환상 돌기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돌기는 위쪽으로 돌출하는 상방 돌기와 상기 상방 돌기에 대응하는 위치로부터 아래쪽으로 돌출하는 하방 돌기로 이루어지며, 상기 상방 돌기는 내측 상방 돌기와 이 내측 상방 돌기보다 돌출 높이가 낮은 외측 상방 돌기가 계단상으로 연속하여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이아프램으로 한다.

Description

다이아프램 및 다이아프램 밸브{Diaphragm and Diaphragm Valve}
본 발명은 다이아프램 및 다이아프램 밸브에 관한 것이며, 보다 상세하게는, 다이어프램 밸브의 유로 개폐의 반복에 기인하는 실링성의 저하나 균열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는 고내구성 다이어프램 및 다이어프램 밸브에 관한 것이다.
종래, 다이아프램 밸브에 장착되는 다이아프램으로서는 PTFE 등으로 이루어진 합성수지막과 EPDM이나 FPM 등으로 이루어진 고무 막과의 2층 구조로 이루어진 것이 알려져 있다. (예를 들면, 하기 특허문헌 1 참조)
도 8은 2층 구조의 다이아프램의 일례를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이 다이아프램은 PTFE 등으로 이루어진 합성수지막(A)의 위쪽에 EPDM이나 FPM 등으로 이루어진 고무 막(B)이 적층된 2층 구조를 가지고 있다.
합성수지막(A)의 외연 근방에는, 다이아프램 밸브에 대한 장착 시, 가이드의 역할을 하는 원환상 돌기가 설치되어 있다. 이 돌기는 위쪽으로 돌출하는 상방 돌기(C)와 상방 돌기에 대응하는 위치로부터 아래쪽으로 돌출하는 하방 돌기(D)로 이루어진다. 하방 돌기(D)의 안쪽에는 홈(E)을 사이에 두고 밸브 바디에 밀접하여 실링성을 확보하기 위한 하부 실링 돌기(F)가 설치되어 있다.
고무 막(B)은 합성수지막(A)의 상방 돌기(C) 안쪽에 적층되어 있으며, 이의 외연부(外緣部)에는 보닛에 밀접하여 실링성을 확보하기 위한 상부 실링 돌기(G)가 설치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2층 구조의 다이아프램은 단층 구조의 다이아프램에 비하면, 부재의 점수(點數)가 많아지고, 제조 공정 수가 증가하여 제조 비용의 상승을 초래한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PTFE 막은 고무 막에 비하여 유연성이 부족하기 때문에, 이물(異物)의 끼임이 발생하면, 실링성이 크게 저하한다고 하는 문제도 있었다.
한편, 고무 재료만으로 이루어진 단층 구조의 다아이프램의 경우, 상기 문제가 발생하지 않지만, 내구성이 낮아진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예를 들면, 만약 도 8에 나타낸 형상의 다이아프램을 고무 재료만으로 이루어진 단층 구조로 한 경우, 밸브 바디와 보닛 사이에서 다이아프램의 주연부를 죄어서 고정했을 때, PTFE 층을 구비하는 2층 구조의 다이아프램에 비하여 크게 압축 변형한다. 이때, 상부 실링 돌기(G)가 붙어 있는 내측 부분(H) 및 외측 부분(I)에는, 보닛의 아랫면에 형성된 상부 실링 돌기(G)가 꼭 끼이는 홈의 에지가 당접(當接)하여 큰 응력이 가해진다.
이 때문에, 유로 개폐를 위하여 다이아프램을 반복 승강시키면, 이들 부분(H), (I)을 기점으로 하여 단기간에 균열이 발생해버린다.
특허문헌 1: 일본 특허공보 제4232939호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고무 재료만으로 이루어진 단층 구조이면서, 반복 승강에 수반하여 실링성의 저하 및 균열의 발생이 일어나기 어렵고, 경제적이고 또한 내구성이 우수한 다이아프램 및 이 다이아프램을 구비한 다이아프램 밸브를 제공하는 것이다.
청구항 1에 관한 발명은, 다이아프램 밸브에 장착되는 다이아프램으로서, 고무 재료로 이루어진 단층 구조이고, 유로의 개폐에 따라 변형하여 승강하는 막부와 상기 막부의 주위에 설치되어 밸브 바디와 보닛 사이에 협지되는 플랜지부를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플랜지부에는, 원환상 돌기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돌기는 위쪽으로 돌출하는 상방 돌기와 상기 상방 돌기에 대응하는 위치로부터 아래쪽으로 돌출하는 하방 돌기로 이루어지며, 상기 상방 돌기는 내측 상방 돌기와 이 내측 상방 돌기보다 돌출 높이가 낮은 외측 상방 돌기가 계단상으로 연속하여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이아프램에 관한 것이다.
청구항 2에 관한 발명은, 상기 내측 상방 돌기의 내측 근방부의 높이가 상기 외측 상방 돌기의 높이보다 낮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1 기재의 다이아프램에 관한 것이다.
청구항 3에 관한 발명은, 상기 하방 돌기는, 내측 하방 돌기와 이 내측 하방 돌기보다 돌출 높이가 높은 외측 하방 돌기가 계단상으로 연속하여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1 또는 2 기재의 다이아프램에 관한 것이다.
청구항 4에 관한 발명은, 상기 내측 하방 돌기의 높이가 상기 외측 하방 돌기의 외측 근방부의 높이보다 높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3 기재의 다이아프램에 관한 것이다.
청구항 5에 관한 발명은, 두께 방향의 대략 중간 위치에 보강포(補强布)가 내재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1 내지 4 중 어느 한 항에 기재한 다이아프램에 관한 것이다.
청구항 6에 관한 발명은, 상기 보강포가 나일론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5 기재의 다이아프램에 관한 것이다.
청구항 7에 관한 발명은, 표면이 수지 필름으로 박막상으로 피막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1 내지 4 중 어느 한 항에 기재한 다이아프램에 관한 것이다.
청구항 8에 관한 발명은, 청구항 1 내지 7 중 어느 한 항에 기재한 다이아프램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이아프램 밸브에 관한 것이다.
청구항 1에 관한 발명에 의하면, 고무 재료로 이루어진 단층 구조의 다이아프램에 있어서, 플랜지부에 설치된 원환상 돌기의 상방 돌기가 내측 상방 돌기와 이 내측 상방 돌기보다 돌출 높이가 낮은 외측 상방 돌기가 계단상으로 연속하여 형성되어 있는 구조를 갖고 있기 때문에, 외측 상방 돌기가 내측 상방 돌기의 변형을 억제할 수 있다. 그 때문에, 내측 상방 돌기에 응력 완화가 발생하여 실링성이 저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 결과, 고무 재료로 이루어진 단층 구조의 다이아프램임에도 불구하고 내구성이 우수한 다이아프램을 얻을 수 있다.
청구항 2에 관한 발명에 의하면, 내측 상방 돌기의 내측 근방부의 높이가 외측 상방 돌기의 높이보다 낮아서, 내측 상방 돌기가 붙어 있는 부분에 큰 응력이 가해지는 것이 방지된다. 그 때문에, 내측 상방 돌기가 붙어 있는 부분을 기점으로 하여 단기간에 균열이 발생하는 것이 방지되어, 보다 한층 내구성이 우수한 다이아프램을 얻을 수 있다.
청구항 3에 관한 발명에 의하면, 하방 돌기가, 내측 하방 돌기와 이 내측 하방 돌기보다 돌출 높이가 높은 외측 하방 돌기가 계단상으로 연속하여 형성되어 있어서, 실링 면으로서 기능하는 내측 하방 돌기를 밸브 바디에 대하여 넓은 면적으로 확실하게 밀접시키는 것이 가능해져서 실링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청구항 4에 관한 발명에 의하면, 상기 내측 하방 돌기의 높이가 상기 외측 하방 돌기의 외측 근방부의 높이보다 높아서, 실링 면으로서 기능하는 내측 하방 돌기를 밸브 바디에 대하여 높은 압력으로 밀접시키는 것이 가능해져서 실링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청구항 5에 관한 발명에 의하면, 두께 방향의 대략 중간 위치에 보강포가 내재되어 있어서, 보강포에 의한 보강 효과가 충분히 발휘되어 우수한 내구성을 갖는 다이아프램을 얻을 수 있다.
청구항 6에 관한 발명에 의하면, 상기 보강포가 나일론으로 구성되므로, 보강포에 의한 높은 보강 효과가 발휘되어 대단히 우수한 내구성을 갖는 다이아프램을 얻을 수 있다.
청구항 7에 관한 발명에 의하면, 표면이 수지 필름으로 박막상으로 피막되어 있어서, 수지 필름에 의한 보강 효과가 발휘되어 우수한 내구성을 갖는 다이아프램을 얻을 수 있다.
청구항 8에 관한 발명에 의하면, 청구항 1 내지 7 중 어느 한 항에 기재한 다이아프램을 구비하고 있는 다이아프램 밸브이기 때문에, 다이아프램 밸브의 유로 개폐의 반복에 기인하는 실링성의 저하나 균열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는, 경제적이고 또한 우수한 내구성을 갖는 다이아프램을 구비한 다이아프램 밸브가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관한 다이아프램을 나타내는 도면으로, 도 1a는 평면도, 도 1b는 A-A선 단면도(端面圖), 도 1c는 저면도(底面圖)이다.
도 2a는 도 1b의 원내 확대도이고, 도 2b는 이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관한 다이아프램 및 이 다이아프램을 위쪽으로부터 누르는 보닛의 부분 확대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관한 다이아프램을 구비한 다이아프램 밸브를 나타내는 평면도(조립 상태, 유로 전개 상태, 유로 전폐 상태에 공통하는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관한 다이아프램을 구비한 다이아프램 밸브의 조립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으로, 도 5a는 도 4의 A-A선 단면도, 도 5b는 도 4의 B-B선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관한 다이아프램을 구비한 다이아프램 밸브의 유로 전개(全開)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으로, 도 6a는 도 4의 A-A선 단면도, 도 6b는 도 4의 B-B선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관한 다이아프램을 구비한 다이아프램 밸브의 유로 전폐(全閉)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으로, 도 7a는 도 4의 A-A선 단면도, 도 7b는 도 4의 B-B선 단면도이다.
도 8은 종래의 2층 구조의 다이아프램의 일례를 나타내는 종단면도(縱斷面圖)이다.
이하, 본 발명에 관한 다이아프램 및 다이아프램 밸브의 적절한 실시형태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관한 다이아프램을 나타내는 도면으로, 도 1a는 평면도, 도 1b는 A-A선 단면도, 도 1c는 저면도이다. 도 2a는 도 1b의 원내 확대도, 도 2b는 이의 변경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에 관한 다이아프램(1)은 다이아프램 밸브의 유로의 개폐에 따라 변형하여 승강하는 평면도 상으로 보아 원형상인 막부(2)와 이 막부(2)의 주위에 설치되어 다이아프램 밸브의 밸브 바디와 보닛 사이에 협지되는 플랜지부(3)를 구비하고 있다.
본 발명에 관한 다이아프램(1)은 고무 재료로 이루어진 단층 구조의 다이아프램이다. 고무 재료로서는 천연 고무, 니트릴 고무, 스티렌 고무, 불소 고무(FPM), 에틸렌 프로필렌 고무(EPDM) 등이 적절하게 사용 가능하지만, 특히 에틸렌 프로필렌 고무(EPDM)가 적절하게 사용된다.
다이아프램(1)의 플랜지부(3)에는 원환상 돌기(31)와 원환상 돌기(31)를 종단하는 종단 돌기(32)가 설치되어 있다.
원환상 돌기(31)는 위쪽으로 돌출하는 상방 돌기(311)와 다이아프램의 반경 방향에서 상방 돌기(311)에 대응하는 위치로부터 아래쪽으로 돌출하는 하방 돌기(312)로 이루어진다. 또한, 종단 돌기(32)는 아래쪽으로만 돌출하고 있다.
상방 돌기(311)는 내측 상방 돌기(311a)와 이 내측 상방 돌기(311a)보다 돌출 높이가 낮은 외측 상방 돌기(311b)가 계단상으로 연속하여 형성되어 있다.
이로써, 외측 상방 돌기(311b)가 내측 상방 돌기(311a)의 변형을 억제하고, 내측 상방 돌기(311a)에 응력 완화가 발생하여, 실링성이 저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 결과, 내구성이 우수한 다이아프램을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 「높이」는 다이아프램의 윗면에서는 「보다 위쪽에 있는 부분만큼 높은」으로 정의하고, 다이아프램의 아랫면에서는 「보다 아래쪽에 있는 부분만큼 높은」으로 정의한다.
내측 상방 돌기(311a)의 내측 근방부(313)의 높이는 외측 상방 돌기(311b)의 높이보다 낮게 형성되어 있다.
이로써, 내측 상방 돌기(311a)가 붙어 있는 내측 근방부(313)의 부분(P)에 큰 응력이 가해지는 것이 방지된다. 이 때문에, 내측 상방 돌기가 붙어 있는 부분(P)을 기점으로 하여 단기간에 균열이 발생하는 것이 방지되어, 보다 한층 내구성이 우수한 다이아프램을 얻을 수 있다.
이하, 위에서 설명한 다이아프램의 균열 발생에 관하여, 도 3 등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이아프램(1)을 다이아프램 밸브에 장착한 상태(도 5 내지 도 7 참조)에 있어서, 다이아프램(1)의 윗면은 보닛(6)에 의해 꽉 눌려진다.
보닛(6)의 다이아프램(1)과 당접하는 아랫면에는, 도 3의 원 안에 나타낸 바와 같이, 내측 상방 돌기(311a)가 꼭 맞는 위치 맞추기용 홈이 설치된다. 이 홈의 내측 에지 부분(61)이 다이아프램(1)의 내측 상방 돌기(311a)가 붙어 있는 내측 부분(P)에 당접함으로써, 다이아프램의 변형 시에 내측 상방 돌기가 붙어 있는 내측 부분(P)에 큰 응력이 걸려서 균열 발생의 기점이 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내측 상방 돌기(311a)의 내측 근방부(313)의 높이가 외측 상방 돌기(311b)의 높이보다 낮게 형성되어 있음으로써, 위치 맞추기용 홈의 에지 부분(61)이 내측 상방 돌기(311a)가 붙어 있는 부분(P)에 당접하지 않아서, 내측 상방 돌기가 붙어 있는 부분(P)을 기점으로 하는 균열 발생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내측 상방 돌기(311a)가 붙어 있는 내측 부분(P)은 내측 상방 돌기(311a)로부터 내측 근방부(313)를 향하여 서서히 높이가 낮아지도록 형성할 수도 있고(도 2a 참조), 내측 상방 돌기(311a)로부터 내측 근방부(313)를 향하여 일단 낮아지고 나서 높아지도록 움푹 들어가게 하여 형성할 수도 있다(도 2b 참조).
하방 돌기(312)는 내측 하방 돌기(312a)와 이 내측 하방 돌기(312a)보다 돌출 높이가 높은 외측 하방 돌기(312b)가 계단상으로 연속하여 형성되어 있다. 이로써, 실링 면으로서 기능하는 내측 하방 돌기(312a)를 밸브 바디(5)에 대하여 넓은 면적으로 확실하게 밀접시키는 것이 가능해져서 실링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내측 하방 돌기(312a)의 돌출 높이는 외측 하방 돌기(312b)의 외측 근방부(314)의 높이보다 높게 형성되어 있다.
이로써, 실링 면으로서 기능하는 내측 하방 돌기(312a)를 밸브 바디(5)에 대하여 높은 압력으로 밀접시키는 것이 가능해져서 실링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관한 다이아프램(1)은 막부(2)의 변형 전의 형상에도 특징을 가지고 있다.
여기서, 「변형 전의 형상」이란, 다이아프램을 다이아프램 밸브에 장착하기 전의 상태의 형상이고, 환언하면, 다이아프램의 금형 성형 시에 있어서의 형상이다. 도 1, 도 2 및 도 5는 변형 전의 형상을 나타내고 있다.
본 발명에 관한 다이아프램(1)은 막부(2)의 아랫면의 변형 전의 형상이 외연부(21)로부터 중심부(22)를 향하여 하강하고 나서 상승하는 곡면으로 형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막부(2)의 아랫면은, 도 1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외연부(21)와 중심부(22) 사이의 중간부(23)에서 가장 아래쪽에 위치하고, 외연부(21)로부터 중간부(23)를 향하여 하강하는 곡면상(제1 곡면(I)이라고 한다)으로 형성되며, 중간부(23)로부터 중심부(22)를 향하여 상승하는 곡면상(제2 곡면(II)이라고 한다)으로 형성되어 있다. 환언하면, 다이아프램(1)의 아랫면은 종단면 형상이 대략 W자상으로 연속하는 곡선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제1 곡면(I)과 제2 곡면(II)은 연속하고 있다. 중심부(22)에는, 이후에서 설명하는 종단 돌기(32)가 형성되어 있다. 제1 곡면(I)은 외연부(21)로부터 중간부(23)를 향하여 하강하고 있다. 제2 곡면(II)은 중간부(23)로부터 안쪽(중심 방향)을 향하여 상승하여 종단 돌기(32)에 도달한 후, 종단 돌기(32)에서 중심부(22)를 향하여 하강하고 있다.
제2 곡면(II)은 중심부(22) 이외는 중간부(23)보다 위쪽 방향 위치에 있고, 중심부(22)는 중간부(23)와 상하 방향 위치가 대략 동일하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하 방향이란, 다이아프램 밸브의 스템 축을 따르는 방향이고, 상방향이란, 다이아프램 밸브의 스템과 연결되는 금속 행거(4)가 돌출하는 방향(도 1b에서의 위쪽 방향)이며, 하방향이란, 그의 역방향(도 1b에서의 아래쪽 방향)이다.
도 4 내지 도 7은 본 발명에 관한 다이아프램(1)을 구비한 다아이프램 밸브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다아이프램 밸브의 평면도(조립 상태, 유로 전개 상태, 유로 전폐 상태에 공통하는 평면도)이다. 도 5 내지 도 7은 각각 본 발명에 관한 다이아프램을 구비한 다이아프램 밸브의 조립 상태(도 5), 유로 전개 상태(도 6), 유로 전폐 상태(도 7)를 나타내는 도면으로, 각 도면에 있어서 (a)는 도 4의 A-A선 단면도, (b)는 도 4의 B-B선 단면도이다.
다이아프램 밸브는, 유체가 유통하는 유로를 구비한 밸브 바디(5), 유로에 대하여 당접 이반(當接離反)함으로써 유로를 개폐하는 다이아프램(1), 밸브 바디(5)와의 사이에서 다이아프램(1)의 플랜지부(3)를 협지 고정하는 보닛(6), 다이아프램(1)에 대하여 금속 행거(4)를 통하여 접속된 스템(7), 스템(7)을 승강시키기 위한 조작 기구(8)를 구비하고 있다.
조작 기구(8)는, 도 4 내지 도 7에서는 공압식 액츄에이터(pneumatic actuator)가 도시되어 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으며, 수동식 핸들 등일 수도 있다.
본 발명에 관한 다이아프램(1)은 막부(2)의 아랫면의 변형 전의 형상이 외연부(21)로부터 중심부(22)를 향하여 하강하고 나서 상승하는 곡면으로 형성되어 있는 형상이어서, 도 5 내지 도 7로부터 이해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종래의 아래쪽 방향 또는 위쪽 방향만으로 만곡한 형상을 갖는 다이아프램에 비하여 다이아프램(1)의 승강에 따르는 막부(2)의 변형량이 적어진다.
이 때문에, 다이아프램 밸브의 개폐 조작을 반복해도 다이아프램(1)에 균열이 발생하기 어려워져서, 내구성이 우수한 다이아프램을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에 관한 다이아프램(1)은, 도 1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막부(2)의 아랫면의 최상부 위치는 막부(2)의 외연부(21)에 있고, 최하부 위치는 외연부(21)와 중심부(22) 사이의 중간부(23)에 있다.
여기서, 막부(2)의 아랫면의 최상부 위치와 최하부 위치의 상하 방향 거리(L)가 막부(2)의 직경(D)에 대하여 1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막부(2)의 직경(D)은 보닛(6)의 다이아프램(1) 윗면에 당접하는 부분의 내부 직경과 동일하다.
이와 같이, 막부 전체로서의 만곡의 정도를 작게 설정(10% 이하로 한다)함으로써, 다이아프램(1)의 승강에 수반하는 막부(2)의 변형량이 대단히 적어져서 내구성의 향상 효과를 확실하게 얻는 것이 가능해진다.
다만, 만곡의 정도가 지나치게 작아지면, 유로의 개폐를 확실하게 수행하는 것이 곤란해질 우려가 있기 때문에, 거리(L)를 직경(D)에 대하여 5 내지 10%의 범위로 설정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직경(D)이 φ54㎜일 때, 거리(L)는 약 5㎜로 설정된다.
다이아프램(1)의 두께 방향의 대략 중간 위치에는 다이아프램(1)의 형상에 대략 따르도록 보강포(9)가 내재되어 있다. 보강포(9)는 파선(破線)으로 표시되어 있다.
본 발명에 관한 다이아프램(1)은, 상기한 바와 같이, 종래의 다이아프램에 비하여 만곡이 작기 때문에, 금형 성형 시에 있어서, 다이아프램의 형상에 따라 두께 방향의 대략 중간 위치에 보강포(9)를 넣는 것이 용이해진다. 그 때문에, 보강포에 의한 보강 효과가 확실하게 발휘되어 우수한 내구성의 향상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보강포(9)의 재질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탄소 섬유, 합성 수지, 금속, 탄소 섬유 등을 사용할 수 있는데, 다이아프램의 반복 변형에 대한 내구성이 우수한 나일론을 적합하게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내구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다이아프램 표면을 수지 필름으로 박막상으로 피막할 수도 있다. 수지 필름으로는 PTFE제 필름을 적합하게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다이아프램(1)의 막부(2)의 변형 전의 형상(만곡 형상)은 도시예의 것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한, 공지의 다양한 형상의 것을 적절하게 채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다이아프램 밸브는 도시예와 같은 유로 내에서 밸브 시트가 융기하고 있는 웨어형 다이아프램 밸브에 한정되지 않으며, 융기한 밸브 시트를 갖지 않는 다이아프램 밸브일 수도 있다.
본 발명은 예를 들면 미생물의 배양 장치에 있어서 샘플링 배관이나 공급액 배관 등의 개폐에 이용되는 다이아프램 밸브에 대하여 적절하게 이용된다.
1: 다이아프램
2: 막부
3: 플랜지부
31: 원환상 돌기
32: 종단 돌기
311: 상방 돌기
311a: 내측 상방 돌기
311b: 외측 상방 돌기
312: 하방 돌기
312a: 내측 하방 돌기
312b: 외측 하방 돌기
313: 내측 상방 돌기의 내측 근방부
314: 외측 근방부
5: 밸브 바디
6: 보닛
7: 스템
8: 조작 기구

Claims (8)

  1. 다이아프램 밸브에 장착되는 다이아프램으로서,
    고무 재료로 이루어진 단층 구조이고,
    유로의 개폐에 따라 변형하여 승강하는 막무(膜部)와 상기 막부의 주위에 설치되어 밸브 바디와 보닛 사이에 협지되는 플랜지부를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플랜지부에는, 원환상의 돌기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돌기는 위쪽으로 돌출하는 상방 돌기와 상기 상방 돌기에 대응하는 위치로부터 아래쪽으로 돌출하는 하방 돌기로 이루어지며,
    상기 상방 돌기는 내측 상방 돌기와 이 내측 상방 돌기보다 돌출 높이가 낮은 외측 상방 돌기가 계단상으로 연속하여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이아프램.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내측 상방 돌기의 내측 근방부의 높이가 상기 외측 상방 돌기의 높이보다 낮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이아프램.
  3. 청구항 1 또는 2에 있어서, 상기 하방 돌기는, 내측 하방 돌기와 이 내측 하방 돌기보다 돌출 높이가 높은 외측 하방 돌기가 계단상으로 연속하여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이아프램.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내측 하방 돌기의 높이가 상기 외측 하방 돌기의 외측 근방부의 높이보다 높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이아프램.
  5. 청구항 1 내지 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두께 방향의 대략 중간 위치에 보강포가 내재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이아프램.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보강포가 나일론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이아프램.
  7. 청구항 1 내지 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표면이 수지 필름으로 박막상으로 피막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이아프램.
  8. 청구항 1 내지 7 중 어느 한 항에 따르는 다이아프램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이아프램 밸브.
KR1020147032917A 2012-05-30 2013-03-21 다이아프램 및 다이아프램 밸브 KR10165176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2123792A JP5964139B2 (ja) 2012-05-30 2012-05-30 ダイヤフラム及びダイヤフラム弁
JPJP-P-2012-123792 2012-05-30
PCT/JP2013/058018 WO2013179738A1 (ja) 2012-05-30 2013-03-21 ダイヤフラム及びダイヤフラム弁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18794A true KR20150018794A (ko) 2015-02-24
KR101651767B1 KR101651767B1 (ko) 2016-08-26

Family

ID=496729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32917A KR101651767B1 (ko) 2012-05-30 2013-03-21 다이아프램 및 다이아프램 밸브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9423037B2 (ko)
JP (1) JP5964139B2 (ko)
KR (1) KR101651767B1 (ko)
CN (1) CN104471290B (ko)
TW (1) TWI498499B (ko)
WO (1) WO201317973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791235B (zh) * 2014-01-16 2018-10-26 蔡应麟 隔膜增压泵的减震方法
CN105089987B (zh) * 2014-05-20 2019-04-02 佛山市三角洲电器科技有限公司 五增压腔隔膜泵的减震构造与摆轮结构
US10920763B2 (en) * 2016-09-01 2021-02-16 Wanner Engineering, Inc. Diaphragm with edge seal
CN106641406A (zh) * 2016-12-06 2017-05-10 常熟市虞菱机械有限责任公司 一种叠加式阀门气动驱动装置
DE102016124805B4 (de) * 2016-12-19 2023-02-16 Bürkert Werke GmbH Membranventil
DE202017100281U1 (de) * 2017-01-19 2018-04-25 Neoperl Gmbh Membranventil
CA3097351A1 (en) 2018-04-18 2019-10-24 Wanner Engineering, Inc. Device for protecting a diaphragm pump from pressure differential
US20190323625A1 (en) 2018-04-23 2019-10-24 Rain Bird Corporation Valve With Reinforcement Ports And Manually Removable Scrubber
GB2579364B (en) * 2018-11-29 2021-08-18 Kapitex Healthcare Ltd An improved speaking valve
CN111328368A (zh) * 2019-01-23 2020-06-23 李相璇 塑料阀门
JP7240718B2 (ja) * 2019-03-25 2023-03-16 株式会社フジキン ダイヤフラム弁
CN113646562A (zh) * 2019-03-29 2021-11-12 株式会社富士金 隔膜及隔膜阀
WO2021144060A1 (de) * 2020-01-14 2021-07-22 Gemü Gebr. Müller Apparatebau Gmbh & Co. Kommanditgesellschaft Membran und membranventil
EP4257825A1 (en) * 2022-04-06 2023-10-11 Goodrich Corporation Diaphragm
JP7128379B1 (ja) 2022-05-16 2022-08-30 日本ダイヤバルブ株式会社 ダイヤフラム及びダイヤフラム弁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32939B2 (ja) * 1983-12-29 1990-07-24 Toshiba Seramitsukusu Kk Keejigatamiru
JPH04232939A (ja) 1990-06-04 1992-08-21 Minnesota Mining & Mfg Co <3M> 熱写真材料
JPH07208623A (ja) * 1994-01-13 1995-08-11 Kiyohara Masako 高密封性の流体制御器
JP2004263576A (ja) * 2003-02-18 2004-09-24 Tadahiro Omi 真空排気系用のダイヤフラム弁
JP2009036304A (ja) * 2007-08-01 2009-02-19 Kurashiki Kako Co Ltd ダイヤフラム

Family Cites Families (2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725211A (en) * 1951-01-16 1955-11-29 Grinnell Corp Diaphragm valve
US2684829A (en) * 1951-03-07 1954-07-27 Hills Mccanna Co Valve diaphragm
US2840339A (en) * 1953-05-13 1958-06-24 Saunders Valve Co Ltd Diaphragm valves and diaphragms therefor
US2855176A (en) * 1954-04-28 1958-10-07 Grinnell Corp Diaphragm valves
US2988322A (en) * 1955-01-25 1961-06-13 Hills Mccanna Co Diaphragm valve
US3011758A (en) * 1958-05-01 1961-12-05 Hills Mccanna Co Valve diaphragms
US3067764A (en) * 1960-04-27 1962-12-11 Ladish Co Diaphragm valves
JPS6229166A (ja) 1985-07-29 1987-02-07 Oki Electric Ind Co Ltd 薄膜トランジスタ
JPH0663568B2 (ja) * 1986-03-25 1994-08-22 藤倉ゴム工業株式会社 ダイヤフラム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H0435644Y2 (ko) * 1987-02-28 1992-08-24
US5062455A (en) * 1989-08-25 1991-11-05 A. O. Smith Corporation Pressure vessel with diaphragm compression seal
JPH0437468A (ja) 1990-05-31 1992-02-07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半田付け装置
JPH0596630U (ja) * 1992-06-03 1993-12-27 光洋精工株式会社 オイルプレッシャスイッチ用ダイヤフラム
DE4325749C1 (de) 1993-07-31 1995-02-16 Zueblin Ag Schweißvorrichtung zum Verschweißen eines Schweißprofils in einer Schweißnut
NL9500406A (nl) 1995-03-02 1996-10-01 Asco Controls Bv Gasklep en werkwijze voor het geven van een gaspuls.
JPH10318368A (ja) 1997-05-20 1998-12-04 Nok Corp ダイアフラム
IL125196A (en) * 1998-07-02 2001-06-14 Rafael Magofim 1975 Ltd Hydraulic diaphragm-actuated valve
DE19983651B4 (de) * 1998-10-15 2008-04-10 Kabushiki Kaisha Fujikin Fluidsteuerung
JP3686007B2 (ja) * 2001-04-23 2005-08-24 株式会社巴技術研究所 バタフライバルブの弁体の製造方法
JP5144880B2 (ja) * 2004-10-29 2013-02-13 サーパス工業株式会社 流量調整弁
JP2007208623A (ja) * 2006-02-01 2007-08-16 Sony Corp 光伝送システム、信号伝送装置、光伝送方法、信号伝送装置の制御方法、制御プログラム
DE602006012235D1 (de) * 2006-09-18 2010-03-25 Alberto Lodolo Servobetätigtes ventil
RU2009118912A (ru) * 2006-10-20 2010-11-27 Тайко Файэр Продактс Лп (Us) Клапан для системы управления текучей средой и способ управления им
JP5064903B2 (ja) * 2007-06-21 2012-10-31 Ckd株式会社 流体制御弁
JP4949984B2 (ja) 2007-09-18 2012-06-13 日立建機株式会社 建設機械
US9239119B2 (en) * 2009-11-09 2016-01-19 Goyen Controls Co. Pty. Ltd. Diaphragm and diaphragm valve
JP5369037B2 (ja) * 2010-03-29 2013-12-18 Nok株式会社 ダイアフラム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32939B2 (ja) * 1983-12-29 1990-07-24 Toshiba Seramitsukusu Kk Keejigatamiru
JPH04232939A (ja) 1990-06-04 1992-08-21 Minnesota Mining & Mfg Co <3M> 熱写真材料
JPH07208623A (ja) * 1994-01-13 1995-08-11 Kiyohara Masako 高密封性の流体制御器
JP2004263576A (ja) * 2003-02-18 2004-09-24 Tadahiro Omi 真空排気系用のダイヤフラム弁
JP2009036304A (ja) * 2007-08-01 2009-02-19 Kurashiki Kako Co Ltd ダイヤフラ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3179738A1 (ja) 2013-12-05
KR101651767B1 (ko) 2016-08-26
TW201402978A (zh) 2014-01-16
JP5964139B2 (ja) 2016-08-03
CN104471290B (zh) 2016-08-24
JP2013249867A (ja) 2013-12-12
US20150167853A1 (en) 2015-06-18
TWI498499B (zh) 2015-09-01
CN104471290A (zh) 2015-03-25
US9423037B2 (en) 2016-08-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51767B1 (ko) 다이아프램 및 다이아프램 밸브
JP5964140B2 (ja) ダイヤフラム及びダイヤフラム弁
US9175779B2 (en) Diaphragm valve
EP0918181B1 (en) Metal diaphragm-type valve
JP2006090386A (ja) ダイヤフラムバルブ
US9046180B2 (en) Diaphragm and backing cushion shaping for increased membrane life
KR20150120374A (ko) 듀얼 포인트 시일을 갖는 다이아프램과, 플로팅 다이아프램 웹
CN113646562A (zh) 隔膜及隔膜阀
KR20190039025A (ko) 다이아프램 밸브와 반도체 제조 장치용 유량 제어 기기
US6997440B2 (en) Packless valve apparatus
JP4813338B2 (ja) 容器のキャップとこれに用いるパッキン
KR101321592B1 (ko) 기밀 성능의 개선을 위한 밸브
JP5364051B2 (ja) 流体制御弁
JP5554621B2 (ja) 流体制御器
JP2017180797A (ja) ダイヤフラム弁
JP5779559B2 (ja) ダイヤフラム弁
JP6262568B2 (ja) ダイヤフラム弁用アクチュエータ及びこのアクチュエータを備えた流体制御器
JP2007278308A (ja) ダイヤフラムバルブ
US20140326347A1 (en) Pressure relief valve for containers suited for the pneumatic loading of loose solid products, in particular silos
JP5682883B2 (ja) 流体制御器
WO2009071217A1 (en) Valve
JP2022096399A (ja) 流体制御器
JP2015197119A (ja) ダイヤフラム弁
CN117189929A (zh) 具有优化的阀座几何结构的阀
WO2003091611A1 (fr) Robinet a membrane metalliqu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29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