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18767A - 다연 밸브 장치 - Google Patents

다연 밸브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18767A
KR20150018767A KR20147025688A KR20147025688A KR20150018767A KR 20150018767 A KR20150018767 A KR 20150018767A KR 20147025688 A KR20147025688 A KR 20147025688A KR 20147025688 A KR20147025688 A KR 20147025688A KR 20150018767 A KR20150018767 A KR 2015001876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il
housing block
pressure
passage
pum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470256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사토루 구보타
미츠히사 도가사키
요시노부 고바야시
히로시 마츠자키
Original Assignee
히다치 겡키 가부시키 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히다치 겡키 가부시키 가이샤 filed Critical 히다치 겡키 가부시키 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500187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1876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5FLUID-PRESSURE ACTUATORS; HYDRAULICS OR PNEUMATICS IN GENERAL
    • F15BSYSTEMS ACTING BY MEANS OF FLUIDS IN GENERAL; FLUID-PRESSURE ACTUATORS, e.g. SERVOMOTORS; DETAILS OF FLUID-PRESSUR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15B13/00Details of servomotor systems ; Valves for servomotor systems
    • F15B13/02Fluid distribution or supply devices characterised by their adaptation to the control of servomotors
    • F15B13/06Fluid distribution or supply devices characterised by their adaptation to the control of servomotors for use with two or more servomotors
    • F15B13/08Assemblies of units, each for the control of a single servomotor only
    • F15B13/0803Modular units
    • F15B13/0832Modular valves
    • F15B13/0842Monoblock type valves, e.g. with multiple valve spools in a common hous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5FLUID-PRESSURE ACTUATORS; HYDRAULICS OR PNEUMATICS IN GENERAL
    • F15BSYSTEMS ACTING BY MEANS OF FLUIDS IN GENERAL; FLUID-PRESSURE ACTUATORS, e.g. SERVOMOTORS; DETAILS OF FLUID-PRESSUR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15B13/00Details of servomotor systems ; Valves for servomotor systems
    • F15B13/02Fluid distribution or supply devices characterised by their adaptation to the control of servomotors
    • F15B13/06Fluid distribution or supply devices characterised by their adaptation to the control of servomotors for use with two or more servomotors
    • F15B13/08Assemblies of units, each for the control of a single servomotor only
    • F15B13/0803Modular units
    • F15B13/0871Channels for flui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27/00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F16K27/003Housing formed from a plurality of the same valve el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5FLUID-PRESSURE ACTUATORS; HYDRAULICS OR PNEUMATICS IN GENERAL
    • F15BSYSTEMS ACTING BY MEANS OF FLUIDS IN GENERAL; FLUID-PRESSURE ACTUATORS, e.g. SERVOMOTORS; DETAILS OF FLUID-PRESSUR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15B2211/00Circuits for servomotor systems
    • F15B2211/20Fluid pressure source, e.g. accumulator or variable axial piston pump
    • F15B2211/205Systems with pumps
    • F15B2211/20576Systems with pumps with multiple pum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5FLUID-PRESSURE ACTUATORS; HYDRAULICS OR PNEUMATICS IN GENERAL
    • F15BSYSTEMS ACTING BY MEANS OF FLUIDS IN GENERAL; FLUID-PRESSURE ACTUATORS, e.g. SERVOMOTORS; DETAILS OF FLUID-PRESSUR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15B2211/00Circuits for servomotor systems
    • F15B2211/70Output members, e.g. hydraulic motors or cylinders or control therefor
    • F15B2211/71Multiple output members, e.g. multiple hydraulic motors or cylinders
    • F15B2211/7142Multiple output members, e.g. multiple hydraulic motors or cylinders the output members being arranged in multiple grou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Valve Housings (AREA)
  • Fluid-Pressure Circuits (AREA)

Abstract

밸브 하우징(12)은, 맞댐면(13B, 14A)의 위치에서 제 1 하우징 블록(13)과 제 2 하우징 블록(14)으로 2분할한다. 제 1 하우징 블록(13)에는, 제 1 유압 펌프(77)에 접속되는 제 1 펌프측의 제 1 오일 통로(69A)와, 제 2 유압 펌프(79)에 접속되는 제 2 펌프측의 제 1 오일 통로(74A)를 설치한다. 제 2 하우징 블록(14)에는, 제 1 유압 펌프(77)에 접속되는 제 1 펌프측의 제 2 오일 통로(69B)와, 제 2 유압 펌프(79)에 접속되는 제 2 펌프측의 제 2 오일 통로(74B)를 설치한다. 상기 제 1 오일 통로(69A)는 상기 제 2 오일 통로(69B)에 맞댐면(13B, 14A)을 통하여 연통한다. 상기 제 1 오일 통로(74A)는 상기 제 2 오일 통로(74B)에 맞댐면(13B, 14A)을 통하여 연통한다.

Description

다연 밸브 장치{MULTIPLE VALVE DEVICE}
본 발명은, 유압 셔블로 대표되는 건설기계에 탑재되어, 주행용 및 작업용 유압 액추에이터를 구동 제어하는데 적합하게 이용되는 다연(多連) 밸브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유압 셔블로 대표되는 건설기계에서는, 예를 들면 유압 펌프를 포함하는 유압원으로부터 유압 액추에이터(예를 들면, 유압 모터, 유압 실린더)에 압유를 공급하기 위하여, 당해 유압 액추에이터와 유압원의 사이에 복수의 스풀 밸브(방향 제어 밸브)로 이루어지는 다연 밸브 장치를 설치하는 구성으로 하고 있다.
이 종류의 종래 기술에 의한 다연 밸브 장치는, 복수개의 스풀 슬라이딩 구멍을 가지고 당해 각 스풀 슬라이딩 구멍에 연통하는 유압원측 오일 통로, 액추에이터측 오일 통로가 각각 설치된 밸브 하우징과, 당해 밸브 하우징의 각 스풀 슬라이딩 구멍 내에 각각 삽감(揷嵌)하여 설치되어 상기 유압원측 오일 통로와 액추에이터측 오일 통로를 선택적으로 연통, 차단하는 복수개의 스풀을 구비하고 있다.
이와 같은 다연 밸브 장치에 이용하는 밸브 하우징으로는, 예를 들면 3개 이상의 하우징 블록을 서로의 맞댐면에서 충합(衝合)하여 포개는 구성으로 한 스택형과, 2분할하여 형성된 2개의 하우징 블록을 맞댐면의 위치에서 서로 충합시키는 구성으로 한 2분할형과, 전체를 단일의 하우징 블록으로 형성한 모노 블록형의 3타입이 알려져 있다(특허문헌 1, 2, 3, 4, 5).
일본국 공개실용신안 실개소 50-55921호 공보 일본국 공개특허 특개소 59-186502호 공보 일본국 공개특허 특개평 4-73404호 공보 일본국 공개특허 특개2000-205426호 공보 일본국 공개특허 특개2011-112123호 공보
그런데, 상술한 종래 기술에서는, 예를 들면 스택형의 밸브 하우징의 경우, 3개 이상의 하우징 블록을 서로의 맞댐면에서 충합하여 포개는 구성이기 때문에, 각 하우징 블록의 맞댐면을 고정밀도로 마무리 가공할 필요가 있고, 블록 마다의 마무리 가공에 품이 많이 들어 제조, 조립시의 작업성이 나쁘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모노 블록형의 밸브 하우징은, 단일의 큰 블록체이기 때문에, 중량물이 되어 이송, 반송시의 취급성, 작업성이 나빠진다는 문제가 있다.
한편, 종래 기술에 의한 2분할형의 밸브 하우징은, 모노 블록형에 비교하여 1블록으로서는 약 절반의 중량으로 할 수 있고, 주형의 일부인 중자(中子)의 구조도 간략화할 수 있다. 또한, 스택형에 비교해도 맞댐면의 개수를 줄일 수 있어, 시일 불량의 발생도 저감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그러나, 이 경우에는, 내장하는 스풀의 개수를 늘리기 위하여 각 하우징 블록의 치수를 크게 형성할 필요가 있다. 하우징 블록의 치수를 크게 하고, 맞댐면의 면적을 넓게 했을 때에는, 당해 맞댐면에 있어서의 오일 통로의 접속 포트에 고압의 작동유가 흐를 때에, 맞댐면의 위치에서 시일 불량, 오일 누출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
특히, 유압원으로서 2개의 유압 펌프를 이용하는 경우, 예를 들면 유압 셔블의 붐 실린더와 아암 실린더에는, 2개의 유압 펌프로부터의 압유를 합류시켜 공급하는 경우가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합류 개소가 증가하면, 상기 맞댐면에 있어서의 오일 통로의 접속 포트수가 증가하게 되고, 이로 인해, 맞댐면에 있어서의 오일 누출의 가능성이 높아진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를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2분할형의 밸브 하우징의 이점을 살리면서, 2개의 유압 펌프 사이에서 압유를 공급하는 경우에도 맞댐면에 있어서의 오일 통로의 접속 포트수를 필요 최소한으로 줄여, 오일 누출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도록 한 다연 밸브 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1).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복수의 유압원측 오일 통로와 복수의 액추에이터측 오일 통로에 연통하는 스풀 슬라이딩 구멍이 6개 이상 설치된 밸브 하우징과, 당해 밸브 하우징의 각 스풀 슬라이딩 구멍 내에 각각 삽감하여 설치되어 상기 유압원측 오일 통로와 상기 액추에이터측 오일 통로를 연통, 차단하는 6개 이상의 스풀을 구비하고, 제 1, 제 2 유압 펌프를 포함한 2개의 유압원에 의한 압유의 흐름을, 상기 복수의 스풀을 이용하여 제어하는 구성으로 하여 이루어지는 다연 밸브 장치에 적용된다.
본 발명이 채용하는 구성의 특징은, 상기 밸브 하우징에 설치된 상기 복수의 유압원측 오일 통로는, 상기 제 1 유압 펌프로부터 압유가 공급되는 제 1 고압 통로와, 상기 제 2 유압 펌프로부터 압유가 공급되는 제 2 고압 통로를 포함하고 있고, 상기 밸브 하우징은, 대향하는 맞댐면의 위치에서 서로 충합, 이간되는 3개 이상의 상기 스풀을 구비한 제 1 하우징 블록과, 나머지 3개 이상의 상기 스풀을 구비한 제 2 하우징 블록으로 2분할하는 구성으로 하며, 상기 제 1 고압 통로는, 상기 제 1 하우징 블록에 형성되어 상기 제 1 유압 펌프에 접속되는 제 1 펌프측의 제 1 오일 통로와, 상기 제 2 하우징 블록에 형성되어 상기 제 2 유압 펌프에 접속되는 제 1 펌프측의 제 2 오일 통로에 의해 구성하고, 상기 제 2 고압 통로는, 상기 제 1 하우징 블록에 형성되어 상기 제 2 유압 펌프에 접속되는 제 2 펌프측의 제 1 오일 통로와, 상기 제 2 하우징 블록에 형성되어 상기 제 2 유압 펌프에 접속되는 제 2 펌프측의 제 2 오일 통로에 의해 구성하며, 상기 제 1 하우징 블록에 형성된 상기 제 1 펌프측의 제 1 오일 통로는, 상기 제 2 하우징 블록에 형성된 상기 제 1 펌프측의 제 2 오일 통로에 상기 맞댐면을 통하여 연통하는 구성으로 하고, 상기 제 1 하우징 블록에 형성된 상기 제 2 펌프측의 제 1 오일 통로는, 상기 제 2 하우징 블록에 형성된 상기 제 2 펌프측의 제 2 오일 통로에 상기 맞댐면을 통하여 연통하는 구성으로 한 것에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제 1 하우징 블록에 형성된 제 1 펌프측의 제 1 오일 통로와, 제 2 하우징 블록에 형성된 제 1 펌프측의 제 2 오일 통로에는, 제 1 유압 펌프로부터의 압유를 맞댐면을 통하여 공급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상기 맞댐면에는, 제 1 펌프측의 제 1 오일 통로와 제 1 펌프측의 제 2 오일 통로를 연통시키기 위한 접속 포트를 1개 설치하는 것만으로 충분하다. 한편, 제 1 하우징 블록에 형성된 제 2 펌프측의 제 1 오일 통로와, 제 2 하우징 블록에 형성된 제 2 펌프측의 제 2 오일 통로에는, 제 2 유압 펌프로부터의 압유를 상기 맞댐면을 통하여 공급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상기 맞댐면에는, 제 2 펌프측의 제 1 오일 통로와 제 2 펌프측의 제 2 오일 통로를 연통시키기 위한 접속 포트를 1개 설치하는 것만으로 충분하다. 이 결과, 2분할형의 밸브 하우징의 이점을 살리면서, 2개의 유압 펌프 사이에서 압유를 공급하는 경우에도 맞댐면에 있어서의 오일 통로의 접속 포트수를 필요 최소한으로 줄일 수 있어, 오일 누출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다연 밸브 장치의 밸브 하우징을 2분할하여 형성된 제 1, 제 2 하우징 블록에 의해 구성할 수 있다. 제 1, 제 2 하우징 블록은, 상대방과 대향하는 맞댐면의 위치에서 충합하거나, 이간할 수 있다. 제 1 하우징 블록 내에는, 3개 이상의 스풀 슬라이딩 구멍을 상기 맞댐면에 대하여 평행한 방향과 수직인 방향으로 입체 구조를 이루는 배치 관계로 배치할 수 있다. 상기 제 2 하우징 블록 내에서도, 나머지 3∼6의 스풀 슬라이딩 구멍을 상기 맞댐면에 대하여 평행한 방향과 수직인 방향으로 다른 입체 구조를 이루는 배치 관계로 배치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스풀 슬라이딩 구멍(스풀 밸브)의 개수를 늘릴 때에는, 맞댐면에 수직인 방향에서 하우징 블록의 치수를 크게 하여 대응할 수 있고, 맞댐면에 평행한 방향에서의 치수를 크게할 필요가 없어, 맞댐면의 면적을 가능한 한 작게 할 수 있다.
(2).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제 1 펌프측의 제 1 오일 통로는, 상기 제 1 유압 펌프로부터의 압유를 상기 제 1 하우징 블록 중에서 상기 맞댐면에 가까운 위치에 배치된 상기 스풀보다 상류측이 되는 위치로부터 상기 맞댐면을 통하여 상기 제 2 하우징 블록의 상기 제 1 펌프측의 제 2 오일 통로에 공급하는 구성으로 하고, 상기 제 2 펌프측의 제 2 오일 통로는, 상기 제 2 유압 펌프로부터의 압유를 상기 제 2 하우징 블록 중에서 상기 맞댐면에 가까운 위치에 배치된 상기 스풀보다 상류측이 되는 위치로부터 상기 맞댐면을 통하여 상기 제 1 하우징 블록의 상기 제 2 펌프측의 제 1 오일 통로에 공급하는 구성으로 하고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제 1 유압 펌프로부터의 압유를 제 1 펌프측의 제 1 오일 통로를 개재하여 제 1 하우징 블록 내의 스풀에 공급할 수 있다. 이때, 제 1 유압 펌프로부터의 압유를 맞댐면을 통하여 제 2 하우징 블록의 제 1 펌프측의 제 2 오일 통로에 공급할 수 있다. 한편, 제 2 유압 펌프로부터의 압유는, 제 2 펌프측의 제 2 오일 통로를 개재하여 제 2 하우징 블록 내의 스풀에 공급할 수 있다. 이때, 제 2 유압 펌프로부터의 압유는, 제 1 하우징 블록의 제 2 펌프측의 제 1 오일 통로에도 상기 맞댐면을 통하여 공급할 수 있다.
(3).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제 1 펌프측의 제 1 오일 통로는, 상기 제 1 유압 펌프로부터의 압유를 상기 제 1 하우징 블록 중에서 상기 맞댐면에 가까운 위치에 배치된 상기 스풀보다 상류측이 되는 위치로부터 상기 맞댐면을 통하여 상기 제 2 하우징 블록의 상기 제 1 펌프측의 제 2 오일 통로에 공급하는 구성으로 하고, 상기 제 2 펌프측의 제 1 오일 통로는, 상기 제 2 유압 펌프로부터의 압유를 상기 제 1 하우징 블록 중에서 상기 맞댐면에 가까운 위치에 배치된 상기 스풀보다 상류측이 되는 위치로부터 상기 맞댐면을 통하여 상기 제 2 하우징 블록의 상기 제 2 펌프측의 제 2 오일 통로에 공급하는 구성으로 하고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제 1 유압 펌프로부터의 압유를 제 1 펌프측의 제 1 오일 통로를 개재하여 제 1 하우징 블록 내의 스풀에 공급할 수 있다. 이때, 제 1 유압 펌프로부터의 압유를 맞댐면을 통하여 제 2 하우징 블록의 제 1 펌프측의 제 2 오일 통로에 공급할 수 있다. 한편, 제 2 유압 펌프로부터의 압유를 제 1 하우징 블록 내의 스풀에 제 2 펌프측의 제 1 오일 통로를 개재하여 공급할 수 있다. 이때, 제 2 유압 펌프로부터의 압유를 맞댐면을 통하여 제 2 하우징 블록의 제 2 펌프측의 제 2 오일 통로에 공급할 수 있다.
(4).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제 1, 제 2 하우징 블록 중 일방(一方)의 하우징 블록에는, 당해 하우징 블록의 네 모퉁이가 되는 부위를 각각 절결(切缺)함으로써 형성되어 상기 맞댐면과의 사이가 볼트 체결용의 좌면부(座面部)가 되는 4개의 오목부를 설치하고, 당해 4개의 오목부의 좌면부는, 복수의 볼트를 이용하여 상기 제 1 하우징 블록과 제 2 하우징 블록을 충합 상태로 고착하기 위한 4개의 체결부를 구성하며, 상기 맞댐면의 위치를 지나는 제 1 고압 통로와 제 2 고압 통로는, 상기 각 오목부에 의해 둘러싸인 상기 맞댐면의 중앙측 근처의 위치에 배치하는 구성으로 하고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제 1 하우징 블록과 제 2 하우징 블록을 맞댐면의 위치에서 충합한 상태로 복수의 볼트를 이용하여 체결할 수 있다. 게다가, 상기 맞댐면의 위치를 지나는 제 1, 제 2 고압 통로를, 상기 각 오목부에 의해 둘러싸인 맞댐면의 중앙측 근처의 위치에 배치할 수 있다. 이로 인해, 맞댐면의 위치를 지나는 제 1, 제 2 고압 통로를 저압측의 오일 통로보다 상기 맞댐면의 중앙측 근처의 위치에 설치할 수 있어, 이러한 고압 통로를 유통하는 압유가 맞댐면의 위치로부터 외부에 누설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5).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복수의 스풀 중 공급된 압유가 서로 합류하는 관계에 있는 2개의 스풀은, 상기 제 1, 제 2 하우징 블록 중 일방측의 동일한 하우징 블록 내에 설치하는 구성으로 하고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제 1, 제 2 유압 펌프로부터 토출되는 압유를 동일한 하우징 블록 내에서 합류하여 2개의 스풀에 공급할 수 있고, 이를 위한 합류 통로는, 2개의 하우징 블록의 맞댐면의 위치에 설치할 필요가 없어진다. 이로 인해, 상기 맞댐면에 있어서의 접속 포트의 수를 줄일 수 있어, 오일 누출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6).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밸브 하우징은, 상기 각 스풀 슬라이딩 구멍 내에 각각 삽감하여 설치된 상기 각 스풀과 함께 건설기계에 이용하는 복수의 방향 제어 밸브를 구성하고, 상기 복수의 스풀 중 공급된 압유가 서로 합류하는 관계에 있는 2개의 스풀은, 상기 건설기계의 붐 실린더를 제어하기 위하여 설치된 제 1 붐용 스풀과 제 2 붐용 스풀, 또는, 아암 실린더를 제어하기 위하여 설치된 제 1 아암용 스풀과 제 2 아암용 스풀에 의해 구성하고 있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유압 셔블로 대표되는 건설기계에 다연 밸브 장치를 탑재함으로써, 주행용의 유압 액추에이터 및 작업용의 유압 액추에이터를 각각 개별적으로 구동 제어하는 복수의 방향 제어 밸브로서 다연 밸브 장치를 이용할 수 있다. 붐 실린더를 제어하기 위하여 설치된 제 1 붐용 스풀과 제 2 붐용 스풀은, 동일한 하우징 블록 내에 설치함으로써, 제 1, 제 2 유압 펌프로부터 토출되는 압유를 하나의 하우징 블록 내에서 합류하여 2개의 스풀에 공급할 수 있다. 또한, 아암 실린더를 제어하기 위하여 설치된 제 1 아암용 스풀과 제 2 아암용 스풀에 대해서도, 동일한 하우징 블록 내에 설치함으로써, 제 1, 제 2 유압 펌프로부터 토출되는 압유를 하나의 하우징 블록 내에서 합류하여 2개의 스풀에 공급할 수 있다.
(7). 본 발명이 채용하는 구성의 특징은, 상기 밸브 하우징은, 대향하는 맞댐면의 위치에서 서로 충합, 이간되는 3개 이상의 상기 스풀을 구비한 제 1 하우징 블록과, 나머지 3개 이상의 상기 스풀을 구비한 제 2 하우징 블록으로 2분할하는 구성으로 하고, 상기 제 1 유압 펌프는, 상기 제 1, 제 2 하우징 블록 중 일방의 하우징 블록에 설치된 상기 유압원측 오일 통로에 접속하여 설치하며, 상기 제 1 유압 펌프로부터의 압유는, 상기 일방의 하우징 블록 중에서 상기 맞댐면에 가까운 위치에 배치된 상기 스풀보다 상류측이 되는 위치로부터 상기 맞댐면을 통하여 타방(他方)의 하우징 블록에 구비한 상기 복수의 스풀의 일부에 공급되는 구성으로 하고, 상기 제 2 유압 펌프는, 상기 제 1, 제 2 하우징 블록 중 타방의 하우징 블록에 설치된 상기 유압원측 오일 통로에 접속하여 설치하며, 상기 제 2 유압 펌프로부터의 압유는, 상기 타방의 하우징 블록 중에서 상기 맞댐면에 가까운 위치에 배치된 상기 스풀보다 상류측이 되는 위치로부터 상기 맞댐면을 통하여 상기 일방의 하우징 블록에 구비한 상기 복수의 스풀의 일부에 공급되는 구성으로 한 것에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제 1, 제 2 하우징 블록의 어느 일방의 하우징 블록 내에 설치된 복수의 스풀 중에서 미리 결정된 스풀에는, 제 1 유압 펌프로부터의 압유를 유압원측 오일 통로를 개재하여 공급할 수 있다. 이때, 타방의 하우징 블록 내에 설치된 복수의 스풀의 일부에도, 상기 제 1 유압 펌프로부터의 압유를 맞댐면을 통하여 공급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상기 맞댐면의 위치에는 하나의 접속 포트를 설치하는 것만으로 충분하다. 또한, 타방의 하우징 블록 내에 설치된 복수의 스풀 중에서 미리 결정된 스풀에는, 제 2 유압 펌프로부터의 압유를 유압원측 오일 통로를 개재하여 공급할 수 있다. 이때, 일방의 하우징 블록 내에 설치된 복수의 스풀의 일부에도, 상기 제 2 유압 펌프로부터의 압유를 맞댐면을 통하여 공급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상기 맞댐면의 위치에는 다른 접속 포트를 1개 설치하는 것만으로 충분하다. 이 결과, 2분할형의 밸브 하우징의 이점을 살리면서, 2개의 유압 펌프 사이에서 압유를 공급하는 경우에도 맞댐면에 있어서의 오일 통로의 접속 포트수를 필요 최소한으로 줄일 수 있어, 오일 누출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8). 본 발명이 채용하는 구성의 특징은, 상기 밸브 하우징은, 대향하는 맞댐면의 위치에서 서로 충합, 이간되는 3개 이상의 상기 스풀을 구비한 제 1 하우징 블록과, 나머지 3개 이상의 상기 스풀을 구비한 제 2 하우징 블록으로 2분할하는 구성으로 하고, 상기 제 1 유압 펌프는, 상기 제 1, 제 2 하우징 블록 중 일방의 하우징 블록에 설치된 상기 유압원측 오일 통로에 접속하여 설치하며, 상기 제 1 유압 펌프로부터의 압유는, 상기 일방의 하우징 블록 중에서 상기 맞댐면에 가까운 위치에 배치된 상기 스풀보다 상류측이 되는 위치로부터 상기 맞댐면을 통하여 타방의 하우징 블록에 구비한 상기 복수의 스풀의 일부에 공급되는 구성으로 하고, 상기 제 2 유압 펌프는, 상기 일방의 하우징 블록에 설치된 상기 복수의 유압원측 오일 통로 중에서 상기 제 1 유압 펌프가 접속된 상기 유압원측 오일 통로와는 다른 유압원측 오일 통로에 접속하여 설치하며, 상기 제 2 유압 펌프로부터의 압유는, 상기 일방의 하우징 블록 중에서 상기 맞댐면에 가까운 위치에 배치된 상기 스풀보다 상류측이 되는 위치로부터 상기 맞댐면을 통하여 상기 타방의 하우징 블록에 구비한 상기 복수의 스풀의 일부와는 다른 스풀에 공급되는 구성으로 한 것에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제 1, 제 2 하우징 블록 중 일방의 하우징 블록 내에 설치된 복수의 스풀 중에서 미리 결정된 스풀에는, 제 1 유압 펌프로부터의 압유를 유압원측 오일 통로를 개재하여 공급할 수 있다. 이때, 타방의 하우징 블록 내에 설치된 복수의 스풀의 일부에도, 제 1 유압 펌프로부터의 압유를 맞댐면을 통하여 공급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상기 맞댐면의 위치에는 하나의 접속 포트를 설치하는 것만으로 충분하다. 또한, 일방의 하우징 블록 내에 설치된 상기 스풀과는 다른 스풀에는, 일방의 하우징 블록에 설치된 복수의 유압원측 오일 통로 중에서 상기 제 1 유압 펌프가 접속된 유압원측 오일 통로와는 다른 유압원측 오일 통로에 의해, 제 2 유압 펌프로부터의 압유를 공급할 수 있다. 이때, 타방의 하우징 블록 내에 설치된 복수의 스풀의 일부와는 다른 스풀에도, 제 2 유압 펌프로부터의 압유를 맞댐면을 통하여 공급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상기 맞댐면의 위치에는 다른 접속 포트를 1개 설치하는 것만으로 충분하다. 이 결과, 2분할형의 밸브 하우징의 이점을 살리면서, 2개의 유압 펌프 사이에서 압유를 공급하는 경우에도 맞댐면에 있어서의 오일 통로의 접속 포트수를 필요 최소한으로 줄일 수 있어, 오일 누출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의한 다연 밸브 장치가 탑재된 유압 셔블을 나타내는 전체도이다.
도 2는, 도 1 중의 다연 밸브 장치를 확대하여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다연 밸브 장치를 도 2와는 반대측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4는, 다연 밸브 장치를 도 2 중의 화살표시 IV-IV방향에서 본 종단면도이다.
도 5는, 다연 밸브 장치를 도 2 중의 화살표시 V-V방향에서 본 종단면도이다.
도 6은, 다연 밸브 장치를 도 2 중의 화살표시 VI-VI방향에서 본 종단면도이다.
도 7은, 제 1 하우징 블록을 좌·우의 주행용 제어 밸브와 함께 도 5 중의 화살표시 VII-VII방향에서 본 횡단면도이다.
도 8은, 제 1 하우징 블록을 버킷용 제어 밸브 및 예비의 제어 밸브와 함께 도 5 중의 화살표시 VIII-VIII방향에서 본 횡단면도이다.
도 9는, 제 1 하우징 블록을 릴리프 밸브와 함께 도 5 중의 화살표시 IX-IX방향에서 본 횡단면도이다.
도 10은, 제 2 하우징 블록을 붐용 제어 밸브와 함께 도 5 중의 화살표시 X-X방향에서 본 횡단면도이다.
도 11은, 제 2 하우징 블록을 아암용 제어 밸브와 함께 도 5 중의 화살표시 XI-XI방향에서 본 횡단면도이다.
도 12는, 제 2 하우징 블록을 선회용 제어 밸브와 함께 도 5 중의 화살표시 XII-XII방향에서 본 횡단면도이다.
도 13은, 제 2 하우징 블록을 맞댐면의 위치에서 도 5 중의 화살표시 XIII-XIII방향에서 본 횡단면도이다.
도 14는, 도 1에 나타내는 유압 셔블에 이용하는 다연 밸브 장치의 유압 회로도이다.
도 15는, 비교예에 의한 다연 밸브 장치의 유압 회로도이다.
도 16은, 제 2 실시형태에 의한 다연 밸브 장치의 유압 회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의한 다연 밸브 장치를, 건설기계로서의 유압 셔블에 탑재한 경우를 예로 들어,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한, 실시형태의 기재에서는, 다연 밸브 장치의 대표예로서, 제 1 하우징 블록에 합계 4개의 상기 스풀 슬라이딩 구멍을 설치하고, 제 2 하우징 블록에 합계 5개의 상기 스풀 슬라이딩 구멍을 설치하는 경우를 예로 들고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 관련되는 다연 밸브 장치는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6∼12개의 스풀 슬라이딩 구멍이 설치된 밸브 하우징 중에서, 제 1 하우징 블록에 3개∼6개의 스풀 슬라이딩 구멍을 설치하고, 제 2 하우징 블록에 3개∼6개의 스풀 슬라이딩 구멍을 설치하는 구성으로 해도 되는 것이다.
여기서, 도 1 내지 도 14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관련되는 다연 밸브 장치를 나타내고 있다. 도면에 있어서, 1은 건설기계로서의 유압 셔블이고, 당해 유압 셔블(1)은,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자주 가능한 크롤러식의 하부 주행체(2)와, 당해 하부 주행체(2) 상에 선회 가능하게 탑재된 상부 선회체(3)와, 후술하는 작업 장치(7)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이 경우, 유압 셔블(1)의 상부 선회체(3)는, 하부 주행체(2)와 함께 건설기계의 차체를 구성하는 것이다. 상부 선회체(3)는, 하부 주행체(2) 상에서 선회 구동되는 선회 프레임(3A)을 가지고, 이 선회 프레임(3A) 상에는, 후술하는 캡(4), 카운터 웨이트(5) 및 구조물 커버(6)가 설치되어 있다.
캡(4)은 선회 프레임(3A)의 앞부분 좌측에 배치되어 있다. 당해 캡(4)은, 대략 사각형의 상자체로 형성되고, 그 내부에 운전실을 획성(劃成)하고 있다. 캡(4)의 내측에는, 오퍼레이터가 착좌하는 운전석 외에 작업용 조작 레버, 주행용 레버(모두 도시 생략)가 설치되어 있다.
카운터 웨이트(5)는 선회 프레임(3A)의 후단(後端)측에 설치되어 있다. 당해 카운터 웨이트(5)는, 선회 프레임(3A)의 후단측에 착탈 가능하게 탑재되고, 앞쪽의 작업 장치(7)에 대하여 상부 선회체(3) 전체의 중량 밸런스를 잡는 것이다. 카운터 웨이트(5)의 앞쪽에는, 엔진(도시 생략)을 수용하는 후술하는 구조물 커버(6)가 설치되어 있다.
구조물 커버(6)는 캡(4)과 카운터 웨이트(5)의 사이에 위치하여 선회 프레임(3A) 상에 입설(立設)되어 있다. 이 구조물 커버(6)는, 예를 들면 얇은 강판으로 이루어지는 복수매의 금속 패널을 이용하여 형성되고, 내부에 엔진을 수용하는 기계실(도시 생략)을 획성하는 것이다. 구조물 커버(6) 내에는, 상기 엔진에 의해 회전 구동되는 후술하는 유압 펌프(77, 79)(도 14 참조)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구조물 커버(6) 내에는, 캡(4)에 가까운 위치에 후술하는 다연 밸브 장치(11)가 설치되어 있다.
작업 장치(7)는 상부 선회체(3)의 앞부분에 부앙동(俯仰動)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당해 작업 장치(7)는, 기단측이 선회 프레임(3A)에 부앙동 가능하게 장착된 붐(8)과, 당해 붐(8)의 선단(先端)측에 부앙동 가능하게 장착된 아암(9)과, 예를 들면 토사의 굴삭작업을 행하기 위하여 당해 아암(9)의 선단측에 회동(回動) 가능하게 설치된 작업구로서의 버킷(10)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작업 장치(7)의 붐(8)은, 붐 실린더(8A)에 의해 선회 프레임(3A)에 대하여 상·하로 부앙동되고, 아암(9)은, 붐(8)의 선단측에서 아암 실린더(9A)에 의해 상·하로 부앙동된다. 작업구로서의 버킷(10)은, 아암(9)의 선단측에서 작업구용 실린더로서의 버킷 실린더(10A)에 의해 상·하로 회동되는 것이다.
다음에, 제 1 실시형태에서 채용한 다연 밸브 장치(11)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도 1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 다연 밸브 장치(11)는 밸브 하우징(12)과, 후술하는 스풀(27, 31, 35, 39, 49, 51, 56, 58, 62) 및 릴리프 밸브(88)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도 2∼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다연 밸브 장치(11)의 밸브 하우징(12)은, 후술하는 제 1 하우징 블록(13)과 제 2 하우징 블록(14)에 의해 2분할하여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제 1 하우징 블록(13)과 제 2 하우징 블록(14)은, 후술하는 맞댐면(13B, 14A)에 대하여 평행한 좌·우방향(도 2 중의 X축방향)과 전·후방향(Y축방향)으로 연장됨과 함께, 맞댐면(13B, 14A)에 수직인 상·하방향(Z축방향)으로도 각각 연장되는 직육면체 형상의 블록으로 형성되어 있다. 제 1 하우징 블록(13)과 제 2 하우징 블록(14)은, 맞댐면(13B, 14A)의 위치에서 서로 분리 가능하게 충합되는 것이다.
13은 밸브 하우징(12)의 반할체가 되는 제 1 하우징 블록이고, 당해 제 1 하우징 블록(13)은, 주조 수단을 이용하여 도 2∼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직육면체 형상을 이루는 주조품으로 성형되어 있다. 제 1 하우징 블록(13)은. 상측의 일면(13A)(이하, 상면(13A)이라고 한다), 하측의 맞댐면(13B), 앞·뒤의 측면(13C, 13D) 및 좌·우의 측면(13E, 13F)으로 이루어지는 합계 6개의 면을 가지고 있다.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하우징 블록(13)에는, 앞쪽의 측면(13C) 중에서 후술하는 커버(81A)보다 상측이 되는 위치에 후술하는 펌프 포트(65)가 개구하여 설치되어 있다. 앞쪽의 측면(13C)에는, 좌·우방향(X축방향)으로 이간된 위치에 후술하는 압유 급배 포트(29A, 29B)와 압유 급배 포트(37A, 37B)가 각각 개구하여 설치되어 있다.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뒤쪽의 측면(13D)에는, 좌·우방향(X축방향)으로 이간된 위치에 각각 개구하여, 후술하는 압유 급배 포트(33A, 33B)와 압유 급배 포트(41A, 41B)가 설치되어 있다.
14는 밸브 하우징(12)의 다른 반할체를 구성하는 제 2 하우징 블록이고, 당해 제 2 하우징 블록(14)도 주조 수단에 의해 직육면체 형상의 블록(주물)으로 성형되어 있다. 제 2 하우징 블록(14)은, 상측의 맞댐면(14A), 하측의 다른 면(14B)(이하, 하면(14B)이라고 한다), 앞·뒤의 측면(14C, 14D) 및 좌·우의 측면(14E, 14F)으로 이루어지는 합계 6개의 면을 가지고 있다.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2 하우징 블록(14)에는, 앞쪽의 측면(14C) 중에서 후술하는 커버(85A)보다 하측이 되는 위치에 후술하는 펌프 포트(71)가 개구하여 설치되고, 펌프 포트(71)보다 X축방향에서 좌측이 되는 위치에는 후술하는 탱크 포트(75)가 개구하여 설치되어 있다. 앞쪽의 측면(14C)에는, 후술하는 압유 급배 포트(53A, 53B)가 좌·우방향(X축방향)으로 이간하여 설치되어 있다.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뒤쪽의 측면(14D)에는, 후술하는 압유 급배 포트(60A, 60B)와 압유 급배 포트(64A, 64B)가 각각 좌·우방향(X축방향)으로 이간하여 설치되어 있다.
제 1 하우징 블록(13)에는, 복수(예를 들면, 합계 4개)의 오목부(15)가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오목부(15)는, 맞댐면(13B)보다 상측이 되는 위치에서 제 1 하우징 블록(13)의 네 모퉁이가 되는 각 모서리부(즉, 앞·뒤의 측면(13C, 13D)과 좌·우의 측면(13E, 13F) 사이의 모서리부)에 오목 설치되어 있다. 각 오목부(15)는, 상기 모서리부를 각각 단면(斷面) L자 형상으로 절결하여 형성되어 있다.
각 오목부(15)의 하면측은, 맞댐면(13B)과의 사이가 볼트 체결용의 좌면부(15A)로 되어 있다. 이러한 좌면부(15A)는, 복수의 볼트(16)를 이용하여 제 1 하우징 블록(13)을 제 2 하우징 블록(14)에 충합상태로 고착(결합)하기 위한 체결부를 구성하고 있다. 오목부(15)는, 좌면부(15A)의 상측 위치에 볼트(16)용의 볼트 장착 스페이스를 형성하는 것이다.
여기서, 각 오목부(15)의 좌면부(15A)(체결부)는, 버킷용 제어 밸브(34), 예비의 제어 밸브(38)를 포함하는 각 스풀 밸브보다 맞댐면(13B)에 가까운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즉, 체결부를 구성하는 좌면부(15A)는, 상기 스풀 밸브와 맞댐면(13B)의 사이가 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각 오목부(15)의 좌면부(15A)에 대하여 반드시 1개의 볼트(16)를 체결할 필요는 없고, 경우에 따라서는 1개의 좌면부(15A)에 대하여 2개 이상의 볼트(16)를 체결하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제 2 하우징 블록(14)에는, 맞댐면(14A) 중에서 상기 각 좌면부(15A)와 상·하에서 대향하는 위치에 각각 나사 구멍(17)(도 10, 도 13 참조)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나사 구멍(17)에는 볼트(16)가 각각 나사 장착되어 있다. 이로 인해, 제 1 하우징 블록(13)과 제 2 하우징 블록(14)은, 합계 4개의 볼트(16)를 이용하여 충합 상태로 고착되고, 다연 밸브 장치(11)의 밸브 하우징(12)을 구성하는 것이다.
18, 19, 20, 21은 제 1 하우징 블록(13)에 설치된 4개의 상기 스풀 슬라이딩 구멍이다. 당해 스풀 슬라이딩 구멍(18∼21)은, 후술하는 커버체(22)(도 2 참조)와 동일하게 입체 구조를 이루어 제 1 하우징 블록(13) 내에 배치되어 있다. 도 4, 도 5, 도 7,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스풀 슬라이딩 구멍(18∼21)은, X축방향을 따라 서로 병행하게 연장되고, Y축방향과 Z축방향에서는 서로 이간하여 배치되어 있다.
여기서, 제 1 하우징 블록(13)에 설치하는 스풀 슬라이딩 구멍의 개수는 4개로 한정되지 않고, 스풀 슬라이딩 구멍을 입체 구조를 이루도록 최소 개수로서 3개 설치하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이 경우, 제 1 하우징 블록(13)에는, 예를 들면 후술하는 주행용 제어 밸브(26, 30), 버킷용 제어 밸브(34)의 합계 3개의 스풀 슬라이딩 구멍(18, 19, 20)을 설치하고, 예비의 제어 밸브(38)용 스풀 슬라이딩 구멍(21)은 생략하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스풀 슬라이딩 구멍(18∼21) 중에서 스풀 슬라이딩 구멍(18, 19)은,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X축방향에서는 병행하여 연장되고, Y축방향으로는 소정의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다. 또한, 스풀 슬라이딩 구멍(20, 21)도,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X축방향에서 병행하여 연장되고, Y축방향으로는 소정의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다. 스풀 슬라이딩 구멍(18, 20)은,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X축방향을 따라 서로 병행하게 연장되고, Z축방향으로는 소정의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다. 또한, 스풀 슬라이딩 구멍(19, 21)도,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X축방향을 따라 서로 병행하게 연장되고, Z축방향으로는 소정의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다.
여기서, 제 1 하우징 블록(13)에는,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스풀 슬라이딩 구멍(18)의 둘레벽측에 고리 형상의 오일홈(18A, 18B)이 축방향으로 이간하여 형성되고, 당해 오일홈(18A, 18B) 사이에는 다른 고리 형상의 오일홈(18C, 18C)이 형성되어 있다. 스풀 슬라이딩 구멍(18)의 둘레벽측에는, 오일홈(18A, 18B)보다 축방향의 외측이 되는 위치에 다른 오일홈(18D, 18D)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오일홈(18A∼18D) 중에서 오일홈(18A, 18B)은, 압유 급배측의 오일홈이 되어 후술하는 주행 오른쪽용의 압유 급배 포트(29A, 29B)에 연통하여, 액추에이터측 오일 통로를 구성하는 것이다. 각 오일홈(18C)은, 고압측의 오일홈이 되어 후술하는 펌프 포트(65)측의 펌프 통로(66), 고압 통로(68, 69)에 연통하고 있다. 각 오일홈(18D)은, 저압측의 오일홈이 되어 후술하는 탱크(78)측의 저압 통로(70)의 측방 통로(70B)와 연통하고 있다. 이러한 오일홈(18C, 18D)은, 유압원측 오일 통로를 구성하는 것이다.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하우징 블록(13)에는, 스풀 슬라이딩 구멍(19)의 둘레벽측에, 액추에이터측 오일 통로를 구성하는 압유 급배측의 오일홈(19A, 19B)과, 고압측의 오일홈(19C, 19C), 저압측의 오일홈(19D, 19D)이 서로 축방향으로 이간하여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오일홈(19C, 19D)은, 유압원측 오일 통로를 구성하는 것이다.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스풀 슬라이딩 구멍(20)의 둘레벽측에는, 액추에이터측 오일 통로를 구성하는 압유 급배측의 오일홈(20A, 20B)과, 유압원측 오일 통로를 구성하는 고압측의 오일홈(20C, 20C), 저압측의 오일홈(20D, 20D)이 서로 축방향으로 이간하여 형성되어 있다. 스풀 슬라이딩 구멍(21)의 둘레벽측에는, 액추에이터측 오일 통로를 구성하는 압유 급배측의 오일홈(21A, 21B)과, 유압원측 오일 통로를 구성하는 고압측의 오일홈(21C, 21C), 저압측의 오일홈(21D, 21D)이 서로 축방향으로 이간하여 형성되어 있다.
커버체(22)는 제 1 하우징 블록(13)의 측면(13F)에 설치되어 있다.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 커버체(22)는, 합계 4개의 통 형상 돌출부(22A, 22B, 22C, 22D)를 가지며, 이러한 통 형상 돌출부(22A∼22D)는, 후술하는 제어 밸브(26, 30, 34, 38)의 유압 파일럿부(26B, 30B, 34B, 38B)를 구성하는 것이다.
도 4, 도 5, 도 7,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통 형상 돌출부(22A, 22B, 22C, 22D)는, 스풀 슬라이딩 구멍(18, 19, 20, 21)과 동축이 되어 하우징 블록(13)의 측면(13F)으로부터 X축방향으로 돌출되어 있다. 즉, 통 형상 돌출부(22A∼22D)는, 스풀 슬라이딩 구멍(18∼21)과 동일하게 X축방향을 따라 서로 병행하게 연장되고, Y축방향과 Z축방향에서는 서로 이간되는 입체 구조의 배치 관계로 배치되어 있다.
다른 커버체(23)는 제 1 하우징 블록(13)의 측면(13E)에 설치되어 있다.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다른 커버체(23)는, 합계 4개의 단척(短尺)인 통 형상부(23A, 23B, 23C, 23D)를 가지고 있다. 이러한 통 형상부(23A∼23D)는, 후술하는 제어 밸브(26, 30, 34, 38)의 유압 파일럿부(26A, 30A, 34A, 38A)를 구성하는 것이다.
커버체(24)는 제 2 하우징 블록(14)의 측면(14F)에 설치되어 있다.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 커버체(24)는, 합계 5개의 통 형상 돌출부(24A, 24B, 24C, 24D, 24E)를 가지고 있다. 이러한 통 형상 돌출부(24A∼24E)는, 후술하는 제어 밸브(47, 48, 54, 55, 61)의 유압 파일럿부(47B, 48B, 54B, 55B, 61B)를 구성하는 것이다.
도 4, 도 5, 도 10∼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통 형상 돌출부(24A, 24B, 24C, 24D, 24E)는, 후술하는 스풀 슬라이딩 구멍(42, 43, 44, 45, 46)과 동축이 되어 하우징 블록(14)의 측면(14F)으로부터 X축방향으로 돌출되어 있다. 즉, 통 형상 돌출부(24A∼24E)는, 스풀 슬라이딩 구멍(42∼46)과 동일하게 X축방향을 따라 서로 병행하게 연장되고, Y축방향과 Z축방향에서는 서로 이간되는 입체 구조의 배치 관계로 배치되어 있다.
다른 커버체(25)는 제 2 하우징 블록(14)의 측면(14E)에 설치되어 있다.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다른 커버체(25)는, 합계 5개의 단척인 통 형상부(25A, 25B, 25C, 25D, 25E)를 가지고 있다. 이러한 통 형상부(25A∼25E)는, 후술하는 제어 밸브(47, 48, 54, 55, 61)의 유압 파일럿부(47A, 48A, 54A, 55A, 61A)를 구성하는 것이다.
다음에, 다연 밸브 장치(11)를 구성하는 주행용 제어 밸브(26, 30), 버킷용 제어 밸브(34), 예비의 제어 밸브(38), 붐용 제어 밸브(47, 48), 아암용 제어 밸브(54, 55) 및 선회용 제어 밸브(61)에 대하여 설명한다.
26은 제 1 하우징 블록(13)에 설치된 주행 오른쪽용의 방향 제어 밸브(이하, 주행용 제어 밸브(26)라고 한다)이다.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 주행용 제어 밸브(26)는, 스풀 슬라이딩 구멍(18) 내에 스풀(27)을 삽감하여 이루어지는 스풀 밸브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주행용 제어 밸브(26)는, 스풀(27)의 축방향 양측에 위치하여 커버체(22, 23) 내에 좌·우의 유압 파일럿부(26A, 26B)를 가지고 있다. 우측의 유압 파일럿부(26B)에는, 스풀(27)을 상시 중립 위치를 향해 가압하는 스프링(28)이 배치되어 있다.
여기서, 주행용 제어 밸브(26)의 유압 파일럿부(26A, 26B)에는, 주행용 레버의 조작 밸브(도시 생략)로부터 파일럿압이 공급된다. 주행용 제어 밸브(26)의 스풀(27)은, 이 파일럿압에 따라 스풀 슬라이딩 구멍(18)을 축방향으로 변위하고, 액추에이터측의 오일홈(18A, 18B)을 유압원측의 오일홈(18C, 18D)에 대하여 선택적으로 연통, 차단한다. 이로 인해, 주행용 제어 밸브(26)는, 도 14 중의 중립 위치 (A)로부터 좌·우의 전환 위치 (B), (C)로 전환되는 것이다.
압유 급배 포트(29A, 29B)는 제 1 하우징 블록(13)의 측면(13C)에 설치되어 있다.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러한 압유 급배 포트(29A, 29B)는, 액추에이터측의 오일홈(18A, 18B)에 일방(一方)에서 연통하고, 타방(他方)에서는 제 1 하우징 블록(13)의 측면(13C)에 개구하고 있다(도 2 참조). 도 1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압유 급배 포트(29A, 29B)는, 후술하는 유압 펌프(77)로부터 토출된 압유를 하부 주행체(2)(도 1 참조)에 설치하는 좌·우의 주행용 모터(2L, 2R) 중에서, 예를 들면 우측의 주행용 모터(2R)에 공급하는 것이다.
30은 제 1 하우징 블록(13)에 설치된 주행 왼쪽용의 방향 제어 밸브(이하, 주행용 제어 밸브(30)라고 한다)이다.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 주행용 제어 밸브(30)는, 스풀 슬라이딩 구멍(19) 내에 스풀(31)을 삽감하여 이루어지는 스풀 밸브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주행용 제어 밸브(30)는, 스풀(31)의 축방향 양측에 위치하여 커버체(22, 23) 내에 좌·우의 유압 파일럿부(30A, 30B)를 가지고 있다. 유압 파일럿부(30B)에는, 스풀(31)을 상시 중립 위치를 향해 가압하는 스프링(32)이 배치되어 있다.
주행용 제어 밸브(30)의 유압 파일럿부(30A, 30B)에는, 주행용 레버의 조작 밸브(도시 생략)로부터 파일럿압이 공급된다. 주행용 제어 밸브(30)의 스풀(31)은, 이 파일럿압에 따라 스풀 슬라이딩 구멍(19) 내를 축방향으로 변위하고, 액추에이터측의 오일홈(19A, 19B)을 유압원측의 오일홈(19C, 19D)에 대하여 선택적으로 연통, 차단한다. 이로 인해, 주행용 제어 밸브(30)는, 도 14 중의 중립 위치 (A)로부터 좌·우의 전환 위치 (B), (C)로 전환되는 것이다.
다른 압유 급배 포트(33A, 33B)는 제 1 하우징 블록(13)의 측면(13D)에 설치되어 있다.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다른 압유 급배 포트(33A, 33B)는, 액추에이터측의 오일홈(19A, 19B)에 일방에서 연통하고, 타방에서는 제 1 하우징 블록(13)의 측면(13D)에 개구하고 있다(도 3 참조). 도 1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압유 급배 포트(33A, 33B)는, 후술하는 유압 펌프(79)로부터 토출된 압유를 하부 주행체(2)에 설치하는 좌·우의 주행용 모터(2L, 2R) 중에서, 예를 들면 좌측의 주행용 모터(2L)에 공급하는 것이다.
34는 제 1 하우징 블록(13)에 설치된 작업구용의 방향 제어 밸브(이하, 버킷용 제어 밸브(34)라고 한다)이다.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 버킷용 제어 밸브(34)는, 스풀 슬라이딩 구멍(20) 내에 스풀(35)을 삽감하여 이루어지는 스풀 밸브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버킷용 제어 밸브(34)에는, 스풀(35)의 축방향 양측에 위치하여 커버체(22, 23) 내에 좌·우의 유압 파일럿부(34A, 34B)가 설치되어 있다. 우측의 유압 파일럿부(34B)에는, 스풀(35)을 상시 중립 위치를 향해 가압하는 스프링(36)이 배치되어 있다.
버킷용 제어 밸브(34)의 유압 파일럿부(34A, 34B)에는, 버킷용 조작 레버의 조작 밸브(도시 생략)로부터 파일럿압이 공급된다. 버킷용 제어 밸브(34)의 스풀(35)은, 이 파일럿압에 따라 스풀 슬라이딩 구멍(20) 내를 축방향으로 변위하고, 액추에이터측의 오일홈(20A, 20B)을 유압원측의 오일홈(20C, 20D)에 대하여 선택적으로 연통, 차단한다. 이로 인해, 버킷용 제어 밸브(34)는, 도 14 중의 중립 위치 (A)로부터 좌·우의 전환 위치 (B), (C)로 전환되는 것이다.
압유 급배 포트(37A, 37B)는 제 1 하우징 블록(13)의 측면(13C)에 설치되어 있다.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러한 압유 급배 포트(37A, 37B)는, 액추에이터측의 오일홈(20A, 20B)에 일방에서 연통하고, 타방에서는 제 1 하우징 블록(13)의 측면(13C)에 개구하고 있다(도 2 참조). 그리고, 압유 급배 포트(37A, 37B)는, 작업 장치(7)의 버킷 실린더(10A)(도 1 참조)에 압유를 공급하는 것이다.
38은 제 1 하우징 블록(13)에 설치된 예비의 방향 제어 밸브(이하, 예비의 제어 밸브(38)라고 한다)이다.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 예비의 제어 밸브(38)는, 스풀 슬라이딩 구멍(21) 내에 스풀(39)을 삽감하여 이루어지는 스풀 밸브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예비의 제어 밸브(38)에는, 스풀(39)의 축방향 양측에 위치하여 커버체(22, 23) 내에 좌·우의 유압 파일럿부(38A, 38B)가 설치되어 있다. 우측의 유압 파일럿부(38B)에는, 스풀(39)을 상시 중립 위치를 향해 가압하는 스프링(40)이 배치되어 있다.
예비의 제어 밸브(38)의 유압 파일럿부(38A, 38B)에는, 예비의 조작 레버의 조작 밸브(도시 생략)로부터 파일럿압이 공급된다. 예비의 제어 밸브(38)의 스풀(39)은, 이 파일럿압에 따라 스풀 슬라이딩 구멍(21) 내를 축방향으로 변위하고, 액추에이터측의 오일홈(21A, 21B)을 유압원측의 오일홈(21C, 21D)에 대하여 선택적으로 연통, 차단한다. 이로 인해, 예비의 제어 밸브(38)는, 도 14 중의 중립 위치 (A)로부터 좌·우의 전환 위치 (B), (C)로 전환되는 것이다.
다른 압유 급배 포트(41A, 41B)는 제 1 하우징 블록(13)의 측면(13D)에 설치되어 있다.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러한 압유 급배 포트(41A, 41B)는, 액추에이터측의 오일홈(21A, 21B)에 일방에서 연통하고, 타방에서는 제 1 하우징 블록(13)의 측면(13D)에 개구하고 있다(도 3 참조). 압유 급배 포트(41A, 41B)는, 예비의 유압 액추에이터(도시 생략)에 압유를 공급하는 것이다.
42, 43, 44, 45, 46은 제 2 하우징 블록(14)에 설치된 5개의 스풀 슬라이딩 구멍이다. 이러한 스풀 슬라이딩 구멍(42∼46)은, 커버체(24)(도 2 참조)에 대응하는 입체 구조를 이루어 제 2 하우징 블록(14) 내에 배치되어 있다. 도 4, 도 5, 도 10∼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스풀 슬라이딩 구멍(42∼46)은, X축방향을 따라 서로 병행하게 연장되고, Y축방향과 Z축방향에서는 서로 이간하여 배치되어 있다.
여기서, 제 2 하우징 블록(14)에 설치하는 스풀 슬라이딩 구멍의 개수는 5개로 한정되지 않고, 스풀 슬라이딩 구멍을 입체 구조를 이루도록 최소 개수로서 3개 설치하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이 경우, 제 2 하우징 블록(14)에는, 예를 들면 붐용 제어 밸브(47), 아암용 제어 밸브(54), 선회용 제어 밸브(61)의 합계 3개의 스풀 슬라이딩 구멍(42, 44, 46)을 설치하고, 붐용 제어 밸브(48), 아암용 제어 밸브(55)의 스풀 슬라이딩 구멍(43, 45)은 생략하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스풀 슬라이딩 구멍(42, 43)은, X축방향에서는 병행하여 연장되고, Y축방향으로는 소정의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다.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스풀 슬라이딩 구멍(45, 46)은, X축방향에서 병행하여 연장되고, Y축방향으로는 소정의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다.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스풀 슬라이딩 구멍(42, 44)은, X축방향을 따라 서로 병행하게 연장되고, Z축방향으로는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다. 한편,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스풀 슬라이딩 구멍(45)은, 스풀 슬라이딩 구멍(43, 46)의 사이에 Z축방향으로 이간하여 배치되고, 이러한 스풀 슬라이딩 구멍(43, 45, 46)은, X축방향을 따라 서로 병행하게 연장되어 있다.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2 하우징 블록(14)에는, 스풀 슬라이딩 구멍(42)의 둘레벽측에 고리 형상의 오일홈(42A, 42B)이 축방향으로 이간하여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오일홈(42A, 42B) 사이에는 다른 고리 형상의 오일홈(42C, 42C)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스풀 슬라이딩 구멍(42)의 둘레벽측에는, 오일홈(42A, 42B)보다 축방향의 외측이 되는 위치에 다른 오일홈(42D, 42D)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오일홈(42A∼42D) 중에서 오일홈(42A, 42B)은, 압유 급배측의 오일홈이 되어 후술하는 붐용의 압유 급배 포트(53A, 53B)에 연통하여, 액추에이터측 오일 통로를 구성하는 것이다. 또한, 각 오일홈(42C)은, 고압측의 오일홈이 되어 후술하는 유압 펌프(77)측의 고압 통로(69)에 연통하고, 각 오일홈(42D)은, 저압측의 오일홈이 되어 후술하는 탱크측의 측방 통로(76B)와 연통하고 있다. 오일홈(42C)은, 유압원측 오일 통로를 구성하는 것이다.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2 하우징 블록(14)에는, 스풀 슬라이딩 구멍(43)의 둘레벽측에, 액추에이터측 오일 통로를 구성하는 압유 급배측의 오일홈(43A, 43B)과, 고압측의 오일홈(43C, 43C), 저압측의 오일홈(43D, 43D)이 서로 축방향으로 이간하여 형성되어 있다. 오일홈(43C)은, 유압원측 오일 통로를 구성하는 것이다.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스풀 슬라이딩 구멍(44)의 둘레벽측에는, 액추에이터측 오일 통로를 구성하는 압유 급배측의 오일홈(44A, 44B)과, 유압원측 오일 통로를 구성하는 고압측의 오일홈(44C, 44C), 저압측의 오일홈(44D, 44D)이 서로 축방향으로 이간하여 형성되어 있다. 스풀 슬라이딩 구멍(45)의 둘레벽측에는, 액추에이터측 오일 통로를 구성하는 압유 급배측의 오일홈(45A, 45B)과, 유압원측 오일 통로를 구성하는 고압측의 오일홈(45C, 45C), 저압측의 오일홈(45D, 45D)이 서로 축방향으로 이간하여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스풀 슬라이딩 구멍(46)의 둘레벽측에는, 액추에이터측 오일 통로를 구성하는 압유 급배측의 오일홈(46A, 46B)과, 고압측의 오일홈(46C, 46C), 저압측의 오일홈(46D, 46D)이 서로 축방향으로 이간하여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오일홈(46C, 46D)은, 유압원측 오일 통로를 구성하는 것이다.
47, 48은 제 2 하우징 블록(14)에 설치된 붐용의 방향 제어 밸브(이하, 붐용 제어 밸브(47, 48)라고 한다)이다.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러한 붐용 제어 밸브(47, 48) 중에서 일방의 붐용 제어 밸브(47)는, 스풀 슬라이딩 구멍(42) 내에 제 1 붐용 스풀(49)을 삽감하여 이루어지는 스풀 밸브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붐용 제어 밸브(47)는, 붐용 스풀(49)의 축방향 양측에 위치하여 커버체(24, 25) 내에 좌·우의 유압 파일럿부(47A, 47B)를 가지고 있다. 우측의 유압 파일럿부(47B)에는, 붐용 스풀(49)을 상시 중립 위치를 향해 가압하는 스프링(50)이 배치되어 있다.
여기서, 붐용 제어 밸브(47)의 유압 파일럿부(47A, 47B)에는, 붐용 조작 레버의 조작 밸브(도시 생략)로부터 파일럿압이 공급된다. 붐용 제어 밸브(47)의 붐용 스풀(49)은, 이 파일럿압에 따라 스풀 슬라이딩 구멍(42) 내를 축방향으로 변위하고, 액추에이터측의 오일홈(42A, 42B)을 유압원측의 오일홈(42C, 42D)에 대하여 선택적으로 연통, 차단한다. 이로 인해, 붐용 제어 밸브(47)는, 도 14 중의 중립 위치 (A)로부터 좌·우의 전환 위치 (B), (C)로 전환된다.
붐용 제어 밸브(47, 48) 중에서 타방의 붐용 제어 밸브(48)는, 스풀 슬라이딩 구멍(43) 내에 제 2 붐용 스풀(51)을 삽감하여 이루어지는 스풀 밸브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타방의 붐용 제어 밸브(48)는, 붐용 스풀(51)의 축방향 양측에 위치하여 커버체(24, 25) 내에 좌·우의 유압 파일럿부(48A, 48B)를 가지고 있다. 우측의 유압 파일럿부(48B)에는, 붐용 스풀(51)을 상시 중립 위치를 향해 가압하는 스프링(52)이 배치되어 있다.
여기서, 붐용 제어 밸브(48)의 유압 파일럿부(48A, 48B)에는, 전술한 붐용 제어 밸브(47)와 동일하게 상기 조작 밸브로부터 파일럿압이 공급된다. 붐용 제어 밸브(48)의 붐용 스풀(51)은, 이 파일럿압에 따라 스풀 슬라이딩 구멍(43) 내를 축방향으로 변위하고, 액추에이터측의 오일홈(43A, 43B)을 유압원측의 오일홈(43C, 43D)에 대하여 선택적으로 연통, 차단한다. 이로 인해, 붐용 제어 밸브(48)는, 도 14 중의 중립 위치 (A)로부터 좌·우의 전환 위치 (B), (C)로 전환되는 것이다.
압유 급배 포트(53A, 53B)는 하우징 블록(14)의 측면(14C)에 설치되어 있다.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러한 압유 급배 포트(53A, 53B)는, 일방측이 액추에이터측의 오일홈(42A, 42B)과 오일홈(43A, 43B)에 후술하는 합류 통로(93A, 93B)를 개재하여 연통하고, 타방측에서는 하우징 블록(14)의 측면(14C)에 개구하고 있다(도 2 참조). 압유 급배 포트(53A, 53B)는, 작업 장치(7)의 붐 실린더(8A)(도 1 참조)에 압유를 공급하는 것이다.
즉, 붐용 제어 밸브(47, 48)는, 후술하는 유압 펌프(77, 79)로부터 토출된 압유를 제 2 하우징 블록(14) 내(후술하는 합류 통로(93A, 93B))에서 서로 합류시킨다. 이때 합류된 압유는, 압유 급배 포트(53A, 53B)를 개재하여 작업 장치(7)의 붐 실린더(8A)에 공급된다. 이와 같이 붐용 제어 밸브(47, 48)는, 2개의 유압 펌프(77, 79)로부터의 압유를 서로 합류시키는 관계에 있다. 이 때문에, 붐용 제어 밸브(47, 48)의 붐용 스풀(49, 51)은, 동일한 제 2 하우징 블록(14) 내에 설치되어 있다.
54, 55는 제 2 하우징 블록(14)에 설치된 아암용의 방향 제어 밸브(이하, 아암용 제어 밸브(54, 55)라고 한다)이다.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러한 아암용 제어 밸브(54, 55) 중에서 일방의 아암용 제어 밸브(54)는, 스풀 슬라이딩 구멍(44) 내에 제 1 아암용 스풀(56)을 삽감하여 이루어지는 스풀 밸브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아암용 제어 밸브(54)는, 아암용 스풀(56)의 축방향 양측에 위치하여 커버체(24, 25) 내에 좌·우의 유압 파일럿부(54A, 54B)를 가지고 있다. 우측의 유압 파일럿부(54B)에는, 아암용 스풀(56)을 상시 중립 위치를 향해 가압하는 스프링(57)이 배치되어 있다.
여기서, 아암용 제어 밸브(54)의 유압 파일럿부(54A, 54B)에는, 아암용 조작 레버의 조작 밸브(도시 생략)로부터 파일럿압이 공급된다. 아암용 제어 밸브(54)의 아암용 스풀(56)은, 이 파일럿압에 따라 스풀 슬라이딩 구멍(44) 내를 축방향으로 변위하고, 액추에이터측의 오일홈(44A, 44B)을 유압원측의 오일홈(44C, 44D)에 대하여 선택적으로 연통, 차단한다. 이로 인해, 아암용 제어 밸브(54)는, 도 14 중의 중립 위치 (A)로부터 좌·우의 전환 위치 (B), (C)로 전환된다.
아암용 제어 밸브(54, 55) 중에서 타방의 아암용 제어 밸브(55)는, 스풀 슬라이딩 구멍(45) 내에 제 2 아암용 스풀(58)을 삽감하여 이루어지는 스풀 밸브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타방의 아암용 제어 밸브(55)는, 아암용 스풀(58)의 축방향 양측에 위치하여 커버체(24, 25) 내에 좌·우의 유압 파일럿부(55A, 55B)를 가지고 있다. 우측의 유압 파일럿부(55B)에는, 아암용 스풀(58)을 상시 중립 위치를 향해 가압하는 스프링(59)이 배치되어 있다.
여기서, 아암용 제어 밸브(55)의 유압 파일럿부(55A, 55B)에는, 전술한 아암용 제어 밸브(54)와 동일하게 상기 조작 밸브로부터 파일럿압이 공급된다. 아암용 제어 밸브(55)의 아암용 스풀(58)은, 이 파일럿압에 따라 스풀 슬라이딩 구멍(45) 내를 축방향으로 변위하고, 액추에이터측의 오일홈(45A, 45B)을 유압원측의 오일홈(45C, 45D)에 대하여 선택적으로 연통, 차단한다. 이로 인해, 아암용 제어 밸브(55)는, 도 14 중의 중립 위치 (A)로부터 전환 위치 (B), (C)로 전환되고, 아암용 제어 밸브(54)와 함께 후술하는 압유 급배 포트(60A, 60B)측에 압유를 공급하는 것이다.
압유 급배 포트(60A, 60B)는 하우징 블록(14)의 측면(14D)에 설치되어 있다.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러한 압유 급배 포트(60A, 60B)는, 일방측이 후술하는 합류 통로(94A, 94B)를 개재하여 액추에이터측의 오일홈(44A, 44B)과 오일홈(45A, 45B)에 연통하고, 타방측에서는 하우징 블록(14)의 측면(14D)에 개구하고 있다(도 3 참조). 압유 급배 포트(60A, 60B)는, 작업 장치(7)의 아암 실린더(9A)(도 1 참조)에 압유를 공급한다.
즉, 아암용 제어 밸브(54, 55)는, 후술하는 유압 펌프(77, 79)로부터 토출된 압유를 제 2 하우징 블록(14) 내(후술하는 합류 통로(94A, 94B))에서 서로 합류시킨다. 이때 합류된 압유는, 압유 급배 포트(60A, 60B)를 개재하여 작업 장치(7)의 아암 실린더(9A)에 공급된다. 이와 같이 아암용 제어 밸브(54, 55)는, 2개의 유압 펌프(77, 79)로부터의 압유를 서로 합류시키는 관계에 있다. 이 때문에, 아암용 제어 밸브(54, 55)의 아암용 스풀(56, 58)은, 동일한 제 2 하우징 블록(14) 내에 설치되어 있다.
61은 제 2 하우징 블록(14)에 설치된 선회용의 방향 제어 밸브(이하, 선회용 제어 밸브(61)라고 한다)이다.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 선회용 제어 밸브(61)는, 스풀 슬라이딩 구멍(46) 내에 스풀(62)을 삽감하여 이루어지는 스풀 밸브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선회용 제어 밸브(61)는, 스풀(62)의 축방향 양측에 위치하여 커버체(24, 25) 내에 좌·우의 유압 파일럿부(61A, 61B)를 가지고 있다. 우측의 유압 파일럿부(61B)에는, 스풀(62)을 상시 중립 위치를 향해 가압하는 스프링(63)이 배치되어 있다.
여기서, 선회용 제어 밸브(61)의 유압 파일럿부(61A, 61B)에는, 선회용 조작 레버의 조작 밸브(도시 생략)로부터 파일럿압이 공급된다. 선회용 제어 밸브(61)의 스풀(62)은, 이 파일럿압에 따라 스풀 슬라이딩 구멍(46) 내를 축방향으로 변위하고, 액추에이터측의 오일홈(46A, 46B)을 유압원측의 오일홈(46C, 46D)에 대하여 선택적으로 연통, 차단한다. 이로 인해, 선회용 제어 밸브(61)는, 도 14 중의 중립 위치 (A)로부터 전환 위치 (B), (C)로 전환되는 것이다.
압유 급배 포트(64A, 64B)는 하우징 블록(14)의 측면(14C)에 설치되어 있다.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러한 압유 급배 포트(64A, 64B)는, 액추에이터측의 오일홈(46A, 46B)에 일방에서 연통하고, 타방에서는 하우징 블록(14)의 측면(14D)에 개구하고 있다(도 3 참조). 그리고, 도 1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압유 급배 포트(64A, 64B)는, 상부 선회체(3)(도 1 참조)측에 설치된 선회용 모터(3M)에 압유를 공급하는 것이다.
다음에, 다연 밸브 장치(11)의 밸브 하우징(12)에 설치된 제 1, 제 2 펌프 포트(65, 71), 펌프 통로(66), 센터 바이패스 통로(67, 73), 고압 통로(68, 69, 74), 저압 통로(70), 탱크 포트(75), 탱크 통로(76), 제 1, 제 2 유압 펌프(77, 79) 및 릴리프 밸브(88)에 대하여 설명한다.
다연 밸브 장치(11)의 밸브 하우징(12)에 설치된 복수의 유압원측 오일 통로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제 1 유압 펌프(77)로부터 압유가 공급되는 제 1 고압 통로(69)와, 제 2 유압 펌프(79)로부터 압유가 공급되는 제 2 고압 통로(74)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제 1 고압 통로(69)와 제 2 고압 통로(74)는, 밸브 하우징(12)의 각 오목부(15)에 의해 둘러싸인 맞댐면(13B, 14A)의 중앙측 근처의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제 1 펌프 포트(65)는 제 1 하우징 블록(13)의 측면(13C)에 설치되어 있다.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 제 1 펌프 포트(65)는, 후술하는 커버(81A)보다 상측이 되는 위치에서 측면(13C)의 중앙부에 개구하고, 후술하는 유압 펌프(77)의 토출측에 접속되는 것이다. 제 1 펌프 포트(65)는, 각 스풀 슬라이딩 구멍(18, 19, 20, 21)을 사이에 두고 맞댐면(13B)과는 반대측의 상면(13A)에 가까운 위치에서, 제 1 하우징 블록(13)의 측면(13C)에 개구하여 설치되어 있다.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펌프 포트(65)는, 제 1 하우징 블록(13) 내에 천설(穿設)된 펌프 통로(66), 센터 바이패스 통로(67) 및 고압 통로(68, 69)에 연통하고 있다.
도 7, 도 1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센터 바이패스 통로(67) 및 고압 통로(68)는, 펌프 통로(66)를 개재하여 제 1 펌프 포트(65)에 연통하고 있다. 도 14의 유압 회로에도 나타내고 있는 바와 같이, 제 1 고압 통로(69)는, 주행용 제어 밸브(26)와 버킷용 제어 밸브(34)의 사이에서 센터 바이패스 통로(67)의 제 1 통로(67A)로부터 분기된 통로이다. 제 1 고압 통로(69)는, 센터 바이패스 통로(67)의 제 1 통로(67A)보다 하우징 블록(13)의 측면(13C)에 가까운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도 6, 도 8, 도 9 참조).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센터 바이패스 통로(67) 및 제 1 고압 통로(69)는, 제 1 하우징 블록(13)으로부터 제 2 하우징 블록(14) 내로 상·하방향(Z축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어 있다.
도 6, 도 1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센터 바이패스 통로(67)는, 제 1 하우징 블록(13) 내에 형성되어 상·하방향으로 연장된 제 1 펌프측의 제 1 통로(67A)와, 제 2 하우징 블록(14) 내에 형성되어 상·하방향으로 연장된 제 1 펌프측의 제 2 통로(67B)와, 이러한 통로(67A, 67B) 사이를 맞댐면(13B, 14A)의 위치에서 연통시키는 접속 포트(67C)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이 접속 포트(67C)에 의해, 센터 바이패스 통로(67)의 제 1, 제 2 통로(67A, 67B) 사이는, 맞댐면(13B, 14A)의 상·하에서 액밀(液密)하게 접속된다(도 6 참조).
제 1 고압 통로(69)는, 제 1 하우징 블록(13) 내에 형성되어 상·하방향으로 연장된 제 1 펌프측의 제 1 오일 통로(69A)와, 제 2 하우징 블록(14)내에 형성되어 상·하방향으로 연장된 제 1 펌프측의 제 2 오일 통로(69B)와, 이러한 제 1, 제 2 오일 통로(69A, 69B) 사이를 맞댐면(13B, 14A)의 위치에서 연통시키는 접속 포트(69C)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이 접속 포트(69C)에 의해, 제 1 고압 통로(69)의 제 1, 제 2 오일 통로(69A, 69B) 사이는, 맞댐면(13B, 14A)의 상·하에서 액밀하게 접속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기술하면, 도 1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센터 바이패스 통로(67)의 접속 포트(67C)와 제 1 고압 통로(69)의 접속 포트(69C)는, 제 2 하우징 블록(14)의 네 모퉁이측에 설치하는 4개의 볼트(16) 및 저압측 오일 통로(즉, 후술하는 저압 통로(70)의 각 측방 통로(70B)와 탱크 통로(76)의 각 측방 통로(76B))보다 맞댐면(14A)의 중앙측 근처의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즉, 센터 바이패스 통로(67)의 접속 포트(67C)와 제 1 고압 통로(69)의 접속 포트(69C)는, 밸브 하우징(12)의 각 오목부(15)에 의해 둘러싸인 맞댐면(13B, 14A)의 중앙측 근처의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여기서, 펌프 통로(66), 제 1 고압 통로(69)는, 제 1 유압 펌프(77)로부터 토출되는 압유를 주행용 제어 밸브(26), 버킷용 제어 밸브(34), 붐용 제어 밸브(47), 아암용 제어 밸브(54)에 공급하는 유압원측 오일 통로의 고압측을 구성하고 있다. 도 1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고압 통로(69)의 제 1 오일 통로(69A)는, 그 상류측이 주행용 제어 밸브(26)와 버킷용 제어 밸브(34)의 사이에서 센터 바이패스 통로(67)의 제 1 통로(67A)로부터 분기되고, 하류측이 접속 포트(69C)의 위치까지 연장되어 있다. 즉, 제 1 고압 통로(69)의 제 1 오일 통로(69A)는, 제 1 펌프측의 제 1 오일 통로를 구성하고 있다.
제 1 고압 통로(69)의 제 2 오일 통로(69B)는, 그 상류측이 맞댐면(13B, 14A) 사이의 접속 포트(69C)에 연통하고, 하류측이 붐용 제어 밸브(47)와 아암용 제어 밸브(54)에 병렬 접속되어 있다. 즉, 제 1 고압 통로(69)의 제 2 오일 통로(69B)는, 제 1 펌프측의 제 2 오일 통로를 구성하고 있다. 여기서, 제 1 고압 통로(69)의 제 1 오일 통로(69A)는, 제 1 하우징 블록(13)의 맞댐면(13B)에 가까운 위치에 배치된 버킷용 제어 밸브(34)(스풀(35))보다 상류측이 되는 위치로부터 맞댐면(13B, 14A) 사이의 접속 포트(69C)를 통하여, 제 2 오일 통로(69B) 및 제어 밸브(47, 54)(스풀(49, 56))에 제 1 유압 펌프(77)로부터의 압유를 공급한다.
저압 통로(70)는 제 1 하우징 블록(13) 내에 형성되어 있다. 도 4∼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 저압 통로(70)는, 펌프 통로(66), 센터 바이패스 통로(67) 및 고압 통로(68, 69)로부터 이간된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저압 통로(70)는, 제 1 하우징 블록(13)의 상면(13A)을 따라 연장되는 복수(2개)의 상측 통로(70A)와, 상단(上端)측이 당해 각 상측 통로(70A)에 연통하여 제 1 하우징 블록(13)의 좌·우의 측면(13E, 13F)을 따라 하향으로 연장되는 좌·우의 측방 통로(70B)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저압 통로(70)의 각 측방 통로(70B)는, 그 하단(下端)측이 맞댐면(13B)의 위치에서 후술하는 탱크 통로(76)의 각 측방 통로(76B)와 연통하고 있다. 이 때문에, 저압 통로(70)의 상측 통로(70A) 및 측방 통로(70B) 내를 흐르는 유액(각 유압 액추에이터로부터의 복귀 오일)은, 후술하는 탱크(78)에 탱크 통로(76)를 개재하여 배출되는 것이다.
제 2 펌프 포트(71)는 제 2 하우징 블록(14)의 측면(14C)에 설치되어 있다.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 제 2 펌프 포트(71)는, 후술하는 커버(85A)보다 하측이 되는 위치에서 측면(14C)의 중앙부에 개구하고, 후술하는 제 2 유압 펌프(79)의 토출측에 접속되는 것이다. 제 2 펌프 포트(71)는, 각 스풀 슬라이딩 구멍(42, 43, 44, 45, 46)을 사이에 두고 맞댐면(14A)과는 반대측의 하면(14B)에 가까운 위치에서, 제 2 하우징 블록(14)의 측면(14C)에 개구하여 설치되어 있다. 제 2 펌프 포트(71)는, 제 2 하우징 블록(14) 내에 천설된 펌프 통로(72)에 연통함과 함께, 센터 바이패스 통로(73) 및 제 2 고압 통로(74)에도 연통하고 있다. 센터 바이패스 통로(73) 및 제 2 고압 통로(74)는, 제 2 하우징 블록(14)으로부터 제 1 하우징 블록(13)에 걸쳐 Z축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도 14의 유압 회로에도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2 고압 통로(74)는, 선회용 제어 밸브(61)보다 상류측이 되는 위치에서 펌프 통로(72)로부터 분기되고, 이 분기 위치에서 센터 바이패스 통로(73)는 펌프 통로(72)에 접속되어 있다.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2 고압 통로(74)는, 센터 바이패스 통로(73)보다 하우징 블록(13, 14)의 측면(13D, 14D)에 가까운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센터 바이패스 통로(73) 및 제 2 고압 통로(74)는, 제 2 하우징 블록(14)으로부터 제 1 하우징 블록(13) 내로 상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어 있다.
도 6, 도 1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센터 바이패스 통로(73)는, 제 1 하우징 블록(13) 내에 형성되어 상·하방향으로 연장된 제 2 펌프측의 제 1 통로(73A)와, 제 2 하우징 블록(14) 내에 형성되어 상·하방향으로 연장된 제 2 펌프측의 제 2 통로(73B)와, 이러한 통로(73A, 73B) 사이를 맞댐면(13B, 14A)의 위치에서 연통시키는 접속 포트(73C)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이 접속 포트(73C)에 의해, 센터 바이패스 통로(73)의 제 1, 제 2 통로(73A, 73B) 사이는, 맞댐면(13B, 14A)의 상·하에서 액밀하게 접속된다(도 6 참조).
제 2 유압 펌프(79)에 접속되는 제 2 고압 통로(74)는, 제 1 하우징 블록(13) 내에 형성되어 상·하방향으로 연장된 제 2 펌프측의 제 1 오일 통로(74A)와, 제 2 하우징 블록(14) 내에 형성되어 상·하방향으로 연장된 제 2 펌프측의 제 2 오일 통로(74B)와, 이러한 제 1, 제 2 오일 통로(74A, 74B) 사이를 맞댐면(13B, 14A)의 위치에서 연통시키는 접속 포트(74C)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이 접속 포트(74C)에 의해, 제 2 고압 통로(74)의 제 1, 제 2 오일 통로(74A, 74B) 사이는, 맞댐면(13B, 14A)의 상·하에서 액밀하게 접속된다.
구체적으로 기술하면, 도 1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센터 바이패스 통로(73)의 접속 포트(73C)와 고압 통로(74)의 접속 포트(74C)는, 제 2 하우징 블록(14)의 네 모퉁이측에 설치하는 4개의 볼트(16) 및 저압측 오일 통로(즉, 저압 통로(70)의 각 측방 통로(70B)와 후술하는 탱크 통로(76)의 각 측방 통로(76B))보다 맞댐면(14A)의 중앙측 근처의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즉, 센터 바이패스 통로(73)의 접속 포트(73C)와 제 2 고압 통로(74)의 접속 포트(74C)는, 밸브 하우징(12)의 각 오목부(15)에 의해 둘러싸인 맞댐면(13B, 14A)의 중앙측 근처의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펌프 통로(72), 제 2 고압 통로(74)는, 후술하는 제 2 유압 펌프(79)로부터 토출된 압유를, 선회용 제어 밸브(61), 아암용 제어 밸브(55), 붐용 제어 밸브(48), 예비의 제어 밸브(38), 주행용 제어 밸브(30) 등에 공급하는 유압원측 오일 통로의 고압측을 구성하고 있다. 제 2 고압 통로(74)의 제 1 오일 통로(74A)는, 그 상류측이 맞댐면(13B, 14A) 사이의 접속 포트(74C)에 연통하고, 하류측이 예비의 제어 밸브(38)와 주행용 제어 밸브(30)에 병렬 접속되어 있다. 즉, 제 2 펌프측의 제 1 오일 통로(74A)는, 제어 밸브(38)의 스풀(39)과 제어 밸브(30)의 스풀(31)에 제 2 유압 펌프(79)로부터의 압유를 공급하는 것이다.
도 1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2 고압 통로(74)의 제 2 펌프측의 제 2 오일 통로(74B)는, 그 상류측이 선회용 제어 밸브(61)의 앞쪽 위치(제어 밸브(61)보다 상류측이 되는 위치)에서 센터 바이패스 통로(73)의 제 2 통로(73B)로부터 분기되고, 하류측이 접속 포트(74C)의 위치까지 연장되어 있다. 제 2 펌프측의 제 2 오일 통로(74B)는, 아암용 제어 밸브(55)와 붐용 제어 밸브(48)에 병렬 접속되고, 스풀(58, 51)에 제 2 유압 펌프(79)로부터의 압유를 공급하는 것이다.
환언하면, 제 1 하우징 블록(13)에 설치된 복수의 유압원측 오일 통로의 고압측은, 제 1 유압 펌프(77)에 접속되는 제 1 펌프측의 제 1 오일 통로(69A)와, 제 2 유압 펌프(79)에 접속되는 제 2 펌프측의 제 1 오일 통로(74A)로 분리하여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 2 하우징 블록(14)에 설치된 복수의 유압원측 오일 통로의 고압측은, 제 1 유압 펌프(77)에 접속되는 제 1 펌프측의 제 2 오일 통로(69B)와, 제 2 유압 펌프(79)에 접속되는 제 2 펌프측의 제 2 오일 통로(74B)로 분리하여 형성되어 있다.
제 1 하우징 블록(13)에 형성된 제 1 펌프측의 제 1 오일 통로(69A)는, 제 2 하우징 블록(14)에 형성된 제 1 펌프측의 제 2 오일 통로(69B)에 맞댐면(13B, 14A)사이의 접속 포트(69C)를 통하여 연통하고 있다. 제 1 하우징 블록(13)에 형성된 제 2 펌프측의 제 1 오일 통로(74A)는, 제 2 하우징 블록(14)에 형성된 제 2 펌프측의 제 2 오일 통로(74B)에 맞댐면(13B, 14A) 사이의 접속 포트(74C)를 통하여 연통하고 있다.
탱크 포트(75)는 제 2 하우징 블록(14)의 측면(14C)에 설치되어 있다.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 탱크 포트(75)는, 제 2 펌프 포트(71)로부터 왼쪽방향으로 이간된 위치에서 측면(14C)에 개구하고, 후술하는 탱크(78)에 접속되는 것이다. 도 12, 도 1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저압 통로로서의 탱크 통로(76)는, 하측 통로(76A)와 좌·우의 측방 통로(76B)를 가지고 있다. 탱크 포트(75)는, 탱크 통로(76)의 하측 통로(76A)를 개재하여 좌·우의 측방 통로(76B)에 연통하고, 이러한 측방 통로(76B) 내를 흐르는 유액(각 유압 액추에이터로부터의 복귀 오일)을 탱크(78)에 배출하는 것이다.
도 4,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각 측방 통로(76B)는, 제 2 하우징 블록(14) 내에서 좌·우(X축방향)로 크게 이간하여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 측방 통로(76B)는, 제 1 하우징 블록(13) 내에 형성된 상기 저압 통로(70)의 측방 통로(70B)와 맞댐면(13B, 14A)의 위치에서 액밀하게 접속되어 있다. 측방 통로(70B, 76B) 사이를 유통하는 유액(복귀 오일)은 저압이기 때문에, 맞댐면(13B, 14A)의 위치에서 오일 누출(리크)이 생기는 경우는 적다.
77은 탱크(78)와 함께 제 1 유압원을 구성하는 제 1 유압 펌프이다. 도 6,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 제 1 유압 펌프(77)는, 그 토출측이 제 1 펌프 포트(65)에 접속되고, 펌프 통로(66) 및 제 1 고압 통로(69)를 개재하여 제어 밸브(26, 34, 47, 54)(스풀(27, 35, 49, 56))에 압유를 공급하는 것이다.
79는 탱크(78)와 함께 제 2 유압원을 구성하는 제 2 유압 펌프이다. 도 6,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 제 2 유압 펌프(79)는, 그 토출측이 제 2 펌프 포트(71)에 접속되고, 펌프 통로(72) 및 제 2 고압 통로(74)를 개재하여 제어 밸브(61, 55, 48, 38, 30)(스풀(62, 58, 51, 39, 31))에 압유를 공급하는 것이다.
체크 밸브(80)는 주행용 제어 밸브(30)에 부설되어 있다.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 체크 밸브(80)는, 하우징 블록(13)의 측면(13D)으로부터 고압 통로(74)측을 향해 장입(裝入)하도록 장착되고, 측면(13D)과의 사이는 커버(80A)에 의해 폐색되어 있다. 체크 밸브(80)는, 고압 통로(74)로부터 오일홈(19C)측을 향해 압유가 유통되는 것을 허용하고, 역방향의 흐름을 저지하는 것이다.
체크 밸브(81)는 버킷용 제어 밸브(34)에 부설되어 있다.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 체크 밸브(81)는, 하우징 블록(13)의 측면(13C)으로부터 고압 통로(69)측을 향해 장입하도록 장착되고, 측면(13C)과의 사이는 커버(81A)에 의해 폐색되어 있다. 체크 밸브(81)는, 고압 통로(69)로부터 오일홈(20C)측을 향해 압유가 유통되는 것을 허용하고, 역방향의 흐름을 저지하는 것이다.
다른 체크 밸브(82)는 예비의 제어 밸브(38)에 부설되어 있다. 다른 체크 밸브(82)는, 전술한 체크 밸브(80)와 대략 동일하게 구성되고, 하우징 블록(13)의 측면(13D)측에 커버(82A)가 설치되어 있다. 체크 밸브(82)는, 고압 통로(74)로부터 오일홈(21C)측을 향해 압유가 유통되는 것을 허용하고, 역방향의 흐름을 저지하는 것이다.
또한, 제 2 하우징 블록(14)에도 체크 밸브(83∼87)가 설치되어 있다.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체크 밸브(83)는 붐용 제어 밸브(47)에 부설되고, 체크 밸브(84)는 붐용 제어 밸브(48)에 부설되어 있다. 이러한 체크 밸브(83, 84)는 커버(83A, 84A)를 각각 구비하고 있다.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체크 밸브(85)는 아암용 제어 밸브(54)에 부설되고, 체크 밸브(86)는 아암용 제어 밸브(55)에 부설되어 있다. 이러한 체크 밸브(85, 86)는 커버(85A, 86A)를 각각 구비하고 있다. 또한,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체크 밸브(87)는 선회용 제어 밸브(61)에 부설되고, 체크 밸브(87)는 커버(87A)를 구비하고 있다.
88은 제 1 하우징 블록(13)에 설치된 메인의 릴리프 밸브이다. 이 릴리프 밸브(88)는, 제 1 유압 펌프(77)와 제 2 유압 펌프(79)로부터 토출되는 압유의 최고 압력을 미리 결정된 설정압 이하로 억제하는 것이다. 도 9, 도 1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릴리프 밸브(88)는, 한 쌍의 체크 밸브(89, 90) 사이에 위치하여 제 1 하우징 블록(13)에 장착되어 있다.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체크 밸브(89)는, 고압 통로(68)에 연통된 릴리프 통로(91)를 폐색하도록, 밸브 스프링(89A)에 의해 상시 밸브 폐쇄 방향으로 가압되고 있다. 릴리프 통로(91)(즉, 고압 통로(68)) 내의 압력이 밸브 스프링(89A)의 설정압을 초과하면, 체크 밸브(89)는 밸브 개방된다. 이때, 릴리프 밸브(88)의 압력실(88A)에는, 고압 통로(68) 내의 압력이 릴리프 통로(91)를 개재하여 유도된다. 그러나, 체크 밸브(89)는, 압력실(88A)로부터 릴리프 통로(91)측을 향해 유액이 유통되는 것을 저지한다.
한편, 체크 밸브(90)는, 고압 통로(74)에 연통된 릴리프 통로(92)를 폐색하도록, 밸브 스프링(90A)에 의해 상시 밸브 폐쇄 방향으로 가압되고 있다. 릴리프 통로(92)(즉, 고압 통로(74)) 내의 압력이 밸브 스프링(90A)의 설정압을 초과하면, 체크 밸브(90)는 밸브 개방된다. 이때, 릴리프 밸브(88)의 압력실(88A)에는, 고압 통로(74) 내의 압력이 릴리프 통로(92)을 개재하여 유도된다. 그러나, 체크 밸브(90)는, 압력실(88A)로부터 릴리프 통로(92)측을 향해 유액이 유통되는 것을 저지 하는 것이다.
릴리프 밸브(88)는, 압력실(88A)(즉, 고압 통로(68, 74)) 내의 압력이 소정의 릴리프 설정압을 초과하면 밸브 개방하고, 이때의 과잉압을 저압 통로(70)의 측방 통로(70B)를 개재하여 탱크(78)측에 릴리프 시킨다. 이로 인해, 릴리프 밸브(88)는, 펌프 통로(66, 72) 및 고압 통로(68, 69, 74) 내의 최고 압력(즉, 제 1 유압 펌프(77)와 제 2 유압 펌프(79)로부터 토출되는 압유의 최고 압력)을 미리 결정된 릴리프 설정압 이하로 억제하는 것이다.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릴리프 밸브(88)는, 예비의 제어 밸브(38)(스풀 슬라이딩 구멍(21))보다 하측에서 하우징 블록(13)의 맞댐면(13B)에 가까운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즉, 릴리프 밸브(88)는, 하우징 블록(13) 내에 설치된 스풀 슬라이딩 구멍(18∼21)보다 맞댐면(13B)에 가까운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이로 인해, 도 1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릴리프 밸브(88)는, 제 1 펌프 포트(65)와 제 2 펌프 포트(71)의 사이에서 대략 중간이 되는 위치(즉, 양자 사이의 관로 길이를 대략 동일하게 할 수 있는 위치)에 배치되는 것이다.
합류 통로(93A, 93B)는 제 2 하우징 블록(14) 내에서 붐용 제어 밸브(47, 48) 사이에 설치되어 있다.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러한 합류 통로(93A, 93B)는, 붐용 제어 밸브(47)(스풀 슬라이딩 구멍(42))의 오일홈(42A, 42B)과 붐용 제어 밸브(48)(스풀 슬라이딩 구멍(43))의 오일홈(43A, 43B)의 사이를 상시 연통시킨다. 합류 통로(93A, 93B)는, 오일홈(42A, 42B) 및 오일홈(43A, 43B)과 함께 붐용 제어 밸브(47, 48)의 액추에이터측 오일 통로를 구성하고 있다. 합류 통로(93A, 93B)는, 제 1, 제 2 유압 펌프(77, 79)로부터 붐용 제어 밸브(47, 48)(붐용 스풀(49, 51))에 공급되는 압유를 서로 합류시키고, 합류된 압유를 압유 급배 포트(53A, 53B)로부터 작업 장치(7)의 붐 실린더(8A)에 공급시킨다.
합류 통로(94A, 94B)는 제 2 하우징 블록(14) 내에서 아암용 제어 밸브(54, 55) 사이에 설치되어 있다.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러한 합류 통로(94A, 94B)는, 아암용 제어 밸브(54)(스풀 슬라이딩 구멍(44))의 오일홈(44A, 44B)과 아암용 제어 밸브(55)(스풀 슬라이딩 구멍(45))의 오일홈(45A, 45B)의 사이를 상시 연통시킨다. 합류 통로(94A, 94B)는, 오일홈(44A, 44B) 및 오일홈(45A, 45B)과 함께 아암용 제어 밸브(54, 55)의 액추에이터측 오일 통로를 구성하고 있다. 합류 통로(94A, 94B)는, 제 1, 제 2 유압 펌프(77, 79)로부터 아암용 제어 밸브(54, 55)(아암용 스풀(56, 58))에 공급되는 압유를 서로 합류시키고, 합류된 압유를 압유 급배 포트(60A, 60B)로부터 작업 장치(7)의 아암 실린더(9A)에 공급시킨다.
본 실시형태에 의한 유압 셔블(1)에 탑재한 다연 밸브 장치(11)는, 상술과 같은 구성을 가지는 것으로, 다음에 그 작동에 대하여 설명한다.
유압 셔블(1)(차량)을 주행시킬 때에는, 캡(4) 내에 탑승한 오퍼레이터가 좌·우의 주행용 레버를 경전(傾轉)조작하면, 이때의 파일럿압에 따라 좌·우의 주행용 제어 밸브(26, 30)가 중립 위치 (A)로부터 전환 위치 (B), (C)의 어느 쪽으로 전환된다.
이로 인해, 우측의 주행용 제어 밸브(26)는, 제 1 유압 펌프(77)로부터의 압유를 압유 급배 포트(29A, 29B)를 개재하여 우측의 주행용 모터(2R)에 공급한다. 그리고, 좌측의 주행용 제어 밸브(30)는, 제 2 유압 펌프(79)로부터의 압유를 압유 급배 포트(33A, 33B)를 개재하여 좌측의 주행용 모터(2L)에 공급한다. 이 결과, 하부 주행체(2)는, 좌·우의 주행용 모터(2L, 2R)로 크롤러를 구동하여, 차량을 전진 또는 후진시키는 주행 동작을 행할 수 있다.
작업 현장에 있어서 토사의 굴삭 작업을 행할 때에는, 작업 장치(7)의 붐(8)과 아암(9)을 상·하로 부앙동시키면서, 버킷(10)을 회동한다. 즉, 캡(4) 내의 오퍼레이터가 버킷용 조작 레버를 경전조작함으로써, 버킷용 제어 밸브(34)가 중립 위치 (A)로부터 전환 위치 (B), (C)의 어느 쪽으로 전환된다. 이 때문에, 제 1 유압 펌프(77)로부터의 압유는, 버킷용 제어 밸브(34), 압유 급배 포트(37A, 37B)를 개재하여 버킷 실린더(10A)에 공급된다.
붐용 조작 레버가 경전되면, 붐용 제어 밸브(47, 48)가 중립 위치 (A)로부터 전환 위치 (B), (C)의 어느 쪽으로 전환된다. 이로 인해, 제 1, 제 2 유압 펌프(77, 79)로부터 토출된 압유는, 붐용 제어 밸브(47, 48)에 의해 합류 통로(93A, 93B)를 개재하여 서로 합류되고, 합류된 압유를 압유 급배 포트(53A, 53B)를 개재하여 붐 실린더(8A)에 공급할 수 있다.
한편, 아암용 조작 레버가 경전되면, 아암용 제어 밸브(54, 55)가 중립 위치 (A)로부터 전환 위치 (B), (C)의 어느 쪽으로 전환된다. 이로 인해, 제 1, 제 2 유압 펌프(77, 79)로부터 토출된 압유는, 아암용 제어 밸브(54, 55)에 의해 합류 통로(94A, 94B)를 개재하여 서로 합류되고, 합류된 압유를 압유 급배 포트(60A, 60B)를 개재하여 아암 실린더(9A)에 공급할 수 있다.
또한, 하부 주행체(2) 상에서 상부 선회체(3)를 선회 구동할 때에는, 선회용 조작 레버의 경전조작에 따라 선회용 제어 밸브(61)를 중립 위치 (A)로부터 전환 위치 (B), (C)의 어느 쪽으로 전환된다. 이로 인해, 제 2 유압 펌프(79)로부터 토출된 압유를, 선회용 제어 밸브(61), 압유 급배 포트(64A, 64B)를 개재하여 선회용 모터(3M)에 공급할 수 있어, 선회용 모터(3M)를 선회 구동할 수 있다.
그런데, 도 15에 나타내는 비교예와 같이, 다연 밸브 장치(11′)의 밸브 하우징(12′)을 2분할형으로 하는 경우에, 좌·우방향(예를 들면, Y축방향)으로 2분할한 왼쪽 하우징 블록(13′),오른쪽 하우징 블록(14′)을 이용하는 경우가 있다. 도 15에 나타내는 왼쪽 하우징 블록(13′)과 오른쪽 하우징 블록(14′)은, 예를 들면 상·하방향(Z축방향)으로 연장되는 맞댐면(13B′, 14A′)의 위치에서 서로 분리 가능하게 충합되어 있다.
그러나, 도 15에 나타내는 비교예에 있어서는, 왼쪽 하우징 블록(13′) 내와 오른쪽 하우징 블록(14′) 내에 설치하는 스풀의 개수를 늘리기 위하여, 각 하우징 블록(13′, 14′)의 치수를 크게 하는 경우가 있다. 그러나, 이를 위해서는, 맞댐면(13B′, 14A′)의 면적을 넓게 하지 않을 수 없다. 이로 인해, 맞댐면(13B′, 14A′)의 위치에서 시일 불량, 오일 누출이 발생할 가능성은 높아진다.
게다가, 유압원으로서 제 1, 제 2 유압 펌프(77, 79)를 이용하는 경우, 붐 실린더(8A)와 아암 실린더(9A)에 2개의 유압 펌프(77, 79)로부터의 압유를 합류시켜 공급하는 경우가 있다. 이 경우에, 붐용 제어 밸브(47, 48) 사이에서는, 합류 통로(93A, 93B)를 맞댐면(13B′, 14A′)의 위치에서 각각 2분할하고, 양자의 사이를 접속 포트(93A′, 93B′)에 의해 연통시킨다. 아암용 제어 밸브(54, 55) 사이에서는 합류 통로(94A, 94B)를 맞댐면(13B′, 14A′)의 위치에서 각각 2분할하고, 양자의 사이를 접속 포트(94A′, 94B′)에 의해 연통시킨다.
이로 인해, 하우징 블록(13′, 14′)의 맞댐면(13B′, 14A′)의 위치에는, 합계 4개의 접속 포트(93A′, 93B′, 94A′, 94B′)가 형성되게 된다. 또한, 릴리프 밸브(88)에 대하여 제 1 유압 펌프(77)로부터의 압유를 유도하는 고압 통로(68)에는, 체크 밸브(89)의 하류측에서 맞댐면(13B′, 14A′)의 위치에 접속 포트(68′)가 형성된다. 제 2 펌프 포트(71)에 연통하는 펌프 통로(72)에도, 맞댐면(13B′, 14A′)의 위치에 접속 포트(72′)가 형성된다.
이와 같이, 도 15에 나타내는 비교예에서는, 왼쪽 하우징 블록(13′)과 오른쪽 하우징 블록(14′)의 사이에 개재하는 맞댐면(13B′, 14A′)의 위치에, 합계 6개의 접속 포트(68′, 72′, 93A′, 93B′, 94A′, 94B′)가 형성된다. 이로 인해, 맞댐면(13B′, 14A′)에 있어서의 압유의 합류 지점이 6군데로 증가하기 때문에, 오일 누출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아져버린다.
그래서, 제 1 실시형태는,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다연 밸브 장치(11)의 밸브 하우징(12)을 상·하방향(예를 들면, Z축방향)에서 제 1 하우징 블록(13)과 제 2 하우징 블록(14)으로 2분할하여 형성하는 구성으로 하고 있다. 게다가, 당해 제 1 하우징 블록(13)과 제 2 하우징 블록(14)은, 상대방과 상·하방향에서 대향하는 맞댐면(13B, 14A)의 위치에서 서로 충합, 이간되는 구성으로 하고 있다.
이 때문에, 제 1 하우징 블록(13)과 제 2 하우징 블록(14) 사이의 맞댐면(13B, 14A)의 위치에는, 도 1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합계 4개의 접속 포트(67C, 69C, 73C, 74C)를 설치하는 것만으로 충분하다. 이로 인해, 제 1, 제 2 유압 펌프(77, 79)로부터의 압유를 모든 제어 밸브(26, 30, 34, 38, 47, 48, 54, 55, 61)(스풀(27, 31, 35, 39, 49, 51, 56, 58, 62))에 공급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접속 포트(67C, 69C, 73C, 74C)의 수를 필요 최소한으로 줄여, 맞댐면(13B, 14A) 사이에 있어서의 오일 누출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즉, 제 1 유압 펌프(77)로부터의 압유를 센터 바이패스 통로(67)의 제 1 통로(67A), 고압 통로(69)의 제 1 펌프측의 제 1 오일 통로(69A)를 개재하여 제 1 하우징 블록(13) 내의 제어 밸브(26, 34)(스풀(27, 35))에 공급할 수 있다. 게다가, 제 1 유압 펌프(77)로부터의 압유를 맞댐면(13B, 14A)의 접속 포트(69C)를 통하여 제 2 하우징 블록(14)의 제 1 펌프측의 제 2 오일 통로(69B)에 공급하여, 제 2 하우징 블록(14) 내의 제어 밸브(47, 54)(스풀(49, 56))에 공급할 수 있다.
제 2 유압 펌프(79)로부터의 압유는, 센터 바이패스 통로(73)의 제 2 통로(73B), 고압 통로(74)의 제 2 펌프측의 제 2 오일 통로(74B)를 개재하여 제 2 하우징 블록(14) 내의 제어 밸브(61, 55, 48)(스풀(62, 58, 51))에 공급할 수 있다. 게다가, 제 2 유압 펌프(79)로부터의 압유를 맞댐면(13B, 14A)의 접속 포트(74C)를 통하여 제 1 하우징 블록(13)의 제 2 펌프측의 제 1 오일 통로(74A)에도 공급하여, 제어 밸브(38, 30)(스풀(39, 31))에 공급할 수 있다.
또한, 붐 실린더(8A)를 제어하는 붐용 제어 밸브(47, 48)(붐용 스풀(49, 51))는, 동일한 제 2 하우징 블록(14) 내에 설치하고 있다. 이 때문에, 제 1, 제 2 유압 펌프(77, 79)로부터 토출되는 압유를 하나의 제 2 하우징 블록(14) 내(합류 통로(93A, 93B))에서 합류시켜 2개의 붐용 스풀(49, 51)에 공급할 수 있다. 이 결과, 합류 통로(93A, 93B)를 2개의 하우징 블록(13, 14)의 맞댐면(13B, 14A)을 사이에 둔 위치에 설치할 필요가 없다. 이에 비하여, 예를 들면 도 15에 나타내는 비교예에서는, 하우징 블록(13′, 14′)의 맞댐면(13B′, 14A′)의 위치에 합류 통로(93A, 93B)의 접속 포트(93A′, 93B′)를 설치하기 때문에, 접속 포트수가 증가하고 있다.
이 때문에, 제 1 실시형태에서는, 맞댐면(13B, 14A)에 있어서의 접속 포트수를 줄일 수 있어, 오일 누출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아암 실린더(9A)를 제어하는 아암용 제어 밸브(54, 55)(아암용 스풀(56, 58))에 대해서도, 동일한 제 2 하우징 블록(14) 내에 설치한다. 이로 인해, 제 1, 제 2 유압 펌프(77, 79)로부터 토출되는 압유를 하나의 제 2 하우징 블록(14) 내(합류 통로(94A, 94B))에서 합류시켜 2개의 아암용 스풀(56, 58)에 공급할 수 있어, 접속 포트수를 줄일 수 있다.
또한, 제 1 하우징 블록(13)에는, 맞댐면(13B)과의 사이가 볼트 체결용의 좌면부(15A)가 되는 각 오목부(15)를 형성하고 있다. 이로 인해, 제 1 하우징 블록(13)을 제 2 하우징 블록(14)에 충합 상태로 고착(결합)할 때에는, 각 오목부(15)를 볼트 장착 스페이스로서 활용할 수 있다. 게다가, 좌면부(15A)에는, 상기 좌면부(15A)에 비교적 단척인 복수의 볼트(16)를 체결하는 것만으로 충분하다. 이 결과, 제 1 하우징 블록(13)과 제 2 하우징 블록(14)을 충합 상태로 고착할 수 있어, 다연 밸브 장치(11)의 밸브 하우징(12)을 용이하게 조립할 수 있다. 또한, 각 볼트(16)의 체결 위치는, 하우징 블록(13, 14)의 맞댐면(13B, 14A)의 각 모퉁이측보다 내측의 위치가 된다. 이로 인해, 각 볼트(16)의 체결 위치는, 맞댐면(13B, 14A)으로부터의 오일 누출 발생을 억제하는 면에서 유효한 위치가 되는 것이다.
가령, 제 1 하우징 블록(13)의 네 모퉁이측에 오목부(15)를 설치하지 않을 경우에는, 장척(長尺)인 볼트를 이용하여 2개의 하우징 블록을 체결할 필요가 발생한다. 게다가, 이 경우에는, 장척인 볼트의 조임력에 의해 내부의 스풀 슬라이딩 구멍이 변형되기 쉬워진다.
이에 비하여 제 1 실시형태에서는, 제 1 하우징 블록(13)의 네 모퉁이측에 오목부(15)를 설치하고, 그 좌면부(15A)에 단척인 복수의 볼트(16)를 체결하고 있다. 이로 인해, 하우징 블록(13, 14) 내의 스풀 슬라이딩 구멍(18, 19, 20, 21, 42, 43, 44, 45, 46)의 변형을 억제할 수 있다. 이 결과, 스풀(27, 31, 35, 39, 49, 51, 56, 58, 62)의 슬라이딩성을 양호하게 유지할 수 있다.
제 1 하우징 블록(13) 내에는, 예를 들면 합계 4개의 스풀 슬라이딩 구멍(18∼21)을, Y축방향과 Z축방향으로 서로 이간시킨 상태에서, X축방향을 따라 서로 병행하게 연장되도록 입체 구조를 이루어 배치할 수 있어, 제 1 하우징 블록(13)측에는, 좌·우의 주행용 제어 밸브(26, 30), 버킷용 제어 밸브(34) 및 예비의 제어 밸브(38)를 콤팩트한 구조로 조립할 수 있다. 또한, 제 1 하우징 블록(13)측에는, 펌프 통로(66) 및 제 1, 제 2 고압 통로(69, 74) 내의 최고 압력을 미리 결정된 설정압 이하로 억제하는 릴리프 밸브(88)를 배치할 수 있다.
한편, 제 2 하우징 블록(14) 내에는, 예를 들면 합계 5개의 스풀 슬라이딩 구멍(42∼46)을, Y축방향과 Z축방향으로 서로 이간시킴과 함께, X축방향으로 서로 병행하게 연장되도록 입체 구조로 배치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제 2 하우징 블록(14)측에는, 붐용 제어 밸브(47, 48), 아암용 제어 밸브(54, 55) 및 선회용 제어 밸브(61)를 콤팩트한 구조로 조립할 수 있다.
이 때문에, 밸브 하우징(12) 내에 설치하는 스풀 슬라이딩 구멍(스풀 밸브)의 개수를 늘릴 때에는, 맞댐면(13B, 14A)에 수직인 Z축방향에서 하우징 블록(13, 14)의 치수를 크게 함으로써 대응할 수 있다. 이 경우, 맞댐면(13B, 14A)에 평행한 Y축방향으로 하우징 블록(13, 14)의 치수를 크게 할 필요는 없으므로, 맞댐면(13B, 14A)의 면적을 가능한 한 작게 할 수 있다.
4개의 오목부(15)의 좌면부(15A)는, 4개의 볼트(16)를 이용하여 제 1 하우징 블록(13)과 제 2 하우징 블록(14)을 충합 상태로 고착하기 위한 4개의 체결부를 구성하고 있다. 게다가, 맞댐면(13B, 14A)의 위치를 지나는 고압측의 오일 통로(즉, 접속 포트(67C, 69C, 73C, 74C))는, 밸브 하우징(12)의 각 오목부(15)에 의해 둘러싸인 맞댐면(13B, 14A)의 중앙측 근처의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즉, 접속 포트(67C, 69C, 73C, 74C)는, 4개의 체결부(좌면부(15A), 즉 볼트(16)) 및 저압측 오일 통로(즉, 저압 통로(70)의 각 측방 통로(70B)와 탱크 통로(76)의 각 측방 통로(76B))보다 맞댐면(13B, 14A)의 중앙측 근처에 배치되어 있다.
이 때문에, 2개의 하우징 블록(13, 14)을 맞댐면(13B, 14A)의 위치에서 충합한 상태로 4개의 볼트(16)를 이용하여 체결할 수 있고, 접속 포트(67C, 69C, 73C, 74C)를 맞댐면(13B, 14A)의 중앙측 근처의 위치에 배치할 수 있다. 이 결과, 접속 포트(67C, 69C, 73C, 74C)를 각 볼트(16)의 체결 위치 및 저압측 오일 통로(즉, 저압 통로(70)의 각 측방 통로(70B)와 탱크 통로(76)의 각 측방 통로(76B))로부터 떨어진 중앙 근처의 위치에 배치할 수 있다. 이 결과, 접속 포트(67C, 69C, 73C, 74C)를 유통하는 압유가 맞댐면(13B, 14A)의 위치로부터 외부에 누설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제 1 실시형태에 의하면, 2분할형인 밸브 하우징(12)의 이점을 살리면서, 제 1 하우징 블록(13)과 제 2 하우징 블록(14) 사이의 충합 면적, 즉 맞댐면(13B, 14A)의 면적을 작게 할 수 있다. 게다가, 맞댐면(13B, 14A) 사이를 지나는 고압 통로(69, 74), 센터 바이패스 통로(67, 73) 등의 통로 개수(즉, 접속 포트(67C, 69C, 73C, 74C)의 수)를, 도 15에 나타내는 비교예에 비하여 확실히 줄일 수 있다.
이로 인해, 제 1 하우징 블록(13)과 제 2 하우징 블록(14) 사이에서의 맞댐면(13B, 14A)에 있어서의 오일 누출, 시일 불량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어, 시일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그리고, 제 1 하우징 블록(13)과 제 2 하우징 블록(14)을 충합 상태로 체결하는 것에 이용하는 볼트(16)의 개수를 줄일 수 있어, 부품수를 저감하여 조립시의 작업성을 높일 수 있다.
스풀 슬라이딩 구멍(18∼21, 42∼46)을 제 1 하우징 블록(13)과 제 2 하우징 블록(14) 내에 입체 구조를 이루어 콤팩트하게 고안하여 배치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종래의 2분할형에 비교해도 밸브 하우징(12) 전체의 소형, 경량화를 도모할 수 있고, 이송, 반송시의 취급성,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제 1 하우징 블록(13)과 제 2 하우징 블록(14)을 각각 주조할 때에 이용하는 주형, 특히 중자의 구조를 간략화할 수 있고, 성형 가공 후에 내부의 부스러기를 제거하거나, 확인하는 작업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게다가, 주조시의 성형 공정에 따른 작업시간을 단축할 수 있어, 작업성, 생산성의 향상화를 도모할 수 있다.
제 1 하우징 블록(13)에는, 예를 들면 스풀 슬라이딩 구멍(18∼21)보다 맞댐면(13B)에 가까운 위치에 릴리프 밸브(88)를 설치하는 구성으로 하고 있다. 이 때문에, 제 1 하우징 블록(13)과 제 2 하우징 블록(14) 내에 형성된 복수의 펌프 통로(66, 72), 고압 통로(69, 74) 중에서, 예를 들면 2개의 유압 펌프(77, 79) 사이에서 대략 중간이 되는 위치(즉, 맞댐면(13B, 14A)에 가까운 위치)에, 관로 내의 최고 압력을 설정하는 릴리프 밸브(88)를 배치할 수 있다.
이 결과, 제 1 유압 펌프(77)에 접속된 펌프 통로(66), 제 1 고압 통로(69)와, 제 2 유압 펌프(79)에 접속된 펌프 통로(72), 제 2 고압 통로(74)의 사이에서, 관로 내의 최고 압력에 편차가 발생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어, 2개의 유압 펌프(77, 79) 사이에 있어서의 토출 압력(최고 압력)의 조정 작업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다음에, 도 16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를 나타내고 있다. 본 실시형태의 특징은, 제 1, 제 2 유압 펌프를 모두 일방의 하우징 블록에 설치된 유압원측 오일 통로에 접속하는 구성으로 한 것에 있다. 또한, 제 2 실시형태에서는, 전술한 제 1 실시형태와 동일한 구성 요소에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그 설명을 생략하는 것으로 한다.
도면 중, 100은 제 2 실시형태에서 채용한 제 2 유압 펌프이다. 이 제 2 유압 펌프(100)는, 제 1 실시형태에서 기술한 유압 펌프(79)와 동일하게, 탱크(78)와 함께 제 2 유압원을 구성하고 있다. 그러나, 이 경우, 제 2 유압 펌프(100)는, 그 토출측이 후술하는 제 2 펌프 포트(101)에 접속되어, 펌프 통로(102) 및 제 2 고압 통로(103)를 개재하여 제어 밸브(30, 38, 48, 55, 61)에 압유를 공급하는 것이다.
101은 제 1 하우징 블록(13)에 설치된 제 2 펌프 포트이다. 이 제 2 펌프 포트(101)는, 제 1 실시형태에서 기술한 제 2 펌프 포트(71)에 갈음하여 제 2 유압 펌프(100)의 토출측에 접속되는 것이다. 제 2 펌프 포트(101)는, 제 1 하우징 블록(13) 내에 천설된 펌프 통로(102)에 연통하고 있다. 또한, 제 2 펌프 포트(101)는, 제 2 고압 통로(103) 및 센터 바이패스 통로(104)에도 연통하고 있다. 제 2 고압 통로(103) 및 센터 바이패스 통로(104)는, 제 1 하우징 블록(13)으로부터 제 2 하우징 블록(14)에 걸쳐, 예를 들면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제 2 펌프 포트(101) 및 펌프 통로(102)는, 제 1 하우징 블록(13) 내에서 제 1 펌프 포트(65) 및 펌프 통로(66)로부터 좌·우방향으로 이간하여 형성되어 있다. 제 2 고압 통로(103) 및 센터 바이패스 통로(104)에 대해서도, 센터 바이패스 통로(67) 및 제 1 고압 통로(69)로부터는 좌·우방향으로 이간된 위치에 배치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제 2 고압 통로(103)는, 선회용 제어 밸브(61)보다 상류측이 되는 위치에서 펌프 통로(102)로부터 분기되어 있다. 제 2 유압 펌프(100)(즉, 펌프 통로(102))로부터의 압유는, 제 2 고압 통로(103)로부터 분기되는 센터 바이패스 통로(104)를 통하여 선회용 제어 밸브(61)에 공급된다. 또한, 이 압유는 아암용 제어 밸브(55), 붐용 제어 밸브(48), 예비의 제어 밸브(38), 주행용 제어 밸브(30)에도 공급된다. 제 2 고압 통로(103)는, 제 1 하우징 블록(13) 내에 형성되어 상·하방향으로 연장된 제 2 펌프측의 제 1 오일 통로(103A)와, 제 2 하우징 블록(14) 내에 형성되어 상·하방향으로 연장된 제 2 펌프측의 제 2 오일 통로(103B)와, 이러한 제 1, 제 2 오일 통로(103A, 103B) 사이를 맞댐면(13B, 14A)의 위치에서 연통시키는 접속 포트(103C)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이 접속 포트(103C)에 의해, 제 2 고압 통로(103)의 오일 통로(103A, 103B) 사이는, 맞댐면(13B, 14A)의 상·하에서 액밀하게 접속된다.
또한, 센터 바이패스 통로(104)는, 제 1 하우징 블록(13) 내에 형성되어 상·하방향으로 연장된 제 2 펌프측의 제 1 통로(104A)와, 제 2 하우징 블록(14) 내에 형성되어 상·하방향으로 연장된 제 2 펌프측의 제 2 통로(104B)와, 이러한 통로(104A, 104B) 사이를 맞댐면(13B, 14A)의 위치에서 연통시키는 접속 포트(104C)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이 접속 포트(104C)에 의해, 센터 바이패스 통로(104)의 통로(104A, 104B) 사이는, 맞댐면(13B, 14A)의 상·하에서 액밀하게 접속된다.
제 2 실시형태에서는, 제 2 하우징 블록(14) 내에서 센터 바이패스 통로(104)의 제 2 통로(104B)가 고압 통로(103)의 제 2 오일 통로(103B)에 접속되어 있다. 제 2 유압 펌프(100)로부터 토출된 압유는, 고압 통로(103)의 제 2 오일 통로(103B)측으로부터 센터 바이패스 통로(104)의 제 2 통로(104B) 내로 유도된다. 제어 밸브(61, 55, 48, 38, 30)가 모두 중립 위치 (A)에 있을 때에, 제 2 유압 펌프(100)로부터 토출된 압유는, 센터 바이패스 통로(104)의 제 2 통로(104B)로부터 맞댐면(13B, 14A) 사이의 접속 포트(104C)를 개재하여 제 1 통로(104A) 내로 유도된다. 그 후, 이 압유는 복귀 오일이 되어, 저압 통로(70)의 상측 통로(70A), 측방 통로(70B)를 개재하여 탱크 통로(76)로부터 탱크(78)에 배출된다.
펌프 통로(102), 제 2 고압 통로(103)는, 제 2 유압 펌프(100)로부터 토출된 압유를, 주행용 제어 밸브(30), 예비의 제어 밸브(38), 붐용 제어 밸브(48), 아암용 제어 밸브(55), 선회용 제어 밸브(61) 등에 공급하는 유압원측 오일 통로의 고압측을 구성하고 있다. 제 2 고압 통로(103)의 제 2 펌프측의 제 1 오일 통로(103A)는, 주행용 제어 밸브(30)와 예비의 제어 밸브(38)에 병렬 접속되어 있다. 이 제 1 오일 통로(103A)는, 제 2 유압 펌프(100)로부터의 압유를 주행용 제어 밸브(30)(스풀(31))와 예비의 제어 밸브(38)(스풀(39))에 공급하는 것으로, 이 제 1 오일 통로(103A)의 하류측은, 맞댐면(13B, 14A) 사이의 접속 포트(103C)에 연통하고 있다.
제 2 고압 통로(103)의 제 2 펌프측의 제 2 오일 통로(103B)는, 그 상류측이 맞댐면(13B, 14A) 사이의 접속 포트(103C)에 연통하고 있다. 제 2 오일 통로(103B)는, 그 하류측이 붐용 제어 밸브(48)와 아암용 제어 밸브(55)와 선회용 제어 밸브(61)에 병렬 접속되어 있는 것으로, 이 제 2 오일 통로(103B)는, 제 2 유압 펌프(100)로부터의 압유를 붐용 제어 밸브(48)(스풀(51))와 아암용 제어 밸브(55)(스풀(58))와 선회용 제어 밸브(61)(스풀(62))에 공급한다.
환언하면, 제 1 하우징 블록(13)에는, 복수의 유압원측 오일 통로의 고압측이 제 1 유압 펌프(77)에 접속되는 제 1 펌프측의 제 1 오일 통로(69A)와, 제 2 유압 펌프(100)에 접속되는 제 2 펌프측의 제 1 오일 통로(103A)로 분리하여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 2 하우징 블록(14)에는, 복수의 유압원측 오일 통로의 고압측이 제 1 유압 펌프(77)에 접속되는 제 1 펌프측의 제 2 오일 통로(69B)와, 제 2 유압 펌프(100)에 접속되는 제 2 펌프측의 제 2 오일 통로(103B)로 분리하여 형성되어 있다.
제 1 하우징 블록(13)에 형성된 제 1 펌프측의 제 1 오일 통로(69A)는, 제 2 하우징 블록(14)에 형성된 제 1 펌프측의 제 2 오일 통로(69B)에 맞댐면(13B, 14A) 사이의 접속 포트(69C)를 통하여 연통하고 있다. 제 1 하우징 블록(13)에 형성된 제 2 펌프측의 제 1 오일 통로(103A)는, 제 2 하우징 블록(14)에 형성된 제 2 펌프측의 제 2 오일 통로(103B)에 맞댐면(13B, 14A) 사이의 접속 포트(103C)를 통하여 연통하고 있다.
이렇게 하여, 이와 같이 구성되는 제 2 실시형태에서는, 제 2 유압 펌프(100)로부터의 압유를 제 1 하우징 블록(13) 내의 제어 밸브(30, 38)(스풀(31, 39))에 제 2 펌프측의 제 1 오일 통로(103A)를 개재하여 공급할 수 있다. 또한, 제 2 유압 펌프(100)로부터의 압유를 맞댐면(13B, 14A) 사이의 접속 포트(103C)를 통하여 제 2 하우징 블록(14)의 제 2 펌프측의 제 2 오일 통로(103B)에 공급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 1 실시형태와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즉, 제 1 하우징 블록(13)과 제 2 하우징 블록(14) 사이의 맞댐면(13B, 14A)의 위치에는, 합계 4개의 접속 포트(67C, 69C, 103C, 104C)를 설치하는 것만으로 충분하다. 이로 인해, 제 1, 제 2 유압 펌프(77, 100)로부터의 압유를 모든 제어 밸브(26, 30, 34, 38, 47, 48, 54, 55, 61)(스풀(27, 31, 35, 39, 49, 51, 56, 58, 62))에 공급할 수 있다. 즉, 접속 포트(67C, 69C, 103C, 104C)의 수를 필요 최소한으로 줄일 수 있어, 맞댐면(13B, 14A) 사이에 있어서의 오일 누출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각 실시형태에서는, 제 1 하우징 블록(13)에 좌·우의 주행용 제어 밸브(26, 30), 버킷용 제어 밸브(34) 및 예비의 제어 밸브(38)를 설치하고, 제 2 하우징 블록(14)에는 붐용 제어 밸브(47, 48), 아암용 제어 밸브(54, 55) 및 선회용 제어 밸브(61)를 설치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제 1 하우징 블록(13)에 2개의 붐용 제어 밸브, 2개의 아암용 제어 밸브 및 1개의 선회용 제어 밸브를 설치하고, 제 2 하우징 블록(14)에 주행 왼쪽용 제어 밸브, 주행 오른쪽용 제어 밸브, 버킷용 제어 밸브 및 예비의 제어 밸브 등을 설치하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이 경우, 제 1 하우징 블록(13)에는, 최소 개수로서 3개의 스풀 슬라이딩 구멍(예를 들면, 붐용 제어 밸브, 아암 제어 밸브, 선회용 제어 밸브의 합계 3개의 스풀 슬라이딩 구멍)을 설치하고, 제 2 하우징 블록(14)에는, 동일하게 최소 개수로서 3개의 스풀 슬라이딩 구멍(예를 들면, 주행 왼쪽용 제어 밸브, 주행 오른쪽용 제어 밸브, 버킷용 제어 밸브의 합계 3개의 스풀 슬라이딩 구멍)을 설치하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구체적으로는, 6∼12개의 스풀 슬라이딩 구멍이 설치된 밸브 하우징 중에서, 제 1 하우징 블록에는 3개∼6개의 스풀 슬라이딩 구멍을 설치하고, 제 2 하우징 블록에는 3개∼6개의 스풀 슬라이딩 구멍을 설치하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이러한 제어 밸브(6∼12개의 스풀 슬라이딩 구멍으로 이루어지는 복수의 제어 밸브)를, 제 1, 제 2 하우징 블록 중에서 어느 하우징 블록에 설치할지는, 다연 밸브 장치가 탑재되는 유압 셔블(건설기계) 또는, 이 외의 유압식 작업 기계와의 관계에서 적절히 변경하면 된다. 이 경우, 제 1 하우징 블록에는 입체 구조를 이루도록 3∼6개의 스풀 슬라이딩 구멍을 설치하고, 제 2 하우징 블록에는 다른 입체 구조를 이루도록 3∼6개의 스풀 슬라이딩 구멍을 설치하는 구성으로 하면 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연 밸브 장치가 탑재되는 건설기계로서는 유압 셔블로 한정하지 않고, 예를 들면 휠식 유압 셔블, 유압 크레인, 휠 로더, 불도저, 또는 리프트 트럭으로 불리는 작업 차량 등에도 적용할 수 있다. 또한, 건설기계 이외의 유압 장치에도 적용할 수 있는 것이다.
1 : 유압 셔블(건설기계)
2 : 하부 주행체
3 : 상부 선회체
7 : 작업 장치
8 : 붐
8A : 붐 실린더
9 : 아암
9A : 아암 실린더
10 : 버킷(작업구)
11 : 다연 밸브 장치
12 : 밸브 하우징
13 : 제 1 하우징 블록
13B, 14A : 맞댐면
14 : 제 2 하우징 블록
15 : 오목부
15A : 좌면부(체결부)
16 : 볼트
17 : 나사 구멍
18, 19, 20, 21 : 스풀 슬라이딩 구멍
18A, 18B, 19A, 19B, 20A, 20B, 21A, 21B : 압유 급배측의 오일홈(액추에이터측 오일 통로)
18C, 19C, 20C, 21C : 고압측의 오일홈(유압원측 오일 통로)
18D, 19D, 20D, 21D : 저압측의 오일홈(유압원측 오일 통로)
22, 23, 24, 25 : 커버체
26, 30 : 주행용 제어 밸브
27, 31, 35, 39 : 스풀
29A, 29B, 33A, 33B, 37A, 37B, 41A, 41B : 압유 급배 포트(액추에이터측 오일 통로)
34 : 버킷용 제어 밸브(작업구용 제어 밸브)
38 : 예비의 제어 밸브
42, 43, 44, 45, 46 : 스풀 슬라이딩 구멍
42A, 42B, 43A, 43B, 44A, 44B, 45A, 45B, 46A, 46B : 압유 급배측의 오일홈(액추에이터측 오일 통로)
42C, 43C, 44C, 45C, 46C : 고압측의 오일홈(유압원측 오일 통로)
42D, 43D, 44D, 45D, 46D : 저압측의 오일홈(유압원측 오일 통로)
47, 48 : 붐용 제어 밸브
49, 51 : 붐용 스풀
53A, 53B, 60A, 60B, 64A, 64B : 압유 급배 포트(액추에이터측 오일 통로)
54, 55 : 아암용 제어 밸브
56, 58 : 아암용 스풀
61 : 선회용 제어 밸브
62 : 스풀
65 : 제 1 펌프 포트
67, 73, 104 : 센터 바이패스 통로
67C, 69C, 73C, 74C, 103C, 104C : 접속 포트
69 : 제 1 고압 통로(유압원측 오일 통로)
69A : 제 1 펌프측의 제 1 오일 통로
69B : 제 1 펌프측의 제 2 오일 통로
70 : 저압 통로(유압원측 오일 통로)
71, 101 : 제 2 펌프 포트
74, 103 : 제 2 고압 통로(유압원측 오일 통로)
74A, 103A : 제 2 펌프측의 제 1 오일 통로
74B, 103B : 제 2 펌프측의 제 2 오일 통로
75 : 탱크 포트
76 : 탱크 통로(유압원측 오일 통로)
77 : 제 1 유압 펌프(제 1 유압원)
78 : 탱크
79, 100 : 제 2 유압 펌프(제 2 유압원)
80∼87 : 체크 밸브
88 : 릴리프 밸브
93A, 93B, 94A, 94B : 합류 통로

Claims (8)

  1. 복수의 유압원측 오일 통로(18C, 18D, 19C, 19D, 20C, 20D, 21C, 21D, 42C, 43C, 44C, 45C, 46C, 68, 69, 70, 74, 76, 103)와 복수의 액추에이터측 오일 통로(18A, 18B, 19A, 19B, 20A, 20B, 21A, 21B, 29A, 29B, 33A, 33B, 37A, 37B, 41A, 41B, 53A, 53B, 60A, 60B, 64A, 64B)에 연통하는 스풀 슬라이딩 구멍(18, 19, 20, 21, 42, 43, 44, 45, 46)이 6개 이상 설치된 밸브 하우징(12)과, 당해 밸브 하우징(12)의 각 스풀 슬라이딩 구멍 내에 각각 삽감하여 설치되어 상기 유압원측 오일 통로와 상기 액추에이터측 오일 통로를 연통, 차단하는 6개 이상의 스풀(27, 31, 35, 39, 49, 51, 56, 58, 62)을 구비하고,
    제 1, 제 2 유압 펌프(77),(79, 100)를 포함한 2개의 유압원에 의한 압유의 흐름을, 상기 복수의 스풀을 이용하여 제어하는 구성으로 한 다연 밸브 장치에 있어서,
    상기 밸브 하우징(12)에 설치된 상기 복수의 유압원측 오일 통로는, 상기 제 1 유압 펌프(77)로부터 압유가 공급되는 제 1 고압 통로(69)와, 상기 제 2 유압 펌프(79, 100)로부터 압유가 공급되는 제 2 고압 통로(74, 103)를 포함하고 있고,
    상기 밸브 하우징(12)은, 대향하는 맞댐면(13B, 14A)의 위치에서 서로 충합, 이간되는 3개 이상의 상기 스풀(27, 31, 35, 39)을 구비한 제 1 하우징 블록(13)과, 나머지 3개 이상의 상기 스풀(49, 51, 56, 58, 62)을 구비한 제 2 하우징 블록(14)으로 2분할하는 구성으로 하며,
    상기 제 1 고압 통로(69)는, 상기 제 1 하우징 블록(13)에 형성되어 상기 제 1 유압 펌프(77)에 접속되는 제 1 펌프측의 제 1 오일 통로(69A)와, 상기 제 2 하우징 블록(14)에 형성되어 상기 제 1 유압 펌프(77)에 접속되는 제 1 펌프측의 제 2 오일 통로(69B)에 의해 구성하고,
    상기 제 2 고압 통로(74, 103)는, 상기 제 1 하우징 블록(13)에 형성되어 상기 제 2 유압 펌프(79, 100)에 접속되는 제 2 펌프측의 제 1 오일 통로(74A, 103A)와, 상기 제 2 하우징 블록(14)에 형성되어 상기 제 2 유압 펌프(79, 100)에 접속되는 제 2 펌프측의 제 2 오일 통로(74B, 103B)에 의해 구성하며,
    상기 제 1 하우징 블록(13)에 형성된 상기 제 1 펌프측의 제 1 오일 통로(69A)는, 상기 제 2 하우징 블록(14)에 형성된 상기 제 1 펌프측의 제 2 오일 통로(69B)에 상기 맞댐면(13B, 14A)을 통하여 연통하는 구성으로 하고,
    상기 제 1 하우징 블록(13)에 형성된 상기 제 2 펌프측의 제 1 오일 통로(74A, 103A)는, 상기 제 2 하우징 블록(14)에 형성된 상기 제 2 펌프측의 제 2 오일 통로(74B, 103B)에 상기 맞댐면(13B, 14A)을 통하여 연통하는 구성으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연 밸브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펌프측의 제 1 오일 통로(69A)는, 상기 제 1 유압 펌프(77)로부터의 압유를 상기 제 1 하우징 블록(13) 중에서 상기 맞댐면(13B, 14A)에 가까운 위치에 배치된 상기 스풀(35)보다 상류측이 되는 위치로부터 상기 맞댐면(13B, 14A)을 통하여 상기 제 2 하우징 블록(14)의 상기 제 1 펌프측의 제 2 오일 통로(69B)에 공급하는 구성으로 하고,
    상기 제 2 펌프측의 제 2 오일 통로(74B)는, 상기 제 2 유압 펌프(79)로부터의 압유를 상기 제 2 하우징 블록(14) 중에서 상기 맞댐면(13B, 14A)에 가까운 위치에 배치된 상기 스풀(49)보다 상류측이 되는 위치로부터 상기 맞댐면(13B, 14A)을 통하여 상기 제 1 하우징 블록(13)의 상기 제 2 펌프측의 제 1 오일 통로(74A)에 공급하는 구성으로 하여 이루어지는 다연 밸브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펌프측의 제 1 오일 통로(69A)는, 상기 제 1 유압 펌프(77)로부터의 압유를 상기 제 1 하우징 블록(13) 중에서 상기 맞댐면(13B, 14A)에 가까운 위치에 배치된 상기 스풀(35)보다 상류측이 되는 위치로부터 상기 맞댐면(13B, 14A)을 통하여 상기 제 2 하우징 블록(14)의 상기 제 1 펌프측의 제 2 오일 통로(69B)에 공급하는 구성으로 하고,
    상기 제 2 펌프측의 제 1 오일 통로(103A)는, 상기 제 2 유압 펌프(100)로부터의 압유를 상기 제 1 하우징 블록(13) 중에서 상기 맞댐면(13B, 14A)에 가까운 위치에 배치된 상기 스풀(39)보다 상류측이 되는 위치로부터 상기 맞댐면(13B, 14A)을 통하여 상기 제 2 하우징 블록(14)의 상기 제 2 펌프측의 제 2 오일 통로(103B)에 공급하는 구성으로 하여 이루어지는 다연 밸브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제 2 하우징 블록(13), (14) 중 일방의 하우징 블록에는, 당해 하우징 블록의 네 모퉁이가 되는 부위를 각각 절결함으로써 형성되어 상기 맞댐면(13B, 14A)과의 사이가 볼트 체결용의 좌면부(15A)가 되는 4개의 오목부(15)를 설치하고,
    당해 4개의 오목부(15)의 좌면부(15A)는, 복수의 볼트(16)를 이용하여 상기 제 1 하우징 블록(13)과 제 2 하우징 블록(14)을 충합 상태로 고착하기 위한 4개의 체결부를 구성하며,
    상기 맞댐면(13B, 14A)의 위치를 지나는 상기 제 1 고압 통로(69)와 제 2 고압 통로(74, 103)는, 상기 각 오목부(15)에 의해 둘러싸인 상기 맞댐면(13B, 14A)의 중앙측 근처의 위치에 배치하는 구성으로 하여 이루어지는 다연 밸브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스풀 중 공급된 압유가 서로 합류하는 관계에 있는 2개의 스풀(49, 51), (56, 58)은, 상기 제 1, 제 2 하우징 블록(13), (14) 중 일방측의 동일한 하우징 블록 내에 설치하는 구성으로 하여 이루어지는 다연 밸브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 하우징(12)은, 상기 각 스풀 슬라이딩 구멍(18, 19, 20, 21, 42, 43, 44, 45, 46) 내에 각각 삽감하여 설치된 상기 각 스풀(27, 31, 35, 39, 49, 51, 56, 58, 62)과 함께 건설기계에 이용하는 복수의 방향 제어 밸브(26, 30, 34, 38, 47, 48, 54, 55, 61)를 구성하고,
    상기 복수의 스풀 중 공급된 압유가 서로 합류하는 관계에 있는 2개의 스풀(49, 51), (56, 58)은, 상기 건설기계의 붐 실린더(8A)를 제어하기 위하여 설치된 제 1 붐용 스풀(49)과 제 2 붐용 스풀(51), 또는, 아암 실린더(9A)를 제어하기 위하여 설치된 제 1 아암용 스풀(56)과 제 2 아암용 스풀(58)에 의해 구성하여 이루어지는 다연 밸브 장치.
  7. 복수의 유압원측 오일 통로(18C, 18D, 19C, 19D, 20C, 20D, 21C, 21D, 42C, 43C, 44C, 45C, 46C, 68, 69, 70, 74, 76, 103)와 복수의 액추에이터측 오일 통로(18A, 18B, 19A, 19B, 20A, 20B, 21A, 21B, 29A, 29B, 33A, 33B, 37A, 37B, 41A, 41B, 53A, 53B, 60A, 60B, 64A, 64B)에 연통하는 스풀 슬라이딩 구멍(18, 19, 20, 21, 42, 43, 44, 45, 46)이 6개 이상 설치된 밸브 하우징(12)과, 당해 밸브 하우징(12)의 각 스풀 슬라이딩 구멍 내에 각각 삽감하여 설치되어 상기 유압원측 오일 통로와 상기 액추에이터측 오일 통로를 연통, 차단하는 6개 이상의 스풀(27, 31, 35, 39, 49, 51, 56, 58, 62)를 구비하고,
    제 1, 제 2 유압 펌프(77), (79)를 포함한 2개의 유압원에 의한 압유의 흐름을, 상기 복수의 스풀을 이용하여 제어하는 구성으로 한 다연 밸브 장치에 있어서,
    상기 밸브 하우징(12)은, 대향하는 맞댐면(13B, 14A)의 위치에서 서로 충합, 이간되는 3개 이상의 상기 스풀(27, 31, 35, 39)을 구비한 제 1 하우징 블록(13)과, 나머지 3개 이상의 상기 스풀(49, 51, 56, 58, 62)을 구비한 제 2 하우징 블록(14)으로 2분할하는 구성으로 하고,
    상기 제 1 유압 펌프(77)는, 상기 제 1, 제 2 하우징 블록(13), (14) 중 일방의 하우징 블록에 설치된 상기 유압원측 오일 통로에 접속하여 설치하며,
    상기 제 1 유압 펌프(77)로부터의 압유는, 상기 일방의 하우징 블록 중에서 상기 맞댐면(13B, 14A)에 가까운 위치에 배치된 상기 스풀(35)보다 상류측이 되는 위치로부터 상기 맞댐면(13B, 14A)을 통하여 타방의 하우징 블록에 구비한 상기 복수의 스풀의 일부에 공급되는 구성으로 하고,
    상기 제 2 유압 펌프(79)는, 상기 제 1, 제 2 하우징 블록(13), (14) 중 타방의 하우징 블록에 설치된 상기 유압원측 오일 통로에 접속하여 설치하며,
    상기 제 2 유압 펌프(79)로부터의 압유는, 상기 타방의 하우징 블록 중에서 상기 맞댐면(13B, 14A)에 가까운 위치에 배치된 상기 스풀(49)보다 상류측이 되는 위치로부터 상기 맞댐면(13B, 14A)을 통하여 상기 일방의 하우징 블록에 구비한 상기 복수의 스풀의 일부에 공급되는 구성으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연 밸브 장치.
  8. 복수의 유압원측 오일 통로(18C, 18D, 19C, 19D, 20C, 20D, 21C, 21D, 42C, 43C, 44C, 45C, 46C, 68, 69, 70, 74, 76, 103)와 복수의 액추에이터측 오일 통로(18A, 18B, 19A, 19B, 20A, 20B, 21A, 21B, 29A, 29B, 33A, 33B, 37A, 37B, 41A, 41B, 53A, 53B, 60A, 60B, 64A, 64B)에 연통하는 스풀 슬라이딩 구멍(18, 19, 20, 21, 42, 43, 44, 45, 46)이 6개 이상 설치된 밸브 하우징(12)과, 당해 밸브 하우징(12)의 각 스풀 슬라이딩 구멍 내에 각각 삽감하여 설치되어 상기 유압원측 오일 통로와 상기 액추에이터측 오일 통로를 연통, 차단하는 6개 이상의 스풀(27, 31, 35, 39, 49, 51, 56, 58, 62)을 구비하고,
    제 1, 제 2 유압 펌프(77), (100)를 포함한 2개의 유압원에 의한 압유의 흐름을, 상기 복수의 스풀을 이용하여 제어하는 구성으로 한 다연 밸브 장치에 있어서,
    상기 밸브 하우징(12)은, 대향하는 맞댐면(13B, 14A)의 위치에서 서로 충합, 이간되는 3개 이상의 상기 스풀(27, 31, 35, 39)을 구비한 제 1 하우징 블록(13)과, 나머지 3개 이상의 상기 스풀(49, 51, 56, 58, 62)을 구비한 제 2 하우징 블록(14)으로 2분할하는 구성으로 하고,
    상기 제 1 유압 펌프(77)는, 상기 제 1, 제 2 하우징 블록(13), (14) 중 일방의 하우징 블록에 설치된 상기 유압원측 오일 통로에 접속하여 설치하며,
    상기 제 1 유압 펌프(77)로부터의 압유는, 상기 일방의 하우징 블록 중에서 상기 맞댐면(13B, 14A)에 가까운 위치에 배치된 상기 스풀(35)보다 상류측이 되는 위치로부터 상기 맞댐면(13B, 14A)을 통하여 타방의 하우징 블록에 구비한 상기 복수의 스풀의 일부에 공급되는 구성으로 하고,
    상기 제 2 유압 펌프(100)는, 상기 일방의 하우징 블록에 설치된 상기 복수의 유압원측 오일 통로 중에서 상기 제 1 유압 펌프가 접속된 상기 유압원측 오일 통로와는 다른 유압원측 오일 통로에 접속하여 설치하며,
    상기 제 2 유압 펌프(100)로부터의 압유는, 상기 일방의 하우징 블록 중에서 상기 맞댐면(13B, 14A)에 가까운 위치에 배치된 상기 스풀(39)보다 상류측이 되는 위치로부터 상기 맞댐면을 통하여 상기 타방의 하우징 블록에 구비한 상기 복수의 스풀의 일부와는 다른 스풀에 공급되는 구성으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연 밸브 장치.
KR20147025688A 2012-05-31 2013-05-22 다연 밸브 장치 KR2015001876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2125125A JP2013249897A (ja) 2012-05-31 2012-05-31 多連弁装置
JPJP-P-2012-125125 2012-05-31
PCT/JP2013/064206 WO2013179969A1 (ja) 2012-05-31 2013-05-22 多連弁装置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18767A true KR20150018767A (ko) 2015-02-24

Family

ID=496731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47025688A KR20150018767A (ko) 2012-05-31 2013-05-22 다연 밸브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2013249897A (ko)
KR (1) KR20150018767A (ko)
WO (1) WO201317996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12015006286T5 (de) 2015-03-11 2018-01-11 Kyb Corporation Fluiddrucksteuervorrichtung
WO2017061648A1 (ko) * 2015-10-08 2017-04-13 볼보 컨스트럭션 이큅먼트 에이비 스풀 밸브
CN107939764B (zh) * 2017-12-18 2024-02-02 江苏徐工工程机械研究院有限公司 液压阀组和钻机
JP6889674B2 (ja) * 2018-03-09 2021-06-18 Kyb株式会社 制御弁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474918U (ko) * 1977-11-08 1979-05-28
JPS59186502U (ja) * 1983-05-31 1984-12-11 株式会社小松製作所 方向切換弁
JP2001355601A (ja) * 2000-06-15 2001-12-26 Hitachi Constr Mach Co Ltd コントロールバルブ
JP2011112123A (ja) * 2009-11-25 2011-06-09 Kawasaki Precision Machinery Ltd マルチコントロール弁装置、及びそのケーシン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3249897A (ja) 2013-12-12
WO2013179969A1 (ja) 2013-12-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95926B1 (ko) 다연 밸브 장치
WO2014006950A1 (ja) 建設機械の油圧回路及びその制御装置
JP6717541B2 (ja) 弁装置およびこれを備えた流体圧システム
KR20150018767A (ko) 다연 밸브 장치
EP3677795B1 (en) Valve device
KR101643069B1 (ko) 주행 제어 밸브
US20160363227A1 (en) Hydraulic circuitry for skid steer loader valve
KR20170130575A (ko) 유량 제어 밸브
JP4963337B2 (ja) 建設機械の多連方向切換弁
US5701796A (en) Hydraulic apparatus for traveling
JP2020034022A (ja) 油圧制御弁ブロック、油圧制御弁装置および建設機械
KR20210030880A (ko) 유체 제어 장치, 건설 기계 및 유체 제어 장치의 제어 방법
WO2018173843A1 (ja) 多連方向切換弁
JP7332383B2 (ja) 流体制御弁、流体システムおよび建設機械
JP3741244B2 (ja) 建設機械の油圧回路
JP2002013656A (ja) 油圧作業機械用多連弁
KR20140131569A (ko) 파워 셔블의 제어 밸브 장치
JP2017180562A (ja) 方向制御弁
EP3683452A1 (en) Fluid pressure control device
KR20210028097A (ko) 유체 제어 밸브, 유체 시스템, 건설 기계 및 제어 방법
JPH08170353A (ja) 多連式方向切換弁
KR20210028566A (ko) 압력 조정 밸브 및 건설 기계
KR20240002908A (ko) 유체 제어 밸브 및 건설 기계
JP3784147B2 (ja) 走行直進制御機構を有する多連方向切換弁
JP2018159401A (ja) 作業機の油圧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