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28566A - 압력 조정 밸브 및 건설 기계 - Google Patents

압력 조정 밸브 및 건설 기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28566A
KR20210028566A KR1020200097489A KR20200097489A KR20210028566A KR 20210028566 A KR20210028566 A KR 20210028566A KR 1020200097489 A KR1020200097489 A KR 1020200097489A KR 20200097489 A KR20200097489 A KR 20200097489A KR 20210028566 A KR20210028566 A KR 2021002856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ool
drive spool
axial direction
drive
contr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974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히토시 이와사키
게이스케 고토
Original Assignee
나부테스코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나부테스코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나부테스코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100285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2856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7/00Safety valves; Equalising valves, e.g. pressure relief valves
    • F16K17/02Safety valves; Equalising valves, e.g. pressure relief valves opening on surplus pressure on one side; closing on insufficient pressure on one side
    • F16K17/04Safety valves; Equalising valves, e.g. pressure relief valves opening on surplus pressure on one side; closing on insufficient pressure on one side spring-load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5FLUID-PRESSURE ACTUATORS; HYDRAULICS OR PNEUMATICS IN GENERAL
    • F15BSYSTEMS ACTING BY MEANS OF FLUIDS IN GENERAL; FLUID-PRESSURE ACTUATORS, e.g. SERVOMOTORS; DETAILS OF FLUID-PRESSUR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15B13/00Details of servomotor systems ; Valves for servomotor systems
    • F15B13/02Fluid distribution or supply devices characterised by their adaptation to the control of servomotor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20Drives; Control devices
    • E02F9/22Hydraulic or pneumatic drives
    • E02F9/2264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elements for hydraulic drives
    • E02F9/2267Valves or distribu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1/00Multiple-way valves, e.g. mixing valves; Pipe fittings incorporating such valves
    • F16K11/02Multiple-way valves, e.g. mixing valves; Pipe fittings incorporating such valves with all movable sealing faces moving as one unit
    • F16K11/06Multiple-way valves, e.g. mixing valves; Pipe fittings incorporating such valves with all movable sealing faces moving as one unit comprising only sliding valves, i.e. sliding closure elements
    • F16K11/065Multiple-way valves, e.g. mixing valves; Pipe fittings incorporating such valves with all movable sealing faces moving as one unit comprising only sliding valves, i.e. sliding closure elements with linearly sliding closure members
    • F16K11/07Multiple-way valves, e.g. mixing valves; Pipe fittings incorporating such valves with all movable sealing faces moving as one unit comprising only sliding valves, i.e. sliding closure elements with linearly sliding closure members with cylindrical slides
    • F16K11/0716Multiple-way valves, e.g. mixing valves; Pipe fittings incorporating such valves with all movable sealing faces moving as one unit comprising only sliding valves, i.e. sliding closure elements with linearly sliding closure members with cylindrical slides with fluid passages through the valve memb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02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12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actuated by fluid
    • F16K31/122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actuated by fluid the fluid acting on a piston
    • F16K31/1221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actuated by fluid the fluid acting on a piston one side of the piston being spring-load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Fluid-Driven Valves (AREA)
  • Operation Control Of Excavators (AREA)
  • Magnetically Actuated Valves (AREA)
  • Multiple-Way Valv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압력 조정 밸브는, 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구동 스풀과, 상기 구동 스풀과 동축 방향으로 배치된 제어 스풀을 갖는 전자 비례 밸브와, 상기 구동 스풀과 상기 제어 스풀의 상기 축 방향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전자 비례 밸브에 기초하는 상기 구동 스풀의 명령 위치에 대한 실제의 상기 구동 스풀의 위치를 보상하는 위치 보상 기구를 구비한다.

Description

압력 조정 밸브 및 건설 기계{PRESSURE REGULATING VALVE AND CONSTRUCTION MACHINE}
본 발명은 압력 조정 밸브 및 건설 기계에 관한 것이다.
종래, 건설 기계의 일종으로서 유압 셔블이 알려져 있다. 유압 셔블은, 유압 실린더로 동작하는 붐, 암 및 버킷 등의 어태치먼트를 구비한다. 유압 셔블은, 유압 실린더에 대한 작동유의 공급·배출을 제어하는 압력 조정 밸브를 구비한다. 압력 조정 밸브로서는, 밸브 블록의 내부로 연장되는 스풀 천공에 배치된 스풀과, 스풀을 항시 동일 위치에 배치시키는 액추에이터(포스 피드백형 액추에이터)를 구비한 것이 있다(예를 들어 특허문헌 1 참조). 예를 들어 특허문헌 1에 개시된 압력 조정 밸브는, 스풀의 일 단부에 설치된 모래시계 형상의 피스톤과, 스풀 천공과 정합된 피스톤 천공을 갖고 밸브 블록의 편측에 설치된 단부 블록과, 피스톤 천공이 연장되는 방향과 직교하도록 배치된 제1 전자 유압 밸브와, 제1 전자 유압 밸브의 옆에 배치된 제2 전자 유압 밸브를 구비한다.
일본 특허 공개 제2003-269411호 공보
그러나 제1 전자 유압 밸브가, 피스톤 천공이 연장되는 방향과 직교하도록 배치된 경우, 스풀의 축선과 직교하는 방향으로의 사이즈가 대형화될 가능성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이루어진 것이며, 스풀의 축선과 직교하는 방향으로의 대형화를 억제할 수 있는 압력 조정 밸브 및 건설 기계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과제의 해결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양태는 이하의 구성을 갖는다.
(1) 본 발명의 양태에 관한 압력 조정 밸브는, 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구동 스풀과, 상기 구동 스풀과 동축 방향으로 배치된 제어 스풀을 갖는 전자 비례 밸브와, 상기 구동 스풀과 상기 제어 스풀의 상기 축 방향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전자 비례 밸브에 기초하는 상기 구동 스풀의 명령 위치에 대한 실제의 상기 구동 스풀의 위치를 보상하는 위치 보상 기구를 구비한다.
이 구성에 따르면, 전자 비례 밸브가 구동 스풀과 동축 방향으로 배치되기 때문에, 구동 스풀의 축선과 직교하는 방향으로의 전자 비례 밸브의 대형화를 억제할 수 있다. 즉, 이 구성에 따르면, 구동 스풀의 축선과 직교하는 방향으로의 압력 조정 밸브의 대형화를 억제할 수 있다.
(2) 상기 (1)에 기재된 압력 조정 밸브에서는, 상기 전자 비례 밸브 및 상기 위치 보상 기구는 상기 구동 스풀의 상기 축 방향의 양측에 배치되어 있어도 된다.
(3) 상기 (1) 또는 (2)에 기재된 압력 조정 밸브에서는, 상기 위치 보상 기구는, 상기 구동 스풀과 동축 방향으로 배치되어, 상기 구동 스풀의 상기 축 방향의 위치에 기초하여 탄성 변형되는 제1 탄성 부재 및 제2 탄성 부재와, 상기 제1 탄성 부재와 상기 제2 탄성 부재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구동 스풀로부터 떨어지는 방향으로의 이동이 규제된 피스톤을 구비해도 된다.
(4) 상기 (1) 내지 (3)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압력 조정 밸브에서는, 상기 위치 보상 기구는, 상기 피스톤의 상기 구동 스풀로부터 떨어지는 방향으로의 이동을 규제하는 단차를 갖는 슬리브를 구비해도 된다.
(5) 상기 (1) 내지 (4)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압력 조정 밸브에서는, 상기 전자 비례 밸브는, 상기 구동 스풀을 상기 축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압력을 상기 구동 스풀에 작용시키는 제어 포트를 갖고, 상기 제어 스풀을 상기 구동 스풀로부터 떨어지는 방향으로 당김으로써 상기 제어 포트를 통해 상기 압력을 상기 구동 스풀에 작용시키는 구동 장치를 구비해도 된다.
(6) 상기 (5)에 기재된 압력 조정 밸브에서는, 상기 제어 스풀은, 상기 전자 비례 밸브가 통전하고 있지 않을 때, 상기 제어 포트를 작동유의 배출로에 접속하는 위치에 있어도 된다.
(7) 상기 (5) 또는 (6)에 기재된 압력 조정 밸브에서는, 상기 제어 스풀은, 상기 구동 스풀의 상기 축 방향의 양측에 배치된 상기 전자 비례 밸브 중 한쪽만이 작동한 때, 상기 제어 포트를 작동유의 배출로에 접속하는 위치에 있어도 된다.
(8) 본 발명의 양태에 관한 압력 조정 밸브는, 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구동 스풀과, 상기 구동 스풀과 동축 방향으로 배치된 제어 스풀을 구비하고, 상기 구동 스풀을 상기 축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압력을 상기 구동 스풀에 작용시키는 제어 포트를 갖고, 상기 제어 스풀을 상기 구동 스풀로부터 떨어지는 방향으로 당김으로써 상기 제어 포트를 통해 상기 압력을 상기 구동 스풀에 작용시키는 구동 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구동 스풀의 상기 축 방향의 양측에 배치된 전자 비례 밸브와, 상기 구동 스풀과 상기 제어 스풀의 상기 축 방향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전자 비례 밸브에 기초하는 상기 구동 스풀의 명령 위치에 대한 실제의 상기 구동 스풀의 위치를 보상하고, 상기 구동 스풀과 동축 방향으로 배치되어, 상기 구동 스풀의 상기 축 방향의 위치에 기초하여 탄성 변형되는 제1 탄성 부재 및 제2 탄성 부재, 상기 제1 탄성 부재와 상기 제2 탄성 부재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구동 스풀로부터 떨어지는 방향으로의 이동이 규제된 피스톤, 그리고 상기 피스톤의 상기 구동 스풀로부터 떨어지는 방향으로의 이동을 규제하는 단차를 갖는 슬리브를 구비하고, 상기 구동 스풀의 상기 축 방향의 양측에 배치된 위치 보상 기구를 구비한다.
이 구성에 따르면, 전자 비례 밸브 및 위치 보상 기구가 구동 스풀과 동축 방향으로 배치되기 때문에, 구동 스풀의 축선과 직교하는 방향으로의 전자 비례 밸브의 대형화를 억제할 수 있다. 즉, 이 구성에 따르면, 구동 스풀의 축선과 직교하는 방향으로의 압력 조정 밸브의 대형화를 억제할 수 있다.
게다가 전자 비례 밸브 및 위치 보상 기구가 구동 스풀의 축 방향의 양측에 배치되기 때문에, 구동 스풀을 축 방향의 쌍방향으로 작동시킴과 함께 구동 스풀의 위치 보상을 행할 수 있다. 게다가 복수의 밸브 기구를 구동 스풀의 축 방향의 편측에만 집중 배치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구성을 간소화할 수 있다.
게다가 슬리브가 단차를 가짐으로써, 구동 스풀로부터 떨어지는 방향으로의 피스톤의 이동 규제를 간단한 구성으로 실현할 수 있다.
(9) 본 발명의 양태에 관한 건설 기계는, 상기 (1) 내지 (8)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압력 조정 밸브를 구비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스풀의 축선과 직교하는 방향으로의 대형화를 억제할 수 있는 압력 조정 밸브 및 건설 기계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실시 형태의 건설 기계의 모식도이다.
도 2는 실시 형태의 압력 조정 밸브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요부 확대도이다.
도 4는 실시 형태의 구동 스풀이 중립 위치에 위치할 때의 압력 조정 밸브의 동작의 일례의 설명도이다.
도 5는 실시 형태의 제1 솔레노이드가 작동한 때의 압력 조정 밸브의 동작의 일례의 설명도이다.
도 6은 실시 형태의 제2 솔레노이드가 작동한 때의 압력 조정 밸브의 동작의 일례의 설명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 형태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하의 실시 형태에서는, 건설 기계로서, 압력 조정 밸브를 구비한 유압 셔블을 예로 들어 설명한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 이용하는 도면에서는, 각 부재를 인식 가능한 크기로 하기 위하여 각 부재의 축척을 적당히 변경하고 있다.
[건설 기계]
도 1은 실시 형태의 건설 기계(1)의 모식도이다.
예를 들어 건설 기계(1)는 유압 셔블이다. 건설 기계(1)는 선회체(2) 및 주행체(3)를 구비한다. 선회체(2)는 주행체(3) 상에, 선회 가능하게 마련되어 있다. 선회체(2)는, 작동유(유체)를 공급하는 유압 펌프(12)(유체 공급원)를 구비한다.
선회체(2)는, 조작자가 탑승 가능한 캡(5)과, 캡(5)에, 일단이 요동 가능하게 연결된 붐(6)과, 붐(6)의 캡(5)과는 반대측인 타단(선단)에, 요동 가능하게 일단이 연결된 암(7)과, 암(7)의 붐(6)과는 반대측인 타단(선단)에, 요동 가능하게 연결된 버킷(8)을 구비한다. 유압 펌프(12)는 캡(5) 내에 배치되어 있다. 유압 펌프(12)로부터 공급되는 작동유에 의하여 캡(5), 붐(6), 암(7) 및 버킷(8)이 구동된다.
[압력 조정 밸브]
도 2는 실시 형태의 압력 조정 밸브(10)의 단면도이다. 도 2에 있어서는, 밸브 보디(20)의 축 방향 중앙부, 유압 펌프(12)(도 4 참조) 및 유압 실린더(유압 액추에이터) 등의 도시를 생략하고 있다. 도 3은 도 2의 요부 확대도이다. 도 3에 있어서는 압력 조정 밸브(10)의 일 측부를 확대하고 있다.
압력 조정 밸브(10)는, 유압 실린더(도시되지 않음)에 대한 작동유의 공급·배출을 제어한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압력 조정 밸브(10)는, 복수의 통로(21 내지 24)를 갖는 밸브 보디(20)와, 축선 C1을 갖는 구동 스풀(30)과, 전자 비례 밸브(40A, 40B)와, 위치 보상 기구(50A, 50B)를 구비한다. 압력 조정 밸브(10)는 스풀식의 방향 전환 밸브이다.
복수의 통로(21 내지 24)는, 작동유가 흐르는 유로(유로, 배관)이다. 복수의 통로(21 내지 24)는 스풀 구멍(21), 제1 액추에이터 통로(22), 제2 액추에이터 통로(23) 및 바이패스 통로(24)를 포함한다.
스풀 구멍(21)은, 구동 스풀(30)을 꽂아넣기 가능한 구멍이다. 스풀 구멍(21)은, 축선 C1를 따르는 축 방향으로 밸브 보디(20)를 관통하고 있다.
구동 스풀(30)은 스풀 구멍(21)에 착탈 가능하게 삽입되어 있다. 구동 스풀(30)은, 스풀 구멍(21)의 내주면에 접촉 가능한 랜드(도시되지 않음)를 구비한다. 구동 스풀(30)은, 축 방향으로의 이동에 의하여 유로의 개폐, 교축 동작을 행한다. 유압 실린더(도시되지 않음)에 공급되는 작동유의 유량은 구동 스풀(30)의 위치에 따라 제어된다.
제1 액추에이터 통로(22)는 밸브 보디(20)의 일 측부에 배치되어 있다. 제1 액추에이터 통로(22)는, 축선 C1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예를 들어 제1 액추에이터 통로(22)의 일단은 유압 실린더의 로드측 유실(도시되지 않음)에 접속되어 있다. 제1 액추에이터 통로(22)의 타단은 스풀 구멍(21)에 접속되어 있다. 「축선 C1에 직교하는 방향」은, 축선 C1과 실질적으로 직교하는 방향을 포함한다.
제2 액추에이터 통로(23)는 밸브 보디(20)의 타 측부에 배치되어 있다. 즉, 제2 액추에이터 통로(23)는, 축 방향에 있어서 제1 액추에이터와는 반대측에 배치되어 있다. 제2 액추에이터 통로(23)는, 축선 C1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예를 들어 제2 액추에이터 통로(23)의 일단은 유압 실린더의 헤드측 유실(도시되지 않음)에 접속되어 있다. 제2 액추에이터 통로(23)의 타단은 스풀 구멍(21)에 접속되어 있다. 「축선 C1에 직교하는 방향」은, 축선 C1과 실질적으로 직교하는 방향을 포함한다.
바이패스 통로(24)는 스풀 구멍(21)으로부터 분기되어 있다. 바이패스 통로(24)는, 제1 액추에이터 통로(22)의 측방에 위치하여 제1 액추에이터 통로(22)를 따라 연장되는 제1 바이패스로(24a)와, 제2 액추에이터 통로(23)의 측방에 위치하여 제2 액추에이터 통로(23)를 따라 연장되는 제2 바이패스로(24b)와, 축 방향과 평행인 방향으로 연장되어 제1 바이패스로(24a)의 일단과 제2 바이패스로(24b)의 타단을 접속하는 제3 바이패스로(24c)를 구비한다. 「축 방향과 평행인 방향」은, 축 방향과 실질적으로 평행인 방향을 포함한다.
[전자 비례 밸브]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자 비례 밸브(40A, 40B)는 구동 스풀(30)의 축 방향의 양측에 대칭으로 배치되어 있다. 이하, 구동 스풀(30)의 축 방향의 일방측에 배치된 전자 비례 밸브(40A)를 「제1 전자 비례 밸브(40A)」, 구동 스풀(30)의 축 방향의 타방측에 배치된 전자 비례 밸브(40B)를 「제2 전자 비례 밸브(40B)」라고도 한다. 구동 스풀(30)이 축 방향의 중립 위치에 있을 때, 제1 전자 비례 밸브(40A) 및 제2 전자 비례 밸브(40B)는, 축선 C1과 직교하고 또한 밸브 보디(20)의 축 방향의 중심을 통과하는 가상선 K1을 대칭축으로 하여 선대칭 형상을 갖는다.
이하, 전자 비례 밸브로서 제1 전자 비례 밸브(40A)의 구성을 설명한다. 제2 전자 비례 밸브(40B)는 제1 전자 비례 밸브(40A)와 마찬가지의 구성을 갖기 때문에 상세 설명은 생략한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전자 비례 밸브(40A)는 제어 스풀(41), 제어 포트(42) 및 솔레노이드(44)(구동 장치)를 구비한다.
제어 스풀(41)은 구동 스풀(30)과는 따로 마련되어 있다. 제어 스풀(41)은 구동 스풀(30)과 동축 방향으로 배치되어 있다. 「동축 방향」이란, 제어 스풀(41)의 설계 오차(치수 오차)나 조립 오차의 허용 범위 내에 있어서, 제어 스풀(41)이 구동 스풀(30)과 실질적으로 동축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의미한다. 「실질적으로 동축」이란, 상기 허용 범위 내에 있어서, 제어 스풀(41)이 구동 스풀(30)의 축심에 대하여 편심되어 있는 경우나, 제어 스풀(41)이 구동 스풀(30)의 축선에 대하여 경사져 있는 경우가 포함된다. 또한 「동축 방향」에는, 제어 스풀(41)이 구동 스풀(30)과 완전히 동축에 배치되어 있는 경우가 포함된다.
제어 스풀(41)의 축 방향의 길이는 구동 스풀(30)보다도 짧다(도 2 참조). 제어 스풀(41)은, 축 방향으로 개구되어 작동유를 통과 가능한 제1 제어 통로(41a)와, 축 방향과 직교하는 직경 방향으로 개구되어 제1 제어 통로(41a)에 연통되는 복수의 제2 제어 통로(41b)를 갖는다.
도면 중 부호 45는, 밸브 보디(20)의 축 방향의 측면에 설치된 케이스를 나타낸다. 케이스(45)는, 축 방향으로 케이스(45)를 관통하는 파일럿실(46)과, 파일럿실(46)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공급로(47)와, 직경 방향에 있어서 공급로(47)와는 반대측에 배치되어 공급로(47)에 평행으로 연장되는 배출로(48)를 갖는다. 「파일럿실(46)에 직교하는 방향」은, 파일럿실(46)과 실질적으로 직교하는 방향을 포함한다. 「공급로(47)에 평행으로 연장된다」는 것은, 공급로(47)와 실질적으로 평행으로 연장되는 경우를 포함한다.
파일럿실(46)은 스풀 구멍(21)에 연통되어 있다. 파일럿실(46)은, 구동 스풀(30)을 축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압력을 구동 스풀(30)에 작용시키는 제어 포트(42)와, 슬리브(54)를 수용하는 수용부(43)를 갖는다.
제어 포트(42)는 스풀 구멍(21)과 수용부(43) 사이에 위치한다. 제어 포트(42)의 내경(직경 방향의 치수)은 스풀 구멍(21)보다도 크다.
수용부(43)는 제어 포트(42)에 연통되어 있다. 수용부(43)의 내경(직경 방향의 치수)은 스풀 구멍(21)보다도 작다.
제어 포트(42)는, 수용부(43)보다도 직경 방향 외측으로 확장되는 확경부(42a)를 갖는다. 도면 중 부호 35는, 확경부(42a)에 배치된 리턴 스프링을 나타낸다. 리턴 스프링(35)은 구동 스풀(30)과 동축 방향으로 배치되어 있다. 리턴 스프링(35)은, 구동 스풀(30)을 축 방향의 중립 위치에 유지하도록 구동 스풀(30)의 축 방향의 양측에 배치되어 있다(도 2 참조).
공급로(47)는, 유압 펌프(12)로부터의 작동유를 파일럿실(46)에 공급하기 위한 유로이다(도 3 내지 도 5 참조).
배출로(48)는, 구동 스풀(30)이 축 방향의 중립 위치에 있을 때(도 4 참조), 또는 제2 전자 비례 밸브(40B)만의 작동 시(도 6 참조)에 작동유를 탱크(14)에 배출(저류)하기 위한 유로이다. 배출로(48)는, 축 방향에 있어서 공급로(47)와 오프셋되어 배치되어 있다.
솔레노이드(44)는, 제어 스풀(41)을 구동 스풀(30)로부터 떨어지는 방향으로 당김으로써 제어 포트(42)를 통해 구동 스풀(30)을 축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압력을 구동 스풀(30)에 작용시킨다. 솔레노이드(44)는, 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핀(44a)을 구비한다. 솔레노이드(44)는 핀(44a)을 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다. 핀(44a)의 선단은 제어 스풀(41)의 축 방향의 단면 중앙에 연결되어 있다. 도면 중에 있어서 부호 44b는, 핀(44a)의 중도부에 설치된 캡, 부호 44c는, 핀(44a)의 축 방향의 위치를 보정하기 위한 스프링(스태빌라이즈 스프링)을 각각 나타낸다.
[위치 보상 기구]
위치 보상 기구(50A, 50B)는, 전자 비례 밸브(40A, 40B)에 기초하는 구동 스풀(30)의 명령 위치에 대한 실제의 구동 스풀(30)의 위치를 보상한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위치 보상 기구(50A, 50B)는 구동 스풀(30)의 축 방향의 양측에 대칭으로 배치되어 있다. 위치 보상 기구(50A, 50B)는, 축 방향에서 보아 전자 비례 밸브(40A, 40B)와 겹쳐진다. 이하, 구동 스풀(30)의 축 방향의 일방측에 배치된 위치 보상 기구(50A)를 「제1 위치 보상 기구(50A)」, 구동 스풀(30)의 축 방향의 타방측에 배치된 위치 보상 기구(50B)를 「제2 위치 보상 기구(50B)」라고도 한다. 구동 스풀(30)이 축 방향의 중립 위치에 있을 때, 제1 위치 보상 기구(50A) 및 제2 위치 보상 기구(50B)는 가상선 K1을 대칭축으로 하여 선대칭 형상을 갖는다.
이하, 위치 보상 기구로서 제1 위치 보상 기구(50A)의 구성을 설명한다. 제2 위치 보상 기구(50B)는 제1 위치 보상 기구(50A)와 마찬가지의 구성을 갖기 때문에 상세 설명은 생략한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위치 보상 기구(50A)는 제1 스프링(51)(제1 탄성 부재), 제2 스프링(52)(제2 탄성 부재), 피스톤(53) 및 슬리브(54)를 구비한다. 제1 위치 보상 기구(50A)의 일부(제1 스프링(51), 제2 스프링(52) 및 피스톤(53))는 구동 스풀(30)과 제어 스풀(41)의 축 방향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제1 스프링(51) 및 제2 스프링(52)은 구동 스풀(30)과 동축 방향으로 배치되어 있다. 제1 스프링(51) 및 제2 스프링(52)은 구동 스풀(30)의 축 방향의 위치에 기초하여 탄성 변형된다. 제1 스프링(51) 및 제2 스프링(52)은, 구동 스풀(30)의 축 방향의 위치를 피드백하기 위한 스프링이다. 제1 스프링(51) 및 제2 스프링(52)의 각각의 스프링력은 리턴 스프링(35)의 스프링력보다도 훨씬 작다. 예를 들어 제1 스프링(51) 및 제2 스프링(52)은 서로 동일한 형상(동일한 스프링력)을 갖는다.
제1 스프링(51)은 제어 스풀(41)과 피스톤(53)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제2 스프링(52)은 구동 스풀(30)과 피스톤(53)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피스톤(53)은, 축선 C1를 따르는 관통 구멍(53h)를 갖는 본체부(53a)와, 본체부(53a)의 중앙부(관통 구멍(53h)의 외주)로부터 축 방향에 있어서 구동 스풀(30)측으로 돌출하는 돌출부(53b)와, 본체부(53a)의 외주로부터 축 방향에 있어서 구동 스풀(30)과는 반대측으로 연장되는 환형의 환형부(53c)를 구비한다.
제1 스프링(51)의 일단은 제어 스풀(41)의 외주부에 접촉하고 있다. 제1 스프링(51)의 타단은, 피스톤(53)의 환형부(53c)가 돌출하는 본체부(53a)의 면에 접촉하고 있다.
제2 스프링(52)의 일단은, 피스톤(53)의 돌출부(53b)가 돌출하는 본체부(53a)의 면에 접촉하고 있다. 제2 스프링(52)의 타단은 구동 스풀(30)의 축 방향의 일단면에 접촉하고 있다.
슬리브(54)는 케이스(45)의 내부(파일럿실(46)의 수용부(43))에 설치되어 있다. 슬리브(54)는, 제어 스풀(41)을 수용하는 통형의 슬리브 본체(54a)와, 슬리브 본체(54a)의 외주로부터 구동 스풀(30)측으로 돌출하는 통형의 외주 통부(54b)와, 피스톤(53)의 구동 스풀(30)로부터 떨어지는 방향으로의 이동을 규제하는 단차(54c)를 구비한다.
슬리브 본체(54a)는, 제어 스풀(41)의 축 방향으로의 이동을 허용하도록 제어 스풀(41)의 외주면에 직경 방향 외측으로부터 접해 있다. 슬리브 본체(54a)의 축 방향의 길이는 제어 스풀(41)보다도 길다. 슬리브 본체(54a)는, 직경 방향으로 개구되는 복수의 연통 구멍(54h)을 갖는다.
외주 통부(54b)는, 슬리브 본체(54a)의 축 방향의 일단면(파일럿실(46)의 수용부(43)에 위치하는 단면이며 구동 스풀(30)측의 단면)으로부터 제어 포트(42)의 중도부까지 연장되어 있다. 외주 통부(54b)는, 피스톤(53)의 축 방향으로의 이동을 허용하도록 피스톤(53)의 외주면에 직경 방향 외측으로부터 접해 있다. 외주 통부(54b)의 축 방향의 길이는 피스톤(53)보다도 길다.
단차(54c)는, 슬리브 본체(54a)의 축 방향의 일단면과 외주 통부(54b)의 내주면에 의하여 형성된 부분이다. 단차(54c)는, 피스톤(53)의 환형부(53c)의 선단이 접촉 가능한 받이부이다.
[압력 조정 밸브의 동작]
도 4는, 실시 형태의 구동 스풀(30)이 중립 위치에 위치할 때의 압력 조정 밸브(10)의 동작의 일례의 설명도이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구동 스풀(30)이 축 방향의 중립 위치에 있을 때(이하, 「구동 스풀 중립 위치 시」라고도 함), 파일럿실(46)은 배출로(48)에 접속되어 있다. 구동 스풀 중립 위치 시는, 전자 비례 밸브(40A, 40B)가 통전하고 있지 않을 때(이하, 「전자 비례 밸브 비통전 시」라고도 함)에 상당한다. 전자 비례 밸브 비통전 시, 파일럿실(46)은 배출로(48)에 접속되어 있다.
구동 스풀 중립 위치 시, 제어 스풀(41)의 제1 제어 통로(41a)는 제어 스풀(41)의 제2 제어 통로(41b) 및 슬리브(54)의 연통 구멍(54h)을 통해 배출로(48)에 연통된다. 구동 스풀 중립 위치 시, 제어 스풀(41)의 제1 제어 통로(41a)로부터 공급로(47)로의 유로는 슬리브 본체(54a)에 의하여 폐색된다.
구동 스풀 중립 위치 시, 파일럿실(46)의 작동유는 배출로(48)를 통해 탱크(14)에 배출된다. 구체적으로 제어 포트(42) 내의 작동유는 피스톤(53)의 관통 구멍(53h), 제어 스풀(41)의 제1 제어 통로(41a) 및 제2 제어 통로(41b), 슬리브(54)의 연통 구멍(54h), 배출로(48)의 순으로 흘러서 탱크(14)로 유도된다. 도면 중 화살표 W1은, 구동 스풀 중립 위치 시의 작동유의 흐름을 나타낸다.
도 5는, 실시 형태의 제1 솔레노이드(제1 전자 비례 밸브(40A)가 갖는 솔레노이드(44))가 작동한 때의 압력 조정 밸브(10)의 동작의 일례의 설명도이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솔레노이드가, 제어 스풀(41)을 구동 스풀(30)로부터 떨어지는 방향(화살표 P1 방향)으로 당긴 때(이하, 「제1 솔레노이드 작동 시」라고도 함), 공급로(47)는 슬리브(54)의 연통 구멍(54h) 및 제어 스풀(41)의 제2 제어 통로(41b)를 통해 제어 스풀(41)의 제1 제어 통로(41a)에 연통된다. 제1 솔레노이드 작동 시, 제어 스풀(41)의 제1 제어 통로(41a)로부터 배출로(48)로의 유로는 슬리브 본체(54a)에 의하여 폐색된다.
제1 솔레노이드 작동 시, 유압 펌프(12)로부터의 작동유는 공급로(47)을 통해 제어 포트(42)로 흐른다. 구체적으로 유압 펌프(12)로부터의 작동유는 공급로(47), 슬리브(54)의 연통 구멍(54h), 제어 스풀(41)의 제2 제어 통로(41b) 및 제1 제어 통로(41a), 피스톤(53)의 관통 구멍(53h), 제어 포트(42)의 순으로 흐른다. 도면 중 화살표 W2는, 제1 솔레노이드 작동 시의 작동유의 흐름을 나타낸다.
제어 포트(42)에 작동유가 흐르면, 구동 스풀(30)의 축 방향의 일단면에 작동유의 압력이 작용한다. 즉, 제1 솔레노이드는, 제어 스풀(41)을 구동 스풀(30)로부터 떨어지는 방향(화살표 P1 방향)으로 당김으로써, 제어 포트(42)를 통해 구동 스풀(30)을 화살표 V1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압력(이하, 「파일럿압」이라고도 함)을 구동 스풀(30)의 축 방향의 일단면에 작용시킨다. 이것에 의하여 제1 스프링(51) 및 제2 스프링(52)의 각각이 축 방향으로 신장된다. 구동 스풀(30)은, 제1 스프링(51) 및 제2 스프링(52)의 스프링력과 파일럿압이 밸런스를 이루는 곳에서 정지한다. 즉, 구동 스풀(30)은, 제1 스프링(51)의 스프링력과 제2 스프링(52)의 스프링력의 합(합력)이 파일럿압과 균형을 이룬 곳(이하, 「균형 위치」라고도 함)에서 정지한다. 구동 스풀(30)은, 균형 위치에서 정지하기까지 축 방향으로 미진동하면서 위치 제어를 반복한다.
도 6은, 실시 형태의 제2 솔레노이드(제2 전자 비례 밸브(40B)가 갖는 솔레노이드(44))가 작동한 때의 압력 조정 밸브(10)의 동작의 일례의 설명도이다.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솔레노이드(도시되지 않음)의 작동에 의하여 구동 스풀(30)은 리턴 스프링(35)의 스프링력에 저항하여 화살표 V2 방향으로 이동한다. 제2 솔레노이드가 작동한 때(이하, 「제2 솔레노이드 작동 시」라고도 함), 리턴 스프링(35) 및 제2 스프링(52)은 화살표 V2 방향의 하중을 받음으로써 축 방향으로 수축한다. 제2 솔레노이드 작동 시, 구동 스풀(30)로부터 떨어지는 방향으로의 피스톤(53)의 이동은 단차(54c)에 의하여 규제되기 때문에, 제1 스프링(51)에는 축 방향의 하중이 가해지지 않는다.
제2 솔레노이드 작동 시, 파일럿실(46)은 배출로(48)에 접속되어 있다. 제2 솔레노이드 작동 시, 제어 스풀(41)의 제1 제어 통로(41a)는 제어 스풀(41)의 제2 제어 통로(41b) 및 슬리브(54)의 연통 구멍(54h)을 통해 배출로(48)에 연통된다. 제2 솔레노이드 작동 시, 제어 스풀(41)의 제1 제어 통로(41a)로부터 공급로(47)로의 유로는 슬리브 본체(54a)에 의하여 폐색된다.
제2 솔레노이드 작동 시, 파일럿실(46)의 작동유는 배출로(48)를 통해 탱크(14)에 배출된다. 구체적으로 제어 포트(42) 내의 작동유는 피스톤(53)의 관통 구멍(53h), 제어 스풀(41)의 제1 제어 통로(41a) 및 제2 제어 통로(41b), 슬리브(54)의 연통 구멍(54h), 배출로(48)의 순으로 흘러서 탱크(14)로 유도된다. 도면 중 화살표 W3은, 제2 솔레노이드 작동 시의 작동유의 흐름을 나타낸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압력 조정 밸브(10)는, 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구동 스풀(30)과, 구동 스풀(30)과 동축 방향으로 배치된 제어 스풀(41)을 구비한다.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압력 조정 밸브(10)는, 구동 스풀(30)을 축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압력을 구동 스풀(30)에 작용시키는 제어 포트(42)를 갖는다.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압력 조정 밸브(10)는, 제어 스풀(41)을 구동 스풀(30)로부터 떨어지는 방향으로 당김으로써 제어 포트(42)를 통해 압력을 구동 스풀(30)에 작용시키는 솔레노이드(44)를 구비한다.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압력 조정 밸브(10)는, 구동 스풀(30)의 축 방향의 양측에 대칭으로 배치된 전자 비례 밸브(40A, 40B)와, 구동 스풀(30)과 제어 스풀(41)의 축 방향 사이에 배치되어, 전자 비례 밸브(40A, 40B)에 기초하는 구동 스풀(30)의 명령 위치에 대한 실제의 구동 스풀(30)의 위치를 보상하는 위치 보상 기구(50A, 50B)를 구비한다.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압력 조정 밸브(10)는, 구동 스풀(30)과 동축 방향으로 배치되어, 구동 스풀(30)의 축 방향의 위치에 기초하여 탄성 변형되는 제1 스프링(51) 및 제2 스프링(52), 제1 스프링(51)과 제2 스프링(52) 사이에 배치되어, 구동 스풀(30)로부터 떨어지는 방향으로의 이동이 규제된 피스톤(53), 그리고 피스톤(53)의 구동 스풀(30)로부터 떨어지는 방향으로의 이동을 규제하는 단차(54c)를 갖는 슬리브(54)를 구비한다.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압력 조정 밸브(10)가 구비하는 위치 보상 기구(50A, 50B)는, 구동 스풀(30)의 축 방향의 양측에 대칭으로 배치된다.
이 구성에 따르면, 전자 비례 밸브(40A, 40B) 및 위치 보상 기구(50A, 50B)가 구동 스풀(30)과 동축 방향으로 배치되기 때문에, 구동 스풀(30)의 축선 C1과 직교하는 방향으로의 전자 비례 밸브(40A, 40B)의 대형화를 억제할 수 있다. 즉, 이 구성에 따르면, 구동 스풀(30)의 축선 C1과 직교하는 방향으로의 압력 조정 밸브(10)의 대형화를 억제할 수 있다.
게다가 전자 비례 밸브(40A, 40B) 및 위치 보상 기구(50A, 50B)가 구동 스풀(30)의 축 방향의 양측에 배치되기 때문에, 구동 스풀(30)을 축 방향의 쌍방향으로 작동시킴과 함께 구동 스풀(30)의 위치 보상을 행할 수 있다. 게다가 복수의 밸브 기구를 구동 스풀(30)의 축 방향의 편측에만 집중 배치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구성을 간소화할 수 있다.
게다가 슬리브(54)가 단차(54c)를 가짐으로써, 구동 스풀(30)로부터 떨어지는 방향으로의 피스톤(53)의 이동 규제를 간단한 구성으로 실현할 수 있다.
게다가 전자 비례 밸브(40A, 40B) 및 위치 보상 기구(50A, 50B)가 구동 스풀(30)의 축 방향의 양측에 각각 대칭으로 배치되기 때문에, 구동 스풀(30)의 축 방향의 양측에 있어서 전자 비례 밸브(40A, 40B) 및 위치 보상 기구(50A, 50B)를 각각 공통화할 수 있다. 따라서 전자 비례 밸브 및 위치 보상 기구가 구동 스풀(30)의 축 방향의 양측에 각각 비대칭으로 배치되는 경우와 비교하여 부품 개수를 삭감하여 저비용화를 도모할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제어 스풀(41)은, 전자 비례 밸브(40A, 40B)가 통전하고 있지 않을 때, 제어 포트(42)를 작동유의 배출로(48)에 접속하는 위치에 있다.
이 구성에 따르면, 전자 비례 밸브 비통전 시, 구동 스풀(30)의 축 방향의 양 단면에 대한 파일럿압은 생기지 않기 때문에, 구동 스풀(30)의, 축 방향으로의 이동을 원활히 행할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제어 스풀(41)은, 구동 스풀(30)의 축 방향의 양측에 배치된 전자 비례 밸브(40A, 40B) 중 한쪽(제2 솔레노이드)만이 작동한 때, 제어 포트(42)를 작동유의 배출로(48)에 접속하는 위치에 있다.
이 구성에 따르면, 제2 솔레노이드 작동 시, 구동 스풀(30)의 축 방향의 일단면에 대한 파일럿압은 생기지 않기 때문에, 구동 스풀(30)의 축 방향(화살표 V2 방향)으로의 이동을 원활히 행할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에 따른 건설 기계(1)는 상기 압력 조정 밸브(10)를 구비한다.
이 구성에 따르면, 구동 스풀(30)의 축선 C1과 직교하는 방향으로의 압력 조정 밸브(10)의 대형화를 억제한 건설 기계(1)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기술 범위는 상술한 실시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취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 있어서 다양한 변경을 가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상술한 실시 형태에서는, 건설 기계(1)는 유압 셔블인 예를 들어서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유압 크레인 등, 유압 셔블 이외의 건설 기계에 본 발명을 적용해도 된다.
상술한 실시 형태에서는, 슬리브(54)가 단차(54c)를 갖는 예를 들어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슬리브(54)는 단차(54c)를 갖지 않아도 된다. 예를 들어 슬리브(54)는, 제어 스풀(41)의, 축 방향으로의 이동을 허용하도록 제어 스풀(41)의 외주면에 직경 방향 외측으로부터 접해 있으면 된다.
상술한 실시 형태에서는, 전자 비례 밸브(40A, 40B) 및 위치 보상 기구(50A, 50B)가 구동 스풀(30)의 축 방향의 양측에 각각 대칭으로 배치되는 예를 들어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전자 비례 밸브(40A, 40B) 및 위치 보상 기구(50A, 50B)는 구동 스풀(30)의 축 방향의 양측에 각각 비대칭으로 배치되어 있어도 된다.
상술한 실시 형태에서는, 제1 스프링(51) 및 제2 스프링(52)은 서로 동일한 형상(동일한 스프링력)을 갖는 예를 들어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제1 스프링(51) 및 제2 스프링(52)은 서로 다른 형상(다른 스프링력)을 갖고 있어도 된다.
그 외, 본 발명의 취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상기한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구성 요소를 주지의 구성 요소로 치환하는 것은 가능하다. 또한 상술한 각 변형예를 조합하더라도 상관없다.
1: 유압 셔블(건설 기계)
10: 압력 조정 밸브
20: 밸브 보디
21: 스풀 구멍(유로)
22: 제1 액추에이터 통로(유로)
23: 제2 액추에이터 통로(유로)
24: 바이패스 통로(유로)
30: 구동 스풀
35: 리턴 스프링
40A: 제1 전자 비례 밸브(전자 비례 밸브)
40B: 제2 전자 비례 밸브(전자 비례 밸브)
41: 제어 스풀
42: 제어 포트
44: 솔레노이드(구동 장치)
50A: 제1 위치 보상 기구(위치 보상 기구)
50B: 제2 위치 보상 기구(위치 보상 기구)
51: 제1 스프링(제1 탄성 부재)
52: 제2 스프링(제2 탄성 부재)
53: 피스톤
54: 슬리브
54c: 단차
C1: 축선

Claims (14)

  1. 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구동 스풀과,
    상기 구동 스풀과 동축 방향으로 배치된 제어 스풀을 갖는 전자 비례 밸브와,
    상기 구동 스풀과 상기 제어 스풀의 상기 축 방향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전자 비례 밸브에 기초하는 상기 구동 스풀의 명령 위치에 대한 실제의 상기 구동 스풀의 위치를 보상하는 위치 보상 기구를 구비하는, 압력 조정 밸브.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비례 밸브 및 상기 위치 보상 기구는 상기 구동 스풀의 상기 축 방향의 양측에 배치되어 있는, 압력 조정 밸브.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보상 기구는,
    상기 구동 스풀과 동축 방향으로 배치되어, 상기 구동 스풀의 상기 축 방향의 위치에 기초하여 탄성 변형되는 제1 탄성 부재 및 제2 탄성 부재와,
    상기 제1 탄성 부재와 상기 제2 탄성 부재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구동 스풀로부터 떨어지는 방향으로의 이동이 규제된 피스톤을 구비하는, 압력 조정 밸브.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보상 기구는, 상기 피스톤의 상기 구동 스풀로부터 떨어지는 방향으로의 이동을 규제하는 단차를 갖는 슬리브를 구비하는, 압력 조정 밸브.
  5. 제1항, 제2항 및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비례 밸브는,
    상기 구동 스풀을 상기 축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압력을 상기 구동 스풀에 작용시키는 제어 포트를 갖고,
    상기 제어 스풀을 상기 구동 스풀로부터 떨어지는 방향으로 당김으로써 상기 제어 포트를 통해 상기 압력을 상기 구동 스풀에 작용시키는 구동 장치를 구비하는, 압력 조정 밸브.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비례 밸브는,
    상기 구동 스풀을 상기 축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압력을 상기 구동 스풀에 작용시키는 제어 포트를 갖고,
    상기 제어 스풀을 상기 구동 스풀로부터 떨어지는 방향으로 당김으로써 상기 제어 포트를 통해 상기 압력을 상기 구동 스풀에 작용시키는 구동 장치를 구비하는, 압력 조정 밸브.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스풀은, 상기 전자 비례 밸브가 통전하고 있지 않을 때, 상기 제어 포트를 작동유의 배출로에 접속하는 위치에 있는, 압력 조정 밸브.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스풀은, 상기 전자 비례 밸브가 통전하고 있지 않을 때, 상기 제어 포트를 작동유의 배출로에 접속하는 위치에 있는, 압력 조정 밸브.
  9.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스풀은, 상기 구동 스풀의 상기 축 방향의 양측에 배치된 상기 전자 비례 밸브 중 한쪽만이 작동한 때, 상기 제어 포트를 작동유의 배출로에 접속하는 위치에 있는, 압력 조정 밸브.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스풀은, 상기 구동 스풀의 상기 축 방향의 양측에 배치된 상기 전자 비례 밸브 중 한쪽만이 작동한 때, 상기 제어 포트를 작동유의 배출로에 접속하는 위치에 있는, 압력 조정 밸브.
  11.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스풀은, 상기 구동 스풀의 상기 축 방향의 양측에 배치된 상기 전자 비례 밸브 중 한쪽만이 작동한 때, 상기 제어 포트를 작동유의 배출로에 접속하는 위치에 있는, 압력 조정 밸브.
  12.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스풀은, 상기 구동 스풀의 상기 축 방향의 양측에 배치된 상기 전자 비례 밸브 중 한쪽만이 작동한 때, 상기 제어 포트를 작동유의 배출로에 접속하는 위치에 있는, 압력 조정 밸브.
  13. 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구동 스풀과,
    상기 구동 스풀과 동축 방향으로 배치된 제어 스풀을 구비하고, 상기 구동 스풀을 상기 축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압력을 상기 구동 스풀에 작용시키는 제어 포트를 갖고, 상기 제어 스풀을 상기 구동 스풀로부터 떨어지는 방향으로 당김으로써 상기 제어 포트를 통해 상기 압력을 상기 구동 스풀에 작용시키는 구동 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구동 스풀의 상기 축 방향의 양측에 배치된 전자 비례 밸브와,
    상기 구동 스풀과 상기 제어 스풀의 상기 축 방향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전자 비례 밸브에 기초하는 상기 구동 스풀의 명령 위치에 대한 실제의 상기 구동 스풀의 위치를 보상하고, 상기 구동 스풀과 동축 방향으로 배치되어, 상기 구동 스풀의 상기 축 방향의 위치에 기초하여 탄성 변형되는 제1 탄성 부재 및 제2 탄성 부재, 상기 제1 탄성 부재와 상기 제2 탄성 부재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구동 스풀로부터 떨어지는 방향으로의 이동이 규제된 피스톤, 그리고 상기 피스톤의 상기 구동 스풀로부터 떨어지는 방향으로의 이동을 규제하는 단차를 갖는 슬리브를 구비하고, 상기 구동 스풀의 상기 축 방향의 양측에 배치된 위치 보상 기구를 구비하는, 압력 조정 밸브.
  14. 제1항에 기재된 압력 조정 밸브를 구비하는, 건설 기계.
KR1020200097489A 2019-09-04 2020-08-04 압력 조정 밸브 및 건설 기계 KR2021002856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9-160891 2019-09-04
JP2019160891A JP7492816B2 (ja) 2019-09-04 2019-09-04 圧力調整弁および建設機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28566A true KR20210028566A (ko) 2021-03-12

Family

ID=747334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97489A KR20210028566A (ko) 2019-09-04 2020-08-04 압력 조정 밸브 및 건설 기계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7492816B2 (ko)
KR (1) KR20210028566A (ko)
CN (1) CN112443523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69411A (ja) 2002-03-08 2003-09-25 Husco Internatl Inc フォースフィードバック位置検出付電気動作型油圧アクチュエータ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875849A (en) * 1972-09-11 1975-04-08 Applied Power Inc Electro-hydraulic proportional servo actuator
JPS52144574A (en) * 1976-05-27 1977-12-01 Toshiba Mach Co Ltd Electro magnet proportional control valve
JPS5346025U (ko) * 1976-09-25 1978-04-19
US4201116A (en) * 1977-07-11 1980-05-06 The Cessna Aircraft Company Electro-hydraulic proportional control servo valve
JPS56119073U (ko) * 1980-02-14 1981-09-10
JPH0262405A (ja) * 1988-08-26 1990-03-02 Diesel Kiki Co Ltd 油圧制御装置
JPH10299711A (ja) * 1997-04-25 1998-11-10 Hitachi Constr Mach Co Ltd 流量方向切換弁
JP3793666B2 (ja) 1999-06-21 2006-07-05 カヤバ工業株式会社 油圧制御装置
US7422033B2 (en) 2004-12-16 2008-09-09 Husco International, Inc. Position feedback pilot valve actuator for a spool control valve
US8678033B2 (en) 2010-03-24 2014-03-25 Eaton Corporation Proportional valve employing simultaneous and hybrid actuation
JP5876185B1 (ja) 2015-08-27 2016-03-02 憲平 山路 電磁比例制御弁システム
US9803661B2 (en) 2015-11-06 2017-10-31 Caterpillar Inc. Valve having right-angle proportional and directional pilot actuators
US9915368B2 (en) 2015-11-06 2018-03-13 Caterpillar Inc. Electrohydraulic valve having dual-action right-angle pilot actuator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69411A (ja) 2002-03-08 2003-09-25 Husco Internatl Inc フォースフィードバック位置検出付電気動作型油圧アクチュエー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2443523A (zh) 2021-03-05
JP2021038811A (ja) 2021-03-11
JP7492816B2 (ja) 2024-05-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16392763A1 (en) Spool valve, operation device, and work vehicle
EP3677795B1 (en) Valve device
EP2663792B1 (en) Directional valve equipped with pressure compensation
JP2017115992A (ja) 作業機の油圧システム
US20220170241A1 (en) Flow Control Valve
KR20210028566A (ko) 압력 조정 밸브 및 건설 기계
US5692427A (en) Flow reinforcement directional control valve for a hydraulic circuit
KR20210028565A (ko) 압력 조정 밸브 및 건설 기계
KR20150018767A (ko) 다연 밸브 장치
JP7360858B2 (ja) 流体制御装置及び建設機械
JP7349237B2 (ja) 電磁弁及び作業機械
JP6505630B2 (ja) 方向制御弁
CN111692146A (zh) 控制阀和建设机械用液压系统
US11448241B2 (en) Hydraulic control valve with duplicate workports and integrated actuator oscillation control features
WO2023119988A1 (ja) 制御弁及び制御弁を備えた作業機
JP7316423B2 (ja) 流量制御弁
JP7440221B2 (ja) 弁、流体制御弁、流体システムおよび建設機械
WO2023189986A1 (ja) 流量制御弁
JP7186584B2 (ja) 電磁弁、方向切換弁及び建設機械
KR20200012759A (ko) 밸브 구조체 및 작업 기계
JP2020094669A (ja) 電磁弁、方向切換弁及び建設機械
KR20210015684A (ko) 유체 제어 밸브, 유체 시스템 및 건설 기계
JP2020153504A (ja) 流体圧制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