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15224A - 플렉서블 표시장치 - Google Patents

플렉서블 표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15224A
KR20150015224A KR20130091008A KR20130091008A KR20150015224A KR 20150015224 A KR20150015224 A KR 20150015224A KR 20130091008 A KR20130091008 A KR 20130091008A KR 20130091008 A KR20130091008 A KR 20130091008A KR 20150015224 A KR20150015224 A KR 2015001522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exible display
display panel
resin
adhesive member
outer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0910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27791B1 (ko
Inventor
김진규
범진갑
심진보
정소연
지유진
Original Assignee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910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27791B1/ko
Priority to US14/134,485 priority patent/US20150036269A1/en
Priority to EP14154706.7A priority patent/EP2833426B1/en
Priority to CN201410154372.XA priority patent/CN104347007A/zh
Priority to JP2014086149A priority patent/JP6434711B2/ja
Publication of KR201500152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15224A/ko
Priority to US15/881,210 priority patent/US20180153054A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277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277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5/12Bonding of a preformed macromolecular material to the same or other solid material such as metal, glass, leather, e.g. using adhesiv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7/00Constructional details common to different types of electric apparatu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4Passivation; Containers; Encapsulations
    • H10K50/842Containers
    • H10K50/8426Peripheral sealing arrangements, e.g. adhesives, sealant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9/87Passivation; Containers; Encapsulations
    • H10K59/871Self-supporting sealing arrangements
    • H10K59/8722Peripheral sealing arrangements, e.g. adhesives, sealant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77/00Constructional details of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and not covered by groups H10K10/80, H10K30/80, H10K50/80 or H10K59/80
    • H10K77/10Substrates, e.g. flexible substrates
    • H10K77/111Flexible substra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57/00Electrical equipment
    • B32B2457/20Displays, e.g. liquid crystal displays, plasma display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81MICROSTRUCTURAL TECHNOLOGY
    • B81BMICROSTRUCTURAL DEVICES OR SYSTEMS, e.g. MICROMECHANICAL DEVICES
    • B81B3/00Devices comprising flexible or deformable elements, e.g. comprising elastic tongues or membranes
    • B81B3/0097Devices comprising flexible or deformable ele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B81B3/0002 - B81B3/0094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2323/00Functional layers of liquid crystal optical display excluding electroactive liquid crystal layer characterised by chemical composition
    • C09K2323/06Substrate layer characterised by chemical composition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G09F9/301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flexible foldable or roll-able electronic displays, e.g. thin LCD, OLED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2102/00Constructional details relating to the organic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10K2102/301Details of OLEDs
    • H10K2102/311Flexible OLED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6Arrangements for improving contrast, e.g. preventing reflection of ambient light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10OLED displays
    • H10K59/12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40OLEDs integrated with touch scree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 Y02E10/549Organic PV cells

Abstract

표시장치는 플렉서블 표시패널, 상기 플렉서블 표시패널의 일면 상에 배치된 제1 외측부재, 및 상기 플렉서블 표시패널과 상기 제1 외측부재를 접착시키는 제1 접착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제1 접착부재는 자외선 경화형 수지를 포함한다. 상기 제1 접착부재의 상기 플렉서블 표시패널의 폴딩영역에 대응하는 영역은 그에 인접한 영역보다 작은 상기 자외선 경화형 수지의 전환율을 갖는다.

Description

플렉서블 표시장치{FLEXIBLE DISPLAY DEVICE}
본 발명은 표시장치에 관한 것으로 좀 더 상세히는 플렉서블 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근래에 휘어지거나 접어지는 표시장치(이하, 플렉서블 표시장치)가 개발되고 있다. 이러한 플렉서블 표시장치는 플렉서블 표시패널 및 다양한 기능성 부재들을 포함한다.
상기 기능성 부재들은 상기 플렉서블 표시패널의 일면 및 타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면 상에 배치된다. 상기 기능성 부재들은 상기 플렉서블 표시패널과 함께 휘어지거나 접어진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불량이 감소된 플렉서블 표시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표시장치는 플렉서블 표시패널, 상기 플렉서블 표시패널의 일면 상에 배치된 제1 외측부재, 및 상기 플렉서블 표시패널과 상기 제1 외측부재를 접착시키는 제1 접착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플렉서블 표시패널은 폴딩영역과 주변영역을 포함한다. 상기 제1 접착부재는 자외선 경화형 수지를 포함한다. 상기 제1 접착부재는 상기 폴딩영역에 대응하는 제1 영역과 상기 주변영역에 대응하는 제2 영역으로 구분된다. 상기 제1 영역의 상기 자외선 경화형 수지의 전환율은 상기 제2 영역의 상기 자외선 경화형 수지의 전환율보다 작다.
상기 제1 영역의 상기 자외선 경화형 수지의 전환율은 50% 내지 80% 이고, 상기 제2 영역의 상기 자외선 경화형 수지의 전환율은 85% 내지 100% 일 수 있다.
상기 자외선 경화형 수지는 우레탄 아크릴레이트계 수지, 에폭시 아크릴레이트계 수지, 폴리에스터계 수지, 및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
상기 제1 접착부재는 10 ㎛ 내지 200 ㎛의 두께를 갖는다. 상기 플렉서블 표시패널은 상기 폴딩영역에서 접히고, 상기 플렉서블 표시패널은 상기 폴딩영역에서 0.5 ㎜ 내지 10 ㎜의 곡률반경을 갖는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표시장치는 상기 플렉서블 표시패널의 타면 상에 배치된 제2 외측부재 및 상기 플렉서블 표시패널과 상기 제2 외측부재를 접착시키는 제2 접착부재를 더 포함한다. 상기 제2 접착부재는 상기 자외선 경화형 수지를 포함한다.
상기 제2 접착부재는 상기 폴딩영역에 대응하는 제3 영역과 상기 주변영역에 대응하는 제4 영역으로 구분된다. 상기 제3 영역의 상기 자외선 경화형 수지의 전환율은 상기 제4 영역의 상기 자외선 경화형 수지의 전환율보다 작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표시장치는 플렉서블 표시패널, 제1 외측부재, 및 제1 접착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제1 외측부재는 상기 플렉서블 표시패널의 일면 상에 배치된다. 상기 제1 접착부재는 상기 플렉서블 표시패널과 상기 제1 외측부재를 접착시킨다.
상기 제1 접착부재는 실리콘계 수지 및 아크릴계 수지의 혼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접착부재는, 상기 실리콘계 수지 40 중량부 내지 60 중량부 및 상기 아크릴계 수지 60 중량부 내지 40 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접착부재는 실리콘계 수지층 및 아크릴계 수지층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실리콘계 수지층과 상기 아크릴계 수지층은 실질적으로 동일한 두께를 가질 수 있다.
상술한 바에 따르면, 상기 폴딩영역에 대응하게 배치된 상기 제1 접착부재의 제1 영역은 다른 영역들보다 유연한 성질을 갖는다. 상기 제1 영역은 상기 다른 영역들보다 더 적게 경화되었기 때문이다. 상기 플렉서블 표시장치가 접히더라도 상기 제1 접착부재는 깨지지 않는다. 반복적으로 접고 피더라도 상기 플렉서블 표시장치는 정상 작동한다.
상기 제1 접착부재는 유연한 실리콘계 수지의 특성과 접착력이 강한 아크릴계 수지의 특성을 모두 갖는다. 따라서, 상기 플렉서블 표시장치가 휘어지거나(bending), 접혀지거나(folding), 말려지(rolling)더라도 상기 제1 접착부재는 깨지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표시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표시장치의 펼쳐진 상태의 측면도이다.
도 2b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표시장치의 접혀진 상태의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표시패널의 화소의 등가회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표시패널의 화소의 레이아웃이다.
도 5는 도 4의 Ⅰ-Ⅰ'에 대응하는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4의 Ⅱ-Ⅱ'에 대응하는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표시장치의 펼쳐진 상태의 측면도이다.
도 8은 도 7의 일부분을 확대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표시장치의 펼쳐진 상태의 측면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기발광 표시장치를 설명한다.
도면에서는 여러 층 및 영역을 명확하게 표현하기 위하여 일부 구성요소의 스케일을 과장하거나 축소하여 나타내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유사한 참조 부호는 유사한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그리고, 어떤 층이 다른 층의 '상에' 형성된다(배치된다)는 것은, 두 층이 접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두 층 사이에 다른 층이 존재하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도면에서 어떤 층의 일면이 평평하게 도시되었지만, 반드시 평평할 것을 요구하지 않으며, 적층 공정에서 하부층의 표면 형상에 의해 상부층의 표면에 단차가 발생할 수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표시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표시장치의 펼쳐진 상태의 측면도이다. 도 2b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표시장치의 접혀진 상태의 측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2b에 도시된 것과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표시장치(이하, 표시장치)는 플렉서블 표시패널(100), 제1 외측부재(200), 및 제1 접착부재(200-A)를 포함한다.
상기 플렉서블 표시패널(100)은 플렉서블 기판과 상기 플렉서블 기판 상에 배치된 신호배선들 및 상기 신호배선들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화소들을 포함한다. 상기 화소들은 상기 신호배선들로부터 수신한 신호들에 근거하여 이미지를 생성한다. 상기 플렉서블 표시패널(100)은 일면 상으로 상기 이미지를 표시한다.
상기 플렉서블 표시패널(100)은 전체적으로 곡면을 이루도록 휘어지거나 말려지고, 특정한 영역에서 접혀질 수 있다. 상기 플렉서블 표시패널(100)은 제1 방향(DR1)과 제2 방향(DR2)이 정의하는 평면상에서 폴딩영역(FA)과 주변영역(SA)으로 구분된다. 도 1 내지 도 2b는 1개의 폴딩영역(FA)과 2개의 주변영역들(SA)을 포함하는 플렉서블 표시패널(100)을 예시적으로 도시하였다.
상기 폴딩영역(FA)과 상기 주변영역들(SA)은 상기 화소들 중 일부를 각각 포함한다. 즉, 상기 폴딩영역(FA)과 상기 주변영역들(SA)은 구분없이 이미지를 생성한다. 상기 폴딩영역(FA)은 상기 플렉서블 표시패널(100)이 접히는 영역으로 정의된다. 상기 주변영역들(SA)은 상기 폴딩영역(FA)에 인접한 영역으로 정의된다. 상기 주변영역들(SA)은 평평하거나, 완만하게 휘어질 수 있다.
도 2b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플렉서블 표시패널(100)은 상기 2개의 주변영역들(SA)이 서로 마주보도록 완전히 접힐 수 있다. 상기 플렉서블 표시패널(100)은 상기 폴딩영역(FA)에서 0.5 ㎜ 내지 10 ㎜의 곡률반경(CR)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1 외측부재(200)는 상기 플렉서블 표시패널(100)의 상기 일면 상에 배치된다. 상기 제1 외측부재(200)는 편광판, 터치스크린(touch screen), 및 보호부재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편광판, 상기 터치스크린(touch screen), 및 상기 보호부재는 플렉서블한 플라스틱 기판 또는 플라스틱 필름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플렉서블 표시패널(100)의 상기 일면 상에 2개 이상의 상기 외측부재들이 배치될 수 있다. 그밖에 상기 제1 외측부재(200)는 지문방지 코팅층 또는 반사방지 코팅층과 같은 기능성 코팅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접착부재(200-A)는 상기 플렉서블 표시패널(100)과 상기 제1 외측부재(200)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플렉서블 표시패널(100)과 상기 제1 외측부재(200)를 접착시킨다.
상기 제1 접착부재(200-A)는 자외선 경화형 수지를 포함한다. 상기 자외선 경화형 수지는 우레탄 아크릴레이트계 수지, 에폭시 아크릴레이트계 수지, 폴리에스터계 수지, 및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자외선 경화형 수지에 자외선이 입사됨에 따라 라디컬 중합 반응이 개시된다. 상기 자외선 경화형 수지에 포함된 탄소들 사이의 이중결합은 상기 자외선에 의해 단일결합으로 변경된다. 어느 하나의 모노머 또는 올리고머에 포함된 탄소들의 이중결합 중 끊어진 하나의 체인은 다른 모노머 또는 올리고머들과 폴리머 체인을 형성한다. 상기 폴리머 체인이 증가될수록 상기 자외선 경화형 수지의 경화량(경화도)는 증가된다. 상기 자외선 경화형 수지의 경화량은 상기 자외선에 의해 노출된 시간에 비례한다.
상기 제1 접착부재(200-A)는 경화량이 다른 영역들을 포함한다. 상기 제1 접착부재(200-A)는 상기 폴딩영역(FA)에 대응하는 제1 영역(200-AF)과 상기 주변영역에 대응하는 제2 영역(200-AS)으로 구분된다.
상기 제1 영역(200-AF)은 상기 제2 영역(200-AS)보다 더 적게 경화된다. 상기 제1 영역(200-AF)은 유연한 성질을 유지하고 있으므로, 상기 플렉서블 표시패널(100)이 접히더라도 깨지지 않는다. 상기 제1 영역(200-AF)은 상기 제2 영역(200-AS)보다 작은 인장변형(Tensile Strain)을 갖는다.
상기 제1 영역(200-AF)이 상기 제2 영역(200-AS)보다 적게 경화되었다는 것은 상기 제1 영역(200-AF)의 전환율이 상기 제2 영역(200-AS)의 전환율보다 작다는 것을 의미한다. 상기 전환율은 상기 자외선 경화형 수지에 포함된 탄소들 사이의 이중결합이 상기 단일결합으로 변경된 정도를 의미한다.
상기 전환율은 상기 제1 접착부재(200-A)를 FT-IR(Fourier Transform Infrared Spectrometer) 분석함으로써 측정될 수 있다. 기준 이상의 접착력을 갖고 유연한 성질을 유지하기 위해 상기 제1 영역(200-AF)의 전환율은 50% 내지 80% 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 영역(200-AS)의 전환율은 85% 내지 100% 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 접착부재(200-A)는 10 ㎛ 내지 200 ㎛의 두께를 갖는다.
도 1 내지 도 2b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표시장치는 제2 외측부재(300), 및 제2 접착부재(300-A)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외측부재(300)는 상기 플렉서블 표시패널(100)의 타면 상에 배치된다. 상기 플렉서블 표시패널(100)의 상기 타면은 상기 플렉서블 표시패널(100)의 상기 일면과 두께 방향(DR3)에서 마주한다.
상기 제2 외측부재(300)는 편광판, 및 보호부재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플렉서블 표시패널(100)의 상기 타면 상에 2개 이상의 상기 외측부재들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 접착부재(300-A)는 상기 플렉서블 표시패널(100)과 상기 제2 외측부재(300)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플렉서블 표시패널(100)과 상기 제2 외측부재(300)를 접착시킨다.
상기 제2 접착부재(300-A)는 상기 자외선 경화형 수지를 포함한다. 상기 제2 접착부재(300-A)는 경화량이 다른 영역들을 포함한다. 상기 제2 접착부재(300-A)는 상기 폴딩영역(FA)에 대응하는 제3 영역(300-AF)과 상기 주변영역에 대응하는 제4 영역(400-AS)으로 구분된다.
상기 제3 영역(300-AF)은 상기 제4 영역(400-AS)보다 적게 경화된 영역이다. 상기 제3 영역(300-AF)의 전환율은 50% 내지 80% 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4 영역(300-AS)의 전환율은 85% 내지 100% 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 접착부재(300-A)는 10 ㎛ 내지 200 ㎛의 두께를 갖는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표시패널의 화소의 등가회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표시패널의 화소의 레이아웃이다. 도 5는 도 4의 Ⅰ-Ⅰ'에 대응하는 단면도이고, 도 6은 도 4의 Ⅱ-Ⅱ'에 대응하는 단면도이다.
상기 플렉서블 표시패널의 종류에 따라 상기 화소들은 서로 다른 이미지 소자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이미지 소자로써 유기발광 표시패널은 유기발광 다이오드를 포함하고, 전기영동 표시패널은 상기 이미지 소자로써 2개의 전극과 전기영동 입자들을 포함할 수 있다. 그밖에 일렉트로웨팅 표시패널은 2개의 전극과 전자잉크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이하,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유기발광 표시패널(이하, 표시패널)에 대해 설명한다.
상기 표시패널(100)은 베이스 기판(SUB1), 신호배선들(GL, DL), 화소들(PX), 및 봉지기판(SUB2)을 포함한다. 도 3 내지 도 6은 하나의 화소(PX)를 예시적으로 도시하였다.
상기 베이스 기판(SUB1)은 플렉서블한 플라스틱 기판을 포함한다. 상기 화소(PX)는 적어도 하나의 트랜지스터, 적어도 하나의 커패시터, 및 유기발광다이오드를 포함한다. 상기 신호배선들(GL, DL)은 게이트 라인(GL), 데이터 라인(DL), 및 전원라인(KL)을 포함한다. 상기 봉지기판(SUB2) 역시 플렉서블한 플라스틱 기판을 포함한다. 상기 봉지기판(SUB2)은 봉지박막으로 대체될 수도 있다.
상기 베이스 기판(SUB1) 상에 상기 게이트 라인(GL), 상기 데이터 라인(DL), 상기 전원라인(KL) 및 상기 화소(PX)가 배치된다. 상기 화소(PX)는 제1 박막 트랜지스터(TFT1), 제2 박막 트랜지스터(TFT2), 커패시터(Cap), 및 유기발광다이오드(OLED)를 포함한다.
상기 베이스 기판(SUB1) 상에 상기 제1 박막 트랜지스터(TFT1)의 반도체 패턴(AL1: 이하, 제1 반도체 패턴) 및 상기 제2 박막 트랜지스터(TFT2)의 반도체 패턴(AL2, 이하 제2 반도체 패턴)이 배치된다. 상기 베이스 기판(SUB1) 상에 상기 제1 반도체 패턴(AL1) 및 상기 제2 반도체 패턴(AL2)을 커버하는 제1 절연층(12)이 배치된다. 상기 제1 절연층(12)은 유기막 및/또는 무기막을 포함한다. 상기 제1 절연층(12)은 복수 개의 박막들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절연층(12) 상에 상기 제1 박막 트랜지스터(TFT1)의 제어전극(GE1: 이하, 제1 제어전극) 및 상기 제2 박막 트랜지스터(TFT2)의 제어전극(GE2, 이하, 제2 제어전극)이 배치된다. 상기 제1 절연층(12) 상에 상기 커패시터(Cap)의 제1 전극(CE1)이 배치된다.
상기 제1 절연층(12) 상에 상기 제1 제어전극(GE1) 및 상기 제2 제어전극(GE2) 및 상기 제1 전극(CE1)을 커버하는 제2 절연층(14)이 배치된다. 상기 제2 절연층(14)은 유기막 및/또는 무기막을 포함한다. 상기 제2 절연층(14)은 복수 개의 박막들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절연층(14) 상에 상기 제1 박막 트랜지스터(TFT1)의 입력전극(SE1: 이하, 제1 입력전극) 및 출력전극(DE1: 이하, 제1 출력전극)이 배치된다. 상기 제2 절연층(14) 상에 상기 제2 박막 트랜지스터(TFT2)의 입력전극(SE2: 이하, 제2 입력전극) 및 출력전극(DE2: 이하, 제2 출력전극)이 배치된다. 상기 제2 절연층(14) 상에 상기 커패시터(Cap)의 제2 전극(CE2)이 배치된다.
상기 제1 입력전극(SE1)과 상기 제1 출력전극(DE1)은 상기 제1 절연층(12) 및 상기 제2 절연층(14)을 관통하는 제1 관통홀(CH1)과 제2 관통홀(CH2)을 통해 상기 제1 반도체 패턴(AL1)에 각각 연결된다. 상기 제1 출력전극(DE1)은 상기 제2 절연층(14)을 관통하는 제3 관통홀(CH3)을 통해 상기 제1 전극(CE1)에 연결된다. 상기 제2 입력전극(SE2)과 상기 제2 출력전극(DE2)은 상기 제1 절연층(12) 및 상기 제2 절연층(14)을 관통하는 제4 관통홀(CH4)과 제5 관통홀(CH5)을 통해 상기 제2 반도체 패턴(AL2)에 각각 연결된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제1 박막 트랜지스터(TFT1)와 상기 제2 박막 트랜지스터(TFT2)는 바텀 게이트 구조로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다.
상기 제2 절연층(14) 상에 상기 제1 입력전극(SE1), 상기 제1 출력전극(DE1), 상기 제2 입력전극(SE2), 및 상기 제2 출력전극(DE2)을 커버하는 제3 절연층(16)이 배치된다. 상기 제3 절연층(16)은 유기막 및/또는 무기막을 포함한다. 상기 제3 절연층(16)은 복수 개의 박막들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3 절연층(16) 상에 화소정의막(PDL) 및 상기 유기발광다이오드(OLED)가 배치된다. 상기 유기발광다이오드(OLED)는 순차적으로 적층된 애노드(AE), 제1 공통층(CL1), 유기발광층(EML), 제2 공통층(CL2), 캐소드(CE)을 포함한다. 상기 애노드(AE)는 상기 제3 절연층(16)을 관통하는 제6 관통홀(CH6)을 통해 상기 제2 출력전극(DE2)에 연결된다. 상기 유기발광다이오드(OLED)의 발광 방향에 따라 상기 애노드(AE)와 상기 캐소드(CE)의 위치는 서로 바뀔 수 있다.
상기 제3 절연층(16) 상에 애노드(AE)가 배치된다. 상기 화소정의막(PDL)의 개구부(OP)는 상기 애노드(AE)를 노출시킨다. 상기 제1 공통층(CL1)은 상기 애노드(AE) 상에 배치된다. 상기 제1 공통층(CL1)은 상기 개구부(OP)에 대응하는 발광영역뿐만 아니라 비발광영역에도 배치된다. 즉, 상기 제1 공통층(CL1)은 상기 베이스 기판(SUB1)에 전체적으로 배치된다. 상기 제1 공통층(CL1)은 정공 주입층을 포함한다. 상기 제1 공통층(CL1)은 정공 수송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공통층(CL1) 상에 상기 유기발광층(EML)이 배치된다. 상기 유기발광층(EML)은 상기 개구부(OP)에 대응하는 영역에만 배치된다. 상기 유기발광층(EML) 상에 제2 공통층(CL2)이 배치된다. 상기 제2 공통층(CL2)은 상기 제1 공통층(CL1)처럼 상기 베이스 기판(SUB1)에 전체적으로 배치된다. 상기 제2 공통층(CL2)은 전자 주입층을 포함한다. 상기 제2 공통층(CL2)은 전자 수송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공통층(CL2) 상에 상기 캐소드(CE)가 배치된다. 상기 캐소드(CE)는 상기 베이스 기판(SUB1)에 전체적으로 배치된다
상기 캐소드(CE) 상에 제4 절연층(18)이 배치된다. 상기 제4 절연층(18)은 유기막 및/또는 무기막을 포함한다. 상기 제4 절연층(18)은 복수 개의 박막들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4 절연층(18) 상에 상기 봉지기판(SUB2)이 배치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표시장치의 펼쳐진 상태의 측면도이다. 도 8은 도 7의 일부분을 확대한 도면이다. 이하, 도 7 및 도 8을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표시장치를 설명한다. 다만,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표시장치(이하, 표시장치)는 플렉서블 표시패널(100), 제1 외측부재(200), 및 제1 접착부재(200-A10)를 포함한다.
상기 플렉서블 표시패널(100)은 전체적으로 곡면을 이루도록 휘어지거나(bending), 접혀지거나(folding), 말려질(rolling) 수 있다. 상기 플렉서블 표시패널(100)은 유기발광 표시패널, 전기영동 표시패널, 또는 일렉트로웨팅 표시패널 등 일 수 있다.
상기 플렉서블 표시패널(100)은 일면 상으로 이미지를 표시한다. 상기 제1 외측부재(200)는 상기 플렉서블 표시패널(100)의 상기 일면 상에 배치된다. 상기 제1 접착부재(200-A10)는 상기 플렉서블 표시패널(100)과 상기 제1 외측부재(200)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플렉서블 표시패널(100)과 상기 제1 외측부재(200)를 접착시킨다.
상기 제1 접착부재(200-A10)는 실리콘계 수지 및 아크릴계 수지의 혼합물을 포함한다. 상기 제1 접착부재(200-A10)는 고온에서 폴리디메틸실록산(PDMS, Poly dimethyl siloxane)을 실리케이트 레진에 촉매 반응시킨 실리콘계 수지를 포함한다.
상기 아크릴계 수지는 메인 단량체로써, 메틸아크릴레이트, 에틸아크릴레이트, n-프로필아크릴레이트, 이소프로필아크 릴레이트, n-부틸아크릴레이트, t-부틸아크릴레이트, sec-부틸아크릴레이트, 펜틸아크릴레이트, 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 n-옥틸아크릴레이트, 이소옥틸아크릴레이트, 이소노닐아크릴레이트, 이소보닐아크릴레이트, 라우릴아크릴레이트를 포함한다.
상기 제1 접착부재(200-A10)는 상기 실리콘계 수지 40 중량부 내지 60 중량부 및 상기 아크릴계 수지 60 중량부 내지 40 중량부를 포함한다. 상기 제1 접착부재(200-A10)는 상기 실리콘계 수지 50 중량부 및 상기 아크릴계 수지 50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 접착부재(200-A10)는 10 ㎛ 내지 200 ㎛의 두께를 갖는다.
상기 표시장치가 휘어지거나(bending), 접혀지거나(folding), 말려지(rolling)더라도 상기 제1 접착부재(200-A10)는 유연한 실리콘계 수지의 특성과 접착력이 강한 아크릴계 수지의 특성을 모두 갖기 때문에 손상되지 않는다.
도 8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1 외측부재(200)는 상기 제1 접착부재(200-A10) 상에 배치된 터치스크린(210)과 상기 터치스크린(210) 상에 배치된 보호부재(220)를 포함한다. 상기 보호부재(220)는 플렉서블한 플라스틱 필름을 포함한다. 그밖에 상기 보호부재(220)는 지문방지 코팅층 또는 반사방지 코팅층과 같은 기능성 코팅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터치스크린(210)과 상기 보호부재(220)는 접착부재(220-A)에 의해 결합된다. 상기 접착부재(220-A)는 상기 제1 접착부재(200-A10)와 동일한 물질로 구성될 수 있다.
다시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표시장치는 제2 외측부재(300), 및 제2 접착부재(300-A1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외측부재(300)는 상기 플렉서블 표시패널(100)의 타면 상에 배치된다. 상기 제2 접착부재(300-A10)는 상기 제1 접착부재(200-A10)와 동일한 물질로 구성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표시장치의 펼쳐진 상태의 측면도이다. 이하, 도 9를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표시장치를 설명한다. 다만,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표시장치(이하, 표시장치)는 플렉서블 표시패널(100), 제1 외측부재(200), 및 제1 접착부재(200-A20)를 포함한다.
상기 플렉서블 표시패널(100)은 일면 상으로 이미지를 표시한다. 상기 제1 외측부재(200)는 상기 플렉서블 표시패널(100)의 상기 일면 상에 배치된다. 상기 제1 접착부재(200-A20)는 상기 플렉서블 표시패널(100)과 상기 제1 외측부재(200)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플렉서블 표시패널(100)과 상기 제1 외측부재(200)를 접착시킨다.
상기 제1 접착부재(200-A20)는 실리콘계 수지층(200-si) 및 아크릴계 수지층(200-ac)을 포함한다. 실리콘계 수지층(200-si)은 고온에서 폴리디메틸실록산(PDMS, Poly dimethyl siloxane)을 실리케이트 레진에 촉매 반응시킨 실리콘계 수지를 포함한다.
아크릴계 수지층(200-ac)은 메인 단량체로써, 메틸아크릴레이트, 에틸아크릴레이트, n-프로필아크릴레이트, 이소프로필아크 릴레이트, n-부틸아크릴레이트, t-부틸아크릴레이트, sec-부틸아크릴레이트, 펜틸아크릴레이트, 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 n-옥틸아크릴레이트, 이소옥틸아크릴레이트, 이소노닐아크릴레이트, 이소보닐아크릴레이트, 라우릴아크릴레이트를 포함한다.
상기 제1 접착부재(200-A10)는 10 ㎛ 내지 200 ㎛의 두께를 갖는다. 상기 실리콘계 수지층(200-si)과 상기 아크릴계 수지층(200-ac)의 두께비율은 6:4 내지 4:6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실리콘계 수지층(200-si)과 상기 아크릴계 수지층(200-ac)은 동일한 두께를 갖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표시장치가 휘어지거나(bending), 접혀지거나(folding), 말려지(rolling)더라도 상기 제1 접착부재(200-A20)는 유연한 실리콘계 수지의 특성과 접착력이 강한 아크릴계 수지의 특성을 모두 갖기 때문에 손상되지 않는다.
도 9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표시장치는 제2 외측부재(300), 및 제2 접착부재(300-A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외측부재(300)는 상기 플렉서블 표시패널(100)의 타면 상에 배치된다. 상기 제2 접착부재(300-A20)는 상기 제1 접착부재(200-A20)와 동일한 물질로 구성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 또는 해당 기술 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후술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명세서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하여져야만 할 것이다.
100: 플렉서블 표시패널 200: 제1 외측부재
200-A: 제1 접착부재 300: 제2 외측부재
300-A: 제2 접착부재 FA: 폴딩영역
SA: 주변영역

Claims (17)

  1. 폴딩영역과 주변영역을 포함하는 플렉서블 표시패널;
    상기 플렉서블 표시패널의 일면 상에 배치된 제1 외측부재; 및
    상기 플렉서블 표시패널과 상기 제1 외측부재를 접착시키고, 상기 폴딩영역에 대응하는 제1 영역과 상기 주변영역에 대응하는 제2 영역으로 구분되고, 자외선 경화형 수지를 포함하는 제1 접착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영역의 상기 자외선 경화형 수지의 전환율은 상기 제2 영역의 상기 자외선 경화형 수지의 전환율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서블 표시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영역의 상기 자외선 경화형 수지의 전환율은 50% 내지 80% 이고,
    상기 제2 영역의 상기 자외선 경화형 수지의 전환율은 85% 내지 100%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서블 표시장치.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자외선 경화형 수지는 우레탄 아크릴레이트계 수지, 에폭시 아크릴레이트계 수지, 폴리에스터계 수지, 및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서블 표시장치.
  4.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접착부재는 10 ㎛ 내지 200 ㎛의 두께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서블 표시장치.
  5.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플렉서블 표시패널은 상기 폴딩영역에서 접히고, 상기 플렉서블 표시패널은 상기 폴딩영역에서 0.5 ㎜ 내지 10 ㎜의 곡률반경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서블 표시장치.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플렉서블 표시패널의 타면 상에 배치된 제2 외측부재; 및
    상기 플렉서블 표시패널과 상기 제2 외측부재를 접착시키고, 상기 자외선 경화형 수지를 포함하는 제2 접착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서블 표시장치.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접착부재는 상기 폴딩영역에 대응하는 제3 영역과 상기 주변영역에 대응하는 제4 영역으로 구분되고,
    상기 제3 영역의 상기 자외선 경화형 수지의 전환율은 상기 제4 영역의 상기 자외선 경화형 수지의 전환율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서블 표시장치.
  8. 플렉서블 표시패널;
    상기 플렉서블 표시패널의 일면 상에 배치된 제1 외측부재; 및
    상기 플렉서블 표시패널과 상기 제1 외측부재를 접착시키고, 실리콘계 수지 및 아크릴계 수지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제1 접착부재를 포함하는 플렉서블 표시장치.
  9.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접착부재는,
    상기 실리콘계 수지 40 중량부 내지 60 중량부; 및
    상기 아크릴계 수지 60 중량부 내지 40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서블 표시장치.
  10.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접착부재는,
    상기 실리콘계 수지 50 중량부; 및
    상기 아크릴계 수지 50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서블 표시장치.
  11.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접착부재는 10 ㎛ 내지 200 ㎛의 두께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서블 표시장치.
  12.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플렉서블 표시패널의 타면 상에 배치된 제2 외측부재; 및
    상기 플렉서블 표시패널과 상기 제2 외측부재를 접착시키고, 상기 실리콘계 수지 및 상기 아크릴계 수지의 상기 혼합물을 포함하는 제2 접착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서블 표시장치.
  13.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외측부재의 상기 혼합물의 상기 실리콘계 수지 및 상기 아크릴계 수지의 중량비는 상기 제1 외측부재의 상기 혼합물의 상기 실리콘계 수지 및 상기 아크릴계 수지의 중량비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서블 표시장치.
  14. 플렉서블 표시패널;
    상기 플렉서블 표시패널의 일면 상에 배치된 제1 외측부재; 및
    상기 플렉서블 표시패널과 상기 제1 외측부재를 접착시키고, 실리콘계 수지층 및 아크릴계 수지층를 포함하는 제1 접착부재를 포함하는 플렉서블 표시장치.
  15. 제14 항에 있어서,
    상기 실리콘계 수지층과 상기 아크릴계 수지층은 실질적으로 동일한 두께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서블 표시장치.
  16. 제1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접착부재는 10 ㎛ 내지 200 ㎛의 두께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서블 표시장치.
  17. 제14 항에 있어서,
    상기 플렉서블 표시패널의 타면 상에 배치된 제2 외측부재; 및
    상기 플렉서블 표시패널과 상기 제2 외측부재를 접착시키고, 상기 실리콘계 수지층 및 상기 아크릴계 수지층를 포함하는 제2 접착부재를 더 포함하는 플렉서블 표시장치.
KR1020130091008A 2013-07-31 2013-07-31 플렉서블 표시장치 KR1021277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91008A KR102127791B1 (ko) 2013-07-31 2013-07-31 플렉서블 표시장치
US14/134,485 US20150036269A1 (en) 2013-07-31 2013-12-19 Flexible display device
EP14154706.7A EP2833426B1 (en) 2013-07-31 2014-02-11 Flexible display device
CN201410154372.XA CN104347007A (zh) 2013-07-31 2014-04-16 柔性显示器
JP2014086149A JP6434711B2 (ja) 2013-07-31 2014-04-18 フレキシブル表示装置
US15/881,210 US20180153054A1 (en) 2013-07-31 2018-01-26 Flexible display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91008A KR102127791B1 (ko) 2013-07-31 2013-07-31 플렉서블 표시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15224A true KR20150015224A (ko) 2015-02-10
KR102127791B1 KR102127791B1 (ko) 2020-06-30

Family

ID=500729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91008A KR102127791B1 (ko) 2013-07-31 2013-07-31 플렉서블 표시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2) US20150036269A1 (ko)
EP (1) EP2833426B1 (ko)
JP (1) JP6434711B2 (ko)
KR (1) KR102127791B1 (ko)
CN (1) CN104347007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911793B2 (en) 2015-09-23 2018-03-06 Samsung Display Co., Ltd. Foldable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KR20200030291A (ko) * 2018-09-12 2020-03-20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플렉서블 표시 패널 및 그 제조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84257A (ko) * 2014-01-13 2015-07-22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플렉서블 표시장치
JP6419608B2 (ja) * 2015-03-12 2018-11-07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 表示装置
EP3304613B1 (en) 2015-06-03 2021-12-01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Flexible displays having stiff layers for neutral plane adjustment
KR20230093078A (ko) 2015-07-23 2023-06-26 가부시키가이샤 한도오따이 에네루기 켄큐쇼 표시 장치, 모듈, 및 전자 기기
CN108475692B (zh) 2015-12-28 2022-07-22 3M创新有限公司 具有流体腔设计的柔性电子设备
US10431643B2 (en) * 2016-01-14 2019-10-01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panel
KR102504128B1 (ko) * 2016-03-11 2023-02-2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KR102454824B1 (ko) 2016-03-25 2022-10-1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플렉서블 표시장치
WO2018079249A1 (ja) 2016-10-31 2018-05-03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タッチパネル用積層体、フレキシブルデバイス、有機電界発光表示装置
KR20180051695A (ko) * 2016-11-07 2018-05-1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리 기판, 유리 기판의 제조 방법, 및 유리 기판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
JP2019003099A (ja) * 2017-06-16 2019-01-10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 表示装置の製造方法、及び表示装置
KR102475857B1 (ko) * 2017-09-18 2022-12-12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플렉서블 표시 장치
KR102436547B1 (ko) 2017-09-29 2022-08-29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전자 장치
US20190144714A1 (en) * 2017-11-10 2019-05-16 Wuhan China Star Optoelectronics Semiconductor Display Technology Co., Ltd. Display module and coating glue method thereof and display device
CN107799011B (zh) * 2017-11-10 2019-11-05 武汉华星光电半导体显示技术有限公司 显示模组、显示模组的涂胶方法及显示装置
CN107958920B (zh) * 2017-11-23 2020-10-09 合肥鑫晟光电科技有限公司 柔性显示面板、柔性显示装置及其制备方法
JP7198220B2 (ja) 2017-11-30 2022-12-28 株式会社半導体エネルギー研究所 表示パネル
CN108091612B (zh) * 2017-12-07 2020-11-24 深圳市华星光电半导体显示技术有限公司 阵列基板及其制备方法
KR102547124B1 (ko) 2018-03-30 2023-06-26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CN109065505B (zh) * 2018-08-10 2021-01-15 武汉华星光电半导体显示技术有限公司 显示面板及其制造方法
KR102586636B1 (ko) 2018-10-11 2023-10-1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폴더블 표시장치
CN110429123B (zh) * 2019-08-12 2022-03-04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显示面板及其制造方法、显示装置
CN110570761A (zh) * 2019-08-15 2019-12-13 武汉华星光电半导体显示技术有限公司 一种柔性显示模组及柔性显示装置
KR20220014626A (ko) * 2020-07-29 2022-02-07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플렉서블 표시 장치
KR20220075110A (ko) * 2020-11-27 2022-06-0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US20230185006A1 (en) * 2021-12-10 2023-06-15 Wuhan China Star Optoelectronics Semiconductor Display Technology Co., Ltd. Display device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972152A (en) * 1997-05-16 1999-10-26 Micron Communications, Inc. Methods of fixturing flexible circuit substrates and a processing carrier, processing a flexible circuit and processing a flexible circuit substrate relative to a processing carrier
JP2011003522A (ja) * 2008-10-16 2011-01-06 Semiconductor Energy Lab Co Ltd フレキシブル発光装置、電子機器及びフレキシブル発光装置の作製方法
JP2012080959A (ja) * 2010-10-07 2012-04-26 Olympus Corp 針型センサ
JP2012128227A (ja) * 2010-12-16 2012-07-05 Seiko Epson Corp 情報表示端末
JP2013530412A (ja) * 2010-04-16 2013-07-25 フレックス ライティング 2,エルエルシー フィルムベースのライトガイドを備える前面照射デバイス
KR101711678B1 (ko) * 2009-05-02 2017-03-02 가부시키가이샤 한도오따이 에네루기 켄큐쇼 전자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34064A (ja) * 1999-02-16 2000-08-29 Okura Ind Co Ltd 弾性硬化性樹脂組成物
JP2002297066A (ja) * 2001-03-30 2002-10-09 Sanyo Electric Co Ltd 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表示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4567941B2 (ja) * 2001-12-28 2010-10-27 株式会社半導体エネルギー研究所 半導体装置の作製方法及び表示装置の作製方法
JP5117422B2 (ja) * 2008-07-15 2013-01-16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発光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CN102131881B (zh) * 2008-08-20 2016-01-20 Lg化学株式会社 粘合剂
KR101155907B1 (ko) * 2009-06-04 2012-06-20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US8576209B2 (en) * 2009-07-07 2013-11-05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Display device
JP5446790B2 (ja) * 2009-12-02 2014-03-19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電気光学装置および電子機器
JP5406068B2 (ja) * 2010-02-12 2014-02-05 トッパン・フォームズ株式会社 電子表示パネルの製造方法
KR101801352B1 (ko) * 2011-01-18 2017-11-2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평판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WO2012173397A2 (en) * 2011-06-15 2012-12-20 Kolon Industries, Inc. Liti donor film
US10061356B2 (en) * 2011-06-30 2018-08-28 Samsung Display Co., Ltd. Flexible display panel and display apparatus including the flexible display panel
US9051493B2 (en) * 2013-03-28 2015-06-09 Nokia Technologies Oy Method and apparatus for joining together multiple functional layers of a flexible display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972152A (en) * 1997-05-16 1999-10-26 Micron Communications, Inc. Methods of fixturing flexible circuit substrates and a processing carrier, processing a flexible circuit and processing a flexible circuit substrate relative to a processing carrier
JP2011003522A (ja) * 2008-10-16 2011-01-06 Semiconductor Energy Lab Co Ltd フレキシブル発光装置、電子機器及びフレキシブル発光装置の作製方法
KR101711678B1 (ko) * 2009-05-02 2017-03-02 가부시키가이샤 한도오따이 에네루기 켄큐쇼 전자 장치
JP2013530412A (ja) * 2010-04-16 2013-07-25 フレックス ライティング 2,エルエルシー フィルムベースのライトガイドを備える前面照射デバイス
JP2012080959A (ja) * 2010-10-07 2012-04-26 Olympus Corp 針型センサ
JP2012128227A (ja) * 2010-12-16 2012-07-05 Seiko Epson Corp 情報表示端末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911793B2 (en) 2015-09-23 2018-03-06 Samsung Display Co., Ltd. Foldable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KR20200030291A (ko) * 2018-09-12 2020-03-20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플렉서블 표시 패널 및 그 제조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5031953A (ja) 2015-02-16
EP2833426A2 (en) 2015-02-04
CN104347007A (zh) 2015-02-11
JP6434711B2 (ja) 2018-12-05
EP2833426B1 (en) 2019-09-04
KR102127791B1 (ko) 2020-06-30
EP2833426A3 (en) 2015-06-17
US20180153054A1 (en) 2018-05-31
US20150036269A1 (en) 2015-02-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27791B1 (ko) 플렉서블 표시장치
US20210116974A1 (en) Flexible display device
US20210055599A1 (en) Electronic device
TWI723975B (zh) 顯示模組
KR102151634B1 (ko) 플렉서블 표시장치
US11069750B2 (en) Flexible color filter, flexible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comprising sam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CN108346375A (zh) 显示设备
CN109118963A (zh) 电子设备
US10680200B2 (en) Display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US8482836B2 (en) Flexible display device
KR20190137976A (ko) 표시 장치 및 이를 포함한 전자 장치
US11119536B2 (en) Flexible electronic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KR20170021431A (ko) 플렉서블 표시 장치
TWI697141B (zh) 元件基板
CN104269417A (zh) 像素阵列基板与面板
US11674001B2 (en) Backlight unit and display device
CN112395933A (zh) 显示装置
TWI728741B (zh) 元件陣列基板以及顯示裝置
US20210320283A1 (en) Display device
CN110346968A (zh) 显示设备
KR102384285B1 (ko) 플렉서블 표시장치
US20240021763A1 (en) Electronic device
KR20200129230A (ko) 표시 부품, 표시 장치 및 그것의 제조 방법
US11789316B2 (en) Front light module and foldable display device
US20220314575A1 (en) Method for manufacturing a display device and display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