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13131A - 작업기 관리 장치 - Google Patents

작업기 관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13131A
KR20150013131A KR1020147029470A KR20147029470A KR20150013131A KR 20150013131 A KR20150013131 A KR 20150013131A KR 1020147029470 A KR1020147029470 A KR 1020147029470A KR 20147029470 A KR20147029470 A KR 20147029470A KR 20150013131 A KR20150013131 A KR 2015001313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ydraulic excavator
level
working machine
hydraulic
dat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70294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39371B1 (ko
Inventor
가즈키 구보타
히로유키 아다치
쇼헤이 가미야
유타카 와타나베
히로시 사자나미
마사시 쇼지
Original Assignee
히다찌 겐끼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히다찌 겐끼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히다찌 겐끼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500131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131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393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393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20Drives; Control devic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20Drives; Control devices
    • E02F9/2025Particular purposes of control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20Drives; Control devices
    • E02F9/2025Particular purposes of control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2F9/2054Fleet management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26Indicating devic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26Indicating devices
    • E02F9/261Surveying the work-site to be treated
    • E02F9/262Surveying the work-site to be treated with follow-up actions to control the work tool, e.g. controller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26Indicating devices
    • E02F9/264Sensors and their calibration for indicating the position of the work tool
    • E02F9/265Sensors and their calibration for indicating the position of the work tool with follow-up actions (e.g. control signals sent to actuate the work tool)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26Indicating devices
    • E02F9/267Diagnosing or detecting failure of vehicl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26Indicating devices
    • E02F9/267Diagnosing or detecting failure of vehicles
    • E02F9/268Diagnosing or detecting failure of vehicles with failure correction follow-up ac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01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 G08B25/04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using a single signalling line, e.g. in a closed loop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64Electric machine technologies in electromobilit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onent Parts Of Construction Machinery (AREA)
  • Operation Control Of Excavators (AREA)
  • Alarm Systems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Abstract

작업기 관리 장치는 작업기로부터, 작업기의 각 부의 상태를 나타내는 센서 데이터와, 작업기에 이상이 발생하였다고 작업기가 판단한 것을 나타내는 알람 데이터를 수신하는 수신부와, 수신부에 의해 수신된 센서 데이터에 기초하여, 작업기의 가동 상태를 복수의 소정의 가동 레벨 중 어느 하나로 분류하는 가동 레벨 분류부를 구비한다.

Description

작업기 관리 장치 {OPERATING MACHINE MANAGEMENT DEVICE}
본 발명은 작업기 관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유압 셔블이나 크레인 등의 건설 기계(작업기)는 복수의 부품으로 구성되어 있고, 각각의 부품은 고장나는 경우가 있다. 고장 내용은 다양하고, 간단한 고장이라면 건설 기계의 오퍼레이터가 수리할 수 있지만, 고장의 내용에 따라서는 오퍼레이터가 대응할 수 없어, 메이커의 서비스맨에게 연락할 필요가 있다. 예를 들어, 특허문헌 1에는 작업기의 각 부의 상태가 나타내는 고장의 대처법을 연산하여, 그 대처법을 송신하는 고장 대처법 출력 방법이 기재되어 있다.
국제 공개 번호 WO01/073224호 공보
종래 기술에서는, 작업기로부터 송신된 경보나 고장 신호에 기초하여 고장의 대처법을 연산하고 있었으므로, 고장을 미연에 방지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의 제1 형태에 의한 작업기 관리 장치는 작업기로부터, 작업기의 각 부의 상태를 나타내는 센서 데이터와, 작업기에 이상이 발생하였다고 작업기가 판단한 것을 나타내는 알람 데이터를 수신하는 수신부와, 수신부에 의해 수신된 센서 데이터에 기초하여, 작업기의 가동 상태를 복수의 소정의 가동 레벨 중 어느 하나로 분류하는 가동 레벨 분류부를 구비한다.
본 발명의 제2 형태에 따르면, 제1 형태의 작업기 관리 장치에 있어서, 가동 레벨 분류부에 의해 분류된 작업기의 가동 레벨에 기초하여, 작업기의 가동 상태를 정상 상태로 하기 위해 필요한 대처 방법을 오퍼레이터에게 통지하는 통지부를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제3 형태에 따르면, 제2 형태의 작업기 관리 장치에 있어서, 통지부에 의해 통지된 대처 방법에 대응하는 준비 동작을 작업기에 행하게 하기 위한 대처 준비 신호를 작업기로 송신하는 송신부를 더 구비해도 된다.
본 발명의 제4 형태에 따르면, 제2 또는 제3 형태의 작업기 관리 장치에 있어서, 대처 방법이 실시된 것에 따라서 작업기로부터 송신되는 이벤트 데이터를 수신하는 이벤트 수신부를 더 구비하고, 가동 레벨 분류부는 이벤트 수신부에 의해 수신된 이벤트 데이터에 기초하여, 작업기의 가동 상태를 복수의 가동 레벨 중 어느 하나로 다시 분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제5 형태에 따르면, 제2 내지 제4 중 어느 하나의 형태의 작업기 관리 장치에 있어서, 통지부는 가동 레벨 분류부에 의해 분류된 작업기의 가동 레벨마다, 복수의 대처 방법으로부터 적어도 하나를 선택하여 오퍼레이터에게 통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제6 형태에 따르면, 제1 내지 제5 중 어느 하나의 형태의 작업기 관리 장치에 있어서, 작업기의 현재 위치를 수신하는 위치 수신부와, 표시 화면에 지도를 표시시킴과 함께, 표시 화면의 전체 중, 위치 수신부에 의해 수신된 작업기의 현재 위치에 대응하는 위치에, 가동 레벨 분류부에 의해 분류된 작업기의 가동 레벨을 나타내는 심볼을 지도에 중첩하여 표시시키는 표시부를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작업기의 고장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유압 셔블의 관리 시스템의 개략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는 각 유압 셔블의 구성을 도시하는 모식도이다.
도 3은 유압 셔블의 유압 회로의 개략을 도시하는 모식도이다.
도 4는 유압 셔블의 각 부의 상태를 검출하여 상태 데이터를 송신하기 위한 제어계의 블록도이다.
도 5는 센서군에 포함되는 센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6은 기지국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7은 관리 단말기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8은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되는 데이터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9는 관리 단말기의 표시 장치에 표시되는 표시 화면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0은 기지국에 의한 유압 셔블의 가동 레벨 분류 처리의 플로우차트이다.
도 11은 도 10의 스텝 S20에서 호출되는, 차압 센서에 기초하는 분류 처리의 플로우차트이다.
도 12는 도 10의 스텝 S40에서 호출되는, 온도 센서에 기초하는 분류 처리의 플로우차트이다.
(제1 실시 형태)
이하, 도면을 사용하여, 본 발명을 유압 셔블의 관리 시스템에 적용한 실시 형태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유압 셔블의 관리 시스템의 개략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본 실시 형태의 관리 시스템(1)은 복수의 작업 지구 A, B, C에서 각각 가동하는 복수의 유압 셔블을 관리하는 시스템이다. 지구 A에서는 유압 셔블(a1 내지 an)이, 지구 B에서는 유압 셔블(b1 내지 bn)이, 지구 C에서는 유압 셔블(c1 내지 cn)이 각각 가동하고 있다. 지구 A, B, C는 동일한 작업 현장은 아니고, 지리적으로 이격되어 있다. 각 유압 셔블은 GPS 수신기를 탑재하고, GPS 위성(GS)으로부터의 신호를 수신하여 현재지를 산출할 수 있다.
관리 시스템(1)에는 기지국(BC)이 포함된다. 기지국(BC)은 통신 위성(CS)을 통한 무선 통신에 의해, 각 유압 셔블과의 데이터의 수수가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기지국(BC)은 일반 공중 회선망(PC)을 통해, 복수의 관리 단말기(TM1 내지 TMn)에 접속되어 있다. 상세는 후술하지만, 기지국(BC)은 이들 복수의 관리 단말기(TM1 내지 TMn)로 소정의 표시 데이터를 송신함으로써, 각 관리 단말기(TM1 내지 TMn)의 표시 화면에 유압 셔블의 가동 상태 등을 표시시킬 수 있다. 또한, 각 관리 단말기(TM1 내지 TMn)에 있어서 오퍼레이터에 의해 소정의 조작(예를 들어, 버튼의 누름 등)이 이루어지면, 각 관리 단말기(TM1 내지 TMn)로부터 기지국(BC)으로, 당해 조작에 따른 조작 데이터가 송신된다.
이 실시 형태에서는, 각 유압 셔블이 자신의 각 부의 상태를 검출하고, 검출한 상태를 나타내는 상태 데이터를 기지국(BC)으로 송신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상태 데이터에는 3종류의 데이터가 포함된다. 제1 종류의 데이터는 유압 셔블이 가동에 지장을 초래하는 어떤 이상을 검지한 것을 나타내는 데이터이다. 제2 종류의 데이터는 유압 셔블의 유저에 의해 어떤 조작이 이루어진 것 및 그 조작에 따른 처리의 실시가 완료된 것을 나타내는 데이터이다. 제3 종류의 데이터는, 예를 들어 유압 셔블에 설치된 센서에 의해 검지된 센서량이나, GPS 수신기에 의해 산출된 유압 셔블의 현재 위치 등, 유압 셔블의 가동 상황을 나타내는 데이터이다.
이들 3종류의 데이터는, 각각 적절한 타이밍에 있어서 유압 셔블로부터 송신된다. 예를 들어, 제1 종류의 데이터이면, 당해 데이터에 의해 나타나는 이상이 검지된 타이밍에 있어서 송신된다. 또한, 제2 종류의 데이터는 당해 데이터에 의해 나타나는 조작이나 처리가 완료된 타이밍에 있어서 송신된다. 제3 종류의 데이터는 제1 및 제2 종류의 데이터를 송신할 때에 그들의 데이터에 부수되어 송신되는 것 외에, 소정의 주기(예를 들어, 수분 내지 수시간)마다 송신되거나, 혹은 당해 데이터에 대응하는 가동 상황(예를 들어, 센서량)이 변화된 것에 따라서 송신된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제1 종류의 데이터를 알람 데이터, 제2 종류의 데이터를 이벤트 데이터, 제3 종류의 정보를 센서 데이터라고 칭한다.
(유압 셔블의 구성의 설명)
도 2는 각 유압 셔블의 구성을 도시하는 모식도이다. 유압 셔블은 주행체(81)와, 주행체(81)의 상부에 선회 가능하게 연결된 선회체(82)를 갖는다. 선회체(82)에는 운전실(83)과, 작업 장치(84)와, 엔진(85)과, 선회 모터(86)가 설치되어 있다. 작업 장치(84)는 선회체(82)의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붐(BM)과, 붐(BM)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아암(AM)과, 아암(AM)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어태치먼트, 예를 들어 버킷(BK)을 포함한다. 붐(BM)은 붐 실린더(C1)에 의해 승강되고, 아암(AM)은 아암 실린더(C2)에 의해 클라우드와 덤프 조작이 행해지고, 버킷(BK)은 버킷 실린더(C3)에 의해 클라우드와 덤프 조작이 행해진다. 주행체(81)에는 좌우의 주행용 유압 모터(87, 88)가 설치되어 있다.
도 3은 유압 셔블의 유압 회로의 개략을 도시하는 모식도이다. 엔진(85)은 유압 펌프(2)를 구동한다. 이 유압 펌프(2)로부터 토출되는 압유는 복수의 컨트롤 밸브(3s, 3tr, 3tl, 3b, 3a 및 3bk)로 그 방향과 유량이 제어되고, 상술한 선회 유압 모터(86), 좌우의 주행용 유압 모터(87, 88), 유압 실린더(C1, C2, C3)를 구동한다. 복수의 컨트롤 밸브(3s, 3tr, 3tl, 3b, 3a 및 3bk)는 각각 대응하는 복수의 파일럿 밸브(4s, 4tr, 4tl, 4b, 4a 및 4bk)로부터 각각 공급되는 파일럿 압력에 의해 전환 조작된다. 파일럿 밸브(4s, 4tr, 4tl, 4b, 4a 및 4bk)는 파일럿 유압 펌프(5)로부터 소정 압력의 파일럿 유압이 공급되고, 조작 레버(4Ls, 4Ltr, 4Ltl, 4Lb, 4La, 4Lbk)의 조작량에 따른 파일럿 압력을 출력한다. 복수의 컨트롤 밸브(3s, 3tr, 3tl, 3b, 3a 및 3bk)는 하나의 밸브 블록으로 집약된다. 또한, 복수의 파일럿 밸브(4s, 4tr, 4tl, 4b, 4a 및 4bk)도 하나의 밸브 블록으로 집약된다.
도 4는 유압 셔블의 각 부의 상태를 검출하여 상태 데이터를 송신하기 위한 제어계의 블록도이다. 유압 셔블에는 상술한 각 부의 상태를 검출하는 복수의 센서를 포함하는 센서군(10)이 탑재되어 있다. 센서군(10)으로부터 출력되는 상태 검출 신호는 소정의 타이밍에서 컨트롤러(20)에 판독된다. 컨트롤러(20)는 주행 조작 시간, 선회 조작 시간 및 프론트(굴삭) 조작 시간을 적산하기 위한 타이머 기능(20a)을 갖고 있다. 컨트롤러(20)는 판독된 상태 검출 신호에 기초하여, 주행 조작 시간, 선회 조작 시간, 프론트 조작 시간을 산출한다. 이들 산출된 조작 시간은 기억 장치(21)에 저장된다. 유압 셔블은 엔진(85)을 기동하는 키 스위치(22)와, 엔진(85)의 가동 시간을 계측하는 아우어 미터(23)도 갖고 있다.
유압 셔블에는 GPS 수신기(24)가 탑재되어 있다. GPS 수신기(24)는 GPS 위성(GS)으로부터의 GPS 신호를 수신하고, GPS 신호에 기초하여 유압 셔블의 위치를 산출하여 컨트롤러(20)로 출력한다. 유압 셔블의 운전석에는 각종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모니터(25)가 설치되어 있다.
컨트롤러(20)는 시계 기능(20b)을 갖고 있고, 키 스위치(22)의 온 시각, 오프 시각, 엔진 시동 시각, 엔진 정지 시각을 인식할 수 있다. 이들 시각도 기억 장치(21)에 저장된다. 아우어 미터(23)의 계측값도 소정의 타이밍에서 컨트롤러(20)에 판독되어, 기억 장치(21)에 저장된다. 기억 장치(21)에 기억된 주행, 선회 및 프론트의 조작 시간과 키 스위치 온 시각 등은 소정의 타이밍으로 송신기(30)를 통해 송신된다. 송신기(30)로부터 송신된 전파는 위성(CS)을 경유하여 기지국(BC)에서 수신된다. 컨트롤러(20)에는 수신기(40)도 접속되어 있다. 수신기(40)는 통신 위성(CS)을 통해 기지국(BC)으로부터 보내져 오는 대처 준비 신호 등의 신호를 수신하여 컨트롤러(20)로 송출한다.
도 5는 센서군(10)에 포함되는 센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센서군(10)은 메인 유압 회로계의 압력 상태를 검출하는 압력 센서(11)를 구비하고 있다. 즉, 유압 펌프(2)의 토출 압력을 계측하는 압력 센서(11p)와, 주행 유압 모터(87, 88)의 구동 압력을 계측하는 압력 센서(11tr, 11tl)와, 선회 유압 모터(86)의 구동 압력을 계측하는 압력 센서(11s)와, 붐 유압 실린더(C1)의 구동 압력을 계측하는 압력 센서(11b)와, 아암 유압 실린더(C2)의 구동 압력을 계측하는 압력 센서(11a)와, 버킷 유압 실린더(C3)의 구동 압력을 계측하는 압력 센서(11bk)를 구비하고 있다.
센서군(10)은 파일럿 유압 회로계의 압력 상태를 검출하는 압력 센서(13)도 구비하고 있다. 즉, 주행 유압 파일럿 밸브(4tr, 4tl)로부터 출력되는 파일럿 압력 Ptr, Ptl을 계측하는 압력 센서(13tr, 13tl)와, 선회 유압 파일럿 밸브(4s)로부터 출력되는 파일럿 압력 Ps를 계측하는 압력 센서(13s)와, 붐 유압 파일럿 밸브(4b)로부터 출력되는 파일럿 압력 Pb를 계측하는 압력 센서(13b)와, 아암 유압 파일럿 밸브(4a)로부터 출력되는 파일럿 압력 Pa를 계측하는 압력 센서(13a)와, 버킷 유압 파일럿 밸브(4bk)로부터 출력되는 파일럿 압력 Pbk를 계측하는 압력 센서(13bk)를 갖고 있다.
주행 조작 시간은 주행 파일럿 압력 센서(13tr, 13tl)로 검출한 압력 Ptr 또는 Ptl이 소정값 이상인 시간을 적산한 시간이다. 선회 조작 시간은 선회 파일럿 압력 센서(13s)로 검출한 압력 Ps가 소정값 이상인 시간을 적산한 시간이다. 프론트 조작 시간은 붐, 아암 및 버킷용 파일럿 압력 센서(13b, 13a 및 13bk) 중 어느 하나로 검출한 압력 Pb, Pa, Pbk가 소정값 이상인 시간을 적산한 시간이다.
센서군(10)은 또한, 메인 유압 라인에 배치된 필터의 막힘을 검출하는 압력 센서(14f), 유압 모터나 유압 실린더를 구동하는 작동유의 온도를 검출하는 온도 센서(14t)도 구비하고 있다. 또한, 센서군(10)은 엔진 계통의 상태를 검출하는 각종 센서(15)를 갖고 있다. 즉, 배기 가스에 포함되는 입자상 물질(PM)을 포집하는 디젤 미립자 포집 필터(DPF)의 상류측과 하류측의 전후 차압을 검출하는 DPF 차압 센서(15d)와, 엔진(85)의 냉각 수온을 검출하는 냉각수 온도 센서(15w)와, 엔진 오일의 압력을 검출하는 엔진 오일 압력 센서(15op)와, 엔진 오일의 온도를 검출하는 엔진 오일 온도 센서(15ot)와, 엔진 오일의 레벨을 검출하는 엔진 오일 레벨 센서(15ol)와, 에어 필터의 막힘을 검출하는 막힘 센서(15at)와, 연료 잔량을 계측하는 연료 잔량 센서(15f)와, 배터리의 충전 전압을 검출하는 배터리 전압 센서(15V)와, 엔진 회전수를 검출하는 회전수 센서(15r)를 갖고 있다.
[기지국(BC)의 구성의 설명]
도 6은 기지국(BC)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기지국(BC)에는 통신 위성(CS)으로부터 송신되어 오는 무선 신호를 수신하고, 유압 셔블에 의해 송신된 상태 데이터를 복원하는 수신기(31)와, 수신기(31)에 의해 복원된 상태 데이터를 일시적으로 저장하는 기억 장치(32)와, 관리 단말기로 송신해야 할 데이터를 일반 공중 회선망(PC)을 통해 송신하기 위한 송신부로서의 모뎀(33)과, 이들 각종 기기를 제어하는 제어 장치(34)를 구비하고 있다.
기지국(BC)은 또한, 유압 셔블에 의해 송신된 상태 데이터를 집약하여 기억하는 데이터 베이스(35)를 구비한다. 제어 장치(34)는 기억 장치(32)에 일시적으로 저장된 상태 데이터를, 소정의 양식으로 정형하여 데이터 베이스(35)로 저장한다. 데이터 베이스(35)의 상세에 대해서는 이후에 상세하게 서술한다.
[관리 단말기(TM)의 구성의 설명]
도 7은 관리 단말기(TM)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관리 단말기(TM)에는 기지국(BC)으로부터 일반 공중 회선망(PC)을 경유하여 보내져 오는 신호를 수신하는 모뎀(41)과, 모뎀(41)에서 수신한 신호를 저장하는 기억 장치(42)와, 다양한 연산 처리를 실행하는 처리 장치(43)와, 처리 장치(43)에 접속된 표시 장치(44)와, 키보드(46)를 구비하고 있다. 처리 장치(43)는 기지국(BC)으로부터 송신된 표시 데이터에 기초하여, 표시 장치(44)의 표시 화면에 각 유압 셔블의 상태나 현재 위치 등을 표시한다. 또한, 키보드(46) 등의 입력 장치에 의해 이루어진 조작에 따라서, 기지국(BC)으로 조작 데이터를 송신한다.
[데이터 베이스(35)의 구성의 설명]
도 8은 데이터 베이스(35)에 저장되는 데이터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데이터 베이스(35)에는 각 유압 셔블로부터 송신된 상태 데이터가, 당해 상태 데이터를 식별하기 위한 일련 번호(No.)와, 당해 유압 셔블을 식별하기 위한 작업기 ID와, 당해 상태 데이터의 수신 일시(또는 송신 일시)가 부가되어, 시계열순으로 집약된다.
기지국(BC)의 제어 장치(34)는 유압 셔블로부터 상태 데이터를 수신하면, 그 상태 데이터에 상기의 각 정보를 부가하여 데이터 베이스(35)로 저장(추가 기록)한다. 그리고, 후술하는 가동 레벨의 분류 처리에 있어서 데이터 베이스(35)를 참조함으로써 가동 레벨을 분류하거나, 데이터 베이스(35)에 저장되어 있는 상태 데이터에 기초하여 표시 데이터를 작성하고, 관리 단말기(TM)로 송신한다.
[기지국(BC)에 의한 유압 셔블의 가동 레벨 분류의 설명]
본 실시 형태의 기지국(BC)은 유압 셔블로부터 상태 데이터가 송신될 때마다, 당해 상태 데이터나 데이터 베이스(35)에 저장되어 있는 과거의 상태 데이터 등에 기초하여, 당해 유압 셔블의 가동 레벨을 4개의 레벨로 분류한다. 이하, 이들 4개의 가동 레벨에 대해 설명한다.
제1 레벨은 유압 셔블의 가동에 장해가 되는 요소가 눈에 띄지 않는 것을 나타내는 레벨이다. 관리 단말기(TM)의 오퍼레이터나 유압 셔블의 유저는 제1 레벨로 분류되어 있는 유압 셔블에 대해, 특별한 조작을 행할 필요는 없다.
제2 레벨은 유압 셔블에 있어서, 장해의 징후가 보여지는 것을 나타내는 레벨이다. 관리 단말기(TM)의 오퍼레이터나 유압 셔블의 유저는 제2 레벨로 분류되어 있는 유압 셔블에 대해, 즉시 어떤 특별한 조작을 행할 필요는 없지만, 금후의 상태의 추이를 주시할 필요가 있다.
제3 레벨은 유압 셔블에 있어서, 중대한 장해로 이어지는 어떤 문제가 발생하고 있는 것을 나타내는 레벨이다. 관리 단말기(TM)의 오퍼레이터는 제3 레벨로 분류된 유압 셔블에 대해, 예를 들어 유압 셔블의 유저에게 특정한 조작을 지시하거나, 혹은 후술하는 대처 준비 신호를 유압 셔블로 송신하는 등, 어떤 특별한 처치를 실시할 필요가 있다.
제4 레벨은 유압 셔블 주위의 환경이나 송신기(30)의 고장 등 어떤 이유에 의해, 유압 셔블과 기지국(BC)의 통신이 두절되어 있는 것을 나타내는 레벨이다. 이 가동 레벨은 예외적으로, 기지국(BC)에 의한 분류가, 유압 셔블로부터 상태 데이터가 송신되었을 때 이외의 타이밍에서 이루어진다. 기지국(BC)은, 예를 들어 일정 시간 이상 상태 데이터가 송신되어 있지 않은 유압 셔블에 대해, 그 유압 셔블을 제4 레벨로 분류한다.
[관리 단말기(TM)의 표시 화면의 설명]
도 9는 관리 단말기(TM)의 표시 장치(44)에 표시되는 표시 화면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표시 장치(44)에는 지도(101)와, 작업기 리스트(102)가 표시된다. 관리 단말기(TM)의 오퍼레이터는 키보드(46) 등을 조작함으로써, 지도(101)의 축척을 변경하거나, 스크롤시킬 수 있다. 처리 장치(43)는 기지국(BC)으로부터 수신한 표시 데이터에 기초하여, 지도(101)에 중첩하여, 각 유압 셔블의 현재 위치에 따른 위치로, 그 유압 셔블을 나타내는 심볼(103 내지 106)을 표시한다. 즉, 오퍼레이터는 지도(101)를 보고, 유압 셔블이 어느 지역에서 몇 대 가동하고 있는지를 직감적으로 파악할 수 있다.
유압 셔블의 심볼(103 내지 106)은 각 유압 셔블의 가동 레벨에 따라서, 각각 다른 형태로 표시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심볼(103 내지 106)은 각각 각 유압 셔블의 가동 레벨에 따른 색으로 표시되어 있다. 예를 들어, 제1 레벨의 유압 셔블을 나타내는 심볼(106)은 녹, 제2 레벨의 유압 셔블을 나타내는 심볼(105)은 황, 제3 레벨의 유압 셔블을 나타내는 심볼(104)은 적, 제4 레벨의 유압 셔블을 나타내는 심볼(103)은 흑으로 하는 것과 같이, 각각 다른 색의 심볼에 의해, 각 유압 셔블의 가동 레벨이 나타나 있다.
지도(101)의 아래에는 당해 지도(101)에 포함되는 유압 셔블의 리스트인 작업기 리스트(102)가 표시되어 있다. 작업기 리스트(102)에는 각 유압 셔블에 대해, 그 가동 레벨(102a), 모델 넘버(102b), 시리얼 넘버(102c) 등, 유압 셔블의 속성이 일람 표시되어 있다. 관리 단말기(TM)의 오퍼레이터는 키보드(46) 등에 의해, 어느 하나의 유압 셔블의 선택 조작을 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마우스에 의해 가동 레벨을 나타내는 심볼을 클릭하는 등의 선택 조작이 이루어지면, 처리 장치(43)는 표시 장치(44)의 표시 내용을, 선택 조작의 대상이 된 유압 셔블에 관한 정보를 표시하는 화면으로 전환한다. 전환된 후의 화면에는 당해 유압 셔블의 상태 외에, 그 유압 셔블이 현재의 가동 레벨로 분류된 이유가 표시된다. 또한, 가동 레벨이 제2 레벨이나 제3 레벨인 경우에는, 유압 셔블에 대해 행해야 할 처치의 수순이 더 표시된다.
이상의 표시 내용은 모두 기지국(BC)으로부터 송신된 표시 데이터에 기초하는 것이다. 즉, 관리 단말기(TM)의 처리 장치(43)는 기지국(BC)으로부터 송신된 표시 데이터에 기초하여, 표시 장치(44)에 소정의 내용을 표시한다.
[기지국(BC)에 의한 가동 레벨의 분류의 구체예]
다음에, 기지국(BC)이 어떻게 가동 레벨의 분류를 행하는지, (1) DPF의 재생 기구의 예와, (2) 엔진의 냉각 기구의 예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또한 실제로는, 기지국(BC)은 이들 이외의 각 센서로부터의 출력도 이용하여 유압 셔블의 가동 레벨을 분류한다.
(1) DPF의 재생 기구
본 실시 형태의 유압 셔블이 구비하는 엔진(85)은 배기 가스의 배출 경로에 DPF를 구비하고 있다. DPF 차압 센서(15d)는 DPF의 전후의 압력의 차를 검지한다. 이 압력의 차는 DPF로의 PM의 퇴적량(DPF의 막힘의 정도)을 나타내고 있다. 검출된 PM의 퇴적량은 센서 데이터로서, 소정값 이상의 변화가 발생할 때마다 기지국(BC)으로 송신된다.
유압 셔블의 컨트롤러(20)는 DPF가 막혀 버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DPF의 재생 제어를 실행한다. 재생 제어는, 예를 들어 포스트 분사를 실행하거나, 엔진의 회전수를 올림으로써, DPF를 통과하는 배기의 온도를 상승시켜, PM을 연소시키는 제어이다. 컨트롤러(20)는 소정 시간마다 자동으로 실행하는 시간 재생 제어와, 유압 셔블의 오퍼레이터에 의한 수동 조작에 따라서 실행하는 수동 재생 제어의 2종류의 재생 제어를 실행 가능하다. 재생 제어에는, 예를 들어 연비가 나빠지거나, 엔진(85)의 출력이 떨어지는 등의 유압 셔블의 가동에 대한 영향이 있다. 컨트롤러(20)는 시간 재생 제어에 있어서, DPF의 재생 효과가 작지만 이와 같은 영향이 적어지는 제어를 행한다. 또한, 수동 재생 제어에 있어서 보다 재생 효과가 큰 제어를 행하지만, 이때는, 예를 들어 유압 셔블을 사용한 작업을 행할 수 없거나, 혹은 그 작업 내용에 제한이 생기는 등, 유압 셔블의 가동에 시간 재생 제어보다 큰 영향이 생긴다.
컨트롤러(20)는 재생 제어의 실행이 완료되면, 재생 제어의 실행이 완료된 것을 나타내는 이벤트 데이터와 함께, 재생 완료 후에 DPF 차압 센서(15d)에 의해 검출된 PM의 퇴적량의 센서 데이터를 송신한다. 기지국(BC)은 시간 재생 제어 완료 시의 PM의 퇴적량이 소정의 임계값 이상인 경우, 즉 시간 재생 제어를 실행하였음에도, PM의 퇴적량이 충분히 내려가지 않았던 경우에는, 그 유압 셔블의 가동 레벨을 제3 레벨로 분류한다. 그리고, 그 유압 셔블을 특정하는 ID 등에 관련지어, DPF의 막힘을 해소시키기 위한 소정의 수순이 포함된 표시 데이터를, 관리 단말기(TM)로 송신한다. 이에 의해, 관리 단말기(TM)의 표시 장치(44)에는 그 유압 셔블의 위치에 제3 레벨을 나타내는 적색 심볼(104)이 표시되게 된다.
관리 단말기(TM)의 오퍼레이터는 이 적색 심볼(104)을 시인함으로써, 당해 유압 셔블에 어떤 처치를 실시할 필요가 있는 것을 인식한다. 그리고, 그 유압 셔블의 선택 조작을 실행한다. 이때 표시 장치(44)에는 기지국(BC)으로부터 송신된 표시 데이터에 기초하여, DPF의 막힘을 해소시키기 위한 소정의 수순이 표시된다. 예를 들어, 「유압 셔블의 오퍼레이터에 대해, 수동 재생의 실시를 의뢰해 주십시오」와 같은 표시가 이루어진다. 관리 단말기(TM)의 오퍼레이터는 이 표시에 따라서, 유압 셔블의 오퍼레이터에 대해 수동 재생의 실시를 의뢰한다. 유압 셔블의 오퍼레이터는 수동 재생 버튼을 누르는 등의 조작에 의해, 유압 셔블의 컨트롤러(20)에 수동 재생 제어를 실행시킨다.
수동 재생 제어에서는 상술한 시간 재생 제어보다도 높은 온도의 배기가 DPF로 보내져, 시간 재생 제어에서는 완전히 연소할 수 없었던 PM이 연소됨으로써, 시간 재생 제어에서는 해소할 수 없었던 DPF의 막힘이 해소될 가능성이 있다. 수동 재생 제어가 완료되면, 유압 셔블의 컨트롤러(20)는 기지국(BC)에, 수동 재생 제어가 완료된 것을 나타내는 이벤트 데이터와 함께, 수동 재생 제어 완료 후의 PM의 퇴적량의 센서 데이터를 송신한다. 기지국(BC)은 이 센서 데이터로부터, 당해 유압 셔블의 가동 레벨을 재분류한다. 예를 들어, PM의 퇴적량이 충분히 내려가 있던 경우에는 제1 레벨로 재분류하여, 관리 단말기(TM) 상의 심볼을 녹색의 심볼(106)로 변화시킨다. 한편, 수동 재생 제어를 실행해도 PM의 퇴적량이 소정의 임계값 미만까지 내려가지 않았던 경우에는, 그 유압 셔블을 다시 제3 레벨로 분류한다. 이때 관리 단말기(TM)의 표시 장치(44)에는 계속해서 제3 레벨을 나타내는 적색 심볼(104)이 표시되지만, 당해 유압 셔블의 선택 조작이 이루어졌을 때에는, 전회와는 다른 수순이 표시된다. 예를 들어, 현장으로 이동하여 고장 진단을 행하도록 지시하거나, DPF 차압 센서(15d) 자체가 고장나 있지 않은지를 조사하도록 지시한다.
또한, 표시 장치(44)에는 각 유압 셔블의 가동 레벨과 함께, 그 유압 셔블이 그 가동 레벨로 분류된 시점을 나타내는 일시가 표시된다. 따라서, 관리 단말기(TM)의 오퍼레이터는 기지국(BC)이 유압 셔블을 다시 제3 레벨로 분류한 경우라도, 전회 제3 레벨로 분류되었을 때부터 상황에 변화가 있었던 것을 인식할 수 있다. 또한, 작업기 리스트(102)에 표시되는 작업기의 정렬 순서를, 가동 레벨의 분류 일시순(내림차순)으로 해도 된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작업기 리스트(102)의 상위에는 최근 가동 상황에 변화가 있었던 작업기가 배열되게 된다.
이와 같이, 기지국(BC)은 유압 셔블에서는 완전히 판단할 수 없는 이상의 징후를 유압 셔블로부터 송신된 상태 데이터에 기초하여 판단함으로써, 당해 유압 셔블의 가동 레벨을 분류한다. 그리고, 오퍼레이터에 그 가동 레벨 및 실시해야 할 처치의 수순을 통지함으로써, 유압 셔블의 가동에 지장을 초래하는 문제를 미연에 방지한다. 바꾸어 말하면, 알람 데이터가 송신되는 상태로 되어, 서비스맨에 의한 수리ㆍ점검 등이 필요해져 버리기 전에, 유압 셔블의 오퍼레이터 스스로 해결할 수 있는 대처 수순을 제시할 수 있다. 그리고, 그 대처 수순에 따라서도 문제를 해결할 수 없었던 경우에 처음으로, 수리ㆍ점검 등의 수순이 나타난다. 이때, 관리 단말기(TM)의 오퍼레이터는 유압 셔블의 어떤 개소에 어떤 문제가 있는지의 정보를 얻을 수 있으므로, 서비스맨에 의한 수리ㆍ점검의 사전 준비를 원활하게 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2) 엔진의 냉각 기구
본 실시 형태의 유압 셔블은 엔진 냉각수 온도 센서(15w)에 의해 엔진 냉각수의 온도를 검출한다. 또한, 작동유 온도 센서(14t)에 의해, 유압 모터나 유압 실린더를 구동하는 작동유의 온도를 검출한다. 또한, 도시하지 않은 외기온 센서에 의해, 유압 셔블이 가동하고 있는 장소의 외기 온도를 검출한다. 이하, 이들 각 센서가 출력하는 데이터를 사용한 가동 레벨의 분류에 대해 설명한다.
유압 셔블에 있어서 검출된 이들 센서 데이터는 유압 셔블의 컨트롤러(20)에 의해, 기지국(BC)으로 정기적으로 송신된다. 기지국(BC)은, 예를 들어 최근 1시간 이내에 각 유압 셔블로부터 송신되어 온 엔진 냉각수의 온도로부터, 엔진 냉각수 온도의 평균 온도를 산출한다. 작동유 온도, 외기 온도에 대해서도 마찬가지로, 평균 온도를 산출한다.
기지국(BC)은 어떤 유압 셔블에 대해, 그 유압 셔블로부터 송신되어 온 최신의 온도(엔진 냉각수의 온도, 작동유 온도, 외기 온도), 상기의 각 평균 온도, 과거에 그 유압 셔블로부터 송신되어 온 온도 등에 기초하여, 그 유압 셔블의 가동 레벨을 분류한다. 그리고, 관리 단말기(TM)로 표시 데이터를 송신함으로써, 그 유압 셔블에 대해 실행해야 할 처치의 수순을 표시 장치(44)에 표시시킨다. 이하, 가동 레벨의 분류예를 든다.
(2-1) 평상 시
어떤 유압 셔블에 있어서 검출된 냉각수 온도와 작동유 온도의 각각에 대해, 각 유압 셔블에 있어서 검출된 온도의 평균값과의 차가 일정 범위 내이면, 엔진의 냉각계에 특별히 문제는 없다고 생각되므로, 기지국(BC)은 그 유압 셔블을 제1 레벨로 분류한다.
(2-2) 제1 임계값을 초과하는 경우
어떤 유압 셔블에 있어서 검출된 냉각수 온도와 작동유 온도의 각각이, 각 유압 셔블에 있어서 검출된 온도의 평균값보다도 어느 정도 높으면(제1 임계값보다도 큰 차가 있으면), 그 유압 셔블의 라디에이터가 어느 정도 막힘이 있다고 생각된다. 따라서, 기지국(BC)은 그 유압 셔블을 제2 레벨로 분류한다. 이때 표시 장치(44)에는 금후의 추이에 주시하도록 재촉하는 표시가 이루어진다.
(2-3) 제1 임계값보다 큰 제2 임계값을 초과하는 경우
어떤 유압 셔블에 있어서 검출된 냉각수 온도와 작동유 온도의 각각이, 각 유압 셔블에 있어서 검출된 온도의 평균값보다도 매우 높으면(제1 임계값보다 큰 제2 임계값을 초과하는 차가 있으면), 그 유압 셔블의 라디에이터가 상당히 막혀 있다고 생각된다. 이 상황을 방치해 버리면 곧 심각한 고장이 발생하는 것도 생각되므로, 기지국(BC)은 그 유압 셔블을 제3 레벨로 분류한다. 이때 표시 장치(44)에는 라디에이터를 점검하도록 재촉하는 표시가 이루어진다.
(2-4) 냉각수 온도만이 높은 경우
어떤 유압 셔블에 있어서 검출된 작동유 온도는 평균 온도와 큰 차가 없음에도, 동일한 유압 셔블에 있어서 검출된 냉각수 온도는 평균 온도보다도 충분히 높은(제2 임계값보다도 큰 차가 있는) 경우, 그 유압 셔블의 엔진의 냉각계에 이상이 발생하고 있다고 생각된다. 따라서, 기지국(BC)은 그 유압 셔블을 제3 레벨로 분류한다. 이때 표시 장치(44)에는 엔진의 냉각계를 점검하도록 재촉하는 표시가 이루어진다.
(2-5) 알람 데이터가 송신된 경우
본 실시 형태의 유압 셔블은 냉각수 온도가 일정값 이상으로 되면, 오버 히트 경고를 나타내는 알람 데이터를 송신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기지국(BC)은 어떤 유압 셔블에 있어서 검출된 냉각수 온도와 작동유 온도의 각각이, 평균 온도와 큰 차가 없음에도, 그 유압 셔블로부터 오버 히트 경고를 나타내는 알람 데이터가 송신되어 온 경우, 그 유압 셔블의 전기계에 이상이 발생하고 있다고 판단한다. 그리고, 그 유압 셔블을 제3 레벨로 분류한다. 이때 표시 장치(44)에는 당해 유압 셔블의 전기계를 점검하도록 재촉하는 표시가 이루어진다.
이상과 같이, 기지국(BC)은, 유압 셔블에서는 완전히 판단할 수 없는 이상의 징후를, 그 유압 셔블로부터 송신된 상태 데이터뿐만 아니라, 다른 유압 셔블로부터 송신된 상태 데이터에 기초하여 판단함(예를 들어, 그 유압 셔블에 있어서 검출된 온도와 다른 유압 셔블에 있어서 검출된 온도를 비교함)으로써, 당해 유압 셔블의 가동 레벨을 분류한다. 그리고, 오퍼레이터에게 그 가동 레벨 및 실시해야 할 처치의 수순을 통지함으로써, 유압 셔블의 가동에 지장을 초래하는 문제를 미연에 방지한다. 또한 이때, 관리 단말기(TM)에는 동일한 제3 레벨이라도 각각 다른 작업 수순이 표시된다. 이는, 동일한 제3 레벨로 분류된 경우라도, 어떤 문제가 생각되었기 때문에 제3 레벨로 분류되었는지가 다르므로, 그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필요한 처치도 다르기 때문이다.
도 10은 기지국(BC)에 의한 유압 셔블의 가동 레벨 분류 처리의 플로우차트이다. 이 처리는 기지국(BC)의 제어 장치(34)가, 도시하지 않은 기억 매체(예를 들어, ROM)에 미리 저장되어 있는 제어 프로그램을 판독함으로써 실행한다. 제어 장치(34)는 도 10에 도시하는 처리를 반복해서 실행함으로써, 각 유압 셔블의 가동 레벨을 분류한다.
스텝 S10에 있어서, 제어 장치(34)는 유압 셔블로부터 DPF 차압 센서(15d)의 센서 데이터를 수신하였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DPF 차압 센서(15d)의 센서 데이터를 수신한 경우에는 스텝 S20으로 진행하여, 후술하는 차압 센서에 기초하는 분류 처리를 실행한다. 한편, DPF 차압 센서(15d)의 센서 데이터를 수신하고 있지 않은 경우에는 스텝 S30으로 진행한다.
스텝 S30에서는, 제어 장치(34)가, 유압 셔블로부터 엔진 냉각수 온도 센서(15w) 등의 온도 센서로부터의 센서 데이터를 수신하였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온도 센서로부터의 센서 데이터를 수신한 경우에는 스텝 S40으로 진행하여, 후술하는 온도 센서에 기초하는 분류 처리를 실행한다. 한편, 온도 센서의 센서 데이터를 수신하고 있지 않은 경우에는 도 10에 도시하는 처리를 종료한다.
도 11은 도 10의 스텝 S20에서 호출되는, 차압 센서에 기초하는 분류 처리의 플로우차트이다. 이 처리는 제어 장치(34)가 실행하는 제어 프로그램에 포함되는 처리이다. 우선 스텝 S100에 있어서, 제어 장치(34)는 시간 재생 제어의 실행 완료를 나타내는 이벤트 데이터를 수신하였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이 이벤트 데이터를 수신하고 있던 경우에는 스텝 S110으로 진행하여, 시간 재생 제어 완료 시의 센서값(PM의 퇴적량)이 소정의 임계값을 상회하고 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센서값이 소정의 임계값을 상회하고 있던 경우에는 스텝 S120으로 진행하여, 당해 유압 셔블을 제3 레벨로 분류한다. 그리고, 계속되는 스텝 S130에 있어서, 대처 방법으로서 수동 재생 제어의 실행의 수순을 오퍼레이터에게 제시한다. 즉, 당해 유압 셔블이 제3 레벨로 분류된 것과, 상기 수순을 나타내는 표시 데이터를 관리 단말기(TM)로 송신한다. 관리 단말기(TM)에서는 이 표시 데이터의 수신에 따라서, 지도(101) 상에 제3 레벨을 나타내는 심볼(104)을 표시하고, 오퍼레이터에 의한 선택 조작에 따라서 상기 수순을 표시한다.
한편, 스텝 S110에 있어서 센서값이 소정의 임계값 이하였던 경우에는 스텝 S180으로 진행하고, 제어 장치(34)는 당해 유압 셔블을 제1 레벨로 분류한다. 그리고, 당해 유압 셔블이 제1 레벨로 분류된 것을 나타내는 표시 데이터를 관리 단말기(TM)로 송신한다.
스텝 S100에 있어서 시간 재생 제어의 실행 완료를 나타내는 이벤트 데이터가 수신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스텝 S140으로 진행한다. 그리고 스텝 S140에서는 제어 장치(34)가, 수동 재생 제어의 실행 완료를 나타내는 이벤트 데이터를 수신하였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이 이벤트 데이터가 수신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스텝 S180으로 진행하고, 제어 장치(34)는 당해 유압 셔블을 제1 레벨로 분류한다. 그리고, 당해 유압 셔블이 제1 레벨로 분류된 것을 나타내는 표시 데이터를 관리 단말기(TM)로 송신한다. 한편, 수동 재생 제어의 실행이 완료되어 있던 경우에는 스텝 S150으로 진행한다.
스텝 S150에 있어서 제어 장치(34)는 수동 재생 제어 완료 시의 센서값(PM의 퇴적량)이 소정의 임계값을 상회하고 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센서값이 소정의 임계값을 상회하고 있던 경우에는 스텝 S160으로 진행하여, 당해 유압 셔블을 제3 레벨로 분류한다. 그리고, 계속되는 스텝 S170에 있어서, 대처 방법으로서 서비스맨에 의한 점검 등, 수동 재생 제어의 실행과는 다른 수순을 오퍼레이터에게 제시한다. 즉, 당해 유압 셔블이 제3 레벨로 분류된 것과, 상기 수순을 나타내는 표시 데이터를 관리 단말기(TM)로 송신한다. 관리 단말기(TM)에서는 이 표시 데이터의 수신에 따라서, 지도(101) 상에 제3 레벨을 나타내는 심볼(104)을 표시하고, 오퍼레이터에 의한 선택 조작에 따라서 상기 수순을 표시한다. 한편, 스텝 S150에 있어서 센서값이 소정의 임계값 이하였던 경우에는 스텝 S180으로 진행하고, 제어 장치(34)는 당해 유압 셔블을 제1 레벨로 분류한다. 그리고, 당해 유압 셔블이 제1 레벨로 분류된 것을 나타내는 표시 데이터를 관리 단말기(TM)로 송신한다.
도 12는 도 10의 스텝 S40에서 호출되는, 온도 센서에 기초하는 분류 처리의 플로우차트이다. 이 처리는, 제어 장치(34)가 실행하는 제어 프로그램에 포함되는 처리이다. 우선 스텝 S200에 있어서, 제어 장치(34)는 유압 셔블로부터 오버 히트 경고를 나타내는 알람 데이터를 수신하였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이 알람 데이터를 수신하고 있던 경우에는 스텝 S320으로 진행하여, 엔진 냉각수의 온도와 작동유 온도가 각각 평균 온도보다 소정량 이상 높은지 여부를 판정한다. 이들 온도가 평균 온도보다 소정량 이상 높은 경우에는 스텝 S330으로 진행하여, 당해 유압 셔블을 제3 레벨로 분류한다. 그리고, 계속되는 스텝 S340에 있어서, 대처 방법으로서 서비스맨에 의한 작업기의 점검 등의 수순을 오퍼레이터에게 제시한다. 즉, 당해 유압 셔블이 제3 레벨로 분류된 것과, 상기 수순을 나타내는 표시 데이터를 관리 단말기(TM)로 송신한다. 관리 단말기(TM)에서는 이 표시 데이터의 수신에 따라서, 지도(101) 상에 제3 레벨을 나타내는 심볼(104)을 표시하고, 오퍼레이터에 의한 선택 조작에 따라서 상기 수순을 표시한다.
한편, 스텝 S320에 있어서 엔진 냉각수의 온도와 작동유 온도가 각각 평균 온도보다 소정량 이상 높지 않았던 경우에는 스텝 S350으로 진행한다. 스텝 S350에서 제어 장치(34)는 당해 유압 셔블을 제3 레벨로 분류한다(상술한 2-5). 그리고, 계속되는 스텝 S360에 있어서, 대처 방법으로서 전기계의 점검 등의 수순을 오퍼레이터에게 제시한다. 즉, 당해 유압 셔블이 제3 레벨로 분류된 것과, 상기 수순을 나타내는 표시 데이터를 관리 단말기(TM)로 송신한다. 관리 단말기(TM)에서는 이 표시 데이터의 수신에 따라서, 지도(101) 상에 제3 레벨을 나타내는 심볼(104)을 표시하고, 오퍼레이터에 의한 선택 조작에 따라서 상기 수순을 표시한다.
스텝 S200에 있어서 알람 데이터가 수신되어 있지 않았던 경우, 처리는 스텝 S210으로 진행한다. 스텝 S210에 있어서 제어 장치(34)는 작동유 온도와 엔진 냉각수 온도를 각각의 평균 온도와 비교한다. 그리고, 그들 2개의 온도의, 각각의 평균값과의 차를 산출한다. 이들 2개의 차가 각각 제2 임계값 이상인 경우, 처리는 스텝 S210으로부터 스텝 S220으로 진행한다. 스텝 S220에서는 제어 장치(34)가, 당해 유압 셔블을 제3 레벨로 분류한다(상술한 2-3). 그리고, 계속되는 스텝 S230에 있어서, 대처 방법으로서 서비스맨에 의한 작업기의 점검 등의 수순을 오퍼레이터에게 제시한다. 즉, 당해 유압 셔블이 제3 레벨로 분류된 것과, 상기 수순을 나타내는 표시 데이터를 관리 단말기(TM)로 송신한다.
스텝 S210에 있어서 부정 판정이 이루어진 경우, 처리는 스텝 S240으로 진행한다. 스텝 S240에서는 제어 장치(34)가, 작동유 온도의 평균값과의 차가 제1 임계값 미만이고, 또한 엔진 냉각수 온도의 평균값과의 차가 제2 임계값 이상인지 여부를 판정한다. 이 조건이 만족되어 있던 경우에는 스텝 S250으로 진행한다. 스텝 S250에서는 제어 장치(34)가, 당해 유압 셔블을 제3 레벨로 분류한다(상술한 2-4). 그리고, 계속되는 스텝 S260에 있어서, 대처 방법으로서 엔진의 냉각계의 점검 등의 수순을 오퍼레이터에게 제시한다. 즉, 당해 유압 셔블이 제3 레벨로 분류된 것과, 상기 수순을 나타내는 표시 데이터를 관리 단말기(TM)로 송신한다.
스텝 S240에 있어서 부정 판정이 이루어진 경우, 처리는 스텝 S270으로 진행한다. 스텝 S240에서는 제어 장치(34)가, 상술한 2개의 온도의 평균값과의 차가, 각각 제1 임계값 이상인지 여부를 판정한다. 이 조건이 만족되어 있던 경우에는 스텝 S280으로 진행한다. 스텝 S280에서는 제어 장치(34)가, 당해 유압 셔블을 제2 레벨로 분류한다(상술한 2-2). 그리고, 계속되는 스텝 S290에 있어서, 대처 방법으로서 금후의 추이에 주의하는 취지를 오퍼레이터에게 제시한다. 즉, 당해 유압 셔블이 제2 레벨로 분류된 것과, 상기 수순을 나타내는 표시 데이터를 관리 단말기(TM)로 송신한다.
스텝 S270에 있어서 부정 판정이 이루어진 경우, 처리는 스텝 S300으로 진행한다. 스텝 S300에서는 제어 장치(34)가, 당해 유압 셔블을 제1 레벨로 분류한다(상술한 2-1).
상술한 제1 실시 형태에 의한 유압 셔블의 관리 시스템에 따르면, 다음의 작용 효과가 얻어진다.
(1) 수신기(31)는 유압 셔블로부터, 유압 셔블의 각 부의 상태를 나타내는 센서 데이터와, 유압 셔블에 이상이 발생하였다고 유압 셔블이 판단한 것을 나타내는 알람 데이터를 수신한다. 제어 장치(34)는 수신기(31)에 의해 수신된 센서 데이터에 기초하여, 유압 셔블의 가동 상태를 4개의 가동 레벨 중 어느 하나로 분류한다. 이와 같이 하였으므로, 작업기의 고장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2) 제어 장치(34)는 분류한 유압 셔블의 가동 레벨에 기초하여, 유압 셔블의 가동 상태를 정상 상태로 하기 위해 필요한 대처 방법을 포함하는 표시 데이터를 모뎀(33)을 통해 관리 단말기(TM)로 송신하고, 관리 단말기(TM)의 오퍼레이터에게 그 대처 방법을 통지한다. 이와 같이 하였으므로, 오퍼레이터는 자신의 능력이나 경험에 의존하지 않고, 정확한 대처 방법을 선택할 수 있다.
(3) 수신기(31)는 통지한 대처 방법이 실시된 것에 따라서 유압 셔블로부터 송신되는 이벤트 데이터를 수신한다. 제어 장치(34)는 수신된 이벤트 데이터에 기초하여, 유압 셔블의 가동 상태를 4개의 가동 레벨 중 어느 하나로 다시 분류한다. 이와 같이 하였으므로, 통지한 대처 방법만으로는 문제가 해소되지 않았던 경우에, 관리 단말기(TM)의 오퍼레이터에게 제2, 제3 대처 방법을 제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4) 제어 장치(34)는 분류한 유압 셔블의 가동 레벨마다, 복수의 대처 방법으로부터 적어도 하나를 선택하여 관리 단말기(TM)의 오퍼레이터에게 통지한다. 바꾸어 말하면, 동일한 가동 레벨이라도, 그 가동 레벨로 분류한 이유에 따라서, 각각 다른 대처 방법을 관리 단말기(TM)의 오퍼레이터에게 통지한다. 이와 같이 하였으므로, 동일한 가동 레벨이라도, 각각 최적의 대처 방법을 오퍼레이터에게 제시하는 것이 가능해져, 유압 셔블의 문제에 보다 정확하게 대처할 수 있다.
(5) 수신기(31)는 유압 셔블의 현재 위치를 수신한다. 제어 장치(34)는 모뎀(33)을 통해 관리 단말기(TM)로 표시 데이터를 송신함으로써, 표시 장치(44)의 표시 화면에 지도(101)를 표시시킴과 함께, 수신기(31)에 의해 수신된 유압 셔블의 현재 위치에 대응하는 위치에, 분류한 유압 셔블의 가동 레벨을 나타내는 심볼(103 내지 106)을 지도(101)에 중첩하여 표시시킨다. 이와 같이 하였으므로, 관리 단말기(TM)의 오퍼레이터는 유압 셔블의 가동 위치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다.
다음과 같은 변형도 본 발명의 범위 내이고, 변형예의 하나, 혹은 복수를 상술한 실시 형태와 조합하는 것도 가능하다.
(변형예 1)
상술한 실시 형태에 있어서, 기지국(BC)이, 유압 셔블을 구성하는 엔진 등의 종류에 기초하여 가동 레벨의 분류를 행하도록 해도 된다. 이는, 다른 종류의 엔진이 탑재되어 있는 작업기는 각각 다른 종류의 상태 데이터를 송신하기 때문이다. 또한, 예를 들어 「100」이라는 값이 각각 다른 양의 센서값을 나타내는 등, 동일한 상태 데이터라도 그 의미하는 바가 다를 가능성도 있으므로, 그와 같은 요소도 고려하여, 엔진의 종류마다 분류 방법을 바꾸는 것이 바람직하다.
(변형예 2)
기지국(BC)이, 과거의 상태 데이터에 기초하여 가동 레벨의 분류를 행하도록 해도 된다. 예를 들어, 어떤 유압 셔블에 대해, 과거 일주일 동안, 냉각수 온도가 서서히 상승하고 있고, 최신의 냉각수 온도도 그 상승 라인 상에 존재하는 경우에는, 그 온도 변화는 경년 변화(예를 들어, 필터의 막힘 등)에 의한 것이라고 생각된다. 한편, 전날까지의 온도로부터 급격히 냉각수 온도가 상승하고 있는 경우에는, 예를 들어 엔진 냉각수 온도 센서(15w)에 이상이 발생했을 가능성이 높다. 따라서, 기지국(BC)은 전자와 후자에서, 다른 처치의 수순을 오퍼레이터에게 제시한다. 이와 같이, 과거에 축적한 상태 데이터를 가동 레벨의 분류에 사용함으로써 보다 정확한 처치 수순을 오퍼레이터에게 제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변형예 3)
관리 단말기(TM)의 오퍼레이터에 처치 수순을 제시 후, 그 오퍼레이터로부터의 조작에 따라서, 기지국(BC)이 모뎀 등의 송신부를 통해 유압 셔블에 어떤 제어 신호를 송신하도록 해도 된다. 예를 들어, 유압 셔블의 오퍼레이터가 수동 재생 제어를 함부로 실행해 버리지 않도록 제한을 걸어 둔다. 즉, 통상은 수동 재생 버튼을 누르는 등의 조작을 행해도 수동 재생 제어가 행해지지 않도록 해 둔다. 그리고, 유압 셔블이 제3 레벨로 분류되어, 관리 단말기(TM)의 오퍼레이터에게 수동 재생 제어를 실행하는 대처 수순을 제시한 경우에는, 관리 단말기(TM)에 있어서의 오퍼레이터의 조작에 따라서 기지국(BC)으로부터 당해 유압 셔블로, 대처 준비 신호가 송신된다. 유압 셔블은 이 대처 준비 신호의 수신에 따라서, 수동 재생 제어의 준비를 행한다. 구체적으로는, 수동 재생 제어의 실행 제한을 해제하여, 수동 재생 제어를 실행 가능한 상태로 된다. 그 후, 유압 셔블의 오퍼레이터는 수동 재생 버튼을 누름으로써, 유압 셔블의 컨트롤러(20)에 수동 재생 제어를 실행시킨다.
(변형예 4)
유압 셔블의 다수의 개소에 동시에 이상이 발생한 경우에, 관리 단말기(TM)에 동시에 복수의 대처 방법이 표시되도록 해도 된다. 혹은, 소정의 우선 순위에 기초하여, 그들 복수의 대처 방법으로부터 어느 하나가 선택되어 표시되도록 해도 된다. 또한, 복수의 개소에 이상이 발생하고 있던 경우에는, 각각의 개소의 상태에 기초하여 각각 개별로 가동 레벨의 분류를 행하여, 가장 높은(나쁜) 가동 레벨을 그 유압 셔블의 가동 레벨로서 채용한다. 예를 들어, DPF의 재생 기구에 대해 제3 레벨, 엔진의 냉각계에 대해 제2 레벨로 분류된 경우에는, 관리 단말기(TM)에는 그 유압 셔블의 가동 레벨이 제3 레벨인 표시가 이루어진다.
(변형예 5)
상술한 실시 형태에서는 DPF의 재생과 엔진의 냉각계에 대해, 유압 셔블의 가동 레벨을 분류하는 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실시 형태로 한정되지 않는다. 그 밖에 다양한 상태를 검지하는 경우에 있어서도 본 발명을 적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은 유압 셔블의 관리 장치뿐만 아니라, 다른 작업기를 관리하는 관리 장치에 적용할 수도 있다.
(변형예 6)
상술한 실시 형태에서는 관리 단말기(TM)와 기지국(BC)을 각각 다른 장치로 하고 있었지만, 이들을 일체의 장치로 해도 된다.
본 발명의 특징을 손상시키지 않는 한, 본 발명은 상기 실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생각되는 그 밖의 형태에 대해서도, 본 발명의 범위 내에 포함된다.
다음의 우선권 기초 출원의 개시 내용은 인용문으로서 여기에 포함된다.
일본 특허 출원 2012년 제102849호(2012년 4월 27일 출원)

Claims (6)

  1. 작업기로부터, 상기 작업기의 각 부의 상태를 나타내는 센서 데이터와, 상기 작업기에 이상이 발생하였다고 상기 작업기가 판단한 것을 나타내는 알람 데이터를 수신하는 수신부와,
    상기 수신부에 의해 수신된 상기 센서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작업기의 가동 상태를 복수의 소정의 가동 레벨 중 어느 하나로 분류하는 가동 레벨 분류부를 구비하는, 작업기 관리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 레벨 분류부에 의해 분류된 상기 작업기의 가동 레벨에 기초하여, 상기 작업기의 가동 상태를 정상 상태로 하기 위해 필요한 대처 방법을 오퍼레이터에게 통지하는 통지부를 더 구비하는, 작업기 관리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통지부에 의해 통지된 상기 대처 방법에 대응하는 준비 동작을 상기 작업기에 행하게 하기 위한 대처 준비 신호를 상기 작업기로 송신하는 송신부를 더 구비하는, 작업기 관리 장치.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대처 방법이 실시된 것에 따라서 상기 작업기로부터 송신되는 이벤트 데이터를 수신하는 이벤트 수신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가동 레벨 분류부는 상기 이벤트 수신부에 의해 수신된 상기 이벤트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작업기의 가동 상태를 상기 복수의 가동 레벨 중 어느 하나로 다시 분류하는, 작업기 관리 장치.
  5. 제2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통지부는 상기 가동 레벨 분류부에 의해 분류된 상기 작업기의 가동 레벨마다, 복수의 상기 대처 방법으로부터 적어도 1개를 선택하여 오퍼레이터에게 통지하는, 작업기 관리 장치.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작업기의 현재 위치를 수신하는 위치 수신부와,
    표시 화면에 지도를 표시시킴과 함께, 상기 표시 화면의 전체 중, 상기 위치 수신부에 의해 수신된 상기 작업기의 현재 위치에 대응하는 위치에, 상기 가동 레벨 분류부에 의해 분류된 상기 작업기의 가동 레벨을 나타내는 심볼을 상기 지도에 중첩하여 표시시키는 표시부를 더 구비하는, 작업기 관리 장치.
KR1020147029470A 2012-04-27 2013-04-25 작업기 관리 장치 KR10203937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2102849 2012-04-27
JPJP-P-2012-102849 2012-04-27
PCT/JP2013/062227 WO2013161946A1 (ja) 2012-04-27 2013-04-25 作業機管理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13131A true KR20150013131A (ko) 2015-02-04
KR102039371B1 KR102039371B1 (ko) 2019-11-01

Family

ID=494832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29470A KR102039371B1 (ko) 2012-04-27 2013-04-25 작업기 관리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9366011B2 (ko)
EP (1) EP2843140B1 (ko)
JP (1) JP5993448B2 (ko)
KR (1) KR102039371B1 (ko)
CN (1) CN104271846B (ko)
WO (1) WO2013161946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23001A (ko) * 2018-04-23 2019-10-31 두산인프라코어 주식회사 건설기계의 동작 경보 관리 장치 및 건설기계 동작 경보 관리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55533B1 (ko) * 2012-10-16 2019-03-07 주식회사 두산 Dpf의 다단 재생장치 및 재생방법
JP5603520B1 (ja) * 2012-10-19 2014-10-08 株式会社小松製作所 油圧ショベルの掘削制御システム
US10203704B2 (en) * 2016-06-16 2019-02-12 Moog Inc. Fluid metering valve
JP6949162B2 (ja) * 2016-07-22 2021-10-13 株式会社クボタ 作業車
JP6929026B2 (ja) * 2016-07-22 2021-09-01 株式会社クボタ 作業車
WO2020217493A1 (ja) * 2019-04-26 2020-10-29 京セラ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情報処理プログラム
JP7470539B2 (ja) 2020-03-18 2024-04-18 日立建機株式会社 施工履歴情報管理システム
JP7404184B2 (ja) 2020-07-20 2023-12-25 株式会社小松製作所 作業機械を制御するためのシステム及び方法
US11656595B2 (en) * 2020-08-27 2023-05-23 Caterpillar Inc. System and method for machine monitoring
CN115324147A (zh) * 2022-08-03 2022-11-11 中联重科土方机械有限公司 挖掘机及协同作业方法、处理器、车载终端、控制终端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1073224A1 (fr) 2000-03-31 2001-10-04 Hitachi Construction Machinery Co., Ltd. Procede de production de mesure d'ecart, systeme et dispositif de sortie
JP2002332666A (ja) * 2001-05-08 2002-11-22 Komatsu Ltd 作業機械の表示装置
JP2003085315A (ja) * 2001-09-11 2003-03-20 Komatsu Ltd 修理用車両の管理システム、管理方法、およびこの方法をコンピュータに実行させるためのプログラム、ならびに機械の修理管理システム、管理方法、およびこの方法をコンピュータに実行させるためのプログラム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193634A (en) * 1981-05-25 1982-11-29 Meidensha Electric Mfg Co Ltd Civil engineering and construction machine
US6496766B1 (en) * 1999-03-01 2002-12-17 North Carolina State University Crane monitoring and data retrieval systems and method
JP3644847B2 (ja) * 1999-05-20 2005-05-11 株式会社クボタ 作業機
US7050893B2 (en) * 2000-03-31 2006-05-23 Hitachi Construction Machinery Co., Ltd. Method of detection of actual operating time of machinery deployed at construction sites, data collection and management system, and base station
JP4769382B2 (ja) * 2001-07-26 2011-09-07 株式会社小松製作所 移動体の管理装置
JP2005171527A (ja) * 2003-12-08 2005-06-30 Hitachi Constr Mach Co Ltd 作業機械の表示装置
CN101120373A (zh) * 2005-02-14 2008-02-06 株式会社小松制作所 作业机械的不良状况信息集中管理系统
JP4717579B2 (ja) * 2005-09-30 2011-07-06 株式会社小松製作所 作業機械のメンテナンス作業管理システム
JP2008203941A (ja) * 2007-02-16 2008-09-04 Shin Caterpillar Mitsubishi Ltd 機体稼働状態検知方法
EP2256707A4 (en) * 2008-03-17 2016-03-02 Hochiki Co ALARM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1073224A1 (fr) 2000-03-31 2001-10-04 Hitachi Construction Machinery Co., Ltd. Procede de production de mesure d'ecart, systeme et dispositif de sortie
JP2002332666A (ja) * 2001-05-08 2002-11-22 Komatsu Ltd 作業機械の表示装置
JP2003085315A (ja) * 2001-09-11 2003-03-20 Komatsu Ltd 修理用車両の管理システム、管理方法、およびこの方法をコンピュータに実行させるためのプログラム、ならびに機械の修理管理システム、管理方法、およびこの方法をコンピュータに実行させるためのプログラム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23001A (ko) * 2018-04-23 2019-10-31 두산인프라코어 주식회사 건설기계의 동작 경보 관리 장치 및 건설기계 동작 경보 관리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3161946A1 (ja) 2013-10-31
JPWO2013161946A1 (ja) 2015-12-24
EP2843140A1 (en) 2015-03-04
JP5993448B2 (ja) 2016-09-14
US9366011B2 (en) 2016-06-14
KR102039371B1 (ko) 2019-11-01
EP2843140B1 (en) 2022-10-19
US20150149047A1 (en) 2015-05-28
EP2843140A4 (en) 2016-05-18
CN104271846B (zh) 2016-11-02
CN104271846A (zh) 2015-01-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39371B1 (ko) 작업기 관리 장치
AU2004271006B2 (en) Construction machine diagnosis information presenting device, diagnosis information display system, and diagnosis information presenting method
US7684917B2 (en) Diagnostic information providing apparatus for construction machine and diagnostic information display system for construction machine
CN105026214B (zh) 工程机械的异常信息控制装置
US10391940B2 (en) Construction machine
AU2006200556B2 (en) System and method of monitoring machine performance
JP6392101B2 (ja) 建設機械の管理システム
KR20160147738A (ko) 건설기계 및 건설기계의 제어방법
JP2005113397A (ja) 建設機械の表示装置
US9704302B2 (en) Operation management device of self-propelling mining equipment
US20160224227A1 (en) Indication Display System
JP2012160085A (ja) 建設機械のメンテナンス方法およびメンテナンスシステム
JP2015203408A (ja) 作業機械、及び作業機械の監視システム
JP6572062B2 (ja) 診断装置
JP6466080B2 (ja) 建設機械
JP4286649B2 (ja) 建設機械のエンジン冷却水系統故障診断装置
JP4178101B2 (ja) 建設機械の作動油冷却系統故障診断装置
JP2013064241A (ja) 作業機械の異常診断システム
KR20230047395A (ko) 표시 장치, 및 그것을 구비하는 작업 기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