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12186A - 작업 차량 - Google Patents
작업 차량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50012186A KR20150012186A KR1020140022163A KR20140022163A KR20150012186A KR 20150012186 A KR20150012186 A KR 20150012186A KR 1020140022163 A KR1020140022163 A KR 1020140022163A KR 20140022163 A KR20140022163 A KR 20140022163A KR 20150012186 A KR20150012186 A KR 20150012186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tractor
- bonnet
- cabin
- lamp
- light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3/00—Arrangements of steps or ladders facilitating access to or on the vehicle, e.g. running-board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0029—Spatial arrangement
- B60Q1/0035—Spatial arrangement relative to the vehicl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0029—Spatial arrangement
- B60Q1/0041—Spatial arrangement of several lamps in relation to each other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0029—Spatial arrangement
- B60Q1/0041—Spatial arrangement of several lamps in relation to each other
- B60Q1/0052—Spatial arrangement of several lamps in relation to each other concentric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02—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 B60Q1/04—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the devices being headlights
- B60Q1/18—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the devices being headlights being additional front light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02—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 B60Q1/22—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for reverse driv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2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 B60Q1/2607—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comprising at least two indicating lamp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2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 B60Q1/2661—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mounted on parts having other functions
- B60Q1/2665—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mounted on parts having other functions on rear-view mirror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2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 B60Q1/32—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for indicating vehicle sides, e.g. clearance light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2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 B60Q1/34—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for indicating change of drive direction
- B60Q1/38—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for indicating change of drive direction using immovably-mounted light sources, e.g. fixed flashing lamp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2800/00—Features related to particular types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Q2800/20—Utility vehicles, e.g. for agriculture, construction work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00—Optical viewing arrangements; Real-time viewing arrangements for drivers or passengers using optical image capturing systems, e.g. cameras or video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or on vehicles
- B60R1/12—Mirror assemblies combined with other articles, e.g. clocks
- B60R1/1207—Mirror assemblies combined with other articles, e.g. clocks with lamps; with turn indica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 Lighting Device Outwards From Vehicle And Optical Signal (AREA)
- Vehicle Step Arrangements And Article Storage (AREA)
Abstract
승하차시의 편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작업 차량인 트랙터(1)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후륜(5)의 전방에 승하차용 스텝(32)이 마련되어 있는 작업 차량인 트랙터(1)에 있어서, 스텝(32)이 조종자의 발(G)을 올리는 받이부(32b)와, 받이부(32b)의 전방을 지지하는 전방 지지부(32a)와, 받이부(32b)의 후방을 지지하는 후방 지지부(32c)로 구성되고, 캐빈 프레임(26a)에 전방 지지부(32a)의 일단이 연결되고, 받이부(32b)의 트랙터(1)쪽 단면에 전방 지지부(32a)의 타단이 연결되고, 후륜(5) 펜더(31)의 앞쪽 단부에 후방 지지부(32c)의 일단이 연결되고, 받이부(32b)의 뒤쪽 단면에 후방 지지부(32c)의 타단이 연결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작업 차량에 관한 것이다.
종래, 승용 작업 차량에서 조종자가 스텝을 사용해 승하차하는 것이 알려져 있다. 작업 차량에는, 전륜과 후륜 사이이면서 캐빈 승강 도어의 근방에 조종자의 발을 올리는 하나 이상의 스텝이 마련된다. 예를 들면 특허 문헌 1과 같은 것이다.
특허 문헌 1의 작업 차량은, 사다리 형상으로 구성된 스텝이 후륜을 덮는 펜더의 하단보다 밑에 설치된다. 이 때문에, 작업 차량은 스텝에 의해 조종자가 용이하게 승하차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이 작업 차량에서는 승하차시에 조종자가 펜더(fender)의 하단과 발의 접촉을 피하도록 의식할 필요가 있다. 또한, 조종자의 발을 올리는 스텝 받이부의 양측이 측판에 의해 지지되어 있기 때문에, 조종자의 발을 올리는 범위가 좁아졌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과제를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승하차시의 편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작업 차량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과 같으며, 다음에 이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을 설명한다.
즉, 본 발명에서는, 후륜의 전방에 승하차용 스텝이 마련되어 있는 작업 차량에 있어서, 스텝이 조종자의 발을 올리는 받이부와, 받이부의 전방을 지지하는 전방 지지부와, 받이부의 후방을 지지하는 후방 지지부로 구성되고, 캐빈 프레임에 전방 지지부의 일단이 연결되고, 받이부의 작업 차량쪽 단면에 전방 지지부의 타단이 연결되고, 후륜 펜더의 앞쪽 단부에 후방 지지부의 일단이 연결되고, 받이부의 뒤쪽 단면에 후방 지지부의 타단이 연결된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후방 지지부가 상기 펜더의 곡률 반경과 동일한 곡률 반경으로 상기 후륜의 트레드(tread)면을 따라 형성된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전방 지지부가 캐빈의 전방면보다 앞쪽에서 상기 받이부와 연결되고, 상기 후방 지지부가 상기 후륜의 차축보다 낮은 위치에서 받이부와 연결된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받이부에 복수의 삼각형의 관통공이 형성되고, 관통공의 각 변이 받이부의 좌우 방향에 대해 평행이 되지 않도록 배치되어 있다.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나타낸다.
즉, 본 발명에서는, 전방 지지부가 받이부의 전단에 연결되지 않고, 받이부가 펜더의 전단부에 도달할 때까지 형성되어 있으므로, 받이부의 전후 방향의 폭이 캐빈 바닥 부근의 좌우문의 폭보다 커진다. 또한, 후방 지지부가 펜더의 전단부에 연결되므로, 승하차시에 조종자가 펜더와의 접촉을 의식할 필요가 없다. 이에 따라, 승하차시의 편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후방 지지부와 펜더가 연속적으로 연결되므로, 승하차시에 조종자가 펜더와의 접촉을 의식할 필요가 없다. 이에 따라, 승하차시의 편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받이부가 펜더의 전단부보다 후방에 도달할 때까지 형성되어 있으므로, 받이부의 전후 방향의 폭이 캐빈 바닥 부근의 좌우문의 폭보다 커진다. 이에 따라, 승하차시의 편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관통공의 각 변이 승하차시 조종자의 발의 길이 방향에 대해 비스듬하게 구성되어 있으므로, 받이부에 발을 안정적으로 올릴 수 있다. 이에 따라, 승하차시의 편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트랙터의 전체적인 구성을 나타낸 전방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트랙터의 전체적인 구성을 나타낸 후방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트랙터의 전체적인 구성을 나타낸 좌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트랙터의 전체적인 구성을 나타낸 우측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트랙터의 전체적인 구성을 나타낸 상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트랙터의 전체적인 구성을 나타낸 저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트랙터의 전체적인 구성을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트랙터의 전체적인 구성을 나타낸 배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트랙터의 보닛의 구성을 나타내는 부분 확대 측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트랙터의 보닛의 구성을 나타내는 부분 확대 상면도이다.
도 11의 (a)는 종래의 실시 형태에 따른 트랙터의 운전 조작부로부터의 사각의 범위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트랙터의 운전 조작부로부터의 사각의 범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트랙터의 웨이트 및 프런트 그릴(front grille)의 구성을 나타내는 부분 확대 사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전조등의 구성을 나타내는 부분 확대 정면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전조등의 구성을 나타내는 부분 확대 측면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전조등의 LED 플래시의 조사 방향을 나타내는 부분 확대 상면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사이드 미러, 전방 작업등 및 차폭등의 구성을 나타내는 부분 확대 정면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에 따른 사이드 미러, 전방 작업등 및 차폭등의 구성을 나타내는 부분 확대 정면도이다.
도 18의 a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차폭등의 조사 방향을 나타내는 부분 확대도이고, (b)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차폭등의 조사 방향을 나타내는 부분 확대도이고, (c)는 본 발명의 제3 실시 형태에 따른 차폭등을 나타내는 부분 확대도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트랙터의 전방 작업등이 조사하는 범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트랙터의 캐빈의 구성을 나타내는 부분 확대 전방 사시도이다.
도 2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트랙터의 캐빈의 구성을 나타내는 부분 확대 측면도이다.
도 2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트랙터의 캐빈의 구성을 나타내는 부분 확대 배면도이다.
도 2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트랙터의 후방 작업등이 조사하는 범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트랙터의 펜더 및 스텝의 구성을 나타내는 부분 확대 측면도이다.
도 2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트랙터의 스텝의 구성을 나타내는 부분 확대 상면도이다.
도 2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트랙터의 콤비네이션 램프의 구성을 나타내는 부분 확대 후방 사시도이다.
도 27의 (a)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콤비네이션 램프의 구성을 나타내는 부분 배면도이고, (b)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콤비네이션 램프의 구성을 나타내는 부분 배면도이고, (c)는 본 발명의 제3 실시 형태에 따른 콤비네이션 램프의 구성을 나타내는 부분 배면도이고, (d)는 본 발명의 제4 실시 형태에 따른 콤비네이션 램프의 구성을 나타내는 부분 배면도이다.
도 2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트랙터의 운전 조작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부분 확대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트랙터의 전체적인 구성을 나타낸 후방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트랙터의 전체적인 구성을 나타낸 좌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트랙터의 전체적인 구성을 나타낸 우측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트랙터의 전체적인 구성을 나타낸 상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트랙터의 전체적인 구성을 나타낸 저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트랙터의 전체적인 구성을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트랙터의 전체적인 구성을 나타낸 배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트랙터의 보닛의 구성을 나타내는 부분 확대 측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트랙터의 보닛의 구성을 나타내는 부분 확대 상면도이다.
도 11의 (a)는 종래의 실시 형태에 따른 트랙터의 운전 조작부로부터의 사각의 범위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트랙터의 운전 조작부로부터의 사각의 범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트랙터의 웨이트 및 프런트 그릴(front grille)의 구성을 나타내는 부분 확대 사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전조등의 구성을 나타내는 부분 확대 정면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전조등의 구성을 나타내는 부분 확대 측면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전조등의 LED 플래시의 조사 방향을 나타내는 부분 확대 상면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사이드 미러, 전방 작업등 및 차폭등의 구성을 나타내는 부분 확대 정면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에 따른 사이드 미러, 전방 작업등 및 차폭등의 구성을 나타내는 부분 확대 정면도이다.
도 18의 a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차폭등의 조사 방향을 나타내는 부분 확대도이고, (b)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차폭등의 조사 방향을 나타내는 부분 확대도이고, (c)는 본 발명의 제3 실시 형태에 따른 차폭등을 나타내는 부분 확대도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트랙터의 전방 작업등이 조사하는 범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트랙터의 캐빈의 구성을 나타내는 부분 확대 전방 사시도이다.
도 2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트랙터의 캐빈의 구성을 나타내는 부분 확대 측면도이다.
도 2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트랙터의 캐빈의 구성을 나타내는 부분 확대 배면도이다.
도 2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트랙터의 후방 작업등이 조사하는 범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트랙터의 펜더 및 스텝의 구성을 나타내는 부분 확대 측면도이다.
도 2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트랙터의 스텝의 구성을 나타내는 부분 확대 상면도이다.
도 2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트랙터의 콤비네이션 램프의 구성을 나타내는 부분 확대 후방 사시도이다.
도 27의 (a)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콤비네이션 램프의 구성을 나타내는 부분 배면도이고, (b)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콤비네이션 램프의 구성을 나타내는 부분 배면도이고, (c)는 본 발명의 제3 실시 형태에 따른 콤비네이션 램프의 구성을 나타내는 부분 배면도이고, (d)는 본 발명의 제4 실시 형태에 따른 콤비네이션 램프의 구성을 나타내는 부분 배면도이다.
도 2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트랙터의 운전 조작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부분 확대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작업 차량의 제1 실시 형태인 트랙터(1)에 대해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트랙터(1)의 전진 방향을 전방으로 하여 전후좌우 방향을 규정한다.
우선, 본 발명에 따른 트랙터(1)의 전체 구성에 대해 도 1 내지 도 8을 이용해 설명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작업 차량은, 본 실시 형태에 따른 트랙터(1)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그 외의 농업 차량이나 건설 차량, 산업 차량 등 차량 전반에 널리 적용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트랙터(1)는 여러 가지 작업기(로터리 등)를 장착하고 다양한 작업을 행하는 것이다. 트랙터(1)는 길이 방향을 전후방향으로 하는 기체 프레임(2)에 엔진(3), 보닛(7), 도시하지 않은 트랜스미션 케이스, 전방 차축, 후방 차축, 캐빈(26) 및 운전 조작부(37) 등이 배치되어 있다.
기체 프레임(2)의 전단부에는, 도시하지 않은 프런트 히치(front hitch)를 통해 카운터 웨이트(counter weight)(6) 등이 장착된다. 기체 프레임(2)의 대략 중앙부에는 엔진(3)(도 3, 도 4 참조)이 탑재된다. 기체 프레임(2)의 후단부에는, 트랙터(1)의 동력 전달 기구의 일부를 수납하는 도시하지 않은 트랜스미션 케이스가 연결된다. 또한, 기체 프레임(2)의 앞 부분은 도시하지 않은 전방 차축을 통해 좌우 한 쌍의 전륜(4)에 의해 지지된다. 트랜스미션 케이스의 후부는, 도시하지 않은 후방 차축을 통해 좌우 한 쌍의 후륜(5)에 의해 지지된다. 이와 같이, 트랙터(1)는 기체 프레임(2)과 트랜스미션 케이스가 일체적으로 구성되고, 전륜(4)과 후륜(5)에 의해 지지된다.
트랙터(1)는 엔진(3)을 덮도록 보닛(7) 등을 배치해 엔진 룸을 구성하고 있다. 보닛(7)의 전방에는 프런트 그릴(8)과 전방을 비추는 전조등(10)이 설치된다. 보닛(7)의 후방이면서 트랜스미션 케이스의 상방에, 조종자가 탑승해 트랙터(1)를 조작하기 위한 운전 조작부(37)가 마련된다. 운전 조작부(37)는 캐빈(26)에 의해 덮여 있다. 또한, 트랙터(1)에서는, 트랜스미션 케이스의 후방에 도시하지 않은 작업기 장착 장치가 설치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어 있는 트랙터(1)는, 엔진(3)의 동력이 상기 동력 전달 기구에서 변속된 다음, 전방 차축과 후방 차축을 지나 좌우 한 쌍의 전륜(4)과 후륜(5)에 전달된다. 트랙터(1)는 좌우 한 쌍의 전륜(4)과 후륜(5)의 회전 구동에 의해 주행한다. 또한, 트랙터(1)는 엔진(3)의 동력이 상기 동력 전달 기구에서 변속된 다음, 트랜스미션 케이스의 후방에 설치된 상기 작업기 장착 장치를 통해 장착된 도시하지 않은 경운 장치 등의 작업기에도 전달된다.
다음으로, 도 1을 이용해 카운터 웨이트(6), 보닛(7), 프런트 그릴(8) 및 사이드 커버(9)에 대해 설명한다.
도 1, 도 3 내지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카운터 웨이트(6)는 상기 작업기 장착 장치에 장착된 작업기와의 중량 밸런스를 취하는 것이다. 카운터 웨이트(6)는 트랙터(1)의 전단부에 마련된다. 카운터 웨이트(6)는, 좌우 방향 중앙이 전방을 향해 돌출된, 평면에서 보았을 때 대략 V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카운터 웨이트(6)는, 상측면이 좌우 방향 중앙을 향해 낮아지는 경사면으로 형성되어 있다. 즉, 카운터 웨이트(6)는 진행 방향 정면에서 보았을 때 V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트랙터(1)는 보닛(7)의 후단이 전방을 향하도록 해 보닛(7)을 개폐하는 경우에, 보닛(7)의 전단부와 카운터 웨이트(6)가 접촉하지 않는다(도 3 참조).
도 9와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보닛(7)은 엔진(3) 등이 배치되어 있는 엔진 룸을 구성하는 것이다. 보닛(7)은, 길이 방향을 전후 방향으로 하여 엔진(3)이 배치되어 있는 기체 프레임(2)의 전단부로부터 캐빈(26)까지를 덮도록 기체 프레임(2)에 마련된다. 보닛(7)은 그 전단에 개구부가 형성되어 있다. 보닛(7)의 개구부에는 프런트 그릴(8)이 마련된다. 보닛(7)은 전단부 또는 후단부를 받침점으로 하여 상방으로 회전해 엔진 룸을 개방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도 3의 검은 화살표 참조).
보닛(7)은 상측면(7a), 상좌측면(7b), 상우측면(7c), 좌측면(7d) 및 우측면(7e)으로 구성된다. 보닛(7)은 상측면(7a), 상좌측면(7b), 상우측면(7c), 좌측면(7d) 및 우측면(7e) 중 인접하는 측면끼리가 각각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측면(7a)은 평면에서 보았을 때 전방으로 정점이 향하는 대략 삼각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측면(7a)은 보닛(7)의 후단으로부터 보닛(7)의 전후 방향 대략 중앙을 상기 정점으로 하는 보닛(7)의 일부를 구성한다. 상측면(7a)은 보닛(7)의 후단에서 전단을 향해 낮아지는 경사면으로 형성된다.
상좌측면(7b)은 상측면(7a)의 좌측인 보닛(7)의 후단으로부터 보닛(7)의 전단에 달하는 보닛(7)의 일부를 구성한다. 상우측면(7c)은 상측면(7a)의 우측인 보닛(7)의 후단으로부터 보닛(7)의 전단에 달하는 보닛(7)의 일부를 구성한다. 상좌측면(7b)과 상우측면(7c)으로 구성되는 보닛(7)의 일부는, 보닛(7)의 후단으로부터 전단을 향해 좌우 방향의 폭이 서서히 넓어지고, 중간부에서부터 좌우 방향의 폭이 서서히 좁아지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보닛(7)은 평면에서 보았을 때 좌측 능선과 우측 능선이 전단의 중앙에서 일치하는 대략 포탄 형상으로 구성된다.
상좌측면(7b)과 상우측면(7c)은, 보닛(7)의 후단으로부터 상측면(7a)의 상기 정점에 도달할 때까지 상측면(7a)에 인접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좌측면(7b)과 상우측면(7c)은, 상측면(7a)의 상기 정점으로부터 보닛(7)의 전단에 도달할 때까지 보닛(7)의 좌우 방향 중앙에서 서로 인접하도록 구성된다. 상좌측면(7b)은 좌방을 향해 낮아지는 경사면으로 형성된다. 상우측면(7c)은 우측을 향해 낮아지는 경사면으로 형성된다. 또한, 상좌측면(7b)과 상우측면(7c)은, 상측면(7a)의 상기 정점으로부터 보닛(7)의 전단을 향해 낮아지는 경사면으로 형성된다. 이에 따라, 상측면(7a)과 상좌측면(7b)과 상우측면(7c)으로 구성되어 있는 보닛(7)의 일부는, 후단으로부터 전단, 및 좌우 방향 중앙으로부터 좌우 방향의 각각을 향해 지면으로부터의 높이가 낮아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좌측면(7d)은 상좌측면(7b)의 좌측단에 인접해 기체 프레임(2)을 향하면서 보닛(7)의 일부를 구성한다. 우측면(7e)은 상우측면(7c)의 우측단에 인접해 기체 프레임(2)을 향하면서 보닛(7)의 일부를 구성한다. 좌측면(7d)과 우측면(7e)에는, 엔진(3)을 냉각한 냉각풍의 배출구가 형성된다. 좌측면(7d) 전단부의 상단과 우측면(7e) 전단부의 상단에는, 보닛(7)의 후단을 향하는 절개가 형성된다. 이에 따라, 보닛(7) 전단부의 좌측에는, 상좌측면(7b)의 하단과 좌측면(7d)의 절개에 의해 절개부(7f)가 구성된다. 또한, 보닛(7)의 전단부의 우측에는, 상우측면(7c)의 하단과 우측면(7e)의 절개에 의해 절개부(7g)가 구성된다.
보닛(7)의 후단에는 인스트루먼트 패널(instrument panel)(38)이 접속되어 있다. 보닛(7)의 상측면(7a), 상좌측면(7b), 상우측면(7c), 좌측면(7d) 및 우측면(7e)의 후단으로 이루어지는 형상은, 인스트루먼트 패널(38)의 전단의 형상과 대략 동일하게 형성된다. 즉, 보닛(7)에는 인스트루먼트 패널(38)이 단차 없이 연속적으로 접속된다. 또한, 인스트루먼트 패널(38)에는, 보닛(7)과의 접속단으로부터 캐빈(26) 내의 운전 조작부(37)를 향해 낮아지는 경사면(38a)이 형성된다. 즉, 인스트루먼트 패널(38)은 보닛(7)보다 지면으로부터의 높이가 높아지지 않도록 구성되어 있다.
트랙터(1)는, 보닛(7)이 조종자에게 근접할수록 조종자의 전방(좌측 전방과 우측 전방을 포함한다)의 시야가 보닛(7)에 가려져 사각이 발생한다. 즉, 트랙터(1)는, 조종자의 지면으로부터의 높이에 대해 보닛(7)의 지면으로부터의 높이가 높을수록 조종자 전방의 시야에 사각이 발생한다(이하, 조종자의 지면으로부터의 높이에 대한 각 부분의 지면으로부터의 높이를 말한다).
도 11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평면에서 보았을 때 포탄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지 않은 종래의 보닛 형상인 트랙터(100)는, 보닛 전방의 좌우 양단이 조종자로부터 보아 보닛의 전단부 중앙과 같은 높이로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트랙터(100)의 사각(B)은 보닛 전방의 좌우 양단에 의해 생긴 사각을 포함하고 있다.
도 11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서의 트랙터(1)는 보닛(7)의 전단, 및 보닛(7)의 좌우 방향 중앙으로부터 좌측과 우측을 향함에 따라 보닛(7)의 지면으로부터의 높이가 낮아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트랙터(1)는 보닛(7) 전단의 좌우 양단이 보닛(7) 전단부 중앙의 높이보다 낮다. 또한, 트랙터(1)는 인스트루먼트 패널(38)의 지면으로부터의 높이가 보닛(7)보다 높지 않다. 따라서, 트랙터(1)의 사각(A)에는, 보닛(7) 전방의 좌우 양단에 의해 생긴 사각 및 인스트루먼트 패널(38)에 의해 생긴 사각이 포함되어 있지 않다. 즉, 트랙터(1)의 사각(A)은 트랙터(100)의 사각(B)에 비해 좌측 전방과 우측 전방에 생기는 사각이 줄어있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트랙터(1)는 조종자의 전방, 좌측 전방 및 우측 전방의 시야에서 차지하는 보닛(7)의 비율이 낮아진다. 또한, 트랙터(1)는 조종자의 좌측 전방과 우측 전방의 시야에서 차지하는 보닛(7)의 비율이 낮아진다. 또한, 트랙터(1)는 조종자 전방의 시야에서 차지하는 인스트루먼트 패널(38)의 비율이 낮아진다. 이에 따라, 트랙터(1)는 전방에 생기는 사각을 줄일 수 있다.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프런트 그릴(8)은 엔진(3) 등의 냉각풍을 외부로부터 엔진 룸 내로 유입하는 공급구를 덮는다. 프런트 그릴(8)은 보닛(7)의 전단부에 형성되어 있는 공급구인 개구부에 설치된다. 프런트 그릴(8)은 수지 또는 금속으로 구성되어 있다. 프런트 그릴(8)에는 좌우 방향을 길이 방향으로 하는 장공(8a)이 복수 개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프런트 그릴(8)의 단위 면적당 차지하는 구멍 면적의 비율은, 둥근 구멍이 복수 개 형성되는 경우에 비해 커진다. 이에 따라, 트랙터(1)는 외기가 프런트 그릴(8)을 통과할 때의 저항을 둥근 구멍이 복수 개 형성되어 있는 경우에 비해 저감시킬 수 있다.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사이드 커버(9)는 좌우 양측의 보닛(7)과 기체 프레임(2)의 사이를 덮는다. 사이드 커버(9)는 상부 사이드 커버(9a)와 하부 사이드 커버(9b)로 구성되어 있다. 상부 사이드 커버(9a)는 망상 부재에 의해 구성되고, 보닛(7)의 좌측면(7d) 및 우측면(7e)의 하측이면서, 전륜(4)으로부터 캐빈(26)까지의 사이를 덮도록 마련되어 있다. 하부 사이드 커버(9b)는 좌측면(7d) 및 우측면(7e) 각각의 상부 사이드 커버(9a)의 하측에서, 기체 프레임(2)을 덮도록 마련되어 있다. 상부 사이드 커버(9a)와 하부 사이드 커버(9b)는 기체 프레임(2)에 고정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트랙터(1)는 보닛(7)에 덮이지 않은 엔진(3) 등에 관한 각종 기기나 기체 프레임(2)이 사이드 커버(9)에 의해 외부로부터 덮인다. 이에 따라, 트랙터(1)는 상부 사이드 커버(9a)로부터 엔진 룸 내의 열기를 외부로 방출하면서, 사이드 커버(9)에 의해 주행시에 전륜(4)이 감아 올린 토사 등이 기체 프레임(2)이나 엔진 룸의 내부로 침입하지 않게 할 수 있다. 또한, 트랙터(1)는 상부 사이드 커버(9a)로부터 엔진 룸 내의 열기를 외부로 방출하거나 외부의 신선한 공기를 엔진 룸 내로 유입시킬 수 있다.
다음으로, 도 1, 도 3 내지 도 5, 도 7, 도 13 내지 도 15를 이용해, 전조등(10)에 대해 설명한다.
도 1, 도 3 내지 도 5,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조등(10)은 트랙터(1)의 전방을 비추는 것이다. 전조등(10)은 보닛(7) 전단부의 좌측단과 우측단에 마련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좌우 양측의 전조등(10)은 보닛(7) 전단부의 우측과 좌측에 구성되어 있는 절개부(7f·7g)에 마련된다. 전조등(10)은 케이스(11), 리플렉터(12), 밸브라이트(13), LED 점멸 장치(14) 및 전조등 커버(15)를 구비한다. 전조등은 후술하는 차폭등(19)과 함께 점등하도록 구성된다. 즉, 트랙터(1)는 차폭등(19)이 점등한 후에 전조등(10)이 점등하도록 구성된다.
도 13 내지 도 1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케이스(11)는 전조등(10)의 주된 구성 부재이며, 리플렉터(12), 밸브라이트(13), LED 점멸 장치(14) 및 전조등 커버(15)가 장착되는 것이다. 케이스(11)는 보닛(7)의 절개부(7f·7g)에 각각 장착될 수 있는 대략 삼각뿔 형상으로 형성된다. 또한, 케이스(11)는 대략 삼각뿔 형상의 바닥면인 대경측의 단면이 개구하도록 형성된다. 즉, 케이스(11)에는 그 대경측의 단면을 케이스(11)의 전단면으로 하여 리플렉터(12)나 밸브라이트(13) 등을 조립하기 위한 오목부(11a)가 형성되어 있다.
좌우의 케이스(11)는, 전단면에 형성되어 있는 오목부(11a)를 트랙터(1)의 전방으로 향해 절개부(7f·7g)에 각각 조립된다. 이때, 좌우의 케이스(11)는 대략 삼각뿔 형상의 바닥면인 전단면의 3개의 정점 중 제1의 정점(11d)을 보닛(7)의 좌우 방향 중앙으로 향하고, 제2의 정점(11e)을 보닛(7)의 좌우 방향 외측으로 향해 배치되어 있다. 또한, 좌우의 케이스(11)는, 좌측 케이스(11)의 좌측면과 우측 케이스(11)의 우측면의 간격이 보닛(7)의 좌우 방향의 최대폭과 대략 동일하게 되도록 보닛(7)에 조립된다.
좌우의 케이스(11)는, 전단면에서의 보닛(7)의 좌우 방향 중앙측의 정점(제1의 정점(11d))이 보닛(7)의 좌우 방향 외측의 정점(제2의 정점(11e))보다 보닛(7)의 전단을 향해 돌출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좌우의 케이스(11)의 전단면은, 평면에서 보았을 때 보닛(7)의 좌우 방향 외측으로부터 보닛(7)의 좌우 방향 중앙측을 향함에 따라 전방으로 돌출하도록 형성된다. 즉, 좌측의 케이스(11)는 그 전단면이 트랙터(1)의 좌측에서 눈으로 확인할 수 있는 형상으로 형성되고, 우측의 케이스(11)는 그 전단면이 트랙터(1)의 우측에서 눈으로 확인할 수 있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좌측 케이스(11)의 좌측면과 우측의 케이스(11)의 우측면에는, 외부의 빛을 집광해 반사하는 리플렉터(11b)가 마련된다. 한편, 케이스(11)에는, 리플렉터(11b)를 대신해 밸브라이트(13)의 빛이 투과하는 슬릿(11c)을 형성해도 된다.
리플렉터(12)는 반사 수단으로서, 밸브라이트(13)의 빛을 반사하는 것이다. 리플렉터(12)는 그 대략 중앙에 배치되는 밸브라이트(13)의 빛을 일정한 방향으로 반사하는 대략 돔(dome)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리플렉터(12)는 트랙터(1)의 전방을 향해 빛이 반사하도록 좌우 케이스(11)의 오목부(11a)에 각각 조립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리플렉터(12)는 케이스(11)에서의 보닛(7)의 좌우 방향 외측에 대략 돔 형상으로 구성됨과 동시에, 대략 돔 형상으로 구성된 부분으로부터 케이스(11)에서의 보닛(7)의 좌우 방향 중앙측의 단부에 이를 때까지 구성되어 있다.
밸브라이트(13)는 주광원체로서 빛을 발생시키는 것이다. 밸브라이트(13)는 할로겐 램프나 HID 램프 등의 임의의 종류의 광원으로 구성된다. 밸브라이트(13)는 대략 돔 형상으로 구성된 리플렉터(12)의 대략 중앙의 소정 위치에 조립되어 있다. 이에 따라, 밸브라이트(13)로부터 발생된 빛의 대부분은, 리플렉터(12)에 의해 트랙터(1)의 전방을 향해 조사된다. 한편, 밸브라이트(13)로부터 발생된 빛의 일부는, 케이스(11)에서의 보닛(7)의 좌우 방향 중앙측의 단부에 이를 때까지의 사이에 마련된 리플렉터(12)에 의해 트랙터(1)의 좌우 방향을 향해 조사된다.
LED 점멸 장치(14)는 부광원체로서 빛을 발생시키는 것이다. LED 점멸 장치(14)는 복수의 LED로 구성된다. LED 점멸 장치(14)는 좌우의 케이스(11)의 전단면에 각각 LED가 일렬로 나란히 마련된다. 즉, LED 점멸 장치(14)는 보닛(7)의 좌우 방향 외측에서 전단의 좌우 방향 중앙을 향해 LED가 배치되어 있다. 이에 따라, LED 점멸 장치(14)는 트랙터(1)의 전방 뿐만이 아니라, 좌측과 우측에서도 눈으로 확인할 수 있다(도 15 참조). LED 점멸 장치(14)는 후술하는 차폭등(19)이 점등되면 함께 점등하도록 구성된다. 한편, 본 실시 형태에서, LED 점멸 장치(14)는 복수의 LED로 구성되어 있지만, 다른 광원으로 구성되어도 된다.
전조등 커버(15)는 케이스(11) 내의 리플렉터(12), 밸브라이트(13) 및 LED 점멸 장치(14)를 보호하는 것이다. 전조등 커버(15)는 밸브라이트(13)와 LED 점멸 장치(14)의 빛을 투과하는 재질로 구성된다. 전조등 커버(15)는 케이스(11)의 오목부(11a)에 배치된 리플렉터(12), 밸브라이트(13) 및 LED 점멸 장치(14)를 덮도록 좌우의 케이스(11)의 전단면에 각각 마련되어 있다(도 13, 도 14의 그물망 부분).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트랙터(1)는 좌우의 전조등(10)의 주광원체인 밸브라이트(13)에 의해 진행 방향으로 빛을 조사하면서, 리플렉터(12)에 의한 밸브라이트(13)의 빛의 반사와, 케이스(11)의 리플렉터(11b)에 의한 외부의 빛의 반사 또는 밸브라이트(13)의 슬릿(11c)으로부터의 투과광과, 케이스(11)의 전단면에 설치된 LED 점멸 장치(14)에 의해, 트랙터(1)의 전방, 좌측 및 우측으로 빛을 조사한다. 또한, 보닛(7)에 형성된 절개부(7f·7g)에 의해, 트랙터(1)의 측방으로부터 눈으로 확인 가능한 전조등(10) 전단면으로부터의 리플렉터(12)에 의한 밸브라이트(13) 빛의 반사가 보닛(7)에 의해 차단되지 않는다. 이에 따라, 트랙터(1)의 전방, 좌측 및 우측에서의 시인(視認)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다음으로, 도 1, 도 3, 도 4, 도 7, 도 8, 도 16 내지 도 19를 이용해, 사이드 미러(16)와 전방 작업등(22)에 대해 설명한다.
도 1, 도 3, 도 4, 도 7, 도 8 및 도 1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사이드 미러(16)는 트랙터(1)의 후방을 눈으로 확인하는 것이다. 좌우의 사이드 미러(16)는 캐빈(26)의 전방면(26b)의 상부 양측단에 각각 설치되어 있다. 사이드 미러(16)는 지지 아암(17), 전방 작업등(22), 미러부(18) 및 차폭등(19)을 구비한다.
좌우의 지지 아암(17)은 미러부(18)와 차폭등(19)을 지지하는 것이다. 지지 아암(17)은 그 축 방향에 수직인 단면에서 보았을 때 직사각 형상의 봉상 부재로 구성되어 있다. 지지 아암(17)은 중간부에 굴곡부(17a)를 갖는 대략 L자 형상으로 형성된다. 지지 아암(17)은 장변부쪽 끝(일측단)이 캐빈(26)의 전방면(26b)의 상부 양측단에 각각 고정된다.
지지 아암(17)은, 일측단으로부터 미러부(18)가 지지되어 있는 단변부쪽 끝(타측단)을 향함에 따라, 그 축 방향에 수직인 단면에서 보았을 때의 직사각 형상 단면의 단면적(Ar)이 작아지도록 형성된다. 즉, 지지 아암(17)은 캐빈(26)에 고정되어 있는 일측단으로부터 타측단을 향함에 따라 단위 길이당 중량이 작아지도록 구성된다. 또한, 지지 아암(17)에는 굴곡부(17a)를 걸치듯이 일측과 타측을 연결하는 빔(17b)이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지지 아암(17)은, 일측 단부의 강성과 굴곡부(17b)의 강성이 확보되면서 타측 단부의 중량이 경감되므로, 타측단의 진동이 억제된다.
좌측의 지지 아암(17)은 장변부가 전방면(26b)으로부터 좌측 전방을 향하도록 설치된다. 우측의 지지 아암(17)은 장변부가 전방면(26b)으로부터 우측 전방을 향하도록 설치된다. 또한, 좌우 양측의 지지 아암(17)은 단변부가 굴곡부(17a)로부터 하방을 향하도록 설치된다. 구체적으로, 지지 아암(17)은 굴곡부(17a)의 전후 방향의 위치를 보닛(7)의 후단 근방으로 하고(도 3, 도 4 참조), 굴곡부(17a)의 좌우 방향의 위치를 후륜(5) 폭의 대략 중앙으로 하고(도 5 참조), 굴곡부(17a)의 높이 위치를 캐빈(26)의 천장(26f) 근방으로 하도록(도 3, 도 4 참조) 구성되어 있다. 즉, 지지 아암(17)은 캐빈(26)(운전 조작부(37))으로부터 좌우 양측 전방으로 이격된 위치에 미러부(18)를 배치하도록 구성된다.
미러부(18)는 거울을 보관하는 것이다. 미러부(18)는 개구부를 갖는 상자 모양 케이스(18a)의 내부에 거울(18b)이 설치되어 있다. 미러부(18)는 케이스(18a)의 개구부에 거울(18b)이 설치되어, 외부에서 거울(18b)의 반사면을 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미러부(18)는 거울(18b)의 반사면이 트랙터(1)의 후방을 향하도록 하여 지지 아암(17)의 단변쪽 끝에 접속되어 있다. 즉, 미러부(18)는 트랙터(1)의 개략적인 차폭과 차고를 나타내는 위치에 배치된다. 미러부(18)는 거울(18b)의 반사면을 지지 아암(17)에 대해 임의의 방향을 향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차폭등(19)은 트랙터(1)의 차폭을 눈으로 확인하는 것이다. 차폭등(19)은 복수의 LED로 구성되어 있다. 차폭등(19)은, 좌우의 미러부(18)의 케이스(18a)에서 개구부와 대향하는 면(배면)에 각각 설치되어 있다. 즉, 차폭등(19)은 트랙터(1)의 후방을 향하고 있는 미러부(18)의 거울(18b)의 반사면과 반대쪽의 트랙터(1)의 전방을 향해 점등하도록 구성된다. 차폭등(19)은 좌우 양측의 미러부(18)에 설치됨으로써 트랙터(1)의 개략적인 차폭과 차고를 나타낼 수 있다. 또한, 차폭등(19)은 좌우 한쪽의 차폭등(19)을 점멸시킴으로써 방향 지시기로서도 사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트랙터(1)는 캐빈(26)으로부터 좌우 양측 전방이면서 상방으로 이격된 위치에 미러부(18)가 배치된다. 이에 따라, 트랙터(1)는 후방의 시야를 확보하면서 트랙터(1)의 차폭과 차고를 동시에 알릴 수 있다.
차폭등(19)에는 복수의 LED가 미러부(18)에 임의의 형태로 배치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차폭등의 제1 실시 형태인 차폭등(19)은 미러부(18)의 케이스(18a)의 배면에 복수의 LED가 상하 방향으로 나란히 구성된다. 그리고, 도 18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차폭등(19)은 케이스(18a)의 배면을 트랙터(1)의 전방을 향해 완만하게 볼록해지는 구면 형상으로 형성함으로써 각 LED의 조사 방향을 상하 방향으로 분산시킬 수 있다.
또한, 도 1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차폭등(19)의 다른 실시 형태로서 지지 아암(17)의 굴곡부(17a)의 근방에 차폭등(19)을 마련해도 된다. 구체적으로, 차폭등(19)은 지지 아암(17)의 굴곡부(17a)와 빔(17b)으로 구성되어 있는 면을 이용해 장착된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트랙터(1)는 미러부(18)의 방향과 관계없이 항상 일정한 방향 및 위치에서 차폭등(19)이 점등된다. 이에 따라, 트랙터(1)는 후방의 시야를 확보하면서 차폭과 차고를 동시에 알릴 수 있다.
또한, 도 18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차폭등의 제2 실시 형태인 차폭등(20)은 미러부(18)의 케이스(18a)의 배면에 복수의 LED가 좌우 방향으로 나란히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차폭등(20)은 케이스(18a)의 배면을 트랙터(1)의 전방을 향해 완만하게 볼록해지는 구면 형상으로 형성함으로써 각 LED의 조사 방향을 좌우 방향으로 분산시킬 수 있다.
또한, 도 18의 (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차폭등의 제3 실시 형태인 차폭등(21)은 미러부(18)의 케이스(18a)의 배면에 복수의 LED가 상하 방향과 좌우 방향으로 나란히 구성되어 있다. 차폭등(21)은 케이스(18a)의 배면을 트랙터(1)의 전방을 향해 완만하게 볼록해지는 구면 형상으로 형성함으로써 각 LED의 조사 방향을 상하 방향과 좌우 방향으로 분산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트랙터(1)는 미러부(18)의 케이스(18a)의 형상 및 차폭등(19)의 LED의 배치에 따라 차폭등(19)의 조사 방향이 설정된다. 이에 따라, 트랙터(1)는 후방의 시야를 확보하면서 차폭과 차고를 동시에 알릴 수 있다.
도 1, 도 3, 도 4, 도 7, 도 16 및 도 1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방 작업등(22)은 트랙터(1)의 전방을 비추는 것이다. 전방 작업등(22)은 좌우 지지 아암(17)의 일측 단부(장변부쪽 단부)에 각각 설치되어 있다. 전방 작업등(22)은 상부 작업등(23), 하부 작업등(24) 및 전방 작업등 커버(25)를 구비한다.
전방 작업등(22)은, 상부 작업등(23)과 하부 작업등(24)이 지지 아암(17)의 일측 단부의 아래 쪽에 상하 방향으로 나란히 배치되어 있다. 전방 작업등 커버(25)는, 상부 작업등(23)과 하부 작업등(24)으로부터의 빛을 투과하는 재질로 형성된다. 전방 작업등 커버(25)는 상부 작업등(23)과 하부 작업등(24)을 덮으면서, 또한 지지 아암(17)의 하부 측면과 캐빈(26)의 전방면(26b)을 연결하도록 구성되어 있다(도 16에서의 그물망 부분 참조). 즉, 전방 작업등 커버(25)는 상부 작업등(23)과 하부 작업등(24)을 보호하면서 지지 아암(17)의 강성을 향상시킨다. 이에 따라, 지지 아암(17)은 일측 단부의 강성이 더욱 향상됨으로써 진동이 억제된다.
전방 작업등(22)은 상부 작업등(23)과 하부 작업등(24)이 임의의 범위를 각각 비추도록 구성되어 있다. 예를 들면, 도 16의 흰색 화살표 및 도 1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좌우의 전방 작업등(22)은 상부 작업등(23)이 트랙터(1)의 좌측 전방 및 우측 전방인 조사 범위 C를 각각 비추고, 좌우의 하부 작업등(24)이 트랙터(1)의 전방인 조사 범위 D를 비추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좌우의 전방 작업등(22)은, 상부 작업등(23)이 트랙터(1)의 전방인 조사 범위 D를 각각 비추고, 좌우의 하부 작업등(24)이 트랙터(1)의 좌측 전방 및 우측 전방인 조사 범위 C를 각각 비추도록 구성해도 된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트랙터(1)는 그 조사 범위에 사이드 미러(16)가 포함되지 않도록 전방 작업등(22)의 조사 범위가 설정된다. 또한, 트랙터(1)는 전방 작업등(22)에 의해 사이드 미러(16)의 지지 아암(17)이 보강된다. 이에 따라, 트랙터(1)는 전방 작업등에 의해 넓은 범위를 조사하면서 차폭등(19)의 시인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다음으로, 도 1, 도 2, 도 20 내지 도 23을 이용해 캐빈(26)과 후방 작업등(28)에 대해 설명한다.
도 1, 도 2, 도 20 및 도 2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캐빈(26)은 운전 조작부(37)를 덮는 것이다. 캐빈(26)은 캐빈 프레임(26a)을 개재하여 전방면(26b), 좌측문(26c), 우측문(26d), 후방면(26e), 및 천장(26f)이 대략 상자 형상으로 구성되어 있다. 캐빈(26)에는 에어컨디셔너 유니트(27)와 후방 작업등(28)이 구비된다.
캐빈(26)은, 일체적으로 형성된 좌측문(26c)의 프레임과 우측문(26d)의 프레임이 기체 프레임(2)에 고정되어 프레임(26a)을 구성하고 있다. 즉, 캐빈(26)은, 전방면(26b)의 좌우 양측의 프레임과 후방면(26e)의 좌우 양측의 프레임과 천장(26f)의 좌우 양측의 프레임이 각각 좌측문(26c)의 프레임과 우측문(26d)의 프레임으로서 일체적으로 구성된다. 이에 따라, 캐빈(26)은 전방면(26b)과 후방면(26e)과 천장(26f)이 일체적으로 구성된다.
캐빈(26)의 전방면(26b)은 운전 조작부(37)의 전방에 캐빈 프레임(26a)을 개재해 구성되어 있다. 전방면(26b)에는, 운전 조작부(37)의 바닥면으로부터 캐빈(26)의 천장(26f)까지를 덮는 곡면 유리(혹은 수지, 구체적으로는, 폴리카보네이트 또는 아크릴 등)가 정면 유리로서 마련된다. 전방면(26b)을 구성하는 곡면 유리는, 좌우 방향을 축심 방향으로 하는 완만한 원호상 및 상하 방향을 축심 방향으로 하는 완만한 원호상으로 만곡되도록 형성되어 있다(도 20에서의 흰색 화살표 참조). 즉, 전방면(26b)은 전방으로 볼록한 대략 구면 형상으로 형성된 곡면 유리로 구성된다. 전방면(26b)의 곡면 유리에는, 좌우 방향 중앙 부분에 인스트루먼트 패널(38)을 배치하기 위한 절개부가 형성되어 있다.
캐빈(26)의 좌우 양측면에는, 그 전면을 개폐할 수 있는 좌측문(26c)과 우측문(26d)이 캐빈 프레임(26a)을 프레임으로 하여 각각 설치되어 있다. 좌측문(26c)과 우측문(26d)은, 그 전면이 상하 방향을 축심 방향으로 하는 완만한 원호상으로 만곡된 곡면 유리(혹은 수지, 구체적으로는, 폴리카보네이트 또는 아크릴 등)로 구성된다(도 20에서의 흰색 화살표 참조). 좌측문(26c)과 우측문(26d)은 그 후단부가 경첩(26g)를 개재해 캐빈 프레임(26a)에 접속되어 있다.
좌측문(26c)과 우측문(26d)은 전단부에 외부 손잡이(26h)가 마련된다. 좌측문(26c)과 우측문(26d)에는 보강 바(26j)가 마련된다. 보강 바(26j)는 판상 부재로 구성된다. 보강 바(26j)는 상하 방향을 판의 폭 방향으로 하여 운전 조작부(37)쪽에 경첩(26g)과 외부 손잡이(26h)를 연결한다. 보강 바(26j)에는 좌측문(26c)과 우측문(26d)을 개폐할 때에 사용하는 내부 손잡이(26k)가 형성되어 있다. 내부 손잡이(26k)는 보강 바(26j)의 경첩(26g)쪽의 중간부로부터 운전 조작부(37)(조종석(42))쪽으로 돌출하도록 분기해 형성된다. 내부 손잡이(26k)는 보강 바(26j)와 평행으로 외부 손잡이(26h)에 도달할 때까지 형성되어 있다(도 28 참조).
캐빈(26)의 후방면(26e)은 운전 조작부(37)의 후방에 캐빈 프레임(26a)을 개재해 구성되어 있다. 후방면(26e)에는, 운전 조작부(37)의 조종석(42)의 좌석면 근방으로부터 캐빈(26)의 천장(26f)까지를 덮는 곡면 유리(혹은 수지, 구체적으로는, 폴리카보네이트 또는 아크릴 등)가 후면 유리로서 마련된다. 후방면(26e)을 구성하는 곡면 유리는, 좌측문(26c)과 우측문(26d)에 연속적으로 연결되도록 그 좌우 양단부가 만곡되어 형성된다.
캐빈(26)의 천장(26f)은 캐빈 프레임(26a)을 개재해 전방면(26b), 좌측문(26c), 우측문(26d) 및 후방면(26e)의 상단부에 구성되어 있다. 천장(26f)에는, 그 전단으로부터 운전 조작부(37)의 조종석(42)의 상방에 해당하는 위치까지를 덮는 곡면 유리(26m)(혹은 수지, 구체적으로는, 폴리카보네이트 또는 아크릴 등)가 마련된다. 천장(26f)을 구성하는 곡면 유리(26m)는, 전방면(26b)에 연속적으로 연결되도록 만곡되어 형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전방 위쪽의 시야가 확보되어 적재 작업 등에서 상승시킨 작업기를 눈으로 확인하기 쉬워져 작업성이 향상된다.
천장(26f)은 전체적으로 전단으로부터 후단까지 만곡된 형상으로 구성되어 있다. 천장(26f)의 만곡 형상의 곡률 반경은, 천장(26f)의 전단 근방의 곡률 반경 R1로부터 후단을 향할수록 커져, 후단 근방에서 곡률 반경 R2가 되도록 구성된다. 즉, 천장(26f)은 곡률 반경 R, 곡선 길이 L로 하여, 이하의 수식으로 표시되는 클로소이드 곡선에 근사하는 원호 형상으로 구성된다.
수식: RL=A2(A: 클로소이드 파라미터)
이에 따라, 천장(26f)은 그 후단을 향할수록 완만하게 지면으로부터의 높이가 높아지도록 구성할 수 있다. 즉, 천장(26f)의 두께는 천장(26f) 전단 근방의 두께 H1로부터 후단을 향하면서 늘어나, 후단 근방에서 두께 H2가 되도록 구성된다(도 21 참조). 또한, 천장(26f)에는 그 후방 단면의 상단만이 캐빈(26)의 후방면(26e)보다 후방으로 돌출되어 있는 차양부(26n)가 형성되어 있다.
천장(26f)에는 곡면 유리(26m)의 후단에서 천장(26f) 후단까지의 내부에 에어컨디셔너 유니트(27)가 설치된다. 천장(26f) 후단의 차양부(26n)에는, 도 2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에어컨디셔너 유니트(27)가 외기를 끌어들이기 위한 도입구(26p)가 설치된다. 도입구(26p)에는 루버(louver)가 설치된다. 이에 따라, 트랙터(1)는, 천장(26f)의 일부를 돌출시키거나 별도로 도입구를 형성하지 않고 에어컨디셔너 유니트(27)를 천장(26f)의 내부에 마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트랙터(1)는 캐빈 프레임(26a) 및 천장(26f)의 후부를 제외하고 곡면 유리 또는 수지에 의해 구성된다. 또한, 트랙터(1)는, 일체적으로 형성된 프레임(26a)을 곡면 유리로 연속적으로 연결한 모노코크(monocoque) 구조에 의해 캐빈(26)의 시인성 및 강성이 향상된다. 트랙터(1)는 좌측문(26c)과 우측문(26d)의 개폐가 용이할 뿐만 아니라, 보강 바(26j)에 의해 좌측문(26c)과 우측문(26d)이 보강된다. 이에 따라, 트랙터(1)는 캐빈(26)의 전방면(26b), 좌측문(26c), 우측문(26d), 후방면(26e) 및 천장(26f)을 유리로 구성할 수 있다.
또한, 트랙터(1)는 캐빈(26) 천장(26f)의 두께가 후단을 향해 연속적으로 두꺼워진다. 이에 따라, 천장(26f)의 일부를 돌출시키거나 에어컨디셔너 유니트(27)가 외기를 끌어들이기 위한 도입구를 별도로 형성하지 않고 천장(26f)의 내부에 에어컨디셔너 유니트를 마련할 수 있다.
도 2, 도 21 및 도 2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후방 작업등(28)은 트랙터(1)의 후방을 비추는 것이다. 좌우의 후방 작업등(28)은 천장(26f) 후단 경사면의 양측 단부에 각각 설치된다. 좌우의 후방 작업등(28)의 사이에는, 에어컨디셔너 유니트(27)의 도입구(26p)가 형성되어 있다. 후방 작업등(28)은 외측 작업등(29), 내측 작업등(30)을 구비한다.
도 22 및 도 23에 나타낸 바와 같이, 후방 작업등(28)은 외측 작업등(29)과 내측 작업등(30)이 천장(26f) 후단의 차양부(26n)에 좌우 방향으로 나란히 배치된다. 후방 작업등(28)은, 외측 작업등(29)과 내측 작업등(30)의 빛을 투과하는 재질로 형성된 후방 작업등 커버(28a)(도 22의 그물망 부분)에 의해 덮여 있다. 외측 작업등(29)과 내측 작업등(30)은, 차양부(26n)보다 돌출되지 않도록 하여 천장(26f)의 내부로부터 차양부(26n)를 통해 후방을 향하도록 설치된다. 이에 따라, 후방 작업등(28)에는 차양부(26n)와 동일 평면상이 되도록 후방 작업등 커버(28a)가 마련된다.
후방 작업등(28)은, 외측 작업등(29)과 내측 작업등(30)이 임의의 범위를 각각 비추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면, 후방 작업등(28)은 좌우의 외측 작업등(29)이 트랙터(1)의 후방 E를 비추고, 좌우의 내측 작업등(30)이 트랙터(1)의 좌우 후방 F를 각각 비추도록 구성되어 있다(도 22의 흰색 화살표 참조). 또한, 후방 작업등(28)은 좌우의 외측 작업등(29)이 트랙터(1)의 좌우 후방 F를 비추고, 좌우의 내측 작업등(30)이 트랙터(1)의 후방 E를 각각 비추도록 구성해도 된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트랙터(1)는 캐빈(26) 천장(26f)의 내부에서 후방을 향하도록 해 후방 작업등(28)(외측 작업등(29)과 내측 작업등(30))이 설치됨과 함께, 외측 작업등(29)과 내측 작업등(30)의 조사 범위가 설정된다. 이에 따라, 캐빈(26)으로부터 후방 작업등(28)을 돌출시키지 않고 후방 작업등(28)에 의해 넓은 범위를 조사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1 내지 도 4, 도 24 내지 도 27을 이용해 펜더(31), 스텝(32) 및 콤비네이션 램프(33)에 대해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4 및 도 24에 나타낸 바와 같이, 펜더(31)는 후륜(5)의 회전에 의해 튀어오른 토사의 비산을 방지하는 것이다. 펜더(31)는 좌우 양측 후륜(5)의 트레드(tread)면(지면과 접촉하는 면)을 덮도록 캐빈(26)의 좌우 양측에 마련된다. 구체적으로, 펜더(31)는 캐빈(26)의 후방면(26e)의 근방으로부터 기체 프레임(2) 근방까지의 후륜(5)의 트레드면을 따라 설치된다. 또한, 펜더(31)는 트랙터(1)의 좌우 방향 중앙측이 캐빈(26) 내의 조종석(42)에 인접하도록 구성된다. 즉, 좌우의 펜더(31)는 조종석(42)을 사이에 두도록 트랙터(1)에 배치된다. 펜더(31)는 캐빈(26)의 외측과 내측에서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펜더(31)에는 그 전단(기체 프레임(2)쪽)에 스텝(32)이 접속되어 있다. 펜더(31)의 후단(캐빈(26)의 후방면(26e)쪽)에는, 하방으로 낮아지는 경사면(31a)이 형성된다. 그리고, 펜더(31)의 경사면(31a)에는 콤비네이션 램프(33)가 설치된다.
도 1 내지 도 4, 도 24, 도 2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스텝(32)은 조종자가 캐빈(26) 내에 탑승할 때에 발(G)을 올리는 것이다. 스텝(32)은 후륜(5)의 전방이면서, 캐빈(26)의 좌측문(26c)과 우측문(26d)의 근방에 각각 설치된다. 스텝(32)은 전방 지지부(32a)와, 받이부(32b)와, 후방 지지부(32c)로 구성되어 있다.
전방 지지부(32a)는 받이부(32b)의 전방을 지지하는 것이다. 전방 지지부(32a)는 그 일단이 운전 조작부(37)의 바닥 근방의 캐빈 프레임(26a)에 연결된다. 전방 지지부(32a)의 타단은 캐빈 프레임(26a)으로부터 캐빈(26)의 전방면(26b)보다 전방에 도달하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전방 지지부(32a)는 그 타단이 후륜(5)의 차축 높이보다 낮은 소정 위치에서 받이부(32b)와 연결된다. 즉, 전방 지지부(32a)는 캐빈 프레임(26a)으로부터 전방을 향해 비스듬히 하방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전방 지지부(32a)는 그 타단이 받이부(32b)의 트랙터(1)쪽 측면에 연결된다. 즉, 전방 지지부(32a)는 받이부(32b)의 전단을 개방하도록 하여 받이부(32b)에 연결되어 있다.
후방 지지부(32c)는 받이부(32b)의 후방을 지지하는 것이다. 후방 지지부(32c)는 펜더(31)의 전단에 연결된다. 후방 지지부(32c)는 펜더(31) 전단의 캐빈(26)보다 외측의 좌우 방향폭과 대략 동일한 폭으로, 펜더(31)의 전단으로부터 후륜(5)의 트레드면을 따라 형성된다. 그리고, 후방 지지부(32c)는 후륜(5)의 차축 높이보다 낮은 소정 위치에서 받이부(32b)와 연결된다. 즉, 후방 지지부(32c)는 펜더(31)의 전단으로부터 펜더(31)와 동일한 곡률 반경 R3으로 연속적으로 펜더(31)의 전단보다 후방을 향해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받이부(32b)는 조종자의 발(G)을 올리는 것이다. 받이부(32b)는 그 전후 단부가 전방 지지부(32a)와 후방 지지부(32c)에 일체적으로 연결된다. 받이부(32b)는 캐빈(26)의 전방면(26b)보다 전방에서 전방 지지부(32a)에 접속되고, 펜더(31)의 전단보다 후방에서 펜더(31)에 연결된다. 또한, 받이부(32b)는 후방 지지부(32c)의 좌우 방향폭과 동일한 좌우 방향폭으로 형성된다. 즉, 받이부(32b)는 펜더(31) 전단의 캐빈(26)보다 외측의 좌우 방향폭과 대략 동일한 폭으로 형성되어 있다.
받이부(32b)의 조종자가 발(G)을 올리는 면에는, 복수의 삼각형의 관통공(32d)이 형성되어 있다. 관통공(32d)은 각 변이 받이부(32b)의 좌우 방향에 대해 평행이 되지 않도록 배치된다. 또한, 관통공(32d)은 서로 이웃하는 관통공(32d)의 변끼리가 평행이 되도록 형성된다. 즉, 받이부(32b)의 관통공(32d)과 관통공(32d) 사이의 다리 형상 부분은, 승하차하는 조종자의 발(G)의 길이 방향에 대해 경사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트랙터(1)는 스텝(32)의 받이부(32b)가 캐빈의 바닥 부근의 좌우문의 폭보다 넓게 형성된다. 트랙터(1)는 스텝(32)의 전방 지지부(32a)가 받이부(32b)의 트랙터(1)쪽에 연결되어 있으므로, 조종자의 발(G)을 올리는 범위가 전방 지지부(32a)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트랙터(1)는 스텝(32)의 후방 지지부(32c)가 펜더(31)와 연속적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조종자의 발(G)이 펜더(31)의 전단에 접촉하지 않는다. 또한, 조종자의 발(G)의 폭 방향이 선반에 의해 지지된다. 이에 따라, 스텝(32)은 받이부(32b)의 조종자의 발(G)을 올리는 면을 넓게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안정적으로 발(G)을 올릴 수 있어 승하차시의 편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2, 도 8 및 도 2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콤비네이션 램프(33)는 방향 지시기(34)와 브레이크 램프(35)가 결합되어 일체적으로 형성된 것이다. 콤비네이션 램프(33)는 좌우 양측의 펜더(31)의 후단에 후방으로 조사하도록 각각 설치된다. 콤비네이션 램프(33)는 콤비네이션 램프 커버(36)에 의해 덮여 있다.
콤비네이션 램프(33)는 대략 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된다. 콤비네이션 램프(33)는 좌우 방향의 외주면(34a) 및 후방면의 외연부(34b)(도 26의 그물망 부분)가 방향 지시기(34)로서 구성된다. 방향 지시기(34)는 외주면(34a)과 외연부(34b)가 발광하도록 구성된다. 방향 지시기(34)는 브레이크가 사용되었을 때에도 점등하도록 구성된다.
콤비네이션 램프(33)는, 후방면의 외연부(34b)의 내측 부분(35a)이 브레이크 램프(35)로서 구성된다. 브레이크 램프(35)는 내측 부분(35a)(도 25의 그물망 부분)이 발광하고, 그 주위에 리플렉터(35b)가 구성된다. 브레이크 램프(35)의 광원은 LED로 구성된다. 한편, 브레이크 램프(35)의 광원은 LED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콤비네이션 램프(33)는, 외주면(34a) 및 후방면의 외연부(34b)와 내측 부분(35a)이 독립적으로 점등할 수 있는 이중 구조로 구성된다.
콤비네이션 램프(33)는 펜더(31)의 경사면(31a)에 형성된 후방 오목부(31b)에 전단부가 삽입되어 대략 수평으로 설치된다. 즉, 콤비네이션 램프(33)는, 펜더(31)의 전단 상방으로부터 후단 하방에 걸쳐 펜더(31)의 내부에 가려지도록 설치된다. 콤비네이션 램프(33)는 그 상부 측면과 좌우 방향의 측면(방향 지시기(34)의 외주면(34a))의 일부가 콤비네이션 램프 커버(36)에 의해 덮여 있다. 콤비네이션 램프 커버(36)는 펜더(31)의 경사면(31a)에 장착된다. 콤비네이션 램프 커버(36)는 펜더(31)의 경사면(31a)의 중간 부분으로부터 후방을 향해 콤비네이션 램프(33)의 후단으로부터 연장되도록 형성된다.
콤비네이션 램프 커버(36)의 후단부는, 측면에서 보았을 때 펜더(31)의 후단 경사(경사면(31a))의 중간부로부터 상방으로 올라가는 경사가 되도록 형성된다. 즉, 콤비네이션 램프(33)는, 방향 지시기(34)의 외주면(34a)이 트랙터(1)의 측면에서 콤비네이션 램프 커버(36) 후단의 경사와 펜더(31)의 경사 사이로부터 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한편, 콤비네이션 램프(33)에서의 방향 지시기(34)와 브레이크 램프(35)의 형태는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콤비네이션 램프(33)의 다른 실시 형태로서, 도 27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콤비네이션 램프(33)를 상하 등분으로 분할 구성해, 상하 한쪽에 방향 지시기(34)를 배치하고, 상하 다른 쪽에 브레이크 램프(35)를 배치하는 구성이라도 된다. 또한, 도 27의 (b)와 (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하로 분할한 한쪽을 다른 쪽보다 크게 구성해, 상하 한쪽에 방향 지시기(34)를 배치하고, 상하 다른 쪽에 브레이크 램프(35)를 배치하는 구성이라도 된다. 또한, 도 27의 (d)에 나타낸 바와 같이, 콤비네이션 램프(33)를 좌우 등분 또는 부등분으로 분할 구성해, 좌측의 콤비네이션 램프(33)의 좌측면 및 우측의 콤비네이션 램프(33)의 우측면에 방향 지시기(34)를 배치하는 구성이라도 된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트랙터(1)는 콤비네이션 램프 커버(36)에 의해 콤비네이션 램프(33)에 그림자가 형성된다. 또한, 트랙터(1)는, 콤비네이션 램프 커버(36)에 의해 콤비네이션 램프(33)로의 토사의 부착이 적어진다. 이에 따라, 트랙터(1)는, 콤비네이션 램프(33)의 후방으로부터의 시인성을 향상시키면서, 좌우 방향 양쪽에서 콤비네이션 램프(33)의 방향 지시기(34)를 눈으로 확인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1, 도 2 및 도 28을 이용해 운전 조작부(37)에 대해 설명한다.
도 1, 도 2 및 도 2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운전 조작부(37)는 트랙터(1)를 운전하기 위한 각종 조작을 행하는 것이다. 운전 조작부(37)는 캐빈(26)의 내부에 마련된다. 운전 조작부(37)는 인스트루먼트 패널(38), 스티어링 핸들(40), 조종석(42) 및 조작 패널(43) 등을 구비한다.
인스트루먼트 패널(38)은 각종 조작 기기나 계기류가 배치되어 있는 것이다. 인스트루먼트 패널(38)은 캐빈(26) 내의 전방의 좌우 방향 중앙에 마련된다. 인스트루먼트 패널(38)은 보닛(7)의 후단에 접속된다. 인스트루먼트 패널(38)은, 보닛(7)의 상측면(7a), 상좌측면(7b), 상우측면(7c), 좌측면(7d) 및 우측면(7e)의 후단으로 이루어지는 형상과 대략 동일하게 형성된다(도 10 참조). 즉, 인스트루먼트 패널(38)은 보닛(7)의 후단에 단차 없이 연속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인스트루먼트 패널(38)에는, 보닛(7)과의 접속단으로부터 캐빈(26) 내의 운전 조작부(37)를 향해 낮아지는 경사면(38a)이 형성된다. 인스트루먼트 패널(38)은 경사면(38a)이 조종석(42)에 착석한 조종자와 대향하도록 형성된다.
인스트루먼트 패널(38)에는, 보닛(7)과의 접속부 근방, 즉 인스트루먼트 패널(38)의 전단부에 길이 방향을 좌우 방향으로 하는 대략 직사각 형상의 에어컨디셔너 송출구(38b)가 형성된다. 에어컨디셔너 송출구(38b)의 하방에는, 오목부(38c)가 형성된다. 오목부(38c)에는 터치 패널(39)이 설치된다.
터치 패널(39)은 트랙터(1)의 주행 속도, 엔진 회전수, 연료계, 수온계 등의 각종 기기 및 조작 스위치 등을 표시하고 조작하는 것이다. 터치 패널(39)은 인스트루먼트 패널(38)의 경사면(38a)의 각도보다 완만한 각도가 되도록(수평면으로부터의 각도가 작아지도록) 설치된다. 즉, 인스트루먼트 패널(38)에는, 오목부(38c)의 깊이가 전방을 향할수록 깊어지도록 터치 패널(39)이 설치된다. 이에 따라, 터치 패널(39)은 인스트루먼트 패널(38)의 오목부(38a)에 의해 화면상에 전방으로부터 비추는 빛이 입사하지 않게 구성된다.
스티어링 핸들(40)은 트랙터(1)의 조향을 행하는 것이다. 스티어링 핸들(40)은 인스트루먼트 패널(38)의 후방에 인접해 설치된다. 스티어링 핸들(40)은 인스트루먼트 패널(38)과 대략 동일한 높이가 되도록 구성된다. 스티어링 핸들(40)에는, 우측 전방과 좌측 전방에 스티어링 핸들(40)의 중심을 향해 볼록부(40a)가 형성된다. 스티어링 핸들(40)은 복수의 컬럼 브래킷(column bracket)(40b)을 통해 스티어링 컬럼(41)에 지지된다.
스티어링 핸들(40)은 컬럼 브래킷(40b)에 각종 조작을 행하는 스위치군(40c)이 마련된다. 스티어링 핸들(40)은 좌우 방향의 양측과 조종석(42)측(후방)에 컬럼 브래킷(40b)이 접속된다. 즉, 스티어링 핸들(40)의 인스트루먼트 패널(38)측(전방)에는 컬럼 브래킷(40b)이 배치되어 있지 않다.
조종석(42)은 스티어링 핸들(40)의 후방이면서, 좌우의 펜더(31) 사이에 마련된다. 또한, 조종석(42)의 좌우 한쪽의 펜더(31)에는, 변속 장치의 조작 레버를 구비하는 조작 패널(43)이 마련된다. 조작 패널(43)은 펜더(31)에 형성된 측면 오목부(31c)에 배치된다. 즉, 조작 패널(43)은 펜더(31)와 일체적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트랙터(1)는 조종자가 인스트루먼트 패널(38)에 마련된 터치 패널(39)을 조작하기 쉽다. 또한, 트랙터(1)는, 터치 패널(39)의 앞에 스티어링 핸들(40)이 설치되어도, 조종자가 터치 패널(39)의 표시를 인식하기 쉽다. 이에 따라, 트랙터(1)는 인스트루먼트 패널(38)에 마련된 터치 패널(39)의 조작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1 트랙터
5 후륜
26a 캐빈 프레임
31 펜더
32 스텝
32a 전방 지지부
32b 받이부
32c 후방 지지부
5 후륜
26a 캐빈 프레임
31 펜더
32 스텝
32a 전방 지지부
32b 받이부
32c 후방 지지부
Claims (4)
- 후륜의 전방에 승하차용의 스텝이 마련되어 있는 작업 차량에 있어서,
스텝이 조종자의 발을 올리는 받이부와, 받이부의 전방을 지지하는 전방 지지부와, 받이부의 후방을 지지하는 후방 지지부로 구성되고,
캐빈 프레임에 전방 지지부의 일단이 연결되고, 받이부의 작업 차량쪽 단면에 전방 지지부의 타단이 연결되고, 후륜 펜더의 앞쪽 단부에 후방 지지부의 일단이 연결되고, 받이부의 뒤쪽 단면에 후방 지지부의 타단이 연결되어 있는 작업 차량.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후방 지지부가 상기 펜더의 곡률 반경과 동일한 곡률 반경으로 상기 후륜의 트레드면을 따라 형성된 작업 차량. -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 지지부가 캐빈의 전방면보다 앞쪽에서 상기 받이부와 연결되고, 상기 후방 지지부가 상기 후륜의 차축보다 낮은 위치에서 받이부와 연결된 작업 차량. -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받이부에 복수의 삼각형의 관통공이 형성되고, 관통공의 각 변이 받이부의 좌우 방향에 대해 평행이 되지 않도록 배치되어 있는 작업 차량.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2013154032A JP6178149B2 (ja) | 2013-07-24 | 2013-07-24 | トラクター |
JPJP-P-2013-154032 | 2013-07-24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50012186A true KR20150012186A (ko) | 2015-02-03 |
KR101779015B1 KR101779015B1 (ko) | 2017-09-18 |
Family
ID=523930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40022163A KR101779015B1 (ko) | 2013-07-24 | 2014-02-25 | 작업 차량 |
Country Status (6)
Country | Link |
---|---|
US (1) | US9776570B2 (ko) |
EP (1) | EP3028901B1 (ko) |
JP (1) | JP6178149B2 (ko) |
KR (1) | KR101779015B1 (ko) |
CN (1) | CN105579291B (ko) |
WO (1) | WO2015012036A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6178149B2 (ja) * | 2013-07-24 | 2017-08-09 | ヤンマー株式会社 | トラクター |
KR101953504B1 (ko) * | 2015-03-11 | 2019-02-28 | 가부시끼 가이샤 구보다 | 작업차 |
CN106494315A (zh) * | 2016-11-28 | 2017-03-15 | 湖南春燕机械制造有限公司 | 含有多功能座椅的农用机车及控制方法 |
JP6882904B2 (ja) * | 2017-01-30 | 2021-06-02 | 株式会社デンソーテン | 画像記憶装置 |
EP3590741B1 (en) * | 2018-07-02 | 2022-06-08 | Volvo Car Corporation | Method and system for indicating an autonomous kinematic action of a vehicle |
EP3590780B1 (en) * | 2018-07-02 | 2022-09-07 | Volvo Car Corporation | Method and system for indicating an autonomous kinematic action of a vehicle |
Family Cites Families (8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938163A (en) * | 1908-01-22 | 1909-10-26 | Parish & Bingham Company | Step or running-board. |
US937415A (en) * | 1909-05-08 | 1909-10-19 | Parish And Bingham Company | Step or running board. |
US1291977A (en) * | 1918-03-09 | 1919-01-21 | Keystone Wire Matting Co | Running-board mat. |
US1788732A (en) * | 1924-04-26 | 1931-01-13 | Packard Motor Car Co | Motor vehicle |
US1865766A (en) * | 1930-08-27 | 1932-07-05 | Alonzo R Ketcham | Molding for running boards and the like |
US1863475A (en) * | 1931-05-05 | 1932-06-14 | Fox Philip | Motor vehicle fender and running board |
US2122240A (en) * | 1936-12-15 | 1938-06-28 | Walter G L Smith | Replaceable molded rubber mat |
US2546394A (en) * | 1947-08-20 | 1951-03-27 | Waterloo Foundry Company | Footrest |
US3191709A (en) * | 1961-12-04 | 1965-06-29 | Timberland Ellicott Ltd | Articulated vehicle |
NL294887A (ko) * | 1962-07-11 | |||
JPS445045Y1 (ko) * | 1964-05-18 | 1969-02-24 | ||
US3933216A (en) * | 1975-02-20 | 1976-01-20 | Steiger Tractor Inc. | Vehicle with aligned intake and exhaust pipes |
US3981521A (en) * | 1975-06-05 | 1976-09-21 | See Roy H | Brush guard for tractor |
US4074786A (en) * | 1976-08-10 | 1978-02-21 | Steiger Tractor Inc. | Self locking compartment for tractor |
JPS5352510U (ko) | 1976-10-06 | 1978-05-06 | ||
US4086975A (en) * | 1976-11-30 | 1978-05-02 | Steiger Tractor Inc. | Articulated tractor with multiple power plants |
US4114716A (en) * | 1977-06-27 | 1978-09-19 | Caterpillar Tractor Co. | Housing apparatus |
JPS5424836U (ko) | 1977-07-21 | 1979-02-17 | ||
US4174117A (en) * | 1977-12-22 | 1979-11-13 | Allis-Chalmers Corporation | Isolated step support |
US4174116A (en) * | 1978-07-31 | 1979-11-13 | Allis-Chalmers Corporation | Isolated step support |
JPS5843503Y2 (ja) * | 1978-12-05 | 1983-10-01 | 株式会社クボタ | トラクタ− |
DE2854526C2 (de) * | 1978-12-16 | 1982-11-18 | Karl Schaeff GmbH & Co, Maschinenfabrik, 7183 Langenburg | Fahrzeug mit verlagerbarem Gegengewicht |
NZ194573A (en) * | 1979-08-31 | 1984-07-06 | Massey Ferguson Services Nv | Cab for agricultural industrial or construction vehicle:door hinge axis inclined |
JPS5742767Y2 (ko) | 1980-02-04 | 1982-09-20 | ||
JPS6127316Y2 (ko) * | 1980-04-11 | 1986-08-14 | ||
JPS5797748U (ko) | 1980-12-08 | 1982-06-16 | ||
JPS5822379U (ja) | 1981-08-07 | 1983-02-12 | 株式会社クボタ | 農用トラクタのステツプ構造 |
USD291872S (en) * | 1984-12-10 | 1987-09-15 | Paccar Inc. | Cab-over-engine truck cab |
USH421H (en) * | 1986-04-04 | 1988-02-02 | Tow bar step | |
DE3644959C2 (de) * | 1986-05-28 | 1994-03-03 | Man Nutzfahrzeuge Ag | Frontklappen-Öffnungs- bzw. -Schließmechanismus für ein am Fahrerhaus eines Frontlenker-LKW angelenktes Frontwandteil |
US4836568A (en) * | 1987-09-14 | 1989-06-06 | Paccar Inc. | Aerodynamically streamlined step assembly for a truck |
JPH0626470Y2 (ja) | 1988-01-28 | 1994-07-20 | 株式会社クボタ | 農用トラクタのフレーム構造 |
US4925235A (en) * | 1989-08-25 | 1990-05-15 | Paccar Inc | Cab fairing mounting for truck |
US6016943A (en) * | 1995-09-29 | 2000-01-25 | Polaris Industries Inc. | Injection molded racks and components for off-road recreational and utility vehicles |
US5788321A (en) * | 1996-05-22 | 1998-08-04 | Freightliner Corporation | Removable side fairing for a vehicle |
US5799961A (en) * | 1996-06-17 | 1998-09-01 | Schmeets; Harold H. | Quick-attachable trailer step |
JP3217743B2 (ja) * | 1997-12-08 | 2001-10-15 | 川崎重工業株式会社 | 騎乗型四輪不整地走行車のフートボードとその取付構造 |
US6270106B1 (en) * | 1998-08-04 | 2001-08-07 | Polaris Industries, Inc. | All terrain vehicle with full platform style footrest and foot shifted manual transmission |
JP2000142112A (ja) | 1998-11-05 | 2000-05-23 | Yanmar Diesel Engine Co Ltd | 作業車両 |
US6017045A (en) * | 1998-12-22 | 2000-01-25 | Dermody; Cecil E. | Safety insert for truck steps |
US6178364B1 (en) * | 1999-02-12 | 2001-01-23 | Freightliner Corporation | Method of controlling a retractable stairway assembly |
JP3374795B2 (ja) * | 1999-07-29 | 2003-02-10 | 株式会社豊田自動織機 | 産業車両のフェンダーカバー一体ステップ |
JP2001071962A (ja) * | 1999-09-03 | 2001-03-21 | Honda Motor Co Ltd | フェンダー構造 |
CA2327834C (en) * | 2000-12-07 | 2006-10-24 | Lehman Trikes Inc. | A running board assembly for a tricycle and a method of attaching the same |
US6581946B2 (en) * | 2001-02-01 | 2003-06-24 | Lund International, Inc. | Running board for use with motor vehicle and method for installing a running board on a motor vehicle |
US20020180174A1 (en) * | 2001-06-01 | 2002-12-05 | Johnston Robert R. | Trailer assembly |
US20030160418A1 (en) * | 2002-02-25 | 2003-08-28 | Farkash Daniel G. | Running board storage box with gusset attachment |
US6979008B2 (en) * | 2002-09-27 | 2005-12-27 | Andrews Eugene C | Apparatus for tractor access and storage |
US6971657B2 (en) * | 2003-03-13 | 2005-12-06 | Kalmar Industries Usa, Llc | Driver access system for motor truck tractor |
DE602005008481D1 (de) * | 2005-03-11 | 2008-09-04 | Renault Trucks | Stufenanordnung für fahrzeug |
TWM283773U (en) * | 2005-04-12 | 2005-12-21 | Leen Chen Internat Trade Co Lt | Auxiliary roof rack structure can be installed on the wheel |
JP2006341667A (ja) | 2005-06-07 | 2006-12-21 | Yanmar Co Ltd | 自走式作業機 |
JP4928103B2 (ja) * | 2005-09-05 | 2012-05-09 | ヤンマー株式会社 | 走行車両のペダル構造 |
US7416232B2 (en) * | 2005-12-22 | 2008-08-26 | Nissan Technical Center North America, Inc. | Vehicle side step |
US7802806B2 (en) * | 2006-08-07 | 2010-09-28 | Alex Danze | Nerf bar structure and replaceable foot peg inserts for utility and off road vehicles |
US7594671B2 (en) * | 2006-08-07 | 2009-09-29 | Alex Danze | Nerf bar structure and replaceable foot peg inserts for utility and off road vehicles |
US20080084044A1 (en) * | 2006-10-04 | 2008-04-10 | Dietelbach Frederick L | Portable step apparatus |
JP2008195348A (ja) * | 2007-02-15 | 2008-08-28 | Shin Caterpillar Mitsubishi Ltd | 車両および作業機械 |
US7703784B2 (en) * | 2007-03-21 | 2010-04-27 | Nissan Technical Center North America, Inc. | Vehicle structure |
DE102007049768A1 (de) * | 2007-10-17 | 2009-04-23 | Agco Gmbh | Nutzfahrzeug mit klappbarem Abdeckelement |
KR100985029B1 (ko) * | 2008-05-30 | 2010-10-04 | 볼보 컨스트럭션 이키프먼트 홀딩 스웨덴 에이비 | 건설중장비용 슬립방지 장치 |
WO2010147131A1 (ja) * | 2009-06-17 | 2010-12-23 | 株式会社小松製作所 | ダンプトラック |
WO2011034167A1 (ja) * | 2009-09-17 | 2011-03-24 | ヤンマー株式会社 | 乗用型作業機 |
JP2011073563A (ja) | 2009-09-30 | 2011-04-14 | Mitsubishi Agricult Mach Co Ltd | 作業車両 |
US8672338B2 (en) * | 2011-04-21 | 2014-03-18 | ET Works, LLC | Cab entry system for a crop sprayer |
JP5881385B2 (ja) * | 2011-11-24 | 2016-03-09 | 株式会社クボタ | 作業車の防塵構造 |
JP5941697B2 (ja) | 2012-02-17 | 2016-06-29 | 三菱マヒンドラ農機株式会社 | 作業車両 |
JP2013173497A (ja) | 2012-02-27 | 2013-09-05 | Iseki & Co Ltd | 作業車両 |
US8801019B2 (en) * | 2012-07-27 | 2014-08-12 | Kubota Corporation | Working vehicle |
US8851224B2 (en) * | 2012-10-26 | 2014-10-07 | Komatsu Ltd. | Work vehicle |
US9353502B2 (en) * | 2012-10-26 | 2016-05-31 | Komatsu Ltd. | Wheel loader |
WO2014069026A1 (ja) * | 2012-10-30 | 2014-05-08 | 株式会社小松製作所 | 排気ガス後処理装置を搭載した建設車両 |
USD747363S1 (en) * | 2013-07-23 | 2016-01-12 | Yanmar Co., Ltd. | Tractor |
USD742426S1 (en) * | 2013-07-24 | 2015-11-03 | Yanmar Co., Ltd. | Tractor |
JP6148558B2 (ja) * | 2013-07-24 | 2017-06-14 | ヤンマー株式会社 | トラクター |
USD742939S1 (en) * | 2013-07-24 | 2015-11-10 | Yanmar Co., Ltd. | Tractor |
USD743449S1 (en) * | 2013-07-24 | 2015-11-17 | Yanmar Co., Ltd. | Tractor |
JP6096616B2 (ja) * | 2013-07-24 | 2017-03-15 | ヤンマー株式会社 | トラクター |
JP6151119B2 (ja) * | 2013-07-24 | 2017-06-21 | ヤンマー株式会社 | トラクター |
JP2015024696A (ja) * | 2013-07-24 | 2015-02-05 | ヤンマー株式会社 | 作業車両 |
JP6193036B2 (ja) * | 2013-07-24 | 2017-09-06 | ヤンマー株式会社 | トラクター |
JP6178149B2 (ja) * | 2013-07-24 | 2017-08-09 | ヤンマー株式会社 | トラクター |
US9169619B2 (en) * | 2013-08-07 | 2015-10-27 | Komatsu Ltd. | Wheel loader |
JP5673775B1 (ja) * | 2013-10-25 | 2015-02-18 | 井関農機株式会社 | 作業車両 |
-
2013
- 2013-07-24 JP JP2013154032A patent/JP6178149B2/ja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14
- 2014-02-25 KR KR1020140022163A patent/KR101779015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14-06-20 WO PCT/JP2014/066392 patent/WO2015012036A1/ja active Application Filing
- 2014-06-20 CN CN201480041843.4A patent/CN105579291B/zh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14-06-20 US US14/907,093 patent/US9776570B2/en active Active
- 2014-06-20 EP EP14828923.4A patent/EP3028901B1/en not_active Not-in-for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JP6178149B2 (ja) | 2017-08-09 |
US9776570B2 (en) | 2017-10-03 |
EP3028901A1 (en) | 2016-06-08 |
KR101779015B1 (ko) | 2017-09-18 |
US20160152187A1 (en) | 2016-06-02 |
WO2015012036A1 (ja) | 2015-01-29 |
CN105579291A (zh) | 2016-05-11 |
CN105579291B (zh) | 2017-11-07 |
EP3028901A4 (en) | 2017-03-01 |
EP3028901B1 (en) | 2019-04-24 |
JP2015024695A (ja) | 2015-02-05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764421B1 (ko) | 작업 차량 | |
KR20150012182A (ko) | 작업 차량 | |
KR101779015B1 (ko) | 작업 차량 | |
KR101764866B1 (ko) | 작업 차량 | |
KR101779016B1 (ko) | 작업 차량 | |
KR101779014B1 (ko) | 작업 차량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