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10999A - 커넥터 및 충전재의 주입 방법 - Google Patents

커넥터 및 충전재의 주입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10999A
KR20150010999A KR1020147035420A KR20147035420A KR20150010999A KR 20150010999 A KR20150010999 A KR 20150010999A KR 1020147035420 A KR1020147035420 A KR 1020147035420A KR 20147035420 A KR20147035420 A KR 20147035420A KR 20150010999 A KR20150010999 A KR 2015001099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ler
connector housing
connector
inner plate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70354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아키라 사토
카즈히데 타카하시
에츠로 스즈키
켄지 타카하시
Original Assignee
야자키 소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야자키 소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야자키 소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500109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1099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2Dustproof, splashproof, drip-proof, waterproof, or flameproof cases
    • H01R13/5216Dustproof, splashproof, drip-proof, waterproof, or flameproof cases characterised by the sealing material, e.g. gels or resi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2Dustproof, splashproof, drip-proof, waterproof, or flameproof cas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2Dustproof, splashproof, drip-proof, waterproof, or flameproof cases
    • H01R13/5202Sealing means between parts of housing or between housing part and a wall, e.g. sealing rin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2Dustproof, splashproof, drip-proof, waterproof, or flameproof cases
    • H01R13/5205Sealing means between cable and housing, e.g. gromme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2Dustproof, splashproof, drip-proof, waterproof, or flameproof cases
    • H01R13/5205Sealing means between cable and housing, e.g. grommet
    • H01R13/5208Sealing means between cable and housing, e.g. grommet having at least two cable receiving openin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2Dustproof, splashproof, drip-proof, waterproof, or flameproof cases
    • H01R13/521Sealing between contact members and housing, e.g. sealing inser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2Dustproof, splashproof, drip-proof, waterproof, or flameproof cases
    • H01R13/5213Cov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2Dustproof, splashproof, drip-proof, waterproof, or flameproof cases
    • H01R13/5219Sealing means between coupling parts, e.g. interfacial sea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 H01R43/005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for making dustproof, splashproof, drip-proof, waterproof, or flameproof connection, coupling, or cas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 H01R43/2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for assembling or disassembling contact members with insulating base, case or sleeve
    • H01R43/24Assembling by moulding on contact memb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02Bases; Cases composed of different pie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201/00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R2201/26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for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 Manufacturing Of Electrical Connectors (AREA)

Abstract

커넥터 하우징(2)의 내면 내의 제2부분(211a)과 제2부분(211a)에 대항하는 충전재(5)의 측면(3a) 사이에, 박리성 재료로 구성되고 제2부분(211a)과 충전재(5)의 측면(3a)과 접촉하여 개재되는 박리층(9)이 제공된다.

Description

커넥터 및 충전재의 주입 방법{CONNECTOR AND INJECTION METHOD FOR FILLER MATERIAL}
본 발명은 커넥터 및 충전재의 주입 방법에 관한 것이다.
커넥터 중에는, 커넥터의 외부에 존재하는 액체가 커넥터의 내부로 들어오는 것을 방지하는, 즉 액밀성(light-tight property)이 요구되는 경우가 있다.
종래에는, 높은 액밀성을 갖는 커넥터를 제공하기 위해, 다양한 종류의 구조를 갖는 커넥터가 제안되었다(예를 들어, 특허문헌 1 및 2 참조).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2002-270283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2012-59652호
예를 들어, 특허문헌 1 및 2에 개시된 커넥터는 자동차 등의 자동 변속기(AT)에 부착 및 고정된다.
특허문헌 1 및 2에 개시된 종래 기술에 따른 커넥터 구조의 개요를 이하에 설명한다. 이러한 커넥터는 양단이 개방된 대략 관형 형상으로 형성된 커넥터 하우징을 포함한다. 커넥터 하우징에서, 일단측의 부분이 상대 커넥터의 커넥터 하우징에 감합되고, 타단측의 부분이 자동 변속기의 하우징에 감합된다. 또한, 커넥터는 커넥터 하우징의 내측에 배열 및 수용되고, 커넥터 하우징의 타단측 개구 내에 삽입되는 복수의 전선의 각 선단부에 압착되는 수형 단자를 수집 및 유지하기 위한 단자 홀더(내부 플레이트)를 더 포함한다. 또한, 커넥터는 각 전선이 삽입된 상태로 커넥터 하우징의 타단측 개구 내로 압입(press-fit)되는 고무 플러그를 더 포함하여, 각 전선이 수집 및 유지된 상태로 타단측 개구를 폐쇄한다. 커넥터에서, 커넥터 하우징의 내부의 단자 홀더와 고무 플러그 사이에 형성된 공간은 에폭시 수지(충전재)로 채워진다. 이어서, 에폭시 수지(충전재)가 경화되어, 단자 홀더 및 각 전선이 유지된다. 이에 의해, 커넥터에서, 커넥터 하우징의 일단측 개구의 내측에 형성되고 각 단자와 인접하는 커넥터 감합 챔버가 액밀한 방식으로 밀봉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러한 종래 기술의 커넥터에서, 조작 시간이 길어짐에 따라, 충전재로 사용된 에폭지 수지에 균열이 발생할 가능성이 존재한다. 또한, 일단 충전재에 균열이 발생하면, 시간이 지남에 따라 충전재 내부에서 균열이 점차 커지게 된다.
충전재에 균열이 발생하면, 예를 들어, 모세관 현상에 의해 단자 홀더 내로 전선이 삽입된고 커넥터 하우징의 내부로 들어간 AT 오일이 균열 내측을 통해 이동하여 커넥터 감합 챔버 내로 스며들어, 커넥터의 액밀성이 상실될 가능성이 증가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관점에서 창안되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커넥터 하우징의 내측을 채우는 충전재에 크랙이 발생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는 커넥터 및 충전재의 주입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커넥터는 이하의 구성(1) 내지 (3)의 특징을 갖는다.
(1) 커넥터로서,
관형 형상을 갖는 커넥터 하우징;
전선의 일단부에 접속되는 단자를 지지하고 커넥터 하우징의 내측에 수용되는 내부 플레이트; 및
내부 플레이트를 수용하는 커넥터 하우징의 내측을 채운 후 단자와 전선의 접속부를 피복하도록 경화되는 충전재를 포함하고,
충전재는 커넥터 하우징의 내면 내의 제1부분 및 내부 플레이트의 외면에 부착되고,
커넥터 하우징의 내면 내의 제2부분과 제2부분에 대항하는 충전재의 외면 사이에, 제2부분과 충전재의 외면과 접촉하여 개재되고, 박리성 재료로 구성된 박리층이 제공된다.
(2) 상기 구성 (1)에서 설명한 커넥터에서, 박리층은 제2부분과 제2부분과 대항하는 내부 플레이트의 외면의 일부에 부착되는 충전재의 외면 사이에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3) 상기 구성 (1) 또는 (2)에서 설명한 커넥터에서, 박리층은 커넥터 하우징의 내부에서 상대 커넥터 하우징을 수용하기 위한 공간과 접하도록 형성된다.
추가로,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충전재의 주입 방법은 이하의 구성 (4)의 특징을 갖는다.
(4) 충전재의 주입 방법으로,
관형 형상을 갖는 커넥터 하우징의 내면 중의 일부에 박리성 재료로 구성된 박리재를 코팅하는 코팅 단계; 및
전선의 일단부에 접속된 단자를 지지하기 위한 내부 플레이트가 수용되는 커넥터 하우징의 내측에 충전재를 채워, 충전재가 단자와 전선의 접속부를 피복하고, 충전재를 경화하여 충전재가 커넥터 하우징의 내면 중 다른 부분과 내부 플레이트의 외면에 부착되어 충전재가 박리재와 접촉하게 되는, 충전 단계를 포함한다.
이하에서 본 발명에 따른 커넥터의 작용을 설명한다.
본 발명의 발명자들은 종래 기술의 커넥터에서 충전재에 균열을 발생시키는 원인이 충전재에 생기는 열 응력(thermal stress)에 기인할 가능성이 있다는 것을 발견했다.
예를 들어, 커넥터가 자동 변속기에 부착될 때, 커넥터의 주위 온도는, 엔진이 구동되는 동안 온도가 상승되고 엔진이 운전 정지되는 동안 온도가 하강하는 자동 변속기 내부의 온도에 따라 달라진다. 여기서, 종래 기술의 커넥터에서, 커넥터 하우징을 채우는 충전재는 커넥터 하우징에 의해 구속된다. 따라서, 커넥터의 주위 온도가 변화할 때, 변형이 발생하는 대신 열 응력이 충전재에 발생한다. 따라서, 커넥터의 주위 온도의 변화가 반복될 때, 열 응력도 충전재에 반복적으로 발생한다. 그 결과, 충전재가 피로해지고 열화되어, 충전재에 균열이 발생할 가능성이 증가한다.
또한, 종래 기술의 커넥터에서 충전재에 균열을 발생시키는 다른 원인으로, 커넥터 하우징의 내측에 감합되는 상대 커넥터로부터의 외력이 상술한 원인에 의해 피로해지고 열화된 충전재에 작용할 때 균열이 또한 발생할 가능성이 존재한다. 또한, 종래 기술의 커넥터에서 충전재에 균열을 발생시키는 또 다른 원인으로, 커넥터의 주위 온도가 빠르게 변화하여 급격한 온도 변화에 의해 야기된 열 응력이 충전재에 발생될 때(즉, 열 충격), 상술한 원인에 의해 피로해지고 열화된 충전재의 내부에 균열이 존재할 가능성이 있다.
그에 반해서, 상술한 구성 (1)의 커넥터에서는, 커넥터 하우징의 내면 중 제2부분과 제2부분에 대항하는 충전재의 외면이, 제2부분과 충전재의 외면 사이에 놓여 접촉하게 되는 박리재로 구성된 박리층에 의해 서로 박리된다. 따라서, 박리층이 없는 경우과 비교하여, 커넥터 하우징에 의한 충전재의 구속 정도가 완화된다. 따라서, 박리층이 없는 경우와 비교하여, 커넥터의 주위 온도가 변화할 때 충전재의 자유 팽창과 자유 수축할 수 있는 양이 증가한다. 이는 충전재에 발생되는 열 응력을 감소시키고, 이에 따라 충전재가 피로해지고 열화되는 것이 억제된다. 또한, 충전재에 발생되는 열 충격이 감소된다. 따라서, 충전재에서 균열의 발생이 억제된다.
또한, 상술한 구성 (2)의 커넥터에서는, 박리층이 형성된 부분이 충전재의 열팽창 계수와 다른 열팽창 계수를 갖는 단자, 전선 및 내부 플레이트가 모여있는 부분에 인접하여 위치된다. 따라서, 이 위치에서, 이들 부분이 박리층이 없이 서로 부착될 경우, 열 응력이 쉽게 발생되어 균열이 쉽게 발생한다. 그에 반해서, 상술한 구성 (2)의 커넥터에서는, 상기 부분들이 서로 박리되기 때문에, 충전재에 균열이 발생되는 것이 억제된다.
또한, 상술한 구성 (3)의 커넥터에서는, 상대 커넥터 하우징을 수용하기 위한 공간에 접하도록 박리층이 형성된다. 따라서, 박리층이 쉽게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커넥터 하우징에 의한 충전재의 구속 정도가 완화된다. 이는 충전재에 발생하는 열 응력을 감소시키고, 충전재에 균열이 발생하는 것을 억제시킨다.
상술한 구성 (4)의 충전재의 주입 방법에 따르면, 커넥터 하우징의 내면 중 일 부분과 상기 부분에 대항하는 충전재의 외면 사이에, 상기 부분과 충전재의 외면이 접촉하도록 개재된 박리층이 형성되어, 커넥터 하우징의 내부에 충전재가 채워진다. 그 결과, 충전재에 발생된 열 응력이 감소되고, 충전재의 피로도 및 열화가 억제된다. 이는 충전재에 균열의 발생을 억제한다.
본 발명의 커넥터 및 충전재의 주입 방법에 따르면, 커넥터 및 충전재의 주입 방법이, 커넥터 하우징의 내부에 채워지는 충전재에 균열이 발생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도록 제공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개략적으로 설명하였다. 본 발명의 상세한 사항은 이하에 기재된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형태(이하, "실시예"라고 함)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통독하는 것에 의해 더욱 명확해질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의 외관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커넥터의 종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커넥터를 앞측에서 본 다이어그램이다.
도 4는 코팅 단계에서 얻어진 코넥터의 종단면도이다.
도 5는 내부 플레이트에, 전선이 압착 접속된 단자를 삽입하는 단자 삽입 단계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6은 단자 삽입 단계에서 얻은 내부 플레이트를 코팅 단계에서 얻은 커넥터 하우징에 삽입하는 내부 플레이트 삽입 단계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7은 고무 플러그를 내부 플레이트 삽입 단계에서 얻어진 커넥터 하우징에 삽입하는 플러그 부재 삽입 단계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8은 O-링을 커넥터 하우징에 부착하는 밀봉 부재 부착 단계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커넥터의 일 실시예를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이하에 설명한다.
도 1은 커넥터(1)의 외관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커넥터(1)의 종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커넥터(1)를 앞측에서 본 다이어그램이다. 이하의 설명에서, 앞측, 뒤측, 위측, 아래측, 좌측 및 우측은 각 도면에서 화살표로 나타낸 바와 같이 정의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1)는 주위 온도가 대기 온도에 따라 변하는 일반적인 동작 환경 하에서 뿐만 아니라 주위 온도가 단기간에 상당히 변하는 환경 하에서도 적절히 사용될 수 있는 커넥터이다. 예를 들어, 커넥터(1)는 자동차의 자동 변속기에 부착된다. 즉, 커넥터(1)는 주위 온도가, 엔진이 구동하는 동안 온도가 상승하고 엔진이 정지하는 동안 온도가 하강하는, 자동 변속기 내부의 온도에 따라 변하는 환경 하에서 사용될 수 있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넥터(1)는 자동 변속기의 케이스(미도시; 이하 일부 경우에 "미션 케이스"라고 함)에 감합되는 대략 관형 형상을 갖는 커넥터 하우징(2)을 포함한다. 또한, 커넥터(1)는 커넥터 하우징(2)의 앞측에 제공된 단자 수용부(21)의 내측에 수용되는 내부 플레이트(3)를 포함한다. 내부 플레이트(3)는 복수의 전선(W)의 일단부들에 각각 압착되어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각 수형 단자들(4)을 유지한다. 또한, 커넥터(1)는 커넥터 하우징(2)의 내부의 뒷측에 주로 형성된 충전 공간(Sa)을 채우고 커넥터 하우징(2) 내측의 내부 플레이트(3)와 각 전선(W)의 일단부들을 유지하도록 경화되는 충전재(5)를 더 포함한다. 또한, 커넥터(1)는 커넥터 하우징(2)의 뒷측의 개구 내로 삽입되는 고무 플러그(6)를 더 포함한다. 고무 플러그(6)는, 각 전선(W)이 개구들을 통해 삽입되고 커넥터 하우징(2)의 뒷측 개구를 폐쇄하는 플러그 부재이다. 또한, 커넥터(1)는 커넥터 하우징(2)의 뒷측 외주면 상에 감합하는 O-링(8)을 더 포함한다. O-링(8)은 액밀한 방식으로 커넥터 하우징(2)과 미션 케이스 사이의 밀봉을 이루기 위한 환형 밀봉 부재이다. 이어서, 단자 수용부(21)가 상대 커넥터(미도시)에 감합되어, 상대 커넥터의 커넥터 하우징의 전단부(미도시)가 단자 수용부(21)의 내부에 수용된다. 그 때, 각 단자(4)는 상대 커넥터의 내부에 수용된 암형 단자들(미도시)내로 삽입되어 서로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전선(W)과 상대 전선이 서로 전기적으로 도통한다.
커넥터 하우징(2)은 기결정된 수지 재료를 사용하여 전체적으로 관형 형상으로 형성된다. 커넥터 하우징(2)은 커넥터 하우징(2)의 앞측에 제공된 단자 수용부(21)를 포함한다. 단자 수용부(21)의 내부는 내부 플레이트(3)와 각 단자들(4)을 수용한다. 또한, 커넥터 하우징(2)은 단자 수용부(21)에 인접하여 위치되는 것과 같이 커넥터 하우징(2)의 뒷측에 제공된 전선 수용부(22)를 더 포함한다. 전선 수용부(22)의 내부는 각 전선(W)의 일단측 상의 일부를 수용한다. 또한, 커넥터 하우징(2)은 전선 수용부(22)의 외주면으로부터 돌출하는 브라켓부(23)를 더 포함한다. 브라켓부(23)는 커넥터 하우징(2)을 미션 케이스에 고정하는데 사용된다. 이어서, 전선 수용부(22)는 미션 케이스에 중공(hollow) 방식으로 형성된 커넥터 수용부(미도시)의 내측에 감합된다. 이에 의해, 커넥터 하우징(2)은 브라켓부(23)를 통해 볼트(미도시)로 미션 케이스에 고정된다. 그 결과, 각 단자들(4)에 의해 인접한 단자 수용부(21)가 미션 케이스를 향해 외부로 개방된 상태에서, 커넥터 하우징(2)의 전선 수용부(22)가 미션 케이스의 커넥터 수용부의 내측에 수용된다.
단자 수용부(21)는 대략 직사각형 형상을 갖는 직사각형 튜브의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어서, 그 내부에, 장축이 위아래 방향이고 단축이 좌우 방향인 타원형 형상을 갖는 개구가 전후방 방향에서 중공 방식(hollow manner)으로 형성된, 단자 수용 공간(Sb)이 마련된다. 단자 수용부(21)의 주변 벽(211)의 내면 내의 좌우 방향의 내면에는, 내부 플레이트(3)에 형성된 계지 암들(lock arms, 32 및 32)(도 3 등 참조)이 각각 계지되어 내부 플레이트(3)가 커넥터 하우징(2)에 고정되는 계지 폴들(locking pawls, 미도시)이 형성되어 서로 대항하도록 돌출한다. 여기서, 이 계지 폴들(미도시)에는 단자 수용부(21)의 앞측을 향해 그 높이가 점차 감소하도록 형성된 가이드면(미도시)이 각각 마련된다. 이에 의해, 계지 암들(32 및 32)이 가이드면에 의해 안내되기 때문에, 단자 수용부(21)의 앞측으로부터 삽입된 내부 플레이트(3)가 계지 폴들(미도시)에 의해 부드럽게 계지된다. 따라서, 내부 플레이트(3)가 커넥터 하우징(2)에 용이하게 고정된다.
또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변 벽(211)의 외면 내에서 좌측 외면으로부터, 계지 돌기(26)가 상대 커넥터의 계지 폴(미도시)에 의해 계지되도록 돌출한다. 상대 커넥터의 계지 폴(미도시)이 계지 돌기(26)를 계지할 때, 커넥터(1) 및 상대 커넥터가 서로 고정된다.
전선 수용부(22)가 대략 원형 튜브의 형상으로 형성되고 단자 수용부(21)의 후단에 연속적으로 제공된다. 전선 수용부(22)의 내측에는, 단자 수용 공간(Sb)과 연통(fluid communication)하는 전선 수용 공간(Sc)이 형성된다. 이어서, 전선 수용부(22)의 후단부에는, 플러그 부재 수용부(24)가 원형 기둥의 형상을 갖는 고무 플러그(6)를 수용하도록 형성된다. 플러그 부재 수용부(24)는 기결정된 내부 직경을 갖고 외부로 개방되도록 형성된다. 플러그 부재 수용부(24)의 내부 직경은 전선 수용 공간(Sc)을 형성하기 위한 전선 수용부(22)의 내부 직경에 비해 확장된 직경 형태로 제공된다. 여기서, 플러그 부재 수용부(24)의 내경은 고무 플러그(6)의 외경보다 약간 작게 설정된다. 이어서, 고무 플러그(6)가 플러그 부재 수용부(24) 내로 압입된다. 또한, 플러그 부재 수용부(24)의 깊이는 고무 플러그(6)의 두께보다 약간 크도록 설정된다. 따라서, 고무 플러그(6)의 수용 상태에서, 고무 플러그(6)가 전선 수용부(22)의 후단으로부터 돌출하지 않는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자 수용부(21)와 전선 수용부(22)에서, 단자 수용 공간(Sb)을 위 아래로 이등분하는 중심선과 전선 수용 공간(Sc)을 위 아래로 이등분하는 중심선이 서로 대략 일치한다. 또한, 단자 수용부(21)의 내부 형상이 전선 수용부(22)의 내부 형상보다 크게 설정된다. 따라서, 단자 수용부(21)와 전선 수용부(22)가 커넥터 하우징(2)의 내면에서 서로 연결되는 부분에서, 돌출부로서의 단차(27)가 내부 형상의 차이와 동일한 양만큼 형성된다. 단차(27)의 기능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또한, 전선 수용부(22)의 외주면에서, 전후방 방향에서 대략 중간 위치에, O-링(8)이 감합되는 환형 밀봉 부재 수용 그루브(25)가 전선 수용부(22)의 원주 방향에 걸쳐 형성된다. O-링(8)은 밀봉 부재 수용 그루브(25)에 부착되도록 밀봉 부재 수용 그루브(25)에 감합된다. 여기서, 밀봉 부재 수용 그루브(25)의 깊이는 O-링(8)의 선경(wire diameter)보다 작도록 설정된다. 따라서, O-링(8)의 외주는 밀봉 부재 수용 그루브(25)의 개구 가장자리로부터 외측으로 방사 방향으로 돌출한다. 이어서, 이 돌출한 O-링(8)의 주변부는 미션 케이스의 커넥터 수용부의 내주면(미도시)과 탄성 접촉하게 되어, 커넥터 수용부와 커넥터 하우징(2)(즉, 전선 수용부(22)) 사이의 액밀한 밀봉이 이루어진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브라켓부(23)에서, 그 두께 방향(즉, 도 2에서 전후방 방향)으로 볼트 삽입 홀(23a)이 관통 형성된다. 볼트 삽입 홀(23a) 내로 삽입된 볼트(미도시)에 의해, 커넥터 하우징(2)이 미션 케이스에 고정된다.
도 3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 플레이트(3)는, 그 전체가 기결정된 수지 재료로 대략 직사각형 블록 형상으로 형성된다. 또한, 내부는 이른바 격자 형상으로 구성된다. 따라서, 내부 플레이트(3)의 내측에는, 단자들(4)의 삽입 방향(도 2에서 전후방 방향)을 따라 관통하는 복수의 윈도우부(31)가 위아래 방향으로 4 피스씩 좌우 방향에서 2단으로 형성된다. 단자들(4)은 각각 삽입되어 윈도우부(31)에 의해 유지된다. 각 단자(4)는, 전기 도전 금속으로 제작되고 상대 커넥터의 암형 단자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선단부(41)(도 2에서 앞측에 위채한 단부)와; 선단부(41)보다 넓은 두께로 형성되고, 전선(W)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도록 압착되어 전선(W)의 일단부에 부착되는, 기단측(도 2에서 뒷측에 위치한 단부)에 위치한 접속부(42)로 구성된다. 이어서, 단자(4)가 내부 플레이트(3)의 뒷측으로부터 윈도우부(31) 내로 삽입되고, 접속부(42)의 일부분이 각 윈도우부(31)에 압입된 상태로 유지된다. 이어서, 선단부(41)의 일부분이 단자 수용부(21)의 내측과 접하도록 내부 플레이트(3)의 윈도우부(31)의 앞측으로부터 돌출한다.
또한, 내부 플레이트(3)의 측면(3a) 중 좌우 방향 측면에는, 커넥터 하우징(2)의 각 계지 폴들에 의해 계지되는 한 쌍의 계지 암들(32 및 32)이 내부 플레이트(3)의 뒷측으로 연장하는 바와 같이 도 2에서 전후방 방향을 따라 각각 연장한다. 또한, 내부 플레이트(3)의 측면(3a) 중 위아래 방향의 측면에는, 계지부들(33 및 33)이 각가 돌출한다.
예를 들어, 충전재(5)가 열가소성을 갖는 에폭시 수지와 같은 수지재로 제작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술하는 방법에 의해, 충전재(5)가, 커넥터 하우징(2)의 내측에서 커넥터 하우징(2)의 내면과 내부 플레이트(3)와 고무 플러그(6) 사이에 형성된 충전 공간(Sa)에 포팅(potting)에 의해 채워지고 경화되어, 전선(W)과 단자(4)의 접속부로서 역할을 하는 접속부(42)를 피복한다. 충전 공간(Sa)은 단자 수용부(21)의 내면의 일부, 전선 수용부(22)의 내면(22a), 내부 플레이트(3)의 측면들(3a 및 3b) 및 도 2에서 전단측의 고무 플러그(6)의 측면(6a)으로 형성된다. 충전재(5)는 전선 수용부(22)의 내면(22a)(커넥터 하우징(2)의 내면 중 제1부분, 내부 플레이트(3)의 측면들(3a 및 3b) 및 전단측 상의 고무 플러그(6)의 측면(6a)에 부착되어, 커넥터 하우징(2)에서 내부 플레이트(3)와 각 전선(W)을 유지한다. 즉, 내부 플레이트(3)와 전선(W)은 충전재(5)가 사이에 채워진 커넥터 하우징(2)에 의해 유지된다. 또한, 충전재(5)가 공간을 채우기 때문에, 전선(W)과 단자(4)의 접속부(42)의 접속 개소가 액밀한 상태로 유지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넥터 하우징(2)의 내면과, 내부 플레이트(3)의 측면과 충전재(5)의 외면 사이에는, 커넥터 하우징(2)의 내면과, 내부 플레이트(3)의 측면과 충전재(5)의 외면 사이에 접촉하도록 개재되고 박리 재료로 구성되는 박리층(release layer, 9)이 전체 둘레에 걸쳐 형성된다. 예를 들어, 박리 재료로 몰드 이형제가 사용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박리층(9)이 단자 수용부(21)의 주변 벽(211)의 후단측 상의 내면(211a)(커넥터 하우징(2)의 내면 중 제2부분)과 내면(211a)에 대항하는 충전재(5)의 외면 사이에 형성된다. 또한, 더욱 구체적으로, 박리층(9)이 내면(211a)(커넥터 하우징(2)의 내면 중 제2부분)과 내면(211a)에 대항하는 내부 플레이트(3)의 측면(3a)에 부착되는 충전재(5)의 외면 사이에 제공된다. 단자 수용부(21)의 주변 벽(211)의 내면 중 충전재(5)에 대항하는 내면(211a)에 박리층(9)이 제공되기 때문에, 충전재(5)가 단자 수용부(21)에 고정되지 않는다. 즉, 충전재(5)가 단자 수용부(21)로부터 박리된다. 또한, 대안적으로, 박리층(9)이 커넥터 하우징(2)의 내면의 일부로 간주될 때, 단자 수용부(21)의 내면(211a)과 충전재(5)가 서로 접촉하고, 충전재(5)과 내면(211a) 사이의 저항 계수(friction coefficient)가 상당히 작고, 마찰 계수가 충전재(5)와 전선 수용부(22)의 내면(22a) 사이의 마찰 계수보다 작은 해석이 허용된다. 또한, 박리층(9)이 단자 수용부(21) 내에 상대 커넥터 하우징(미도시)을 수용하기 위한 공간으로서 기능하는 상대 커넥터 수용 공간(Sd)과 접하도록 형성된다. 다시 말해, 박리층(9)의 일부가 상대 커넥터 수용 공간(Sd)과 접하는 방식으로 형성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러그 부재로 기능하는 고무 플러그(6)가 대략 원형 기둥 형상으로 형성되고 외부 주변부가 플러그 부재 수용부(24)의 내부 주변 벽과 탄성 접촉하는 상태에서 커넥터 하우징(2)의 후단측 개구를 폐쇄하도록 플러그 부재 수용부(24)의 내부로 압입된다. 따라서, 후술하는 충전 단계에서는, 충전 공간(Sa)에 채워지고 경화되기 전의 액체 상태의 충전재(5)가 커넥터 하우징(2)의 후단측 개구를 통해 누출되지 않는 구성이 실현된다. 또한, 이에 의해, 커넥터 하우징(2)의 후단측 개구가 액밀한 방식으로 밀봉된다. 이어서, 고무 플러그(6)에서, 내부 플레이트(3)의 각 윈도우부(31)에 상응하고 전선(W)이 삽입(관통)하는 위아래 방향에서 4개의 피스가 좌우 방향에서 2단으로 형성된 복수의 전선 삽입 홀들(61)이 관통되는 방식으로 고무 플러그(6)의 두께 방향을 따라 형성된다. 이에 의해, 전선(W)의 타단측이 전선 삽입 홀들(61)을 통해 플러그 부재 수용부(24)에 대해 후방 방향으로 인출될 수 있다. 여기서, 각 전선 삽입홀(61)에서, 전후방 방향의 일부분의 내부 직경이 전선(W)의 선경보다 약간 작게 설정된다. 고무 플러그(6)는 전선 삽입 홀들(61)의 내측에 삽입된 전선(W)의 각 외주면과 탄성 접촉하게 되어, 액밀한 밀봉이 고무 플러그(6)와 전선(W) 사이에 이루어진다. 또한, 충전 공간(Sa)에 채워지는 액체 상태의 충전재(5)가 커넥터 하우징(2)의 후단측 개구를 통해 누출되지 않도록 구성된다. 또한, 커넥터 하우징(2)의 후단측 개구가 액밀한 방식으로 밀봉된다.
도 2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밀봉 부재로 기능하는 O-링(8)은 공지의 O-링이고 커넥터 하우징(2)에 고정되도록 밀봉 부재 수용 그루브(25) 상에 감합된다. 이어서, O-링(8)의 외주부는 미션 케이스의 커넥터 수용부의 내주면과 탄성 접촉하여, 미션 케이스와 커넥터 하우징(2) 사이의 액밀한 밀봉이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충전재의 주입 방법을 포함하는 본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1)의 제작 방법을 도 4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이하에 설명한다. 도 4는 코팅 단계에서 얻어진 커넥터(1)의 종단면도이다. 도 5는 내부 플레이트(3)에, 전선(W)이 압착 접속된 단자(4)를 삽입하는 단자 삽입 단계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은 단자 삽입 단계에서 얻어진 내부 플레이트(3)를 코팅 단계에서 얻어진 커넥터 하우징(2)에 삽입하는 내부 플레이트 삽입 단계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7은 고무 플러그(6)를 내부 플레이트 삽입 단계에서 얻어진 커넥터 하우징(2)에 삽입하는 플러그 부재 삽입 단계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8은 O-링(8)을 커넥터 하우징(2)에 부착하는 밀봉 부재 부착 단계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이하, 커넥터(1)의 제작 방법에 대한 설명에서는, 제조에 관한 작업을 작업자가 수행하는 방식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구현 방법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제작에 관한 작업의 일부 또는 전체가 제작 장치에 의해 수행되는 방식이 채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1)의 제작 방법에서, 먼저, 작업자는 박리성 재료로 구성되는 박리재로 커넥터 하우징(2)의 내면을 코팅하는 코팅 단계를 수행한다. 이어서, 작업자는 전선(W)에 접속되는 단자(4)를 압착에 의해 내부 플레이트(3) 내로 삽입하는 단자 삽입 단계를 수행한다. 계속하여, 작업자는 단자 삽입 단계에서 얻어진 내부 플레이트(3)를 코팅 단계에서 얻어진 커넥터 하우징(2) 내로 삽입하는 내부 플레이트 삽입 단계를 수행한다. 이어서, 작업자는 고무 플러그(6)를 내부 플레이트 삽입 단계에서 얻어진 커넥터 하우징(2) 내로 삽입하는 플러그 부재 삽입 단계를 수행한다. 계속하여, 작업자는 플러그 부재 삽입 단계에서 얻어진 커넥터 하우징(2)의 내측에 충전재(5)를 채운 후 충전재(5)를 경화시키는 충전 단계를 수행한다. 이어서, 작업자는 O-링(8)을 충전 단계에서 얻어진 커넥터 하우징(2)에 부착하는 밀봉 부재 부착 단계를 수행한다. 상술한 단계들을 이하에서 하나씩 설명한다.
코팅 단계에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업자가 커넥터 하우징(2)의 내면을 박리성 재료로 구성된 박리재로 코팅한다. 더욱 구체적으로, 작업자는 박리재를 단자 수용부(21)의 주변 벽(211)의 내면(211a) 전체에 걸쳐 도포한다. 그 결과, 박리층(9)이 커넥터 하우징(2)의 내면(211a)의 표면 상에 형성된다. 그 때,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업자는 단차(27)가 박리층(9)의 일 가장자리에 위치되는 방식으로 주변 벽(211)의 내면(211a) 상에 박리재를 도포한다. 이에 의해, 작업자는 박리재를 커넥터 하우징(2)의 내면 위에 도포할 때 박리재가 도포된 영역을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다.
단자 삽입 단계에서, 작업자는 전선(W)과 단자(4) 사이의 압착 접속을 이루기 위해 단자(4)의 접속부(42)를 전선(W)의 일단부에 압착시킨다. 그 후,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업자는 단자(4)를 내부 플레이트(3)에 유지하기 위해 전선(W)에 압착 접속된 단자(4)를 도 5의 뒷측으로부터 내부 플레이트(3)의 윈도우부(31) 내로 삽입한다.
내부 플레이트 삽입 단계에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업자는 단자 삽입 단계에서 얻어진 단자(4)를 유지하는 내부 플레이트(3)를 앞측으로부터 단자 수용부(21)의 단자 수용 공간(Sb) 내로 삽입한다. 그 때, 내부 플레이트(3)의 계지 암들(32 및 32)은 단자 수용부(21)의 주변 벽(211)의 내면 내의 좌우 내면에 형성된 계지 폴들(미도시)과 결합한다. 이에 의해, 내부 플레이트(3)가 커넥터 하우징(2)에 고정된다. 내부 플레이트(3)의 삽입과 관련하여, 전선(W)은 전선 수용부(22)의 전선 수용 공간(Sc)에 수용된다.
플러그 부재 삽입 단계에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업자는 고무 플러그(6)를 내부 플레이트 삽입 단계에서 얻어진 커넥터 하우징(2)의 내측에 삽입한다. 더욱 구체적으로, 작업자는 전선(W)이 전선 삽입 홀(61)에 삽입된 상태에서 고무 플러그(6)의 뒷측으로부터 플러그 부재 수용부(24)의 내측 내로 압입한다. 이에 의해, 고무 플러그(6)가 커넥터 하우징(2)에 고정된다.
충전 단계에서, 작업자는 충전재(5)를 플러그 부재 삽입 단계에서 얻어진 커넥터 하우징(2)의 내측에 채우고 충전재(5)를 경화시킨다. 더욱 구체적으로, 작업자는 포팅재로 기능하는 충전재(5)를 사출하는 노즐을 커넥터 하우징(2)의 앞측에서 커넥터 하우징(2)의 내면과 내부 플레이트(3)사이의 공간 내로 주입한 후, 충전재(5)를 커넥터 하우징(2)의 내측에서 충전 공간(Sa) 내부로 주입하고, 그 후 충전재(5)를 경화시킨다. 그 결과, 전선(W)과 단자(4)의 접속부(42)가 경화된 충전재(5)에 의해 피복된다. 그 때, 충전재(5)는 전선 수용부(22)의 내면(22a), 내부 플레이트(3)의 측면들(3a 및 3b) 및 도 2에서 전단측 상의 고무 플러그(6)의 측면(6a)에 부착된다. 한편, 충전재(5)는 박리재(9)가 표면에 형성된 커넥터 하우징(2)의 내면 내의 내면(211a)에는 부착되지 않는다.
상술한 코팅 단계 및 충전 단계를 포함하는 충전재의 주입 방법에 따르면, 충전재(5)가 커넥터 하우징(2)의 내측에 채워져, 커넥터 하우징(2)의 내면, 내부 플레이트(3)의 측면(3a) 및 충전재(5)의 외면 사이에, 커넥터 하우징(2)의 내면, 내부 플레이트(3)의 측면(3a) 및 충전재(5)의 외면과 접촉하여 개재되는 박리층(9)이 형성된다.
밀봉 부재 부착 단계에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업자는 O-링(8)을 충전 단계에서 얻어진 커넥터 하우징(2)에 부착한다.
상술한 일련의 단계들에 의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넥터 하우징(2)의 내면, 내부 플레이트(3)의 측면(3a) 및 충전재(5)의 외면 사이에, 커넥터 하우징(2)의 내면, 내부 플레이트(3)의 측면(3a) 및 충전재(5)의 외면과 접촉하여 개재되는 박리층(9)이 형성되는 커넥터(1)가 제작된다. 더욱 구체적으로, 단자 수용부(21)의 내면(211a)과 내면(211a)에 대항하는 충전재(5)의 외면 사이에, 단자 수용부(21)의 내면(211a)과 내면(211a)에 대항하는 충전재(5)의 외면과 접촉하여 개재되는 박리층(9)이 형성되는 커넥터(1)가 제작된다.
이하에서는, 본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1)와 충전재의 주입 방법의 작용 및 효과에 대해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1)는, 관형 형상을 갖는 커넥터 하우징(2); 전선(W)의 일단부에 접속되는 단자(4)를 지지하고 커넥터 하우징(2)의 내측에 수용되는 내부 플레이트(3); 및 내부 플레이트(3)를 이미 수용하는 커넥터 하우징(2)의 내측을 채운 후 전선(W)과 단자(4)의 접속부(42)를 피복하도록 경화되는 충전재(5)를 포함하고, 충전재(5)는 커넥터 하우징(2)의 내면 내의 제1부분으로 기능하는 전선 수용부(22)의 내면(22a)과 내부 플레이트(3)의 측면(3a)에 부착되고, 커넥터 하우징(2)의 내면 내의 제2부분으로 기능하는 내면(211a)과 내면(211a)에 대항하는 충전재(5)의 외면 사이에는, 박리성 재료로 구성되고 내면(211a)과 충전재(5)의 외면과 접촉하여 개재되는 박리층(9)이 형성된다.
이에 의해, 내면(211a)과 내면(211a)에 대항하는 충전재(5)의 외면은 박리성 재료로 구성되고 내면(211a)과 충전재(5)의 외면 사이에 접촉되어 개재되는 박리층(9)에 의해 서로 이간된다. 따라서, 박리층(9)이 없는 경우와 비교할 때, 커넥터 하우징(2)에 의한 충전재(5)의 구속 정도가 완화된다. 따라서, 박리층(9)이 없는 경우와 비교할 때, 커넥터(1)의 주위 온도가 변화할 때 충전재(5)의 자유 팽창과 자유 수축할 수 있는 양이 증가한다. 이는 충전재(5)에 발생되는 열 응력을 감소시키고, 이에 따라 충전재(5)가 피로해지고 열화되는 것이 억제된다. 또한, 충전재(5)에 발생되는 열 충격이 감소된다. 따라서, 충전재(5)에서 균열의 발생이 억제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1)에 따르면, 커넥터 하우징(2)의 내측을 채우는 충전재(5)에 균열이 발생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는 커넥터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균열이 쉽게 발생하는 종래 기술의 커넥터에서는, 커넥터 하우징(2)의 내측의 액밀 특성을 확보하기 위해, 고무 플러그(6)의 밀봉 특성을 증가시킬 필요가 있어 비용 증가가 야기되었다. 이에 반해, 본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1)에 따르면, 균열의 발생이 억제된다. 따라서, 고무 플러그(6)가 충전재(5)에 의해 충전될 때 뚜껑으로서만 기능하면 충분하다. 이는 고무 플러그(6)의 아주 높은 밀봉 특성 요구를 피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1)에 따르면, 제작 비용이 감소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1)에서, 커넥터 하우징(2)의 내면 내의 제2부분으로 기능하는 내면(211a)과 내면(211a)에 대항하는 내부 플레이트(3)의 측면(3a)의 일부에 부착되는 충전재(5)의 외면 사이에 박리층(9)이 제공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에서, 박리층(9)이 형성되는 부분은 상술한 바와 같이 균열이 쉽게 발생하는 부분이다. 그러나, 박리층(9)이 그 부분에 형성되기 때문에, 충전재(5)에 균열의 발생이 억제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1)에서는, 커넥터 하우징(2)의 내측 내에 상대 커넥터 하우징을 수용하기 위한 공간으로 기능하는 상대 커넥터 수용 공간(Sd)과 접하도록 박리층(9)이 형성된다.
이에 의해, 박리층(9)이 상대 커넥터 수용 공간(Sd)과 접하도록 형성되기 때문에, 박리층(9)이 쉽게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커넥터 하우징(2)에 의해 충전재(5)의 구속 정도가 완화된다. 이는 충전재(5)에 발생되는 열 응력을 감소시키고, 이에 따라, 충전재(5)에 균열의 발생을 억제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충전재의 주입 방법은, 관형 형상을 갖는 커넥터 하우징(2)의 내면 중의 일부로 기능하는 내면(211a)에 박리성 재료로 구성된 박리재를 코팅하는 코팅 단계; 및 전선(W)의 일단부에 접속된 단자(4)를 지지하기 위한 내부 플레이트(3)가 이미 수용된 커넥터 하우징(2)의 내측에 충전재(5)를 채워, 충전재(5)가 단자(4)와 전선(W)의 접속부(42)를 피복하고, 충전재(5)를 경화하여 충전재(5)가 커넥터 하우징(2)의 내면 중 다른 부분으로 기능하는 내면(22a)과 내부 플레이트(3)의 측면(3a)에 부착되어 충전재(5)가 박리재와 접촉하게 되는, 충전 단계를 포함한다.
이에 의해, 충전재(5)가 커넥터 하우징(2)의 내측에 채워져, 박리층(9)이 내면(211a)과 내면(211a)에 대항하는 충전재(5)의 측면(3a) 사이에 형성된다. 그 결과, 충전재(5)에 발생하는 열 응력이 감소되어, 충전재(5)의 피로도와 열화가 억제된다. 이는 충전재(5)에서 균열의 발생을 억제한다.
본 실시예의 충전재의 주입 방법에 따르면, 커넥터 하우징(2)의 내측을 채우는 충전재(5)에 균열이 발생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는 충전재 주입 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충전재 주입 방법을 포함하는 커넥터(1)의 제작 방법에 따르면, 커넥터 하우징(2)의 내측을 채우는 충전재(5)에 균열이 발생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는 커넥터 제작 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상술한 실시예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술한 실시예에서, 다양한 변형, 개선 등이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 내에서 만들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1)는, 충전재(5)가 전선 수용부(22)의 내면(22a) 전체에 고정되고 박리층(9)이 단자 수용부(21)의 내면(211a)과 내면(211a)에 대항하는 충전재(5)의 외면 사이에 형성되는 구성을 갖는다. 그 대신에, 박리층(9)이 제공되는 위치가 커넥터 하우징(2)의 내면 내의 다른 위치에 놓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충전재(5)가 전선 수용부(22)의 내면(22a)의 일부에 고정되고 박리층(9)이 전선 수용부(22)의 내면(22a)의 다른 부분과 내면(22a)의 다른 부분에 대항하는 충전재(5)의 외면 사이에 형성되는 구성을 채용할 수 있다. 또한, 이 경우, 본 실시예에서 커넥터 하우징(2)의 내면 내의 제2부분으로 기능하는 단자 수용부(21)의 내면(211a)이 충전재(5)에 고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은 2012년 6월 21일자로 출원된 일본 특허출원 제2012-140196호에 기초한 것으로, 그 내용은 여기에 참조로서 포함된다.
[산업상 이용가능성]
본 발명의 커넥터 및 충전재의 주입 방법은 커넥터 하우징의 내측을 채우는 충전재에 균열이 발생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는 점에서 유용하다.
1: 커넥터
2: 커넥터 하우징
21: 단자 수용부
211: 주변 벽
211a: 내면(제2부분)
22: 전선 수용부
22a: 내면
23: 브라켓부
23a: 볼트 삽입 홀
24: 플러그 부재 수용부
25: 밀봉 부재 수용 그루브
26: 계지 돌기
27: 단차(돌출부)
3: 내부 플레이트
3a: 측면
3b: 측면
31: 윈도우부
32: 계지 암
33: 계지부
4: 단자
41: 선단부
42: 접속부
5: 충전재
6: 고무 플러그
6a: 측면
61: 전선 삽입 홀
8: 0-링
9: 박리층
W: 전선
Sa: 충전 공간
Sb: 단자 수용 공간
Sc: 전선 수용 공간
Sd: 상대 커넥터 수용 공간

Claims (4)

  1. 커넥터로서,
    관형 형상을 갖는 커넥터 하우징;
    전선의 일단부에 접속되는 단자를 지지하고 상기 커넥터 하우징의 내측에 수용되는 내부 플레이트; 및
    상기 내부 플레이트를 수용하는 커넥터 하우징의 내측을 채운 후 단자와 전선의 접속부를 피복하도록 경화되는 충전재를 포함하고,
    상기 충전재는 상기 커넥터 하우징의 내면 내의 제1부분 및 상기 내부 플레이트의 외면에 부착되고,
    상기 커넥터 하우징의 내면 내의 제2부분과 상기 제2부분에 대항하는 충전재의 외면 사이에, 제2부분과 충전재의 외면과 접촉하여 개재되고, 박리성 재료로 구성된 박리층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박리층은, 상기 제2부분과 상기 제2부분과 대항하는 내부 플레이트의 외면의 일부에 부착되는 충전재의 외면 사이에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박리층은 커넥터 하우징의 내부에서 상대 커넥터 하우징을 수용하기 위한 공간과 접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4. 충전재의 주입 방법으로,
    관형 형상을 갖는 커넥터 하우징의 내면 중의 일부에 박리성 재료로 구성된 박리재를 코팅하는 코팅 단계; 및
    전선의 일단부에 접속된 단자를 지지하기 위한 내부 플레이트가 수용되는 커넥터 하우징의 내측에 충전재를 채워, 상기 충전재가 단자와 전선의 접속부를 피복하고, 충전재를 경화하여 충전재가 커넥터 하우징의 내면 중 다른 부분과 내부 플레이트의 외면에 부착되어 충전재가 박리재와 접촉하게 되는, 충전 단계를 포함하는 충전재의 주입 방법.
KR1020147035420A 2012-06-21 2013-06-12 커넥터 및 충전재의 주입 방법 KR2015001099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2-140196 2012-06-21
JP2012140196A JP5882843B2 (ja) 2012-06-21 2012-06-21 コネクタ、及び充填材の注入方法
PCT/JP2013/066219 WO2013191057A1 (ja) 2012-06-21 2013-06-12 コネクタ、及び充填材の注入方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10999A true KR20150010999A (ko) 2015-01-29

Family

ID=497686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35420A KR20150010999A (ko) 2012-06-21 2013-06-12 커넥터 및 충전재의 주입 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9379480B2 (ko)
JP (1) JP5882843B2 (ko)
KR (1) KR20150010999A (ko)
CN (1) CN104396093B (ko)
DE (1) DE112013003098T5 (ko)
WO (1) WO2013191057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170808A (zh) * 2019-05-09 2019-08-27 叶连波 一种汽车线束回收用端子拆除装置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5005422A (ja) * 2013-06-21 2015-01-08 矢崎総業株式会社 コネクタ
USD733064S1 (en) * 2014-04-28 2015-06-30 Bridgeport Fittings, Inc. Push-on type grounding bushing
DE102014211593A1 (de) 2014-06-17 2015-12-17 Conti Temic Microelectronic Gmbh Bauteil mit zumindest einer Öffnung
WO2017005938A1 (en) 2015-07-09 2017-01-12 Dispensing Technologies B.V. System for dosed dispensing of a fluid and method of manufacturing
JP6299719B2 (ja) * 2015-10-01 2018-03-28 住友電装株式会社 コネクタ
FR3046502B1 (fr) * 2016-01-06 2019-08-30 Amphenol - Air Lb Connecteur resistant aux decharges partielles
JP6527905B2 (ja) * 2017-05-17 2019-06-05 矢崎総業株式会社 グリス塗布用接触バネ保持治具
US20190157776A1 (en) * 2017-11-22 2019-05-23 Delphi Technologies Ip Limited Pass-through cable connector assembly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DE102019132506A1 (de) * 2019-11-29 2021-06-02 Valeo Siemens Eautomotive Germany Gmbh Getriebeeinrichtung für ein elektrisch antreibbares Fahrzeug, Antriebseinrichtung für ein elektrisch antreibbares Fahrzeug und Fahrzeug
WO2023161146A1 (de) * 2022-02-25 2023-08-31 Hirschmann Automotive Gmbh Einbaubuchse und einbaustecker
CN117202745B (zh) * 2023-11-07 2024-03-19 惠科股份有限公司 发光单元、显示面板的制作方法和显示面板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77874A (ja) * 1996-12-18 1998-06-30 Nec Corp 水密型コネクタ
JP2002270283A (ja) * 2001-03-08 2002-09-20 Yazaki Corp 防液コネクタ
JP2005005177A (ja) * 2003-06-13 2005-01-06 Yazaki Corp ケーブルとハウジング間の防水装置
JP2012059652A (ja) * 2010-09-13 2012-03-22 Yazaki Corp コネクタ
JP2012089340A (ja) * 2010-10-19 2012-05-10 Sumitomo Wiring Syst Ltd 機器用コネクタ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083902A (en) * 1977-01-10 1978-04-11 Raychem Corporation Method of sealing a connector
JP3010413B2 (ja) * 1994-09-19 2000-02-21 矢崎総業株式会社 コネクタ装置
JP3449865B2 (ja) * 1996-07-31 2003-09-22 矢崎総業株式会社 自動変速機用配線コネクタ
JP4680231B2 (ja) 2007-04-18 2011-05-11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コネクタ
DE102008031085A1 (de) * 2008-07-01 2010-01-14 Nexans Kupplungsteil für eine elektrische Leitung
CN101609955B (zh) * 2009-07-22 2011-11-02 鹤山丽得电子实业有限公司 一种防水电源接头的制作方法及采用该方法的防水接头
GB2478777B (en) * 2010-03-18 2015-05-20 Cable Man Products Ltd Barrier for a barrier connector
JP2012059653A (ja) * 2010-09-13 2012-03-22 Yazaki Corp コネクタ及びその製造方法
JP5788658B2 (ja) * 2010-10-14 2015-10-07 矢崎総業株式会社 コネクタ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77874A (ja) * 1996-12-18 1998-06-30 Nec Corp 水密型コネクタ
JP2002270283A (ja) * 2001-03-08 2002-09-20 Yazaki Corp 防液コネクタ
JP2005005177A (ja) * 2003-06-13 2005-01-06 Yazaki Corp ケーブルとハウジング間の防水装置
JP2012059652A (ja) * 2010-09-13 2012-03-22 Yazaki Corp コネクタ
JP2012089340A (ja) * 2010-10-19 2012-05-10 Sumitomo Wiring Syst Ltd 機器用コネクタ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170808A (zh) * 2019-05-09 2019-08-27 叶连波 一种汽车线束回收用端子拆除装置
CN110170808B (zh) * 2019-05-09 2020-11-03 浙江辛巴达机器人科技有限公司 一种汽车线束回收用端子拆除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112013003098T5 (de) 2015-03-12
JP2014006987A (ja) 2014-01-16
CN104396093A (zh) 2015-03-04
US9379480B2 (en) 2016-06-28
WO2013191057A1 (ja) 2013-12-27
CN104396093B (zh) 2016-10-26
JP5882843B2 (ja) 2016-03-09
US20150140848A1 (en) 2015-05-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50010999A (ko) 커넥터 및 충전재의 주입 방법
CN101390260B (zh) 连接器壳体的防水结构
JP5477653B2 (ja) 機器用コネクタ
US7285003B2 (en) Harsh environment connector including end cap and latching features and associated methods
US20070155237A1 (en) Harsh environment connector including single-level or dual-level bladder and associated methods
CN104852203A (zh) 用于车辆的防水连接器
KR20190025912A (ko) 내연기관의 노크 센서를 위한 내고온성 플러그 커넥터
JP5327100B2 (ja) ジョイントコネクタ
JP5995105B2 (ja) コネクタ
JP5056574B2 (ja) コネクタ
WO2018008361A1 (ja) コネクタ
JP3060363B2 (ja) 樹脂充填コネクタの電線保護構造
JP5965738B2 (ja) コネクタ、及び充填材の注入方法
JP2015022976A (ja) コネクタ
WO2020149187A1 (ja) コネクタ、およびコネクタ構成体
JP2006190608A (ja) 防水コネクタ
JP2006252888A (ja) コネクタ及び保護栓
JP2017050094A (ja) コネクタの防水構造
JP2013235736A (ja) インナプレート、及びコネクタ
KR101790602B1 (ko) 통합형 케이블 어셈블리
JP5557032B2 (ja) 機器用コネクタ
US20230121706A1 (en) Method for manufacturing terminal-equipped electric wire
JP5691982B2 (ja) 外部接続が可能な電子回路ユニット
JP6227579B2 (ja) コネクタの防水構造
US20230123706A1 (en) Method for manufacturing terminal-equipped electric wir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