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09754A - 누유 방지 에어브리더 - Google Patents

누유 방지 에어브리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09754A
KR20150009754A KR20130084078A KR20130084078A KR20150009754A KR 20150009754 A KR20150009754 A KR 20150009754A KR 20130084078 A KR20130084078 A KR 20130084078A KR 20130084078 A KR20130084078 A KR 20130084078A KR 20150009754 A KR20150009754 A KR 2015000975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breather
air
screw portion
cap
breath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0840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89080B1 (ko
Inventor
이우혁
Original Assignee
현대다이모스(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다이모스(주) filed Critical 현대다이모스(주)
Priority to KR201300840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89080B1/ko
Publication of KR201500097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097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890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890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7/00General details of gearing
    • F16H57/02Gearboxes; Mounting gearing therein
    • F16H57/027Gearboxes; Mounting gearing therein characterised by means for venting gearboxes, e.g. air breath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7/00General details of gearing
    • F16H57/02Gearboxes; Mounting gearing therein
    • F16H57/029Gearboxes; Mounting gearing therein characterised by means for sealing the gearboxes, e.g. to improve airtightnes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Details Of Gear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누유방지 에어브리더에 관한 것으로, 에어브리더 바디, 에어브리더 바디를 상하로 관통하여 형성되고 상기 케이스의 내부와 연통하는 공기통로, 에어브리더 바디의 중앙부 외주면을 따라 돌출 형성되는 제1 걸림턱, 에어브리더 바디의 상부에 결합되는 에어브리더 캡, 에어브리더 캡의 하부 내측면에 형성되는 제1 나사부, 제1 나사부와 대응 결합하며 에어브리더 바디의 외주면 일측에 형성되는 제2 나사부를 포함하는 누유 방지 에어브리더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누유 방지 에어브리더{AIR BREATHER FOR PREVENTION OIL LEAK}
본 발명은 압력해소가 필요한 장치에 설치되는 누유 방지 에어브리더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클로즈드 타입의 에어브리더에 제1 나사부와 제2 나사부를 형성하고 상호 체결하여 반전조립 또는 납품이동시 누유를 방지하는 누유 방지 에어브리더에 관한 것이다.
예를 들어, 동력전달장치의 케이스에는 내부에서 발생된 압력을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해 에어브리더가 설치된다.
에어브리더는 압력 보상 기능을 주기능으로 하는 장치로서, 동력전달장치의 케이스 내부에서 발생된 정압 또는 부압을 대기압 수준으로 보상하는 역할과 동력전달장치의 내부에 이물질과 수분의 유입 또는 내부 오일의 유출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보통 에어브리더는 노멀 오픈 타입과 노멀 클로즈드 타입으로 분류할 수 있다.
노멀 오픈 타입 에어브리더는 에어브리더 바디 상측의 에어브리더 캡이 동력전달장치의 케이스 내부를 대기중과 항상 연통상태로 유지하여 외부로부터의 이물질을 차단한다.
하지만 에어브리더 캡이 빗물과 같이 수직으로 낙하하는 이물질과 수분에 대해서만 한정적으로 보호기능을 발휘하도록 되어있으므로, 고압 세차 등과 같은 특수 상황일 경우, 에어브리더를 통해 이물질과 수분이 유입될 가능성이 높은 단점이 있다.
노멀 클로즈드 타입 에어브리더는 에어브리더에 의해 동력전달장치의 내부가 기본적으로 외부와 차단된 상태이고, 동력전달장치의 내부 압력이 상승할 경우, 스프링을 압축시키면서 에어브리더의 밸브가 열려서 동력전달장치의 내부 압력을 대기중으로 배출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동력전달장치 케이스의 내부 공기가 외부로 방출될 때에 공기와 함께 윤활유가 방출되어서 동력전달장치 케이스과 주변 부품들을 오염시킬 뿐만 아니라 외관미를 저하시키는 단점이 있다.
이러한 종래 노멀 클로즈드 타입 에어브리더의 단점을 보완한 일 예가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10-0006390호(특허문헌1)에 개시되어 있다.
특허문헌1은 리어액슬 케이스에 설치되는 에어브리더에 관한 것으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어액슬 케이스(미도시)을 관통해서 조립되는 에어브리더 바디(10), 에어브리더 바디(10)의 상부에 결합되는 에어브리더 캡(20), 에어브리더 바디(10)를 상하로 관통해서 형성되고 리어액슬 케이스(미도시)의 내부와 연통하는 공기통로(11), 공기통로(11)의 포트(12)를 개폐하는 고무재질의 개폐밸브(30), 개폐밸브(30)와 에어브리더 캡(20) 사이에 설치되는 이중 스프링(40), 에어브리더 바디(10)의 상단에 공기통로(11)와 연통하는 공기구멍(13)을 포함하며 구성된다.
리어액슬 케이스(미도시)에 조립시, 리어액슬 케이스(미도시)의 내부가 공기통로(11)와 에어브리더 바디(10)에 형성된 공기구멍(13)을 통해 항상 대기와 연통되어 있어서 리어액슬 케이스(미도시)의 내부 공기압이 급작스럽게 상승할 염려가 없고, 에어브리더 바디(10)의 포트(12)를 개폐하는 개폐밸브(30)를 탄성계수가 상이한 이중 스프링(40)으로 지지하여 리어액슬 케이스 내부의 공기압에 의한 급작스런 포트(12)의 개방을 방지하여 공기와 함께 윤활 오일이 방출될 위험이 저감되고, 이에 따라 윤활 오일의 누유로 인한 주변 부품의 오염과 외관미의 저하를 방지하며, 윤활 부족으로 인한 부품의 손상 및 내구성 저하를 예방하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노멀 클로즈드 타입 에어브리더는 반전조립 및 납품이동시 공기통로로부터 에어브리더 바디와 에어브리더 캡 사이에 형성되어 있는 공기배출구를 통해 내부의 오일이 외부로 누출되는 단점이 있다.
KR 10-2013-0121773 A (2012.11.06 공개)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클로즈드 타입의 에어브리더에 제1 나사부와 제2 나사부를 형성하고 상호 체결하여, 반전조립 및 납품이동시 누유를 방지하는 에어브리더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의하면, 에어브리더 바디, 에어브리더 바디를 상하로 관통하여 형성되고 케이스의 내부와 연통하는 공기통로, 에어브리더 바디의 중앙부 외주면을 따라 돌출 형성되는 제1 걸림턱, 에어브리더 캡의 하부 내측면에 형성되는 제1 나사부, 제1 나사부와 대응 결합하며 에어브리더 바디의 외주면 일측에 형성되는 제2 나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유 방지 에어브리더가 제공된다.
여기서, 에어브리더 바디의 상부 외주면을 따라 제2 걸림턱이 돌출 형성된다.
이때, 제2 걸림턱의 상단에 고무패킹이 설치된다.
한편, 에어브리더 바디의 상단과 에어브리더 캡 사이에 스프링이 설치된다.
또한, 에어브리더 캡의 내부 일측면과 제2 걸림턱의 외주면 사이에 공기 배출구가 형성된다.
또한, 제1 걸림턱과 제2 걸림턱 사이에 제2 나사부가 형성된다.
이때, 제1 나사부와 제2 나사부 상호 체결시 에어브리더 캡과 에어브리더 바디가 상호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누유방지 에어브리더에 의하면, 에어브리더에 제1 나사부와 제2 나사부를 형성하고 상호 체결함으로써, 반전조립 및 납품이동시 누유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사양의 치수 및 탑재성을 기존 에어브리더와 동일하게 구성하여 기존 에어브리더가 적용되는 모든 차량에 적용 가능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클로즈드형 에어브리더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누유방지 에어브리더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누유방지 에어브리더의 제1 나사부와 제2 나사부가 상호 체결된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누유방지 에어브리더의 제1 나사부와 제2 나사부가 상호 분리된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
이하, 본 발명인 누유 방지 에어브리더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하여 내려져야 할 것이다.
실시예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누유방지 에어브리더 단면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누유방지 에어브리더(100)는 에어브리더 바디(110), 에어브리더 바디(110)를 상하로 관통하여 형성되고 케이스(미도시)의 내부와 연통하는 공기통로(120), 에어브리더 바디(110)의 중앙부 외주면을 따라 돌출 형성되는 제1 걸림턱(130), 에어브리더 캡(200)의 하부 내측면에 형성되는 제1 나사부(600), 제1 나사부(600)와 대응 결합하며 에어브리더 바디(110)의 외주면 일측에 형성되는 제2 나사부(61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에어브리더 바디(110)는 파이프 형상으로 제작되며 압력해소가 필요한 장치에 조립된다.
공기통로(120)는 에어브리더 바디(110)를 상하로 관통하여 형성되며, 압력해소가 필요한 장치의 케이스(미도시) 내부와 연통하는데 압력해소시 케이스(미도시) 내부 공기가 공기통로(120)를 통해 이동하게 된다.
제1 걸림턱(130)은 에어브리더 바디(110)의 중앙부 외주면을 따라 돌출 형성되며, 압력해소가 필요한 장치에 에어브리더 바디(110) 장착시, 케이스(미도시) 외측에 안착되어 에어브리더 바디(110)가 케이스(미도시)에 정확하게 장착되도록 안내하게 된다.
제2 걸림턱(140)은 에어브리더 바디(110)의 상부 외주면을 따라 돌출 형성되며, 공기통로(120)의 면적보다 넓은 고무패킹(300)을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때, 고무패킹(300)은 제2 걸림턱(140)의 상단과 스프링(400) 사이에 설치되며, 내부 압력과 외부 압력간의 압력차에 의해 포트(121)를 개폐한다.
이때, 스프링(400)은 고무패킹(300)을 제2 걸림턱(140) 방향으로 가압 지지한다.
에어브리더 캡(200)은 에어브리더 바디(110)의 상부에 결합되어 내부에 스프링(400), 고무패킹(300), 제2 걸림턱(140)을 수용하며, 수직하게 낙하하는 이물질이 공기통로(120)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때, 에어브리더 캡(200)의 하부 내측면에 제1 나사부(600)가 형성된다.
제2 나사부(610)는 에어브리더 바디(110)의 외주면 일측에 형성되며, 반전조립 및 납품이동시 제1 나사부(600)와 상호 체결되어 에어브리더 바디(110)와 에어브리더 캡(200)이 상호 결합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누유방지 에어브리더(100)는 다음과 같이 작동한다.
예를 들어, 동력전달장치 구동시, 고무패킹(300)의 상부 압력과 하부 압력 간의 압력 차가 평행상태인 경우, 고무패킹(300)은 스프링(400)의 가압에 의해 수평한 플랫 상태를 유지한다.
반면, 동력전달장치의 케이스 내부에 정압이 발생하는 경우, 고무패킹(300)의 하부 압력이 상부 압력보다 큰 값을 갖게 되어, 고무패킹(300)의 하부에 작용하는 작용 하중에 의해 고무패킹(300)이 상승하면서 공기통로(120)에서 흡입된 공기가 포트(121)와 제2 걸림턱(140)의 상단 외측을 거쳐 공기배출구(500)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누유방지 에어브리더의 제1 나사부와 제2 나사부가 상호 체결된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누유방지 에어브리더의 제1 나사부와 제2 나사부가 상호 분리된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과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전조립 및 납품이동시 제1 나사부(600)와 제2 나사부(610)를 상호 체결하여, 에어브리더 바디(110)와 에어브리더 캡(200)을 상호 결합시켜 누유를 방지한다.
이때, 스프링(400) 압축으로 인해 고무패킹(300)과 제2 걸림턱(140) 사이의 간격이 제거되면서 1차적으로 누유를 방지하고, 제1 나사부(600)와 제2 나사부(610) 상호 체결에 의해 에어브리더 바디(110)와 에어브리더 캡(200)이 상호 결합하면서 에어브리더 캡(200)과 제2 걸림턱(140) 사이에 형성되어 있는 공기배출구(500)의 하단부가 폐쇄되어 2차적으로 누유를 방지한다.
한편, 반전조립 및 납품이동 후에는 에어브리더 바디(110)의 제2 나사부(610)와 에어브리더 캡(200)의 제1 나사부(610)를 상호 분리시켜 에어브리더 본연의 기능을 수행하도록 한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누유방지 에어브리더에 의하면, 반전조립 및 납품이동시 제1 걸림턱(130)의 하부 내측면에 형성되는 제1 나사부(600)와 에어브리더 바디(110)의 외주면 일측에 형성되는 제2 나사부(610)의 상호 체결에 의해 에어브리더 바디(110)와 에어브리더 캡(200)이 상호 결합하면서 누유를 방지하고, 반전조립 및 납품이동 후에는 제1 나사부(600)와 제2 나사부(610)의 상호 분리에 의해, 에어브리더 바디(110)와 에어브리더 캡(200)이 상호 분리되면서 에어브리더(100) 본연의 기능을 수행하게 되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가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0 : 에어브리더
110 : 에어브리더 바디
120 : 공기통로
121 : 포트
130 : 제1 걸림턱
140 : 제2 걸림턱
200 : 에어브리더 캡
300 : 고무패킹
400 : 스프링
500 : 공기배출구
600 : 제1 나사부
610 ; 제2 나사부

Claims (7)

  1. 압력해소가 필요한 장치의 케이스에 설치되는 에어브리더에 있어서,
    에어브리더 바디;
    상기 에어브리더 바디를 상하로 관통하여 형성되고 상기 케이스의 내부와 연통하는 공기통로;
    상기 에어브리더 바디의 중앙부 외주면을 따라 돌출 형성되는 제1 걸림턱; 및
    상기 에어브리더 바디의 상부에 결합되는 에어브리더 캡을 포함하고, 상기 에어브리더 캡의 하부 내측면에 제1 나사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1 나사부와 대응 결합하는 제2 나사부가 상기 에어브리더 바디의 외주면 일측에 형성되는 누유 방지 에어브리더.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에어브리더 바디의 상부 외주면을 따라 제2 걸림턱이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유 방지 에어브리더.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2 걸림턱의 상단에 고무패킹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유 방지 에어브리더.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에어브리더 바디의 상단과 상기 에어브리더 캡 사이에 스프링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유 방지 에어브리더.
  5.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에어브리더 캡의 내부 일측면과 상기 제2 걸림턱의 외주면 사이에 공기 배출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유 방지 에어브리더.
  6.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2 나사부는 상기 제1 걸림턱과 상기 제2 걸림턱 사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유 방지 에어브리더.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나사부와 상기 제2 나사부 상호체결시 상기 에어브리더 캡과 상기 에어브리더 바디가 상호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유 방지 에어브리더.
KR20130084078A 2013-07-17 2013-07-17 누유 방지 에어브리더 KR1014890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84078A KR101489080B1 (ko) 2013-07-17 2013-07-17 누유 방지 에어브리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84078A KR101489080B1 (ko) 2013-07-17 2013-07-17 누유 방지 에어브리더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9754A true KR20150009754A (ko) 2015-01-27
KR101489080B1 KR101489080B1 (ko) 2015-02-02

Family

ID=524818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084078A KR101489080B1 (ko) 2013-07-17 2013-07-17 누유 방지 에어브리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89080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02633A (ko) 2019-02-22 2020-09-0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에어브리더 장치
KR20200107596A (ko) 2019-03-08 2020-09-1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에어브리더용 누유방지 장치
KR20200109483A (ko) 2019-03-13 2020-09-2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에어브리더용 누유방지 장치
KR20230055577A (ko) 2021-10-19 2023-04-26 현대트랜시스 주식회사 에어브리더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60178B1 (ko) 2017-07-27 2019-03-19 현대위아 주식회사 오픈형 에어 브리더 및 이를 포함하는 ptu 하우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06438U (ko) * 1997-07-26 1999-02-25 양재신 차량용 윤활장치의 에어브리더
JP2008303717A (ja) 2007-06-05 2008-12-18 Calsonic Kansei Corp ラジエータキャップの安全機構
KR20090000406A (ko) * 2007-06-28 2009-01-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의 변속기용 에어 브리더
JP5812824B2 (ja) * 2011-11-29 2015-11-17 富士重工業株式会社 ブリーザ装置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02633A (ko) 2019-02-22 2020-09-0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에어브리더 장치
KR20200107596A (ko) 2019-03-08 2020-09-1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에어브리더용 누유방지 장치
KR20200109483A (ko) 2019-03-13 2020-09-2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에어브리더용 누유방지 장치
KR20230055577A (ko) 2021-10-19 2023-04-26 현대트랜시스 주식회사 에어브리더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89080B1 (ko) 2015-02-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89080B1 (ko) 누유 방지 에어브리더
TWI467103B (zh) Pneumatic cylinder device
TW201806830A (zh) 飲料用容器及其瓶蓋結構
JP5812824B2 (ja) ブリーザ装置
EP1314896A2 (en) Reservoir having a ventilating structure
US20170328619A1 (en) Oil refill container
EP3594040B1 (en) A seal structuring with wing for urea and fuel tank lids
JP2010275902A (ja) リザーブタンク用キャップ
JP4820399B2 (ja) リザーバタンクとキャップの取付構造
KR101571243B1 (ko) 차량용 오일 탱크의 공기 순환형 에어 브리더
US9212730B2 (en) Tensioner for a traction device having an overpressure valve with a sealing cage, and traction device drive having a such tensioner
US20080110697A1 (en) Drain cock of engine oil pan for vehicle
KR20150076489A (ko) 변속기의 에어 브리더 장치
KR101622129B1 (ko) 충진밸브 어셈블리
KR102126655B1 (ko) 변속기의 에어브리더
KR101593933B1 (ko) 자동차용 연료 주유구 덮개
CN110966162B (zh) 密封盖
JP3211201B2 (ja) 電気チェーンブロック用オイルキャップ
US20220126683A1 (en) Pressure relief assembly and a valve assembly that uses the pressure relief assembly
KR101619107B1 (ko) 자동변속기의 오일 레벨 확인장치
CN216494850U (zh) 一种苏打水机
KR101205478B1 (ko) 건설중장비용 연료탱크 누유방지구조
KR20110058748A (ko) 냉각수 리저버탱크용 캡
CN215891288U (zh) 防漏减压组件及防漏减压阀装置
JPS5933836Y2 (ja) 冷媒チヤ−ジバルブ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2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2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