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07561A - 환봉 절단장치 - Google Patents

환봉 절단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07561A
KR20150007561A KR1020130081687A KR20130081687A KR20150007561A KR 20150007561 A KR20150007561 A KR 20150007561A KR 1020130081687 A KR1020130081687 A KR 1020130081687A KR 20130081687 A KR20130081687 A KR 20130081687A KR 20150007561 A KR20150007561 A KR 2015000756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und bar
cutting
cutter
coupled
slide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816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67761B1 (ko
Inventor
정재석
Original Assignee
호성기계공업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호성기계공업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호성기계공업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816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67761B1/ko
Publication of KR201500075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075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677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677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DPLANING; SLOTTING; SHEARING; BROACHING; SAWING; FILING; SCRAPING; LIKE OPERATIONS FOR WORKING METAL BY REMOVING MATERIAL,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D15/00Shearing machines or shearing devices cutting by blades which move parallel to themselves
    • B23D15/04Shearing machines or shearing devices cutting by blades which move parallel to themselves having only one moving blad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DPLANING; SLOTTING; SHEARING; BROACHING; SAWING; FILING; SCRAPING; LIKE OPERATIONS FOR WORKING METAL BY REMOVING MATERIAL,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D15/00Shearing machines or shearing devices cutting by blades which move parallel to themselves
    • B23D15/12Shearing machines or shearing devices cutting by blades which move parallel to themselves characterised by drives or gearing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DPLANING; SLOTTING; SHEARING; BROACHING; SAWING; FILING; SCRAPING; LIKE OPERATIONS FOR WORKING METAL BY REMOVING MATERIAL,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D33/00Accessories for shearing machines or shearing devices
    • B23D33/02Arrangements for holding, guiding, and/or feeding work during the oper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hearing Machi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환봉 절단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공급된 환봉을 절단하고자 하는 임의 길이로 조절한 상태에서 길이가 조절된 환봉을 사이에 두고 상부커터와 하부커터가 상,하 교차작동하여 연속적으로 환봉을 절단하는 소재절단수단을 이용해 간편하게 환봉의 절단작업을 수행하여 작업의 효율성이 향상되게 하는 환봉 절단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와 같은 목적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공급된 환봉(S)을 연속적으로 절단하는 환봉 절단장치에 있어서, 내부에 수용공간(140)이 형성되는 프레임 형태로 제작된 상태에서 상기 환봉(S)이 공급되는 서브프레임(120)이 일측에 관통결합되는 본체(100)와; 상기 본체(100)의 수용공간(140)에 설치되는 동력전달기구(210) 및 링크(220)의 상호 결합에 의한 편심회전작동을 이용해 슬라이드부재(230)를 직선왕복작동시켜 상기 슬라이드부재(230) 하단에 결합된 상부커터(241)를 상기 서브프레임(120)의 일측에 결합된 하부커터(251)와 인접하게 상,하 교차작동되게 하여 공급된 환봉(S)을 절단하는 소재절단수단(200)을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상부커터(241)와 하부커터(251)는 'U'자 형태의 가공홈(260)이 형성된 상태에서 상기 슬라이드부재(230)의 하단에 고정된 상부홀더(240) 및 서브프레임(120)의 일측에 고정된 하부홀더(250)에 각각 교체가능하게 결합된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Description

환봉 절단장치 {CUTTING APPARATUS OF A PIPE}
본 발명은 환봉 절단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공급된 환봉을 절단하고자 하는 임의 길이로 조절한 상태에서 길이가 조절된 환봉을 사이에 두고 상부커터와 하부커터가 상,하 교차작동하여 연속적으로 환봉을 절단하는 소재절단수단을 이용해 간편하게 환봉의 절단작업을 수행하여 작업의 효율성이 향상되게 하는 환봉 절단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배경이 되는 종래기술로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807072호(2008.02.18)"가 개시되었는데, 이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과 체결되는 받침대의 상측에 설치되고, 일측에 절단하고자 하는 환봉이 유입되는 유입구가 형성되며, 내부에 상기 유입구와 연통되는 제1관통구가 형성된 고정부가 고정되는 환봉유입부와; 상기 환봉유입부의 내부에 고정되는 고정부의 제1관통구와 연통되는 제2관통구가 형성되고, 상부방향에 위치하는 프레스부와 하부에 구비되는 탄성부재에 의해 상하이동하여 상기 환봉유입부를 통해 상기 프레임방향으로 이동하는 환봉을 절단하는 절단부와; 상기 프레임상에 전후이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절단부에 의해 절단되는 환봉의 길이를 선택적으로 조절하는 전후이동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고정부의 제1관통구와 상기 절단부의 제2관통구의 양측에 내측으로 일정깊이를 갖는 홈이 길이방향으로 연장형성되는 구조의 환봉 절단장치가 제시되어 있다.
그러나, 종래에는 환봉이 유입되는 환봉유입부 및 유입된 환봉을 상하이동작동에 의해 절단하는 절단부의 경우 환봉이 유입되는 제1관통구와 제2관통구의 형상이 'O'자 형태 즉, 환봉의 둘레를 감싸는 관통홀 형태로 제작되기 때문에 환봉의 직경이 관통홀에 맞지 않는 경우 이에 대응하여 상기 환봉유입부와 절단부를 이루고 있는 금형 자체를 교체해야하는 번거로움과 함께, 일반적으로 환봉의 경우 제조특성상 표면이 고르지 않아 전반적으로 직경의 편차가 발생함에 따라 환봉의 절단과정에서 불규칙한 표면으로 발생하는 유격에 의해 환봉이 경사지며 절단되거나 유격에 의한 반력으로 절단면이 고르지 않은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부커터와 하부커터가 상,하 교차작동하는 소재절단수단을 이용해 공급된 환봉을 연속적으로 절단하는 환봉절단장치에 대하여, 상기 소재절단수단 측으로 실린더의 구동에 의한 레버의 지렛대 작용에 의해 상부금형을 상,하 작동하여 환봉을 고정하는 클램핑수단을 설치함과 더불어 환봉 절단을 위한 상부커터와 하부커터를 일측이 개구되는 'U'자 형태로 제작한 상태에서 금형다이에 상기 커터가 교체되도록 제작 구성함으로써, 이를 통해 상부커터와 하부커터의 형상 및 구조적 특성에 의해 다양한 직경의 환봉에 대응하여 간편하게 절단작업을 수행함과 동시에 클램핑수단에 의해 환봉의 절단과정에서 불규칙한 표면으로 발생하는 유격에 의해 환봉이 경사지면서 절단되는 것이 방지되어 절단시 환봉의 반력을 최대한 억제함에 따라 환봉의 절단면이 매끄럽고 일정하게 절단 되도록 하는 환봉 절단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환봉 절단장치의 소재절단수단 측으로 환봉의 절단부 일측에 실린더의 구동에 의해 상,하 완충작동하는 완충수단을 설치 구성함에 따라 이를 통해 환봉의 절단시 발생하는 반력 및 진동을 흡수하도록 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공급된 환봉을 연속적으로 절단하는 환봉 절단장치에 있어서,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는 프레임 형태로 제작된 상태에서 상기 환봉이 공급되는 서브프레임이 일측에 관통결합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수용공간에 설치되는 동력전달기구 및 링크의 상호 결합에 의한 편심회전작동을 이용해 슬라이드부재를 직선왕복작동시켜 상기 슬라이드부재 하단에 결합된 상부커터를 상기 서브프레임의 일측에 결합된 하부커터와 인접하게 상,하 교차작동되게 하여 공급된 환봉을 절단하는 소재절단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상부커터와 하부커터는 'U'자 형태의 가공홈이 형성된 상태에서 상기 슬라이드부재의 하단에 고정된 상부홀더 및 서브프레임의 일측에 고정된 하부홀더에 각각 교체가능하게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봉 절단장치를 제공한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르면, 소재절단수단의 상부커터와 하부커터의 형상 및 구조적 특성에 의해 다양한 직경의 환봉에 대응하여 간편하게 절단작업을 수행함과 더불어 클램핑수단의 작용에 의해 환봉의 절단과정에서 불규칙한 표면으로 발생하는 유격으로 환봉이 경사지면서 절단되는 것이 방지되어 절단시 환봉의 반력을 최대한 억제함에 따라 환봉의 절단면이 매끄럽고 일정하게 절단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실린더의 구동에 의해 상,하 완충작동하는 완충수단에 의해 환봉의 절단시 발생하는 반력 및 진동이 흡수되는 또 다른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환봉 절단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환봉 절단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환봉 절단장치의 측면도 및 요부 단면도.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환봉 절단장치의 작동 상태도.
본 발명에 따른 환봉 절단장치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이하 상세히 기술되는 실시 예들에 의해 그 특징들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환봉 절단장치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들이다.
이에 따른, 환봉절단장치(1)를 개략적으로 설명하면, 공급된 환봉(S)을 연속적으로 절단하는 환봉 절단장치에 있어서, 내부에 수용공간(140)이 형성되는 프레임 형태로 제작된 상태에서 상기 환봉(S)이 공급되는 서브프레임(120)이 일측에 관통결합되는 본체(100)와; 상기 본체(100)의 수용공간(140)에 설치되는 동력전달기구(210) 및 링크(220)의 상호 결합에 의한 편심회전작동을 이용해 슬라이드부재(230)를 직선왕복작동시켜 상기 슬라이드부재(230) 하단에 결합된 상부커터(241)를 상기 서브프레임(120)의 일측에 결합된 하부커터(251)와 인접하게 상,하 교차작동되게 하여 공급된 환봉(S)을 절단하는 소재절단수단(200)을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상부커터(241)와 하부커터(251)는 'U'자 형태의 가공홈(260)이 형성된 상태에서 상기 슬라이드부재(230)의 하단에 고정된 상부홀더(240) 및 서브프레임(120)의 일측에 고정된 하부홀더(250)에 각각 교체가능하게 결합된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이하, 본 발명의 각부 구성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먼저, 상기 본체(100)는 소재절단수단(1)의 각 구성요소들을 설치하기 위한 공간을 제공하면서 소재절단수단(1)의 구동부를 커버하여 작업자의 안전사고를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본체(100)는 사각 프레임 형태로 제작되는 한쌍의 금속재 격벽(110)이 내부로 수용공간(140)이 형성되도록 일정간격 이격되게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한쌍의 격벽(110) 일측으로 환봉(S)이 공급되기 위한 공급홀(111)이 각각 관통형성되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이때, 상기 공급홀(111) 측에는 환봉(S)이 절단되는 공간을 제공하면서 상기 환봉(S)의 절단을 위한 각각의 구조물들이 결합되기 위한 서브프레임(120)이 상기 공급홀(111)의 크기 및 형상에 대응제작된 상태에서 상기 공급홀(111) 측으로 관통결합되며, 상기 서브프레임(120)은 길이방향으로 내측 중앙이 개구되는 금속재 프레임형태로 제작됨에 따라 상기 환봉(S)의 공급을 위한 공간을 제공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서브프레임(120)은 일측 부분인 가공부(121)의 하부는 상기 공급홀(111)의 하단에 볼트체결과 같은 결합방식에 의해 고정되는 구조로 이루어지며, 이때 상기 서브프레임(120)의 가공부(121) 측으로 환봉(S)의 절단을 위한 각각의 구조물들이 결합됨에 따라 환봉(S)의 절단을 위한 공간을 제공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서브프레임(120)의 일측으로 환봉(S)이 절단되는 부분인 가공부(121)에는 제2실린더(510)의 구동에 의한 하부금형(520)의 상,하 완충작동을 이용해 환봉(S) 절단시 발생하는 반력 및 진동을 흡수하는 완충수단(500)이 설치되며, 상기 완충수단(500)은 상기 서브프레임(120)의 하부에 유압 및 공압을 이용해 작동하는 제2실린더(510)가 고정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제2실린더(510)의 내부로 축 결합되는 하부금형(520)으로 이루어져 상기 제2실린더(510)의 유,공압에 의한 압력에 의해 상기 하부금형(520)이 상,하 완충작용함에 따라 환봉(S)의 절단시 발생하는 반력 및 진동을 효율적으로 흡수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소재절단수단(200)은 상기 본체(100)의 수용공간(140)에 설치되는 동력전달기구(210)와 링크(220)의 상호 결합에 의한 편심회전작동을 이용해 슬라이드부재(230)를 직선왕복작동시켜 상부커터(241)를 상기 서브프레임(120)의 일측에 결합된 하부커터(251)와 인접하게 상,하 교차작동되게 하여 공급된 환봉(S)을 절단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소재절단수단(200)은 복수의 기어(미도시)가 외부동력(모터)과 연결된 상태에서 외부동력원에 의해 편심회전하는 동력전달기구(210)가 본체(100)의 내부 일측에 설치되며, 상기 링크(220)는 본체(100)의 내부로 동력전달기구(210)의 일측에 힌지결합된 상태에서 타측은 본체(100) 측에 관통되는 구동축(130)에 힌지결합되는 구조에 의해 상기 동력전달기구(210)의 편심회전에 의해 상기 링크(220)가 지렛대 방식으로 작동하게 된다.
이때, 상기 링크(220)의 전단은 본체(100)의 공급홀(111) 상부에서 상,하로 직선왕복작동하는 슬라이드부재(230)가 결합되며, 상기 슬라이드부재(230)는 일측이 개구되는 금속재 프레임형태로 제작된 상태에서 슬라이드부재(230)의 개구부로 상기 링크(220)의 전단이 끼움결합되는 구조에 의해 상기 슬라이드부재(230)가 직선왕복작동하게 되는 것이고, 상기 슬라이드부재(230)는 본체(100)의 내부에서 상,하 직선왕복작동되게 슬라이드부재(230)의 양측이 본체(100)의 내측에 요철(凹凸) 형태로 결합되거나 레일 형태로 결합되어 작동방향이 가이드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슬라이드부재(230)의 하단에는 환봉(S)에 타격되는 상부커터(241)가 결합되며, 상기 서브프레임(120)의 가공부(121) 상부 일측에는 상기 상부커터(241)와 더불어 환봉(S)을 직접 절단하기 위한 하부커터(251)가 상부커터(241)에 대응된 위치로 인접하게 설치됨에 따라 상기 슬라이드부재(230)의 작동에 대응하여 상기 상부커터(241)와 하부커터(251)가 인접하게 상,하 교차작동함으로써 공급된 환봉(S)이 절단되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상부커터(241)와 하부커터(251)는 고강도의 금속 플레이트 형태로 일측 또는 양측에 'U'자 형태의 가공홈(260)이 형성되어 상기 가공홈(260)의 내면이 환봉(S)의 둘레면을 타격하는 구조를 이용해 다양한 직경의 환봉(S)에 대응하여 간편하게 절단작업을 수행하도록 하는 것이며, 상기 상부커터(241)는 슬라이드부재(230)의 하단에 고정된 금속 판재 형태의 상부홀더(240)에 교체가능하게 결합됨과 동시에 상기 하부커터(251)는 서브프레임(120)의 가공부(121) 상부에 고정된 금속 받침대 형태의 하부홀더(250)에 교체가능하게 결합되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가공홈(260)의 구조는 형태가 'O'자 형태 즉, 환봉(S)의 둘레를 감싸는 형태에 비해 절반만 사용하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고강도의 금속을 이용해 제작되는 상부커터(241) 및 하부커터(251)에 소요되는 원재료를 줄일 수 있어 상기 상부커터(241)와 하부커터(251)의 교체에 따른 유지비용 및 제작비용을 대폭 절약할 수 있는 것이다.
아울러, 상기 상부커터(241)는 슬라이드부재(230)의 하단에 결합된 상부홀더(240)에 체결되며, 상기 하부커터(251)는 서브프레임(120)의 가공부(121)에 결합된 하부홀더(250)에 체결되되, 상기 상부홀더(240) 및 하부홀더(250)는 각각 볼트 또는 클램프 방식에 의해 체결 고정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본체(100)의 내측에는 공급된 환봉(S)을 절단시에 고정하기 위한 클램핑수단(300)이 설치되며, 상기 클램핑수단(300)은 본체(100)의 외부 일측으로 유압 및 공압을 이용해 작동하는 제1실린더(310)가 고정설치되고, 상기 제1실린더(310)에는 금속 바 형태의 레버(320)가 일측은 상기 본체(100)에 결합된 구동축(130)에 힌지결합된 상태에서 타측은 상기 제1실린더(310)에 끼움결합되어 상기 제1실린더(310)의 구동에 의해 레버(320)가 지렛대 작동하며, 상기 레버(320)의 선단 측에는 금속재 사각 블록 형태로 하단에 환봉(S)의 외주면을 가압하는 'V'자 홈이 형성된 상부금형(340)이 설치되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이때, 상기 클램핑수단(300)의 레버(320)와 상부금형(340) 사이에는 상기 상부금형(340)을 교체가능하도록 하는 연결부재(330)가 결합되며, 상기 연결부재(330)는 금속재 원기둥 형태로 일측은 상기 레버(320)의 선단에 힌지결합된 상태에서 타측은 상기 상부금형(340)이 요철(凹凸) 형태로 끼움결합되는 구조를 갖는 것이다.
한편,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환봉 절단장치의 작동 상태를 나타낸 도면들이다.
이에 따르면, 도 4는 상기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환봉절단장치(1)를 이용해 공급된 환봉(S)을 절단하는 과정 중 상기 환봉(S)이 투입되기 위한 일련의 과정을 나타낸 것으로, 먼저 상기 환봉(S)이 투입되기에 앞서 환봉(S)을 고정하는 클램핑수단(300)과 환봉(S)을 절단하는 소재절단수단(200)은 도 4의 (a)에서와 같이 본체(100)의 상부측으로 위치 이송작동하게 되며, 상기 클램핑수단(300)은 제1실린더(310)의 수축 작용에 의해 레버(320)가 구동축(130)을 중심으로 회동하여 연결부재(330)에 의해 결합된 상부금형(340)을 상향 작동시키고, 상기 소재절단수단(200)은 복수의 기어가 외부동력과 연결된 동력전달기구(210)의 편심회전에 의해 링크(220)가 회동하여 슬라이드부재(230)와 더불어 상부커터(241)를 최고점으로 위치 이송시키게 되며, 상기 소재절단수단(200)의 구동은 동력전달기구(210)의 연속적인 회전에 의해 상기 슬라이드부재(230)가 최고점과 최저점으로 반복적인 직선왕복작동을 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도 5는 상기와 같이 본체(100)의 상부측으로 이송된 클램핑수단(300)이 공급된 환봉(S)을 고정하는 과정을 나타낸 것으로, 상기 클램핑수단(300)은 도 5의 (a)에서와 같이 수축된 제1실린더(310)가 신장작동하는 상태에서 이에 대응하여 상기 제1실린더(310)와 연결된 레버(320)가 구동축(130)을 중심으로 회동하는 지렛대 작용에 의해 연결부재(330)와 더불어 상부금형(340)을 하향 작동시키게 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작동된 클램핑수단(300)은 도 5의 (b)에서와 같이 공급된 환봉(S)의 상면을 하향 작동된 상부금형(340)의 저면이 밀착된 상태로 압박고정하여 환봉(S)의 절단과정에서 반력을 최대한 억제함에 따라 환봉(S)의 불규칙한 표면으로 발생하는 유격에 의해 상기 환봉(S)이 경사지며 절단되는 것이 방지되어 환봉(S)의 절단면이 매끄럽고 일정하게 절단되는 특징적인 장점이 생기는 것이다.
그리고, 도 6은 상기 클램핑수단(300)을 통해 고정되는 환봉(S)이 소재절단수단(200)에 의해 절단되는 과정을 나타낸 것으로, 상기 클램핑수단(300)에 의해 고정된 환봉(S)은 임의 길이로 소재절단수단(200)을 통해 절단되게 되며, 상기 소재절단수단(200)은 최초 환봉(S)이 공급되는 과정에서 동력전달기구(210)의 편심회전에 의해 링크(220)가 회동하여 슬라이드부재(230)와 더불어 상부커터(241)가 최고점으로 위치 이송된 상태에서 연속적으로 동력전달기구(210)의 작동에 의해 최고점에 위치한 슬라이드부재(230)가 본체(100)를 따라 하향 작동하게 된다.
이때, 상기와 같은 과정에 의해 상부커터(241)가 환봉(S)의 상면을 타격함과 더불어 서브프레임(120)의 가공부(121)에 결합된 하부커터(251)가 환봉(S)의 하면을 타격하는 등 상기 상부커터(241)와 하부커터(251)가 인접하면서 상,하 교차하는 작동에 의해 상기 환봉(S)이 절단되며, 상기 슬라이드부재(230)의 반복적인 직선왕복작동을 함에 따라 상기 환봉(S)이 연속 절단되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상부커터(241)와 하부커터(251)가 일측이 개구되는 'U'자 형태의 가공홈(260)이 각각 형성된 상태에서 상부홀더(240) 및 하부홀더(250) 상에 각각 교체됨에 따라 상부커터(241)와 하부커터(251)의 형상 및 구조적 특성에 의해 다양한 직경의 환봉(S)에 대응하여 간편하게 절단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특징적인 장점이 생기는 것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예시한 설명과 도면으로 표현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 예에 따른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나타난 발명의 사상 및 영역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경 및 개조, 수정 등이 가능할 수 있음을 누구나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1.환봉절단장치 100.본체
110.격벽 111.공급홀
120.서브프레임 121.가공부
140.수용공간 200.소재절단수단
210.동력전달기구 220.링크
230.슬라이드부재 240.상부홀더
241.상부커터 250.하부홀더
251.하부커터 300.클램핑수단
310.제1실린더 320.레버
330.연결부재 340.상부금형

Claims (5)

  1. 공급된 환봉(S)을 연속적으로 절단하는 환봉 절단장치에 있어서,
    내부에 수용공간(140)이 형성되는 프레임 형태로 제작된 상태에서 상기 환봉(S)이 공급되는 서브프레임(120)이 일측에 관통결합되는 본체(100)와;
    상기 본체(100)의 수용공간(140)에 설치되는 동력전달기구(210) 및 링크(220)의 상호 결합에 의한 편심회전작동을 이용해 슬라이드부재(230)를 직선왕복작동시켜 상기 슬라이드부재(230) 하단에 결합된 상부커터(241)를 상기 서브프레임(120)의 일측에 결합된 하부커터(251)와 인접하게 상,하 교차작동되게 하여 공급된 환봉(S)을 절단하는 소재절단수단(200)을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상부커터(241)와 하부커터(251)는 'U'자 형태의 가공홈(260)이 형성된 상태에서 상기 슬라이드부재(230)의 하단에 고정된 상부홀더(240) 및 서브프레임(120)의 일측에 고정된 하부홀더(250)에 각각 교체가능하게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봉 절단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공홈(260)은 상부커터(241)와 하부커터(251) 상에 일측 또는 양측 중 어느 하나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봉 절단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100)에는 환봉(S)을 고정하기 위한 클램핑수단(300)이 더 구비되되,
    상기 클램핑수단(300)은 본체(100) 일측에 고정설치되는 제1실린더(310)와;
    상기 제1실린더(310)에 일단이 결합되어 지렛대 작동하는 레버(320)와;
    상기 레버(320)의 선단 측에 연결부재(330)를 통해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레버(320)의 지랫대 작동에 의한 상,하 이송되는 구조를 이용해 상기 환봉(S)을 고정하는 상부금형(340)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봉 절단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330)와 상부금형(340)은 요철(凹凸) 형태로 상호 끼움결합되는 구조에 의해 상기 상부금형(340)이 연결부재(330)로부터 교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봉 절단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프레임(120)의 일측으로 환봉(S)이 절단되는 부분에는 제2실린더(510)의 구동에 의한 하부금형(520)의 상,하 완충작동을 이용해 절단시 발생하는 반력 및 진동을 흡수하는 완충수단(500)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봉 절단장치.
KR1020130081687A 2013-07-11 2013-07-11 환봉 절단장치 KR1015677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81687A KR101567761B1 (ko) 2013-07-11 2013-07-11 환봉 절단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81687A KR101567761B1 (ko) 2013-07-11 2013-07-11 환봉 절단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7561A true KR20150007561A (ko) 2015-01-21
KR101567761B1 KR101567761B1 (ko) 2015-11-11

Family

ID=525704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81687A KR101567761B1 (ko) 2013-07-11 2013-07-11 환봉 절단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6776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13613A (ko) 2015-07-28 2017-02-07 주식회사 제이앤에이취프레스 크랭크 리스 및 이중 레버 타입의 환봉 절단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65325B1 (ko) 2018-06-25 2019-07-30 (주)케이원스틸 절단공정 소재의 손상 방지용 완충장치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29032Y1 (ko) 2000-11-11 2001-07-19 송재소 고속 파이프 절단기
KR200260101Y1 (ko) 2001-09-28 2002-01-10 호성기계공업주식회사 크랭크 프레스
JP2008006520A (ja) 2006-06-28 2008-01-17 Ryoei Engineering Kk 棒鋼切断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13613A (ko) 2015-07-28 2017-02-07 주식회사 제이앤에이취프레스 크랭크 리스 및 이중 레버 타입의 환봉 절단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67761B1 (ko) 2015-11-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99527B1 (ko) 파이프의 분기공 천공기기
KR100827799B1 (ko) 파인 블랭킹 프레스용 스크랩커터장치
KR101776872B1 (ko) 커팅날 교체 구조를 갖춘 환봉 절단장치
KR101567761B1 (ko) 환봉 절단장치
CN207593317U (zh) 飞轮壳大止口端面孔系及划面加工用夹具
CN1051492C (zh) 用于凿铲表面的手持机械
JP2017529252A (ja) ラグ切断装置
CN211249217U (zh) 铣床用固定夹具
JP2007021648A (ja) 切断装置
CN209830490U (zh) 一种建筑施工用型材切割机
KR200401399Y1 (ko) 브이커팅장치
CN108927580B (zh) 下料机构
KR100864854B1 (ko) 2차원 벤딩된 파이프용 절단장치
KR101129066B1 (ko) 다기능 통나무 가공기
EP2680996B1 (de) Werkzeugmaschinensystem
CN112122652B (zh) 一种掏孔器
CN212419880U (zh) 一种用于型材切割的锯切机
CN104608203A (zh) 一种竹架板自动编排气动钻孔机
CN103273541A (zh) 用于切割木材的线锯及安装其的线锯床
JP2011079012A (ja) 切断装置
CN113635095A (zh) 一种石油钻杆加工用切割机
CN215355665U (zh) 冲孔机头架及冲孔机
CN110711815A (zh) 一种用于加工紧固件的冲孔定位机构
CN219881408U (zh) 一种刀片可替换式刨刀
KR20120003424U (ko) 아치형 가이드 플레이트를 구비한 전동 공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3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31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