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62229B1 - 탭 또는 드릴 지그 - Google Patents

탭 또는 드릴 지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62229B1
KR101362229B1 KR1020120004166A KR20120004166A KR101362229B1 KR 101362229 B1 KR101362229 B1 KR 101362229B1 KR 1020120004166 A KR1020120004166 A KR 1020120004166A KR 20120004166 A KR20120004166 A KR 20120004166A KR 101362229 B1 KR101362229 B1 KR 1013622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ill
tab
hole
holder
guide b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041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83534A (ko
Inventor
김진영
채창근
Original Assignee
현대로템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로템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로템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041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62229B1/ko
Publication of KR201300835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835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622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622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HWORKSHOP EQUIPMENT, e.g. FOR MARKING-OUT WORK; STORAGE MEANS FOR WORKSHOPS
    • B25H1/00Work benches; Portable stands or supports for positioning portable tools or work to be operated on thereby
    • B25H1/0021Stands, supports or guiding devices for positioning portable tools or for securing them to the wor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47/00Constructional features of components specially designed for boring or drilling machines; Accessorie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GTHREAD CUTTING; WORKING OF SCREWS, BOLT HEADS, OR NUTS, IN CONJUNCTION THEREWITH
    • B23G1/00Thread cutting; Automatic machines specially designed therefor
    • B23G1/44Equipment or accessories specially designed for machines or devices for thread cutting
    • B23G1/46Equipment or accessories specially designed for machines or devices for thread cutting for holding the threading too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rilling And Bor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탭 또는 드릴 지그(jig)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핸드 드릴이나 탭을 탑재하여 구멍 또는 암나사 가공시 가공위치를 쉽고 정확하게 안내함과 동시에 직각도가 유지되도록 함으로써, 가공작업의 정밀성과 효율성을 향상시킴은 물론, 작업의 편의성을 증진시키는 탭 또는 드릴 지그에 관한 것이다. 구성은 탭 또는 드릴 지그로서, 밑면에 이동을 안내하기 위한 롤러를 복수 형성하고, 중간 부분으로는 핸드 드릴의 상하 이동시 드릴 날의 안내를 위한 홀이 형성되며 상기 안내 홀에는 탭 날 또는 드릴 날을 가이드 하기 위한 투관을 형성한 베이스 패널과; 상기 베이스 패널의 상면에 탄성 복원력을 갖는 탄성체를 갖고 상향 돌출 형성한 가이드 바와; 상기 가이드 바와 마주하는 일 측으로 위치하여 탄성체의 신축에 따라 상하 이동하도록 이루어지는 슬라이더와; 일 측은 상기 가이드 바와 결합 되고, 타 일 측은 상기 슬라이더와 결합 되어 하나 이상의 탭 또는 핸드 드릴을 수용 고정하는 홀더와; 상기 홀더의 상부에 상하로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되어 홀더의 가압 동작시 지렛대 역할을 하기 위한 지지 돌기가 선단 일 측으로 형성되는 가압레버;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탭 또는 드릴 지그{A tap or drill jig}
본 발명은 탭 또는 드릴 지그(jig)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핸드 드릴이나 탭을 탑재하여 구멍 또는 암나사 가공시 가공위치를 쉽고 정확하게 안내함과 동시에 직각도가 유지되도록 함으로써, 가공작업의 정밀성과 효율성을 향상시킴은 물론, 작업의 편의성을 증진시키는 탭 또는 드릴 지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목재나 금속에 구멍을 뚫는 공구(工具)인 드릴(drill) 또는 수 공구나 기계에 장치하여 암나사를 만드는 공구인 탭(tap)은 가공위치를 쉽고 정확하게 정하기 위해 지그(jig)를 많이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탭 또는 드릴 지그는 작업자가 핸드 드릴 또는 탭을 사용하여 구멍 또는 암나사를 가공하고자 하는 위치만을 알 수 있도록 안내하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작업자의 숙련도에 크게 의존할 수밖에 없었으며, 상당히 노동집약적으로 작업이 이루어졌다. 이로 인해 구멍 또는 암나사 가공을 위한 작업시간이 많이 소요되어 작업의 효율성이 떨어졌으며, 작업자별 구멍 또는 암나사 가공 품질이 일정하지 않은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작업자가 장시간 무거운 드릴 또는 탭을 들고 구멍이나 암나사 가공작업을 함에 따라, 드릴 또는 탭의 무게와 진동 그리고 불안정한 자세로 인해 작업자의 피로도가 증가하여, 공정의 불량률이 높았으며, 작업중 공구를 떨어뜨리거나, 탭 또는 드릴의 요동에 의한 파손이 빈번하게 일어났고, 이로 인한 산업재해 발생 위험도 높은 문제점이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구멍 간의 간격 및 직각도 조절과 같은 복잡한 사전작업이 없어도 정확하고 고른 품질의 구멍 또는 암나사 가공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고, 작업자의 피로도를 현저히 감소시켜 작업의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드릴 날 또는 탭 날이 파손되거나, 고장에 따라 발생할 수 있는 산업재해를 예방하는 탭 또는 드릴 지그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탭 또는 드릴 지그로서, 밑면에 이동을 안내하기 위한 롤러를 복수 형성하고, 중간 부분으로는 핸드 드릴의 상하 이동시 드릴 날의 안내를 위한 홀이 형성되며 상기 안내 홀에는 탭 날 또는 드릴 날을 가이드 하기 위한 투관을 형성한 베이스 패널과; 상기 베이스 패널의 상면에 탄성 복원력을 갖는 탄성체를 갖고 상향 돌출 형성한 가이드 바와; 상기 가이드 바와 마주하는 일 측으로 위치하여 탄성체의 신축에 따라 상하 이동하도록 이루어지는 슬라이더와; 일 측은 상기 가이드 바와 결합 되고, 타 일 측은 상기 슬라이더와 결합 되어 하나 이상의 탭 또는 핸드 드릴을 수용 고정하는 홀더와; 상기 홀더의 상부에 상하로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되어 홀더의 가압 동작시 지렛대 역할을 하기 위한 지지 돌기가 선단 일 측으로 형성되는 가압레버;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탭 또는 드릴을 손으로 들지 않고도 암나사 또는 구멍 가공을 하고자 하는 위치에 직각도를 유지하여 정확하고 신속하며 용이하게 구멍 또는 암나사 작업을 행할 수 있으므로 생산성 향상과 품질 향상을 도모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무거운 드릴이나 탭을 들지 않고 구멍 또는 암나사 가공 작업을 할 수 있기 때문에, 작업자의 피로도를 감소시켜 작업의 효율성을 개선할 수 있으며, 동시에 드릴 또는 탭의 파손으로 인한 비산을 방지하여 산업재해를 예방할 수 있는 등의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탭 또는 드릴 지그의 분리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조립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탭 또는 드릴 지그를 가공 구조물에 거치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탭 또는 드릴 지그의 가압 레버를 누르기 전의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탭 또는 드릴 지그의 가압 레버를 누른 사용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탭 또는 드릴 지그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여기서, 하기의 모든 도면에서 동일한 기능을 갖는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여 반복적인 설명은 생략하며, 아울러, 후술 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것으로서, 이것은 고유의 통용되는 의미로 해석되어야 함을 명시한다.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베이스 패널(110)과 승,하강수단(120) 및 가압 레버(130)로 대별되어 이루어진다.
상기 베이스 패널(110)은 개략 평편한 사각형태를 이루고, 상기 승,하강수단(120)이 조립되는 패널로서, 중간 부분으로는 탭(미도시) 이나, 핸드 드릴(101)의 상하 이동시 탭 날이나 드릴 날(101a)의 안내를 위한 안내 홀(111)이 형성되고, 밑면에는 가공 구조물에 지지 되어 이동을 안내하기 위한 롤러(112)가 스크류 너트나 볼트 등과 같은 체결수단에 의해 복수가 결합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롤러(112)는 철도차량의 다양한 부품 예컨대 거푸집,골조 프레임,바닥 프레임 등과 같은 가공 구조물에 지지 되어 구멍이나 암나사 가공 작업을 위해 이동 및 정확한 작업 위치로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또, 상기 롤러(112)는 예컨대, 상기 베이스 패널(110)의 밑면 전방에 양측으로 2개가 장착되고, 밑면 후방에 양측으로 2개가 장착된다.
상기 롤러(112)는 전방과 후방에 장착된 일 측의 2개는 고정가능한 구조를 갖고 기준을 잡게 되고, 나머지 2개는 작은 스트로크(stroke : 왕복 운동 기관에서, 피스톤이 실린더 안의 한 끝에서 다른 끝까지 움직이는 동작. 또는 그런 거리)를 가진다.
그리고, 상기 스트로크를 가지는 2개의 롤러(112)에는 에어 실린더(113)가 연결되어 에어 실린더(113)의 구동에 따라 정확한 작업 위치로 이동된다. 이러한 구성의 롤러(112)는 가공 구조물에 장착 전에는 상기 에어 실린더(113)가 비 가압상태이고, 가공 구조물에 장착 후 에어 실린더(113)가 가압 되면 정확한 구멍 작업 또는 암나사 가공 작업위치로 안내되어 드릴 작업 또는 탭 작업을 실시하게 된다.
또, 상기 안내 홀(111)에는 암나사 가공을 위한 탭(미도시) 또는 구멍 가공을 위한 핸드 드릴(101)의 회전축을 받치도록 지지함과 동시에 탭 날이나 드릴 날(101a)을 안내하고 보호하는 투관(套管, bushing)(114)이 삽입 형성된다.
상기 투관(114)은 탭 또는 드릴 회전축의 도는 쪽이 쉽게 닳는 것을 막기 위하여 상기 안내 홀(111)에 덧씌워지는 것으로서 질기고 부드러운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승,하강수단(120)은 탄성 복원력을 갖는 탄성체(121)와, 상기 탄성체(121)를 외 측으로 수용하는 가이드 바(122)와, 상기 탄성체(121)의 신축에 따라 상하 이동하도록 이루어지는 슬라이더(123)와, 일 측은 상기 가이드 바(122)에 거치 되고, 타 일 측은 상기 슬라이더(123)에 거치 되어 상기 가압 레버(130)의 가압 동작시 하강하는 탭 또는 드릴 홀더(124)로 이루어진다.
상기 탄성체(121)는 물체의 탄성변형(彈性變形)을 이용해서 에너지를 흡수·축적시켜 완충 등의 작용을 하게 하는 환강(丸鋼)과 같은 봉상(棒狀)의 금속재료를 원통형 나선 형태로 형성한 압축 코일 스프링(coiled spring)을 채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외력에 의해 가압 이동된 후 탄성 복원력에 의해 원위치로 복귀할 수 있는 형태의 탄성체라면 다양한 것을 이용할 수 있다.
상기 슬라이더(123)는, 부품을 고정하는 데 사용하는 요소인 볼트(bolt) 등을 통해 다른 부재에 견고하게 고정되는 고정부(123a)와, 상기 고정부(123a)에 이동가능하도록 결합 되어 상기 탄성체(121)의 신축에 따라 상,하로 이동하는 이동부(123b)로 형성된다.
상기 탭 또는 드릴 홀더(124)는 중간 부분에 철도차량을 구성하는 거푸집,골조,바닥레일 등과 같은 가공 구조물에 암나사를 가공하기 위한 탭(미도시) 또는 구멍을 가공하기 위한 핸드 드릴(101)을 수용, 고정하는 안착 홀(124a)이 형성되고, 양측 가장자리부분에는 상기 가이드 바(122)와 슬라이더(123)의 고정부(123a)에 결합하기 위한 결합 구멍(124b)이 형성된다. 이러한 구성의 탭 또는 드릴 홀더(124)는 상기 탄성체(121)의 신축에 따라 가이드 바(122)와 슬라이더(123)를 매개로 수직으로 이동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안착 홀(124a)은 암나사를 가공하기 위한 탭 또는 구멍을 가공하기 위한 핸드 드릴(101)의 수에 따라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2개의 구멍을 동시 가공하기 위해서는 2개의 핸드 드릴(101)을 각각 수용, 고정하기 위해 2개의 안착 홀(124a)을 형성하고, 1개의 구멍을 가공하기 위해서는 1개의 핸드 드릴(101)을 수용, 고정하기 위한 1개의 안착 홀(124a)을 형성한다.
이와 같은 구성의 상기 승,하강수단(120)은 상기 탭 또는 드릴 홀더(124)의 안착 홀(124a)에 수용, 고정된 탭 또는 핸드 드릴(101)의 동작시 홀더(124)를 수직으로 직각도를 유지하며 이동시키게 되므로 암나사 또는 구멍 가공위치를 정확하게 안내하여 가공성을 향상시키고, 탭 또는 드릴의 위치선정을 자유롭게 변환함으로써 그 가공작업의 효율성을 향상시키고, 작업의 편의성을 증진시킬 수 있다.
상기 가압 레버(130)는, 일단 부분에 회전가능하도록 결합을 위한 결합구멍(131)이 형성되고, 타 일단 부분에는 가압 동작을 위한 손잡이(132)가 형성되며, 상기 결합구멍(131)이 형성된 후방 아래 측에는 가압 동작시 지렛대 역할을 하기 위한 지지 돌기(133)가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 상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탭 또는 드릴 지그를 이용하여 암나사 또는 구멍을 가공을 하고자할 경우, 작업 대상물인 거푸집,골조 프레임,바닥 프레임과 같은 가공 구조물에 롤러(112)를 거치하여 에어 실린더(113)를 동작시켜 정확한 작업 위치로 이동시킨다.
다음, 상기 홀더(124)의 안착 홀(124a)에 안착, 고정된 탭 또는 핸드 드릴(101)을 동작시키고 가압 레버(130)의 손잡이(132)로 홀더(124)를 가압하게 되면 승,하강수단(120)의 탄성체(121)를 압축하면서 홀더(124)는 가이드 바(122)와, 슬라이더(123)를 따라 하강하게 되고, 이에 따라 상기 탭의 날 또는 핸드 드릴(101)의 드릴 날(101a)은 베이스 패널(110)의 안내 홀(111)에 형성된 투관(套管, bushing)(114)을 따라 안내되면서 직각도가 유지되므로 암나사 또는 구멍 작업을 정확하고 정밀하게 실시한다.
그리고, 구멍 또는 암나사 작업이 완료되고 나면 작업자는 가압 레버(130)의 가압 동작을 해제한다. 이때, 상기 탄성체(121)는 탄성 복원력에 의해 홀더(124)를 밀어올리게 되므로 홀더(124)는 최초의 상태로 상승, 복귀하게 된다.
따라서, 작업자는 이와 같은 작용을 지속적으로 반복함으로써 구멍가공이나 암나사 내기를 정확하고 간단하게 하여 작업 시간 단축과, 산재예방, 작업 편의성 도모 및 품질향상을 제공받을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 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로 치환,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로의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명백할 것이다.
100 : 탭 또는 드릴 지그 110 : 베이스 패널
111 : 안내 홀 112 : 롤러
113 : 에어 실린더 114 : 투관(套管)
120 : 승,하강수단 121 : 탄성체
122 : 가이드 바 123 : 슬라이더
123a : 고정부 123b : 이동부
124 : 홀더 124a : 안착 홀
124b : 결합구멍 130 : 가압레버
131 : 결합구멍 132 : 손잡이
133 : 지지 돌기

Claims (5)

  1. 탭 또는 드릴 지그로서,
    밑면에 이동을 안내하기 위한 롤러를 복수 형성하고, 중간 부분으로는 핸드 드릴의 상하 이동시 드릴 날의 안내를 위한 홀이 형성되며 상기 안내 홀에는 탭 날 또는 드릴 날을 가이드 하기 위한 투관을 형성한 베이스 패널과;
    상기 베이스 패널의 상면에 탄성 복원력을 갖는 탄성체를 갖고 상향 돌출 형성한 가이드 바와;
    상기 가이드 바와 마주하는 일 측으로 위치하여 탄성체의 신축에 따라 상하 이동하도록 이루어지는 슬라이더와;
    일 측은 상기 가이드 바와 결합 되고, 타 일 측은 상기 슬라이더와 결합 되어 하나 이상의 탭 또는 핸드 드릴을 수용 고정하는 홀더와;
    상기 홀더의 상부에 상하로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되어 홀더의 가압 동작시 지렛대 역할을 하기 위한 지지 돌기가 선단 일 측으로 형성되는 가압레버;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탭 또는 드릴 지그.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120004166A 2012-01-13 2012-01-13 탭 또는 드릴 지그 KR1013622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04166A KR101362229B1 (ko) 2012-01-13 2012-01-13 탭 또는 드릴 지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04166A KR101362229B1 (ko) 2012-01-13 2012-01-13 탭 또는 드릴 지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83534A KR20130083534A (ko) 2013-07-23
KR101362229B1 true KR101362229B1 (ko) 2014-02-14

Family

ID=489945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04166A KR101362229B1 (ko) 2012-01-13 2012-01-13 탭 또는 드릴 지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6222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63691A (ko) * 2016-12-02 2018-06-12 이원재 태핑용 지그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13809B1 (ko) * 2021-06-08 2021-10-15 박종섭 핸드 탭핑기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27554U (ko) * 1995-12-12 1997-07-24 루프 어셈블리용 드릴링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27554U (ko) * 1995-12-12 1997-07-24 루프 어셈블리용 드릴링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63691A (ko) * 2016-12-02 2018-06-12 이원재 태핑용 지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83534A (ko) 2013-07-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091800B (zh) 自动多工位钻孔机
ITTV20050145A1 (it) Macchina automatica per la smerigliatura e la molatura dei bordi delle lastre di vetro
CN108544879B (zh) 一种雕刻机
KR101934947B1 (ko) 다축 홀 가공장치
CN102601821A (zh) 适用于布料、皮料以及革料的打孔机
KR101362229B1 (ko) 탭 또는 드릴 지그
KR20140144090A (ko) 석재 절단 장치
KR100633559B1 (ko) 항공기 동체용 판넬 드릴링 장치
KR20120118724A (ko) 절삭물 디버링장치의 툴 가공력 자동조절수단
CN107900454B (zh) 使用线性锯加工板材的方法和数控锯床设备
CN108637301A (zh) 一种高效手机配件加工设备
CN204397408U (zh) 一种连杆双轴加工中心夹具
CN211249217U (zh) 铣床用固定夹具
CN205613897U (zh) 自动落料装置
CN112296703A (zh) 一种自定位四点定位装置
CN205630062U (zh) 自动化多品类夹紧系统及数控机床
CN109623436A (zh) 一种翻转工装及钻床
KR200480386Y1 (ko) 가공물 가공장치
JP5215139B2 (ja) 門型複合工作機械およびクロスレール撓み補正方法
CN210702688U (zh) 一种电视机支架的连续打孔装置
CN104259301A (zh) 一种冲孔一体机床
KR200487328Y1 (ko) 판재의 브이홈 컷팅기
CN219924762U (zh) 一种切削刀具及加工设备
CN212822879U (zh) 一种便携式横向钻床
CN218387172U (zh) 一种可调节微型电机打点机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29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