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04300U - 파이프 홈 가공장치 - Google Patents
파이프 홈 가공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50004300U KR20150004300U KR2020140003926U KR20140003926U KR20150004300U KR 20150004300 U KR20150004300 U KR 20150004300U KR 2020140003926 U KR2020140003926 U KR 2020140003926U KR 20140003926 U KR20140003926 U KR 20140003926U KR 20150004300 U KR20150004300 U KR 20150004300U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ipe
- groove
- die
- present
- seating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17/00—Forming single grooves in sheet metal or tubular or hollow articles
- B21D17/02—Forming single grooves in sheet metal or tubular or hollow articles by pressing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37/00—Tools as parts of machines covered by this subclass
- B21D37/10—Die sets; Pillar guid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unching Or Pierc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파이프 홈을 성형하는 파이프 홈 가공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제작이 용이하고 제조 효율이 향상된 파이프 홈 가공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파이프에 홈을 성형하기 위한 성형 장치에 있어서, 상기 파이프가 배치되는 안착다이, 상기 안착다이의 일 측에 구비되어 상기 안착다이에 배치된 상기 파이프를 상기 안착다이와 수직한 방향으로 압착하여 가압하여 고정하는 고정부재 및 상기 고정부재에 의하여 고정된 상기 파이프를 압착하여 홈을 성형하는 타발부재를 포함하는 파이프 홈 가공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파이프에 홈을 성형하기 위한 성형 장치에 있어서, 상기 파이프가 배치되는 안착다이, 상기 안착다이의 일 측에 구비되어 상기 안착다이에 배치된 상기 파이프를 상기 안착다이와 수직한 방향으로 압착하여 가압하여 고정하는 고정부재 및 상기 고정부재에 의하여 고정된 상기 파이프를 압착하여 홈을 성형하는 타발부재를 포함하는 파이프 홈 가공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파이프 홈 가공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제작이 용이하고 제조 효율이 향상된 파이프 홈 가공장치에 관한 것이다.
환봉 또는 파이프 등에 홈을 형성하는 방법의 가공장치에 관한 것으로 종래에는 파이프의 일측 단부를 절삭 가공하여 홈을 형성하는 방법이 사용되었다.
일반적으로 파이프는 관 또는 튜브라고도 하며 단면은 보통 원형이지만 모양이 다른 것도 있으며 같은 무게의 봉재보다 굽힘이나 변형 성형이 뛰어나며 무게가 가볍고 강성이 뛰어나 사용 목적에 따라 일상 생활용품이나 공업용품의 구성 재료로 사용할 수 있도록 성형 된다.
파이프 홈 성형은 제품 간의 연결용 소재로 이용하는 파이프에 제품 간의 길이를 조정하게 다단의 길이조절용 홈과 제품을 고정하고 착탈이 용이하게 고정용 홈을 성형하여 사용하게 된다.
그러나, 절삭 가공의 경우는 절삭 직후에 절삭면 단부를 연마하는 연마가공을 수행하여야 하므로, 많은 작업 시간이 소요되면서 생산성이 낮아지는 비경제적인 문제점이 존재하였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제작이 용이하고 제조 효율이 향상된 파이프 홈 가공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파이프 홈 가공장치는 압착장치를 사용하며, 파이프가 배치되는 안착다이, 상기 안착다이에 배치된 상기 파이프의 단부를 상기 안착다이와 수직한 방향으로 가압하여 고정하는 고정부재와 상기 고정부재에 의하여 고정된 파이프를 압착하여 홈을 성형하는 타발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안착다이에 배치된 파이프를 상기 타발부재를 수직방향으로 압착하여 파이프에 홈을 성형할 수 있는 파이프 홈 가공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해서, 파이프 홈을 성형하는 제작과정이 용이해지며, 제조효율이 향상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파이프 홈 가공장치를 예시한 요부 사시도이다.
도 2 는 도 1의 파이프 홈 가공장치에서 주요부분을 보여주는 정면도이다.
도 3 은 도 1 의 파이프 홈 가공장치에서 주요부분을 보여주는 측면도이다.
도 4 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가공된 파이프를 보여주는 요부 사시도이다.
도 2 는 도 1의 파이프 홈 가공장치에서 주요부분을 보여주는 정면도이다.
도 3 은 도 1 의 파이프 홈 가공장치에서 주요부분을 보여주는 측면도이다.
도 4 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가공된 파이프를 보여주는 요부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토대로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이로 인해 본 발명의 기술적인 사상 및 범주가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고려하여 특별히 정의된 용어들은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고,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한다.
도 1 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파이프 홈 가공장치(100)를 예시한 요부 사시도이고, 도 2 는 도 1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한 파이프 홈 가공장치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그리고 도 3 은 도 1의 파이프 홈 가공장치를 측면에서 바라본 주요 부분을 보여주는 측면도이다.
도 1 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한 파이프 홈 가공장치(100)는 타발부재(400), 고정부재(300), 안착다이(200)를 포함한다.
상세히, 안착다이(200)는 가공대상물인 파이프(500)가 장착되는 부재이다. 안착다이(200)의 일측으로부터 타측으로 다수개의 안착홈(200a)이 형성된다. 도면에는 네 개의 안착홈(200a)들이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여기서, 안착홈(200a)들의 간격은 파이프 가공 넓이의 크기와 한번에 가공하는 개수에 의해 간격을 형성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파이프를 안착홈(200a)에 각각 끼워질 수 있다.
한편, 안착다이(200)와 마주보는 상부면 에는 파이프를 압착할 때 고정하는 고정부재(300)가 형성되며, 안착다이(200)에 안착 된 파이프(500)를 고정부재(300)로 고정하며 타발부재(400)를 이용하여 파이프의 한쪽 일부를 압착함으로써, 파이프(500)에 홈이 형성될 수 있다.
안착다이(200)의 상부에는 타발부재(400)가 배치된다. 상세히, 타발부재(400)는 안착다이(200)와 서로 마주보게 배치된 고정부재(300)와 상기 안착다이(200) 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타발부재(400)를 형성하며 안착다이(200)에 안착 된 파이프(500)를 고정하게 하는 고정부재(300)를 포함한다.
그리고, 고정부재(300)는 마주하는 안착다이(200)와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타발부재(400}가 안착다이(200)에 안착 된 파이프를 압착하기 위하여 안착다이(200)와 마주하는 수직방향으로 하강할 때,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부재(300)가 수직 하강하여 안착다이(200)에 안착 된 파이프(500)가 고정됨으로써, 파이프의 홈 형성이 용이해지고 제품 정밀도가 향상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4 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가공된 파이프를 보여주는 요부 사시도이고, 안착다이(200)에 안착 된 파이프(500))를 고정부재(300)가 포함된 타발부재(400)가 안착다이(200)와 마주하게 수직하강하며 압착할 때, 타발부재(400)에 포함된 고정부재(300)가 파이프(500)를 압착하며 타발부재(400)의 홈 형상의 모양으로 압착된 파이프의 홈 성형 된 모습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설명을 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 뿐만 아니라 이 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0 : 파이프 홈 가공장치
200 : 안착다이
200a ; 안착홈
300 ; 고정부재
300a : 고정홈
400 : 타발부재
500 ; 파이프
200 : 안착다이
200a ; 안착홈
300 ; 고정부재
300a : 고정홈
400 : 타발부재
500 ; 파이프
Claims (2)
- 파이프 홈을 성형하는 파이프 홈 가공방법에 있어서,
상기 파이프가 배치되는 안착다이,
상기 안착다이의 일 측에 구비되어, 상기 안착다이에 안착된 상기 파이프의 단부를 상기 안착다이와 수직한 방향으로 고정하는 고정부재 및
상기 고정 부재에 의하여 고정된 상기 파이프를 압착하여 홈을 성형하는 타발부재
를 포함하는 파이프 홈 가공 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안착부재 및 고정부재는
상기 파이프를 고정하게 홈을 형성한 안착홈과 고정홈
을 포함하는 파이프 홈 가공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140003926U KR20150004300U (ko) | 2014-05-22 | 2014-05-22 | 파이프 홈 가공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140003926U KR20150004300U (ko) | 2014-05-22 | 2014-05-22 | 파이프 홈 가공장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50004300U true KR20150004300U (ko) | 2015-12-02 |
Family
ID=550279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140003926U KR20150004300U (ko) | 2014-05-22 | 2014-05-22 | 파이프 홈 가공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150004300U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470096B1 (ko) | 2022-06-27 | 2022-11-25 | 김미경 | 휴대 및 이송이 가능한 파이프 트러스트 부재 가공장치 |
-
2014
- 2014-05-22 KR KR2020140003926U patent/KR20150004300U/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470096B1 (ko) | 2022-06-27 | 2022-11-25 | 김미경 | 휴대 및 이송이 가능한 파이프 트러스트 부재 가공장치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150004270U (ko) | 파이프 홈을 성형하는 파이프 홈 성형방법 | |
MY193189A (en) | Pressed component manufacturing method, press, and press line | |
KR101465971B1 (ko) | 절곡 금속판재용 절곡장치 | |
MX2016009876A (es) | Metodo de estampacion y metodo para la fabricacion de producto estampado. | |
JP2013128963A (ja) | プレス加工方法およびプレス加工装置 | |
KR20150004300U (ko) | 파이프 홈 가공장치 | |
CN204194573U (zh) | 发动机齿形链链板连续冲压模 | |
CN105798158A (zh) | 汽车座椅的连接支架的加工模具 | |
KR101965392B1 (ko) | 가변 그루브 핀이 적용된 펀치를 갖는 코이닝 장치 | |
CN103934858A (zh) | 一种防粘刀冲孔模具 | |
CN204396670U (zh) | 一种汽车座椅的连接支架的加工模具 | |
CN204564926U (zh) | 一种控制器的限位插片的加工模具 | |
CN203875198U (zh) | 一种冲压模具 | |
CN105798165A (zh) | 电动车控制器的固定架的加工模具 | |
CN203292296U (zh) | 一种冲压模具 | |
JP5770016B2 (ja) | チューブタイヤのチューブ成型機 | |
CN202290987U (zh) | 蜗杆传动式软管环箍箍壳加工设备 | |
CN105798147A (zh) | 取暖器的连接支架的加工模具 | |
CN105798161A (zh) | 洗衣机的箱体插板的加工模具 | |
JP5933299B2 (ja) | プレス成形装置 | |
CN204396680U (zh) | 一种电动车控制器的固定架的加工模具 | |
KR20160141886A (ko) | 비대칭 프레스 가공물용 이송 스트립 | |
CN203843017U (zh) | 一种批量制作吊耳的模具 | |
CN204396676U (zh) | 一种取暖器的连接支架的加工模具 | |
KR20140071691A (ko) | 연결관용 단조 금형 장치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WITN |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