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03315A - 누름 버튼 스위치 - Google Patents

누름 버튼 스위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03315A
KR20150003315A KR1020147031739A KR20147031739A KR20150003315A KR 20150003315 A KR20150003315 A KR 20150003315A KR 1020147031739 A KR1020147031739 A KR 1020147031739A KR 20147031739 A KR20147031739 A KR 20147031739A KR 20150003315 A KR20150003315 A KR 2015000331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unger
base
switch
cover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70317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14136B1 (ko
Inventor
마사키 스기하라
에이지 유아사
Original Assignee
오므론 가부시키가이샤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므론 가부시키가이샤,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오므론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500033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033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141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141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023Light-emitting indic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00Control systems of elevators in general
    • B66B1/34Details, e.g. call counting devices, data transmission from car to control system, devices giving information to the control system
    • B66B1/46Adaptations of switches or switchgear
    • B66B1/461Adaptations of switches or switchgear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or profile
    • B66B1/463Touch sensitive input devi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04Cases; Cov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10Bases; Stationary contacts mounted there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12Movable parts; Contacts mounted thereon
    • H01H13/14Operating parts, e.g. push-butt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5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single operating member
    • H01H13/52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single operating member the contact returning to its original state immediately upon removal of operating force, e.g. bell-push switch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00Mechanisms for operating contacts
    • H01H3/02Operating parts, i.e. for operating driving mechanism by a mechanical force external to the switch
    • H01H3/12Push-buttons
    • H01H3/122Push-buttons with enlarged actuating area, e.g. of the elongated bar-type; Stabilising means therefo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31/00Applications
    • H01H2231/03Elevat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ush-Button Switches (AREA)
  • Rotary Switch, Piano Key Switch, And Lever Switch (AREA)

Abstract

상자형 베이스(10)와, 평면 개략 ㄷ자형을 가지며, 양측 암부(32, 33)의 중간부를 지점으로 하여 회동 가능하게 상기 상자형 베이스(10)상에 배치되고, 상기 양측 암부(32, 33)의 선단을 상호 회동 가능하게 연결함과 함께, 상하이동 가능하게 지지한 제1, 제2 조작 레버(30, 40)와, 연결된 상기 제1, 제2 조작 레버(30, 40)를 피복하는 평면 형상을 가지며, 개략 중앙에 조작구멍을 마련한 조작 커버(50)와, 상기 조작 커버(50)의 조작구멍에 감합 가능한 단면 형상을 가지며, 상기 조작구멍의 개구연부를 압하 가능한 투광성 재료로 이루어지는 플런저(60)와, 상기 상자형 베이스(10)의 윗면 중, 상기 제1 조작 레버(30)의 암부(32)의 중간 영역에 배치되고, 상기 제1 조작 커버(30)를 통하여 상기 플런저(60)에 구동되는 택타일 스위치(22)와, 상기 플런저(60)의 직하에 위치하고, 상기 택타일 스위치(22)의 구동에 의해 점등하는 LED(21)로 이루어지는 구성으로 하고 있다.

Description

누름 버튼 스위치{PUSHBUTTON SWITCH}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 등에 사용되는 누름 버튼 스위치, 특히, 자기(self) 조광식 누름 버튼 스위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자기 조광식 누름 버튼 스위치로서는, 조작 버튼이 기울어지지 않고 안정되게 조작할 수 있도록 평행동작 링크 기구를 구비한 누름 버튼 스위치가 있다(특허 문헌 1 참조).
특허 문헌 1 : 일본 특개2008-171794호 공보
그렇지만, 전술한 누름 버튼 스위치는, 예를 들면, 그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레버 링크 기구(5)의 개략 중앙에 배치한 스위치 본체(2)의 바로 위에, 상기 스위치 본체(2)를 조작하는 판스프링(13)을 배치하고 있다. 이 때문에, 광원은 상기 스위치 본체(2) 및 판스프링(13)의 주위 부근에 배치할 필요가 있어서, 소망하는 광도를 얻기 위해서는 4개의 광원을 배치하여야 되며, 부품 갯수, 조립공정수가 많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에 관한 누름 버튼 스위치는, 조작 버튼을 기울어지게 하는 일 없이 안정되게 조작할 수 있고, 부품 갯수가 적고, 조광 성능이 높은 누름 버튼 스위치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본 발명에 관한 누름 버튼 스위치는,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상자형 베이스와, 평면 개략 ㄷ자형을 가지며, 양측 암(arm)부의 중간부를 지점으로 하여 회동 가능하게 상기 상자형 베이스 위에 배치되고, 상기 양측 암부의 선단을 상호 회동 가능하게 연결함과 함께, 상하이동 가능하게 지지한 제1, 제2 조작 레버와, 연결된 상기 제1, 제2 조작 레버를 피복하는 평면 형상을 가지며, 개략 중앙에 조작구멍을 마련한 조작 커버와, 상기 조작 커버의 조작구멍에 감합 가능한 단면 형상을 가지며, 상기 조작구멍의 개구연부를 압하 가능한 투광성 재료로 이루어지는 플런저와, 상기 상자형 베이스의 윗면 중, 상기 조작 레버의 암부의 중간 영역에 배치되고, 상기 조작 커버를 통하여 상기 플런저에 구동되는 스위치 본체와, 상기 플런저의 직하에 위치한 광원으로 이루어지는 구성으로 하고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조작 커버로 한 쌍의 조작 레버를 압하함에 의해 동작하는 평행동작 링크 기구에 의해, 플런저가 기울어지는 일 없이, 안정된 조작이 가능해진다.
또한, 광원이 투광성 재료로 이루어지는 플런저의 직하에 위치하고, 조광 성능이 높기 때문에, 적은 개수의 광원으로 조광할 수가 있어서, 부품 갯수, 조립공정수가 적은 누름 버튼 스위치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형태로서는, 스위치 본체와 조작 커버와의 사이에 쿠션재를 배치해 두어도 좋다.
본 실시 형태에 의하면, 부품 오차, 조립 오차를 쿠션재가 흡수함과 함께, 덜커덕거림이 없는 누름 버튼 스위치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로서는, 조작 커버는 불투명하여도 좋다.
본 실시 형태에 의하면, 광원으로부터의 광의 누출이 적어지고, 조광 성능이 보다 한층 향상한 누름 버튼 스위치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로서는, 일단부를 베이스에 마련한 삽입구멍에 하방측부터 삽입되고, 또한, 상기 베이스의 하면에 조립되는 프린트 기판 중, 그 윗면에 실장한 광원을, 플런저의 직하에 위치하도록 상기 베이스에 마련한 관통구멍으로부터 노출시키고 있어도 좋다.
본 실시 형태에 의하면, 베이스 저면의 두께 치수를 유효하게 활용할 수가 있어서, 보다 한층 박형의 누름 버튼 스위치를 얻을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도 1의 A, 도 1의 B는 본원 발명에 관한 누름 버튼 스위치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2의 A, 도 2의 B, 도 2의 C는 도 1에 도시한 누름 버튼 스위치의 평면도, 정면도, 도 2의 B의 C-C선 평면단면도.
도 3은 도 1의 A에 도시한 사시도의 분해사시도.
도 4는 도 1의 B에 도시한 사시도의 분해사시도.
도 5의 A, 도 5의 B, 도 5의 C, 도 5의 D는 도 2의 A에 도시한 베이스의 평면도, 도 5의 A의 B-B선 단면도, C-C선 단면도, D-D선 단면도.
도 6의 A, 도 6의 B, 도 6의 C는 도 1의 A에 도시한 제1, 제2 조작 레버의 분해사시도, 분해평면도 및 도 6의 B의 C-C선 단면도.
도 7의 A, 도 7의 B, 도 7의 C는 도 1의 A에 도시한 누름 버튼 스위치의 조작 전을 도시하는 평면도, 도 7의 A의 B-B선 단면도, C-C선 단면도.
도 8의 A, 도 8의 B, 도 8의 C는 도 1의 A에 도시한 누름 버튼 스위치의 조작 후를 도시하는 평면도, 도 8의 A의 B-B선 단면도, C-C선 단면도.
도 9의 A, 도 9의 B는 본원 발명에 관한 누름 버튼 스위치의 조작 전후를 도시하는 부분 단면 정면도.
도 10의 A는 동작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 도 10의 B는 본원 발명에 관한 누름 버튼 스위치의 동작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 도 10의 C는 비교예에 관한 누름 버튼 스위치의 동작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
본 발명에 관한 누름 버튼 스위치의 실시 형태에 관해 도 1 내지 도 10의 첨부 도면에 따라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에 관한 누름 버튼 스위치는, 도 3 및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프린트 기판(20)을 조립한 개략 사각형의 베이스(10)와, 제1, 제2 조작 레버(30, 40)와, 조작 커버(50)와, 플런저(60)와, 조작 버튼(70)으로 구성되어 있다.
베이스(10)는,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그 윗면에 고리형상 벽부(11)를 돌설함과 함께, 그 윗면의 중앙부에 마련한 관통구멍(12)의 윗면 개구연부에 유발형상의 고리형상 돌기부(12a)를 돌설하고 있다.
또한, 상기 베이스(10)는, 그 윗면 중, 상기 고리형상 돌기부(12a)의 주위에 위치 결정용 돌기(13)를 마련하고 있음과 함께, 상기 위치 결정용 돌기(13)의 부근에 위치 결정용 리브(14a, 14b)를 돌설하고 있다. 또한, 상기 베이스(10)는, 상기 위치 결정용 리브(14a, 14a)의 사이에 삽입구멍(15)을 마련하고 있음과 함께, 상기 삽입구멍(15)에 연통하도록 감합용 단부(15a)를 마련하고 있다. 또한, 상기 베이스(10)의 윗면 중, 일방측의 구석에 후술하는 코일 스프링(48)을 삽입하는 삽입용 돌기(17)를 돌설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고리형상 벽부(11)에는, 대향하는 내측면에 2쌍의 축받이 홈(18a, 18b)을 각각 동일 직선상에 마련하고 있는 한편, 나머지 대향하는 내측면에 2쌍의 빠짐 방지용 폴부(16a, 16b)를 각각 이웃하도록 돌설하고 있다.
계속해서, 상기 베이스(10)는, 그 하면에 후술하는 프린트 기판(20)을 끼우는 오목개소(19)(도 4)를 상기 삽입구멍(15)에 연통하도록 마련하고 있다.
프린트 기판(20)은,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베이스(10)의 저면에 마련한 상기 오목개소(19)에 감합 가능한 평면 형상을 갖는다. 그리고, 상기 프린트 기판(20)은, 그 윗면의 중앙부에 한 쌍의 LED(21, 21)를 길이방향에 따라 실장하고 있음과 함께, 그 윗면의 일단부에 택타일 스위치(22)를 실장하고 있는 한편, 그 윗면의 타단부에 커넥터(23)를 실장하고 있다. 또한, 상기 택타일 스위치(22)의 윗면에는, 조립 오차를 흡수함과 함께, 외부의 충격력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고무제 쿠션재(25)를 감합하고 있다.
제1, 제2 조작 레버(30, 40)는, 도 2 및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베이스(10)의 고리형상 벽부(11)의 내주면에 따른 테두리 형상을 구성한다.
상기 제1 조작 레버(30)는, 그 연결부(31)의 양단부터 각각 연재된 암부(32, 32)를 지지봉(33)으로 연결함에 의해, 보강하고 있음과 함께, 그 선단부에 축받이구멍(34)을 마련하고 있다. 또한, 상기 제1 조작 레버(30)는, 상기 암부(32)의 외측면에 회동용 축부(35)를 동일 축심상에 마련하고 있음과 함께, 상기 연결부(31)의 모서리부에 빠짐 방지용 노치부(36)를 마련하고 있다.
제2 조작 레버(40)는, 그 연결부(41)의 양단부터 각각 연재된 암부(42, 42)를 지지축(43)으로 연결함에 의해, 보강하고 있음과 함께, 상기 암부(42)의 내측면의 선단부에 연결용 축부(44)를 동일 축심상에 돌설하고 있다. 또한, 상기 제2 조작 레버(40)는, 상기 암부(42)의 외측면에 회동용 축부(45)를 동일 축심상에 마련하고 있다. 또한, 상기 연결부(41)는, 그 외향면의 양단부에 빠짐 방지용 노치부(46)를 마련하고 있음과 함께, 그 양단면에 계합용 축부(47)를 동일 축심상에 돌설하고 있다.
조작 커버(50)는, 상기 베이스(10)의 고리형상 벽부(11) 내에 수납 가능한 평면 형상을 가지며, 그 중앙부에 조작구멍(51)을 마련하고 있음과 함께, 상기 조작구멍(51)의 내주연부에 계지용 돌기(52)를 소정의 피치로 형성하고 있다. 또한, 상기 조작 커버(50)는, 그 일방측 연부의 중앙으로부터 잘라낸 한 쌍의 지지용 설편(53, 53)의 사이에, 하방측으로 절곡하여 형성한 지지용 굴곡부(54)를 마련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조작 레버(50)는, 그 타방측에 위치하는 모서리부로부터 잘라낸 계합용 설편(55)을 하방측으로 구부려 내리고 있다.
플런저(60)는, 상기 조작 커버(50)의 조작구멍(51)의 개구연부에 재치 가능한 원판 형상을 가지며, 상기 LED(21)의 광을 확산할 수 있는 투명 수지 재료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플런저(60)는, 그 윗면 주연부에 고리형상 리브(61)를 돌설하고 있음과 함께, 그 하면 개구연부의 대향하는 위치에 다리부(62, 62)를 각각 돌설하고 있다. 또한, 상기 플런저(60)는, 상기 조작 커버(50)의 계지용 돌기(52)에 계지되어 일체화하기 위해 계지용 오목부(63)를 마련하고 있다.
조작 버튼(70)은, 상기 플런저(60)를 피복 가능한 평면 형상을 가지며, 단면 개략 ㄷ자형상으로 투광성 재료로 형성되어 있음과 함께, 그 외주연부에 빠짐 방지용 폴부(71)를 소정의 피치로 마련하고 있다.
다음에, 전술한 구성 부품의 조립 방법에 관해 설명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도시하지 않은 화장 커버에 마련한 조작구멍으로부터 조작 버튼(70)이 조작 가능하게 돌출하도록 조립된다.
우선, LED(21), 택타일 스위치(22), 커넥터(23)를 실장한 프린트 기판(20)의 일단부를, 베이스(10)의 삽입구멍(15)에 하방측부터 삽입함과 함께, 상기 베이스(10)의 윗면에 마련한 감합용 단부(15a)에 감합한 후, 코킹구멍(24)을 통하여 상기 베이스(10)의 오목개소(19) 내에 코킹 고정한다. 계속해서, 상기 택타일 스위치(23)에 쿠션재(25)를 씌워서 피복한다.
그리고, 상기 베이스(10)의 삽입용 돌기(17)에 복귀용 코일 스프링(48)을 삽입한다. 한편, 제1 조작 레버(30)의 축받이구멍(34)에 제2 조작 레버(40)의 연결용 축부(44)를 계합하여, 회동 가능하게 조립한다. 그리고, 상기 베이스(10)의 윗면에 상기 제1, 제2 조작 레버(30, 40)를 조립한다. 이 때,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1 조작 레버(30)의 연결부(31)가 빠짐 방지용 폴부(16a)와 위치 결정용 리브(14a)와의 사이에 배치됨과 함께, 연결봉(33)이 위치 결정용 리브(14a)와 위치 결정용 돌기(13)와의 사이에 배치된다. 또한, 상기 제1 조작 레버(30)의 회동용 축부(35)가, 베이스(10)의 고리형상 벽부(11)의 내주면에 마련한 축받이 홈(18a)에 계합하여, 회동 가능하게 지지된다. 또한, 택타일 스위치(22)는, 제1 조작 레버(30)의 축받이구멍(34)과 연결부(31)와의 사이에 배치된다.
마찬가지로, 제2 조작 레버(40)의 연결부(41)가 빠짐 방지용 폴부(16b)와 위치 결정용 리브(14b)와의 사이에 배치됨과 함께, 연결봉(43)이 위치 결정용 리브(14b)와 위치 결정용 돌기(13)와의 사이에 배치된다. 또한, 상기 제2 조작 레버(40)의 회동용 축부(45)가 베이스(10)의 고리형상 벽부(11)의 내주면에 마련한 축받이 홈(18b)에 계합하여, 회동 가능하게 지지된다.
따라서 본 실시 형태에 의하면, 진동이 가하여져도, 제1, 제2 조작 레버(30, 40)에 덜커덕거림이나 오동작이 생기기 어려운 누름 버튼 스위치를 얻을 수 있다.
또한, 프린트 기판(20)에 실장한 LED(21)는 상기 베이스(10)의 관통구멍(12)으로부터 노출함과 함께, 그 위쪽에 차단하는 것이 없기 때문에, 조광 성능이 높고, 적은 개수의 LED(21)로 조광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계속해서, 플런저(60)를 미리 조립한 조작 커버(50)의 지지용 설편(53)과, 지지용 굴곡부(54)로 제1 조작 레버(30)의 연결부(31)를 끼여지지한다. 또한, 상기 조작 커버(50)의 계합용 설편(55)을 제2 조작 레버(40)의 계합용 축부(47)에 계합함에 의해, 상기 제1, 제2 조작 레버(30, 40)에 조작 커버(50)를 일체화한다. 이 때문에, 코일 스프링(48)의 스프링력과 택타일 스위치(22)의 밀어올리는 힘으로, 제1 조작 레버(30)의 연결부(31)와 제2 조작 레버(40)의 연결부(41)가 상방으로 가세되어, 제1, 제2 조작 레버(30, 40)의 암부(32, 42)의 선단은 최하위에 위치한다(도 7).
그리고, 상기 플런저(60)의 하면 외주연부가 상기 조작구멍(51)의 개구연부에 재치됨과 함께,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플런저(60)의 다리부(62)가 베이스(10)의 위치 결정용 돌기(13)에 위치 규제된다. 단, 조작 전에는, 상기 플런저(60)의 다리부(62)는 베이스(10)의 윗면에서 들떠올라 있다.
또한, 상기 플런저(60)에 조작 버튼(70)을 조립하여 상기 조작 커버(50)상에 위치 결정하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도시하지 않은 화장 커버로 상기 누름 버튼 스위치를 피복함과 함께, 상기 화장 커버의 조작구멍으로부터 조작 버튼(70)이 조작 가능하게 돌출한다. 또한, 조작 버튼은 필요에 응하여 다른 형상의 조작 버튼을 사용하여도 좋음은 물론이다.
우선, 상기 누름 버튼 스위치의 동작을 도 7 내지 도 10의 첨부 도면에 관해 설명한다.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동작 전의 조작 커버(50)는 택타일 스위치(22)의 밀어올리는 힘 및 코일 스프링(48)의 스프링력으로 상방으로 가세되어 있다. 이 때문에, 제1, 제2 조작 레버(30, 40)는, 암부(32, 42)의 선단부가 최하위에 위치하고 있지만, 베이스(10)의 윗면 구석에 오목부(18c)를 마련하고 있기 때문에, 제1, 제2 조작 레버(30, 40)의 암부(32, 42)의 선단이 당접하는 일이 없다. 또한, 제1 조작 레버(30, 40)의 빠짐 방지용 노치부(36, 46)가 베이스(10)의 빠짐 방지용 폴부(16a, 16b)에 계합하여, 탈락을 방지한다.
그리고, 상기 조작 버튼(70)을 압하하면, 택타일 스위치(22)의 밀어올리는 힘 및 코일 스프링(48)의 스프링력에 대항하여 조작 커버(50)가 압하되고, 제1, 제2 조작 레버(30, 40)는 회동용 축부(35, 45)를 각각 지점으로 하여 회동한다. 이 때문에, 제1, 제2 조작 레버(30, 40)의 암부(32, 42)의 선단부가 상방으로 들어 올려지는 한편, 조작 커버(50)가 쿠션재(25)를 통하여 택타일 스위치(22)의 누름 버튼부(22a)를 압하한다. 이 결과, 커넥터(23)를 통하여 프린트 기판(20)의 실장 부품에 외부로부터 전력이 공급되고 있는 경우, LED(21)는, 택타일 스위치(22)의 스위치 동작, 또는, 외부 회로의 지시에 의거하여 점등한다.
계속해서, 상기 조작 버튼(70)에 대한 압하하는 힘을 해제하면, 택타일 스위치(22)의 밀어올리는 힘과 코일 스프링(48)의 스프링력으로, 제1 조작 레버(30)의 연결부(31)와 제2 조작 레버(40)의 연결부(41)가 밀어올려져, 전술과는 반대의 동작을 행함에 의해, 원래의 위치로 복귀한다.
본 실시 형태에 의하면, 조작 버튼(70)에 대한 조작 위치가 중심으로부터 편심하고 있어도, 조작 레버(30, 40)로 이루어지는 평행동작 링크 기구에 의해, 조작 버튼(70)은 크게 기울어지는 일 없이, 택타일 스위치(22)를 온·오프 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압하 전후의 부분 단면도를 각각 도시하는 도 9의 A, 도 9의 B를 설명의 편의상, 도 10의 A, 도 10의 B에 개략적으로 도시하여 설명한다.
즉, 택타일 스위치(22)는 제1 조작 레버(30)의 연결부(31)의 축심과 암부(32)의 선단에 마련한 축받이구멍(34)의 축심과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이 때문에, 최대 압입량(D)이 작더라도, 상기 택타일 스위치(22)를 조작할 수 있다.
한편, 도 10의 C에 도시하는 비교예와 같이, 제1 조작 레버(30)의 연결부(31)의 축심의 외측에 택타일 스위치(22)를 배치하면, 최대 압입량(D)이 본 실시 형태와 동일하여도, 상기 택타일 스위치(22)를 조작할 수가 없고, 비교예를 조작하기 위해서는 압입량(D)을 더욱 증대시킬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실시 형태에 의하면, 상대적으로 적은 압입량으로 택타일 스위치(22)를 조작할 수 있고, 비교예보다도 박형의 누름 버튼 스위치를 얻을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에 관한 누름 버튼 스위치는, 제1, 제2 조작 레버의 연결부와 암부의 선단부와의 사이에, 적절히, 스위치 본체를 조작 커버로 조작 가능하게 배치하여 두면 좋고, 필요에 응하여 스위치 본체의 위치를 미조정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산업상의 이용 가능성]
본 발명에 관한 누름 버튼 스위치는, 엘리베이터로 한하지 않고, 다른 용도에도 적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10 : 베이스 11 : 고리형상 벽부
12 : 관통구멍 12a : 고리형상 돌기부
13 : 위치 결정용 돌기 14a, 14b : 위치 결정용 리브
16a, 16b : 빠짐 방지용 폴부 17 : 삽입용 돌기
18a, 18b : 축받이 홈 20 : 프린트 기판
21 : LED 22 : 택타일 스위치
23 : 커넥터 24 : 코킹구멍
25 : 쿠션재 30 : 제1 조작 레버
31 : 연결부 32 : 암부
33 : 연결봉 34 : 축받이구멍
35 : 회동용 축부 36 : 빠짐 방지용 노치부
40 : 제2 조작 레버 41 : 연결부
42 : 암부 43 : 연결봉
44 : 연결용 축부 45 : 회동용 축부
46 : 빠짐 방지용 노치부 47 : 계합용 축부
50 : 조작 커버 51 : 조작구멍
52 : 계지용 돌기 53 : 지지용 설편
54 : 지지용 굴곡부 55 : 계합용 설편
60 : 플런저 62 : 다리부
63 : 계지용 오목부 70 : 조작 버튼

Claims (4)

  1. 상자형 베이스와,
    평면 개략 ㄷ자형을 가지며, 양측 암부의 중간부를 지점으로 하여 회동 가능하게 상기 상자형 베이스 위에 배치되고, 상기 양측 암부의 선단을 상호 회동 가능하게 연결함과 함께, 상하이동 가능하게 지지한 제1, 제2 조작 레버와,
    연결된 상기 제1, 제2 조작 레버를 피복하는 평면 형상을 가지며, 개략 중앙에 조작구멍을 마련한 조작 커버와,
    상기 조작 커버의 조작구멍에 감합 가능한 단면 형상을 가지며, 상기 조작구멍의 개구연부를 압하 가능한 투광성 재료로 이루어지는 플런저와,
    상기 상자형 베이스의 윗면 중, 상기 조작 레버의 암부의 중간 영역에 배치되고, 상기 조작 커버를 통하여 상기 플런저에 구동되는 스위치 본체와,
    상기 플런저의 직하에 위치하는 광원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름 버튼 스위치.
  2. 제 1항에 있어서,
    스위치 본체와 조작 커버와의 사이에 쿠션재를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름 버튼 스위치.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조작 커버가 불투명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름 버튼 스위치.
  4.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일단부를 베이스에 마련한 삽입구멍에 하방측부터 삽입되고, 또한, 상기 베이스의 하면에 조립되는 프린트 기판 중, 그 윗면에 실장한 광원을, 플런저의 직하에 위치하도록 상기 베이스에 마련한 관통구멍으로부터 노출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름 버튼 스위치.
KR1020147031739A 2012-05-17 2012-05-17 누름 버튼 스위치 KR10171413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12/062602 WO2013171874A1 (ja) 2012-05-17 2012-05-17 押しボタンスイッチ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3315A true KR20150003315A (ko) 2015-01-08
KR101714136B1 KR101714136B1 (ko) 2017-03-08

Family

ID=495833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31739A KR101714136B1 (ko) 2012-05-17 2012-05-17 누름 버튼 스위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150235786A1 (ko)
KR (1) KR101714136B1 (ko)
BR (1) BR112014028404A2 (ko)
WO (1) WO201317187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D801941S1 (en) * 2014-03-24 2017-11-07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Operation button for elevator
JP6248824B2 (ja) * 2014-06-19 2017-12-20 オムロン株式会社 押しボタンスイッチ
WO2016001832A1 (en) * 2014-06-30 2016-01-07 Pizzato Elettrica S.R.L. Adapter for mounting electric units
USD807835S1 (en) * 2015-06-30 2018-01-16 Whirlpool Corporation Butto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48244A (ko) * 2004-06-11 2006-05-18 오므론 가부시키가이샤 누름 버튼 스위치
JP2008171794A (ja) 2006-12-13 2008-07-24 Omron Corp 押しボタンスイッチ
JP2009289510A (ja) * 2008-05-28 2009-12-10 Omron Corp 押しボタンスイッチ
JP2011060601A (ja) * 2009-09-10 2011-03-24 Fujitsu Component Ltd キースイッチ装置及びキーボード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4425154C1 (de) * 1994-07-16 1995-10-19 Valeo Borg Instr Verw Gmbh Tastschalter mit lang gestrecktem Tastelement
JPH0935578A (ja) * 1995-07-25 1997-02-07 Valeo Borg Instr Verwalt Gmbh キースイッチ、特に細長いキー部材を有するキースイッチ
JP2001118467A (ja) * 1999-10-15 2001-04-27 Yazaki Corp スイッチ装置
JP2005011672A (ja) * 2003-06-19 2005-01-13 Omron Corp 押しボタンスイッチ
KR101054406B1 (ko) * 2004-03-05 2011-08-05 엘지전자 주식회사 조작 버튼
JP4317490B2 (ja) * 2004-06-01 2009-08-19 信越ポリマー株式会社 押釦スイッチ用キーシートの製造方法及び押釦スイッチ用キートップ付きキーシートの製造方法
US7351928B2 (en) * 2005-06-10 2008-04-01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Key input device
JP2008105769A (ja) * 2006-10-23 2008-05-08 Toshiba Elevator Co Ltd エレベータのかご操作盤、操作ボタン及び運行状況報知方法
JP4929509B2 (ja) * 2007-05-16 2012-05-09 Idec株式会社 押ボタンスイッチ装置
US8253048B2 (en) * 2007-11-16 2012-08-28 Dell Products L.P. Illuminated indicator on an input device
JP5215369B2 (ja) * 2010-11-19 2013-06-19 オムロン株式会社 押しボタンスイッチ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48244A (ko) * 2004-06-11 2006-05-18 오므론 가부시키가이샤 누름 버튼 스위치
JP2008171794A (ja) 2006-12-13 2008-07-24 Omron Corp 押しボタンスイッチ
JP2009289510A (ja) * 2008-05-28 2009-12-10 Omron Corp 押しボタンスイッチ
JP2011060601A (ja) * 2009-09-10 2011-03-24 Fujitsu Component Ltd キースイッチ装置及びキーボード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3171874A1 (ja) 2013-11-21
US20150235786A1 (en) 2015-08-20
BR112014028404A2 (pt) 2018-04-24
KR101714136B1 (ko) 2017-03-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122756B2 (en) Push switch
US9508505B2 (en) Keyswitch structure
JP5681282B2 (ja) 詳細には電気パーキングブレーキのための、スイッチ
EP1981049B1 (en) Push button switch device
KR101714136B1 (ko) 누름 버튼 스위치
JP4123793B2 (ja) 押しボタンスイッチ
CA2655702A1 (en) Push-button switch
JP5215369B2 (ja) 押しボタンスイッチ
US6906269B2 (en) Multi-directional slide switch
KR101489112B1 (ko) 차량용 실내 램프
JP2016004767A (ja) 押しボタンスイッチ
JP2006244977A (ja) 押釦スイッチ
EP0184185A2 (en) Push-button switch
JP6447492B2 (ja) 押しボタンスイッチ、押しボタンスイッチユニット
JP2010040431A (ja) 押下操作型スイッチ装置
JP2005032705A (ja) プッシュオンスイッチ
JP4629412B2 (ja) 押ボタンスイッチ装置
JP2006310228A (ja) スイッチ
JP2011100678A (ja) 押釦スイッチ
JP4470731B2 (ja) 操作パネルユニット
JP6705607B2 (ja) ボタン構造およびこれを備えた電子機器
JP4317042B2 (ja) 片側シーソつまみの構造
JP2021157942A (ja) 操作装置
JPH11242921A (ja) プッシュスイッチ装置
JP2010003535A (ja) プッシュスイッチ作動用つま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