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03198U - 세면대용 고정부재 및 고정부재가 구비된 일체형 세면대 - Google Patents

세면대용 고정부재 및 고정부재가 구비된 일체형 세면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03198U
KR20150003198U KR2020140001201U KR20140001201U KR20150003198U KR 20150003198 U KR20150003198 U KR 20150003198U KR 2020140001201 U KR2020140001201 U KR 2020140001201U KR 20140001201 U KR20140001201 U KR 20140001201U KR 20150003198 U KR20150003198 U KR 20150003198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stening member
washstand
fastening
mounting panel
fixing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4000120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80051Y1 (ko
Inventor
이종근
Original Assignee
(주)도원드레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도원드레인 filed Critical (주)도원드레인
Priority to KR202014000120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0051Y1/ko
Publication of KR2015000319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0319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005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0051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00Wash-stands; Appurtenances therefor
    • A47K1/04Basins; Jugs; Holding devices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12Plumbing installations for waste water; Basins or fountains connected thereto; Sinks
    • E03C1/32Holders or supports for basi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ink And Installation For Waste Water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배수 트랩의 바닥 매립 설치시 위치 조절이 가능하여 설치 환경에 맞추어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고 하수관 또는 연결되는 배관으로부터 유입되는 악취와 오수의 역류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구조를 가지는 바닥용 배수 트랩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세면대용 고정부재 및 고정부재가 구비된 일체형 세면대 { Fixing member for an washbowl and the washbowl having this }
본 고안은 세면대용 고정부재 및 고정부재가 구비된 일체형 세면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화장실 또는 욕실에는 세면대가 구비되며, 이러한 세면대는 다양한 형상을 가지도록 형성되지만 수전과 함께 배치되어 물을 받아 세면을 하거나 손을 씻을 수 있도록 하는 구조를 가진다.
이러한 세면대는 그 구조와 형상은 다양하지만 대부분 벽면에 고정 장착되는 구조를 가지게 되며, 벽면으로부터 돌출되는 구조를 가지며 물을 받을 수 있도록 하는 구조를 가지게 되므로 별도의 브라켓을 이용하여 상기 세면대를 고정 지지할 수 있도록 한다.
등록실용신안 제20-0126613호에는 세면대 받침부와 벽면 장착부가 직교되는 형태의 세면대용 지지부재가 개시되어 있다. 이러한 구조의 세면대용 지지부재는 가장 일반적인 형태이며, 좌우 양측에 한쌍이 구비되어 상기 세면대를 하방에서 지지함과 동시에 상기 세면대가 벽면에 고정 설치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이러한 구조의 세면대용 지지부재를 이용하여 세면대를 고정하게 될 경우 좌우 양측에 구비되는 세면대용 지지부재의 수평 조절이 용이하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등록실용신안 제20-0305348호에는 벽체에 고정되는 한쌍의 고장부재와 각 고정부재를 연결하는 형상으로 돌출되어 세면대가 안착되는 받침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세면대 고정용 브래킷이 개시되어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은 구조를 가지는 종래의 세면대를 지지하기 위한 구조는 모두 세면대를 하방에서 지지하는 구조로 외부로 노출되는 구조를 가지게 되며, 이러한 구조는 외관이 다소 저해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상기 세면대의 하부 형상 또는 크기에 따라서 지지하기 위한 구성의 크기와 구조 또한 달라지게 되므로 다양한 형상의 세면대에 사용될 수 없는 문제거 있다.
본 고안의 목적은, 고정 대상물에 고정 장착되며, 상기 세면대의 후단과 결합되어 상기 세면대의 고정시 외부로 노출되지 않는 세면대용 고정부재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그리고, 본 고안의 목적은, 고정 대상이 되는 벽면 또는 판넬에 형성되는 수용부에 삽입되는 고정부재와 상기 고정부재에 후단이 고정되어 상기 고정부재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하는 상기 세면대의 후단과 결합되어 상기 세면대의 고정시 외부로 노출되지 않는 고정부재가 구비된 일체형 세면대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세면대용 고정부재는, 가로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본체; 상기 본체의 양측에 형성되며, 상기 본체가 욕실 또는 화장실에 고정 장착될 수 있도록 하는 제 1 체결부재가 관통되는 고정구; 상기 본체의 양측에 형성되며, 상기 제 1 체결부재와 대향되는 방향으로 돌출되어 세면대와 결합될 수 있도록하는 제 2 체결부재가 관통되는 결합구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제 1 체결부재는 상기 제 2 체결부재가 상기 결합구를 관통하도록 배치된 상태에서 체결되어 상기 본체가 상기 욕실 또는 화장실에 고정 장착되도록 하며, 상기 제 2 체결부재는 상기 세면대의 후단과 결합되어 상기 세면대에 의해 상기 본체가 차폐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본체의 둘레에는 소정의 높이를 가지는 테두리가 형성되며, 상기 테두리는 상기 제 1 체결부재 및 제 2 체결부재의 헤드보다 더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결합구는 가로방향으로 긴 장공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고정부재가 구비된 일체형 세면대는, 욕실 또는 화장실의 벽면에 고정되며, 세면대가 장착되는 위치에 함몰 형성되는 수용부가 형성되는 설치용 판넬; 수며, 상기 수용부의 내측에 수용되는 고정부재; 상기 고정부재에 체결되어 상기 고정부재를 상기 수용부의 내측에 고정시키는 제 1 체결부재; 상기 제 1 체결부재의 체결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돌출되며, 상기 세면대의 후단과 결합되는 제 2 체결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수용부는 상기 세면대에 의해 차폐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설치용 판넬은 에프알피 또는 합성 수지재로 성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설치용 판넬은 실리콘 또는 접착재로 상기 벽면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고정부재에는 상기 제 2 체결부재가 관통되며, 상기 제 2 체결부재가 좌우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가로방향으로 긴 장공 형상으로 형성되는 결합구가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설치용 판넬 상부에는 측방으로 연장되며, 하방에 변기가 설치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연장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수용부의 하방에는 상기 세면대를 하방에서 지지하며, 상기 세면대와 연결되는 배관을 수용하는 지지부가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세면대용 고정부재 및 고정부재가 구비된 일체형 세면대에서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첫째, 상기 고정부재는 수용부의 내측에 완전히 수용된 상태에서 돌출되는 제 2 체결부재와 세면대와 결합되어 상기 세면대가 고정 장착되도록 하는 구조를 가지게 된다.
따라서 상기 세면대에 의해 상기 고정부재 및 수용부가 가려지게 되어 상기 세면대의 고정을 위한 구성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게 된다. 따라서 상기 세면대 및 세면대가 설치된 공간을 보가 간결하도록 하며 외관이 돋보이게 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둘째, 상기 고정부에는 제 2 체결부재가 관통되는 장공이 형성되므로 상기 세면대의 크기와 종류에 따라서 상기 제 2 체결부재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게 되므로 하나의 고정부재를 이용하여 다양한 종류의 세면대를 고정하는데 사용될 수 있게 되는 이점이 있다.
셋째, 상기 세면대의 설치를 위한 수용부가 상기 설치용 판넬에 형성되도록 하는 경우, 욕실 또는 화장실에 별도의 스크류 등을 체결하지 않아도 되므로 시공이 간편하게 되며, 설치 및 해체시 벽면을 훼손하지 않게 되는 이점이 있다.
또한, 설치용 판넬을 제공함으로써 다양한 수납 공간을 형성할 수 있으며, 변기의 설치공간을 제공하는 등 욕실 또는 화장실을 시스템화 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세면대가 설치된 모습을 보인 사시도이다.
도 2는 상기 세면대의 결합 구조를 보인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고정부재를 정면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4는 상기 고정부재의 정면도이다.
도 5는 도 1의 5-5'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1의 6-6'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세면대의 결합구조를 보인 분해 사시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고안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도면과 함께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그러나 본 고안은 본 고안의 사상이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된다고 할 수 없으며, 또 다른 구성요소의 추가, 변경, 삭제 등에 의해서 퇴보적인 다른 고안이나 본 고안의 사상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세면대가 설치된 모습을 보인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2는 상기 세면대의 결합 구조를 보인 분해 사시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하면 화장실 또는 욕실의 공간 벽면(1)에는 세면대(100)가 설치될 수 있으며, 상기 세면대(100)는 벽면에 고정된 설치용 판넬(200)에 고정부재(300)에 의해 고정 설치될 수 있게 된다.
상세히, 상기 세면대(100)가 설치되는 화장실 또는 욕실의 실내 공간의 일측 벽면(1)에는 설치용 판넬(200)이 구비된다. 상기 설치용 판넬(200)은 에프알피(FRP)또는 합성수지재로 성형될 수 있으며, 장착되는 실내 공간에 따라서 다양한 크기와 형상을 가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설치용 판넬(200)은 상기 벽면에 스크류 또는 볼트와 같은 체결을 위한 부재에 의해 고정되도록 할 수 있으며, 별도의 체결을 위한 부재 없이 실리콘 또는 접착제 등으로 상기 벽면(1)에 접착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설치용 판넬(200)은 상기 세면대(100)가 설치되는 설치면(210)과, 상기 설치면(210)의 둘레에서 절곡되어 연장되는 연장면(220)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따라서, 상기 설치용 판넬(200)의 장착시 상기 연장면(220)에 의해 상기 설치면(210)은 상기 벽면(1)으로부터 이격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설치면(210)의 전면에는 내측으로 함몰되는 수납부(230)가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수납부(230)는 상기 세면대(100)가 설치되는 부분을 제외한 다른 부분에 배치되어 욕실 또는 화장실에서 필요한 용품들이 수납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설치면(210)의 전면 중 상기 세면대(100)가 설치되는 위치와 대응하는 위치에는 수용부(240)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수용부(240)는 상기 설치면(210)의 전면에서 함몰 형성되며, 상기 고정부재(300)가 완전히 수용될 수 있는 형상을 가지도록 형성된다. 이때, 상기 수용부(240)는 상기 고정부재(300)의 형상과 대응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고정부재(300)의 삽입시 위치의 조정이나 수평 조절이 자연스럽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수용부(240)의 하방에는 전방으로 돌출되는 지지부(250)가 형성된다. 상기 지지부(250)는 상기 세면대(100)의 하방에서 상기 세면대(100)를 지지할 수 있도록 형성되며, 내부에 세면대(100)와 연결되는 배관이 통과될 수 있도록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지지부(250)는 상기 설치용 판넬(200)과 일체로 성형될 수도 있으며, 필요에 따라서 동일 소재로 형성되고 상기 설치면(210)에 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그리고 필요에 따라서 상기 지지부(250)는 생략될 수도 있을 것이다.
한편, 상기 설치용 판넬(200)의 일측에는 측방으로 연장되는 측면 연장부(260)가 형성되며, 상기 측면 연장부(260)의 하부에는 변기(미도시)가 설치될 수 있는 공간부(270)가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설치용 판넬(200)의 장착시 상기 측면 연장부(260)에 의해서 자연스럽게 상기 측면 연장부(260) 하방에 공간부(270)가 형성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고정부재(300)는 상기 세면대(100)가 상기 설치용 판넬(200)상에 고정 장착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사각형의 막대 형상으로 형성되며, 가로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다.
상기 고정부재(300)는 상기 세면대(100) 후단의 가로 방향 길이보다는 더 작게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수용부(240)의 내부에 삽입될 수 있도록 대응하는 크기로 형성된다. 상기 고정부재(300)는 좌우 양측에 구비되는 제 1 체결부재(400)에 의해 상기 수용부(240)의 내측에서 고정될 수 있으며, 상기 고정부재(300)를 관통하여 상기 세면대(100)를 향하여 연장되는 제 2 체결부재(500)에 의해 상기 세면대(100)의 후단과 결합된다.
따라서, 상기 고정부재(300)에 의해 상기 세면대(100)는 상기 설치용 판넬(200)에 고정 장착될 수 있으며, 안정적인 고정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하에서는, 상기 고정부재(300)에 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기로 한다.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고정부재를 정면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4는 상기 고정부재의 정면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고정부재(300)는 정면에서 볼 때 가로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막대 형상의 본체(310)에 의해 전체적인 형상이 형성되며, 상기 본체(310)의 둘레를 따라서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테두리부(320)가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테두리부(320)의 내측은 소정의 공간을 형성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고정부재(300)의 좌우 양측에는 각각 상기 제 1 체결부재(400)가 관통되는 고정구(330)와, 상기 제 2 체결부재(500)가 관통되는 결합구(340)가 각각 형성된다.
상세히, 상기 고정구(330)는 도 3에서 볼 때 후방에서 상기 제 1 체결부재(400)가 전방으로 삽입되며, 상기 제 1 체결부재(400)의 일부가 상기 고정구(330)를 관통하여 상기 수용부(240)의 내측에 체결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고정구(330)는 전면 보다 후면이 더 크게 개구되며, 상기 제 1 체결부재(400)의 헤드(410)가 상기 고정구(330)가 형성되는 보스(331)의 내부에 수용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즉, 상기 고정구(330)가 형성되는 보스(331)는 전방을 향하여 돌출되는 구조이며, 상기 보스(331)의 개구된 전면은 상기 제 1 체결부재(400)의 나사 부분과 대응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보스(331)의 개구된 후면은 상기 제 1 체결부재(400)의 헤드(410) 부분이 수용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고정부재(300)가 상기 수용부(240)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제 1 체결부재(400)가 상기 고정구(330)를 관통하여 상기 수용부(240)의 내측면에 체결될 수 있도록 상기 제 1 체결부재(400)를 체결하게 된다. 상기 제 1 체결부재(400)의 체결을 통해 상기 고정부재(300)는 상기 수용부(240)의 내측에 고정 장착될 수 있게 된다.
상기 결합구(340)는 좌우 양측에 구비되는 한쌍의 상기 고정구(330) 사이에 배치된다. 상기 결합구(340)는 각각 상기 고정구(330)와 인접한 위치에 형성되며, 상기 고정부재(300)의 길이 방향으로 길게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결합구(340)는 전면이 더 크게 형성되고, 후면이 작게 형성되어 전방에서 후방으로 상기 제 2 체결부재(500)가 삽입되었을 때 상기 결합구(340)의 내측에서 상기 제 2 체결부재(500)의 헤드(510)가 걸릴 수 있도록 형성된다.
상기 결합구(340)는 상기 테두리부(320)와 동일한 높이로 형성되는 리브(341)에 의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리브(341)는 상기 테두리부(320)와 연결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상기 테두리부(320)의 일부가 상기 결합구(340)의 적어도 일부를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결합구(340)는 상기 고정부재(300)의 길이 방향으로 긴 장공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세면대(100)의 가로방향 길이에 따라 상기 제 2 체결부재(500)의 위치를 조절하여 상기 세면대(100)의 후단과 결합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고정부재(300)는 상기 수용부(240)의 내측에 삽입되기 이전에 상기 제 2 체결부재(500)를 상기 결합구(340)에 삽입 시킨 상태에서 상기 수용부(240)의 내측으로 삽입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상기 고정부재(300)가 상기 수용부(240)에 고정 장착되면, 상기 고정부재(300)의 후방으로 상기 제 2 체결부재(500)가 돌출되는 상태가 된다.
상기 세면대(100)는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고정부재(300)를 관통하는 상기 제 2 체결부재(500)가 삽입될 수 있으며, 상기 세면대(100) 측에서는 너트(520)가 상기 제 2 체결부재(500)에 결합되어 상기 세면대(100)가 고정 장착될 수 있도록 한다.
이하, 상기와 같은 구조를 가지는 세면대의 장착 과정을 도면을 참조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도 5는 도 1의 5-5' 단면도이다. 그리고, 도 6은 도 1의 6-6' 단면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전술한 바와 같은 구조를 가지는 상기 세면대(100)의 설치를 위해서는 우선 화장실 또는 욕실의 실내 벽면(1)에 성형된 설치용 판넬(200)을 고정 장착하게 된다. 이때, 상기 설치용 판넬(200)은 실리콘과 같은 접착제에 의해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설치용 판넬(200)의 장착 후에는 상기 고정부재(300)에 도 2 에서와 같이 상기 제 1 체결부재(400)와 제 2 체결부재(500)를 배치하게 된다.
상세히, 상기 제 2 체결부재(500)를 상기 결합구(340)에 후방(도 2 에서 좌측)에서 전방으로 삽입하게 된다. 이때, 상기 제 2 체결부재(500)의 헤드(510)는 상기 결합구(340)의 내측에 완전히 삽입되며, 상기 결합구(340)의 내측에서 걸림 구속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2 체결부재(500)는 상기 결합구(340)를 관통하여 전방으로 돌출되는 상태가 된다.
그리고, 상기 제 2 체결부재(500)가 삽입된 상태의 상기 고정부재(300)를 상기 수용부(240)에 삽입하게 된다. 상기 수용부(240)에 고정부재(300)를 수용하여 가고정한 상태에서 상기 제 1 체결부재(400)를 상기 고정구(330)에 삽입하게 된다. 이때, 상기 제 1 체결부재(400)는 상기 고정구(330)의 전방(도 2에서 우측)에서 삽입되며, 상기 제 1 체결부재(400)는 상기 수용부(240)의 내측면에 체결될 수 있게 된다. 이를 위해 상기 수용부(240)의 내측에는 너트(520)가 인서트 사출되어 배치될 수도 있으며 상기 제 1 체결부재(400)가 스크류와 같은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설치용 판넬(200)에 직접 체결될 수도 있을 것이다.
한편, 상기 제 1 체결부재(400)의 체결에 의해 상기 고정부재(300)가 완전히 고정된 후에는 상기 세면대(100)를 상기 고정부재(300)의 전방에서 상기 제 2 체결부재(500)와 결합시키게 된다.
상기 세면대(100)에는 상기 제 2 체결부재(500)가 관통되는 관통구(110)가 형성되며, 상기 관통구(110)를 관통하여 돌출된 상기 제 2 체결부재(500)에 너트(520)를 체결하여 상기 세면대(100)가 고정 장착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상기 제 2 체결부재(500)는 상기 관통구(110)에 삽입될 때 좌우 방향으로 이동되어 상기 관통구(110)를 관통하는 위치로 조정될 수 있으며, 상기 세면대(100)의 종류에 따라서 적절하게 이동되어 결합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상기 세면대(100)가 완전히 고정 장착된 상태에서는 상기 세면대(100)의 후단이 상기 수용부(240)를 완전히 가리게 되고, 상기 설치용 판넬(200)의 설치면(210)과 밀착된다. 따라서, 상기 세면대(100)를 고정하는 상기 고정부재(300)는 상기 세면대(100)에 의해 완전히 가려지게 된다.
또한, 상기 지지부(250)가 형성되는 경우 상기 세면대(100)가 장착된 상태에서는 상기 지지부(250)에 의해서 상기 세면대(100)의 하면이 지지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본 고안에 의한 세면대용 고정부재 및 고정부재가 구비된 일체형 세면대는, 전술한 실시예 외에도 다양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할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는 설치용 판넬이 생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다른 구성들은 전술한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하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7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세면대의 결합구조를 보인 분해 사시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는 상기 세면대(100)와 결합되는 설치용 판넬(200)이 생략되고, 고정부재(300)가 실내의 벽면(1)에 형성된 수용부(241)에 삽입되며, 상기 세면대(100)가 상기 고정부재(300)와 결합되는 구조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세히, 상기 화장실 또는 욕실의 벽면(1)에는 내측으로 함몰된 수용부(241)가 형성된다. 상기 수용부(241)는 고정부재(300)가 완전히 수용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고정부재(300)에는 제 1 체결부재(400)와 제 2 체결부재(500)가 삽입된다.
상기 제 1 체결부재(400)는 상기 고정부재(300)의 고정구(330)를 관통하여 상기 수용부(241)의 내측과 체결되어 상기 고정부재(300)가 상기 수용부(241) 내측에서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고정부재(300)가 상기 수용부(241)의 내측에서 고정되기 전에 상기 제 2 체결부재(500)가 장착된 상태로 상기 수용부(241)에 삽입된다. 따라서, 상기 고정부재(300)가 고정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제 2 체결부재(500)는 상기 고정부재(300)를 관통하여 전방으로 돌출되며, 상기 세면대(100)의 관통구(110)를 상기 제 2 체결부재(500)가 관통하도록 설치한 후 너트(520)를 체결하여 상기 세면대(100)가 고정 장착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은 구조에 의해서 상기 세면대(100)는 완전히 벽면과 밀착 고정될 수 있으며, 상기 세면대(100)의 장착으로 인해서 상기 수용부(241)는 차폐되고 상기 고정부재(300) 또한 외부로 노출되지 않게 된다.

Claims (9)

  1. 가로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본체;
    상기 본체의 양측에 형성되며, 상기 본체가 욕실 또는 화장실에 고정 장착될 수 있도록 하는 제 1 체결부재가 관통되는 고정구;
    상기 본체의 양측에 형성되며, 상기 제 1 체결부재와 대향되는 방향으로 돌출되어 세면대와 결합될 수 있도록하는 제 2 체결부재가 관통되는 결합구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제 1 체결부재는 상기 제 2 체결부재가 상기 결합구를 관통하도록 배치된 상태에서 체결되어 상기 본체가 상기 욕실 또는 화장실에 고정 장착되도록 하며, 상기 제 2 체결부재는 상기 세면대의 후단과 결합되어 상기 세면대에 의해 상기 본체가 차폐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면대용 고정부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둘레에는 소정의 높이를 가지는 테두리가 형성되며,
    상기 테두리는 상기 제 1 체결부재 및 제 2 체결부재의 헤드보다 더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면대용 고정부재.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구는 가로방향으로 긴 장공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면대용 고정부재.
  4. 욕실 또는 화장실의 벽면에 고정되며, 세면대가 장착되는 위치에 함몰 형성되는 수용부가 형성되는 설치용 판넬;
    상기 수용부와 대응하도록 가로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며, 상기 수용부의 내측에 수용되는 고정부재;
    상기 고정부재에 체결되어 상기 고정부재를 상기 수용부의 내측에 고정시키는 제 1 체결부재;
    상기 제 1 체결부재의 체결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돌출되며, 상기 세면대의 후단과 결합되는 제 2 체결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수용부는 상기 세면대에 의해 차폐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부재가 구비된 일체형 세면대.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설치용 판넬은 에프알피 또는 합성 수지재로 성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부재가 구비된 일체형 세면대.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설치용 판넬은 실리콘 또는 접착재로 상기 벽면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부재가 구비된 일체형 세면대.
  7.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에는 상기 제 2 체결부재가 관통되며, 상기 제 2 체결부재가 좌우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가로방향으로 긴 장공 형상으로 형성되는 결합구가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부재가 구비된 일체형 세면대.
  8.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설치용 판넬 상부에는 측방으로 연장되며, 하방에 변기가 설치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연장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부재가 구비된 일체형 세면대.
  9.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의 하방에는 상기 세면대를 하방에서 지지하며, 상기 세면대와 연결되는 배관을 수용하는 지지부가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부재가 구비된 일체형 세면대.
KR2020140001201U 2014-02-18 2014-02-18 세면대용 고정부재 KR20048005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1201U KR200480051Y1 (ko) 2014-02-18 2014-02-18 세면대용 고정부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1201U KR200480051Y1 (ko) 2014-02-18 2014-02-18 세면대용 고정부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3198U true KR20150003198U (ko) 2015-08-26
KR200480051Y1 KR200480051Y1 (ko) 2016-04-06

Family

ID=543388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40001201U KR200480051Y1 (ko) 2014-02-18 2014-02-18 세면대용 고정부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0051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98125B1 (ko) * 2018-03-21 2018-09-12 이승재 욕실 세면대 설치 구조물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438083B2 (ja) 2003-10-15 2010-03-24 Toto株式会社 手洗器又は洗面器の取付装置。
KR101068903B1 (ko) 2011-03-25 2011-09-29 변용찬 양변기 보충 용수를 이용하는 안착 및 벽걸이 설치형 세면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80051Y1 (ko) 2016-04-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681369A1 (en) Mounting system for sink
KR101475010B1 (ko) 세면대 설치 겸용 선반유닛
US7285722B2 (en) Mounting bracket
KR20160136683A (ko) 공중화장실 남자 소변기용 칸막이 고정 구조물
JP2014173390A (ja) 便器設置構造
KR20150003198U (ko) 세면대용 고정부재 및 고정부재가 구비된 일체형 세면대
JP2002000479A (ja) 流し鉢の設置構造
RU170407U1 (ru) Сантехнический узел для рельсового транспортного средства
JP2009011648A (ja) 洗面ボウルの取付け構造
JP3637844B2 (ja) 水回りキャビネット
JP3582767B2 (ja) 手洗装置
JP2008291582A (ja) 手洗装置
JPH067100Y2 (ja) 手洗器等のトラップカバー取付構造
JP2010094424A (ja) 天板取付け方法及びそれに用いる固定具
JP2525162Y2 (ja) 洗面器の固定構造
JP2022015653A (ja) 洗面ユニットの取付構造および取付方法
JP5311275B2 (ja) 手洗い器又は洗面器の取り付け装置
KR100578118B1 (ko) 밀폐형 양변기 및 그 시공방법
JP7179258B2 (ja) ボウルユニット
JP4335927B2 (ja) エプロンの取付構造
KR200446560Y1 (ko) 세면대 배수관의 보호커버 결합구조
JP4482007B2 (ja) エプロンの取付構造
JP3088434U (ja) 洗面台の排水管カバー位置決め構造
JP2003159185A (ja) 洗面化粧台における配管カバー部材
JP3392102B2 (ja) 浴室の洗い場のカウンター部の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02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