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02795A - 접지 슈, 및 차량 - Google Patents

접지 슈, 및 차량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02795A
KR20150002795A KR1020147031631A KR20147031631A KR20150002795A KR 20150002795 A KR20150002795 A KR 20150002795A KR 1020147031631 A KR1020147031631 A KR 1020147031631A KR 20147031631 A KR20147031631 A KR 20147031631A KR 20150002795 A KR20150002795 A KR 2015000279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ductor
rubber body
vehicle
grip portion
running dir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70316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05651B1 (ko
Inventor
시게유키 야마다
고우스케 가타히라
히로유키 안도
Original Assignee
미츠비시 쥬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츠비시 쥬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츠비시 쥬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500027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0279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056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056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6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removing electrostatic char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00Current collectors for power supply lin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8Protective earth or shield arrangements on coupling devices, e.g. anti-static shielding  
    • H01R13/6485Electrostatic discharge protec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58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characterised by the form or material of the contacting members
    • H01R4/64Connections between or with conductive parts having primarily a non-electric function, e.g. frame, casing, rai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1/00Non-rotary current collectors for maintaining contact between moving and stationary parts of an electric circui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1/00Non-rotary current collectors for maintaining contact between moving and stationary parts of an electric circuit
    • H01R41/02Devices for interrupted current collection, e.g. distributor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FSTATIC ELECTRICITY; NATURALLY-OCCURRING ELECTRICITY
    • H05F3/00Carrying-off electrostatic charges
    • H05F3/02Carrying-off electrostatic charges by means of earthing connec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9/00Screening of apparatus or components against electric or magnetic fields
    • H05K9/0067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damage from electrostatic discharge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9/00Screening of apparatus or components against electric or magnetic fields
    • H05K9/0073Shielding materials
    • H05K9/0079Electrostatic discharge protection, e.g. ESD treated surface for rapid dissipation of char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urrent-Collector Devices For Electrically Propelled Vehicles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Abstract

차량에 있어서 궤도측의 접지 레일을 향하여 마련되는 접지 슈로서, 도전체를 가지는 집전부와, 상기 집전부를 통전 가능하고 또한 착탈 가능하게 상기 도전체의 일단을 파지하여 고정함과 함께, 상기 차량에 장착되어, 상기 도전체와 접촉하는 파지부를 구비한다.

Description

접지 슈, 및 차량 {GROUNDING SHOE AND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에 있어서의 대전 방지용의 접지 슈에 관한 것이다.
본원은, 2012년 6월 12일에 출원된 일본 특허출원 2012-132980호에 근거하여 우선권을 주장하고, 그 내용을 여기에 원용한다.
차량으로서는 철도 차량이나 전기 자동차(버스) 등을 들 수 있지만, 이들을 대신하는 새로운 교통 수단으로서, 차량의 양 측부 또는 차량 하부에 마련된 안내륜이 궤도의 양 측부 또는 중앙부에 마련된 가이드 레일에 따라 안내되면서, 고무 타이어로 이루어지는 주행륜으로 궤도 상을 주행하는 궤도계 교통 시스템이 알려져 있다. 이러한 궤도계 교통 시스템은, 신교통 시스템이나 APM(Automated People Mover), AGT(Automated Guideway Transit) 등으로 불리고 있다.
궤도계 교통 시스템에 있어서는 상술과 같이 고무 타이어에 의하여 주행하기 때문에, 궤도와 차량과의 사이는 고무 타이어에 의하여 전기적으로 절연된 상태로 되어 있다.
따라서, 주행 중에 발생하는 정전기, 누전 등에 의하여 차량이 대전되기 쉬워져, 역홈과 차량과의 전위차나, 차량 내부에서의 전위차에 의하여 승객에게 불쾌감을 주게 될 우려가 있다. 이러한 문제를 감안하여, 예를 들면 역에 있어서의 궤도의 측부에는 접지 레일이 마련되고, 또 차량에는 접지 슈가 마련되어, 차량이 역 내에 위치할 때에, 이들 접지 레일과 접지 슈가 접촉됨으로써, 차량에 대전된 전기가 궤도측에 마련된 어스선을 통하여 외부로 방출되고 있다.
여기에서, 특허문헌 1에는, 접지 슈와 유사한 형상을 가지는 집전장치가 개시되어 있고, 이 집전장치에 있어서는, 가요성 도전체의 외주가 고무 등의 탄성 재료로 덮여, 트롤리선과의 사이에서의 슬라이딩 시에 자체가 탄성변형하여, 추종성이 향상되어 집전효과가 유지되고 있다.
일본 특허공고공보 소51-19572호
그러나, 특허문헌 1에 개시된 집전장치는, 전체가 일체 구조의 단일품으로 되어 있으며, 고무의 부분에만 손상이 발생했다고 해도, 교환 시에는 전체를 일괄하여 교환하지 않으면 안되어, 코스트업을 피할 수 없었다.
본 발명은, 코스트를 억제하면서, 확실히 차량의 대전 방지가 가능한 접지 슈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제1 양태에 관한 접지 슈는, 차량에 있어서, 궤도측의 접지 레일을 향하여 마련되는 접지 슈로서, 도전체를 가지는 집전부와, 상기 집전부를 통전 가능하고 또한 착탈 가능하게 상기 도전체의 일단을 파지하여 고정함과 함께, 상기 차량에 장착되어, 상기 도전체와 접촉하는 파지부를 구비한다.
이러한 접지 슈에 의하면, 집전부와 접지 레일과의 사이에서의 통전이 가능해져, 차량으로부터 궤도측으로 대전된 전기를 흘려 보낼 수 있어, 대전을 방지 가능해짐과 함께, 집전부를 파지부로부터 착탈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로 인하여, 집전부가 마모 등에 의하여 손상을 입은 경우 등에는, 접지 슈 전체를 일괄하여 교환하지 않고 집전부만을 교환할 수 있으므로, 교환 부품의 코스트 삭감이 가능하다.
또, 본 발명의 제2 양태에 관한 접지 슈에서는, 상기 제1 양태에 있어서의 상기 집전부는, 상기 도전체의 상기 일단 및 타단을 노출시키도록 하여 상기 도전체를 덮는 고무체를 더욱 가지고, 상기 파지부는, 상기 도전체에 더하여, 상기 고무체의 일단을 파지하여도 된다.
이와 같이 도전체가 고무체에 의하여 덮여 있음으로써, 고무체의 탄성에 의하여, 접지 레일로의 접촉 시의 추종성이 향상되고, 확실히 궤도측으로 접촉하여 대전된 전기를 흘려 보낼 수 있다. 또한, 파지부가 도전체뿐만 아니라 고무체도 파지함으로써, 파지부로부터의 집전부의 탈락을 억제할 수 있다. 또, 고무체는 파지부에 의하여 파지되어 있을 뿐이고, 예를 들면 고무체를 관통하는 볼트 등에 의하여 고정되어 있는 것은 아니다. 이로 인하여, 고무체에 응력 집중에 의한 손상이 발생하기 어려워,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기 때문에 고무체의 교환 횟수를 줄일 수 있어, 코스트를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3 양태에 관한 접지 슈에서는, 상기 제2 양태에 있어서의 상기 고무체는, 상기 파지부로부터의 빠짐을 규제하는 규제 수단을 가지고 있어도 된다.
이러한 규제 수단에 의하여, 파지부가 고무체를 확실히 파지할 수 있어, 파지부로부터의 집전부의 탈락의 억제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제4 양태에 관한 접지 슈에서는, 상기 제3 양태에 있어서의 상기 규제 수단은, 상기 파지부에 마련된 구멍부에 끼워 맞추는 상기 고무체에 마련된 돌부를 가지고 있어도 된다.
이러한 규제 수단에 의하여, 파지부가 고무체를 보다 확실히 파지할 수 있어, 파지부로부터의 집전부의 탈락의 억제 효과를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5 양태에 관한 접지 슈에서는, 상기 제1 내지 제4 양태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의 상기 파지부는, 상기 도전체의 상기 일단에 접촉하는 접촉 부분에, 상기 도전체와의 접촉 저항을 저감시키는 저항 저감 수단을 가지고 있어도 된다.
이러한 저항 저감 수단에 의하여, 파지부와 도전체와의 사이에서의 접촉 저항이 저감되어, 차량으로부터 궤도측으로 대전된 전기를 확실히 흘려 보낼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제6 양태에 관한 접지 슈에서는, 상기 제5 양태에 있어서의 상기 저항 저감 수단은, 상기 파지부의 상기 접촉 부분에 상기 도전체의 상기 일단으로부터 타단을 향하는 방향과는 상이한 방향으로 홈이 형성된 홈부이더라도 된다.
이러한 저항 저감 수단에 의하여, 파지부와 도전체가 확실히 맞물려, 파지부와 도전체와의 사이에서의 접촉 저항이 저감되어, 차량으로부터 궤도측으로 대전된 전기를 확실히 흘려 보낼 수 있다. 또한, 파지부로부터의 도전체의 탈락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7 양태에 관한 접지 슈에서는, 상기 제2 내지 제6 양태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의 상기 도전체의 상기 일단 및 타단을 노출시키도록 하여 상기 도전체를 덮는 고무체는, 상기 파지부에 파지되는 상기 고무체의 일단에 단차부가 마련되어 상기 차량의 주행 방향의 폭치수가 상기 단차부보다 상기 궤도의 측방 방향의 상기 고무체에 대해서 작게 형성되고, 상기 파지부와 상기 고무체가, 상기 주행 방향을 향하는 표면에서 단차 없이 되어 있어도 된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파지부가 고무체를 더욱 확실히 파지할 수 있음과 함께, 파지부로부터 고무체가 밀려 나오지 않도록 할 수 있기 때문에, 차량으로 파지부를 장착할 때에 고무체가 간섭해 버리는 일이 없어, 장착의 자유도를 갖게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본 발명의 제8 양태에 관한 접지 슈에서는, 상기 제1 내지 제7 양태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의 상기 도전체에서는, 상기 파지부에 파지되는 상기 도전체의 상기 일단이, 타단에 비하여 가늘게 되어 있어도 된다.
도전체를 이러한 형상으로 함으로써, 파지부가 확실히 도전체를 파지할 수 있어, 파지부로부터의 도전체의 탈락을 억제하여, 차량으로부터 궤도측으로 대전된 전기를 확실히 흘려 보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9 양태에 관한 접지 슈에서는, 상기 제2 내지 제8 양태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의 상기 도전체의 상기 일단 및 타단을 노출시키도록 하여 상기 도전체를 덮는 고무체는, 도전성을 가지는 고무로 되어 있어도 된다.
고무체에 도전성 고무를 적용함으로써, 도전체가 마모되어, 접지 레일과의 사이에서 이간해 버렸다고 해도, 고무체만에 의해서도 접지 레일과의 사이에서 통전이 가능해지기 때문에, 확실히 접지 레일로 전기를 방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본 발명의 제10 양태에 관한 접지 슈에서는, 상기 제2 내지 제9 양태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의 상기 도전체의 상기 일단 및 타단을 노출시키도록 하여 상기 도전체를 덮는 고무체에서는, 상기 차량에 있어서의 주행 방향의 폭치수가, 상기 파지부에 파지되는 상기 고무체의 일단으로부터 타단을 향함에 따라 작아지도록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이와 같이 고무체를 형성함으로써, 접지 레일측에 위치하는 타단이 자체의 무게에 의하여 하방으로 휘어 버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접지 레일과의 접촉을 확실히 도모할 수 있다. 또, 이러한 형상에 의하여, 고무체가 타단측에서 유연성을 가진다. 이로 인하여, 고무체가 접지 레일에 눌렸을 때에도, 고무체는 차량의 주행 방향의 후방측으로 용이하게 굽혀져, 일단측에서의 응력 집중을 방지할 수 있어, 내구성의 향상이 가능해진다. 또 접지 레일에 대한 접촉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고, 또한 접지 레일과의 접촉 면적을 크게 할 수 있어, 통전 효율의 향상이 가능해진다. 또, 접지 레일의 이음매에 고무체의 타단이 위치했을 때의 충격을 흡수할 수 있게 되기 때문에, 승객의 승차감 향상으로도 이어진다.
또한, 본 발명의 제11 양태에 관한 접지 슈에서는, 상기 제2 내지 제10 양태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의 상기 파지부에는, 상기 도전체의 상기 일단 및 타단을 노출시키도록 하여 상기 도전체를 덮는 고무체에 접촉하는 측의 가장자리부가 모따기된 모따기부가 형성되고, 상기 고무체에는, 상기 모따기부에 대향하는 위치에서, 상기 모따기부의 형상에 대응하는 맞닿음부가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이러한 모따기부, 맞닿음부에 의하여, 고무체가 접지 레일에 눌려, 차량의 주행 방향의 후방측으로 굽혀졌을 때에, 파지부의 가장자리부가 고무체의 표면에 눌려, 고무체에 균열이나 찢김 등이 발생해 버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내구성을 향상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제12 양태에 관한 접지 슈는, 상기 제2 내지 제11 양태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의 상기 집전부에 마련되고, 상기 집전부의 상기 차량의 주행 방향으로의 굽힘에 대한 강성을 증대시키는 강성 보조 부재를 더욱 구비하고 있어도 된다.
이러한 강성 보조 부재에 의하여, 집전부의 내구성 향상으로 이어진다.
또, 본 발명의 제13 양태에 관한 접지 슈에서는, 상기 제12 양태에 있어서의 상기 강성 보조 부재는, 상기 집전부에 있어서의 상기 차량의 주행 방향의 적어도 일방측을 향하는 면에 맞닿아 마련된 금속판이어도 된다.
이러한 금속판을 이용함으로써, 집전부가 차량의 주행 방향으로의 굽힘 강성을 증대시킬 수 있어, 주행하면서 접지 레일에 접촉하고, 집전부가 주행 방향의 후방측으로 굽혀질 때에도, 확실히 집전부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14 양태에 관한 접지 슈에서는, 상기 제12 양태에 있어서의 상기 강성 보조 부재는, 상기 도전체의 상기 일단 및 타단을 노출시키도록 하여 상기 도전체를 덮는 고무체의 내부에, 상기 파지부에 파지되는 상기 고무체의 일단으로부터 타단으로 뻗어 마련된 금속 와이어여도 된다.
이러한 금속 와이어를 이용함으로써, 집전부가 차량의 주행 방향의 후방측으로 굽혀질 때의 강성을 증대시킬 수 있어, 확실히 집전부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제15 양태에 관한 차량은, 상기 제1 내지 제14 양태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의 접지 슈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차량에 의하면, 집전부와 접지 레일과의 사이에서의 통전을 가능하게 하여 대전이 방지 가능해짐과 함께, 집전부를 파지부로부터 착탈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로 인하여, 접지 슈가 손상을 입은 경우 등에는, 접지 슈 전체를 일괄하여 교환하는 일 없이 집전부만을 교환할 수 있어, 코스트를 억제할 수 있다.
상기한 접지 슈 및 차량에 의하면, 집전부를 통전 가능하고 또한 착탈 가능하게 함으로써, 코스트를 억제하면서, 확실히 대전 방지가 가능해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관한 궤도계 차량의 개략 정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관한 궤도계 차량의 보기 대차 및 궤도의 개략 상면도이다.
도 3a는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관한 궤도계 차량에 있어서의 접지 슈의 전체 측면도이다.
도 3b는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관한 궤도계 차량에 있어서의 접지 슈의 전체 상면도이다.
도 4a는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관한 궤도계 차량에 있어서의 접지 슈에 관한 것으로, 도전부의 전체 측면도이다.
도 4b는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관한 궤도계 차량에 있어서의 접지 슈에 관한 것으로, 도전부의 전체 도로서, 도 4a의 A-A단면도를 나타내는 것이다.
도 5a는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관한 궤도계 차량에 있어서의 접지 슈에 관한 것으로, 전측 파지부의 전체 측면도이다.
도 5b는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관한 궤도계 차량에 있어서의 접지 슈에 관한 것으로, 전측 파지부의 전체 도로서, 도 5a의 B-B단면도를 나타내는 것이다.
도 6a는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관한 궤도계 차량에 있어서의 접지 슈에 관한 것으로, 후측 파지부의 전체 측면도이다.
도 6b는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관한 궤도계 차량에 있어서의 접지 슈에 관한 것으로, 후측 파지부의 전체 도로서, 도 6a의 C-C단면도를 나타내는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관한 궤도계 차량에 있어서의 접지 슈에 관한 것으로, 차량이 주행 중에 접지 슈가 접지 레일에 접촉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8a는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관한 궤도계 차량에 있어서의 접지 슈의 전체 측면도이다.
도 8b는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관한 궤도계 차량에 있어서의 접지 슈의 전체 상면도이다.
도 9a는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의 변형예에 관한 궤도계 차량에 있어서의 접지 슈의 전체 측면도이다.
도 9b는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의 변형예에 관한 궤도계 차량에 있어서의 접지 슈의 전체 상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관한 궤도계 차량(1)(이하, 차량(1)이라고 칭함. )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 및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차량(1)은, 궤도의 양 측부에 마련된 가이드 레일(7)에 의하여 안내되어 궤도 상을 주행하는 사이드 가이드 방식의 궤도계 교통 시스템에 적용되는 차량이다.
차량(1)은, 승객을 수용 가능한 차체(2)와, 차체(2)의 하방에 마련된 보기 대차(3A, 3B)와, 보기 대차(3A, 3B)에 마련된 접지 슈(18)를 구비하고 있다.
차체(2)는, 예를 들면 중공의 직육면체형상을 이루고, 내부가 승객을 수용 가능한 객실이다.
보기 대차(3A, 3B)는, 차체(2)의 하부에 있어서, 차량(1)의 주행 방향(D1)의 전후에, 간격을 두고 1개씩 마련된 주행 장치이다. 각각의 보기 대차(3A, 3B)는, 프레임인 대차 프레임(10)과, 대차 프레임(10)에 회전 가능하게 차축(12)에 의하여 지지된 고무 타이어인 주행륜(11)을 가지고 있다.
대차 프레임(10)은, 차량(1)의 주행 방향(D1)에 직교하는 궤도폭 방향(D2)으로 뻗어 차축(12)을 중심으로 하여 주행 방향(D1)의 전후에 배치되어 있는 전후 한 쌍의 가로 빔(15)과, 주행 방향(D1)으로 뻗어 전후 한 쌍의 가로 빔(15)을 연결하는 궤도폭 방향(D2)의 좌우 한 쌍의 세로 빔(16)을 가지고 있다. 각 가로 빔(15)의 궤도폭 방향(D2)의 양단에는, 안내륜(4) 및, 안내륜(4)의 하방에 배치되는 분기륜(5)이 주행 방향(D1), 궤도폭 방향(D2)에 직교하는 높이 방향(D3)을 회전 중심축으로 하여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접지 슈(18)는, 보기 대차(3A, 3B)에 있어서 각각의 가로 빔(15)의 양단에, 안내륜(4) 및 분기륜(5)에 간섭하지 않도록 장착되는 부재이다.
구체적으로는 본 실시형태에서는, 주행 방향(D1)의 전측의 보기 대차(3A)에 있어서는, 주행 방향(D1)의 전측의 가로 빔(15)에 주행 방향(D1)의 전측으로부터 장착 브래킷(19)을 통하여 접지 슈(18)가 장착되고, 주행 방향(D1)의 후측의 보기 대차(3B)에 있어서는, 주행 방향(D1)의 후측의 가로 빔(15)에 주행 방향(D1)의 후측으로부터 장착 브래킷(19)을 통하여 접지 슈(18)가 장착되어 있다. 즉, 각각의 보기 대차(3A, 3B)에 2개씩, 차량(1) 한 량당 4개가 마련되어 있다. 그러나,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차량(1) 내가 전기적으로 결합된 상태이면, 편측의 대차(3A, 또는 3B)에 1개여도, 차량(1) 전체에 1개여도 된다.
장착 브래킷(19)은 금속으로 이루어지고, 차량(1)과의 사이에서 전기적으로 결합된 상태로 되어 있다.
이 접지 슈(18)는, 일단(18a)이 장착 브래킷(19)에 고정됨과 함께, 타단(18b)이 궤도폭 방향(D2)에 있어서 근접하는 궤도 측방 방향으로 뻗어, 이 타단(18b)에서 차량(1)의 양 측부에 대향하도록 궤도 상에 마련된 접지 레일(6)에 접촉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이 접지 레일(6)은 역 내에 마련되어, 차량(1)이 역 내에 위치할 때에 접지 레일(6)에 접촉한다.
다음으로, 도 3a부터 도 6b를 참조하여, 각각의 접지 슈(18)에 대하여 자세하게 설명한다.
접지 슈(18)는, 접지 레일(6)에 접촉하는 집전부(20)와, 집전부(20)의 일단(20a)을 파지함과 함께, 장착 브래킷(19)을 통하여 보기 대차(3A, 3B)에 장착되는 파지부(21)를 구비하고 있다.
집전부(20)는, 금속으로 이루어지는 도전체(51)와, 도전체(51)의 일단(51a)과 접지 레일(6)에 대향하는 타단(51b)으로 도전체(51)를 노출시키도록 하여 도전체(51)를 덮는 고무체(55)를 가지고 있다.
도 4a 및 도 4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도전체(51)는, 복수의 금속 와이어를 높이 방향(D3)으로 묶은 것이며, 파지부(21)로 파지되는 일단(51a)이 고무체(55)로부터 돌출하여 노출되어 있지만, 이 노출 부분만이 다른 부분에 비하여 높이 방향(D3)으로 가늘게 되어, 일단측 노출부(52)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 일단측 노출부(52)가 파지부(21)에 의하여 파지되어 고정되는 부분이다.
도시는 하지 않지만, 고무체(55)의 내부에는, 높이 방향(D3)으로 묶인 도전체(51)에 있어서의 복수의 금속 와이어의 풀림을 방지하도록, 이들 복수의 금속 와이어를 외주로부터 둘러싸 체결되는 다른 금속 와이어가 마련되어 있다.
고무체(55)는, 도전체(51)를 외주측으로부터 덮도록 마련된 도전성을 가지는 고무로 이루어지는 부재이다. 도전성의 고무로서는, 예를 들면 고무에 카본 등을 배합한 것 등이 예시된다. 이 고무체(55)의 파지부(21)에 파지되는 일단(55a)에서는, 주행 방향(D1)의 전후를 향하는 2개의 면, 즉 고무체 표면(55c)의 양면이 주행 방향(D1)으로 패이도록, 단차부(56)가 마련되어 주행 방향(D1)의 치수가, 단차부(56)보다 궤도 측방 방향의 고무체(55)에 대해서 일부 작게 형성되어 있다.
이 단차부(56)는, 고무체 표면(55c)에 연속하는 단차면(56a) 및, 단차면(56a)에 접속된 바닥면(56b)에 의하여 구성되어 있고, 단차면(56a)과 바닥면(56b)과의 사이의 모서리부는, 예를 들면 R형상으로 된 맞닿음부(57)로 되어 있다. 이 맞닿음부(57)에 의하여 단차면(56a)과 바닥면(56b)이 매끄럽게 접속되어 있다. 또한, 맞닿음부(57)는 C형상이어도 된다.
단차부(56)에 있어서의 바닥면(56b)에는 주행 방향(D1)으로, 고무체 표면(55c)과 동일한 위치까지 돌출되는 돌기형상의 돌부(규제 수단)(58)가 마련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이 돌부(58)는 높이 방향(D3)을 길이 방향으로 하는 직육면체 블록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고무체(55)는, 일단(55a)으로부터 타단(55b)을 향함에 따라, 고무체 표면(55c)끼리가 점차 근접하도록, 즉, 주행 방향(D1)의 폭치수가 점차 작아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도 5a, 도 5b, 도 6a, 및 도 6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파지부(21)는, 집전부(20)에 있어서의 도전체(51)의 일단(51a) 및 고무체(55)의 일단(55a)을 주행 방향(D1) 전측 및 후측으로부터 끼우도록 하여 파지하여, 도전체(51)의 일단(51a)을 고정하는 전측 파지부(22) 및 후측 파지부(32)를 가지고 있다.
도 5a 및 도 5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측 파지부(22)는, 도전체(51)의 일단측 노출부(52) 및 고무체(55)의 일단(55a)에 주행 방향(D1)의 전측으로부터 맞닿도록 마련된 금속으로 이루어지는 판형상의 부재이다.
구체적으로는, 고무체(55)를 파지하는 측의 단부(22a)에서는, 주행 방향(D1)의 후방을 향하는 면인 내면(22b)이 주행 방향(D1)으로 전측을 향하여 패이도록, 전측 파지부 단차부(23)가 마련되어 주행 방향(D1)의 폭치수가 일부 작게 형성되어 있다. 즉, 전측 파지부(22)는, 전측 파지부 본체부(24)와, 전측 파지부 본체부(24)로부터 궤도폭 방향(D2)으로 돌출되는 전측 파지부 단차부(23)에 의하여 구성되어 있다.
전측 파지부 본체부(24)에는, 높이 방향(D3)의 대략 중앙 위치가 되는 일단측 노출부(52)가 맞닿는 위치에 있어서, 도전체(51)의 일단(51a)으로부터 타단(51b)을 향하는 방향, 즉, 도전체(51)를 구성하는 상기 금속 와이어의 연재 방향이 되는 궤도폭 방향(D2)과 직교하도록, 높이 방향(D3)으로 간격을 두고 복수의 홈이 형성된 홈부(저항 저감 수단)(26)가 마련되어 있다. 이 홈부(26)에 일단측 노출부(52)가 맞닿아 맞물린다.
이 전측 파지부 본체부(24)에는, 홈부(26)를 높이 방향(D3) 양측으로부터 끼우는 위치에, 궤도폭 방향(D2)을 뻗어 전측 파지부(22)를 주행 방향(D1)으로 관통하는 제1 긴 구멍(25)이 형성되어 있다.
이 전측 파지부 단차부(23)는, 내면(22b)에 연속하는 전측 파지부 단차면(23a), 및, 전측 파지부 단차면(23a)에 접속된 전측 파지부 바닥면(23b)에 의하여 구성되어 있다. 전측 파지부 바닥면(23b)에는, 주행 방향(D1)으로 전측 파지부 단차부(23)를 관통함과 함께, 높이 방향(D3)으로 뻗어 있는 제2 긴 구멍(구멍부)(27)이 형성되어 있다.
고무체(55)에 있어서의 바닥면(56b)과 전측 파지부 바닥면(23b)은 대략 동일 치수로 형성되어 있으며, 전측 파지부 단차부(23)로 고무체(55)에 있어서의 단차부(56)가 정확히 끼워 넣어진다.
또, 돌부(58)의 외형과 제2 긴 구멍(27)의 내형은 대략 동일 형상이 되어, 제2 긴 구멍(27)에는, 고무체(55)에 있어서의 돌부(58)가 정확히 끼워 맞춰진다. 제2 긴 구멍(27)에 돌부(58)가 끼워 맞춰졌을 때에는, 돌부(58)가 전측 파지부(22)의 주행 방향(D1)의 전측을 향하는 외면(22c)으로부터 돌출되지 않도록, 돌부(58)의 주행 방향(D1)의 전측을 향하는 면과 외면(22c)의 단차가 없게 된다.
전측 파지부(22)는, 고무체(55)의 바닥면(56b)에 대향하여 맞닿는 전측 파지부 바닥면(23b)에 있어서, 전측 파지부 단차부(23)의 궤도폭 방향(D2)의 단부(22a)의 선단의 가장자리부가 모따기되어 있다. 즉, 전측 파지부(22)에는 제1 모따기부(28)가 형성되어 있다. 이 제1 모따기부(28)는, 전측 파지부(22)가 고무체(55)를 파지했을 때에, 고무체(55)의 맞닿음부(57)에 정확히 대향한다. 이 제1 모따기부(28)는 R모따기여도 되고 C모따기여도 되지만, 맞닿음부(57)의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이 바람직하다. 즉, 맞닿음부(57)가 R형상이면 제1 모따기부(28)는 R모따기, 맞닿음부(57)가 C형상이면 제1 모따기부(28)는 C모따기인 것이 바람직하다.
전측 파지부(22)에는, 전측 파지부 본체부(24)에 있어서, 주행 방향(D1)으로 형성된 내주면에 암나사부가 형성된 볼트 구멍(29)이 마련되어 있다. 이 볼트 구멍(29)은,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1 긴 구멍(25)보다 높이 방향(D3)의 외측 위치에 각 1개, 제1 긴 구멍(25)끼리의 사이로서 홈부(26)보다 궤도폭 방향(D2)의 내측에서, 높이 방향(D3)의 대략 중앙에 1개인 총 3개로 되어 있다.
도 6a 및 도 6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후측 파지부(32)는, 전측 파지부(22)와 마찬가지로, 도전체(51)의 일단측 노출부(52) 및 고무체(55)의 일단(55a)에 주행 방향(D1)의 후측으로부터 맞닿도록 마련된 금속으로 이루어지는 판형상의 부재이다. 후측 파지부(32)는, 일단측 노출부(52) 및 고무체(55)의 일단(55a)에 맞닿았을 때에 전측 파지부(22)에 대향하여, 즉, 전측 파지부(22)에서 주행 방향(D1) 전측 및 후측으로부터 도전체(51) 및 고무체(55)를 끼우도록 하여 파지한다.
또, 이 후측 파지부(32)는, 전측 파지부(22)를 주행 방향(D1)으로 정확히 반전시킨 외형으로 되어 있고, 고무체(55)를 파지하는 측의 단부(32a)에서는, 전측 파지부 단차부(23)에 대향하여, 주행 방향(D1)의 전방을 향하는 면인 내면(32b)이 주행 방향(D1)으로 후측을 향하여 패이도록, 후측 파지부 단차부(33)가 마련되어 주행 방향(D1)의 폭치수가 일부 작게 형성되어 있다. 즉, 후측 파지부(32)는, 후측 파지부 본체부(34)와, 후측 파지부 본체부(34)로부터 궤도폭 방향(D2)으로 돌출되는 후측 파지부 단차부(33)에 의하여 구성되어 있다.
후측 파지부 본체부(34)에는, 제1 긴 구멍(25)에 대향하여, 후측 파지부(32)를 주행 방향(D1)으로 관통하는 제3 긴 구멍(35)이 형성되어 있다. 이 제3 긴 구멍(35)에 관해서는, 전측 파지부(22)와 후측 파지부(32)에 의하여 집전부(20)를 사이에 끼워 파지한 상태로, 제1 긴 구멍(25) 및 제3 긴 구멍(35)으로 장착 볼트(8)(도 3a, 도 3b 참조)가 삽입관통된다. 이 장착 볼트(8)에 의하여 장착 브래킷(19)을 통하여 접지 슈(18)가 보기 대차(3A, 3B)에 설치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 후측 파지부 단차부(33)는, 내면(32b)에 연속하는 후측 파지부 단차면(33a), 및, 후측 파지부 단차면(33a)에 접속된 후측 파지부 바닥면(33b)에 의하여 구성되어 있다. 후측 파지부 바닥면(33b)에는, 전측 파지부 단차부(23)에 있어서의 제2 긴 구멍(27)에 대향하여, 주행 방향(D1)으로 후측 파지부 단차부(33)를 관통함과 함께, 높이 방향(D3)으로 뻗어 있는 제4 긴 구멍(구멍부)(37)이 형성되어 있다.
고무체(55)에 있어서의 바닥면(56b)과 후측 파지부 바닥면(33b)은 정확히 동일한 치수로 형성되어 있고, 즉 후측 파지부 단차부(33)로 고무체(55)에 있어서의 단차부(56)가 정확히 끼워 넣어지도록 되어 있다.
돌부(58)의 외형과 제4 긴 구멍(37)의 내형은 대략 동일 형상이 되어, 제4 긴 구멍(37)에는, 고무체(55)에 있어서의 돌부(58)가 정확히 끼워 맞춰진다. 제4 긴 구멍(37)에 돌부(58)가 끼워 맞춰졌을 때에는, 돌부(58)가 후측 파지부(32)의 주행 방향(D1)의 후측을 향하는 외면(32c)으로부터 돌출되지 않도록, 돌부(58)의 주행 방향(D1)의 전측을 향하는 면과 외면(32c)의 단차가 없게 된다.
후측 파지부(32)는, 고무체(55)의 바닥면(56b)에 대향하여 맞닿는 후측 파지부 바닥면(33b)에 있어서, 제1 모따기부(28)에 대향하도록 후측 파지부 단차부(33)의 궤도폭 방향(D2)의 단부(32a)의 선단의 가장자리부가 모따기되어 있다. 즉, 후측 파지부(32)에는 제2 모따기부(38)가 형성되어 있다. 이 제2 모따기부(38)는, 고무체(55)를 파지하였을 때에, 고무체(55)의 맞닿음부(57)에 정확히 대향한다. 이 제2 모따기부(38)는 R모따기여도 되고 C모따기여도 되지만, 맞닿음부(57)의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이 바람직하다. 즉, 맞닿음부(57)가 R형상이면 제2 모따기부(38)는 R모따기, 맞닿음부(57)가 C형상이면 제2 모따기부(38)는 C모따기인 것이 바람직하다.
후측 파지부(32)에는, 후측 파지부 본체부(34)에 있어서, 전측 파지부(22)에 있어서의 볼트 구멍(29)에 대향하도록 주행 방향(D1)으로 관통하여 형성된 관통 구멍(39)이 마련되어 있다. 관통 구멍(39)은, 파지부 고정 볼트(41)가 이 관통 구멍(39)에 삽입관통 가능해지도록, 파지부 고정 볼트(41)의 외경보다 내경이 크게 형성되어 있다. 후측 파지부(32)의 외면(32c)측의 개구는 확경되어 있고, 즉, 파지부 고정 볼트(41)의 볼트 머리가 외면(32c)으로부터 돌출되지 않게 되어 있으며, 보기 대차(3A, 3B)의 장착 브래킷(19)의 표면에 외면(32c)이 면접촉한 상태로 장착 가능하게 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파지부 고정 볼트(41)는 접시 볼트로 되어 있지만, 볼트 머리가 돌출되지 않으면, 다른 형상의 볼트여도 된다.
후측 파지부(32)에는, 전측 파지부(22)에 있어서의 홈부(26)에 대향하는 위치에, 후측 파지부(32)를 주행 방향(D1)으로 관통하는 누름 볼트 구멍(36)이 형성되어 있고, 이 누름 볼트 구멍(36)으로 누름 볼트(42)가 나사결합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 누름 볼트 구멍(36)의 외면(32c)측의 개구는 확경되어 있고, 누름 볼트(42)의 볼트 머리가 외면(32c)으로부터 돌출되지 않게 되어, 보기 대차(3A, 3B)의 장착 브래킷(19)의 표면에 외면(32c)이 면접촉한 상태로, 후측 파지부(32)를 장착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러한 차량(1)에 있어서는, 접지 슈(18)에 관하여, 파지부(21)에 있어서의 전측 파지부(22)와 후측 파지부(32)가 집전부(20)에 있어서의 도전체(51)의 일단측 노출부(52)에 주행 방향(D1)으로부터 맞닿음과 함께, 파지부 고정 볼트(41)에 의하여 전측 파지부(22)와 후측 파지부(32)가 체결됨으로써, 파지부(21)와 집전부(20)를 통전시킬 수 있다. 또 파지부(21) 및 장착 브래킷(19)은 모두 금속으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이들 사이에서도 통전되고, 또한, 장착 브래킷(19)은 차량(1)에 전기적으로 결합되어 있다.
따라서, 접지 슈(18)의 집전부(20)가 접지 레일(6)에 접촉했을 때에는, 접지 슈(18)와 접지 레일(6)과의 사이에서의 통전이 가능해져, 차량(1)으로부터 궤도측으로 차량(1)에 정전기 등에 의하여 대전된 전기를 흘려 보낼 수 있다. 이와 같이 하여 차량(1)의 대전이 방지 가능해진다.
또한, 집전부(20)를 파지부(21)로부터 파지부 고정 볼트(41)를 떼어냄으로써, 용이하게 착탈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집전부(20)가 마모 등에 의하여 손상을 입은 경우 등에는, 접지 슈(18) 전체를 일괄하여 교환하지 않고 집전부(20)만을 교환할 수 있다.
또, 도전체(51)는 고무체(55)에 의하여 덮여 있음으로써, 고무체(55)의 탄성에 의하여, 접지 레일(6)에 대한 접촉 시의 추종성을 향상시킬 수 있어, 확실히 궤도측으로 대전된 전기를 흘려 보낼 수 있다.
또한, 파지부(21)가 도전체(51)뿐만 아니라 고무체(55)도 파지하고, 고무체(55)에 마련된 돌부(58)와 제2 긴 구멍(27), 돌부(58)와 제4 긴 구멍(37)이 끼워 맞춰져, 파지부(21)가 고무체(55)를 보다 확실히 파지할 수 있기 때문에, 파지부(21)로부터의 집전부(20)의 빠짐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고무체(55)는 파지부(21)에 의하여 파지되어 있을 뿐으로, 파지부 고정 볼트(41) 등에 의하여 고정되어 있는 것은 아니기 때문에, 고무체(55)에 손상이 발생하기 어렵다. 따라서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어, 코스트를 억제할 수 있다. 또한, 금속의 파지부(21)를 통하여 접지 슈(18)가 차량(1)에 장착되기 때문에, 적정한 체결력으로 장착 볼트(8)를 체결 가능해져, 장착 볼트(8)가 느슨해져 탈락해 버리는 경우가 없다.
또한, 전측 파지부(22)에는 홈부(26)가 마련되어 있고, 이 홈부(26)에 집전부(20)에 있어서의 일단측 노출부(52)가 맞닿아 맞물리기 때문에, 파지부(21)와 도전체(51)와의 사이에서의 접촉 저항을 저감시켜, 차량(1)으로부터 궤도측으로 대전된 전기를 확실히 흘려 보낼 수 있다. 또 이에 더하여, 후측 파지부(32)에 형성된 누름 볼트 구멍(36)으로 누름 볼트(42)를 나사결합시킴으로써, 일단측 노출부(52)를 홈부(26)에 누를 수 있다. 이로 인하여, 파지부(21)와 도전체(51)가 보다 확실히 맞물려, 파지부(21)와 도전체(51)와의 사이에서의 접촉 저항을 더욱 저감시킬 수 있어, 파지부(21)로부터의 도전체(51)의 탈락의 억제도 가능해진다.
그리고, 고무체(55)를 파지부(21)가 파지할 때에는, 고무체(55)의 단차부(56)가 전측 파지부 단차부(23) 및 후측 파지부 단차부(33)에 정확히 끼워 넣어짐으로써, 고무체 표면(55c)과, 전측 파지부 단차부(23) 및 후측 파지부 단차부(33)의 외면(22c, 32c)을 단차 없이 할 수 있다. 따라서, 파지부(21)가 고무체(55)를 더욱 확실히 파지할 수 있음과 함께, 파지부(21)로부터 고무체(55)가 밀려 나오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이로 인하여, 차량(1)에 파지부(21)를 장착할 때에, 장착 브래킷(19)에 고무체(55)가 간섭해 버리는 일이 없어, 장착 시의 자유도를 갖게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예를 들면, 집전부(20)의 궤도폭 방향(D2)의 치수가 길어, 접지 레일(6)에 대한 접촉압이 큰 경우에는, 접지 슈(18)를 궤도폭 방향(D2)으로 차량(1)측에 가깝게 장착하거나 하게 되지만, 이와 같이 해도 장착 브래킷(19)에 고무체(55)가 간섭해 버리는 일이 없어, 확실히 장착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여기에서, 본 실시형태에서는, 파지부(21)의 제1 긴 구멍(25) 및 제3 긴 구멍(35)에 장착 볼트(8)를 삽입관통시켜 장착 브래킷(19)에 접지 슈(18)를 접속하고 있기 때문에, 접지 슈(18)의 설치는, 궤도폭 방향(D2)으로 자유도를 갖게 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 도전체(51)의 일단측 노출부(52)가 도전체(51)의 다른 부분에 비하여 높이 방향(D3)으로 가늘게 되어 있지만, 이러한 형상에 의하여, 파지부(21)의 내부에 일단측 노출부(52)를 수용할 수 있어, 파지부(21)로부터의 도전체(51)의 탈락의 억제 효과를 향상시켜, 확실히 도전체(51)를 파지하여 통전시킬 수 있다.
또한, 고무체(55)에 도전성 고무를 적용함으로써, 도전체(51)가 마모되어, 접지 레일(6)과의 사이에서 이간해 버렸다고 해도, 고무체(55)만에 의해서도 접지 레일(6)과의 사이에서 통전 가능해진다. 이로 인하여, 장황성을 확보할 수 있어, 확실히 대전의 방지가 가능해진다. 이로써 신뢰성의 향상으로 이어진다.
또,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차량(1)의 주행 시에 집전부(20)가 접지 레일(6)에 접촉하면, 집전부(20)가 주행 방향(D1)의 후방측으로 굽혀지게 된다. 여기에서, 고무체(55)는, 도전체(51)의 일단(51a)으로부터 타단(51b)을 향함에 따라, 주행 방향(D1)의 폭치수가 점차 작아지도록 형성되어, 테이퍼 형상으로 되어 있다. 이로 인하여, 고무체(55)가 타단(55b)측에서 유연성을 가지게 되어, 고무체(55)가 접지 레일(6)에 눌렸을 때에도 차량(1)의 주행 방향(D1)의 후방측으로 용이하게 굽혀져, 파지부(21)에 파지된 일단(55a)측에서의 응력 집중을 방지할 수 있어, 내구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테이퍼 형상에 의하여, 고무체(55)의 타단(55b)이 자체의 무게에 의하여 하방으로 휘어 버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접지 레일(6)과의 접촉을 확실히 도모할 수 있다. 또 이러한 형상에 의하여 접지 레일(6)과의 접촉 면적을 크게 할 수 있어, 통전 효율의 향상이 가능해진다. 또, 접지 레일(6)의 이음매에 고무체(55)의 타단(55b)이 위치했을 때의 충격을 흡수할 수 있게 되기 때문에, 승객의 승차감 향상으로 이어진다.
또한, 고무체(55)가 접지 레일(6)에 눌려, 차량(1)의 주행 방향(D1)의 후측으로 굽혀졌을 때에, 전측 파지부(22)의 단부(22a) 및 후측 파지부(32)의 단부(32a)에 있어서의 가장자리부가 고무체(55)의 표면에 눌린다. 이 경우에도, 전측 파지부(22)에 있어서의 제1 모따기부(28)와, 후측 파지부(32)에 있어서의 제2 모따기부(38)와, 이들에 맞닿는 고무체(55)의 맞닿음부(57)에 의하여, 고무체(55)에 균열이나 찢김 등이 발생해 버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접지 슈(18)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관한 차량(100)에 대하여 설명한다.
다만, 제1 실시형태와 동일한 구성요소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상세 설명을 생략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접지 슈(108)가 강성 보조 부재(110)를 더욱 구비하고 있는 점에서, 제1 실시형태와는 상이하다.
도 8a 및 도 8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강성 보조 부재(110)는, 상기 집전부(20)에 있어서의 차량(100)의 주행 방향(D1) 전후 양측으로부터 전측 파지부(22) 및 후측 파지부(32)의 외면(22c, 32c), 및 고무체 표면(55c)에 맞닿아 마련된 금속판이다.
이러한 접지 슈(108)에 있어서는, 강성 보조 부재(110)로서 금속판을 이용함으로써, 상술과 같이 집전부(20)가 차량(100)의 주행 방향(D1)의 후방측으로 굽혀질 때에도, 주행 방향(D1)에 대한 굽힘 강성을 증대시킬 수 있어, 확실히 집전부(20)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강성 보조 부재(110)는 주행 방향(D1)의 전후 양측에 마련되어 있지 않아도 되고, 예를 들면, 주행 방향(D1)의 전후 중 일방측에 마련되어 있어도 된다.
또, 도 9a 및 도 9b와 같이 강성 보조 부재(120)는, 고무체(55)의 내부에 상기 일단(51a)으로부터 타단(51b)에 궤도폭 방향(D2)으로 뻗어 마련된 금속 와이어여도 된다. 강성 보조 부재(120)는, 고무체(55)의 내부이면 어느 위치에 배치되어도 되지만, 예를 들면, 도전체(51)를 주행 방향(D1)의 전후 양측으로부터 끼우도록, 금속 와이어를 높이 방향(D3)으로 묶은 것을 마련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금속 와이어를 강성 보조 부재(120)로서 이용하는 것에 의해서도, 상술과 같이 집전부(20)가 차량(100)의 주행 방향(D1)의 후방측으로 굽혀질 때에, 주행 방향(D1)에 대한 굽힘 강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하여 상세를 설명했지만,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일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 있어서, 다소의 설계 변경도 가능하다.
예를 들면, 상술의 실시형태에서는 전측 파지부(22)에만 홈부(26)를 마련하고 있었지만, 후측 파지부(32)에도 마련해도 되고, 또 반대로 후측 파지부(32)에만 마련할 수도 있다.
또한 홈부(26)에 있어서의 홈은, 일단측 노출부(52)의 금속 와이어의 연재 방향인 궤도폭 방향(D2)과는 상이한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으면 되고, 또 궤도폭 방향(D2)과 직교하도록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또, 홈은 동일한 방향으로 복수 형성되지 않고, 예를 들면 격자형상이어도 되고, 홈부(26) 대신에 간단한 조면(粗面)이어도 되며, 이들 홈에 의하여 일단측 노출부(52)가 물려 들어가면 된다.
또, 누름 볼트 구멍(36)은 반드시 마련되어 있지 않아도 된다.
또한, 볼트 구멍(29) 및 관통 구멍(39)은, 3개씩 마련했지만, 파지부(21)가 집전부(20)를 고정 가능하면 수량은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설치 위치에 대해서도, 적어도 전측 파지부 본체부(24) 및 후측 파지부 본체부(34)에 설치되어 있으면 되고, 상술의 실시형태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 고무체(55)에 있어서의 돌부(58), 파지부(21)에 있어서의 제2 긴 구멍(27) 및 제4 긴 구멍(37) 대신에, 고무체(55)에 구멍부를 마련하고, 파지부(21)에 돌부를 마련하여, 이들이 끼워 맞춰지도록 해도 되고, 또 형상도 상술의 실시형태의 경우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후측 파지부(32)에 형성된 누름 볼트 구멍(36)은, 홈부(26)에 대향하는 범위의 대략 중심부에서 1개소만 마련되어 있지만, 홈부(26)에 대향하는 범위 내이면 복수 마련해도 된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집전부(20)는, 도전체(51)와 이것을 덮는 고무체(55)로 구성되어 있었지만, 예를 들면, 도전체(51)만이어도 된다.
또, 상술의 실시형태의 차량(1, 100)은, 사이드 가이드 방식의 궤도계 교통 시스템에 적용되는 차량(1, 100)으로서 설명했지만, 센터 가이드 방식의 차량(1, 100)이어도 된다.
또, 전측 파지부(22)와 후측 파지부(32)는, 파지부 고정 볼트(41)로 고정되어 있지 않아도 되고, 예를 들면, 클로와 클로에 걸어맞추는 걸어맞춤부에 의하여 고정해도 된다.
본 발명은, 차량에 있어서의 대전 방지용의 접지 슈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접지 슈에 의하면, 집전부를 통전 가능하고 또한 착탈 가능하게 함으로써, 코스트를 억제하면서, 대전 방지가 가능하다.
1 차량
2 차체
3A, 3B 보기 대차
4 안내륜
5 분기륜
6 접지 레일
8 장착 볼트
10 대차 프레임
11 주행륜
12 차축
15 가로 빔
16 세로 빔
18 접지 슈
19 장착 브래킷
20 집전부
21 파지부
22 전측 파지부
22b 내면
22c 외면
23 전측 파지부 단차부
23a 전측 파지부 단차면
23b 전측 파지부 바닥면
24 전측 파지부 본체부
25 제1 긴 구멍
26 홈부(저항 저감 수단)
27 제2 긴 구멍(구멍부)
28 제1 모따기부
29 볼트 구멍
32 후측 파지부
32b 내면
32c 외면
33 후측 파지부 단차부
33a 후측 파지부 단차면
33b 후측 파지부 바닥면
34 후측 파지부 본체부
35 제3 긴 구멍
36 누름 볼트 구멍
37 제4 긴 구멍(구멍부)
38 제2 모따기부
39 관통 구멍
41 파지부 고정 볼트
42 누름 볼트
51 도전체
52 일단측 노출부
55 고무체
55c 고무체 표면
56 단차부
56a 단차면
56b 바닥면
57 맞닿음부
58 돌부(규제 수단)
D1 주행 방향
D2 궤도폭 방향
D3 높이 방향
100 차량
108 접지 슈
110 강성 보조 부재
120 강성 보조 부재

Claims (15)

  1. 차량에 있어서, 궤도측의 접지 레일을 향하여 마련되는 접지 슈로서,
    도전체를 가지는 집전부와,
    상기 집전부를 통전 가능하고 또한 착탈 가능하게 상기 도전체의 일단을 파지하여 고정함과 함께, 상기 차량에 장착되어, 상기 도전체와 접촉하는 파지부
    를 구비하는 접지 슈.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집전부는, 상기 도전체의 상기 일단 및 타단을 노출시키도록 하여 상기 도전체를 덮는 고무체를 더욱 가지고,
    상기 파지부는, 상기 도전체에 더하여, 상기 고무체의 일단을 파지하는 접지 슈.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고무체는, 상기 파지부로부터의 빠짐을 규제하는 규제 수단을 가지는 접지 슈.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규제 수단은, 상기 파지부에 마련된 구멍부에 끼워 맞추는 상기 고무체에 마련된 돌부를 가지는 접지 슈.
  5.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파지부는, 상기 도전체의 상기 일단에 접촉하는 접촉 부분에, 상기 도전체와의 접촉 저항을 저감시키는 저항 저감 수단을 가지는 접지 슈.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저항 저감 수단은, 상기 파지부의 상기 접촉 부분에 상기 도전체의 상기 일단으로부터 타단을 향하는 방향과는 상이한 방향으로 홈이 형성된 홈부인 접지 슈.
  7. 청구항 2 내지 청구항 6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체의 상기 일단 및 타단을 노출시키도록 하여 상기 도전체를 덮는 고무체는, 상기 파지부에 파지되는 상기 고무체의 일단에 단차부가 마련되어 상기 차량의 주행 방향의 폭치수가 상기 단차부보다 상기 궤도의 측방 방향의 상기 고무체에 대해서 작게 형성되고, 상기 파지부와 상기 고무체가, 상기 주행 방향을 향하는 표면에서 단차 없이 되어 있는 접지 슈.
  8.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7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체에서는, 상기 파지부에 파지되는 상기 도전체의 상기 일단이, 타단에 비하여 가늘게 되어 있는 접지 슈.
  9. 청구항 2 내지 청구항 8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체의 상기 일단 및 타단을 노출시키도록 하여 상기 도전체를 덮는 고무체는, 도전성을 가지는 고무로 이루어지는 접지 슈.
  10. 청구항 2 내지 청구항 9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체의 상기 일단 및 타단을 노출시키도록 하여 상기 도전체를 덮는 고무체에서는, 상기 차량에 있어서의 주행 방향의 폭치수가, 상기 파지부에 파지되는 상기 고무체의 일단으로부터 타단을 향함에 따라 작아지도록 형성되어 있는 접지 슈.
  11. 청구항 2 내지 청구항 10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파지부에는, 상기 도전체의 상기 일단 및 타단을 노출시키도록 하여 그 도전체를 덮는 고무체에 접촉하는 측의 가장자리부가 모따기된 모따기부가 형성되고,
    상기 고무체에는, 상기 모따기부에 대향하는 위치에서, 상기 모따기부의 형상에 대응하는 맞닿음부가 형성되어 있는 접지 슈.
  12. 청구항 2 내지 청구항 11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집전부에 마련되어, 상기 집전부의 상기 차량의 주행 방향으로의 굽힘에 대한 강성을 증대시키는 강성 보조 부재를 더욱 구비하는 접지 슈.
  13.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강성 보조 부재는, 상기 집전부에 있어서의 상기 차량의 주행 방향의 적어도 일방측을 향하는 면에 맞닿아 마련된 금속판인 접지 슈.
  14.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강성 보조 부재는, 상기 도전체의 상기 일단 및 타단을 노출시키도록 하여 상기 도전체를 덮는 고무체의 내부에, 상기 파지부에 파지되는 상기 고무체의 일단으로부터 타단으로 뻗어 마련된 금속 와이어인 접지 슈.
  15.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14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접지 슈를 구비하는 차량.
KR1020147031631A 2012-06-12 2013-04-26 접지 슈, 차량 및 집전부 KR10160565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2-132980 2012-06-12
JP2012132980A JP5748710B2 (ja) 2012-06-12 2012-06-12 接地シュー、及び車両
PCT/JP2013/062390 WO2013187142A1 (ja) 2012-06-12 2013-04-26 接地シュー、及び車両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2795A true KR20150002795A (ko) 2015-01-07
KR101605651B1 KR101605651B1 (ko) 2016-03-22

Family

ID=497579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31631A KR101605651B1 (ko) 2012-06-12 2013-04-26 접지 슈, 차량 및 집전부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9517738B2 (ko)
JP (1) JP5748710B2 (ko)
KR (1) KR101605651B1 (ko)
CN (1) CN104335434B (ko)
HK (1) HK1206872A1 (ko)
IN (1) IN2014MN02253A (ko)
SG (1) SG11201407286VA (ko)
WO (1) WO201318714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691462A (zh) * 2015-02-13 2015-06-10 王明文 一种监管可自测式车辆导静电橡胶拖地带
US10122137B2 (en) * 2016-04-28 2018-11-06 Hubbell Incorporated Pad extending member
CN106515461B (zh) * 2016-12-29 2023-09-22 中铁二院工程集团有限责任公司 磁悬浮列车集电靴及磁悬浮列车电磁屏蔽方法
CN108312887A (zh) * 2018-04-09 2018-07-24 吉林大学 智能充电系统
CN108489744A (zh) * 2018-05-15 2018-09-04 中铁四局集团电气化工程有限公司 一种胶轮路轨apm系统集冷滑、限界检测的多功能滑行小车
CN109455111B (zh) * 2018-11-14 2020-11-13 中车株洲电力机车有限公司 一种胶轮轨道车辆用供电系统及其轨道
CN112449472B (zh) * 2019-08-28 2022-10-18 比亚迪股份有限公司 电力机车静电消除器及电力机车站台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119572B1 (ko) 1971-07-14 1976-06-18
US4168770A (en) * 1976-05-06 1979-09-25 Westinghouse Electric Corp. Power collection apparatus for a transportation system
JPS55119572A (en) * 1979-03-05 1980-09-13 Bridgestone Corp Elastic endless track belt
JPS5920981A (ja) 1982-07-23 1984-02-02 川崎重工業株式会社 集電装置の弾性構造
JPH0662467U (ja) * 1993-02-16 1994-09-02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アース部材
US5673774A (en) * 1995-07-25 1997-10-07 Westinghouse Air Brake Company Auxiliary vehicle current collector
FR2800020B1 (fr) * 1999-10-25 2003-10-03 Alstom Systeme d'alimentation statique par le sol pour vehicule electrique et vehicule electrique destine a etre alimente au moyen d'un tel systeme d'alimentation
JP5119572B2 (ja) 2005-02-10 2013-01-16 コニカミノルタエムジー株式会社 放射線画像変換パネル及びその製造方法
JP2010252153A (ja) * 2009-04-17 2010-11-04 Ihi Corp 新交通システム
JP2010259167A (ja) * 2009-04-22 2010-11-11 Ihi Corp 車両
JP2010254040A (ja) * 2009-04-22 2010-11-11 Ihi Corp 車両接地検出装置及びその方法並びに車両
CN102107609B (zh) * 2009-12-28 2015-03-11 刘本林 具有偏转-伸缩复合位移系统的车辆侧面集电刷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IN2014MN02253A (ko) 2015-07-24
JP5748710B2 (ja) 2015-07-15
US9517738B2 (en) 2016-12-13
KR101605651B1 (ko) 2016-03-22
SG11201407286VA (en) 2015-03-30
US20150131192A1 (en) 2015-05-14
CN104335434A (zh) 2015-02-04
HK1206872A1 (en) 2016-01-15
JP2013258034A (ja) 2013-12-26
CN104335434B (zh) 2016-11-16
WO2013187142A1 (ja) 2013-12-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05651B1 (ko) 접지 슈, 차량 및 집전부
KR101461301B1 (ko) 궤도계 차량의 안내 궤조 및 교통 시스템
US20200259143A1 (en) Battery system for heavy duty vehicles
US9868365B2 (en) Ground level power supply system for a non-guided vehicle
CN103010248B (zh) 轨道车辆转向架
US10053119B2 (en) Plate spring cover and railcar bogie including plate spring cover
US9225075B2 (en) High voltage device system of railcar and railcar
JP2013233037A5 (ko)
US9376033B2 (en) Insulating section, power feeding rail, and track transportation system
JP2014131473A (ja) 電動車両及び電動車両の接触充電システム
WO2013174608A3 (de) System zur energieversorgung von nicht schienengebundenen elektrofahrzeugen
DK0691236T3 (da) Fremgangsmåde til at danne bro over afbrydelser eller spring i strømforsyningen af elektriske skinnekøretøjer
KR101252540B1 (ko) 3윤축 철도차량의 견인장치
KR20110072208A (ko) 레일바이크 시스템
CN211685448U (zh) 行驶设备的车架
KR20180005044A (ko) 무가선 노면 전차 시스템
CN208897079U (zh) 接地刷总成、转向架和轨道车辆
CN218878471U (zh) 行走限位机构及包含其的换电小车
EP4157671B1 (en) Electric road track
US11040627B2 (en) Vehicle including fastener configured to increase ease of releasing connection between battery and frame
JP6221173B2 (ja) 車両、位置決め装置及び充電設備
KR20120082599A (ko) 경량 전철용 제3 궤조 집전 장치
KR20180002693U (ko) 강체전차선용 급전클램프
CZ309476B6 (cs) Zařízení pro napájení trolejbusu zvýšeným proudem
JPS5818841B2 (ja) 集電可能なゼロプレツシヤ−タイ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0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02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