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01346U - 차량용 램프의 에이밍 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램프의 에이밍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01346U
KR20150001346U KR20130008013U KR20130008013U KR20150001346U KR 20150001346 U KR20150001346 U KR 20150001346U KR 20130008013 U KR20130008013 U KR 20130008013U KR 20130008013 U KR20130008013 U KR 20130008013U KR 20150001346 U KR20150001346 U KR 20150001346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tainer
lamp
present
rigid member
veh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00801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운영
Original Assignee
에스엘 주식회사
주식회사 에스엘 서봉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엘 주식회사, 주식회사 에스엘 서봉 filed Critical 에스엘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3000801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01346U/ko
Publication of KR2015000134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01346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02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 B60Q1/04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the devices being headlights
    • B60Q1/0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the devices being headlights adjustable, e.g. remotely-controlled from inside vehicle
    • B60Q1/068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the devices being headlights adjustable, e.g. remotely-controlled from inside vehicle by mechanical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1/0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 F21S41/5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aesthetic compon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corative trim, partition walls or covers
    • F21S41/55Attachment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2200/00Special features or arrangements of vehicle headlamps
    • B60Q2200/30Special arrangements for adjusting headlamps, e.g. means for transmitting the movements for adjusting the lamps
    • B60Q2200/36Conjoint adjustments, i.e. a mechanical link allows conjoint adjustment of several uni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 B60Y2200/11Passenger cars; Automobi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W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USES OR APPLICATION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W2107/00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n or in particular types of vehicles
    • F21W2107/10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n or in particular types of vehicles for land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ghting Device Outwards From Vehicle And Optical Signal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차량용 램프의 에이밍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용 램프의 에이밍을 위한 피봇 구조의 수명을 증가시킬 수 있는 차량용 램프의 에이밍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의 에이밍 장치는 램프 유닛의 일측에 형성되는 피봇부, 상기 피봇부의 피봇 헤드를 수용하는 수용 홈을 가지는 리테이너, 및 상기 수용 홈의 내측면 중 적어도 일부에 형성되는 강성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강성 부재는, 금속 재질의 링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수용 홈에 수용된 상기 피봇 헤드와 상기 리테이너 사이의 마찰로 인한 상기 리테이너의 변형을 방지한다.

Description

차량용 램프의 에이밍 장치 {Aiming apparatus of lamp for vehicle}
본 고안은 차량용 램프의 에이밍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용 램프의 에이밍을 위한 피봇 구조에 있어서 구성 요소 사이의 마찰로 인한 변형을 방지하여 수명을 증가시킬 수 있는 차량용 램프의 에이밍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의 헤드 램프는 전조등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차량의 전방에 설치되어 야간 주행시에 전방을 밝게 하여 안전한 주행을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헤드 램프는 대향 차량의 운전자에게 눈부심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광을 상향등이나 하향등으로 적절하게 조정하여 사용하여야 하며, 차량 운행 도중 발생하는 진동이나 충격 등으로 인해 헤드 램프에서 광의 조사 방향이 원래 설정과 다르게 변경되거나 주행 환경에 따라 원래 설정한 광의 조사 방향으로 조정하는 에이밍(aiming)의 수행이 요구된다.
에이밍은 운전자가 직접 수동으로 에이밍 스크류를 조작하여 광의 조사 방향을 조정할 수도 있고, 액추에이터 등을 이용하여 운전자가 차량에 탑승한 상태에서 자동으로 광의 조사 방향을 조정할 수도 있다.
이러한 에이밍은 헤드 램프의 소정 지점을 기준으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에이밍 지점을 상하좌우 방향으로 회전시켜 광의 조사 방향을 조정하여 수행될 수 있다.
헤드 램프에서 에이밍 수행시 기준이 되는 지점은 헤드 램프가 상하 방향뿐만 아니라 좌우 방향으로도 에이밍이 수행될 수 있도록 피봇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피봇 구조는 구형의 피봇 헤드를 가지며 금속 재질로 이루어지는 피봇부 및 성형성을 고려하여 수지 재질로 이루어지며 피봇 헤드를 수용하는 리테이너로 구성된다.
이때, 수지 재질로 이루어지는 리테이너는 에이밍이 수행되거나 차량 운행 도중 발생하는 진동 등에 의해 피봇 헤드와 마찰이 발생하게 되며 이로 인해 마모가 발생하여 그 형태가 변형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피봇 부재와 리테이너 사이에 발생하는 마찰로 인해 리테이너의 변형이 발생하는 경우 정상적인 에이밍이 수행되지 못하기 때문에 마찰로 인한 리테이너의 변형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방안이 요구되고 있다.
미국특허공보 US4318162 (1982.03.02.)
본 고안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차량용 램프의 에이밍 수행을 위한 피봇 구조에서 피봇부와 피봇부의 피봇 헤드를 수용하는 리테이너의 재질이 각각 금속 재질과 수지 재질로 이루어져 차량 운행 도중 발생하는 진동이나 에이밍 수행시 피봇 헤드와 리테이너 사이의 마찰로 인하여 리테이너가 마모되어 변형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는 차량용 램프의 에이밍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의 에이밍 장치는 램프 유닛의 일측에 형성되는 피봇부, 상기 피봇부의 피봇 헤드를 수용하는 수용 홈을 가지는 리테이너, 및 상기 수용 홈의 내측면 중 적어도 일부에 형성되는 강성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강성 부재는, 금속 재질의 링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수용 홈에 수용된 상기 피봇 헤드와 상기 리테이너 사이의 마찰로 인한 상기 리테이너의 변형을 방지한다.
본 고안의 기타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의 차량용 램프의 에이밍 장치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하나 혹은 그 이상 있다.
램프 유닛에 형성되며 금속 재질로 이루어진 피봇부의 피봇 헤드를 수용하는 수지 재질로 이루어진 리테이너에 강성 부재를 형성하여 리테이너가 피봇부와의 마찰로 인하여 마모가 발생하여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여 리테이너의 수명을 증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고안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가 도시된 사시도.
도 2 및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가 도시된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리테이너가 도시된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리테이너가 도시된 정면도.
도 6 및 도 7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리테이너가 도시된 단면도.
도 8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램프 하우징에 고정 설치되는 리테이너가 도시된 분해 사시도.
도 9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강성 부재가 도시된 사시도.
도 10 및 도 1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강성 부재가 형성된 리테이너가 도시된 단면도.
도 12 및 도 13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피봇부에 결합된 리테이너가 도시된 단면도.
도 14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강성 부재가 도시된 사시도.
도 15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탄성 변형된 강성 부재가 도시된 개략도.
본 고안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고안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고안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고안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고안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따라서, 몇몇 실시예에서, 잘 알려진 공정 단계들, 잘 알려진 구조 및 잘 알려진 기술들은 본 고안이 모호하게 해석되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구체적으로 설명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고안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 이외의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 의미로 사용한다. 그리고, "및/또는"은 언급된 아이템들의 각각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기술하는 실시예들은 본 고안의 이상적인 예시도인 단면도 및/또는 개략도들을 참고하여 설명될 것이다. 따라서, 제조 기술 및/또는 허용 오차 등에 의해 예시도의 형태가 변형될 수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의 실시예들은 도시된 특정 형태로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제조 공정에 따라 생성되는 형태의 변화도 포함하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에 도시된 각 도면에 있어서 각 구성 요소들은 설명의 편의를 고려하여 다소 확대 또는 축소되어 도시된 것일 수 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들에 의하여 차량용 램프의 에이밍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을들 참고하여 본 고안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가 도시된 사시도이고, 도 2 및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가 도시된 분해 사시도이며, 도 2 및 도 3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일부 구성 요소가 생략된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10)는 램프 유닛(11) 및 램프 하우징(12)을 포함할 수 있다.
램프 유닛(11)은 차량용 램프(10)의 용도에 따른 배광 패턴의 광을 조사할 수 있으며, 일 예로 차량용 램프(10)는 헤드 램프, 테일 램프, 브레이크 램프, 백업 램프, 턴 시그널 램프, 포그 램프, 주간 주행 램프 및 포지션 램프 등일 수 있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 램프 유닛(11)은 복수의 램프 모듈(11a~11d)로 구성될 수 있으며, 각 램프 모듈(11a~11d)은 LED(Light Emitting Diode)를 광원으로 하고, 전류 제어 등에 의해 광량이 조절되어 차량용 램프(10)의 용도에 따른 배광 패턴의 광을 조사할 수 있으며, 각 램프 모듈(11a~11d)은 광원 이외에도 리플렉터나 쉴드 등과 같은 구성 요소들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는 램프 유닛(11)이 복수의 램프 모듈(11a~11d)을 포함하고, 각 램프 모듈(11a~11d)이 LED를 광원으로 하는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램프 유닛(11)은 배광 패턴이나 광량 등에 따라 하나 이상의 램프 모듈을 포함할 수 있으며, 램프 모듈의 광원은 LED 뿐만 아니라 벌브(Bulb)나 LD(Laser Diode) 등과 같이 다양한 종류의 광원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는 램프 유닛(11)이 복수의 램프 모듈(11a~11d)과 더불어 복수의 램프 모듈(11a~11d)이 장착되는 브라켓(11e)을 포함하는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하나, 이는 본 고안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 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이에 한정되지 않고 브라켓(11e)은 생략될 수도 있다.
램프 유닛(11)은 램프 하우징(12)에 장착될 수 있으며, 램프 하우징(12)은 차체 일측에 고정 설치되어 램프 유닛(11)을 지지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는 램프 유닛(11)에 포함되는 브라켓(11e)이 램프 하우징(12)에 장착되는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하나, 전술한 바와 같이 브라켓(11e)이 생략되는 경우, 복수의 램프 모듈(11a~11d)이 램프 하우징(12)에 장착될 수도 있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는 램프 하우징(12)의 일부에만 램프 유닛(11)이 장착된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고 있으나, 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으로서, 램프 하우징(12)에는 복수의 램프 유닛(11)이 장착될 수 있고, 램프 하우징(12)은 형상은 차량용 램프(10)의 레이 아웃 등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차량용 램프(10)는 차량 운행 도중 발생하는 진동이나 충격 등에 의하여 광 조사 방향이 원래의 설정과 다르게 변경될 수 있고, 이로 인해 시야를 충분히 확보하지 못하거나 대향 차량의 운전자에게 눈부심이 발생될 수 있기 때문에 원래 설정한 광 조사 방향으로 조정하는 에이밍의 수행이 요구될 수 있다.
차량용 램프(10)의 에이밍은 적어도 하나의 지점에서 수행될 수 있으며,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는 도 2 및 도 3과 같이 3개의 지점(10a, 10b, 10c)에서 에이밍이 수행되는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이때, 3개의 지점(10a, 10b, 10c) 중 적어도 하나는 에이밍 수행시 기준이 되는 기준 지점이 될 수 있고, 나머지 지점은 에이밍 스크류 등이 끼워져 수동으로 에이밍이 수행되거나 액추에이터 등과 연결되어 자동으로 에이밍이 수행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는 3개의 지점(10a, 10b, 10c)을 통해 에이밍이 수행되는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하나, 이는 본 고안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 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에이밍 수행을 위한 지점의 위치나 개수 등은 차량용 램프(10)의 레이 아웃 등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이때,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3개의 지점(10a, 10b, 10c)을 각각 제 1지점(10a), 제 2지점(10b) 및 제 3지점(10c)라 칭하기로 하며, 제 1지점(10a)이 기준 지점, 제 2지점(10b)이 좌우 방향 에이밍을 위한 지점, 제 3지점(10c)이 상하 방향 에이밍을 위한 지점인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즉, 제 2지점(10b) 및 제 3지점(10c)에는 전술한 에이밍 스크류나 액추에이터 등이 연결되어 에이밍이 수행될 수 있는 것이다.
제 1지점(10a)은 제 2지점(10b) 및 제 3지점(10c)에서 에이밍이 수행되어 램프 유닛(11)이 좌우 방향 및 상하 방향으로 회전될 때 기준 지점이 될 수 있으며, 제 1지점(10a)은 램프 유닛(11)이 상하좌우 방향으로 회전이 가능하도록 피봇 구조가 형성될 수 있다.
본 고안은 제 1지점(10a)에 형성된 피봇 구조에 있어서 진동이나 마찰 등으로 인하여 피봇 구조의 수명이 감소하는 것이 방지되도록 하는 것이며,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피봇 구조에 대하여 상세하게 살펴보기로 한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의 에이밍 장치(100)는 피봇부(110), 리테이너(120) 및 강성 부재(130)를 포함할 수 있으며, 차량용 램프의 에이밍 장치(100)는 전술한 제 1지점(10a)에 형성된 피봇 구조로 이해될 수 있다.
피봇부(110)는 램프 유닛(11)의 일측에 결합될 수 있으며,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 피봇부(110)의 일단은 피봇 헤드(111)가 형성되고 타단에는 나사선을 따라 나사산(112)이 형성되어 램프 유닛(11)에 형성된 결합 홈(113)에 결합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 피봇부(110)는 금속 재질로 이루어지고, 피봇 헤드(111)는 구형으로 이루어진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고 있으나, 이는 본 고안의 이해를 위한 일 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이에 한정되지 않고 피봇부(110)는 다양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도 있고, 피봇 헤드(111)도 차량용 램프(10)의 에이밍 방향에 따라 원통형 등과 같은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때, 피봇부(110)가 램프 유닛(11)에 결합되었을 때 피봇 헤드(111)가 위치하는 지점이 전술한 제 1지점(10a)이 될 수 있다.
리테이너(120)는 도 4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봇부(110)의 피봇 헤드(111)를 수용하는 수용 홈(121)이 형성될 수 있으며, 수용 홈(121)은 피봇 헤드(111)가 차량용 램프(10)의 에이밍 수행시 회전될 수 있도록 피봇 헤드(111)의 형상과 대응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리테이너(120)는 도 8과 같이 램프 하우징(12)에 고정 설치되어 차량용 램프(1)의 에이밍이 수행될 때 전술한 제 1지점(10a)과 같은 기준 지점의 역할을 할 수 있도록 하며, 성형성을 고려하여 일반적으로 수지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리테이너(120)는 일방향으로 돌출된 하나 이상의 정렬 돌기(120a, 120b)를 포함할 수 있으며, 램프 하우징(12)에 형성된 정렬 홀(12a)로 일단이 삽입되어 리테이너(120)를 램프 하우징(12)에 설치할 때 설치 위치가 정렬될 수 있다. 또한, 리테이너(120)는 램프 하우징(12)에 형성된 관통 홀(12b)를 관통하는 스크류 등과 같은 결합 부재(13)가 삽입되어 리테이너(120)가 램프 하우징(12)에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고정 홈(120c)을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램프 하우징(12)과 리테이너(120)의 결합 구조는 본 고안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 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전술한 결합 구조 대신에 후크 결합이나 접착제를 통한 결합 등과 같은 다양한 방식의 결합 구조가 사용될 수도 있다.
리테이너(120)는 수용 홈(121)와 연통되도록 일면이 개방될 수 있으며, 피봇부(110)는 피봇 헤드(111)가 리테이너(120)의 개방된 일면을 통해 수용 홈(121)에 삽입되어 리테이너(120)와 결합될 수 있다.
이때, 리테이너(120)의 개방된 일면의 외주단은 탄성 변형이 가능하도록 형성되어 피봇 헤드(111)가 삽입될 때 피봇 헤드(111)의 직경에 의해 일측으로 밀렸다가 피봇 헤드(111)가 수용 홈(121)에 삽입된 후에는 원래의 위치로 복원되어 피봇 헤드(111)가 수용 홈(121)으로부터 일정 이상의 힘이 가해지지 않는 한 이탈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강성 부재(130)는 리테이너(120)의 수용 홈(121) 내측면 중 적어도 일부에 형성되어 피봇 헤드(111)의 외측면과 수용 홈(121)의 내측면 사이의 마찰로 인해 마모가 발생하여 리테이너(120)의 변형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 피봇부(110)는 금속 재질로 이루어지고, 리테이너(120)는 수지 재질로 이루어지는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고 있는데, 차량 운행 도중 발생하는 진동이나 에이밍 수행시 피봇 헤드(111)의 외측면 및 수용 홈(121) 내측면 사이에서 마찰이 발생하는 경우 마모가 발생하여 리테이너(120)가 변형될 수 있기 때문에 강성 부재(130)를 수용 홈(121) 내측면 중 적어도 일부에 형성하여 피봇 헤드(111)의 외측면을 지지할 수 있도록 하여 리테이너(120)의 변형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다.
도 9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강성 부재가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강성 부재(130)는 금속 재질로 이루어지며 링 형상을 가질 수 있는데, 강성 부재(130)가 링 형상을 가지는 것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 피봇 헤드(111) 및 수용 홈(121)이 구형인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고 있기 때문이며, 강성 부재(130)의 형상은 피봇 헤드(111) 및 수용 홈(121) 중 하나 이상의 형상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전술한 강성 부재(130)는 도 10 내지 도 11과 같이 리테이너(120)의 수용 홈(121) 일측에 형성된 삽입 홈(122)에 삽입되어 장착될 수 있으며,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는 강성 부재(130)가 링 형상으로 이루어진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고 있기 때문에 삽입 홈(122)도 수용 홈(121) 일측에 링 형상을 가지도록 형성된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는 강성 부재(130)가 단일 구성으로 이루어진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강성 부재(130)는 둘 이상으로 형성되어 삽입 홈(122)에 장착될 수 있고, 강성 부재(130)가 둘 이상으로 형성된 경우 삽입 홈(122)도 그에 따른 위치 및 개수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삽입 홈(122)에 삽입된 강성 부재(130)는 수용 홈(121)의 내측면과 평평하게 장착되거나 피봇 헤드(111)의 움직임을 방해하지 않는 조건 하에서 수용 홈(121)의 내부 방향으로 소정 길이만큼 돌출되도록 장착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강성 부재(130)는 인서트 사출 공정을 통해 리테이너(120)의 수용 홈(121)의 내측면 중 적어도 일부에 형성될 수도 있고, 리테이너(120)와 별도로 형성되어 리테이너(120)의 삽입 홈(122)에 삽입될 수도 있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는 리테이너(120)에 강성 부재(130)가 삽입되는 삽입 홈(122)이 형성된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고 있는데, 강성 부재(130)가 인서트 사출 공정을 통해 형성되는 경우에는 사출 공정 중 삽입 홈(122)의 형태를 가지도록 성형될 수도 있고, 강성 부재(130)가 별도로 형성되어 삽입되는 경우에는 강성 부재(130)의 삽입 이전에 삽입 홈(122)이 형성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수용 홈(121) 내측면 중 적어도 일부에 강성 부재(130)가 형성되는 경우 도 12 및 도 13과 같이 피봇부(110)의 피봇 헤드(111)의 외측면 중 적어도 일부와 강성 부재(130)가 인접하게 위치된 상태이기 때문에 리테이너(120)가 수지 재질로 이루어진 경우에도 강성 부재(130)가 피봇 헤드(111)의 외측면을 지지할 수 있기 때문에 피봇 헤드(111)와 수용 홈(121) 내측면 사이의 마찰로 인하여 마모가 발생하여 리테이너(120)의 변형이 발생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강성 부재(130)가 리테이너(120)와 별도로 형성되어 리테이너(120)의 삽입 홈(122)에 삽입되는 경우, 강성 부재(130)에는 도 14와 같이 탄성 변형이 가능하도록 외주단 일측에 슬릿(131)이 형성될 수 있으며, 수용 홈(121) 내부에 강성 부재(130)를 넣을 때에는 도 15와 같이 강성 부재(130)에 힘을 가하여 슬릿(131)의 간격이 좁아지도록 탄성 변형시킨 다음, 내부에서 힘을 제거하게 되면 원래의 형상으로 복원되면서 삽입 홈(122)에 장착될 수 있게 된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는 강성 부재(130)를 별도로 형성하여 리테이너(120)의 수용 홈(122)에 삽입 장착시키는 경우, 전술한 도 14 및 도 15와 같이 강성 부재(130)에 슬릿(131)을 형성하는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고 있으나, 이는 본 고안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 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강성 부재(130)는 본 고안의 실시예와 같이 수용 홈(121)의 내측으로부터 삽입 장착시키는 방법 뿐만 아니라, 수용 홈(121)의 외측, 즉 리테이너(120)의 외측에 수용 홈(121)의 내측면과 연통되는 적어도 일부의 관통 홈을 형성하여 외부에서 강성 부재(130)를 장착할 수도 있으며, 이외에도 이미 공지된 다양한 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피봇부(110)가 금속 재질로 이루어지고, 리테이너(120)가 수지 재질로 이루어진 경우, 피봇부(110)와 리테이너(120) 사이의 마찰로 인하여 마모가 발생하여 리테이너(120)가 변형되는 것을 강성 부재(130)를 통해 방지하기 때문에 차량 운행 도중 발생하는 진동이나 에이밍시 피봇부(110)와 리테이너(120) 사이에 마찰로 인한 리테이너(120)의 변형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되며, 이로 인해 리테이너(120)의 수명을 증가시킬 수 있게 된다.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고안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고안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실용신안등록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 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고안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1: 램프 유닛
12: 램프 하우징
110: 피봇부
120: 리테이너
130: 강성 부재

Claims (6)

  1. 램프 유닛의 일측에 형성되는 피봇부;
    상기 피봇부의 피봇 헤드를 수용하는 수용 홈을 가지는 리테이너; 및
    상기 수용 홈의 내측면 중 적어도 일부에 형성되는 강성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강성 부재는,
    금속 재질의 링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수용 홈에 수용된 상기 피봇 헤드와 상기 리테이너 사이의 마찰로 인한 상기 리테이너의 변형을 방지하는 차량용 램프의 에이밍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강성 부재는,
    외주단 일측에 슬릿이 형성되는 차량용 램프의 에이밍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강성 부재는,
    인서트 사출 공정을 통해 상기 리테이너에 형성되는 차량용 램프의 에이밍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리테이너는,
    내측면 중 적어도 일부에 상기 강성 부재가 삽입되는 삽입 홈이 형성되는 차량용 램프의 에이밍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강성 부재는,
    상기 수용 홈의 내측면과 평평하거나 적어도 일부가 상기 수용 홈의 내부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차량용 램프의 에이밍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리테이너는,
    상기 수용 홈과 연통되도록 일면이 개방되며,
    상기 개방된 일면 외주단은,
    탄성 변형이 가능하여 상기 개방된 일면의 단면적이 가변되는 차량용 램프의 에이밍 장치.
KR20130008013U 2013-09-27 2013-09-27 차량용 램프의 에이밍 장치 KR20150001346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08013U KR20150001346U (ko) 2013-09-27 2013-09-27 차량용 램프의 에이밍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08013U KR20150001346U (ko) 2013-09-27 2013-09-27 차량용 램프의 에이밍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1346U true KR20150001346U (ko) 2015-04-06

Family

ID=530303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008013U KR20150001346U (ko) 2013-09-27 2013-09-27 차량용 램프의 에이밍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001346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3103879A1 (fr) * 2019-11-28 2021-06-04 Psa Automobiles Sa Projecteur pour automobile avec un masque mobile indexé sur une platine de réglag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3103879A1 (fr) * 2019-11-28 2021-06-04 Psa Automobiles Sa Projecteur pour automobile avec un masque mobile indexé sur une platine de réglag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054782B2 (ja) 車両用灯具のピボットホルダ構造
KR101740268B1 (ko) 자동차용 ohc 램프 플레이트
US9285093B2 (en) Self-locating light source module
US8092056B2 (en) Light module and lighting device
KR20150001346U (ko) 차량용 램프의 에이밍 장치
KR102492468B1 (ko) 램프 유닛 및 램프 에이밍 장치
KR102031832B1 (ko) 차량용 램프 어셈블리
KR200483426Y1 (ko) 차량용 램프
EP3470267A1 (en) Automotive lamp with enhanced damping of vibrations
KR200480824Y1 (ko) 차량용 램프의 에이밍 장치
CA2636255C (en) Bracketless snap-in fog lamp
KR101992117B1 (ko) 할로겐램프가 적용된 차량에 엘이디 벌브로 광원의 교체장착이 가능한 안개등
KR200493836Y1 (ko) 차량용 램프
KR20160066405A (ko) 자동차의 조명 장치
CN220017098U (zh) 一种车辆及其灯具组件
KR102132880B1 (ko) 차량용 램프의 에이밍 장치
KR102377542B1 (ko) 자동차의 조명 장치
KR101369976B1 (ko) 차량용 램프의 진동 방지 장치
KR102474616B1 (ko) 포그램프 에이밍장치
KR20170001904U (ko) 차량용 램프
KR102363786B1 (ko) 헤드램프의 에이밍 장치
KR102042227B1 (ko) 자동차용 코너 램프
KR20170119920A (ko) 차량용 램프의 에이밍 장치
KR200483957Y1 (ko) 차량용 램프
KR102220808B1 (ko) 차량용 램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