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74616B1 - 포그램프 에이밍장치 - Google Patents

포그램프 에이밍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74616B1
KR102474616B1 KR1020180040438A KR20180040438A KR102474616B1 KR 102474616 B1 KR102474616 B1 KR 102474616B1 KR 1020180040438 A KR1020180040438 A KR 1020180040438A KR 20180040438 A KR20180040438 A KR 20180040438A KR 102474616 B1 KR102474616 B1 KR 1024746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ming
adjustment tool
unit
central axis
scre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404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117209A (ko
Inventor
이준재
박용우
사정우
김태윤
윤기태
정우주
이응규
김성수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에스엘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에스엘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404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74616B1/ko
Publication of KR201901172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1720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746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746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02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 B60Q1/04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the devices being headlights
    • B60Q1/18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the devices being headlights being additional front lights
    • B60Q1/20Fog ligh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25/00Gearings comprising primarily only cams, cam-followers and screw-and-nut mechanisms
    • F16H25/18Gearings comprising primarily only cams, cam-followers and screw-and-nut mechanisms for conveying or interconverting oscillating or reciprocating motions
    • F16H25/20Screw mechanis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ghting Device Outwards From Vehicle And Optical Sign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포그램프의 중심축에 대해 직각 방향으로 배치되어 상기 포그램프를 에이밍하는 제1에이밍유닛, 상기 포그램프의 중심축에 대해 평행한 방향으로 배치되어 상기 포그램프를 에이밍하는 제2에이밍유닛, 상기 제1에이밍유닛과 상기 제2에이밍유닛을 연동시키는 기어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포그램프를 상하방향으로 에이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그램프 에이밍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포그램프 에이밍장치{AIMING APPARATUS OF FOG LAMP FOR VEHICLE}
본 발명은 포그램프 에이밍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포그램프의 중심축에 대해 직각 방향으로 배치되어 상기 포그램프를 에이밍하는 제1에이밍유닛, 포그램프의 중심축에 대해 평행한 방향으로 배치되어 포그램프를 에이밍하는 제2에이밍유닛, 제1에이밍유닛과 제2에이밍유닛을 연동시키는 기어유닛을 이용하여 에이밍의 작업 방향과 상관없이 상기 포그램프를 상하방향으로 에이밍할 수 있는 포그램프 에이밍장치에 관한 발명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은 야간 주행 시에 차량 주변에 위치한 대상물을 용이하게 확인하기 위한 조명 기능 및 다른 차량이나 도로 이용자들에게 차량의 주행 상태를 알리기 위한 신호 기능을 가지는 다양한 램프를 구비하고 있으며, 차량용 램프는 각 기능을 충분히 발휘하도록 그 설치 기준과 규격에 대하여 법규로 규정되어 있다.
예를 들어, 헤드 램프 및 포그 램프 등은 조명을 목적으로 하며, 턴 시그널 램프, 테일 램프, 브레이크 램프 및 사이드 마커(Side marker) 등은 신호를 목적으로 한다.
이 중에서 헤드 램프는 야간 주행 시 운전자의 전방 시야가 확보되도록 하여 안전 운행을 하는데 있어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헤드 램프는 대향 차량의 운전자에게 눈부심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광을 하이 빔 패턴이나 로우 빔 패턴 등으로 적절하게 조정하여 사용하여야 하며, 차량 운행 도중 발생하는 진동이나 충격 등으로 인해 헤드 램프에서 광의 조사 방향이 원래 설정과 다르게 변경되거나 주행 환경에 따라 원래 설정한 광의 조사 방향으로 조정하는 에이밍(Aiming)의 수행이 요구된다.
에이밍은 운전자가 직접 수동으로 에이밍 스크류를 조작하여 광의 조사 방향을 조정할 수도 있고, 액추에이터 등을 이용하여 운전자가 차량에 탑승한 상태에서 에이밍 스크류를 조작하여 자동으로 광의 조사 방향을 조정할 수도 있다.
이러한 에이밍은 헤드 램프에 형성된 소정의 기준 지점을 기준으로 적어도 하나의 에이밍 지점을 상하 또는 좌우 방향으로 회동시켜 광의 조사 방향을 조정하여 수행될 수 있다.
종래 에이밍장치의 구조에 따른 방법 중 양방향 에이밍 조정이 가능한 경우, 작업자는 에이밍 수행방향에 따라 별도의 조정툴로 조정함에 따라 조정량이 상이하고, 에이밍 조정위치까지 조정툴이 진입하기 위해 일정 길이 이상의 길이가 확보돼야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또한, 일방향으로만 에이밍 조정이 가능하거나, 조정툴이 공용화되지 않아 작업 효율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본 발명은 종래의 문제점을 개선하고자 에이밍 수행 시 조정툴을 공용화할 수 있고, 양방향에서 에이밍 조정이 가능하며, 에이밍조정 방향과 무관하게 동일한 조정량으로 상하 에이밍이 가능한 포그램프 에이밍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포그램프의 중심축에 대해 직각 방향으로 배치되어 포그램프를 에이밍하는 제1에이밍유닛, 포그램프의 중심축에 대해 평행한 방향으로 배치되어 포그램프를 에이밍하는 제2에이밍유닛, 제1에이밍유닛과 제2에이밍유닛을 연동시키는 기어유닛을 포함하며, 포그램프를 상하방향으로 에이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그램프 에이밍장치이다.
본 발명에 따른 포그램프 에이밍장치는 에이밍 수행 시 조정툴을 공용화할 수 있으며, 작업자의 편의에 따라 양방향(차량의 전방/하방)에서 에이밍 조정이 가능하며, 에이밍 조정의 방향과 무관하게 동일한 조정량으로 포그램프의 상하 에이밍이 가능하다.
또한, 종래 대비 조정툴의 길이가 축소되고, 별물의 서브브라켓을 적용하여 장치의 유동을 줄일 수 있어 작업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포그램프 에이밍장치와 포그램프의 전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포그램프 에이밍장치와 포그램프의 결합상태의 도면이다.((a) 측면도,(b) 후면도)
도 3은 도 2의 (b)의 A-A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표시부의 도면이다.(부분 확대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포그램프 에이밍장치의 구동메커니즘을 나타내는 도면이다.((a) 드라이버 적용 예, (b) 육각렌치 적용 예)
본 발명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실시 예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실시 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구성은 동일한 참조부호로 도시한 경우가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기술은 생략된다.
본 발명은 포그램프(100)의 중심축에 대해 직각 방향으로 배치되어 상기 포그램프를 에이밍하는 제1에이밍유닛(200), 상기 포그램프의 중심축에 대해 평행한 방향으로 배치되어 상기 포그램프를 에이밍하는 제2에이밍유닛(300), 상기 제1에이밍유닛과 상기 제2에이밍유닛을 연동시키는 기어유닛(400)을 포함하며, 상기 포그램프를 상하방향으로 에이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그램프 에이밍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포그램프 에이밍장치와 포그램프의 전개도이고, 도 2는 도 1의 결합상태의 도면이며((a) 측면도,(b) 후면도), 도 3은 도 2의 (b)의 A-A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3의 표시부의 도면이다.(부분 확대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포그램프 에이밍장치의 구동메커니즘을 나타내는 도면으로((a)는 드라이버 적용의 예시, (b)는 육각렌치 적용의 예시), 본 발명에 따른 포그램프 에이밍장치는 다양한 조정툴이 적용가능하며, 차량 전방과 하방 어느 방향에서 에이밍조정을 수행해도 포그램프의 상하방향 에이밍이 가능하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좀더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기어유닛(400)은 상기 제1에이밍유닛(200)에 고정되어 상기 포그램프(100)의 중심축에 대해 직각방향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회전하는 제1기어(410), 상기 제2에이밍유닛(300)에 고정되어 상기 포그램프의 중심축에 대해 평행한 방향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회전하는 제2기어(420), 상기 제1기어와 상기 제2기어를 내측에 배열하는 하우징(430)을 포함하며, 상기 제1기어와 상기 제2기어는 맞물려 회전하며 상기 제1에이밍유닛의 회전을 상기 제2에이밍유닛의 회전으로 변환하거나 상기 제2에이밍유닛의 회전을 상기 제1에이밍유닛의 회전으로 변환하기 때문에, 어느 방향으로 조정작업을 수행해도 동일한 조정량으로 포그램프의 상하방향 에이밍이 가능하다.
상기 제1에이밍유닛(200)은 상기 포그램프(100)에 상기 포그램프의 중심축에 대해 직각방향으로 고정되는 제1에이밍 스크류(210)와 상기 제1에이밍 스크류의 일측에 고정되며, 상기 제1에이밍 스크류를 회전시키는 제1조정툴이 삽입되는 제1조정툴 가이드(220)를 포함하고, 상기 제1에이밍 스크류의 타측은 상기 포그램프의 리플렉터(30)의 후단에 나사산 결합되어 상기 제1에이밍 스크류의 회전방향에 따라 상기 제1에이밍유닛이 상승 또는 하강하며 상기 포그램프의 에이밍 조정한다.
상기 제1조정툴 가이드(220)는 상기 제1에이밍 스크류(210)가 고정되는 제1파트(221)와 상기 제1조정툴이 삽입되는 제2파트(222), 상기 제1파트의 선단으로부터 상기 제2파트 방향으로 일정 깊이만큼 관통되는 제1스크류 삽입홈(224)과 상기 제2파트의 선단으로부터 상기 제1파트 방향으로 일정 깊이만큼 관통되는 제1조정툴 삽입홈(225)을 포함하며, 상기 제1스크류 삽입홈의 중심축과 상기 제1조정툴 삽입홈의 중심축은 동일하다.
상기 제1조정툴 삽입홈(225)은 상기 제1파트(221) 방향으로 갈수록 점차 직경이 좁아지는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제1조정툴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함몰된 제1조정툴 고정홈을 포함하고, 상기 제1조정툴 고정홈은 상기 제1조정툴 삽입홈의 최소 직경을 갖는 내측면에 위치한다.
상기 제2에이밍유닛(300)은 상기 포그램프(100)에 상기 포그램프의 중심축에 대해 평행한 방향으로 고정되는 제2에이밍 스크류(310), 상기 제2에이밍 스크류의 일측에 고정되며, 상기 제2에이밍 스크류를 회전시키는 제2조정툴이 삽입되는 제2조정툴 가이드(320)를 포함하고 상기 제2에이밍 스크류의 타측은 상기 제2기어(420)에 고정된다.
상기 제2조정툴 가이드(320)는 상기 제2에이밍 스크류(310)가 고정되는 제3파트(321)와 상기 제2조정툴이 삽입되는 제4파트(322), 상기 제3파트의 선단으로부터 상기 제4파트 방향으로 일정 깊이만큼 관통되는 제2스크류 삽입홈(324), 상기 제4파트의 선단으로부터 상기 제3파트 방향으로 일정 깊이만큼 관통되는 제2조정툴 삽입홈(325)을 포함하며, 상기 제2스크류 삽입홈의 중심축과 상기 제2조정툴 삽입홈의 중심축은 동일하다.
상기 제2조정툴 삽입홈(325)은 상기 제3파트(321) 방향으로 갈수록 점차 직경이 좁아지는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제2조정툴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함몰된 제2조정툴 고정홈을 포함하고, 상기 제2조정툴 고정홈은 상기 제2조정툴 삽입홈의 최소 직경을 갖는 내측면에 위치한다.
다시, 도 1 , 도 2 및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포그램프(100)는 커버렌즈(10), 베젤(20), 리플렉터(30), 브라켓(40), 상기 브라켓과 상기 리플렉터를 고정하는 고정부재(50)를 포함하며, 상기 리플렉터는 상기 제1에이밍 스크류(210)가 체결되는 결합부(31), 상기 고정부재가 체결되는 제1결합파트(32)를 포함하고, 상기 브라켓은 상기 포그램프의 중심축에 대해 수직방향으로 구속된 상기 제2에이밍 스크류(310)가 관통되어 유동을 최소화시키는 지지부(41)를 포함하며, 상기 고정부재가 체결되는 제2결합파트(42)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지지부(41)에 의해 고정된 상기 제2에이밍유닛(300)을 지지하는 서브브라켓(500)을 포함하며, 상기 서브브라켓은 상기 지지부의 관통홀 및 상기 제2기어(420)의 중심축과 동일하도록 상기 브라켓(40)에 체결된다.
또한, 상기 제1조정툴과 상기 제2조정툴은 설명을 위해 구분하여 설명하고 있으나 동일할 수 있다.
도 3(표시부)과 도 4는 상기 제2에이밍유닛(300)을 나타내고 있으나, 상기 제1조정툴 가이드(220)와 상기 제2조정툴 가이드(320)는 동일한 구성 및 형상이므로 상기 제1조정툴 가이드의 도면 및 설명은 생략한다. 도 4와 같이, 상기 제2에이밍 스크류(310)와 상기 제2조정툴 가이드(320)는 체결 후 회전하지 않도록 돌기-홈 구조로 형성되며, 상기 제2조정툴 고정홈에 의해 상기 조정툴은 육각렌치와 십자드라이버를 포함하여 다양하게 적용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잘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그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00 : 포그램프
10 : 커버렌즈
20 : 베젤
30 : 리플렉터
40 : 브라켓
50 : 고정부재
200 : 제1에이밍유닛
210 : 제1에이밍 스크류
220 : 제1조정툴 가이드
300 : 제2에이밍유닛
310 : 제2에이밍 스크류
320 : 제2조정툴 가이드
400 : 기어유닛
410 : 제1기어
420 : 제2기어
430 : 하우징
500 : 서브브라켓
31 : 결합부
32 : 제1결합파트
41 : 지지부
42 : 제2결합파트
221 : 제1파트
222 : 제2파트
224 : 제1스크류 삽입홈
225 : 제1조정툴 삽입홈
321 : 제3파트
322 : 제4파트
324 : 제2스크류 삽입홈
325 : 제2조정툴 삽입홈

Claims (13)

  1. 포그램프의 중심축에 대해 직각 방향으로 배치되어 상기 포그램프를 에이밍하는 제1에이밍유닛;
    상기 포그램프의 중심축에 대해 평행한 방향으로 배치되어 상기 포그램프를 에이밍하는 제2에이밍유닛;
    상기 제1에이밍유닛과 상기 제2에이밍유닛을 연동시키는 기어유닛; 을 포함하며
    상기 포그램프를 상하방향으로 에이밍하고;
    상기 기어유닛은 상기 제1에이밍유닛에 고정되어 상기 포그램프의 중심축에 대해 직각방향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회전하는 제1기어; 상기 제2에이밍유닛에 고정되어 상기 포그램프의 중심축에 대해 평행한 방향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회전하는 제2기어를 포함하며;
    상기 제2에이밍유닛은 상기 포그램프에 상기 포그램프의 중심축에 대해 평행한 방향으로 고정되는 제2에이밍 스크류; 상기 제2에이밍 스크류의 일측에 고정되며, 상기 제2에이밍 스크류를 회전시키는 제2조정툴이 삽입되는 제2조정툴 가이드; 를 포함하고, 상기 제2에이밍 스크류의 타측은 상기 제2기어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그램프 에이밍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기어와 상기 제2기어는 맞물려 회전하며 상기 제1에이밍유닛의 회전을 상기 제2에이밍유닛의 회전으로 변환하거나 상기 제2에이밍유닛의 회전을 상기 제1에이밍유닛의 회전으로 변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그램프 에이밍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에이밍유닛은
    상기 포그램프에 상기 포그램프의 중심축에 대해 직각방향으로 고정되는 제1에이밍 스크류;
    상기 제1에이밍 스크류의 일측에 고정되며, 상기 제1에이밍 스크류를 회전시키는 제1조정툴이 삽입되는 제1조정툴 가이드; 를 포함하고
    상기 제1에이밍 스크류의 타측은 상기 포그램프의 리플렉터의 후단에 나사산 결합되어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그램프 에이밍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조정툴 가이드는
    상기 제1에이밍 스크류가 고정되는 제1파트;
    상기 제1조정툴이 삽입되는 제2파트;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그램프 에이밍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조정툴 가이드는
    상기 제1파트의 선단으로부터 상기 제2파트 방향으로 일정 깊이만큼 관통되는 제1스크류 삽입홈;
    상기 제2파트의 선단으로부터 상기 제1파트 방향으로 일정 깊이만큼 관통되는 제1조정툴 삽입홈; 을 포함하고
    상기 제1스크류 삽입홈의 중심축과 상기 제1조정툴 삽입홈의 중심축은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그램프 에이밍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조정툴 삽입홈은
    상기 제1파트 방향으로 갈수록 점차 직경이 좁아지는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제1조정툴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함몰된 제1조정툴 고정홈; 을 포함하고
    상기 제1조정툴 고정홈은 상기 제1조정툴 삽입홈의 최소 직경을 갖는 내측면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그램프 에이밍장치.
  7. 삭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조정툴 가이드는
    상기 제2에이밍 스크류가 고정되는 제3파트;
    상기 제2조정툴이 삽입되는 제4파트;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그램프 에이밍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2조정툴 가이드는
    상기 제3파트의 선단으로부터 상기 제4파트 방향으로 일정 깊이만큼 관통되는 제2스크류 삽입홈;
    상기 제4파트의 선단으로부터 상기 제3파트 방향으로 일정 깊이만큼 관통되는 제2조정툴 삽입홈; 을 포함하며
    상기 제2스크류 삽입홈의 중심축과 상기 제2조정툴 삽입홈의 중심축은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그램프 에이밍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2조정툴 삽입홈은
    상기 제3파트 방향으로 갈수록 점차 직경이 좁아지는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제2조정툴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함몰된 제2조정툴 고정홈; 을 포함하고
    상기 제2조정툴 고정홈은 상기 제2조정툴 삽입홈의 최소 직경을 갖는 내측면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그램프 에이밍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어유닛은 하우징; 을 포함하며
    상기 제1기어와 상기 제2기어는 상기 하우징 내에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그램프 에이밍장치.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포그램프는
    상기 제1에이밍유닛의 일측이 나사산 결합되는 결합부;
    상기 제2에이밍유닛을 상기 포그램프의 중심축에 대해 평행한 방향으로 고정하는 지지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그램프 에이밍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에 의해 고정된 상기 제2에이밍유닛을 지지하는 서브브라켓;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그램프 에이밍장치.
KR1020180040438A 2018-04-06 2018-04-06 포그램프 에이밍장치 KR1024746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0438A KR102474616B1 (ko) 2018-04-06 2018-04-06 포그램프 에이밍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0438A KR102474616B1 (ko) 2018-04-06 2018-04-06 포그램프 에이밍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17209A KR20190117209A (ko) 2019-10-16
KR102474616B1 true KR102474616B1 (ko) 2022-12-06

Family

ID=684217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40438A KR102474616B1 (ko) 2018-04-06 2018-04-06 포그램프 에이밍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74616B1 (ko)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61666U (ko) * 1997-03-27 1998-11-16 김영귀 자동차 헤드램프의 에이밍 가이드 구조
KR101380254B1 (ko) * 2010-12-13 2014-04-02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차량용 안개등의 방향 조절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17209A (ko) 2019-10-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901122B2 (en) Vehicular lamp unit
KR930007618Y1 (ko) 자동차용 전조등
US1721347A (en) Lamp for vehicles
US8092056B2 (en) Light module and lighting device
KR102474616B1 (ko) 포그램프 에이밍장치
KR101181485B1 (ko) 차량용 헤드 램프
KR101498484B1 (ko) 자동차 안개등의 조사각도 조절장치 및 그 조립방법
KR102492468B1 (ko) 램프 유닛 및 램프 에이밍 장치
KR200483426Y1 (ko) 차량용 램프
KR101380254B1 (ko) 차량용 안개등의 방향 조절장치
CN102442243A (zh) 新型汽车前组合灯
KR101987297B1 (ko) 차량용 램프의 에이밍 장치
CN205155796U (zh) 汽车灯
KR20030049787A (ko) 자동차용 4등식 헤드램프의 구조
KR200480824Y1 (ko) 차량용 램프의 에이밍 장치
CN205716867U (zh) 一种可调整角度的led车灯
DE202014005684U1 (de) Fahrzeugscheinwerferlampe mit Abblendlicht-Fernlicht-Konstruktion
KR200493836Y1 (ko) 차량용 램프
KR102317238B1 (ko) 자동차의 조명 장치
KR102328408B1 (ko) 헤드램프의 에이밍 장치
KR101827729B1 (ko) 차량용 램프의 에이밍 장치
CN106439734A (zh) 灯具反光罩高效率照明结构
KR102370905B1 (ko) 헤드 램프의 에이밍 장치 및 에이밍 방법
DE102006019287A1 (de) Kraftfahrzeugscheinwerfer
KR102363786B1 (ko) 헤드램프의 에이밍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