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00566A - 텍스트 입력에 따른 실시간 이미지 출력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텍스트 입력에 따른 실시간 이미지 출력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00566A
KR20150000566A KR1020130072735A KR20130072735A KR20150000566A KR 20150000566 A KR20150000566 A KR 20150000566A KR 1020130072735 A KR1020130072735 A KR 1020130072735A KR 20130072735 A KR20130072735 A KR 20130072735A KR 20150000566 A KR20150000566 A KR 2015000056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xt
image
image corresponding
status information
unit tex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727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81229B1 (ko
Inventor
김재영
이형수
권기구
이수인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to KR10201300727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81229B1/ko
Priority to US14/295,244 priority patent/US20140379328A1/en
Publication of KR201500005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005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812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812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40/00Handling natural language data
    • G06F40/20Natural language analysis
    • G06F40/274Converting codes to words; Guess-ahead of partial word inpu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rocessing Or Creating Images (AREA)

Abstract

텍스트 입력에 따른 실시간 이미지 출력 장치 및 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실시간 이미지 출력 장치는, 입력되는 텍스트에서 단위 텍스트를 추출하는 텍스트 수신부; 상기 단위 텍스트에 대한 구문분석을 통해 상기 단위 텍스트에 상응하는 상태 정보를 생성하는 구문 분석부; 레퍼런스 데이터베이스를 검색하여 상기 상태 정보에 상응하는 이미지를 생성하는 텍스트 레퍼런스 DB 매칭부; 이전 단위 텍스트에 상응하는 이미지에 대한 변경 필요여부를 판단하는 변경 필요여부 판단부; 및 상기 변경 필요여부에 따라 상기 상태 정보에 상응하는 이미지 및 상기 이전 단위 텍스트에 상응하는 이미지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이용하여 출력 이미지를 생성하는 출력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텍스트 입력에 따른 실시간 이미지 출력 장치 및 방법 {APPARATUS AND METHOD FOR OUTPUTTING IMAGE ACCORDING TO TEXT INPUT IN REAL TIME}
본 발명은 텍스트에 매칭되는 이미지를 출력하는 기술에 관한 것으로, 특히 입력되는 텍스트에 따라 그림이나 애니메이션 등의 이미지를 화면에 출력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통신 기술의 발달과 휴대용 단말기의 기능 향상에 힘입어, 사용자 간의 짧은 메시지를 주고 받을 수 있는 단문 메시지 서비스(SMS; Short Message Service)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
근래 들어서는 음성 통화에 비하여 비교적 저렴하다는 장점 때문에 음성 통화 기능보다도 단문 메시지 서비스를 더 선호하는 경향이 있고, 단순한 텍스트 기반 데이터에서 벗어나 동영상, 사진, 음악파일 등이 부가된 메시지 서비스인 멀티미디어 메시지 서비스(MMS; Multimedia Message System)는 단문 메시지 서비스의 장점과 이메일 서비스의 장점을 결합한 대표적인 유무선통합 서비스로 국내뿐만 아니라 해외에서도 휴대용 단말기 사용자의 사용 빈도가 높다.
기존의 텍스트 메시지 발신자의 감정, 기분 등의 상태를 표현하기 위한 방법은 멀티미디어 메시지를 이용하여 동적인 메시지를 보내는 경우와 휴대용 단말기 등에서 제공되는 특수 문자를 조합하여 작성한 이모티콘(emoticon)을 이용한 방법이었다. 이러한 이모티콘은 누구나 보면 이해할 수 있고 사용자의 미묘한 감정을 표현하기에 용이하다는 점에서 사이버 공간에서 널리 이용되고 있고, 채팅 서비스 사용자를 중심으로 다양한 표정이 개발되어, 이동통신 단말기에 다양한 이모티콘이 저장되기에 이르렀다.
그러나, 이와 같은 방법은 텍스트 기반 데이터를 송신하는 사용자의 다양한 감정을 정확히 표현하기 어렵고, 의미 단위의 텍스트 입력이 완료된 이후에나 이모티콘 등을 이용한 감정 표현이 가능하다.
관련 선행기술로는 한국공개특허 제2011-0110391호가 있다. 한국공개특허 제2011-0110391호에는 마이크로블로그 텍스트로부터 감정상태를 추출하고, 아바타 표정과 맵핑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 선행기술도 의미 단위의 텍스트 입력이 완료된 이후에나 아바타를 통한 감정 표현이 가능하다.
따라서, 텍스트가 입력되는 도중에 적절히 사용자의 감정상태를 표현할 수 있는 새로운 텍스트 입력에 따른 실시간 이미지 출력 기술의 필요성이 절실하게 대두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텍스트의 입력 및 변경에 따라 실시간적으로 중간 상태의 그림 또는 애니메이션을 계속적으로 출력하여 텍스트 입력 완료시까지의 지루함을 없애고, 중간 그림 또는 애니메이션을 이용하여 보다 완성도가 높은 이미지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이미 표시된 이미지와 이후 입력된 텍스트에 상응하는 구문 분석 결과에 기반하여 적절히 이미지의 변경, 추가 및 삭제 여부를 결정하여 효과적인 실시간 이미지 표시를 통해 다양한 감정이나 행동 표현 등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실시간 이미지 출력 장치는, 입력되는 텍스트에서 단위 텍스트를 추출하는 텍스트 수신부; 상기 단위 텍스트에 대한 구문분석을 통해 상기 단위 텍스트에 상응하는 상태 정보를 생성하는 구문 분석부; 레퍼런스 데이터베이스를 검색하여 상기 상태 정보에 상응하는 이미지를 생성하는 텍스트 레퍼런스 DB 매칭부; 이전 단위 텍스트에 상응하는 이미지에 대한 변경 필요여부를 판단하는 변경 필요여부 판단부; 및 상기 변경 필요여부에 따라 상기 상태 정보에 상응하는 이미지 및 상기 이전 단위 텍스트에 상응하는 이미지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이용하여 출력 이미지를 생성하는 출력부를 포함한다.
이 때, 텍스트 수신부는 상기 텍스트의 입력이 계속되는 중에 지속적으로 상기 단위 텍스트를 추출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이미지 및 상기 출력 이미지는 각각 그림 및 애니메이션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이 때, 상기 변경 필요여부 판단부는 상기 이전 단위 텍스트에 상응하는 이미지를 수정할지 여부, 상기 이전 단위 텍스트에 상응하는 이미지에 상기 상태 정보에 상응하는 이미지를 추가할지 여부, 및 상기 이전 단위 텍스트에 상응하는 이미지를 삭제할지 여부 중 어느 하나 이상을 결정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변경 필요여부 판단부는 상기 단위 텍스트에 상응하는 상태 정보 및 이전 단위 텍스트에 상응하는 상태 정보 사이의 관계에 따라, 상기 이전 단위 텍스트에 상응하는 이미지를 수정할지 여부, 상기 이전 단위 텍스트에 상응하는 이미지에 상기 상태 정보에 상응하는 이미지를 추가할지 여부, 및 상기 이전 단위 텍스트에 상응하는 이미지를 삭제할지 여부 중 어느 하나 이상을 결정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변경 필요여부 판단부는 상기 단위 텍스트에 상응하는 상태 정보 및 상기 이전 단위 텍스트에 상응하는 상태 정보 사이의 관련도가 기설정된 값보다 크면, 상기 이전 단위 텍스트에 상응하는 이미지의 수정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관련도가 상기 기설정된 값보다 작으면, 상기 이전 단위 텍스트에 상응하는 이미지에 상기 상태 정보에 상응하는 이미지의 추가가 필요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변경 필요여부 판단부는 복수개의 이미지들이 표시되어 있는 상태에서, 상기 관련도가 기설정된 하한보다 작으면, 복수개의 이미지들 중 상기 관련도가 가장 작은 이미지가 삭제되도록 할 수 있다.
이 때, 출력 이미지는 상기 상태 정보에 상응하는 이미지를 그대로 포함하거나, 상기 상태 정보에 상응하는 이미지를 이용하여 생성된 이미지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실시간 이미지 출력 방법은, 입력되는 텍스트에서 단위 텍스트를 추출하는 단계; 상기 단위 텍스트에 대한 구문분석을 통해 상기 단위 텍스트에 상응하는 상태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레퍼런스 데이터베이스를 검색하여 상기 상태 정보에 상응하는 이미지를 생성하는 단계; 이전 단위 텍스트에 상응하는 이미지에 대한 변경 필요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변경 필요여부에 따라 상기 상태 정보에 상응하는 이미지 및 상기 이전 단위 텍스트에 상응하는 이미지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이용하여 출력 이미지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텍스트의 입력 및 변경에 따라 실시간적으로 중간 상태의 그림 또는 애니메이션을 계속적으로 출력하여 텍스트 입력 완료시까지의 지루함을 없애고, 중간 그림 또는 애니메이션을 이용하여 보다 완성도가 높은 이미지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이미 표시된 이미지와 이후 입력된 텍스트에 상응하는 구문 분석 결과에 기반하여 적절히 이미지의 변경, 추가 및 삭제 여부를 결정하여 효과적인 실시간 이미지 표시를 통해 다양한 감정이나 행동 표현 등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실시간 이미지 출력 장치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변경 필요여부 판단부의 일 예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실시간 이미지 출력 방법을 나타낸 동작 흐름도이다.
도 4는 텍스트 입력 중 실시간 이미지 출력 화면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텍스트 입력 중 실시간 이미지 출력 화면의 다른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여기서, 반복되는 설명,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당 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실시간 이미지 출력 장치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실시간 이미지 출력 장치는 텍스트 수신부(110), 텍스트 저장부(120), 구문 분석부(130), 텍스트 레퍼런스 DB 매칭부(140), 레퍼런스 데이터베이스(150), 변경 필요여부 판단부(160) 및 출력부(170)를 포함한다.
텍스트 수신부(110)는 입력되는 텍스트에서 단위 텍스트를 추출한다. 이 때, 단위 텍스트는 스페이스(space)나 엔터(enter), 탭(tab), 입력 종료 문자 등의 단어 구분자에 의해 분할된 텍스트일 수 있다. 이 때, 텍스트 수신부(110)는 텍스트의 입력이 계속되는 중에 지속적으로 단위 텍스트를 추출할 수 있다. 즉, 텍스트 입력이 계속됨에 따라 텍스트 수신부(110)는 점점 더 많은 단위 텍스트를 추출하게 된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텍스트 입력 창에 텍스트 입력을 시작하고, 텍스트를 입력하다가 스페이스 문자를 입력하면 텍스트 수신부(110)는 단위 텍스트를 추출하고, 사용자가 계속해서 텍스트를 입력하다가 엔터 문자를 입력하면 텍스트 수신부(120)는 다음 단위 텍스트를 추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텍스트 수신부(110)는 사용자가 텍스트를 입력하는 도중에 실시간으로 단위 텍스트를 추출할 수 있다.
텍스트 저장부(120)는 텍스트 수신부(110)에서 추출된 단위 텍스트들을 저장한다.
구문 분석부(130)는 단위 텍스트에 대한 구문분석을 통해 단위 텍스트에 상응하는 상태 정보를 생성한다.
이 때, 상태 정보는 텍스트를 입력하는 사용자의 감정 상태 정보 또는 동작 상태 정보일 수 있다. 이 때, 구문 분석부(130)는 감정이나 상태의 주체에 해당하는 객체 및 객체의 감정이나 동작 등의 상태를 추출할 수 있다.
구문 분석부(130)가 구문 분석을 통해 단위 텍스트에 상응하는 상태 정보를 생성하는 구체적인 동작은 한국공개특허 2004-0028038등 당해 기술분야에 알려진 다양한 기술이 사용될 수 있다.
텍스트 레퍼런스 DB 매칭부(140)는 레퍼런스 데이터베이스(150)를 검색하여 상기 상태 정보에 상응하는 이미지를 생성한다.
이 때, 이미지는 그림 또는 애니메이션일 수 있다.
레퍼런스 데이터베이스(150)는 다양한 사용자의 상태들에 상응하는 그림들이 저장된 그림 라이브러리 데이터베이스(151) 및 다양한 사용자의 상태들에 상응하는 애니메이션들이 저장된 애니메이션 라이브러리 데이터베이스(153)를 포함할 수 있다.
텍스트 레퍼런스 DB 매칭부(140)가 상태 정보와 데이터베이스 상의 그림이나 애니메이션을 매칭시키는 구체적인 동작도 당해 기술분야에 알려진 패턴 매칭 등의 다양한 기술이 사용될 수 있다.
변경 필요여부 판단부(160)는 이전 단위 텍스트에 상응하는 이미지에 대한 변경 필요 여부를 판단한다.
즉, 변경 필요여부 판단부(160)는 텍스트 입력이 계속됨에 따라 표시장치를 통해 사용자에게 이미 표시되어 있는 이미지에 대하여 추가나 변경 또는 삭제가 필요한지 여부를 판단하여, 지속적으로 입력되는 텍스트에 대한 이미지의 실시간 업데이트가 가능하도록 한다.
예를 들어, 이전 단위 텍스트에 상응하는 이미지와 해당 단위 텍스트에 대해 구문 분석한 결과에 해당하는 이미지가 동일하다면 변경 필요여부 판단부(160)는 이미 표시되어 있는 이미지에 대한 변경이 필요 없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전 단위 텍스트에 상응하는 이미지와 해당 단위 텍스트에 구문 분석한 결과에 해당하는 이미지가 상이하다면, 이 두 이미지 사이의 관계성에 기초하여 이미 표시되어 있는 이미지를 대체하거나, 이미 표시되어 있는 이미지에 새로운 이미지를 추가할 수 있다.
이 때, 변경 필요여부 판단부(160)는 상기 이전 단위 텍스트에 상응하는 이미지를 수정할지 여부, 상기 이전 단위 텍스트에 상응하는 이미지에 상기 상태 정보에 상응하는 이미지를 추가할지 여부, 및 상기 이전 단위 텍스트에 상응하는 이미지를 삭제할지 여부 중 어느 하나 이상을 결정할 수 있다.
이 때, 변경 필요여부 판단부(160)는 상기 단위 텍스트에 상응하는 상태 정보 및 이전 단위 텍스트에 상응하는 상태 정보 사이의 관계에 따라, 상기 이전 단위 텍스트에 상응하는 이미지를 수정할지 여부, 상기 이전 단위 텍스트에 상응하는 이미지에 상기 상태 정보에 상응하는 이미지를 추가할지 여부, 및 상기 이전 단위 텍스트에 상응하는 이미지를 삭제할지 여부 중 어느 하나 이상을 결정할 수 있다.
이 때, 변경 필요여부 판단부(160)는 상기 단위 텍스트에 상응하는 상태 정보 및 상기 이전 단위 텍스트에 상응하는 상태 정보 사이의 관련도가 기설정된 값보다 크면, 상기 이전 단위 텍스트에 상응하는 이미지의 수정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관련도가 상기 기설정된 값보다 작으면, 상기 이전 단위 텍스트에 상응하는 이미지에 상기 상태 정보에 상응하는 이미지의 추가가 필요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관련도는 단위 텍스트들에 대하여 미리 산출되어 레퍼런스 데이터베이스(150)에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즉, 해당 단위 텍스트에 대한 구문분석 결과에 해당하는 상태가 이전의 상태와 관련도가 높은 경우라면 이미 표시된 이미지에 새로운 이미지를 추가하는 것보다는 이미 표시된 이미지를 새로운 이미지로 대체하는 것과 같은 이미지의 수정이 필요하다고 보아야 할 것이다. 또한, 해당 단위 텍스트에 대한 구문분석 결과에 해당하는 상태가 이전의 상태와 관련도가 낮은 경우라면 이미 표시된 이미지를 수정하는 것보다는 새로운 이미지와 이전 이미지를 함께 표시하는 것이 정보 손실을 방지하는 방안일 것이다.
이 때, 변경 필요여부 판단부(160)는 복수개의 이미지들이 표시되어 있는 상태에서, 상기 관련도가 기설정된 하한보다 작으면, 복수개의 이미지들 중 상기 관련도가 가장 작은 이미지가 삭제되도록 할 수 있다.
즉, 새로 추가되는 이미지와 기존에 표시된 이미지 사이의 관련도가 높지 않은 경우라면 상태가 크게 변하여 이전 정보는 필요 없고, 새로운 정보가 중요해졌을 가능성이 높으므로 이전에 표시된 이미지들 중 관련도가 가장 낮은 이미지를 삭제해도 객체의 상태를 표현하는데 크게 문제가 없을 것이다.
출력부(170)는 상기 변경 필요여부에 따라 상기 상태 정보에 상응하는 이미지 및 상기 이전 단위 텍스트에 상응하는 이미지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이용하여 출력 이미지를 생성한다.
이 때, 출력 이미지는 상기 상태 정보에 상응하는 이미지를 그대로 포함하거나, 상기 상태 정보에 상응하는 이미지를 이용하여 생성된 이미지일 수 있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변경 필요여부 판단부의 일 예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도 1에 도시된 변경 필요여부 판단부(160)는 추가 필요여부 판단부(210), 수정 필요여부 판단부(220) 및 변환 필요여부 판단부(230)를 포함한다.
추가 필요여부 판단부(210)는 이전 단위 텍스트에 상응하는 이미지에 현재의 상태 정보에 상응하는 이미지를 추가할지 여부를 판단한다.
수정 필요여부 판단부(220)는 이전 단위 텍스트에 상응하는 이미지를 수정할지 여부를 판단한다.
변환 필요여부 판단부(230)는 이전에 표시된 이미지를 삭제하거나 이미지 형식을 변환할지 여부를 판단한다. 즉, 변환 필요여부 판단부(230)는 이전에 표시된 복수의 이미지들 중 일부를 삭제하거나, 이전에 그림이 표시되어 있는 상황에서 애니메이션이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실시간 이미지 출력 방법을 나타낸 동작 흐름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실시간 이미지 출력 방법은, 입력 장치를 통해 텍스트 입력을 수신한다(S310).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실시간 이미지 출력 방법은, 입력되는 텍스트에서 단어 구분자를 추출하여 단위 텍스트 입력이 완료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320).
단계(S320)의 판단 결과 단위 텍스트 입력이 완료되지 아니한 것으로 판단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실시간 이미지 출력 방법은 단계(S310)로 돌아가서 텍스트 입력을 수신한다.
단계(S320)의 판단 결과 단위 텍스트 입력이 완료된 것으로 판단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실시간 이미지 출력 방법은 단위 텍스트를 추출하여 저장한다(S330).
이 때, 단계(S330)는 텍스트의 입력이 계속되는 중에 지속적으로 상기 단위 텍스트를 추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실시간 이미지 출력 방법은 추출된 단위 텍스트에 대한 구문분석을 수행한다(S340).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실시간 이미지 출력 방법은 구문분석의 결과를 이용하여 상기 단위 텍스트에 상응하는 상태 정보를 추출한다(S350).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실시간 이미지 출력 방법은 레퍼런스 데이터베이스를 검색하여 상기 상태 정보에 상응하는 이미지를 생성한다(S360).
이 때, 이미지는 그림 및 애니메이션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실시간 이미지 출력 방법은 이전 단위 텍스트에 상응하는 이미지에 대한 변경 필요여부를 판단한다(S370).
이 때, 이전 단위 텍스트에 상응하는 이미지는 그림 및 애니메이션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이 때, 단계(S370)는 상기 이전 단위 텍스트에 상응하는 이미지를 수정할지 여부, 상기 이전 단위 텍스트에 상응하는 이미지에 상기 상태 정보에 상응하는 이미지를 추가할지 여부, 및 상기 이전 단위 텍스트에 상응하는 이미지를 삭제할지 여부 중 어느 하나 이상을 결정할 수 있다.
이 때, 단계(S370)는 상기 단위 텍스트에 상응하는 상태 정보 및 이전 단위 텍스트에 상응하는 상태 정보 사이의 관계에 따라, 상기 이전 단위 텍스트에 상응하는 이미지를 수정할지 여부, 상기 이전 단위 텍스트에 상응하는 이미지에 상기 상태 정보에 상응하는 이미지를 추가할지 여부, 및 상기 이전 단위 텍스트에 상응하는 이미지를 삭제할지 여부 중 어느 하나 이상을 결정할 수 있다.
이 때, 단계(S370)는 상기 단위 텍스트에 상응하는 상태 정보 및 상기 이전 단위 텍스트에 상응하는 상태 정보 사이의 관련도가 기설정된 값보다 크면, 상기 이전 단위 텍스트에 상응하는 이미지의 수정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관련도가 상기 기설정된 값보다 작으면, 상기 이전 단위 텍스트에 상응하는 이미지에 상기 상태 정보에 상응하는 이미지의 추가가 필요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 때, 단계(S370)는 복수개의 이미지들이 표시되어 있는 상태에서, 상기 관련도가 기설정된 하한보다 작으면, 복수개의 이미지들 중 상기 관련도가 가장 작은 이미지가 삭제되도록 할 수 있다.
단계(S370)의 판단 결과 변경이 필요 없는 것으로 판단되면, 이전 단위 텍스트에 상응하는 이미지를 출력 이미지로 하여 출력 이미지를 출력한다(S380).
단계(S370)의 판단 결과 변경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되면, 이전 단위 텍스트에 상응하는 이미지에 대한 변경 프로세스를 수행하여 변경 이미지를 생성하고(S371), 변경 이미지를 출력 이미지로 하여 출력 이미지를 출력한다(S380).
이 때, 변경 프로세스는 이미지의 수정, 추가, 삭제 또는 변환일 수 있다.
이 때, 출력 이미지는 상기 상태 정보에 상응하는 이미지를 그대로 포함하거나, 상기 상태 정보에 상응하는 이미지를 이용하여 생성된 이미지일 수 있다.
단계(S380)에서 이미지 출력이 완료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실시간 이미지 출력 방법은, 최종 입력 문자가 종료문자인지 확인하는 방식 등으로 텍스트 입력이 종료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390).
단계(S390)의 판단 결과 텍스트 입력이 종료되지 아니한 것으로 판단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실시간 이미지 출력 방법은 단계(S310)로 돌아가서 텍스트 입력을 수신한다.
단계(S390)의 판단 결과 텍스트 입력이 종료된 것으로 판단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실시간 이미지 출력 방법은 동작을 종료한다.
도 4는 텍스트 입력 중 실시간 이미지 출력 화면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텍스트 입력창에 "My father i"까지의 텍스트 문자열이 입력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My" 입력 이후에 스페이스 문자 " "이 입력되므로 "My"가 단위 텍스트로 추출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예에서 "My"에 해당하는 상태 정보는 생성되지 아니하여 "My"에 해당하는 이미지는 표시되지 않는다.
이후, "father" 입력 이후에 스페이스 문자 " "이 입력되므로 "father"가 단위 텍스트로 추출될 수 있다. 이 때, "father"는 구문 분석을 통해 그림 라이브러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이미지 중 하나와 매칭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이미지로 표시되지 않은 단위 텍스트인 "My"와 "father"가 합쳐진 "My father"가 도 4에 도시된 이미지와 매칭될 수도 있다.
텍스트가 계속하여 입력되는 중이므로 커서들(410, 420)은 계속 텍스트 입력창에 표시된다.
도 5는 텍스트 입력 중 실시간 이미지 출력 화면의 다른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도 4에 도시된 상태에서 텍스트 입력창에 텍스트가 추가로 입력되어 "My father is angry"까지의 텍스트 문자열이 입력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도 4를 통해 설명한 바와 같은 단위 텍스트 추출 프로세스를 통해 "is" 및 "angry"가 단위 텍스트로 추출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예에서 "is"에 해당하는 상태 정보는 생성되지 아니하여 "is"에 해당하는 이미지는 표시되지 않는다.
이후, "angry" 입력 이후에 스페이스 문자 " "이 입력되므로 "angry"가 단위 텍스트로 추출될 수 있다. 이 때, "angry"는 구문 분석을 통해 그림 라이브러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이미지 중 하나와 매칭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이미지로 표시되지 않은 단위 텍스트인 "is"와 "angry"가 합쳐진 "is angry"가 도 5에 도시된 이미지와 매칭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특정 단위 텍스트에 매칭되는 그림(도 5의 "angry"에 해당하는 그림)이 생성되면, 텍스트 입력 과정에서 이미 표시되었던 그림(도 4의 "father" 에 해당하는 그림)과의 관계성(해당 그림들에 상응하는 상태들 사이의 관계성)을 고려하여 이미 표시되었던 그림을 수정할지, 삭제할지 또는 이미 표시되었던 그림에 새로운 그림을 추가할지 여부를 판단한다.
"father" 및 "angry"는 상충되는 단어도 아니고 관련성이 낮지 않은 것으로 볼 수 있으므로,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예에서는 이미 표시되었던 그림이 새로운 그림으로 대체(수정)된 것을 알 수 있다.
상태 정보는 객체 정보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예에서 "father"에 해당하는 상태 정보는 아버지라는 객체에 상응하는 것일 수도 있다.
텍스트가 계속하여 입력되는 중이므로 커서들(510, 520)은 계속 텍스트 입력창에 표시된다.
그러나, 만약 도 4에 도시된 예에서 "full"에 해당하는 그림이 표시되고, 이후 입력된 텍스트가 "empty"였다면, 두 단어는 상충되는 단어이고 앞에 표시된 그림을 뒤의 그림으로 대체하는 것 보다는 "full"에 해당하는 그림과 "empty"에 해당하는 그림을 모두 표시하는 것이 합리적일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는 "father" 및 "angry"도 관련성이 낮은 것으로 보고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것과는 달리 "father"에 해당하는 그림에 "angry"에 해당하는 그림이 추가되어 표시될 수도 있다. 즉, 변경 필요여부 판단에 필요한 관련도 값은 어플리케이션이나 환경에 따라 각기 달리 설정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텍스트 입력 상태에서 사용자가 백스페이스 키를 이용하여 "angry"를 삭제하여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텍스트 입력 상태가 되면 표시되는 그림은 도 5에 도시된 그림에서 다시 도 4에 도시된 그림으로 변경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텍스트 입력에 따른 실시간 이미지 출력 장치 및 방법은 상기한 바와 같이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110: 텍스트 수신부
120: 텍스트 저장부
130: 구문 분석부
140: 텍스트 레퍼런스 DB 매칭부
150: 레퍼런스 데이터베이스
151: 그림 라이브러리 데이터베이스
153: 애니메이션 라이브러리 데이터베이스
160: 변경 필요여부 판단부
170: 출력부

Claims (16)

  1. 입력되는 텍스트에서 단위 텍스트를 추출하는 텍스트 수신부;
    상기 단위 텍스트에 대한 구문분석을 통해 상기 단위 텍스트에 상응하는 상태 정보를 생성하는 구문 분석부;
    레퍼런스 데이터베이스를 검색하여 상기 상태 정보에 상응하는 이미지를 생성하는 텍스트 레퍼런스 DB 매칭부;
    이전 단위 텍스트에 상응하는 이미지에 대한 변경 필요여부를 판단하는 변경 필요여부 판단부; 및
    상기 변경 필요여부에 따라 상기 상태 정보에 상응하는 이미지 및 상기 이전 단위 텍스트에 상응하는 이미지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이용하여 출력 이미지를 생성하는 출력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시간 이미지 출력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텍스트 수신부는
    상기 텍스트의 입력이 계속되는 중에 지속적으로 상기 단위 텍스트를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시간 이미지 출력 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 및 상기 출력 이미지는 각각
    그림 및 애니메이션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시간 이미지 출력 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변경 필요여부 판단부는
    상기 이전 단위 텍스트에 상응하는 이미지를 수정할지 여부,
    상기 이전 단위 텍스트에 상응하는 이미지에 상기 상태 정보에 상응하는 이미지를 추가할지 여부, 및
    상기 이전 단위 텍스트에 상응하는 이미지를 삭제할지 여부 중 어느 하나 이상을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시간 이미지 출력 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변경 필요여부 판단부는
    상기 단위 텍스트에 상응하는 상태 정보 및 이전 단위 텍스트에 상응하는 상태 정보 사이의 관계에 따라,
    상기 이전 단위 텍스트에 상응하는 이미지를 수정할지 여부,
    상기 이전 단위 텍스트에 상응하는 이미지에 상기 상태 정보에 상응하는 이미지를 추가할지 여부, 및
    상기 이전 단위 텍스트에 상응하는 이미지를 삭제할지 여부 중 어느 하나 이상을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시간 이미지 출력 장치.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변경 필요여부 판단부는
    상기 단위 텍스트에 상응하는 상태 정보 및 상기 이전 단위 텍스트에 상응하는 상태 정보 사이의 관련도가 기설정된 값보다 크면, 상기 이전 단위 텍스트에 상응하는 이미지의 수정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관련도가 상기 기설정된 값보다 작으면, 상기 이전 단위 텍스트에 상응하는 이미지에 상기 상태 정보에 상응하는 이미지의 추가가 필요한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시간 이미지 출력 장치.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변경 필요여부 판단부는
    복수개의 이미지들이 표시되어 있는 상태에서, 상기 관련도가 기설정된 하한보다 작으면, 복수개의 이미지들 중 상기 관련도가 가장 작은 이미지가 삭제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시간 이미지 출력 장치.
  8.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출력 이미지는
    상기 상태 정보에 상응하는 이미지를 그대로 포함하거나, 상기 상태 정보에 상응하는 이미지를 이용하여 생성된 이미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시간 이미지 출력 장치.
  9. 입력되는 텍스트에서 단위 텍스트를 추출하는 단계;
    상기 단위 텍스트에 대한 구문분석을 통해 상기 단위 텍스트에 상응하는 상태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레퍼런스 데이터베이스를 검색하여 상기 상태 정보에 상응하는 이미지를 생성하는 단계;
    이전 단위 텍스트에 상응하는 이미지에 대한 변경 필요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변경 필요여부에 따라 상기 상태 정보에 상응하는 이미지 및 상기 이전 단위 텍스트에 상응하는 이미지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이용하여 출력 이미지를 생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시간 이미지 출력 방법.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단위 텍스트를 추출하는 단계는
    상기 텍스트의 입력이 계속되는 중에 지속적으로 상기 단위 텍스트를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시간 이미지 출력 방법.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 및 상기 출력 이미지는 각각
    그림 및 애니메이션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시간 이미지 출력 방법.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변경 필요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이전 단위 텍스트에 상응하는 이미지를 수정할지 여부,
    상기 이전 단위 텍스트에 상응하는 이미지에 상기 상태 정보에 상응하는 이미지를 추가할지 여부, 및
    상기 이전 단위 텍스트에 상응하는 이미지를 삭제할지 여부 중 어느 하나 이상을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시간 이미지 출력 방법.
  13.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변경 필요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단위 텍스트에 상응하는 상태 정보 및 이전 단위 텍스트에 상응하는 상태 정보 사이의 관계에 따라,
    상기 이전 단위 텍스트에 상응하는 이미지를 수정할지 여부,
    상기 이전 단위 텍스트에 상응하는 이미지에 상기 상태 정보에 상응하는 이미지를 추가할지 여부, 및
    상기 이전 단위 텍스트에 상응하는 이미지를 삭제할지 여부 중 어느 하나 이상을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시간 이미지 출력 방법.
  14.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변경 필요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단위 텍스트에 상응하는 상태 정보 및 상기 이전 단위 텍스트에 상응하는 상태 정보 사이의 관련도가 기설정된 값보다 크면, 상기 이전 단위 텍스트에 상응하는 이미지의 수정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관련도가 상기 기설정된 값보다 작으면, 상기 이전 단위 텍스트에 상응하는 이미지에 상기 상태 정보에 상응하는 이미지의 추가가 필요한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시간 이미지 출력 방법.
  15.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변경 필요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는
    복수개의 이미지들이 표시되어 있는 상태에서, 상기 관련도가 기설정된 하한보다 작으면, 복수개의 이미지들 중 상기 관련도가 가장 작은 이미지가 삭제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시간 이미지 출력 방법.
  16.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출력 이미지는
    상기 상태 정보에 상응하는 이미지를 그대로 포함하거나, 상기 상태 정보에 상응하는 이미지를 이용하여 생성된 이미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시간 이미지 출력 방법.
KR1020130072735A 2013-06-24 2013-06-24 텍스트 입력에 따른 실시간 이미지 출력 장치 및 방법 KR1020812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72735A KR102081229B1 (ko) 2013-06-24 2013-06-24 텍스트 입력에 따른 실시간 이미지 출력 장치 및 방법
US14/295,244 US20140379328A1 (en) 2013-06-24 2014-06-03 Apparatus and method for outputting image according to text input in real ti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72735A KR102081229B1 (ko) 2013-06-24 2013-06-24 텍스트 입력에 따른 실시간 이미지 출력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0566A true KR20150000566A (ko) 2015-01-05
KR102081229B1 KR102081229B1 (ko) 2020-02-26

Family

ID=521116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72735A KR102081229B1 (ko) 2013-06-24 2013-06-24 텍스트 입력에 따른 실시간 이미지 출력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140379328A1 (ko)
KR (1) KR102081229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08011A (ko) 2017-07-14 2019-01-23 한국항공우주산업 주식회사 블라스팅 장치
KR20200059993A (ko) * 2018-11-22 2020-05-29 주식회사 데이터코볼트 웹툰 제작을 위한 콘티를 생성하는 장치 및 방법
KR102293166B1 (ko) * 2021-02-19 2021-08-25 동서대학교 산학협력단 영화 콘티 자동화 작성방법
KR20220059288A (ko) * 2020-11-02 2022-05-10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지식 증류 기반의 멀티모달 매핑 정보를 활용한 이미지 생성 기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051074B2 (en) * 2010-03-29 2018-08-14 Samsung Electronics Co, Ltd. Techniques for managing devices not directly accessible to device management server
US9460473B2 (en) * 2012-06-26 2016-10-04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Content-sensitive notification icons
US11573679B2 (en) * 2018-04-30 2023-02-07 The Trustees of the California State University Integration of user emotions for a smartphone or other communication device environment
US11818286B2 (en) * 2020-03-30 2023-11-14 Snap Inc. Avatar recommendation and reply
US11625873B2 (en) * 2020-03-30 2023-04-11 Snap Inc. Personalized media overlay recommendation
KR20220120082A (ko) 2021-02-23 2022-08-30 부산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Gan을 활용한 인공지능 기반의 이미지 시안 생성 시스템 및 방법
KR102597074B1 (ko) 2023-05-19 2023-11-01 주식회사 툰스퀘어 (Toonsquare) 사용자의 입력 문장에 대응되는 3d 이미지를 생성하는 이미지 생성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64310A (ko) * 2003-01-10 2004-07-19 윤재민 이미지 채팅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50103130A (ko) * 2004-04-23 2005-10-27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단말기의 상태 정보 표시방법
KR20060125333A (ko) * 2005-06-02 2006-12-06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단문 메시지를 멀티미디어 메시지로 변환 및 전송하는방법과 이를 수행하는 문자 이미지 변환서버
KR20080020714A (ko) * 2006-08-24 2008-03-06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통신단말기에서 감정상태를 전송하는 방법
KR20110010520A (ko) * 2009-07-24 2011-02-01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아바타를 이용한 메시지 교환 시스템, 관리서버, 단말 및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697960B2 (en) * 2004-04-23 2010-04-13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for displaying status information on a mobile terminal
US20080096533A1 (en) * 2006-10-24 2008-04-24 Kallideas Spa Virtual Assistant With Real-Time Emotions
TW200919203A (en) * 2007-07-11 2009-05-01 Ibm Method, system and program product for assigning a responder to a requester in a collaborative environment
US20090110246A1 (en) * 2007-10-30 2009-04-30 Stefan Olsson System and method for facial expression control of a user interface
US8694899B2 (en) * 2010-06-01 2014-04-08 Apple Inc. Avatars reflecting user states
US10398366B2 (en) * 2010-07-01 2019-09-03 Nokia Technologies Oy Responding to changes in emotional condition of a user
KR20130065846A (ko) * 2011-12-02 2013-06-20 삼성전자주식회사 사용자 감정 공유 장치 및 방법
KR20130084543A (ko) * 2012-01-17 2013-07-25 삼성전자주식회사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장치 및 방법
US20140298364A1 (en) * 2013-03-26 2014-10-02 Rawllin International Inc. Recommendations for media content based on emotion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64310A (ko) * 2003-01-10 2004-07-19 윤재민 이미지 채팅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50103130A (ko) * 2004-04-23 2005-10-27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단말기의 상태 정보 표시방법
KR20060125333A (ko) * 2005-06-02 2006-12-06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단문 메시지를 멀티미디어 메시지로 변환 및 전송하는방법과 이를 수행하는 문자 이미지 변환서버
KR20080020714A (ko) * 2006-08-24 2008-03-06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통신단말기에서 감정상태를 전송하는 방법
KR20110010520A (ko) * 2009-07-24 2011-02-01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아바타를 이용한 메시지 교환 시스템, 관리서버, 단말 및 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08011A (ko) 2017-07-14 2019-01-23 한국항공우주산업 주식회사 블라스팅 장치
KR20200059993A (ko) * 2018-11-22 2020-05-29 주식회사 데이터코볼트 웹툰 제작을 위한 콘티를 생성하는 장치 및 방법
KR20220059288A (ko) * 2020-11-02 2022-05-10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지식 증류 기반의 멀티모달 매핑 정보를 활용한 이미지 생성 기법
KR102293166B1 (ko) * 2021-02-19 2021-08-25 동서대학교 산학협력단 영화 콘티 자동화 작성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40379328A1 (en) 2014-12-25
KR102081229B1 (ko) 2020-02-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81229B1 (ko) 텍스트 입력에 따른 실시간 이미지 출력 장치 및 방법
CN106133766B (zh) 用于计算、应用和显示文档增量的系统和方法
US11050685B2 (en) Method for determining candidate input, input prompting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KR20140105841A (ko) 이모티콘들을 식별하고 제안하기 위한 방법 및 시스템
CA3061623C (en) File sending in instant messaging applications
US9824479B2 (en) Method of animating messages
CN111046135A (zh) 非结构文本处理方法、装置、计算机设备、存储介质
WO2020191828A1 (zh) 基于图的上下文关联回复生成方法、计算机及介质
CN112784112B (zh) 报文校验方法及装置
CN111831815B (zh) 问卷显示的控制方法、装置、存储介质和电子设备
WO2022142823A1 (zh) 人机对话方法、装置、计算机设备及可读存储介质
JP2023549903A (ja) マルチメディアのインタラクション方法、情報インタラクション方法、装置、機器及び媒体
CN104994000A (zh) 一种图像动态呈现的方法和装置
US20240169972A1 (en) Synchroniz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audio and text, device, and medium
CN106156262A (zh) 一种搜索信息处理方法及系统
KR20150104051A (ko) 번역 채팅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CN105988992B (zh) 图标推送方法及装置
KR101589150B1 (ko) 강조 정보를 포함하는 인스턴트 메시지를 송수신하는 서버, 단말 및 방법
US11797153B1 (en) Text-enhanced emoji icons
CN108255486B (zh) 用于表单设计的视图转换方法、装置和电子设备
CN115174506A (zh) 会话信息处理方法、装置、可读存储介质和计算机设备
CN113886748A (zh) 网页内容的编辑信息生成、信息输出方法、装置及设备
CN104135725A (zh) 一种短消息发送方法及便携式终端
JP2010102564A (ja) 感情特定装置、その方法、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CN102929859B (zh) 辅助阅读的方法及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