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47692A - 도포 설비 및 도포 방법 - Google Patents

도포 설비 및 도포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47692A
KR20140147692A KR1020140069544A KR20140069544A KR20140147692A KR 20140147692 A KR20140147692 A KR 20140147692A KR 1020140069544 A KR1020140069544 A KR 1020140069544A KR 20140069544 A KR20140069544 A KR 20140069544A KR 20140147692 A KR20140147692 A KR 2014014769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k
coating layer
ink tank
substrate
moun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695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쳉-시앙 흐수
Original Assignee
마이크로코즘 테크놀리지 씨오.,엘티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TW102121940A external-priority patent/TW201442789A/zh
Application filed by 마이크로코즘 테크놀리지 씨오.,엘티디 filed Critical 마이크로코즘 테크놀리지 씨오.,엘티디
Publication of KR201401476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4769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APPARATU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1/00Apparatus in which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is applied to the surface of the work by contact with a member carrying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e.g. a porous member loaded with a liquid to be applied as a coating
    • B05C1/04Apparatus in which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is applied to the surface of the work by contact with a member carrying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e.g. a porous member loaded with a liquid to be applied as a coating for a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work of indefinite length
    • B05C1/08Apparatus in which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is applied to the surface of the work by contact with a member carrying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e.g. a porous member loaded with a liquid to be applied as a coating for a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work of indefinite length using a roller or other rotating member which contacts the work along a generating li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APPARATU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11/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in groups B05C1/00 - B05C9/00
    • B05C11/02Apparatus for spreading or distribut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already applied to a surface ; Controlling means therefor; Control of the thickness of a coating by spreading or distribut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already applied to the coated surfa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APPARATU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11/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in groups B05C1/00 - B05C9/00
    • B05C11/11Vats or other containers for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APPARATU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3/00Apparatus in which the work is brought into contact with a bulk quantity of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 B05C3/02Apparatus in which the work is brought into contact with a bulk quantity of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he work being immersed in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 B05C3/12Apparatus in which the work is brought into contact with a bulk quantity of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he work being immersed in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for treating work of indefinite lengt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APPARATU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9/00Apparatus or plant for a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surfaces by means not covered by any preceding group, or in which the means of applying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is not important
    • B05C9/08Apparatus or plant for a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surfaces by means not covered by any preceding group, or in which the means of applying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is not important for a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and performing an auxiliary operation
    • B05C9/14Apparatus or plant for a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surfaces by means not covered by any preceding group, or in which the means of applying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is not important for a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and performing an auxiliary operation the auxiliary operation involving heating or coo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PROCESSE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1/00Processe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 B05D1/18Processe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performed by dipp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PROCESSE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3/00Pretreatment of surfaces to which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are to be applied; After-treatment of applied coatings, e.g. intermediate treating of an applied coating preparatory to subsequent applications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 B05D3/02Pretreatment of surfaces to which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are to be applied; After-treatment of applied coatings, e.g. intermediate treating of an applied coating preparatory to subsequent applications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by baking
    • B05D3/0254After-treatment

Landscapes

  • Coating Apparatus (AREA)
  • Application Of Or Painting With Fluid Materials (AREA)
  • Non-Metallic Protective Coatings For Printed Circuits (AREA)

Abstract

제조 효율이 양호하고 사용하기 좋으며 제조 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는 도포 설비 및 도포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반송 기구(2)는 기재(81)를 잉크 탱크(12)에 반입하여 2개의 설치면(811)에 잉크(7)를 피복하고, 잉크(7)가 피복된 기재(81)를 잉크 탱크(12)로부터 반출하며, 잉크(7)에 담그면서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도포 롤(22)을 포함한다. 성형 기구(3)에 의해 설치면(811)에 피복된 잉크(7)의 잉여분을 긁어낸다. 평활화 기구(4)에 의해 도포층(82)의 표면을 균일하게 정돈한다.

Description

도포 설비 및 도포 방법{COATING APPARATUS AND COATING METHOD}
본 발명은 예를 들면 가요성의 프린트 배선판(플렉서블 인쇄 회로 기판)의 제조에서 연속 주행하는 가요성 기재에 도포층을 형성하는 도포 설비 및 도포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프린트 기판은 저항기, 콘덴서 등의 전자 부품을 고정하여 배선하기 위한 것으로서 전기 제품에 널리 이용되어 있다. 플렉서블 배선 기판의 제조에 있어서, 예를 들면 포토레지스트의 도포, 패턴 노광, 현상, 에칭, 박리, 잉크 도포, 베이크 등의 다수의 공정을 거쳐야 한다. 그 중에서도, 예를 들면 잉크를 도포함으로써 절연성을 부여함과 동시에 동선을 보호할 수 있고, 한편 전자 부품을 잘못 꽂아 납땜하는 것을 방지할 수도 있다.
도 6은 종래에 이용되고 있는 도포 설비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러한 종래의 도포 설비(91)는, 잉크(99)를 모으는 잉크 탱크(911)와, 잉크 탱크(911)의 상방에 설치되는 도포 롤 유닛(912)과, 도포 롤 유닛(912) 부근에서 상반되는 2개의 설치면(971)을 갖는 기재(97)를 제조 라인을 따르는 방향인 제조 라인 방향(900)을 따라 이동시키는 반송 롤(913)을 구비하며, 기재(97)를 제조 라인 방향(900)을 따라 도포 설비(91)에 반송했을 때, 도포 롤 유닛(912)에서 잉크(99)가 기재(97)에 하나의 설치면(971)에 도포되어 도포층(98)이 형성된다.
선행 기술 문헌
[특허 문헌]
특허 문헌 1: 대만 등록 실용 신안 공보 제418024호
상기 종래의 도포 설비는, 연속 주행하는 기재(97)에 하나의 설치면(971)에 잉크(99)를 도포할 수 있지만, 필요에 따라 기재(97)의 다른 설치면(971)에도 잉크를 도포할 경우, 하나의 설치면(971)에 도포된 기재(97)를 당겨 감고 다시 제조 라인으로 이동시켜 다른 설치면(971)에 잉크(99)를 도포하기 때문에, 수고스러우며 제조 효율이 떨어지고, 사용하는데 있어 불편하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에 비추어 보아서 행해진 것이며, 제조 효율이 양호하고, 사용하기 좋으며, 제조 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는 도포 설비 및 도포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일 측면에 따르면면, 본 발명은, 제조 라인을 따르는 방향인 제조 라인 방향을 따라 보내지는 기재의 상반되는 2개의 설치면에 잉크를 도포하여 각각의 상기 설치면에 도포층이 형성되는 도포 설비에 있어서, 상기 잉크를 모으는 잉크 탱크를 획성(畵成)한 좌체를 가지는 베이스와, 상기 제조 라인 방향을 따라 상기 기재를 상기 잉크 탱크에 반입하거나 상기 잉크 탱크로부터 상기 기재를 반출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기재를 상기 잉크 탱크에 반입하여 2개의 상기 설치면에 잉크를 피복하고, 상기 잉크가 피복된 상기 기재를 상기 잉크 탱크로부터 반출하며, 상기 잉크에 담그면서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도포 롤을 가지는 반송 기구와, 상기 잉크 탱크 내의 상기 도포 롤의 상기 제조 라인의 하류에 설치되며, 상기 설치면에 피복된 상기 잉크의 잉여분을 긁어내어 상기 도포층을 형성하도록 2개의 상기 설치면을 끼어서 마주하여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복수의 긁어냄 부재를 갖는 성형 기구와, 상기 잉크 탱크 내에 상기 성형 기구의 상기 제조 라인의 하류에 설치되며, 상기 도포층에 기대어 접촉하면서 상기 도포층의 표면을 평평하게 정돈하도록 2개의 상기 설치면을끼어서 마주하여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복수의 협지 부재를 갖는 평활화 기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포 설비를 제공한다.
다른 측면에 의하면, 본 발명은 제조 라인을 따르는 방향인 제조 라인 방향을 따라 도포 설비로 보내지는 기재의 상반되는 2개의 설치면에 잉크를 도포하여 각각의 상기 설치면에 도포층을 형성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방법으로서, 상기 기재를 상기 도포 설비에서 상기 잉크를 모으는 잉크 탱크에 반입하고 상기 기재를 상기 잉크에 침적하여 상기 설치면에 상기 잉크를 피복하는 도포 단계와, 상기 잉크가 피복된 상기 기재를 상기 도포 설비의 성형 기구에 이동시켜, 상기 성형 기구의 상기 설치면을 사이에 두고 마주함과 동시에 상기 도포층에 접접(摺接) 가능하도록 마련된 긁어냄 부재에 의해 상기 설치면에 피복된 상기 잉크의 잉여분을 긁어 상기 도포층을 형성하는 성형 단계와, 상기 도포층이 형성된 상기 기재를 상기 신청 설비의 평활화 기구로 이동시켜, 상기 평활화 기구에서 상기 설치면을 사이에 두고 마주함과 동시에 상기 도포층에 접접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협지 부재에 의해 상기 도포층의 표면을 평평하게 정돈하는 평활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포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도포 설비 및 도포 방법에 의하면, 도포 롤에 의해 기재를 잉크에 침적하여 기재의 상반되는 2개의 설치면에 도포층을 형성할 수 있으므로, 기재가 제조 라인을 2회 거칠 필요가 없어진다. 따라서, 제조 시간이 짧아져, 제조 효율을 높일 수 있고, 도포 설비도 간소화할 수 있다. 또한, 성형 기구에 의해 설치면에 피복된 잉크의 잉여분을 긁어내고, 소정의 두께를 갖는 도포층을 형성할 수 있다. 더욱이, 평활화 기구에 의해 도포층의 표면을 균일하게 할 수 있으므로, 도포층의 표면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도포 설비에 일 실시의 형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면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일부를 확대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성형 기구의 평면도이다.
도 4는 평활화 기구의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도포 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6은 종래의 도포 설비의 일 예를 나타낸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형태들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한, 이하에 기재하는 바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의 일 양태에 지나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이들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 형태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도포 설비의 일 양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고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도포 설비는, 예를 들면 가요성의 프린트 배선판(FPCB)의 제조에 적용되는 것이다. 프린트 배선판의 기재(基才)(81)가 본 발명에 따른 도포 설비를 향하여 기재(81)의 길이 방향과 평행하게 연장되는 제조 라인이 연장되는 방향인 제조 라인 방향(51)을 따라 반송되면, 본 발명에 따른 도포 설비에서 기재(81)에 잉크(7)를 도포하고 여분의 잉크(7)를 긁어내는 것에 의해, 기재(81)에 도포층(82)이형성된다. 또한, 도포층(82)이 피복된 기재(81)는 제조 라인 방향(51)에서 베이크(bake) 장치(6)로 보내지고, 도포층(82)을 경화시키는 등의 작업을 실행하여 프린트 배선판이 제조된다.
가요성 기재(81)는 통상적으로 장척 형태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반(相反)되는 2개의 설치면(811)들을 갖는 것으로서, 본 발명에 사용되는 기재(81)로서는 폴리이미드 등의 공지된 고분자 필름, 유리 섬유의 포재, 또는 양면에 배선이 인쇄된 프린트 배선 기판을 이용할 수 있지만, 이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잉크(7)는 절연성의 도포층(82)을 형성하는 것으로 동선을 보호할 수 있는 것과 동시에, 전자 소자가 정확하게 납땜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잉크(7)로서는, 감 광성 수지 또는 열경화성 수지 등이 사용될 수 있고, 구체적으로는, 폴리이미드, 에폭시 수지, 폴리메타크릴산 메틸(PMMA) 등을 들 수 있지만, 이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따른 도포 설비는, 베이스(1), 반송 기구(2), 도포 기구(3), 그리고 평활화(平滑化) 기구(4)를 구비하고 있다. 베이스(1)는, 도 1과 도 4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잉크를 모으는 잉크 탱크(12)를 획성(화成)한 좌체(座體)(11)와, 잉크 탱크(12) 내에 설치면(811)의 제조 라인 방향(51)과 직각의 방향인 가로 폭 방향에 따른 폭을 비워 설치된 복수의 취부(取付)판(13)을 가진다. 좌체(11)는 외부와 잉크 탱크(12)가 연통하여 기재(81)가 외부에서 잉크 탱크(12)로 반입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유입구(inlet)(111)와, 외부와 잉크 탱크(12)가 연통하여 기재(81)가 잉크 탱크(12)로부터 외부로 반출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유출구(outlet)(112)와, 잉크 탱크(12)로부터 외부로 잉크(7)를 배출시키도록 잉크 탱크(12)의 하부에 설치되는 배출구(113)를 가진다.
또한, 사용 시, 베이스(1)에는 함께 배출구(113)에서 잉크를 흘려 보낼 것인가 아닌가를 제어하는 스위치를 갖는 밸브(14)와, 소정의 양을 유지하도록 잉크 탱크(12)에 잉크(7)를 보충하기 위하여 잉크(7)의 잉크 탱크(12) 내의 액면 높이를 검출하는 액면 위치 센서(15)가 설치되어 있다.
반송 기구(2)는 제조 라인 방향(51)을 따라 기재(81)를 잉크 탱크(12)에 반입하거나 잉크 탱크(12)로부터 기재(81)를 반출하도록 설치된다. 반송 기구(2)는, 이러한 실시의 형태에서, 좌체(11)의 상방에 설치되는 이송 롤(21)과, 잉크 탱크(12) 내에 설치되는 도포 롤(22)과, 클램프 유닛(23)을 가진다.
이송 롤(21)은 기재(81)를 유입구(111)를 통하여 잉크 탱크(12)로 반입하도록 베이스(1)의 상방에 설치되어 있다.
도포 롤(22)은 기재(81)를 잉크 탱크(12)에 반입하여 2개의 설치면(811)에 잉크(7)를 피복하고, 잉크(7)가 피복된 기재(81)를 잉크 탱크(12)로부터 반출하도록 잉크 탱크(12)에서 잉크(7)에 담그면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클램프 유닛(23)은, 기재(81)를 이동시킬 수 있도록 잉크 탱크(12) 내에 설치되어 설치면(811, 811)을 끼어서 마주보는 것과 동시에, 대응되는 설치면(811)에 기대어 회전 가능하게 접촉하도록 유입구(111) 및 도포 롤(22) 사이에 설치되는 복수의 제1 클램프 롤(231)과, 설치면(811, 811)을 끼어서 마주보는 것과 동시에, 대응되는 설치면(811)에 기대어 회전 가능하게 접촉하도록 유출구(112) 및 도포 롤(22) 사이에 설치되는 복수의 제2 클램프 롤(232)을 가진다.
성형 기구(3)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잉크 탱크(12) 내에 도포 롤(22)의 제조 라인의 하류에 설치되며, 복수의 긁어냄 부재(31)와 성형 조절 유닛(32)을 가진다.
복수의 긁어냄 부재(31)는 설치판(13)에 회전 가능하도록 2개의 설치면(811, 811)을 끼어서 마주하게 설치되어 있는 통체로서, 설치면(811)을 덮고 있는 잉크(7)에 대하여 제조 라인 방향(51)과 반대의 작용력을 주어 잉여의 잉크(7´)를 긁어내어 소정의 두께를 갖는 도포층(82)을 형성한다. 각 긁어냄 부재(31)는 설치면(811)에 도포된 잉여의 잉크(7´)를 긁어 내어 도포층(82)을 형성하도록 형성되는 긁어냄 면(311)과, 긁어진 잉여의 잉크(7´)를 이끌어 유출하도록 긁어냄 면(311)보다 우묵하게 패어져 연장되어, 예를 들면 나선 형태로 형성되는 가이드 홈(312)을 가진다.
성형 조절 유닛(32)은 도포층(82)의 두께를 조절하도록 설치면(811, 811)과 마주보는 긁어냄 부재(31)의 일방이 타방에 대하여 접근하거나 이반하도록 마주보는 긁어냄 부재(31)의 축심간의 거리(d1)를 조절 가능하게 이동되도록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실시의 형태에서는, 성형 조절 유닛(32)에서는 설치면(811, 811)과 마주보는 긁어냄 부재(31)의 일방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도록 복수의 설치판(13) 사이에 정위되어 설치되는 제1 고정 프레임(33)과, 긁어냄 부재(31)의 타방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도록 복수의 설치판(13) 사이에 가동적으로 설치된 제1 가동 프레임(34)과, 도포층(82)의 두께를 증감하여 조절하는 방향인 조절 방향(52)에 따라 제1 가동 프레임(34)을 이동시키도록 복수의 설치판(13)에 설치된 제1 이송 부재(35)를 가지며, 제1 고정 프레임(33)과 제1 가동 프레임(34)은 각각 긁어냄 부재(31)가 상반되는 측에 배치되어 있다.
제1 고정 프레임(33)은 긁어냄 면(311)에 대응하는 제1 웹부(331)와, 제1 웹부(331)의 양측으로부터 돌출되어 대응되는 설치판(13)에 연결되는 2개의 제1 플랜지부(332)를 가지며, 설치면(811, 811)과 마주보는 긁어냄 부재(31)의 일방이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제1 가동 프레임(34)은 긁어냄 면(311)에 대응하는 제2 웹부(341)와 제2 웹부(341)의 양측으로부터 돌출되어 대응하는 설치판(13) 및 제1 이송 부재(35)에 연결된 2개의 제2 플랜지부(342)를 가지며, 긁어냄 부재(31)의 타방이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성형 조절 유닛(32)의 제1 이송 부재(35)가 작동하면, 제1 가동 프레임(34)이연동하여 구동된다. 제1 가동 프레임(34)은마주하는 긁어냄 부재(31, 31)의 일방이 연동하여 조절 방향(52)에 따라 타방의 긁어냄 부재(31)에 대하여 접근하거나 이반하도록 이동한다. 이와 같이 하면, 조절 방향(52) 부근과 마주보는 긁어냄 부재(31)의 축심간의 거리(d1)를 조정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의 형태에서는, 거리(d1)가 작을 경우에는 도포층(82)이 얇고, 거리(d1)가 클 경우에는 도포층(82)이 두껍게 형성되도록 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평활화 기구(4)는 도 1, 도 2 및 도 4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기재(81)가 제조 라인 방향(51)을 따라 성형 기구(3)를 거쳐 평활화 기구(4)로 이동하도록 잉크 탱크(12) 내에 성형 기구(3)의 제조 라인의 하류에 설치된 것으로서, 도포층(7)에 기대어 접촉하면서 도포층(82)의 표면을 평평하게 갖추도록 유출구(112) 및 도포 롤(22)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평활화 기구(4)는, 이러한 실시의 형태에서는, 2개의 설치면(811, 811)을 끼어서 마주하여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복수의 협지 부재(41)와, 설치면(811)과 마주보는 협지 부재(41) 사이의 거리를 조절하도록 배치되는 거리 조절 유닛(42)을 가진다. 복수의 협지 부재(41)는 도포층(82)에 대하여 제조 라인 방향(51)과 반대의 작용력을 주도록 설치판(13)사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는 통체이다. 이에 의해, 도포층(82)의 표면을 균일하게 갖출 수 있으므로 제품의 품질을 높일 수 있다. 협지 부재(41)의 각각은 도포층(82)의 표면을 평평하게 갖추도록 도포층(82)에 기대면서 접촉하는 당접면(411)을 가진다.
거리 조절 유닛(42)은 도포층(82, 82)을 끼어서 마주하는 복수의 협지 부재(41)에서의 일방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판(13) 사이에 정위하도록 설치되는 제2 고정 프레임(43)과, 설치판(13) 사이에 가동적으로 설치됨 것과 동시에 복수의 협지 부재(41)에서의 타방이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제2 가동 프레임(44)과, 조절 방향(52)에 따라 제2 가동 프레임(44)을 이동시키도록 설치판(13)에 설치되는 제2 이송 부재(45)를 가지며, 제2 고정 프레임(43)과 제2 가동 프레임(44)은 각각 협지 부재(41)가 상반되는 측에 배치되어 있다.
제2 고정 프레임(43)은당접면(411)에 대응하는 제3 웹부(431)와, 제3 웹부(431)의 양측으로부터 돌출되어 각각 대응하는 설치판(13)에 연결된 2개의 제3 플랜지부(432)를 가지며, 설치면(811, 811)과 마주보는 협지 부재(41)의 일방이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제2 가동 프레임(44)은 당접면(411)에 대응하는 제4 웹부(441)와, 제4 웹부(441)의 양측으로부터 돌출되어 대응하는 설치판(13) 및 제2 이송 부재(45)에 연결된 2개의 제4 플랜지부(442)를 가지며, 협지 부재(41)의 타방이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거리 조절 유닛(42)의 제2 이송 부재(45)가 동작하면, 제2 가동 프레임(44)이 연동함으로써 제2 가동 프레임(44)이 조절 방향(52)에 따라 이동하고, 제2 가동 프레임(44)에 연결된 협지 부재(41)가 움직인다. 이에 의해, 타측의 협지 부재(41)가 조절 방향(52)에 따라 일측의 협지 부재(41)에 대하여 접근하거나 이반하도록 움직인다. 이와 같이 하면, 마주하는 협지 부재(41)의 축심간의 거리(d2, 도 4)를 조절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의 형태에서는, 얇은 도포층(82)이 통과할 경우에는 거리(d2)를 작게 하고, 두꺼운 도포층(82)이 통과할 경우에는 거리(d2)를 크게 조정하면, 당접면(411)이 계속적으로 통과하는 도포층(82)의 표면을 균일하게 정돈하도록 도포층(82)에 기대면서 접촉할 수 있다.
여기서, 이러한 실시의 형태에 사용되는 제1 이송 부재(35)와 제2 이송 부재(45)는 공기압 실린더이지만, 유압 실린더 또는 공유압 실린더이어도 좋은 점에 유의하기 바란다. 또한, 이러한 실시의 형태에서는, 본 명세서에서 특별히 설명되지 않고 있지만, 예를 들면 서보 모터 등의 복수의 구동 부재로 이송 롤(21)이나, 도포 롤(22), 클램프 유닛(23), 긁어냄 부재(31), 협지 부재(41) 등을 회전하도록 구동시킨다.
다음에, 본 발명에 따른 도포 설비에 사용되는 도포 방법에 대하여, 도 1, 도 2 및 도 5에 도시되어 있는 바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 및 도 2에는 본 발명에 따른 도포 설비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도포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포 단계(S01)에서는 기재(81)를 도포 설비에서 잉크(7)를 모으고 있는 잉크 탱크(12)에 반입하고, 기재(81)를 잉크(7)에 침적하여 2개의 설치면(811, 811)에 잉크(7)가 피복된다. 상세하게 말하면, 기재(81)가 제조 라인 방향(51)을 따라 도포 설비에 반송되었을 때, 반송 기구(2)에 의해 기재(81)를 유입구(111)를 통하여 잉크 탱크(12) 내에 반입하고, 또한 제1 클램프 롤(231)이 기재(81)가 상반되는 2개의 설치면(811)에 기대어 회전하며, 기재(81)를 도포 롤(22)에 의해 잉크(7)에 담근다. 이에 의해, 기재(81)의 2개의 설치면(811)에 잉크(7)가 피복된다.
성형 단계(S02)에서는 잉크(7)가 피복된 기재(81)를 도포 설비에서 성형 기구(3)로 이동시키며, 성형 기구(3)에서의 설치면(811)을 끼어서 마주보는 것과 동시에, 도포층(82)에 접접(摺接) 가능하도록 설치된 긁어냄 부재(31)에 의해 설치면(811)에 피복된 잉크(7)의 잉여분(7´)을 긁어내어 소정의 두께를 갖는 도포층(82)이 형성된다. 상세하게 말하면, 반송 기구(2)의 제2 클램프 롤(232)이 기재(81)를 끼어서 회전하면서 기재(81)를 제조 라인 방향(51)에 따라 유출구(112)를 통하여 외부에 반출할 때, 긁어냄 부재(31)의 긁어냄 면(311)에 의해 설치면(811)에 피복된 잉여적인 잉크(7´)가 긁어져 소정의 두께를 갖는 도포층(82)이 형성되고, 긁어진 잉여적인 잉크(7´)는 가이드 홈(312)에 따라 잉크 탱크(12)에 유입된다. 이에 의해, 잉크(7)를 낭비 없이 사용할 수 있고, 제조 비용을 낮게 억제할 수 있다.
또한, 기재(31)가 성형 기구(3)를 통과할 때에는 성형 조절 유닛(32)에 의해 긁어냄 부재(31)의 축심간의 거리(d1)를 조절하여 도포층(82)의 두께를 조절하는 것에 유의하기 바란다. 한편,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다른 구동 부재(도시되지 않음)에 따라 긁어냄 부재(31)에 의한 잉여적인 잉크(7´)를 긁어냄 속도를 증감하게 제어하는 것으로서, 도포층(82)의 두께를 조절할 수도 있고, 긁어냄 부재(31)를 빨리 회전시키면 잉여적인 잉크(7´)가 많이 긁어내어져 도포층(82)이 얇게 형성된다. 한편, 긁어냄 부재(31)를 늦게 회전시키면 도포층(82)이 두껍게 형성된다. 이와 같이, 도포층(82)의두께 조정은 상기 방법에 제한되지 않는 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
평활화 단계(S03)에서는, 도포층(82)이 형성된 기재(81)를 도포 설비에서의 평활화 기구(4)로 이동시키고, 평활화 기구(4)에서의 설치면(811)을 끼어서 마주보는 것과 동시에, 대응되는 도포층(811)에 접접 가능하도록 설치된 협지 부재(41)에 의해 도포층(82)의 표면을 평평하게 정돈한다. 상세하게 말하면, 기재(81)가 반송 기구(2)에 의해 제조 라인 방향(51)을 따라 성형 기구(3)로부터 평활화 기구(4)에 보내지면, 협지 부재(41)의 당접면(411)이 대응하는 도포층(82)에 기대어 접촉하여 회전한다. 이와 같이 해서, 도포층(82)의 표면을 평평하게 함으로써, 제품의 품질을 높일 수 있다. 그 다음에, 기재(81)가 제2 클램프 롤(232)에 의해 잉크 탱크(12)의 외부에 반송되면, 기재(81)는 더욱 제조 라인 방향(51)을 따라 이동하여 베이크 장치(6)에 보내져 도포층(82)을 경화시키는 등의 작업을 거쳐서 프린트 배선판이 제조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도포 설비에 의하면, 도포 롤(22)에 의해 기재(81)를 잉크(7)에 침적하여 기재(81)가 상반하는 설치면(811)에 도포층(82)을 형성할 수 있으므로, 기재(81)가 제조 라인을 2회 거칠 필요가 없어진다. 따라서, 제조 시간이 짧아져 제조 효율을 높일 수 있고, 도포 설비도 간소화할 수 있다.
또한, 성형 기구(3)에 의해 설치면(811)에 피복된 잉크(7)의 잉여분(7´)이 긁어내어지고, 긁어진 잉여적인 잉크(7´)가 가이드 홈(312)에 의해 잉크 탱크(12)에 유입되는 것에 의해 잉크(7)가 낭비되지 않는다. 성형 조절 유닛(32)에 의해 긁어냄 부재(31)의 축심간의 거리(d1)를 조절할 수 있으므로, 소정의 두께를 갖는 도포층(82)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평활화 기구(4)에 의해 도포층(82)의 표면을 균일하게 갖출 수 있으므로 도포층(82)의 표면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에 따른 도포 설비 및 도포 방법은 1회로 기재(81)의 양면에 도포층(82)을 형성할 수 있으므로 사용하기 좋으며, 또한 소정의 두께를 가지고 표면도 균일한 도포층(82)을 제조할 수 있다. 따라서 원하는 상태로 유지된 도포층(82)이 좋은 품질로 형성될 수 있으므로, 제조 비용을 상승시키지 않고 제조 정밀도 및 스루풋을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도포 설비는 가요성의 프린트 배선판의 제조에 적용될 수 있다.
1: 베이스 34: 제1 가동 프레임
11: 좌체 341: 제2 웹부
111: 유입구 342: 제2 플랜지부
112: 유출구 35: 제1 이송 부재
113: 배출구 4: 평활화 기구
12: 잉크 탱크 41: 협지 부재
13: 설치판 411: 당접면
14: 밸브 42: 거리 조절 장치
15: 액면 위치 센서 43: 제2 고정 프레임
2: 반송 기구 431: 제3 웹부
21: 이송 롤 432: 제3 플랜지부
22: 도포 롤 44: 제2 가동 프레임
23: 클램프 유닛 441: 제4 웹부
231: 제1 클램프 롤 442: 제4 플랜지부
232: 제2 클램프 롤 45: 제2 이송 부재
3: 성형 기구 51: 제조 라인 방향
31: 긁어냄 부재 52: 조정 방향
311: 긁어냄 면 6: 베이크 장치
312: 가이드 홈 7: 잉크
32: 성형 조절 장치 7': 잉크의 잉여분
33: 제1 고정 프레임 81: 기재
331: 제1 웹부 811: 설치면
332: 제1 플랜지부 82: 도포층

Claims (10)

  1. 제조 라인을 따르는 방향인 제조 라인 방향으로 보내져 오는 기재(基才)의 상반되는 2개의 설치면에 잉크를 도포하여 각각의 상기 설치면에 도포층이 형성되는 제조 설비에 있어서,
    상기 잉크를 모으는 잉크 탱크를 획성(畵成)한 좌체를 가지는 베이스
    상기 제조 라인 방향을 따라 상기 기재를 상기 잉크 탱크에 반입하거나 상기 잉크 탱크로부터 상기 기재를 반출하도록 설치되며, 상기 기재를 상기 잉크 탱크에 반입하여 2개의 상기 설치면에 상기 잉크를 피복하고, 상기 잉크가 피복된 상기 기재를 상기 잉크 탱크로부터 반출하도록 상기 잉크에서 담그면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도포 롤을 가지는 반송 기구
    상기 잉크 탱크 내에 상기 도포 롤의 상기 제조 라인의 하류에 설치되며, 상기 설치면에 피복된 상기 잉크의 잉여분을 긁어내어 상기 도포층을 형성하도록 2개의 상기 설치면을 끼어서 마주하여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복수의 긁어냄 부재를 갖는 성형 기구 및
    상기 잉크 탱크 내에 상기 성형 기구의 상기 제조 라인의 하류에 설치되며, 상기 도포층에 기대어 접촉하면서 상기 도포층의 표면을 평평하게 정돈하도록 2개의 상기 설치면을 끼어서 마주하여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복수의 협지 부재를 가지는 평활화 기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포 설비.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긁어냄 부재는 각기 상기 설치면에 도포된 상기 잉크의 잉여분을 긁어내어 상기 도포층을 형성하도록 형성되는 긁어냄 면과, 긁어진 잉여의 상기 잉크를 이끌어 유출하도록 상기 긁어냄 면보다 우묵하게 패어져 연장되게 형성되는 가이드 홈을 포함하며,
    상기 협지 부재는 각기, 상기 도포층의 표면을 평평하게 정돈하도록 상기 도포층에 기대면서 접촉하는 당접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포 설비.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성형 기구는 상기 도포층의 두께를 조절하도록 상기 설치면과 마주보는 상기 긁어냄 부재 사이의 거리를 조절 가능하게 설치되는 성형 조절 유닛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포 설비.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는 상기 잉크 탱크 내에 상기 설치면의 상기 제조 라인 방향과 직각의 방향인 가로 폭 방향에 따른 폭을 두고 설치되는 복수의 설치판을 더 포함하며,
    상기 성형 조절 유닛은, 상기 설치면과 마주보는 상기 긁어냄 부재의 일방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도록 복수의 상기 설치판 사이에 정위되어 설치된 고정 프레임과, 상기 긁어냄 부재의 타방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도록 복수의 상기 설치판 사이에 가동적으로 설치된 가동 프레임과, 상기 도포층의 두께를 증감하여 조절하는 방향인 조절 방향을 따라 상기 가동 프레임을 이동시키도록 복수의 상기 설치판에 설치되는 이송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고정 프레임과 상기 가동 프레임은 각기 상기 긁어냄 부재가 상반되는 측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포 설비.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평활화 기구는 상기 설치면과 마주보는 상기 협지 부재 사이의 거리를 조절하도록 배치되는 거리 조절 유닛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포 설비.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좌체는 외부와 상기 잉크 탱크가 연통하여 상기 기재가 외부로부터 상기 잉크 탱크에 반입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유입구와, 외부와 상기 잉크 탱크가 연통하여 상기 기재가 상기 잉크 탱크로부터 외부로 반출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유출구를 포함하며,
    상기 성형 기구와 상기 평활화 기구는 상기 유출구 및 상기 도포 롤의 사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포 설비.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반송 기구는 상기 기재를 상기 유입구를 통하여 상기 잉크 탱크에 반입하도록 상기 베이스의 상방에 설치되는 이송 롤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포 설비.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반송 기구는 상기 기재를 이동시킬 수 있도록 상기 잉크 탱크 내에 설치되는 클램프 유닛을 더 포함하고,
    상기 클램프 유닛은 상기 설치면을 끼어서 마주봄과 동시에 상기 설치면에 기대어 회전 가능하게 접촉하도록 상기 유입구 및 상기 도포 롤 사이에 설치되는 복수의 제1 클램프 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포 설비.
  9.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반송 기구는 상기 기재를 이동시킬 수 있도록 상기 잉크 탱크 내에 설치되는 클램프 유닛을 더 포함하고,
    상기 클램프 유닛은 상기 설치면을 끼어서 마주봄과 동시에 상기 설치면에 기대어 회전 가능하게 접촉하도록 상기 유출구 및 상기 도포 롤 사이에 설치되는 복수의 제2 클램프 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포 설비.
  10. 제조 라인을 따르는 방향인 제조 라인 방향을 따라 도포 설비로 보내지는 기재의 상반되는 2개의 설치면에 잉크를 도포하여 각 상기 설치면에 도포층을 형성하기 위해 사용되는 방법으로서,
    상기 기재를 상기 도포 설비에서 상기 잉크를 모으는 잉크 탱크에 반입하고, 상기 기재를 상기 잉크에 침적하여 상기 설치면에 상기 잉크를 피복하는 도포 단계
    상기 잉크가 피복된 상기 기재를 상기 도포 설비에서 성형 기구로 이동시키고, 상기 성형 기구에서 상기 설치면을 끼어서 마주봄과 동시에 상기 도포층에 접접(摺接)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긁어냄 부재에 의해 상기 설치면에 피복된 상기 잉크의 잉여분을 긁어내어 상기 도포층을 형성하는 성형 단계 및
    상기 도포층이 형성된 상기 기재를 상기 도포 설비에서의 평활화 기구로 이동시키고, 상기 평활화 기구에서 상기 설치면을 끼어서 마주보는 것과 동시에 상기 도포층에 접접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협지 부재에 의해 상기 도포층의 표면을 평평하게 정돈하는 평활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포 방법.
KR1020140069544A 2013-06-20 2014-06-09 도포 설비 및 도포 방법 KR2014014769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TW102121940 2013-06-20
TW102121940A TW201442789A (zh) 2013-05-06 2013-06-20 塗佈設備及塗佈方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47692A true KR20140147692A (ko) 2014-12-30

Family

ID=522159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69544A KR20140147692A (ko) 2013-06-20 2014-06-09 도포 설비 및 도포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2015003320A (ko)
KR (1) KR20140147692A (ko)
CN (1) CN104226539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003050A (zh) * 2022-08-01 2022-09-02 四川英创力电子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在电路板上自动精细涂抹感光油墨的装置及方法
KR102504988B1 (ko) * 2022-09-23 2023-03-03 주식회사 비티엠 진단시트 디핑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188626B (zh) * 2016-04-14 2020-06-16 杭州富通通信技术股份有限公司 光缆制造方法
CN106423717B (zh) * 2016-08-31 2019-05-17 律胜科技(苏州)有限公司 自动涂布烘烤生产线
CN107413576A (zh) * 2017-08-03 2017-12-01 深圳市旭然电子有限公司 新型涂布装置
CN111822227B (zh) * 2019-04-23 2021-11-16 青岛联翘智能制造有限公司 帘子布涂胶机的拨胶轮刮胶构造
CN110560325A (zh) * 2019-07-31 2019-12-13 黄诚 一种电缆喷涂设备
CN110602895B (zh) * 2019-10-21 2024-04-09 深圳和美精艺半导体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ic封装基板阻焊压平的方法
CN115400916B (zh) * 2022-08-17 2023-07-18 海盐三湾塑业有限公司 一种薄膜上胶机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977243A (en) * 1958-10-02 1961-03-28 Du Pont Coating process
US3203392A (en) * 1961-06-27 1965-08-31 Du Pont Freely supported rod for smoothing coating composition applied to webs
US3961601A (en) * 1975-07-17 1976-06-08 The Goodyear Tire & Rubber Company Apparatus for vibrating and dewebbing tire cord fabric coated with an undried liquid
DE3012064C2 (de) * 1980-03-28 1983-12-08 Hoechst Ag, 6230 Frankfurt Verfahren zur Herstellung schlauchförmiger Verpackungshüllen auf Basis von Cellulosehydrat mit Filmüberzug aus Kunststoff auf der Außenseite und Verwendung
JPH07289964A (ja) * 1994-04-28 1995-11-07 Dainippon Screen Mfg Co Ltd 感光液塗布用巻線式スクィージローラ及びその製造方法
JP3986727B2 (ja) * 2000-05-09 2007-10-03 株式会社タクマ 導電性ウェブ状材料の製造装置及びこれを用いた導電性ウェブ状材料の製造方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003050A (zh) * 2022-08-01 2022-09-02 四川英创力电子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在电路板上自动精细涂抹感光油墨的装置及方法
CN115003050B (zh) * 2022-08-01 2022-10-25 四川英创力电子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在电路板上自动精细涂抹感光油墨的装置及方法
KR102504988B1 (ko) * 2022-09-23 2023-03-03 주식회사 비티엠 진단시트 디핑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5003320A (ja) 2015-01-08
CN104226539A (zh) 2014-12-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40147692A (ko) 도포 설비 및 도포 방법
KR20150004272A (ko) 블레이드 도포 설비
US10610881B2 (en) Slot die coating apparatus
US20060226566A1 (en) Imprinting apparatus, system and method
JP2015115602A (ja) 塗布設備及び塗布方法
JP5923563B2 (ja) 塗布装置及び塗布方法
EP2208608A1 (en) Transfer method and transfer device
US20070178237A1 (en) Method for patterning coatings
KR100634233B1 (ko) 라미네이트 방법 및 그 방법을 이용한 라미네이트 장치
KR100818490B1 (ko) 코팅물의 패턴화 장치
JP3960040B2 (ja) シート成形装置
CN114930989B (zh) 压膜机
CN102438406A (zh) 用于制造印刷电路板的抗蚀剂涂覆设备
US20120000066A1 (en) Method for Manufacturing Alloy Resistor
TW201442789A (zh) 塗佈設備及塗佈方法
KR101869821B1 (ko) Rtr 노광 시스템
KR100818491B1 (ko) 코팅물의 패턴화 장치
EP1378295A2 (en) Resin coated carrier fabrication method and the related apparatus for the fabrication
KR100789569B1 (ko) 코팅물의 패턴화 방법
KR101298103B1 (ko) 미세 회로 패턴 제조 장치와 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되는 미세 회로 패턴
KR101584199B1 (ko) 플라즈마 에칭공정을 이용한 투명전극필름 제조방법
KR20230103531A (ko) 솔더 레지스트 인쇄 방법
KR100912406B1 (ko) 필름 제조 장치 및 방법
JP3733714B2 (ja) 抵抗体およびその製造方法ならびにその抵抗体を装着した可変抵抗器
US20040047991A1 (en) Resin coated carrier fabrication method and the related apparatus for the fabric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