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47036A -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화상표시장치 - Google Patents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화상표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47036A
KR20140147036A KR1020140073329A KR20140073329A KR20140147036A KR 20140147036 A KR20140147036 A KR 20140147036A KR 1020140073329 A KR1020140073329 A KR 1020140073329A KR 20140073329 A KR20140073329 A KR 20140073329A KR 20140147036 A KR20140147036 A KR 2014014703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m
group
epoxy compound
weight
par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733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85252B1 (ko
Inventor
남성현
서은미
남승희
이대웅
나균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화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to PCT/KR2014/005366 priority Critical patent/WO2014204205A1/ko
Priority to JP2015534411A priority patent/JP6309012B2/ja
Priority to TW103121007A priority patent/TWI516552B/zh
Priority to CN201480000905.7A priority patent/CN104395788B/zh
Priority to US14/388,153 priority patent/US10353125B2/en
Publication of KR201401470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4703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852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852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30Polarising elements
    • G02B5/3025Polarisers, i.e. arrangements capable of producing a definite output polarisation state from an unpolarised input state
    • G02B5/3033Polarisers, i.e. arrangements capable of producing a definite output polarisation state from an unpolarised input state in the form of a thin sheet or foil, e.g. Polaroid
    • G02B5/3041Polarisers, i.e. arrangements capable of producing a definite output polarisation state from an unpolarised input state in the form of a thin sheet or foil, e.g. Polaroid comprising multiple thin layers, e.g. multilayer stacks
    • G02B5/305Polarisers, i.e. arrangements capable of producing a definite output polarisation state from an unpolarised input state in the form of a thin sheet or foil, e.g. Polaroid comprising multiple thin layers, e.g. multilayer stacks including organic materials, e.g. polymeric lay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63/00Adhesives based on epoxy resins;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epoxy resi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528Polaris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57/00Electrical equipment
    • B32B2457/20Displays, e.g. liquid crystal displays, plasma displays
    • B32B2457/202LCD, i.e. liquid crystal display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57/00Electrical equipment
    • B32B2457/20Displays, e.g. liquid crystal displays, plasma displays
    • B32B2457/206Organic displays, e.g. OLED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59/00Polycondensates containing more than one epoxy group per molecule; Macromolecules obtained by polymerising compounds containing more than one epoxy group per molecule using curing agents or catalysts which react with the epoxy groups
    • C08G59/18Macromolecules obtained by polymerising compounds containing more than one epoxy group per molecule using curing agents or catalysts which react with the epoxy groups ; e.g. general methods of cur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59/00Polycondensates containing more than one epoxy group per molecule; Macromolecules obtained by polymerising compounds containing more than one epoxy group per molecule using curing agents or catalysts which react with the epoxy groups
    • C08G59/18Macromolecules obtained by polymerising compounds containing more than one epoxy group per molecule using curing agents or catalysts which react with the epoxy groups ; e.g. general methods of curing
    • C08G59/20Macromolecules obtained by polymerising compounds containing more than one epoxy group per molecule using curing agents or catalysts which react with the epoxy groups ; e.g. general methods of curing characterised by the epoxy compounds used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59/00Polycondensates containing more than one epoxy group per molecule; Macromolecules obtained by polymerising compounds containing more than one epoxy group per molecule using curing agents or catalysts which react with the epoxy groups
    • C08G59/18Macromolecules obtained by polymerising compounds containing more than one epoxy group per molecule using curing agents or catalysts which react with the epoxy groups ; e.g. general methods of curing
    • C08G59/20Macromolecules obtained by polymerising compounds containing more than one epoxy group per molecule using curing agents or catalysts which react with the epoxy groups ; e.g. general methods of curing characterised by the epoxy compounds used
    • C08G59/22Di-epoxy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59/00Polycondensates containing more than one epoxy group per molecule; Macromolecules obtained by polymerising compounds containing more than one epoxy group per molecule using curing agents or catalysts which react with the epoxy groups
    • C08G59/18Macromolecules obtained by polymerising compounds containing more than one epoxy group per molecule using curing agents or catalysts which react with the epoxy groups ; e.g. general methods of curing
    • C08G59/20Macromolecules obtained by polymerising compounds containing more than one epoxy group per molecule using curing agents or catalysts which react with the epoxy groups ; e.g. general methods of curing characterised by the epoxy compounds used
    • C08G59/22Di-epoxy compounds
    • C08G59/226Mixtures of di-epoxy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63/00Adhesives based on epoxy resins;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epoxy resins
    • C09J163/10Epoxy resins modified by unsaturated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2323/00Functional layers of liquid crystal optical display excluding electroactive liquid crystal layer characterised by chemical composition
    • C09K2323/05Bonding or intermediate layer characterised by chemical composition, e.g. sealant or spacer
    • C09K2323/055Epoxy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2202/00Materials and properties
    • G02F2202/28Adhesive materials or arrangemen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31504Composite [nonstructural laminate]
    • Y10T428/31511Of epoxy ether
    • Y10T428/31515As intermediate layer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olarising Elements (AREA)
  • Coating Of Shaped Articles Made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Paints Or Removers (AREA)
  • Adhesives Or Adhesive Processes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편광자의 적어도 일면에 접착제층, 프라이머층 및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필름이 이 순서대로 구비된 편광판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있어서 접착제층은 호모폴리머의 유리전이온도가 120℃ 이상인 제1에폭시 화합물, 호모폴리머의 유리전이온도가 60℃ 이하인 제2에폭시 화합물 및 양이온성 광 중합 개시제를 포함하는 활성 에너지선 경화형 접착제에 의해 형성되며, 프라이머층은 폴리에스테르 및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바인더 수지 및 아크릴계 가교제, 에폭시계 가교제 및 폴리비닐알코올계 가교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가교제를 포함하는 프라이머 조성물에 의해 형성된다.

Description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화상표시장치{POLARIZING PLATE AND DISPLAY DEVICE COMPRISING THE SAME}
본 발명은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화상표시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편광자 일면에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필름을 보호 필름으로 구비한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화상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액정표시장치는 소비 전력이 낮고, 저전압으로 동작하고, 경량이고 박형인 특징을 살려 각종 표시 장치에 사용되고 있다. 액정표시장치는 액정셀, 편광판, 위상차 필름, 집광 시트, 확산 필름, 도광판, 광반사 시트 등 많은 재료로 구성되어 있다. 그 때문에, 구성 필름의 매수를 줄이거나 필름 또는 시트의 두께를 얇게 함으로써 생산성이나 경량화, 명도의 향상 등을 목표로 한 개량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편광판은 통상 이색성 염료 또는 요오드로 염색된 폴리비닐알코올(Polyvinyl alcohol, 이하 'PVA'라 함)계 수지로 이루어진 편광자의 일면 또는 양면에 접착제를 이용하여 보호필름을 적층한 구조로 사용되어 왔다. 종래에는 편광판 보호 필름으로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TAC, triacetyl cellulose)계 필름이 주로 사용되어 왔으나, 이러한 TAC 필름의 경우 고온, 고습 환경에서 쉽게 변형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최근에는 TAC 필름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재질의 보호 필름들이 개발되고 있으며, 예를 들면,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polyethylene terephthalate), 사이클로올레핀 폴리머(COP, cycloolefin polymer), 아크릴계 필름 등을 단독 또는 혼합하여 사용하는 방안이 제안되었다.
이 중에서도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필름은 가격이 저렴하고, 투명성이 우수하기 때문에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필름을 보호필름으로 사용하는 기술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한국공개특허 제2011-0075998호, 제2010-0068178호 등에는 편광자와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필름 사이에 수계 접착제층 및 이접착층이 개재된 편광판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 기술들은 수계 접착제를 사용하기 때문에, 편광자와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필름 사이의 접착력이 충분하지 않아 내구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필름은 가격이 저렴하기는 하나, 투습성이나 광학 물성이 낮기 때문에, 편광판 제조 시 일면에는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를 사용하고, 타면에는 광학 물성이나 투습성 등의 특성이 우수한 다른 종류의 고분자 필름을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런데, 이와 같이 편광자 양면에 상이한 종류의 고분자 필름을 사용하는 편광판에 있어서 접착제로 수계 접착제를 사용하면, 접착제 경화를 위한 건조 공정에서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필름과 다른 종류의 고분자 필름 사이의 수분 투과율 차이에 의해 건조 효율 차이가 발생하고 그 결과 편광판의 컬(curl)이 심화되는 문제점이 있다. 편광판에 컬이 발생하면 화상표시장치에 편광판을 부착하는 라미네이션 공정 시에 부착이 어렵고, 이물 유입 등으로 인한 불량률이 증가하는 등의 문제가 발생한다. 또한, 화상표시장치 부착 후에도 편광판 컬에 의해 액정 패널과의 접촉 불량이나 액정 패널의 휨 현상이 발생하기 쉽고, 그로 인해 표시장치 모듈에 장착되었을 때, 모듈 케이스와의 접촉이 일어나면서 응력이 크게 형성되어 빛샘이나 무라 등이 발생하여 화상 불량의 원인이 될 수 있다.
따라서,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필름을 보호 필름으로 사용하면서도 광학 특성 및 컬 특성이 우수한 편광판을 개발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필름을 사용하면서도 우수한 컬 특성 및 광학 특성을 구현할 수 있는 편광판을 제공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일 측면에서, 편광자의 적어도 일면에 접착제층, 프라이머층 및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필름이 이 순서대로 구비된 편광판으로, 상기 접착제층은 호모폴리머의 유리전이온도가 120℃ 이상인 제1에폭시 화합물, 호모폴리머의 유리전이온도가 60℃ 이하인 제2에폭시 화합물 및 양이온성 광 중합 개시제를 포함하는 활성 에너지선 경화형 접착제에 의해 형성되며, 상기 프라이머층은 폴리에스테르 및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바인더 수지 및 아크릴계 가교제, 에폭시계 가교제 및 폴리비닐알코올계 가교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가교제를 포함하는 프라이머 조성물에 의해 형성되는 것인 편광판을 제공한다.
이때, 상기 활성 에너지선 경화형 접착제는 호모폴리머의 유리전이온도가 120℃ 이상인 제1에폭시 화합물 100 중량부, 호모폴리머의 유리전이온도가 60℃ 이하인 제2에폭시 화합물 30 내지 100 중량부 및 양이온성 광 중합 개시제 0.5 내지 20 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편광판은 상기 편광자의 타면에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 필름, 사이클로올레핀 폴리머 필름, 폴리에스테르계 필름, 폴리카보네이트 필름 및 아크릴 필름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투명 고분자 필름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측면에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편광판을 포함하는 화상표시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편광판은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필름 및 상기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필름과 상이한 종류의 고분자 필름을 함께 사용하는 경우에도 컬 발생이 최소화되며, 광학 물성 및 내구성이 우수하다.
또한, 본 발명의 편광판은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필름과 접착제층 사이에 특정한 조성의 프라이머 조성물에 의해 형성된 프라이머층을 개재하여,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필름과 접착제층 사이의 접착력을 향상시킴으로써 고온, 고습과 같은 가혹한 조건에서도 편광판의 내구성이 유지될 수 있도록 하였다.
도 1 내지 도 7은 실시예 1 및 비교예 1 내지 6에 의해 제조된 편광판의 컬 특성을 보여주는 사진이다.
도 8은 실시예 1 및 비교예 1에 의해 제조된 편광판을 60℃의 물속에 24시간 동안 침지시킨 후의 편광판 상태를 보여주는 사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들을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 형태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하 설명하는 실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형태는 당해 기술분야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편광판은 편광자의 적어도 일면에 접착제층, 프라이머층 및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필름을 이 순서대로 포함하는 것으로, 이때, 상기 접착제층은 호모폴리머의 유리전이온도가 120℃ 이상인 제1에폭시 화합물, 호모폴리머의 유리전이온도가 60℃ 이하인 제2에폭시 화합물 및 양이온성 광 중합 개시제를 포함하는 활성 에너지선 경화형 접착제에 의해 형성되며, 상기 프라이머층은 폴리에스테르 및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바인더 수지 및 아크릴계 가교제, 에폭시계 가교제 및 폴리비닐알코올계 가교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가교제를 포함하는 프라이머 조성물에 의해 형성되는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구성요소들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1) 편광자
본 발명에서 사용될 수 있는 편광자는,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당해 기술 분야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편광자들, 예를 들어, 폴리비닐알코올계 필름, 부분 포르말화 폴리비닐알코올계 필름, 에틸렌·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 부분 비누화 필름 등의 친수성 고분자 필름에 요오드나 이색성 염료 등의 편광 물질을 흡착시켜 연신하여 일정한 방향으로 배향한 필름, 폴리비닐알코올의 탈수 처리물이나 폴리염화비닐의 탈염산 처리물 등 폴리엔계 배향필름 등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요오드계 화합물 또는 이색성 편광 물질을 함유하는 분자 사슬이 일정한 방향으로 배향된 폴리비닐알코올계 편광자일 수 있다.
한편, 상기 폴리비닐알코올계 편광자는 당해 기술 분야에 잘 알려진 폴리비닐알코올계 편광자 제조 방법에 의해 제조될 수 있으며, 그 제조 방법이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본 발명에서 사용 가능한 편광자는, 미연신 폴리비닐알코올계 필름을 요오드 및/또는 이색성 염료 수용액에 함침시켜 염착한 다음, 가교 및 연신하여 제조될 수도 있고, 고분자 기재 필름 상에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를 코팅하거나, 고분자 기재 필름 상에 폴리비닐알코올계 필름을 적층 또는 접착시켜 필름 적층체를 형성한 후, 상기 필름 적층체를 요오드 및/또는 이색성 염료 수용액에 함침시켜 염착하고, 이를 가교, 연신한 후, 고분자 기재 필름과 분리시켜 제조될 수도 있다.
또는, 상기 폴리비닐알코올계 편광자는 시판되는 제품을 구입하여 사용하여도 무방하다.
편의상, 본 명세서에 있어서, '편광자'라는 용어는 편광자에 투명고분자 필름을 부착하지 않는 상태를 의미하는 것으로 하고, '편광판'이라는 용어는 편광자에 투명 고분자 필름이 부착된 상태를 의미하는 것으로 한다.
(2) 보호 필름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편광자의 적어도 일면에는 접착제층 및 프라이머층을 매개로 하여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필름이 부착된다.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필름은 투습도 및 함습율이 낮기 때문에, 편광자 보호 필름으로 사용될 경우 편광판의 내수성을 향상시킬 뿐 아니라, 열 및 수분에 대한 저항성이 높아 고온 고습 하에서도 편광판의 광학 물성을 우수하게 유지할 수 있다. 또한,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필름은 다른 투명 고분자 필름들에 비해 생산 가격이 저렴하기 때문에, 이를 사용할 경우 편광판의 제조 단가를 낮출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 사용 가능한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필름은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계 수지에 의해 형성된 필름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때, 상기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계 수지는 전체 반복 단위의 50몰% 이상이 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단위인 수지를 의미하며, 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단위 이외에 다른 공중합 성분으로부터 유래하는 구성 단위를 포함하는 수지로 제조된 필름을 포함하는 개념이다. 이때, 다른 공중합 성분으로는 이소프탈산, p-β-옥시에톡시벤조산, 4,4'-디카르복시디페닐, 4,4'-디카르복시벤조페논, 비스(4-카르복시페닐)에탄, 아디프산, 세박산, 5-나트륨설포이소프탈산, 1,4-디카복시사이클로헥산 등의 디카복실산 성분; 프로필렌글리콜, 부탄디올, 네오펜틸글리콜, 디에틸렌글리콜, 사이클로헥산디올, 비스페놀 A의 에틸렌옥사이드 부가물, 폴리에틸렌글리콜, 폴리프로필렌글리콜, 폴리테트라메틸렌글리콜 등의 디올 성분 등을 들 수 있다. 이러한 디카복실산 성분이나 디올 성분은, 필요에 따라 2종류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카복실산 성분이나 디올성분과 함께, p-옥시벤조산 등의 옥시카복실산을 병용할 수도 있다. 다른 공중합 성분으로서, 소량의 아미드 결합, 우레탄 결합, 에테르 결합, 카보네이트 결합 등을 함유하는 디카복실산 성분 및/또는 디올 성분이 사용될 수도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필름은 당해 기술 분야에 잘 알려진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필름의 제조 방법에 따라 제조될 수도 있고, 시판되는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필름을 구입하여 사용하여도 무방하다.
한편, 본 발명에서 사용 가능한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필름은, 이로써 한정되는 것은 아니나, 예를 들면, 투습도(Water Vapor Transmission Rate; WVTR)가 100 g/m2·day 이하,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50 g/m2·day 정도이고, 함습율이 1중량% 이하,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0.6 중량% 정도인 것이 좋다. 투습도 및 함습율이 상기 수치를 만족할 때, 내수성, 고온 고습 하에서의 내구성 향상 효과가 더욱 우수하게 나타나기 때문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 가능한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필름은, 이로써 한정되는 것은 아니나, 적어도 일면에 굴절율 1.4 내지 1.5 정도의 물질로 이루어진 저굴절율층이 형성된 필름일 수 있다. 일반적으로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필름은 굴절율이 1.65 정도로 TAC 필름 등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아, 편광판 보호 필름으로 적용될 경우, 보호 필름의 표면에서 광 반사가 증가하여, TAC 필름을 사용한 편광판에 비해 단체 투과율이 1% 정도 감소하는 경향이 있었다. 그러나, 본 발명자들의 연구에 따르면, 저굴절율층이 형성된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필름을 사용할 경우, 편광판 제조 이후 편광판의 단체 투과율 감소를 방지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저굴절율층은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필름의 일면 또는 양면에 형성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상기 프라이머층이 형성되는 면의 반대면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저굴절율층은 고분자 수지에 굴절율이 낮은 저굴절율 물질을 혼합한 수지 조성물에 의해 형성될 수 있으며, 이때, 상기 고분자 수지로는, 예를 들면, 아크릴계 수지가 사용될 수 있으며, 상기 저굴절율 물질로는 1,1,1-트리플루오르에탄, 폴리비닐리덴 플로라이드(PVDF), 폴리테트라 플루오로에틸렌(PTFE, 테프론) 하이드로플루오르 에테르, 하이드로클로로탄화불소, 하이드로탄화불소, 퍼플루오로카본, 퍼플루오로폴리에테르, 퍼플루오로옥탄산(Perfluorooctanoic acid, PFOA), 퍼플루오로옥탄 술포네이트(Perfluorooctane sulfonate, PFOS), 퍼플루오로알콕시 플루오로폴리머와 같은 불소계 화합물 또는 실리카계 화합물 등이 사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필름의 전체 굴절율은 1.48 내지 1.55 정도이고, 1.50 내지 1.53 정도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전체 굴절율이란, 단일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필름의 굴절율뿐만 아니라, 기타 기능성 코팅층을 포함하는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필름의 유효 굴절율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앞에서 살펴본 저굴절율층이 형성된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필름의 경우, 기능성 코팅층인 저굴절율층과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필름의 유효 굴절율이 전체 굴절율이다.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필름의 전체 굴절율이 상기 범위를 만족하는 경우, 적층된 필름 간의 굴절율 차이가 감소됨으로써 각 층 간의 프레넬 반사가 저하되어 편광판 단체 투과율 저하를 방지하며,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필름 자체의 고굴절율에 기인한 간섭효과로 인한 레인보우 현상을 최소화 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편광판은 편광자의 양면에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필름이 부착될 수도 있고, 편광자의 일면에는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필름이 부착되고, 편광자의 타면에는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필름 이외의 투명 고분자 필름이 부착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편광자의 타면에 부착되는 투명 고분자 필름은 편광자 보호 필름 또는 편광자의 광 특성을 보상하기 위한 보상 필름으로, 그 재질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당해 기술 분야에 알려진 고분자 필름을 사용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이로써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상기 타면에 부착되는 투명 고분자 필름은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 필름, 사이클로올레핀 폴리머 필름, 폴리에스테르계 필름, 폴리카보네이트 필름 및 아크릴 필름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타면에 부착되는 투명 고분자 필름은 광학적으로 등방성 또는 이방성을 가질 수 있으며, 예를 들면,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필름의 광학 이방성을 상쇄할 수 있는 위상차 값을 갖는 것이거나, 또는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필름과 조합하여 적용되는 액정표시장치의 시야각 특성을 보상할 수 있는 적절한 위상차 값을 갖는 것일 수 있다.
한편, 상기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필름 및 투명 고분자 필름에는 필요한 경우 접착력 향상을 위한 표면처리가 수행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상기 광학필름의 적어도 일면에 알칼리 처리, 코로나 처리, 및 플라즈마 처리로 이루어지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표면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3) 접착제층
한편,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편광자 및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필름은 활성 에너지선 경화형 접착제에 의해 부착된다. 이때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접착제는 활성 에너지선의 조사에 의해 경화되는 접착제를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 가능한 활성 에너지선 경화형 접착제는, (1) 호모폴리머의 유리전이온도가 120℃ 이상인 제1에폭시 화합물 (2) 호모폴리머의 유리전이온도가 60℃ 이하인 제2에폭시 화합물 및 (3) 광 양이온 중합 개시제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활성 에너지선 경화형 접착제는, (1) 호모폴리머의 유리전이온도가 120℃ 이상인 제1에폭시 화합물 100 중량부, (2) 호모폴리머의 유리전이온도가 60℃ 이하인 제2에폭시 화합물 30 내지 100 중량부, 및 (3) 광 양이온 중합 개시제 0.5 내지 20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유리전이온도가 다른 2종 이상의 에폭시 화합물을 사용할 경우 유리전이온도가 낮은 호모폴리머가 접착력 및 점도에서 유리한 역할을 하고 유리전이온도가 높은 호모폴리머를 같이 사용할 경우 유리전이온도는 낮아지지 않아 열충격성에서 유리하다.
본 명세서에서 에폭시 화합물은 분자 내에 1개 이상의 에폭시기를 갖는 화합물을 의미하는 것으로, 바람직하게는 분자 내에 2개 이상의 에폭시기를 갖는 화합물이며, 단량체(monomer), 중합체(polymer) 또는 수지(resin)의 형태의 화합물들을 모두 포함하는 개념이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에폭시 화합물은 수지 형태일 수 있다.
상기 제1에폭시 화합물은, 호모폴리머의 유리전이온도가 120℃ 이상인 에폭시 화합물이면 특별한 제한 없이 사용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호모 폴리머의 유리전이온도가 120℃ 이상인 지환족 에폭시 화합물 및/또는 방향족 에폭시가 본 발명의 제1에폭시 화합물로 사용될 수 있다. 호모폴리머의 유리전이온도가 120℃ 이상인 에폭시 화합물의 구체적인 예로는, 3,4-에폭시시클로헥실메틸-3,4'-에폭시시클로헥산카복실레이트, 비닐사이클로헥센디옥사이드 디시클로펜타디엔디옥사이드, 비스에폭시사이클로펜틸에테르, 비스페놀 A 계 에폭시 화합물, 비스페놀 F 계 에폭시 화합물 등을 들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에폭시 화합물은 호모폴리머의 유리전이온도가 120℃ 내지 200℃ 정도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상기 제2에폭시 화합물은, 호모폴리머의 유리전이온도가 60℃ 이하인 에폭시 화합물이면 특별한 제한 없이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제2에폭시 화합물로 지환족 에폭시 화합물, 지방족 에폭시 화합물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지환식 에폭시 화합물로는, 2관능형 에폭시 화합물, 즉 2개의 에폭시를 가지는 화합물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2개의 에폭시기가 모두 지환식 에폭시기인 화합물을 사용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지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지방족 에폭시 화합물로는, 지환식 에폭시기가 아닌 지방족 에폭시기를 가지는 에폭시 화합물이 예시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지방족 다가 알코올의 폴리글리시딜에테르; 지방족 다가 알코올의 알킬렌옥시드 부가물의 폴리글리시딜에테르; 지방족 다가 알코올과 지방족 다가 카복실산의 폴리에스테르 폴리올의 폴리글리시딜에테르; 지방족 다가 카복실산의 폴리글리시딜에테르; 지방족 다가 알코올과 지방족 다가 카복실산의 폴리에스테르 폴리카복실산의 폴리글리시딜에테르; 글리시딜 아크릴레이트 또는 글리시딜 메타크릴레이트의 비닐 중합에 의해 얻어지는 다이머, 올리고머 또는 폴리머; 또는 글리시딜 아크릴레이트 또는 글리시딜 메타크릴레이트와 다른 비닐계 단량체의 비닐 중합에 의해 얻어지는 올리고머 또는 폴리머가 예시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지방족 다가 알코올 또는 그 알킬렌옥시드 부가물의 폴리글리시딜에테르가 사용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에서 지방족 다가 알코올로는, 예를 들면, 탄소수 2 내지 20, 탄소수 2 내지 16, 탄소수 2 내지 12, 탄소수 2 내지 8 또는 탄소수 2 내지 4의 지방족 다가 알코올이 예시될 수 있고, 예를 들면, 에틸렌글리콜, 1,2-프로판디올, 1,3-프로판디올, 2-메틸-1,3-프로판디올, 2-부틸-2-에틸-1,3-프로판디올, 1,4-부탄디올, 네오펜틸글리콜, 3-메틸-2,4-펜탄디올, 2,4-펜탄디올, 1,5-펜탄디올, 3-메틸-1,5-펜탄디올, 2-메틸-2,4-펜탄디올, 2,4-디에틸-1,5-펜탄디올, 1,6-헥산디올, 1,7-헵탄디올, 3,5-헵탄디올, 1,8-옥탄디올, 2-메틸-1,8-옥탄디올, 1,9-노난디올, 1,10-데칸디올 등의 지방족 디올; 시클로헥산디메탄올, 시클로헥산디올, 수소 첨가 비스페놀 A, 수소 첨가 비스페놀 F 등의 지환식 디올; 트리메틸올에탄, 트리메틸올프로판, 헥시톨류, 펜티톨류, 글리세린, 폴리글리세린, 펜타에리스리톨, 디펜타에리스리톨, 테트라메틸올프로판 등이 예시될 수 있다.
또한, 상기에서 알킬렌옥시드로는, 탄소수 1 내지 20, 탄소수 1 내지 16, 탄소수 1 내지 12, 탄소수 1 내지 8 또는 탄소수 1 내지 4의 알킬렌옥시드가 예시될 수 있고, 예를 들면, 에틸렌옥시드, 프로필렌옥시드 또는 부틸렌옥시드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에서 지방족 다가 카복실산으로는, 예를 들면, 옥살산, 말론산, 숙신산, 글루타르산, 아디프산, 피멜산, 수베린산, 아젤라산, 세바신산, 도데칸이산, 2-메틸숙신산, 2-메틸아디프산, 3-메틸아디프산, 3-메틸펜탄이산, 2-메틸옥탄이산, 3,8-디메틸데칸이산, 3,7-디메틸데칸이산, 1,20-에이코사메틸렌디카르복실산, 1,2-시클로펜탄디카르복실산, 1,3-시클로펜탄디카르복실산, 1,2-시클로헥산디카르복실산, 1,3-시클로헥산디카르복실산, 1,4-시클로헥산디카르복실산, 1,4-디카르복실메틸렌시클로헥산, 1,2,3-프로판트리카르복실산, 1,2,3,4-부탄테트라카르복실산, 1,2,3,4-시클로부탄테트라카르복실산 등이 예시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상기 제2에폭시 화합물은 글리시딜 에테르기를 하나 이상 포함하는 것일 수 있으며, 예를 들면, 1,4-시클로헥산디메탄올 디글리시딜 에테르, 1,4-부탄디올디글시딜에테르, 1,6-헥산디올디글리시딜에테르, 네오펜틸디글시딜에테르, 레조시놀디글리시딜에테르, 디에틸렌글라이콜디글리시딜에테르, 에틸렌글라이콜디글리시딜에테르, 트리메틸올프로판트리글리시딜에테르, n-부틸 글리시딜 에테르, 2-에틸헥실 글리시딜 에테르, 페닐 글리시딜 에테르, 및 o-크레실(Cresyl) 글리시딜 에테르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이 본 발명의 제2에폭시 화합물로 사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2에폭시 화합물은 호모폴리머의 유리전이온도가 0℃ 내지 60℃ 정도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한편, 이로써 한정되는 것은 아니나, 본 발명의 경우, 상기 에폭시 화합물로 에폭시화 지방족 고리기를 하나 이상 포함하는 제 1 에폭시 화합물 및 글리시딜에테르기를 하나 이상 포함하는 제 2 에폭시 화합물의 조합을 사용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제1에폭시 화합물과 제2에폭시 화합물의 조합을 사용하는 경우, 저점도와 접착력을 만족할 뿐만 아니라, 편광판의 열 충격 물성이 향상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상기 제2에폭시 화합물은 제1에폭시 화합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30 내지 100 중량부의 함량으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에폭시 화합물의 함량이 100 중량부를 초과할 경우, 전체 접착제 조성물의 유리전이온도가 낮아져 내열성이 저하되고, 30 중량부 미만인 경우에는 접착력이 저하될 수 있기 때문이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활성 에너지선 경화형 접착제는, 상기 제1에폭시 화합물과 제2에폭시 화합물의 중량비가 1:1 내지 3:1 정도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1:1 내지 2:1의 중량비, 가장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에폭시 화합물과 제2에폭시 화합물이 1:1의 중량비로 혼합되어 사용될 수 있다. 제1에폭시 화합물과 제2에폭시 화합물의 중량비율이 상기 범위를 만족할 때, 유리전이온도 및 접착력 면에서 가장 바람직한 물성을 얻을 수 있다.
한편, 상기 양이온성 광 중합 개시제는 활성 에너지 선의 조사에 의해 양이온(cation) 종이나 루이스산을 만들어내는 화합물로서, 예를 들면 방향족 디아조늄염, 방향족 요오드 알루미늄염이나 방향족 설포늄염과 같은 오늄염, 철-아렌 착제 등을 들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상기 양이온성 광 중합 개시제의 함량은 제1에폭시 화합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0.5 내지 20 중량부 정도이며,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15 중량부 정도, 더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10 중량부 정도이다.
한편, 상기 활성 에너지선 경화형 접착제는 필요에 따라, 분자 내에 적어도 1개의 옥세타닐기를 갖는 옥세탄 화합물 100 내지 400 중량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옥세탄 화합물을 사용할 경우, 접착제의 점도를 낮추어 접착제층의 박막화 할 수 있다.
옥세탄 화합물은 분자 내에 적어도 1개의 옥세타닐기를 갖는 것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당해 기술 분야에 잘 알려진 다양한 옥세탄 화합물을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본 발명의 상기 옥세탄 화합물로는, 3-에틸-3-〔(3-에틸옥세탄-3-일)메톡시메틸〕옥세탄, 1,4-비스〔(3-에틸옥세탄-3-일)메톡시메틸〕벤젠, 1,4-비스〔(3-에틸옥세탄-3-일)메톡시〕벤젠, 1,3-비스〔(3-에틸옥세탄-3-일)메톡시〕벤젠, 1,2-비스〔(3-에틸옥세탄-3-일)메톡시〕벤젠, 4,4'-비스〔(3-에틸옥세탄-3-일)메톡시〕비페닐, 2,2'-비스〔(3-에틸옥세탄-3-일)메톡시〕비페닐, 3,3',5,5'-테트라메틸-4,4'-비스〔(3-에틸옥세탄-3-일)메톡시〕비페닐, 2,7-비스〔(3-에틸옥세탄-3-일)메톡시〕나프탈렌, 비스〔4-{(3-에틸옥세탄-3-일)메톡시}페닐〕메탄, 비스〔2-{(3-에틸옥세탄-3-일)메톡시}페닐〕메탄, 2,2-비스〔4-{(3-에틸옥세탄-3-일)메톡시}페닐〕프로판, 노볼락형페놀-포름알데히드 수지의 3-클로로메틸-3-에틸옥세탄에 의한 에테르화 변성물, 3(4),8(9)-비스〔(3-에틸옥세탄-3-일)메톡시메틸〕-트리시클로[5.2.1.0 2,6]데칸, 2,3-비스〔(3-에틸옥세탄-3-일)메톡시메틸〕노르보르난, 1,1,1-트리스〔(3-에틸옥세탄-3-일)메톡시메틸〕프로판, 1-부톡시-2,2-비스〔(3-에틸옥세탄-3-일)메톡시메틸〕부탄, 1,2-비스〔{2-(3-에틸옥세탄-3-일)메톡시}에틸티오〕에탄, 비스〔{4-(3-에틸옥세탄-3-일)메틸티오}페닐〕술피드, 1,6-비스〔(3-에틸옥세탄-3-일)메톡시〕-2,2,3,3,4,4,5,5-옥타플루오로헥산 등을 들 수 있다. 한편, 상기 옥세탄 화합물의 함량은 제1에폭시 화합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100 내지 400 중량부, 보다 바람직하게는 150 내지 300 중량부 정도인 것이 바람직하다.
옥세탄 화합물로 옥세타닐기를 2개 갖는 경우 접착제층의 유리전이온도를 높이는데 효과적이며 옥세타닐기를 1개 갖는 경우 접착력에 유리하다.
한편, 상기 활성 에너지선 경화형 접착제는, 상기 성분들과 함께, 필요에 따라, 비닐계 화합물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비닐계 화합물이 첨가될 경우, 저점도를 유지할 수 있으며, 경화 후 접착체층의 유리전이온도가 낮아지는 현상을 감소시킬 수 있다.
상기, 비닐계 화합물로는, 예를 들면, 히드록시C1 - 6알킬비닐에테르 및/또는 비닐아세테이트가 사용될 수 있으며, 상기 히드록시 C1 - 6알킬비닐에테르는, 히드록시에틸비닐에테르, 히드록시부틸비닐에테르, 1,4-사이클로헥산디메탄올 비닐에테르, 4-(히드록시메틸)사이클로헥실메틸 비닐에테르, 에틸렌글리콜비닐에테르, 디에틸렌글리콜 모노비닐에테르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일 수 있다.
한편, 비닐계 화합물은 전체 접착제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0.1 중량부 내지 10 중량부, 또는 0.1 중량부 내지 5 중량부의 비율로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편광판용 접착제 조성물은, 상기 성분들과 함께, 필요에 따라, 실란 커플링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실란 커플링제가 포함될 경우, 실란 커플링제가 접착제의 표면 에너지를 낮춰주어 접착제 웨팅성(wetting)이 향상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때 상기 실란 커플링제는 에폭시기, 비닐기, 라디칼기와 같은 양이온 중합성 관능기를 포함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본 발명자들은 상기 양이온 중합성 관능기를 포함하는 실란 커플링제를 사용할 경우, 계면 활성제나 양이온 중합성 관능기가 포함되지 않은 실란 커플링제를 사용하는 경우와 달리 접착제의 유리전이온도를 저하시키지 않으면서 웨팅성을 개선할 수 있음을 알아내었다. 이는 실란 커플링제의 양이온 중합성 관능기가 접착제 조성물의 실란기와 반응하면서 가교 형태를 이루면서 경화 후 접착체층의 유리전이온도가 낮아지는 현상을 감소시키기 때문인 것으로 사료된다.
본 발명에서 사용 가능한 실란 커플링제는, 이로써 한정되는 것은 아니나, 예를 들면, 하기 화학식1로 표시되는 실란 커플링제일 수 있다.
[화학식 1]
Si(R1)n(R2)4-n
상기 [화학식 1]에서 R1은 규소 원자에 결합되어 있는 양이온 중합성 관능기로서, 고리형 에테르기 또는 비닐옥시기를 포함하는 관능기이고, R2는 규소 원자에 결합되어 있는 수소, 히드록시기, 알킬기 또는 알콕시기이며, n은 1 내지 4의 정수이다.
상기 [화학식 1]을 만족하는 실란 커플링제의 구체적인 예로는, 2-(3,4-에폭시시클로헥실)에틸 트리메톡시 실란, 3-글리시독시프로필 트리 메톡시 실란, 글리시독시프로필 메틸디에톡시 실란, 글리시독시프로필 트리에톡시, 비닐트리메톡시실란 또는 비닐트리에톡시실란 등이 예시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 가능한 실란 커플링제로는, 실록산 올리고머의 분자 내에 상기한 양이온 중합성 관능기가 도입되어 있는 올리고머 타입의 실란 화합물이 사용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실록산 올리고머는 분자쇄의 말단이 알콕시실릴기로 봉쇄되는 비교적 저분자량의 실리콘 수지일 수 있다. 이때, 상기 실란 화합물은 전체 접착제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0.1 중량부 내지 10 중량부, 또는 0.1 중량부 내지 5 중량부의 비율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범위에서 접착제층이 적절한 표면 에너지 및 접착성을 나타낼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활성 에너지선 경화형 접착제는, 필요에 따라, 라디칼 중합성 모노머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라디칼 중합성 모노머의 예로는 라디칼 경화성 성분으로서 여러 가지의 화합물을 들 수 있고, (메타)아크릴관능기는 1개 이상을 포함하며, 예를 들면 (메타)아크릴레이트류, (메타)아크릴아미드류, 말레이미드류, (메타)아크릴산, 말레인산, 이타콘산, (메타)아크릴알데히드, (메타)아크릴로일모르폴린, N-비닐-2-피롤리돈, 트리알릴이소시아누레이트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분자 내에 1개의 (메타)아크릴로일기를 갖는 (메타)아크릴레이트류의 구체예로서는 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프로필(메타)아크릴레이트, 이소프로필(메타)아크릴레이트, 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 이소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 2-에틸헥실(메타)아크릴레이트, 옥틸(메타)아크릴레이트, 이소옥틸(메타)아크릴레이트, 라우릴(메타)아크릴레이트, 스테아릴(메타)아크릴레이트, 2-히드록시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2-히드록시프로필(메타)아크릴레이트, 4-히드록시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 시클로헥실(메타)아크릴레이트, 이소보르닐(메타)아크릴레이트, 1,4-시클로헥산디메틸롤모노(메타)아크릴레이트, 디시클로펜타닐(메타)아크릴레이트, 디시클로펜테닐(메타)아크릴레이트, 디시클로펜테닐옥시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벤질(메타)아크릴레이트, 페놀알킬렌옥사이드 부가물의 (메타)아크릴레이트, p-쿠밀페놀알킬렌옥사이드 부가물의 (메타)아크릴레이트, o-페닐페놀알킬렌옥사이드 부가물의 (메타)아크릴레이트, 노닐페놀알킬렌옥사이드 부가물의 (메타)아크릴레이트, 2-메톡시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에톡시에톡시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2-에틸헥실알콜의 알킬렌옥사이드 부가물의 (메타)아크릴레이트, 에틸렌글리콜모노(메타)아크릴레이트, 프로필렌글리콜모노(메타)아크릴레이트, 펜탄디올모노(메타)아크릴레이트, 헥산디올모노(메타)아크릴레이트, 디에틸렌글리콜의 모노(메타)아크릴레이트, 트리에틸렌글리콜의 모노(메타)아크릴레이트, 테트라에틸렌글리콜의 모노(메타)아크릴레이트, 폴리에틸렌글리콜의 모노(메타)아크릴레이트, 디프로필렌글리콜의 모노(메타)아크릴레이트, 트리프로필렌글리콜의 모노(메타)아크릴레이트, 폴리프로필렌글리콜의 모노(메타)아크릴레이트, 2-히드록시-3-페녹시프로필(메타)아크릴레이트, 2-히드록시-3-부톡시프로필(메타)아크릴레이트, 테트라히드로푸르푸릴(메타)아크릴레이트, 카프로락톤 변성 테트라히드로 푸르푸릴(메타)아크릴레이트, 2-에틸-2-메틸-1,3-디옥솔란-4-일)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2-이소부틸-2-메틸-1,3-디옥솔란-4-일)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1,4-디옥사스피로[4,5]데칸-2-일)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글리시딜(메타)아크릴레이트, 3,4-에폭시시클로헥실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3-에틸옥세탄-3-일)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2-(메타)아크릴로일옥시메틸이소시아네이트, 알릴(메타)아크릴레이트, N-(메타)아크릴로일옥시에틸헥사히드로프탈이미드, N-(메타)아크릴로일옥시에틸테트라히드로프탈이미드, 2-(메타)아크릴로일옥시에틸헥사히드로프탈산, 2-(메타)아크릴로일옥시에틸숙신산,ω-카르복시-폴리카프로락톤모노(메타)아크릴레이트, 2-(메타)아크릴로일옥시에틸애시드포스페이트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메타)아크릴아미드류의 구체예로서는 (메타)아크릴아미드, N,N-디메틸(메타)아크릴아미드, N,N-디에틸(메타)아크릴아미드, N-메틸롤(메타)아크릴아미드, N-(3-N,N-디메틸아미노프로필)(메타)아크릴아미드, 메틸렌비스(메타)아크릴아미드, 에틸렌비스(메타)아크릴아미드, N,N-디알릴(메타)아크릴아미드 등을 들 수 있다.
말레이미드류의 구체예로서는 N-메틸말레이미드, N-히드록시에틸말레이미드, N-히드록시에틸시트라콘이미드, N-히드록시에틸시트라콘이미드와 이소포론디이소시아네이트의 우레탄아크릴레이트 등을 들 수 있다.
분자 내에 2개의 (메타)아크릴로일기를 갖는 (메타)아크릴레이트류의 구체예로서는 1,3-부탄다이올디(메타)아크릴레이트, 1,6-헥산다이올디(메타)아크릴레이트, 1,9-노난다이올디(메타)아크릴레이트, 1,10-데칸다이올디(메타)아크릴레이트, 1,3-부틸렌글리콜 디(메타)아크릴레이트, 2-메타아크릴로일옥시에틸에시트포스페이트, 에틸렌글리콜디(메타)아크릴레이트, 디에틸렌글리콜디(메타)아크릴레이트, 트리에틸렌글리콜디(메타)아크릴레이트, 네오펜틸글리콜디(메타)아크릴레이트, 디프로필렌글리콜디(메타)아크릴레이트, 트리프로필렌글리콜디(메타)아크릴레이트, 테트라에틸렌글리콜디(메타)아크릴레이트, 사이클로헥산디메탄올디(메타)아크릴레이트, 폴리에틸렌글리콜디(메타)아크릴레이트, 폴리에틸렌글리콜(200)디(메타)아크릴레이트, 폴리에틸렌글리콜(400)디(메타)아크릴레이트, 폴리에틸렌글리콜(600)디(메타)아크릴레이트, 글리세린디(메타)아크릴레이트, 2-히드록시-3-아크릴로옥시프로필메타아크릴레이트, 디메틸롤트리사이크로데칸디(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을 들 수 있다.
분자 내에 3개의 (메타)아크릴로일기를 갖는 (메타)아크릴레이트류의 구체예로서는 트리메틸올프로판트리(메타)아크릴레이트, 트리메틸올프로판트리(메타)아크릴레이트, 트리메틸올프로판 트리(메타)아크릴레이트, 디트리메틸올프로판 트리(메타)아크릴레이트, 트리메틸프로판 트리(메타)아크릴레이트, 트리(2-히드록시 에틸)이소시안우레이트 트리아크릴레이트, 트리(2-히드록시 에틸)이소시아우레이트, 펜타리트리톨 트리아크릴레이트, 에톡시레이트 트리메틸올프로판트리(메타)아크릴레이트, 프록시레이트트리메틸올프로판트리(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을 들 수 있다.
분자 내에 4, 5개의 (메타)아크릴로일기를 갖는 (메타)아크릴레이트류의 구체예로서는 펜타리트리톨 테트라(메타)아크릴레이트, 디 트리메틸올프로란 테트라(메타)아크릴레이트, 디펜타리트리톨 펜타(메타)아크릴레이트, 에폭시레이트 펜타리트리톨테트라(메타)아크릴레이트, 펜타아크릴레이트에스터 등을 들 수 있다. 분자 내 6개의 (메타)아크릴로일기를 갖는 (메타)아크릴레이트류의 구체예로서는 디펜타리트리톨 헥사(메타)아크릴레이트를 들 수 있다.
상기 라디칼 중합성 모노머의 함량은 전체 접착제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0 초과 40 중량부 이하 정도이며, 바람직하게는 5 내지 30 중량부 정도, 더 바람직하게는 5 내지 25 중량부 정도이다.
한편, 상기와 같이 접착제 조성물이 라디칼 중합성 모노머를 포함하는 경우에는 그 라디칼 중합성을 촉진하여 경화속도를 향상시키기 위해 광 라디칼 중합 개시제를 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광 라디칼 중합 개시제로는, 이로써 한정되는 것은 아니나, 예를 들면, 아세토페논계 광 중합 개시제, 벤조인 에테르계 광 중합 개시제, 벤조 페논계 광 중합 개시제, 티오크산톤계 광 중합 개시제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광 라디칼 중합 개시제의 함량은 전체 접착제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0.5 내지 20 중량부 정도이며,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15 중량부 정도, 더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10 중량부 정도이다.
또한, 상기 활성 에너지선 경화형 접착제는 필요에 따라 광증감제, 산화방지제, 올리고머 및 부착증진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으며, 우레탄 아크릴레이트를 0 초과 4 이하의 중량부로 추가로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우레탄 아크릴레이트가 추가되는 경우 점도가 상승하는 경향이 있으나 온도를 가하여 접착제의 상승된 점도를 낮출 수 있다.
상기와 같은 활성 에너지선 경화형 접착제는 경화 후 유리전이온도가 80℃ 이상, 바람직하게는 80℃ 내지 120℃로 내열성이 매우 우수하다. 실제로 본 발명의 접착제 조성물을 이용하여 제조된 편광판은 80℃에서 내열 내구성 및 열 충격성을 평가하였을 때, 편광자 깨짐이 발생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상기 활성 에너지선 경화형 접착제는 25℃에서의 점도가 15 내지 80cP 정도, 바람직하게는 15 내지 50cP 정도로 낮기 때문에 작업성이 우수하고, 얇은 접착층 두께에서 우수한 접착력을 나타낸다.
한편,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접착제층은 그 두께는 10㎛ 이하 정도,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5㎛ 정도인 것이 좋다. 접착층 두께가 10㎛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편광판 외관이 주름이 지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으며, 접착층 두께가 0.1㎛ 이상인 경우, 접착제층의 균일도 및 접착력 측면에서 보다 바람직하다.
한편, 편광자의 타면에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필름 이외의 투명 고분자 필름이 부착될 경우, 상기 투명 고분자 필름과 편광자 역시 접착제에 의해 부착될 수 있다. 다만,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이외의 고분자 필름과 편광자의 부착에 사용되는 접착제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당해 기술 분야에서 사용되는 다양한 접착제들, 예를 들면, 폴리비닐알코올계 접착제와 같은 수계 접착제, 아크릴계 접착제, 우레탄 접착제 등과 같은 라디칼 경화형 접착제, 에폭시계 접착제와 같은 광 양이온성 접착제 등이 사용될 수 있다. 공정의 편의성 측면을 고려할 때, 수계 접착제보다는 활성 에너지선 접착제가 사용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나, 이 경우에도 반드시 상기한 조성의 활성 에너지선 경화형 접착제가 사용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며, 사용되는 고분자 필름의 종류에 따라 적절한 접착제가 사용될 수 있다.
(4) 프라이머층
본 발명의 편광판은 접착제층과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필름 사이에 접착제층과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필름의 접착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프라이머층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상기 프라이머층은, 이로써 한정되는 것은 아니나, 예를 들면, 폴리에스테르 및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바인더 수지 및 아크릴계 가교제, 에폭시계 가교제 및 폴리비닐알코올계 가교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가교제를 포함하는 프라이머 조성물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에폭시계 가교제는, 이로써 한정되는 것은 아니나, 지환족 에폭시기 또는 방향족 에폭시기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한편, 접착력 향상 효과 및 광학 물성 등을 고려할 때, 상기 프라이머 조성물은, 이로써 한정되는 것은 아니나, 바인더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가교제 0.1 내지 50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프라이머 조성물은, 필요에 따라, 프라이머 조성물의 물성을 해하지 않는 범위에서, 상기 성분들 이외에도 왁스, 유기 미립자, 무기 미립자, 소포제, 증점제, 윤활제, 산화 방지제 등과 같은 성분들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프라이머 조성물은 상기와 같은 성분들을 수중에서 적절한 비율로 배합하여 혼합 또는 분산시키는 방법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은 프라이머 조성물에 의해 형성되는 프라이머 층은 그 두께가 약 100nm 내지 1㎛ 정도인 것이 바람직하다. 프라이머층이 100nm이하일 경우 접착력이 감소하며 1㎛이상이 되면 프라이머 코팅시 건조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아 필름끼리 블로킹이 발생하여 파단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프라이머층 표면의 수접촉각은 40 내지 100도인 것이 바람직하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50 내지 90도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60 내지 80도이다. 수접촉각이 40도 미만인 경우는 프라이머층의 친수성이 강하기 때문에 편광자의 요오드와 반응하여 요오드 배열을 저해하여 단체색상이 흩뜨려지고 편광도가 저해될 수 있으며, 수접촉각이 100도를 초과하는 경우 프라이머층의 소수성이 강하여 편광자와의 접착이 어렵게 된다.
한편, 편광자의 타면에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필름 이외의 투명 고분자 필름이 부착될 경우, 상기 투명 고분자 필름과 접착제층 사이에도 프라이머층이 구비될 수 있다. 다만, 고분자 필름과 접착제층의 접착력이 충분한 경우에는 프라이머층이 생략될 수도 있다.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이외의 고분자 필름과 접착제층 사이에 형성되는 프라이머층의 조성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사용되는 고분자 필름과 접착제층에 따라 적절하게 선택될 수 있다. 다만 공정의 편의성 및 경제성 등을 고려할 때, 상기한 프라이머 조성물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편광판은 예를 들면, 투명 고분자 필름의 일면에 프라이머 조성물을 도포하여 프라이머층을 형성하고, 상기 프라이머층 또는 편광자 일면에 활성 에너지선 경화형 접착제 조성물을 도포하여 접착층을 형성한 다음, 편광자와 투명기재필름을 합판한 후 광 조사를 통해 접착제 조성물을 경화시키는 방법으로 제조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편광판은 편광자의 일면에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필름을 부착하고, 다른 면에 다른 종류의 필름을 부착하는 경우에도 컬 특성이 우수하게 나타날 뿐 아니라, 내구성, 단체 투과도, 편광도 및 색상 등과 같은 물성들도 매우 우수하다. 구체적으로는, 본 발명의 편광판은 단체 투과도가 40 ~ 45% 정도, 편광도가 99% 이상으로 우수한 광학 특성을 가지며, 60℃ 온도의 물에 24시간 침지시켰을 때, MD 방향의 편광판 탈색이 10mm 미만으로 우수한 내수성을 갖는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편광판은 액정표시장치 또는 유기 EL 표시 장치 등과 같은 화상표시장치에 유용하게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본 발명의 화상표시장치는, 액정 패널 및 이 액정 패널의 양면에 각각 구비된 편광판들을 포함하는 액정 표시장치일 수 있으며, 이때, 상기 편광판 중 적어도 하나가 본 발명에 따른 편광판일 수 있다. 이때 상기 액정표시장치에 포함되는 액정 패널의 종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그 종류에 제한되지 않고, TN(twisted nematic)형, STN(super twisted nematic)형, F(ferroelectic)형 또는 PD(polymer dispersed)형과 같은 수동 행렬 방식의 패널; 2단자형(two terminal) 또는 3단자형(three terminal)과 같은 능동행렬 방식의 패널; 횡전계형(IPS; In Plane Switching) 패널 및 수직배향형(VA; Vertical Alignment) 패널 등의 공지의 패널이 모두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액정표시장치를 구성하는 기타 구성, 예를 들면, 상부 및 하부 기판(ex. 컬러 필터 기판 또는 어레이 기판) 등의 종류 역시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이 분야에 공지되어 있는 구성이 제한 없이 채용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이하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예시를 위한 것이며, 하기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조예 1 - 접착제 A
호모폴리머의 유리전이온도가 190℃인 3,4-에폭시시클로헥실메틸-3,4'-에폭시시클로헥산카복실레이트 25중량%(Diel사의 Celloxide 2021P), 호모폴리머의 유리전이온도가 25℃인 1,2-시클로헥산 디메탄올 디글리시딜에테르 25중량%, 3-에틸-3-[(3-에틸옥세탄-3-일)메톡시메틸]옥세탄(도아 고세이 아론 옥세탄 DOX221) 50중량%를 넣어 제조한 수지 조성물 100 중량부에 양이온 개시제인 CPI 100P(Sanapro사) 5 중량부를 첨가하여 편광판용 접착제 조성물 A를 제조하였다. 제조된 접착제 조성물 A의 점도는 35cP, 유리전이온도는 102℃였다.
실시예 1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필름의 일면에 폴리에스테르 수지 및 에폭시계 가교제를 포함하는 프라이머 조성물(폴리에스테르 수지와 에폭시계 가교제를 블랜딩한 수지 조성물[제조사: TAKAMATSU社, 상품명: A115GE] 40 중량부, 실리카 3 중량부 및 물 57 중량부)을 코팅하여 프라이머층이 형성된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필름을 제조하였다.
코로나 처리된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 필름(제조사: 후지 필름, 상품명: NRT)을 준비하였다.
그런 다음, 편광자 양면에 상기 제조예 1에 의해 제조된 접착제 A를 도포하고, 상기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필름 및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 필름(NRT 필름)을 적층한 다음, 라미네이터를 통과시켰다. 이때, 상기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필름의 프라이머층이 접착제층 쪽으로 오도록 적층하였다. 그런 다음, UV 조사 장치(메탈 할라이드 램프)를 이용하여, 500mJ/cm2의 자외선을 조사하여 접착제층을 경화시켜 PET 필름/프라이머층/접착제층/편광자/접착제층/NRT 필름의 구조로 이루어진 편광판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1
프라이머층이 형성된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필름 대신에 코로나 처리된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 필름(제조사: 후지 필름, 상품명: UZ TAC)을 사용한 점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편광판을 제조하였다. 제조된 편광판은 UZ TAC 필름/접착제층/편광자/접착제층/NRT 필름의 구조로 이루어진 편광판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2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필름의 일면에 폴리에스테르 수지 및 아크릴계 가교제를 포함하는 프라이머 조성물을 코팅하여 프라이머층이 형성된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필름을 제조하였다.
코로나 처리된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 필름(제조사: 후지 필름, 상품명: NRT)을 준비하였다.
그런 다음, 편광자 양면에 아세토아세틸기 변성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 및 글리옥살산염을 가교제로 포함하는 수계 접착제를 도포하고, 상기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필름 및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 필름(NRT 필름)을 적층한 다음, 라미네이터를 통과시켰다. 이때, 상기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필름의 프라이머층이 접착제층 쪽으로 오도록 적층하였다. 그런 다음, 80℃ 오븐에서 5분간 건조하여 접착제층을 경화시켜 PET 필름/프라이머층/접착제층/편광자/접착제층/NRT 필름의 구조로 이루어진 편광판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3
프라이머층이 형성된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필름 대신에 코로나 처리된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 필름(제조사: 후지 필름, 상품명: UZ TAC)을 사용한 점을 제외하고는, 비교예 2와 동일한 방법으로 편광판을 제조하였다. 제조된 편광판은 UZ TAC 필름/접착제층/편광자/접착제층/NRT 필름의 구조로 이루어진 편광판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4
프라이머층을 형성하지 않은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필름을 사용한 점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편광판을 제조하였다. 제조된 편광판은 PET 필름/접착제층/편광자/접착제층/NRT 필름의 구조였다.
비교예 5
폴리에스테르 수지 및 에폭시계 가교제를 포함하는 프라이머 조성물 대신 폴리에스테르 수지 및 우레탄계 가교제를 첨가한 프라이머 조성물을 사용한 점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편광판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6
폴리에스테르 수지 및 에폭시계 가교제를 포함하는 프라이머 조성물 대신 폴리우레탄 수지를 포함하는 프라이머 조성물을 사용한 점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편광판을 제조하였다.
실험예 1 - 컬 특성 측정
상기 실시예 1 및 비교예 1 내지 6에 의해 제조된 편광판의 컬 특성을 육안으로 관찰하였다. 도 1 내지 도 7에는 실시예 1 및 비교예 1 내지 6의 편광판 컬 특성을 보여주는 사진이 도시되어 있다. 도 1 내지 도 7을 통해, 실시예 1의 편광판은 컬이 발생하지 않는 반면, 비교예 1 내지 6에 의해 제조된 편광판들에서는 컬이 발생함을 알 수 있다.
실험예 2 - 내수성 측정
실시예 1에 의해 제조된 편광판과 비교예 1에 의해 제조된 편광판을 60℃ 온도의 물에 24시간 동안 침지시킨 후, 편광판 상태를 육안으로 관찰하였다. 도 8은 실시예 1 및 비교예 1의 편광판을 24시간 동안 침지시킨 후의 상태를 보여주는 사진이다. 도 8을 통해, 실시예 1의 편광판의 경우, 24시간 침지 후에도 거의 변화가 없는 반면, 비교예 1의 편광판은 4시간 침지 후에 말단 부분에 탈색이 발생하기 시작하였으며, 24시간 침지 후에 대대적인 편광판 탈색이 발생하였음을 알 수 있다.
실시예 2
일면에 1,1,1-트리플루오로에탄을 혼합한 아크릴 수지를 도포하여 형성된 저굴절율층이 코팅된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필름 상에 폴리에스테르 수지 및 에폭시계 가교제를 포함하는 프라이머 조성물(폴리에스테르 수지와 에폭시계 가교제를 블랜딩한 수지 조성물[제조사: TAKAMATSU社, 상품명: A115GE] 40 중량부, 실리카 3 중량부 및 물 57 중량부)을 코팅하여 프라이머층이 형성된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필름을 제조하였다.
다음으로, 폴리(N-시클로헥산말레이미드-co-메틸메타크릴레이트-co-α메틸-스티렌) 수지 조성물을 원료 호퍼(hopper)로부터 압출기까지 질소 치환한 24φ의 압출기에 공급하여 240℃에서 용융하여 원료 펠렛(pellet)을 제조하였다. 얻어진 원료 펠렛을 진공 건조한 후, 원료 호퍼로부터 압출기를 질소 치환한 트윈 압출기에 공급하고, 260℃에서 압출기로 용융, 코트 행거 타입의 티-다이(T-die)에 통과시키고, 크롬 도금 캐스팅 롤 및 건조 롤 등을 거쳐 아크릴계 광학필름을 제조하였다. 이렇게 제조한 광학 필름을 이축 연신기를 이용하여 135℃에서 2분간 체류한 후, MD 방향으로 100%배, TD 방향으로 100%로 연신하여 아크릴계 필름을 제조하였다.
이와 같이 제조된 아크릴 필름을 코로나처리한 후, 그 위에 CK-PUD-F(조광 우레탄 분산액)을 순수로 희석하여 제조된 10중량%의 프라이머 조성물을 코팅하여 우레탄계 프라이머층이 형성된 아크릴계 필름을 제조하였다.
그런 다음, 편광자 양면에 상기 제조예 1에 의해 제조된 접착제 A를 도포하고, 상기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필름 및 아크릴 필름을 적층한 다음, 라미네이터를 통과시켰다. 이때, 상기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필름과 아크릴 필름의 프라이머층이 접착제층 쪽으로 오도록 적층하였다. 그런 다음, UV 조사 장치(메탈 할라이드 램프)를 이용하여, 500mJ/cm2의 자외선을 조사하여 접착제층을 경화시켜 PET 필름/프라이머층/접착제층/편광자/접착제층/프라이머층/아크릴필름의 구조로 이루어진 편광판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7
프라이머층이 형성된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필름 대신 코로나 처리된 코로나 처리된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 필름(제조사: 후지 필름, 상품명: NRT)을 사용한 점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2와 동일한 방법으로 편광판을 제조하였다. 제조된 편광판은 NRT 필름/접착제층/편광자/접착제층/프라이머층/아크릴필름의 구조였다.
실험예 3 - 광학 물성 측정
실시예 2 및 비교예 7에 의해 제조된 편광판의 광학 물성 및 색상(CIE 색 좌표계에 따른 색상 값)을 JASCO-V-7100 Spectrophotometer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측정 결과는 하기 [표 1]에 개시된 바와 같다.
구분 Ts(%) 단체 a 단체 b DOP(편광도) x y 직교 b
비교예 7 42.69 -1.53 3.47 99.9946 0.196 0.115 -0.92
실시예 2 43.05 -1.68 3.84 99.9951 0.217 0.148 -0.57
상기 [표 1]에 기재된 바와 같이, 저굴절율층이 형성된 PET 필름을 포함하는 실시예 2는 비교예 7과 비교하여, 동등 수준의 편광도를 보이는 동시에 단체 투과율이 향상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실시예 2는 단체색상 a, b 및 직교색상 b값이 상대적으로 더 크므로, 비교예 7에 비하여 편광판 색이 덜 푸른색(bluish)을 띄는바, 색상 특성도 우수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험예 4 - 내열성 측정
실시예 2 및 비교예 7에 의해 제조된 편광판을 80℃ 오븐에 100시간 동안 넣어둔 다음, 상온에서 12시간 동안 방치한 다음, 광학 물성 및 색상의 변화 정도를 측정하였다. 측정 결과는 [표 2]에 기재하였다.
구분 △Ts(%) △단체a △단체b △DOP △x △y △ 직교 b
비교예 7 0.26 -0.16 1.25 -0.0016 0.049 0.095 0.73
실시예 2 0.13 -0.19 1.25 -0.0019 0.047 0.092 0.48
상기 [표 2]에 기재된 바와 같이, 실시예 2의 편광판의 경우, 고온 조건 하에서 단체 투과율 변화량 및 직교 색상 b값의 변화율이 비교예 7의 편광판보다 훨씬 적어 내열성이 우수함을 알 수 있다.

Claims (24)

  1. 편광자의 적어도 일면에 접착제층, 프라이머층 및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필름이 이 순서대로 구비된 편광판으로,
    상기 접착제층은 호모폴리머의 유리전이온도가 120℃ 이상인 제1에폭시 화합물, 호모폴리머의 유리전이온도가 60℃ 이하인 제2에폭시 화합물 및 양이온성 광 중합 개시제를 포함하는 활성 에너지선 경화형 접착제에 의해 형성되며,
    상기 프라이머층은 폴리에스테르 및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바인더 수지 및 아크릴계 가교제, 에폭시계 가교제 및 폴리비닐알코올계 가교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가교제를 포함하는 프라이머 조성물에 의해 형성되는 것인 편광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필름은 투습도가 100g/m2·day 이하이고, 함습율이 1중량% 이하인 편광판.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필름은 적어도 일면에 굴절율이 1.4 내지 1.5인 저굴절율층이 형성된 것인 편광판.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필름은 전체 굴절율이 1.48 내지 1.55인 편광판.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활성 에너지선 경화형 접착제는 호모폴리머의 유리전이온도가 120℃ 이상인 제1에폭시 화합물 100 중량부, 호모폴리머의 유리전이온도가 60℃ 이하인 제2에폭시 화합물 30 내지 100 중량부 및 양이온성 광 중합 개시제 0.5 내지 20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인 편광판.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에폭시 화합물은 지환족 에폭시 화합물 및 방향족 에폭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인 편광판.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에폭시 화합물은 3,4-에폭시시클로헥실메틸-3,4'-에폭시시클로헥산카복실레이트, 비닐사이클로헥센디옥사이드 디시클로펜타디엔디옥사이드, 비스에폭시사이클로펜틸에테르, 비스페놀 A 계 에폭시 화합물 및 비스페놀 F 계 에폭시 화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인 편광판.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에폭시 화합물은 지환족 에폭시 화합물 및 지방족 에폭시 화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인 편광판.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2에폭시 화합물은 글리시딜 에테르기를 하나 이상 포함하는 것인 편광판.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2에폭시 화합물은 1,4-시클로헥산디메탄올 디글리시딜 에테르, 1,4-부탄디올디글시딜에테르, 1,6-헥산디올디글리시딜에테르, 네오펜틸디글시딜에테르, 레조시놀디글리시딜에테르, 디에틸렌글라이콜디글리시딜에테르, 에틸렌글라이콜디글리시딜에테르, 트리메틸올프로판트리글리시딜에테르, n-부틸 글리시딜 에테르, 2-에틸헥실 글리시딜 에테르, 페닐 글리시딜 에테르, 및 o-크레실(Cresyl) 글리시딜 에테르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인 편광판.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활성 에너지선 경화형 접착제는 상기 제1에폭시 화합물과 제2에폭시 화합물을 1:1 내지 3:1의 중량비로 포함하는 것인 편광판.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활성 에너지선 경화형 접착제는 분자 내에 적어도 1개의 옥세타닐기를 갖는 옥세탄 화합물 100 내지 400 중량부를 더 포함하는 편광판.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활성 에너지선 경화형 접착제는 비닐계 화합물을 추가로 포함하며, 상기 비닐계 화합물의 함량은 전체 접착제 100 중량부에 대하여 0.1 내지 10 중량부인 편광판.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비닐계 화합물은 히드록시C1 - 6알킬비닐에테르 및 비닐아세테이트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인 편광판.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활성 에너지선 경화형 접착제는 실란 커플링제를 추가로 포함하며, 상기 실란 커플링제의 함량은 전체 접착제 100 중량부에 대하여 0.1 내지 5 중량부인 편광판.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실란 커플링제는 에폭시기, 비닐기, 라디칼기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양이온 중합성 관능기를 포함하는 것인 편광판.
  1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양이온 중합성 접착제는 라디칼 중합성 모노머를 추가로 포함하며, 상기 라디칼 중합성 모노머의 함량은 전체 접착제 100 중량부에 대하여, 0 초과 40 중량부 이하인 편광판.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활성 에너지선 경화형 접착제는 광 라디칼 중합 개시제를 추가로 포함하며, 상기 광 라디칼 중합 개시제의 함량은 전체 접착제 100 중량부에 대하여, 0.5 내지 20 중량부인 편광판.
  1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활성 에너지선 경화형 접착제는 유리전이온도가 80℃ 내지 120℃인 것인 편광판.
  2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활성 에너지선 경화형 접착제는 25℃에서의 점도가 15 내지 50cP인 것인 편광판.
  2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편광자의 일면에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필름이 배치되고,
    상기 편광자의 타면에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 필름, 사이클로올레핀 폴리머 필름, 폴리에스테르계 필름, 폴리카보네이트 필름 및 아크릴 필름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투명 고분자 필름이 배치되는 것인 편광판.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편광자의 타면에 부착되는 투명 고분자 필름은 위상차를 갖는 일축 연신 필름 또는 이축 연신 필름인 편광판.
  23. 청구항 1 내지 22 중 어느 한 항의 편광판을 포함하는 화상표시장치.
  24.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표시장치는 액정표시장치 또는 유기 EL 표시 장치인 화상표시장치.
KR1020140073329A 2013-06-18 2014-06-17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화상표시장치 KR1016852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14/005366 WO2014204205A1 (ko) 2013-06-18 2014-06-18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화상표시장치
JP2015534411A JP6309012B2 (ja) 2013-06-18 2014-06-18 偏光板およびこれを含む画像表示装置
TW103121007A TWI516552B (zh) 2013-06-18 2014-06-18 偏光板及包含其之影像顯示裝置
CN201480000905.7A CN104395788B (zh) 2013-06-18 2014-06-18 偏光板和包括该偏光板的图像显示装置
US14/388,153 US10353125B2 (en) 2013-06-18 2014-06-18 Polarizing plate and image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69631 2013-06-18
KR20130069631 2013-06-1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47036A true KR20140147036A (ko) 2014-12-29
KR101685252B1 KR101685252B1 (ko) 2016-12-20

Family

ID=526760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73329A KR101685252B1 (ko) 2013-06-18 2014-06-17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화상표시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0353125B2 (ko)
JP (1) JP6309012B2 (ko)
KR (1) KR101685252B1 (ko)
TW (1) TWI516552B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58474A (ko) * 2015-11-18 2017-05-29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 및 이를 이용한 곡면 디스플레이 장치
WO2017099449A1 (ko) * 2015-12-10 2017-06-15 동우화인켐 주식회사 복합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화상 표시 장치
WO2018043891A1 (ko) * 2016-08-29 2018-03-08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
KR20180111559A (ko) * 2017-03-30 2018-10-11 스미또모 가가꾸 가부시키가이샤 광학 적층체
KR20210112947A (ko) * 2020-03-06 2021-09-15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발광표시장치용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발광표시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171309B2 (en) * 2016-12-09 2021-11-09 Lg Chem, Ltd. Encapsulating composition
JP2019053168A (ja) * 2017-09-14 2019-04-04 日東電工株式会社 光学積層体
KR102181860B1 (ko) 2017-09-22 2020-11-23 주식회사 엘지화학 접착제 조성물, 이를 이용하여 형성된 접착제층을 포함하는 편광판
KR102659069B1 (ko) * 2017-09-29 2024-04-23 후지필름 가부시키가이샤 보호막, 편광판, 및 액정 표시 장치
KR102244789B1 (ko) * 2017-12-15 2021-04-26 주식회사 엘지화학 편광판, 편광판-캐리어 필름 적층체, 편광판-캐리어 필름 적층체의 제조방법, 편광판의 제조방법 및 활성 에너지선 경화형 조성물
KR102054787B1 (ko) * 2018-03-28 2019-12-11 고오 가가쿠고교 가부시키가이샤 피복용 수지 조성물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033085A (ja) * 2011-08-01 2013-02-14 Sumitomo Chemical Co Ltd 偏光板の製造方法
KR20130040725A (ko) * 2011-10-14 2013-04-24 주식회사 엘지화학 편광판용 접착제 및 이를 포함하는 편광판
KR20130040724A (ko) * 2011-10-14 2013-04-24 주식회사 엘지화학 양면형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광학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BR9609314A (pt) * 1995-06-26 1999-07-06 Minnesota Mining & Mfg Película de multicamadas
JP2007134293A (ja) * 2005-11-07 2007-05-31 Hs Planning:Kk 透明導電性フィルム及び透明導電性フィルム製造方法
JP5112268B2 (ja) 2007-12-06 2013-01-09 日東電工株式会社 画像表示装置の製造方法
CN106932964B (zh) * 2008-03-31 2020-09-29 3M创新有限公司 光学膜
JP2010054737A (ja) * 2008-08-27 2010-03-11 Fujifilm Corp 防眩フィルム、防眩フィルムの製造方法、偏光板および画像表示装置
KR20100068178A (ko) 2008-12-12 2010-06-22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편광판 및 이것이 구비된 액정표시장치
TWI425258B (zh) 2009-02-03 2014-02-01 Jiro Corporate Plan Inc A polarizing element outer protective film, a polarizing plate, and a liquid crystal display element
JP5471249B2 (ja) 2009-02-06 2014-04-16 大日本印刷株式会社 偏光板保護フィルム、偏光板、および液晶表示装置
JP2010237623A (ja) * 2009-03-31 2010-10-21 Fujifilm Corp 反射防止フィルム、偏光板、画像表示装置
JP2009169447A (ja) * 2009-05-07 2009-07-30 Fujifilm Corp 偏光板および液晶表示装置
JP5486840B2 (ja) 2009-05-14 2014-05-07 リンテック株式会社 反射防止フィルム及びそれを用いた偏光板
KR101194065B1 (ko) 2009-12-29 2012-10-24 제일모직주식회사 편광판 및 그 제조방법
JP5796432B2 (ja) * 2010-09-22 2015-10-21 東レ株式会社 成型体及び電子機器
JP4975186B1 (ja) * 2010-12-16 2012-07-11 日東電工株式会社 偏光膜の製造方法
JP2012203211A (ja) 2011-03-25 2012-10-22 Sumitomo Chemical Co Ltd 偏光板および液晶表示装置
KR20130035353A (ko) 2011-09-30 2013-04-09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편광판용 접착제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편광판
WO2013055158A2 (ko) 2011-10-14 2013-04-18 주식회사 엘지화학 편광판용 접착제 및 이를 포함하는 편광판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033085A (ja) * 2011-08-01 2013-02-14 Sumitomo Chemical Co Ltd 偏光板の製造方法
KR20130040725A (ko) * 2011-10-14 2013-04-24 주식회사 엘지화학 편광판용 접착제 및 이를 포함하는 편광판
KR20130040724A (ko) * 2011-10-14 2013-04-24 주식회사 엘지화학 양면형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광학 장치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58474A (ko) * 2015-11-18 2017-05-29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 및 이를 이용한 곡면 디스플레이 장치
WO2017099449A1 (ko) * 2015-12-10 2017-06-15 동우화인켐 주식회사 복합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화상 표시 장치
WO2018043891A1 (ko) * 2016-08-29 2018-03-08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
US10684504B2 (en) 2016-08-29 2020-06-16 Samsung Sdi Co., Lt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KR20180111559A (ko) * 2017-03-30 2018-10-11 스미또모 가가꾸 가부시키가이샤 광학 적층체
KR20210112947A (ko) * 2020-03-06 2021-09-15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발광표시장치용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발광표시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60062010A1 (en) 2016-03-03
JP2016500833A (ja) 2016-01-14
JP6309012B2 (ja) 2018-04-11
TWI516552B (zh) 2016-01-11
TW201510122A (zh) 2015-03-16
KR101685252B1 (ko) 2016-12-20
US10353125B2 (en) 2019-07-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85252B1 (ko)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화상표시장치
KR101378817B1 (ko) 편광판용 접착제 및 이를 포함하는 편광판
KR101560033B1 (ko) 양면형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광학 장치
KR20180013769A (ko) 광학 적층체
KR101838385B1 (ko) 위상차층 부착 편광판 및 화상 표시 장치
KR102527505B1 (ko) 편광판
KR101627904B1 (ko) 양면형 편광판의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양면형 편광판
KR20210075966A (ko) 화상 표시 장치
KR20100024784A (ko) 코팅형 편광판의 제조방법 및 그로 인해 제조된 코팅형 편광판
WO2012133163A1 (ja) 偏光板および積層光学部材
WO2021240882A1 (ja) 位相差層および粘着剤層付偏光板およびそれを用いた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センス表示装置
WO2020100845A1 (ja) 偏光フィルム、積層偏光フィルム、画像表示パネル、および画像表示装置
KR101854498B1 (ko)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광학표시장치
KR102565135B1 (ko) 편광판
US9726799B2 (en) Method of manufacturing double-sided polarizing plate and double-sided polarizing plate manufactured using the same
KR20190080662A (ko)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광학표시장치
KR102500429B1 (ko) 광경화성 조성물,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화상 표시 장치
WO2023189810A1 (ja) 偏光フィルム、積層偏光フィルム、画像表示パネル、及び画像表示装置
KR20150091829A (ko) 편광판용 접착제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편광판
WO2024111189A1 (ja) 偏光フィルム、光学フィルムおよび画像表示装置
WO2022220256A1 (ja) 粘着剤層付き円偏光フィルム積層体、及び画像表示装置
CN116500717A (zh) 偏振板和图像显示装置
JP2024010494A (ja) 円偏光板および画像表示装置
CN117597614A (zh) 偏振板和使用该偏振板的图像显示装置
KR20140146920A (ko) 편광판용 접착제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편광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