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45245A - 활강 레포츠 장치 - Google Patents

활강 레포츠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45245A
KR20140145245A KR1020130067155A KR20130067155A KR20140145245A KR 20140145245 A KR20140145245 A KR 20140145245A KR 1020130067155 A KR1020130067155 A KR 1020130067155A KR 20130067155 A KR20130067155 A KR 20130067155A KR 20140145245 A KR20140145245 A KR 2014014524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ller
blocks
rail
fixing
hol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671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06140B1 (ko
Inventor
박평수
Original Assignee
(주) 한국 레드벤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한국 레드벤쳐 filed Critical (주) 한국 레드벤쳐
Priority to KR10201300671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06140B1/ko
Publication of KR201401452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452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061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061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GMERRY-GO-ROUNDS; SWINGS; ROCKING-HORSES; CHUTES; SWITCHBACKS; SIMILAR DEVICES FOR PUBLIC AMUSEMENT
    • A63G21/00Chutes; Helter-skelters
    • A63G21/22Suspended slideway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GMERRY-GO-ROUNDS; SWINGS; ROCKING-HORSES; CHUTES; SWITCHBACKS; SIMILAR DEVICES FOR PUBLIC AMUSEMENT
    • A63G21/00Chutes; Helter-skelters
    • A63G21/04Chutes; Helter-skelters with fixed rails

Landscapes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활강 레포츠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기존에 사람을 매달고 높이 차에 의하여 활강하도록 하는 레져 기구는 와이어를 이용한 집 라인이 대부분이었으나 보다 안정적이고 원하는 경로의 곡선 운행이 가능하도록 하면서 롤러나 활강장치의 파손우려를 줄일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개발된 것으로;
일정 간격 수직으로 입설되는 다수의 지주와, 상기 지주를 연결하여 연속적으로 연장되는 사각 단면의 파이프 형상을 가진 레일과, 상기 레일에 장착되고 그 하부에 사람 또는 물체가 매달려 활강하는 활강장치로 구성되는 활강 레포츠 장치에 있어서;
상기 활강장치는 레일의 하단 양측 모서리에 위치하는 제1 내지 제2 하부블럭과, 상단 양측 모서리에서 각각 상기 제1 내지 제2 하부블럭과 결합 고정되는 제1 내지 제2 상부블럭과, 상기 제1 내지 제2 하부블럭과 제1 내지 제2 상부블럭의 중앙을 전후 방향으로 관통하되 상부와 하부로 중앙부분은 각각 상기 제1 내지 제2 하부블럭 그리고 제1 내지 제2 상부블럭 사이가 이격되도록 하는 사각의 레일 관통부와, 상기 제1 내지 제2 하부블럭의 저면 중앙에서 상호 마주보는 방행으로 하향 경사지게 연장된 후 상호 전후 방향으로 면이 밀착하여 수직 아래로 연장되며 수직 아래로 연장된 상부에는 힌지에 의하여 회전가능하게 연결되고 그 하단에는 제1 및 제2 관통홀이 형성되어 고정클립이 장착되는 제1 내지 제2 고정판으로 구성되며;
상기 제1 내지 제2 하부블럭에는 각각 전후 방향으로 이격되어 수직으로 관통되는 한 쌍의 제1 볼트 장착홀과, 상면에서 제1 상기 볼트 장착홀과 동일 중심을 가지고 원형으로 함몰되고 레일 관통부 방향으로 내경 일부가 노출되는 제1 수평롤러 장착홈과, 상기 제1 수평롤러 장착홈의 중앙에서 상기 제1 볼트 장착홀과 동일한 내경으로 상부로 돌출되는 제1 수평롤러 안착돌기와, 상호 마주보는 내측에서 각각 전후 방향으로 이격되어 상기 제1 볼트 장착홀을 지나 더욱 관통하는 하부롤러 고정봉 장착홀과, 상면에서 상기 하부롤러 장착홀과 동일 중심을 가지고 원형으로 함몰되고 레일 관통부 방향으로 내경 일부가 노출되는 하부롤러 장착홈과, 상기 하부롤러 장착홈의 중앙에서 상기 하부롤러 장착홀과 동일한 내경으로 상부로 돌출되는 하부롤러 안착돌기을 구비하고;
상기 제1 내지 제2 상부블럭은 상기 제1 내지 제2 하부블럭과 상하방향으로 대칭이 되도록 제2 볼트 장착홀과, 제2 수평롤러 장착홈과, 제2 수평롤러 안착돌기와, 상부롤러 고정봉 장착홀과, 상부롤러 장착홈과, 상부롤러 안착돌기를 구비하며;
하단과 상단은 각각 제1 내지 제2 볼트 장착홀 중 어느 하나에 삽입되고 상면과 저면에는 나사홀이 형성되어 각각 제1 내지 제2 볼트 장착홀에 삽입된 고정볼트의 끝단과 결합하는 4개의 힌지축과, 상기 힌지축이 관통하고 제1 내지 제2 수평롤러 장착홈에 삽입되는 4개의 수평롤러와;
일단은 외경이 단턱지게 확장되는 헤드가 형성되고 타측은 상기 고정볼트가 삽입되는 삽입홀이 관통 형성되는 8개의 롤러 고정봉과, 상기 하부롤러 및 상부롤러 장착홈에 삽입되고 상기 롤러 고정봉이 관통 삽입되면서 상기 삽입홀에 고정볼트가 관통함으로 고정되는 8개의 수직롤러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활강 레포츠 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활강 레포츠 장치{The equipment for a downhill leisure sports}
본 발명은 활강 레포츠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좀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기존에 사람을 매달고 높이 차에 의하여 활강하도록 하는 레져 기구는 와이어를 이용한 집 라인이 대부분이었으나 보다 안정적이고 원하는 경로의 곡선 운행이 가능하도록 하면서 롤러나 활강장치의 파손우려를 줄일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개발된 활강 레포츠 장치에 관한 것이다.
과거 생활이 윤택하지 못하던 시절에는 의식주를 해결하는 것이 삶의 중요한 목표이자 생활의 대부분을 차지했으나 넉넉한 생활이 이루어지면서 여가 시간을 즐기기 위한 각종 문화와 스포츠가 발전하기 시작했다.
여기에 여가를 뜻하는 레져(leisure)와 스포츠(sports)를 결합한 레포츠는 한가한 시간에 즐기면서 신체를 단련할 수 있는 운동으로 스키, 수상스키, 자전거 트레킹, 스쿠버 다이빙, 각종 서바이벌 게임 등 다양한 분야로 확대되고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최근에는 와이어를 이용하여 일정 구간을 활강하는 집 라인(Zip line) 혹은 집 와이어(Zip wire)가 각지에 시설되면이 이를 즐기고자 하는 사람이 증가하고 있다.
하지만 와이어를 이용하는 경우 와이어의 양단을 지대가 높은 곳과 상대적으로 낮은 곳에 연결하되 중간에 처지는 부분이 최소화되도록 당겨서 일정한 장력을 유지해야하는 것으로 오로지 직선 내리막으로만 주행이 가능하다는 단점이 있으며, 겨울철과 여름철 온도의 변화에 따른 와이어의 수축과 팽창에 효과적으로 대응하지 못하여 장력을 조절하기 위하여 주기적인 점검이 필요한 상황이었다.
(특허 문헌 1) 대한민국실용신안등록 제20-0201005-0000호 (2000년08월16일) (특허 문헌 2) 대한민국실용신안등록 제20-0453067-0000호 (2011년03월29일) (특허 문헌 3) 대한민국특허등록 제10-1122520-0000호 (2012년02월24일)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개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직선활강이 아닌 다양한 곡선을 포함하는 경로를 따라 활강할 수 있는 활강 레포츠 장치를 개발하는 것에 있다.
또한, 레일을 따라 활강을 마친 후 활강장치를 용이하게 분리하고 또 조립할 수 있도록 하면서 사용중에 파손 우려가 없도록 하는 견고한 활강 레포츠 장치를 개발하는 것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일정 간격 수직으로 입설되는 다수의 지주와, 상기 지주를 연결하여 연속적으로 연장되는 사각 단면의 파이프 형상을 가진 레일과, 상기 레일에 장착되고 그 하부에 사람 또는 물체가 매달려 활강하는 활강장치로 구성되는 활강 레포츠 장치에 있어서;
상기 활강장치는 레일의 하단 양측 모서리에 위치하는 제1 내지 제2 하부블럭과, 상단 양측 모서리에서 각각 상기 제1 내지 제2 하부블럭과 결합 고정되는 제1 내지 제2 상부블럭과, 상기 제1 내지 제2 하부블럭과 제1 내지 제2 상부블럭의 중앙을 전후 방향으로 관통하되 상부와 하부로 중앙부분은 각각 상기 제1 내지 제2 하부블럭 그리고 제1 내지 제2 상부블럭 사이가 이격되도록 하는 사각의 레일 관통부와, 상기 제1 내지 제2 하부블럭의 저면 중앙에서 상호 마주보는 방행으로 하향 경사지게 연장된 후 상호 전후 방향으로 면이 밀착하여 수직 아래로 연장되며 수직 아래로 연장된 상부에는 힌지에 의하여 회전가능하게 연결되고 그 하단에는 제1 및 제2 관통홀이 형성되어 고정클립이 장착되는 제1 내지 제2 고정판으로 구성되며;
상기 제1 내지 제2 하부블럭에는 각각 전후 방향으로 이격되어 수직으로 관통되는 한 쌍의 제1 볼트 장착홀과, 상면에서 제1 상기 볼트 장착홀과 동일 중심을 가지고 원형으로 함몰되고 레일 관통부 방향으로 내경 일부가 노출되는 제1 수평롤러 장착홈과, 상기 제1 수평롤러 장착홈의 중앙에서 상기 제1 볼트 장착홀과 동일한 내경으로 상부로 돌출되는 제1 수평롤러 안착돌기와, 상호 마주보는 내측에서 각각 전후 방향으로 이격되어 상기 제1 볼트 장착홀을 지나 더욱 관통하는 하부롤러 고정봉 장착홀과, 상면에서 상기 하부롤러 장착홀과 동일 중심을 가지고 원형으로 함몰되고 레일 관통부 방향으로 내경 일부가 노출되는 하부롤러 장착홈과, 상기 하부롤러 장착홈의 중앙에서 상기 하부롤러 장착홀과 동일한 내경으로 상부로 돌출되는 하부롤러 안착돌기을 구비하고;
상기 제1 내지 제2 상부블럭은 상기 제1 내지 제2 하부블럭과 상하방향으로 대칭이 되도록 제2 볼트 장착홀과, 제2 수평롤러 장착홈과, 제2 수평롤러 안착돌기와, 상부롤러 고정봉 장착홀과, 상부롤러 장착홈과, 상부롤러 안착돌기를 구비하며;
하단과 상단은 각각 제1 내지 제2 볼트 장착홀 중 어느 하나에 삽입되고 상면과 저면에는 나사홀이 형성되어 각각 제1 내지 제2 볼트 장착홀에 삽입된 고정볼트의 끝단과 결합하는 4개의 힌지축과, 상기 힌지축이 관통하고 제1 내지 제2 수평롤러 장착홈에 삽입되는 4개의 수평롤러와;
일단은 외경이 단턱지게 확장되는 헤드가 형성되고 타측은 상기 고정볼트가 삽입되는 삽입홀이 관통 형성되는 8개의 롤러 고정봉과, 상기 하부롤러 및 상부롤러 장착홈에 삽입되고 상기 롤러 고정봉이 관통 삽입되면서 상기 삽입홀에 고정볼트가 관통함으로 고정되는 8개의 수직롤러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와이어가 아닌 일정 간격으로 시설되는 다수의 지주와 연결되는 레일을 따라 활강하는 것으로 시설자가 원하는 다양한 경로를 따라 활강할 수 있도록 하여 지형이 제한되지 않고 사용자가 다양한 곳의 풍경과 속도감을 활강장치를 통하여 활강하면서 느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사용자가 활강장치를 레일에서 용이하게 분리하고 장착할 수 있으며, 견고한 블럭으로 제작되고 12개의 롤러에 의하여 가이드되도록 하여 강한 내구성을 가지도록 하여 안전사고의 위험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용상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레일과 활강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활강장치가 레일에 결합하기 전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활강장치의 분해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활강장치의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활강장치가 레일에 결합하기 전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이에 본 발명의 구성을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당업자가 용이하게 이해하고 재현할 수 있도록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용상태도로서, 일정 간격 수직으로 입설되는 다수의 지주(1)와, 상기 지주(2)를 연결하여 연속적으로 연장되는 사각 단만의 파이프 형상을 가진 레일(2)과, 상기 레일(2)에 장착되고 그 하부에 사람 또는 물체가 매달려 활강하는 활강장치(3)를 형성한다면 기존 와이어와 같이 직선의 구간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곡선 활강구간과 중간에 경사도를 조절하여 다양한 속도를 느끼면서 즐길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활강장치(3)는 이하 도면에서 보다 상세하게 도시하겠으며, 레일(2)에 대하여 이탈과 분리가 용이해야함은 당연한 것이겠지만 레일(2)에서 이탈을 하거나 활강장치(3)가 파손되는 경우 인명사고의 위험이 있는 것으로 사용의 편리함과 견고한 내구성 두 가지를 모두 갖추어야하는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레일과 활강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활강장치가 레일에 결합하기 전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활강장치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활강장치의 단면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활강장치가 레일에 결합하기 전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로서, 일정 간격 수직으로 입설되는 다수의 지주(1)와, 상기 지주(2)를 연결하여 연속적으로 연장되는 사각 단면의 파이프 형상을 가진 레일(2)과, 상기 레일(2)에 장착되고 그 하부에 사람 또는 물체가 매달려 활강하는 활강장치(3)로 구성되는 활강 레포츠 장치에 있어서;
상기 활강장치(3)는 레일(2)의 하단 양측 모서리에 위치하는 제1 내지 제2 하부블럭(31, 32)과, 상단 양측 모서리에서 각각 상기 제1 내지 제2 하부블럭(31, 32)과 결합 고정되는 제1 내지 제2 상부블럭(33, 34)과, 상기 제1 내지 제2 하부블럭(31, 32)과 제1 내지 제2 상부블럭(33, 34)의 중앙을 전후 방향으로 관통하되 상부와 하부로 중앙부분은 각각 상기 제1 내지 제2 하부블럭(31, 32) 그리고 제1 내지 제2 상부블럭(33, 34) 사이가 이격되도록 하는 사각의 레일 관통부(35)와, 상기 제1 내지 제2 하부블럭(31, 32)의 저면 중앙에서 상호 마주보는 방행으로 하향 경사지게 연장된 후 상호 전후 방향으로 면이 밀착하여 수직 아래로 연장되며 수직 아래로 연장된 상부에는 힌지(36)에 의하여 회전가능하게 연결되고 그 하단에는 제1 및 제2 관통홀(371, 381)이 형성되어 고정클립(8)이 장착되는 제1 내지 제2 고정판(37, 38)으로 구성되며;
상기 제1 내지 제2 하부블럭(31, 32)에는 각각 전후 방향으로 이격되어 수직으로 관통되는 한 쌍의 제1 볼트 장착홀(311, 321)과, 상면에서 제1 상기 볼트 장착홀(311, 321)과 동일 중심을 가지고 원형으로 함몰되고 레일 관통부(35) 방향으로 내경 일부가 노출되는 제1 수평롤러 장착홈(312, 322)과, 상기 제1 수평롤러 장착홈(312, 322)의 중앙에서 상기 제1 볼트 장착홀(311, 321)과 동일한 내경으로 상부로 돌출되는 제1 수평롤러 안착돌기(313, 323)와, 상호 마주보는 내측에서 각각 전후 방향으로 이격되어 상기 제1 볼트 장착홀(311, 321)을 지나 더욱 관통하는 하부롤러 고정봉 장착홀(314, 324)과, 상면에서 상기 하부롤러 장착홀(314, 324)과 동일 중심을 가지고 원형으로 함몰되고 레일 관통부(35) 방향으로 내경 일부가 노출되는 하부롤러 장착홈(315, 325)과, 상기 하부롤러 장착홈(316, 326)의 중앙에서 상기 하부롤러 장착홀(314, 324)과 동일한 내경으로 상부로 돌출되는 하부롤러 안착돌기(316, 326)을 구비하고;
상기 제1 내지 제2 상부블럭(33, 34)은 상기 제1 내지 제2 하부블럭(31, 32)과 상하방향으로 대칭이 되도록 제2 볼트 장착홀(331, 341)과, 제2 수평롤러 장착홈(332, 342)과, 제2 수평롤러 안착돌기(333, 343)와, 상부롤러 고정봉 장착홀(334, 344)과, 상부롤러 장착홈(335, 345)과, 상부롤러 안착돌기(336, 346)을 구비하며;
하단과 상단은 각각 제1 내지 제2 볼트 장착홀(311, 321, 331, 341) 중 어느 하나에 삽입되고 상면과 저면에는 나사홀(41)이 형성되어 각각 제1 내지 제2 볼트 장착홀(311, 321, 331, 341)에 삽입된 고정볼트(42)의 끝단과 결합하는 4개의 힌지축(4)과, 상기 힌지축(4)이 관통하고 제1 내지 제2 수평롤러 장착홈(312, 322, 332, 342)에 삽입되는 4개의 수평롤러(5)와;
일단은 외경이 단턱지게 확장되는 헤드(61)가 형성되고 타측은 상기 고정볼트(42)가 삽입되는 삽입홀(62)이 관통 형성되는 8개의 롤러 고정봉(6)과, 상기 하부롤러 및 상부롤러 장착홈(315, 325, 335, 345)에 삽입되고 상기 롤러 고정봉(6)이 관통 삽입되면서 상기 삽입홀(62)에 고정볼트(42)가 관통함으로 고정되는 8개의 수직롤러(7)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활강 레포츠 장치를 나타내었다.
본원은 기본적으로 힌지(36)에 의하여 가위와 같이 회전가능하게 연결되고 두개의 제1 내지 제2 고정판(37, 38)이 겹치지 않고 벌어졌을 때 레일(2)에서 분리가능한 상태가 되고, 장착할 경우에는 레일(2)을 레일 관통부(35)의 사이에 위치하도록 한 다음 제1 내지 제2 고정판(37, 38)이 겹치도록 접고 제1 및 제2 관통홀(371, 381)에 고정클립(8)을 장착하게 되면 다시 벌어지지 않고 고정된 상태가 되는 것이다.
이때 일련의 장치를 구성함에 있어 판넬을 접는 방법을 택하지 않고 단단한 블럭을 가공하여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서, 내구성이 매우 우수하여 작동 중 파손은 바로 인명의 피해로 직결되는 만큼 안정성을 높이도록 한 것이다.
또한 레일(2)에는 상면과 저면 양단에 모두 8개의 수직롤러(7)가 밀착하녀 회전하고 양측면에는 모두 4개의 수평롤러(5)가 밀착하여 회전하도록 하여 마찰력이 최소화될 수 있으며 회전이나 정지와 같은 힘이 치우치는 곳에서도 분산이 용이하도록 하였다.
특히 이러한 다수의 롤러를 배치하면 마찰력의 줄어들어 빠른 하강이 이루어지며 이는 레일(2)의 경사도가 급경사가 아니고 완만한 경사에서도 본원의 활강 레포츠를 즐길 수 있다는 장점이 있는 것이다.
1 : 지주
2 : 레일
3 : 활강장치
31 : 제1 하부블럭
311 : 제1 볼트 장착홀 312 : 제1 수평롤러 장착홈
313 : 제1 수평롤러 안착돌기 314 : 하부롤러 고정봉 장착홀
315 : 하부롤러 장착홈 316 : 하부롤러 안착돌기
32 : 제2 하부블럭
321 : 제1 볼트 장착홀 322 : 제1 수평롤러 장착홈
323 : 제1 수평롤러 안착돌기 324 : 하부롤러 고정봉 장착홀
325 : 하부롤러 장착홈 326 : 하부롤러 안착돌기
33 : 제1 상부블럭
331 : 제2 볼트 장착홀 332 : 제2 수평롤러 장착홈
333 : 제2 수평롤러 안착돌기 334 : 상부롤러 고정봉 장착홀
335 : 상부롤러 장착홈 336 : 상부롤러 안착돌기
34 : 제2 상부블럭
341 : 제2 볼트 장착홀 342 : 제2 수평롤러 장착홈
343 : 제2 수평롤러 안착돌기 344 : 상부롤러 고정봉 장착홀
345 : 상부롤러 장착홈 346 : 상부롤러 안착돌기
35 : 레일 관통부
36 : 힌지
37 : 제1 고정판
371 : 제1 관통홀
38 : 제2 고정판
381 : 제2 관통홀
4 : 힌지축
41 : 나사홀 42 : 고정볼트
5 : 수평롤러
6 : 롤러 고정봉
61 : 헤드 62 : 삽입홀
7 : 수직롤러
8 : 고정클립

Claims (1)

  1. 일정 간격 수직으로 입설되는 다수의 지주(1)와, 상기 지주(2)를 연결하여 연속적으로 연장되는 사각 단면의 파이프 형상을 가진 레일(2)과, 상기 레일(2)에 장착되고 그 하부에 사람 또는 물체가 매달려 활강하는 활강장치(3)로 구성되는 활강 레포츠 장치에 있어서;
    상기 활강장치(3)는 레일(2)의 하단 양측 모서리에 위치하는 제1 내지 제2 하부블럭(31, 32)과, 상단 양측 모서리에서 각각 상기 제1 내지 제2 하부블럭(31, 32)과 결합 고정되는 제1 내지 제2 상부블럭(33, 34)과, 상기 제1 내지 제2 하부블럭(31, 32)과 제1 내지 제2 상부블럭(33, 34)의 중앙을 전후 방향으로 관통하되 상부와 하부로 중앙부분은 각각 상기 제1 내지 제2 하부블럭(31, 32) 그리고 제1 내지 제2 상부블럭(33, 34) 사이가 이격되도록 하는 사각의 레일 관통부(35)와, 상기 제1 내지 제2 하부블럭(31, 32)의 저면 중앙에서 상호 마주보는 방행으로 하향 경사지게 연장된 후 상호 전후 방향으로 면이 밀착하여 수직 아래로 연장되며 수직 아래로 연장된 상부에는 힌지(36)에 의하여 회전가능하게 연결되고 그 하단에는 제1 및 제2 관통홀(371, 381)이 형성되어 고정클립(8)이 장착되는 제1 내지 제2 고정판(37, 38)으로 구성되며;
    상기 제1 내지 제2 하부블럭(31, 32)에는 각각 전후 방향으로 이격되어 수직으로 관통되는 한 쌍의 제1 볼트 장착홀(311, 321)과, 상면에서 제1 상기 볼트 장착홀(311, 321)과 동일 중심을 가지고 원형으로 함몰되고 레일 관통부(35) 방향으로 내경 일부가 노출되는 제1 수평롤러 장착홈(312, 322)과, 상기 제1 수평롤러 장착홈(312, 322)의 중앙에서 상기 제1 볼트 장착홀(311, 321)과 동일한 내경으로 상부로 돌출되는 제1 수평롤러 안착돌기(313, 323)와, 상호 마주보는 내측에서 각각 전후 방향으로 이격되어 상기 제1 볼트 장착홀(311, 321)을 지나 더욱 관통하는 하부롤러 고정봉 장착홀(314, 324)과, 상면에서 상기 하부롤러 장착홀(314, 324)과 동일 중심을 가지고 원형으로 함몰되고 레일 관통부(35) 방향으로 내경 일부가 노출되는 하부롤러 장착홈(315, 325)과, 상기 하부롤러 장착홈(316, 326)의 중앙에서 상기 하부롤러 장착홀(314, 324)과 동일한 내경으로 상부로 돌출되는 하부롤러 안착돌기(316, 326)을 구비하고;
    상기 제1 내지 제2 상부블럭(33, 34)은 상기 제1 내지 제2 하부블럭(31, 32)과 상하방향으로 대칭이 되도록 제2 볼트 장착홀(331, 341)과, 제2 수평롤러 장착홈(332, 342)과, 제2 수평롤러 안착돌기(333, 343)와, 상부롤러 고정봉 장착홀(334, 344)과, 상부롤러 장착홈(335, 345)과, 상부롤러 안착돌기(336, 346)을 구비하며;
    하단과 상단은 각각 제1 내지 제2 볼트 장착홀(311, 321, 331, 341) 중 어느 하나에 삽입되고 상면과 저면에는 나사홀(41)이 형성되어 각각 제1 내지 제2 볼트 장착홀(311, 321, 331, 341)에 삽입된 고정볼트(42)의 끝단과 결합하는 4개의 힌지축(4)과, 상기 힌지축(4)이 관통하고 제1 내지 제2 수평롤러 장착홈(312, 322, 332, 342)에 삽입되는 4개의 수평롤러(5)와;
    일단은 외경이 단턱지게 확장되는 헤드(61)가 형성되고 타측은 상기 고정볼트(42)가 삽입되는 삽입홀(62)이 관통 형성되는 8개의 롤러 고정봉(6)과, 상기 하부롤러 및 상부롤러 장착홈(315, 325, 335, 345)에 삽입되고 상기 롤러 고정봉(6)이 관통 삽입되면서 상기 삽입홀(62)에 고정볼트(42)가 관통함으로 고정되는 8개의 수직롤러(7)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활강 레포츠 장치.
KR1020130067155A 2013-06-12 2013-06-12 활강 레포츠 장치 KR1015061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67155A KR101506140B1 (ko) 2013-06-12 2013-06-12 활강 레포츠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67155A KR101506140B1 (ko) 2013-06-12 2013-06-12 활강 레포츠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45245A true KR20140145245A (ko) 2014-12-23
KR101506140B1 KR101506140B1 (ko) 2015-03-27

Family

ID=526750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67155A KR101506140B1 (ko) 2013-06-12 2013-06-12 활강 레포츠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06140B1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86281B1 (ko) * 2015-02-04 2016-01-20 주식회사 챌린지코리아 레저용 스카이 바이크
KR101635940B1 (ko) * 2015-12-23 2016-07-05 주식회사 챌린지코리아 활강 레포츠 장치
EP3159052A1 (en) * 2015-10-23 2017-04-26 Treemagineers Ltd System and apparatus for moving objects
JP6444553B1 (ja) * 2018-01-26 2018-12-26 株式会社造景エンジニアリング 滑走遊具
RU187544U1 (ru) * 2018-08-30 2019-03-12 Василий Александрович Хохрин Аттракцион скоростного спуска
RU188294U1 (ru) * 2018-08-30 2019-04-04 Василий Александрович Хохрин Аттракцион скоростного спуска
KR102278956B1 (ko) * 2020-02-24 2021-07-19 금성에이스산업(주) 파이프 롤러 가이드
KR102423526B1 (ko) * 2022-03-22 2022-07-21 길승환 짚 클램프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932046B2 (en) * 2013-10-28 2018-04-03 Landscape Structures Inc. Zip track system
KR20210151363A (ko) 2020-06-05 2021-12-14 도태구 스카이 행거 레일 바이크 시스템
KR102228932B1 (ko) 2020-06-25 2021-03-18 이주영 레저용 활강장치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637213B2 (en) 2005-06-28 2009-12-29 Cylvick Eric S Universal brake assembly
KR101032886B1 (ko) 2009-12-21 2011-05-06 짚라인코리아 (주) 와이어를 이용한 레저용 비행 시설물
KR101217805B1 (ko) * 2010-09-13 2013-01-03 강인구 쌍줄 짚라인
KR200468180Y1 (ko) * 2011-03-30 2013-07-31 와바다다 주식회사 공중하강 체험시설에서 사람 또는 장비를 역으로 이송하는 장치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86281B1 (ko) * 2015-02-04 2016-01-20 주식회사 챌린지코리아 레저용 스카이 바이크
EP3159052A1 (en) * 2015-10-23 2017-04-26 Treemagineers Ltd System and apparatus for moving objects
KR101635940B1 (ko) * 2015-12-23 2016-07-05 주식회사 챌린지코리아 활강 레포츠 장치
JP6444553B1 (ja) * 2018-01-26 2018-12-26 株式会社造景エンジニアリング 滑走遊具
RU187544U1 (ru) * 2018-08-30 2019-03-12 Василий Александрович Хохрин Аттракцион скоростного спуска
RU188294U1 (ru) * 2018-08-30 2019-04-04 Василий Александрович Хохрин Аттракцион скоростного спуска
KR102278956B1 (ko) * 2020-02-24 2021-07-19 금성에이스산업(주) 파이프 롤러 가이드
KR102423526B1 (ko) * 2022-03-22 2022-07-21 길승환 짚 클램프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06140B1 (ko) 2015-03-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06140B1 (ko) 활강 레포츠 장치
KR101635940B1 (ko) 활강 레포츠 장치
KR101942017B1 (ko) 익사이팅 사이클
KR101951178B1 (ko) 사용기능을 개선 시킨 유아용 킥보드
ATE477157T1 (de) Wintererholungsvorrichtung
KR101300142B1 (ko) 활강 레포츠 장치
US20130005493A1 (en) Swing ride tilting swing chair back and forth
WO2010002894A3 (en) Propulsion vehicle which travels along a soft, porous track
KR101413744B1 (ko) 롤 블라인드 작동줄의 안전장치
KR101213739B1 (ko) 쌍줄 짚라인
US6994631B1 (en) Swing
KR101217805B1 (ko) 쌍줄 짚라인
KR101318334B1 (ko) 전후 유동식 파고라
KR101426861B1 (ko) 다방향 운송시스템
CN106999777B (zh) 幼儿用组装游乐设备
KR200449991Y1 (ko) 시소
KR200290587Y1 (ko) 암벽등반연습을 위한 구조물
CN110787458A (zh) 一种铰接式水滑梯
CN204775401U (zh) 儿童推车
CN207708500U (zh) 一种硬质轨道滑行装置
CN203234414U (zh) 一种户外摇椅装置
KR102627741B1 (ko) 트랙 글라이딩 놀이기구
CN202194409U (zh) 家用儿童游泳池
CN202263390U (zh) 一种三角平台
KR20130002133U (ko) 서프보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12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