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28932B1 - 레저용 활강장치 - Google Patents

레저용 활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28932B1
KR102228932B1 KR1020200077850A KR20200077850A KR102228932B1 KR 102228932 B1 KR102228932 B1 KR 102228932B1 KR 1020200077850 A KR1020200077850 A KR 1020200077850A KR 20200077850 A KR20200077850 A KR 20200077850A KR 102228932 B1 KR102228932 B1 KR 1022289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ool
rail
gear
coupled
sli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778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주영
정우성
Original Assignee
이주영
정우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주영, 정우성 filed Critical 이주영
Priority to KR10202000778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2893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289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289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GMERRY-GO-ROUNDS; SWINGS; ROCKING-HORSES; CHUTES; SWITCHBACKS; SIMILAR DEVICES FOR PUBLIC AMUSEMENT
    • A63G21/00Chutes; Helter-skelters
    • A63G21/22Suspended slideway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GMERRY-GO-ROUNDS; SWINGS; ROCKING-HORSES; CHUTES; SWITCHBACKS; SIMILAR DEVICES FOR PUBLIC AMUSEMENT
    • A63G21/00Chutes; Helter-skelters
    • A63G21/04Chutes; Helter-skelters with fixed rai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BRAILWAY SYSTEMS; EQUIPMENT THEREFO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1B3/00Elevated railway systems with suspended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urtains And Furnishings For Windows Or Doors (AREA)

Abstract

본 명세서에 개시된 내용은 활강에 사용되는 파지부의 원위치 이동이 편리한 레저용 활강장치의 제공에 관한 것이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레저용 활강장치는 일단에서 타단까지 경사지게 하향 연장되도록 형성되는 레일부, 상기 레일부와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이동판들 및 상기 이동판들 사이에서 상기 레일부를 둘러싸며 이격 배치되고 상기 레일부의 표면에 밀착되어 회전되는 롤러부들을 포함하는 슬라이딩부, 상기 레일부의 상부에서 상기 슬라이딩부와 연결된 와이어가 권취되는 제1 스풀 및 상기 제1 스풀과 기어 연결되는 제2 스풀을 포함하는 기어구동부 및 상기 제2 스풀과 와이어를 통해 연결되는 중량추를 포함하고, 상기 슬라이딩부가 상기 레일부의 타단을 향해 이동되면 상기 중량추는 상승된다.

Description

레저용 활강장치{DOWNHILL APPARATUS FOR LEISURE}
본 명세서에 개시된 내용은 활강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레저용 활강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달리 표시되지 않는 한, 이 섹션에 설명되는 내용들은 이 출원의 청구항들에 대한 종래 기술이 아니며, 이 섹션에 포함된다고 하여 종래 기술이라고 인정되는 것은 아니다.
최근에는 주말에 레저를 즐기는 개인 또는 가족이 증가하여 레저와 스포츠의 단어들이 결합되어 형성된 레포츠 관련 시장이 증가하고 있고, 이에 따라 활강장치를 포함하는 레포츠 관련 장비 기술 개발이 연구되고 있다.
하지만, 기존의 활강장치의 경우 이용자가 매달리는 파지부가 레일 또는 로프를 따라 하강 또는 활강하며 이동한 후에는 다시 되돌리기 위해 인력이나 별도의 구동부를 사용해야 하는 단점이 있었다.
이와 관련하여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300142호는 활강 레포츠 장치를 개시하고 있고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506140호는 활강 레포츠 장치를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기존 발명들은 활강하면서 사용되는 파지부를 원위치로 편리하게 되돌리는 기술은 개시하지 않고 있다.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300142호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506140호
활강에 사용되는 파지부의 원위치 이동이 편리한 레저용 활강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들로 한정되지 않으며, 이하의 설명으로부터 또 다른 기술적 과제가 도출될 수도 있음은 자명하다.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레저용 활강장치는 일단에서 타단까지 경사지게 하향 연장되도록 형성되는 레일부, 상기 레일부와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이동판들 및 상기 이동판들 사이에서 상기 레일부를 둘러싸며 이격 배치되고 상기 레일부의 표면에 밀착되어 회전되는 롤러부들을 포함하는 슬라이딩부, 상기 레일부의 상부에서 상기 슬라이딩부와 연결된 와이어가 권취되는 제1 스풀 및 상기 제1 스풀과 기어 연결되는 제2 스풀을 포함하는 기어구동부 및 상기 제2 스풀과 와이어를 통해 연결되는 중량추를 포함하고, 상기 슬라이딩부가 상기 레일부의 타단을 향해 이동되면 상기 중량추는 상승된다.
또한, 상기 레일부는 원기둥 형태로 연장되도록 형성되는 레일 및 상기 레일의 상부면에서 상부를 향해 수직판 형태로 연장되는 가이드판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동판들 각각은 일단은 상기 가이드판의 일측에서 상기 레일의 하부를 향해 아치 형태로 연장되고, 타단은 일단에서 상기 가이드판의 타측을 향해 아치 형태로 연장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슬라이딩부는 상기 가이드판의 일측 및 타측에서 상기 이동판의 일단 및 타단에 결합되고, 롤러들을 통해 상기 가이드판과 밀착되는 가이드롤러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롤러부들 각각은 상기 이동판들 사이를 연결하는 제1 판, 상기 이동판의 연장 방향을 따라 상기 제1 판과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이동판들을 연결하는 제2 판 및 상기 제1 판과 제2 판 사이에 결합되는 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기어구동부는 상기 제1 스풀의 일측에서 상기 제1 스풀과 회전축을 통해 연결되는 제1 기어 및 상기 제2 스풀의 타측에서 상기 제1 기어에 치합되고 회동축을 통해 상기 제2 스풀과 연결되는 제2 기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레저용 활강장치는 상기 슬라이딩부의 하부에 탈착 또는 부착이 가능하게 결합되는 고리 형태로 형성되는 클립을 구비하는 파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일 실시예에 따르면, 레저용 활강장치는 레일을 따라 전방 또는 후방을 향해 이동되는 슬라이딩부가 전방 및 하부를 향해 하강하면 슬라이딩부와 연결되는 중량추가 하강하면서 슬라이딩부를 자동으로 원위치로 이동시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레저용 활강장치는 원통형의 레일의 표면을 둘러싸는 환형태의 이동판들 사이에 복수의 롤러들이 레일과 밀착되도록 형성되기 때문에 파지부가 별도의 가이드없이 안정적으로 레일을 따라 이동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레저용 활강장치는 슬라이딩부가 레일부를 따라 이동되면서 기어구동부를 통해 슬라이딩부와 연결되어 상하부로 이동되는 중량추의 이동 거리가 상기 슬라이딩부의 슬라이딩 이동거리보다 짧아 설치가 용이하고, 중량추의 이동 거리가 짧기 때문에 슬라이딩부가 급격하게 이동하는 경우 중량추는 안정적으로 이동되는 장점이 있다.
아울러, 이와 같은 기재된 본 발명의 효과는 발명자가 인지하는지 여부와 무관하게 기재된 내용의 구성에 의해 당연히 발휘되게 되는 것이므로 상술한 효과는 기재된 내용에 따른 몇 가지 효과일 뿐 발명자가 파악 또는 실재하는 모든 효과를 기재한 것이라 인정되어서는 안 된다.
또한, 본 발명의 효과는 명세서의 전체적인 기재에 의해서 추가로 파악되어야 할 것이며, 설사 명시적인 문장으로 기재되어 있지 않더라도 기재된 내용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명세서를 통해 그러한 효과가 있는 것으로 인정할 수 있는 효과라면 본 명세서에 기재된 효과로 보아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내용에 따른 레저용 활강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슬라이딩부의 분해사시도.
도 3은 도 1의 기어구동부의 분해사시도.
도 4는 도 1의 레저용 활강장치의 구동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들.
도 5는 본 명세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레저용 활강장치의 사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레저용 활강장치의 구성, 동작 및 작용효과에 대하여 살펴본다. 참고로, 이하 도면에서, 각 구성요소는 편의 및 명확성을 위하여 생략되거나 개략적으로 도시되었으며,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 크기를 반영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하며 개별 도면에서 동일 구성에 대한 도면 부호는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내용에 따른 레저용 활강장치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2는 도 1의 슬라이딩부의 분해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3은 도 1의 기어구동부의 분해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4는 도 1의 레저용 활강장치의 구동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들을 도시한다.
도 1 내지 4들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저용 활강장치(100)는 지지부(150), 레일부(200), 슬라이딩부(300), 기어구동부(400), 파지부(500) 및 중량추(600)를 포함한다.
지지부(150)는 일측지지대(151)들, 타측지지대(152)들, 지지대(153, 154, 155, 159) 및 수직지지대(156, 157, 158)들을 포함한다.
지지부(150)는 상대적으로 낮은 고도에 형성되는 하층부(20) 및 하층부(20)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고도에 형성되는 고층부(22)에 각각 형성되어 레일부(200)의 양끝단을 지지한다.
일측지지대(151)들 각각은 하층부(20) 및 고층부(22)의 일측에 해당하는 위치에서 상부 또는 하부를 향해 연장된 직육면체 프레임 형태로 형성되고, 하부는 하층부(20) 및 고층부(22) 각각에 결합된다.
타측지지대(152)들 각각은 상부 또는 하부를 향해 연장된 직육면체 프레임 형태로 형성되고, 하층부(20) 및 고층부(22)에 해당하는 위치에서 일측지지대(151)의 타측에 소정의 거리만큼 이격되도록 배치되어 각각의 하부는 하층부(20) 및 고층부(22) 각각에 결합된다.
지지대(153)의 일단은 일측 또는 타측으로 연장된 원기둥 형태로 형성되어 일측지지대(151)의 상부 끝단에서 소정의 거리만큼 하부를 향해 이격된 위치에 해당하는 일측지지대(151)의 타측면에 결합된다.
지지대(153)의 타단은 일단에서 원기둥 형태를 유지하면서 고층부(22)의 상부표면과 평행하도록 타측을 향해 소정의 거리만큼 연장되어 타측지지대(152)의 일측면에 결합된다.
지지대(154)의 일단은 일측 또는 타측으로 연장된 원기둥 형태로 형성되고 지지대(153)의 상부에 소정의 거리만큼 이격된 위치에서 일측지지대(151)의 타측면에 결합되며, 타단은 일단에서 지지대(153)와 평행하도록 타측을 향해 연장되어 타측지지대(152)의 일측에 결합된다.
지지대(155)의 일단은 일측 또는 타측으로 연장된 사각프레임 형태로 형성되어 일단의 저면은 지지대(154)의 일단 상부 및 전방(제1 방향)에 해당하는 위치에 결합되고, 타단은 일단에서 지지대(154)의 상부면을 따라 타측을 향해 연장되어 타측지지대(152)의 일측에 결합된다.
따라서, 지지대(155)의 상부면은 제1 방향(1) 및 상부에 해당하는 경사진 방향을 향해 배치되고, 상부면에 결합되는 기어구동부(400)는 안정적으로 지지부(150)에 결합된다.
수직지지대(156)의 일단은 직육면체 형태로 형성되어 지지대(155)의 일단 상부에 결합되고, 타단은 일단에서 지지대(155)의 상부면과 수직한 방향인 제1 방향(1) 및 전방을 향해 경사지게 연장되어 회동축(450) 타단과 결합된다.
수직지지대(157)의 일단은 수직지지대(156)의 일단의 타측에 이격된 위치에서 육면체 형태로 형성되어 지지대(155)의 상부에 결합되고, 타단은 일단에서 지지대(155)의 상부면과 수직한 방향인 제1 방향(1) 및 전방을 향해 경사지게 연장되어 회동축(450)의 일단과 결합된다.
수직지지대(158)의 일단은 수직지지대(157)의 일단의 타측에 이격된 위치에서 육면체 형태로 형성되어 지지대(155)의 타단 상부에 결합되고, 타단은 일단에서 지지대(155)의 상부면과 수직한 방향인 제1 방향(1) 및 전방을 향해 경사지게 소정의 거리만큼 연장되어 회전축(420)의 일단과 결합된다.
지지대(159)의 일단은 일측 또는 타측으로 연장된 원기둥 형태로 형성되어 일측지지대(151)의 상부 타측에 결합되고, 타단은 일단에서 원기둥 형태를 유지하면서 타측을 향해 연장되어 타측지지대(152)의 상부 일측에 결합된다.
도 1 및 2를 참조하면, 레일부(200)는 레일(210) 및 가이드판(220)을 포함한다.
레일부(200)의 일단은 지지대(153)의 일단 및 타단 사이에 해당하는 위치에서 저면이 지지대(153)의 상부에 결합되고, 타단은 일단에서 제1 방향(1) 및 하부를 향해 경사지게 연장되어 지지대(159)의 일단 및 타단 사이에 해당하는 위치에서 지지대(159)의 상부에 결합된다.
레일(210)의 일단은 원기둥 또는 원통 형태로 형성되어 지지대(153)의 상부에 결합되고, 타단은 일단에서 제1 방향(1) 및 하부를 향해 경사지게 연장되어 지지대(159)의 상부에 결합된다.
가이드판(220)의 일단은 넓은 표면이 일측 및 타측을 향하고 제1 방향(1) 및 하부를 향해 연장되는 수직판 형태로 레일(210)의 일단 상부에 결합되고, 타단은 일단에서 레일(210)의 상부면을 따라 레일(210)의 타단 끝단까지 제1 방향(1) 및 하부를 향해 경사지게 연장된다.
슬라이딩부(300)는 이동판(310, 320, 330)들, 롤러부(340) 및 가이드롤러부(350)를 포함한다.
슬라이딩부(300)는 레일부(200)의 일부분을 둘러싸는 환들이 레일부(200)에 밀착되어 회전되는 롤러들을 사이에 두고 서로 연결된 형태로 형성되고, 레일부(200)를 따라 제1 또는 제2 방향(1, 2)을 향해 슬라이딩 이동된다.
이동판(310, 320, 330)들 각각은 동일한 구조로 형성되고, 레일(210)의 연장 방향을 따라 제2 방향(2)쪽부터 제1 방향(1)을 향해 서로 동일한 간격을 두고 이격되도록 배치되며, 이동판(310, 320, 330)들 사이에는 롤러부(340)들이 배치되어 이동판(310, 320, 330)들을 서로 연결시킨다.
이동판(310)의 일단은 가이드판(220)의 일측부터 레일(210)의 하부까지 레일(210)과 이격된 상태를 유지하면서 아치 형태로 연장되어 레일(210)의 일측을 둘러싸도록 형성된다.
이동판(310)의 타단은 일단에서 가이드판(220)의 타측까지 레일(210)의 표면과 이격된 상태를 유지하면서 아치 형태로 연장되어 레일(210)의 타측을 둘러싸도록 형성된다.
이동판(320)의 일단은 이동판(310)의 일단에서 제1 방향(1)쪽에 이격 배치되고, 가이드판(220)의 일측부터 레일(210)의 하부까지 레일(210)과 이격된 상태를 유지하면서 아치 형태로 연장되어 레일(210)의 일측을 둘러싸도록 형성된다.
이동판(320)의 타단은 일단에서 가이드판(220)의 타측까지 레일(210)의 표면과 이격된 상태를 유지하면서 아치 형태로 연장되어 레일(210)의 타측을 둘러싸도록 형성된다.
이동판(330)의 일단은 이동판(320)의 일단에서 제1 방향(1)쪽에 이격 배치되고, 가이드판(220)의 일측부터 레일(210)의 하부까지 레일(210)과 이격된 상태를 유지하면서 반원 형태로 연장되어 아치 형태로 레일(210)의 일측을 둘러싸도록 형성된다.
이동판(330)의 타단은 일단에서 가이드판(220)의 타측까지 레일(210)의 표면과 이격된 상태를 유지하면서 반원 형태로 연장되어 아치 형태로 레일(210)의 타측을 둘러싸도록 형성된다.
롤러부(340)들 각각은 이동판(310, 320, 330)들 각각의 사이에 해당하는 공간에서 서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이격된 상태로 레일부(200)를 둘러싸도록 배치되고 이동판(310, 320, 330)들과 결합되어 이동판(310, 320, 330)들을 연결시킨다.
구체적으로, 롤러부(340)들은 이동판(310, 320)들의 사이에 해당하는 공간에서 가이드판(220)의 일측 및 타측에 해당하는 위치에 배치되어 이동판(310, 320)들과 결합되고, 일부분은 레일(210)의 상부 일측 및 타측에 밀착되어 회전된다.
롤러부(340)들은 이동판(310, 320)들 사이에 해당하는 공간에서 레일(210)의 일측 하부에 해당하는 위치와 타측 하부에 해당하는 위치에 각각 배치되어 이동판(310, 320)들과 결합되고, 일부분은 레일(210)의 표면에 밀착되어 회전된다.
롤러부(340)들은 이동판(320, 330)들의 사이에 해당하는 공간에서 가이드판(220)의 일측 및 타측에 해당하는 위치에 배치되어 이동판(320, 330)들과 결합되고, 일부분은 레일(210)의 일측면 및 상부면 사이에 해당하는 곡면과 레일(210)의 타측면 및 상부면 사이에 해당하는 곡면에 밀착되어 회전된다.
롤러부(340)들은 이동판(310, 320)들 사이에 해당하는 공간에서 레일(210)의 일측 하부에 해당하는 위치와 타측 하부에 해당하는 위치에 각각 배치되어 이동판(310, 320)들과 결합되고, 일부분은 레일(210)의 표면에 밀착되어 회전된다.
롤러부(340)는 제1 판(341), 제2 판(342) 및 롤러(343)를 포함한다.
제1 판(341)의 일단은 플레이트 형태로 형성되어 이동판(310) 또는 이동판(320)의 전면에 결합되고, 타단은 일단에서 레일(210)의 연장방향과 평행하도록 경사지게 하향 연장되어 이동판(320) 또는 이동판(330)의 배면에 결합된다.
제2 판(342)의 일단은 제1 판(341)의 일단과 이동판(320)의 연장 방향을 따라 소정의 거리만큼 이격된 위치에서 이동판(310) 또는 이동판(320)의 전면에 결합되고, 타단은 일단에서 레일(210)의 연장방향과 평행하도록 제1 방향(1) 및 하부로 경사지게 연장되어 이동판(320) 또는 이동판(330)의 배면에 결합된다.
롤러(343)는 제1 및 제2 판(341, 342)의 사이에 해당하는 공간에서 양측의 중심축이 제1 및 제2 판(341, 342) 각각을 향해 연장되어 제1 및 제2 판(341, 342)와 회동이 가능하게 결합되고, 외측면은 이동판(310, 320, 330)들의 안쪽 내측면보다 레일(210)을 향해 돌출되어 레일(210)의 표면과 밀착된다.
따라서, 롤러부(340)들은 서로 이격된 상태에서 레일부(200)를 둘러싸도록 배치된 상태에서 이동판(310, 320, 330)들을 연결하여 이동판(310, 320, 330)들이 레일(210)을 따라 원활히 이동하도록 가이드한다.
또한, 슬라이딩부(300)는 이동판(310, 320, 330)들 외에 추가로 이동판들을 롤러부(340)들을 통해 연결시켜 슬라이딩부(300)의 하부에 결합된 파지부(500)를 통해 매달리는 이용자들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또한, 가이드판(220)을 사이에 두고 서로 이격된 이동판(310, 320, 330)들 각각의 일단 및 타단은 가이드판(220)에 의해 좌우흔들림이 방지되고, 이동판(310, 320, 330)들 사이에 결합되는 롤러부(340)들에 의해 이동판(310, 320, 330)들 각각의 일단 및 타단은 양측으로 벌어지는 것이 방지되는 장점이 있다.
서로 연결되는 이동판(310, 320, 330)들 외에 추가로 이동판들이 롤러부(340)들을 통해 이동판(310, 320, 330)들과 결합되는 경우, 상기 이동판들 사이를 연결시키는 롤러부(340)들에 의해 상기 이동판들 각각의 일단 및 타단이 벌어지는 가능성이 낮아지는 장점이 있다.
이동판(310, 320, 330)들 사이에 해당하는 공간에서 배치되는 롤러부(340)들은 추가로 배치되어 4개 이상의 롤러부(340)들이 이동판(310, 320, 330)들 각각의 사이에 해당하는 공간에 배치될 수 있다.
가이드롤러부(350)는 제1 판(351), 제2 판(352) 및 롤러(353)를 포함한다.
가이드롤러부(350)는 가이드판(220)의 일측 및 타측에서 이동판(310, 330)들 각각의 일단 및 타단에 결합되고, 내장된 롤러들을 통해 가이드판(220)의 일측면 및 타측면에 밀착된다.
제1 판(351)의 일단은 사각플레이트 형태로 이동판(310)의 배면 상부 또는 이동판(330)의 전면 상부에 결합되고, 타단은 일단에서 레일(210)의 연장방향과 평행하게 후방 또는 전방으로 경사지게 연장된다.
제2 판(352)의 일단은 사각플레이트 형태로 제1 판(351)의 직하방에서 이동판(310)의 배면 또는 이동판(330)의 전면에 결합되고, 타단은 일단에서 레일(210)의 연장방향과 평행하게 후방 또는 전방으로 경사지게 연장된다.
롤러(353)는 일부분이 가이드판(220)에 밀착되도록 제1 및 제2 판(351, 352)의 사이에 배치되고, 롤러(353)를 관통하는 회동축은 롤러(353)를 관통하여 제1 및 제2 판(351, 352)과 회동이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따라서, 롤러(353)는 슬라이딩부(300)가 레일(210)을 따라 제1 또는 제2 방향(1, 2)으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슬라이딩부(300)와 일측 또는 타측을 향해 흔들리는 것을 방지하고, 슬라이딩부(300)의 슬라이딩 이동을 안정적으로 가이드한다.
기어구동부(400)는 제1 스풀(410), 회전축(420), 제1 기어(430), 제2 기어(440), 회동축(450), 제2 스풀(460) 및 와이어(470, 480)들을 포함한다.
기어구동부(400)는 레일부(200)의 일단 상부에 배치되어 지지부(150)와 결합되고, 기어 연결되는 복수의 스풀들 각각이 슬라이딩부(300) 및 중량추(600)와 각각 와이어를 통해 연결되어 슬라이딩부(300)가 제1 방향(1)을 향해 이동되면 중량추(600)는 상승한다.
이용자가 파지부(500)를 잡고 슬라이딩부(300)를 통해 레일부(200)를 따라 제1 방향(1)으로 활강 이동하면, 중량추(600)는 상승하고, 이용자가 하층부(20)에서 파지부(500)와 분리되면 중량추(600)가 하강하며 슬라이딩부(300)에 연결된 와이어가 슬라이딩부(300)를 고층부(22)를 향해 끌어당긴다.
예를 들어, 슬라이딩부(300)가 10m의 거리만큼 제1 방향(1)을 향해 이동되면, 기어구동부(400)의 제2 스풀(460)에 감겨지는 와이어(480)에 의해 중량추(600)는 1m의 거리만큼 상승한다.
따라서, 중량추(600)의 승강 또는 하강되는 거리는 슬라이딩부(300)가 제1 또는 제2 방향(1, 2)을 향해 이동하는 거리보다 상대적으로 낮기 때문에 중량추(600)가 상하부 이동되는 높이 대비 레일부(200)의 길이가 길어지도록 제작이 가능하다.
구체적으로, 제1 스풀(410)은 수직지지대(158)의 일측에서 회전축(420)을 통해 일측 또는 타측을 향해 연장된 축을 기준으로 수직지지대(158)와 회동이 가능하게 결합된다.
회전축(420)의 일단은 수직지지대(158)의 일측면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은 제1 스풀(410) 및 제1 기어(430)를 관통하여 수직지지대(157)의 타측면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제1 기어(430)의 타측 중앙부는 제1 스풀(410)의 일측에 이격된 위치에서 회전축(420)의 타단과 결합되고, 제2 기어(440)는 제1 기어(430)의 상부에서 제1 기어(430)와 치합되며, 제2 기어(440)의 일측 중앙부는 수직지지대(157)의 상부를 관통하는 회동축(450)의 일단과 결합된다.
회동축(450)의 일단은 수직지지대(157)를 관통하여 제2 기어(440)와 결합되고, 타단은 타측을 향해 연장되어 수직지지대(156)의 상부에 회동이 가능하게 결합된다.
제2 스풀(460)은 수직지지대(157, 156)들 사이에 해당하는 위치에서 회동축(450)과 결합되어 회동축(450)의 회동에 의해 함께 회동되고, 와이어(480)를 통해 슬라이딩부(300)와 연결된다.
와이어(470)의 일단은 이동판(310, 320, 330)들 일단 또는 타단에 결합되고, 타단은 제1 스풀(410)의 제1 방향(1)쪽에서 제1 스풀(410)의 상부를 둘러싸면서 제1 스풀(410)에 권취된다.
와이어(480)의 일단은 중량추(600)에 결합되고, 타단은 상부를 향해 소정의 거리만큼 연장되어 제2 스풀(460)의 제1 방향(1)쪽에 배치되며, 제2 스풀(460)의 상부를 둘러싸면서 제2 스풀(460)에 권취된다.
따라서, 슬라이딩부(300)가 제1 방향(1)을 향해 이동되면, 제1 스풀(410) 및 제1 기어(430)가 정회전하고, 제2 기어(440) 및 제2 스풀(460)은 역회전하며, 중량추(600)는 상승된다.
반대로, 슬라이딩부(300)가 제2 방향(2)을 향해 이동되면, 제1 스풀(410) 및 제1 기어(430)가 역회전하고, 제2 기어(440) 및 제2 스풀(460)은 정회전하며, 중량추(600)는 하강된다.
제1 및 제2 기어(430, 440)들과 제2 스풀(460)의 외경은 제1 스풀(410)의 외경보다 상대적으로 작게 형성되므로, 제1 스풀(410)이 360도 1회전하는 동안에 제1 스풀(410)에 권취되는 와이어(470)의 길이는 제1 스풀(410)이 360도 1회전하는 동안에 제2 스풀(460)에 권취되는 와이어(480)의 길이보다 상대적으로 길게 형성된다.
따라서, 슬라이딩부(300)가 제1 또는 제2 방향(1, 2)을 향해 이동되는 동안 중량추(600)가 상하부로 이동되는 거리는 슬라이딩부(300)가 제1 또는 제2 방향(1, 2)을 향해 이동되는 거리보다 짧으므로, 중량추(600)가 상하부로 이동되는 공간확보가 불필요하고, 와이어(480)의 제작비용이 감소되는 장점이 있다.
슬라이딩부(300)는 이용자와 함께 하층부(20)를 향해 이동되고 파지부(500)와 분리되면, 중량추(600)가 하중에 의해 자동으로 하강하고 슬라이딩부(300)를 레일(210)의 일단을 향해 이동시켜 활강장치(100)의 이용 편의성이 개선된다.
파지부(500)는 클립(510)들 및 파지유닛(520)들을 포함한다.
파지부(500)는 슬라이딩부(300)의 하부에 탈착 또는 부착이 가능하게 결합되고, 이용자는 파지부(500)를 통해 슬라이딩부(300)에 매달려 레일부(200)를 따라 활강이동이 가능하다.
클립(510)들 각각은 이동판(310, 320, 330)들 각각의 하부를 관통하는 관통홈에 탈착 또는 부착이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클립(510)들 각각에는 파지유닛(520)들 각각이 결합된다.
파지유닛(520)은 일단부는 와이어 형태로 클립(510)을 관통하여 클립(510)을 둘러싸고, 타단부는 일단부에서 양측으로 연장된 와이어들이 파이프 형태의 손잡이의 일측 및 타측 각각에 결합되는 형태로 형성된다.
따라서, 이용자는 파지유닛(520)을 잡고 제1 방향(1)으로 이동하면, 슬라이딩부(300)가 레일부(200)를 따라 이동하는 슬라이딩 이동을 통해 고층부(22)에서 하층부(20)까지 활강체험을 할 수 있다.
한편, 회전축(420) 또는 회동축(450)은 별도의 모터와 연결되어 동력을 제공받을 수 있고, 이를 통해 레일부(200)를 따라 이동되는 슬라이딩부(300)의 이동이 효과적으로 이뤄질 수 있다.
도 5는 본 명세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레저용 활강장치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레저용 활강장치(120)는 지지부(160)의 수평지지대(161) 및 수직지지대(163), 기어구동부(700)의 회동축(710), 제3 기어(720), 제4 기어(730), 회동축(740), 제3 스풀(750), 모터(760) 및 와이어(770)와 승강부(800)를 제외하면 도 1 내지 4들의 레저용 활강장치(100)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동일한 참조번호와 명칭을 사용하고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레저용 활강장치(120)는 기어구동부(700)와 연결된 승강부(800)가 인접한 위치에 형성되고, 슬라이딩부(300) 및 파지부(500)를 통해 하층부(20)를 향해 활강 이동한 이용자들은 승강부(800)를 통해 편리하게 고층부(22)로 이동이 가능하다.
구체적으로, 지지부(160)는 수평지지대(161) 및 수직지지대(162, 163)를 포함한다.
수평지지대(161)의 일단은 육면체 형태로 형성되어 일측지지대(151)의 일측 상부에 결합되고, 타단은 일단에서 일측을 향해 소정의 거리만큼 연장되어 수직지지대(163)의 상부에 결합된다.
수직지지대(162)의 일단은 육면체 형태로 형성되어 수평지지대(161)의 타단 상부에 결합되고, 타단은 일단에서 제1 방향(1) 및 상부를 향해 경사지게 소정의 거리만큼 연장된다.
수직지지대(163)의 일단은 육면체 형태로 형성되어 일측지지대(151)의 일측에 소정의 거리만큼 이격된 위치에서 고층부(22)에 결합되고, 타단은 상부를 향해 소정의 거리만큼 연장되어 수평지지대(161)의 타단과 결합된다.
기어구동부(700)는 회동축(710), 제3 기어(720), 제4 기어(430), 회동축(740), 제3 스풀(750), 모터(760) 및 와이어(770)를 더 포함한다.
기어구동부(700)는 레일부(200)의 일단 상부에 배치되어 지지부(160)와 결합되고, 기어 연결되는 복수의 스풀들 각각이 슬라이딩부(300) 및 중량추(600)와 각각 와이어를 통해 연결되어 슬라이딩부(300)가 제1 방향(1)을 향해 이동되면 중량추(600)는 상승한다.
회동축(710)의 일단은 일측 또는 타측으로 연장된 축 형태로 형성되어 제2 기어(440)의 중심축을 관통하여 제2 기어(440)와 결합되고, 타단은 수직지지대(157), 제2 스풀(460) 및 수직지지대(156)를 관통하여 제2 스풀(460) 및 제3 기어(720)와 결합된다.
제3 기어(720)는 수직지지대(156)의 타단 일측에 소정의 거리만큼 이격되도록 배치되고, 회동축(710)의 타단과 결합되며, 제2 기어(440)가 정회전 또는 역회전되면 회동축(710)에 의해 제2 스풀(460)과 함께 정회전 또는 역회전된다.
제4 기어(730)는 제3 기어(720)의 하부에 배치되어 제3 기어(720)와 치합되고, 제4 기어(730)의 중심을 관통하는 회동축(740)을 통해 제3 스풀(750)의 중심축과 결합된다.
따라서, 제4 기어(730)가 정회전 또는 역회전하면, 제3 스풀(750)은 정회전 또는 역회전하고, 제3 스풀(750)에 권취된 와이어(770)는 제3 스풀(750)에 권취되거나 제3 스풀(750)로부터 권출된다.
제3 스풀(750)은 제4 기어(730)의 일측에 이격 배치되고, 중심축은 회동축(740)을 통해 제4 기어(730)와 연결되며, 제3 스풀(750)의 제1 방향(1) 및 상부를 감싸는 형태로 와이어(770)의 일부분이 제3 스풀(750)에 권취된다.
와이어(770)의 일단은 철근 와이어 또는 케이블 형태로 승강부(800)에 결합되고, 타단은 상부를 향해 연장되어 제3 스풀(750)의 제1 방향(1) 및 상부를 둘러싸면서 제3 스풀(750)에 권취된다.
모터(760)는 제3 스풀(750) 및 수직지지대(162)의 사이에 배치되어 구동축은 제3 스풀(750)의 중심축에 결합되고, 정회전 또는 역회전을 통해 제3 스풀(750)을 정회전 또는 역회전시켜 승강부(800)의 이동을 보조한다.
따라서, 이용자가 슬라이딩부(300)를 따라 하층부(20)로 활강하며 이동하면, 제1 기어(430)가 정회전하고, 제2 기어(440), 제2 스풀(460) 및 제3 기어(720)는 역회전하며, 중량추(600)는 상승되며, 제4 기어(730) 및 제3 스풀(750)은 정회전한다.
이 때 제3 스풀(750)이 정회전하면서, 와이어(770)가 하부를 향해 권출되고, 승강부(800)는 하부를 향해 이동하여 하층부(20)까지 이동하며, 하층부(20)로 활강이동한 이용자는 하강한 승강부(800)에 탑승하여 다시 고층부(22)로 이동할 수 있다.
하층부(20)에서 이용자가 파지부(500)와 분리되면, 중량추(600)는 하강하고, 중량추(600)의 중량과 모터(760)의 구동으로 승강부(800)가 상승하면서 이용자를 고층부(22)로 이동시킨다.
모터(760)는 이용자가 레일부(200)의 타단에서 승강부(800)까지 이동하는 시간동안 중량추(600)가 하강하는 것을 정지시켜 승강부(800)가 하층부(20)에 일정시간동안 위치하도록 한다.
승강부(800)는 수직레일(810) 및 운반유닛(820)을 포함한다.
승강부(800)는 기어구동부(700)와 와이어(770)를 통해 연결되고, 기어구동부(700)의 구동에 따라 상승 또는 하강하여 이용자를 고층부(22) 또는 하층부(20)로 이동시킨다.
수직레일(810)의 일단은 하층부(20)에 결합되고, 타단은 상부를 향해 연장되어 수직지지대(163)의 타측에 결합되며, 내부에 배치되는 롤러들은 운반유닛(820)의 일측면에 결합된다.
운반유닛(820)은 바닥판과 제1 및 제2 방향(1, 2)쪽의 출입구들을 제외한 일측 및 타측에 손잡이가 형성되는 형태로 형성되고, 제3 스풀(750)의 직하방에 배치되며, 와이어(770)와 결합되어 기어구동부(700)의 구동을 통해 상부 또는 하부를 향해 이동된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120: 레저용 활강장치 150, 160: 지지부
200: 레일부 300: 슬라이딩부
400, 700: 기어구동부 500: 파지부
600: 중량추 800: 승강부

Claims (8)

  1. 일단은 고층부에 배치되고, 타단은 일단에서 전방쪽 하층부에 해당되는 위치까지 경사지게 하향 연장되도록 형성되는 레일부;
    상기 레일부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이동판들 및 상기 이동판들 사이에서 상기 레일부를 둘러싸며 이격 배치되고 상기 레일부의 표면에 밀착되어 회전되는 롤러부들을 포함하는 슬라이딩부;
    상기 레일부의 일단 상부에서 상기 슬라이딩부와 연결된 와이어가 권취되는 제1 스풀, 상기 제1 스풀의 일측에서 상기 제1 스풀과 반대방향으로 회전되게 기어 연결되는 제2 스풀 및 상기 제2 스풀의 일측에서 상기 제2 스풀과 반대 방향으로 회전되게 기어 연결되는 제3 스풀을 포함하는 기어구동부;
    상기 제2 스풀과 와이어를 통해 연결되는 중량추;
    구동축이 상기 제3 스풀의 중심축에 결합되는 모터; 및
    상기 제3 스풀과 와이어를 통해 연결되어 상기 고층부 및 하층부 사이에서 이동되는 승강부;를 포함하고,
    상기 슬라이딩부가 상기 하층부로 이동되면 상기 중량추는 상승되고 상기 승강부는 하강하며, 상기 중량추가 하강되고 상기 모터가 구동되면 상기 승강부 및 상기 슬라이딩부가 상기 고층부로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저용 활강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레일부는,
    원기둥 형태로 연장되도록 형성되는 레일 및 상기 레일의 상부면에서 상부를 향해 수직판 형태로 연장되는 가이드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저용 활강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판들 각각은,
    일단은 상기 가이드판의 일측에서 상기 레일의 하부를 향해 아치 형태로 연장되고, 타단은 일단에서 상기 가이드판의 타측을 향해 아치 형태로 연장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저용 활강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부는,
    상기 가이드판의 일측 및 타측에서 상기 이동판의 일단 및 타단에 결합되고, 롤러들을 통해 상기 가이드판과 밀착되는 가이드롤러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저용 활강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롤러부들 각각은,
    상기 이동판들 사이를 연결하는 제1 판, 상기 이동판의 연장 방향을 따라 상기 제1 판과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이동판들을 연결하는 제2 판 및 상기 제1 판과 제2 판 사이에 결합되는 롤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저용 활강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어구동부는,
    상기 제1 스풀의 일측에서 상기 제1 스풀과 회전축을 통해 연결되는 제1 기어 및 상기 제2 스풀의 타측에서 상기 제1 기어에 치합되고 회동축을 통해 상기 제2 스풀과 연결되는 제2 기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저용 활강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부의 하부에 탈착 또는 부착이 가능하게 결합되는 고리 형태로 형성되는 클립을 구비하는 파지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저용 활강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파지부는,
    일단부는 와이어 형태로 상기 클립과 결합되고, 타단부는 일단부에서 양측으로 연장되어 파이프 형태의 손잡이의 일측 및 타측에 결합되도록 형성되는 파지유닛;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저용 활강장치.






KR1020200077850A 2020-06-25 2020-06-25 레저용 활강장치 KR1022289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7850A KR102228932B1 (ko) 2020-06-25 2020-06-25 레저용 활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7850A KR102228932B1 (ko) 2020-06-25 2020-06-25 레저용 활강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28932B1 true KR102228932B1 (ko) 2021-03-18

Family

ID=752323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77850A KR102228932B1 (ko) 2020-06-25 2020-06-25 레저용 활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28932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62753A (ja) * 1999-03-12 2000-09-26 Sanei:Kk 滑走具自動戻り機構付ロープウェイ
KR100505184B1 (ko) * 2003-06-30 2005-07-29 이강동 활강겸용 번지점프장치
KR101300142B1 (ko) 2012-07-02 2013-09-10 (주) 한국 레드벤쳐 활강 레포츠 장치
KR101506140B1 (ko) 2013-06-12 2015-03-27 (주) 한국 레드벤쳐 활강 레포츠 장치
KR101571367B1 (ko) * 2014-11-03 2015-11-24 와바다다 (주) 낙하형 레포츠 체험장치
JP2019126665A (ja) * 2018-01-26 2019-08-01 株式会社造景エンジニアリング 滑走遊具
WO2020025930A1 (en) * 2018-07-31 2020-02-06 Castree Projects Limited Rail coupling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62753A (ja) * 1999-03-12 2000-09-26 Sanei:Kk 滑走具自動戻り機構付ロープウェイ
KR100505184B1 (ko) * 2003-06-30 2005-07-29 이강동 활강겸용 번지점프장치
KR101300142B1 (ko) 2012-07-02 2013-09-10 (주) 한국 레드벤쳐 활강 레포츠 장치
KR101506140B1 (ko) 2013-06-12 2015-03-27 (주) 한국 레드벤쳐 활강 레포츠 장치
KR101571367B1 (ko) * 2014-11-03 2015-11-24 와바다다 (주) 낙하형 레포츠 체험장치
JP2019126665A (ja) * 2018-01-26 2019-08-01 株式会社造景エンジニアリング 滑走遊具
WO2020025930A1 (en) * 2018-07-31 2020-02-06 Castree Projects Limited Rail coupling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212122B1 (en) Cable crossover exercise apparatus
TWI339185B (en) Elevator (2)
JP2012526018A (ja) 切り出し装置
CN203207522U (zh) 电动升降书架
JP6709398B1 (ja) 高層階避難用快速降りロック
KR102228932B1 (ko) 레저용 활강장치
CN109461392B (zh) 一种便于移动的颁奖旗杆
CN200973923Y (zh) 高楼逃生及高空作业用收放绕绳器
CN106829577B (zh) 一种可自动卸料的载带卷料机
KR101898998B1 (ko) 승하강 리프트동작 및 자가 이송형 케이블카
JP2021014667A (ja) つかむことに特化する高強度ファストロープ用ロープの製造方法
CN201968140U (zh) 立体升降书架
CN109011330B (zh) 一种绳驱动的可收拢多功能健身装置
CN211846895U (zh) 一种带有吊箱的升降机装置
TW407132B (en) Non-obstacle automatic accessing mechanism for warehousing with floor-striding capability
CN214495183U (zh) 一种钢丝绳放线装置
CN206172886U (zh) 一种定型机助剂配送装置
CN217908072U (zh) 一种动物园兽医用保定装置
CN107715448A (zh) 一种夹娃娃装置
CN107519639A (zh) 一种娃娃机
CN213772707U (zh) 一种钢丝放线自控合绳装置
CN217350248U (zh) 一种简易电缆收放装置
CN203724654U (zh) 一种升降器的出绳导向装置
CN2194346Y (zh) 手拉式电线、电缆收放线整理盘
CN211349912U (zh) 一种运用机械原理的教学用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