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35940B1 - 활강 레포츠 장치 - Google Patents

활강 레포츠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35940B1
KR101635940B1 KR1020150184500A KR20150184500A KR101635940B1 KR 101635940 B1 KR101635940 B1 KR 101635940B1 KR 1020150184500 A KR1020150184500 A KR 1020150184500A KR 20150184500 A KR20150184500 A KR 20150184500A KR 101635940 B1 KR101635940 B1 KR 1016359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il
traveling
fixing
fixing bracket
fix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845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원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챌린지코리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챌린지코리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챌린지코리아
Priority to KR10201501845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3594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359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359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GMERRY-GO-ROUNDS; SWINGS; ROCKING-HORSES; CHUTES; SWITCHBACKS; SIMILAR DEVICES FOR PUBLIC AMUSEMENT
    • A63G21/00Chutes; Helter-skelter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GMERRY-GO-ROUNDS; SWINGS; ROCKING-HORSES; CHUTES; SWITCHBACKS; SIMILAR DEVICES FOR PUBLIC AMUSEMENT
    • A63G21/00Chutes; Helter-skelters
    • A63G21/14Chutes; Helter-skelters with driven slideway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GMERRY-GO-ROUNDS; SWINGS; ROCKING-HORSES; CHUTES; SWITCHBACKS; SIMILAR DEVICES FOR PUBLIC AMUSEMENT
    • A63G21/00Chutes; Helter-skelters
    • A63G21/20Slideways with movably suspended cars, or with cars moving on rope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GMERRY-GO-ROUNDS; SWINGS; ROCKING-HORSES; CHUTES; SWITCHBACKS; SIMILAR DEVICES FOR PUBLIC AMUSEMENT
    • A63G21/00Chutes; Helter-skelters
    • A63G21/22Suspended slideways

Landscapes

  • Train Traffic Observation, Control, And Securit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활강 레포츠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높은 곳에서 낮은 곳으로 설정된 레일을 따라 활강하는 과정에서 와이어가 아닌 레일의 유동이 없는 금속 파이프로 레일을 형성하고 안정적인 출발과 도착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개발된 것으로;
일정 간격 수직으로 입설되는 복수 개의 지주와, 상기 지주를 연결하여 연속적으로 연장되는 레일과, 상기 레일에 장착되고 그 하부에 사람 또는 물체가 매달려 활강하는 주행기를 포함하는 활강 레포츠 장치에 있어서;
상기 레일은 원형 단면을 가지는 두 개 이상의 파이프가 나란히 연장되며,판의 형상을 가지고 좌우로 관통된 고정홀을 구비하는 복수 개의 연결브라켓이 양측 파이프의 사이를 따라 삽입 고정되고, 상기 연결브라켓이 상기 지주에서 수평연장된 후 수직 절곡되는 레일연결대에 직접 고정되거나 고정홀을 관통하는 고정와이어에 의하여 지주 또는 레일연결대에 고정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주행기는 상기 레일이 관통하는 레일 관통홀이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고, 상부 중앙에는 절개되어 연결브라켓이 통과하는 절개부가 형성되며, 내측 상부에 장착되어 양측 끝단의 파이프 상면에 밀착하여 회전하도록 외경이 오목하게 형성되는 복수 개의 주행휠과, 내측 하부에 장착되어 인접한 두 개의 파이프 사이에 삽입되어 회전하도록 외경이 볼록하게 형성되는 복수 개의 중심휠과, 하단에는 길이 방향으로 삽입된 후 고정되도록 하여 탑승자가 장착한 슬링밸트의 상단이 결합하도록 하는 한 쌍의 고정핀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레일이 시작되는 출발지에 레일 및 레일에 장착된 주행기의 하부를 제외한 상부와 양측면을 감싸도록 연결브라켓에 고정되는 제1 고정브라켓과, 상기 제1 고정브라켓의 전방 일측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일측 끝단은 제1 고정브라켓의 전방 타측에 형성되는 제1 고정돌기와 결합하는 훅이 형성되고 타측은 손잡이가 형성되는 안전레버를 구비하는 주행기 출발장치와;
상기 레일이 끝나는 도착지에 레일 및 레일에 장착된 주행기의 하부를 제외한 상부와 양측면을 감싸도록 연결브라켓에 고정되는 제2 고정브라켓 및 제2 고정브라켓의 전방에 이격된 제3 고정브라켓과, 상기 제2 및 제3 고정브라켓의 양측 하단을 연결하는 한 쌍의 가이드봉과, 상기 가이드봉에 각각 장착되는 압축코일스프링과, 양측이 상기 가이드봉에 관통되고 상기 압축코일스프링의 후방에 고정되는 충격흡수판을 구비하는 주행기 랜딩장치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활강 레포츠 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활강 레포츠 장치{The apparatus for a leisure downhill sports}
본 발명은 활강 레포츠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좀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높은 곳에서 낮은 곳으로 설정된 레일을 따라 활강하는 과정에서 와이어가 아닌 레일의 유동이 없는 금속 파이프로 레일을 형성하고 안정적인 출발과 도착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개발된 활강 레포츠 장치에 관한 것이다.
현대인들은 기본적인 의식주의 문제가 해결된 이후에는 여가시간을 즐기기 위한 다양한 활동을 즐기게 되었으며 이에 따라 각 지역 지자체 및 업체에서는 여행객들에게 다양한 체험을 하기 위한 행사와 시설물을 설치하고 있다.
그중 하나가 보통 짚라인(Zip-line)으로 대표되는 높은 곳에서 낮은 곳으로 활강하면서 짜릿함과 함께 주변 풍경을 즐길 수 있도록 하는 활강 레포츠 장치이다.
대부분 단순히 견고한 쇠로 만들어진 와이어를 연결한 후 와이어에 주행기를 연결하여 활강하도록 하는 구조가 대부분이었으나 이 경우 직선의 경로에 한정될 수밖에 없으며 와이어의 출렁거림 즉 유동이 발생하고 탑승자의 무게 및 자세 그리고 바람 등의 상황에 따라 활강 속도에서 차이가 발생하게 된다.
즉 단순히 활강하는 것을 즐기기 위해서는 비교적 설치비용이 저렴한 와이어를 사용하는 것도 좋으나 주변의 다양한 경관을 즐길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경로로 타고 내리는 과정을 반복해야하는 구조를 가지는 것이다.
이에 금속으로 이루어진 레일로 다양한 곡선 구간을 형성하여 이러한 레일에 주행기가 결합하여 활강하는 구조의 경우 시설비가 상당히 증가한다는 단점이 있으나 마찰력이 작기 때문에 동일한 높이 차이에서 더 많은 거리를 이동하도록 할 수 있으며 다양한 곡선 구간을 형성할 수 있다는 큰 장점이 있다.
하지만 마찰력이 작게 작용하는 이유로 출발지에서 의도하지 않은 상황에서 갑자기 주행기가 미끄러져 내려가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으며, 와이어와 같이 도착지에 도달하기 전에 처짐 구간에 의하여 감속하는 구간이 없이 도착지에는 별도의 속도를 완충하여 정지시킬 수 있는 수단을 필요로 한다.
또한 얇은 쇠줄을 여러 겹으로 꼬아서 만든 와이어와 비교하면 레일은 충격에 파손이나 손상될 우려가 많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특허등록 제10-1300142-0000호 (2013년08월20일) 대한민국특허등록 제10-1346433-0000호 (2013년12월23일) 대한민국특허등록 제10-1446650-0000호 (2014년09월25일) 대한민국특허등록 제10-1506140-0000호 (2015년03월20일)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개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파이프 형상의 레일에 의하여 자유롭게 곡선 구간의 설치가 가능하면서도 출반 전에 주행기를 고정하였다가 해제할 수 있도록 하는 수단과 도착지에서 하강 속도를 완충 정지시킬 수 있는 수단을 구비하는 활강 레포츠 장치를 개발하는 것에 있다.
또한, 레일이 외부의 충격으로 변형이나 파손되더라도 레일을 지탱하여 주행기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활강 레포츠 장치를 개발하는 것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일정 간격 수직으로 입설되는 복수 개의 지주와, 상기 지주를 연결하여 연속적으로 연장되는 레일과, 상기 레일에 장착되고 그 하부에 사람 또는 물체가 매달려 활강하는 주행기를 포함하는 활강 레포츠 장치에 있어서;
상기 레일은 원형 단면을 가지는 두 개 이상의 파이프가 나란히 연장되며,판의 형상을 가지고 좌우로 관통된 고정홀을 구비하는 복수 개의 연결브라켓이 양측 파이프의 사이를 따라 삽입 고정되고, 상기 연결브라켓이 상기 지주에서 수평연장된 후 수직 절곡되는 레일연결대에 직접 고정되거나 고정홀을 관통하는 고정와이어에 의하여 지주 또는 레일연결대에 고정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주행기는 상기 레일이 관통하는 레일 관통홀이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고, 상부 중앙에는 절개되어 연결브라켓이 통과하는 절개부가 형성되며, 내측 상부에 장착되어 양측 끝단의 파이프 상면에 밀착하여 회전하도록 외경이 오목하게 형성되는 복수 개의 주행휠과, 내측 하부에 장착되어 인접한 두 개의 파이프 사이에 삽입되어 회전하도록 외경이 볼록하게 형성되는 복수 개의 중심휠과, 하단에는 길이 방향으로 삽입된 후 고정되도록 하여 탑승자가 장착한 슬링밸트의 상단이 결합하도록 하는 한 쌍의 고정핀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레일이 시작되는 출발지에 레일 및 레일에 장착된 주행기의 하부를 제외한 상부와 양측면을 감싸도록 연결브라켓에 고정되는 제1 고정브라켓과, 상기 제1 고정브라켓의 전방 일측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일측 끝단은 제1 고정브라켓의 전방 타측에 형성되는 제1 고정돌기와 결합하는 훅이 형성되고 타측은 손잡이가 형성되는 안전레버를 구비하는 주행기 출발장치와;
상기 레일이 끝나는 도착지에 레일 및 레일에 장착된 주행기의 하부를 제외한 상부와 양측면을 감싸도록 연결브라켓에 고정되는 제2 고정브라켓 및 제2 고정브라켓의 전방에 이격된 제3 고정브라켓과, 상기 제2 및 제3 고정브라켓의 양측 하단을 연결하는 한 쌍의 가이드봉과, 상기 가이드봉에 각각 장착되는 압축코일스프링과, 양측이 상기 가이드봉에 관통되고 상기 압축코일스프링의 후방에 고정되는 충격흡수판을 구비하는 주행기 랜딩장치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레일은 상기 파이프에 삽입 관통되어 연장되는 케이블과, 외경은 상기 파이프의 내경면에 밀착 삽입되고 중앙은 상기 케이블이 관통하는 케이블 홀더를 추가로 구비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주행기 출발장치는 상기 제1 고정브라켓의 상부에서 후방으로 레일과 평행하게 연장되며 길이 방향으로 길게 절개되고 후방 끝단은 상부로 확장되는 가이드홈을 구비하는 레버 파이프와, 상기 레버 파이프의 하부에서 평행하게 연장되며 전방 끝단에는 탄성복원력을 가지는 완충부재가 장착되는 푸쉬봉과, 상기 푸쉬봉의 후방에 장착되고 상부는 상기 가이드홈을 통하여 상기 레버 파이프에 삽입되어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드되도록 하는 푸쉬손잡이를 추가로 구비함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주행기 랜딩장치는 제2 고정브라켓의 상면에는 진입하는 주행기의 전방 상단이 충돌한 후 경사면을 밀어 회전하도록 하면서 주행기가 통과하도록 하고, 압축코일스프링의 반발력에 의하여 후퇴하는 주행기의 후방은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지 않는 수직면과 만나면서 통과하지 못하도록 하는 한 쌍의 후크블록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주행기 랜딩장치는 상기 가이드봉이 관통되고 상기 압축코일스프링의 후방에 고정되는 플랜지를 구비하고;
상기 충격흡수판은 일측은 플렌지에 회전가능하면서 좌우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도록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는 장홀을 구비하고, 타측은 장홀의 외측 끝단에 플렌지가 위치하였을 때 다른 플렌지의 외경면 일부에 밀착되고 손잡이를 구비하고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는 이탈레버에 의하여 플렌지의 외경면을 감싸면서 고정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두 개 이상의 원형 파이프를 나란히 밀착하여 연장되는 구조로 레일을 형성하여 주행기가 안전하고 견고하게 장착될 수 있는 구조를 가지면서 다양한 곡선 구간의 형성에 용이하고, 주행기 출발장치에 의하여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서만 출발할 수 있도록 하여 의도하지 않은 출발을 방지하며, 주행기 랜딩장치에 의하여 도착지에서 속도가 탄성적으로 줄면서 완충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레일이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변형 또는 파손되더라도 내부 케이블에 의하여 레일을 지탱하도록 하여 사용자의 추락 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개념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용상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용상태를 나타낸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주행기를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주행기가 장착된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주행기 출발장치를 나타낸 사용상태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주행기 출발장치를 나타낸 저면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주행기의 출발 전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주행기의 출발 후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주행기 랜딩장치를 나타낸 사용상태도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주행기 랜딩장치를 나타낸 저면사시도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주행기의 도착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주행기 랜딩장치의 이탈레버 작동을 나타낸 개념도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주행기의 이탈을 나타낸 개념도
이에 본 발명의 구성을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당업자가 용이하게 이해하고 재현할 수 있도록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개념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용상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용상태를 나타낸 측면도로서, 일정 간격 수직으로 입설되는 복수 개의 지주(11)와, 상기 지주(11)를 연결하여 연속적으로 연장되는 레일(1)과, 상기 레일(1)에 장착되고 그 하부에 사람 또는 물체가 매달려 활강하는 주행기(2)를 포함하는 활강 레포츠 장치에 있어서;
상기 레일(1)은 원형 단면을 가지는 두 개 이상의 파이프(12)가 나란히 연장되며,판의 형상을 가지고 좌우로 관통된 고정홀(13)을 구비하는 복수 개의 연결브라켓(14)이 양측 파이프(12)의 사이를 따라 삽입 고정되고, 상기 연결브라켓(14)이 상기 지주(11)에서 수평연장된 후 수직 절곡되는 레일연결대(15)에 직접 고정되거나 고정홀(13)을 관통하는 고정와이어(16)에 의하여 지주(11) 또는 레일연결대(15)에 고정되도록 구성되는 구조를 나타내었다.
본원은 이러한 레일(1)에 장착되어 활강하도록 하는 주행기(2)와, 상기 주행기(2)가 출발지점에서 안정되게 출발할 수 있도록 하는 주행기 출발장치(3)와, 상기 주행기(2)가 도착지점에서 효과적으로 속도를 감속할 수 있도록 하는 주행기 랜딩장치(4)를 구비하는 것으로 주행기(2)와 주행기 출발장치(3) 및 주행기 랜딩장치(4)의 구성은 이하 보다 상세한 도면에 의하여 자세하게 설명하기로 하겠다.
이러한 레일(1)은 와이어에 의한 것과 비교하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양한 곡선구간을 형성하여 단순 직선 주행과 비교하면 새로운 느낌과 주변의 경관을 볼 수 있는 최적의 경로로 설치가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는 것이다.
이때 본원은 상기 레일(1)은 상기 파이프(12)에 삽입 관통되어 연장되는 케이블(17)과, 외경은 상기 파이프(12)의 내경면에 밀착 삽입되고 중앙은 상기 케이블(17)이 관통하는 케이블 홀더(18)를 추가로 구비하는 실시 예를 추가로 제시하였다.
상기 실시 예는 강성의 파이프(12)는 외부의 충격 등에 의하여 변형이나 파손이 발생할 우려가 있으며 이 경우 주행기(2)가 이탈하여 추락의 위험이 있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내부 케이블(17)이 파이프(12)의 손상에도 지지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가 추락하는 최악의 사고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주행기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주행기가 장착된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로서, 본원의 주행기(2)는 상기 레일(1)이 관통하는 레일 관통홀(21)이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고, 상부 중앙에는 절개되어 연결브라켓(14)이 통과하는 절개부(22)가 형성되며, 내측 상부에 장착되어 양측 끝단의 파이프(12) 상면에 밀착하여 회전하도록 외경이 오목하게 형성되는 복수 개의 주행휠(23)과, 내측 하부에 장착되어 인접한 두 개의 파이프(12) 사이에 삽입되어 회전하도록 외경이 볼록하게 형성되는 복수 개의 중심휠(24)과, 하단에는 길이 방향으로 삽입된 후 고정되도록 하여 탑승자가 장착한 슬링밸트(25)의 상단이 결합하도록 하는 한 쌍의 고정핀(26)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나타내었다.
본원은 구조적으로 진보성이 없다고 할 수 있으나 기존에는 레일(1)에 주행기를 쉽게 장착하고 분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주행기(2) 자체가 절방이 회전하여 레일(1)의 중간에서도 장착과 분리가 가능한 구조를 가진 것이 많으나 이 경우 주행기의 구조적인 안정성이 떨어지므로 레일(1)의 끝단에서 삽입과 이탈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단순한 구조를 가지고 있다.
또한 레일(1)을 구성하는 파이프(12)가 원형이기 때문에 주행휠(23)의 오목한 외경면에 의한 밀착과 중심휠(24)의 인접한 파이프(12) 사이에 삽입되는 구조는 주행기(2)의 유동을 최소화할 수 있는 구조로 기존의 사각 단면의 파이프에 의하여 형성된 레일과는 다른 견고한 결합으로 곡선구간과 같은 곳에서의 유동을 확실하게 줄여줄 수 있을 것이다.
이때 주행기(2)의 이동에 방해가 되지 않도록 본원은 원형의 파이프(12)를 두 개 또는 그 이상을 나란하게 밀착 고정하도록 상부 중앙에 연결브라켓(14)을 형성하고 주행기(2)가 연결브라켓(14)이 통과할 수 있도록 절개부(22)를 형성한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주행기 출발장치를 나타낸 사용상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주행기 출발장치를 나타낸 저면사시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주행기의 출발 전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주행기의 출발 후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로서, 상기 레일(1)이 시작되는 출발지에 레일(1) 및 레일(1)에 장착된 주행기(2)의 하부를 제외한 상부와 양측면을 감싸도록 연결브라켓(14)에 고정되는 제1 고정브라켓(31)과, 상기 제1 고정브라켓(31)의 전방 일측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일측 끝단은 제1 고정브라켓(31)의 전방 타측에 형성되는 제1 고정돌기(32)와 결합하는 훅이 형성되고 타측은 손잡이가 형성되는 안전레버(33)를 구비하는 주행기 출발장치(3)를 구비하는 실시 예를 나타내었다.
일반적으로 사용자가 주행기(2)와 연결되는 슬링밸트를 착용한 상태에서는 하체는 전방으로 약간 들린 상태로 별도의 조력자 없이 지면에 발을 올려 지지하기 힘든 상태가 되어 보통 출발지에서는 안전요원이 상주하여 출발을 유도하도록 하고 있다.
하지만 와이어와 비교하면 마찰력이 작게 작용하는 레일(1)에서 의도하지 않은 출발은 도착지에서 완충을 위한 준비를 마치지 않은 상태에서 도착할 수 있으며 선행 주행기와 충돌할 우려도 있다.
따라서 본원은 레일(1)에 주행기(1)를 장착하고 안전레버(33)에 의하여 제1 고정브라켓(31)의 전방으로 주행기(2)가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고 안전레버(33)를 올렸을 경우에 출발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주행기 출발장치(3)는 상기 제1 고정브라켓(31)의 상부에서 후방으로 레일(1)과 평행하게 연장되며 길이 방향으로 길게 절개되고 후방 끝단은 상부로 확장되는 가이드홈(34)을 구비하는 레버 파이프(35)와, 상기 레버 파이프(35)의 하부에서 평행하게 연장되며 전방 끝단에는 탄성복원력을 가지는 완충부재(36)가 장착되는 푸쉬봉(37)과, 상기 푸쉬봉(37)의 후방에 장착되고 상부는 상기 가이드홈(34)을 통하여 상기 레버 파이프(35)에 삽입되어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드되도록 하는 푸쉬손잡이(38)를 추가로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실시 예를 추가로 제시하였다.
상기 실시 예는 출발준비를 마치고 안전레버(33)를 올린 상태에서 안전요원은 푸쉬손잡이(38)를 전방으로 강하게 밀면 푸쉬봉(37)이 주행기(2)의 후방을 밀어 보통 출발지에서 수평구간인 레일(1)을 지나 하향경사진 구간까지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실시 예이다.
이때 상기 푸쉬봉(37)은 다른 주행기(2)의 이동경로를 막기 때문에 안전요원은 푸쉬손잡이(38)를 후방으로 이동시킨 다음 상기 가이드홈(34)의 후방 끝단 상부로 확장되는 부분에서 회전시켜 푸쉬봉(37)이 레버 파이프(35)의 하부에서 측방으로 이동시키도록 한 후 장착된 주행기(2)를 전방으로 이동시키도록 하는 것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주행기 랜딩장치를 나타낸 사용상태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주행기 랜딩장치를 나타낸 저면사시도이며,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주행기의 도착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고,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주행기 랜딩장치의 이탈레버 작동을 나타낸 개념도이며,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주행기의 이탈을 나타낸 개념도로서, 상기 레일(1)이 끝나는 도착지에 레일(1) 및 레일(1)에 장착된 주행기(2)의 하부를 제외한 상부와 양측면을 감싸도록 연결브라켓(14)에 고정되는 제2 고정브라켓(41) 및 제2 고정브라켓(41)의 전방에 이격된 제3 고정브라켓(42)과, 상기 제2 및 제3 고정브라켓(41, 42)의 양측 하단을 연결하는 한 쌍의 가이드봉(43)과, 상기 가이드봉(43)에 각각 장착되는 압축코일스프링(44)과, 양측이 상기 가이드봉(43)에 관통되고 상기 압축코일스프링(44)의 후방에 고정되는 충격흡수판(45)을 구비하는 주행기 랜딩장치(4)를 나타내었다.
본원의 주행기 랜딩장치(4)는 기본적으로 주행기(2)가 활강하여 진입하면 충격흡수판(45)과 충돌하면서 압축코일스프링(44)이 속도를 완충하여 안전하게 정지될 수 있도록 하는 구조를 가지고 있다.
또한 본원에서는 상기 주행기 랜딩장치(4)는 제2 고정브라켓(41)의 상면에는 진입하는 주행기(2)의 전방 상단이 충돌한 후 경사면을 밀어 회전하도록 하면서 주행기(2)가 통과하도록 하고, 압축코일스프링(44)의 반발력에 의하여 후퇴하는 주행기(2)의 후방은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지 않는 수직면과 만나면서 통과하지 못하도록 하는 한 쌍의 후크블록(46)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실시 예를 추가로 제시하였다.
이러한 실시 예는 주행기(2)가 진입하여 완충된 후 압축코일스프링(44)의 반발력에 의하여 주행기(2)가 후방으로 밀려 제2 고정브라켓(41)을 반대로 통과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상기 후크블록(46)의 회전을 제한하는 것은 장착된 부분의 형상에 의하여 도 12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은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용이하게 개발해 낼 수 있는 정도의 것이다.
또한 주행기(2)의 진입에 의하여 회전한 후크블록(46)이 원래 위치로 복귀하는 것은 자중에 의하여 이루어지도록 하거나 힌지축에 별도의 토션스프링을 장착하여 보다 바른 속도로 복귀할 수 있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 주행기 랜딩장치(4)는 상기 가이드봉(43)이 관통되고 상기 압축코일스프링(44)의 후방에 고정되는 플랜지(47)를 구비하고;
상기 충격흡수판(45)은 일측은 플렌지(47)에 회전가능하면서 좌우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도록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는 장홀(48)을 구비하고, 타측은 장홀(48)의 외측 끝단에 플렌지(47)가 위치하였을 때 다른 플렌지(47)의 외경면 일부에 밀착되고 손잡이를 구비하고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는 이탈레버(49)에 의하여 플렌지(47)의 외경면을 감싸면서 고정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실시 예를 제시하였다.
상기 실시 예는 도착한 주행기(2)를 분리하기 위하여 이탈레버(49)를 회전시킨 후 장홀(48)과 결합하는 플렌지(47)가 장홀(48)의 내측 방향으로 향하도록 수평이동한 후 하부로 충격흡수판(45)을 회전시키면 주행기(2)는 주행기 랜딩장치(4)를 벗어나 레일(1)의 끝단에서 분리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1 : 레일
11 : 지주 12 : 파이프
13 : 고정홀 14 : 연결브라켓
15 : 레일연결대 16 : 고정와이어
17 : 케이블 18 : 케이블홀더
2 : 주행기
21 : 레일 관통홀 22 : 절개부
23 : 주행휠 24 : 중심휠
25 : 슬링밸트 26 : 고정핀
3 : 주행기 출발장치
31 : 제1 고정브라켓 32 : 제1 고정돌기
33 : 안전레버 34 : 가이드홈
35 : 레버 파이프 36 : 완충부재
37 : 푸쉬봉 38 : 푸쉬손잡이
4 : 주행기 랜딩장치
41 : 제2 고정브라켓 42 : 제3 고정브라켓
43 : 가이드봉 44 : 압축코일스프링
45 : 충격흡수판 46 : 후크블록
47 : 플렌지 48 : 장홀
49 : 이탈레버

Claims (5)

  1. 일정 간격 수직으로 입설되는 복수 개의 지주(11)와, 상기 지주(11)를 연결하여 연속적으로 연장되는 레일(1)과, 상기 레일(1)에 장착되고 그 하부에 사람 또는 물체가 매달려 활강하는 주행기(2)를 포함하는 활강 레포츠 장치에 있어서;
    상기 레일(1)은 원형 단면을 가지는 두 개 이상의 파이프(12)가 나란히 연장되며,판의 형상을 가지고 좌우로 관통된 고정홀(13)을 구비하는 복수 개의 연결브라켓(14)이 양측 파이프(12)의 사이를 따라 삽입 고정되고, 상기 연결브라켓(14)이 상기 지주(11)에서 수평연장된 후 수직 절곡되는 레일연결대(15)에 직접 고정되거나 고정홀(13)을 관통하는 고정와이어(16)에 의하여 지주(11) 또는 레일연결대(15)에 고정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주행기(2)는 상기 레일(1)이 관통하는 레일 관통홀(21)이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고, 상부 중앙에는 절개되어 연결브라켓(14)이 통과하는 절개부(22)가 형성되며, 내측 상부에 장착되어 양측 끝단의 파이프(12) 상면에 밀착하여 회전하도록 외경이 오목하게 형성되는 복수 개의 주행휠(23)과, 내측 하부에 장착되어 인접한 두 개의 파이프(12) 사이에 삽입되어 회전하도록 외경이 볼록하게 형성되는 복수 개의 중심휠(24)과, 하단에는 길이 방향으로 삽입된 후 고정되도록 하여 탑승자가 장착한 슬링밸트(25)의 상단이 결합하도록 하는 한 쌍의 고정핀(26)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레일(1)이 시작되는 출발지에 레일(1) 및 레일(1)에 장착된 주행기(2)의 하부를 제외한 상부와 양측면을 감싸도록 연결브라켓(14)에 고정되는 제1 고정브라켓(31)과, 상기 제1 고정브라켓(31)의 전방 일측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일측 끝단은 제1 고정브라켓(31)의 전방 타측에 형성되는 제1 고정돌기(32)와 결합하는 훅이 형성되고 타측은 손잡이가 형성되는 안전레버(33)를 구비하는 주행기 출발장치(3)와;
    상기 레일(1)이 끝나는 도착지에 레일(1) 및 레일(1)에 장착된 주행기(2)의 하부를 제외한 상부와 양측면을 감싸도록 연결브라켓(14)에 고정되는 제2 고정브라켓(41) 및 제2 고정브라켓(41)의 전방에 이격된 제3 고정브라켓(42)과, 상기 제2 및 제3 고정브라켓(41, 42)의 양측 하단을 연결하는 한 쌍의 가이드봉(43)과, 상기 가이드봉(43)에 각각 장착되는 압축코일스프링(44)과, 양측이 상기 가이드봉(43)에 관통되고 상기 압축코일스프링(44)의 후방에 고정되는 충격흡수판(45)을 구비하는 주행기 랜딩장치(4)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활강 레포츠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레일(1)은 상기 파이프(12)에 삽입 관통되어 연장되는 케이블(17)과, 외경은 상기 파이프(12)의 내경면에 밀착 삽입되고 중앙은 상기 케이블(17)이 관통하는 케이블 홀더(18)를 추가로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활강 레포츠 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주행기 출발장치(3)는 상기 제1 고정브라켓(31)의 상부에서 후방으로 레일(1)과 평행하게 연장되며 길이 방향으로 길게 절개되고 후방 끝단은 상부로 확장되는 가이드홈(34)을 구비하는 레버 파이프(35)와, 상기 레버 파이프(35)의 하부에서 평행하게 연장되며 전방 끝단에는 탄성복원력을 가지는 완충부재(36)가 장착되는 푸쉬봉(37)과, 상기 푸쉬봉(37)의 후방에 장착되고 상부는 상기 가이드홈(34)을 통하여 상기 레버 파이프(35)에 삽입되어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드되도록 하는 푸쉬손잡이(38)를 추가로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활강 레포츠 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주행기 랜딩장치(4)는 제2 고정브라켓(41)의 상면에는 진입하는 주행기(2)의 전방 상단이 충돌한 후 경사면을 밀어 회전하도록 하면서 주행기(2)가 통과하도록 하고, 압축코일스프링(44)의 반발력에 의하여 후퇴하는 주행기(2)의 후방은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지 않는 수직면과 만나면서 통과하지 못하도록 하는 한 쌍의 후크블록(46)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활강 레포츠 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주행기 랜딩장치(4)는 상기 가이드봉(43)이 관통되고 상기 압축코일스프링(44)의 후방에 고정되는 플랜지(47)를 구비하고;
    상기 충격흡수판(45)은 일측은 플렌지(47)에 회전가능하면서 좌우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도록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는 장홀(48)을 구비하고, 타측은 장홀(48)의 외측 끝단에 플렌지(47)가 위치하였을 때 다른 플렌지(47)의 외경면 일부에 밀착되고 손잡이를 구비하고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는 이탈레버(49)에 의하여 플렌지(47)의 외경면을 감싸면서 고정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활강 레포츠 장치.
KR1020150184500A 2015-12-23 2015-12-23 활강 레포츠 장치 KR1016359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84500A KR101635940B1 (ko) 2015-12-23 2015-12-23 활강 레포츠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84500A KR101635940B1 (ko) 2015-12-23 2015-12-23 활강 레포츠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35940B1 true KR101635940B1 (ko) 2016-07-05

Family

ID=565020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84500A KR101635940B1 (ko) 2015-12-23 2015-12-23 활강 레포츠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35940B1 (ko)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32263A (ko) * 2019-05-16 2020-11-25 신력호 롤러코스터형 짚라인
KR102200798B1 (ko) * 2020-07-30 2021-01-11 (주)신흥이앤지 라이딩기구용 레일 및 이를 이용한 레저용 라이딩기구
KR102252844B1 (ko) * 2020-10-19 2021-05-20 주식회사 챌린지코리아 공중활강이동장치용 주행기의 활강속도 감속장치
KR102252838B1 (ko) * 2020-10-19 2021-05-20 주식회사 챌린지코리아 안전도착 유도를 위한 보조 감속장치가 구비된 공중활강이동장치
KR102358956B1 (ko) * 2021-11-25 2022-02-08 (주)신흥이앤지 활강 놀이기구 출도착 자동연동 브레이크 시스템
KR102363086B1 (ko) * 2021-11-25 2022-02-15 (주)신흥이앤지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놀이기구용 레일 연결구조
KR102379529B1 (ko) * 2022-02-10 2022-03-29 짚라인코리아(주) 안전성이 강화된 짚라인 공중 놀이시설
KR102494286B1 (ko) * 2022-08-17 2023-02-06 주식회사 더챌린지 스카이워크 레포츠 제공 시스템
KR102508660B1 (ko) * 2022-07-14 2023-03-09 주식회사 더챌린지 하강 레포츠용 트롤리 발사체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517133A (ja) * 1998-01-09 2001-10-02 ヨセフ ヴィーガント ゲゼルシヤフト ミツト ベシユレンクテル ハフツング フライツアイタンラーゲン レジャースポーツ装置
KR101300142B1 (ko) 2012-07-02 2013-09-10 (주) 한국 레드벤쳐 활강 레포츠 장치
KR101346433B1 (ko) 2013-06-03 2014-01-02 이영조경(주) 좌우회전각과 상하경사각을 가변할 수 있는 주행기를 장착한 롤러코스터형 짚라인 공중놀이기구 운동시스템.
KR101446650B1 (ko) 2014-03-10 2014-10-06 주식회사 챌린지코리아 짚라인에 사용되는 발사장치 및 브레이크 유닛
KR20140145245A (ko) * 2013-06-12 2014-12-23 (주) 한국 레드벤쳐 활강 레포츠 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517133A (ja) * 1998-01-09 2001-10-02 ヨセフ ヴィーガント ゲゼルシヤフト ミツト ベシユレンクテル ハフツング フライツアイタンラーゲン レジャースポーツ装置
KR101300142B1 (ko) 2012-07-02 2013-09-10 (주) 한국 레드벤쳐 활강 레포츠 장치
KR101346433B1 (ko) 2013-06-03 2014-01-02 이영조경(주) 좌우회전각과 상하경사각을 가변할 수 있는 주행기를 장착한 롤러코스터형 짚라인 공중놀이기구 운동시스템.
KR20140145245A (ko) * 2013-06-12 2014-12-23 (주) 한국 레드벤쳐 활강 레포츠 장치
KR101506140B1 (ko) 2013-06-12 2015-03-27 (주) 한국 레드벤쳐 활강 레포츠 장치
KR101446650B1 (ko) 2014-03-10 2014-10-06 주식회사 챌린지코리아 짚라인에 사용되는 발사장치 및 브레이크 유닛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32263A (ko) * 2019-05-16 2020-11-25 신력호 롤러코스터형 짚라인
KR102183634B1 (ko) * 2019-05-16 2020-11-26 신력호 롤러코스터형 짚라인
KR102200798B1 (ko) * 2020-07-30 2021-01-11 (주)신흥이앤지 라이딩기구용 레일 및 이를 이용한 레저용 라이딩기구
KR102252844B1 (ko) * 2020-10-19 2021-05-20 주식회사 챌린지코리아 공중활강이동장치용 주행기의 활강속도 감속장치
KR102252838B1 (ko) * 2020-10-19 2021-05-20 주식회사 챌린지코리아 안전도착 유도를 위한 보조 감속장치가 구비된 공중활강이동장치
KR102358956B1 (ko) * 2021-11-25 2022-02-08 (주)신흥이앤지 활강 놀이기구 출도착 자동연동 브레이크 시스템
KR102363086B1 (ko) * 2021-11-25 2022-02-15 (주)신흥이앤지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놀이기구용 레일 연결구조
KR102379529B1 (ko) * 2022-02-10 2022-03-29 짚라인코리아(주) 안전성이 강화된 짚라인 공중 놀이시설
KR102508660B1 (ko) * 2022-07-14 2023-03-09 주식회사 더챌린지 하강 레포츠용 트롤리 발사체
KR102494286B1 (ko) * 2022-08-17 2023-02-06 주식회사 더챌린지 스카이워크 레포츠 제공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35940B1 (ko) 활강 레포츠 장치
KR102082557B1 (ko) 횡방향 레일 전환 장치
JP2936222B2 (ja) ロ−ラ−コ−スタ−
US6622634B2 (en) Amusement ride employing a suspended tensioned static cable
EP2175951B1 (en) A rollercoaster amusement device
US8166885B2 (en) Suspended cable amusement ride
US10391410B2 (en) Tracks for tower ride
CN112046507B (zh) 混合式缆索/轨道输送系统
KR20170039831A (ko) 전동차 플랫폼 안전장치
EP2745895B1 (fr) Plateforme mobile dans une structure cylindrique
US803465A (en) Amusement device.
CN109592608A (zh) 一种安全钳及载货台
US6941872B2 (en) Amusement device
CN108290581B (zh) 空中运输装备
JP6998599B2 (ja) 滑走遊具
JP2000262753A (ja) 滑走具自動戻り機構付ロープウェイ
KR102484613B1 (ko) 익스트림 라이더
KR102252838B1 (ko) 안전도착 유도를 위한 보조 감속장치가 구비된 공중활강이동장치
US6758144B2 (en) Fun vehicle and bob, toboggan or roller coaster run for using the same
CN205531486U (zh) 一种拖行式观影平台结构系统
KR102649790B1 (ko) 현수식 모노레일의 탑승장 자세제어장치
KR102358956B1 (ko) 활강 놀이기구 출도착 자동연동 브레이크 시스템
JP4355398B2 (ja) ロ−ラ−コ−スタ−
KR102252844B1 (ko) 공중활강이동장치용 주행기의 활강속도 감속장치
JP2011173451A (ja) 索道設備のプラットホームにおける可動ステップ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