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49790B1 - 현수식 모노레일의 탑승장 자세제어장치 - Google Patents

현수식 모노레일의 탑승장 자세제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49790B1
KR102649790B1 KR1020230007355A KR20230007355A KR102649790B1 KR 102649790 B1 KR102649790 B1 KR 102649790B1 KR 1020230007355 A KR1020230007355 A KR 1020230007355A KR 20230007355 A KR20230007355 A KR 20230007355A KR 102649790 B1 KR102649790 B1 KR 1026497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mper
guide bar
lifting guide
cabin
support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073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여운범
황종규
Original Assignee
한국모노레일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모노레일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모노레일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300073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4979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497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49790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BRAILWAY SYSTEMS; EQUIPMENT THEREFO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1B12/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B61B7/00 - B61B11/00
    • B61B12/02Suspension of the load; Guiding means, e.g. wheels; Attaching traction cables
    • B61B12/022Vehicle receiving and dispatching devices
    • B61B12/024Docking devices

Abstract

본 발명은 현수식 모노레일의 승강장에서 승객의 승하차시 발생하는 캐빈의 요동을 최소화하여 승객의 불안감을 낮추고, 승객에게 안전한 승하차를 제공하는 현수식 모노레일의 탑승장 자세제어장치를 제안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캐빈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캐빈의 하부에서 중력방향을 향해 돌출 형성되는 승강 가이드바를 지지하는 현수식 모노레일의 탑승장 자세제어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승강홈의 바닥면에서 상기 승강홈의 측벽을 따라 형성되며, 상기 승강 가이드바의 양측면을 따라 각각 분할되는 지지 프레임; 상기 지지 프레임에서 슬라이딩 구동되는 댐퍼 지지부; 상기 댐퍼 지지부에 고정되며, 타이어 형상의 노출면을 가지고, 상기 승강 가이드바를 향해 돌출 형성되는 댐퍼 롤러; 및 상기 댐퍼 지지부와 상기 지지 프레임의 측벽 사이에 마련되며, 상기 댐퍼 지지부를 상기 승강홈의 중심을 향해 밀어서 상기 댐퍼 롤러가 상기 승강 가이드바에 이웃하게 배치되도록 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댐퍼 롤러는, 상기 승강 가이드바의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개가 상기 지지 프레임의 양측면에서 서로 마주보게 배치된다.

Description

현수식 모노레일의 탑승장 자세제어장치{Platrorm stabilizer in suspension type monorail}
본 발명은 자세 제어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현수식 모노레일에서 승객의 승하차시 발생하는 캐빈의 요동을 최소화하는 현수식 모노레일의 탑승장 자세제어장치에 관한 것이다.
현수식 모노레일은 차량이 주행궤도에 매달려서 이동하는 모노레일로서, 단일 궤도를 이용하여 이동하는 장치를 지칭한다.
현수식 모노레일은 일정 간격으로 지주를 세우고, 지주를 따라 주행궤도가 형성되며, 차량은 주행궤도에 매달려 이동하도록 구성된다. 통상 차량의 차륜은 주행궤도 내측에 배치되어 보호되며, 강철 또는 고무 재질의 차륜을 이용하여 주행궤도 내측에서 회전하면서 이동할 수 있다.
상기한 현수식 모노레일은 철도와는 달리 지주를 세울수 있는 수준의 공간만 확보되면, 지주와 주행궤도를 가설할 수 있다. 이러한 특징은 도로를 기반으로 하는 기존의 교통망을 고치지 않고도 추가로 설치 가능한 장점이 있다. 그러나, 2개의 궤도를 이용하는 철도와는 달리 현수식 모노레일은 1개의 단일 궤도를 이용하므로 차량의 진행방향을 기준으로 좌우 횡 방향을 향한 흔들림(요동)이 발생한다.
모노레일을 주행하는 차량은 주행궤도와 연결되는 차대 및 승객을 싣는 캐빈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통상 차량이라 함은 차대와 캐빈을 함께 지칭한다. 주행궤도와 직접 연결된 차대에 비해, 캐빈은 주행궤도와 직접 연결되지 않으면서 승객의 움직임에 의해 차량의 진행방향 대비 횡 방향으로의 요동을 일으킨다.
더욱이 주행궤도에 매달려서 이동해야 하는 현수식 모노레일 특성상 횡 방향의 흔들임은 일정 속도 이상으로 주행할 때 보다는 정차역에서 승객이 승하차할 때 더 크게 발생할 소지가 있다.
현수식 모노레일이 정차한 상태에서 승객이 캐빈(cabin)에 탑승할 때, 캐빈의 무게 중심이 흔들리면서 횡 방향으로 요동을 일으키는데, 이러한 요동은 승객에게 불안감을 주는 것은 물론, 승객이 고령자인 경우, 캐빈의 요동은 승객의 승하차 시간을 증가시키고, 승객에 대한 안전 문제를 유발할 우려가 있다.
이에 본 출원인은 승객이 승하차하는 탑승장에서 캐빈의 요동을 최소화하여 승객의 불안감을 불식하고, 나아가 승객의 승하차 안전을 담보하는 현수식 모노레일의 탑승장 자세제어장치를 제안하고자 한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2203237호 (모노레일 차량 구동장치)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2351965호 (수평유지 장치가 구비된 모노레일 차량)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561836호 (퍼스널 모노레일의 구동롤러장치)
본 발명의 목적은 승객의 승하차 시, 요동이 발생하는 현수식 모노레일의 승강장에서 승객의 승하차에 따른 캐빈의 요동을 최소화하여 승객의 불안감을 경감하고, 승객에게 안전한 승하차를 제공하는 현수식 모노레일의 탑승장 자세제어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캐빈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캐빈의 하부에서 중력방향을 향해 돌출 형성되는 승강 가이드바를 지지하는 승강장 댐퍼 지지체에 있어서, 승강홈의 바닥면에서 상기 승강홈의 측벽을 따라 형성되며, 상기 승강 가이드바의 양측면을 따라 각각 분할되는 지지 프레임; 상기 지지 프레임에서 슬라이딩 구동되는 댐퍼 지지부; 상기 댐퍼 지지부에 고정되며, 타이어 형상의 노출면을 가지고, 상기 승강 가이드바를 향해 돌출 형성되는 댐퍼 롤러; 및 상기 댐퍼 지지부와 상기 지지 프레임의 측벽 사이에 마련되며, 상기 댐퍼 지지부를 상기 승강홈의 중심을 향해 밀어서 상기 댐퍼 롤러가 상기 승강 가이드바에 이웃하게 배치되도록 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댐퍼 롤러는, 상기 승강 가이드바의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개가 상기 지지 프레임의 양측면에서 서로 마주보게 배치되는 승강장 댐퍼 지지체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댐퍼 롤러는, 상기 승강 가이드바를 기준으로 서로 마주하는 한 쌍이 하나의 댐퍼 셋트를 형성하며, 상기 댐퍼 셋트는 적어도 둘 이상이고, 상기 댐퍼 셋트는 상기 바닥면에서 동일한 높이로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댐퍼 롤러는, 상기 승강 가이드바를 기준으로 서로 마주하는 한 쌍으로 하나의 댐퍼 셋트를 형성하며, 상기 댐퍼 셋트는 적어도 둘 이상이고, 상기 댐퍼 셋트는 상기 바닥면에서 서로 다른 높이로 배치되어 상기 승강 가이드바에서 상호 단차를 이루며 배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댐퍼 셋트는, 상기 바닥면에서 제1높이 및 제2높이 중 어느 하나에 따라 배치되고, 상기 제1높이와 상기 제2높이가 교번되게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댐퍼 지지부는, 판상의 프레임을 절곡하여 상기 측벽과 평행을 이루는 절곡면 및 상기 바닥면과 평행을 이루는 슬라이딩면을 형성하고, 상기 절곡면의 외주연에는 상기 측벽을 향해 돌출되는 탄성체 지지대가 형성되는 댐퍼 지지대; 및 일 측은 상기 지지 프레임의 바닥면에 고정되고, 타 측은 상기 슬라이딩면의 두께만큼 단차를 갖고 연장되도록 절곡된 판상의 댐퍼 고정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댐퍼 롤러는, 상기 댐퍼 지지체에 고정되는 중심축; 및 상기 중심축에서 회동하며, 타이어 형상을 갖는 완충롤러;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완충롤러는, 내부가 비어있는 튜브리스(tube less) 타입, 내부에 튜브를 포함하는 튜브(tube) 타입 및 솔리드(solid) 타입 중 어느 하나의 형태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탄성체 지지대는, 코일 형상으로 내주연이 비어있는 스프링에 삽입 체결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현수식 모노레일의 승강장에서 승객의 승하차시 발생하는 캐빈의 요동을 최소화하여 승객의 불안감을 낮추고, 승객에게 안전한 승하차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캐빈과 현수식 모노레일의 탑승장 자세제어장치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2는 실시예에 따른 자세 제어장치의 상세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3은 캐빈과 자세 제어장치의 배치 관계에 대한 상측면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4는 자세 제어장치가 설치되는 승강홈에 대한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5는 승강 가이드바가 캐빈에 설치되는 위치에 대한 참조도면을 도시한다.
도 6은 본 출원인이 제품화를 위해 준비한 프로토타입 샘플제품에 대한 사진자료를 도시한다.
도 7은 댐퍼 고정대에 대한 사시도를 도시한다.
본 발명에서 기재되는 캐빈은 승객이 탑승하는 영역을 지칭할 수 있다. 통상 현수식 모노레일은 지주를 따라 가설되는 주행궤도 및 주행궤도를 따라 이동하는 차량으로 구분되고, 차량은 주행궤도와 연결되는 대차 및 대차와 일체로 형성되며, 승객을 수납하는 캐빈으로 구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현수식 모노레일의 탑승장 자세제어장치는 승객이 승하차하는 승강장에 설치되는 구조물로서, 승강장에서 승객이 승하차시 발생하는 요동을 최소화 하는것을 주 요지로 하며, 이를 중심으로 도시하고 설명하도록 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캐빈과 현수식 모노레일의 탑승장 자세제어장치(이하, 자세 제어장치라 한다)의 단면도를 도시하고, 도 2는 실시예에 따른 자세 제어장치의 상세 단면도를 도시하고, 도 3은 캐빈과 자세 제어장치의 배치 관계에 대한 상측면 사시도를 도시하고, 도 4는 자세 제어장치가 설치되는 승강홈에 대한 사시도를 도시하며, 도 5는 승강 가이드바가 캐빈에 설치되는 위치에 대한 참조도면을 도시하고, 도 6은 본 출원인이 제품화를 위해 준비한 프로토타입 샘플제품에 대한 사진자료를 도시하며, 도 7은 댐퍼 고정대에 대한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1 내지 도 7을 함께 참조하면, 실시예에 따른 자세 제어장치는, 승객이 승하차하는 승강장에 설치되는 것으로, 승강장에서 캐빈(10)이 정차하는 위치의 승강홈(1)에 설치될 수 있다. 승강장에 마련되는 승강홈(1)은 캐빈(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캐빈(10)의 하부에서 중력방향(d1)으로 돌출 형성되는 승강 가이드바(13)를 수납한다. 승강 가이드바(13)는 도 5에 도시된 것처럼, 곧은 판상의 구조물로서, 좌우 대칭이고, 캐빈(10)의 하부에서 중력방향(d1)을 향해 시작점(start)과 종점(end)이 동일 또는 균일한 두께를 갖고 중력방향(d1)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캐빈(10)의 하부에서 승강홈(1)을 따라 형성되는 승강 가이드바(13)의 돌출길이(ds)는 승강홈(1)의 깊이 보다는 작게 형성되어야 한다. 승강 가이드바(13)의 돌출 길이(ds)가 승강홈(1)의 깊이 보다 더 길게 형성될 경우, 승강 가이드바(13)가 승강홈(1)에 끼어서 캐빈(10)의 이동을 제한할 수 있는데 따른다. 승강 가이드바(13)는 승강홈(1)에서 이동할 때, 승강홈(1) 및 승강홈(1) 주변에 설치되는 구조물과 간섭을 일으키지 않을 만큼의 돌출 길이(ds)와 두께로 형성되어야 한다.
승강홈(1)은 바닥면(S1), 바닥면에서 수직하게 형성되는 측벽(S2) 및 승강면(S3)으로 형성될 수 있다. 승강홈(1)은 승강 가이드바(13)를 수납 할만큼의 깊이로 형성되어야 하고, 측벽(S2)은 후술할 탄성부재(114, 124)를 지지하며, 승강면(S3)은 승객이 승하차하는 노출면을 나타낸다.
캐빈(10)이 승강장에 정차할 때, 승강 가이드바(13)는 승강홈(1)에 길이방향 중심선에 위치할 수 있다. 도 1에서, 승강 가이드바(13)가 승강홈(1)의 단면 중심부에 위치하는 일 예를 도시한다. 승강 가이드바(13)를 중심으로, 좌측과 우측에는 각각 지지 프레임(111, 121)이 대칭되게 설치되고, 각 지지 프레임(111, 121)에는 댐퍼 롤러(113, 123)가 설치되며, 댐퍼 롤러(113)는 탄성부재(114)에 의해 승강 가이드바(13)를 향해 돌출되고, 댐퍼 롤러(123)는 탄성부재(122a)에 의해 승강 가이드바(13)를 향해 돌출된다. 즉, 승강 가이드바(13)의 좌우 양측에서 댐퍼 롤러(113, 123)가 승강 가이드바(13)를 미는(push) 형태를 갖는다. 이때, 댐퍼 롤러(113)와 댐퍼 롤러(123)는 승강 가이드바(13)를 중심으로 서로 마주보고 대칭되며, 본 발명에서 승강 가이드바(13)를 중심으로 서로 마주보고 대칭되게 배치되는 한 쌍의 댐퍼 롤러(113, 123)를 댐퍼 셋트(damper set)라 지칭하도록 한다. 댐퍼 셋트는 아래와 같은 방식에 따라 배열될 수 있다.
1) 댐퍼 셋트가 승강 가이드바(13)를 따라 복수개가 배열되며, 각각의 댐퍼 셋트는 바닥면에서 동일한 높이를 갖고 배치될 수 있다.
2) 댐퍼 셋트가 승강 가이드바(13)를 따라 복수개가 배열되며, 각각의 댐퍼 셋트는 바닥면에서 서로 다른 높이를 갖고 배치될 수 있다.
이때, 댐퍼 셋트는,
2-1) 바닥면(S1)에서 서로 다른 제1높이와 제2높이를 가지고 배열되며, 제1높이와 제2높이가 교대로 반복될 수 있다. 예컨대 댐퍼 셋트가 제1댐퍼 셋트, 제2댐펴 셋트 및 제3댐퍼 셋트로 3개가 존재하는 경우, 제1댐퍼 셋트와 제3댐퍼 셋트는 제1높이에 따라 바닥면(S1)에서 동일한 높이로 배열되고, 제2댐퍼 셋트는 제2높이에 따라 바닥면(S1)에서 상이한 높이로 배열될 수 있다. 이때, 제1높이는 바닥면(S1)에서 수 센티미터 내지 1O 센티미터의 높이를 가질 수 있고, 제2높이는 바닥면(S2)에서 10 센티미터 내지 20센티미터의 높이를 가질 수 있다. 물론, 제1높이와 제2높이는 예시된 수치보다 크거나 작을 수 있으며, 각각의 댐퍼 셋트가 바닥면(S)에서 서로 다른 높이를 가지면서 승강 가이드바(13)를 지지한다는 점에서 특징을 갖는다. 이는 댐퍼 셋트가 승강 가이드바(13)의 다양한 높이의 면을 지지하여 승강 가이드바(13)가 외력, 또는 승객의 승하차에 의해 발생하는 진동을 감소시키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2-2) 다른 한편으로, 댐퍼 셋트가 제1댐퍼 셋트, 제2댐퍼 셋트 및 제3댐퍼 셋트로서 3개가 존재한다고 가정할 대, 제1댐퍼 셋트, 제2댐퍼 셋트 및 제3댐퍼 셋트는 각각 제1높이, 제2높이 및 제3높이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제1높이, 제2높이 및 제3높이는 서로 상이한 높이를 지칭하며, 그 범위는 수 센티미터 내지 수십 센티미터에 이를 수 있다.
제1높이, 제2높이 및 제3높이에 따라 제1댐퍼 셋트, 제2댐퍼 셋트 및 제3댐퍼 셋트가 서로 상이한 높이를 가지고 승강 가이드바(13)를 지지함으로써, 승강 가이드바(13)의 종단부터 캐빈(10)과의 접합부까지 고루 댐퍼 셋트에 의해 고정되어 캐빈(10)의 요동을 최소화할 수도 있다.
이하, 도 2 및 도 6을 참조하여 자세 제어장치의 구조를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시된 자세 제어장치는 승강홈(1)을 중심으로 분할되고 대칭 형성되는 지지 프레임(111, 121)을 구비한다. 지지 프레임(111, 121)에는 댐퍼 지지부(112, 122), 댐퍼 지지부(112, 122)에 고정되는 댐퍼 롤러(113, 123), 댐퍼 롤러(113, 123)를 승강 가이드바(13)를 향해 미는 탄성부재(114, 124), 댐퍼 지지부(112, 122)에 형성되며, 탄성부재(114, 124)를 고정하는 탄성체 지지대(112c, 122c), 지지 프레임(111, 121)에 형성되며, 탄성체 지지대(112c, 122c)와 마주하는 위치에 형성되는 지지대(111a, 121a)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지지 프레임(111, 121)은 승강홈(1)의 바닥면(S1)에서 측벽(S2)을 향해 절곡 형성되며, 승강면(S3)을 형성 후, 종단은 재차 승강 가이드바(13)를 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지지 프레임(111, 121)의 종단에는 복수의 나사홀(111e, 121e)이 형성되며, 지지 프레임(111, 121) 중 캐빈(10)의 승강문(11) 방향으로는 연장 프레임(121b)이 나사(121c)에 의해 체결되고, 연장 프레임(121b)의 종단에는 영구자석(130)에 부착될 수 있다.
또한, 승강 가이드바(13) 내부에는 전자석(13a)이 마련될 수 있다. 캐빈(10)이 승강장에서 승강위치에 정위치할 때, 전자석(13a)은 턴-온 될수 있으며, 영구자석(130)과 자력에 의해 끌어당길 수 있다. 이에 따라, 전자석(13a)과 영구자석(130)이 강하게 끌어당기면서 캐빈(10)은 정위치에 고정될 수 있다.
승강장에서 승객이 승하차하는 위치는 필요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따라서, 연장 프레임(121b) 또한, 지지 프레임(111) 또는 지지 프레임(121)에 선택적으로 탈부착 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다.
도 2에서, 연장 프레임(121b)은 나사(121c)에 의해 지지 프레임(121)에 고정되어 있으나, 나사(121c)를 풀어 연장 프레임(121b)과 지지 프레임(121)을 분리 후, 지지 프레임(111)의 종단에 형성되는 나사홀(111e)을 이용하여 연장 프레임(121b)이 지지 프레임(111)에 체결될 수 있도록 한다.
지지 프레임(111, 121)은 승강홈(1)의 바닥면(S1)에서 측벽(S2)을 향해 절곡 형성되며, 승강 가이드바(13)를 중심으로 좌우 한쌍으로 분할된다. 지지 프레임(111, 121)에는 탄성체 지지대(112c, 122c)와 마주보는 위치에 지지대(111a, 121a)를 형성할 수 있다.
지지대(111a, 121a)는 내부가 비어있는 스프링과 같은 탄성부재(114, 124)를 탄성체 지지대(112c, 122c)와 양측에서 삽입 및 지지하여 탄성부재(114, 124)가 지지 프레임(111, 121)을 기반으로 댐퍼 지지부(112, 122)를 승강 가이드바(13)로 밀수 있도록 한다.
댐퍼 지지부(112, 122)는 판상의 프레임을 절곡하여 측벽(S2)과 평행을 이루는 절곡면(112a, 122a), 바닥면(S1)과 수평을 이루는 슬라이딩면(112b)을 형성할 수 있다. 절곡면(112a, 122a)에는 탄성체 지지대(112c, 122c)가 측벽(S2) 방향으로 돌출되고, 지지 프레임(111, 121) 측에 형성되는 지지대(111a, 121a)와 마주하게 형성되어, 탄성부재(114, 124)가 지지대(111a, 121a)와 탄성체 지지대(112c, 122c) 사이에 끼움 결합될 수 있도록 한다.
댐퍼 고정대(115, 125)는 댐퍼 지지부(112, 122)의 슬라이딩면(112b, 122b)이 d2 방향 또는 d3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도록 슬라이딩면(112b, 122b)의 이동 공간을 형성한다. 이를 위해, 댐퍼 고정대(115, 125)는 댐퍼 지지부(112, 122)의 양측 단부에 형성되어 댐퍼 지지부(112, 122)가 이동 경로를 이탈되지 않도록 한다. 예컨대, 댐퍼 고정대(115)의 경우,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댐퍼 지지부(112)의 양측 단부에 각각 제1댐퍼 지지부(115a) 및 제2댐퍼 지지부(115b)가 마련되어 댐퍼 지지부(112)를 고정할 수 있다. 그런데, 댐퍼 지지부(112)가 지지 프레임(111)에 고정되어 버리면 댐퍼 지지부(112)가 d2 방향 또는 d3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할 수 없으므로, 댐퍼 고정대(115)는 댐퍼 지지부(112)가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도록 절곡면(115a2)이 슬라이딩면(115a1) 만큼의 단차를 갖고 연장되도록 절곡 형성될 수 있다. 이는 도 7을 함께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7을 함께 참조하면, 댐퍼 고정대(115)는 판상의 고정면(115a1) 및 절곡면(115a2)을 구비하며, 절곡면(115a2)은 고정면(115a1)과 단차(h1)를 갖도록 절곡된다. 고정면(115a1)에는 지지 프레임(111)과의 나사 결합을 위한 나사홀(115a3, 115a4)이 형성될 수 있다. 절곡면(115a2)과 고정면(115a1) 사이의 단차(h1)의 치수는 댐퍼 지지부(112) 보다 0.1mm 내지 5mm 더 크게 형성되도록 하여 단차(h1)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S4)에서 댐퍼 지지부(112)가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도록 하면서도 절곡면(115a2)에 의해 댐퍼 지지부(112)의 이탈이 방지되어 d2 방향 또는 d3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댐퍼 고정대(115a)는 제1댐퍼 고정대(115a)에 해당하는 것으로, 댐퍼 지지부(112)를 고정하기 위해서는 한 쌍이 요구된다. 이는 도 6에서, 댐퍼 지지부(112)를 고정하기 위한 댐퍼 고정대(115a, 115b)가 한 쌍으로 예시된 것과 같다.
설명과 이해의 편의를 위해, 참조부호 115a는 제1댐퍼 고정대라 하고, 참조부호 115b를 제2댐퍼 고정대라 할 때, 제2댐퍼 고정대(115b)는 제1댐퍼 고정대(115a)와 동일한 구조를 가지되, 다만 댐퍼 롤러(113), 또는 댐퍼 지지부(112)를 기준으로 배치 방향만 역상인 차이를 가지므로, 제2댐퍼 고정대(115b)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며, 제2댐퍼 고정대(115b)에 대한 설명은 제1댐퍼 고정대(115a)의 것을 준용하도록 한다.
댐퍼 롤러(113, 123)는 댐퍼 지지부(112, 122)에 고정되고, 타이어 형상을 가지며, 타이어 형상의 노출면, 즉 곡률반경을 가질 수 있다.
댐퍼 롤러(113, 123)는 승강 가이드바(13)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며, 탄성부재(114, 124)에 의해 승강 가이드바(13)를 밀도록 구성된다. 댐퍼 롤러(113, 123)는 금속 재질의 중심축(113a, 123a)을 구비하고, 중심축(113a, 123a)의 외주연에는 소음이 적고 충격 흡수에 용이한 고무, 플라스틱, TPR(Thermo Plastic Rubber)과 같은 재질의 완충 롤러로 구성될 수 있다. 댐퍼 롤러(113, 123)의 외주연은 내구성 확보를 위해, 스테인레스, 알루미늄 또는 합금과 같은 금속 재질로 형성될 수도 있다. 다만 이 경우, 승강 가이드바(13)와의 마찰음이 발생할 수는 있다.
댐퍼 롤러(113, 123)를 고무, 플라스틱, TPR(Thermo Plastic Rubber)의 재질로 형성할 경우, 댐퍼 롤러(113, 123)의 외주연을 구성하는 완충 롤러는 아래의 각 호에 따른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4) 내부가 비어있고, 내부에는 공기 또는 질소와 같은 기체가 삽입되는 튜브리스 타입(Tube less)으로 형성되는 경우, 댐퍼 롤러(113, 123)는 내부에 충진되는 기체에 의해 탄성을 가질 수 있다.
5) 내부에 튜브를 포함하는 튜브 타입(Tube type)으로 형성되는 경우, 댐퍼 롤러(113, 123)는 튜브에 기체(공기, 질소 및 기타 가스)가 충진되므로, 튜브리스 타입에 비해 더 높은 탄성을 가질 수 있다. 탄성이 커질수록 승강 가이드바(13)와 접촉 또는 충돌 시, 승강 가이드바(13)에 의해 발생하는 요동을 흡수하면서 승강 가이드바(13)를 밀어서 고정할 수 있다.
6) 솔리드 타입(Solid type)으로 형성되는 경우, 튜브리스 타입이나 튜브 타입 대비 탄성은 떨어지는 대신, 내부에 기체를 충진하지 않아도 되고, 새롭게 기체를 충진할 필요도 없으므로 유지 관리가 간편한 장점이 있다.
본 발명에서 댐퍼 롤러는 참조부호 113 및 참조부호 123을 중심으로 도시되고 설명되었다.
그러나, 댐퍼 롤러(113, 123)는 여러 개가 지지 프레임(111, 121)에 설치될 수 있으며, 도 6에 도시된 것처럼, 참조부호 113, 113-1, 113-2 및 참조부호 123, 123-1, 123-2와 같이 모두 6개가 존재할 수 있고, 이 보다 더 많은 수가 존재할 수도 있다. 다만, 본 발명에 대한 이해와 설명을 위해 참조부호 113 및 123을 중심으로 설명한 것일 뿐이며, 나머지 참조부호(113-1, 113-2 및 참조부호 123, 123-1, 123-2)가 부여된 댐퍼 롤러는 참조부호 113, 123에 대해 설명하고 도시한 것과 동일하므로, 참조부호 113 및 123을 준용하도록 하며,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111, 121 : 지지 프레임 111a, 121a : 지지대
111e : 나사홀 112, 122 : 댐퍼 지지부
112a, 122a : 절곡면 112b, 122b : 슬라이딩면
113, 123 : 댐퍼 롤러 113a, 123a : 중심축
114, 124 : 탄성부재 115, 125 : 댐퍼 고정대
130 : 영구자석

Claims (8)

  1. 캐빈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캐빈의 하부에서 중력방향을 향해 돌출 형성되는 승강 가이드바를 지지하는 현수식 모노레일의 탑승장 자세제어장치에 있어서,
    승강홈의 바닥면에서 상기 승강홈의 측벽을 따라 형성되며, 상기 승강 가이드바의 양측면을 따라 각각 분할되는 지지 프레임;
    상기 지지 프레임에서 슬라이딩 구동되는 댐퍼 지지부;
    상기 댐퍼 지지부에 고정되며, 타이어 형상의 노출면을 가지고, 상기 승강 가이드바를 향해 돌출 형성되는 댐퍼 롤러; 및
    상기 댐퍼 지지부와 상기 지지 프레임의 측벽 사이에 마련되며, 상기 댐퍼 지지부를 상기 승강홈의 중심을 향해 밀어서 상기 댐퍼 롤러가 상기 승강 가이드바에 이웃하게 배치되도록 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댐퍼 롤러는,
    상기 승강 가이드바의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개가 상기 지지 프레임의 양측면에서 서로 마주보게 배치되며,
    상기 댐퍼 지지부는,
    판상의 프레임을 절곡하여 상기 측벽과 평행을 이루는 절곡면; 및 상기 바닥면과 평행을 이루는 슬라이딩면;을 구비하고,
    상기 절곡면의 외주연에는 상기 측벽을 향해 돌출되는 탄성체 지지대; 및
    일 측은 상기 지지 프레임에 고정되고, 타 측은 상기 슬라이딩면의 두께만큼 단차를 갖고 연장되도록 절곡되는 판상의 댐퍼 고정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수식 모노레일의 탑승장 자세제어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댐퍼 롤러는,
    상기 승강 가이드바를 기준으로 서로 마주하는 한 쌍이 하나의 댐퍼 셋트를 형성하며,
    상기 댐퍼 셋트는 적어도 둘 이상이고,
    상기 댐퍼 셋트는 상기 바닥면에서 동일한 높이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수식 모노레일의 탑승장 자세제어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댐퍼 롤러는,
    상기 승강 가이드바를 기준으로 서로 마주하는 한 쌍으로 하나의 댐퍼 셋트를 형성하며,
    상기 댐퍼 셋트는 적어도 둘 이상이고,
    상기 댐퍼 셋트는 상기 바닥면에서 서로 다른 높이로 배치되어 상기 승강 가이드바에서 상호 단차를 이루며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수식 모노레일의 탑승장 자세제어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댐퍼 셋트는,
    상기 바닥면에서 제1높이 및 제2높이 중 어느 하나에 따라 배치되고,
    상기 제1높이와 상기 제2높이가 교번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수식 모노레일의 탑승장 자세제어장치.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댐퍼 롤러는,
    상기 댐퍼 지지부에 고정되는 중심축; 및,
    상기 중심축에서 회동하며, 타이어 형상을 갖는 완충롤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수식 모노레일의 탑승장 자세제어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롤러는,
    내부가 비어있는 튜브리스(tube less) 타입, 내부에 튜브를 포함하는 튜브(tube) 타입 및 솔리드(solid) 타입 중 어느 하나의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수식 모노레일의 탑승장 자세제어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 가이드바는, 내부에 전자석을 더 구비하고,
    상기 지지 프레임은, 상기 캐빈이 승강장의 승강위치에 정위치할 때, 상기 전자석과 마주보는 위치에 영구자석을 구비하며,
    상기 캐빈이 상기 정위치에 도달할 때, 상기 전자석이 구동하여 발생하는 자력으로 상기 영구자석을 끌어당겨 상기 캐빈을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수식 모노레일의 탑승장 자세제어장치.
KR1020230007355A 2023-01-18 2023-01-18 현수식 모노레일의 탑승장 자세제어장치 KR1026497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07355A KR102649790B1 (ko) 2023-01-18 2023-01-18 현수식 모노레일의 탑승장 자세제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07355A KR102649790B1 (ko) 2023-01-18 2023-01-18 현수식 모노레일의 탑승장 자세제어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49790B1 true KR102649790B1 (ko) 2024-03-21

Family

ID=904724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07355A KR102649790B1 (ko) 2023-01-18 2023-01-18 현수식 모노레일의 탑승장 자세제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49790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32135A (ja) * 1995-11-10 1997-05-20 Nippon Cable Co Ltd 索道等の懸垂輸送設備の搬器
KR101561836B1 (ko) 2013-09-13 2015-10-20 주식회사 태광 퍼스널 모노레일의 구동롤러장치
KR102203237B1 (ko) 2020-07-28 2021-01-13 한국모노레일주식회사 모노레일 차량 구동장치
CN112389470A (zh) * 2020-11-20 2021-02-23 娄底市同丰科技有限公司 一种用于煤矿架空乘人的防逆行保护装置
KR102351965B1 (ko) 2020-12-04 2022-01-18 한국모노레일주식회사 수평 유지 장치가 구비된 모노레일 차량
KR20220037495A (ko) * 2019-07-25 2022-03-24 홈즈 솔루션스 리미티드 파트너쉽 대상체 운송 시스템 및 방법
KR20220157977A (ko) * 2020-02-26 2022-11-29 인노바 파텐트 게엠베하 케이블 카 안정장치를 구비한 삭도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32135A (ja) * 1995-11-10 1997-05-20 Nippon Cable Co Ltd 索道等の懸垂輸送設備の搬器
KR101561836B1 (ko) 2013-09-13 2015-10-20 주식회사 태광 퍼스널 모노레일의 구동롤러장치
KR20220037495A (ko) * 2019-07-25 2022-03-24 홈즈 솔루션스 리미티드 파트너쉽 대상체 운송 시스템 및 방법
KR20220157977A (ko) * 2020-02-26 2022-11-29 인노바 파텐트 게엠베하 케이블 카 안정장치를 구비한 삭도
KR102203237B1 (ko) 2020-07-28 2021-01-13 한국모노레일주식회사 모노레일 차량 구동장치
CN112389470A (zh) * 2020-11-20 2021-02-23 娄底市同丰科技有限公司 一种用于煤矿架空乘人的防逆行保护装置
KR102351965B1 (ko) 2020-12-04 2022-01-18 한국모노레일주식회사 수평 유지 장치가 구비된 모노레일 차량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DE A*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171857B2 (en) Installation for the downward transport of persons from a mountain station to a valley station
JPH10235026A (ja) ロ−ラ−コ−スタ−
KR101635940B1 (ko) 활강 레포츠 장치
US3074356A (en) Conveyor trolley and track thereof
JP2008081301A (ja) スタッカクレーン
US9394021B2 (en) Conveyance device
US9828053B2 (en) Vehicle assembly line
KR100745106B1 (ko) 반송 시스템
JP2009184544A (ja) 吊り下げ搬送装置
KR102649790B1 (ko) 현수식 모노레일의 탑승장 자세제어장치
USH702H (en) Controlling the motion of a compensating rope in an elevator
CN103619746B (zh) 双层电梯
US2078770A (en) Parking tower
JP2013123965A (ja) 軌条走行機械の転倒防止装置
US3147714A (en) Elevated track and structure for supporting a coach for movement therealong
US20080173503A1 (en) Frame for a lift
KR101583706B1 (ko) 다구간(수직수평) 이송용 엘리베이터 장치
US9428198B2 (en) Monorail vehicle apparatus with gravity-augmented contact load
EP0611847A1 (en) Fixed installation for changing the railways gage
JP6757094B2 (ja) プラットホーム用ゲート装置
US695406A (en) Trolley-support.
KR101797317B1 (ko) 케이블 행거 장치
KR102484613B1 (ko) 익스트림 라이더
KR101202840B1 (ko) 스크린 도어 장치
JP7135411B2 (ja) 搬送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