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52838B1 - 안전도착 유도를 위한 보조 감속장치가 구비된 공중활강이동장치 - Google Patents

안전도착 유도를 위한 보조 감속장치가 구비된 공중활강이동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52838B1
KR102252838B1 KR1020200135402A KR20200135402A KR102252838B1 KR 102252838 B1 KR102252838 B1 KR 102252838B1 KR 1020200135402 A KR1020200135402 A KR 1020200135402A KR 20200135402 A KR20200135402 A KR 20200135402A KR 102252838 B1 KR102252838 B1 KR 1022528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il
sides
destination
friction plates
traveling mach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354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원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챌린지코리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챌린지코리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챌린지코리아
Priority to KR10202001354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5283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528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528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GMERRY-GO-ROUNDS; SWINGS; ROCKING-HORSES; CHUTES; SWITCHBACKS; SIMILAR DEVICES FOR PUBLIC AMUSEMENT
    • A63G21/00Chutes; Helter-skelters
    • A63G21/22Suspended slideway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BRAILWAY SYSTEMS; EQUIPMENT THEREFO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1B7/00Rope railway systems with suspended flexible tra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HBRAKES OR OTHER RETARD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RAIL VEHICLES; ARRANGEMENT OR DISPOSITION THEREOF IN RAIL VEHICLES
    • B61H9/00Brakes characterised by or modified for their application to special railway systems or purposes
    • B61H9/02Brakes characterised by or modified for their application to special railway systems or purposes for aerial, e.g. rope, railway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KAUXILIARY EQUIPMENT SPECIALLY ADAPTED FOR RAILWAY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1K7/00Railway stops fixed to permanent way; Track brakes or retarding apparatus fixed to permanent way; Sand tracks or the like
    • B61K7/16Positive railway stops
    • B61K7/18Buffer sto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Escalators And Moving Walkway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안전도착 유도를 위한 보조 감속장치가 구비된 공중활강이동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공중활강이동장치 시설에 있어, 레일을 따라 다양한 직선 및 곡선구간을 탑승자가 주행기에 의해 활강하고, 최종 도착지의 랜딩장치로 진입하기 이전 레일상에 다수의 마찰판이 등간격지게 전후측 고정체에 설치되고, 이 고정체는 레일상의 연결브라켓에 고정되는 지지브라켓에 고정 설치되어 마찰판과의 접촉마찰로 인한 감속을 일차적으로 감속시켜 랜딩장치인 후크유닛을 지나 완충유닛에서 압축코일스프링에 의한 2차 완충 효과를 가지며, 압축코일스프링의 반발력에 의해 역으로 이동시에는 후크블록이 주행기의 충격흡수와 더불어 역주행을 완전히 차단하는 구조이며, 랜딩장치에 받는 충격을 최소화하여 랜딩장치의 파손을 줄여줌은 물론, 활강 도착지에 탑승자가 안전하게 착지하여 보다 안전한 활강을 마칠 수 있다.

Description

안전도착 유도를 위한 보조 감속장치가 구비된 공중활강이동장치{Zip coaster equipped with auxiliary reduction device for inducing safe arrival}
본 발명은 공중활강이동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좀더 상세하게는 활강레포츠의 하나인 공중활강이동장치 시설에 있어, 레일을 따라 다양한 직선 및 곡선구간을 탑승자가 공중활강이동장치 주행기(트롤리)에 의해 활강하여 최종 도착지의 랜딩장치로 진입하기 이전 주행을 일차적으로 감속시켜 랜딩장치에서의 충격흡수와 역주행이 방지되도록 하여 도착장소에 탑승자가 완전히 착지하는 순간까지 안전한 활강을 마칠 수 있도록 한 안전도착 유도를 위한 보조 감속장치가 구비된 공중활강이동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관광레저 스포츠 산업에 대한 관심이 커지면서 산이나 강 등의 자연적인 지형 조건을 이용한 하강코스(Course)의 하강 시설물(Cable Coaster)을 갖추어 체험자들이 활강을 즐길 수 있도록 한 레포츠 시설이 각광받고 있다.
짚라인(Zip Line)을 비롯하여 플라잉폭스(Flying Fox), 립라이드(Rip Ride), 케이블코스터(Cable Coaster) 등도 짚라인과 유사한 형태로 즐길 수 있다.
또한, 공중활강이동장치는 상기 짚라인 시설의 직선코스(Course)와는 달리, 산악지역에서 출발지점과 도착지점 사이에 수개의 지주와, 지주와 지주사이에 와이어로서 현수된 복수형 레일(트랙)을 따라 이동하는 주행기에 탑승자가 안전하게 매달린 상태로 활강하면서 다양한 하강 직선구간 및 하강 곡선구간이 제공되는 레일을 따라 속도감 있는 스릴(Thrill)과 자연경관을 함께 즐길 수 있다.
상기와 같이 한 쌍으로 된 레일을 따라 활강을 즐길 수 있도록 한 활강 레포츠 관련 선원기술을 살피면,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635940호(명칭: 활강 레포츠 장치, 공고일자: 2016년 07월 05일, 이하 이를 '특허문헌'라 칭함)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 특허문헌은 본 출원인이 등록받은 건으로서, 이는 높은 곳에서 낮은 곳으로 설정된 레일을 따라 활강하는 과정에서 와이어가 아닌 레일의 유동이 없는 금속 파이프로 레일을 형성하고 안정적인 출발과 도착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개발한 것으로,
일정 간격 수직으로 입설되는 복수 개의 지주와, 상기 지주를 연결하여 연속적으로 연장되는 레일과, 상기 레일에 장착되고 그 하부에 사람 또는 물체가 매달려 활강하는 주행기를 포함하는 활강 레포츠 장치에 있어서,
상기 레일은 원형 단면을 가지는 두 개 이상의 파이프가 나란히 연장되며, 판의 형상을 가지고 좌우로 관통된 고정홀을 구비하는 복수 개의 연결브라켓이 양측 파이프의 사이를 따라 삽입 고정되고, 상기 연결브라켓이 상기 지주에서 수평연장된 후 수직 절곡되는 레일연결대에 직접 고정되거나 고정홀을 관통하는 고정와이어에 의하여 지주 또는 레일연결대에 고정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주행기는 상기 레일이 관통하는 레일 관통홀이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고, 상부 중앙에는 절개되어 연결브라켓이 통과하는 절개부가 형성되며, 내측 상부에 장착되어 양측 끝단의 파이프 상면에 밀착하여 회전하도록 외경이 오목하게 형성되는 복수 개의 주행휠과, 내측 하부에 장착되어 인접한 두 개의 파이프 사이에 삽입되어 회전하도록 외경이 볼록하게 형성되는 복수 개의 중심휠과, 하단에는 길이 방향으로 삽입된 후 고정되도록 하여 탑승자가 장착한 슬링벨트의 상단이 결합하도록 하는 한 쌍의 고정핀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레일이 시작되는 출발지에 레일 및 레일에 장착된 주행기의 하부를 제외한 상부와 양측면을 감싸도록 연결브라켓에 고정되는 제1 고정브라켓과, 상기 제1 고정브라켓의 전방 일측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일측 끝단은 제1 고정브라켓의 전방 타측에 형성되는 제1 고정돌기와 결합하는 훅이 형성되고 타측은 손잡이가 형성되는 안전레버를 구비하는 주행기 출발장치와;
상기 레일이 끝나는 도착지에 레일 및 레일에 장착된 주행기의 하부를 제외한 상부와 양측면을 감싸도록 연결브라켓에 고정되는 제2 고정브라켓 및 제2 고정브라켓의 전방에 이격된 제3 고정브라켓과, 상기 제2 및 제3 고정브라켓의 양측 하단을 연결하는 한 쌍의 가이드봉과, 상기 가이드봉에 각각 장착되는 압축코일스프링과, 양측이 상기 가이드봉에 관통되고 상기 압축코일스프링의 후방에 고정되는 충격흡수판을 구비하는 주행기 랜딩장치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활강 레포츠 장치는, 주행기 출발장치에 의하여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서만 출발할 수 있도록 하여 의도하지 않은 출발을 방지하며, 주행기 랜딩장치에 의하여 도착지에서 속도가 탄성적으로 줄면서 완충할 수 있도록 한것이다.
상기 활강 레포츠 장치에 있어, 랜딩장치는 기본적으로 주행기가 활강하여 진입하면 충격흡수판과 충돌하면서 압축코일스프링이 속도를 완충하여 안전하게 정지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아울러 상기 주행기 랜딩장치에 있어, 제2 고정브라켓의 상면에는 진입하는 주행기의 전방 상단이 충돌한 후 경사면을 밀어 회전하도록 하면서 주행기가 통과하도록 하고, 압축코일스프링의 반발력에 의하여 후퇴하는 주행기의 후방은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지 않는 수직면과 만나면서 통과하지 못하도록 하는 한 쌍의 후크블록이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이는 주행기의 진입에 의하여 회전한 후크블록이 원래 위치로 복귀하는 것은 자중에 의하여 이루어지도록 하거나 힌지축에 별도의 토션스프링을 장착하여 보다 빠른 속도로 복귀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하지만, 주행기가 상기 랜딩장치에 들어서 후크블록을 지나 충격흡수판과 압축스프링을 통해 최종 충격을 흡수는 탑승자에게 상대적으로 받는 저항을 최소화시키고, 후크블록에 의해 역주행이 방지할 수 있지만, 탑승자의 신체 체중이 가벼운 경우를 제외한 체중이 많이 나갈 경우에는 평균이상의 가속도로 최종 도착지로 진입하기 랜딩장치에 무리를 주어 파손되는 사례가 발생하고, 탑승자에게 심한 충격여운이 남게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제반되는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한 것으로서, 활강레포츠의 하나인 공중활강이동장치용 시설에 있어, 레일을 따라 다양한 직선 및 곡선구간을 탑승자가 주행기(트롤리)에 의해 활강하여 최종 도착지의 랜딩장치로 진입하기 이전 주행을 일차적으로 감속시켜 랜딩장치에서의 충격흡수와 역주행이 방지되도록 하여 도착장소에 탑승자가 완전히 착지하는 순간까지 안전한 활강을 마칠 수 있도록 한 안전도착 유도를 위한 보조 감속장치가 구비된 공중활강이동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하면, 높은 지역의 출발지로부터 낮은 지역의 도착지까지 일정 간격 수직으로 세워지는 다수의 지주에 한 쌍의 파이프로 이루어지고 연결브라켓이 구비되어 주행기를 안내하는 레일이 현수(懸垂)되며, 상기 레일이 종료되는 도착지에는 탑승자를 태운 주행기의 주행속도를 완화시키기 위한 완충유닛 및 완충유닛으로터 레일의 역방향으로 주행기의 역주행을 방지하는 후크유닛이 구비된 랜딩장치를 포함하는 공중활강이동장치에 있어서,
상기 랜딩장치가 설치된 이전의 레일 선상에는 도착지로 들어오는 주행기의 진행방향 전면 양측과 상부 양측에 마찰접촉으로 주행기의 활강 진입속도를 감속하는 보조 감속장치가 구비되며,
상기 보조 감속장치는, 결합공 및 와이어 연결공이 형성되어 상기 결합공을 통해 레일상의 연결브라켓에 체결부재로 고정되는 아치부와, 아치부 양측에 연결부를 갖는 한 쌍의 지지브라켓과, 하부가 개방된 직사각형체로, 상부에는 상기 지지브라켓의 연결부와 일치되어 체결부재로 고정되는 제1결합공이 형성되고, 양 측면에는 제2결합공이 대응되게 형성된 고정체와, 상기 고정체 내에 등간격지게 배열되어 주행기와의 마찰 접촉으로 주행기의 속도를 감속시키는 다수개의 마찰판과, 상기 마찰판 사이사이에 마찰판과 교호로 배치되어 마찰판의 간격을 유지하는 파이프형 스페이서와, 상기 고정체의 제2결합공을 통해 다수개의 마찰판을 관통 지지하며, 양측에는 너트체결을 위한 수나사가 형성된 고정봉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마찰판은 두께를 갖는 직사각형의 판으로, 고탄력성에 의한 복원력이 뛰어난 고무계열 소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고정봉의 관통을 위한 관통공이 형성되며, 상기 스페이서의 양단을 지지하는 링부재가 마찰판의 상부 양측에 돌출되게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스페이서는 주행기의 간섭에 의해 구부러지고 탄력적으로 펴지는 마찰판과 마찰판이 상호 닿지 않는 길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공중활강이동장치 시설에 있어, 레일을 따라 다양한 직선 및 곡선구간을 탑승자가 주행기에 의해 활강하고, 최종 도착지의 랜딩장치로 진입하기 이전 레일상에 다수의 마찰판이 등간격지게 전후측 고정체에 설치되고, 이 고정체는 레일상의 연결브라켓에 고정되는 지지브라켓에 고정 설치되어 마찰판과의 접촉마찰로 인한 감속을 일차적으로 감속시켜 랜딩장치인 후크유닛을 지나 완충유닛에서 압축코일스프링에 의한 2차 완충 효과를 가지며, 압축코일스프링의 반발력에 의해 역으로 이동시에는 후크블록이 주행기의 충격흡수와 더불어 역주행을 완전히 차단하는 구조이며, 랜딩장치에 받는 충격을 최소화하여 랜딩장치의 파손을 줄여줌은 물론, 활강 도착지에 탑승자가 안전하게 착지하여 보다 안전한 활강을 마칠 수 있도록 있는 효과가 제공된다.
도 1은 본 발명인 보조 감속장치가 적용된 공중활강이동장치의 도착지를 도시한 측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보조 감속장치가 레일에 적용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보조 감속장치의 구성을 분리하여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보조 감속장치를 통과하기 이전의 주행상태를 보여주는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보조 감속장치의 감속상태를 순차적으로 도시한 측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공중활강이동장치의 레일 상에 설치되는 후크블록의 결합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7은 도 6에서 주행기가 후크블록을 지나 역주행이 방지되는 상태를 순차적으로 도시한 측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공중활강이동장치의 도착지에 최종 설치되는 도 1의 랜딩장치를 참고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은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본 발명은, 높은 지역의 출발지로부터 낮은 지역의 도착지(1)까지 일정 간격 수직으로 세워지는 다수의 지주에는 한 쌍의 파이프로 이루어지고 연결브라켓(12)이 구비되어 주행기를 안내하는 레일(10)이 현수(懸垂)되며, 상기 레일(10)이 종료되는 도착지(1)에는 탑승자를 태운 주행기(2)의 주행속도를 완화시키기 위한 완충유닛(20-1) 및 완충부로터 레일(10)의 역방향으로 주행기(2)의 역주행을 방지하는 후크유닛(20-2)이 구비된 랜딩장치(20)를 포함하는 공중활강이동장치에 있어서,
상기 랜딩장치(20)가 설치된 이전의 레일(10) 선상에는 도착지(1)로 들어오는 주행기(2)의 진행방향 전면 양측과 상부 양측에 마찰접촉으로 주행기(2)의 활강 진입속도를 감속하는 보조 감속장치(30)가 구비된다.
상기 보조 감속장치(30)는,
결합공(31a) 및 와이어 연결공(31b)이 형성되어 상기 결합공(31a)을 통해 레일(10)상의 연결브라켓(12)에 체결부재로 고정되는 아치부(31-1)와, 아치부 양측에 연결부(31-2)를 갖는 한 쌍의 지지브라켓(31)과, 하부가 개방된 직사각형체로, 상부에는 상기 지지브라켓(31)의 연결부(31-2)와 일치되어 체결부재로 고정되는 제1결합공(32a)이 형성되고, 양 측면에는 제2결합공(32b)이 대응되게 형성된 고정체(32)와, 상기 고정체(32) 내에 등간격지게 배열되어 주행기(2)와의 마찰 접촉으로 주행기의 속도를 감속시키는 다수개의 마찰판(33)과, 상기 마찰판(33) 사이사이에 마찰판과 교호로 배치되어 마찰판의 간격을 유지하는 파이프형 스페이서(34)와, 상기 고정체(32)의 제2결합공(32b)을 통해 다수개의 마찰판(33)을 관통 지지하며, 양측에는 너트체결을 위한 수나사(35a)가 형성된 고정봉(35)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레일(10)상의 연결브라켓(12)에 설치된 지지브라켓(31)의 아치부(31-1)측 와이어 연결공(31b)에는 미도시된 지주로부터 설치되는 레일연결대측과 고정와이어로 연결되어 레일을 포함한 상기 보조 감속장치(30)를 안정되게 고정한다.
참고로 상기 연결브라켓(12)은 전반적인 레일의 활강 구간에 있어서, 레일이 적소에 용접설치되어 상술한 고정와이어의 연결매체로서 레일 연결대를 통한 지주에 레일의 안정적인 설치가 이루어지는 부분이다.
상기 마찰판(33)은 두께를 갖는 직사각형의 판으로, 고탄력성에 의한 복원력이 뛰어난 고무계열 소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고정봉(35)의 관통을 위한 관통공(36a)이 형성되며, 상기 스페이서(34)의 양단을 지지하는 링부재(36)가 마찰판(33)의 상부 양측에 돌출되게 구비된다.
한편 상기 마찰판(33)의 고무계열 소재는 우레탄 재질의 고무재질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스페이서(34)는 주행기(2)의 간섭에 의해 구부러지고 탄력적으로 펴지는 마찰판(33)과 마찰판(33)이 상호 닿지 않는 길이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는 상호 부딪힘으로 인한 소음발생을 줄이기 위함이다.
한편, 상기 랜딩장치(20)를 구성하는 완충유닛 및 후크유닛은 상술한 특허문헌에서 기재한 랜딩장치의 구성으로서, 상기 완충유닛(20-1)은 첨부된 도 8을 참조하면, 레일(10)이 끝나는 도착지에 레일(10) 및 레일(10)에 장착된 주행기(2)의 하부를 제외한 상부와 양 측면을 감싸도록 연결브라켓(12)에 고정되는 제1고정브라켓(21) 및 제1고정브라켓(21)의 전방에 이격된 제2고정브라켓(22)과, 상기 제1 및 제2고정브라켓(21, 22)의 양측 하단을 연결하는 한 쌍의 가이드봉(23)과, 상기 가이드봉(23)에 각각 장착되는 압축코일스프링(24)과, 양측이 상기 가이드봉(23)에 관통되고 상기 압축코일스프링(24)의 후방에는 주행기와 부딪히면서 후방으로 상기 압축코일스프링을 가압하면서 밀려나거나 복원되게 하는 충격흡수판(25)이 구비되며, 상기 충격흡수판은 레버(26)에 의해 이격되거나 잠금되는 타입으로 주행기(20)를 레일(10)로부터 이탈시킬 수 있는 구조이다.
상기 후크유닛(20-2)은 레일(10)상에 완충유닛(20-1)이 설치된 이전의 레일측 연결브라켓(12)에 설치되는 것으로, 도착지(1)로 진입하는 주행기(2)가 통과하도록 하고, 상기 압축코일스프링(24)의 반발력에 의하여 후퇴하는 주행기(2)의 후방은 반대 방향으로 밀려나가는 것을 방지하는 한 쌍의 후크블록(27)이 제3고정브라켓(28)에 일측이 회동가능하게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각각의 후크블록(27)은 제3고정브라켓(28)에 일측이 회동가능하게 축핀으로 연결 설치되되, 주행기가 진입하는 방향으로는 회전되어 주행기를 통과시키고, 그 반대방향으로는 후크블록의 상면이 제3고정브라켓의 저부에 걸려 주행기가 역으로 벗어나지 않게 설치된다.
상기 제3고정브라켓(28)은 레일(10) 상의 연결브라켓(12)의 양측에 각각 고정되어 2개의 후크블록(27)은 주행기의 역주행 방향으로 차단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이다. 상기 후크블록(27)의 역주행방지시 주행기(2)와의 접촉충격을 방지하기 위한 목적에서 상기 후크블록(27)에는 완충구(27a)가 부착 고정된다.
한편, 참고로 상기 주행기(2)는 레일(10)의 상부에 안착되어 구름되는 제1안내롤러 및 레일과 레일 사이의 하부에 안내 구름되는 제2안내롤러가 몸체 내에 구비되며, 몸체의 하부에는 탑승자를 매달기 위한 슬링벨트 설치를 위한 연결부가 마련되어 레일상으로부터 주행이 이루어지도록 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주행기의 주요부분에 대한 구체적인 내용은 특허문헌에서와 동일한 관계로 롤러의 가이드 및 슬링벨트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이하 설명하기로 한다.
이와 같이 보조 감속장치가 구비된 공중활강이동장치를 이용한 탑승자의 활강 및 도착지에서의 주행 감속에 따른 작용을 기술하면 다음과 같다.
출발지에서 시작한 탑승자의 활강 주행은, 통상 주행기 측과 연결된 슬링벨트, 하네스의 착용 연결로서 안전하게 탑승자가 매달린 상태로 도착지까지 긴 구간을 활강하고, 탑승자는 주변을 경관하면서 스피드를 즐기면서 하강하게 된다.
통상 공중활강이동장치 시설은 고도가 있는 자연지형의 고저차를 이용하는 지역에 시설되기 때문에 구조물로 지어진 도착지(1)까지 도달하기 전에는 레일(10)의 경사를 최대한 수평에 가깝게 시설하고 있으나, 활강하는 속도는 도착지에 마련된 랜딩장치(20)에 이르기 전 레일(10)상의 연결브라켓(12)에 설치된 보조 감속장치(30)를 먼저 통과하게 하면서 주행 속도를 현저히 감속시켜 줌으로써, 도착지(1)의 데크 상에 안전한 도착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상기 보조 감속장치(30)에서 스페이서(34)와 함께 등간격지는 다수개의 마찰판(33)들은 주행기(2)와 접촉시 첨부된 도 5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나타난다.
이는 지지브라켓(31)의 아치부(31-1) 양측의 연결부(31-2)에 각각 설치된 고정체(32)측의 마찰판(33)들과 접촉하면서 충격이 흡수됨과 동시에, 주행기(2)를 벗어난 마찰판(33)은 고탄력성 우레탄계열 소재의 특성상 빠른 탄성으로 바로 복원된다.
즉, 다수개의 마찰판(33)들에서 충격 흡수가 이루어지는 것으로, 그 형태는 전후로 나누어 1차, 2차의 충격흡수가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이 마찰판(33)들에 주행기(2)의 가속에 따른 충격완화시 각각 마찰판에 돌출되게 마련된 링부재(36)에 받쳐진 스페이서(34)의 간격이 각각 마찰판(33)의 탄성복원시 상호 닿지 않으면서 빠르게 복원되기 때문에 마찰판과 마찰소음을 최대한 줄이면서 속도를 감속시킬 수 있게 한다.
상기와 같이 속도가 감속된 주행기(2)에 매달린 탑승자는 상술한 랜딘장치(20) 중 후크유닛(20-2)을 통과하게 되고, 이어서 완충유닛(20-1)에 도달함과 동시에 최종 충격을 완화시켜 탑승자가 도착지(1)의 데크 상에 안전하게 착지할 수 있게 한다.
상기 본 발명에 따른 보조 감속장치(30)는 일 예로, 레일(10)의 경사도에 따라서는 하나 이상 레일 상에 이중으로 간격지게 설치하여 도착지(1)에 다다르면서 주행기(2)의 속도를 최대한 감속시켜 탑승자를 보호할 수 있다.
더욱이 보조 감속장지를 통과한 주행기는 후크유닛을 통과하고, 완충유닛에 최종 부딪히고 난 다음 완충유닛의 반발력에 의해 그 후방측 후크유닛으로 인해 역주행을 방지하는 반동을 최대한 줄여주는 효과를 제공하기 때문에 랜딩장치에서의 충분한 완충효과를 가지게 함으로 랜딩장치의 파손을 줄이고, 탑승자의 안전한 도착을 구현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 도착지 2: 주행기
10: 레일 12: 연결브라켓
20: 랜딩장치 20-1: 완충유닛
21: 제1고정브라켓 22: 제2고정브라켓
23: 가이드봉 24: 압축코일스프링
25: 충격흡수판 26: 레버
27: 후크블록 27a: 완충구
28: 제3고정브라켓 20-2: 후크유닛
30: 보조 감속장치 31: 지지브라켓
32: 고정체 32a: 제결합공
32b: 제2결합공 33: 마찰판
34: 스페이서 35: 고정봉
35a: 수나사 36: 링부재
36a: 관통공

Claims (3)

  1. 높은 지역의 출발지로부터 낮은 지역의 도착지(1)까지 일정 간격 수직으로 세워지는 다수의 지주에는 한 쌍의 파이프로 이루어지고 연결브라켓(12)이 구비되어 주행기를 안내하는 레일(10)이 현수(懸垂)되며, 상기 레일(10)이 종료되는 도착지(1)에는 탑승자를 태운 주행기(2)의 주행속도를 완화시키기 위한 완충유닛(20-1) 및 완충부로터 레일(10)의 역방향으로 주행기(2)의 역주행을 방지하는 후크유닛(20-2)이 구비된 랜딩장치(20)와 상기 랜딩장치(20)가 설치된 이전의 레일(10) 선상에는 도착지(1)로 들어오는 주행기(2)의 진행방향 전면 양측과 상부 양측에 마찰접촉으로 주행기(2)의 활강 진입속도를 감속하는 보조 감속장치(30)가 구비되며, 상기 보조 감속장치(30)는, 결합공(31a) 및 와이어 연결공(31b)이 형성되어 상기 결합공(31a)을 통해 레일(10)상의 연결브라켓(12)에 체결부재로 고정되는 아치부(31-1)와, 아치부 양측에 연결부(31-2)를 갖는 한 쌍의 지지브라켓(31)과, 하부가 개방된 직사각형체로, 상부에는 상기 지지브라켓(31)의 연결부(31-2)와 일치되어 체결부재로 고정되는 제1결합공(32a)이 형성되고, 양 측면에는 제2결합공(32b)이 대응되게 형성된 고정체(32)와, 상기 고정체(32) 내에 등간격지게 배열되어 주행기(2)와의 마찰 접촉으로 주행기의 속도를 감속시키는 다수개의 마찰판(33)과, 상기 마찰판(33) 사이사이에 마찰판과 교호로 배치되어 마찰판의 간격을 유지하는 파이프형 스페이서(34)와, 상기 고정체(32)의 제2결합공(32b)을 통해 다수개의 마찰판(33)을 관통 지지하며, 양측에는 너트 체결을 위한 수나사(35a)가 형성된 고정봉(35)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안전도착 유도를 위한 보조 감속장치가 구비된 공중활강이동장치에 있어서,
    상기 마찰판(33)은 두께를 갖는 직사각형의 판으로, 고탄력성에 의한 복원력이 뛰어난 고무계열 소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고정봉(35)의 관통을 위한 관통공(36a)이 형성되며, 상기 스페이서(34)의 양단을 지지하는 링부재(36)가 마찰판(33)의 상부 양측에 돌출되게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도착 유도를 위한 보조 감속장치가 구비된 공중활강이동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페이서(34)는 주행기(2)의 간섭에 의해 구부러지고 탄력적으로 펴질시 마찰판(33)과 마찰판(33)이 상호 닿지 않는 길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도착 유도를 위한 보조 감속장치가 구비된 공중활강이동장치.
KR1020200135402A 2020-10-19 2020-10-19 안전도착 유도를 위한 보조 감속장치가 구비된 공중활강이동장치 KR1022528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35402A KR102252838B1 (ko) 2020-10-19 2020-10-19 안전도착 유도를 위한 보조 감속장치가 구비된 공중활강이동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35402A KR102252838B1 (ko) 2020-10-19 2020-10-19 안전도착 유도를 위한 보조 감속장치가 구비된 공중활강이동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52838B1 true KR102252838B1 (ko) 2021-05-20

Family

ID=761426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35402A KR102252838B1 (ko) 2020-10-19 2020-10-19 안전도착 유도를 위한 보조 감속장치가 구비된 공중활강이동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52838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30333586A1 (en) * 2005-06-28 2013-12-19 Zipholdings, Llc Load-minimizing, trolley arrester apparatus and method
KR101635940B1 (ko) * 2015-12-23 2016-07-05 주식회사 챌린지코리아 활강 레포츠 장치
KR101947510B1 (ko) * 2018-09-11 2019-02-13 주식회사 짚핑코리아 짚라인용 주행 트롤리 견인 겸 다단식 완충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30333586A1 (en) * 2005-06-28 2013-12-19 Zipholdings, Llc Load-minimizing, trolley arrester apparatus and method
KR101635940B1 (ko) * 2015-12-23 2016-07-05 주식회사 챌린지코리아 활강 레포츠 장치
KR101947510B1 (ko) * 2018-09-11 2019-02-13 주식회사 짚핑코리아 짚라인용 주행 트롤리 견인 겸 다단식 완충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42314B1 (ko) 케이블 이동 시스템
KR101635940B1 (ko) 활강 레포츠 장치
US10376798B2 (en) High angle tethered slide with freefall drop and variable radius swing
US11492021B2 (en) Hybrid cable/rail transportation system
KR20170130453A (ko) 횡방향 레일 전환 장치
CN109152959B (zh) 用于使游乐设施的车辆的导轨系统的导轨部段移动的设备
KR102075864B1 (ko) 영구자석을 이용한 와전류 브레이크가 설치된 짚라인 트롤리
EP1202780B1 (en) Cantilevered roller coaster system
CN115151471B (zh) 带有轿厢稳定功能的索道
JP2006502795A (ja) 複数定員娯楽乗物
US20070270231A1 (en) Amusement ride
KR102252838B1 (ko) 안전도착 유도를 위한 보조 감속장치가 구비된 공중활강이동장치
RU2381931C1 (ru) Городская канатная дорога
KR20200094414A (ko) 와이어를 따라 이동하는 페달형 공중 놀이기구
US7927223B2 (en) Amusement ride
KR101213739B1 (ko) 쌍줄 짚라인
KR102523954B1 (ko) 상승견인기구가 마련된 활강 시설물
KR101947510B1 (ko) 짚라인용 주행 트롤리 견인 겸 다단식 완충장치
KR20120027810A (ko) 쌍줄 짚라인
KR102252844B1 (ko) 공중활강이동장치용 주행기의 활강속도 감속장치
EP0934106A1 (en) Swing type amusement ride with pendulum damper
KR20210073406A (ko) 병렬삭도를 이용한 다인승 활강놀이기구
US3621789A (en) Ski lift
US3679258A (en) Seat unit for ski lift apparatus
CN220974156U (zh) 一种可以转弯的贴地索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