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68180Y1 - 공중하강 체험시설에서 사람 또는 장비를 역으로 이송하는 장치 - Google Patents

공중하강 체험시설에서 사람 또는 장비를 역으로 이송하는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68180Y1
KR200468180Y1 KR2020110002669U KR20110002669U KR200468180Y1 KR 200468180 Y1 KR200468180 Y1 KR 200468180Y1 KR 2020110002669 U KR2020110002669 U KR 2020110002669U KR 20110002669 U KR20110002669 U KR 20110002669U KR 200468180 Y1 KR200468180 Y1 KR 20046818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pe
point
circulation
wire
sliding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1000266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06944U (ko
Inventor
이광표
김일정
Original Assignee
와바다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와바다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와바다다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11000266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68180Y1/ko
Publication of KR2012000694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694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818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8180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BRAILWAY SYSTEMS; EQUIPMENT THEREFO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1B12/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B61B7/00 - B61B11/00
    • B61B12/10Cable traction driv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GMERRY-GO-ROUNDS; SWINGS; ROCKING-HORSES; CHUTES; SWITCHBACKS; SIMILAR DEVICES FOR PUBLIC AMUSEMENT
    • A63G21/00Chutes; Helter-skelters
    • A63G21/20Slideways with movably suspended cars, or with cars moving on ropes,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BRAILWAY SYSTEMS; EQUIPMENT THEREFO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1B7/00Rope railway systems with suspended flexible tracks
    • B61B7/04Rope railway systems with suspended flexible tracks with suspended tracks serving as haulage cab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Invalid Beds And Related Equipment (AREA)
  • Types And Forms Of Lifts (AREA)

Abstract

체험객이나 개인 장비 등을 효율적으로 이송 또는 순환할 수 있는 공중하강 체험시설용 이송 장치가 제공된다. 이송 장치는, 공중하강 체험시설에서 시점부와 종점부 간에 사람 또는 장비를 이송하는 장치로서, 시점부와 종점부 사이에 연장 설치되는 고정 와이어, 시점부와 종점부 사이에 고정 와이어와 인접하게 나란히 연장 설치되는 순환 로프, 시점부 또는 종점부에 설치되고 순환 로프의 일단을 지지하며 순환 로프를 순환시키는 구동부, 순환 로프와 마주하도록 종점부 또는 시점부에 설치되고 순환 로프의 타단을 지지하며 순환 로프의 순환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부, 및 순환 로프의 특정 지점에 고정되고 고정 와이어 상에서 이동가능하게 결합하는 접동 부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공중하강 체험시설에서 사람 또는 장비를 역으로 이송하는 장치{APPARATUS FOR TRANSPORTING PERSON AND EQUIPMENT IN INVERSE FOR THE AIR DESCENT EXPERIENCE RIDE}
본 고안은 사람이나 물건을 이송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공중하강류 체험시설을 이용하는 체험객이나 관련 장비 등을 역으로 이송하거나 회수할 수 있는 공중하강 체험시설용 이송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극도의(Extreme) 짜릿함을 체험하기 위해 다양한 신종 레포츠가 일반인들 사이에 확대 보급되고 있다. 예컨대, 번지 점프, 낙하산 체험, 패러 글라이딩, 또는 인공이나 자연 암벽 등반과 같은 레포츠가 널리 유행하고 있다. 이와 같이 사람의 모험심을 자극하는 레포츠는 점차 다양화되고 있다.
또한, 전술한 레포츠의 하나로서 높이가 다른 두 지점들 사이에 와이어 또는 로프 등을 연결하고 이에 매달려서 하강하는 공중하강류 체험시설도 많이 생겨나고 있다. 일례로, 높은 곳에서 낮은 곳으로 하강하며 공중을 날아 강이나 바다, 또는 계곡을 횡단하는 체험시설도 제안되고 있다.
전술한 공중하강류 체험시설에 있어서 체험객은 개인 장비를 착용하고 높이가 서로 다른 두 지점 사이에 연결된 와이어 또는 로프에 매달려서 하강하게 되는데, 이때 체험객의 안전을 위하여 하네스(Harness) 등의 개인 장비가 이용되고 있다. 물론, 하네스 이외에 의자 형태의 장비가 이용될 수 있다.
공중하강류 체험시설에서는 높은 곳에서 낮은 곳으로 체험객이 이동하게 되므로, 시설의 효율적 운영과 체험객의 편의를 위해, 체험객이 착용한 개인 장비를 다시 사용하기 위해 고도가 낮은 종점부에서 고도가 높은 시점부로 운반하여야 한다. 또한, 체험객은 공중하강 체험을 시작하기 위해서나 체험을 마치고 종점부 부근에서 시점부 부근으로 이동할 수 있어야 한다.
그러나, 현재 체험객이나 개인 장비 등의 이송 또는 회수를 위해 이용되고 있는 방법은, 자동차나 오토바이 등의 교통 수단을 이용하여 사람이 직접 체험객 또는 장비를 이송하는 것이다. 하지만, 이러한 방법은 시간적으로나 비용적으로 매우 비효율적인 단점이 있다.
또한, 종점부에서 시점부로 바람이 많이 부는 경우에는 체험객이 도착지까지 원활하게 도착하지 않으므로 체험시설을 이용하기 어려울 수 있고, 따라서 사업주는 체험시설을 적절히 운영하지 못하여 손실을 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체험객은 공중하강 체험을 할 수 없게 되어 비용과 시간을 낭비할 수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체험객 또는 장비 등을 체험시설의 도착지 또는 종점부로부터 출발지 또는 시점부로 효율적으로 역이송하거나 회수할 수 있는 공중하강 체험시설용 이송 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이송 장치를 이용하여 고도가 낮은 곳에서 높은 곳으로 체험객 또는 개인 장비를 역이송함으로써 시설 이용에 대한 체험객의 편의성과 체험시설의 운영 및 유지관리에 대한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공중하강 체험시설용 이송 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또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일 측면에 따른 이송 장치는, 공중하강 체험시설에서 시점부와 종점부 간에 사람 또는 장비를 이송하는 장치로서, 시점부와 종점부 사이에 연장 설치되는 고정 와이어와, 시점부와 종점부 사이에 고정 와이어와 인접하게 나란히 연장 설치되는 순환 로프와, 시점부 또는 종점부에 설치되고 순환 로프의 일단을 지지하며 순환 로프를 순환시키는 구동부와, 순환 로프와 마주하도록 종점부 또는 시점부에 설치되고 순환 로프의 타단을 지지하며 순환 로프의 순환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부, 및 순환 로프의 특정 지점에 고정결합하고 고정 와이어에 접동하도록 결합하는 접동 부재를 포함한다.
접동 부재는, 고정 와이어에 접동하도록 결합하는 접동 수단, 및 순환 로프의 특정 위치에 고정 결합하고 접동 수단과 순환 로프를 연결하는 결합 수단을 구비한다.
본 고안의 또 다른 일 측면에 따른 이종 장치는, 공중하강류 체험시설에서 시점부와 종점부 간에 사람 또는 장비를 이송하는 장치로서, 시점부와 종점부 사이에 연장 설치되는 고정 와이어와, 시점부와 종점부 사이에 고정 와이어와 인접하게 나란히 연장 설치되는 이송 로프와, 시점부에 설치되고 이송 로프의 일단을 지지하는 구동부, 및 이송 로프의 타단에 고정 결합하고 고정 와이어 상에 이동가능하게 매달리는 고리 부재를 포함한다. 여기에서, 고리 부재는 구동부의 풀림 모드에서 중력에 의해 고정 와이어 상에서 접동하여 고도가 낮은 곳으로 이동하고, 구동부는 이송 로프를 감아 고리 부재를 잡아당겨 고도가 높은 곳으로 이송한다.
공중하강 체험시설용 이송 장치는 접동 부재에 타단이 연결된 보조 이송 로프; 및 종점부에 설치되고 보조 이송 로프의 일단이 연결되며, 구동부의 동작에 상응하여 보조 이송 로프를 감거나 풀도록 동작하는 보조 구동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고안에 의하면, 체험객이나 장비를 체험시설의 도착지 또는 종점부에서 출발지 또는 시점부로 용이하게 역이송 또는 회수할 수 있으므로, 체험시설의 운영 및 유지관리를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체험객이나 개인 장비 운반에 필요한 인력을 감소시킬 수 있으므로 별도의 인원 충원 없이 인력 재배치를 통해 안전 관리 인력을 증가시킬 수 있고, 또는 체험시설의 운영 및 유지관리에 소요되는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아울러, 낮은 곳에서 높은 곳으로 이동하는 공중승강 체험시설이나, 또는 낮은 곳에서 높은 곳으로 저속으로 이동한 후 높은 곳에서 낮은 곳으로 고속으로 하강하는 공중승하강 체험시설로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이송 장치를 공중하강류 체험시설의 와이어로프에 인접하게 설치하면, 이송 장치를 타고 공중하강류 체험시설의 와이어로프를 청소하거나 그 상태를 확인할 수 있으므로, 체험시설의 운영 및 유지관리 작업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고, 그것에 의해 운영 및 유지관리를 위한 비용과 시간을 절감할 수 있고 시설의 안정성을 높일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이송 장치를 채용할 수 있는 공중하강류 체험시설의 일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송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3은 도 2의 이송 장치의 구동부에 채용가능한 구성의 일례를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구동부를 또 다른 측면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송 장치의 작동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부분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의 변형예에 따른 이송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부분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고안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이송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8은 본 고안의 또 다른 일 실시예의 변형예에 따른 이송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9는 도 8의 이송 장치에 채용가능한 보조 구동부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의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이송 장치를 채용할 수 있는 공중하강류 체험시설의 일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공중하강 체험시설은 체험객이 시점부(100)에서 종점부(200)로 와이어로프(10a)를 타고 하강하도록 설치된다. 예를 들면, 시점부(100)에는 소정 높이의 지주부(110)가, 종점부(200)에는 소정 높이의 고정구조부(210)가 각각 설치된다. 지주부(110)와 고정구조부(210)는 소정 높이로 공중에 매달리는 와이어로프(10a)의 일단과 타단을 각각 지지하도록 설치된다.
이러한 지주부(110)와 고정구조부(210)는 지상에 고정된 지지물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지주부(110)와 고정구조부(210)는 와이어로프(10a)에 직간접적으로 연결되는 보강구조부(130, 230)에 의해 지면에 각각 안정적으로 지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각 보강구조부(130, 230)는 지주부(110) 또는 고정구조부(210)에 대한 와이어로프(10a)의 장력에 대하여 힘의 균형을 이루도록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지주부(110) 및/또는 고정구조부(210)는 타워(150)와 결합된 형태로 설치될 수 있고, 타워(150)는 체험객이 높은 고도 또는 원하는 고도에 도달할 수 있도록 소정 높이로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공중하강 체험시설에서는 체험객을 시점부(100)에서 종점부(200)로 하강시키는 기본적인 동작 이외에 체험객이나 체험객의 개인 장비 등을 종점부(200)에서 시점부(100)로 이송할 필요가 있다. 그러한 경우, 체험객이나 개인 장비를 별도의 인력과 차량 등을 동원하여 운반하는 것은 비효율적이다. 따라서, 본 실시예의 공중하강 체험시설에서는 시설의 효율적 유지관리와 운영에 적합한 이송 장치(미도시)가 구비된다. 공중하강류 체험시설에 채용가능한 본 실시예의 이송 장치는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송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이송 장치는 구동부(30), 가이드부(35), 고정 와이어(미도시, 도 3 내지 도 6의 참조부호 10 참조), 순환 로프(20), 및 접동 부재(미도시, 도 5 및 도 6의 참조부호 50 및 60 참조)를 구비한다.
구동부(30)는 순환 로프(20)의 일단을 지지하며 순환 로프(20)에 소정의 힘을 가하여 순환 로프(20)를 이동시킨다. 순환 로프(20)는 일 방향 또는 양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구동부(30)는 공중하강 체험시설의 시점부의 지주부(도 1의 참조부호 110 참조) 또는 그 부근에 고정 설치될 수 있고 상용 전력 등의 전원에 의해 그 회전축(34)이 소정 토크로 회전하는 전동기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구동부(30)는 회전축(34)에 결합하여 순환 로프(20)에 힘을 가하는 휠(Wheel)을 구비할 수 있다.
가이드부(35)는 순환 로프(20)의 타단을 지지하며 순환 로프(20)의 이동 또는 순환을 가이드한다. 가이드부(35)는 공중하강 체험시설의 종점부의 고정구조부(도 1의 참조부호 210 참조) 또는 그 부근에 고정 설치될 수 있다. 가이드부(35)는 순환 로프(20)을 가이드하며 회전하거나 회전부를 구비한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가이드부(35)는 공중하강류 체험시설의 종점부에 설치된 고정구조부 상에 설치된 고정축과, 이러한 고정축에 대하여 회전가능하게 결합하는 회전부 또는 휠을 구비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이러한 가이드부의 구조에 의하면, 순환 로프(20)가 움직일 때 가이드부(35)의 회전부가 고정축 상에서 회전하면서 순환 로프(20)의 움직임을 가이드할 수 있다.
순환 로프(20)는 구동부(30)와 가이드부(35)에 의해 그 양단이 지지되며, 고정 와이어(도 5 및 도 6의 참조부호 10 참조)와 인접하게 그리고 대략 평행하게 연장 설치된다. 이러한 순환 로프(20)는 고정 와이어에 매달린 소정 무게의 사람 또는 물건을 끌기에 적합한 인장 강도와 내구성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순환 로프(20)로는 폴리프로필렌 로프, 폴리에틸렌 로프, 마닐라삼 섬유로 제조되는 마닐라 로프, 브레이드(Braid) 로프, 나일론 로프, 비닐론 로프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물론, 순환 로프(20)는 와이어 형태로 구현 가능하다.
접동 부재는 고정 와이어 상에서 미끄러지듯 또는 구르듯 접하여 이동할 수 있는 구성 부분(이하, 접동 수단이라 칭함)을 포함한다. 또한, 접동 부재는 순환 로프의 특정 지점에 고정 결합된다. 순환 로프에 고정 결합되는 구조에 있어서, 접동 부재는 별도의 결합 수단을 구비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이송 장치에 의하면, 구동부(30)를 회전시켜 구동부(30)에 결합된 순환 로프(20)를 회전시킬 수 있다. 또한, 구동부(30)를 일 방향으로 일정 시간 동안 회전시키고 일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일정 시간 동안 회전시킴으로써, 순환 로프(20)를 소정 범위(20R) 내에서 왕복 운동시킬 수 있다. 즉, 본 실시예에 의하면, 순환 로프(20)의 특정 지점에 고정 결합되고 고정 와이어 상에서 접동하는 접동 부재를 이용하여 고정 와이어에 매달린 체험객이나 장비를 시점부와 종점부 사이에서 이송할 수 있고, 특히 종점부에서 시점부로 역이송할 수 있다.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이송 장치의 구동부(30)가 공중하강 체험시설의 시점부 측에 구비되고, 가이드부(35)가 종점부 측에 구비되도록 구현하였다. 하지만, 본 고안의 이송 장치는 그러한 구성으로 한정되지 않고, 구동부(30)가 종점부 측에 설치되고, 가이드부(35)가 시점부 측에 설치될 수도 있다.
도 3은 도 2의 이송 장치의 구동부에 채용가능한 형태의 일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구동부를 또 다른 측면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이송 장치의 구동부(30)는 전동기 몸체(31), 및 전동기 몸체(31)의 회전축에 결합하는 휠(32)을 구비한다. 휠(32)에는 순환 로프(도 2의 20 참조)의 일단이 체결된다.
전동기 몸체(31)는 예컨대 공중하강류 체험시설의 시점부에 위치하는 지주부(도 1의 참조부호 110 참조) 또는 이러한 지주부에 연결된 고정 구조물(112)에 결합 설치될 수 있다. 전동기 몸체(31)는 외부 전원에 의해 인가된 전류가 흐를 때 형성되는 자기장에 대한 인력과 척력의 작용으로 회전력을 생성하는 부분으로, 회전하지 않는 고정자 부분과, 고정자 부분의 중심부 또는 그 주위에서 회전하는 회전자 부분과, 이들을 둘러싸는 하우징 부분을 구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여기에서, 회전자 부분은 구동부(30) 또는 전동기 몸체(31)의 회전축에 대응될 수 있다.
휠(32)은 전동기 몸체(31)의 회전축에 결합하고 회전축의 회전에 따라 회전하며, 이러한 회전력에 의해 순환 로프(20)를 순환시킨다. 이러한 휠(32)에 의해 순환 로프(20)는 휠(32) 주위를 대략 360°돌아서 이동 또는 순환할 수 있다. 또한, 휠(32)은 적절한 마찰력 또는 구동력을 순환 로프(20)에 원활하게 제공할 수 있도록 순환 로프(20)와 맞닿는 부분에 대략 V자 형태 또는 톱니 형태의 요철부(33)를 구비할 수 있다. 요철부(33)는 휠(32)의 양측 주면(main surfaces)을 연결하는 측면 상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고정 와이어(10)는 사람 또는 사물을 공중에 매달기 위한 것이다. 고정 와이어(10)는 공중하강류 체험시설의 시점부와 종점부 사이에 연장하도록 설치된다. 예컨대, 고정 와이어(10)의 적어도 일단에 결합하는 와이어 결합 수단(11)에 의해 시점부의 고정 구조물(112)에 고정될 수 있다. 와이어 결합 수단(11)은 웨이지 소켓, 턴버클, 와이어로프 크립,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고정 와이어(10)는 금속 와이어로 구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고정 와이어(10)로는 아연도 강연선 등과 같은 금속성 와이어로프가 사용될 수 있다.
도 5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송 장치의 작동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부분 사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고정 와이어(10)는 공중하강 체험시설의 시점부와 종점부 사이에 현수되도록 고정 설치되고, 순환 로프(20)는 고정 와이어(10)에 근접하게 배열되고 시점부와 종점부 사이를 순환하거나 왕복 운동하도록 설치된다. 그리고, 접동 부재는 순환 로프(20)에 고정되어 순환 로프(20)가 당기는 힘에 의해 고정 와이어(10) 상에서 미끄러지듯 움직인다.
본 실시예에서, 접동 부재는 트롤리(50) 및 결합 수단(60)을 구비한다. 트롤리(50)는 접동 수단의 일 실시예이다.
트롤리(50)는 고정 와이어(10) 상에 접하여 슬라이딩 형태 또는 바퀴가 구르는 형태로 움직일 수 있도록 설치된다. 결합 수단(60)은 트롤리(50)와 순환 로프(20) 사이에 설치되고, 트롤리(50)를 순환 로프(20)의 특정 지점에 고정 결합시킨다.
결합 수단(60)은 순환 로프(20)의 특정 위치에 고정되거나 특정 부위를 관통하는 끈, 띠, 벨트, 고리 등으로 구현될 수 있고, 그 재료로는 플라스틱이나 복합재료, 또는 금속성 재료가 이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결합 수단(60)은 복수의 전선들을 묶어 고정하는데 주로 사용되는 케이블 타이 등의 섬유 로프나 이에 상응하는 연한 성질의 와이어 재료가 사용될 수 있다. 연한 성질의 재료를 사용하면, 결합 수단(60)은 순환 로프(20)에 고정되어 이동될 때 트롤리(50)와 같은 접동 수단에 사람이나 짐을 연결하기 위한 고리의 V자 형태의 홈에 자연스럽게 구동 또는 통과될 수 있다.
결합 수단(60)은 트롤리(50)가 순환 로프(20)의 특정 지점에 고정되도록 하는 수단으로, 다양한 형태의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전술한 설명에 의하면, 본 실시예의 접동 부재는 순환 로프의 당기는 힘에 의해 고정 와이어에 매달린 사람이나 장비를 운반할 수 있도록 고정 와이어 상에서 미끄러지듯 또는 바퀴가 구르듯 움직이는 구성부이다.
순환 로프(20)의 일단에 위치한 구동부를 구동시키면, 구동부의 구동력에 의해 순환 로프(20)는 일 방향 또는 시계 방향으로 움직인다. 이때, 순환 로프(20)의 특정 지점에 고정된 결합 수단(60)에 의해 트롤리(50)가 순환 로프(20)의 움직임에 따라 이동하고, 그것에 의해 트롤리(50)에 연결된 사람이나 장비(70)가 이송된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의하면, 트롤리(50)과 같은 접동 수단과, 순환 로프(20)의 특정 지점에 고정될 뿐만 아니라 접동 수단에 연결되는 결합 수단(60)을 이용함으로써, 고정 와이어에 매달린 사람 또는 사물을 구동부(30)로 잡아당겨 이송할 수 있다.
도 6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의 변형예에 따른 이송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부분 사시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이송 장치는 고정 와이어(이하, 제1 고정 와이어라고 한다, 10), 제2 고정 와이어(12), 순환 로프(20), 구동부(미도시, 도 2의 참조부호 30 참조), 및 가이드부(미도시, 도 2의 참조부호 35 참조)를 구비한다.
또한, 이송 장치는 제1 고정 와이어(10)에 접동하는 제1 트롤리(50), 및 제1 트롤리(50)와 순환 로프(20)를 연결하는 결합 수단(60)을 구비한다. 본 실시예에서 제1 트롤리(50)에는 소정의 고리(52)가 결합되며, 고리(52)는 사람이나 장비를 용이하게 매달기 위한 것으로, 카라비너(carabiner)와 같은 장치일 수 있다. 결합 수단(60)은 제1 트롤리(50)에 직접 연결되지 않고 고리(52)를 통해 제1 트롤리(50)와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이송 장치는 제2 고정 와이어(12)에 접동하는 제2 트롤리(50a)를 구비한다. 제1 트롤리(50) 및 제2 트롤리(50a)를 이용하면, 복수의 고정 와이어에 짐의 무게를 분산시킴으로써 단일 고정 와이어를 구비한 이송 장치의 경우에 비해 고정 와이어에 대한 부담을 경감시킬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제1 고정 와이어(10)와 제2 고정 와이어(12)는 공중하강 체험시설(도 1 참조)의 시점부와 종점부 사이에 서로 인접하게 현수되도록 설치된다. 그리고, 순환 로프(20)는 공중하강 체험시설의 시점부와 종점부 사이를 순환 또는 왕복 운동할 수 있도록 설치된다. 순환 로프(20)의 설치 형태는 기본적으로 도 2를 참조하여 앞서 설명한 실시예의 형태와 동일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이송 장치의 작동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순환 로프(20)의 소정 위치에 고정 결합된 결합 수단(60)에 고리(52)를 건다. 그리고, 고리(52)를 제1 트롤리(50)에 매단다. 다음, 또 다른 고리(이하, 제2 고리라고 한다)를 제2 트롤리(50a)에 걸고, 소정의 인장 강도를 가지는 벨트(90)의 양단을 두 고리들에 각각 연결한다. 그런 다음, 체험객(80)의 개인 장비의 벨트(92)를 제2 고리에 걸고 이송 준비를 완료한다.
다음, 순환 로프(20)의 일단에 결합된 구동부를 구동시키면, 제1 트롤리(50) 및 제2 트롤리(50a)는 순환 로프(20)의 당기는 힘에 의해 이동하며 체험객(80)을 이송하게 된다.
본 실시예에 의하면, 이송 장치를 사용하여 고도가 낮은 곳에서 고도가 높은 곳으로 예컨대 공중하강 체험시설의 종점부에서 시점부로 체험객(80) 및/또는 장비를 용이하게, 반복적으로, 그리고 안정적으로 이송할 수 있다.
도 7은 본 고안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이송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이송 장치는 고정 와이어(20), 이동 로프(21), 구동부(36), 및 접동 부재(60)를 구비한다.
고정 와이어(20)는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앞서 설명한 것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이동 로프(21)는 전술한 순환 로프(20)와 유사한 재료로 구성될 수 있다.
구동부(36)에는 이동 로프(21)의 일단이 고정된다. 구동부(36)는 전동기와 같은 장치로 구현될 수 있으며, 이동 로프(21)를 풀거나 감을 수 있도록 동작한다. 구동부(36)는 공중하강 체험시설의 시점부에 설치된다.
접동 부재(60)는 고정 와이어(20)에 매달려 고정 와이어(20) 상에서 자유 이동할 수 있도록 설치된다. 또한, 접동 부재(60)는 소정의 무게를 구비하고, 이동 로프(21)의 잡아당기는 힘이 없을 때 고정 와이어(20) 상에서 중력에 의해 고도가 낮은 곳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설치된다. 예를 들면, 본 실시예의 접동 부재(60)는 트롤리에 소정의 무게 추를 매단 구조 또는 형태를 구비할 수 있다.
이동 로프(21)의 타단에는 접동 부재(60)가 연결된다. 이동 로프(21)는 구동부(36)의 풀림 모드에서 접동 부재(60)의 이동에 따라 풀린다. 그리고, 이동 로프(21)는 구동부(36)의 감김 모드에서 구동부(36)의 토크에 의해 구동부(36)의 회전 드럼(미도시)에 감긴다.
회전 드럼은 도 3의 휠(32)과 유사하게 구동부(36)의 회전축에 결합하고 회전축의 회전에 따라 이동 로프(21)를 감고, 그것에 의해 이송 장치는 접동 부재(60)를 고도가 낮은 곳에서 높은 곳으로 끌어올릴 수 있다. 이러한 회전 드럼은 구동부(36)의 풀림 모드에서는 구동부(36)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도록 풀림 모드를 구비하고, 구동부(36)의 감김 모드에서는 구동부(36)의 회전축의 회전에 따라 회전할 수 있도록 잠김 모드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회전 드럼의 풀림 모드와 잠김 모드는 회전축의 요철부에 회전 드럼의 대응 요철부를 끼우거나 빼는 것으로 간단히 전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의하면, 접동 부재(60)를 공중하강 체험시설의 시점부 부근에서 종점부 부근까지 소정 거리(20R, 예컨대 수십 내지 수백 미터)만큼 중력(G)에 의해 자유 이동시킨 후, 접동 부재(60)에 체험객이나 장비를 매달은 다음, 구동부(36)의 동작에 의해 그것을 종점부에서 시점부로 용이하게 이송할 수 있다.
도 8은 본 고안의 또 다른 일 실시예의 변형예에 따른 이송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이송 장치는 고정 와이어(20), 이동 로프(21), 보조 이동 로프(22), 구동부(36), 보조 구동부(38), 및 접동 부재(60)를 구비한다. 본 실시예에서 보조 이동 로프(22)의 일단은 보조 구동부(38)에 연결되고, 보조 이동 로프(22)의 타단은 접동 부재(60)에 연결된다.
고정 와이어(20), 이동 로프(21), 구동부(36), 및 접동 부재(60)는 도 7을 참조하여 앞서 설명한 대응 구성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보조 구동부(38)는 공중하강 체험시설의 종점부에 설치된다. 보조 구동부(38)는 보조 이동 로프(22)를 감았다가 풀을 수 있는 장치로서, 구동부(36)의 풀림 모드에서 접동 부재(60)가 높은 고도의 시점부에서 낮은 고도의 종점부로 빠르게 이동할 수 있도록 접동 부재(60)를 가이드하거나 잡아당길 수 있다. 또한, 보조 구동부(38)는 구동부(36)의 감김 모드에서 접동 부재(60)가 낮은 고도의 종점부에서 높은 고도의 시점부로 원활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풀림 모드를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접동 부재(60)가 시점부에서 종점부로 이동할 때(도 7 참조), 접동 부재(60)를 소정 토크로 잡아당기고,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접동 부재(60)가 종점부에서 시점부로 이동할 때 풀림 모드 상태에서 보조 이동 로프(22)가 자연스럽게 풀리도록 설치된다.
본 실시예에 의하면, 구동부 및 보조 구동부(36, 38)의 동작에 의해 접동 부재(60)는 시점부에서 종점부로 이동한 후 체험객 또는 장치를 매달고 종점부에서 시점부로 역으로 이동할 수 있다.
도 9는 도 8의 이송 장치에 채용가능한 보조 구동부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이송 장치의 보조 구동부(40)는 고정 구조물(41)에 고정된 고정 부재(43), 및 고정 부재(43)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는 회전 부재(45)를 구비한다. 여기서, 고정 부재(43)는 고정축에 대응되고, 회전 부재(45)는 고정축 상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부분에 대응된다.
본 실시예에서, 회전 부재(45)의 일단에는 보조 이동 로프(22)가 고정 구조물(41) 측으로 넘어가거나 회전 부재(45)와 고정 구조물(41) 사이에 끼이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차단블록(42)이 설치되고, 회전 부재(45)의 타단(47)에는 회전 부재(45)로부터 보조 이동 로프(22)가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차단벽(48)이 결합 설치된다.
또한, 회전 부재(45)는 보조 이동 로프(22)의 감김과 풀림을 가이드하는 요철부(46)를 구비한다. 이러한 요철부(46)는 보조 구동부(40)의 작동시 보조 이동 로프(22)의 감김과 풀림 형태가 규칙적으로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보조 이동 로프(22)의 장력을 일정하게 그리고 안정적으로 유지하도록 돕는다.
이러한 보조 구동부(40)를 이용하면, 사람이나 사물을 이송할 때, 이송 장치의 흔들림을 크게 감소시킬 수 있고, 그것에 의해 이송되는 사람이나 장비의 안정성과 장치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본 고안을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상기의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고안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은 첨부한 특허청구범위 및 도면 등의 전체적인 기재를 참조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며, 이의 균등 또는 등가적 변형 모두는 본 고안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 12: 고정 와이어 20: 순환 로프
21, 이동 로프 22: 보조 이동 로프
30, 36: 구동부 40: 보조 구동부
35: 가이드부 50, 50a: 트롤리
51: 접동 부재 52: 고리
60: 결합 수단

Claims (4)

  1. 삭제
  2. 삭제
  3. 공중하강류 체험시설에서 시점부와 종점부 간에 사람 또는 장비를 이송하는 장치로서,
    상기 시점부와 상기 종점부 사이에 연장 설치되는 고정 와이어;
    상기 시점부와 상기 종점부 사이에 상기 고정 와이어와 인접하게 나란히 연장 설치되는 이송 로프;
    상기 시점부에 설치되고 상기 이송 로프의 일단을 지지하는 구동부; 및
    상기 이송 로프의 타단에 고정 결합되고 상기 고정 와이어 상에 이동가능하게 매달리는 접동 부재
    를 포함하고,
    상기 접동 부재는 상기 구동부의 풀림 모드에서 중력에 의해 상기 고정 와이어 상에서 고도가 낮은 곳으로 이동하고, 상기 구동부는 상기 이송 로프를 감아 상기 접동 부재를 잡아당겨 고도가 높은 곳으로 이송하는 공중하강 체험시설용 이송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접동 부재에 타단이 연결된 보조 이송 로프; 및
    상기 종점부에 설치되고 상기 보조 이송 로프의 일단이 연결되며, 상기 구동부의 동작에 상응하여 상기 보조 이송 로프를 감거나 풀도록 동작하는 보조 구동부
    를 더 포함하는 공중하강 체험시설용 이송 장치.
KR2020110002669U 2011-03-30 2011-03-30 공중하강 체험시설에서 사람 또는 장비를 역으로 이송하는 장치 KR20046818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2669U KR200468180Y1 (ko) 2011-03-30 2011-03-30 공중하강 체험시설에서 사람 또는 장비를 역으로 이송하는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2669U KR200468180Y1 (ko) 2011-03-30 2011-03-30 공중하강 체험시설에서 사람 또는 장비를 역으로 이송하는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6944U KR20120006944U (ko) 2012-10-10
KR200468180Y1 true KR200468180Y1 (ko) 2013-07-31

Family

ID=475039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10002669U KR200468180Y1 (ko) 2011-03-30 2011-03-30 공중하강 체험시설에서 사람 또는 장비를 역으로 이송하는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68180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29285B1 (ko) 2017-02-27 2018-02-19 와바다다(주) 가상 현실 기반 활강 체험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06140B1 (ko) * 2013-06-12 2015-03-27 (주) 한국 레드벤쳐 활강 레포츠 장치
KR101442807B1 (ko) * 2013-06-27 2014-09-22 자나라인 주식회사 활강 시설용 트롤리 회수 시스템
KR101494103B1 (ko) * 2013-11-04 2015-02-17 김정수 공중하강 체험시설
CN109152960B (zh) * 2016-06-13 2021-01-26 瓦巴达达有限公司 基于虚拟现实的滑索体验系统
KR102151450B1 (ko) * 2020-04-17 2020-09-03 (주)필드테크 등산 보조 시스템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91743U (ja) * 1992-05-13 1993-12-14 日立造船株式会社 滑空式乗物装置
KR200371301Y1 (ko) 2004-09-09 2004-12-29 주식회사 죽산 활강놀이대
WO2009000059A1 (en) * 2007-06-26 2008-12-31 Ziptrek Ecotours, Inc. Continuous assist zipline braking and control system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91743U (ja) * 1992-05-13 1993-12-14 日立造船株式会社 滑空式乗物装置
KR200371301Y1 (ko) 2004-09-09 2004-12-29 주식회사 죽산 활강놀이대
WO2009000059A1 (en) * 2007-06-26 2008-12-31 Ziptrek Ecotours, Inc. Continuous assist zipline braking and control system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29285B1 (ko) 2017-02-27 2018-02-19 와바다다(주) 가상 현실 기반 활강 체험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6944U (ko) 2012-10-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68180Y1 (ko) 공중하강 체험시설에서 사람 또는 장비를 역으로 이송하는 장치
CN102159458B (zh) 用于空中发电机的系链操纵
KR20110011702A (ko) 케이블 이동 시스템
ITMI20091656A1 (it) Dispositivo di risalita su corda e metodo per il relativo utilizzo
FI119233B (fi) Menetelmä hissin köysistön vaihtamiseksi
CN102406986A (zh) 一种高楼逃生装置
CN211254901U (zh) 一种柔性轨道电梯
CN101022211A (zh) 一种展放导引绳动力伞及其在输电线路施工中的施工工艺
CN202569223U (zh) 一种高楼逃生装置
CN107257107B (zh) 一种基于无人机的牵引绳放线自约束装置
CN103230649B (zh) 一种用于高楼火灾逃生的吊环缆绳救生装置和使用方法
CN111453584B (zh) 一种提篮式轿厢系统及其使用方法
KR200469687Y1 (ko) 공중하강 체험시설용 안전 도착 유도 시스템
CN102709849A (zh) 手动多功能紧线装置及一种导线紧线方法
JP2008236952A (ja) 延線ロープの張設方法
CN105244803A (zh) 一种异层架空线缆上异物的清理装置及清理方法
CN202089666U (zh) 斜巷行人助行器
CN111463705B (zh) 一种无人机导引绳抛放系统及其使用方法
CN105443030B (zh) 一种竖梯爬行装置
CN111056406B (zh) 一种柔性轨道电梯及其应用方法
CN102086009A (zh) 人力自控载人升降装置
KR101898998B1 (ko) 승하강 리프트동작 및 자가 이송형 케이블카
KR101898984B1 (ko) 고층건물의 긴급 대피용 엘리베이트장치
CN115089899B (zh) 一种高压线作业跌落自救装置及方法
CN204641739U (zh) 客运架空索道快速救护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0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1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04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