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75280B1 - 레포츠용 공중 페달링 이동유닛을 포함하는 시설물 - Google Patents

레포츠용 공중 페달링 이동유닛을 포함하는 시설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75280B1
KR102575280B1 KR1020230014873A KR20230014873A KR102575280B1 KR 102575280 B1 KR102575280 B1 KR 102575280B1 KR 1020230014873 A KR1020230014873 A KR 1020230014873A KR 20230014873 A KR20230014873 A KR 20230014873A KR 102575280 B1 KR102575280 B1 KR 1025752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edaling
mobile unit
traveling
seated
rod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148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원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더챌린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더챌린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더챌린지
Priority to KR10202300148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7528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752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75280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GMERRY-GO-ROUNDS; SWINGS; ROCKING-HORSES; CHUTES; SWITCHBACKS; SIMILAR DEVICES FOR PUBLIC AMUSEMENT
    • A63G21/00Chutes; Helter-skelters
    • A63G21/22Suspended slideway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GMERRY-GO-ROUNDS; SWINGS; ROCKING-HORSES; CHUTES; SWITCHBACKS; SIMILAR DEVICES FOR PUBLIC AMUSEMENT
    • A63G25/00Autocar-like self-drivers; Runway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BRAILWAY SYSTEMS; EQUIPMENT THEREFO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1B12/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B61B7/00 - B61B11/00
    • B61B12/02Suspension of the load; Guiding means, e.g. wheels; Attaching traction cab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BRAILWAY SYSTEMS; EQUIPMENT THEREFO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1B3/00Elevated railway systems with suspended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BRAILWAY SYSTEMS; EQUIPMENT THEREFO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1B7/00Rope railway systems with suspended flexible trac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rklifts And Lifting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소정의 간격으로 수직방향으로 배치되어 연결수단에 의하여 연결되는 복수의 수직 구조체, 상기 연결수단 상에 안착된 상태로 사용자의 페달링에 의하여 이동하게 배치되는 이동유닛을 포함하되, 상기 수직 구조체를 연결하는 연결수단은 상기 이동유닛의 주행휠이 안착되어 직선구간으로 전후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주행 와이어부 및 적어도 일측이 상기 주행 와이어부에 연결되고 상기 이동유닛의 주행휠이 안착되어 소정의 곡률로 만곡된 곡선구간으로 전후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주행 로드 플레이트부를 포함하는 레포츠용 공중 페달링 이동유닛을 포함하는 시설물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레포츠용 공중 페달링 이동유닛을 포함하는 시설물{FACILITY CAPLABLE OF MOVING UNIT WITH PEDALING IN THE AIR FOR REPORTS}
본 발명은 레포츠용 공중 페달링 이동유닛을 포함하는 시설물에 관한 것이다.
하강레포츠는 양편의 나무나 지주대 등의 구조물을 강철케이블 등의 와이어로 연결하고, 탑승자와 연결된 트롤 리(trolley)를 와이어에 걸어 빠른 속도로 반대편으로 이동하는 스피드 및 스릴과 함께 자연경관을 느낄 수 있는 야외 레포츠로서, 지역에 따라 짚라인(Zipline), 플라잉폭스(Flying Fox), 짚와이어(Zip-wire), 에어리얼런 웨이(Aerial Runway), 티롤리언크로싱(Tyrolean Crossing), 스카이플라이(SkyFly) 등 다양한 명칭으로 불리고 있다.
이중 짚 라인(zip line)으로 알려진 활강 레포츠는 산악지역 등에서 출발지와 도착지 사이를 연결와이어로 연결하고, 체험자가 트롤리에 의해 연결와이어를 따라 빠른 속도로 하강하면서 주변의 자연경관을 즐김과 동시에 짜릿한 스릴을 느낄 수 있도록 고안된 것이다. 활강 레포츠는 출발지와 도착지 사이의 고도차에 의한 중력을 이용하는 방식으로서, 산악지역의 높은 고도에 설 치되는 출발지에서 연결와이어에 트롤리(trolley)를 체결한 상태로 1000m 이상의 연결와이어를 따라 활주한 다 음 저지대의 도착지로 향하게 된다.
최근에는 고층 시설물에서 인접 시설물로 이동이 가능한 체험용 시설이 각광을 받고 있다. 이러한 체험시설은 사용자가 하네스와 같은 안전장비를 착용하여 체험하는 것으로, 설치되는 장소에 따라 다양한 형태의 시설들이 존재한다. 예를 들어, 이동라인은 케이블 형태 이외에 파이프 형태의 안내 레일을 직선 또는 곡선, 나선형 등과 같은 다양한 형태로 제작 설치하여 사용자에게 다양한 스릴감을 제공하고 있다.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2379529호(2022.03.23.등록) (특허문헌 0002)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2078332호(2020.02.11.등록)
본 발명은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사용자가 직접 이동이 가능하도록 하여 보다 안전하고 향상된 유희를 갖고 공중식 레포츠를 경험할 수 있는 레포츠용 공중 페달링 이동유닛을 포함하는 시설물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포츠용 공중 페달링 이동유닛을 포함하는 시설물은,
소정의 간격으로 수직방향으로 배치되어 연결수단에 의하여 연결되는 복수의 수직 구조체;
상기 연결수단 상에 안착된 상태로 사용자의 페달링에 의하여 이동하게 배치되는 이동유닛;을 포함하되,
상기 수직 구조체를 연결하는 연결수단은,
상기 이동유닛의 주행휠이 안착되어 직선구간으로 전후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주행 와이어부; 및
적어도 일측이 상기 주행 와이어부에 연결되고 상기 이동유닛의 주행휠이 안착되어 소정의 곡률로 만곡된 곡선구간으로 전후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주행 로드 플레이트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수직 구조체에는,
상기 주행 로드 플레이트부를 소정의 간격으로 지지하는 적어도 하나의 서포트부;가 형성되는 구조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주행 로드 플레이트부는, 상기 주행 와이어부와 연결되는 부위가 연장되는 방향에 대하여 수직 교차되는 높이가 감소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주행 와이어부와 상기 주행 로드 플레이트부가 상호 연결되는 부위에는 유격에 의한 충격을 감소시키도록 가이드 브라켓이 마련되는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이동유닛은, 상기 주행휠이 장착되는 트롤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트롤리는 상기 주행 와이어부와 상기 주행 로드 플레이트부가 측면 부위의 개방된 부위를 통하여 삽입되어 상기 주행휠에 안착되는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수직 구조체의 일측에는 상기 이동유닛이 안착되어 사용자가 승하차가 가능하도록 제공되는 도킹 스테이션;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주행휠에는, 상기 주행 로드 플레이트부가 안착되어 이동 가능하도록 안착홈이 형성되는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포츠용 공중 페달링 이동유닛을 포함하는 시설물은, 사용자가 직접 이동이 가능하도록 하여 보다 안전하고 향상된 유희를 갖고 공중식 레포츠를 경험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포츠용 공중 페달링 이동유닛을 포함하는 시설물의 예시도들이고,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포츠용 공중 페달링 이동유닛을 포함하는 시설물의 일부 구간을 나타내는 부분 예시도이며,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포츠용 공중 페달링 이동유닛을 포함하는 시설물의 페달링 이동유닛의 예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포츠용 공중 페달링 이동유닛을 포함하는 시설물의 주행휠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포츠용 공중 페달링 이동유닛을 포함하는 시설물의 일구 구성에 대한 실제 사진들이다.
이하, 본 발명의 구체적인 일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도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1, 제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진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포츠용 공중 페달링 이동유닛을 포함하는 시설물의 예시도들이고,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포츠용 공중 페달링 이동유닛을 포함하는 시설물의 일부 구간을 나타내는 부분 예시도이며,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포츠용 공중 페달링 이동유닛을 포함하는 시설물의 페달링 이동유닛의 예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포츠용 공중 페달링 이동유닛을 포함하는 시설물의 주행휠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포츠용 공중 페달링 이동유닛을 포함하는 시설물의 일구 구성에 대한 실제 사진들이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레포츠용 공중 페달링 이동유닛을 포함하는 시설물(100)은 소정의 간격으로 수직방향으로 배치되어 연결수단에 의하여 연결되는 복수의 수직 구조체(10), 상기 연결수단 상에 안착된 상태로 사용자의 페달링에 의하여 이동하게 배치되는 이동유닛(200)을 포함하되, 상기 수직 구조체(10)를 연결하는 연결수단은 상기 이동유닛(200)의 주행휠(211)이 안착되어 직선구간으로 전후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주행 와이어부(130) 및 적어도 일측이 상기 주행 와이어부(130)에 연결되고 상기 이동유닛(200)의 주행휠(211)이 안착되어 소정의 곡률로 만곡된 곡선구간으로 전후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주행 로드 플레이트부(14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수직 구조체(10)의 일측에는 상기 이동유닛(200)이 안착되어 사용자가 승하차가 용이하게 가능하도록 도킹 스테이션(120)이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연결수단은 복수의 수직 구조체(10)를 연결하며 이동유닛(200)의 이동을 안내하는 구조물을 지칭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이동유닛(200)이 직선으로 주행이 가능한 구간에 주행 와이어부(130)가 배치되고, 곡선으로 주행이 가능한 구간에는 주행 로드 플레이트부(140)가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주행 와이어부(130)와 상기 주행 로드 플레이트부(140)가 상호 연결되는 부위에는 유격에 의한 충격을 감소시키도록 가이드 브라켓(50)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이동유닛(200)이 상기 상기 주행 와이어부(130)로부터 상기 주행 로드 플레이트부(140)로 충격없이 안정적으로 주행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레포츠용 공중 페달링 이동유닛을 포함하는 시설물(100)은 이동유닛(200)의 주행로에서 사용자가 직접 페달링이 가능하도록 하는 한편, 직전구간과 곡선구간을 형성시켜 보다 효과적인 공중 유희가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이 때, 특히 곡선구간에는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는 형태의 주행 로드 플레이트부(140)와 이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하기에서 설명하는 주행휠(211)을 제공함으로써, 보다 안정적으로 주행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레포츠용 공중 페달링 이동유닛을 포함하는 시설물(100)은 사용자가 이동유닛(200)에 승하차가 가능하도록 쉘터 에어리어(110)과 도킹 스테이션(120)이 일측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차양막 형태의 쉘터 에어리어(110)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킹 스테이션(120)이 마련될 수 있다. 쉘터 에어리어(110)에도 이동유닛(200)의 이동이 가능하도록 상기 연결수단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차양막 형태의 쉘터 에어리어(110)를 포함하여 일측으로 연장되는 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으로 수직 구조체(10)가 배치될 수 있다. 수직 구조체(10)는 지면을 지지하고 수직 상방으로 소정의 길이로 연장되고, 이러한 복수의 수직 구조체(10)는 상기 연결수단에 의하여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연결수단은 주행 와이어부(130)와 주행 로드 플레이트부(14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고, 특히 곡선 구간에 배치되는 주행 로드 플레이트부(140)의 중심 부위에 배치되는 수직 구조체(10)에는 소정의 간격으로 복수의 서포트부(미도시)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서포터부는, 수직 구조체(10)의 중심을 감싸는 형태의 체결 브라켓(33), 상기 체결 브라켓(33)을 중심으로 연장되는 고정밴드(31), 상기 수직 구조체(10)의 상단 구조물에서 연장되는 고정 와이어(30) 및 상기 고정밴드(31)가 결합되도록 주행 로드 플레이트부(140)에 형성되는 복수의 결합클립(32)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주행 와이어부(130)와 상기 주행 로드 플레이트부(140)가 상호 연결되는 부위에는 높이 차이에 의한 유격에 의한 충격을 감소시키도록 가이드 브라켓(50)이 형성되어 있다. 나아가 상기 주행 와이어부(130)과 연결되는 부위인 상기 주행 로드 플레이트부(140)의 일측 단부는 점진적으로 하향 경사지는 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즉, 상기 주행 로드 플레이트부는, 상기 주행 와이어부(140)와 연결되는 부위가 연장되는 방향에 대하여 수직 교차되는 높이가 감소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이동유닛(200)이 주행하는 과정에서 직선구간과 곡선구간을 보다 원활하고 자연스럽게 이동이 가능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레포츠용 공중 페달링 이동유닛을 포함하는 시설물(100)의 이동유닛(200)은 상기 연결수단에 안착되는 주행휠(211)이 형성되는 트롤리(21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트롤리(210)는 상기 주행 와이어부(130) 또는 상기 주행 로드 플레이트부(140)가 측면 부위의 개방된 부위, 측면 삽입부(H)를 통하여 삽입되어 상기 주행휠(211)에 안착될 수 있다. 따라서, 이동유닛(200)의 설치, 장착 및 교체가 용이할 뿐만 아니라 주행 안정성이 향상될 수 있다.
이동유닛(200)은 상기 트롤리(210)의 양측에서 연결되어 외형을 이루는 외형 프레임부(215), 상기 외형 프레임부(210)의 일측에 배치되어 사용자의 좌식이 가능한 의자부(212), 사용자가 직접 페달링이 가능하도록 회전되는 회전 페달부(213), 상기 트롤리(210)와 회전 페달부(213)를 와이어(미도시)로 연결하여 회전동력을 전달하는 동력 전달부(214)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직접 물리적인 인력을 이용하여 페달링하여 상기 이동유닛(200)을 전후 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할 수 있다.
또, 이동유닛(200)의 주행휠(211)은 회전이 가능하게 양측에 수직 배치되는 회전체(211-1, 211-2), 상기 주행 와이어부(130)가 안착되는 안착부(211-3) 및 상기 주행 로드 플레이트부(140)이 안착되는 안착홈(211-5)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르면, 경우에 따라 이동유닛(200)의 주행휠(211)은 주행 구간으로 직선 구간인 와이어 형상의 주행 와이어부(130)와 수직 판상형의 곡선 구간인 주행 로드 플레이트부(140)에 안정적으로 이동이 가능하도록 안착부(211-3)의 중심 부위에 안착홈(211-5)이 형성될 수 있다.
이하, 전술한 본 발명에 따른 모터가 레포츠용 공중 페달링 이동유닛을 포함하는 시설물(100)의 동작예에 대해서 설명하면, 본 발명에 따른 레포츠용 공중 페달링 이동유닛을 포함하는 시설물(100)의 이동유닛(200)은 측면 부위에 형성되는 와이어 측면 삽입홀(H)을 통하여 주행 와이어부(130)에 안착되어 있다. 하나의 출발지점으로 돔(dom) 형태의 쉘터 에어리어(110) 내부에 형성되는 도킹 스테이션(120)에서 사용자는 안정적으로 이동유닛(200)에 탑승하고 직접 인력에 의하여 페달링을 하면서 이동유닛(200)이 일방향으로 전진하게 된다.
이 때, 사용자는 주행 중에 직선 구간은 주행 와이어부(130) 상에서 안정적으로 이동이 가능하고 곡선 구간으로 진입시에는 주행 로드 플레이트부(140)으로 충격없이 안정적으로 이동이 가능하게 된다. 경우에 따라 사용자는 이동유닛(200)의 회전 페달부(213)를 시계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페달링하며 이동유닛(200)의 이동방향을 선택적으로 진행시킬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구체적인 일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예가 반드시 상술한 일 실시예에 의하여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한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범위에서의 실시가 가능함은 당연하다고 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진정한 권리범위는 후술하는 청구범위에 의하여 정해진다고 할 것이다.
10: 수직 고정체 30: 고정 와이어
31: 고정밴드 32: 결합클립
33: 체결 브라켓 50: 가이드 브라켓
100: 이동유닛을 포함하는 시설물 110: 쉘터 에어리어
120: 도킹 스테이션 130: 주행 와이어부
140: 주행 로드 플레이트부 141: 연결 단부
150: 수직 구조체 200: 이동유닛
211: 주행휠 211-1, 211-2: 회전체
211-3: 안착부 211-5: 안착홈
H: 측면 삽입부

Claims (8)

  1. 소정의 간격으로 수직방향으로 배치되어 연결수단에 의하여 연결되는 복수의 수직 구조체;
    상기 연결수단 상에 안착된 상태로 사용자의 페달링에 의하여 이동하게 배치되는 이동유닛;을 포함하되,
    상기 수직 구조체를 연결하는 연결수단은,
    상기 이동유닛의 주행휠이 안착되어 직선구간으로 전후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주행 와이어부; 및
    적어도 일측이 상기 주행 와이어부에 연결되고 상기 이동유닛의 주행휠이 안착되어 소정의 곡률로 만곡된 곡선구간으로 전후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주행 로드 플레이트부;를 포함하고,
    상기 주행 로드 플레이트부는, 상기 주행 와이어부와 연결되는 부위가 연장되는 방향에 대하여 수직 교차되는 높이가 점진적으로 감소되는 형상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며,
    상기 주행 와이어부와 상기 주행 로드 플레이트부가 상호 연결되는 부위에는 유격에 의한 충격을 감소시키도록 가이드 브라켓이 마련되는, 레포츠용 공중 페달링 이동유닛을 포함하는 시설물.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 구조체에는,
    상기 주행 로드 플레이트부를 소정의 간격으로 지지하는 적어도 하나의 서포트부;가 형성되는 구조를 포함하는, 레포츠용 공중 페달링 이동유닛을 포함하는 시설물.
  3. 삭제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유닛은,
    상기 주행휠이 장착되는 트롤리를 더 포함하는, 레포츠용 공중 페달링 이동유닛을 포함하는 시설물.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트롤리는 상기 주행 와이어부와 상기 주행 로드 플레이트부가 측면 부위의 개방된 부위를 통하여 삽입되어 상기 주행휠에 안착되는 구조를 포함하는, 레포츠용 공중 페달링 이동유닛을 포함하는 시설물.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 구조체의 일측에는 상기 이동유닛이 안착되어 사용자가 승하차가 가능하도록 제공되는 도킹 스테이션;을 더 포함하는, 레포츠용 공중 페달링 이동유닛을 포함하는 시설물.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주행휠에는, 상기 주행 로드 플레이트부가 안착되어 이동 가능하도록 안착홈이 형성되는 구조를 포함하는, 레포츠용 공중 페달링 이동유닛을 포함하는 시설물.

KR1020230014873A 2023-02-03 2023-02-03 레포츠용 공중 페달링 이동유닛을 포함하는 시설물 KR1025752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14873A KR102575280B1 (ko) 2023-02-03 2023-02-03 레포츠용 공중 페달링 이동유닛을 포함하는 시설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14873A KR102575280B1 (ko) 2023-02-03 2023-02-03 레포츠용 공중 페달링 이동유닛을 포함하는 시설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75280B1 true KR102575280B1 (ko) 2023-09-06

Family

ID=879738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14873A KR102575280B1 (ko) 2023-02-03 2023-02-03 레포츠용 공중 페달링 이동유닛을 포함하는 시설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75280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93203B1 (ko) * 2017-05-11 2017-11-06 주식회사 챌린지코리아 활강 레포츠에 사용되는 트롤리
KR102113877B1 (ko) * 2019-12-18 2020-05-21 (주)신흥이앤지 하늘 자전거
KR102379529B1 (ko) 2022-02-10 2022-03-29 짚라인코리아(주) 안전성이 강화된 짚라인 공중 놀이시설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93203B1 (ko) * 2017-05-11 2017-11-06 주식회사 챌린지코리아 활강 레포츠에 사용되는 트롤리
KR102113877B1 (ko) * 2019-12-18 2020-05-21 (주)신흥이앤지 하늘 자전거
KR102379529B1 (ko) 2022-02-10 2022-03-29 짚라인코리아(주) 안전성이 강화된 짚라인 공중 놀이시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042474B2 (en) Device for suspending and moving an object or person
KR101942017B1 (ko) 익사이팅 사이클
RU2060757C1 (ru) Горка для катания
US11225274B2 (en) Device for moving a guide track section of a guide track system for vehicles on a fun fair ride
RU2719696C2 (ru) Консольные горки
JP2006502795A (ja) 複数定員娯楽乗物
CN105848744A (zh) 具有可移动式轨道段的游乐设施
US20060137563A1 (en) Multi-capacity amusement ride
KR102191731B1 (ko) 와이어를 따라 이동하는 페달형 공중 놀이기구
EP1810733B1 (en) An amusement ride
KR102575280B1 (ko) 레포츠용 공중 페달링 이동유닛을 포함하는 시설물
EP1800723B1 (en) An amusement ride
KR101213739B1 (ko) 쌍줄 짚라인
KR101217805B1 (ko) 쌍줄 짚라인
KR20240007633A (ko) 레일형 이동 구조체
EP1389148A1 (en) Amusement ride
KR102230853B1 (ko) 익사이팅 라이딩기구용 레일
KR102423526B1 (ko) 짚 클램프 시스템
KR102215531B1 (ko) 익사이팅 라이딩기구용 레일 및 익사이팅 라이딩기구
KR102252844B1 (ko) 공중활강이동장치용 주행기의 활강속도 감속장치
KR102484613B1 (ko) 익스트림 라이더
US20190100220A1 (en) A path following arrangement having a catenary structure and a method for operating such an arrangement
KR20210073406A (ko) 병렬삭도를 이용한 다인승 활강놀이기구
CN220974156U (zh) 一种可以转弯的贴地索道
CN212731037U (zh) 一种跳崖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