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45149A - 무선통신 네트워크 시스템 - Google Patents

무선통신 네트워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45149A
KR20140145149A KR1020147028439A KR20147028439A KR20140145149A KR 20140145149 A KR20140145149 A KR 20140145149A KR 1020147028439 A KR1020147028439 A KR 1020147028439A KR 20147028439 A KR20147028439 A KR 20147028439A KR 20140145149 A KR20140145149 A KR 2014014514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dio
station
control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syste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70284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79710B1 (ko
Inventor
히토시 오기하라
첸린 쉔
Original Assignee
닛뽄신고가부시기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닛뽄신고가부시기가이샤 filed Critical 닛뽄신고가부시기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401451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4514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797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797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24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for communication between two or more posts
    • H04B7/26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for communication between two or more posts at least one of which is mobile
    • H04B7/2603Arrangements for wireless physical layer contro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LGUIDING RAILWAY TRAFFIC; ENSURING THE SAFETY OF RAILWAY TRAFFIC
    • B61L27/00Central railway traffic control systems; Trackside control; Communica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61L27/70Details of trackside commun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7/00Monitoring; Testing
    • H04B17/10Monitoring; Testing of transmitters
    • H04B17/11Monitoring; Testing of transmitters for calibr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rain Traffic Observation, Control, And Security (AREA)

Abstract

무선통신 네트워크 시스템은 이동체의 이동 경로를 복수로 분할한 제어 존 마다, 소정 간격을 두고 복수 배치되어 인접하는 것끼리 차례로 무선통신하는 전파형의 고정국과, 무선통신 네트워크의 제어 등을 실시하는 1대의 제어국을 가진다. 또한, 인접하는 제어 존의 제어국끼리 유선 케이블로 접속된다. 또한, 제어국과 이동체는 제어국과 유선으로 접속된 고정국을 경유하여 통신하는 동시에, 제어국과 유선으로 접속된 다른 고정국을 경유하여 통신하는 중복 구성이 채용되어 있다.

Description

무선통신 네트워크 시스템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SYSTEM}
본 발명은 이동체를 관리하기 위한 무선통신 네트워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열차 등의 이동체를 관리하기 위하여, 일본 공개 특허 공보 2002-12150호 (특허 문헌 1)에 기재된 무선통신 네트워크 시스템이 제안되어 있다. 이러한 무선통신 네트워크 시스템은 이동체의 이동 경로를 복수로 분할한 제어 존마다, 이동체를 관리하는 지상 장치와, 지상 장치에 유선으로 접속된 거점 무선기와, 소정 간격을 두고 떨어져서 배치되는 복수개의 연선 무선기를 가진다. 또한, 이동체를 관리하기 위한 지령 등의 정보는 지상 장치로부터 거점 무선기로 유선으로 전달된 후에 시분할 다중 억세스 방식 (TDMA)에 의하여 인접하는 연선 무선기로 차례로 전달하고, 제어 존의 경계 (말단)에까지 전달된다. 또한, 무선통신 네트워크 시스템에서는 연선 무선기가 고장이 나더라도 이동체에 정보를 전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인접하는 연선 무선기 뿐만이 아니라, 그 앞의 연선 무선기까지 정보를 전달하는, 정보 전달 경로를 이중화한 중복 구성이 채용되어 있다.
특허 문헌 1: 일본 공개 특허 공보 2002-12150호
그런데, 인접하는 제어 존 사이에서는, 예를 들면 이동체의 관리를 이어받기 위하여, 이동체가 이동할 곳에 위치하는 제어 존의 지상 장치에 대하여, 이동체의 운행 정보 등을 전달하여야 한다. 종래의 무선 네트워크 시스템에서는 이 운행 정보도 무선을 이용한 TDMA로 전달하였기 때문에, 지상 장치 사이의 정보 전달 부하가 높았다. 또한, 연선 무선기의 고장에 대비하여 중복 구성이 채용되었기 때문에, 연선 무선기로 동일한 정보를 이중으로 전달하여야 하여서, 연선 무선기에 있어서의 정보 전달 부하도 높았다.
이에, 본 발명은 무선 네트워크 시스템에 있어서, 정보 전달 경로를 이중화한 중복 구성을 유지하면서, 정보 전달 부하를 경감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무선통신 네트워크 시스템은 이동체의 이동 경로를 복수로 분할한 제어 존 마다, 소정 간격을 두고 복수 배치되어 인접하는 것끼리 차례로 무선통신하는 전파형의 고정국과, 고정국의 적어도 1대와 유선으로 접속되어 다른 고정국을 거쳐 이동체와 통신하는 제어국을 가진다. 또한, 인접하는 제어 존의 제어국끼리 유선으로 접속되어, 제어국과 이동체는 제어국과 유선으로 접속된 1대의 고정국을 경유하여 통신하는 동시에, 제어국과 유선으로 접속된 다른 고정국을 경유하여 통신하는 중복 구성을 취하고 있다.
정보 전달 경로를 이중화한 중복 구성을 유지하면서, 정보 전달 부하를 경감할 수 있다.
[도 1] 무선통신 네트워크 시스템의 제1 실시 형태의 개요도이다.
[도 2] 통신 스케줄을 규정하는 프레임, 타임 슬롯의 설명도이다.
[도 3]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무선통신 네트워크 시스템의 작용의 설명도이다.
[도 4]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무선통신 네트워크 시스템의 무선기에 고장이 발생하였을 경우의 작용의 설명도이다.
[도 5] 무선통신 네트워크 시스템의 제2 실시 형태의 개요도이다.
[도 6] 무선통신 네트워크 시스템의 제3 실시 형태의 개요도이다.
[도 7] 무선통신 네트워크 시스템의 제4 실시 형태의 개요도이다.
[도 8] 무선통신 네트워크 시스템의 제5 실시 형태의 개요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실시 형태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무선통신 네트워크 시스템의 개요에 대하여 설명한다.
무선통신 네트워크 시스템은 이동체의 이동 경로를 복수로 분할한 제어 존 마다, 소정 간격을 두고 복수개 배치되어 인접하는 것끼리 차례로 무선통신하는 전파형의 고정국과, 고정국의 적어도 1대와 유선으로 접속되어 다른 고정국을 거쳐 이동체와 통신하는 제어국을 가지고 있다. 또한, 무선통신 네트워크 시스템에 있어서는 인접하는 제어 존의 제어국끼리 유선으로 접속되어 있다. 또한, 무선통신 네트워크 시스템에 있어서는 고정국이 고장이 날 가능성을 감안하여, 제어국과 이동체는 제어국과 유선으로 접속된 1대의 고정국을 경유하여 통신하는 동시에, 제어국과 유선으로 접속된 다른 고정국을 경유하여 통신하는 중복 구성이 채용되어 있다. 이 때, 제어국은 제어 존의 경계에 각각 배치된 2대의 고정국과, 제어 존의 중간에 배치된 2대의 고정국의 적어도 어느 하나와 유선으로 접속된다. 또한, 「제어 존의 중간」이라 함은, 제어 존의 경계를 제외한 부분을 말한다.
다음으로, 무선통신 네트워크 시스템의 구체적인 실시 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1 실시 형태]
도 1은 무선통신 네트워크 시스템의 제1 실시 형태의 일례를 나타낸다.
이동체로서의 열차(10)의 이동 경로(20) (철도 노선)를 복수로 분할한 각 제어 존(30)에서는 1쌍의 제어국 SC (Station Computer)로서의 거점 제어 장치(40)에 의하여, 무선통신 네트워크의 제어와 열차(10)의 관리 등이 행하여진다. 열차(10)의 진행 방향 및 그 반대 방향에 위치하는 단부에는 차상 무선기(50) (50A 및 50B)가 각각 탑재되어 있다. 열차(10)의 차상 무선기(50A 및 50B)는 각각 고장 등에 대비하여 이중화되어 있고, 열차(10)의 전후에 각각 탑재된 차상 장치 (도시하지 않음)와 유선으로 접속되어 있다. 또한, 열차(10)의 이동 경로(20)에는 복수의 연선 무선기(60) (고정국)가 소정 간격 ΔL을 두고 배치되어 있다. 연선 무선기(60)를 배치하는 소정 간격 ΔL은 연선 무선기(60)의 필요 대수를 삭감하기 위하여, 예를 들면, 인접하는 연선 무선기(60)의 사이에, 무선 통신 가능한 거리에 1대만 배치되는 간격으로 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각 연선 무선기(60)는 소정의 통신 스케줄에 따라서, 자신에게 할당된 통신 타이밍으로 인접하는 연선 무선기(60)끼리 차례로 송신하는 TDMA를 이용한 전파형의 무선통신 방식을 채용하고 있다.
이에, 통신 스케줄의 일례에 대하여,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통신 스케줄은 4개의 프레임을 1 주기로 한 제어 주기를 가지고, 차상 무선기(50) 및 연선 무선기(60)의 통신 타이밍 등을 규정한 것이다. 1 프레임은 소정 시간 (예를 들면, 500[ms])을 가지고, 이것을 균등하게 10 분할한 10개의 타임 윈도우로 이루어진다. 타임 윈도우는 26개의 타임 슬롯으로 이루어지고, 각 타임 슬롯에는 타임 슬롯 번호(TS0 내지 25)가 각각 붙어 있다. 타임 윈도우는 1개의 측거 타임 슬롯과, 2개의 차상 타임 슬롯과, 3개의 주기 타임 슬롯과, 4개의 차상 중계 타임 슬롯과, 12의 데이터 전송 타임 슬롯을 포함하고 있다.
측거 타임 슬롯은 타임 슬롯 TS0 내지 4를 일체적으로 사용하여, 측거를 실시하는 타이밍을 규정한다. 차상 타임 슬롯은 타임 슬롯 TS5 내지 6을 개별적으로 사용하고, 차상 무선기(50)가 송신을 실시하는 타이밍을 규정한다. 동기 타임 슬롯은 타임 슬롯 TS7 내지 9를 개별적으로 사용하고, 동기 포착ㆍ유지를 실시하는 타이밍을 규정한다. 차상 중계 타임 슬롯은 타임 슬롯 TS10 내지 13을 개별적으로 사용하여, 차상 무선기(50)가 중계를 하는 타이밍을 규정한다. 데이터 전송 타임 슬롯은 타임 슬롯 TS14 내지 25를 개별적으로 사용하고, 연선 무선기(60)가 데이터 전송을 실시하는 타이밍을 규정한다. 또한, 각 타임 슬롯에 있어서는 TDMA를 실현하기 위하여, 시간적으로 중복되지 않는 타이밍이 규정되어 있다.
또한, 차상 무선기(50) 및 연선 무선기(60)는 타임 슬롯에 의하여 규정된 타이밍으로만 다른 무선기에의 송신이 허가되고, 그 이외의 시간에서는 다른 무선기의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도록 제어되어 있다. 이 때, 차상 무선기(50) 및 연선 무선기(60)에서는 그 계시 기능인 시계의 동기가 취해지고 있으므로, 이러한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인접하는 제어 존(30)의 거점 제어 장치(40)끼리는 정보 전달 효율이 양호한 접속을 하도록, 예를 들면, 동축 케이블 또는 광 파이버 케이블 등의 유선 케이블(70)로 접속되어 있다. 이 때문에, 인접하는 제어 존(30)의 사이에서, 예를 들면, 열차(10)의 관리를 이어받기 위하여, 열차(10)의 운행 정보 등이 유선 케이블(70)에 전달되므로, 연선 무선기(60)의 정보 전달 부하를 경감할 수 있다. 또한, 타임 윈도우에 여유가 생겨, 예를 들면, 1대의 거점 제어 장치(40)가 관리 가능한 열차(10)의 대수를 늘릴 수 있다.
또한, 거점 제어 장치(40)는 유선 케이블(80)을 통하여 제어 존(30)의 중간에 위치하는 연선 무선기(60)와 접속되어 있는 동시에, 유선 케이블(70)의 도중으로부터 분기하는 유선 케이블(90)을 통하여, 제어 존(30)의 양단의 경계(CZI)에 각각 배치된 2대의 연선 무선기(60)와 접속하고 있다. 유선 케이블(80)에 의하여 거점 제어 장치(40)에 접속되어 있는 연선 무선기(60)는, 예를 들면 역의 플랫폼에 설치되므로, 그 설치 방향에 위치하는 연선 무선기(60)와의 통신을 가능하게 하기 위하여, 플랫폼의 양단부에 각각 설치되어 있다.
이 때, 유선 케이블(70, 80 및 90)에 의하여 거점 제어 장치(40)에 접속되어 있는 연선 무선기(60)를, 다른 연선 무선기(60)로부터 구별하기 위하여, 「거점 무선기(60)」라고 부르기로 한다. 또한, 거점 무선기(60) 및 연선 무선기(60)을 구별할 필요가 없는 경우에는 이를 「무선기(60)」라고 부르기로 한다.
다음으로, 이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무선통신 네트워크 시스템의 작용에 대하여 설명한다.
여기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각 제어 존(30)에는,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왼쪽으로부터 오른쪽을 향하는 방향으로, 거점 무선기(60A), 연선 무선기(60B 내지 60E), 2대의 거점 무선기(60F 및 60G), 연선 무선기(60H 내지 60K) 및 거점 무선기(60L)가 이 순서로 12대 설치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또한, 무선기(60A 내지 60L)에 의한 정보 전달에는 거점 제어 장치(40)로부터 각 무선기(60A 내지 60L)에 대하여 송신되는 메시지로서의 「코맨드」, 각 무선기(60A 내지 60L)로부터 거점 제어 장치(40)에 대하여 송신(답신)되는 메시지 통신으로서의 「리포트」가 포함되는 것으로 한다.
거점 제어 장치(40)는 유선 케이블(80)에 접속된 거점 무선기(60F 및 60G)로부터 제어 존(30)의 경계(CZI)에 위치하는 거점 무선기(60A 및 60L)까지 코맨드를 송신하는 동시에, 각 무선기(60A 내지 60L)로부터 송신된 리포트를 수신한다. 거점 제어 장치(40)가 코맨드를 송신하는 경우에는, 거점 제어 장치(40)는 거점 무선기(60F 및 60G)에 유선으로 코맨드를 송신한다. 거점 무선기(40)로부터 송신된 코맨드를 수신한 거점 무선기(60F 및 60G)는 타임 슬롯에 의하여 규정된 타이밍 (이하, 「소정의 타이밍」이라 한다.)과, 코맨드를 인접하는 연선 무선기(60E 및 60H)에 무선으로 각각 송신한다. 코맨드를 수신한 연선 무선기(60E 및 60H)는 소정의 타이밍에, 코맨드를 인접하는 연선 무선기(60D 및 60I)에 무선으로 각각 송신한다. 또한, 이와 같은 것을 차례로 반복하고, 코맨드는 화살표 A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어 존(30)의 경계(CZI)에 위치하는 거점 무선기(60A 및 60L)까지 각각 전달된다.
또한, 각 무선기(60A 내지 60L)는, 예를 들면 코맨드에 의하여 리포트를 반송하는 것이 지시되어 있는 경우, 코맨드를 수신한 후, 소정의 타이밍에 제어 존(30)의 중간에 위치하는 거점 무선기(60F 및 60G)측에서 인접하는 무선기(60B 내지 60K)에 리포트를 송신한다. 또한, 리포트가 거점 무선기(60F 및 60G)까지 전달되면, 이 리포트는 소정의 타이밍으로, 유선 케이블(80)을 거쳐 거점 제어 장치(40)에 송신된다. 따라서, 각 무선기(60A 내지 60L)로부터의 리포트는 화살표 B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거점 제어 장치(40)까지 전달된다.
이 때, 예를 들면, 열차(10)가 연선 무선기(60J 및 60K)의 사이를 주행하고 있으면, 연선 무선기(60J)로부터 무선으로 송신된 코맨드는 인접하는 연선 무선기(60K)에 추가하여, 열차(10)의 뒷부분에 탑재된 차상 무선기(50B)에도 전달된다. 또한, 연선 무선기(60K)로부터 무선으로 송신된 코맨드는 인접하는 거점 무선기(60L)에 추가하여, 열차(10)의 앞부분에 탑재된 차상 무선기(50A)에도 전달된다. 열차(10)의 차상 무선기(50A 및 50B)에 전달된 코맨드는 차상 장치에 각각 송신되어 소정 규칙에 준거하여 선택된 코맨드만이 처리된다.
열차(10)의 차상 장치에서 처리된 코맨드의 처리 결과 등을 포함하는 리포트는 소정의 타이밍에 차상 무선기(50A 및 50B)의 무선통신 가능 범위에 위치하는 연선 무선기(60K 및 60J)에 무선으로 각각 송신된다. 차상 무선기(50A)로부터의 리포트를 수신한 연선 무선기(60K)는 소정의 타이밍으로 리포트를 인접하는 연선 무선기(60J)에 무선으로 송신한다. 이 리포트를 수신한 연선 무선기(60J)는 소정의 타이밍으로 리포트를 인접하는 연선 무선기(60I)에 무선으로 송신한다. 또한, 이 리포트는 제어 존(30)의 중간에 위치하는 거점 무선기(60G)까지 차례로 전달된 후에 소정의 타이밍으로, 유선 케이블(80)을 거쳐 거점 제어 장치(40)에 송신된다. 한편, 열차(10)의 차상 무선기(50B)로부터의 리포트를 수신한 연선 무선기(60J)는 소정의 타이밍으로, 리포트를 인접하는 연선 무선기(60I)로 송신하고, 동일한 처리에 의하여 리포트가 거점 제어 장치(40)까지 전달된다.
이 때, 제어 존(30)에 배치된 무선기(60A 내지 60L) 중에서,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연선 무선기(60K)에 고장이 발생하였을 경우에 대하여 고찰한다.
무선기(60A 내지 60L)의 고장 발생은 다음과 같이 하여 검지할 수 있다. 즉, 무선기(60A 내지 60L)는 코맨드에 의하여 리포트 생성이 요구되고 있는 경우, 컨택트 리포트, 무선기 상태 리포트 및 무선기 사이 링크 상태 리포트를 정리한 리포트를 생성한다. 거점 제어 장치(40)는 제어 존(30)에 배치된 각 무선기(60A 내지 60L)에 대하여, 리포트 생성을 요구하는 코맨드를 소정 회수 (예를 들면, 12회) 송신 (발신)한다. 또한, 거점 제어 장치(40)는 리포트 생성을 요구하는 코맨드를 송신한 무선기(60A 내지 60L)로부터 1회라도 리포트가 되돌아오지 않는 경우, 즉, 응답이 없는 경우에, 그 무선기가 고장났다고 진단한다. 또한, 거점 제어 장치(40)는 무선기가 고장났다고 진단한 후, 그 무선기로부터 리포트가 되돌아오면, 그 무선기의 고장이 복귀하였다고 진단한다.
거점 제어 장치(40)는, 예를 들면, 열차(10)을 관리하기 위한 코맨드를, 유선 케이블(80)을 통하여 거점 무선기(60F 및 60G)에 송신한다. 이 경우, 거점 무선기(60G)의 우측에 있어서의 정보 전달로는 연선 무선기(60K)가 고장이 나 있기 때문에, 연선 무선기(60J)에서 절단되어버려, 연선 무선기(60K) 및 거점 무선기(60L)로의 정보 전달을 할 수 없게 되어 버린다. 이에, 거점 제어 장치(40)는 연선 무선기(60K)의 고장을 검지하면, 거점 무선기(60F 및 60G)에 추가하여, 파선의 화살표 C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유선 케이블(70 및 90)에 의하여 접속된 거점 무선기(60L)에 코맨드를 송신하고, 여기로부터 코맨드를 무선통신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파선의 화살표 D는 거점 무선기(60L)로부터 거점 제어 장치(40)에 리포트를 답신하는 정보 전달 경로를 나타낸다.
이와 같이 하면, 예를 들면, 연선 무선기(60K)의 근방을 주행하고 있는 열차(10)는 거점 무선기(60L)로부터 송신된 코맨드를 차상 무선기(50A)로 수신할 수 있는 동시에, 연선 무선기(60J)로부터 송신된 코맨드를 차상 무선기(50B)로 수신할 수 있게 된다. 이 때문에, 제어 존(30)의 중간에 배치된 거점 무선기(60F)의 왼쪽 또는 거점 무선기(60G)의 오른쪽에 있어서, 연선 무선기(60B 내지 60E 및 60H 내지 60K)중 어느 하나가 고장이 나도, 열차(10)는 2개의 정보 전달 경로로부터 코맨드를 수신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정보 전달 경로를 이중화한 중복 구성을 유지하면서, 정보 전달 부하를 경감할 수 있다.
요컨대, 거점 제어 장치(40)는 연선 무선기(60B 내지 60E 및 60H 내지 60K)중 어느 하나에 고장이 발생하지 않은 경우에는 유선으로 접속된 거점 무선기(60F 및 60G)를 경유하여 열차(10)와 통신하는 한편, 연선 무선기(60B 내지 60E 및 60H 내지 60K)의 어느 하나에 고장이 발생한 경우에는, 유선으로 접속된 거점 무선기(60F 또는 60G 또는 60A 또는 60L)를 경유하여 열차(10)와 통신한다.
또한, 제어 존(30)에 배치된 무선기(60A 내지 60L)는 인접하는 두 개 앞의 무선기까지 정보를 전달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그 설치 간격을 넓히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설치 대수의 삭감에 의하여 비용 절감, 공사 기간 단축 등을 도모할 수도 있다.
또한, 제어 존(30)에 배치되는 무선기는 도시하는 대수에 한정하지 않고, 그 이외의 대수이어도 좋다 (이하 같음).
[제2 실시 형태]
도 5는 무선통신 네트워크 시스템의 제2 실시 형태의 일례를 나타낸다.
제어 존(30)에 배치된 거점 무선기(60A, 60F, 60G 및 60L)는 유선 케이블(70, 80 및 90)에 의하여 거점 제어 장치(40)에 접속되어 있으나, 고장 등에 의하여 다른 연선 무선기(60B, 60E, 60H 및 60K)에 통신할 수 없게 될 우려가 있다. 이 때문에, 제2 실시 형태에 관한 무선통신 네트워크 시스템에서는 상기 제1 실시 형태를 기본으로 하여 거점 무선기(60A, 60F, 60G 및 60L)를 이중화한 구성이 채용되어 있다.
이와 같이 하면, 거점 무선기(60A, 60F, 60G 또는 60L)에 있어서, 이중화된 무선기의 한쪽이 고장나도, 다른 무선기에의 통신이 불가능하게 되지 않고, 무선통신 네트워크 시스템의 견뢰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무선통신 네트워크 시스템 외의 구성, 작용ㆍ효과 및 연선 무선기(60B 내지 60E 또는 60H 내지 60K) 중 어느 하나가 고장이 났을 경우의 작용에 대하여는 상기 제1 실시 형태와 동일하기 때문에, 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필요하면, 상기 제1 실시 형태의 설명을 참조하면 된다 (이하 동일).
[제3 실시 형태]
도 6은 무선통신 네트워크 시스템의 제3 실시 형태의 일례를 나타낸다.
제3 실시 형태에 관한 무선통신 네트워크 시스템에서는 앞의 제2 실시 형태를 기본으로 하여 제어 존(30)의 경계(CZI)에 배치된 거점 무선기(60A 및 60L)는 각각 인접한 제어 존(30)의 거점 무선기(60L 및 60A)와 공용의 유선 케이블(70 및 90)을 통하여 거점 제어 장치(40)에 접속되어 있다.
이 경우, 제어 존(30)의 경계(CZI)에 있어서는 거점 무선기(60A 또는 60L)이 고장났을 때의 정보 전달 경로를 확보하기 위하여, 2개의 제어 존(30)에 속하는 거점 무선기(60A 및 60L)를 배치하는 간격은 다른 무선기를 배치하는 소정 간격 ΔL의 반으로 한다. 또한, 거점 무선기(60A 및 60L)와 이에 인접하는 연선 무선기(60B 및 60K)와의 간격도, 소정 간격 ΔL의 반으로 한다. 또한, 제어 존(30)의 경계(CZI)에 배치된 거점 무선기(60A 또는 60L)가 고장이 난 경우에는, 인접하는 제어 존(30)의 거점 무선기(60L 또는 60A)로부터 코맨드를 송신함으로써, 고장난 거점 무선기(60A 또는 60L)에 인접하는 연선 무선기(60B 또는 60K)에 코맨드를 전달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이 하면, 제어 존(30)의 경계(CZI)에 거점 무선기(60A 및 60L)를 설치하는 공사가 간단하게 되어, 비용 절감, 공사 기간 단축 등을 도모할 수 있다.
[제4 실시 형태]
도 7은 무선통신 네트워크 시스템의 제4 실시 형태의 일례를 나타낸다.
제4 실시 형태에 관한 무선통신 네트워크 시스템에서는 상기 제2 실시 형태 또는 제3 실시 형태를 기본으로 하여 제어 존(30)의 중간에 배치된 거점 무선기(60E 및 60F)만이 유선 케이블(80)에 의하여 거점 제어 장치(40)에 접속되어 있다.
이와 같이 하면, 제어 존(30)에 배치하는 거점 무선기의 대수를 삭감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비용 절감, 공사 기간 단축 등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제어 존(30)에 배치된 연선 무선기(60A 내지 60D 및 60G 내지 60J) 중에서, 예를 들면, 연선 무선기(60I)에 고장이 발생하였을 경우에는, 다음과 같이 하여, 정보 전달 경로를 이중화한 중복 구성이 실현된다.
즉, 거점 제어 장치(40)는 유선 케이블(80)을 통하여 코맨드를 거점 무선기(60E 및 60F)에 송신한다. 코맨드를 수신한 거점 무선기(60E 및 60F)는 인접하는 연선 무선기(60D 및 60G)에 코맨드를 무선으로 각각 송신한다. 코맨드를 수신한 연선 무선기(60D 및 60G)는 인접하는 연선 무선기(60C 및 60H)에 코맨드를 무선으로 각각 송신한다. 이와 같이 하여, 도 중에 있어서, 거점 무선기(60E)의 왼쪽에 위치하는 경계(CZI)에 배치된 연선 무선기(60A)까지 코맨드가 전달된다. 한편, 거점 무선기(60F)의 오른쪽에 위치하는 연선 무선기(60I)가 고장이 나 있기 때문에, 연선 무선기(60H)로부터 연선 무선기(60I)로 코맨드를 전달할 수 없게 된다.
이 경우, 연선 무선기(60I)의 고장을 검지한 거점 제어 장치(40)는 파선의 화살표 C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유선 케이블(70)로 접속된 인접하는 제어 존(30)의 거점 제어 장치(40)을 경유하여, 인접하는 제어 존(30)의 거점 무선기(60E)로 코맨드를 송신한다. 이 코맨드를 수신한 거점 무선기(60E)는 인접하는 연선 무선기(60D)에 코맨드를 무선으로 송신한다. 또한, 경계(CZI)를 넘어, 연선 무선기(60I)에 고장이 발생한 제어 존(30)의 연선 무선기(60J)까지 코맨드를 전달한다.
따라서, 제어 존(30)의 중간에 배치된 거점 무선기(60E 및 60F)만이 유선으로 거점 제어 장치(40)에 접속되어 있어도, 이중화된 정보 전달 경로를 실현할 수 있다.
또한, 거점 무선기로서는, 제어 존(30)의 중간에 배치된 무선기에 한정하지 않고, 그 경계(CZI)에 배치된 무선기라도 좋다.
[제5 실시 형태]
도 8은 무선통신 네트워크 시스템의 제5 실시 형태의 일례를 나타낸다.
제5 실시 형태에 관한 무선통신 네트워크 시스템에서는 도 5에 나타내는 제2 실시 형태를 기본으로 하여, 제어 존(30)의 경계(CZI)에 배치된 2대의 거점 무선기(60A 및 60I)만이 유선 케이블(70 및 90)에 의하여 거점 제어 장치(40)에 접속되어 있다.
이와 같이 하면, 제어 존(30)에 배치하는 거점 무선기의 대수를 삭감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비용 절감, 공사 기간 단축 등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제어 존(30)에 배치된 연선 무선기(60B 내지 60H) 중에서, 예를 들면, 연선 무선기(60C)에 고장이 발생하였을 경우에는, 다음과 같이 하여, 정보 전달 경로를 이중화한 중복 구성이 실현된다.
즉, 거점 제어 장치(40)는 유선 케이블(70 및 90)을 통하여 코맨드를 거점 무선기(60A)에 송신한다. 코맨드를 수신한 거점 무선기(60A)는 인접하는 연선 무선기(60B)에 코맨드를 무선으로 송신한다. 이 때, 연선 무선기(60C)에 고장이 발생하였으므로, 연선 무선기(60B)로부터 연선 무선기(60C)로 코맨드를 전달할 수 없다.
이에, 연선 무선기(60C)의 고장을 검지한 거점 제어 장치(40)는 파선의 화살표 C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유선 케이블(70 및 90)을 거쳐, 코맨드를 거점 무선기(60I)에 송신한다. 코맨드를 수신한 거점 무선기(60I)는 인접하는 연선 무선기(60H)에 코맨드를 무선으로 송신한다. 코맨드를 수신한 연선 무선기(60H)는 인접하는 연선 무선기(60G)에 코맨드를 무선으로 송신한다. 또한, 이와 같은 것을 반복하여, 코맨드가 연선 무선기(60D)에까지 전달된다.
따라서, 제어 존(30)의 경계(CZI)에 배치된 2대의 거점 무선기(60A 및 60 I)만이, 유선으로 거점 제어 장치(40)에 접속되어 있어도, 이중화된 정보 전달 경로를 실현할 수 있다.
또한, 각 실시 형태에 있어서, 그 일부를 다른 실시 형태에서 설명한 구성으로 변경하여도 좋고, 또한, 복수의 실시 형태에서 설명한 구성을 적절하게 조합하도록 하여도 좋다.
10 열차 (이동체)
20 이동 경로
30 제어 존
40 거점 제어 장치 (제어국)
50 (50A, 50B) 차상 무선기
60 연선 무선기 (고정국)
70 유선 케이블
80 유선 케이블
90 유선 케이블

Claims (7)

  1. 이동체의 이동 경로를 복수로 분할한 제어 존마다, 소정 간격을 두고 복수 배치되어 인접하는 것끼리 차례로 무선 통신하는 전파형의 고정국과, 상기 고정국이 적어도 1대와 유선으로 접속되어 다른 상기 고정국을 거쳐 상기 이동체와 통신하는 제어국을 가지고,
    인접하는 상기 제어 존의 상기 제어국끼리 유선으로 접속되며,
    상기 제어국과 상기 이동체는 상기 제어국과 유선으로 접속된 1대의 상기 고정국을 경유하여 통신하는 동시에, 상기 제어국과 유선으로 접속된 다른 상기 고정국을 경유하여 통신하는 중복 구성을 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신 네트워크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국은 상기 제어 존의 경계에 각각 배치된 2대의 상기 고정국과, 상기 제어 존의 중간에 배치된 2대의 상기 고정국의 적어도 어느 하나와 유선으로 접속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신 네트워크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국과 유선으로 접속된 상기 고정국은 다중화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신 네트워크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국은 인접하는 상기 고정국 사이에 무선통신 가능한 거리에 1대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신 네트워크 시스템.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국은 상기 고정국에 고장이 발생하지 않는 경우에는, 유선으로 접속된 1대의 상기 고정국을 경유하여 상기 이동체와 통신하는 한편, 상기 고정국에 고장이 발생한 경우에는 유선으로 접속된 1대의 상기 고정국 또는 유선으로 접속된 다른 상기 고정국을 경유하여 상기 이동체와 통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신 네트워크 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국은 상기 고정국에 대하여 응답 지령을 발신하고, 상기 고정국으로부터 응답이 없는 경우에, 상기 응답 지령의 발신처인 상기 고정국이 고장나 있다고 판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신 네트워크 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국은 상기 고정국에 대하여 복수회 응답 지령을 발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신 네트워크 시스템.
KR1020147028439A 2012-03-30 2013-03-18 무선통신 네트워크 시스템 KR10187971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2082605A JP6017164B2 (ja) 2012-03-30 2012-03-30 無線通信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
JPJP-P-2012-082605 2012-03-30
PCT/JP2013/057684 WO2013146426A1 (ja) 2012-03-30 2013-03-18 無線通信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45149A true KR20140145149A (ko) 2014-12-22
KR101879710B1 KR101879710B1 (ko) 2018-07-18

Family

ID=492596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28439A KR101879710B1 (ko) 2012-03-30 2013-03-18 무선통신 네트워크 시스템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1) JP6017164B2 (ko)
KR (1) KR101879710B1 (ko)
CN (1) CN104205883B (ko)
IN (1) IN2014DN08934A (ko)
WO (1) WO201314642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462220B2 (ja) * 2014-03-04 2019-01-30 東日本旅客鉄道株式会社 鉄道用設備監視システム
CN110177725B (zh) * 2017-01-17 2021-07-13 三菱电机株式会社 进路控制装置、无线列车控制系统、车上装置及进路控制方法
JP7191452B2 (ja) * 2017-09-27 2022-12-19 日本信号株式会社 列車制御システム
CN107613268A (zh) * 2017-10-24 2018-01-19 北京艾恩斯网络科技有限公司 列车视频监控系统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04235A (ja) * 1998-06-15 2000-01-07 Nippon Signal Co Ltd:The 無線通信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
JP2003229892A (ja) * 2002-02-04 2003-08-15 Toshiba Digital Media Engineering Corp ネットワーク通信システムおよびネットワーク通信方法
JP2010193262A (ja) * 2009-02-19 2010-09-02 Kyosan Electric Mfg Co Ltd 地上・車上間情報伝送システム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02063A (ja) * 1998-09-25 2000-04-07 Nippon Signal Co Ltd:The 無線通信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の同期方法
JP4707212B2 (ja) * 2000-06-29 2011-06-22 日本信号株式会社 無線通信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
US6854691B2 (en) * 2002-02-11 2005-02-15 General Electric Company Railroad communication system
CN1902074B (zh) * 2003-12-09 2010-12-01 通用电气公司 机车遥控系统
JP4087786B2 (ja) * 2003-12-19 2008-05-21 株式会社日立製作所 列車位置検知方法
FI20051216A0 (fi) * 2005-11-29 2005-11-29 Nokia Corp Menetelmä, järjestelmä ja järjestelyjä WLAN-yhteyden muodostamiseksi ja ylläpitämiseksi ennustettavasti liikkuvissa kulkuneuvoissa
JP2011008627A (ja) * 2009-06-26 2011-01-13 Kubota Corp 設備情報管理システム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04235A (ja) * 1998-06-15 2000-01-07 Nippon Signal Co Ltd:The 無線通信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
JP2003229892A (ja) * 2002-02-04 2003-08-15 Toshiba Digital Media Engineering Corp ネットワーク通信システムおよびネットワーク通信方法
JP2010193262A (ja) * 2009-02-19 2010-09-02 Kyosan Electric Mfg Co Ltd 地上・車上間情報伝送システ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6017164B2 (ja) 2016-10-26
WO2013146426A1 (ja) 2013-10-03
JP2013212712A (ja) 2013-10-17
CN104205883B (zh) 2018-05-22
KR101879710B1 (ko) 2018-07-18
CN104205883A (zh) 2014-12-10
IN2014DN08934A (ko) 2015-05-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44498B1 (ko) 무선 통신 네트워크 시스템
CN101527947B (zh) 无线中继网络中为移动终端选择通信路径的方法和装置
EP2763474B1 (e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system synchronization method
KR101879710B1 (ko) 무선통신 네트워크 시스템
CN102113362A (zh) 移动中继技术选项
CN101304910A (zh) 用于车辆和线路中心的通信系统和方法
KR20070024474A (ko) 이동기, 및 무선 인터페이스의 배치방법
CN110392403A (zh) 一种通信方法及装置
CN110082784B (zh) 北斗隧道覆盖系统及布设方法
CN106114561A (zh) Cbtc的无线通信网络系统架构
CN102530026A (zh) 机车同步操控系统和方法
CN107889118B (zh) 一种rru交织冗余的lte-r网络系统
CN103179131A (zh) 列车控制的通信方法、装置及系统
RU2519601C1 (ru) Система автоматизированного управления движением поездов
CN110785947B (zh) 通信网络和运行通信网络的方法
US9980288B2 (en) Data transmission in a segmented communication network
KR102287253B1 (ko) 인접 열차 간 직접 통신의 오류 발생 시 통신 절체 기술
JP3914268B2 (ja) 列車無線通信システム及びその無線送受信装置
CN101860992B (zh) 控制基站以提供无线通信方法及其控制装置与通信系统
JP2000004235A (ja) 無線通信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
CN214728852U (zh) 一种应用在随动式轨道上的通信装置
CN114845925B (zh) 在有轨交通系统内传输数据的方法、数据传输系统、具有数据传输系统的有轨交通系统以及在现场元件上使用通信单元
CN109089326B (zh) 一种运控系统控制下的轨道交通车地通信系统
DE102020133872A1 (de) Verfahren zum Betreiben einer Aufzuganlage sowie Aufzuganlage mit Datenübertragung über ein Mobilfunknetz
KR20130099500A (ko) 무선구간 계통 이중화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