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43805A - 수처리용 막모듈 유닛 - Google Patents

수처리용 막모듈 유닛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43805A
KR20140143805A KR1020147029512A KR20147029512A KR20140143805A KR 20140143805 A KR20140143805 A KR 20140143805A KR 1020147029512 A KR1020147029512 A KR 1020147029512A KR 20147029512 A KR20147029512 A KR 20147029512A KR 20140143805 A KR20140143805 A KR 2014014380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mbrane module
manifold
water
screw linear
membra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70295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91273B1 (ko
Inventor
타쿠지 초
이즈미 오니시
카즈히로 오가와
Original Assignee
미쯔이 죠센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쯔이 죠센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쯔이 죠센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401438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438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912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912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3/00Apparatus in general for separation processes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 B01D63/10Spiral-wound membrane modules
    • B01D63/12Spiral-wound membrane modules comprising multiple spiral-wound assembl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3/00Conduits for emptying or ballasting; Self-bailing equipment; Scupp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JAUXILIARIES ON VESSELS
    • B63J1/00Arrangements of installations for producing fresh water, e.g. by evaporation and condensation of sea water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4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dialysis, osmosis or reverse osmosis
    • C02F1/444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dialysis, osmosis or reverse osmosis by ultrafiltration or microfilt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313/00Details relating to membrane modules or apparatus
    • B01D2313/10Specific supply elements
    • B01D2313/105Supply manifol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313/00Details relating to membrane modules or apparatus
    • B01D2313/12Specific discharge elements
    • B01D2313/125Discharge manifol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317/00Membrane module arrangements within a plant or an apparatus
    • B01D2317/04Elements in parallel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103/00Nature of the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to be treated
    • C02F2103/008Originating from marine vessels, ships and boats, e.g. bilge water or ballast water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Separation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AREA)

Abstract

막면적을 증대화하면서도 높이를 억제하여, 콤팩트하게 설치 가능한 수처리용 막모듈 유닛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며, 외통 내부에, 집수관과, 상기 집수관의 외주에 감겨진 복수의 봉투형 막을 수용하고, 인접하는 봉투형 막의 사이를 원수 유로로 하여 이루어지는 복수의 나사선형 막모듈(2)을 병설하고, 복수 병설된 나사선형 막모듈(2)을 1조로 하고, 상기 나사선형 막모듈(2)의 조를 2조(2A, 2B) 설치하고, 각 조(2A, 2B)에서의 나사선형 막모듈(2)의 일단측의 원수 유로의 입구측 또는 출구측에 접속되는 매니폴드를 각 조에서 공통의 하나의 공통 매니폴드(4)로 하고, 상기 공통 매니폴드(4)의 상반되는 면에 각 조(2A, 2B)의 나사선형 막모듈(2)을 접속 함과 함께, 각 조(2A, 2B)의 나사선형 막모듈(2)의 타단측에 각각 조별 매니폴드(3, 3)를 접속하였다.

Description

수처리용 막모듈 유닛 {WATER TREATMENT MEMBRANE MODULE UNIT}
본 발명은 수처리용 막모듈 유닛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막면적을 증대화하면서도 높이를 억제하여 콤팩트하게 설치할 수 있는 수처리용 막모듈 유닛에 관한 것이다.
종래, 선박 밸러스트수 중의 미생물을 막처리하는 것에 의해 제거하는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다. 특히 유조선과 같은 거대 선박에서는, 밸러스트 탱크의 용량도 거대해지기 때문에, 밸러스트수를 막처리하는 경우 방대한 양의 밸러스트수를 단시간에 처리해야 할 필요가 있고, 이 때문에 선박 내에 방대한 수량의 막을 구비할 필요가 있다.
때문에, 본 발명 출원인은, 원수의 유로를 구성하는 매니폴드에 대해서 복수개의 나사선형 막모듈을 접속한 구조의 수처리용 막모듈 유닛을 제안하고 있다(특허 문헌 1).
나사선형 막모듈은, 집수관의 외주에 복수의 봉투형 막이 감겨져 이루어지는 구조체의 외주를 외통으로 피복한 구조를 가지고 있고, 복수개의 나사선형 막모듈의 양단부를 매니폴드에 원수의 유출입이 가능해지도록 각각 접속함으로써, 하나의 수처리용 막모듈 유닛을 구성하고 있다.
이러한 수처리용 막모듈 유닛에 의하면, 대량의 원수의 막처리를 병렬하여 행할 수 있어 매우 효율적이고, 공간 절약화를 도모할 수 있는 등의 많은 이점을 가지고 있다.
특허 문헌 1:특허공개 2011-92824호 공보
막모듈 유닛에 의해 대량의 원수를 막처리할 수 있도록 하려면 막면적을 증가해야 한다. 그 때문에는, 막모듈 유닛을 다수 유닛 설치해야 하고, 막모듈 유닛을 가로방향으로 병설하는 외에,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막모듈 유닛을 상하 방향으로도 다단 형상으로 설치하는 것에 의해, 한정된 스페이스에 가능한 한 막모듈 유닛을 설치하는 것이 요구되고 있다.
또한, 도 7에 있어서, 100은 막모듈 유닛, 101은 막모듈이며, 복수개(도 7에서는 6개)의 막모듈(101)이 원수 측의 매니폴드(102)와 농축수 측의 매니폴드(103)와의 사이에 병설되어 있다. 막모듈 유닛(100)은, 도 7의 지면에 수직인 방향에도 다수 병설되기 때문에, 다수의 각 매니폴드(102, 103)와의 사이에 원수, 농축수 및 처리수의 배관을 집약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각 모듈 유닛(100)은, 막모듈(101)의 길이 방향이 상하 방향을 따르도록 배치시켜 다단 형상으로 설치되어 있다.
그러나, 막모듈 유닛을 다단 형상으로 설치하는 경우, 당연히 설치 높이가 높아져, 예를 들면 선박 내에 설치하여 밸러스트수를 처리하는 경우에는, 선박에 따라서는 천정벽과의 사이의 스페이스가 매우 협소해질수 밖에 없는 경우가 발생한다. 막모듈 유닛은, 예를 들면 막모듈의 교환이나 보수 등의 정기적인 유지 보수가 필요하고, 유지 보수 작업자가 막모듈 유닛의 상부로부터도 작업을 해야 하는 경우가 있다. 따라서, 막모듈 유닛과 천정벽 사이의 스페이스가 확보되지 않으면, 유지 보수작업이 곤란해지고, 경우에 따라서는 유지 보수 작업이 불가능해지는 문제가 있다.
또, 막모듈 유닛을 가로방향으로 설치하여 사용하는 경우에도, 선박 내 등의 한정된 스페이스에 설치하는 이상, 가로방향의 치수가 작게 억제되는 것이 바람직한 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
따라서, 막면적을 증대화하면서도 콤팩트하게 설치할 수 있는 막모듈 유닛이 요구되고 있다.
그리하여, 본 발명은, 막면적을 증대화하면서도 콤팩트하게 설치할 수 있는 수처리용 막모듈 유닛을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과제는, 이하의 기재에 의해 분명해진다.
상기 과제는, 이하의 각 발명에 의해 해결된다.
1. 외통 내부에, 집수관과, 상기 집수관의 외주에 감겨진 복수의 봉투형 막을 수용하고, 인접하는 상기 봉투형 막의 사이를 원수 유로로 하여 이루어지는 복수의 나사선형 막모듈과, 상기 나선형 막모듈의 양단부에 각각 접속되고, 각각 외부와의 사이에서 원수의 유출입을 행하는 매니폴드를 구비하고, 상기 나선형 막모듈의 상기 원수 유로와 상기 매니폴어의 내부와의 사이에서 원수의 유출입을 가능하게 한 수처리용 막모듈 유닛에 있어서,
복수 병설된 상기 나사선형 막모듈을 1조로 하고, 상기 나사선형 막모듈의 조를 2조 설치하며,
각 조에서의 상기 나사선형 막모듈의 일단측의 상기 원수 유로의 입구측 또는 출구측에 접속되는 상기 매니폴드를 각 조에서 공통의 하나의 공통 매니폴드로 하고, 상기 공통 매니폴드의 상반되는 면에 각 조의 상기 나사선형 막모듈을 접속함과 함께, 각 조의 상기 나사선형 막모듈의 타단측에 각각 조별 매니폴드를 접속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처리용 막모듈 유닛.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집수관의 단부가 개구하는 상기 공통 매니폴드와 상기 조별 매니폴드의 적어도 임의의 내부에, 배관에 의해 형성된 하나의 처리수 유로를 형성하고, 상기 집수관의 단부를 각각 상기 처리수 유로에 접속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처리용 막모듈 유닛.
본 발명에 의하면, 막면적을 증대화하면서도 콤팩트하게 설치할 수 있는 수처리용 막모듈 유닛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하나의 수처리용 막모듈 유닛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나사선형 막모듈의 축방향을 따르는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iii)-(iii) 선에 따르는 단면도이다.
도 4는 수처리용 막모듈 유닛의 종단면도이다.
도 5는 하나의 수처리용 막모듈 유닛의 다른 실시 형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은 하나의 수처리용 막모듈 유닛의 또 다른 실시 형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7은 종래의 수처리용 막모듈 유닛을 다단 형상으로 설치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형태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하나의 수처리용 막모듈 유닛의 사시도, 도 2는 나사선형 막모듈의 축방향을 따르는 단면도, 도 3은 도 2의 (iii)-(iii) 선에 따르는 단면도, 도 4는 수처리용 막모듈 유닛의 종단면도이다. 여기에서는 수처리용 막모듈 유닛에 의해 밸러스트수를 처리하는 경우에 대해 설명한다.
수처리용 막모듈 유닛(이하, "유닛"이라고 한다.)(1)은, 일렬로 병설된 복수개의 나사선형 막모듈(이하, "막모듈"이라고 한다.)(2)과, 이들 막모듈(2)의 양단부에 각각 접속된 매니폴드(3, 4)를 가지고 있다.
막모듈(2)은, 처리수를 모으는 집수관(21)과, 상기 집수관(21)의 외주에 감긴 상태로 설치된 다수의 봉투형 막(22)과, 이 집수관(21)의 외주에 봉투형 막(22)이 감겨진 구조체의 외주를 피복하는 외통(23)을 가지고 있다. 외통(23)은, 양단이 개구하는 원통 형상의 FRP제의 통(筒)상체이며, 집수관(21)의 길이방향이 외통(23)의 길이 방향과 일치하도록 상기 구조체를 내부에 수용하고 있다.
각 봉투형 막(22) 내에는, 각각 봉투형 막(22)의 장설(張設)상태를 유지하고, 상기 봉투형 막(22)의 내측에 투과한 처리수를 위한 스페이스를 형성하는 투과측 스페이서(22a)가 설치되어 있다. 봉투형 막(22)의 내부는 집수관(21)의 내부와 연통하고 있고, 상기 봉투형 막(22)을 투과한 처리수를 집수관(21)으로 이송 가능하다. 이 봉투형 막(22)은, 집수관(21)의 외주면에 방사상으로 장착되어 있고, 이들이 집수관(21)에 감겨져 상기 집수관(21)의 외주에 고밀도로 감겨지는 것에 의해, 전체적으로 집수관(21)을 축으로 하는 약 원주형상을 나타내고 있다.
인접하는 봉투형 막(22)의 사이에는, 봉투형 막(22) 끼리가 밀착하여 막면적이 좁아지는 것을 방지 함과 함께 집수관(21)과 외통(23) 사이의 인접하는 봉투형 막(22) 간에 원수 유로(24)를 형성하기 위한 스페이서(25)가 삽입 설치되어 있다. 원수 유로(24)는, 외통(23)의 임의의 일측단의 개구가 입구, 타측단의 개구가 출구로 된다.
집수관(21)은,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일단이 폐쇄된 폐쇄 단부(21a)이고, 타단이 밸러스트 처리수를 배출하기 위해 개구한 개구 단부(21b)로 되어 있다.
막모듈(2)은, 복수개가 병설되는 것에 의해 하나의 막모듈(2)의 조를 구성하고 있고, 이 조가 2A, 2B의 2조 설치되어 있다. 여기에서는 각 조(2A, 2B)가 각각 6개의 막모듈(2)에 의해 구성되어 있지만, 각 조(2A, 2B)의 병설 개수는 특히 제한되지 않는다. 바람직하게는 3 ~ 20개의 범위이고, 보다 바람직하지는 4 ~ 15개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5 ~ 10개이다. 그러나, 효율적인 처리를 행함에 있어서, 막모듈(2)의 병설 개수는 각 조(2A, 2B)에서 동일한 수량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막모듈(2)의 조(2A, 2B)는, 각 조(2A, 2B) 간의 각 막모듈(2)이 길이 방향으로 직렬하도록 배치되어 있고, 각 조(2A, 2B)의 상반되는 외측 단부에 각각 조별 매니폴드(3, 3)가 접속되어 있음과 함께, 각 조(2A, 2B)의 대향하는 내측 단부에 하나의 공통 매니폴드(4)가 접속되어 있다.
조별 매니폴드(3)는, 일측면이 개방한 직방체 형상의 박스형태를 나타내는 본체(31)와, 본체(31)의 일측면을 씰 부재(미도시)를 사이에 두어 개폐 가능하게 덮는 덮개(32)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이 조별 매니폴드(3)는, 여기에서는 각각 원수가 공급되는 매니폴드로서 기능하고 있고, 내부는 복수의 막모듈(2)에 공통의 하나의 원수실(33)을 형성하고 있다. 본체(31)의 길이 방향에 따르는 하나의 측벽면은, 각 막모듈(2)과의 접속면이며, 상기 측벽면으로부터 원통형으로 돌출되게 형성된 막모듈(2)과 동일 수량의 접속 개구부(34)가 병설되어 있다.
각 조(2A, 2B)의 각 막모듈(2)의 각각 외측 단부는, 이 접속 개구부(34)에 대해서 외통(23)이 수밀적으로 접속된다. 이에 의해, 각 막모듈(2)의 내부의 원수 유로(24)는, 외측 단부에서 조별 매니폴드(3) 내의 원수실(33)과 연통하고 있다. 따라서, 각 막모듈(2)의 원수 유로(24)에서의 조별 매니폴드(3)의 원수실(33)을 향하는 측이 원수의 입구측으로 된다.
또, 여기에서는 집수관(21)의 폐쇄 단부(21a)측이 조별 매니폴드(3)측이 되도록 각 막모듈(2)가 배향되고 있다.
조별 매니폴드(3)의 본체(31)의 길이 방향의 일단부에는, 원수실(33)에 대해 원수를 공급하기 위한 공급구(35)가 형성되어 있고, 공급관(미도시)과 접속됨으로써, 원수실(33)에 원수를 공급 가능해진다.
조별 매니폴드(3)는, 필요에 따라서 덮개(32)를 분리하는 것에 의해 원수실(33)을 개방할 수 있고, 내부 상태, 예를 들면 각 막모듈(2)의 외통(23)과의 접속 상태 및 씰 상태를 직접 확인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 덮개(32)는, 덮개(32)를 분리하지 않고 직접 확인할 수 있는 소재를 사용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공통 매니폴드(4)도, 일측면이 개방한 직방체 형상의 박스형태를 나타내는 본체(41)와, 본체(41)의 일측면을 씰 부재(미도시)를 사이에 두고 개폐 가능하게 덮는 덮개(42)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이 공통 매니폴드(4)는, 여기에서는 각 막모듈(2)에 의해 여과된 후의 농축수를 받아들이기 위한 매니폴드로서 기능하고 있고, 내부는 각 조(2A, 2B)의 각 막모듈(2)에 공통의 하나의 농축수실(43)을 형성하고 있다. 본체(41)의 길이 방향에 따르는 상반되는 측벽면은, 각 조(2A, 2B)의 각 막모듈(2)과의 접속면이며, 각 측벽면으로부터 원통형상으로 돌출 형성된 막모듈(2)과 동일 수량의 접속 개구부(44)가 각각 병설되고 있다.
각 조(2A, 2B)의 각 막모듈(2)의 내측 단부는, 이 접속 개구부(44)에 대해 외통(23)이 수밀적으로 접속된다. 이에 의해, 각 막모듈(2)의 내부의 원수 유로(24)는, 내측 단부에서 공통 매니폴드(4) 내의 농축수실(43)과 연통하고 있다. 따라서, 각 막모듈(2)의 원수 유로(24)에 있어서의 공통 매니폴드(4)의 농축수실(43)을 향하는 측이 원수의 출구측으로 된다.
또, 여기에서는 집수관(21)의 개구 단부(21b) 측이 공통 매니폴드(4) 측이 되도록 각 막모듈(2)이 배향되고 있다.
공통 매니폴드(4)의 본체(41)의 길이 방향의 일단부에는, 농축수실(43)로부터의 농축수를 배출하기 위한 배출구(45)가 형성되어 있고, 배출관(미도시)과 접속됨으로써, 농축수실(43)로부터 농축수를 외부로 배출 가능하게 되어 있다.
각 막모듈(2)의 집수관(21)의 개구 단부(2b)는, 공통 매니폴드(4)의 농축수실(43)을 전부 향하고 있다. 그리고, 이 농축수실(43) 내에서, 각 집수관(21)의 개구 단부(21b)는, 공통의 하나의 처리수 유로(5)에 각각 접속되고 있다.
처리수 유로(5)는, 복수의 배관을 접속하는 것에 의해 형성되어 있고, 각 집수관(21)의 개구 단부(21b)와 각각 접속함으로써, 각 집수관(21) 내의 처리수를 각 조(2A, 2B)에서 공통의 하나의 유로에 수집하고, 공통 매니폴드(4)의 타단부에 설치된 처리수 출구(46)로부터 외부로 배출되도록 되어 있다.
공통 매니폴드(4)는, 필요에 따라서 덮개(42)를 분리하는 것에 의해 농축수실(43)을 개방할 수 있고, 내부 상태, 예를 들면 각 막모듈(2)의 외통(23)과의 접속 상태 및 씰 상태, 더욱이, 처리수 유로(5)의 접속 상태 및 씰 상태를 직접 확인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 덮개(42)는, 덮개(42)를 분리하지 않고 직접 확인할 수 있는 소재를 사용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유닛(1)은, 막모듈(2)의 길이 방향이 바닥면에 대해 상하 방향을 따르도록 조별 매니폴드(3, 3)가 각각 상하로 배치되고, 동일 구성의 유닛(1)이 바닥면에 대해서 가로방향으로 다수 병설된다. 그리고, 각 조별 매니폴드(3)의 공급구(35)로부터 각각 원수를 공급하면, 각 조(2A, 2B)의 각 막모듈(2) 내의 원수 유로(24)를 흐르는 과정에서 여과되고, 농축수가 원수 유로(24)를 통과하여 각 조(2A, 2B) 모두에 공통 매니폴드(4)의 농축수실(43)로 유입하고, 배출구(45)로부터 배출되는 한편, 처리수는 각 집수관(21)으로부터 농축수실(43) 내의 공통의 처리수 유로(5)에 모아져 처리수 출구(46)로부터 유닛(1) 밖으로 배출된다.
유닛(1)은, 각 조(2A, 2B) 간의 매니폴드를 하나의 공통 매니폴드(4)에서 공용하고 있기 때문에,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동일 구성의 유닛을 상하 방향으로 다단 형상으로 설치하는 경우에 비해, 상하 막모듈의 사이에 배치되는 하나의 매니폴드의 분만큼 유닛(1) 전체의 사이즈(높이)는 콤팩트해진다. 때문에, 각 조별 매니폴드(3, 3) 간의 치수가 작게 억제되고, 설치 높이를 축소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7에 나타내는 상하 2단의 유닛 구조로 한 경우, 전체 높이(h)는 3270 mm가 되었지만, 본 발명에 의하면, 이와 동일한 길이의 막모듈(2)을 사용한 경우에도, 전체 높이(H)는 2930 mm로 끝나, 높이 치수를 억제할 수 있었다.
이것은, 단지 매니폴드가 하나분이 줄어든 것이 아니라, 각 매니폴드에 대하여 접속되는 배관류도 간소화할 수 있는 것에도 의한 효과이다. 즉, 도 7과 같이, 유닛(100, 100)을 상하 2단으로 설치한 경우, 사이에 배치되는 매니폴드(103, 103)에 대하여 각각 접속되는 배관 끼리의 간섭을 피하기 위해, 상하의 매니폴드(103, 103) 간에 스페이스가 필요하다. 그러나, 본 발명에 의하면, 상하 막모듈(2) 사이에 배치되는 매니폴드는 공통 매니폴드(4)의 하나 뿐이어서, 이 하나의 공통 매니폴드(4)에 대하여 배관을 접속하는 것만으로 끝나기 때문에, 도 7의 경우와 같이 매니폴드(103, 103)에 각각 접속되는 배관 끼리의 간섭을 고려할 필요는 없어진다. 때문에, 공통 매니폴드(4)를 도 7의 매니폴드(103)와 동일한 사이즈로 해도, 높이 치수를 매니폴드(103)의 하나분 이상 축소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선박 내의 높이 스페이스에 여유가 있는 경우, 본 발명에 의하면, 도 7의 경우에 비해 하나의 매니폴드가 불필요해진 만큼만 각 막모듈(2)의 길이를 길게 할 수도 있다. 막모듈(2)의 길이를 길게 할 수 있는 것에 의해, 각 막모듈(2)의 개개의 막면적을 증대시키는 것이 가능해지고, 도 7의 경우에 비해 막처리량을 증대시킬 수 있게 된다.
이상 설명한 유닛(1)은, 조별 매니폴드(3) 내에 원수실(33)을 형성하고, 공통 매니폴드(4) 내에 농축수실(43)을 형성하며, 이 농축수실(43) 내에 처리수 유로(5)를 형성하도록 했지만, 도 5에 나타내는 유닛(1)0과 같이, 조별 매니폴드(3, 3) 내에 각각 농축수실(33a, 33a)을 형성하고, 공통 매니폴드(4) 내에 원수실(43a)을 형성하도록 해도, 완전히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여기에서는, 각 막모듈(2)의 집수관(21)의 개구 단부(21b)를, 각각 조별 매니폴드(3, 3) 측에 배향시키고, 그 각 농축수실(33a) 내에 각각 처리수 유로(5), 5(도 5에서는 도시하지 않음)를 배치하고 있다. 각 조별 매니폴드(3, 3)에 있어서의 부호 36은 처리수 출구이고, 부호 37은 농축수의 배출구이다. 또, 공통 매니폴드(4)에 있어서의 부호 47은 원수의 공급구이다.
또, 임의의 유닛(1, 10)에 있어서도, 집수관(21)의 개구 단부(21b)는, 조별 매니폴드(3)와 공통 매니폴드(4)의 어느 하나에 배향되어 있어도 좋고, 처리수 유로(5)는, 집수관(21)의 개구 단부(21b)가 배향된 조별 매니폴드(3) 내, 공통 매니폴드(4) 내 또는 그 양쪽에 형성하면 좋다.
더욱이, 도 6에 나타내는 유닛(1)1과 같이, 원수의 공급구(35)를 어느 한측의 조별 매니폴드(3)(도면 아래측)에만 설치하고, 타측 조별 매니폴드(3)(도면 상측)에만 농축수의 배출구(37)를 설치하도록 해도 좋다. 이 태양에서는, 도면 상측의 조별 매니폴드(3) 내가 농축수실(43)이 되고, 도면 하측의 조별 매니폴드(3) 내가 원수실(33)로 되며, 공통 매니폴드(4) 내는 도면 하측의 조별 매니폴드(3)로부터 공급되어 도면 하측의 막모듈(2)을 통과한 농축수를 도면 상측의 막모듈(2)에 더 공급하기 위한 유로가 된다. 이에 의하면, 원수의 공급구(35), 농축수의 배출구(37) 및 처리수 출구(46)를 유닛(11) 내에 각각 1개씩 마련하는 것만으로 되므로, 배관 접속수나 밸브수가 감소하고, 설치 작업도 간소화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상의 설명에서는, 임의의 유닛(1, 10, 11)을 세로에 설치하는 경우를 예시했지만, 이들을 가로방향으로 설치하여 사용해도 좋은 것은 물론이다.유닛(1, 10, 11)을 가로방향으로 설치함으로써 가로방향의 치수가 작게 억제되고, 가로방향의 설치 스페이스의 저감을 도모할 수 있다.
또, 막모듈(2)에 의한 원수의 처리는, 막면 평행류를 형성한 이른바 크로스 플로우에 의한 여과를 실시하는 것에 제한되지 않고, 농축수실 측의 유로를 밸브로 폐쇄하는 것에 의해 데드엔드 방식에 의한 전량 여과를 실시하도록 해도 좋다.
1, 10, 11:밸러스트 처리용 막모듈 유닛(유닛)
2:나사선형 막모듈(막모듈)
21:집수관
21a:폐쇄 단부
21b:개구 단부
22:봉투형 막
22a:투과측 스페이서
23:외통
24:원수 유로
25:스페이서
3:조별 매니폴드
31:본체
32:덮개
33:원수실
33a:농축수실
34:접속 개구부
35:공급구
36:처리수 출구
37:배출구
4:공통 매니폴드
41:본체
42:덮개
43:농축수실
43a:원수실
44:접속 개구부
45:배출구
46:처리수 출구
47:공급구
5:처리수 유로

Claims (2)

  1. 외통 내부에, 집수관과, 상기 집수관의 외주에 감겨진 복수의 봉투형 막을 수용하고, 인접하는 상기 봉투형 막의 사이를 원수 유로로 하여 이루어지는 복수의 나사선형 막모듈과, 상기 나선형 막모듈의 양단부에 각각 접속되고, 각각 외부와의 사이에서 원수의 유출입을 행하는 매니폴드를 구비하고, 상기 나선형 막모듈의 상기 원수 유로와 상기 매니폴어의 내부와의 사이에서 원수의 유출입을 가능하게 한 수처리용 막모듈 유닛에 있어서,
    복수 병설된 상기 나사선형 막모듈을 1조로 하고, 상기 나사선형 막모듈의 조를 2조 설치하며,
    각 조에서의 상기 나사선형 막모듈의 일단측의 상기 원수 유로의 입구측 또는 출구측에 접속되는 상기 매니폴드를 각 조에서 공통의 하나의 공통 매니폴드로 하고, 상기 공통 매니폴드의 상반되는 면에 각 조의 상기 나사선형 막모듈을 접속함과 함께, 각 조의 상기 나사선형 막모듈의 타단측에 각각 조별 매니폴드를 접속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처리용 막모듈 유닛.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집수관의 단부가 개구하는 상기 공통 매니폴드와 상기 조별 매니폴드의 적어도 임의의 내부에, 배관에 의해 형성된 하나의 처리수 유로를 형성하고, 상기 집수관의 단부를 각각 상기 처리수 유로에 접속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처리용 막모듈 유닛.

KR1020147029512A 2012-03-22 2013-01-30 수처리용 막모듈 유닛 KR10169127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2066435A JP5875914B2 (ja) 2012-03-22 2012-03-22 水処理用膜モジュールユニット
JPJP-P-2012-066435 2012-03-22
PCT/JP2013/052078 WO2013140862A1 (ja) 2012-03-22 2013-01-30 水処理用膜モジュールユニッ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43805A true KR20140143805A (ko) 2014-12-17
KR101691273B1 KR101691273B1 (ko) 2016-12-29

Family

ID=492223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29512A KR101691273B1 (ko) 2012-03-22 2013-01-30 수처리용 막모듈 유닛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5875914B2 (ko)
KR (1) KR101691273B1 (ko)
WO (1) WO2013140862A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7739A (ja) * 1990-02-22 1993-01-19 Koch Membrane Syst Inc 渦巻ろ過装置とそれを用いる方法
JPH06182163A (ja) * 1992-12-18 1994-07-05 Kurita Water Ind Ltd スパイラル型膜分離装置
JPH10180054A (ja) * 1996-12-24 1998-07-07 Nitto Denko Corp 膜エレメント用圧力容器および膜エレメントの運転方法
KR20030056990A (ko) * 2001-12-28 2003-07-04 소치재 전기펄스분해 반응에 의한 가스 발생장치
JP2011092824A (ja) 2009-10-27 2011-05-12 Mitsui Eng & Shipbuild Co Ltd マニホールド構造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702941B1 (en) * 1998-09-09 2004-03-09 Pall Corporation Fluid treatment elements adapted for cross flow treatment
AU2004291500A1 (en) * 2003-11-18 2005-06-02 Exxonmobil Research And Engineering Company Method and apparatus for separating aromatic hydrocarbons in a non-adiabatic membrane system
DE102008036098B4 (de) * 2008-08-04 2016-04-28 Mn-Beteiligungs-Gmbh Filtermodul mit spiralförmig gewickelten Flachfiltern, Verfahren zu dessen Herstellung und daraus aufgebautes Filtrationssystem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7739A (ja) * 1990-02-22 1993-01-19 Koch Membrane Syst Inc 渦巻ろ過装置とそれを用いる方法
JPH06182163A (ja) * 1992-12-18 1994-07-05 Kurita Water Ind Ltd スパイラル型膜分離装置
JPH10180054A (ja) * 1996-12-24 1998-07-07 Nitto Denko Corp 膜エレメント用圧力容器および膜エレメントの運転方法
KR20030056990A (ko) * 2001-12-28 2003-07-04 소치재 전기펄스분해 반응에 의한 가스 발생장치
JP2011092824A (ja) 2009-10-27 2011-05-12 Mitsui Eng & Shipbuild Co Ltd マニホールド構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3140862A1 (ja) 2013-09-26
KR101691273B1 (ko) 2016-12-29
JP5875914B2 (ja) 2016-03-02
JP2013193070A (ja) 2013-09-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484528A (en) Filtration equipment for hollow fiber module
RU2169608C2 (ru) Модульно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деминерализации жидкостей
US4476015A (en) Multiple element fluid separation device
JP2009208013A (ja) 加湿膜モジュール
CN110721593A (zh) 过滤设备
CN105813720A (zh) 浸渍式过滤装置
JP5502246B2 (ja) 水処理用膜モジュールユニット
JP5137935B2 (ja) バラスト水処理用の膜処理設備
KR101691273B1 (ko) 수처리용 막모듈 유닛
EP2897715B1 (en) Stack of membrane filter pockets commonly potted at their corners
JP4918126B2 (ja) マニホールド構造
CN201578992U (zh) 一种双环布水器
KR20090113104A (ko) 계곡수 여과장치
CN219314660U (zh) 一种拼装式平板陶瓷膜立方净水舱及水处理系统
JP5281183B2 (ja) バラスト水処理用の膜処理設備に用いられる膜カートリッジの交換方法
CN212293152U (zh) 一种具有杀菌消毒结构的油水分离器
CN109200670A (zh) 一种废水沉淀池
CN218089264U (zh) 一种硫自养生物反硝化过滤处理控制装置
CN215756943U (zh) 一种工业高浓废水处理装置
CN209835771U (zh) 阻垢组件和包含其的中央净水器
JP2010269297A (ja) 排水処理装置
KR101960775B1 (ko) 침지식 여과 장치
KR101777554B1 (ko) 여과 장치 및 이를 위한 중공사막 모듈
KR101644182B1 (ko) 정수기용 탱크
KR101906231B1 (ko) 자연 여과방식의 정수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